KR102400821B1 - A method for erasing handwritten content - Google Patents

A method for erasing handwritten cont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0821B1
KR102400821B1 KR1020210132880A KR20210132880A KR102400821B1 KR 102400821 B1 KR102400821 B1 KR 102400821B1 KR 1020210132880 A KR1020210132880 A KR 1020210132880A KR 20210132880 A KR20210132880 A KR 20210132880A KR 102400821 B1 KR102400821 B1 KR 1024008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riting
writing instrument
tip
eraser
era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288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영생
박배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크라운볼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크라운볼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크라운볼펜
Priority to KR10202101328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082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08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0821B1/en
Priority to JP2022113319A priority patent/JP7311927B2/en
Priority to CN202210865480.2A priority patent/CN11594647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19/00Erasers, rubbers, or erasing devices; Holde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9/00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with other articles
    • B43K29/02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with other articles with rub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7/00Ball-point pens
    • B43K7/005Pen barr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7/00Ball-point pens
    • B43K7/12Ball-point pens with retractable ball poi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 C08K5/3467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having more than two nitrogen atoms in the ring
    • C08K5/3472Five-membered rings
    • C08K5/3475Five-membered rings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2Poly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3/00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3/02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of vinyl-aromatic monomers and conjugated dienes
    • C08L53/025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of vinyl-aromatic monomers and conjugated dienes modifie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1/00Compositions of oils, fats or wax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thereof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Pens And Brush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removing written contents using a writing instrumen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erasing written contents by using an eraser separately attached to or separately coupled to a body of a writing instrument after a user writes on the surface of a writing object, the method including: a step (S210) of writing, drawing, or expressing written contents using a writing instrument on the surface of a writing object according to the user's intention; a step (S220) of hiding the ballpoint pen nib of the writing instrument by allowing the user to enter the inside of the body of the writing instrument to hide the same; a contacting step (S230) of allowing a tip erasing member to contact the written contents to be erased by placing the tip erasing member on the surface of the writing object while the user is holding the writing instrument; and an erasing step (S240) of erasing the written contents by reciprocating the tip erasing member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while lightly pressing the tip erasing member on the surface of the writing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carried out in a way of erasing written contents by using the surface roughness of the tip erasing member constituting the body of the writing instrument.

Description

필기 내용을 지우는 방법{A method for erasing handwritten content}{A method for erasing handwritten content}

본 발명은 필기 내용을 지우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필기구의 사용자가 필기 대상물 위에 필기구를 이용하여 글씨 또는 기호 또는 도형을 쓰거나 그린 다음, 상기 필기 대상물 위에 고정되어 있는 글씨 또는 기호 또는 도형을 측면에서 가압하여 상기 필기 대상물 위에서 손쉽게 제거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erasing handwritten content, and more particularly, to a writing instrument by a user using the writing instrument to write or draw letters, symbols, or figures, and then to write or draw letters, symbols, or figures fixed on the writing object. It relates to a method of easily removing the writing object from the side by pressing it.

오늘날 종이 위에 글씨를 쓰거나 문자나 숫자를 표기하는 수단으로 볼펜 또는 만년필을 주로 사용하여 왔다. Today, a ballpoint pen or a fountain pen has been mainly used as a means of writing on paper or marking letters or numbers.

볼펜은 볼포인트 펜(ballpoint pen)의 약자로 현대에 이르러 가장 널리 애용되고 있는 필기도구이다. 볼펜은 그 내부에 점성 잉크를 채워넣은 잉크 수용관이 있고, 그 잉크 수용관의 끝단에 있는 포인트 볼을 통하여, 상기 잉크 수용관의 내부에 있는 잉크 조성물을 종이 위에 소정의 글씨 또는 문자를 쓰거나 소정의 그림을 그릴 수 있도록 해준다. A ballpoint pen is an abbreviation of a ballpoint pen and is the most widely used writing tool in modern times. The ballpoint pen has an ink receiving tube filled with viscous ink therein, and through a point ball at the end of the ink receiving tube, the ink composition inside the ink receiving tube is written or written on paper It allows you to draw a picture of

볼펜은 값이 매우 싸고, 신뢰성이 있으며, 구매 및 사용에 돈이 별로 들지 않는 일상의 필기도구로서 많이 활용되어 왔고, 오늘날 만년필을 거의 대체하여 사용되고 있다. Ballpoint pens have been widely used as everyday writing instruments that are very inexpensive, reliable, and do not require much money to purchase and use, and are used today, almost replacing fountain pens.

볼펜은 만년필과는 달리 사용자가 별도로 잉크를 충전할 필요가 없고, 또한 다양한 색상의 잉크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을뿐만 아니라, 매우 저렴하고 쉽게 사용할 수 있는 등 그 경제성 및 편의성 때문에 널리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볼펜은, 사용자가 종이와 같은 필기 대상물의 표면 위에 소정의 문자나 숫자 또는 글씨를 쓰고 난 이후에, 그 글씨 등을 연필과 같이 지워버리기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Unlike fountain pens, ballpoint pens do not require the user to charge ink separately, and have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select and use various colors of ink, as well as being very inexpensive and easy to use. is being used However, the ballpoint pen has a disadvantage in that after a user writes a predetermined letter, number, or letter on the surface of a writing object such as paper, it is difficult to erase the letter or the like like a pencil.

이러한 볼펜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지워지는 볼펜을 개발하게 되었다. In order to overcome these shortcomings of the ballpoint pen, an erasable ballpoint pen was developed.

지워지는 볼펜의 작동원리는 잉크 수용관의 내부에 충전되어지는 잉크 조성물을 온도에 따라 색상이 달라지는 감온잉크로 형성하고, 상온에서 특정한 색상으로 존재하였던 잉크성분이 다른 고온의 온도에서는 그 색상이 사라지는 성질을 이용하는 것이었다. The working principle of the erasable ballpoint pen is that the ink composition filled inside the ink receiving tube is formed into a thermal ink that changes color depending on the temperature, and the color disappears at a high temperature where the ink component that existed in a specific color at room temperature is different. It was using character.

이러한 종래의 지움가능한 필기구는, 예를 들면, 필기구의 잉크로서 영하 10℃와 영상 50℃에서만 보여지는 감온잉크를 사용하고, 플리스틱 지우개로 문지를 때 생기는 마찰열에 의해 감온잉크의 색소분자가 화학반응을 일으켜 색이 사라지도록 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하여, 필기구의 반대편 끝단에 플라스틱 지우개를 부착시키고, 필기된 내용을 지우기 위해서는, 볼펜 심의 반대편에 부착되어 있는 플라스틱 지우개를 돌려서 필기된 내용에 접촉시키고, 그 플라스틱 지우개를 문자 또는 글자 위에 문질러서 그들 사이에 마찰을 일으키고, 그 마찰에 의해 발생된 마찰열을 이용하여 잉크 조성물의 색상을 변화시켜서, 마치 그 문자 또는 그 글자가 사라져 없어지도록 하는 것과 같은 착시 효과를 이용하는 것이다. Such a conventional erasable writing instrument uses, for example, thermal ink, which can only be seen at minus 10°C and above 50°C, as ink for writing instruments. to cause the color to disappear. To this end, attach a plastic eraser to the opposite end of the writing instrument, and to erase the written content, turn the plastic eraser attached to the opposite side of the ballpoint pen lead to contact the written content, and rub the plastic eraser over the characters or characters between them. It uses an optical illusion effect as if the character or the character disappears by causing friction, and changing the color of the ink composition using the frictional heat generated by the friction.

이와 같은 종래의 열변색 잉크 필기구는 지우개를 이용하여 필기면의 필기물을 지우기 위하여, 필기구의 볼펜 심의 반대쪽에 있는 지우개를 이용하여야 하고, 그 지우개를 필기대상물에 접촉시켜야 하며, 그 지우개를 필기대상물에 기재된 잉크성분에 마찰시켜서 마찰열을 발생시키고, 그 마찰열에 의해 상기 잉크성분을 변색시키는 방식으로 진행되고 있었던 것이다. In such a conventional thermochromic ink writing instrument, in order to erase the writing on the writing surface using the eraser, the eraser on the opposite side of the ball-point pen lead of the writing instrument must be used, the eraser must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writing object, and the eraser must be placed on the writing object. The frictional heat was generated by rubbing the ink components described in , and the ink components were discolored by the frictional heat.

그런데, 종래의 열변색 잉크 필기구는, 지우개로 필기면을 마찰하는 과정에서, 마찰열이 지우개에 축열되지 않고 방출되어 지우개의 마찰에 의한 마찰열이 필기물에 집중되지 않고, 지우개의 마찰열이 마찰 후 지속 보존되지 않아 다른 필기물을 지울 때에도 계속적으로 마찰에 의한 마찰열을 발생시켜야 하므로, 필기면이 지속적인 마찰로 손상되거나 광택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예 등록특허 10-1377293 참조).However, in conventional thermochromic ink writing instruments, in the process of rubbing the writing surface with the eraser, frictional heat is emitted without being stored in the eraser, so that the frictional heat caused by the friction of the eraser is not concentrated on the writing material, and the frictional heat of the eraser is maintained after friction. Since it is not preserved, frictional heat by friction must be continuously generated even when other writing materials are erased, so there is a problem that the writing surface is damaged or shiny due to continuous friction. (For example, see Patent Registration 10-1377293).

또한, 종래의 열변색 잉크 필기구는 반드시 마찰열을 발생시켜야 하였으므로, 그 마찰열 발생 도구로서 별도의 엘라스토머 지우개를 필기구의 몸체에 부착하거나 결합시켜야 하였다. 이는 별도의 엘라스토머 지우개를 필기구의 볼펜 촉의 반대편 끝단에 부착시키거나 결합시키는 것으로 구체화되었다. 또한, 종래의 열변색 잉크 필기구는 사용자가 글씨나 문자 등을 지우고자 할 경우, 글 쓰는 작업을 중단하고, 상기 열변색 잉크 필기구를 반대 방향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엘라스토머 지우개로 필기대상면에 기재되어 있는 글씨 또는 문자 등을 문질러서 제거해야 하는 것이었다. In addition, since the conventional thermochromic ink writing instrument must generate frictional heat, a separate elastomer eraser must be attached to or coupled to the body of the writing instrument as a frictional heat generating tool. This was embodied by attaching or bonding a separate elastomeric eraser to the opposite end of the ballpoint pen nib of the writing instrument. 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thermochromic ink writing instrument, when a user wants to erase letters or characters, the writing operation is stopped, and in a state in which the thermochromic ink writing instrument is gripp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he elastomer eraser is placed on the writing target surface. It had to be removed by rubbing the written letters or characters.

따라서, 종래의 열변색 잉크 필기구는 상기 엘라스토머 지우개를 종종 잃어버리는 경우가 발생되기도 하였다. 이는 상기 필기구의 몸체에 부착되어 있는 것이어서, 사용 도중 또는 보관 중에 상기 엘라스토머 지우개가 필기구의 몸체에서 이탈하거나 분리되어짐으로 인한 것이었다. Therefore, conventional thermochromic ink writing instruments often lose the elastomer eraser. This was due to the fact that the elastomeric eraser was detached or separated from the body of the writing instrument during use or storage since it was attached to the body of the writing instrument.

또한, 종래의 열변색 잉크 필기구에 부착된 상기 엘라스토머 지우개는 지면 위를 마찰할 때, 지우개 찌꺼기가 발생해서 주위를 오염시키기도 하고, 계속 사용할 경우, 마모로 인하여 그 부피가 줄어들게 되고, 나중에는 상기 엘라스토머 지우개를 사용할 수 없게 되므로,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던 것이다. In addition, when the elastomer eraser attached to the conventional thermochromic ink writing instrument rubs on the ground, eraser residue is generated and contaminates the surroundings. Since the eraser could not be used, there was a disadvantage that it could not be used permanently.

또한, 종래의 열변색 잉크 필기구는 글 쓰는 작업을 진행하다가, 잘못된 내용을 수정하고자 할 경우, 반드시 글 쓰는 작업을 중단하고, 상기 잉크 필기구의 파지 위치를 변경한 다음, 그 글씨의 지움작업을 수행할 수 밖에 없었다. 한편, 글쓰기 작업은 매우 신경을 고도로 집중하여 수행하여야 하고, 순간적으로 번쩍 떠오르는 아이디어를 순간적으로 포착하고, 그 순간의 느낌이나 표현을 글쓰기 작업에 투영되어야 하는 것이므로, 글쓰기 작업이 중단되지 않고 계속하여 진행되는 것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종래의 열변색 잉크 필기구는 잘못된 표현이나 오기를 정정하거나 수정하기 위하여, 잉크 필기구의 본체를 뒤집거나 반대로 다시 잡아주어야 하므로, 순간적으로 떠오르는 아이디어나 느낌 또는 순간적으로 떠오르는 줄거리를 놓쳐 버리게 되는 결정적인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thermochromic ink writing instrument during writing operation, when an erroneous content is to be corrected, the writing operation must be stopped, the gripping position of the ink writing instrument is changed, and then the writing operation is performed. I had no choice but to do it. On the other hand, writing work must be carried out with very high concentration, capturing an idea that flashes in an instant, and projecting the feeling or expression of that moment into the writing work, so the writing work continues without interruption. It is essential to be However, in the conventional thermochromic ink writing instrument, in order to correct or correct erroneous expressions or errors, the main body of the ink writing instrument has to be turned over or held back again. had

결론적으로, 종래의 지움용 필기구에 있어서, 필기구의 본체에 별도로 부착하거나 결합시키는 마찰재를 사용하지 않고, 필기구 본체를 그대로 활용할 수 있는 지움용 필기구의 개발이 매우 요청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이러한 기술이 개발되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In conclusion, in the conventional writing instruments for erasing, development of writing instruments for erasing that can utilize the main body of the writing instrument as it is without using a friction material that is separately attached or coupled to the main body of the writing instrument is highly requested. It seems that this has not been developed.

종래의 기술로서는 다음과 같은 사례가 대표적인 것으로 여겨진다. As a prior art, the following cases are considered representative.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79179호 "열변색 잉크 필기구용 지우개 조성물";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2179179 "Eraser composition for thermochromic ink writing instruments";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69972호 "축열형 마찰제를 갖는 노크식 열변색잉크 필기구";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2169972 "Knock-type thermochromic ink writing instrument with heat storage friction agent";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91748호 "축열형 마찰제를 갖는 열변색잉크 필기구";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2191748 "Thermochromic ink writing instrument with heat storage friction agent";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76526호 "뚜껑 밀폐가 필요없는 필기구용 잉크 조성물";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876526 "Ink composition for writing instruments that does not require lid sealing";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489134호 "축열형 마찰제를 갖는 열변색잉크 필기구".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489134 "Thermochromic ink writing instrument with heat storage friction agent".

본 발명은, 종래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필기구의 사용자가 필기 대상물 위에 기재된 내용을 지우고자 할 경우, 그 필기구의 볼펜 촉의 방향을 고쳐 잡지 않고, 필기를 하고 있는 그 방향에서 직접 지울 수 있고, 그 필기구의 몸체에 부착된 엘라스토머 지우개를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손쉽게 지울 수 있는, 필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when a user of a writing instrument wants to erase the contents written on a writing object, the writing instrument does not change the direction of the ballpoint pen tip of the writing instrument, but directly erases from the direction in which the writing instrument is taking note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riting instrument that can be easily erased without using an elastomer eraser attached to the body of the writing instrument.

본 발명에 의한 필기 내용의 지움 방법은, 사용자가 필기대상물의 표면 위에 필기 작업을 한 이후, 필기구의 몸체에 별도로 부착되거나 별도로 결합된 지우개를 이용하여, 필기된 내용을 지우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필기 대상물의 표면 위에 자신의 의도대로 필기구를 이용하여 필기 내용을 적거나 그리거나 표현하는 필기 내용을 기재하는 단계(S 210)와; 사용자가 상기 필기구의 볼펜 촉을 상기 필기구의 몸체의 안쪽 내부로 들여보내어 감추는 볼펜 촉의 숨김 단계(S 220)와; 사용자가 상기 필기구를 파지하고 있는 그 상태에서 상기 선단 지움체를 상기 필기 대상물의 표면 위에 대고, 지우기 대상이 되는 필기 내용에 접촉시키는 선단 지움체의 접촉 단계(S 230)와; 상기 선단 지움체를 상기 필기 대상물의 표면 위에서 가볍게 눌러주면서 좌우방향으로 왕복이동시켜서 필기 내용을 지워주는 지움 단계(S 240); 를 포함하고 있다. In the method of erasing handwritten con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user writes on the surface of a writing object, the user uses an eraser separately attached to the body of the writing instrument or separately coupled thereto. a step of writing, drawing, or expressing the written content on the surface of the writing object by using a writing instrument according to one's own intention (S210); a hiding step (S220) of the ballpoint pen tip in which the user inserts the ballpoint pen tip of the writing instrument into the inside of the body of the writing instrument to hide it; a contacting step (S230) of the user holding the writing instrument, placing the tip eraser on the surface of the writing object, and contacting the writing content to be erased; an erasing step (S240) of erasing the written content by reciprocating the tip eraser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while lightly pressing the eraser on the surface of the writing object; contains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선단 지움체는, 상기 필기구의 외부 몸체를 이루고 있고, 상기 필기구의 외부 몸체의 볼펜 촉이 존재하는 위치에 존재하고, 사용자가 잘못 기재한 필기 내용을 지우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어지며, 그 재질로서는 폴리프로필렌을 주성분으로 하되, 하이드로제네이티드스티렌 이소프렌부타디엔 블록공중합체 5 ~ 10 중량부, 하이드로트리티드헤비파라피닉 5 ~ 10 중량부, 산화방지제로서 1,2,3벤졸트리아졸 0.2 ~ 0.5 중량부, 그리고 나머지는 상기 폴리프로필렌으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ip eraser constitutes the outer body of the writing instrument, is present at the position where the ball-point pen tip of the outer body of the writing instrument exists, and is used for erasing the written contents erroneously written by the user. Polypropylene as the main component, but 5 to 10 parts by weight of hydrogenated styrene isoprene butadiene block copolymer, 5 to 10 parts by weight of hydrotreated heavy paraffinic, 1,2,3-benzoltriazole as an antioxidant 0.2 to 0.5 parts by weight, and the remainder is preferably composed of the polypropylene.

상기 선단 지움체는 필기구 몸체에 대응되거나 구별되는 색상을 부여하고자 할 경우, 피그먼트 안료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02 중량부 내지 0.0 중량부 첨가할 수 있다. When the tip eraser is to give a color corresponding to or distinct from the body of the writing instrument, 0.002 parts by weight to 0.0 parts by weight of the pigment pigment may be added based on the total weight.

본 발명은 사용자가 필기구를 이용하여 필기 대상물인 종이 위에 글씨 등을 쓰고 난 이후, 필기구의 볼펜 촉을 필기구의 몸체 내부로 들여보낸 다음, 펜촉 부분에 위치한 선단 지움체를 좌우방향으로 왕복운동 방식으로 눌러주면서 이동시킬 경우, 종이 위에 방금 써 놓았던 글씨 등을 쉽게 지울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fter a user writes letters on paper, which is a writing object using a writing instrument, the ballpoint pen tip of the writing instrument is brought into the body of the writing instrument, and then the tip eraser located in the pen tip is reciprocat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If you move it while pressing it, you can easily erase the text you just wrote on the paper.

본 발명은, 필기구 본체의 일부를 이용하여, 잘못 써 놓은 글씨 또는 문자나 숫자 등을 지울 수 있으므로, 별도의 지우개를 부착할 필요가 없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no need to attach a separate eraser because it is possible to erase erroneously written letters, letters, or numbers by using a part of the main body of the writing instrument.

또한, 본 발명은, 필기구를 이용하여 종이 위에 글씨를 쓰고 난 이후, 그 글씨 등을 지우고자 할 경우, 상기 필기구를 앞뒤로 바꾸어 고쳐잡을 필요가 없고, 글씨를 쓰고 있던 그대로 상기 선단 지움체를 이용하여 지움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지움 작업이 매우 편리할 뿐만 아니라, 신속하게 지움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fter writing on paper using a writing instrument, if you want to erase the writing, there is no need to change the writing instrument back and forth to fix it. Since the erase operation can be performed, not only the erase operation is very convenient, but also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erase operation can be performed quickly.

또한, 본 발명은, 별도의 지우개를 필요로 하지 않고, 필기구 몸체의 일부를 이용하므로, 지우개를 잃어버릴 염려가 전혀 없는 장점도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require a separate eraser and uses a part of the body of the writing instrument, so there is also an advantage in that there is no fear of losing the eraser.

도 1은 본 발명의 필기구를 사용하여 필기 대상물의 표면 위에 글씨 등을 기재하는 모습을 모형화한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필기구를 사용하여 필기 대상물의 표면 위에 기록된 필기 내용인 글씨 등을 지우는 모습을 모형화한 개념도이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modeling a state of writing letters on the surface of a writing object using the writing instru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onceptual diagram modeling a state in which writing, which is written content recorded on the surface of a writing object, is erased using the writing instru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이고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구체적인 수치 또는 구체적인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양태로서,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앞쪽이라 함은 필기구의 볼펜 촉이 위치한 부분으로서, 상기 볼펜 촉이 필기구의 바깥으로 나오거나 필기구의 내부로 들어가게 되는 방향을 의미하고, 뒤쪽이라 함은 상기 앞쪽의 반대편 방향으로 상기 필기구의 반대편 끝단이 존재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more specifically and in detail. Specific numerical values or specific examples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only for explain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and it is clear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 “front” refers to the portion where the ballpoint pen tip of the writing instrument is located, and refers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ballpoint pen tip comes out of the writing instrument or enters the inside of the writing instrument, and the term “backward” refers to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front. It means the direction in which the opposite end of the writing instrument exists.

또한, 본 발명의 명세서에 있어서, 이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것으로서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창작될 수 있는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In addition, in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 of parts that are known in the art and can be easily create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ll be omitted.

본 발명은 필기구(100)를 이용하여, 필기 대상물(P)의 표면 위에 잘못 쓰여진 글씨 등(W)을 지우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필기 대상물(P)은 대표적으로 종이를 의미할 수 있고, 상기 필기 대상물(P)의 표면 위에 쓰여 있거나 기재되어 있는 글씨 등(W)은 문자, 숫자, 기호, 그림 등을 의미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erasing an erroneously written character (W) on the surface of a writing object (P) using a writing instrument (100). The writing object P may typically mean paper, and the letters W written or written on the surface of the writing object P mean letters, numbers, symbols, pictures, and the like.

도 1은 본 발명의 필기구(100)를 사용하여 필기 대상물(P)의 표면 위에 글씨 등(W)을 기재하는 모습을 모형화한 개념도이고, 1 is a conceptual diagram modeling a state of writing letters, etc. (W) on the surface of a writing object (P) using the writing instrument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필기구(100)를 사용하여 필기 대상물(P)의 표면 위에 기록된 필기 내용인 글씨 등(W)을 지우는 모습을 모형화한 개념도이다. FIG. 2 is a conceptual diagram modeling a state of erasing the writing content W, which is the writing content, recorded on the surface of the writing object P using the writing instrument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의한 필기 내용의 지움 방법은, 종래와 같이, 엘라스토머 지우개를 사용하지 않고, 필기구 몸체를 이용하여, 그 필기구를 앞뒤로 고쳐잡지 않고, 필기 대상물의 표면에 쓰여 있는 필기 내용을 필기구 몸체의 선단 지움체에 의하여 지움 작업을 진행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In the method for erasing writ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in the prior art, the writing content written on the surface of a writing object is erased from the front end of the writing instrument body using a writing instrument body without using an elastomeric eraser and without holding the writing instrument back and forth. It has a technical feature that the erase operation is performed by the eraser.

본 발명에 의한 필기 내용의 지움 방법은, 종래의 필기구를 이용하여 필기 내용을 지우는 방식과 대비할 경우, 별도의 엘라스토머 지우개를 사용하지 않으며, 필기 내용을 지움 수단을 필기구 몸체의 일부로 구성하여 활용한다는 점에서, 가장 큰 차이점을 보여주고 있다. The method for erasing handwritten cont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use a separate elastomer eraser and uses a means for erasing handwritten contents as a part of the body of the writing instrument, in contrast to the conventional method of erasing handwritten contents using a writing instrument. shows the biggest difference.

종래의 열변형 잉크를 이용한 지움 방식은, 사용자가 필기대상물의 표면 위에 필기 작업을 한 이후, 필기구의 몸체에 별도로 부착되거나 별도로 결합된 지우개를 이용하여, 필기된 내용을 지우는 방식으로 진행되고 있었다. In the conventional erasing method using heat-deformable ink, after a user writes on the surface of a writing object, an eraser attached to the body of the writing instrument or separately coupled to it is used to erase the written content.

이에 반하여, 본 발명에 의한 필기 내용의 지움 방법은, 필기구의 몸체에 결합되어 있거나 몸체의 일부를 이루고 있는 선단 지움체를 이용하여, 필기된 내용을 지우는 방식으로 진행되어진다. On the other hand, the method of erasing the written con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erformed in a manner of erasing the written content by using the tip eraser coupled to the body of the writing instrument or forming a part of the body.

본 발명에 의한 필기 내용의 지움 방법은, 사용자가 필기 대상물(P)의 표면 위에 자신의 의도대로 필기구(100)를 이용하여 필기 내용(W)을 적거나 그리거나 표현하는 필기 내용을 기재하는 단계(S 210)를 포함하고 있다. The method of erasing handwritten cont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a user writing, drawing, or expressing handwritten contents W using a writing instrument 100 as intended on the surface of a writing object P (S 210) is included.

상기 필기 내용의 기재 단계(S 210)는 사용자가 필기구를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자신이 의도하고 있는 내용을, 필기대상물의 표면 위에, 글씨의 형태로 쓰거나 그림의 형태로 그리거나 기타 형태로 표현하는 단계를 의미한다. 이러한 필기 내용의 기재 단계(S 210)는 종래의 통상적인 방식과 동일하게 진행될 수 있다. In the writing step (S210) of the writing content, the user writes the intended content on the surface of the writing object in the form of writing, drawing in the form of a picture, or in other forms while holding the writing instrument by hand. It means the stage of expression. The writing step ( S210 ) of the handwritten content may be performed in the same manner as in a conventional conventional method.

본 발명에 의한 필기 내용의 지움 방법은, 사용자가 상기 필기구의 볼펜 촉을 상기 필기구의 몸체의 안쪽 내부로 들여보내어 감추는 볼펜 촉의 숨김 단계(S 220)를 포함하고 있다. The method for erasing writing con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ep (S220) of hiding the ballpoint pen tip in which the user inserts the ballpoint pen tip of the writing instrument into the inside of the body of the writing instrument to hide it.

상기 볼펜 촉의 숨김 단계(S 220)는 사용자가 필기된 내용을 지우고자 할 경우, 반드시 수행되어야 하는 필수적인 단계이다. 사용자는 볼펜 내부에 마련되어 있는 리턴수단을 조작함과 동시에 스프링의 탄력으로 상기 볼펜 촉(140)을 그 필기구의 안쪽으로 들여 보냄으로써, 상기 볼펜 촉(140)이 상기 필기구의 앞쪽 선단에 돌출되어 있지 않도록 하고, 더 이상 다른 글씨 또는 그림 등을 필기대상물의 표면에 기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볼펜 촉의 숨김 단계(S 220)를 진행하지 않고 다음 단계(S 230)로 진행하게 될 경우, 상기 필기대상물의 표면에 상기 볼펜 촉(140)에 의하여 의도하지 않은 필기 내용이 기재되어질 가능성이 있고, 또한 다음 단계(S 230)를 원활하게 수행할 수 없다. The step of hiding the tip of the ballpoint pen ( S220 ) is an essential step that must be performed when the user wants to erase the written content. The user manipulates the return means provided inside the ball-point pen and at the same time moves the ball-point pen tip 140 into the writing instrument with the elasticity of the spring, so that the ball-point pen tip 140 does not protrude from the front end of the writing instrument. This is to prevent any further writing or drawing on the surface of the writing object. If the next step (S230) is performed without the step (S220) of hiding the ballpoint pen tip, there is a possibility that unintentional writing contents are written on the surface of the writing object by the ballpoint pen tip 140, and , it is also not possible to smoothly perform the next step (S230).

이러한 점에서 살펴볼 때, 본 발명에 의한 상기 볼펜 촉의 숨김 단계(S 220)는 본 발명의 경우 필수적으로 수행되어야 하는 것이지만, 종래의 기술 내지 종래의 필기구에서는 수행될 수도 있고, 수행되지 않을 수도 있다. From this point of view, the step of hiding the ballpoint pen tip ( S220 )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ecessarily performed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may or may not be performed in the prior art or the conventional writing instrument.

본 발명에 의한 필기 내용의 지움 방법은, 사용자가 상기 필기구를 파지하고 있는 그 상태에서 상기 선단 지움체를 상기 필기 대상물의 표면 위에 대고, 지움 대상이 되는 필기 내용에 접촉시키는 선단 지움체의 접촉 단계(S 230)를 포함하고 있다. In the method for erasing handwritten con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in which the user is holding the writing instrument, the tip eraser is placed on the surface of the writing object, and the tip eraser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writing content to be erased. (S 230) is included.

상기 선단 지움체의 접촉 단계(S 230)는, 사용자가 필기구(100)를 파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그 필기구(100)를 앞뒤로 자리를 바꾸어 파지하지 않고, 원래 파지하고 있던 그대로 지움 작업을 수행함을 의미한다. 이는 종래의 필기구의 경우, 사용자가 반드시 그 필기구를 앞뒤로 자리를 바꾸어 파지하는 행위와 전혀 다르다. 종래의 필기구의 경우에는, 상기 필기구의 뒤쪽에 엘라스토머 지우개가 부착되어 있으므로, 상기 종래의 필기구를 앞뒤로 자리를 바꾸어 파지함으로써, 상기 뒤쪽에 있던 엘라스토머 지우개를 앞쪽으로 위치 전환을 해주어야 하는 것이었지만, 본 발명의 경우에는 필기구(100) 몸체의 가장 앞쪽 선단에 존재하는 선단 지움체(120)를 그대로 활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In the step of contacting the tip eraser (S230), in a state in which the user is holding the writing instrument 100, the writing instrument 100 is erased as it was originally held without changing its position back and forth. it means. This is completely different from the case of a conventional writing instrument, in which the user must change the position of the writing instrument back and forth to hold it.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writing instrument, since the elastomeric eraser is attached to the back of the writing instrument, the position of the elastomeric eraser located at the back has to be switched to the front by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conventional writing instrument back and forth. This is because, in the case of the writing instrument 100, the tip eraser 120 present at the frontmost tip of the body of the writing instrument 100 can be used as it is.

상기 선단 지움체의 접촉 단계(S 230)는, 상기 필기구(100)를 파지한 상태 그대로 유지하면서, 필기 대상물의 표면 위에 대고, 상기 필기구(100)의 상기 선단 지움체(120)가 지움 대상이 되는 필기 내용에 접촉되어지도록 한다. 이때, 상기 선단 지움체(120)는 상기 필기구(100)의 몸체(110)의 일부를 이루고 있고, 상기 필기구 몸체(110)의 가장 앞쪽에 위치하여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선단 지움체(120)가 상기 필기구 몸체(110)의 가장 앞쪽에 위치하도록 할 경우, 사용자가 지움 작업을 수행하고자 할 때, 상기 필기구(100)를 앞뒤로 뒤바꾸지 않고, 상기 필기구(100)를 그대로 파지한 상태에서 작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In the contacting step (S230) of the tip eraser, the tip eraser 120 of the writing instrument 100 is placed on the surface of the writing object while maintaining the gripped state, and the tip eraser 120 of the writing instrument 100 is the object to be erased. Make contact with the written content. In this case, the tip eraser 120 forms a part of the body 110 of the writing instrument 100 and is preferably located at the frontmost side of the writing instrument body 110 . When the tip eraser 120 is positioned at the front of the writing instrument body 110, when a user wants to perform an erase operation, the writing instrument 100 is removed without turning the writing instrument 100 back and forth. This is so that the work can proceed in the state of holding it as it is.

본 발명에 의한 필기 내용의 지움 방법은, 상기 선단 지움체(120)를 상기 필기 대상물의 표면 위에서 가볍게 눌러주면서 좌우방향으로 왕복 이동시켜서 필기 내용을 지워주는 지움 단계(S 240); 를 포함하고 있다. The method for erasing handwritten con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n erasing step (S240) of erasing the handwritten content by reciprocally moving the front end eraser 120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while lightly pressing it on the surface of the writing object; contains

상기 필기 내용의 지움 단계(S 240)는, 사용자가 상기 필기구(100)를 손으로 파지하고, 사용자가 지우고자 하는 필기 내용을 대상으로 하여, 상기 선단 지움체(120)를 가볍게 눌러준다. 이는 상기 선단 지움체(120)와 지움 대상인 필기 내용을 서로 접촉시켜 마찰을 일으키기 위한 것이다. 이 경우, 상기 선단 지움체(120)는, 종래와 같이 엘라스토머 지우개를 사용하지 않으며, 상기 필기구(100)의 가장 앞쪽에 위치하여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주원료로 하고 있으며, 지움 대상인 필기 내용과 상기 선단 지움체(120) 사이의 접촉면의 표면 거칠기는 1.5 내지 3 Ra 범위에 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선단 지움체(120)의 재질이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주원료로 하는 것은 1차적으로 상기 필기구(100)의 몸체의 일부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필기구 몸체의 강도를 유지하여야 하고, 2차적으로 상기 지움 대상인 필기 내용을 필기대상물의 표면에서 밀어낼 수 있는 강도를 가지고 있어야 하며, 3차적으로 상기 필기대상물의 표면에 있는 지움 대상의 필기 내용에 대하여 소정의 표면 거칠기를 제공함과 동시에 그 표면 거칠기를 유지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In the step of erasing the handwritten content ( S240 ), the user holds the writing instrument 100 by hand, targets the handwritten content that the user wants to erase, and lightly presses the tip eraser 120 . This is to cause friction by bringing the tip eraser 120 and the writing content to be erased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In this case, the tip eraser 120 does not use an elastomeric eraser as in the prior art, and is positioned at the front of the writing instrument 100 and made of polypropylene resin as a main material, and the writing content to be erased and the tip erasing The surface roughness of the contact surface between the sieves 120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1.5 to 3 Ra. Since the material of the tip eraser 120 is made of polypropylene resin as a main raw material, it primarily forms a part of the body of the writing instrument 100, so it is necessary to maintain the strength of the body of the writing instrument, and secondarily, the writing instrument to be erased It must have the strength to push the content from the surface of the writing object, and thirdly, it must be able to provide a predetermined surface roughness for the writing content of the object to be erased on the surface of the writing object and maintain the surface roughness. Because.

상기 필기 내용의 지움 단계(S 240)는, 사용자가 상기 선단 지움체(120)를 가볍게 눌러주면서 좌우 방향으로 왕복운동을 실시함으로써, 상기 필기 대상물의 표면에서 필기 내용을 밀어내어 제거한다. 종래의 필기 내용의 제거 방식은 엘라스토머 지우개를 마찰시켜서 마찰 온도를 발생시키고, 그 마찰 온도에 의하여 필기 대상물의 표면에 있는 필기 내용을 변색시키고, 그 변색 작용에 의하여 필기 내용이 없어진 것과 같은 효과를 얻는 방식이었다. 이에 반하여, 본 발명은 상기 선단 지움체(120)를 상기 필기대상물의 표면에 기재되어 있는 필기 내용에 밀착시키고, 밀착된 힘을 가하여, 상기 필기 내용을 그 표면에서 떨어지게 함으로써, 그 필기 내용을 제거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상기 필기 내용의 지움 단계(S 240)는, 외부적으로 관찰되는 행위가 서로 동일하게 보인다고 할지라도, 이건 특허출원 발명과 종래의 선행 기술들과는 그 기술적인 작용 내지 그 기술적인 응용방식이 전혀 다른 것이다. In the step of erasing the writing content ( S240 ), the user pushes and removes the writing content from the surface of the writing object by performing a reciprocating movement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while lightly pressing the tip eraser 120 . In the conventional method of removing writing contents, friction temperature is generated by rubbing an elastomer eraser, the writing contents on the surface of the writing object are discolored by the friction temperature, and the effect of the writing contents disappearing due to the discoloration action is obtained. it was the way In contras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ip eraser 120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writing content written on the surface of the writing object, and the writing content is removed by applying a tight force to separate the writing content from the surface. way to do it Therefore, in the step of erasing the handwritten content (S240), even if the externally observed actions look identical to each other, this has no technical action or technical application method compared to the patent application invention and the prior art. It's different.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기술적 특징을 더욱 용이하게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방식을 더욱 추가적으로 보충하여 실시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by further supplementing the following methods in order to more easily achieve the technical features as described abov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선단 지움체(120)는, 상기 필기구의 몸체를 이루고 있고, 상기 필기구의 몸체의 볼펜 촉(140)이 존재하는 위치에 존재한다. 상기 필기구(100)는 외부에 원통형으로 형성된 몸체(110)를 가지고 있고, 상기 몸체(110)의 앞쪽에는 중앙부로 좁혀지면서 경사지게 형성된 몸체선단부를 형성하고, 상기 몸체(110)의 뒤쪽에는 누름 버튼식으로 작동하는 노크 버튼부(도시되지 않음)를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몸체(110)의 내부에는 필기할 내용의 잉크를 담고 있는 잉크수용관(130)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잉크수용관(130)의 제일 앞쪽은 금속재질의 볼펜 촉(140)을 형성하고 있다. 이때, 상기 볼펜 촉(140)의 바로 외부에는 스프링(150)이 삽입되어 있어서, 상기 노크버튼부의 누름작동에 의해 상기 볼펜 촉(140)을 상기 선단지움체(120)의 내부에서 몸체(110)의 앞쪽으로 노출시키거나 상기 몸체(110)의 내부 안쪽으로 들어가도록 해준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ip eraser 120 forms the body of the writing instrument, and exists at a position where the ballpoint pen tip 140 of the body of the writing instrument exists. The writing instrument 100 has a body 110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on the outside, a front end of the body 110 is narrowed to a central portion and an inclined body tip is formed, and a push button type is formed at the rear of the body 110 It forms a knock button unit (not shown) that operates as The front side of the metal ballpoint pen nib 140 is formed. At this time, a spring 150 is inserted just outside of the ballpoint pen nib 140, so that the ballpoint pen nib 140 is moved from the inside of the tip holder 120 by a pressing operation of the knock button part to the body 110. It exposes to the front of the or allows it to enter the inside of the body 110 .

다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몸체선단부를 선단 지움체(120)로 형성하고 있다. 상기 선단 지움체(120)는 사용자가 잘못 기재한 필기 내용을 지우기 위한 것을 주용도로 하고 있으며, 상기 몸체(110)의 일부로서 기능하고, 이미 기재된 내용을 지우는데 필요한 표면 거칠기를 제공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 선단 지움체(120)는, 필기구의 몸체의 일부를 형성하고 있고, 상기 필기구의 몸체의 앞쪽에 위치하며, 볼펜 촉의 외부 외주연부를 감싸고 있는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ront end of the body is formed with the tip clamping body (120). The tip eraser 120 has a main purpose for erasing the handwritten content incorrectly written by the user, and functions as a part of the body 110, and has a function of providing a surface roughness necessary for erasing previously written content. there is. Also, the tip eraser 120 forms a part of the body of the writing instrument, is located in front of the body of the writing instrument, and surrounds the outer periphery of the ballpoint pen tip.

상기 선단 지움체(120)는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주원료로 하고 있다. 이는 위에서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1차적으로 상기 필기구(100)의 몸체의 일부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필기구 몸체의 강도를 유지하여야 하고, 2차적으로 상기 지움 대상인 필기 내용을 필기대상물의 표면에서 밀어낼 수 있는 강도를 가지고 있어야 하며, 3차적으로 상기 지움 대상의 필기 내용에 대한 접촉 표면 거칠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선단 지움체(120)는 수차례의 지움 작업을 진행할 경우에도 종래의 엘라스토머 지우개와 같이 닳아 없어지거나 소진되지 않고, 항상 최초의 형태를 유지하며, 소정의 표면 거칠기를 1.5 내지 3 Ra 범위로 계속 유지하게 된다. The tip clamping body 120 is made of polypropylene resin as a main raw material. As already described above, since it primarily forms a part of the body of the writing instrument 100, it is necessary to maintain the strength of the body of the writing instrument, and secondarily, it is possible to push the writing content to be erased from the surface of the writing object. It should have strength, and tertiarily, it is to provide a contact surface roughness for the writing content of the object to be erased. The tip eraser 120 is not worn out or exhausted like a conventional elastomeric eraser even when a number of erasing operations are performed, always maintains its original shape, and continues to have a predetermined surface roughness in the range of 1.5 to 3 Ra will keep

상기 선단 지움체(120)는 전체 중량에 대하여, 하이드로제네이티드스티렌이소프렌부타디엔 블록공중합체 5 ~ 10 중량부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하이드로제네이티드스티렌이소프렌부타디엔 블록공중합체는 상기 선단 지움체(120)에 소정의 유연성을 제공한다. 이는 일종의 스티렌 성분과 부타디엔 성분을 서로 공중합시킨 합성물로서 고분자중합체의 내부에 이중결합구조를 가지고 있어서, 딱딱하고 견고한 폴리프로필렌의 주성분에 대해 비교적 유연성을 부여함으로써, 외부 충격에 대해 쉽게 부서지거나 부러지는 단점을 제거해주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상기 하이드로제네이티드스티렌이소프렌부타디엔 블록공중합체가 5 중량부 이하로 포함되어 있는 경우 그 유연성이 약한 반면에, 상기 하이드로제네이티드스티렌이소프렌부타디엔 블록공중합체가 10 중량부 이상으로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선단 지움체(120)의 강도를 약화시키게 되므로, 바람직스럽지 못하다. The front end body 120 contains 5 to 10 parts by weight of the hydrogenated styrene isoprene butadiene block copolymer based on the total weight. The hydrogenated styrene isoprene butadiene block copolymer provides a predetermined flexibility to the front end body 120 . This is a kind of compound obtained by copolymerizing a styrene component and a butadiene component with each other. It has a double bond structure inside the high molecular polymer, and it gives relatively flexibility to the main component of hard and rigid polypropylene, so it is easily broken or broken against external impact. It performs the function of removing When the amount of the hydrogenated styrene isoprene butadiene block copolymer is 5 parts by weight or less, its flexibility is weak, whereas when the hydrogenated styrene isoprene butadiene block copolymer is included in an amount of 10 parts by weight or more, the tip Since it weakens the strength of the eraser 120, it is not preferable.

상기 선단 지움체(120)는 전체 중량에 대하여, 하이드로트리티드헤비파라피닉 5 ~ 10 중량부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하이드로트리티드헤비파라피닉은 상기 선단 지움체(120)에 소정의 접촉 표면 거칠기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는 상기 하이드로트리티드헤비파라피닉 성분이 포함되어 있음으로 인하여, 상기 선단 지움체(120)가 지움 대상이 되는 필기 내용에 밀착되어 좌우 방향으로 가압하여 이동할 경우, 미끄러지지 않고, 상기 필기 내용을 필기대상물의 표면에서 밀어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방식은 종래의 기술이 마찰열에 의한 열변형을 이용하는 기술사상과는 전혀 다른 방식이라고 할 것이다. 상기 하이드로트리티드헤비파라피닉 성분이 5 중량부 이하일 경우, 상기 선단 지움체(120)의 표면 거칠기가 1.5 Ra 이하로 되어지고, 그 경우 원활한 필기 내용을 제거기능을 수행하기 어려운 반면에, 상기 하이드로트리티드헤비파라피닉 성분이 10 중량부 이상일 경우, 상기 선단 지움체(120)의 표면 거칠기가 3.0 Ra 이상으로 되어져서 바람직스럽지 못하다. 상기 하이드로트리티드헤비파라피닉 성분이 5 내지 10 중량부의 범위 내에 있을 경우, 사용자가 필기대상물 위에서 상기 선단 지움체(120)를 문지를 때 소위 짝짝 붙는 느낌을 제공하게 된다. The tip clamping body 120 contains 5 to 10 parts by weight of hydrotreated heavy paraffinic based on the total weight. The hydrotreated heavy paraffinic performs a function of providing a predetermined contact surface roughness to the tip clamping body 120 . This is because the hydrotreated heavy paraffinic component is included, so when the tip eraser 12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writing content to be erased and moves by press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t does not slip, and the writing content is transferred to the writing object. to be pushed away from the surface of the This method will be said to be completely different from the technical idea that the conventional technology uses thermal deformation due to frictional heat. When the hydrotreated heavy paraffinic component is 5 parts by weight or less, the surface roughness of the tip eraser 120 is 1.5 Ra or less, and in that case, it is difficult to perform a smooth writing content removal function, whereas the hydro When the treated heavy paraffinic component is 10 parts by weight or more, the surface roughness of the tip clamping body 120 becomes 3.0 Ra or more, which is not preferable. When the hydrotreated heavy paraffinic component is in the range of 5 to 10 parts by weight, a so-called mating feeling is provided when the user rubs the tip eraser 120 on the writing object.

상기 선단 지움체(120)는 전체 중량에 대하여, 산화방지제 1,2,3벤졸트리아졸 0.2 ~ 0.5 중량부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1,2,3벤졸트리아졸은 산화방지제로서 기능한다. 상기 선단 지움체(120)는 그 안쪽 내부에 볼펜 촉(140)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볼펜 촉(140)은 잉크수용관(130)의 제일 앞쪽 선단에 위치하여 잉크를 균일하게 공급하여 글씨 또는 도형이나 그림 등을 원활하게 쓰여질 수 있도록 해준다. 이때, 상기 볼펜 촉(140)이 그의 바깥쪽 외주연부를 감싸고 있는 상기 선단 지움체(120)를 접촉하게 될 경우, 그의 금속성분으로 하여금 산화반응을 일으킬 염려가 있으므로, 이러한 산화반응을 방지할 목적으로 상기 1,2,3 벤졸트리아졸을 사용하는 것이다. 상기 산화방지제를 0.2 중량부 이하로 사용할 경우, 산화방지 기능을 제대로 수행할 수 없는 반면에, 0.5 중량부 이상으로 사용할 경우, 투입한 분량에 비하여 산화방지 기능이 비례하여 상승하지 않으므로, 그 이상 포함시키는 것이 바람직스럽지 못하다. The tip clamping body 120 contains 0.2 to 0.5 parts by weight of the antioxidant 1,2,3-benzoltriazole based on the total weight. The 1,2,3-benzoltriazole functions as an antioxidant. The tip eraser 120 includes a ballpoint pen tip 140 inside it. The ballpoint pen nib 140 is located at the front end of the ink receiving tube 130 to uniformly supply ink so that letters, figures, or pictures can be written smoothly. At this time, when the ballpoint pen nib 14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tip eraser 120 surrounding the outer outer periphery thereof, there is a risk that the metal component thereof may cause an oxidation reaction, so the purpose of preventing this oxidation reaction As a result, the 1,2,3 benzol triazole is used. When the antioxidant is used in an amount of 0.2 parts by weight or less, the antioxidant function cannot be properly performed, whereas when used in an amount of 0.5 parts by weight or more, the antioxidant function does not increase in proportion to the amount added, so more is included It is not advisable to do

상기 선단 지움체(120)는, 전체 중량에 대하여, 그 나머지를 상기 폴리프로필렌으로 구성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프로필렌은 상기 선단 지움체(120)의 강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필요하다. 대체적으로 전체 중량에 대해 80 내지 90 중량부의 범위에 존재하지만, 위에 열거된 각 구성성분들의 함량에 따라 위의 하한선의 범위와 상한선의 범위에서 약간씩 달라질 수 있다. The tip clamping body 120, with respect to the total weight, it is preferable that the remainder is composed of the polypropylene. The polypropylene is necessary to maintain the strength of the tip clamping body 120 . In general, it is present in the range of 80 to 90 parts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but may vary slightly in the range of the lower limit and the upper limit according to the content of each component listed above.

상기 선단 지움체(120)는 필기구 몸체에 대응되거나 구별되는 색상을 부여하고자 할 경우, 피그먼트 안료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02 중량부 내지 0.02 중량부 첨가할 수 있다. 피그먼트 안료는 색상을 부여하는 것으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When it is desired to give the tip eraser 120 a color corresponding to or distinct from the body of the writing instrument, 0.002 parts by weight to 0.02 parts by weight of a pigment pigment may be added based on the total weight. Pigment pigments are to impart color, and may be commonly used in the art.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필기 내용을 제거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필기구를 구체적으로 제시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구체화된 것일 뿐, 본 발명의 모든 특징이 위에서 언급한 항목에만 적용되는 것이라고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될 것이다. In the above, the method for removing the writing con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writing instrument using the method have been specifically presented, but this is only embodied in the process of describ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l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the items mentioned above.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at it applies only to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명세서의 기재내용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을 행할 수 있을 것이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난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In addition, it will be clear that any person skilled in the art may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imitations according to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is is also not outsid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필기구 (본 발명) 110 : 몸체,
120 : 선단 지움체, 130 : 잉크수용관,
140 : 볼펜 촉, 150 : 스프링
P : 필기 대상물, W : 필기 내용
100: writing instrument (the present invention) 110: body,
120: tip eraser, 130: ink receiving tube,
140: ballpoint pen nib, 150: spring
P: writing object, W: writing content

Claims (6)

사용자가 필기 대상물의 표면 위에 필기구를 이용하여 필기 내용을 적거나 그리거나 표현하는 필기 내용의 기재 단계(S 210)와; 사용자가 상기 필기구의 볼펜 촉을 상기 필기구의 몸체의 안쪽 내부로 들여보내어 감추는 볼펜 촉의 숨김 단계(S 220)와; 사용자가 상기 필기구를 파지하고 있는 그 상태에서 선단 지움체를 상기 필기 대상물의 표면 위에 대고, 지우기 대상이 되는 필기 내용에 접촉시키는 선단 지움체의 접촉 단계(S 230)와; 상기 선단 지움체를 상기 필기 대상물의 표면 위에서 가볍게 눌러주면서 좌우방향으로 왕복이동시켜서 필기 내용을 지워주는 지움 단계(S 240); 를 포함하고 있는 필기된 내용을 지우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선단 지움체의 표면 거칠기를 이용하여 상기 필기 대상물의 표면에 기재되어 있는 필기 내용을 지우고,
상기 선단 지움체는, 그 표면 거칠기가 1.5 Ra 내지 3.0 Ra의 범위에 있으며,
상기 선단 지움체는,
하이드로제네이티드스티렌 이소프렌부타디엔 블록공중합체 5 ~ 10 중량부,
하이드로트리티드헤비파라피닉 5 ~ 10 중량부,
산화방지제로서 1,2,3벤졸트리아졸 0.2 ~ 0.5 중량부, 그리고
나머지는 폴리프로필렌 수지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가 주성분을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필기된 내용을 지우는 방법.
a writing step (S210) of the user writing, drawing, or expressing the written content on the surface of the writing object using a writing instrument; a hiding step (S220) of the ballpoint pen tip in which the user inserts the ballpoint pen tip of the writing instrument into the inside of the body of the writing instrument to hide it; a contacting step (S230) of the user holding the writing instrument, placing the tip eraser on the surface of the writing object, and contacting the writing content to be erased; an erasing step (S240) of erasing the writing content by reciprocally moving the tip eraser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while lightly pressing the eraser on the surface of the writing object; In the method of erasing the handwritten content containing
Erasing the writing content written on the surface of the writing object using the surface roughness of the tip eraser,
The tip sharpening body has a surface roughness in the range of 1.5 Ra to 3.0 Ra,
The tip eraser is
5 to 10 parts by weight of a hydrogenated styrene isoprene butadiene block copolymer;
5 to 10 parts by weight of hydrotreated heavy paraffinic,
0.2 to 0.5 parts by weight of 1,2,3-benzoltriazole as an antioxidant, and
The remainder is composed of polypropylene resin, and the method for erasing written cont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polypropylene resin is the main component.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10132880A 2021-10-07 2021-10-07 A method for erasing handwritten content KR102400821B1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2880A KR102400821B1 (en) 2021-10-07 2021-10-07 A method for erasing handwritten content
JP2022113319A JP7311927B2 (en) 2021-10-07 2022-07-14 Writing instrument for erasing characters and method for erasing written content using the writing instrument
CN202210865480.2A CN115946471A (en) 2021-10-07 2022-07-21 Writing tool capable of easily eliminating writing conten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2880A KR102400821B1 (en) 2021-10-07 2021-10-07 A method for erasing handwritten cont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0821B1 true KR102400821B1 (en) 2022-05-23

Family

ID=81804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2880A KR102400821B1 (en) 2021-10-07 2021-10-07 A method for erasing handwritten cont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0821B1 (en)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12634A (en) * 2012-04-02 2013-10-17 Mitsubishi Pencil Co Ltd Writing implement
KR101495366B1 (en) * 2007-02-26 2015-02-24 파일롯트 잉크 가부시키가이샤 Thermally changeable color writing tool
KR101876526B1 (en) 2016-11-14 2018-07-09 이규원 Ink compostion for pen without sealing lid
JP2019136947A (en) * 2018-02-11 2019-08-22 修治 阿部 Writing instrument capable of erasing letters with tip
KR200489134Y1 (en) 2018-07-20 2019-09-10 주식회사 모나미 Thermal discoloration ink writing instruments
KR102169972B1 (en) 2019-04-22 2020-10-26 주식회사 모나미 Knock type Thermal discoloration ink writing instruments
KR102179179B1 (en) 2020-04-21 2020-11-17 주식회사 모나미 Eraser composition for thermochromic ink
KR102191748B1 (en) 2019-04-22 2020-12-17 주식회사 모나미 Thermal discoloration ink writing instruments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5366B1 (en) * 2007-02-26 2015-02-24 파일롯트 잉크 가부시키가이샤 Thermally changeable color writing tool
JP2013212634A (en) * 2012-04-02 2013-10-17 Mitsubishi Pencil Co Ltd Writing implement
KR101876526B1 (en) 2016-11-14 2018-07-09 이규원 Ink compostion for pen without sealing lid
JP2019136947A (en) * 2018-02-11 2019-08-22 修治 阿部 Writing instrument capable of erasing letters with tip
KR200489134Y1 (en) 2018-07-20 2019-09-10 주식회사 모나미 Thermal discoloration ink writing instruments
KR102169972B1 (en) 2019-04-22 2020-10-26 주식회사 모나미 Knock type Thermal discoloration ink writing instruments
KR102191748B1 (en) 2019-04-22 2020-12-17 주식회사 모나미 Thermal discoloration ink writing instruments
KR102179179B1 (en) 2020-04-21 2020-11-17 주식회사 모나미 Eraser composition for thermochromic ink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79504B2 (en) Knock-type writing instrument
JP2019136947A (en) Writing instrument capable of erasing letters with tip
KR102400821B1 (en) A method for erasing handwritten content
JP7311927B2 (en) Writing instrument for erasing characters and method for erasing written content using the writing instrument
JP5932412B2 (en) Intrusive writing instrument
KR102400822B1 (en) ballpen for erasing writing
JP6204662B2 (en) Thermochromic writing instrument
KR20120002781U (en) Finger pencil
JP4906625B2 (en) Knock-type writing instrument
JP5551539B2 (en) Writing instrument
KR102674829B1 (en) A writing instrument for erasing handwritten content
US20020021290A1 (en) Input pen
JP6007235B2 (en) Intrusive writing instrument
JP5908233B2 (en) Multi-core writing instrument
JP2015036192A (en) Writing instrument with erasing member
JP6275762B2 (en) Multi-core writing instrument
JP2013049193A (en) Slide type multi-refill writing implement
WO2023276914A1 (en) Knock-type writing instrument
JP2018008527A (en) Thermochromic writing instrument
JP2008006790A (en) Retractable writing utensil
KR200182843Y1 (en) An eraser with ball-point pen
JP2001125723A (en) Input pen
JP5765996B2 (en) Writing instrument
JP3189357U (en) Electrostatic input pen
JP2007030239A (en) Multiple lead writing utensi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