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0406B1 - Duct lift apparatus - Google Patents

Duct lift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0406B1
KR102400406B1 KR1020200118882A KR20200118882A KR102400406B1 KR 102400406 B1 KR102400406 B1 KR 102400406B1 KR 1020200118882 A KR1020200118882 A KR 1020200118882A KR 20200118882 A KR20200118882 A KR 20200118882A KR 102400406 B1 KR102400406 B1 KR 1024004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grip
elevating
frame
fram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888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36539A (en
Inventor
이규재
한영수
Original Assignee
(주) 늘푸른동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늘푸른동방 filed Critical (주) 늘푸른동방
Priority to KR10202001188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0406B1/en
Publication of KR202200365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653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04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040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 B66F9/18Load gripping or retain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04Accessories, e.g. for towing, charging, loc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9Details of operating station, e.g. seats, levers, operator platforms, cabin suspen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 B66F9/125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2700/00Lifting apparatus
    • B66F2700/09Other lif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덕트 리프트 장치는, 지면 상에서 전 방향 이동하는 이동부, 및 이동부의 일측 상부에 설정 높이로 세워 고정되며, 덕트의 승강 및 회전 시 덕트를 지지하는 덕트 지지부를 포함하며, 덕트 지지부는, 덕트 지지부에서 수평으로 돌출되어 적어도 하나의 덕트를 파지하는 덕트 그립부, 및 덕트 그립부를 설정각도로 회전시켜 승강 후의 덕트의 자세를 변경시켜주는 회전구동부를 포함한다. The duct lif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ving part that moves in all directions on the ground, and a duct support part that is fixed to a set height on one side of the moving part and supports the duct when lifting and rotating the duct, The duct support part includes a duct grip part protruding horizontally from the duct support part to grip at least one duct, and a rotation driving part for changing the posture of the duct after lifting by rotating the duct grip part at a set angle.

Description

덕트 리프트 장치{DUCT LIFT APPARATUS}Duct Lift Apparatus {DUCT LIFT APPARATUS}

본 발명의 실시예는 덕트 리프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uct lift apparatus.

덕트는 건축물의 공기조화에 있어 배관과 함께 중요한 기본 설비 중 하나이다. 특히, 덕트는 공기 또는 공기를 매체로 하여 열, 수분, 가스 및 분진 등을 운반하는 경로로 이용된다. Ducts are one of the most important basic facilities along with piping for air conditioning in buildings. In particular, the duct is used as a path for transporting heat, moisture, gas, dust, etc. using air or air as a medium.

덕트는 사용목적이나 재질, 형상 등에 따라 여러 종류로 분류될 수 있다. 대표적인 예로서, 사각 덕트는 덕트 중 가장 일반적인 종류의 하나로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덕트이다. Ducts can be classified into several types according to the purpose of use, material, shape, and the like. As a representative example, the square duct is one of the most common types of ducts and is the most widely used duct.

이러한 덕트는 공장에서 강판 원재료를 절단 후 절곡 및 조립 과정을 거쳐 제작되는데, 설치 대상에 따라 크기 및 형상을 자유롭게 조절하여 제작할 수 있으며, 시공 비용도 저렴한 장점이 있다. These ducts are manufactured through bending and assembly processes after cutting raw steel sheets in a factory, and can be manufactured by freely adjusting the size and shape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target, and has the advantage of low construction cost.

한편, 덕트는 눕혀진 상태로 보관될 수 있는데, 이를 설정 높이까지 들어 올리고서, 이어서, 덕트 방향을 틀어 상하로 세워진 자세로 유지시켜줄 필요성이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duct can be stored in a lying state, and it is necessary to lift it to a set height, and then turn the duct direction to maintain it in an upright position.

그러나, 대부분의 덕트는 고중량 부재로서 손쉽게 덕트의 방향 또는 덕트의 자세를 변경하기에 어려움이 있으며, 덕트의 운반 역시 큰 힘이 요구된다. However, since most ducts are heavy members, it is difficult to easily change the direction of the duct or the posture of the duct, and a large force is also required to transport the duct.

이 때문에 최근에는 덕트의 운반 및 승강을 위한 몇 가지 형태의 리프트장치가 소개되고 있다. For this reason, recently, several types of lift devices for transporting and elevating the duct have been introduced.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문헌으로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8-0004638호(2008.10.15. 공개일)가 있으며, 상기 선행문헌에는 이동식 리프트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As a prior documen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2008-0004638 (published on October 15, 2008) as a prior document, and the prior document discloses a movable lift device.

그런데 이에 개시된 종래의 이동식 리프트장치는 단순히 대상물, 예를 들어 덕트를 소정 높이로 승강시키거나 또는 이동시키는 장치로서, 덕트의 방향 및 자세를 조절하기 위한 구성요소에 관하여는 전혀 제시하고 있지 않다. However, the conventional movable lifting device disclosed herein is simply a device for elevating or moving an object, for example, a duct to a predetermined height, and does not present any components for adjusting the direction and posture of the duct.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8-0004638호Republic of Korea Public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2008-0004638

본 발명의 목적은, 덕트를 설정높이까지 들어올리는 승강 기능은 물론, 덕트의 방향을 설정각도로 회전시켜 덕트의 자세를 다양한 방향으로 전환시킬 수 있는 덕트 리프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uct lift device capable of changing the posture of the duct in various directions by rotating the direction of the duct at a set angle as well as a lifting function for lifting the duct to a set height.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mentioned may be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will be more clearly understood by the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also be readily apparent that the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realized by the means and combinations thereof indicated in the appended claims.

상기 하나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덕트를 설정높이까지 들어올리는 승강 기능은 물론, 덕트의 방향을 설정각도로 회전시켜 덕트의 자세를 다양한 방향으로 전환시킬 수 있는 덕트 리프트 장치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provides a duct lift device capable of changing the posture of the duct to various directions by rotating the direction of the duct at a set angle, as well as a lifting function for lifting the duct to a set heigh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덕트 리프트 장치는 지면 상에서 전 방향 이동하는 이동부; 및 상기 이동부의 일측 상부에 설정 높이로 세워 고정되며, 덕트의 승강 및 회전 시 덕트를 지지하는 덕트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덕트 지지부는, 상기 덕트 지지부에서 수평으로 돌출되어 적어도 하나의 덕트를 파지하는 덕트 그립부; 및 상기 덕트 그립부를 설정각도로 회전시켜 승강 후의 상기 덕트의 자세를 변경시켜주는 회전구동부;를 포함한다. A duct lif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ving part that moves in all directions on the ground; and a duct support part that is fixed to a set height on one side of the moving part and is fixed to the upper part of the moving part, and supports the duct when lifting and rotating the duct, wherein the duct support part protrudes horizontally from the duct support part to hold at least one duct a duct grip part; and a rotation driving unit for changing the posture of the duct after lifting and lowering by rotating the duct grip unit at a set angle.

상기 이동부는, 대차몸체; 상기 대차몸체의 전, 후 각각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이동 휠; 및 상기 대차몸체의 전, 후 각각에 위치하며 상기 이동부의 위치를 고정시켜주는 안착 편;을 포함한다. The moving unit may include: a bogie body; at least one moving wheel provided at each front and rear of the bogie body; and a seating piece positioned at each of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bogie body and fixing the position of the moving part.

상기 대차몸체는, 서로 평행을 이루어 수평 배치되는 한 쌍의 직선형 프레임 구조물을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직선형 프레임 구조물은 상기 덕트 지지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덕트 지지부의 양측으로 평행을 이루어 연결되고, 각각의 길이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The bogie body includes a pair of straight frame structures horizontally arrang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and the pair of straight frame structures are connected in parallel to both sides of the duct support part with the duct support part therebetween, and each may be formed to have the same length.

상기 안착 편은, 상기 덕트 지지부를 기준으로 상기 이동 휠보다 상기 덕트 지지부의 양측 방향으로 더 이격하여 위치하며, 상하로 높이 조절되어 하향 돌출 시 지면을 가압할 수 있다. The seating piece may be positioned more spaced apart in both directions of the duct support than the moving wheel based on the duct support, and may be adjusted in height up and down to press the ground when protruding downward.

상기 덕트 그립부는, 상기 대차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대차몸체에 대응하는 길이로 돌출될 수 있다. The duct grip part may protrude to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bogie body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gie body.

상기 덕트 지지부는, 상기 덕트 그립부를 상하 높이 방향으로 승강시켜주는 승강구동부;를 더 포함한다. The duct support unit may further include a lifting and lowering driving unit configured to elevate the duct grip unit in a vertical height direction.

상기 덕트 그립부는, 상기 승강구동부로부터 승강에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받아 상기 덕트 지지부를 따라 상하로 승강하는 승강프레임; 상기 승강프레임의 일단에서 상기 대차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대차몸체에 대응하는 길이로 돌출되며, 덕트의 일면을 접촉 지지하는 제1 그립프레임; 및 상기 승강프레임의 타단에서 상기 제1 그립프레임과 평행을 이루어 상기 제1 그립프레임에 대응하는 길이로 돌출되며, 상기 제1 그립프레임에 의해 일면이 접촉 지지된 덕트의 타면을 가압하여 접촉 지지하는 제2 그립프레임;을 포함한다. The duct grip unit may include: an elevating frame for receiving a driving force required for elevating from the elevating driving unit and ascending and descending vertically along the duct support; a first grip frame protruding from one end of the elevating frame to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bogie bod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gie body, and contacting and supporting one surface of the duct; and the other end of the elevating frame protrudes parallel to the first grip frame to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first grip frame, and presses the other surface of the duct whose one surface is supported by the first grip frame to contact and support it. It includes a second grip frame.

상기 승강구동부는, 상기 덕트 지지부의 높이 방향으로 상하로 승강하는 승강몸체; 및 상기 승강몸체의 양단에 적어도 한 쌍이 구비되며, 상기 덕트 지지부에 마련된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승강몸체의 승강 경로를 안내하는 가이드 휠;을 포함한다. The elevating driving unit may include: an elevating body that elevates up and down in a height direction of the duct support; and at least one pair of guide wheels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elevating body and moving along a guide rail provided in the duct support to guide the elevating path of the elevating body.

상기 덕트 그립부는, 상기 제1, 2 그립프레임 중 하나로부터 나머지 하나를 향하여 소정 길이 돌출되며, 상기 제1, 2 그립프레임 사이에 파지되는 덕트의 적어도 일부의 위치를 구속하는 덕트 구속부;를 더 포함한다. The duct grip portion may include a duct restraint portion that protrudes a predetermined length from one of the first and second grip frames toward the other and restricts the position of at least a portion of the duct gripp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grip frames. include

상기 덕트 그립부는, 일단부는 상기 덕트 구속부의 말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1, 2 그립프레임 중 나머지 하나에 체결되며, 체결 시 상기 제1, 2 그립프레임 각각이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1, 2 그립프레임 사이를 교차 연결하는 그립프레임 교차연결부;를 더 포함한다. One end of the duct grip part is rotatably connected to an end of the duct restraint part, and the other end is fastened to the other one of the first and second grip frames. It further includes; a grip frame cross-connection portion for cross-connecting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grip frames in the direction.

상기 덕트 구속부는, 상기 제1, 2 그립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나머지 하나를 향하여 돌출되어 상기 덕트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는 돌출 플레이트와, 상기 돌출 플레이트의 선단에 구비되어 상기 그립프레임 교차연결부의 일단부와 연결되는 힌지를 포함한다. 돌출 플레이트는 제1, 2 그립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의 돌출된 말단부에서 제1, 2 그립프레임의 사이를 향해 교차 방향으로 돌출되는 강성의 플레이트 부재를 말한다. 돌출 플레이트는 제1, 2 그립 프레임 사이에 파지된 덕트의 수평 방향 이탈을 방지하는데, 덕트의 적어도 일부를 가로막는 단턱 형상으로 제공되어 덕트의 이탈 방향 쏠림, 움직임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돌출 플레이트에서 덕트의 적어도 일부가 접촉되는 면을 통해 슬립 방지 돌기를 형성하여 덕트의 움직임을 고정시켜주는 역할을 보강할 수 있다. 또한, 돌출 플레이트는 힌지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The duct restraint portion includes a protrusion plate protruding from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grip frames toward the other to support at least a portion of the duct, and one end of the grip frame cross-connection portion provided at a distal end of the protrusion plate. and a hinge connected to it. The protruding plate refers to a rigid plate member protruding from the protruding distal end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grip frames in the intersecting directio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grip frames. The protruding plate prevents the horizontal departure of the duct gripp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grip frames, and is provided in a stepped shape that blocks at least a portion of the duct to prevent the duct from leaning and moving in the departure direction in advance. Preferably, it is possible to reinforce the role of fixing the movement of the duct by forming an anti-slip protrusion through the surface in which at least a portion of the duct is in contact with the protruding plate. The protruding plate also serves to provide a hinge.

상기 그립프레임 교차연결부는, 상기 힌지에 일단부가 구속되며 타단부는 자유단을 이루는 직선 관체와, 상기 직선 관체의 내부에 적어도 일부 수용되며, 외부 조작에 의해 상기 직선 관체의 전후 방향으로 출몰하여 길이 신축이 조절되는 신축 바를 포함한다. 직선 관체는 실린더 형상의 부재이며, 신축 바는 직선 관체의 내부 중공을 통해 전후(또는 상하)로 신축 조절되는 부재이다. 덕트 그립부에는 고정핸들이 구비되며, 고정핸들의 정, 역 방향 회전을 통해 그립프레임 교차연결부는 제1, 2 그립프레임 사이에서 소정의 고정력으로 체결되며, 이로써, 제1, 2 그립프레임 사이에 삽입된 덕트는 승강은 물론, 승강된 덕트의 회전을 통해 덕트의 자세를 자유롭게 전환시킬 수 있는데, 이러한 동작 시에도 덕트의 이탈이 방지되어 작업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The grip frame cross-connection part includes a straight tube body having one end constrained by the hinge and the other end forming a free end, at least partially accommodated in the straight tube body, and protrudes and protrudes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straight tube body by external manipulation to have a length It includes a telescoping bar whose stretch is controlled. The straight tubular body is a cylindrical member, and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bar is a member that can be stretched and contracted back and forth (or up and down) through the hollow inside of the straight tubular body. The duct grip part is provided with a fixed handle, and through the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of the fixed handle, the grip frame cross-connection part is fastened with a predetermined fixing for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grip frames, thereby being insert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grip frames. The duct can be moved freely through the rotation of the lifted duct as well as elevating the lifted duct, and even during this operation, the duct is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thereby ensuring work safety.

상기 제1, 2 그립프레임 중 덕트와 접촉 가능한 부위에는 고무 재질의 슬립 방지 편이 더 구비될 수 있다. A portion of the first and second grip frames that can come into contact with the duct may further include a rubber slip prevention piece.

상기 슬립 방지 편은 상기 제1, 2 그립프레임 각각의 폭 사이즈에 대응하여, 상기 제1, 2 그립 프레임에 착탈 구조로 결합되며, 복수 개가 설정 이격 간격을 두고 적어도 일렬 이상 배열될 수 있다. The anti-slip pieces may be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grip frames in a detachable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grip frames, and a plurality of pieces may be arranged in at least one line with a set spacing therebetween.

상기 덕트 지지부의 후방에는 조작부가 더 구비되며, 상기 조작부는, 상기 덕트의 승강 및 회전 동작을 제어하는 다수의 스위치가 구비되고, 상기 다수의 스위치는 버튼 타입 또는 터치 타입 스위치일 수 있다. A manipulation unit is further provided at the rear of the duct support, and the manipulation unit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witches for controlling lifting and rotating operations of the duct, and the plurality of switches may be button-type or touch-type switche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덕트 리프트 장치에 의하면, 덕트를 설정높이까지 들어올리는 승강 기능은 물론, 덕트의 방향을 설정각도로 회전시켜 덕트의 자세를 다양하게 전환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duct lif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posture of the duct can be changed in various ways by rotating the direction of the duct at a set angle as well as a lifting function for lifting the duct to a set height.

구체적인 예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덕트 리프트 장치에 의하면, 누운 자세로 적재된 덕트를 소정 높이만큼 들어 올린 다음, 덕트를 회전시켜 상하로 세워지게 덕트의 자세를 전환시킬 수 있다. 이어서, 상하로 세워진 덕트를 설정 높이로 승강 또는 하강시킬 수 있다. As a specific example, according to the duct lift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uct loaded in a lying position can be lifted by a predetermined height, and then the posture of the duct can be converted to stand up and down by rotating the duct. Then, the duct erected up and down can be raised or lowered to a set height.

이로써, 크레인의 운용이 어려운 협소한 작업 공간 내에서도 고중량의 덕트를 자동화된 방식으로 손쉽게 운반하거나 자세 전환시킬 수 있어, 작업자의 수고를 경감하고 작업 능률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easily transport or change the attitude of the heavy duct in an automated manner even in a narrow work space where it is difficult to operate a crane, thereby reducing the effort of the operator and greatly improving work efficiency.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effects, the specific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ogether while describing specific details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below.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덕트 리프트 장치를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덕트 리프트 장치를 간략히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덕트 리프트 장치를 간략히 도시한 일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덕트 리프트 장치를 간략히 도시한 평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duct lif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chematic front view of the duct lif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duct lif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duct lif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easily implement them.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Furth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components of each drawing, the same components may hav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though they are indicated i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may be omitted.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 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scribed that a component is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is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interposed” between each component, or each component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hrough another componen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덕트 리프트 장치의 사시도 이고,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덕트 리프트 장치의 정면도, 우 측면도, 평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uct lif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2 to 4 are a front view, a right side view, and a plan view of the duct lif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덕트 리프트 장치(1000)는 덕트(D1)(또는 D2)를 설정높이까지 들어올리는 승강 기능은 물론, 덕트(D1)(또는 D2)의 방향을 설정각도로 회전시켜 덕트(D1)(또는 D2)의 자세를 다양한 방향으로 전환시킨다. The duct lift apparatus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unction of lifting the duct (D1) (or D2) to a set height, as well as rotating the direction of the duct (D1) (or D2) at a set angle to rotate the duct Change the posture of (D1) (or D2) in various directions.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덕트 리프트 장치(1000)는 이동부(100), 조작부(200), 덕트 지지부(300), 덕트 그립부(310, 회전구동부(320), 승강구동부(330)를 포함한다. As shown, the duct lift apparatus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ving part 100 , a manipulation part 200 , a duct support part 300 , a duct grip part 310 , a rotation driving part 320 , and an elevator driving part. (330).

이동부(100)는 지면 상에서 전 방향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전 방향 이동이라 함은, 전, 후, 좌, 우로 직선 주행이 가능함은 물론, 소정 방향으로 회전 주행이 가능한 것을 말한다. 따라서, 이동부(100)에 구비된 이동 휠(120, 130)은 회전바퀴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moving unit 100 may be configured to move in all directions on the ground. Here, the forward movement means that linear travel is possible in forward, backward, left, and right directions, as well as rotational travel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Accordingly, the moving wheels 120 and 130 provided in the moving unit 100 preferably use rotating wheels.

조작부(200)는 덕트 지지부(300)의 후방에 구비될 수 있다. 덕트 지지부(300)의 전방에는 덕트(D1)(또는 D2)가 탑재, 운반 및 회전되므로, 장치의 조작 시 작업자의 안전을 최대한 고려하여 조작부(200)를 덕트 지지부(300)의 후방에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manipulation unit 200 may be provided at the rear of the duct support unit 300 . Since the duct (D1) (or D2) is mounted, transported, and rotated in front of the duct support part 300, the operation part 200 is positioned at the rear of the duct support part 300 in consideration of the safety of the operator as much as possible when operating the device. it is preferable

조작부(200)는 덕트(D1)(또는 D2)의 승강 및 회전 동작을 제어하는 다수의 스위치(미도시)를 구비한다. 다수의 스위치(미도시)는 버튼 타입 또는 터치 타입으로 작업자가 신속하게 해당 스위치를 눌러 장치에 동작 지령을 입력 및 제어할 수 있다. The operation unit 20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witches (not shown) for controlling the lifting and rotating operation of the duct (D1) (or D2). A plurality of switches (not shown) are a button type or a touch type, so that an operator can input and control an operation command to the device by quickly pressing the corresponding switch.

덕트 지지부(300)는 이동부(100)의 일측 상부에 설정 높이로 세워 고정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덕트 지지부(300)는 지면을 따라 이동하는 대차 형태의 이동부(100)에서 수직 상방으로 세워 설치되는 구조물일 수 있다. The duct support 300 may be fixed to a set height on one side of the upper part of the moving part 100 . In other words, the duct support 300 may be a structure installed vertically upward in the moving part 100 in the form of a cart that moves along the ground.

덕트 지지부(300)는 덕트(D1)(또는 D2)의 승강 및 회전 시 덕트(D1)(또는 D2)를 지지한다. The duct support part 300 supports the duct (D1) (or D2) when the duct (D1) (or D2) elevates and rotates.

따라서 덕트 지지부(300)는 복수의 컬럼 구조물을 포함하는 튼튼한 형태로 설계 및 제작될 수 있으며, 덕트(D1)(또는 D2)의 중량 및 동적 하중 등을 고려하여 필요한 구조강성 및 강도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refore, the duct support 300 can be designed and manufactured in a strong shape including a plurality of column structures, and is formed to have the necessary structural rigidity and strength in consideration of the weight and dynamic load of the duct D1 (or D2). can

이하, 이동부(100)의 세부 구성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moving unit 1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부(100)는 대차몸체(110), 이동 휠(120, 130), 안착 편(140)을 포함한다. The moving unit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gie body 110 , moving wheels 120 and 130 , and a seating piece 140 .

대차몸체(110)는 서로 평행을 이루어 수평 배치되는 한 쌍의 직선형 프레임 구조물을 포함한다. The bogie body 110 includes a pair of straight frame structures that are horizontally arrang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여기서, 대차몸체(110)를 구성하는 한 쌍의 직선형 프레임 구조물은 덕트 지지부(200)를 사이에 두고 덕트 지지부(200)의 양측으로 평행을 이루어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대차몸체(110)를 구성하는 한 쌍의 직선형 프레임 구조물 각각의 길이는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Here, a pair of straight frame structures constituting the bogie body 110 may be connected in parallel to both sides of the duct support 200 with the duct support 200 interposed therebetween. In addition, the length of each of the pair of straight frame structures constituting the bogie body 110 may be the same.

이동 휠(120, 130)은 대차몸체(110)의 전, 후 각각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바퀴를 말한다. The moving wheels 120 and 130 refer to at least one wheel provided in each of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bogie body 110 .

예를 들어, 이동 휠(120, 130)은 회전바퀴를 이용할 수 있다. 이동 휠(120, 130)에 회전바퀴를 이용할 경우, 이동부(100)를 지면 상에서 전 방향 이동시킬 수 있다. For example, the moving wheels 120 and 130 may use a rotating wheel. When a rotating wheel is used for the moving wheels 120 and 130 , the moving unit 100 may be moved in all directions on the ground.

안착 편(140)은 대차몸체(110)의 전, 후 각각에 위치하며 이동부(100)의 이동(또는 주행) 이후 작업 위치를 고정시켜준다. The seating piece 140 is located at each of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bogie body 110 and fixes the working position after the movement (or driving) of the moving part 100 .

예를 들어, 안착 편(140)은 덕트 지지부(200)를 기준으로 이동 휠(120, 130)보다 덕트 지지부(200)의 양측 방향으로 더 이격하여 위치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seating piece 140 may be positioned more spaced apart in both directions of the duct support 200 than the moving wheels 120 and 130 with respect to the duct support 200 .

그리고 안착 편(140)은 대차몸체(110)의 하단보다 더 아래로 출몰 가능하게 상하로 높이 조절될 수 있는데, 이동부(100)의 위치 고정이 필요할 경우 지면을 향해 하향 돌출되어 지면을 가압하여 이동부(100)를 고정시켜준다. And the seating piece 140 can be adjusted in height up and down so as to be retractable lower than the lower end of the bogie body 110. If the position of the moving part 100 is required to be fixed, it protrudes downward toward the ground and pressurizes the ground. The moving part 100 is fixed.

만일, 안착 편(140)이 이동 휠(120, 130)보다 덕트 지지부(200)의 양측 방향으로 더 이격하여 위치할 경우, 더 넓은 폭으로 지면에 고정될 수 있어 장치의 좌우 흔들림이 줄어들게 되고, 덕트의 승강 및 회전 작업 시 진동 등에 의한 작업상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If the seating piece 140 is located more spaced apart in both directions of the duct support 200 than the moving wheels 120 and 130, it can be fixed to the ground with a wider width, so that the left and right shaking of the device is reduced, When lifting and rotating the duct, it is possible to prevent work hazards caused by vibration, etc.

이하, 덕트 지지부(300)의 세부 구성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duct support 3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덕트 지지부(300)는 덕트 그립부(310), 회전구동부(320), 승강구동부(330)를 포함한다. The duct support part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uct grip part 310 , a rotation driving part 320 , and an elevation driving part 330 .

덕트 그립부(310)는 덕트 지지부(300)에서 수평으로 돌출되어 적어도 하나의 덕트(D1)(또는 D2)를 파지한다. The duct grip part 310 horizontally protrudes from the duct support part 300 to grip at least one duct D1 (or D2).

구체적인 예로서, 덕트 그립부(310)는 전술한 이동부(100)의 대차몸체(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대차몸체(110)(더 구체적으로는 대차몸체(110)를 구성하는 한 쌍의 직선형 프레임 구조물)에 대응하는 길이로 돌출될 수 있다. As a specific example, the duct grip part 310 is a pair of straight types constituting the bogie body 110 (more specifically, the bogie body 11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gie body 110 of the moving part 100 described above. It may protrude to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frame structure).

만일, 덕트 그립부(310)의 길이가 대차몸체(110)의 길이보다 더 길게 돌출될 경우 덕트를 승강 및 회전 시 덕트 리프트 장치(1000)가 전방으로 넘어지는 위험이 따를 수 있다. If the length of the duct grip part 310 protrudes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bogie body 110, there may be a risk that the duct lift device 1000 falls forward when the duct is moved up and down and rotated.

반대로 덕트 그립부(310)의 길이가 대차몸체(110)의 길이보다 매우 짧게 돌출될 경우, 불필요하게 대차몸체(110)가 크게 제작되어 좁은 공간으로의 이동에 제약이 있을 수 있으며, 장치의 제작 비용이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Conversely, when the length of the duct grip part 310 protrudes very short than the length of the bogie body 110, the bogie body 110 is unnecessarily made large, so movement into a narrow space may be restricted, and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device There is a growing disadvantage of this.

회전구동부(320)는 덕트 그립부(310)를 설정각도로 회전시켜 승강 후의 상기 덕트(D1)(또는 D2)의 자세를 전환, 즉 덕트의 자세를 다양하게 변경시켜줄 수 있다. The rotation driving unit 320 may change the posture of the duct D1 (or D2) after lifting and lowering by rotating the duct grip unit 310 at a set angle, that is, variously change the posture of the duct.

승강구동부(330)는 덕트 그립부(310)를 상하 높이 방향으로 승강시켜주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elevating driving unit 330 may be configured to elevate the duct grip unit 310 in the vertical height direc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덕트 그립부(310)는 승강프레임(311), 제1 그립프레임(313), 및 제2 그립프레임(315)을 포함한다.The duct grip part 3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ifting frame 311 , a first grip frame 313 , and a second grip frame 315 .

승강프레임(311)은 승강구동부(330)로부터 승강에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받아 상기 덕트 지지부(310)를 따라 상하로 승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elevating frame 311 may be configured to vertically elevate along the duct support 310 by receiving a driving force required for elevating from the elevating driving unit 330 .

제1 그립프레임(313)은 승강프레임(311)의 일단에서 대차몸체(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대차몸체(110)에 대응하는 길이로 돌출될 수 있다. The first grip frame 313 may protrude from one end of the elevating frame 311 to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bogie body 11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gie body 110 .

예를 들어, 제1 그립프레임(313)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 높이 및 동일 길이로 서로 평행을 이루어 돌출되는 복수의 외팔 보 형상의 구조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1 그립프레임(313)은 덕트(D1)(또는 D2)의 일면을 접촉하여 지지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first grip frame 313 may be formed of a plurality of cantilever-shaped structures that protrude parallel to each other with the same height and the same length as shown in the drawings. The first grip frame 313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may contact and support one surface of the duct D1 (or D2).

제2 그립프레임(315)은 승강프레임(330)의 타단에서 제1 그립프레임(313)과 평행을 이루어 제1 그립프레임(313)에 대응하는 길이로 돌출될 수 있다. The second grip frame 315 may be parallel to the first grip frame 313 at the other end of the elevating frame 330 and protrude to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first grip frame 313 .

예를 들어, 제2 그립프레임(315)은 전술한 제1 그립프레임(313)과 동일(또는 유사)하게 동일 높이 및 동일 길이로 서로 평행을 이루어 돌출되는 복수의 외팔 보 형상의 구조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복수의 외팔 보 형상의 구조물인 제2 그립프레임(315)은 복수의 외팔 보 형상의 구조물인 제1 그립프레임(313)과 상하(또는 좌우)로 설정 거리를 두고 평행을 이루어 배치되며, 그 사이 공간으로 덕트(D1)(또는 D2)가 삽입되어 장치에 탑재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second grip frame 315 may be formed of a plurality of cantilever-shaped structures that protrude parallel to each other with the same height and the same length as (or similarly) to the above-described first grip frame 313 . there is. The second grip frame 315, which is a plurality of cantilever-shaped structures, is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grip frame 313, which is a plurality of cantilever-shaped structures, at a set distance vertically (or left and right) in parallel, and between A duct D1 (or D2) may be inserted into the space and mounted on the device.

이와 같이 구성됨에 따라, 제2 그립프레임(315)은 제1 그립프레임(313)에 의해 일면이 접촉 지지된 덕트(D1)(또는 D2)의 타면을 가압하도록 접촉 지지될 수 있다. As configured in this way, the second grip frame 315 may be contact-supported so as to press the other surface of the duct D1 (or D2) having one surface contact-supported by the first grip frame 313 .

회전구동부(320)는 덕트 그립부(310)를 설정각도로 회전시켜 승강 후의 상기 덕트(D1)(또는 D2)의 자세를 전환, 즉 덕트의 자세를 다양하게 변경시켜줄 수 있다. The rotation driving unit 320 may change the posture of the duct D1 (or D2) after lifting and lowering by rotating the duct grip unit 310 at a set angle, that is, variously change the posture of the duct.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회전구동부(320)는 유압 모터를 이용할 수 있다. 다만, 회전구동부(320)에 이용되는 유압 모터는 특정 종류 및 형태에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다양한 유압 모터를 이용하여도 무방하다.For example, the rotation driving unit 3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use a hydraulic motor. However, the hydraulic motor used for the rotation driving unit 320 does not need to be limited to a specific type and shape, and various hydraulic motors that are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be used.

승강구동부(330)는 덕트 그립부(310)를 상하 높이 방향으로 승강시켜주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elevating driving unit 330 may be configured to elevate the duct grip unit 310 in the vertical height direction.

예를 들어, 승강구동부(330)는 승강몸체(331), 가이드 휠(332)을 포함할 수 있다. 승강몸체(331)는 덕트 지지부(310)의 높이 방향으로 상하로 승강하는 이송블록을 말한다.For example, the elevating driving unit 330 may include an elevating body 331 and a guide wheel 332 . The elevating body 331 refers to a transfer block elevating up and down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duct support 310 .

예컨대, 유압 펌프 및 실린더의 유압을 이용하여 승강몸체(331)는 덕트 지지부(310)의 높이 방향으로 승강 구동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다양한 구동 방식으로 변경하여도 무방하다. For example, by using the hydraulic pressure of the hydraulic pump and the cylinder, the lifting body 331 may be lifted and driven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duct support 310 .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changed to various driving method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가이드 휠(332)은 승강몸체(331)의 양단에 적어도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 휠(332)은 승강몸체(331)가 덕트 지지부(310)를 따라 정해진 경로를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해준다. At least one pair of guide wheels 332 may b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elevating body 331 . The guide wheel 332 allows the lifting body 331 to move up and down along a predetermined path along the duct support 310 .

예컨대, 덕트 지지부(310)의 내측에 가이드 레일이 마련될 수 있는데, 이 가이드 레일을 따라 가이드 휠(332)은 전술한 유압 구동 방식으로 상하 이동하며 승강몸체(331)의 승강 경로를 직선방향으로만 안내해줄 수 있다. For example, a guide rail may be provided on the inside of the duct support 310. The guide wheel 332 moves up and down in the hydraulic driving method described above along the guide rail and moves the elevating path of the elevating body 331 in a straight direction. can only guide you.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덕트 그립부(310)는 덕트 구속부(316), 및 그립프레임 교차연결부(31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uct grip portion 310 may further include a duct restraint portion 316 and a grip frame cross-connection portion 317 .

덕트 구속부(316)는 제1, 2 그립프레임(313, 315) 중 하나, 예를 들어 제2 그립프레임(315)으로부터 나머지 하나, 예를 들어 제1 그립프레임(313)을 향하여 소정 길이 돌출될 수 있다(도 2 참조). 덕트 구속부(316)는 제1, 2 그립프레임(313, 135) 사이에 파지되는 덕트(D1)(또는 D2)의 적어도 일부의 위치를 구속하는 역할을 한다.The duct restraint portion 316 protrudes a predetermined length from one of the first and second grip frames 313 and 315, for example, the second grip frame 315 toward the other, for example, the first grip frame 313. can be (see FIG. 2). The duct restraint portion 316 serves to restrain the position of at least a portion of the duct D1 (or D2) gripp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grip frames 313 and 135 .

그립프레임 교차연결부(317)의 일단부는 덕트 구속부(316)의 말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그립프레임 교차연결부(317)의 타단부는 제1, 2 그립프레임 중 나머지 하나, 예를 들어 제1 그립프레임(313)에 체결될 수 있다. One end of the grip frame cross-connection portion 317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end of the duct restraint portion 316, and the other end of the grip frame cross-connection portion 317 is the other end of the first and second grip frames, for example, the first 1 may be fastened to the grip frame 313 .

그립프레임 교차연결부(317)의 체결 시 제1, 2 그립프레임(313, 315) 각각이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그립프레임 교차연결부(317)는 제1, 2 그립프레임(313, 315) 사이에서 교차로 연결될 수 있다. When the grip frame cross-connection part 317 is fastened, the grip frame cross-connection part 317 is intersect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grip frames 313 and 315 in the direction in which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grip frames 313 and 315 face each other. can be connected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덕트 구속부(316)는 돌출 플레이트(3161), 및 힌지(3163)을 포함한다(도 2 참조). More specifically, the duct restraint portion 316 includes a protruding plate 3161 , and a hinge 3163 (see FIG. 2 ).

돌출 플레이트(3161)는 제1, 2 그립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 예를 들어 제2 그립프레임(315)로부터 나머지 하나, 예를 들어 제1 그립프레임(313)을 향하여 돌출되어 덕트(D1)(또는 D2)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한다. The protrusion plate 3161 protrudes from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grip frames, for example, the second grip frame 315, toward the other, for example, the first grip frame 313 to the duct D1 (or at least part of D2).

힌지(3163)는 돌출 플레이트(3161)의 선단에 구비되어 그립프레임 교차연결부(317)의 일단부와 연결될 수 있다. The hinge 3163 may be provided at the distal end of the protruding plate 3161 to be connected to one end of the grip frame cross-connection unit 317 .

돌출 플레이트(3161)는 제1, 2 그립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 예를 들어 제2 그립프레임(315)의 돌출된 말단부에서 제1, 2 그립프레임(313, 315)의 사이를 향해 교차 방향으로 돌출되는 강성의 플레이트 부재를 말한다. The protruding plate 3161 protrudes in a cross directio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grip frames 313 and 315 from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grip frames, for example, the protruding end of the second grip frame 315 . It refers to a rigid plate member.

돌출 플레이트(3161)는 제1, 2 그립프레임(313, 315) 사이에 파지된 덕트(D1)(또는 D2)의 수평 방향 이탈을 방지하는데, 덕트(D1)(또는 D2)의 적어도 일부를 가로막는 단턱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로써, 덕트(D1)(또는 D2)의 이탈 방향 쏠림, 움직임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The protruding plate 3161 prevents the horizontal departure of the duct D1 (or D2) gripp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grip frames 313 and 315, and blocks at least a portion of the duct D1 (or D2). It may be provided in a stepped shape. Thereby, it is possible to prevent in advance the deviation and movement of the duct D1 (or D2).

더욱 바람직하게는 돌출 플레이트(3161)의 내측 면은 덕트(D1)(또는 D2)의 적어도 일부가 접촉되는 면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이 접촉 면에 슬립 방지 돌기를 형성하여 덕트(D1)(또는 D2)의 흔들림을 억제하고, 덕트의 파지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More preferably, as the inner surface of the protruding plate 3161 is made of a surface with which at least a portion of the duct D1 (or D2) is in contact, an anti-slip protrusion is formed on this contact surface to form the duct D1 (or D2). ), and can improve the gripping performance of the duct.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그립프레임 교차연결부(317)는 직선 관체(3171), 및 신축 바(3173)를 포함한다(도 2 참조). More specifically, the grip frame cross-connection part 317 includes a straight tube body 3171 and an expansion and contraction bar 3173 (see FIG. 2 ).

직선 관체(3171)는 힌지(3163)에 일단부가 구속되며 타단부는 자유단을 이루는 환봉 형상의 부재이다. The straight tube body 3171 has one end constrained by the hinge 3163 and the other end is a round bar-shaped member forming a free end.

신축 바(3173)는 직선 관체(3171)의 내부에 적어도 일부 수용되며, 외부 조작에 의해 직선 관체(3171)의 전후 방향으로 출몰하여 길이 신축이 조절되는 부재이다.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bar 3173 is at least partially accommodated in the interior of the straight pipe body 3171, and is a member whose length expansion and contraction is controlled by protruding and retracting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straight pipe body 3171 by external manipulation.

예를 들어, 직선 관체(3171)는 실린더 형상의 부재이며, 신축 바(3173)는 직선 관체(3171)의 내부 중공을 통해 전후(또는 상하)로 신축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straight tubular body 3171 is a cylindrical member, and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bar 3173 may be expanded and contracted back and forth (or up and down) through the hollow inside of the straight tubular body 3171 .

한편, 덕트 그립부(310)에는 고정핸들(318)이 구비되며, 고정핸들(318)의 정, 역 방향 회전을 통해 그립프레임 교차연결부(317)는 제1, 2 그립프레임(313, 315) 사이에서 소정의 고정력으로 체결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duct grip portion 310 is provided with a fixed handle 318, and through the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of the fixed handle 318, the grip frame cross-connection portion 317 is connect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grip frames 313 and 315. may be fastened with a predetermined fixing force.

이로써, 제1, 2 그립프레임(313, 315) 사이에 삽입된 덕트(D1)(또는 D2)의 승강은 물론, 승강된 덕트(D1)(또는 D2)의 회전을 통해 덕트(D1)(또는 D2)의 자세를 자유롭게 전환시킬 수 있다. 게다가 이러한 동작 시에도 덕트(D1)(또는 D2)의 이탈이 방지되어 작업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duct D1 (or D2) through the rotation of the duct D1 (or D2) insert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grip frames 313 and 315, as well as the elevation of the duct D1 (or D2) (or The posture of D2) can be freely changed. In addition, even during this operation, the duct (D1) (or D2) is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so that work safety can be secur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덕트 리프트 장치(1000)의 경우, 제1, 2 그립프레임(313, 315) 중 덕트(D1)(또는 D2)와 접촉 가능한 부위에는 고무 재질의 슬립 방지 편(314)이 더 구비될 수 있다(도 2 참조). In the case of the duct lift apparatus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ubber slip prevention piece 314 is formed at a portion contactable with the duct D1 (or D2) among the first and second grip frames 313 and 315 . ) may be further provided (see FIG. 2).

예를 들어, 슬립 방지 편(314)은 고무 판을 이용할 수 있다. 슬립 방지 편(314)은 제1, 2 그립프레임(313, 315) 각각의 폭 사이즈에 대응하는 크기를 가질 수 있는데, 제1, 2 그립 프레임(313, 315)에 착탈 구조로 결합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anti-slip piece 314 may use a rubber plate. The anti-slip piece 314 may have a size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grip frames 313 and 315, and is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grip frames 313 and 315 in a detachable structure. can be provided.

그리고 슬립 방지 편(314)은 복수 개가 설정 이격 간격을 두고 제1, 2 그립 프레임(313, 315)의 내측 덕트 접촉 면을 통해 적어도 일렬 이상 배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슬립 방지 편(314)의 마모 또는 훼손 시 손쉽게 작업자가 교체 장착할 수 있으며, 복수 개 중 일부의 마모 또는 훼손이 발생될 경우에도 덕트를 슬립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a plurality of anti-slip pieces 314 may be arranged at least in one line through the inner duct contact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grip frames 313 and 315 with a set spacing therebetween. Accordingly, when the slip prevention piece 314 is worn or damaged, the operator can easily replace and install it,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uct from slipping even when some of the plurality of wear or damage occur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덕트를 설정높이까지 들어올리는 승강 기능은 물론, 덕트의 방향을 설정각도로 회전시켜 덕트의 자세를 다양하게 전환시킬 수 있는 유리한 기술적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ous technical effect that can change the posture of the duct in various ways by rotating the direction of the duct at a set angle, as well as a lifting function for lifting the duct to a set height.

예컨대, 덕트 리프트 장치에 의하면 누운 자세로 적재된 덕트를 소정 높이만큼 들어 올린 다음, 덕트를 회전시켜 상하로 세워지게 덕트의 자세를 전환시키고, 이어서 상하로 세워진 덕트를 설정 높이로 승강 또는 하강시킬 수 있다. 이로써, 크레인의 운용이 어려운 협소한 작업 공간 내에서도 고중량의 덕트를 자동화된 방식으로 손쉽게 운반하거나 자세 전환시킬 수 있어, 작업자의 수고를 경감하고 작업 능률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For example, according to the duct lift device, the duct loaded in a lying position is lifted to a predetermined height, then the duct is rotated to change the posture of the duct to stand up and down, and then the vertically erected duct can be raised or lowered to a set height. there is.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easily transport or change the posture of a heavy duct in an automated manner even in a narrow work space where it is difficult to operate a crane, thereby reducing the effort of the operator and greatly improving work efficiency.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illustrated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a variety of It is obvious that variations can be made. In addition, even if the effect of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explicitly described and described while describ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atural that the effect predictable by the configuration should also be recognized.

100: 이동부
110: 대차몸체
120, 130: 이동 휠
140: 안착 편
200: 조작부
210: 후방 돌출부
211: 상단 바
213: 하단 바
215: 경사 연결 바
300: 덕트 지지부
310: 덕트 그립부
311: 승강프레임
313: 제1 그립프레임
314: 슬립 방지 편
315: 제2 그립프레임
316: 덕트 구속부
3161: 돌출 플레이트
3163: 힌지
317: 그립프레임 교차연결부
3171: 직선 관체
3173: 신축 바
318: 고정핸들
320: 회전구동부
330: 승강구동부
331: 승강몸체
332: 가이드 휠
1000: 덕트 리프트 장치
100: moving unit
110: bogie body
120, 130: moving wheel
140: seated flight
200: control panel
210: rear protrusion
211: top bar
213: bottom bar
215: inclined connecting bar
300: duct support
310: duct grip portion
311: elevating frame
313: first grip frame
314: slip prevention side
315: second grip frame
316: duct restraints
3161: protrusion plate
3163: hinge
317: grip frame cross-connection
3171: straight tube
3173: telescoping bar
318: fixed handle
320: rotation driving unit
330: elevator shaft
331: elevating body
332: guide wheel
1000: duct lift device

Claims (10)

대차몸체를 포함하며, 지면 상에서 전 방향 이동하는 이동부; 및
상기 이동부의 일측 상부에 설정 높이로 세워 고정되며, 덕트의 승강 및 회전 시 덕트를 지지하는 덕트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덕트 지지부는, 상기 덕트 지지부에서 수평으로 돌출되어 적어도 하나의 덕트를 파지하는 덕트 그립부; 및
상기 덕트 그립부를 설정각도로 회전시켜 승강 후의 상기 덕트의 자세를 변경시켜주는 회전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덕트 지지부는, 상기 덕트 그립부를 상하 높이 방향으로 승강시켜주는 승강구동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덕트 그립부는, 상기 승강구동부로부터 승강에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받아 상기 덕트 지지부를 따라 상하로 승강하는 승강프레임;
상기 승강프레임의 일단에서 상기 대차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대차몸체에 대응하는 길이로 돌출되며, 덕트의 일면을 접촉 지지하는 제1 그립프레임; 및
상기 승강프레임의 타단에서 상기 제1 그립프레임과 평행을 이루어 상기 제1 그립프레임에 대응하는 길이로 돌출되며, 상기 제1 그립프레임에 의해 일면이 접촉 지지된 덕트의 타면을 가압하여 접촉 지지하는 제2 그립프레임;를 포함하고,
상기 덕트 그립부는, 상기 제1, 2 그립프레임 중 하나로부터 나머지 하나를 향하여 소정 길이 돌출되며, 상기 제1, 2 그립프레임 사이에 파지되는 덕트의 적어도 일부의 위치를 구속하는 덕트 구속부; 및
일단부는 상기 덕트 구속부의 말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1, 2 그립프레임 중 나머지 하나에 체결되는 그립프레임 교차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덕트 리프트 장치.
a moving part including a bogie body and moving in all directions on the ground; and
It includes; a duct support part that is fixed to a set height on one side of the upper part of the moving part and supports the duct when lifting and rotating the duct;
The duct support portion may include: a duct grip portion protruding horizontally from the duct support portion to grip at least one duct; and
Containing; and a rotation driving unit for changing the posture of the duct after lifting by rotating the duct grip portion at a set angle;
The duct support part further includes a lift driving part for raising and lowering the duct grip part in the vertical height direction;
The duct grip unit may include: an elevating frame for receiving a driving force necessary for elevating from the elevating driving unit and ascending and descending vertically along the duct support;
a first grip frame protruding from one end of the elevating frame to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bogie bod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gie body and contacting and supporting one surface of the duct; and
The second end of the elevating frame is parallel to the first grip frame and protrudes to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first grip frame, and the first grip frame presses and supports the other surface of the duct whose one surface is in contact with and supported by the first grip frame. 2 grip frames; including;
The duct grip part may include: a duct restraint part protruding a predetermined length from one of the first and second grip frames toward the other and restricting the position of at least a portion of the duct gripp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grip frames; and
The duct lift device further comprising a grip frame cross-connection portion having one end rotatably connected to the distal end of the duct restraint portion, and the other end portion being fastened to the other one of the first and second grip fram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대차몸체의 전, 후 각각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이동 휠; 및
상기 대차몸체의 전, 후 각각에 위치하며 상기 이동부의 위치를 고정시켜주는 안착 편;
을 포함하는 덕트 리프트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moving unit,
at least one moving wheel provided at each front and rear of the bogie body; and
a seating piece positioned at each of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bogie body and fixing the position of the moving part;
A duct lift device comprising a.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대차몸체는, 서로 평행을 이루어 수평 배치되는 한 쌍의 직선형 프레임 구조물을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직선형 프레임 구조물은 상기 덕트 지지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덕트 지지부의 양측으로 평행을 이루어 연결되고, 각각의 길이가 동일하게 형성되며,
상기 안착 편은, 상기 덕트 지지부를 기준으로 상기 이동 휠보다 상기 덕트 지지부의 양측 방향으로 더 이격하여 위치하며, 상하로 높이 조절되어 하향 돌출 시 지면을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 리프트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bogie body includes a pair of straight frame structures horizontally arrang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and the pair of straight frame structures are connected in parallel to both sides of the duct support part with the duct support part therebetween, and each is formed with the same length,
The seating piece is positioned more spaced apart in both directions of the duct support than the moving wheel based on the duct support, and is height-adjusted up and down to press the ground when protruding downward.
duct lift devic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구동부는,
상기 덕트 지지부의 높이 방향으로 상하로 승강하는 승강몸체; 및
상기 승강몸체의 양단에 적어도 한 쌍이 구비되며, 상기 덕트 지지부에 마련된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승강몸체의 승강 경로를 안내하는 가이드 휠;
을 포함하는 덕트 리프트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elevating drive unit,
an elevating body for elevating up and down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duct support; and
at least one pair of guide wheels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elevating body and moving along a guide rail provided in the duct support to guide an elevating path of the elevating body;
A duct lift device comprising a.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프레임 교차연결부는,
타단부가 상기 제1, 2 그립프레임 중 나머지 하나에 체결 시 상기 제1, 2 그립프레임 각각이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1, 2 그립프레임 사이를 교차 연결하는
덕트 리프트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grip frame cross-connection part,
When the other end is fastened to the other one of the first and second grip frames, the first and second grip frames cross-connect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grip frames in a direction in which they face each other.
duct lift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 그립프레임 중 덕트와 접촉 가능한 부위에는
고무 재질의 슬립 방지 편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 리프트 장치.
According to claim 1,
Among the first and second grip frames, a portion that can come into contact with the duc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lip prevention piece of rubber material is further provided
duct lift devic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슬립 방지 편은
상기 제1, 2 그립프레임 각각의 폭 사이즈에 대응하여, 상기 제1, 2 그립 프레임에 착탈 구조로 결합되며, 복수 개가 설정 이격 간격을 두고 적어도 일렬 이상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 리프트 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The anti-slip piece
Corresponding to the width size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grip frames, the first and second grip frames are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grip frames in a detachable structure, and a plurality of the grip frames are arranged in at least one line at a set spacing.
duct lift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 지지부의 후방에는 조작부가 더 구비되며,
상기 조작부는,
상기 덕트의 승강 및 회전 동작을 제어하는 다수의 스위치가 구비되고,
상기 다수의 스위치는 버튼 타입 또는 터치 타입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 리프트 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manipulation unit is further provided at the rear of the duct support,
The operation unit,
A plurality of switches for controlling the lifting and rotating operation of the duct are provided,
The plurality of switches are button-type or touch-type switches, characterized in that
duct lift device.
KR1020200118882A 2020-09-16 2020-09-16 Duct lift apparatus KR10240040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8882A KR102400406B1 (en) 2020-09-16 2020-09-16 Duct lift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8882A KR102400406B1 (en) 2020-09-16 2020-09-16 Duct lift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6539A KR20220036539A (en) 2022-03-23
KR102400406B1 true KR102400406B1 (en) 2022-05-20

Family

ID=809635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8882A KR102400406B1 (en) 2020-09-16 2020-09-16 Duct lift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0406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0246B1 (en) * 2022-12-01 2023-06-08 곽서진 Portable book cas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9309B1 (en) * 2014-07-10 2014-11-07 김근우 Bricks carrying apparatus
CN205187767U (en) 2015-08-05 2016-04-27 王宏刚 Rotation type fork truck
CN207497999U (en) * 2017-10-23 2018-06-15 深圳力子机器人有限公司 A kind of automatic clamping device for fork-lift type AGV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3582Y1 (en) 2007-04-11 2009-02-26 신영호 A movable type lift apparatus
KR20090000097U (en) * 2007-07-02 2009-01-07 동명기전(주) Crane mounted on the electric vehicle
KR20150062693A (en) * 2013-11-29 2015-06-08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Lifter for handling large or heavy equipment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9309B1 (en) * 2014-07-10 2014-11-07 김근우 Bricks carrying apparatus
CN205187767U (en) 2015-08-05 2016-04-27 王宏刚 Rotation type fork truck
CN207497999U (en) * 2017-10-23 2018-06-15 深圳力子机器人有限公司 A kind of automatic clamping device for fork-lift type AGV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6539A (en) 2022-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67968B2 (en) Order picker materials handling vehicle with improved downward visibility when driving elevated
US20060196376A1 (en) Apparatus for picking up and conveying sheet-like products accommodated in a storage unit
KR101932442B1 (en) A brick-carrying device
KR102400406B1 (en) Duct lift apparatus
KR101707202B1 (en) Automatic Transfer Vehicle
KR101967220B1 (en) Up-down work table
CN107207230A (en) Load lock
JP5874999B2 (en) Lifting scaffolding device
JP3787351B1 (en) Loading / unloading device
CN109748205B (en) Manual hydraulic carrier for logistics
KR200482680Y1 (en) Lifter for a pipe
KR101761260B1 (en) Up-down work table
US2006018258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porting and moving load
KR101170057B1 (en) Crane systm for disassembling a scrapped car
KR101610928B1 (en) Magnetic lift device for rotation of heavyweight object
US4643628A (en) Apparatus for loading and unloading palletized articles
WO2003013999A2 (en) Mobile load handling apparatus
JP6308078B2 (en) Work lifting device
CN217731910U (en) Yardage roll conveyer
KR101733587B1 (en) An auxiliary device for packanging scooters
US758431A (en) Trestle screw-jack.
JP6865151B2 (en) Heavy load carrier
GB2415183A (en) Material handling apparatus
CN219771537U (en) Novel bar snatchs carrier
JP3439061B2 (en) WORKING DEVICE FOR MOVING TRANSPORTED STATION AND WORKING VEHICLE HAV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