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0297B1 - 커넥터 타입에 따른 출력 제어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커넥터 타입에 따른 출력 제어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0297B1
KR102400297B1 KR1020150102640A KR20150102640A KR102400297B1 KR 102400297 B1 KR102400297 B1 KR 102400297B1 KR 1020150102640 A KR1020150102640 A KR 1020150102640A KR 20150102640 A KR20150102640 A KR 20150102640A KR 102400297 B1 KR102400297 B1 KR 1024002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external connector
external
terminals
electronic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26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10677A (ko
Inventor
전영수
신재영
김상용
박정식
송권호
최세환
류희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026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0297B1/ko
Priority to US15/215,202 priority patent/US9949024B2/en
Priority to CN201610578911.1A priority patent/CN106375901B/zh
Priority to EP16180417.4A priority patent/EP3122064B1/en
Publication of KR201700106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06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02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02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9/00Monitoring arrangements; Testing arrangements
    • H04R29/001Monitoring arrangements; Testing arrangements for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58Contacts spaced along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8Mouthpieces; Microphones; Attachment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33Cables or cables storage, e.g. cable re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2Spatial or constructional arrangements of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5/00Three po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7/00Four or more po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41Mechanical or electronic switches, or control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5Detection of connection of loudspeakers or headphones to ampl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9Applications of special connectors, e.g. USB, XLR, in loudspeakers, microphones or head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30/00Signal processing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4Circuit arrangements, e.g. for selective connection of amplifier inputs/outputs to loudspeakers, for loudspeaker detection, or for adaptation of settings to personal preferences or hearing impair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넥터 타입에 따른 출력 제어 방법 및 전자장치에 관한 것으로, 제 1 수의 단자들을 포함하는 제 1 외부 커넥터와 제 2 외부 커넥터, 또는 상기 제 1 수보다 적은 제 2 수의 단자들을 포함하는 제 3 외부 커넥터 중 어느 하나를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리셉터클(receptacle)과 연결된 회로를 통해 상기 제 1 외부 커넥터 또는 상기 제 2 외부 커넥터 또는 상기 제 3 외부 커넥터의 삽입을 확인하고, 상기 제 1 외부 커넥터가 삽입된 것을 확인한 경우, 제 1 방식(a first manner)으로 오디오 출력을 상기 제 1 외부 커넥터에게 제공하고, 상기 제 2 외부 커넥터가 삽입된 것을 확인한 경우, 상기 제 1 방식과 상이한 제 2 방식(a second manner)으로 오디오 출력을 상기 제 2 외부 커넥터에게 제공하고, 상기 제 3 외부 커넥터가 삽입된 것을 확인한 경우, 상기 제 1 방식 및 상기 제 2 방식과 상이한 상기 제 3 방식으로 오디오 출력을 상기 제 3 외부 커넥터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

Description

커넥터 타입에 따른 출력 제어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OUTPUT ACCORDING TO TYPE OF THE CONNECTOR}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는 커넥터의 타입을 기반으로 회로 구성을 변경하여 출력을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전자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스마트폰, 태블릿 PC, 디지털 카메라, MP3 플레이어, 전자책 등과 같은 전자장치의 이용은 일상적인 현상이다. 전자장치는 일반적으로 외부 출력 장치(예, 이어폰, 헤드셋)와 연결될 수 있으며, 유선 통화가 가능한 Unbalanced 타입(type)의 이어폰 출력을 지원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전자장치는 외부 출력 장치에 내장된 마이크를 지원할 수 있으나, 외부 출력 장치에 마이크가 내장되지 않았더라도 언밸런스 오디오 신호의 출력을 지원할 수 있다. 전자장치는 일반적으로 외부 출력 장치의 커넥터(예, 이어잭)와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 연결부(예, 소켓, 리셉터클(receptacle))를 내장하고 있으며, 상기 외부 출력 장치의 커넥터는 4극 단자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커넥터는 3극, 4극, 5극 단자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보통 3극이나 4극 단자로 구성된다. 기존의 4극 단자는 유선 통화가 가능한 언밸런스(unbalanced) 타입의 이어폰을 지원하기 위한 표준 단자로 구성될 수 있다. 이어폰 타입은 언밸런스(unbalanced) 타입과 밸런스(balanced) 타입이 있을 수 있으며, balanced 타입의 이어폰이 unbalanced 타입보다 우수한 성능으로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다.
전자장치에서 전송하는 오디오 신호는 balanced 타입의 오디오 신호와 unbalanced 타입의 오디오 신호로 구분될 수 있다. 전술된 두 개의 오디오 신호는 신호의 종류가 서로 다르므로, 서로 다르게 구성된 출력 단자를 필요로 한다. 예를 들어, balanced 타입의 오디오 신호는 R신호, L신호, G신호로 구성되나, unbalanced 타입의 오디오 신호는 L+신호, L-신호, R+신호, R-신호로 구성될 수 있다. 기존의 전자장치는 일반적으로 밸런스 타입 기반의 오디오 신호를 지원하지 않기 때문에, 밸런스 타입의 이어폰이나 헤드셋을 연결하더라도, 밸런스 타입에 따른 고품질의 오디오를 출력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한편, 밸런스 타입의 출력 장치(예, 이어폰, 헤드셋)를 지원하기 위해서 전자장치는 별도의 커넥터 연결부가 필요할 수 있다. 이는 추가 비용을 야기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전자장치의 동일한 3.5pi 커넥터 연결부를 2개 실장할 경우, 별도의 구분 각인이 있더라도, 사용자의 실수에 의한 오삽입 발생 가능성이 있으며 사용자 편의성이 떨어질 수 있다. 전자장치에 3.5pi커넥터 연결부와 2.5pi커넥터 연결부를 각각 1개씩 실장할 경우, 비대칭으로 인한 디자인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는 밸런스 타입을 지원하기 위한 커넥터 연결부를 추가적으로 실장하는 것이 아니라, 외부 출력 장치의 커넥터(예, balanced 타입, unbalanced 타입)가 연결되는 경우 상기 연결된 외부 출력 장치의 타입을 확인하고, 상기 외부 출력 장치의 타입을 지원하도록 회로 구성을 변경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는 연결된 외부 출력 장치의 커넥터를 확인하고, 상기 커넥터의 구성을 기반으로 밸런스 타입과 언밸런스 타입의 오디오 출력을 모두 지원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는 4극 커넥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3극이나 5극 커넥터에 대해서도 유형에 따라 회로도를 변경하여 적합한 오디오 출력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전자장치는 마이크 기능을 제공하는 경우에도 밸런스 타입과 언밸런스 타입, 두 개의 오디오 출력을 모두 지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장치는 상기 음질 열화 현상을 최소화함으로써, 오디오 출력에 대한 성능 저하 없이 밸런스 타입의 오디오 출력과 언밸런스 타입의 오디오 출력을 모두 지원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 형성된 개구; 상기 개구와 이어진 홀; 상기 홀 내부에 배치되고, 제 1 외부 커넥터 또는 제 2 외부 커넥터, 또는 제 3 외부 커넥터 중 어느 하나를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리셉터클(receptacle); 및 상기 리셉터클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회로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외부 커넥터 및 제 2 외부 커넥터는 각각 제 1 수의 단자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 3 외부 커넥터는, 상기 제 1 수보다 적은 제 2 수의 단자들을 포함하고, 상기 회로는, 상기 제 1, 제 2, 또는 제 3 외부 커넥터 중 상기 리셉터클에 삽입된 외부 커넥터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제 1 외부 커넥터가 삽입된 경우, 제 1 방식(a first manner)으로 오디오 출력을 상기 제 1 외부 커넥터에 제공하고, 상기 제 2 외부 커넥터가 삽입된 경우, 상기 제 1 방식과 상이한 제 2 방식(a second manner)으로 오디오 출력을 상기 제 2 외부 커넥터에 제공하고, 상기 제 3 외부 커넥터가 삽입된 경우, 상기 제 1 방식 및 상기 제 2 방식과 상이한 상기 제 3방식으로 오디오 출력을 상기 제 3 외부 커넥터에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출력 제어 방법은, 제 1 수의 단자들을 포함하는 제 1 외부 커넥터와 제 2 외부 커넥터, 또는 상기 제 1 수보다 적은 제 2 수의 단자들을 포함하는 제 3 외부 커넥터 중 어느 하나를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리셉터클(receptacle)과 연결된 회로를 통해 상기 제 1 외부 커넥터 또는 상기 제 2 외부 커넥터 또는 상기 제 3 외부 커넥터의 삽입을 확인하고, 상기 제 1 외부 커넥터가 삽입된 것을 확인한 경우, 제 1 방식(a first manner)으로 오디오 출력을 상기 제 1 외부 커넥터에게 제공하고, 상기 제 2 외부 커넥터가 삽입된 것을 확인한 경우, 상기 제 1 방식과 상이한 제 2 방식(a second manner)으로 오디오 출력을 상기 제 2 외부 커넥터에게 제공하고, 상기 제 3 외부 커넥터가 삽입된 것을 확인한 경우, 상기 제 1 방식 및 상기 제 2 방식과 상이한 상기 제 3 방식으로 오디오 출력을 상기 제 3 외부 커넥터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는 언밸런스 타입뿐만 아니라, 밸런스 타입의 출력 장치도 같이 지원하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특히, 밸런스 타입의 출력 장치 지원으로 인해, 사용자는 보다 고품질의 오디오를 들을 수 있다.
도 1a와 1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언밸런스 타입(unbalanced type)의 커넥터와 밸런스 타입(balanced type)의 커넥터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2a와 2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언밸런스 타입(unbalanced type)의 커넥터를 지원하는 전자장치의 회로 구성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밸런스 타입을 지원하는 전자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가 외부 출력 장치의 커넥터에 대응하여 상기 커넥터를 지원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밸런스 타입의 커넥터를 지원하는 전자장치의 회로도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외부 출력 장치의 커넥터가 밸런스 타입인 경우 상기 커넥터를 지원하기 위한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한 순서도이다.
도 7a와 7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밸런스 타입의 커넥터가 연결된 경우의 회로도와 언밸런스 타입의 커넥터가 연결된 경우의 회로도를 각각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7c와 7d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추가 실장된 스위치로 인해 발생된 스위치 저항 값을 보전하기 위한 회로 구성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7e와 7f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저항 값을 최소화하기 위한 스위치 구조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외부 출력 장치의 타입을 확인하기 위해 테스트 신호를 활용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9a와 9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5극 커넥터에 대한 예시도와 상기 5극 커넥터를 지원하기 위한 회로도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0a와 10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다르게 구성된 5극 커넥터에 대한 예시도와 상기 다르게 구성된 5극 커넥터를 지원하기 위한 회로도를 도시한다.
도 11a와 11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길이에 따라 커넥터의 타입이 결정되는데 있어서, 커넥터에 대한 예시도와 상기 커넥터를 지원하기 위한 회로도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밸런스 타입의 커넥터를 지원하는 중에 전화를 수신할 경우 밸런스 타입에 대한 지원을 언밸런스 타입으로 변경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3a와 13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밸런스 타입의 커넥터를 지원하는 중에 전화를 수신할 경우 밸런스 타입에 대한 지원을 언밸런스 타입으로 변경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4a와 14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에 밸런스 타입의 커넥터가 연결되는 경우 전자장치에서 UI(User Interface)를 변경하는 예시도이다.
이하,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문서의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 (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제 1," "제 2," "첫째," 또는 "둘째,"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 1 사용자 기기와 제 2 사용자 기기는,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문서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 2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 것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사용된 “외부 출력 장치”의 표현은 전자장치와 연결되어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어폰이나 헤드셋과 같이 외부 출력 장치는 전자장치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오디오 신호를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외부 출력 장치는 커넥터를 이용하여 전자장치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상기 커넥터의 구성에 따라 언밸런스 타입의 외부 출력 장치와 밸런스 타입의 외부 출력 장치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밸런스 타입의 커넥터와 같은 표현은 밸런스 타입의 외부 출력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밸런스 타입의 외부 출력 장치는 밸런스 타입의 커넥터를 구비할 수 있으며, 전자장치로부터 밸런스 타입의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밸런스 타입의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사용된 “외부 출력 장치의 커넥터”의 표현은 상기 외부 출력 장치와 전자장치를 서로 연결하기 위한 잭(JACK)을 의미할 수 있다.“외부 출력 장치의 커넥터”는 전자장치와 오디오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해 구성될 수 있으며, 3극, 4극, 5극 커넥터로 구분될 수 있다. “외부 출력 장치의 커넥터”와 연결하기 위해 전자장치에 형성된 부분은 “커넥터 연결부”라고 명명한다. 상기 “커넥터 연결부”는 전자장치의 일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외부 출력 장치의 커넥터가 삽입될 수 있도록 홀(hole)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커넥터 연결부”는 일명, 소켓(socket), 리셉터클(receptacle)을 의미할 수 있다. “커넥터 연결부”는 상기 커넥터에 오디오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상기 커넥터와 접지되는 부분들이 프로세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4극 커넥터는 TIP 단자, RING1 단자, RING2 단자, SLEEVE 단자로 구성될 수 있는데, “커넥터 연결부”는 각각의 단자에 대응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조일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 전화기(mobile phone), 영상 전화기, 전자책 리더기(e-book reader), 데스크탑 PC(desktop personal computer), 랩탑 PC(laptop personal computer),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워크스테이션(workstation), 서버,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모바일 의료기기, 카메라(camera), 또는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웨어러블 장치는 액세서리형(예: 시계, 반지, 팔찌, 발찌, 목걸이, 안경, 콘택트 렌즈, 또는 머리 착용형 장치(head-mounted-device(HMD)), 직물 또는 의류 일체형(예: 전자 의복), 신체 부착형(예: 스킨 패드(skin pad) 또는 문신), 또는 생체 이식형(예: implantable circui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들에서, 전자 장치는 가전 제품(home appliance)일 수 있다. 가전 제품은, 예를 들면, 텔레비전, DVD(digital video disk) 플레이어, 오디오, 냉장고, 에어컨, 청소기, 오븐, 전자레인지, 세탁기, 공기 청정기, 셋톱 박스(set-top box), 홈 오토매이션 컨트롤 패널(home automation control panel), 보안 컨트롤 패널(security control panel), TV 박스(예: 삼성 HomeSyncTM, 애플TVTM, 또는 구글 TVTM), 게임 콘솔(예: XboxTM, PlayStationTM), 전자 사전, 전자 키, 캠코더(camcorder), 또는 전자 액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는, 각종 의료기기(예: 각종 휴대용 의료측정기기(혈당 측정기, 심박 측정기, 혈압 측정기, 또는 체온 측정기 등), MRA(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 CT(computed tomography), 촬영기, 또는 초음파기 등), 네비게이션(navigation) 장치, 위성 항법 시스템(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EDR(event data recorder), FDR(flight data recorder), 자동차 인포테인먼트(infotainment) 장치, 선박용 전자 장비(예: 선박용 항법 장치, 자이로 콤파스 등), 항공 전자기기(avionics), 보안 기기, 차량용 헤드 유닛(head unit), 산업용 또는 가정용 로봇, 금융 기관의 ATM(automatic teller's machine), 상점의 POS(point of sales), 또는 사물 인터넷 장치(internet of things)(예: 전구, 각종 센서, 전기 또는 가스 미터기, 스프링클러 장치, 화재경보기, 온도조절기(thermostat), 가로등, 토스터(toaster), 운동기구, 온수탱크, 히터, 보일러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가구(furniture) 또는 건물/구조물의 일부, 전자 보드(electronic board), 전자 사인 수신 장치(electronic signature receiving device), 프로젝터(projector), 또는 각종 계측 기기(예: 수도, 전기, 가스, 또는 전파 계측 기기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는 전술한 다양한 장치들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플렉서블 전자 장치일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기술 발전에 따른 새로운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설명된다. 본 문서에서, 사용자라는 용어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사람 또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장치(예: 인공지능 전자 장치)를 지칭할 수 있다.
도 1a와 1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언밸런스 타입(unbalanced type)의 커넥터와 밸런스 타입(balanced type)의 커넥터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도 1a는 언밸런스 타입의 4극 커넥터 110를 도시한다. 일반적으로 외부 출력 장치의 커넥터는 3극, 4극, 5극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도 1a는 언밸런스 타입의 4극(4-Conductor) 커넥터 110를 도시한다. 언밸런스 타입의 4극 커넥터 110는 4개의 단자로 구성되며, TRRS(TIP 111 ? RING1 113 ? RING2 115 ? SLEEVE 117) 타입을 사용할 수 있다. 언밸런스 타입의 4극 커넥터110는 표준으로 지정되어 있다. TRRS 타입은 미국 표준(LRGM 순서)과 유럽 표준(LRMG 순서)에 따라 단자 구성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미국 표준(CTIA/AHJ)에 따른 TRRS 타입을 기본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가 미국 표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언밸런스 타입의 4극 커넥터 110는 TRRS 타입으로 전자장치에 삽입되는 순서에 따라 L(Left), R(Right), G(Ground), M(Microphone) 신호를 전자장치로부터 수신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언밸런스 타입의 4극 커넥터 110에서, TIP 단자 111는 전자장치로부터 L(Left)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RING1 단자 113는 전자장치로부터 R(Right)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RING2 단자 115는 전자장치의 G(Ground)에 연결될 수 있고, SLEEVE 단자 117는 전자장치에게 마이크로 수신된 오디오 신호인 M(Microphone)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언밸런스 타입의 4극 커넥터 110는 전자장치의 코덱 또는 프로세서로부터 R채널의 신호를 수신하여 전술된 RING1 단자 113를 통해 출력하고, L채널의 신호를 수신하여 전술된 TIP 단자 111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언밸런스 타입의 4극 커넥터 110는 하나의 그라운드와 하나의 마이크 신호에 연결되어 유선 통화가 가능할 수 있다.
도 1b를 참조하면, 도 1b는 밸런스 타입의 4극 커넥터120을 도시한다. 밸런스 타입의 4극 커넥터 120는 표준으로 지정되어 있지 않으므로, TRRS 타입에 연결되는 신호의 구성은 다를 수 있다. 도 1b에 도시된 4극 커넥터 120는 언밸런스 타입의 4극 커넥터 110와 호환이 가능하도록 L+(TIP 단자 111), R+(RING1 단자 113), L-(RING2 단자 115), R-신호(SLEEVE 단자 117)로 구성될 수 있다. 밸런스 타입의 4극 커넥터는 R채널과 L채널에 대응되는 오디오 신호를 각각 위상이 서로 다른 플러스(+) 신호와 마이너스(-) 신호로 구분하여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장치는 외부 출력 장치의 R채널 출력부로 R+신호와 R-신호를 전송하고, L채널 출력부로 L+신호와 L-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밸런스 타입의 커넥터는 4극 외에 5극으로 구성되어 G(Ground)신호와 연결할 수도 있다.
도 2a와 2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언밸런스 타입(unbalanced type)의 커넥터를 지원하는 전자장치의 회로 구성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전자장치는 언밸런스 타입의 커넥터 110와 연결되어, 상기 언밸런스 타입의 커넥터 110와 오디오 신호를 송수신하는 상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장치의 프로세서 210는 커넥터 연결 감지 모듈 211, 오디오 출력 모듈 213, 임피던스 측정 모듈 215, Ground 217, ADC 측정 모듈 219, 마이크 모듈 221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 210는 오디오 코덱과 같은 특화된 프로세서 일 수 있다. 전술된 각각의 모듈들은 프로세서 210에 포함되는 것으로 기재되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즉, 각각의 모듈들은 프로세서 210가 아닌 전자장치의 특정 위치에 내장될 수도 있다.
커넥터 연결 감지 모듈 211은 언밸런스 타입의 커넥터 110의 TIP 단자와 RING2 단자 부분에 연결되어, 상기 커넥터 110의 연결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전자장치는 언밸런스 타입의 커넥터 110를 지원할 수 있도록 회로도가 구성되어 있으며, 커넥터 연결 감지 모듈 211을 통해 상기 언밸런스 타입의 커넥터 110의 연결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 모듈 213은 언밸런스 타입의 커넥터 110에게 R채널 및 L채널에 대한 오디오 신호를 송신하여, 외부 출력 장치에서 상기 오디오 신호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언밸런스 타입의 커넥터 110는 LRGM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오디오 출력 모듈 213은 L에 대응되는 TIP단자, R에 대응되는 RING1단자와 연결되어 오디오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임피던스 측정 모듈 215은 전자장치에 연결된 커넥터에 대한 임피던스를 측정할 수 있다. 즉, 임피던스 측정 모듈 215은 전자장치에 연결된 커넥터의 TIP단자와 RING1 단자에 연결되어 상기 커넥터의 임피던스 값을 측정할 수 있다. 임피던스 측정 모듈 215은 전자장치에 연결된 커넥터가 3극인 경우에도 해당 커넥터의 임피던스 값을 측정할 수 있다.
Ground 217는 언밸런스 타입의 커넥터 110의 RING2단자와 연결되어, 상기 언밸런스 타입의 커넥터 110가 접지되도록 할 수 있다.
ADC 측정 모듈 219은 언밸런스 타입의 커넥터 110의 SLEEVE 단자에 연결되어, 상기 언밸런스 타입의 커넥터 110의 ADC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 210는 ADC 측정 모듈 219을 통해 상기 언밸런스 타입의 커넥터 110의 ADC를 측정하고, 상기 언밸런스 타입의 커넥터 110의 SLEEVE 단자가 마이크 단자로 구성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 210는 측정된 커넥터의 ADC 값을 기반으로 전자장치에 연결된 커넥터가 밸런스 타입인지 여부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 210는 상기 측정된 커넥터의 ADC값을 전자장치에 연결된 커넥터의 임피던스 값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마이크 모듈 221은 언밸런스 타입의 커넥터 110의 SLEEVE 단자에 연결되어, 외부 출력 장치의 마이크로 수신된 오디오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도 2a에 도시된 전자장치는 언밸런스 타입의 커넥터 110를 지원할 수 있는 전자장치이며, 도 2b에 도시된 회로도와 같이 다수 개의 소자들과 함께 구성될 수 있다. 도 2b에 도시된 회로도는 하나의 실시예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밸런스 타입을 지원하는 전자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자장치 300는 프로세서(processor) 310, 커넥터 연결부 320, 전원부 350, 메모리 360, 표시부 37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장치 300는 외부 출력 장치(예, 이어폰, 헤드셋) 380와 커넥터 연결부 320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전술된 각각의 구성 요소들은 버스(bus)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프로세서 310는 상기 구성 요소들(예, 커넥터 연결부 320, 전원부 350, 메모리 360, 표시부 370)에게 신호(예, 제어 메시지)를 전달하여 상기 구성 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 310는 통상적으로 전자장치 3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 310는 상기 버스를 통해 전술한 다른 구성 요소들(예, 커넥터 연결부 320, 전원부 350, 메모리 360, 표시부 370)로부터 응답을 수신하여, 수신된 응답을 해독하고, 상기 해독된 응답에 따른 연산이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 310는 임피던스 측정 모듈 311, 스위치 제어 모듈 312, 오디오 출력 모듈 313, 커넥터 유형 판단 모듈 314, 커넥터 연결 감지 모듈 315, ADC 측정 모듈 318, 마이크 모듈 319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프로세서 310는 커넥터 유형 판단 모듈 314과 커넥터 연결 감지 모듈 315이 프로세서 310에 포함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상기 커넥터 유형 판단 모듈 314과 커넥터 연결 감지 모듈 315은 따로 프로세서 310와 분리되어 전자장치 300의 특정 공간에 위치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 300는 커넥터에 대한 감지 및 판단을 하는 커넥터 판단부(커넥터 유형 판단 모듈 314과 커넥터 연결 감지 모듈 315의 기능을 수행)가 프로세서 310와 구분되어 따로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커넥터와 관련된 판단은 프로세서 310가 아닌 커넥터 판단부에서 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기 커넥터 유형 판단 모듈 314과 커넥터 연결 감지 모듈 315이 프로세서 310에 포함된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프로세서 310에 포함된 각각의 모듈들은 프로세서 310의 제어 하에, 특정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임피던스 측정 모듈 311은 전자장치 300와 연결된 외부 출력 장치 380에 대한 임피던스 값을 측정할 수 있다. 전자장치 300의 프로세서 310는 커넥터 연결부 320를 통해 외부 출력 장치 380의 연결을 감지하는 경우 임피던스 측정 모듈 311을 제어하여 상기 연결된 외부 출력 장치 380의 임피던스 값을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임피던스 값은 외부 출력 장치 380에 대한 왼쪽 출력(Left output)과 오른쪽 출력(Light output)에 대한 임피던스 값일 수 있다. 여기서 임피던스 값에 대한 측정은 ADC 측정 모듈 318을 통해 측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ADC 측정 모듈 318이 외부 출력 장치 380에 대한 ADC 값을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ADC 값은 외부 출력 장치 380의 유형을 판단하기 위한 기준값일 수 있고, 또한, 외부 출력 장치 380의 임피던스 값일 수도 있다. 즉, 프로세서 310는 상기 ADC 측정 모듈 318을 통해 외부 출력 장치 380의 임피던스 값을 측정할 수도 있다.
그리고 스위치 제어 모듈 312은 프로세서 310의 제어 하에, 전자장치 300에 실장된 스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서 310는 임피던스 측정 모듈 311을 통해 측정된 외부 출력 장치 380의 임피던스 값을 기반으로 스위치 제어 모듈 312을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 310는 외부 출력 장치 380의 임피던스 값을 기반으로, 상기 외부 출력 장치 380가 밸런스 타입인 것을 확인한 경우 스위치 제어 모듈 312을 통해 회로도의 신호 경로를 변경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 모듈 313은 전자장치 300의 메모리 360에 저장된 오디오 파일을 기반으로 추출된 오디오 신호를 외부 출력 장치 380를 통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 모듈 313은 밸런스(balanced) 타입의 오디오 신호와 언밸런스(unbalanced) 타입의 오디오 신호를 모두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서 310는 연결된 외부 출력 장치 380의 타입에 따라, 오디오 출력 모듈 313을 제어하여 출력할 오디오 신호의 타입을 결정할 수 있다.
커넥터 유형 판단 모듈 314은 임피던스 측정 모듈 311을 통해 측정된 외부 출력 장치 380에 대한 임피던스 값을 기반으로 상기 외부 출력 장치 380의 유형을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커넥터 385의 유형은 외부 출력 장치 380의 유형과 동일한 의미일 수 있다. 커넥터 유형 판단 모듈 314은 외부 출력 장치 380가 밸런스 타입의 외부 출력 장치 380인지, 언밸런스 타입의 외부 출력 장치 380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커넥터 연결 감지 모듈 315은 외부 출력 장치 380가 커넥터 연결부 320에 삽입(연결)된 경우 상기 외부 출력 장치 380의 연결을 감지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커넥터 연결 감지 모듈 315은 상기 연결된 외부 출력 장치 380의 커넥터가 3극 커넥터인지, 4극 커넥터인지를 판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는 커넥터가 5극 커넥터인 경우를 대비하여, 상기 5극 커넥터를 감지하기 위한 구조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 300는 커넥터 유형 판단 모듈 314과 커넥터 연결 감지 모듈 315이 프로세서 310에 내장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커넥터 유형 판단 모듈 314과 커넥터 연결 감지 모듈 315은 프로세서 310와 분리되어 ‘커넥터 판단부’로 따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커넥터와 관련된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ADC 측정 모듈 318은 전자장치 300와 연결된 외부 출력 장치 380에 대한 ADC 값을 측정할 수 있다. ADC 측정 모듈 318은 외부 출력 장치 380 커넥터 385의 SLEEVE 단자와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SLEEVE 단자를 통해 외부 출력 장치 380의 ADC값을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ADC 값은 상기 외부 출력 장치 380의 커넥터 385 유형을 판단하는 기준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ADC 값이 0인 경우 외부 출력 장치 380 커넥터 385의 SLEEVE 단자는 그라운드에 연결된 상태일 수 있으며, 곧, 상기 커넥터 385가 3극 커넥터라는 것을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ADC 값이 일정 값 이상으로 측정될 경우 상기 커넥터 385가 4극 언밸런스 커넥터임을 알 수 있다. 만약, ADC 값이 상기 일정 값 이내의 기 설정된 특정 값으로 측정될 경우 상기 커넥터 385는 4극 밸런스 커넥터임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측정된 ADC값은 상기 외부 출력 장치 380에 대한 임피던스 값일 수 있으며, 즉, ADC 측정 모듈 318은 임피던스 측정 모듈 311의 기능을 일부 수행할 수도 있다. 커넥터 유형 판단 모듈 314은 ADC 측정 모듈 318을 통해 측정된 임피던스 값을 기반으로, 외부 출력 장치 380 커넥터 385의 유형을 판단할 수도 있다.
마이크 모듈 319은 상기 외부 출력 장치 380의 커넥터 385에 마이크 단자가 구성되어 있는 경우, 상기 외부 출력 장치 380를 통해 수신되는 음성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 300는 ADC 측정 모듈 318을 통해 외부 출력 장치 380에 대한 ADC값을 측정하고, 상기 ADC값을 기반으로 상기 외부 출력 장치 380의 커넥터 385 유형을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장치 300는 커넥터 연결부 32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 연결부 320는 외부 출력 장치 380의 커넥터 385와 연결하기 위해 전자장치 300에 실장된 구조일 수 있다. 커넥터 연결부 320는 전자장치 300의 일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외부 출력 장치 380의 커넥터 385가 삽입될 수 있도록 홀(hole) 형태의 구조일 수 있다. 커넥터 연결부 320는 일명, 소켓(socket), 리셉터클(receptacle)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연결부 320는 4극 언밸런스 커넥터를 지원하기 위해, 4극 언밸런스 커넥터의 TIP 단자, RING1 단자, RING2 단자, SLEEVE 단자에 대응되는 위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신호를 송수신하는 구조일 수 있다.
전자장치 300는 전원부 35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부 350는 전자장치 300에게 전력을 제공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 310의 제어 하에, 전자장치 300의 구성부에게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전자장치 300는 메모리 360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 360는 멀티미디어 파일(예, 음악 파일, 이미지 파일)을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멀티미디어 파일은 음원(sound source)을 포함하고 있는 동영상 파일, 음악 파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 장치는 외장 메모리와 내장 메모리를 모두 포함하며, 음원을 포함한 멀티미디어 파일을 저장할 수 있는 모든 저장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내장 메모리(예, ROM, NAND, RAM)는 네트워크를 통해 스트리밍 파일 및 다운로드 파일을 임시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내장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volatile Memory)(예, DRAM(dynamic RAM), SRAM(static RAM), SDRAM(synchronous dynamic RAM))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non-volatile Memory)(예, OTPROM(one time programmable ROM), 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mask ROM, flash ROM, NAND flash memory, NOR flash memory)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외장 메모리는 전자장치에 삽입하는 형식의 메모리 장치(예, T-Flash, MMC, SD Card)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외장 메모리는 flash drive, CF(compact flash), SD(secure digital), Micro-SD(micro secure digital), Mini-SD(mini secure digital), xD(extreme digital) 또는 Memory Stick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장 메모리는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자장치 300와 기능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전자장치 300는 표시부 370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 370는 패널,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널은, 예를 들면, LCD(liquid-crystal display) 또는 AM-OLED(active-matrix organic light-emitting diode) 등일 수 있다. 패널은 유연하게(flexible), 투명하게(transparent) 또는 착용할 수 있게(wearable) 구현될 수 있으며, 터치 패널과 하나의 모듈로 구성될 수도 있다. 즉, 표시부 370는 동영상이나 이미지 등을 표시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인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터치 패널은 정전식, 감압식, 적외선 방식 또는 초음파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터치 입력을 인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부 370는 외부 출력 장치 380의 유형에 따라, UI(User Interface)/UX(User Experience)를 다르게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 300는 외부 출력 장치 380와 연결되고, 상기 외부 출력 장치 380를 통해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외부 출력 장치 380는 오디오 출력부 381와 커넥터 385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 381는 이어폰, 헤드셋에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부분일 수 있으며, 왼쪽 귀에 대응되는 왼쪽 출력부 382와 오른쪽 귀에 대응되는 오른쪽 출력부 384로 구분될 수 있다. 그리고 외부 출력 장치 380는 커넥터 385를 이용하여 전자장치 300에 연결될 수 있으며, 커넥터 385를 통해 전자장치 300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커넥터 385는 단자의 구성을 기반으로 balanced 커넥터 386와 unbalanced 커넥터 388로 구분되며, balanced 커넥터 386로 구성된 외부 출력 장치 380는 밸런스 타입 외부 출력 장치 380라고 기재할 수 있다. 그리고 unbalanced 커넥터 388로 구성된 외부 출력 장치 380는 언밸런스 타입 외부 출력 장치 380라고 기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 형성된 개구; 상기 개구와 이어진 홀; 상기 홀 내부에 배치되고, 제 1 외부 커넥터 또는 제 2 외부 커넥터, 또는 제 3 외부 커넥터 중 어느 하나를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리셉터클(receptacle); 및 상기 리셉터클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커넥터 및 제 2 커넥터는 각각 제 1 수의 단자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 3 커넥터는, 상기 제 1 수보다 적은 제 2 수의 단자들을 포함하고, 상기 회로는, 상기 제 1, 제 2, 또는 제 3 외부 커넥터 중 상기 리셉터클에 삽입된 커넥터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전자장치는 상기 제 1 커넥터가 삽입된 경우, 제 1 방식(a first manner)으로 오디오 출력을 상기 제 1 커넥터에 제공하고, 상기 제 2 커넥터가 삽입된 경우, 상기 제 1 방식과 상이한 제 2 방식(a second manner)으로 오디오 출력을 상기 제 2 커넥터에 제공하고, 상기 제 3 커넥터가 삽입된 경우, 상기 제 1 방식 및 상기 제 2 방식과 상이한 상기 제 3방식으로 오디오 출력을 상기 제 3 커넥터에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술된 제 1 수는 4개이고, 제 2 수는 3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제 1 외부 커넥터는 제 1 스피커 및 제 2 스피커를 포함하는 외부 음향 장치에 유선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 1 외부 커넥터가 삽입된 경우, 회로는 상기 제 1 외부 커넥터의 상기 제 1 수의 단자들 중 2개의 단자들을 통하여 상기 제 1 스피커 및 제 2 스피커에 오디오 출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외부 커넥터가 삽입된 경우, 회로는 상기 제 1 외부 커넥터의 상기 제 1 수의 단자들 중 상기 2개의 단자들과 다른 하나의 단자를 통하여 상기 외부 음향 장치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제 2 외부 커넥터는 제 1 스피커 및 제 2 스피커를 포함하는 외부 음향 장치에 유선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 2 외부 커넥터가 삽입된 경우, 회로는 상기 제 2 외부 커넥터의 상기 제 1수의 단자들 중 2개의 단자들을 통하여 상기 제 1 스피커에 제 1 오디오 출력을 제공하고, 상기 제 1 수의 단자들 중 다른 2개의 단자를 통하여 상기 제 2 스피커에 제 2 오디오 출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회로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프로세서가 상기 판단 및 오디오 출력 동작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회로는 상기 리셉터클에 삽입된 상기 제 1, 제2, 또는 제 3 외부 커넥터의 단자들 중 적어도 일부의 단자를 통하여 전압 또는 임피던스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전압 또는 임피던스에 기초하여, 상기 리셉터클에 삽입된 외부 커넥터를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전자장치에 상기 제 1 외부 커넥터가 삽입된 경우, 상기 회로는 상기 검출된 전압 또는 임피던스에 기초하여 상기 오디오 출력을 조절하고, 상기 조절된 오디오 출력을 상기 제 1 외부 커넥터에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로는 상기 리셉터클에 삽입된 제 1, 제 2, 또는 제 3 외부 커넥터의 단자들 중 제 1 단자를 그라운드에 연결하고, 상기 단자들 중 제 2 단자 및 상기 그라운드 사이의 전압 또는 임피던스를 검출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리셉터클에 삽입된 외부 커넥터를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가 외부 출력 장치의 커넥터에 대응하여 상기 커넥터를 지원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동작 401에서 전자장치 300의 프로세서 310는 커넥터 385 연결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커넥터는 외부 출력 장치 380의 커넥터 385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 310는 커넥터 연결 감지 모듈 315을 통해 커넥터 385의 연결을 확인할 수 있다.
동작 403에서 프로세서 310는 커넥터 385의 ADC 값을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 310는 ADC 측정 모듈 318을 통해 연결된 커넥터 385로 전류를 공급하고, 외부 출력 장치 380 커넥터 385에 대한 ADC 값을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커넥터 385에 공급되는 전류는 전자장치 300의 전원부 350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동작 405에서 프로세서 310는 측정된 ADC 값이 0보다 큰 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약, ADC 값이 0인 경우 프로세서 310는 연결된 커넥터 385가 3극 커넥터임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극 커넥터는 3개의 단자로 구성되어 있으며, LRG 순서로 구성될 수 있다. 즉, 4극 언밸런스 커넥터 기준으로, TIP단자는 L에 대응되고, RING1 단자는 R에 대응될 수 있다. 그리고 RING2 단자와 SLEEVE 단자는 둘 다, G에 대응될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 310는 ADC 값을 측정하기 위해 SLEEVE 단자를 통해 전류를 공급하지만, SLEEVE 단자는 G에 대응되므로 ADC 값이 0일 수 있다. 동작 405에서 ADC 값이 0보다 크지 않은 경우(즉, ADC 값=0) 동작 415에서 프로세서 310는 연결된 커넥터가 3극 커넥터임을 판단할 수 있다.
동작 405에서 상기 ADC 값이 0보다 큰 경우 동작 407에서 프로세서 310는 상기 측정된 ADC값이 밸런스 타입에 대응되는 범위에 해당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밸런스 타입에 대응되는 범위는 일반적으로 16Ω에서 300Ω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밸런스 타입에 대응되는 범위는 메모리 360에 미리 저장된 범위 값일 수 있다. 동작 405에서 ADC 값이 밸런스 타입에 대응되는 범위에 해당되지 않은 경우 동작 417에서 프로세서 310는 연결된 커넥터가 4극 언밸런스 커넥터임을 판단할 수 있다.
동작 407에서 ADC 값이 밸런스 타입에 대응되는 범위에 해당되는 경우 프로세서 310는 연결된 커넥터가 밸런스 타입의 커넥터임을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동작 409에서 프로세서 310는 상기 ADC 값이 상기 밸런스 타입의 커넥터에 대한 임피던스 값을 의미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즉, 동작 409에서 프로세서 310는 상기 ADC값을 기반으로 외부 출력 장치에 대한 출력 전압의 세기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동작 411에서 프로세서 310는 밸런스 타입에 대응하여 스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 310는 언밸런스 타입의 외부 출력 장치 380를 지원하기 위해, LRGM(4극 언밸런스 커넥터 표준)에 대응하여 회로도가 구성되어 있을 수 있다. 프로세서 310는 전술된 동작 401 내지 동작 409를 통해, 연결된 외부 출력 장치 380가 밸런스 타입임을 확인한 경우 스위치 제어 모듈 312을 제어하여 상기 회로도에 포함된 스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 310는 언밸런스 타입에 대응하여 구성된 회로도에서 그라운드(ground)에 연결되어 있는 RING2 단자를 그라운드와 단절되도록 스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 300는 RING2 단자와 그라운드가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RING2 단자와 그라운드 사이에 스위치가 실장될 수 있으며, 그라운드와의 연결을 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 300는 RING2 단자와 그라운드 간의 연결이 OPEN되면, 밸런스 타입의 외부 출력 장치 380를 지원할 수 있는 회로도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전자장치 300는 RING2 단자와 SLEEVE 단자를 오디오 신호 출력을 위한 단자로 활용할 수 있다.
동작 413에서 프로세서 310는 밸런스 타입의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동작 411에서 프로세서 310가 스위치를 제어하여, 커넥터의 RING2 단자와 SLEEVE 단자에 밸런스 타입의 오디오 출력 회로가 연결되어, 프로세서 310는 연결된 커넥터를 통해 밸런스 타입의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동작 415에서 연결된 커넥터가 3극 커넥터(unbalanced)임을 확인하거나, 동작 417에서 연결된 커넥터가 4극 커넥터(unbalanced)임을 확인한 경우 프로세서 310는 동작 419에서 언밸런스 타입의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밸런스 타입의 커넥터를 지원하는 전자장치의 회로도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전자장치 300는 외부 출력 장치의 커넥터 385와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장치 300의 프로세서 310는 커넥터 385가 연결된 경우 커넥터 연결 감지 모듈 315을 통해 커넥터 385의 연결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커넥터 연결 감지 모듈 315은 커넥터 385의 TIP단자와 RING2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커넥터 385의 연결을 감지할 수 있다. 프로세서 310는 커넥터 385가 전자장치 300와 연결된 경우 ADC 측정 모듈 318을 통해 상기 커넥터 385의 ADC 값을 측정할 수 있다. ADC 측정 모듈 318은 전자장치 300의 전원부 350를 통해 커넥터 385에게 전류를 흘려 보내고, 상기 커넥터 385에 대한 ADC 값을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 310는 측정된 ADC 값을 토대로 연결된 커넥터 385의 종류 및 유형을 판단할 수 있고, 추가적으로 프로세서 310는 임피던스 측정 모듈 311을 활용하여 상기 연결된 커넥터 385의 임피던스 값을 측정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 300는 ADC 측정 모듈 318을 통해 측정한 ADC 값을 상기 커넥터 385에 대한 임피던스 값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 300는 ADC 값을 기반으로 상기 커넥터 385의 타입을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서 310는 상기 측정된 ADC 값 및 임피던스 값을 토대로 연결된 커넥터 385가 밸런스 타입인지, 언밸런스 타입인지를 구분할 수 있다. 만약 연결된 커넥터 385가 밸런스 타입인 경우 프로세서 310는 스위치 제어 모듈 312을 제어하여 RING2 단자에 연결된 그라운드(GND)가 OPEN 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커넥터 385가 밸런스 타입인 경우 프로세서 310는 오디오 출력 모듈(Left 신호) 316와 오디오 출력 모듈(Right 신호) 317을 이용하여 밸런스 타입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 310는 상기 측정된 ADC 값 및 임피던스 값을 기반으로 오디오 신호에 대한 출력을 조절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프로세서 310는 마이크 모듈 319을 통해 외부 출력 장치 380의 커넥터 385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아래의 표 1 은 외부 출력 장치의 임피던스가 “R”Ω일 경우 측정되는 임피던스 값에 대한 예시일 수 있다.
Figure 112015070340734-pat00001
위의 표 1을 참조하면, 외부 출력 장치가 3극 커넥터(언밸런스)인 경우 ADC 값은 0Ω이고, 외부 출력 장치가 4극 언밸런스 커넥터인 경우 ‘MIC단 임피던스’ 값(일반적으로, 1.35KΩ ~ 33KΩ)일 수 있다. 즉, 전자장치 300의 프로세서 310는 외부 출력 장치의 ADC 값을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ADC 값을 기반으로 외부 출력 장치가 3극 언밸런스 커넥터인지, 4극 언밸런스 커넥터인지를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측정한 ADC 값이 특정 임피던스 값(RΩ)인 경우 프로세서 310는 외부 출력 장치의 커넥터가 밸런스 타입임을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특정 임피던스 값은 외부 출력 장치의 임피던스 값이며, 일반적으로 16Ω ~ 300Ω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외부 출력 장치의 커넥터가 밸런스 타입인 경우 상기 커넥터를 지원하기 위한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한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도 6은 도 4의 동작 407 내지 동작 413에 대한 과정을 보다 구체화하여 도식화한 순서도이다. 동작 601에서 프로세서 310는 외부 출력 장치 380의 커넥터 385가 밸런스 타입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프로세서 310는 외부 출력 장치 380에 대한 ADC 값 및 임피던스 값을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ADC 값 및 임피던스 값을 기반으로 외부 출력 장치 380의 커넥터 385가 밸런스 타입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커넥터 385가 밸런스 타입이라는 것은 외부 출력 장치 385가 밸런스 타입의 오디오 출력을 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동작 601에서 커넥터 385가 밸런스 타입인 경우 동작 603에서 프로세서 310는 스위치를 제어하여 커넥터 385에 연결된 그라운드를 OPEN시킬 수 있다. 즉, 연결된 커넥터 385가 밸런스 타입일 때, 프로세서 310는 스위치 제어 모듈 312을 통해 커넥터 385의 RING2 단자에 연결된 그라운드를 OPEN 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장치 300는 커넥터 385의 RING2 단자와 그라운드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RING2 단자와 그라운드 사이에 스위치가 실장된 상태일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 310는 커넥터 385가 밸런스 타입임을 판단한 경우 상기 스위치를 제어하여 커넥터 385의 RING2 단자에 연결된 그라운드가 OPEN되도록 할 수 있다. 전자장치 300의 프로세서 310는 커넥터 385에 그라운드가 연결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RING2 단자를 활용하여 밸런스 타입 오디오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동작 605에서 프로세서 310는 밸런스 타입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동작 601에서 커넥터 385가 밸런스 타입이 아닌 경우 동작 607에서 상기 커넥터 385는 그라운드에 접지된 상태일 수 있다. 전자장치 300는 일반적으로 언밸런스 타입의 커넥터를 지원하기 위해 상기 커넥터의 RING2 단자에 그라운드가 접지되는 구조일 수 있다. 그리고 동작 609에서 프로세서 310는 언밸런스 타입의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도 7a와 7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밸런스 타입의 커넥터가 연결된 경우의 회로도와 언밸런스 타입의 커넥터가 연결된 경우의 회로도를 각각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7 a와 7b는 도 6의 순서도에서 설명했던 본 발명의 동작을 구체적인 회로도로 도시한 도면일 수 있다.
도 7a를 참조하면, 밸런스 타입의 커넥터가 연결된 경우의 회로도를 도시한다. 도 5의 회로도와 비교해 보면, 커넥터의 RING2 단자와 연결되어 있던 그라운드가 OPEN된 상태이고, 커넥터의 SLEEVE 단자와 연결되어 있던 ADC 측정 모듈과 마이크 모듈도 OPEN된 상태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는 밸런스 타입의 커넥터가 연결된 경우 커넥터의 RING2 단자와 연결된 그라운드를 OPEN시키고, 상기 RING2 단자와 SLEEVE 단자를 활용하여 밸런스 타입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도 7b를 참조하면, 언밸런스 타입의 커넥터가 연결된 경우의 회로도를 도시한다. 커넥터의 RING2 단자는 그라운드와 연결되고, 커넥터의 SLEEVE 단자는 ADC 측정 모듈 318 및 마이크 모듈 319과 연결된 상태일 수 있다. 즉,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는 언밸런스 타입의 커넥터가 연결된 경우 TIP단자와 RING1단자를 통해 언밸런스 타입의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고, SLEEVE 단자를 통해 외부 출력 장치의 마이크 기능을 활용할 수 있다.
도 7c와 7d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추가 실장된 스위치로 인해 발생된 스위치 저항 값을 보전하기 위한 회로 구성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는 커넥터의 RING2 단자와 그라운드 사이에 스위치를 실장하는데, 이 경우 스위치에 대응되는 저항 값이 추가될 수 있다. 즉, 스위치 저항 값이 추가되며, 이로 인해 오디오 신호 출력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크로스토크(crosstalk)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크로스토크 현상은 어떤 통신 회선의 전기 신호가 다른 통신 회선과 전자기적으로 결합하여 다른 통신 회선에 대하여 악영향을 미치는 현상일 수 있다. 즉, 다른 회로로부터 바람직하지 않은 에너지 영향으로 인해 발생하는 간섭 현상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위치 저항 값에 대한 저항 값 보상이 필요할 수 있다.
도 7c를 참조하면, 전자장치와 외부 출력 장치 간의 회로 연결을 도식화하고 있다. 전자장치는 외부 출력 장치의 왼쪽 오디오 신호에 L저항 값(RS) 710과 오른쪽 오디오 신호에 R 저항 값(RS) 720을 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외부 출력 장치는 내부 적으로 RL 저항 값과 RG 저항 값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는 L저항 값(RS) 710과 R 저항 값(RS) 720을 조정하여 스위치 저항 값에 대한 보상을 할 수 있다. 또한, 외부 출력 장치에 포함된 RL 저항 값과 RG 저항 값을 조정하여 스위치 저항 값에 대한 보상을 할 수도 있다.
도 7d는 도 7c에 도시된 회로도를 간략하게 도식화한 등가 회로이다. 전술된 설명에서 스위치 저항 값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크로스토크(crosstalk) 현상에 대해 설명하였다. 아래는 크로스토크를 수치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계산식이다.
Figure 112015070340734-pat00002
위의 계산식을 참조하면, RG값이 커질수록 크로스토크 현상이 심해짐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RC값이 대략 0.1Ω 증가 시 5dB 정도의 크로스토크 열화가 발생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는 RG값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RS값을 보상하는 방식으로 크로스토크 현상을 줄일 수 있다.
전자장치는 외부 출력 장치가 연결되는 경우, 테스트 신호를 활용하여 RG 값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장치는 코덱(codec) 혹은 외부의 가변 저항 장치를 통해 적정한 수준의 임피던스 값을 변경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는 스위치 저항 값에 대한 보상을 할 수 있다. 즉, 전자장치는 스위치 실장에 따른 열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7e와 7f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저항 값을 최소화하기 위한 스위치 구조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는 스위치 저항을 최소화하여 크로스 토크 성능의 열화를 최소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장치는 N-ch MOSFET 소자를 활용하여, 스위치를 구현할 수도 있다.
도 7e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는 N-ch MOSFET 소자 760, 770와 FET GATE Controller 750를 포함하는 스위칭 부 740를 사용하여, 신호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FET GATE Controller 750은 프로세서 310의 제어 하에, 두 개의 N-ch MOSFET 소자 760, 770 GATE(G) 단자에 전압을 인가하거나 그라운드(GND)로 접지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7e에서는 FET GATE Controller 750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으며, FET GATE Controller 750 대신 아날로그 스위치(analog switch) 또는 로드 스위치(road switch)를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스위칭 부 740는 두 개의 N-ch MOSFET 소자 760, 770를 포함하며, 이하에서 제 1 MOSFET 760과 제 2 MOSFET 770으로 기재한다. 스위칭 부 740는 제 1 MOSFET 760과 제 2 MOSFET 770으로 구성되며, 각각의 MOSFET GATE(G) 단자에 전압이 인가되면, 제 1 MOSFET 760과 제 2 MOSFET 770이 서로 도통되어 전기적 신호가 흐를 수 있다. N-ch MOSFET 소자는 P-ch MOSFET 소자에 비해 저항값(RSS)이 낮을 수 있다.
여기서 각각의 MOSFET GATE(G) 단자에 인가되는 전압이 높으면 높을수록 저항 값(RSS)은 더욱 낮을 수 있다. 전술된 내용을 기반으로, 스위칭 부 740는 아날로그 오디오 스위치보다 낮은 저항 값으로 스위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스위칭 부 740의 구성은 N-ch MOSFET 소자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7e는 스위칭 부 740가 켜진 상태(ON)로 언밸런스 타입의 외부 출력 장치를 지원하는 상태를 도시한다. 프로세서 310는 스위칭 부 740의 FET를 제어하여, 제 1 MOSFET 760과 제 2 MOSFET 770의 GATE(G) 단자에 전압(VBAT)을 인가할 수 있다. 부호 751은 전압(VBAT)의 흐름을 도시한다. 각각의 MOSFET GATE(G) 단자에 전압이 인가됨에 따라, 제 1 MOSFET 760과 제 2 MOSFET 770을 통해 전기적 신호가 흐를 수 있다. 즉, 제 2 MOSFET의 S단자에 연결되어 있는 그라운드(GND)로 접지되며, 외부 출력 장치 커넥터 385 의 RING2 단자가 그라운드로 접지될 수 있다. 부호 753은 스위칭 부 740가 ON 된 상태에서의 전기적 신호의 흐름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는 스위칭 부 740를 활용하여 언밸런스 타입의 외부 출력 장치를 지원할 수 있다.
도 7f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는 스위칭 부 740를 사용하여, 밸런스 타입의 외부 출력 장치를 지원할 수 있다. 도 7f는 스위칭 부 740가 꺼진 상태(OFF)로 밸런스 타입의 외부 출력 장치를 지원하는 상태를 도시한다. 프로세서 310는 스위칭 부 740를 제어하여, 제 1 MOSFET 760과 제 2 MOSFET 770의 GATE(G) 단자에 그라운드(GND)가 접지되도록 할 수 있다. 각각의 MOSFET GATE(G) 단자가 접지됨에 따라, 제 1 MOSFET 760과 제 2 MOSFET 770 간의 전기적 신호는 차단된 상태일 수 있다. 즉, 외부 출력 장치 커넥터 385의 RING2 단자는 그라운드에 접지되지 않고, R+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부호 755는 스위칭 부 740가 OFF 된 상태에서의 전기적 신호의 흐름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는 스위칭 부 740를 활용하여 밸런스 타입의 외부 출력 장치를 지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는 아날로그 스위치를 대신하여, 스위칭 부 740를 사용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전자장치는 아날로그 스위치의 저항 값으로 인해 발생하는 열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외부 출력 장치의 타입을 확인하기 위해 테스트 신호를 활용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는 외부 출력 장치가 연결될 때, 상기 외부 출력 장치의 타입(예, 밸런스 타입, 언밸런스 타입)을 확인하기 위해 테스트 신호를 활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언밸런스 타입의 외부 출력 장치가 전자장치에 연결되었을 때, 전자장치는 언밸런스 타입 커넥터의 RING2 단자와 그라운드를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언밸런스 타입의 오디오 신호는 TIP단자와 RING1 단자를 통해 외부 출력 장치로 전송되고, 상기 RING2 단자의 그라운드를 통해 응답 신호(예, 피드백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그러나 밸런스 타입의 외부 출력 장치가 전자장치에 연결되었을 때, 전자장치는 밸런스 타입 커넥터의 RING2 단자와 그라운드가 OPEN된 상태일 수 있다. 따라서, 밸런스 타입의 오디오 신호는 커넥터의 TIP단자, RING1 단자, RING2 단자, SLEEVE 단자를 활용하여 외부 출력 장치로 전송될 수 있다. 즉, 밸런스 타입의 커넥터를 지원하는 전자장치는 그라운드 단의 신호에 대응되는 응답 신호를 수신할 수 없다.
전술된 동작을 토대로, 전자장치는 테스트 신호를 활용하여 외부 출력 장치의 타입을 확인할 수 있다. 동작 801에서 프로세서 310는 외부 출력 장치의 커넥터 연결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동작 803에서 프로세서 310는 오디오 신호를 외부 출력 장치로 전송할 때, 테스트 신호를 같이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동작 805에서 프로세서 310는 그라운드 단자에서 상기 송신한 테스트 신호에 대응되는 응답 신호의 수신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상기 테스트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가 수신될 경우, 프로세서 310는 연결된 외부 출력 장치가 언밸런스 타입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동작 805에서 상기 테스트 신호에 대응되는 응답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동작 807에서 프로세서 310는 외부 출력 장치가 언밸런스 타입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 310는 상기 외부 출력 장치에게 언밸런스 타입 오디오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테스트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가 수신되지 않을 경우, 전자장치는 연결된 외부 출력 장치가 밸런스 타입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동작 805에서 상기 테스트 신호에 대응되는 응답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동작 809에서 프로세서 310는 외부 출력 장치가 밸런스 타입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 310는 상기 외부 출력 장치에게 밸런스 타입 오디오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도 9a와 9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5극 커넥터에 대한 예시도와 상기 5극 커넥터를 지원하기 위한 회로도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9a를 참조하면, 5극 커넥터는 일반적인 4극 커넥터에서 5번째 단자 950를 추가하여 5극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5극 커넥터는 기존의 4극 커넥터에서 SLEEVE 단자 다음으로 5번째 단자 950를 추가하고, SLEEVE 단자와 전기적으로 분리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5극 커넥터는 기존 4개의 단자(TIP 단자, RING1 단자, RING2 단자, SLEEVE 단자)에 하나의 단자가 추가되므로, 밸런스 타입의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면서, 5번째 단자 950는 그라운드에 연결하여 활용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5번째 단자 950는 마이크 등과 연결하여 활용할 수 있으며, 5번째 단자의 연결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5번째 단자 950를 마이크로 활용할 경우, 기존 4개의 단자는 밸런스 타입의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기 위해 이용하면서, 마이크 기능도 이용할 수 있다.
도 9b를 참조하면, 연결되는 커넥터가 5극 커넥터인 경우 전자장치가 5극 커넥터를 지원하기 위한 회로도를 도시한다. 5극 커넥터를 지원하는 전자장치의 프로세서 910는 5극 커넥터의 삽입(연결)을 확인하기 위해 5극 단자 감지 모듈 915이 추가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프로세서 910는 5극 단자 감지 모듈 915을 통해 연결되는 커넥터가 5극 커넥터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는 연결되는 커넥터가 5극 커넥터인지 여부에 따라, 상기 커넥터의 타입을 판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5극 커넥터가 밸런스 타입 커넥터라고 기 설정된 경우 프로세서 910는 5극 단자 감지 모듈 915을 통해 커넥터가 5극 커넥터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연결된 커넥터가 5극 커넥터인 경우 상기 커넥터가 밸런스 타입 커넥터임을 판단할 수 있다.
5극 단자 감지 모듈 915이외에 다른 구성부는 도 5에 도시된 전자장치의 구성부에 대응되며, 도 5에 도시된 전자장치의 구성부와 동일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다른 구성부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a와 10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다르게 구성된 5극 커넥터에 대한 예시도와 상기 다르게 구성된 5극 커넥터를 지원하기 위한 회로도를 도시한다.
도 10a를 참조하면, 기존 4극 커넥터의 단자들(예, TIP단자, RING1단자, RING2단자, SLEEVE단자) 중 한 단자의 일부에 전기적으로 분리 가능한 물질(예, 사출 1050)을 추가하여 기존 4극 커넥터와 구분할 수 있다. 이하에서, 사출 1050을 추가한 커넥터는 사출 커넥터라고 기재한다. 도 10a는 기존 4극 커넥터의 RING2단자에 사출 1050을 추가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사출 커넥터는 기존 4극 커넥터에서 특정 단자의 일부분에 사출 1050이 추가되므로, 정확한 사출 1050 위치를 판단하기 위해 분절 구조 1060가 추가될 수 있다. 분절 구조 1060는 상기 사출 커넥터의 회전을 방지하고, 상기 사출 1050을 전자장치에서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사출 커넥터에 대응하여 전자장치의 커넥터 연결부도 상기 분절 구조 1060를 삽입하기 위한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0b를 참조하면, 연결되는 커넥터가 사출 커넥터인 경우 전자장치가 상기 사출 커넥터를 지원하기 위한 회로도를 도시한다. 사출 커넥터를 지원하는 전자장치는 사출 커넥터의 분절 구조 1060가 삽입될 수 있는 커넥터 연결부가 구성될 수 있으며, 사출 1050의 유무를 판단하기 위한 사출 감지 모듈 1015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는 연결되는 커넥터가 사출 커넥터 인지 여부에 따라, 상기 커넥터가 밸런스 타입인지, 언밸런스 타입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출 커넥터가 밸런스 타입의 커넥터라고 기 설정된 경우 프로세서 1010는 사출 감지 모듈 1015을 통해 연결되는 커넥터가 사출 커넥터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사출 커넥터인 경우 상기 커넥터가 밸런스 타입 커넥터임을 판단할 수 있다.
도 10b에 도시된 사출 감지 모듈 1015이외에 다른 구성부는 도 5에 도시된 전자장치의 구성부에 대응되며, 도 5에 도시된 전자장치의 구성부와 동일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다른 구성부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1a와 11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길이에 따라 커넥터의 타입이 결정되는데 있어서, 커넥터에 대한 예시도와 상기 커넥터를 지원하기 위한 회로도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1a를 참조하면, 도 11a는 기존 4극 커넥터에서 TIP단자의 길이를 짧게 구성한 짧은 4극 커넥터를 도시한다. 이하에서, TIP 단자의 길이가 짧은 커넥터는 짧은 4극 커넥터라고 기재한다. 도 11a는 기존 4극 커넥터와 짧은 4극 커넥터를 도시하고 있으며, 짧은 4극 커넥터가 기존 4극 커넥터보다 0.5cm정도 짧은 것으로 도시한다. 0.5는 예로 들은 수치이며,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이와 같이, 짧은 4극 커넥터는 기존 4극 커넥터와 단자 길이의 차이를 기반으로 구분될 수 있다.
도 11b를 참조하면, 연결되는 커넥터가 짧은 4극 커넥터인 경우 전자장치가 상기 짧은 4극 커넥터를 지원하기 위한 회로도를 도시한다. 짧은 4극 커넥터를 지원하는 전자장치의 프로세서 1110는 짧은 4극 커넥터의 삽입(연결)을 확인하기 위해 커넥터 길이 감지 모듈 1115이 추가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프로세서 1110는 커넥터 길이 감지 모듈 1115을 통해 연결되는 커넥터가 짧은 4극 커넥터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는 연결되는 커넥터가 짧은 4극 커넥터인지 여부에 따라, 상기 커넥터의 타입을 판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짧은 4극 커넥터가 밸런스 타입 커넥터라고 기 설정된 경우 프로세서 1110는 커넥터 길이 감지 모듈 1115을 통해 연결된 커넥터가 짧은 4극 커넥터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연결된 커넥터가 짧은 4극 커넥터인 경우 상기 커넥터가 밸런스 타입 커넥터임을 판단할 수 있다. 도 11b에 도시된 회로도는 연결된 커넥터가 짧은 4극 커넥터인 경우 구성되는 회로도일 수 있다.
커넥터 길이 감지 모듈 1115 이외에 다른 구성부는 도 5에 도시된 전자장치의 구성부에 대응되며, 도 5에 도시된 전자장치의 구성부와 동일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다른 구성부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밸런스 타입의 커넥터를 지원하는 중에 전화를 수신할 경우 밸런스 타입에 대한 지원을 언밸런스 타입으로 변경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밸런스 타입 신호를 출력하기 위해 전자장치는 4개의 신호(예, L+, L-, R+, R-)를 외부 출력 장치로 전송할 필요가 있다. 즉, 전자장치에 연결되는 4극 커넥터는 밸런스 타입으로 구성될 경우 마이크를 활용할 수 없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는 밸런스 타입의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중에 전화 통화가 걸려올 경우 오디오 신호 출력 방식을 밸런스 타입에서 언밸런스 타입으로 변경하고, 사용자에게 마이크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동작 1201에서 전자장치 300의 프로세서 310는 밸런스 타입의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상태일 수 있다. 즉, 프로세서 310는 외부 출력 장치의 커넥터에게 L+, L-, R+, R- 신호를 송신하는 상태일 수 있다. 그리고 동작 1203에서 프로세서 310는 전화 수신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동작 1203에서 전화를 수신하는 경우 동작 1205에서 프로세서 310는 언밸런스 타입의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도록 스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전화가 걸려온 경우 프로세서 310는 밸런스 타입으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언밸런스 타입으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출력 장치의 커넥터에 대응하여 L+, L-, R+, R- 순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회로도에서 프로세서 310는 스위치를 제어하여 전술된 회로도의 구성을 L, R, G(GND, Ground), M(microphone)으로 변경할 수 있다. 동작 1207에서 프로세서 310가 언밸런스 타입의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경우 마이크는 활용할 수 있는 상태일 수 있다. 그리고 동작 1209에서 프로세서 310는 언밸런스 타입의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장치 300가 오디오 신호 출력 방식을 밸런스에서 언밸런스로 바꾸는 것과 함께, 외부 출력 장치의 오디오 신호 출력 방식도 밸런스에서 언밸런스로 바꿀 필요가 있다. 외부 출력 장치의 구체적인 회로 구성은 도 13a와 13b에서 설명한다.
도 13a와 13b는 밸런스 타입의 커넥터를 지원하는 중에 전화를 수신할 경우 밸런스 타입에 대한 지원을 언밸런스 타입으로 변경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3a는 밸런스 타입과 언밸런스 타입의 출력이 호환 가능한 외부 출력 장치 1300의 회로 구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출력 장치 1300는 왼쪽 출력부(L), 오른쪽 출력부(R), 마이크 부 131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커넥터를 이용하여 전자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외부 출력 장치 1300는 밸런스 타입과 언밸런스 타입, 둘 다 출력이 가능하도록 회로도가 구성될 수 있다. 도 13a는 외부 출력 장치 1300의 커넥터 구성을 L+, R+, L-, R-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13a를 참조하면, 외부 출력 장치 1300는 기본적으로 밸런스 타입의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외부 출력 장치 1300의 마이크 부 1310는 실장된 마이크와 연결되어 있지 않고, 커넥터의 R- 단자인 SLEEVE 단자에 연결될 수 있다. 외부 출력 장치 1300는 전자장치로부터 밸런스 타입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밸런스 타입 오디오 신호를 왼쪽 출력부(L)와 오른쪽 출력부(R)로 출력할 수 있다. 이 때, 커넥터의 RING2 단자에 연결된 Ground는 OPEN된 상태일 수 있다.
도 13b는 외부 출력 장치 1300가 언밸런스 타입의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기 위해 커넥터의 구성을 변경한 회로도의 예시일 수 있다. 외부 출력 장치 1300의 마이크 부 1310는 실장된 마이크와 연결하기 위해 스위치가 제어될 수 있다. 도 13b를 참조하면, 마이크 부 1310는 커넥터의 SLEEVE 단자와 연결되어 마이크로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 때, 커넥터의 RING2 단자는 Ground와 연결된 상태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는 밸런스 타입의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상태에서, 전화가 수신되면 언밸런스 타입의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전자장치는 언밸런스 타입으로의 전환에 따른 마이크 기능을 활용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마이크 부 1310에서의 스위치는 전자장치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될 수도 있고, 사용자 입력에 의해 제어될 수도 있다.
도 14a와 14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에 밸런스 타입의 커넥터가 연결되는 경우 전자장치에서 UI(User Interface)를 변경하는 예시도이다.
도 14a를 참조하면, 전자장치 300는 음악 관련 어플리케이션 1410이 실행(활성화)되고 있는 상태일 수 있다. 14a는 음악 관련 어플리케이션 1410이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전자장치 300는 오디오 출력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있는 상태일 수도 있고,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지 않는 대기 모드일 수도 있다.
도 14a에서 음악 관련 어플리케이션 1410이 실행되고 있는 상태에서 밸런스 타입의 외부 출력 장치가 전자장치 300에 연결될 수 있다. 전자장치 300는 상기 연결된 외부 출력 장치가 밸런스 타입인 것을 확인한 후, 자동적으로 고음질 모드(밸런스 타입을 지원하는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전자장치 300는 알림창 1420을 이용하여, 고음질 모드로의 전환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전자장치 300는 고음질 아이콘 1430을 표시하여, 고음질 모드로의 전환을 표시할 수도 있다. 여기서 고음질 아이콘 1430은 색상, 명암 등이 변경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전자장치 300는 시각적인 알림 이외에, 고음질 모드로의 전환을 공지하는 안내 메시지를 외부 출력 장치를 통해 출력할 수도 있다.
도 14b는 고음질 모드로의 전환을 표시하는 다른 실시예일 수 있다. 도 14b를 참조하면, 전자장치 300는 음악 관련 어플리케이션 1410이 실행되고 있는 상태에서, 밸런스 타입의 외부 출력 장치가 연결되면, 상기 음악 관련 어플리케이션 1410의 바탕 색상을 전환할 수 있다. 도 14b의 전자장치 300는 음악 관련 어플리케이션 1410의 바탕 색상을 전환하면서, 고음질 아이콘 1430도 표시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 300는 밸런스 타입의 외부 출력 장치가 연결되는 경우 자동적으로 UI를 변경하거나, 안내 음성을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고음질 모드로의 전환을 알려줄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 300는 밸런스 타입의 외부 출력 장치가 연결되는 경우 자동적으로 고음질 모드로 전환하는 것이 아니라, 알림창을 표시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고음질 모드로 전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출력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제 1 수의 단자들을 포함하는 제 1 외부 커넥터와 제 2 외부 커넥터, 또는 상기 제 1 수보다 적은 제 2 수의 단자들을 포함하는 제 3 외부 커넥터 중 어느 하나를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리셉터클(receptacle)과 연결된 회로를 통해 상기 제 1 외부 커넥터 또는 상기 제 2 외부 커넥터 또는 상기 제 3 외부 커넥터의 삽입을 확인하고, 상기 제 1 외부 커넥터가 삽입된 것을 확인한 경우, 제 1 방식으로 오디오 출력을 상기 제 1 외부 커넥터에게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외부 커넥터가 삽입된 것을 확인한 경우, 상기 제 1 방식과 상이한 제 2 방식(a second manner)으로 오디오 출력을 상기 제 2 외부 커넥터에게 제공하고, 상기 제 3 외부 커넥터가 삽입된 것을 확인한 경우, 상기 제 1 방식 및 상기 제 2 방식과 상이한 상기 제 3 방식으로 오디오 출력을 상기 제 3 외부 커넥터에게 제공할 수 있다.
전술된 제 1 수는 4개이고, 제 2 수는 3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제 1 외부 커넥터는 제 1 스피커 및 제 2 스피커를 포함하는 외부 음향 장치에 유선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 1 외부 커넥터의 상기 제 1 수의 단자들 중 2개의 단자들을 통하여 상기 제 1 스피커 및 제 2 스피커에 오디오 출력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외부 커넥터가 전자장치에 삽입된 것을 확인한 경우, 전자장치는 상기 제 1 외부 커넥터의 상기 제 1 수의 단자들 중 상기 2개의 단자들과 다른 하나의 단자를 통하여 상기 외부 음향 장치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제 2 외부 커넥터는 제 1 스피커 및 제 2 스피커를 포함하는 외부 음향 장치에 유선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 2 외부 커넥터의 상기 제 1 수의 단자들 중 2개의 단자들을 통하여 상기 제 1 스피커에 제 1 오디오 출력을 제공하고, 상기 제 1 수의 단자들 중 다른 2개의 단자들을 통하여 상기 제 2 스피커에 제 2 오디오 출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는 상기 리셉터클에 삽입된 상기 제 1, 제2, 또는 제 3 외부 커넥터의 단자들 중 적어도 일부의 단자를 통하여 전압 또는 임피던스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전압 또는 임피던스에 기초하여, 상기 리셉터클에 삽입된 외부 커넥터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장치는 상기 검출된 전압 또는 임피던스에 기초하여 상기 오디오 출력을 조절하고, 상기 조절된 오디오 출력을 상기 제 1 외부 커넥터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출력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전자장치의 회로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판단 및 오디오 출력 동작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예를 들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firmware)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하는 단위(unit)를 의미할 수 있다. "모듈"은, 예를 들면, 유닛(unit), 로직(logic), 논리 블록(logical block), 부품(component), 또는 회로(circuit) 등의 용어와 바꾸어 사용(interchangeably use)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모듈"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도 있다. "모듈"은 기계적으로 또는 전자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모듈"은, 알려졌거나 앞으로 개발될, 어떤 동작들을 수행하는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칩, FPGAs(field-programmable gate arrays) 또는 프로그램 가능 논리 장치(programmable-logic devi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장치(예: 모듈들 또는 그 기능들) 또는 방법(예: 동작들)의 적어도 일부는, 예컨대, 프로그램 모듈의 형태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readable storage media)에 저장된 명령어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명령어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가 상기 명령어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예를 들면, 메모리가 될 수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마그네틱 매체(magnetic media)(예: 자기테이프),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예: CD-ROM(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ersatile disc),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예: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 하드웨어 장치(예: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또는 플래시 메모리 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 명령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다양한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모듈 또는 프로그램 모듈은 전술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거나, 일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추가적인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모듈, 프로그램 모듈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 병렬적, 반복적 또는 휴리스틱(heuristic)한 방법으로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동작은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예는 개시된, 기술 내용의 설명 및 이해를 위해 제시된 것이며, 본 문서에서 기재된 기술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문서의 범위는, 본 문서의 기술적 사상에 근거한 모든 변경 또는 다양한 다른 실시예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 언밸런스 타입 커넥터 111 : TIP 단자
113 : RING1 단자 115 : RING2 단자
117 : SLEEVE 단자 120 : 밸런스 타입 커넥터

Claims (17)

  1. 전자장치에 있어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 형성된 개구(opening);
    상기 개구와 이어진 홀(hole);
    상기 홀 내부에 배치되고, 제 1 외부 커넥터 또는 제 2 외부 커넥터, 또는 제 3 외부 커넥터 중 어느 하나를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리셉터클(receptacle); 및
    상기 리셉터클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외부 커넥터 및 제 2 외부 커넥터는 각각 제 1 수의 단자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 3 외부 커넥터는, 상기 제 1 수보다 적은 제 2 수의 단자들을 포함하고,
    상기 회로는,
    상기 제 1 외부 커넥터 또는 상기 제 2 외부 커넥터 또는 상기 제 3 외부 커넥터 중 하나의 외부 커넥터가 상기 리셉터클에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리셉터클에 삽입된 외부 커넥터의 단자들 중 적어도 일부의 단자를 통하여 전압 또는 임피던스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전압 또는 임피던스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외부 커넥터 또는 상기 제 2 외부 커넥터 또는 상기 제 3 외부 커넥터 중 상기 리셉터클에 삽입된 외부 커넥터의 종류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제 1 외부 커넥터가 삽입된 경우, 제 1 방식(a first manner)으로 오디오 출력을 상기 제 1 외부 커넥터에 제공하고,
    상기 제 2 외부 커넥터가 삽입된 경우, 상기 제 1 방식과 상이한 제 2 방식(a second manner)으로 오디오 출력을 상기 제 2 외부 커넥터에 제공하고,
    상기 제 3 외부 커넥터가 삽입된 경우, 상기 제 1 방식 및 상기 제 2 방식과 상이한 제 3 방식으로 오디오 출력을 상기 제 3 외부 커넥터에 제공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삽입된 외부 커넥터가 밸런스 타입의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동안, 전화 통화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전화 통화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밸런스 타입의 오디오 신호를 언밸런스 타입의 오디오 신호로 변경하여 출력하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수는 4개이고, 제 2 수는 3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외부 커넥터는 제 1 스피커 및 제 2 스피커를 포함하는 외부 음향 장치에 유선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 1 외부 커넥터가 삽입된 경우, 상기 회로는,
    상기 제 1 외부 커넥터의 상기 제 1 수의 단자들 중 2개의 단자들을 통하여 상기 제 1 스피커 및 제 2 스피커에 오디오 출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외부 커넥터가 삽입된 경우, 상기 회로는,
    상기 제 1 외부 커넥터의 상기 제 1 수의 단자들 중 상기 2개의 단자들과 다른 하나의 단자를 통하여 상기 외부 음향 장치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외부 커넥터는 제 1 스피커 및 제 2 스피커를 포함하는 외부 음향 장치에 유선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 2 외부 커넥터가 삽입된 경우, 상기 회로는,
    상기 제 2 외부 커넥터의 상기 제 1 수의 단자들 중 2개의 단자들을 통하여 상기 제 1 스피커에 제 1 오디오 출력을 제공하고, 상기 제 1 수의 단자들 중 다른 2개의 단자를 통하여 상기 제 2 스피커에 제 2 오디오 출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판단 및 오디오 출력 동작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는,
    상기 제 1 외부 커넥터가 삽입된 경우, 상기 검출된 전압 또는 임피던스에 기초하여 상기 오디오 출력을 조절하고, 상기 조절된 오디오 출력을 상기 제 1 외부 커넥터에 제공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는,
    상기 리셉터클에 삽입된 외부 커넥터의 단자들 중 제 1 단자를 그라운드에 연결하고,
    상기 리셉터클에 삽입된 외부 커넥터의 단자들 중 제 2 단자 및 상기 그라운드 사이의 전압 또는 임피던스를 검출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리셉터클에 삽입된 외부 커넥터를 판단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커넥터 타입에 따른 출력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제 1 수의 단자들을 포함하는 제 1 외부 커넥터와 제 2 외부 커넥터, 또는 상기 제 1 수보다 적은 제 2 수의 단자들을 포함하는 제 3 외부 커넥터 중 어느 하나를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리셉터클(receptacle)과 연결된 회로를 통해 상기 제 1 외부 커넥터 또는 상기 제 2 외부 커넥터 또는 상기 제 3 외부 커넥터 중 하나의 외부 커넥터가 상기 리셉터클에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동작;
    상기 상기 리셉터클에 삽입된 외부 커넥터의 단자들 중 적어도 일부의 단자를 통하여 전압 또는 임피던스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전압 또는 임피던스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외부 커넥터, 상기 제 2 외부 커넥터, 또는 상기 제 3 외부 커넥터 중 상기 리셉터클에 삽입된 외부 커넥터의 종류를 판단하는 동작;
    상기 제 1 외부 커넥터가 삽입된 것을 확인한 경우, 제 1 방식(a first manner)으로 오디오 출력을 상기 제 1 외부 커넥터에게 제공하는 동작;
    상기 제 2 외부 커넥터가 삽입된 것을 확인한 경우, 상기 제 1 방식과 상이한 제 2 방식(a second manner)으로 오디오 출력을 상기 제 2 외부 커넥터에게 제공하는 동작; 및
    상기 제 3 외부 커넥터가 삽입된 것을 확인한 경우, 상기 제 1 방식 및 상기 제 2 방식과 상이한 제 3 방식으로 오디오 출력을 상기 제 3 외부 커넥터에게 제공하는 동작; 을 포함하고,
    상기 삽입된 외부 커넥터가 밸런스 타입의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동안, 전화 통화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전화 통화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밸런스 타입의 오디오 신호를 언밸런스 타입의 오디오 신호로 변경하여 출력하는 출력 제어 방법.
  11. ◈청구항 1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는 4개이고, 상기 제 2 수는 3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력 제어 방법.
  12. ◈청구항 1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외부 커넥터는 제 1 스피커 및 제 2 스피커를 포함하는 외부 음향 장치에 유선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 1 방식으로 오디오 출력을 상기 제 1 외부 커넥터에게 제공하는 동작은,
    상기 제 1 외부 커넥터의 상기 제 1 수의 단자들 중 2개의 단자들을 통하여 상기 제 1 스피커 및 제 2 스피커에 오디오 출력을 제공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출력 제어 방법.
  13. ◈청구항 1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외부 커넥터가 삽입된 것을 확인한 경우, 상기 제 1 외부 커넥터의 상기 제 1 수의 단자들 중 상기 2개의 단자들과 다른 하나의 단자를 통하여 상기 외부 음향 장치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출력 제어 방법.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외부 커넥터는 제 1 스피커 및 제 2 스피커를 포함하는 외부 음향 장치에 유선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 2 방식으로 오디오 출력을 상기 제 2 외부 커넥터에게 제공하는 동작은,
    상기 제 2 외부 커넥터의 상기 제 1 수의 단자들 중 2개의 단자들을 통하여 상기 제 1 스피커에 제 1 오디오 출력을 제공하고, 상기 제 1 수의 단자들 중 다른 2개의 단자들을 통하여 상기 제 2 스피커에 제 2 오디오 출력을 제공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출력 제어 방법.
  15. 삭제
  16. ◈청구항 1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출력을 상기 제 1 외부 커넥터에게 제공하는 동작은,
    상기 검출된 전압 또는 임피던스에 기초하여 상기 오디오 출력을 조절하는 동작; 및 상기 조절된 오디오 출력을 상기 제 1 외부 커넥터에게 제공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출력 제어 방법.
  17. ◈청구항 1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하는 동작은,
    상기 리셉터클에 삽입된 외부 커넥터의 단자들 중 제 1 단자를 그라운드에 연결하는 동작;
    상기 리셉터클에 삽입된 외부 커넥터의 단자들 중 제 2 단자 및 상기 그라운드 사이의 전압 또는 임피던스를 검출하는 동작; 및 상기 검출된 전압 또는 임피던스에 기초하여, 상기 리셉터클에 삽입된 외부 커넥터를 판단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출력 제어 방법.

KR1020150102640A 2015-07-20 2015-07-20 커넥터 타입에 따른 출력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24002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2640A KR102400297B1 (ko) 2015-07-20 2015-07-20 커넥터 타입에 따른 출력 제어 방법 및 장치
US15/215,202 US9949024B2 (en) 2015-07-20 2016-07-20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output based on type of connector
CN201610578911.1A CN106375901B (zh) 2015-07-20 2016-07-20 基于连接器的类型控制输出的方法和设备
EP16180417.4A EP3122064B1 (en) 2015-07-20 2016-07-20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output based on type of connec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2640A KR102400297B1 (ko) 2015-07-20 2015-07-20 커넥터 타입에 따른 출력 제어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0677A KR20170010677A (ko) 2017-02-01
KR102400297B1 true KR102400297B1 (ko) 2022-05-23

Family

ID=57123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2640A KR102400297B1 (ko) 2015-07-20 2015-07-20 커넥터 타입에 따른 출력 제어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949024B2 (ko)
EP (1) EP3122064B1 (ko)
KR (1) KR102400297B1 (ko)
CN (1) CN10637590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1900B1 (ko) * 2018-08-28 2020-02-03 부전전자 주식회사 스마트폰용 유에스비 타입 이어폰 젠더
US10952000B1 (en) * 2019-11-07 2021-03-16 Sling Media Pvt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balanced audio detection and conversion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72494B1 (ko) 1995-09-28 1999-03-30 김광호 평형출력을 위한 오디오 기기
KR0178677B1 (ko) * 1996-08-26 1999-05-15 삼성전자주식회사 하이 엔드 오디오 기기의 밸런스 입력레벨 자동 조절회로
JP3656334B2 (ja) * 1996-09-05 2005-06-08 ソニー株式会社 ステレオ音声/映像装置の接続装置
EP0999721A3 (en) * 1998-11-07 2003-05-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ice for controlling connection of built-in type ear-microphone for portable radio terminal
US20020181729A1 (en) * 2001-06-01 2002-12-05 Smith Richard C. Hearing enhancement communication link
US7890284B2 (en) * 2002-06-24 2011-02-15 Analog Devices, Inc. Identif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recognizing any one of a number of different types of devices
JP2005318120A (ja) * 2004-04-27 2005-11-10 Sharp Corp オーディオ機器
KR101085919B1 (ko) * 2004-08-13 2011-11-23 삼성전자주식회사 아날로그 스위치를 이용한 오디오/비디오 신호와 헤드폰신호의 선택적 출력장치 및 방법
KR100907451B1 (ko) 2004-10-25 2009-07-13 노키아 코포레이션 비디오/오디오 플러그를 통하여 전자 장치에 연결된 주변장치의 감지, 식별 및 동작
KR100619055B1 (ko) 2004-11-16 2006-08-31 삼성전자주식회사 오디오/비디오 시스템의 스피커 모드 자동 설정 방법 및장치
US7635265B2 (en) * 2007-10-31 2009-12-22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Electrical volume control using contacts on rotatable connector, and method
CN101588531A (zh) * 2008-05-23 2009-11-25 林碧芬 可输出立体声的无线耳机装置及其输出立体声的方法
WO2010091551A1 (zh) * 2009-02-13 2010-08-19 深圳华为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实现音频连接器接口转用的方法及终端设备
US8244927B2 (en) * 2009-10-27 2012-08-14 Fairchild Semiconductor Corporation Method of detecting accessories on an audio jack
US8573861B2 (en) 2009-11-19 2013-11-05 Apple Inc. Audio jacks with optical and electrical paths
US8824696B2 (en) * 2011-06-14 2014-09-02 Vocollect, Inc. Headset signal multiplexing system and method
US9497559B2 (en) * 2011-07-22 2016-11-15 Fairchild Semiconductor Corporation MIC/GND detection and automatic switch
KR101878873B1 (ko) * 2011-09-14 2018-07-17 삼성전자주식회사 공용 커넥터를 이용하여 음향의 멀티 채널 집음 및 출력이 가능한 모바일 기기, 및 그 구동방법
US20130108064A1 (en) * 2011-11-01 2013-05-02 Erturk D. Kocalar Connectors for invoking and supporting device testing
TWI462396B (zh) * 2011-11-04 2014-11-21 Wistron Corp 訊號連接模組、電子裝置及其接頭辨識之方法
GB2509316B (en) * 2012-12-27 2015-02-25 Wolfson Microelectronics Plc Detection circuit
CN105247887A (zh) * 2013-06-07 2016-01-13 索尼公司 输入装置和传送方法、主机装置和接收方法以及信号处理系统和收发方法
US9338570B2 (en) * 2013-10-07 2016-05-10 Nuvoton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n integrated headset switch with reduced crosstalk noise
KR102262218B1 (ko) * 2015-01-28 2021-06-09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어잭 인식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14936호(2006.02.16.) 1부*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5-318120호(2005.11.10.) 1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122064A1 (en) 2017-01-25
EP3122064B1 (en) 2019-04-10
CN106375901A (zh) 2017-02-01
US9949024B2 (en) 2018-04-17
US20170026745A1 (en) 2017-01-26
KR20170010677A (ko) 2017-02-01
CN106375901B (zh) 2020-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75142B1 (ko) 연결 장치 및 장치 인식 방법
KR102393364B1 (ko) 오디오 신호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장치
EP3518508B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by which electronic device recognizes connection terminal of external device
KR102386551B1 (ko) 연결 장치 및 장치 인식 방법
KR102600788B1 (ko) 액세서리를 인식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2328803B1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 접속부의 이상 여부 판단 방법
US9973855B2 (e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output depending on type of external output device
KR102353514B1 (ko)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180074370A (ko) 커넥터의 부식을 방지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2391940B1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이어폰 삽입 오인식 방지 방법
KR20160064842A (ko) 이어잭 단자 내 이물질 확인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160105227A (ko) 관통 홀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544778B1 (ko) 누설 전류를 검출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20160049794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방수 판단 방법
KR20180044602A (ko) 케이블 삽입을 감지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2400297B1 (ko) 커넥터 타입에 따른 출력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70023507A (ko) 외부 장치 인식 방법 및 그 방법을 처리하는 전자 장치
KR102429394B1 (ko) 오디오 액세서리 및 오디오 출력 방법
KR102388712B1 (ko) 스피커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508334B1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노이즈 제거 방법
KR20170070655A (ko) 회전잭 홀더를 구비한 전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