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0108B1 - 전자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전자 기기 제어 시스템 및 그 전자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전자 기기 제어 시스템 및 그 전자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0108B1
KR102400108B1 KR1020170135415A KR20170135415A KR102400108B1 KR 102400108 B1 KR102400108 B1 KR 102400108B1 KR 1020170135415 A KR1020170135415 A KR 1020170135415A KR 20170135415 A KR20170135415 A KR 20170135415A KR 102400108 B1 KR102400108 B1 KR 1024001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at
electronic device
command
control signal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54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43401A (ko
Inventor
고영민
김기현
배석민
연정모
옥현우
임성빈
하태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354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0108B1/ko
Priority to US16/649,797 priority patent/US20200280619A1/en
Priority to EP18869250.3A priority patent/EP3657732B1/en
Priority to PCT/KR2018/011814 priority patent/WO2019078527A1/ko
Publication of KR201900434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34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01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01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2Standardisation; Integration
    • H04L41/0226Mapping or translating multi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08Protocols for interworking; Protocol conver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2Standardisation; Integration
    • H04L41/022Multivendor or multi-standard integ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04L12/2818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from a device located outside both the home and the hom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3Processing of data at an internetworking point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36Protocol conversion between an external network and a hom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04L67/125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involving control of end-device applications over a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6Provisioning of proxy services
    • H04L67/565Conversion or adaptation of application format or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ultimedia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Abstract

전자 기기 제어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시스템은, 제1 및 제2 포맷의 명령어 중 하나에 의해 제어되는 전자 기기, 전자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외부 서버로 전송하는 단말 장치 및 외부 서버로부터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제어 신호에 기초해서 전자 기기의 타입을 식별하고, 전자 기기가 제1 포맷의 명령어에 의해 동작하는 타입의 전자 기기이고, 제어 신호가 제1 포맷의 명령어를 포함하는 경우, 제어 신호를 전자 기기로 전송하고, 전자 기기가 제2 포맷의 명령어에 의해 동작하는 타입의 전자 기기이고, 제어 신호가 제1 포맷의 명령어를 포함하는 경우, 제어 신호에 포함된 제1 포맷의 명령어를 제2 포맷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명령어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전자 기기로 전송하는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자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전자 기기 제어 시스템 및 그 전자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 {ELECTRONIC APPARATUS CONTROL SYSTEM FOR CONTROLLING THE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자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전자 기기 제어 시스템 및 그 전자기기를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전자 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전자 기기 제어 시스템 및 그 전자기기를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기술 및 무선 통신 기술의 발전으로, 다양한 전자 기기가 개발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사물(Things)간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는 기술인 사물 인터넷(IoT(Internet of Things)) 기술이 개발되었다. 이러한 사물 인터넷은, 기존의 유비쿼터스(USN(Ubiquitous Sensor Network))나 사물 지능 통신(M2M(Machine to Machine))의 진화된 형태로써, 통신 기능이 탑재된 사물들을 네트워크에 연결하여 상호간 통신이 가능하도록 함에 특징이 있다.
여기에서, 다양한 사물(이하, 'IoT 디바이스'라고 한다)들은 사물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버에 연결됨으로써, 사물 인터넷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서버에 연결된 스마트 폰 등의 전자 장치에 IoT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입력함으로써, 시간 및 장소의 제한 없이 용이하게 IoT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최근에는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사물들을 네트워크에 연결한다는 목표 아래 사물 인터넷의 통신 규약을 표준화하려는 움직임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그런데, 기존의 사물 인터넷 통신 표준이 변경됨에 따라 한 가정 내에는 서로 다른 통신 표준에 따라 동작하는 복수의 IoT 디바이스가 존재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서로 다른 통신 표준에 따라 동작하는 각각의 IoT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해서, 각 통신 표준에 따른 제어 명령을 전송할 수 있는 각 어플리케이션을 스마트 폰에 모두 설치해야만 하는 불편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해서, 서로 다른 통신 표준에 기초해서 동작하는 복수의 IoT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는 전자 기기 제어 시스템 및 그 전자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기기 제어 시스템은, 제1 및 제2 포맷의 명령어 중 하나에 의해 제어되는 전자 기기, 상기 전자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외부 서버로 전송하는 단말 장치 및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어 신호에 기초해서 상기 전자 기기의 타입을 식별하고, 상기 전자 기기가 상기 제1 포맷의 명령어에 의해 동작하는 타입의 전자 기기이고, 상기 제어 신호가 상기 제1 포맷의 명령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전자 기기로 전송하고, 상기 전자 기기가 상기 제2 포맷의 명령어에 의해 동작하는 타입의 전자 기기이고, 상기 제어 신호가 상기 제1 포맷의 명령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어 신호에 포함된 상기 제1 포맷의 명령어를 상기 제2 포맷으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명령어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전자 기기로 전송하는 서버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제1 및 제2 포맷 중 하나는 OCF(Open Connectivity Foundation) 표준에 따른 포맷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자 기기는 상기 제어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응답 신호에 포함된 상태어의 포맷이 제1 포맷이면, 상기 응답 신호를 상기 외부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응답 신호에 포함된 상태어의 포맷이 제2 포맷이면, 상기 상태어의 포맷을 제1 포맷으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상태어를 포함하는 응답 신호를 상기 외부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자 기기는 상기 전자 기기의 상태 정보가 변경되는 경우, 상기 변경된 상태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상태 정보에 포함된 상태어의 포맷을 판단하고, 상기 상태어가 상기 제1 포맷이면, 상기 상태 정보를 상기 외부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상태어가 상기 제2 포맷이면, 상기 상태 정보에 포함된 상기 제2 포맷의 상태어를 상기 제1 포맷으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상태어를 포함하는 상태 정보를 상기 외부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기기를 제어하는 서버는 상기 전자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어 신호에 기초해서 상기 전자 기기의 타입을 식별하고, 상기 전자 기기가 제1 포맷의 명령어에 의해 동작하는 타입의 전자 기기이고, 상기 제어 신호가 상기 제1 포맷의 명령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전자 기기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전자 기기가 제2 포맷의 명령어에 의해 동작하는 타입의 전자 기기이고, 상기 제어 신호가 상기 제1 포맷의 명령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어 신호에 포함된 상기 제1 포맷의 명령어를 상기 제2 포맷으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명령어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전자 기기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1 및 제2 포맷 중 하나는 OCF(Open Connectivity Foundation) 표준에 따른 포맷이 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제1 포맷의 명령어에 의해 동작하는 타입의 적어도 하나의 전자 기기 및 상기 제2 포맷의 명령어에 의해 동작하는 타입의 적어도 하나의 전자 기기에 대한 기기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어 신호에 포함된 상기 전자 기기의 기기 정보와 상기 저장된 기기 정보에 기초해서, 상기 전자 기기가 상기 제1 포맷의 명령어에 의해 동작하는 타입의 전자 기기인지 상기 제2 포맷의 명령어에 의해 동작하는 타입의 전자 기기인지를 식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 포맷의 명령어에 매칭하여 상기 제2 포맷의 명령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저장된 명령어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 신호에 포함된 상기 제1 포맷의 명령어에 매칭되는 상기 제2 포맷의 명령어를 판단하고, 상기 제어 신호에 포함된 상기 제1 포맷의 명령어를 상기 제2 포맷의 명령어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명령어를 포함하는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전자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기기로부터 상기 제어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응답 신호에 포함된 상태어의 포맷을 판단하고, 상기 상태어가 상기 제1 포맷이면, 상기 응답 신호를 상기 외부 서버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상태어가 상기 제2 포맷이면, 상기 상태어의 포맷을 상기 제1 포맷으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상태어를 포함하는 응답 신호를 상기 외부 서버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기기의 상태 정보가 변경되는 경우, 상기 전자 기기로부터 상기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기기로부터 상기 전자 기기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상태 정보에 포함된 상태어의 포맷을 판단하고, 상기 상태어가 상기 제1 포맷이면, 상기 상태 정보를 상기 외부 서버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상태어가 상기 제2 포맷이면, 상기 상태 정보에 포함된 상기 제2 포맷의 상태어를 상기 제1 포맷으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상태어를 포함하는 상태 정보를 상기 외부 서버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제1 포맷의 상태어에 매칭하여 상기 제2 포맷의 상태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저장된 상태어에 기초하여, 상기 상태 정보에 포함된 상기 제2 포맷의 명령어에 매칭되는 상기 제1 포맷의 명령어를 판단하고, 상기 상태 정보에 포함된 상기 제2 포맷의 상태어를 상기 제1 포맷의 상태어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상태어를 포함하는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전자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기기는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상기 전자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전자 기기가 제1 포맷의 명령어에 기초해서 동작하는 기기인 경우, 상기 제1 포맷의 명령어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 기기가 제2 포맷의 명령어에 기초해서 동작하는 기기인 경우, 상기 제2 포맷의 명령어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한 제어 신호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상기 전자 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어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응답 신호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응답 신호는 상기 전자 기기가 상기 제1 포맷의 명령어에 기초해서 동작하는 기기인 경우 상기 제1 포맷의 상태어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 기기가 상기 제2 포맷의 명령어에 기초해서 동작하는 기기인 경우 상기 제1 포맷의 상태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기기의 상태 정보가 변경되는 경우, 상기 상태 정보를 상기 외부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상태 정보는 상기 전자 기기가 상기 제1 포맷의 명령어에 기초해서 동작하는 기기인 경우 상기 제1 포맷의 상태어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 기기가 상기 제2 포맷의 명령어에 기초해서 동작하는 기기인 경우 상기 제1 포맷의 상태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장치는 외부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전자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외부 서버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신호는 제1 포맷의 명령어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서버는 상기 제1 포맷의 명령어를 포함하는 상기 제어 신호를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서버는 전자 기기가 제1 포맷의 명령어에 의해 동작하는 타입의 전자 기기이면,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전자 기기로 전송하고, 상기 전자 기기가 제2 포맷의 명령어에 의해 동작하는 타입의 전자 기기이면, 상기 제어 신호에 포함된 상기 제1 포맷의 명령어를 상기 제2 포맷으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명령어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전자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어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응답 신호는, 상기 전자 기기가 상기 제1 포맷의 명령어에 기초해서 동작하는 기기인 경우 상기 제1 포맷의 상태어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 기기가 상기 제2 포맷의 명령어에 기초해서 동작하는 기기인 경우 상기 제1 포맷의 상태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전자 기기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상태 정보는, 상기 전자 기기가 상기 제1 포맷의 명령어에 기초해서 동작하는 기기인 경우 상기 제1 포맷의 상태어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 기기가 상기 제2 포맷의 명령어에 기초해서 동작하는 기기인 경우 상기 제1 포맷의 상태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기기 제어 시스템에 의해, 전자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은, 단말 장치에 의해, 상기 전자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외부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어 신호에 기초해서 상기 전자 기기의 타입을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전자 기기가 상기 제1 포맷의 명령어에 의해 동작하는 타입의 전자 기기이고, 상기 제어 신호가 상기 제1 포맷의 명령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전자 기기로 전송하고, 상기 전자 기기가 상기 제2 포맷의 명령어에 의해 동작하는 타입의 전자 기기이고, 상기 제어 신호가 상기 제1 포맷의 명령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어 신호에 포함된 상기 제1 포맷의 명령어를 상기 제2 포맷으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명령어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전자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1 및 제2 포맷 중 하나는 OCF(Open Connectivity Foundation) 표준에 따른 포맷이 될 수 있다.
한편, 본 제어 방법은 상기 전자 기기에 의해, 상기 제어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응답 신호에 포함된 상태어의 포맷이 제1 포맷이면, 상기 응답 신호를 상기 외부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응답 신호에 포함된 상태어의 포맷이 제2 포맷이면, 상기 상태어의 포맷을 제1 포맷으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상태어를 포함하는 응답 신호를 상기 외부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제어 방법은, 상기 전자 기기의 상태 정보가 변경되는 경우, 상기 전자 기기에 의해, 상기 변경된 상태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상태 정보에 포함된 상태어의 포맷을 판단하고, 상기 상태어가 상기 제1 포맷이면, 상기 상태 정보를 상기 외부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상태어가 상기 제2 포맷이면, 상기 상태 정보에 포함된 상기 제2 포맷의 상태어를 상기 제1 포맷으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상태어를 포함하는 상태 정보를 상기 외부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에 의해, 전자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은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전자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어 신호에 기초해서 상기 전자 기기의 타입을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전자 기기가 제1 포맷의 명령어에 의해 동작하는 타입의 디바이스이고, 상기 제어 신호가 상기 제1 포맷의 명령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전자 기기로 전송하고, 상기 전자 기기가 제2 포맷의 명령어에 의해 동작하는 타입의 디바이스이고, 상기 제어 신호가 상기 제1 포맷의 명령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어 신호에 포함된 상기 제1 포맷의 명령어를 상기 제2 포맷으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명령어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전자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1 및 제2 포맷 중 하나는 OCF(Open Connectivity Foundation) 표준에 따른 포맷이 될 수 있다.
한편, 본 제어 방법은 상기 제1 포맷의 명령어에 의해 동작하는 타입의 적어도 하나의 전자 기기 및 상기 제2 포맷의 명령어에 의해 동작하는 타입의 적어도 하나의 전자 기기에 대한 기기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 신호에 포함된 상기 전자 기기의 기기 정보와 상기 저장된 기기 정보에 기초해서, 상기 전자 기기가 상기 제1 포맷의 명령어에 의해 동작하는 타입의 디바이스인지 상기 제2 포맷의 명령어에 의해 동작하는 타입의 디바이스인지를 식별할 수 있다.
또한, 본 제어 방법은 상기 제1 포맷의 명령어에 매칭하여 상기 제2 포맷의 명령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저장된 명령어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 신호에 포함된 상기 제1 포맷의 명령어에 매칭되는 상기 제2 포맷의 명령어를 판단하고, 상기 제어 신호에 포함된 상기 제1 포맷의 명령어를 상기 제2 포맷의 명령어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명령어를 포함하는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전자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제어 방법은, 상기 전자 기기로부터 상기 제어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응답 신호에 포함된 상태어의 포맷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상태어가 상기 제1 포맷이면, 상기 응답 신호를 상기 외부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상태어가 상기 제2 포맷이면, 상기 상태어의 포맷을 상기 제1 포맷으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상태어를 포함하는 응답 신호를 상기 외부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제어 방법은 상기 전자 기기의 상태 정보가 변경되는 경우, 상기 전자 기기로부터 상기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제어 방법은 상기 전자 기기로부터 상기 전자 기기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상태 정보에 포함된 상태어의 포맷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상태어가 상기 제1 포맷이면, 상기 상태 정보를 상기 외부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상태어가 상기 제2 포맷이면, 상기 상태 정보에 포함된 상기 제2 포맷의 상태어를 상기 제1 포맷으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상태어를 포함하는 상태 정보를 상기 외부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제어 방법은 상기 제1 포맷의 상태어에 매칭하여 상기 제2 포맷의 상태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저장된 상태어에 기초하여, 상기 상태 정보에 포함된 상기 제2 포맷의 명령어에 매칭되는 상기 제1 포맷의 명령어를 판단하고, 상기 상태 정보에 포함된 상기 제2 포맷의 상태어를 상기 제1 포맷의 상태어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상태어를 포함하는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전자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해서 종래의 사물 인터넷 통신 표준에 따라 동작하는 IoT 디바이스는 물론, 변경된 사물 인터넷 통신 표준에 따라 동작하는 IoT 디바이스를 제어 할 수 있다.
또한, IoT 서비스업자는 변경된 사물 인터넷 통신 표준에 따라 동작하는 새로운 서버를 구축할 필요 없이, 종래의 IoT 서버를 계속 이용해서 종래의 사물 인터넷 통신 표준에 따라 동작하는 IoT 디바이스에 대한 서비스는 물론, 변경된 사물 인터넷 통신 표준에 따라 동작하는 IoT 디바이스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물 인터넷 네트워크의 범용성 및 확장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물 인터넷 시스템(100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타입에 따라 제어 신호에 포함된 명령어를 변환하는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로 다른 포맷의 명령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타입에 따라 응답 신호 및 상태 정보에 포함된 상태어를 변환하는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로 다른 포맷의 상태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상세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기기 제어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가 전자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환 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그 중에서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개시된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권리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른 뜻이 아닌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성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한다는 것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모듈' 혹은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며,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모듈' 혹은 복수의 '부'는 특정한 하드웨어로 구현될 필요가 있는 '모듈' 혹은 '부'를 제외하고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물 인터넷 시스템(100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기기 제어 시스템(1000)은, 서버(100), 외부 서버(200), 단말 장치(300)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 기기(4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전자 기기 제어 시스템(1000)은 사물 인터넷 시스템이 될 수 있고, 이 경우 전자 기기(400)는 IoT 디바이스가 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사물 인터넷으로 구현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사물 인터넷 외에도 서로 다른 통신 규약을 사용하는 다양한 전자 기기에 적용될 수 있다.
사물 인터넷(IoT)은 통신 기능이 탑재된 IoT 디바이스를 네트워크에 연결하여 사람과 사물 또는 사물과 사물 간 정보를 주고 받는 기술을 의미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물 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있는 IoT 디바이스는 에어컨(400-1), 세탁기(400-2), 냉장고(400-3), 로봇 청소기(400-4) 등의 다양한 가전 기기가 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실시 예일 뿐, IoT 디바이스의 종류가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일 예로, IoT 디바이스는 컴퓨터, 노트북, 센서, 자동차, 도어 잠금 장치, 게임기, 보안 장치 등 주변의 모든 사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IoT 디바이스는 서버(100)와 연결되어 사물 인터넷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버(100)는 연결된 IoT 디바이스로부터 IoT 디바이스의 상태 정보 등을 수신하고, 수신한 정보를 다른 IoT 디바이스로 전송함으로써, 사물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0)는 에어컨(400-1)으로부터 현재 주위 습도가 기설정된 값 이상이라는 상태 정보를 수신한 경우, 수신한 상태 정보를 사용자의 스마트 폰 등의 IoT 디바이스로 전송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사물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물 인터넷 네트워크는 단말 장치(300)가 서버(100)에 연결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서버(100)는 단말 장치(300)로부터 IoT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수신한 제어 신호를 제어의 대상이 되는 IoT 디바이스로 전송함으로써, 사물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0)는 단말 장치(300)로부터 에어컨(400-1)의 전원을 온 시키는 명령을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한 경우, 수신한 제어 신호를 에어컨(400-1)으로 전송하고, 에어컨(400-1)은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오프 상태의 전원을 온 시킴으로써, 사용자에게 사물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단말 장치(3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폰(Smart Phone)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실시 예일 뿐, 단말 장치(300)는 셀룰러 폰(Cellular Phone), 태블릿 PC(Tablet PC), 스마트 TV, 디지털 카메라, 개인용 디지털 보조장치(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원격 제어 장치(Remote Controller),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노트북, 데스크 탑 컴퓨터 등과 같은 다양한 전자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IoT 디바이스 및 단말 장치(300)는 지그비(Zigbee), 와이 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이동 통신, 근거리 통신(LAN), 광역 통신(WAN) 등 다양한 통신 링크를 통해 서버(100)와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사물 인터넷은 IoT 디바이스, 서버 및 단말 장치가 하나의 네트워크를 구성해야 실현 가능하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사물 인터넷과 관련된 다양한 표준화 단체들이 활동 중이다. 각 표준화 단체는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사물들을 하나의 네트워크에 연결한다는 목표 아래 사물 인터넷의 통신 규약을 표준화하려는 움직임을 활발히 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글로벌 단체인 OCF(Open Connectivity Foundation)에서 개방형 사물 인터넷 플랫폼을 개발한 바 있다. 여기에서, 개방형 사물 인터넷 플랫폼은, 소스가 오픈 된 통신 표준을 의미하는 것으로써, 이로 인해 각 업체는 자체적으로 통신 규격을 개발할 필요 없이, OCF에서 개발한 통신 규격을 이용하여 IoT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새로운 통신 표준을 이용한 IoT 디바이스의 등장에 따라서, 한 가정 내에는 종래의 통신 표준에 따라 동작하는 IoT 디바이스(이하, 'Legacy IoT 디바이스'라고 한다.) 및 새로운 통신 표준에 따라 동작하는 IoT 디바이스(이하, 'OCF IoT 디바이스'라고 한다.)가 함께 존재 할 수 있다.
이 경우, 종래의 단말 장치(300)는 서로 다른 통신 표준에 따라 동작하는 각각의 IoT 디바이스(400)를 제어하기 위해서, IoT 디바이스(400)가 채택한 통신 표준과 동일한 통신 표준에 따라 동작하는 각 어플리케이션을 모두 설치해야만 했다. 이는, 단말 장치를 통해 입력된 제어 명령이 IoT 디바이스에 적용되기 위해서는 IoT 디바이스가 인식할 수 있는 명령어 체계의 제어 명령을 IoT 디바이스로 전송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각 어플리케이션을 모두 단말 장치(300)에 설치 한 뒤, 제어하고자 하는 IoT 디바이스에 따라 상이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서 제어 명령을 입력해야만 하는 불편이 있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복수의 IoT 디바이스(400) 중에서 일부는 종래의 통신 표준에 따라 동작하는 Legacy IoT 디바이스가 될 수 있고, 다른 일부는 새로운 통신 표준에 따라 동작하는 OCF IoT 디바이스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외부 서버(200)는 Legacy IoT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서버(200)로써, 종래의 통신 표준에 따라 동작하는 서버가 될 수 있다.
이 경우, 종래의 단말 장치는 Legacy IoT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및 OCF IoT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각각 설치해야 했고, Legacy IoT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서버(200) 및 OCF IoT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서버(미도시)와 각각 통신을 수행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Legacy IoT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해 외부 서버(200)를 운영 중이던 업체는, OCF의 통신 표준에 따르는 IoT 디바이스의 등장에 따라, OCF IoT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서버(미도시)를 별도로 더 구축해야 하는 문제도 있었다.
이에 따라, 단말 장치에 Legacy IoT 디바이스 및 OCF IoT 디바이스 각각을 제어하기 위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할 필요 없이, Legacy IoT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및 OCF IoT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중 하나를 이용하여 Legacy IoT 디바이스 및 OCF IoT 디바이스 모두를 제어할 수 있는 있도록 하는 서버(100)의 필요성이 증대되었다.
또한, OCF IoT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서버(미도시)를 별도로 구축함에 따른 비용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종래의 서버(200)를 이용해서 새로이 등장한 OCF IoT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서버(100)의 필요성 또한 증대되었다.
이하, 상술한 필요성에 따라 등장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100)를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100)는 통신부(110) 및 프로세서(120)를 포함한다.
통신부(110)는 외부 서버(200) 및 IoT 디바이스(400)와 통신을 수행하여, 다양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10)는 단말 장치(300)를 통해 입력된 IoT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외부 서버(200)로부터 수신할 수 있고, 수신한 제어 신호를 IoT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10)는 IoT 디바이스로부터 IoT 디바이스의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한 상태 정보를 외부 서버(2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한편, 이는 일 실 실시 예일 뿐, 통신부(110)는 사물 인터넷 서비스와 관련된 다양한 데이터를 외부 서버(200) 및 IoT 디바이스(400)와 송수신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통신부(110)는 무선 통신을 통해서 외부 서버(200) 및 IoT 디바이스(400)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에서, 무선 통신은 LTE(long-term evolution), LTE-A(LTE Advance),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WiBro(Wireless Broadband), 또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등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은 근거리 통신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근거리 통신은 WiFi 다이렉트(wireless fidelity direct), 블루투스(Bluetooth),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지그비(Zigbee) 중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통신부(110)는 WiFi 모듈, 블루투스 모듈, 무선 통신 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통신부(110)는 유선 통신을 통해서도 IoT 디바이스(400)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에서, 유선 통신은 USB(universal serial bus),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RS-232(recommended standard232), 또는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서버(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먼저, 프로세서(120)는 통신부(110)를 통해 외부 서버(200)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어 신호는 외부 서버(200)가 단말 장치(300)로부터 수신한 신호로써, IoT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의미한다. 그리고, 제어 신호에는 제어의 대상이 되는 디바이스에 대한 ID 정보 및 특정 포맷의 명령어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컨의 전원을 온 하기 위한 제어 신호의 경우, 제어 신호에는 에어컨에 대한 ID 정보(가령, "Device ID _ Air Conditional") 및 전원을 온 하기 위한 명령어(가령, "{"x.com.samsung.da.power": "On"})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20)는 외부 서버(200)로부터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제어 신호에 기초해서 IoT 디바이스의 타입을 식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20)는 제어 신호에 포함된 디바이스의 기기 정보에 기초해서 제어의 대상이 되는 IoT 디바이스가 Legacy 타입의 IoT 디바이스인지 또는 OCF 타입의 IoT 디바이스인지를 식별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여기에서 Legacy 타입의 IoT 디바이스는 종래의 통신 표준에 따라 동작하는 IoT 디바이스이고, OCF 타입의 IoT 디바이스는 변경된 통신 표준인 OCF 통신 표준에 따라 동작하는 IoT 디바이스가 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프로세서(120)는 저장부(미도시)에 저장된 복수의 IoT 디바이스에 대한 기기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저장부(미도시)에는 모델 분류 체계에 따라 구분된 복수의 IoT 디바이스에 대한 기기 정보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즉, 저장부(미도시)에는 후술할 제1 포맷의 명령어에 의해 동작하는 타입의 적어도 하나의 IoT 디바이스 및 제2 포맷의 명령어에 의해 동작하는 타입의 적어도 하나의 IoT 디바이스로 분류된 기기 정보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미도시)는 Legacy IoT 디바이스 모델 및 OCF IoT 디바이스 모델별로 구분된 기기 정보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즉, 저장부(미도시)는 Legacy IoT 디바이스 모델에 매칭하여, 종래의 통신 표준에 따라 동작하는 디바이스의 ID 정보를 매칭하여 저장하고, OCF IoT 디바이스 모델에 매칭하여, OCF 통신 표준에 따라 동작하는 디바이스의 ID 정보를 매칭하여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여기에서, 각 모델에 매칭된 디바이스의 ID 정보는, 디바이스의 고유의 ID 정보를 나타내는 UUID(Universally Unique Identifier)가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120)는 제어 신호에 포함된 제어 명령의 대상이 되는 디바이스의 ID 정보 및 저장부(미도시)에 저장된 디바이스의 ID 정보를 비교하여, 해당 IoT 디바이스가 Legacy IoT 디바이스 모델인지 또는 OCF IoT 디바이스 모델인지를 식별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20)는 IoT 디바이스가 후술할 제1 포맷의 명령어에 의해 동작하는 타입의 디바이스인지 또는 제2 포맷의 명령어에 의해 동작하는 타입의 디바이스인지를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20)는 식별된 IoT 디바이스의 타입 및 제어 신호에 포함된 명령어의 포맷에 기초해서, 제어 신호에 포함된 명령어의 포맷 변환 여부를 결정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20)는 제어 대상이 되는 IoT 디바이스가 제1 포맷의 명령어에 의해 동작하는 타입의 디바이스이고 제어 신호에 제1 포맷의 명령어가 포함된 경우이면, 제어 신호에 포함된 명령어의 포맷을 변환하지 않고, 제어 신호를 IoT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반해, 프로세서(120)는 IoT 디바이스가 제2 포맷의 명령어에 의해 동작하는 타입의 디바이스이고 제어 신호에 제1 포맷의 명령어가 포함된 경우이면, 제어 신호에 포함된 명령어를 제2 포맷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명령어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IoT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포맷의 명령어는 Legacy IoT 디바이스에 적용되는 포맷의 명령어가 될 수 있고, 제2 포맷의 명령어는 OCF IoT 디바이스에 적용되는 포맷의 명령어가 될 수 있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IoT 디바이스의 타입에 따라 제어 신호에 포함된 명령어를 변환하는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한 가정 내에는 Legacy IoT 디바이스(400-1) 및 OCF IoT 디바이스(400-2)가 함께 존재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100)는 명령어의 포맷을 변환하기 위한 어댑터(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먼저, 프로세서(120)는 외부 서버(200)로부터 IoT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 대상이 되는 IoT 디바이스의 타입을 식별한다.
그리고, 제어 대상이 되는 IoT 디바이스의 타입이 Legacy IoT 디바이스(400-1) 타입이고, 제어 신호에 포함된 명령어의 포맷이 Legacy IoT 디바이스에 적용되는 포맷의 명령어일 경우, 프로세서(120)는 명령어의 포맷을 변환하지 않고, 수신한 제어 신호를 Legacy IoT 디바이스(400-1)로 전송할 수 있다. 이는, IoT 디바이스(400-1)가 인식할 수 있는 포맷의 명령어로 제어 신호가 전송되었기 때문이다.
이에 반해, 제어 대상이 되는 IoT 디바이스의 타입이 OCF IoT 디바이스(400-2) 타입이고, 제어 신호에 포함된 명령어의 포맷이 Legacy IoT 디바이스에 적용되는 포맷의 명령어일 경우, 프로세서(120)는 명령어의 포맷을 OCF IoT 디바이스에 적용되는 포맷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명령어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OCF IoT 디바이스(400-2)로 전송할 수 있다. 이는, OCF IoT 디바이스(400-2)가 인식할 수 없는 포맷의 명령어를 외부 서버(200)로부터 수신하였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명령어의 포맷을 변환함으로써, OCF IoT 디바이스(400-2)는 인식할 수 포맷의 명령어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한 제어 신호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서는 명령어의 포맷을 변환하기 위한 어댑터(130)가 프로세서(120)와 별개의 장치인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어댑터(130)는 프로세서(120)에 포함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한편, 프로세서(120)는 명령어의 포맷을 변환함에 있어서 저장부(미도시)에 저장된 제1 및 제2 포맷의 명령어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20)는 저장부(미도시)에는 제1 포맷의 명령어에 매칭된 제2 포맷의 명령어를 이용하여 제1 포맷의 명령어를 제2 포맷의 명령어로 변환할 수 있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로 다른 포맷의 명령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저장부(미도시)에는 제1 포맷의 명령어에 매칭된 제2 포맷의 명령어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포맷의 명령어는 Legacy IoT 디바이스가 인식할 수 있는 포맷의 명령어가 될 수 있고, 제2 포맷의 명령어는 OCF IoT 디바이스가 인식할 수 있는 포맷의 명령어가 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20)는 제어 대상이 되는 IoT 디바이스의 타입이 OCF IoT 디바이스(400-2) 타입이고, 제어 신호에 포함된 명령어의 포맷이 Legacy IoT 디바이스에 적용되는 포맷의 명령어일 경우, 저장부(미도시)에 저장된 제1 및 제2 포맷의 명령어 정보를 이용하여, 제어 신호에 포함된 명령어의 포맷을 OCF IoT 디바이스(400-2)가 인식할 수 있는 포맷으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신호에 포함된 명령어가 OCF IoT 디바이스(400-2)의 전원을 온 하기 위한 명령(가령, property: {"rt": [ "set.operation" ], "if": [ "set.baseline", "oic.if.a" ], "x.com.samsung.da.power": "On" })인 경우, 프로세서(120)는 저장부(미도시)에 저장된 명령어 정보에 기초해서, 제1 포맷의 명령어인 {"x.com.samsung.da.power": "On" } 에 매칭된 제2 포맷의 명령어인 {"Operation": { "power": "On" }}를 판단하고, 제어 신호의 포맷을 제2 포맷인 {"Operation": { "power": "On" }}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OCF IoT 디바이스(400-2)는 변환된 명령어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변환된 명령어를 인식하여 전원을 온 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제1 및 제2 포맷의 명령어는 일 예일 뿐, 각 명령어의 포맷이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즉, 각 명령어의 포맷은 표준화 단체가 선택한 체계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전원의 온, 오프 및 동작 레벨을 조절하는 제어 명령 역시 일 실시 예일 뿐이면, IoT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의 종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100)는 제어 대상이 되는 IoT 디바이스의 타입에 따라서 명령어의 포맷을 변환함에 따라, 사용자는 단말 장치에 하나의 어플리케이션만 설치하고도 서로 다른 통신 표준에 따라 동작하는 각 IoT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IoT 서비스업자는 변경된 사물 인터넷 통신 표준에 따라 동작하는 새로운 서버를 구축할 필요 없이, 종래의 IoT 서버를 계속 이용해서 종래의 사물 인터넷 통신 표준에 따라 동작하는 IoT 디바이스에 대한 서비스는 물론, 변경된 사물 인터넷 통신 표준에 따라 동작하는 IoT 디바이스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제1 포맷의 명령어는 Legacy IoT 디바이스가 인식할 수 있는 명령어이고, 제2 포맷의 명령어는 OCF IoT 디바이스가 인식할 수 있는 명령어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그 역의 경우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외부 서버(200)로부터 OCF IoT 디바이스가 인식할 수 있는 포맷의 명령어를 수신할 경우, 프로세서(120)는 먼저 제어 명령의 대상이 되는 IoT 디바이스의 타입을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 대상인 IoT 디바이스가 Legacy IoT 디바이스인 경우, 프로세서(120)는 저장부(미도시)에 저장된 제1 및 제2 포맷 명령어 정보에 기초해서, 수신한 명령어의 포맷을 Legacy IoT 디바이스가 인식할 수 있는 포맷의 명령어로 변환한 뒤, 변환된 명령어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IoT 디바이스로 전송하고, 제어 대상인 IoT 디바이스가 OCF IoT 디바이스인 경우, 수신한 명령어의 포맷을 변환하지 않고 전송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20)는 IoT 디바이스로부터 제어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 또는 IoT 디바이스의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IoT 디바이스의 타입에 따라 응답 신호 및 상태 정보에 포함된 상태어를 변환하는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한 가정 내에는 Legacy IoT 디바이스(400-1) 및 OCF IoT 디바이스(400-2)가 함께 존재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100)는 명령어의 포맷을 변환하기 위한 어댑터(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먼저, 프로세서(120)는 IoT 디바이스로부터 제어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IoT 디바이스의 상태 정보가 변경된 경우, IoT 디바이스로부터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응답 신호 및 상태 정보에는 상태어가 포함될 수 있다. 상태어는 IoT 디바이스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태어가 {property: {"rt": [ "set.operation" ], "if": [ "set.baseline", "oic.if.a" ], "x.com.samsung.da.power": "On"}} 인 경우, 상태어는 에어컨의 전원이 온 된 상태라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20)는 응답 신호 또는 상태 정보가 수신되면, 응답 신호 또는 상태 정보에 포함된 상태어의 포맷을 판단하여, 포맷의 변환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태어가 제1 포맷이고 외부 서버(200)가 제1 포맷에 대응되는 통신 표준으로 동작하는 서버이면, 프로세서(120)는 응답 신호를 외부 서버(200)로 전송하도록 통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20)는 상태어의 포맷을 변환하지 않고, 응답 신호를 외부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는, IoT 디바이스(400-1) 및 외부 서버(200)가 동일한 통신 표준을 이용하는 경우로써, 외부 서버(200)에 연결된 단말 장치(300)는 상태어를 인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반해, 상태어가 제2 포맷이고 외부 서버(200)가 제1 포맷에 대응되는 통신 표준으로 동작하는 서버이면, 프로세서(120)는 상태어의 포맷을 제1 포맷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상태어를 포함하는 응답 신호를 외부 서버(200)로 전송하도록 통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는, 외부 서버(200)와 연결된 단말 장치(300)가 인식할 수 없는 포맷의 명령어를 서버(100)가 IoT 디바이스(400-2)로부터 수신하였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상태어를 변환하여 전송함으로써, 외부 서버(200)는 단말 장치(300)가 인식 가능한 포맷의 상태어를 서버(100)로부터 수신할 수 있고, 단말 장치(300)는 IoT 디바이스(400-2)의 현재 상태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한편, 도 5에서는 상태어의 포맷을 변경하기 위한 어댑터(130)가 프로세서(120)와 별개의 장치인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어댑터(130)는 프로세서(120)에 포함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한편, 프로세서(120)는 상태어의 포맷을 변환함에 있어서 저장부(미도시)에 저장된 제1 및 제2 포맷의 상태어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20)는 저장부(미도시)에는 제1 포맷의 상태어에 매칭된 제2 포맷의 상태어를 이용하여 제1 포맷의 상태어를 제2 포맷의 상태어로 변환할 수 있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로 다른 포맷의 상태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저장부(미도시)에는 제1 포맷의 상태어에 매칭된 제2 포맷의 상태어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포맷의 상태어는 Legacy IoT 디바이스가 전송하는 포맷의 상태어가 될 수 있고, 제2 포맷의 상태어는 OCF IoT 디바이스가 전송하는 포맷의 상태어가 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20)는 외부 서버(200)가 제1 포맷의 상태어에 기초해서 동작하는 서버이고, 응답 신호 또는 상태 정보에 포함된 상태어의 포맷이 OCF IoT 디바이스에 적용되는 포맷의 명령어일 경우, 저장부(미도시)에 저장된 제1 및 제2 포맷의 상태어 정보를 이용하여, 응답 신호 또는 상태 정보에 포함된 상태어의 포맷을 외부 서버(200)와 연결된 단말 장치(300)가 인식할 수 있는 포맷으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응답 신호 또는 상태 정보에 포함된 상태어가 OCF IoT 디바이스(400-2)가 건조 동작 중임을 나타내는 상태어인 경우 (가령, {"rt": [ "set.operation" ], "if": [ "set.baseline", "oic.if.a" ], " "Operation": { "power": "On" }})인 경우, 프로세서(120)는 저장부(미도시)에 저장된 상태어 정보에 기초해서, 제2 포맷의 상태어인 "Operation": { "power": "On" }에 매칭된 제1 포맷의 상태어인 {"x.com.samsung.da.power": "On"}을 판단하고 응답 신호 또는 상태정보에 포함된 상태어의 포멧을 {"x.com.samsung.da.power": "On"}으로 변환 할 수 있다.이에 따라, 외부 서버(200)는 서버(100)로부터 변환된 상태어를 포함하는 응답 신호 또는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단말 장치(300)는 변환된 상태어를 인식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IoT 디바이스의 현재 상태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제1 및 제2 포맷의 상태어는 일 예일 뿐, 각 상태어의 포맷이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즉, 각 상태어의 포맷은 표준화 단체가 선택한 체계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전원의 온 상태, 건조 중인 동작 상태 등의 상태어 역시 일 실시 예일 뿐이면, IoT 디바이스의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어의 종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상세 블록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100')는 통신부(110), 프로세서(120), 어댑터(130), API 제어부(140), 필터(150), 이벤트 수신부(160), 이벤트 프로세서(170), 이벤트 송신부(180) 및 인터페이스(190)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설명 부분과 중복되는 부분은 생략 내지 축약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IoT 디바이스와 외부 서버 및 단말 장치가 서로 다른 통신 규약에 기초해서 동작하는 경우를 상정하여 설명한다. 즉, IoT 디바이스는 OFC 통신 표준에 따른 포맷에 따라 동작하고, 외부 서버 및 단말 장치는 Legacy 통신 표준에 따른 포맷에 따라 동작하는 경우에 기초해서 설명한다.
API 제어부(140)는 서로 다른 통신 규약에 기초하여 동작하는 디바이스간의 연결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PI 제어부(140)는 서로 다른 통신 규약에 기초하여 동작하는 IoT 디바이스 및 단말 장치간의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즉, API 제어부(140)는 어느 하나의 통신 규약에서 다른 통신 규약의 동작이 수행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서브 루틴 또는 함수의 집합으로 정의될 수 있다.
필터(150)는 API 제어부(140)를 통해서 외부 서버(200)로부터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제어 신호를 OCF IoT 디바이스의 통신 규약에 대응되도록 변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OCF IoT 디바이스 및 단말 장치는 통신 규약이 상이하므로, 전송되는 정보의 형식, 전달 방식이 상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OCF IoT 디바이스가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하도록 하기 위해서, 필터(150)는 외부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제어 신호를 OCF IoT 디바이스의 통신 규약에 대응되도록 변환할 수 있다.
한편, 여기에서 변환되는 정보는 제어 신호의 형식 내지 전달 방식 등으로써, 전술한 명령어 내지 상태어 포맷과는 구분되는 개념이다.
통신부(110)는 필터(150)에 의해 변환된 제어 신호를 IoT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전송되는 제어 신호는 필터(150)에 의해 제어 신호의 형식 내지 전달 방식 등이 변환된 신호임은 물론, 프로세서(120)에 의해 변환된 포맷의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Legacy 통신 표준에 따른 제어 신호가 외부 서버(200)로부터 수신되는 경우라도, 서버(100')는 변환된 제어 신호를 OCF IoT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고, 이에 따라 OCF IoT 디바이스는 제어 신호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벤트 수신부(160)는 IoT 디바이스에 이벤트가 발생하면 이벤트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벤트 수신부(160)는 IoT 디바이스의 상태 정보가 변경되면 상태 정보를 IoT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이벤트 수신부(160)는 수신한 이벤트를 임시 저장하고, 이벤트 프로세서(170)로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벤트 프로세서(170)는 이벤트 수신부(160)에 저장된 상태 정보를 흐름 제어(Flow Control) 방식에 따라 처리함으로써, 저장된 데이터를 유효하게 가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흐름 제어란, 데이터를 수신하는 측이 기설정된 전송 속도를 유지하면서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하도록 하는 제어를 의미한다.
이벤트 프로세서(170)는 이벤트가 처리되면 처리된 이벤트를 저장부(미도시)에 임시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미도시)는 IoT 디바이스에 상태 정보 변경에 대한 이벤트를 IoT 디바이스에 매칭시켜서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이벤트 프로세서(170)는 처리된 이벤트를 필터(150)를 통해 필터링 한 후, 외부 서버(200) 또는 단말 장치(300)로 전송하도록 이벤트 송신부(18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에서, 필터링은 단말 장치(300)가 처리된 이벤트를 인식할 수 있도록, 처리된 이벤트를 단말 장치(300)가 따르는 통신 규약에 대응되도록 변환함을 의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벤트 송신부(180)는 IoT 디바이스의 상태 정보를 외부 서버(200) 또는 단말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고, 사용자는 IoT 디바이스의 현재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인터페이스(190)는 IoT 디바이스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에서, 인터페이스는 CoAP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기기 제어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단말 장치에는 파트너사의 어플리케이션 또는 Legacy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단말 장치는 파트너사의 어플리케이션 및 Legacy 어플리케이션을 통해서 외부 서버(Legacy Cloud)와 통신하여 다양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 장치는 Legacy 기기 또는 OCF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외부 서버(Legacy Cloud)로 전송(S810)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어 신호는 종래의 통신 표준에 대응되는 제1 포맷의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외부 서버(Legacy Cloud)는 단말 장치로부터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수신한 제어 신호를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는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제어 신호에 기초해서 전자 기기의 타입을 식별(S820)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는 제어 신호에 포함된 전자 기기의 ID 정보를 디바이스 모델 분류 테이블과 비교하여, 전자 기기의 타입을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는 전자 기기가 제1 포맷의 명령어에 의해 동작하는 Legacy 기기라고 판단되면,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한 제어 신호를 Legacy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Legacy 기기는 제어 신호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서버는 전자 기기가 제2 포맷의 명령어에 의해 동작하는 OCF 기기라고 판단되면, 제1 포맷의 명령어를 OCF 표준에 대응되는 제2 포맷의 명령어로 변환하고, 변환된 명령어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OCF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OCF 기기는 제어 신호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는 파트너사의 어플리케이션 또는 Legacy 어플리케이션을 통해서, 종래의 통신 표준에 따른 포맷의 명령어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OCF 통신 표준에 따른 포맷의 명령어로 변환하고, 변환된 포맷의 명령어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OCF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OCF Cloud와 통신하기 위한 별도의 OCF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할 필요 없이, 기존에 설치된 파트너사의 어플리케이션 또는 Legacy 어플리케이션을 그대로 이용해서, OCF 기기까지 제어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한편, 단말 장치에는 OCF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단말 장치는 OCF 어플리케이션을 통해서 외부 서버(OCF Cloud)와 통신하여 다양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 장치는 Legacy 기기 또는 OCF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외부 서버(OCF Cloud)로 전송(S840)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어 신호는 OCF 통신 표준에 대응되는 제2 포맷의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외부 서버(OCF Cloud)는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한 제어 신호를 종래의 통신 표준에 따라 동작하는 외부 서버(Legacy Cloud)로 전송할 수 있고, 서버는 외부 서버(Legacy Cloud)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다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서버는 OCF Cloud로부터 직접적으로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그리고, 서버는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제어 신호에 기초해서 전자 기기의 타입을 식별(S820)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는 제어 신호에 포함된 전자 기기의 ID 정보를 디바이스 모델 분류 테이블과 비교하여, 전자 기기의 타입을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는 전자 기기가 제1 포맷의 명령어에 의해 동작하는 Legacy 기기라고 판단되면,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한 제어 신호를 종래의 통신 표준에 대응되는 제1 포맷의 명령어로 변환하고, 변환된 명령어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Legacy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Legacy 기기는 제어 신호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서버는 전자 기기가 제2 포맷의 명령어에 의해 동작하는 OCF 기기라고 판단되면,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한 제어 신호를 OCF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OCF 기기는 제어 신호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서버는 외부 서버로부터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제어 신호에 기초해서 전가 기기의 타입을 식별할 수 있다(S910). 여기에서, 전자 기기는, 사물 인터넷 하의 IoT 디바이스가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는 제어 신호에 포함된 디바이스의 기기 정보에 기초해서 제어의 대상이 되는 전자 기기가 Legacy 타입의 전자 기기인지 또는 OCF 타입의 전자 기기인지를 식별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서버는 저장부(미도시)에 저장된 복수의 전자 기기에 대한 기기 정보를 이용하여 전자 기기의 타입을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는 전자 기기가 제1 포맷의 명령어에 의해 동작하는 타입의 디바이스이고, 제어 신호가 제1 포맷의 명령어를 포함하는 경우, 제어 신호를 전자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S920). 이는, 전자 기기및 외부 서버가 동일한 통신 표준을 이용하는 경우로써, 전자 기기는 제어 신호에 포함된 명령어를 인식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서버는 전자 기기가 제2 포맷의 명령어에 의해 동작하는 타입의 디바이스이고, 제어 신호가 제1 포맷의 명령어를 포함하는 경우, 제어 신호에 포함된 제1 포맷의 명령어를 제2 포맷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명령어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전자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이는, 전자 기기가 인식할 수 없는 포맷의 명령어를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하였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명령어의 포맷을 변환함으로써, 전자 기기는 인식할 수 포맷의 명령어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한 제어 신호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은, 기존 디스플레이 장치에 설치 가능한 소프트웨어 또는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은, 기존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또는 하드웨어 업그레이드만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비된 임베디드 서버,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 외부의 서버를 통해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가 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판독 가능 매체에는 외부 서버로부터 전자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제어 신호에 기초해서 전자 기기의 타입을 식별하는 단계 및 전자 기기가 제1 포맷의 명령어에 의해 동작하는 타입의 디바이스이고, 제어 신호가 제1 포맷의 명령어를 포함하는 경우, 제어 신호를 IoT 디바이스로 전송하고, IoT 디바이스가 제2 포맷의 명령어에 의해 동작하는 타입의 디바이스이고, 제어 신호가 제1 포맷의 명령어를 포함하는 경우, 제어 신호에 포함된 제1 포맷의 명령어를 제2 포맷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명령어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IoT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서버
200: 외부 서버
300: 단말 장치
400: 전자 기기

Claims (30)

  1. 전자 기기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제1 및 제2 포맷의 명령어 중 하나에 의해 제어되는 전자 기기;
    상기 전자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외부 서버로 전송하는 단말 장치; 및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어 신호에 포함된 상기 전자 기기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서버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전자 기기에 대한 기기 정보에 기초해서 상기 전자 기기가 제1 포맷의 명령어에 의해 동작하는 타입의 전자 기기인지 또는 제2 포맷의 명령어에 의해 동작하는 타입의 전자 기기인지를 식별하고,
    상기 전자 기기가 상기 제1 포맷의 명령어에 의해 동작하는 타입의 전자 기기로 식별되고, 상기 제어 신호가 상기 제1 포맷의 명령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전자 기기로 전송하고,
    상기 전자 기기가 상기 제2 포맷의 명령어에 의해 동작하는 타입의 전자 기기로 식별되고, 상기 제어 신호가 상기 제1 포맷의 명령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어 신호에 포함된 상기 제1 포맷의 명령어를 상기 제2 포맷으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명령어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전자 기기로 전송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제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포맷 중 하나는 OCF(Open Connectivity Foundation) 표준에 따른 포맷인, 전자 기기 제어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기기는 상기 제어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응답 신호에 포함된 상태어의 포맷이 제1 포맷이면, 상기 응답 신호를 상기 외부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응답 신호에 포함된 상태어의 포맷이 제2 포맷이면, 상기 상태어의 포맷을 제1 포맷으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상태어를 포함하는 응답 신호를 상기 외부 서버로 전송하는, 전자 기기 제어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기기는 상기 전자 기기의 상태 정보가 변경되는 경우, 상기 변경된 상태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상태 정보에 포함된 상태어의 포맷을 판단하고,
    상기 상태어가 상기 제1 포맷이면, 상기 상태 정보를 상기 외부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상태어가 상기 제2 포맷이면, 상기 상태 정보에 포함된 상기 제2 포맷의 상태어를 상기 제1 포맷으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상태어를 포함하는 상태 정보를 상기 외부 서버로 전송하는, 전자 기기 제어 시스템.
  5. 전자 기기를 제어하는 서버에 있어서,
    상기 전자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어 신호에 포함된 상기 전자 기기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서버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전자 기기에 대한 기기 정보에 기초해서 상기 전자 기기가 제1 포맷의 명령어에 의해 동작하는 타입의 전자 기기인지 또는 제2 포맷의 명령어에 의해 동작하는 타입의 전자 기기인지를 식별하고,
    상기 전자 기기가 제1 포맷의 명령어에 의해 동작하는 타입의 전자 기기로 식별되고, 상기 제어 신호가 상기 제1 포맷의 명령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전자 기기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전자 기기가 제2 포맷의 명령어에 의해 동작하는 타입의 전자 기기로 식별되고, 상기 제어 신호가 상기 제1 포맷의 명령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어 신호에 포함된 상기 제1 포맷의 명령어를 상기 제2 포맷으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명령어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전자 기기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서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포맷 중 하나는 OCF(Open Connectivity Foundation) 표준에 따른 포맷인, 서버.
  7. 삭제
  8. ◈청구항 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포맷의 명령어에 매칭하여 상기 제2 포맷의 명령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저장된 명령어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 신호에 포함된 상기 제1 포맷의 명령어에 매칭되는 상기 제2 포맷의 명령어를 판단하고, 상기 제어 신호에 포함된 상기 제1 포맷의 명령어를 상기 제2 포맷의 명령어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명령어를 포함하는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전자 기기로 전송하는, 서버.
  9. ◈청구항 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기기로부터 상기 제어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응답 신호에 포함된 상태어의 포맷을 판단하고,
    상기 상태어가 상기 제1 포맷이면, 상기 응답 신호를 상기 외부 서버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상태어가 상기 제2 포맷이면, 상기 상태어의 포맷을 상기 제1 포맷으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상태어를 포함하는 응답 신호를 상기 외부 서버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서버.
  10. ◈청구항 1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기기의 상태 정보가 변경되는 경우, 상기 전자 기기로부터 상기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서버.
  11. ◈청구항 1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기기로부터 상기 전자 기기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상태 정보에 포함된 상태어의 포맷을 판단하고,
    상기 상태어가 상기 제1 포맷이면, 상기 상태 정보를 상기 외부 서버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상태어가 상기 제2 포맷이면, 상기 상태 정보에 포함된 상기 제2 포맷의 상태어를 상기 제1 포맷으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상태어를 포함하는 상태 정보를 상기 외부 서버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서버
  12. ◈청구항 1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포맷의 상태어에 매칭하여 상기 제2 포맷의 상태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저장된 상태어에 기초하여, 상기 상태 정보에 포함된 상기 제2 포맷의 명령어에 매칭되는 상기 제1 포맷의 명령어를 판단하고, 상기 상태 정보에 포함된 상기 제2 포맷의 상태어를 상기 제1 포맷의 상태어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상태어를 포함하는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전자 기기로 전송하는, 서버.
  13. 전자 기기에 있어서,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상기 전자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제어 신호에 포함된 상기 전자 기기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서버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전자 기기에 대한 기기 정보에 기초해서 상기 전자 기기가 제1 포맷의 명령어에 의해 동작하는 타입의 전자 기기인지 또는 제2 포맷의 명령어에 의해 동작하는 타입의 전자 기기인지를 식별하고,
    상기 전자 기기가 제1 포맷의 명령어에 의해 동작하는 타입의 전자 기기로 식별되고, 상기 제어 신호가 상기 제1 포맷의 명령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전자 기기로 전송하고,
    상기 전자 기기가 제2 포맷의 명령어에 의해 동작하는 타입의 전자 기기로 식별되고, 상기 제어 신호가 상기 제1 포맷의 명령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어 신호에 포함된 상기 제1 포맷의 명령어를 상기 제2 포맷으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명령어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전자 기기로 전송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한 제어 신호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상기 전자 기기를 제어하는, 전자 기기.
  14. ◈청구항 1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어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응답 신호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응답 신호는,
    상기 전자 기기가 상기 제1 포맷의 명령어에 기초해서 동작하는 기기인 경우 상기 제1 포맷의 상태어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 기기가 상기 제2 포맷의 명령어에 기초해서 동작하는 기기인 경우 상기 제1 포맷의 상태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15. ◈청구항 1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기기의 상태 정보가 변경되는 경우, 상기 상태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상태 정보는,
    상기 전자 기기가 상기 제1 포맷의 명령어에 기초해서 동작하는 기기인 경우 상기 제1 포맷의 상태어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 기기가 상기 제2 포맷의 명령어에 기초해서 동작하는 기기인 경우 상기 제1 포맷의 상태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16. 단말 장치에 있어서,
    외부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전자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외부 서버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신호는 제1 포맷의 명령어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서버는,
    상기 제1 포맷의 명령어를 포함하는 상기 제어 신호를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서버는,
    상기 제어 신호에 포함된 상기 전자 기기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서버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전자 기기에 대한 기기 정보에 기초해서 상기 전자 기기가 제1 포맷의 명령어에 의해 동작하는 타입의 전자 기기인지 또는 제2 포맷의 명령어에 의해 동작하는 타입의 전자 기기인지를 식별하고,
    상기 전자 기기가 제1 포맷의 명령어에 의해 동작하는 타입의 전자 기기로 식별되면,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전자 기기로 전송하고,
    상기 전자 기기가 제2 포맷의 명령어에 의해 동작하는 타입의 전자 기기로 식별되면, 상기 제어 신호에 포함된 상기 제1 포맷의 명령어를 상기 제2 포맷으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명령어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전자 기기로 전송하는, 단말 장치.
  17. ◈청구항 1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어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응답 신호는,
    상기 전자 기기가 상기 제1 포맷의 명령어에 기초해서 동작하는 기기인 경우 상기 제1 포맷의 상태어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 기기가 상기 제2 포맷의 명령어에 기초해서 동작하는 기기인 경우 상기 제1 포맷의 상태어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
  18. ◈청구항 1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전자 기기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상태 정보는,
    상기 전자 기기가 상기 제1 포맷의 명령어에 기초해서 동작하는 기기인 경우 상기 제1 포맷의 상태어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 기기가 상기 제2 포맷의 명령어에 기초해서 동작하는 기기인 경우 상기 제1 포맷의 상태어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
  19. 전자 기기 제어 시스템에 의해, 전자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단말 장치에 의해, 상기 전자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외부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어 신호에 포함된 상기 전자 기기에 대한 정보 및 적어도 하나의 전자 기기에 대한 기기 정보에 기초해서 상기 전자 기기가 제1 포맷의 명령어에 의해 동작하는 타입의 전자 기기인지 또는 제2 포맷의 명령어에 의해 동작하는 타입의 전자 기기인지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전자 기기가 제1 포맷의 명령어에 의해 동작하는 타입의 전자 기기로 식별되고, 상기 제어 신호가 상기 제1 포맷의 명령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전자 기기로 전송하고,
    상기 전자 기기가 제2 포맷의 명령어에 의해 동작하는 타입의 전자 기기로 식별되고, 상기 제어 신호가 상기 제1 포맷의 명령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어 신호에 포함된 상기 제1 포맷의 명령어를 상기 제2 포맷으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명령어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전자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
  20. ◈청구항 2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포맷 중 하나는 OCF(Open Connectivity Foundation) 표준에 따른 포맷인, 전자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
  21. ◈청구항 2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기기에 의해, 상기 제어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응답 신호에 포함된 상태어의 포맷이 제1 포맷이면, 상기 응답 신호를 상기 외부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응답 신호에 포함된 상태어의 포맷이 제2 포맷이면, 상기 상태어의 포맷을 제1 포맷으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상태어를 포함하는 응답 신호를 상기 외부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
  22. ◈청구항 2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기기의 상태 정보가 변경되는 경우, 상기 전자 기기에 의해, 상기 변경된 상태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상태 정보에 포함된 상태어의 포맷을 판단하고,
    상기 상태어가 상기 제1 포맷이면, 상기 상태 정보를 상기 외부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상태어가 상기 제2 포맷이면, 상기 상태 정보에 포함된 상기 제2 포맷의 상태어를 상기 제1 포맷으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상태어를 포함하는 상태 정보를 상기 외부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
  23. 서버에 의해, 전자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전자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어 신호에 포함된 상기 전자 기기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서버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전자 기기에 대한 기기 정보에 기초해서 상기 전자 기기가 제1 포맷의 명령어에 의해 동작하는 타입의 전자 기기인지 또는 제2 포맷의 명령어에 의해 동작하는 타입의 전자 기기인지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전자 기기가 제1 포맷의 명령어에 의해 동작하는 타입의 전자 기기로 식별되고, 상기 제어 신호가 상기 제1 포맷의 명령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전자 기기로 전송하고, 상기 전자 기기가 제2 포맷의 명령어에 의해 동작하는 타입의 전자 기기로 식별되고, 상기 제어 신호가 상기 제1 포맷의 명령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어 신호에 포함된 상기 제1 포맷의 명령어를 상기 제2 포맷으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명령어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전자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24. ◈청구항 2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포맷 중 하나는 OCF(Open Connectivity Foundation) 표준에 따른 포맷인, 제어 방법.
  25. 삭제
  26. ◈청구항 2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포맷의 명령어에 매칭하여 상기 제2 포맷의 명령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저장된 명령어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 신호에 포함된 상기 제1 포맷의 명령어에 매칭되는 상기 제2 포맷의 명령어를 판단하고, 상기 제어 신호에 포함된 상기 제1 포맷의 명령어를 상기 제2 포맷의 명령어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명령어를 포함하는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전자 기기로 전송하는, 제어 방법.
  27. ◈청구항 2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기기로부터 상기 제어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응답 신호에 포함된 상태어의 포맷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상태어가 상기 제1 포맷이면, 상기 응답 신호를 상기 외부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상태어가 상기 제2 포맷이면, 상기 상태어의 포맷을 상기 제1 포맷으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상태어를 포함하는 응답 신호를 상기 외부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28. ◈청구항 2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기기의 상태 정보가 변경되는 경우, 상기 전자 기기로부터 상기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29. ◈청구항 2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기기로부터 상기 전자 기기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상태 정보에 포함된 상태어의 포맷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상태어가 상기 제1 포맷이면, 상기 상태 정보를 상기 외부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상태어가 상기 제2 포맷이면, 상기 상태 정보에 포함된 상기 제2 포맷의 상태어를 상기 제1 포맷으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상태어를 포함하는 상태 정보를 상기 외부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30. ◈청구항 3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포맷의 상태어에 매칭하여 상기 제2 포맷의 상태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저장된 상태어에 기초하여, 상기 상태 정보에 포함된 상기 제2 포맷의 명령어에 매칭되는 상기 제1 포맷의 명령어를 판단하고, 상기 상태 정보에 포함된 상기 제2 포맷의 상태어를 상기 제1 포맷의 상태어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상태어를 포함하는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전자 기기로 전송하는, 제어 방법.
KR1020170135415A 2017-10-18 2017-10-18 전자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전자 기기 제어 시스템 및 그 전자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 KR1024001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5415A KR102400108B1 (ko) 2017-10-18 2017-10-18 전자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전자 기기 제어 시스템 및 그 전자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
US16/649,797 US20200280619A1 (en) 2017-10-18 2018-10-08 Electronic device control system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EP18869250.3A EP3657732B1 (en) 2017-10-18 2018-10-08 Electronic device control system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PCT/KR2018/011814 WO2019078527A1 (ko) 2017-10-18 2018-10-08 전자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전자 기기 제어 시스템 및 그 전자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5415A KR102400108B1 (ko) 2017-10-18 2017-10-18 전자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전자 기기 제어 시스템 및 그 전자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3401A KR20190043401A (ko) 2019-04-26
KR102400108B1 true KR102400108B1 (ko) 2022-05-23

Family

ID=66174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5415A KR102400108B1 (ko) 2017-10-18 2017-10-18 전자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전자 기기 제어 시스템 및 그 전자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00280619A1 (ko)
EP (1) EP3657732B1 (ko)
KR (1) KR102400108B1 (ko)
WO (1) WO201907852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93869B1 (en) * 2022-02-04 2023-07-04 Bank Of America Corporation Processing queries and commands using a universal intelli-shell instrum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2369B1 (ko) * 2006-12-11 2015-06-2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원격제어 장치 및 방법
US20170242557A1 (en) * 2016-02-18 2017-08-24 Tekoia Ltd. Architecture for remote control of iot (internet of things)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58672A (en) * 1976-11-10 1977-11-15 International Telephone And Telegraph Corporation Packet-switched data communications system
US6074345A (en) * 1998-10-27 2000-06-13 University Of Florida Patient data acquisition and control system
US6978206B1 (en) * 2002-06-21 2005-12-20 Infogation Corporation Distributed navigation system
KR100550524B1 (ko) * 2002-12-06 2006-0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US7646716B2 (en) * 2002-12-20 2010-01-12 Intel Corporation Packet processing in a wireless network
US8296558B1 (en) * 2003-11-26 2012-10-23 Appl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ecuring communication between a mobile node and a network
FR2867643B1 (fr) * 2004-03-12 2006-06-02 Cit Alcatel Procede de transmission de paquets de donnees dans un reseau de telecommunication et dispositif mettant en oeuvre ce procede
US8365202B2 (en) * 2008-02-04 2013-01-29 Microsoft Corporation Framework for computing device with auxiliary display
CN101572639B (zh) * 2008-04-30 2012-01-18 华为终端有限公司 语音业务处理方法、装置及系统
US8499103B2 (en) * 2010-04-20 2013-07-30 Cisco Technology, Inc. Converter device to convert between different small form factor pluggable standards
US9294800B2 (en) * 2010-05-10 2016-03-22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Intelligent remote control
US8953465B2 (en) * 2010-11-24 2015-02-10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Network optimization based on user equipment type
JP2012222687A (ja) * 2011-04-12 2012-11-12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サーバ装置
KR102088526B1 (ko) * 2013-11-04 2020-04-14 삼성전자주식회사 스마트 홈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170060598A (ko) * 2015-11-24 2017-06-01 삼성전자주식회사 스마트 홈 서비스 서버 및 그 제어방법
WO2017091021A1 (ko) * 2015-11-24 2017-06-01 삼성전자주식회사 스마트 홈 서비스 서버 및 그 제어방법
US20170279894A1 (en) * 2016-03-22 2017-09-28 Esmart Tech, Inc. Universal internet of things (iot) smart translator
EP3529952B1 (en) * 2016-10-20 2021-03-10 Telecom Italia S.p.A. Performance measurement in a packet-switched communication network
US10341471B2 (en) * 2016-12-29 2019-07-02 Onward Security Corporation Packet analysis apparatus,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thereof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2369B1 (ko) * 2006-12-11 2015-06-2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원격제어 장치 및 방법
US20170242557A1 (en) * 2016-02-18 2017-08-24 Tekoia Ltd. Architecture for remote control of iot (internet of things) de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3401A (ko) 2019-04-26
EP3657732B1 (en) 2023-02-22
EP3657732A4 (en) 2020-07-29
US20200280619A1 (en) 2020-09-03
EP3657732A1 (en) 2020-05-27
WO2019078527A1 (ko) 2019-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68824B2 (en) Method and an electronic device connecting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to server through hub
US10165613B2 (en) Control method for bluetooth communication and bluetooth low energy communication
KR101702490B1 (ko) 근거리 통신에서의 다중 애플리케이션 관리 방법 및 시스템
CN105684520B (zh) 用于建立无线局域网通信连接的方法及其电子设备
CN103068066A (zh) 一种智能移动通信终端及其无线网络接入方法、系统
KR20140052690A (ko) 전자장치 및 시스템의 제어방법
US9800996B2 (en) Machine to machine system, method and server using social network service
US20160132029A1 (en) Method for configuring and controlling smart home products
KR20150014317A (ko) 근거리 무선 통신(nfc)을 이용하여 무선 설정을 수행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모바일 디바이스
KR101465522B1 (ko) 근거리 통신용 태그를 이용한 사물 인터넷 서비스 실행 방법 및 시스템
CN108702365B (zh) 适配器及其控制方法
KR102250421B1 (ko) Ai 음성인식 스피커 및 세대 내 설치된 네트워크 장치를 이용한 홈 네트워킹 방법, 이를 운용하기 위한 장치 및 시스템
CN1996836B (zh) 提供及获得用于wusb安全的会话密钥的方法和设备
US20160029214A1 (en) Home control gateway and home control network connection method thereof
EP2905938B1 (en) Method for acquiring locating information, terminal and mobile broadband interface model (mbim) device
CN115669022A (zh) 电子设备提供基于测距的服务的方法和电子设备
CN105451368A (zh) 一种通信方法及设备
CN102594893A (zh) 一种移动终端设备与计算机远程互控的方法及其系统
EP2874465B1 (en) Method and system for remote equipment data installation
KR102400108B1 (ko) 전자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전자 기기 제어 시스템 및 그 전자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
CN107479911B (zh) 下载应用程序的方法、用户设备和应用服务器
CN105745947A (zh) 用于报告用户接口状况的系统和方法
KR20180054157A (ko) 신규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 단말 관리 방법 및 장치
Mamdouhi et al. Bluetooth wireless monitoring, managing and control for inter vehicle in vehicular ad-hoc networks
KR100739159B1 (ko) 연료전지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