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8694B1 - 폐종이 재활용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폐종이 재활용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8694B1
KR102398694B1 KR1020200058852A KR20200058852A KR102398694B1 KR 102398694 B1 KR102398694 B1 KR 102398694B1 KR 1020200058852 A KR1020200058852 A KR 1020200058852A KR 20200058852 A KR20200058852 A KR 20200058852A KR 102398694 B1 KR102398694 B1 KR 1023986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pe
conveyor
unit
gear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88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42255A (ko
Inventor
박서준
박동규
Original Assignee
박서준
박동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서준, 박동규 filed Critical 박서준
Priority to KR10202000588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8694B1/ko
Publication of KR202101422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22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86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86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7/00Sorting by hand only e.g. of mail
    • B07C7/04Apparatus or accessories for hand picking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06Harnesses; Accessories therefor
    • A62B35/0025Details and accessories
    • A62B35/0037Attachments for lifelines and lanyard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43Lifelines, lanyards, and anchors therefore
    • A62B35/0075Details of ropes or similar equipment, e.g. between the secured person and the lifeline or anchor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81Equipment which can travel along the length of a lifeline, e.g. trave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2501/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to be sorted
    • B07C2501/0054Sorting of waste or refus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4Paper recycl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종이 재활용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지면과 경사를 지니되, 폐종이가 이송되는 컨베이어부, 컨베이어의 시점과 종점에 각각 설치되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한 쌍의 지지부, 한 쌍의 지지부 간을 연결하는 와이어부 및 와이어부를 따라 이동하되, 일단이 작업자와 체결되어 작업자의 컨베이어부에서의 작업 시의 추락을 방지하는 체결부를 포함한다. 이로 인해, 작업자는 체결부를 몸에 장착하고, 컨베이어부에서 이동할 경우, 로프가 와이어부를 따라 이동하면서 작업자의 위치에 대응할 수 있어 작업자의 안전이 보장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폐종이 재활용 처리 장치 {WASTE PAPER RECYCLING PROCESSING DEVICE}
본 발명은 폐종이 재활용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지면과 경사를 지니되, 폐종이가 이송되는 컨베이어부, 컨베이어의 시점과 종점에 각각 설치되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한 쌍의 지지부, 한 쌍의 지지부 간을 연결하는 와이어부 및 와이어부를 따라 이동하되, 일단이 작업자와 체결되어 작업자의 컨베이어부에서의 작업 시의 추락을 방지하는 체결부를 포함한다. 이로 인해, 작업자는 체결부를 몸에 장착하고, 컨베이어부에서 이동할 경우, 로프가 와이어부를 따라 이동하면서 작업자의 위치에 대응할 수 있어 작업자의 안전이 보장되는 장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쓰레기는 재생 가능한 쓰레기와 재생 불가능한 쓰레기로 구분된다.
그리고, 쓰레기 처리 시, 쓰레기의 양을 줄이고 자원의 절약을 위해 일반 폐기물과 재생 가능한 쓰레기를 구별하여 처리하도록 유리류, 플라스틱류, 종이류, 기타류 등으로 분리 수거기가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일부 재활용 폐품만이 분리처리가 이루어지고, 아직까지 일반 쓰레기와 재활용 가능한 각종 폐품의 분리 처리가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또한, 분리처리가 이루어지더라도 유리류, 캔류, 종이류, 플라스틱류, 기타류 등으로 대별되게만 분류되고 재생시에는 다시 재생 용도별로 세분화된 선별작업을 진행해야 한다.
일 예로, 종이류에도 신문지, 백상지(인쇄용지), 컴퓨터 용지, 산업용지로 불리는 골판지 등 색상과 무게, 두께, 강도 등 용도에 따라 수많은 종류들로 분류된다.
이러한 수많은 재생 종이류는 크게 개략 A4 크기의 책지, A3 크기의 신문용지, A2 크기 이상의 골판지로 대별되어지며, 폐신문지는 신문지 재생에, 폐책지는 판지재생에, 폐골 판지는 골판지 원지로 추후 재생된다.
즉, 종래에는 재생 종이류의 용도별 선별을 위해 각종 폐지를 싣고 인라인 방식으로 흐르는 컨베이어 옆 혹은 컨베이어 상면에서 다수의 인력이 투입되어 용도별로 일일이 선별 분리작업을 하여야 했다.
도 1은 종래의 작업자가 컨베이어 상면에서 폐종이의 세분화 작업을 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컨베이어(C)는 지속적으로 폐종이를 싣고, 폐종이의 재생을 위해 압축기로 이송하고 있다.
이때, 작업자는 컨베이어(C)의 상면에서 계속적으로 이동되는 폐종이(P)를 컨베이어(C)의 밖으로 선별하는 작업을 진행하는데, 컨베이어(C)가 수직 방향으로 높이가 점점 상승하는 경사를 지니고 있어 작업자가 컨베이어(C)의 상면에서 이동하면서 떨어지는 사고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로프를 허리에 메고 벽과 같은 곳에 고리를 용접하고, 고리를 체결하여 작업자가 로프를 멘 상태에서 작업을 진행하도록 하는데, 이는, 분류작업을 위해 작업자가 컨베이어(C)에서 계속적으로 이동함에 있어서, 로프가 체결된 지점에서 작업자가 멀어질 경우 길이가 긴 로프에 작업자의 발이 걸리거나 하는 걸림돌로 변하여 또 다른 안전사고를 유발하게 된다.
따라서, 폐종이 분류 작업을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작업자의 안전이 보장되는 안전수단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KR 20-0162702 B1
본 발명의 목적은 지면과 수직 방향으로의 높이를 지니는 컨베이어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지면과 경사를 지니되, 폐종이가 이송되는 컨베이어부, 컨베이어의 시점과 종점에 각각 설치되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한 쌍의 지지부, 한 쌍의 지지부 간을 연결하는 와이어부 및 와이어부를 따라 이동하되, 일단이 작업자와 체결되어 작업자의 컨베이어부에서의 작업 시의 추락을 방지하는 체결부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폐종이 재활용 처리 장치는 지면과 경사를 지니되, 폐종이가 이송되는 컨베이어부; 상기 컨베이어의 시점과 종점에 각각 설치되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한 쌍의 지지부; 상기 한 쌍의 지지부 간을 연결하는 와이어부; 및 상기 와이어부를 따라 이동하되, 일단이 작업자와 체결되어 상기 작업자의 상기 컨베이어부에서의 작업 시의 추락을 방지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체결부의 타단은, 상기 와이어부가 관통하는 고리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와이어부는 상기 컨베이어부의 상부에서 수직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체결부의 일단은, 원통 형상으로, 내부에 중공부를 구비하여 로프가 삽입되되, 상기 로프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체결부는, 소정의 두께를 지니는 원판 형상의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를 감싸는 투껑 형태의 덮개부;를 구비하되, 상기 덮개부는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탈부착이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의 폐종이 재활용 처리 장치에 의하면 작업자는 체결부를 몸에 장착하고, 체결부 내부에 삽입된 로프를 와이어부에 체결하고, 컨베이어부 상에서 작업자의 이동에 따라 와이어부에 걸린 로프의 고리가 작업자의 위치를 따라 이동되어 작업자의 추락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로프는 회전부를 따라 감겨지거나 또는 풀려짐이 반복되는 형태로 길이 조절이 가능한 특징으로, 종래의 로프의 길이가 길게 방치되어 있음에 따라 발생되던 줄 꼬임 현상 및 작업자의 발이 걸리는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플레이트 형상의 걸림부를 가이드부 내부로 삽입하는 방식으로 로프를 다시 체결부 내부에 감겨 보관할 수 있고, 고리를 잡아당겨 조절하지 않으므로 작업자의 힘이 덜 소요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폐종이 처리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폐종이 재활용 처리 장치의 컨베이어부에서 작업자가 작업을 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와이어부에 체결된 체결부를 메고 있는 작업자의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체결부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체결부의 내부에 로프가 감겨진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체결부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실시예의 체결부의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길이 방향"이란, 도 4를 기준으로 x축 방향이며, "폭 방향"이란, "수직 방향"이란, 도 4를 기준으로 z축 방향이다. 또한, "상부"란, 수직 방향에서 위쪽 방향을 의미하고, "하부"란 수직 방향에서 아래쪽 방향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의한 폐종이 재활용 처리 장치는 컨베이어부(100), 지지부(200), 와이어부(300) 및 체결부(400)를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폐종이 재활용 처리 장치에서 작업자(10)가 폐종이 분류 작업을 진행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배경기술에서 서술하였듯이, 폐종이의 경우, 재생을 위해 컨베이어의 상면에서 이동되면서 작업자(10)에 의한 분류작업이 필요로 된다.
따라서, 도 2와 같이, 컨베이어부(100)는 고무, 직물, 철망 및 강판 등으로 만들어진 벨트를 순환시켜서 그 위에 물건을 올려놓고 연속으로 운반하는 장치로 구현될 수 있고, 컨베이어부(100)의 상면에서 폐종이가 이송되고, 작업자(10)는 컨베이어부(100)에 올라 폐종이를 선별하는 작업을 진행하게 된다. 작업자(10)에 의해 선별된 폐종이는 압축기로 이송되고, 여기서 압축기는 폐종이를 파쇄하기 위한 전 작업으로, 많은 양의 폐종이가 특정 크기로 압축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컨베이어부(100)의 시점에서 종점을 향할수록 수직 방향의 높이가 높아지도록 경사면을 구비하여, 종점에 인접하도록 압축기가 위치하여 작업자(10)에 의해 선별된 폐종이가 모아질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폐종이 재활용 처리 장치에서 컨베이어부(100)의 양 단부, 즉 시점과 종점에는 지지부(200)가 결합된다.
지지부(200)는 동일한 형상의 제1 지지바(210) 및 제2 지지바(220)로 구비된다.
제1 지지바(210)는 철골 빔 형태로, 수직으로 두 번 절곡되어 컨베이어부(100)의 시작점에서 결합된다. 도 2와 같이, 작업자(10)가 컨베이어부(100)에 진입하기 위해, 제1 지지바(210)를 통과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제2 지지바(220)는 철골 빔 형태로, 수직으로 두 번 절곡되어 컨베이어부(100)의 종점에서 결합되고, 컨베이어부(100)의 상부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소정의 높이를 지니고 있어 폐종이가 이동되는데 있어서 방해가 되지 않을 것이다.
이와 같은 제1 지지바(210) 및 제2 지지바(220)는 와이어부(300)에 의해 이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와이어부(300)는 여러 가닥의 매듭이 지어진 로프의 형태로, 와이어 로프 및 체인 등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제1 지지부(200) 및 제2 지지부(200)의 상부에서 연결된다.
따라서, 작업자(10)의 키 보다 높이 위치되어 작업에 있어서 방해 요소가 되지 않고, 복수 개로 제1 와이어(310) 및 제2 와이어(320)으로 구비되어 다수의 작업자(10)가 컨베이어부(100)의 상부에서 작업하는 경우를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제1 와이어(310)에 로프(461)의 단부에 결합된 고리(4611)를 체결하고, 로프(461)를 멘 작업자(10)는 컨베이어부(100)의 상부에서 안전을 보장받을 수 있게 된다(도 3 참조).
이는, 종래의 수직 방향으로의 소정의 높이를 지니는 이송 컨베이어의 위에서 작업자는 폐종이를 선별하는 작업을 주로 진행하였는데, 한명의 작업자 또는 다수의 작업자가 소정의 높이를 지니는 이송 컨베이어의 위에서 계속해서 작업을 해야 했다.
이로 인해, 안전장비 없이, 이송 컨베이어의 측면만을 붙잡고 작업을 하는 작업자들은 연속적으로 운반되는 이송 컨베이어의 구동으로 인해 추락하는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작업자(10)는 체결부(400)를 몸에 장착하고, 체결부(400) 내부에 삽입된 로프(461)를 와이어부(300)에 체결하고, 컨베이어부(100) 상에서 작업자(10)의 이동에 따라 와이어부(300)에 걸린 로프(461)의 고리(4611)가 작업자(10)의 위치를 따라 이동되어 작업자(10)의 추락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작업자(10)는 체결부(400)를 가방 형태로 메고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체결부(400)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체결부(400)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체결부(400)의 내부에 감겨진 로프(461)의 단면도이다.
체결부(400)는 원통 형상으로, 내부에 중공부가 구비된다. 또한, 체결부(400)는 외측면에서 복수 개의 끈이 결합되어 작업자(10)의 어깨 또는 등(허리)에 메는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다.
체결부(400)는 베이스부(410), 베어링부(420), 스프링부(430), 기어부(440), 가이드부(450), 회전부(460), 덮개부(470), 당김부(480) 및 걸림부(690)를 구비한다.
베이스부(410)는 소정의 두께를 지니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구비된다. 또한, 베이스부(410)의 중심에는 원형 형상으로 절삭되어 베어링부(420)가 체결되고, 베어링부(420)의 내측면에는 스프링부(430)가 체결된다.
이때, 베어링부(420)는 움직임에 대한 상대 운동을 제한하고, 움직이는 부분사이의 마찰을 줄여주는 기계요소의 하나로, 선형 가동부의 움직임과 고정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볼 또는 구름 베어링의 종류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베어링부(420)의 외측면은 베이스부(410)와 결합되고, 베어링부(620)의 내측면은 스프링부(430)의 외측면과 결합되어, 베이스부(410)와 결합된 베어링부(420)의 외측면은 고정되고, 스프링부(430)와 결합된 베어링부(420)의 내측면은 360도 회전할 수 있다.
또한, 베어링부(420)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스프링부(430)는 태엽 스프링으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태엽 스프링은, 탄성이 좋은 금속판을 달팽이처럼 나선형으로 만든 것으로 릴 스프링이라고도 하며, 감았을 때 금속판이 가지는 탄성 에너지를 축적하게 되고 원래의 상태로 풀리려는 힘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스프링부(430)는 베어링부(420)의 내측면과 360도 회전할 수 있고, 회전하는 힘을 중지시키면, 스프링부(430)는 원래의 상태로 되돌아 가게 된다.
이와 같은 특징으로 인하여 후술할 회전부(460)의 외측면에 감겨진 로프(461)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고, 다시 회전부(460)의 외측면에 감겨 보관되어진다.
이하, 도 6 및 7을 참조하여 기어부(440)를 설명하도록 한다.
기어부(440)는 중심에 스프링부(430)가 관통하여 결합되고, 하부는 베이스부(410)의 상면과 맞닿아 위치된다.
따라서, 기어부(440)는 원판 형상으로 스프링부(430)를 관통할 수 있도록 중심에 원 형상으로 절삭되고, 중심에서 스프링부(430)의 외측면을 따라 단부가 돌출되는 형상으로, 스프링부(430)를 따라 x,y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때, 도 6과 같이, 기어부(440)의 외측면은 블레이드 형상의 날이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형상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중심을 향하는 단차가 형성된다. 또한, 단차를 중심으로 도 6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진행될수록 높이가 상승하되 만곡되는 형상을 지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관한 구동 및 효과는 후술하도록 한다.
가이드부(450)는 중심에 중공부가 형성되는 소정의 두께를 지니는 원통 형상으로, 기어부(440)를 감싸도록 베이스부(410)의 상면에서 위치된다.
이때, 가이드부(450)는 기어부(440)의 외측면에서 x,y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이 이격되어 위치되므로, 기어부(440)가 스프링부(430)를 따라 x,y 방향으로 회전할 경우에 가이드부(450)는 독립된 구성으로, 같이 회전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블레이드 형상을 지니는 기어부(440)가 스프링부(430)를 따라 x,y 방향으로 회전할 때, 발생되는 위험 요소를 가이드부(450)가 기어부(440)의 외측면을 따라 위치하여 외부와 차단하므로, 위험요소를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도 6과 같이, 가이드부(450)의 일지점에서 내부를 향하여 당김부(480)가 결합된다.
당김부(480)는 탄성스프링(481), 폴(482) 및 고리(483)를 구비한다.
탄성스프링(481)은 가이드부(450)의 내측면의 일지점에서 내부를 향하도록 결합된다. 폴(482)은 소정의 기울기와 소정의 두께를 가진 플레이트 형상으로 탄성스프링(381)의 일측에 결합된다. 고리(483)는 탄성스프링(481)이 결합되는 폴(482)의 동일한 측면에서 결합되고, 가이드부(450)의 내측면에서 외측면으로 관통된다.
탄성스프링, 폴, 고리의 형상은 일반적인 해당 명칭을 지닌 요소의 형상인 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회전부(460)는 중심에 원 형상으로 절삭되어 기어부(440)가 관통될 수 있고, 중심부에서 소정의 두께로 상부를 향하여 돌출되어 기어부(440)의 외측면에 결합된다(여기서, 스프링부(430)가 결합되는 측면을 기어부(440)의 내측면이라고 지정하고, 반대측면을 기어부(440)의 외측면이라고 지정한다).
따라서, 기어부(440)와 회전부(460) 순으로 스프링부(430)의 외측면을 따라 겹겹이 결합되고, 회전부(460)의 외측면을 따라 로프(461)가 감겨 위치된다.
이때, 회전부(460)의 외지름은 가이드부(450)의 내지름보다 크고 외지름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회전부(460)가 기어부(440)를 따라 x,y 방향으로 회전할 때, 가이드부(450)와 기어부(440)가 x,y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틈에 로프(461)의 빠짐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기어부(440) 및 가이드부(450)의 구동을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에서 '정방향'은 도 6을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을 의미하고, '역방향'은 도 6을 기준으로, 정시계 방향을 의미한다.
기어부(440) 및 회전부(460)는 스프링부(430)를 따라 x,y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어부(440)가 스프링부(430)를 따라 정방향으로 회전할 때, 탄성스프링(481)에 의해 내부를 향해 밀려난 폴(482)은 기어부(440)의 외측면에 계속해서 맞닿게 된다.
또한, 기어부(440)가 정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회전부(460)의 단부에 따라 감겨진 로프(461)가 풀릴 수 있게 되어 로프(461)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로프(461)는 노즐 형상의 긴 길이로 인하여 종래의 컨베이어에서 작업자가 허리에 메고 사용함에 있어서, 줄꼬임 현상 또는 작업자의 발이 걸려 넘어지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의 로프(461)는 회전부(460)를 따라 감겨지거나 또는 풀려짐이 반복되는 형태로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되고, 종래의 로프의 길이가 길게 방치되어 있음에 따라 발생되던 줄 꼬임 현상 및 작업자의 발이 걸리는 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이는, 당김부(480)의 폴(482)의 일측면이 기어부(440)의 외측면에 만곡되어 형성되는 단부를 지속적으로 지지하는 형태로, 기어부(440)는 정방향으로는 회전이 계속해서 가능하지만, 역방향으로는 지지하고 있는 폴(482)에 의해 회전이 불가능한 구조로 실현될 수 있다.
따라서, 원래 자리로 되돌아가려는 성질을 가진 스프링부(430)는 폴(482)이 기어부(440)의 단부를 지지하는 형상에 의해 정방향으로 회전한 만큼 역방향으로 회전하지 못하게 된다.
즉, 작업자는 회전부(460)에 감겨진 로프(461)를 작업 환경에 맞추어 정방향으로 회전하여 길이를 조정한 후에, 길이가 고정된 로프(461)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 작업자는 컨베이어부(100)의 상면에서 폐종이를 분류하기 위해 계속해서 이동해야 하는 특성 상, 작업자의 등에 메어진 로프(461)도 제1 와이어(310) 또는 제2 와이어(320)을 따라 이동되어져야 한다.
그러나, 이송 컨베이어가 외부에 야적되어 배치됨으로 외부 환경의 날씨 또는 먼지 등의 영향을 받아 쉽게 노후되어 로프(461)가 제1 와이어(310) 또는 제2 와이어(320)을 따라 이동함에 있어서, 제1 와이어(310) 또는 제2 와이어(320)의 표면에 붙은 먼지 등에 의해 매끄럽지가 못하여 작업자의 이동에 방해가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제1 와이어(310) 또는 제2 와이어(320)의 일지점에서 로프(461)가 장애물에 의해 걸림 현상이 발생하더라도 본 발명에 의해 체결부(400) 내부에 위치한 로프(461)를 외부로 잡아당기는 동작만으로 로프(461)의 길이가 즉각 조절 가능하여 작업자(10)가 위치 제한을 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위해 작업자(10)는 어깨 또는 등(허리)에 메어진 체결부(400)의 덮개부(470)를 관통한 고리(483)를 잡아당기는 동작 만으로 로프(461)의 길이를 짧게 조절할 수 있다.
이는, 서술한 바와 같이, 지지부(200)의 외측면을 따라 감겨진 로프(461)를 작업자는 잡아당겨 길이를 길게 할 수 있고, 로프(461)의 길이를 다시 지지부(200)의 외측면을 따라 감겨 짧게 하기 위해 고리(483)를 잡아당겨 폴(482)의 일측면이 기어부(440)의 외측면의 일지점으로부터 떨어지게 하여 역방향으로 회전하려는 태엽스프링의 성질을 이용하여 로프(461)를 지지부(200)에 감아 사용할 수 있다.
위와 같은 방식으로, 작업자(10)는 컨베이어부(100)의 상면에서 작업자(10)의 위치에 따라 로프(461)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종래의 로프의 긴 길이로 인해 작업자의 발이 걸려 넘어지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기어부(440)의 역방향 구동을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가이드부(450)는 제1 홈(451) 및 제2 홈(452)을 구비한다. 제1 홈(451)은 소정의 두께를 지니는 플레이트 형상의 걸림부(490)의 일측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가이드부(450)의 내측면에서 외측면을 향하도록 함몰된다.
제2 홈(452)은 가이드부(450)를 상부에서 바라볼 때, 제1 홈(451)과 동일선상에서 가이드부(450)의 외측면에서 내측면으로 절삭된다. 또한, 제2 홈(452)의 절삭되는 길이는 걸림부(490)의 두께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걸림부(490)는 제2 홈(452)을 관통하여 가이드부(450)의 내부로 삽입되고, 일측면이 제1 홈(451)에 맞닿아 삽입되게 된다(도 6 참조).
이러한 걸림부(490)의 역할은 다음과 같다.
기어부(440)의 외측면에 만곡되어 형성되는 단부를 지지하는 당김부(480)의 폴(482)을 고리(483)를 이용하여 잡아당겨 가이드부(450)의 내측면에 맞닿게 위치시킬 수 있다.
폴(482)이 가이드부(450)의 내측면과 맞닿은 상태에서 걸림부(490)를 제1 홈(451) 및 제2 홈(452)에 삽입시켜 가이드부(450)의 내부에 위치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가이드부(450)의 제1 홈(451) 및 제2 홈(452)에 삽입된 걸림부(490)는 탄성스프링(481)에 의해 가이드부(450)의 내부를 향하려는 폴(482)을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기어부(440)의 외측면의 일지점에서 폴(482)이 맞닿아 지지하고 있지 않으므로, 기어부(440)는 스프링부(430)를 따라 역회전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즉, 로프(461)는 회전부(460)를 따라 역회전하여 다시 지지부(660)를 따라 감겨 보관되어 진다.
이와 같이, 플레이트 형상의 걸림부(490)를 가이드부(450) 내부로 삽입하는 방식으로 로프(461)를 다시 체결부(400) 내부에 감겨 보관할 수 있고, 고리(483)를 잡아당겨 조절하지 않으므로 작업자의 힘이 덜 소요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덮개부(470)는 중공부를 지니고, 일측면이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베이스부(410)의 상부에서 스프링부(430), 기어부(440), 가이드부(450) 및 회전부(460)를 덮는 형상으로 위치된다.
따라서, 회전부(460)에 감기는 로프(461)를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덮개부(470)를 구비하여 보관하므로, 공기 또는 외부 날씨에 영향을 적게 받아 수명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덮개부(470)는 베이스부(410)로부터 탈거가 가능하여 내부에 삽입된 베어링부(420), 스프링부(430), 기어부(440) 및 로프(461)의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세척이 용이하여 장치의 수명을 증대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 컨베이어부, 200 : 지지부,
210 : 제1 지지바, 220 : 제2 지지바,
300 : 와이어부, 310 : 제1 와이어,
320 : 제2 와이어, 400 : 체결부,
410 : 베이스부, 420 : 베어링부,
430 : 스프링부, 440 : 기어부,
450 : 가이드부, 460 : 회전부,
470 : 덮개부, 480 : 당김부,
490 : 걸림부.

Claims (5)

  1. 지면과 경사를 지니되, 폐종이가 이송되는 컨베이어부;
    상기 컨베이어의 시점과 종점에 각각 설치되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한 쌍의 지지부;
    상기 한 쌍의 지지부 간을 연결하는 와이어부; 및
    상기 와이어부를 따라 이동하되, 일단이 작업자와 체결되어 상기 작업자의 상기 컨베이어부에서의 작업 시의 추락을 방지하는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의 타단은,
    상기 와이어부가 관통하는 고리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와이어부는 상기 컨베이어부의 상부에서 수직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고,
    상기 체결부의 일단은,
    원통 형상으로, 내부에 중공부를 구비하여 로프가 삽입되되, 상기 로프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고,
    상기 체결부는,
    소정의 두께를 지니는 원판 형상의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를 감싸는 뚜껑 형태의 덮개부;를 구비하되,
    상기 덮개부는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탈부착이 가능하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상면에 맞닿아 위치되는 기어부;
    상기 기어부의 상부에 맞닿아 결합되는 회전부;
    상기 기어부의 외측면에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위치되는 가이드부;
    상기 베이스부의 중심에 형성되되, 원형 형상으로 절삭되어 형성되는 베어링부;
    상기 베어링부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스프링부; 및
    상기 가이드부의 일 지점에 형성되는 당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어부가 상기 스프링부를 따라 회전할 경우, 상기 가이드부는 독립되어 구성되고,
    상기 로프는 상기 회전부의 외측면을 따라 감겨지고,
    상기 당김부는,
    상기 가이드부의 내부를 향하여 형성되는 탄성스프링;
    상기 탄성스프링의 일측에 결합되되, 소정의 두께를 가진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는 폴; 및
    상기 탄성스프링이 결합되는 상기 폴의 동일한 측면에 결합되는 고리;를 포함하고,
    상기 기어부가 상기 스프링부를 따라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회전부의 외측면을 따라 감겨진 상기 로프가 풀려 상기 로프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고,
    상기 폴의 일측면이 상기 기어부의 외측면에 만곡된 부분을 지지하여 상기 기어부가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로프가 꼬이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인
    폐종이 재활용 처리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00058852A 2020-05-18 2020-05-18 폐종이 재활용 처리 장치 KR1023986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8852A KR102398694B1 (ko) 2020-05-18 2020-05-18 폐종이 재활용 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8852A KR102398694B1 (ko) 2020-05-18 2020-05-18 폐종이 재활용 처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2255A KR20210142255A (ko) 2021-11-25
KR102398694B1 true KR102398694B1 (ko) 2022-05-18

Family

ID=787458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8852A KR102398694B1 (ko) 2020-05-18 2020-05-18 폐종이 재활용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869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6517Y1 (ko) * 1999-10-26 2000-04-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컨베이어의 슈트 추락방지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2702Y1 (ko) 1996-12-24 1999-12-15 정영섭 폐지 자동선별장치
KR20070000979U (ko) * 2007-08-14 2007-09-05 박정훈 고소작업용 안전벨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6517Y1 (ko) * 1999-10-26 2000-04-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컨베이어의 슈트 추락방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2255A (ko) 2021-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58306B2 (ja) 円筒式繊維製品の廃材処理装置
US8273186B2 (en) Mat washing machine
US4067506A (en) Machine for tearing waste bags and separating out plastic film bag material
EP0154599A1 (de) Sortiereinrichtung insbesondere zur Aussortierung von Wertstoffen aus Hausmüll, Gewerbemüll, Sperrmüll, Trockenmüll, und/oder von Problem- und Gefahrenstoffen
KR101174867B1 (ko) 과일 선별기
KR102398694B1 (ko) 폐종이 재활용 처리 장치
CN104275649A (zh) 喷丸硬化装置
KR101336664B1 (ko) 폐자재 수거용 이동식 덤프장치
KR101836444B1 (ko) 과일선별기
CN103447239A (zh) 缠绕物提取机和缠绕物提取设备
CN212475351U (zh) 一种便于物料存储的布料系统
US4914994A (en) Automated apparatus for debeading of scrap tires
US4162012A (en) Device for assorting inadequately wound coils
KR101453504B1 (ko) 과일선별기
AU645289B2 (en) Modified plastic bag opening apparatus
CN112079160A (zh) 一种具有自动收卷功能的pet塑钢带包装设备
KR102137614B1 (ko) 쉽로더
JP7496081B2 (ja) フィルム状物選別機、選別システム、及びフィルム状物選別方法
US5363972A (en) Conveyor apparatus with powered leveling roll
JP2000140766A (ja) ごみ袋除去装置
CN216300288U (zh) 一种纸箱水印开槽机的纸箱片引导装置
CN209406668U (zh) 一种设置有分料机构的用于管道加工的喷浆机用落地料收集设备
US4735373A (en) Conveyor-belt reeling devices
JPS6113201Y2 (ko)
US721867A (en) Oil-cake trimm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