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8619B1 - 해수를 이용한 IoT 기반의 난분해성 배기가스 처리 및 탄소 중립화 고효율화 시스템 - Google Patents

해수를 이용한 IoT 기반의 난분해성 배기가스 처리 및 탄소 중립화 고효율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8619B1
KR102398619B1 KR1020210184954A KR20210184954A KR102398619B1 KR 102398619 B1 KR102398619 B1 KR 102398619B1 KR 1020210184954 A KR1020210184954 A KR 1020210184954A KR 20210184954 A KR20210184954 A KR 20210184954A KR 102398619 B1 KR102398619 B1 KR 1023986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gas
unit
scrubber
cleaning
cleaning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49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기열
김석만
문남구
강성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성환경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성환경연구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성환경연구소
Priority to KR10202101849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86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86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86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12Washers with plural different washing se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 A61L9/14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air-liquid contact processes, e.g. scrubb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2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by passing the gas or air or vapour over or through a liquid bath
    • B01D47/021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by passing the gas or air or vapour over or through a liquid bath by bubbling the gas through a liquid ba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6Spray cleaning
    • B01D47/063Spray cleaning with two or more jets impinging against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46Removing components of defined structure
    • B01D53/62Carbon ox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8Liquid phase processes with gas-liquid conta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9Injecting reacta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6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neutralisation; pH adjus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50Carbon oxides
    • B01D2257/504Carbon dioxid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10Greenhouse gas [GHG] capture, material saving, heat recovery or other energy efficient measures, e.g. motor control, characterised by manufacturing processes, e.g. for rolling metal or metal work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외부로부터 유입된 배기가스에 대해 이산화탄소 및 악취를 제거하는 제1 스크러버; 상기 제1 스크러버와 이웃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1 스크러버로부터 유입된 배기가스에 대해 이산화탄소 및 악취를 제거하는 하나 이상의 제2 스크러버; 및 상기 제2 스크러버와 이웃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2 스크러버로부터 유입된 배기가스에 대해 이산화탄소 및 악취를 제거한 후, 정화된 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3 스크러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스크러버에는 제1 마이크로 버블 용해부가 구비되어 상기 제1 스크러버 내부로 유입된 배기가스 내 이산화탄소 및 악취를 1차로 제거하고, 상기 제1 마이크로 버블 용해부의 상부에는 제2 마이크로 버블 용해부가 구비되어 상기 제1 마이크로 버블 용해부를 경유한 배기가스 내 이산화탄소 및 악취를 2차로 제거하며, 상기 제2 마이크로 버블 용해부의 상부에는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된 제1 시브 트레이가 구비되어 상기 제2 마이크로 버블 용해부를 경유한 배기가스 내 이산화탄소 및 악취를 3차로 제거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스크러버 내지 제3 스크러버의 상부에는 제1 분사 노즐 내지 제3 분사 노즐이 각각 구비되되, 상기 제1 분사 노즐 내지 제3 분사 노즐로부터 분사되는 세정액은 해수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해수와 약액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약액이 포함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분사 노즐 내지 제3 분사 노즐로부터 분사되어 낙하된 세정액은 상기 제1 스크러버 내지 제3 스크러버의 하부에 수용되되, 상기 제1 스크러버 내지 제3 스크러버의 하부는 서로 연통되도록 이루어진 것인 해수를 이용한 IoT 기반의 난분해성 배기가스 처리 및 탄소 중립화 고효율화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해수를 이용한 IoT 기반의 난분해성 배기가스 처리 및 탄소 중립화 고효율화 시스템{IoT-TYPE NON-DEGRADABLE EXHAUST GAS TREATMENT AND CARBON NEUTRALITY DEODORIZING SYSTEM USING SEAWATER}
본 발명은 해수를 이용한 IoT 기반의 난분해성 배기가스 처리 및 탄소 중립화 고효율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산화탄소, 미세먼지 및 난용성 악취를 효과적으로 제거하도록 이루어진 해수를 이용한 IoT 기반의 난분해성 배기가스 처리 및 탄소 중립화 고효율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발전소, 석유화학공장, 정유공장, 하수처리장 및 오폐수처리장 등에서 발생하는 고농도의 이산화탄소와 미세먼지 및 악취 등은 대기로 배출되고 있다. 이러한 난분해성 가스가 별도의 처리 과정없이 직접 배출될 경우, 대기 환경 오염과 지구 온난화를 조장한다.
일반적으로, 화력발전소는 바닷물을 이용하여 냉각시키기에 해안가에 설치된다. 이러한 화력발전소에서 발생되는 지구온난화 가스인 이산화탄소의 제거를 위해 고가의 CCUS(Carbon Capture, Utilization & Storage) 시스템, 흡착시스템 및 미생물처리 등의 기타 방지시설을 설치하여 가동하고 있으나, 방지시설의 성능에 따라 고비용으로 처리되거나 효율이 만족스럽지 못한 문제가 있다.
현재 이산화탄소의 저감을 위해 주로 사용되고 있는 CCUS 포집 및 저장기술은 예로 수중 800 ~ 3,000m 이상의 깊이에 250Bar 이상의 고압으로 압축 및 저장을 해야되기에 고가의 비용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고, 처리에도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해안가 근처에 설치되는 화력발전소로부터 발생된 배기가스 내 이산화탄소, 미세먼지 및 악취 등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도록 이루어진 해수를 이용한 IoT 기반의 난분해성 배기가스 처리 및 탄소 중립화 탈취 시스템에 대한 다양한 연구 개발이 필요하다.
선행문헌 1 : 한국등록특허 제10-1362064호(2014.01.29)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산화탄소, 미세먼지 및 난용성 악취를 효과적으로 제거하도록 이루어진 해수를 이용한 IoT 기반의 난분해성 배기가스 처리 및 탄소 중립화 고효율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외부로부터 유입된 배기가스에 대해 이산화탄소 및 악취를 제거하는 제1 스크러버; 상기 제1 스크러버와 이웃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1 스크러버로부터 유입된 배기가스에 대해 이산화탄소 및 악취를 제거하는 하나 이상의 제2 스크러버; 및 상기 제2 스크러버와 이웃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2 스크러버로부터 유입된 배기가스에 대해 이산화탄소 및 악취를 제거한 후, 정화된 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3 스크러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스크러버에는 제1 마이크로 버블 용해부가 구비되어 상기 제1 스크러버 내부로 유입된 배기가스 내 이산화탄소 및 악취를 1차로 제거하고, 상기 제1 마이크로 버블 용해부의 상부에는 제2 마이크로 버블 용해부가 구비되어 상기 제1 마이크로 버블 용해부를 경유한 배기가스 내 이산화탄소 및 악취를 2차로 제거하며, 상기 제2 마이크로 버블 용해부의 상부에는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된 제1 시브 트레이가 구비되어 상기 제2 마이크로 버블 용해부를 경유한 배기가스 내 이산화탄소 및 악취를 3차로 제거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스크러버 내지 제3 스크러버의 상부에는 제1 분사 노즐 내지 제3 분사 노즐이 각각 구비되되, 상기 제1 분사 노즐 내지 제3 분사 노즐로부터 분사되는 세정액은 해수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해수와 약액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약액이 포함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분사 노즐 내지 제3 분사 노즐로부터 분사되어 낙하된 세정액은 상기 제1 스크러버 내지 제3 스크러버의 하부에 수용되되, 상기 제1 스크러버 내지 제3 스크러버의 하부는 서로 연통되도록 이루어진 것인 해수를 이용한 IoT 기반의 난분해성 배기가스 처리 및 탄소 중립화 고효율화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크러버는, 외형을 이루는 제1 세정부; 상기 제1 세정부의 내측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 세정부의 하부에 수용된 세정액으로 배기가스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배기가스를 용해시키는 제1 마이크로 버블 용해부; 상기 제1 세정부의 상부에 구비되며, 하부로 세정액을 분사하는 제1 분사 노즐; 상기 제1 마이크로 버블 용해부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 분사 노즐로부터 낙하된 세정액이 수용되는 제2 세정액 수용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2 세정액 수용부 내에는 버블캡이 구비되어 상기 제1 마이크로 버블 용해부를 경유하여 유입된 배기가스를 상기 제2 세정액 수용부에 수용된 세정액으로 용해시키는 제2 마이크로 버블 용해부; 및 상기 제1 분사 노즐과 제2 마이크로 버블 용해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2 마이크로 버블 용해부를 경유한 배기가스와 상기 제1 분사 노즐로부터 분사되는 세정액과의 접촉 면적을 넓히도록 이루어진 미리 정해진 간격을 이루는 제1 시브 트레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세정부의 상부로 이동된 배기가스는 상기 제1 세정부에 형성된 제1 가스 이동경로를 통해 이웃하게 배치된 상기 제2 스크러버로 안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마이크로 버블 용해부는, 세정액이 수용되는 세정액 저장 공간을 마련하며, 하부에는 상기 배기가스 공급부를 통해 유입된 배기가스를 상기 세정액 저장 공간으로 공급하는 복수개의 버블 발생홀이 형성된 버블 플레이트; 및 상기 버블 플레이트와 이격 배치되며, 상기 배기가스 공급부를 통해 유입된 배기가스를 상기 버블 발생홀로 안내하는 가이드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버블 플레이트와 가이드 플레이트는 테이퍼지게 형성되되,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는 상기 버블 발생홀이 형성된 상기 버블 플레이트의 하부로 갈수록 상기 버블 플레이트와의 간격이 좁아지도록 테이퍼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마이크로 버블 용해부는, 상기 제2 세정액 수용부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수용 플레이트; 상기 수용 플레이트로부터 돌출되되, 상기 제1 마이크로 버블 용해부를 경유한 배기가스가 유입되는 가스 유입홀이 형성된 나사 체결부; 상기 나사 체결부와 나사 결합되며, 상기 가스 유입홀을 통해 유입된 배기가스를 상기 제2 세정액 수용부에 수용된 세정액으로 배출시키는 버블캡; 상기 제2 세정액 수용부에 수용된 세정액을 상기 제1 세정부의 하부로 공급하는 회수 공급부를 포함하며, 상기 버블캡은, 상기 나사 체결부와 나사 결합되며, 상기 가스 유입홀과 연통된 가스 이동홀이 형성된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와 결합되되, 상기 가스 이동홀과 연통되는 가스 배출홀을 형성하고, 상기 바디부의 외측면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이격된 가스 가이드부를 가지되, 상기 가스 가이드부는 둘레를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을 이루는 슬릿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마이크로 버블 용해부로 배기가스를 공급하는 배기가스 공급부; 상기 제1 스크러버 내지 제3 스크러버가 결합된 모듈 스크러버의 하부로 해수를 공급하는 해수 공급부; 상기 모듈 스크러버의 하부로 약액을 공급하는 약액 공급부; 및 상기 모듈 스크러버의 하부에 수용된 세정액을 상기 제1 분사 노즐 내지 제3 분사 노즐로 공급하는 세정액 공급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약액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약액은 수산화나트륨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모듈 스크러버의 하부에 수용된 세정액의 pH 농도는 10 ~ 12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크러버는, 외형을 이루며, 상기 제1 가스 이동경로를 통해 배기가스가 유입되는 제2 세정부; 상기 제2 세정부의 상부에 구비되며, 하부로 세정액을 분사하는 제2 분사 노즐; 및 상기 제2 분사 노즐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 가스 이동경로를 통해 유입된 배기가스와 상기 제2 분사 노즐로부터 분사되는 세정액과의 접촉 면적을 넓히도록 이루어진 미리 정해진 간격을 이루는 제2 시브 트레이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세정부의 상부로 이동된 배기가스는 상기 제2 세정부에 형성된 제2 가스 이동경로를 통해 이웃하게 배치된 상기 제3 스크러버로 안내되고, 상기 제1 가스 이동경로는 상기 제2 세정부의 하부에 수용된 세정액의 표면과 이격되어 배기가스가 이동되는 이격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3 스크러버는, 외형을 이루며, 상기 제2 가스 이동경로를 통해 배기가스가 유입되는 제3 세정부; 상기 제3 세정부의 상부에 구비되며, 하부로 세정액을 분사하는 제3 분사 노즐; 상기 제3 분사 노즐로부터 낙하된 세정액이 수용되는 제3 세정액 수용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3 세정액 수용부 내에는 버블캡이 구비되어, 상기 제3 세정부로 유입된 배기가스를 상기 제3 세정액 수용부에 수용된 세정액으로 용해시키는 제3 마이크로 버블 용해부; 상기 제3 분사 노즐과 제3 마이크로 버블 용해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3 마이크로 버블 용해부를 경유한 배기가스와 상기 제3 분사 노즐로부터 분사되는 세정액과의 접촉 면적을 넓히도록 이루어진 미리 정해진 간격을 이루는 제3 시브 트레이; 및 상기 제3 세정부의 상부에 결합되며, 정화된 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가스 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해수를 이용한 IoT 기반의 난분해성 배기가스 처리 및 탄소 중립화 고효율화 시스템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해수를 이용한 IoT 기반의 난분해성 배기가스 처리 및 탄소 중립화 고효율화 시스템은 예를 들어 화력발전소에서 발생하는 배기가스 내 이산화탄소, 미세먼지 및 악취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수를 이용한 IoT 기반의 난분해성 배기가스 처리 및 탄소 중립화 고효율화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수를 이용한 IoT 기반의 난분해성 배기가스 처리 및 탄소 중립화 고효율화 시스템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마이크로 버블 용해부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 마이크로 버블 용해부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버블캡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기가스의 이동흐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정액의 이동흐름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정액의 드레인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상부와 하부는 대상부재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으로, 반드시 중력방향을 기준으로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수를 이용한 IoT 기반의 난분해성 배기가스 처리 및 탄소 중립화 고효율화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수를 이용한 IoT 기반의 난분해성 배기가스 처리 및 탄소 중립화 고효율화 시스템을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마이크로 버블 용해부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 마이크로 버블 용해부를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버블캡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기가스의 이동흐름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정액의 이동흐름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정액의 드레인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IoT 기반의 난분해성 배기가스 처리 및 탄소 중립화 고효율화 시스템(6000)은 제1 스크러버(1000), 제2 스크러버(2000) 및 제3 스크러버(30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IoT 기반의 난분해성 배기가스 처리 및 탄소 중립화 고효율화 시스템(6000)은 제1 스크러버(1000), 제2 스크러버(2000) 및 제3 스크러버(3000)가 병렬로 이웃하게 연속적으로 배치된다. 여기서 제2 스크러버(2000)는 제1 스크러버(1000)와 제3 스크러버(3000) 사이에 배치되되, 제2 스크러버(2000)의 개수는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IoT 기반의 난분해성 배기가스 처리 및 탄소 중립화 고효율화 시스템(6000)에서는 3개의 제2 스크러버(2000)가 연속적으로 배치된 형태를 예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제1 스크러버(1000), 제2 스크러버(2000) 및 제3 스크러버(3000)가 하나의 모듈 형태로 결합된 모듈 스크러버(M)는 전체적인 외형이 사각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모듈 스크러버(M)는 직사각형을 이루는 제1 스크러버(1000), 제2 스크러버(2000) 및 제3 스크러버(3000)가 병렬로 결합된 형태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모듈 스크러버(M)는 제1 스크러버(1000) 내지 제3 스크러버(3000)가 결합되되, 제1 스크러버(1000) 내지 제3 스크러버(3000)의 하부는 서로 연통되도록 이루어진다.
이에, 해수 공급부(4100)로부터 모듈 스크러버(M)의 하부로 공급되는 해수와, 약액 공급부(4200)로부터 모듈 스크러버(M)의 하부로 공급되는 약액이 혼합된 세정액은 제1 스크러버(1000) 내지 제3 스크러버(3000)의 하부에 동일한 세정액이 수용될 수 있다.
여기서 약액 공급부(4200)를 통해 모듈 스크러버(M)로 공급되는 약액은 예를 들어 수산화나트륨(NaOH)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모듈 스크러버(M) 내에 해수와 약액이 혼합된 세정액은 예를 들어 pH 농도가 10 ~ 12의 알카리성 세정액일 수 있다. 이러한 모듈 스크러버(M) 내에는 pH 센서가 구비되어 모듈 스크러버(M) 내 수용된 세정액의 pH 농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알칼리성 세정액은 모듈 스크러버(M)로 유입된 배기가스 내에 포함된 이산화탄소, 미세먼지 및 난용성 악취를 효과적으로 제거하게 된다. 즉, 모듈 스크러버(M) 내로 유입된 배기가스는 알칼리성 세정액과의 화학반응이 활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예로, 제1 마이크로 버블 용해부(1200) 내지 제3 마이크로 버블 용해부(3300)로 배기가스가 유입됨에 있어, 세정액은 10 ~ 50 미크론(micron)의 버블수로 전환되며 수산기(OH Radical)를 생성하게 된다. 이러한 수산기는 배기가스와의 화학반응이 활발하게 이루어져 배기가스 내에 존재하는 이산화탄소는 탄산염으로 전환시키고, 미세먼지 및 악취 등은 효과적으로 제거하게 된다.
그리고 모듈 스크러버(M)의 하부에 수용된 세정액은 세정액 공급부(4300)를 통해 제1 스크러버(1000) 내지 제3 스크러버(3000)의 상부에 각각 구비된 제1 분사 노즐(1500) 내지 제3 분사 노즐(3200)로 공급되며, 제1 분사 노즐(1500) 내지 제3 분사 노즐(3200)은 각각의 세정부로 세정액을 분사하게 된다. 그리고 모듈 스크러버(M)에는 드레인(D)이 마련되어, 일정 이상 사용된 세정액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제1 스크러버(1000)는 제1 세정부(1100), 제1 마이크로 버블 용해부(1200), 제2 마이크로 버블 용해부(1300), 제1 시브 트레이(1400) 및 제1 분사 노즐(150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세정부(1100)는 제1 스크러버(1000)의 외형을 이룬다. 이러한 제1 세정부(1100)의 내부에는 수용 공간부가 형성되어 다양한 구성품은 수용 공간부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세정부(1100)에는 정비홀(H)이 형성되어, 사용자는 세정부 내부를 청소하거나 세정부 내에 구비된 구성품을 교체하거나 정비하는 등의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정비홀(H)은 후술될 제2 세정부(2100) 및 제3 세정부(3100)에도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1 마이크로 버블 용해부(1200)는 제1 세정부(1100)의 내측 하부에 구비된다.
이러한 제1 마이크로 버블 용해부(1200)는 배기가스 공급부(4400)로부터 공급되는 배기가스를 제1 세정부(1100)의 하부에 수용된 세정액으로 공급하여 세정액 내에 배기가스가 효과적으로 용해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배기가스에 존재하는 이산화탄소를 비롯한 악취는 효과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마이크로 버블 용해부(1200)는 버블 플레이트(1210)와 가이드 플레이트(12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버블 플레이트(1210)는 제1 세정부(1100)의 하부로 이동된 세정액이 수용되는 세정액 저장 공간(1201)을 마련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버블 플레이트(1210)의 하부측에는 배기가스 공급부(4400)로부터 공급된 배기가스를 세정액 저장 공간(1201)로 분사시키는 복수개의 버블 발생홀(1211)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버블 플레이트(1210)는 일정 이상의 압력으로 공급되는 배기가스를 버블 발생홀(1211)을 통해 세정액 저장 공간(1201)으로 공급하는 과정에서, 배기가스는 세정액 내에 미세 버블 형태로 공급이 이루어진다. 이 과정에서 배기가스는 세정액 내에 용해되며, 배기가스 내 이산화탄소, 미세먼지 및 악취 등은 효과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여기서 버블 플레이트(1210)에 형성된 버블 발생홀(1211)은 예를 들어 지름이 3mm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버블 발생홀(1211)의 지름은 반드시 3mm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세정액 내에서 미세 버블을 발생시키며 배기가스 내 존재하는 이산화탄소 및 악취 등이 세정액에 효과적으로 용해될 수만 있다면 어떠한 크기로라도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가이드 플레이트(1220)는 버블 플레이트(1210)와 이격 배치된다.
이와 같은 가이드 플레이트(1220)는 버블 플레이트(1210)와 함께 배기가스 공급부(4400)로부터 공급된 배기가스의 이동공간인 가스 이동공간(1202)을 마련하게 된다. 즉, 이러한 가이드 플레이트(1220)와 버블 플레이트(1210)는 이중관 형태를 이루게 된다.
여기서 가이드 플레이트(1220)와 버블 플레이트(1210)는 하부로 갈수록 지름이 작아지는 테이퍼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 플레이트(1220)와 버블 플레이트(1210)의 테이퍼 각은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 플레이트(1220)의 테이퍼 각은 버블 플레이트(1210)의 테이퍼 각보다 각도가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가이드 플레이트(1220)는 버블 발생홀(1211)이 형성된 버블 플레이트(1210)의 하부로 갈수록 버블 플레이트(1210)와의 간격이 좁아지도록 테이퍼 각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가스 이동공간(1202)으로 안내된 배기가스가 버블 발생홀(1211)을 통해 세정액의 내부로 분사됨에 있어, 더욱 높은 압력으로 배기가스가 분사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를 통해 세정액으로 분사되는 배기가스의 미세 버블은 더욱 효과적으로 발생되어, 세정액으로 투입되는 배기가스의 용해도는 더욱 높아질 수 있다.
한편, 제2 마이크로 버블 용해부(1300)는 제1 마이크로 버블 용해부(1200)의 상부에 구비된다. 이와 같은 제2 마이크로 버블 용해부(1300)는 제1 마이크로 버블 용해부(1200)를 경유하여 유입된 배기가스를 제2 세정액 수용부(1301)에 수용된 세정액으로 공급하여, 세정액 내에 배기가스가 효과적으로 용해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제1 스크러버(1000)에 구비된 제1 마이크로 버블 용해부(1200)와 제2 마이크로 버블 용해부(1300)는 배기가스의 미세 버블 발생을 통해 배기가스에 존재하는 이산화탄소 및 악취 등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2 마이크로 버블 용해부(1300)는 수용 플레이트(1310), 나사 체결부(1320), 버블캡(1330) 및 회수 공급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수용 플레이트(1310)는 제2 세정액 수용부(1301)의 바닥면을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은 제2 세정액 수용부(1301)에는 제1 분사 노즐(1500)로부터 분사되어 낙하된 세정액이 수용될 수 있다.
그리고 나사 체결부(1320)는 수용 플레이트(1310)로부터 돌출되되, 제1 마이크로 버블 용해부(1200)를 경유한 배기가스가 유입되는 가스 유입홀(1321)이 형성된다.
그리고 버블캡(1330)은 나사 체결부(1320)와 나사 결합되며, 가스 유입홀(1321)을 통해 유입된 배기가스를 세정액이 수용된 제2 세정액 수용부(1301)로 배출시키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버블캡(1330)은 제2 세정액 수용부(1301)로 배기가스를 배출시킴에 있어, 예를 들어 50 미크론(micron) 이하의 버블 형태로 배기가스를 배출시키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버블캡(1330)은 바디부(1331) 및 가스 가이드부(133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바디부(1331)는 나사 체결부(1320)와 나사 결합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바디부(1331)의 내측에는 가스 유입홀(1321)과 연통되는 가스 이동홀(1333)이 형성되어, 가스 유입홀(1321)로 유입되는 배기가스는 가스 이동홀(1333)로 안내될 수 있다.
그리고 가스 가이드부(1332)는 바디부(1331)와 결합되며, 바디부(1331)의 외측면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이격 배치된다. 이러한 가스 가이드부(1332)는 바디부(1331)와 결합됨에 있어, 가스 이동홀(1333)과 연통된 가스 배출홀(1334)이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형성되도록 결합이 이루어진다. 이에, 가스 이동홀(1333)을 통해 가스 배출홀(1334)로 안내된 배기가스는 제2 세정액 수용부(1301)로 배출될 수 있다. 그리고 슬릿부(1335)는 가스 가이드부(1332)의 둘레를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버블캡(1330)을 통해 미세 버블 형태로 배출되는 배기가스는 세정액에 효과적으로 용해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마이크로 버블 용해부(1300)에는 회수 공급부(미도시)가 구비되어, 제2 세정액 수용부(1301)에 일정 높이 이상으로 수용되는 세정액에 대해 제1 세정부(1100)의 하부로 재공급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제1 시브 트레이(1400)는 제1 분사 노즐(1500)과 제2 마이크로 버블 용해부(1300) 사이에 배치된다.
이러한 제1 시브 트레이(1400)는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시브 트레이(1400)에는 복수의 관통홀(1401)이 형성되어, 제2 마이크로 버블 용해부(1300)를 경유한 후, 상부로 이동되는 배기가스는 관통홀(1401)을 통해 상부로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관통홀(1401)의 지름 크기는 예를들어 10mm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관통홀(1401)의 지름 크기는 반드시 10mm로 이루어져야 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제1 시브 트레이(1400)는 제1 세정부(1100)의 상부로 이동되는 배기가스와 세정액과의 접촉면적을 늘려 배기가스 내 이산화탄소, 미세먼지 및 악취 등의 제거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리고 제1 시브 트레이(1400)를 경유하여 제1 세정부(1100)의 상부로 이동된 배기가스는 제1 세정부(1100)에 형성된 제1 가스 이동경로(1110)를 통해 이웃하게 배치되는 제2 스크러버(2000)로 이동된다.
이와 같이, 외부로부터 제1 스크러버(1000)의 내부로 유입된 배기가스는 제1 마이크로 버블 용해부(1200)에서 1차로 배기가스 내 이산화탄소 및 악취 등의 제거가 이루어지고, 제1 마이크로 버블 용해부(1200)를 경유한 후 제2 마이크로 버블 용해부(1300)로 이동된 배기가스는 제2 마이크로 버블 용해부(1300)에서 2차로 배기가스 내 이산화탄소 및 악취 등의 제거가 이루어지며, 제2 마이크로 버블 용해부(1300)를 경유한 후 제1 시브 트레이(1400)로 이동된 배기가스는 제1 시브 트레이(1400)에서 3차로 배기가스 내 이산화탄소 및 악취 등의 제거가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외부로부터 제1 스크러버(1000)의 내부로 유입된 배기가스 내 이산화탄소 및 악취 등은 효과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한편, 제2 스크러버(2000)는 제1 스크러버(1000)와 이웃하게 배치된다.
이러한 제2 스크러버(2000)는 제2 세정부(2100), 제2 분사 노즐(2200) 및 제2 시브 트레이(23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세정부(2100)는 제2 스크러버(2000)의 외형을 이룬다.
이러한 제2 세정부(2100)는 제1 가스 이동경로(1110)를 통해 이동된 배기가스가 유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가스 이동경로(1110)는 제2 세정부(2100)의 하부에 수용된 세정액의 표면과 이격되도록 이루어진다. 즉, 제1 가스 이동경로(1110)의 단부와 제2 세정부의 하부에 수용된 세정액의 표면 사이에는 이격공간(G)이 형성되어, 제1 가스 이동경로(1110)를 통해 이동되는 배기가스는 제2 세정부(2100) 내로 안내될 수 있다. 이때, 제1 가스 이동경로(1110)의 단부와 제2 세정부의 하부에 수용된 세정액의 표면 사이의 이격공간(G)의 높이는 예를 들어 4 ~ 6cm 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이격공간(G)을 통해 제2 세정부(2100)로 배기가스가 이동되는 과정에서 일부의 배기가스는 제2 세정부(2100)의 하부에 수용된 세정액과 직접적으로 접촉되며 배기가스 내 이산화탄소 및 악취 등의 제거가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제2 분사 노즐(2200)은 제2 세정부(2100)의 상부에 구비된다. 이러한 제2 분사 노즐(2200)은 세정액 공급부(4300)를 통해 공급된 세정액을 제2 세정부(2100)의 하부로 분사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2 시브 트레이(2300)는 제2 세정부(2100) 내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시브 트레이(2300)에는 제1 시브 트레이(1400)와 같이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된다.
이에, 제2 시브 트레이(2300)는 제2 세정부(2100)의 상부로 이동되는 배기가스와 세정액과의 접촉면적을 늘려 배기가스 내 이산화탄소, 미세먼지 및 악취 등의 제거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리고 제2 시브 트레이(2300)를 경유하여 제2 세정부(2100)의 상부로 이동된 배기가스는 제2 세정부(2100)에 형성된 제2 가스 이동경로(2110)를 통해 이웃하게 배치되는 스크러버로 이동된다. 이때, 이웃하는 배치되는 스크러버가 제2 스크러버(2000)인 경우에는 제2 스크러버(2000)로 배기가스를 이동시키고, 이웃하게 배치되는 스크러버가 제3 스크러버(3000)인 경우에는 제3 스크러버(3000)로 배기가스를 이동시키게 된다.
한편, 제3 스크러버(3000)는 제2 스크러버(2000)와 이웃하게 배치된다.
이러한 제3 스크러버(3000)는 제3 세정부(3100), 제3 분사 노즐(3200), 제3 마이크로 버블 용해부(3300), 제3 시브 트레이(3400) 및 가스 배출부(35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3 세정부(3100)는 제3 스크러버(3000)의 외형을 이룬다.
이러한 제3 세정부(3100)는 제2 가스 이동경로(2110)를 통해 이동되는 배기가스가 유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2 가스 이동경로(2110)는 앞서 언급된 제1 가스 이동경로(1110)와 같이, 제3 세정부(3100)의 하부에 수용된 세정액의 표면과 이격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3 마이크로 버블 용해부(3300)는 제3 세정부(3100)의 하부로부터 유입되는 배기가스를 제3 세정액 수용부(3301)에 수용된 세정액으로 공급하여, 세정액 내에 배기가스가 효과적으로 용해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제3 마이크로 버블 용해부(3300)는 배기가스의 미세 버블 발생을 통해 배기가스에 존재하는 이산화탄소 및 악취 등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3 마이크로 버블 용해부(3300)는 제3 분사 노즐(3200)로부터 낙하된 세정액이 수용되는 제3 세정액 수용부(3301)가 마련된다.
이와 같은 제3 세정액 수용부(3301) 내에는 버블캡(1330)이 구비되어, 제3 세정부(3100)의 하부로부터 제3 마이크로 버블 용해부(3300)로 유입되는 배기가스는 제3 세정액 수용부(3301)에 수용된 세정액으로 용해될 수 있다. 여기서 제3 세정액 수용부(3301)를 넘치는 세정액은 제3 세정부(3100)의 하부에 수용된 세정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제3 마이크로 버블 용해부(3300)는 앞서 언급된 제2 마이크로 버블 용해부(1300)와 대응되는 구성으로, 구체적인 내용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제3 시브 트레이(3400)는 제3 분사 노즐(3200)과 제3 마이크로 버블 용해부(3300) 사이에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3 시브 트레이(3400)에는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되어, 제3 마이크로 버블 용해부(3300)를 경유한 후, 상부로 이동되는 배기가스는 관통홀을 통해 상부로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제3 시브 트레이(3400)는 제3 세정부(3100)의 상부로 이동되는 배기가스와 세정액과의 접촉면적을 늘려 배기가스 내 이산화탄소, 미세먼지 및 악취 등의 제거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리고 가스 배출부(3500)는 제3 세정부(3100)의 상부에 결합되어, 제1 스크러버(1000), 제2 스크러버(2000) 및 제3 스크러버(3000)를 거쳐 최종적으로 정화된 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해수를 이용한 IoT 기반의 난분해성 배기가스 처리 및 탄소 중립화 고효율화 시스템(6000)은 통합 관리부(50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통합 관리부(5000)는 해수를 이용한 IoT 기반의 난분해성 배기가스 처리 및 탄소 중립화 고효율화 시스템(6000)을 전체적으로 관리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통합 관리부(5000)는 제1 스크러버(1000)에 구비된 인입 배기가스 측정센서(4410)와 제3 스크러버(3000)에 구비된 인출 배기가스 측정센서(3510)로부터 측정된 배기가스 내 이산화탄소 및 악취 등의 다양한 측정 정보값을 제공받으며, 인입 배기가스 측정센서(4410)와 인출 배기가스 측정센서(3510)로부터 제공된 측정 정보값을 기초로 배기가스 공급부(4400), 해수 공급부(4100) 및 약액 공급부(4200)의 작동을 선택적으로 제어하게 된다. 여기서 인입 배기가스 측정센서(4410)는 배기가스 공급부(4400) 상에 마련되고, 인출 배기가스 측정센서(3510)는 가스 배출부(3500)에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인입 배기가스 측정센서(4410)와 인출 배기가스 측정센서(3510)로부터 측정된 배기가스의 다양한 측정값은 통합 관리부(5000)로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통합 관리부(5000)는 인입 배기가스 측정센서(4410)와 인출 배기가스 측정센서(3510)로부터 측정된 배기가스의 다양한 측정값을 기초로 배기가스 공급부(4400), 해수 공급부(4100) 및 약액 공급부(4200)의 작동을 제어하게 된다.
이러한 통합 관리부(5000)는 사용자 단말기(100)와 통신 가능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통합 관리부(5000)를 통해 해수를 이용한 IoT 기반의 난분해성 배기가스 처리 및 탄소 중립화 고효율화 시스템(6000)의 작동 상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받을 수도 있다.
여기서 통합 관리부(5000)와 통신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사용자 단말기(100)는 예를 들어, 문자입력이 가능한 입력 장치와 화면상에 표시 가능한 출력장치가 구비된 장치라면 어떠한 장치라도 상관없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기(100)는 예로 휴대폰, 스마트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태블릿 PC 등과 같이 터치 스크린 패널이 구비된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일 수도 있고, 데스크탑 PC, 태블릿 PC, 랩탑 PC, 셋탑 박스를 포함하는 IPTV 등과 같이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실행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된 장치일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사용자 단말기(100)는 통합 관리부(5000)에 접속 가능한 전용 프로그램이 설치된 사용자 단말기(100)에 한해서 접속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통합 관리부(5000)에 접속하는 경우, 미리 지정된 고유의 아이디(ID)와 패스워드(PW)를 부여받은 사용자만이 통합 관리부(5000)에 접속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는, 해수를 이용한 IoT 기반의 난분해성 배기가스 처리 및 탄소 중립화 고효율화 시스템(6000)의 사용 및 관리상 보안을 위함이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기(100)를 비롯한 통합 관리부(5000)는 인터넷망, 인트라넷망, 이동통신망 및 위성 통신망 등 다양한 유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인터넷 프로토콜로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통신망은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등의 폐쇄형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과 같은 개방형 네트워크뿐만 아니라,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LTE(Long Term Evolution), EPC(Evolved Packet Core) 등의 네트워크와 향후 구현될 차세대 네트워크 및 컴퓨팅 네트워크를 통칭하는 개념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00)를 통해 해수를 이용한 IoT 기반의 난분해성 배기가스 처리 및 탄소 중립화 고효율화 시스템(6000)의 작업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따라서, 해수를 이용한 IoT 기반의 난분해성 배기가스 처리 및 탄소 중립화 고효율화 시스템(6000)이 비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경우, 사용자는 원격에서 통합 관리부(5000)를 통해 해수를 이용한 IoT 기반의 난분해성 배기가스 처리 및 탄소 중립화 고효율화 시스템(6000)의 작동을 간편하게 제어할 수도 있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의 기재 범위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0: 제1 스크러버
1100: 제1 세정부
1110: 제1 가스 이동경로
1200: 제1 마이크로 버블 용해부
1201: 세정액 저장 공간
1202: 가스 이동공간
1210: 버블 플레이트
1211: 버블 발생홀
1220: 가이드 플레이트
1300: 제2 마이크로 버블 용해부
1301: 제2 세정액 수용부
1310: 수용 플레이트
1320: 나사 체결부
1321: 가스 유입홀
1330: 버블캡
1331: 바디부
1332: 가스 가이드부
1333: 가스 이동홀
1334: 가스 배출홀
1335: 슬릿부
1400: 제1 시브 트레이
1401: 관통홀
1500: 제1 분사 노즐
2000: 제2 스크러버
2100: 제2 세정부
2110: 제2 가스 이동경로
2200: 제2 분사 노즐
2300: 제2 시브 트레이
3000: 제3 스크러버
3100: 제3 세정부
3200: 제3 분사 노즐
3300: 제3 마이크로 버블 용해부
3301: 제3 세정액 수용부
3400: 제3 시브 트레이
3500: 가스 배출부
3510: 인출 배기가스 측정센서
4100: 해수 공급부
4200: 약액 공급부
4300: 세정액 공급부
4400: 배기가스 공급부
4410: 인입 배기가스 측정센서
5000: 통합 관리부
6000: IoT 기반의 난분해성 배기가스 처리 및 탄소 중립화 고효율화 시스템

Claims (7)

  1. 외부로부터 유입된 배기가스에 대해 이산화탄소 및 악취를 제거하는 제1 스크러버;
    상기 제1 스크러버와 이웃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1 스크러버로부터 유입된 배기가스에 대해 이산화탄소 및 악취를 제거하는 하나 이상의 제2 스크러버; 및
    상기 제2 스크러버와 이웃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2 스크러버로부터 유입된 배기가스에 대해 이산화탄소 및 악취를 제거한 후, 정화된 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3 스크러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스크러버에는 제1 마이크로 버블 용해부가 구비되어 상기 제1 스크러버 내부로 유입된 배기가스 내 이산화탄소 및 악취를 1차로 제거하고, 상기 제1 마이크로 버블 용해부의 상부에는 제2 마이크로 버블 용해부가 구비되어 상기 제1 마이크로 버블 용해부를 경유한 배기가스 내 이산화탄소 및 악취를 2차로 제거하며, 상기 제2 마이크로 버블 용해부의 상부에는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된 제1 시브 트레이가 구비되어 상기 제2 마이크로 버블 용해부를 경유한 배기가스 내 이산화탄소 및 악취를 3차로 제거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스크러버 내지 제3 스크러버의 상부에는 제1 분사 노즐 내지 제3 분사 노즐이 각각 구비되되, 상기 제1 분사 노즐 내지 제3 분사 노즐로부터 분사되는 세정액은 해수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해수와 약액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약액이 포함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분사 노즐 내지 제3 분사 노즐로부터 분사되어 낙하된 세정액은 상기 제1 스크러버 내지 제3 스크러버의 하부에 수용되되, 상기 제1 스크러버 내지 제3 스크러버의 하부는 서로 연통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스크러버는, 외형을 이루는 제1 세정부; 및 상기 제1 세정부의 내측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 세정부의 하부에 수용된 세정액으로 배기가스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배기가스를 용해시키는 제1 마이크로 버블 용해부를 가지되,
    상기 제1 마이크로 버블 용해부는, 세정액이 수용되는 세정액 저장 공간을 마련하며, 하부에는 상기 배기가스 공급부를 통해 유입된 배기가스를 상기 세정액 저장 공간으로 공급하는 복수개의 버블 발생홀이 형성된 버블 플레이트; 및 상기 버블 플레이트와 이격 배치되며, 상기 배기가스 공급부를 통해 유입된 배기가스를 상기 버블 발생홀로 안내하는 가이드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버블 플레이트와 가이드 플레이트는 테이퍼지게 형성되되,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는 상기 버블 발생홀이 형성된 상기 버블 플레이트의 하부로 갈수록 상기 버블 플레이트와의 간격이 좁아지도록 테이퍼진 것인 해수를 이용한 IoT 기반의 난분해성 배기가스 처리 및 탄소 중립화 고효율화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크러버는,
    상기 제1 세정부의 상부에 구비되며, 하부로 세정액을 분사하는 제1 분사 노즐;
    상기 제1 마이크로 버블 용해부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 분사 노즐로부터 낙하된 세정액이 수용되는 제2 세정액 수용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2 세정액 수용부 내에는 버블캡이 구비되어 상기 제1 마이크로 버블 용해부를 경유하여 유입된 배기가스를 상기 제2 세정액 수용부에 수용된 세정액으로 용해시키는 제2 마이크로 버블 용해부; 및
    상기 제1 분사 노즐과 제2 마이크로 버블 용해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2 마이크로 버블 용해부를 경유한 배기가스와 상기 제1 분사 노즐로부터 분사되는 세정액과의 접촉 면적을 넓히도록 이루어진 미리 정해진 간격을 이루는 제1 시브 트레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세정부의 상부로 이동된 배기가스는 상기 제1 세정부에 형성된 제1 가스 이동경로를 통해 이웃하게 배치된 상기 제2 스크러버로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를 이용한 IoT 기반의 난분해성 배기가스 처리 및 탄소 중립화 고효율화 시스템.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마이크로 버블 용해부는,
    상기 제2 세정액 수용부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수용 플레이트;
    상기 수용 플레이트로부터 돌출되되, 상기 제1 마이크로 버블 용해부를 경유한 배기가스가 유입되는 가스 유입홀이 형성된 나사 체결부;
    상기 나사 체결부와 나사 결합되며, 상기 가스 유입홀을 통해 유입된 배기가스를 상기 제2 세정액 수용부에 수용된 세정액으로 배출시키는 버블캡;
    상기 제2 세정액 수용부에 수용된 세정액을 상기 제1 세정부의 하부로 공급하는 회수 공급부를 포함하며,
    상기 버블캡은,
    상기 나사 체결부와 나사 결합되며, 상기 가스 유입홀과 연통된 가스 이동홀이 형성된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와 결합되되, 상기 가스 이동홀과 연통되는 가스 배출홀을 형성하고, 상기 바디부의 외측면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이격된 가스 가이드부를 가지되,
    상기 가스 가이드부는 둘레를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을 이루는 슬릿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를 이용한 IoT 기반의 난분해성 배기가스 처리 및 탄소 중립화 고효율화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마이크로 버블 용해부로 배기가스를 공급하는 배기가스 공급부;
    상기 제1 스크러버 내지 제3 스크러버가 결합된 모듈 스크러버의 하부로 해수를 공급하는 해수 공급부;
    상기 모듈 스크러버의 하부로 약액을 공급하는 약액 공급부; 및
    상기 모듈 스크러버의 하부에 수용된 세정액을 상기 제1 분사 노즐 내지 제3 분사 노즐로 공급하는 세정액 공급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약액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약액은 수산화나트륨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모듈 스크러버의 하부에 수용된 세정액의 pH 농도는 10 ~ 1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를 이용한 IoT 기반의 난분해성 배기가스 처리 및 탄소 중립화 고효율화 시스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크러버는,
    외형을 이루며, 상기 제1 가스 이동경로를 통해 배기가스가 유입되는 제2 세정부;
    상기 제2 세정부의 상부에 구비되며, 하부로 세정액을 분사하는 제2 분사 노즐; 및
    상기 제2 분사 노즐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 가스 이동경로를 통해 유입된 배기가스와 상기 제2 분사 노즐로부터 분사되는 세정액과의 접촉 면적을 넓히도록 이루어진 미리 정해진 간격을 이루는 제2 시브 트레이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세정부의 상부로 이동된 배기가스는 상기 제2 세정부에 형성된 제2 가스 이동경로를 통해 이웃하게 배치된 상기 제3 스크러버로 안내되고,
    상기 제1 가스 이동경로는 상기 제2 세정부의 하부에 수용된 세정액의 표면과 이격되어 배기가스가 이동되는 이격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를 이용한 IoT 기반의 난분해성 배기가스 처리 및 탄소 중립화 고효율화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스크러버는,
    외형을 이루며, 상기 제2 가스 이동경로를 통해 배기가스가 유입되는 제3 세정부;
    상기 제3 세정부의 상부에 구비되며, 하부로 세정액을 분사하는 제3 분사 노즐;
    상기 제3 분사 노즐로부터 낙하된 세정액이 수용되는 제3 세정액 수용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3 세정액 수용부 내에는 버블캡이 구비되어, 상기 제3 세정부로 유입된 배기가스를 상기 제3 세정액 수용부에 수용된 세정액으로 용해시키는 제3 마이크로 버블 용해부;
    상기 제3 분사 노즐과 제3 마이크로 버블 용해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3 마이크로 버블 용해부를 경유한 배기가스와 상기 제3 분사 노즐로부터 분사되는 세정액과의 접촉 면적을 넓히도록 이루어진 미리 정해진 간격을 이루는 제3 시브 트레이; 및
    상기 제3 세정부의 상부에 결합되며, 정화된 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가스 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를 이용한 IoT 기반의 난분해성 배기가스 처리 및 탄소 중립화 고효율화 시스템.
KR1020210184954A 2021-12-22 2021-12-22 해수를 이용한 IoT 기반의 난분해성 배기가스 처리 및 탄소 중립화 고효율화 시스템 KR1023986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4954A KR102398619B1 (ko) 2021-12-22 2021-12-22 해수를 이용한 IoT 기반의 난분해성 배기가스 처리 및 탄소 중립화 고효율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4954A KR102398619B1 (ko) 2021-12-22 2021-12-22 해수를 이용한 IoT 기반의 난분해성 배기가스 처리 및 탄소 중립화 고효율화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8619B1 true KR102398619B1 (ko) 2022-05-17

Family

ID=81803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4954A KR102398619B1 (ko) 2021-12-22 2021-12-22 해수를 이용한 IoT 기반의 난분해성 배기가스 처리 및 탄소 중립화 고효율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8619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6297B1 (ko) * 2005-05-03 2006-09-20 주식회사 케이피씨 배기가스 스크러버 장치
KR101362064B1 (ko) 2012-08-21 2014-02-11 주식회사 바이오플랜트 악취 및 배출가스 처리장치
KR101485320B1 (ko) * 2014-08-26 2015-01-23 (주)이화에코시스템 기포 미세화 기능을 갖는 탈취장치
KR101629158B1 (ko) * 2016-04-15 2016-06-09 김은수 복합 탈취기
JP2019122934A (ja) * 2018-01-18 2019-07-25 千代田化工建設株式会社 排ガス処理方法および排ガス処理装置
KR102032801B1 (ko) * 2018-06-27 2019-10-16 장영보 3단 습식 세정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6297B1 (ko) * 2005-05-03 2006-09-20 주식회사 케이피씨 배기가스 스크러버 장치
KR101362064B1 (ko) 2012-08-21 2014-02-11 주식회사 바이오플랜트 악취 및 배출가스 처리장치
KR101485320B1 (ko) * 2014-08-26 2015-01-23 (주)이화에코시스템 기포 미세화 기능을 갖는 탈취장치
KR101629158B1 (ko) * 2016-04-15 2016-06-09 김은수 복합 탈취기
JP2019122934A (ja) * 2018-01-18 2019-07-25 千代田化工建設株式会社 排ガス処理方法および排ガス処理装置
KR102032801B1 (ko) * 2018-06-27 2019-10-16 장영보 3단 습식 세정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8143B1 (ko) 연속식 악취가스 탈취장치
KR100932517B1 (ko) 처리효율을 극대화한 대기정화장치 및 그 방법
JP2015066526A (ja) 海水脱硫用散気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海水脱硫装置
KR102398619B1 (ko) 해수를 이용한 IoT 기반의 난분해성 배기가스 처리 및 탄소 중립화 고효율화 시스템
US8821723B2 (en) Photocatalytic reactor and method for treating gaseous pollutants using the same
JP2009226365A (ja) 脱硫脱炭装置および二酸化炭素除去の前処理方法
KR101845909B1 (ko)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한 유해가스 처리시스템
US20140161678A1 (en) Scrubber system having an apparatus for creating automatic an oxidizing bent and absorbent
KR20170080771A (ko) 배가스에 대한 유해물질 습식제거장치 및 습식제거방법
KR102398620B1 (ko) 공업용수를 이용한 IoT 기반의 난분해성 배기가스 처리 및 탄소 중립화 고효율화 시스템
KR102398618B1 (ko) Ict 기반의 난분해성 악취가스 처리 및 탄소 중립화 탈취 시스템
KR20050004566A (ko) 오염 제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기판 처리 장치의공조시스템
WO2003033402A3 (en) Dissolved ozone generation and delivery system
US2003009409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an exhaust gas containing volatile organic compounds
KR101740614B1 (ko) 온실가스 제거 효율이 향상된 연도 가스 처리 장치
KR101010893B1 (ko) 상수 및 하폐수 처리용 가스용해장치
KR101635935B1 (ko) 배기가스 처리방법
KR101453958B1 (ko) 자동 산화-흡수제 생성장치를 구비한 스크러버 시스템
JP2013000722A (ja) 排ガス処理装置及び排ガス処理方法
ITMI20022336A1 (it) Procedimento ed apparecchiatura di miscelazione con
JP2015058430A (ja) 海水中の泡を制御する方法及び装置
KR102358617B1 (ko) 고효율 ict형 특수 구조 탈취기 개발로 난분해성 악취가스 처리 및 탄소 중립화 탈취 시스템
JP2010089054A (ja) 処理装置及び処理方法
KR20090047267A (ko) 오존수를 이용한 악취저감시스템
KR20230137137A (ko) 탄산 나트륨 파우더 제조를 위한 ict 기반의 난분해성 배기가스 처리 및 탄소 중립화 고효율화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