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7874B1 - 지문센서 어레이 및 그를 구비한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지문센서 어레이 및 그를 구비한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7874B1
KR102397874B1 KR1020150138249A KR20150138249A KR102397874B1 KR 102397874 B1 KR102397874 B1 KR 102397874B1 KR 1020150138249 A KR1020150138249 A KR 1020150138249A KR 20150138249 A KR20150138249 A KR 20150138249A KR 102397874 B1 KR102397874 B1 KR 1023978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osed
electrodes
transparent
fingerprint sensor
sensor ar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82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39050A (ko
Inventor
한만협
추교섭
조지호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382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7874B1/ko
Priority to US14/982,158 priority patent/US10037452B2/en
Priority to CN201511021443.XA priority patent/CN106557216B/zh
Publication of KR201700390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90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78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78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06V40/13Sensors therefor
    • G06V40/1306Sensors therefor non-optical, e.g. ultrasonic or capacitive sen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6Details of scanning methods, e.g. sampling time, grouping of sub areas or time sharing with display driving
    • G06F3/041661Details of scanning methods, e.g. sampling time, grouping of sub areas or time sharing with display driving using detection at multiple resolutions, e.g. coarse and fine scanning; using detection within a limited area, e.g. object tracking window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two or more layers of sensing electrodes, e.g. using two layers of electrodes separated by a dielectric lay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8Details of the electrode shape, e.g. for enhancing the detection of touches, for generating specific electric field shapes, for enhancing display qu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06V40/13Sensors therefor
    • G06V40/1329Protecting the fingerprint sensor against damage caused by the fing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1Cross over in capacitive digitiser, i.e. details of structures for connecting electrodes of the sensing pattern where the connections cross each other, e.g. bridge structures comprising an insulating layer, or vias through substrat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2Electrode mesh in capacitive digitiser: electrode for touch sensing is formed of a mesh of very fine, normally metallic, interconnected lines that are almost invisible to see. This provides a quite large but transparent electrode surface, without need for ITO or similar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Image Input (AREA)
  • Measurement Of Length, Angles, Or The Lik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문센서의 해상도를 높일 수 있는 지문센서 어레이 및 그를 구비하는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지문센서 어레이는 절연층을 사이에 두고 서로 교차하도록 배치되는 제 1 전극들 및 제 2 전극들을 포함한다. 복수의 제 1 전극들은 제 1 방향으로 배열되며, 투명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지는 제 1 투명전극과 저저항의 금속물질로 이루어지는 제 1 금속전극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복수의 제 2 전극들은 상기 제 1 방향과 교차하는 제 2 방향으로 배열되며, 상기 투명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지는 제 2 투명전극과 상기 저저항의 금속물질로 이루어지는 제 2 금속전극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절연층은 상기 제 1 전극들과 상기 제 2 전극들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전극들과 상기 제 2 전극들을 절연시킨다.

Description

지문센서 어레이 및 그를 구비한 표시장치{FINGERPRINT SENSOR ARRAY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지문센서 및 그를 구비한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 기술의 발달에 따라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태블릿 피시(tablet PC), 스마트폰(smart phone), 개인 휴대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현금 자동 입출금기(Automated Teller Machine), 검색 안내 시스템 등과 같은 다양한 용도의 컴퓨터 기반 시스템(computer based system)이 개발되어 왔다. 이들 시스템에는 통상적으로 개인 사생활과 관련된 개인정보는 물론 영업정보나 영업기밀과 같이 비밀을 요하는 많은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 데이터를 보호하기 위해서는 보안을 강화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이를 위해 종래부터 손가락의 지문을 이용하여 시스템의 등록이나 인증을 수행함으로써 보안성을 강화할 수 있는 지문센서가 알려져 있다.
지문센서는 인간의 손가락 지문을 감지하는 센서이다. 지문센서는 광학식 지문센서(optical fingerprint sensor)와 정전용량식 지문센서(capacitive fingerprint sensor)로 크게 나누어진다.
광학식 지문센서(optical fingerprint sensor)는 내부에서 LED(Light Emitting Diode) 등의 광원을 조사하고 지문의 융선(ridge)에 의해 반사된 빛을 CMOS 이미지 센서를 통해 감지하는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광학식 지문센서는 LED를 이용해서 스캔을 해 야하기 때문에 크기를 줄이는 데에 한계가 있고 광원 자체가 고가이기 때문에 제조비가 증가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정전용량식 지문센서(capacitive fingerprint sensor)는 지문센서와 접촉되는 융선(ridge)과 골(valley) 사이에 대전되는 전기량의 차를 이용한 것이다.
종래의 정전용량식 지문센서로는 "정전용량식 센서 패키징(capacitive sensor packaging)"이란 명칭으로, 2013년 11월 21일 공개된 미국 공개특허 제 US2013/0307818호가 알려져 있다.
상기 미국 공개특허 공보에 기재된 정전용량식 지문센서는 정전용량식 지문센서는 특정 푸시버튼(push button)과 결합한 어셈블리 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며, 용량성 플레이트와 사용자의 지문(융선과 골) 사이의 정전용량을 측정하기 위한 회로가 인쇄된 실리콘 웨이퍼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인간 지문의 융선(ridge)과 골(valley)은 대략 300㎛~500㎛의 크기로 매우 미세하기 때문에, 상기 미국 공보의 정전용량식 지문센서는 고해상도 센서 어레이와 지문인식 처리를 위한 IC(Integrated Chip) 제작이 필요하고, 이를 위해 센서 어레이와 IC을 일체로 형성할 수 있는 실리콘 웨이퍼를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실리콘 웨이퍼를 이용하여 고해상도의 센서 어레이와 IC를 함께 형성할 경우, 푸시버튼과 함께 지문센서를 결합하기 위한 어셈블리 구조가 필요하게 되므로 구성이 복잡해 질 뿐 아니라 비표시 영역(베젤영역)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푸시버튼(예를 들면, 스마트폰의 홈키)과 지문센서가 중첩되게 형성되므로, 그 두께가 증가할 뿐 아니라 지문센싱 영역이 푸시버튼의 크기에 좌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터치센서 스크린의 영역을 지문식별 영역으로 이용하는 기술 등이 개발되어 왔다. 이러한 기술로서는 "지문식별용 용량성 터치센서(capacitive touch sensor for identifying a fingerprint)"란 명칭으로 2013년 10월 22일 등록된 미국 등록특허 제 US8,564,314호와, "지문인식 일체형 정전용량 터치 스크린"이란 명칭으로 2014년 8월 18일 등록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32988호가 알려져 있다.
도 1은 상기 미국 등록특허에 도시된 도 5를 도시한 도면으로, 용량성 센싱패널의 구동전극과 센싱전극의 배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는 상기 대한민국 등록특허에 도시된 도 3을 도시한 도면으로, 지문인식 일체형 정전용량 터치 스크린의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지문식별용 용량성 터치센서(400)는 터치 구동전극(401(x))과 터치 센싱전극(401(y))을 포함하는 터치센서(403)와, 지문 구동전극(405(x))과 지문 센싱전극(405(y))을 포함하는 지문센서(405)를 포함한다. 그러나, 상기 용량성 터치센서(400)는 화면 영역에 부분적으로 별도의 지문센서(405)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지문센서(405) 영역이 터치가 안되거나 그 주변 영역의 터치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 2를 참조하면, 지문인식 일체형 정전용량 터치스크린은 터치 패널(110), 전극 연결 라인(120), 및 터치 컨트롤러(130)를 포함한다. 상기 구성에서 터치 패널(110)은, 서로 교차하도록 배열되는 제 1 채널 전극(111)(Tx or Rx)과 제 2 채널 전극(112)(Tx or Rx)의 조합에 의해 미세 채널(113)이 형성된다. 이들 미세 채널(113) 중 지문인식 센서(114)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의 미세 채널(113)들은 복수로 묶여 터치 신호의 감지를 위한 터치 그룹 채널들(115)로 기능하고, 지문인식 센서(114)의 영역에 해당하는 미세 채널들(113) 각각은 지문인식 채널(116)로 기능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 지문인식 일체형 정전용량 터치 스크린은 터치 그룹 채널들(115)로 기능하는 미세 채널들(터치 채널들) 때문에 터치 채널들 사이의 상호 정전용량이 상당히 증가된다. 이러한 상호 정전용량의 증가는 터치 센서의 센싱감도를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기 때문에, 터치 동작 발생시 터치를 인식하지 못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한 것으로, 터치 스크린의 지문센서 영역에 터치 기능의 데드 존(dead zone)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터치전극이 미세패턴으로 구성되어 상호 정전용량의 크기가 증가함으로써 터치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지문센서 어레이 및 그를 구비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지문센서 어레이는 절연층을 사이에 두고 서로 교차하도록 배치되는 제 1 전극들 및 제 2 전극들을 포함한다. 복수의 제 1 전극들은 제 1 방향으로 배열되며, 투명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지는 제 1 투명전극과 저저항의 금속물질로 이루어지는 제 1 금속전극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복수의 제 2 전극들은 상기 제 1 방향과 교차하는 제 2 방향으로 배열되며, 상기 투명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지는 제 2 투명전극과 상기 저저항의 금속물질로 이루어지는 제 2 금속전극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절연층은 상기 제 1 전극들과 상기 제 2 전극들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전극들과 상기 제 2 전극들을 절연시킨다.
상기 구성에서, 상기 제 1 전극들 각각은, 베이스 부재 상에 배치되며, 일정 형상을 갖는 복수의 제 1 투명패턴들과, 상기 복수의 제 1 투명패턴들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들로 이루어지는 제 1 투명전극, 및 상기 제 1 투명패턴들 상부 또는 상기 제 1 투명패턴들과 상기 베이스 부재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투명패턴의 일부와 중첩되는 제 1 개구부를 갖는 제 1 금속전극들을 포함한다. 또한, 제 2 전극들 각각은, 상기 제 1 전극들을 커버하는 절연층 상에 배치되며, 일정 형상을 갖는 복수의 제 2 투명패턴들과, 상기 복수의 제 2 투명패턴들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들로 이루어지는 제 2 투명전극, 및 상기 제 2 투명패턴들 상부 또는 상기 제 1 투명패턴들과 상기 베이스 부재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 2 투명패턴의 일부와 중첩되는 제 2 개구부를 갖는 제 2 금속전극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제 1 투명패턴들 각각은 상기 베이스 부재를 노출시키는 제 3 개구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1 개구부 및 상기 제 2 개구부 각각의 크기는 상기 제 3 개구부 및 제 4 개구부 각각의 크기 보다 크다.
또한, 상기 제 1 전극들 각각은, 일정 형상의 제 1 개구부를 갖는 복수의 제 1 금속패턴들과, 상기 복수의 제 1 금속패턴들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들을 포함하며, 베이스 부재 상에 배치되는 제 1 금속전극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2 전극들 각각은, 일정 형상의 제 2 개구부를 갖는 복수의 제 2 금속패턴들과, 상기 복수의 제 2 금속패턴들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들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1 전극들을 커버하는 절연층 상에 배치되는 제 2 금속전극으로 이루어 진다.
또한, 상기 제 1 전극들 각각은, 일정 형상을 갖는 복수의 제 1 투명패턴들과, 상기 복수의 제 1 투명패턴들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들을 포함하며, 베이스 부재 상에 배치되는 제 1 투명전극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2 전극들 각각은, 일정 형상을 갖는 복수의 제 2 투명패턴들과, 상기 복수의 제 2 투명패턴들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전극들을 커버하는 절연층 상에 배치되는 제 2 투명전극으로 이루어 진다.
또한, 상기 제 1 전극들 각각은, 베이스 부재 상에 배치되며, 일정 형상을 갖는 복수의 제 1 투명패턴들과, 상기 복수의 제 1 투명패턴들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들로 이루어지는 제 1 투명전극, 및 상기 제 1 투명패턴들 상부 또는 상기 제 1 투명패턴들과 상기 베이스 부재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투명패턴의 일부와 중첩되는 제 1 개구부를 갖는 제 1 금속전극들을 포함한다. 상기 제 2 전극들 각각은, 상기 제 1 전극들을 커버하는 절연층 상에 배치되며, 바 형상을 갖는 제 2 투명전극, 및 상기 제 2 투명전극의 일부분과 중첩되도록 상기 절연층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 2 투명전극의 다른 일부분과 함께 상기 절연층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제 2 개구부를 갖는 제 2 금속전극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1 전극들 각각은, 베이스 부재 상에 배치되며, 바 형상을 갖는 제 1 투명전극, 및 상기 제 1 투명전극 패턴 상부 또는 상기 제 1 투명전극과 상기 베이스 부재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투명전극의 일부와 중첩되는 제 1 개구부를 갖는 제 1 금속전극을 포함한다. 상기 제 2 전극들 각각은, 상기 제 1 전극들을 커버하는 절연층 상에 배치되며, 바 형상을 갖는 제 2 투명전극, 및 상기 제 2 투명전극의 일부분과 중첩되도록 상기 절연층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 2 투명전극의 다른 일부분과 함께 상기 절연층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제 2 개구부를 갖는 제 2 금속전극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1 전극들 각각은, 베이스 부재 상에 배치되며, 바 형상을 갖는 제 1 투명전극, 및 상기 제 1 투명전극 패턴 상부 또는 상기 제 1 투명전극과 상기 베이스 부재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투명전극의 일부와 중첩되는 제 1 개구부를 갖는 제 1 금속전극을 포함한다. 상기 제 2 전극들 각각은, 상기 제 1 전극들을 커버하는 절연층 상에 배치되며, 복수의 제 2 투명패턴들과, 상기 복수의 제 2 투명패턴들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들로 이루어지는 제 2 투명전극, 및 상기 제 2 투명패턴들 상부 또는 상기 제 1 투명패턴들과 상기 베이스 부재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 2 투명패턴의 일부와 중첩되는 제 2 개구부를 갖는 제 2 금속전극을 포함 하며, 상기 제 2 투명패턴들 각각은 상기 절연층을 노출시키는 제 3 개구부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제 1 특징을 갖는 표시장치는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광이 출력되는 개구 영역인 화소영역들과, 상기 화소영역들을 에워싸는 비개구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소자들이 배치된 제 1 어레이 기판 및 제 2 어레이 기판, 상기 제 1 어레이 기판과 제 2 어레이 기판 사이에 배치되는 배리어막, 상기 제 2 어레이 기판 상에 배치되어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광의 반사를 방지하는 편광막, 및 상기 편광막 상에 배치되어 표시장치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커버 윈도우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 기재의 지문센서 어레이가 상기 커버 윈도우와 상기 편광막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지문센서 어레이의 제 1 및 제 2 금속전극들은 상기 비개구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지문센서 어레이의 베이스 부재는 상기 커버 윈도우이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제 2 특징을 갖는 표시장치는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광이 출력되는 개구 영역인 화소영역들과, 상기 화소영역들을 에워싸는 비개구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소자들이 배치된 제 1 어레이 기판 및 제 2 어레이 기판, 상기 제 1 어레이 기판과 제 2 어레이 기판 사이에 배치되는 배리어막, 상기 제 2 어레이 기판 상에 배치되어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광의 반사를 방지하는 편광막, 및 상기 편광막 상에 배치되어 표시장치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커버 윈도우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 기재의 지문센서 어레이가 상기 편광막과 상기 제 2 어레이 기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지문센서 어레이의 제 1 및 제 2 금속전극들은 상기 비개구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지문센서 어레이의 베이스 부재는 상기 제 2 어레이 기판이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제 3 특징을 갖는 표시장치는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광이 출력되는 개구 영역인 화소영역들과, 상기 화소영역들을 에워싸는 비개구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소자들이 배치된 제 1 어레이 기판, 상기 제 1 어레이 기판 상에 배치되는 배리어막, 상기 제 2 어레이 기판 상에 배치되어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광의 반사를 방지하는 편광막, 및 상기 편광막 상에 배치되어 표시장치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커버 윈도우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 기재의 지문센서 어레이가 상기 편광막과 상기 배리어막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지문센서 어레이의 제 1 및 제 2 금속전극들은 상기 비개구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지문센서 어레이의 베이스 부재는 상기 배리어막이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제 4 특징을 갖는 표시장치는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광이 출력되는 개구 영역인 화소영역들과, 상기 화소영역들을 에워싸는 비개구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소자들이 배치된 제 1 어레이 기판 및 제 2 어레이 기판, 상기 제 1 어레이 기판과 제 2 어레이 기판 사이에 배치되는 배리어막, 상기 제 2 어레이 기판 상에 배치되어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광의 반사를 방지하는 편광막, 및 상기 편광막 상에 배치되어 표시장치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커버 윈도우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 기재의 지문센서 어레이가 상기 배리어막과 상기 제 1 어레이 기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지문센서 어레이의 제 1 및 제 2 금속전극들은 상기 비개구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지문센서 어레이의 베이스 부재는 상기 제 1 어레이 기판 또는 상기 배리어막이다.
본 발명에 따르는 지문센서 어레이에 의하면, 제 1 전극들 및 제 2 전극들 각각이 투명 도전성 물질로 된 투명전극과 저저항의 금속물질로 된 금속전극으로 이루어 지기 때문에, 전기 저항을 줄일 수 있는 동시에 제 1 전극들과 제 2 전극들 사이에 형성되는 상호 정전용량의 크기를 확보할 수 있어 지문센싱의 정밀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지문센서 어레이를 화소영역을 갖는 표시장치에 적용할 경우, 제 1 및 제 2 금속전극들이 표시장치의 화소영역을 정의하는 블랙 매트릭스 또는 뱅크와 중첩되도록 위치시키고, 제 1 및 제 2 투명전극들의 개구부를 표시장치의 화소영역에 대응하도록 위치시키면, 지문센서의 해상도와 표시장치의 해상도를 동일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용량성 센싱패널의 구동전극과 센싱전극의 배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종래의 지문인식 일체형 정전용량 터치 스크린 패널의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는 지문센서 어레이를 도시한 평면도,
도 4a는 도 3의 I-I’ 라인을 따라 취한 일례의 단면도,
도 4b는 도 3의 II-II’ 라인을 따라 취한 일례의 단면도,
도 5a는 도 3의 I-I’ 라인을 따라 취한 다른 예의 단면도,
도 5b는 도 3의 II-II’ 라인을 따라 취한 다른 예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르는 지문센서 어레이를 도시한 평면도,
도 7a는 도 6의 I-I’ 라인을 따라 취한 일례의 단면도,
도 7b는 도 6의 II-II’ 라인을 따라 취한 일례의 단면도,
도 8a는 도 6의 I-I’ 라인을 따라 취한 다른 예의 단면도,
도 8b는 도 6의 II-II’ 라인을 따라 취한 다른 예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르는 지문센서 어레이를 도시한 평면도,
도 10a는 도 9의 I-I’ 라인을 따라 취한 일례의 단면도,
도 10b는 도 9의 II-II’ 라인을 따라 취한 일례의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르는 지문센서 어레이를 도시한 평면도,
도 12a는 도 11의 I-I’ 라인을 따라 취한 일례의 단면도,
도 12b는 도 11의 II-II’ 라인을 따라 취한 일례의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르는 지문센서 어레이를 도시한 평면도,
도 14a는 도 13의 I-I’ 라인을 따라 취한 일례의 단면도,
도 14b는 도 13의 II-II’ 라인을 따라 취한 일례의 단면도,
도 15a는 도 13의 I-I’ 라인을 따라 취한 다른 예의 단면도,
도 15b는 도 13의 II-II’ 라인을 따라 취한 다른 예의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르는 지문센서 어레이를 도시한 평면도,
도 17a는 도 16의 I-I’ 라인을 따라 취한 일례의 단면도,
도 17b는 도 16의 II-II’ 라인을 따라 취한 일례의 단면도,
도 18a는 도 16의 I-I’ 라인을 따라 취한 다른 예의 단면도,
도 18b는 도 16의 II-II’ 라인을 따라 취한 다른 예의 단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르는 지문센서 어레이를 도시한 평면도,
도 20a는 도 19의 I-I’ 라인을 따라 취한 일례의 단면도,
도 20b는 도 19의 II-II’ 라인을 따라 취한 일례의 단면도,
도 21a는 도 19의 I-I’ 라인을 따라 취한 다른 예의 단면도,
도 21b는 도 19의 II-II’ 라인을 따라 취한 다른 예의 단면도,
도 22는 본 발명의 제 1 내지 제 7 실시예에 따르는 지문센서 어레이가 적용되는 표시장치의 화소영역과, 화소영역을 정의하는 뱅크 또는 블랙 매트릭스의 비개구 영역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23은 본 발명의 제 1 내지 제 7 실시예에 따르는 지문센서 어레이 중의 어느 하나를 구비하는 표시장치의 제 1 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24는 본 발명의 제 1 내지 제 7 실시예에 따르는 지문센서 어레이 중의 어느 하나를 구비하는 표시장치의 제 2 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25는 본 발명의 제 1 내지 제 7 실시예에 따르는 지문센서 어레이 중의 어느 하나를 구비하는 표시장치의 제 3 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26은 본 발명의 제 1 내지 제 7 실시예에 따르는 지문센서 어레이 중의 어느 하나를 구비하는 표시장치의 제 4 예를 도시한 단면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나타낸다.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에 혼란을 줄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 명칭은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을 고려하여 선택된 것으로서, 실제 제품의 부품 명칭과는 상이할 수 있다.
우선, 도 3 내지 도 5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는 지문센서 어레이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는 지문센서 어레이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a는 도 3의 I-I' 라인을 따라 취한 일례의 단면도이고, 도 4b는 도 3의 II-II' 라인을 따라 취한 일례의 단면도이다. 도 5a는 도 3의 I-I' 라인을 따라 취한 다른 예의 단면도이고, 도 5b는 도 3의 II-II' 라인을 따라 취한 다른 예의 단면도이다.
도 3,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베이스층(BL) 상에는 제 1 방향(예를 들면 x축 방향)으로 서로 나란하게 배열되는 제 1 전극들(Tx1~Tx4)과, 제 1 방향과 교차하는 제 2 방향(예를 들면, y축 방향)으로 서로 나란하게 배열되는 제 2 전극들(Rx1~Rx3)이 배치된다. 제 1 전극들(Tx1~Tx4)과 제 2 전극들(Rx1~Rx3) 사이에는 절연층(INS)이 위치하여 이들 사이의 전기적 접촉을 방지한다.
제 1 전극들(Tx1~Tx4) 각각은 저저항의 금속물질로 된 제 1 금속전극(Txa)과 투명 도전성 물질로 된 제 1 투명전극(Txb)으로 이루어진다.
제 1 투명전극(Txb)은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GZO(Gallium-doped Zinc Oxide)와 같은 투명 도전성 물질로 형성되며, 베이스층(BL) 상에 배치된다. 제 1 투명전극(Txb)은 사각형, 다이아몬드형, 벌집형, 원형, 타원형 등의 형상을 갖는 복수의 제 1 투명패턴들과, 복수의 제 1 투명패턴들을 제 1 방향으로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들을 포함한다.
제 1 금속전극(Txa)은 Al, AlNd, Mo, MoTi, Cu, Cr, Ag, Ag-계 합금과 같은 저저항 금속물질로 형성되며, 제 1 투명전극(Txb)의 제 1 투명패턴 상에 배치된다. 제 1 금속전극(Txa)은 또한 제 1 투명패턴의 일부 영역을 노출시키는 제 1 개구부를 갖는다. 이에 따라 제 1 금속전극(Txa)은 프레임 형상 또는 액자 형상을 갖게 된다. 프레임 형상 또는 액자형상을 갖는 제 1 금속전극(Txa)은 제 1 방향을 따라서 서로 연결되며, 전기저항을 줄이기 위해 메쉬형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제 1 전극들(Tx1~Tx4)이 배치된 베이스층(BL) 상에는 제 1 전극들을 커버하도록 절연층(INS)이 배치된다.
절연층(INS) 상에는 제 2 전극들(Rx1~Rx3)이 제 2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열된다.
제 2 전극들(Rx1~Rx3) 각각은 저저항의 금속물질로 된 제 2 금속전극(Rxa)과 투명 도전성 물질로 된 제 2 투명전극(Rxb)으로 이루어진다.
제 2 투명전극(Rxb)은 제 1 투명전극(Txb)과 마찬가지로 ITO, IZO, GZO와 같은 투명 도전성 물질로 형성되며, 절연층(INS) 상에 배치된다. 제 2 투명전극(Rxb)은 제 1 투명전극(Txb)과 마찬가지로 사각형, 다이아몬드형, 벌집형, 원형, 타원형 등의 형상을 갖는 복수의 제 2 투명패턴들과, 복수의 제 2 투명패턴들을 제 2 방향으로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들을 포함한다.
제 2 금속전극(Rxa)은 제 1 금속전극(Txa)Al, AlNd, Mo, MoTi, Cu, Cr, Ag, Ag-계 합금과 같은 저저항 금속물질로 형성되며, 제 2 투명전극(Rxb)의 제 2 투명패턴 상에 배치된다. 제 2 금속전극(Rxa)은 또한 제 2 투명패턴의 일부 영역을 노출시키는 제 2 개구부(RO)를 갖는다. 제 2 금속전극(Rxa)은 제 1 금속전극(Txa)과 유사하게 프레임 형상 또는 액자 형상을 갖게 된다. 프레임 형상 또는 액자형상을 갖는 제 2 금속전극(Rxa)는 제 2 방향을 따라서 서로 연결되며, 전기저항을 줄이기 위해 메쉬형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제 1 전극들(Tx1~Tx4) 각각의 제 1 금속전극(Txa)과 제 1 투명전극(Txb)의 위치와, 제 2 전극들(Rx1~Rx3) 각각의 제 2 금속전극(Rxa)과 제 2 투명전극(Rxb)의 위치가 도 4a 및 도 4b의 실시예와 비교하여 상하 반대의 위치에 형성되는 점을 제외하고는 동일하다. 즉,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제 1 금속전극(Txa)이 베이스층(BL) 상에 배치되고, 제 1 투명전극(Txb)이 제 1 금속전극(Txa)을 커버하도록 베이스층(BL) 상에 배치되는 점에서 도 4a 및 도 4b의 실시예와 다르다. 또한, 제 2 금속전극(Rxa)이 절연층(INS) 상에 배치되고, 제 2 투명전극(Rxb)이 제 2 금속전극(Rxa)을 커버하도록 절연층(INS) 상에 배치되는 점에서 도 4a 및 도 4b의 실시예와 다르다. 따라서, 중복설명을 피하기 위해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a, 도 4b, 도 5a 및 도 5b의 실시예와 달리, 제 1 금속전극(Txa)은 베이스층(BL) 상에, 제 1 투명전극(Txb)은 제 1 금속전극(Txa)을 커버하도록 베이스층(BL) 상에 각각 배치되고, 제 2 투명전극(Rxb)은 절연층(INS) 상에, 제 2 금속전극(Rxa)은 제 2 투명전극(Rxb) 상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제 1 투명전극(Txb)은 베이스층(BL) 상에, 제 1 금속전극(Txa)은 제 1 투명전극(Txb) 상에 각각 배치되고, 제 2 투명전극(Rxb)은 절연층(INS) 상에, 제 2 금속전극(Rxa)은 제 2 투명전극(Rxb) 상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는 지문센서 어레이에 의하면, 제 1 전극들(Tx1~Tx4) 및 제 2 전극들(Rx1~Rx3) 각각이 투명 도전성 물질로 된 투명전극(Txb, Rxb)과 저저항의 금속물질로 된 금속전극(Txa, Rxa)으로 이루어 지기 때문에, 전기 저항을 줄일 수 있는 동시에 제 1 전극들(Tx1~Tx4)과 제 2 전극들(Rx1~Rx3) 사이에 형성되는 상호 정전용량의 크기를 확보할 수 있으므로, 지문센싱의 정밀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는 지문센서 어레이를 화소영역을 갖는 표시장치에 적용할 경우, 제 1 및 제 2 금속전극들(Txa, Rxa)이 표시장치의 화소영역을 정의하는 블랙 매트릭스 또는 뱅크와 중첩되도록 위치시키고, 제 1 개구부 및 제 2 개구부가 표시장치의 화소영역에 대응하도록 위치시키면, 지문센서의 해상도와 표시장치의 해상도를 거의 유사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 내지 도 8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르는 지문센서 어레이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르는 지문센서 어레이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a는 도 6의 I-I’ 라인을 따라 취한 일례의 단면도이고, 도 7b는 도 6의 II-II’ 라인을 따라 취한 일례의 단면도이다. 또한, 도 8a는 도 6의 I-I’ 라인을 따라 취한 다른 예의 단면도이고, 도 8b는 도 6의 II-II’ 라인을 따라 취한 다른 예의 단면도이다.
도 6, 도 7a, 도 7b,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르는 지문센서 어레이는 제 1 전극들(Tx1~Tx4) 각각의 제 1 투명전극(Txb)이 제 3 개구부(TxO)를 구비하고, 제 2 전극들(Rx1~Rx3) 각각의 제 2 투명전극(Rxb)이 제 4 개구부(TxO)를 구비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는 지문센서 어레이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중복 설명을 피하기 위해 제 1 실시예와 중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7a 및 도 7b의 실시예에서는 제 1 투명전극(Txb)이 베이스층(BL) 상에 배치되고, 제 1 금속전극(Txa)이 제 1 투명전극(Txb) 상에 배치되며, 제 2 금속전극(Rxa)이 절연층(INS)에 배치되고, 제 2 투명전극(Rxb)가 제 2 금속전극(Rxa)를 커버하도록 절연층(INS)에 배치된다는 점에서 도 4a 및 도 4b의 실시예의 구성과 유사하다.
또한, 도 8a 및 도 8b의 실시예에서는 제 1 금속전극(Txa)이 베이스층(BL) 상에 배치되고, 제 1 투명전극(Txb)이 제 1 금속전극(Txa)을 커버하도록 베이스층(BL) 상에 배치되며, 제 2 금속전극(Rxa)이 절연층(INS) 상에 배치되고, 제 2 투명전극(Rxb)이 제 2 금속전극(Rxa)를 커버하도록 절연층(INS) 상에 배치된다는 점에서 도 5a 및 도 5b의 실시예의 구성과 유사하다.
도 7a, 도 7b, 도 8a 및 도 8b의 실시예와 달리, 제 1 금속전극(Txa)은 베이스층(BL) 상에, 제 1 투명전극(Txb)은 제 1 금속전극(Txa)을 커버하도록 베이스층(BL) 상에 각각 배치되고, 제 2 투명전극(Rxb)은 절연층(INS) 상에, 제 2 금속전극(Rxa)은 제 2 투명전극(Rxb) 상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제 1 투명전극(Txb)은 베이스층(BL) 상에, 제 1 금속전극(Txa)은 제 1 투명전극(Txb) 상에 각각 배치되고, 제 2 투명전극(Rxb)은 절연층(INS) 상에, 제 2 금속전극(Rxa)은 제 2 투명전극(Rxb) 상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르는 지문센서 어레이에 의하면, 제 1 전극들(Tx1~Tx4) 및 제 2 전극들(Rx1~Rx3) 각각이 투명 도전성 물질로 된 투명전극(Txb, Rxb)과 저저항의 금속물질로 된 금속전극(Txa, Rxa)으로 이루어 지기 때문에, 전기 저항을 줄일 수 있는 동시에 제 1 전극들(Tx1~Tx4)과 제 2 전극들(Rx1~Rx3) 사이에 형성되는 상호 정전용량의 크기를 확보할 수 있으므로, 지문센싱의 정밀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르는 지문센서 어레이를 화소영역을 갖는 표시장치에 적용할 경우, 제 1 및 제 2 금속전극들(Txa, Rxa)이 표시장치의 화소영역을 정의하는 블랙 매트릭스 또는 뱅크와 중첩되도록 위치시키고, 제 3 개구부(TxO) 및 제 4 개구부(RxO)가 표시장치의 화소영역에 대응하도록 위치시키면, 지문센서의 해상도와 표시장치의 해상도를 동일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음으로, 도 9 내지 도 10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르는 지문센서 어레이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르는 지문센서 어레이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0a는 도 9의 I-I' 라인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10b는 도 9의 II-II’ 라인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9, 도 10a 및 도 10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르는 지문센서 어레이는 제 1 전극들(Tx1~Tx4) 각각이 제 1 금속전극(Txa)만을 구비하고, 제 2 전극들(Rx1~Rx3) 각각이 제 2 금속전극(Rxa)만을 구비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는 지문센서 어레이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중복 설명을 피하기 위해 제 1 실시예와 중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0a 및 도 10b의 실시예에서는 제 1 금속전극(Txa)이 베이스층(BL) 상에 배치되고, 제 2 금속전극(Rxa)이 절연층(INS) 상에 배치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르는 지문센서 어레이에 의하면, 제 1 및 제 2 투명전극들(Txb, Rxb)이 생략되기 때문에, 전기 저항을 더욱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르는 지문센서 어레이를 화소영역을 갖는 표시장치에 적용할 경우, 제 1 및 제 2 금속전극들(Txa, Rxa)이 표시장치의 화소영역을 정의하는 블랙 매트릭스 또는 뱅크와 중첩되도록 위치시키고, 제 3 개구부(TxO) 및 제 4 개구부(RxO)가 표시장치의 화소영역에 대응하도록 위치시키면, 지문센서의 해상도와 표시장치의 해상도를 동일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1 내지 도 12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르는 지문센서 어레이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르는 지문센서 어레이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2a는 도 11의 I-I' 라인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12b는 도 9의 II-II' 라인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9, 도 10a 및 도 10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르는 지문센서 어레이는 제 1 전극들(Tx1~Tx4) 각각이 제 1 금속전극(Txa)만을 구비하고, 제 2 전극들(Rx1~Rx3) 각각이 제 2 금속전극(Rxa)만을 구비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는 지문센서 어레이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중복 설명을 피하기 위해 제 1 실시예와 중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0a 및 도 10b의 실시예에서는 제 1 투명전극(Txb)이 베이스층(BL) 상에 배치되고, 제 2 투명전극(Rxb)이 절연층(INS) 상에 배치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르는 지문센서 어레이에 의하면, 제 1 및 제 2 금속전극들(Txa, Rxa)이 생략되기 때문에, 시인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르는 지문센서 어레이를 화소영역을 갖는 표시장치에 적용할 경우, 제 1 및 제 2 투명전극들(Txb, Rxb)이 표시장치의 화소영역에 대응하도록 위치시키면, 지문센서의 해상도와 표시장치의 해상도를 거의 동일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3 내지 도 15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르는 지문센서 어레이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르는 지문센서 어레이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4a는 도 13의 I-I' 라인을 따라 취한 일례의 단면도이고, 도 14b는 도 13의 II-II' 라인을 따라 취한 일례의 단면도이다. 도 15a는 도 13의 I-I' 라인을 따라 취한 다른 예의 단면도이고, 도 15b는 도 13의 II-II' 라인을 따라 취한 다른 예의 단면도이다.
도 13, 도 14a, 및 도 14b를 참조하면, 베이스층(BL) 상에는 제 1 방향(예를 들면 x축 방향)으로 서로 나란하게 배열되는 제 1 전극들(Tx1~Tx4)과, 제 1 방향과 교차하는 제 2 방향(예를 들면, y축 방향)으로 서로 나란하게 배열되는 제 2 전극들(Rx1~Rx3)이 배치된다. 제 1 전극들(Tx1~Tx4)과 제 2 전극들(Rx1~Rx3) 사이에는 절연층(INS)이 위치하여 이들 사이의 전기적 접촉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르는 지문센서 어레이의 제 1 전극들(Tx1~Tx4) 각각은 본 발명이 제 1 실시예에 따르는 지문센서 어레이의 제 1 전극들(Tx1~Tx4)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중복 설명을 피하기 위해 제 1 전극들(Tx1~Tx4)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 1 전극들(Tx1~Tx4)이 배치된 베이스층(BL) 상에는 제 1 전극들을 커버하도록 절연층(INS)이 배치된다.
절연층(INS) 상에는 제 2 전극들(Rx1~Rx3)이 제 2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열된다.
제 2 전극들(Rx1~Rx3) 각각은 저저항의 금속물질로 된 제 2 금속전극(Rxa)과 투명 도전성 물질로 된 제 2 투명전극(Rxb)으로 이루어진다.
제 2 투명전극(Rxb)은 제 1 실시예에 따르는 지문센서 어레이의 제 1 및 제 2 투명전극(Txb, Rxb)과 마찬가지로 ITO, IZO, GZO와 같은 투명 도전성 물질로 형성되며, 절연층(INS) 상에 배치된다. 제 2 투명전극(Rxb)은 또한 제 1 실시예에 따르는 지문센서 어레이의 제 2 투명전극(Rxb)과 달리 바 형상(bar shape)으로 이루어진다.
제 2 금속전극(Rxa)은 제 1 실시예에 따르는 지문센서 어레이의 제 1 및 제 2 금속전극(Txa, Rxa)과 마찬가지로 Al, AlNd, Mo, MoTi, Cu, Cr, Ag, Ag-계 합금과 같은 저저항 금속물질로 형성되며, 제 2 투명전극(Rxb)의 일부분과 중첩되면서 그 일부분을 커버하도록 절연층(INS) 상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독립된 제 2 금속패턴(Rxa) 각각은 2개의 부분이 제 2 투명전극(Rxb)와 중첩되도록 절연층(INS) 상에 배치된다. 제 2 금속전극(Rxa)은 제 1 실시예에 따르는 지문센서 어레이의 제 1 및 제 2 금속전극(Txa, Rxa)과 마찬가지로 제 1 금속전극(Txa)과 유사하게 프레임 형상 또는 액자 형상을 갖게 된다. 프레임 형상 또는 액자형상을 갖는 제 2 금속전극(Rxa)는 제 2 방향을 따라서 서로 연결되며, 전기저항을 줄이기 위해 메쉬형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4a 및 도 14b의 실시예에서, 제 1 투명전극(Txb)은 베이스층(BL) 상에, 제 1 금속전극(Txa)은 제 1 투명전극(Txb)의 제 1 투명패턴 상에 각각 배치되고, 제 2 투명전극(Rxb)은 절연층(INS) 상에, 제 2 금속전극(Rxa)은 제 2 투명전극(Rxb)의 일부분과 중첩되도록 절연층(INS) 상에 배치된다.
도 13, 도 15a, 및 도 15b를 참조하면, 제 1 전극들(Tx1~Tx4) 각각의 제 1 금속전극(Txa)과 제 1 투명전극(Txb)의 위치와, 제 2 전극들(Rx1~Rx3) 각각의 제 2 금속전극(Rxa)과 제 2 투명전극(Rxb)의 위치가 도 14a 및 도 14b의 실시예와 비교하여 상하 반대의 위치에 형성되는 점을 제외하고는 동일하다. 즉, 도 15a, 및 도 15b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제 1 금속전극(Txa)이 베이스층(BL) 상에 배치되고, 제 1 투명전극(Txb)이 제 1 금속전극(Txa)을 커버하도록 베이스층(BL) 상에 배치되는 점에서 도 14a 및 도 14b의 실시예와 다르다. 또한, 제 2 금속전극(Rxa)이 절연층(INS) 상에 배치되고, 제 2 투명전극(Rxb)이 제 2 금속전극(Rxa)의 일부분과 중첩되도록 절연층(INS) 상에 배치되는 점에서 도 14a 및 도 14b의 실시예와 다르다. 따라서, 중복설명을 피하기 위해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4a, 도 14b, 도 15a 및 도 15b의 실시예와 달리, 제 1 금속전극(Txa)은 베이스층(BL) 상에, 제 1 투명전극(Txb)은 제 1 금속전극(Txa)을 커버하도록 베이스층(BL) 상에 각각 배치되고, 제 2 투명전극(Rxb)은 절연층(INS) 상에, 제 2 금속전극(Rxa)은 제 2 투명전극(Rxb)의 일부분과 중첩되도록 절연층(INS) 상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제 1 투명전극(Txb)은 베이스층(BL) 상에, 제 1 금속전극(Txa)은 제 1 투명전극(Txb) 상에 각각 배치되고, 제 2 투명전극(Rxb)은 절연층(INS) 상에, 제 2 금속전극(Rxa)은 제 2 투명전극(Rxb)의 일부분과 중첩되도록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르는 지문센서 어레이에 의하면, 제 1 전극들(Tx1~Tx4) 및 제 2 전극들(Rx1~Rx3) 각각이 투명 도전성 물질로 된 투명전극(Txb, Rxb)과 저저항의 금속물질로 된 금속전극(Txa, Rxa)으로 이루어 지기 때문에, 전기 저항을 줄일 수 있는 동시에 제 1 전극들(Tx1~Tx4)과 제 2 전극들(Rx1~Rx3) 사이에 형성되는 상호 정전용량의 크기를 확보할 수 있으므로, 지문센싱의 정밀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르는 지문센서 어레이를 화소영역을 갖는 표시장치에 적용할 경우, 제 1 및 제 2 금속전극들(Txa, Rxa)이 표시장치의 화소영역을 정의하는 블랙 매트릭스 또는 뱅크와 중첩되도록 위치시키고, 제 1 개구부 및 제 2 개구부가 표시장치의 화소영역에 대응하도록 위치시키면, 지문센서의 해상도와 표시장치의 해상도를 거의 유사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6 내지 도 18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르는 지문센서 어레이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르는 지문센서 어레이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7a는 도 16의 I-I' 라인을 따라 취한 일례의 단면도이고, 도 16b는 도 13의 II-II' 라인을 따라 취한 일례의 단면도이다. 도 17a는 도 16의 I-I' 라인을 따라 취한 다른 예의 단면도이고, 도 17b는 도 16의 II-II' 라인을 따라 취한 다른 예의 단면도이다.
도 16, 도 17a, 및 도 17b를 참조하면, 베이스층(BL) 상에는 제 1 방향(예를 들면 x축 방향)으로 서로 나란하게 배열되는 제 1 전극들(Tx1~Tx4)과, 제 1 방향과 교차하는 제 2 방향(예를 들면, y축 방향)으로 서로 나란하게 배열되는 제 2 전극들(Rx1~Rx3)이 배치된다. 제 1 전극들(Tx1~Tx4)과 제 2 전극들(Rx1~Rx3) 사이에는 절연층(INS)이 위치하여 이들 사이의 전기적 접촉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르는 지문센서 어레이의 제 1 전극들(Tx1~Tx4) 각각은 저저항의 금속물질로 된 제 1 금속전극(Txa)과 투명 도전성 물질로 된 제 1 투명전극(Txb)으로 이루어진다. 제 1 전극들(Tx1~Tx4)이 배치된 베이스층(BL) 상에는 제 1 전극들을 커버하도록 절연층(INS)이 배치된다.
제 1 투명전극(Txb)은 제 1 실시예에 따르는 지문센서 어레이의 제 1 및 제 2 투명전극(Txb, Rxb)과 마찬가지로 ITO, IZO, GZO와 같은 투명 도전성 물질로 형성되며, 베이스층(BL) 상에 배치된다. 제 1 투명전극(Txb)은 바 형상을 가지며, 제 1 방향으로 배열된다.
제 1 금속전극(Txa)은 제 1 실시예에 따르는 지문센서 어레이의 제 1 및 제 2 금속전극(Txa, Rxa)과 마찬가지로 Al, AlNd, Mo, MoTi, Cu, Cr, Ag, Ag-계 합금과 같은 저저항 금속물질로 형성된다 제 1 금속전극(Txa)은 제 1 투명전극(Txb) 상에 배치된다. 제 1 금속전극(Txa)은 또한 제 1 투명전극(Txb) 의 일부 영역을 노출시키는 제 1 개구부를 갖는다. 이에 따라 제 1 금속전극(Txa)은 프레임 형상 또는 액자 형상을 갖게 된다. 프레임 형상 또는 액자형상을 갖는 제 1 금속전극(Txa)는 제 1 방향을 따라서 서로 연결되며, 전기저항을 줄이기 위해 메쉬형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절연층(INS) 상에는 제 2 전극들(Rx1~Rx3)이 제 2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열된다.
제 2 전극들(Rx1~Rx3) 각각은 제 5 실시예에 따르는 지문센서 어레이의 제 2 전극들(Rx1~Rx3)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중복설명을 피하기 위해 제 2 전극들(Rx1~Rx3)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6, 도 17a, 및 도 17b의 실시예에서, 제 1 투명전극(Txb)은 베이스층(BL) 상에, 제 1 금속전극(Txa)은 제 1 투명전극(Txb)의 제 1 투명패턴 상에 각각 배치되고, 제 2 투명전극(Rxb)은 절연층(INS) 상에, 제 2 금속전극(Rxa)은 제 2 투명전극(Rxb)의 일부분과 중첩되도록 절연층(INS) 상에 배치된다. 제 2 금속전극(Rxa)은 제 1 투명전극(Txb)의 일부분과도 중첩된다. 또한, 제 1 투명전극(Txb)의 폭은 제 2 투명전극(Rxb)의 폭보다 크다.
도 16, 도 18a, 및 도 18b를 참조하면, 제 1 전극들(Tx1~Tx4) 각각의 제 1 금속전극(Txa)과 제 1 투명전극(Txb)의 위치와, 제 2 전극들(Rx1~Rx3) 각각의 제 2 금속전극(Rxa)과 제 2 투명전극(Rxb)의 위치가 도 17a 및 도 17b의 실시예와 비교하여 상하 반대의 위치에 형성되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17a 및 도 17b의 실시예와 동일하다. 즉, 도 18a, 및 도 18b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제 1 금속전극(Txa)이 베이스층(BL) 상에 배치되고, 제 1 투명전극(Txb)이 제 1 금속전극(Txa)을 커버하도록 베이스층(BL) 상에 배치되는 점에서 도 17a 및 도 17b의 실시예와 다르다. 또한, 제 2 금속전극(Rxa)이 절연층(INS) 상에 배치되고, 제 2 투명전극(Rxb)이 제 2 금속전극(Rxa)의 일부분과 중첩되도록 절연층(INS) 상에 배치되는 점에서 도 17a 및 도 17b의 실시예와 다르다. 따라서, 중복설명을 피하기 위해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6, 도 17a, 도 17b, 도 18a, 및 도 18b의 실시예와 달리, 제 1 금속전극(Txa)은 베이스층(BL) 상에, 제 1 투명전극(Txb)은 제 1 금속전극(Txa)을 커버하도록 베이스층(BL) 상에 각각 배치되고, 제 2 투명전극(Rxb)은 절연층(INS) 상에, 제 2 금속전극(Rxa)은 제 2 투명전극(Rxb)의 일부분과 중첩되도록 절연층(INS) 상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제 1 투명전극(Txb)은 베이스층(BL) 상에, 제 1 금속전극(Txa)은 제 1 투명전극(Txb) 상에 각각 배치되고, 제 2 투명전극(Rxb)은 절연층(INS) 상에, 제 2 금속전극(Rxa)은 제 2 투명전극(Rxb)의 일부분과 중첩되도록 절연층(INS) 상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르는 지문센서 어레이에 의하면, 제 1 전극들(Tx1~Tx4) 및 제 2 전극들(Rx1~Rx3) 각각이 투명 도전성 물질로 된 투명전극(Txb, Rxb)과 저저항의 금속물질로 된 금속전극(Txa, Rxa)으로 이루어 지기 때문에, 전기 저항을 줄일 수 있는 동시에 제 1 전극들(Tx1~Tx4)과 제 2 전극들(Rx1~Rx3) 사이에 형성되는 상호 정전용량의 크기를 확보할 수 있으므로, 지문센싱의 정밀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르는 지문센서 어레이를 화소영역을 갖는 표시장치에 적용할 경우, 제 1 및 제 2 금속전극들(Txa, Rxa)이 표시장치의 화소영역을 정의하는 블랙 매트릭스 또는 뱅크와 중첩되도록 위치시키고, 제 1 개구부 및 제 2 개구부가 표시장치의 화소영역에 대응하도록 위치시키면, 지문센서의 해상도와 표시장치의 해상도를 거의 유사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9 내지 도 21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르는 지문센서 어레이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르는 지문센서 어레이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0a는 도 19의 I-I' 라인을 따라 취한 일례의 단면도이고, 도 20b는 도 19의 II-II' 라인을 따라 취한 일례의 단면도이다. 도 21a는 도 19의 I-I' 라인을 따라 취한 다른 예의 단면도이고, 도 21b는 도 19의 II-II' 라인을 따라 취한 다른 예의 단면도이다.
도 19, 도 20a, 및 도 20b를 참조하면, 베이스층(BL) 상에는 제 1 방향(예를 들면 x축 방향)으로 서로 나란하게 배열되는 제 1 전극들(Tx1~Tx4)과, 제 1 방향과 교차하는 제 2 방향(예를 들면, y축 방향)으로 서로 나란하게 배열되는 제 2 전극들(Rx1~Rx3)이 배치된다. 제 1 전극들(Tx1~Tx4)과 제 2 전극들(Rx1~Rx3) 사이에는 절연층(INS)이 위치하여 이들 사이의 전기적 접촉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르는 지문센서 어레이의 제 1 전극들(Tx1~Tx4) 각각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르는 지문센서 어레이의 제 1 전극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중복설명을 피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르는 지문센서 어레이의 제 1 전극들(Tx1~Tx4)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르는 지문센서 어레이의 제 2 전극들(Rx1~Rx3) 각각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르는 지문센서 어레이의 제 2 전극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중복설명을 피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르는 지문센서 어레이의 제 2 전극들(Rx1~Rx3)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9, 도 20a, 및 도 20b의 실시예에서, 제 1 투명전극(Txb)은 베이스층(BL) 상에, 제 1 금속전극(Txa)은 제 1 투명전극(Txb) 상에 각각 배치되고, 제 2 투명전극(Rxb)은 절연층(INS) 상에, 제 2 금속전극(Rxa)은 제 2 투명전극(Rxb)의 일부분과 중첩되도록 절연층(INS) 상에 배치된다. 제 2 금속전극(Rxa)은 제 1 투명전극(Txb)의 일부분과도 중첩된다.
도 19, 도 21a, 및 도 21b를 참조하면, 제 1 전극들(Tx1~Tx4) 각각의 제 1 금속전극(Txa)과 제 1 투명전극(Txb)의 위치와, 제 2 전극들(Rx1~Rx3) 각각의 제 2 금속전극(Rxa)과 제 2 투명전극(Rxb)의 위치가 도 20a 및 도 20b의 실시예와 비교하여 상하 반대의 위치에 형성되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20a 및 도 20b의 실시예와 동일하다. 즉, 도 21a, 및 도 21b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제 1 금속전극(Txa)이 베이스층(BL) 상에 배치되고, 제 1 투명전극(Txb)이 제 1 금속전극(Txa)을 커버하도록 베이스층(BL) 상에 배치되는 점에서 도 17a 및 도 17b의 실시예와 다르다. 또한, 제 2 금속전극(Rxa)이 절연층(INS) 상에 배치되고, 제 2 투명전극(Rxb)이 제 2 금속전극(Rxa)의 일부분과 중첩되도록 절연층(INS) 상에 배치되는 점에서 도 17a 및 도 17b의 실시예와 다르다. 따라서, 중복설명을 피하기 위해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9, 도 20a, 도 20b, 도 21a, 및 도 21b의 실시예와 달리, 제 1 금속전극(Txa)은 베이스층(BL) 상에, 제 1 투명전극(Txb)은 제 1 금속전극(Txa)을 커버하도록 베이스층(BL) 상에 각각 배치되고, 제 2 투명전극(Rxb)은 절연층(INS) 상에, 제 2 금속전극(Rxa)은 제 2 투명전극(Rxb)의 일부분과 중첩되도록 절연층(INS) 상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제 1 투명전극(Txb)은 베이스층(BL) 상에, 제 1 금속전극(Txa)은 제 1 투명전극(Txb) 상에 각각 배치되고, 제 2 투명전극(Rxb)은 절연층(INS) 상에, 제 2 금속전극(Rxa)은 제 2 투명전극(Rxb)의 일부분과 중첩되도록 절연층(INS) 상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제 2 금속전극(Rxa)의 일부분은 제 1 투명전극(Txb)과 중첩될 수도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르는 지문센서 어레이에 의하면, 제 1 전극들(Tx1~Tx4) 및 제 2 전극들(Rx1~Rx3) 각각이 투명 도전성 물질로 된 투명전극(Txb, Rxb)과 저저항의 금속물질로 된 금속전극(Txa, Rxa)으로 이루어 지기 때문에, 전기 저항을 줄일 수 있는 동시에 제 1 전극들(Tx1~Tx4)과 제 2 전극들(Rx1~Rx3) 사이에 형성되는 상호 정전용량의 크기를 확보할 수 있으므로, 지문센싱의 정밀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르는 지문센서 어레이를 화소영역을 갖는 표시장치에 적용할 경우, 제 1 및 제 2 금속전극들(Txa, Rxa)이 표시장치의 화소영역을 정의하는 블랙 매트릭스 또는 뱅크와 중첩되도록 위치시키고, 제 4 개구부(RxO)가 표시장치의 화소영역에 대응하도록 위치시키면, 지문센서의 해상도와 표시장치의 해상도를 거의 동일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2 내지 도 2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내지 제 7 실시예에 따르는 지문센서 어레이가 표시장치의 표시패널에 적용된 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 1 내지 제 7 실시예에 따르는 지문센서 어레이가 적용되는 표시장치의 화소영역과, 화소영역을 정의하는 뱅크 또는 블랙 매트릭스의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2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내지 제 7 실시예에 따르는 지문센서 어레이들이 적용될 수 있는 표시장치는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광이 출력되는 개구 영역인 화소영역(PA)과, 화소영역(PA)을 정의하며 비개구 영역인 뱅크 또는 블랙매트릭스 영역(BA)을 포함한다. 도 22의 표시장치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전계 방출 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FE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OLED), 전기영동 표시장치(Electrophoretic Display)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내지 제 7 실시예에 따르는 지문센서 어레이들에서 설명된 베이스층(BL)은 표시장치에 적용될 때 표시장치의 어느 한 구성요소일 수 있다. 도 23 내지 도 2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내지 제 7 실시예에 따르는 지문센서 어레이들이 적용된 표시장치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3 내지 도 26의 표시장치는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소자들이 형성되는 제 1 어레이 기판(SUB1) 및 제 2 어레이 기판(SUB2), 제 1 어레이 기판(SUB1)과 제 2 어레이 기판(SUB2) 사이에 배치되는 배리어막(BF), 제 2 기판(SUB2) 상에 배치되어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광이 반사되는 것을 방지하는 편광막(POL), 편광막(POL) 상에 배치되어 표시장치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커버 윈도우(CW)를 포함한다. 이들 표시장치에서 제 1 어레이 기판(SUB1)에 모든 표시소자가 구비될 경우 제 2 어레이 기판(SUB2)은 생략될 수도 있다.
도 23 내지 도 26의 표시장치에서, 표시장치가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일 경우 제 2 어레이 기판(SUB2)은 OLED 표시소자를 보호하기 위한 인캡슐레이션 플레이트(encapsulation plate)일 수 있으며, 유리와 같은 투명하고 단단한 물질, 또는 가요성의 고분자 플라스틱으로 형성할 수 있다. 표시장치가 액정 표시장치일 경우 제 2 어레이 기판(SUB2)은 컬러필터 들이 배치된 컬러필터 기판일 수 있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 1 내지 제 7 실시예에 따르는 지문센서 어레이 중의 어느 하나가 적용된 표시장치의 제 1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내지 제 7 실시예에 따르는 지문센서 어레이들(FSA) 중의 하나는 커버 윈도우(CW)와 편광막(POL) 사이에 배치된다. 커버 윈도우(CW)는 지문센서 어레이(FSA)의 베이스층(BL)으로 되는 것이 두께를 줄일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도 23의 표시장치에서 제 1 및 제 2 금속전극들(Txa, Rxa)은 표시장치의 비개구 영역(BA)에 위치하도록 얼라인시키면 개구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금속전극들(Txa, Rxa)을 Cr, Mn, Ni 등의 흑색 금속(black metal)을 이용하여 형성하면 제 1 및 제 2 금속전극들(Txa, Rxa)의 반사를 방지할 수 있어 시인현상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 1 내지 제 7 실시예에 따르는 지문센서 어레이 중의 어느 하나를 구비하는 표시장치의 제 2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내지 제 7 실시예에 따르는 지문센서 어레이들(FSA) 중의 하나는 편광막(POL)과 제 2 어레이 기판(SUB2) 사이에 배치된다. 제 2 어레이 기판(SUB2)은 지문센서 어레이(FSA)의 베이스층(BL)으로 되는 것이 두께를 줄일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도 24의 표시장치에서 지문센서 어레이(FSA)의 제 1 및 제 2 금속전극들(Txa, Rxa)은 표시장치의 비개구 영역(BA)에 위치하도록 얼라인시키면 개구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금속전극들(Txa, Rxa)이 편광막(POL) 하부에 배치되므로 제 1 및 제 2 금속전극들(Txa, Rxa)의 반사를 방지할 수 있어 시인현상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25는 본 발명의 제 1 내지 제 7 실시예에 따르는 지문센서 어레이 중의 어느 하나를 구비하는 표시장치의 제 3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내지 제 7 실시예에 따르는 지문센서 어레이들(FSA) 중의 하나는 편광막(POL)과 배리어막(BF) 사이에 배치된다. 도 25의 표시장치에서 제 2 어레이 기판(SUB)은 생략되어 있다. 배리어막(BF)은 지문센서 어레이(FSA)의 베이스층(BL)으로 되는 것이 두께를 줄일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지문센서 어레이(FSA)의 제 1 및 제 2 금속전극들(Txa, Rxa)은 표시장치의 비개구 영역(BA)에 위치하도록 얼라인시키면 개구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금속전극들(Txa, Rxa)이 편광막(POL) 하측에 배치되므로 제 1 및 제 2 금속전극들(Txa, Rxa)의 반사를 방지할 수 있어 시인현상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26은 본 발명의 제 1 내지 제 7 실시예에 따르는 지문센서 어레이 중의 어느 하나를 구비하는 표시장치의 제 4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내지 제 7 실시예에 따르는 지문센서 어레이들(FSA) 중의 하나는 배리어막(BF)과 제 1 어레이 기판(SUB1) 사이에 배치된다. 제 1 어레이 기판(SUB1)은 지문센서 어레이(FSA)의 베이스층(BL)으로 되는 것이 두께를 줄일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지문센서 어레이(FSA)의 제 1 및 제 2 금속전극들(Txa, Rxa)은 표시장치의 비개구 영역(BA)에 위치하도록 얼라인시키면 개구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금속전극들(Txa, Rxa)이 편광막(POL) 하측에 배치되므로 제 1 및 제 2 금속전극들(Txa, Rxa)의 반사를 방지할 수 있어 시인현상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BF: 배리어막 BL: 베이스층
CW: 커버 윈도우 FSA: 지문센서 어레이
Tx1~Tx4: 제 1 전극 Txa: 제 1 금속전극
Txb: 제 1 투명전극 Rx1~Rx4: 제 2 전극
Rxa: 제 2 금속전극 Rxb: 제 2 투명전극

Claims (14)

  1. 제 1 방향으로 배열되며, 투명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지는 제 1 투명전극과 저저항의 금속물질로 이루어지는 제 1 금속전극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복수의 제 1 전극들;
    상기 제 1 방향과 교차하는 제 2 방향으로 배열되며, 상기 투명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지는 제 2 투명전극과 상기 저저항의 금속물질로 이루어지는 제 2 금속전극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복수의 제 2 전극들; 및
    상기 제 1 전극들과 상기 제 2 전극들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전극들과 상기 제 2 전극들을 절연시키는 절연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금속전극은 제 1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금속전극은 제 2 개구부를 포함하는 지문센서 어레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극들 각각은,
    베이스 부재 상에 배치되며, 일정 형상을 갖는 복수의 제 1 투명패턴들과, 상기 복수의 제 1 투명패턴들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들로 이루어지는 상기 제 1 투명전극; 및
    상기 제 1 투명패턴들 상부 또는 상기 제 1 투명패턴들과 상기 베이스 부재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투명패턴의 일부와 중첩되는 상기 제 1 개구부를 갖는 상기 제 1 금속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전극들 각각은,
    상기 제 1 전극들을 커버하는 절연층 상에 배치되며, 일정 형상을 갖는 복수의 제 2 투명패턴들과, 상기 복수의 제 2 투명패턴들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들로 이루어지는 상기 제 2 투명전극; 및
    상기 제 2 투명패턴들 상부 또는 상기 제 1 투명패턴들과 상기 베이스 부재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 2 투명패턴의 일부와 중첩되는 상기 제 2 개구부를 갖는 상기 제 2 금속전극을 포함하는 지문센서 어레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 1 투명패턴들 각각은 상기 베이스 부재를 노출시키는 제 3 개구부를 포함하는 지문센서 어레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 2 투명패턴들 각각은 상기 절연층을 노출시키는 제 4 개구부를 포함하는 지문센서 어레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개구부 및 상기 제 2 개구부 각각의 크기는 상기 제 3 개구부 및 제 4 개구부 각각의 크기 보다 큰 지문센서 어레이.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극들 각각은, 일정 형상의 상기 제 1 개구부를 갖는 복수의 제 1 금속패턴들과, 상기 복수의 제 1 금속패턴들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들을 포함하며, 베이스 부재 상에 배치되는 상기 제 1 금속전극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2 전극들 각각은, 일정 형상의 상기 제 2 개구부를 갖는 복수의 제 2 금속패턴들과, 상기 복수의 제 2 금속패턴들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들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1 전극들을 커버하는 상기 절연층 상에 배치되는 상기 제 2 금속전극으로 이루어지는 지문센서 어레이.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극들 각각은, 일정 형상을 갖는 복수의 제 1 투명패턴들과, 상기 복수의 제 1 투명패턴들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들을 포함하며, 베이스 부재 상에 배치되는 상기 제 1 투명전극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2 전극들 각각은, 일정 형상을 갖는 복수의 제 2 투명패턴들과, 상기 복수의 제 2 투명패턴들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전극들을 커버하는 상기 절연층 상에 배치되는 상기 제 2 투명전극으로 이루어지는 지문센서 어레이.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극들 각각은,
    베이스 부재 상에 배치되며, 일정 형상을 갖는 복수의 제 1 투명패턴들과, 상기 복수의 제 1 투명패턴들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들로 이루어지는 상기 제 1 투명전극; 및
    상기 제 1 투명패턴들 상부 또는 상기 제 1 투명패턴들과 상기 베이스 부재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투명패턴의 일부와 중첩되는 상기 제 1 개구부를 갖는 상기 제 1 금속전극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전극들 각각은,
    상기 제 1 전극들을 커버하는 상기 절연층 상에 배치되며, 바 형상을 갖는 상기 제 2 투명전극; 및
    상기 제 2 투명전극의 일부분과 중첩되도록 상기 절연층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 2 투명전극의 다른 일부분과 함께 상기 절연층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상기 제 2 개구부를 갖는 상기 제 2 금속전극을 포함하는 지문센서 어레이.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극들 각각은,
    베이스 부재 상에 배치되며, 바 형상을 갖는 상기 제 1 투명전극; 및
    상기 제 1 투명전극 패턴 상부 또는 상기 제 1 투명전극과 상기 베이스 부재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투명전극의 일부와 중첩되는 상기 제 1 개구부를 갖는 상기 제 1 금속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전극들 각각은,
    상기 제 1 전극들을 커버하는 상기 절연층 상에 배치되며, 바 형상을 갖는 상기 제 2 투명전극; 및
    상기 제 2 투명전극의 일부분과 중첩되도록 상기 절연층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 2 투명전극의 다른 일부분과 함께 상기 절연층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상기 제 2 개구부를 갖는 상기 제 2 금속전극을 포함하는 지문센서 어레이.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극들 각각은,
    베이스 부재 상에 배치되며, 바 형상을 갖는 상기 제 1 투명전극; 및
    상기 제 1 투명전극 패턴 상부 또는 상기 제 1 투명전극과 상기 베이스 부재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투명전극의 일부와 중첩되는 상기 제 1 개구부를 갖는 상기 제 1 금속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전극들 각각은,
    상기 제 1 전극들을 커버하는 상기 절연층 상에 배치되며, 복수의 제 2 투명패턴들과, 상기 복수의 제 2 투명패턴들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들로 이루어지는 상기 제 2 투명전극; 및
    상기 제 2 투명패턴들 상부 또는 상기 제 1 투명패턴들과 상기 베이스 부재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 2 투명패턴의 일부와 중첩되는 상기 제 2 개구부를 갖는 상기 제 2 금속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투명패턴들 각각은 상기 절연층을 노출시키는 제 3 개구부를 포함하는 지문센서 어레이.
  11.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광이 출력되는 개구 영역인 화소영역들과, 상기 화소영역들을 에워싸는 비개구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소자들이 배치된 제 1 어레이 기판 및 제 2 어레이 기판;
    상기 제 1 어레이 기판과 제 2 어레이 기판 사이에 배치되는 배리어막; 및
    상기 제 2 어레이 기판 상에 배치되어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광의 반사를 방지하는 편광막; 및
    상기 편광막 상에 배치되어 표시장치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커버 윈도우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 기재의 지문센서 어레이가 상기 커버 윈도우와 상기 편광막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지문센서 어레이의 제 1 및 제 2 금속전극들은 상기 비개구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지문센서 어레이의 베이스 부재는 상기 커버 윈도우인 표시장치.
  12.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광이 출력되는 개구 영역인 화소영역들과, 상기 화소영역들을 에워싸는 비개구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소자들이 배치된 제 1 어레이 기판 및 제 2 어레이 기판;
    상기 제 1 어레이 기판과 제 2 어레이 기판 사이에 배치되는 배리어막; 및
    상기 제 2 어레이 기판 상에 배치되어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광의 반사를 방지하는 편광막; 및
    상기 편광막 상에 배치되어 표시장치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커버 윈도우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 기재의 지문센서 어레이가 상기 편광막과 상기 제 2 어레이 기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지문센서 어레이의 제 1 및 제 2 금속전극들은 상기 비개구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지문센서 어레이의 베이스 부재는 상기 제 2 어레이 기판인 표시장치.
  13.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광이 출력되는 개구 영역인 화소영역들과, 상기 화소영역들을 에워싸는 비개구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소자들이 배치된 제 1 어레이 기판;
    상기 제 1 어레이 기판 상에 배치되는 배리어막; 및
    상기 배리어막 상에 배치되어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광의 반사를 방지하는 편광막; 및
    상기 편광막 상에 배치되어 표시장치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커버 윈도우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 기재의 지문센서 어레이가 상기 편광막과 상기 배리어막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지문센서 어레이의 제 1 및 제 2 금속전극들은 상기 비개구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지문센서 어레이의 베이스 부재는 상기 배리어막인 표시장치.
  14.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광이 출력되는 개구 영역인 화소영역들과, 상기 화소영역들을 에워싸는 비개구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소자들이 배치된 제 1 어레이 기판 및 제 2 어레이 기판;
    상기 제 1 어레이 기판과 제 2 어레이 기판 사이에 배치되는 배리어막; 및
    상기 제 2 어레이 기판 상에 배치되어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광의 반사를 방지하는 편광막; 및
    상기 편광막 상에 배치되어 표시장치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커버 윈도우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 기재의 지문센서 어레이가 상기 배리어막과 상기 제 1 어레이 기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지문센서 어레이의 제 1 및 제 2 금속전극들은 상기 비개구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지문센서 어레이의 베이스 부재는 상기 제 1 어레이 기판 또는 상기 배리어막인 표시장치.




KR1020150138249A 2015-09-30 2015-09-30 지문센서 어레이 및 그를 구비한 표시장치 KR1023978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8249A KR102397874B1 (ko) 2015-09-30 2015-09-30 지문센서 어레이 및 그를 구비한 표시장치
US14/982,158 US10037452B2 (en) 2015-09-30 2015-12-29 Fingerprint sensor array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CN201511021443.XA CN106557216B (zh) 2015-09-30 2015-12-30 指纹传感器阵列及具有该指纹传感器阵列的显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8249A KR102397874B1 (ko) 2015-09-30 2015-09-30 지문센서 어레이 및 그를 구비한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9050A KR20170039050A (ko) 2017-04-10
KR102397874B1 true KR102397874B1 (ko) 2022-05-16

Family

ID=58406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8249A KR102397874B1 (ko) 2015-09-30 2015-09-30 지문센서 어레이 및 그를 구비한 표시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037452B2 (ko)
KR (1) KR102397874B1 (ko)
CN (1) CN10655721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9018B1 (ko) * 2016-01-11 2023-03-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KR102563736B1 (ko) * 2016-04-08 2023-08-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및 이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
KR20180026597A (ko) * 2016-09-02 2018-03-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180054069A (ko) * 2016-11-14 2018-05-24 삼성전자주식회사 지문 센서 및 지문 센서의 제조 방법
CN106611170B (zh) * 2017-01-03 2021-10-2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指纹识别装置及电子设备
KR20180090936A (ko) 2017-02-03 2018-08-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서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10937B1 (ko) * 2017-04-18 2022-06-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카드형 스마트키 및 그 제어방법
KR101932650B1 (ko) 2017-05-15 2018-12-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서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26008B1 (ko) * 2017-05-15 2022-07-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력감지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모듈
KR102395098B1 (ko) 2017-06-30 2022-05-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N107392168B (zh) * 2017-07-31 2020-08-1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指纹识别结构及其制作方法
TWI633493B (zh) * 2017-08-08 2018-08-21 Gingy Technology Inc. 取像裝置
KR102411704B1 (ko) * 2017-09-29 2022-06-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KR102508978B1 (ko) 2017-11-09 2023-03-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감지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TWI635432B (zh) * 2017-11-13 2018-09-11 晨星半導體股份有限公司 指紋感測裝置以及其指紋感測器的驅動方法
CN107946346A (zh) * 2017-11-24 2018-04-20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全屏指纹识别触控显示屏
CN109934057A (zh) * 2017-12-15 2019-06-25 奕力科技股份有限公司 指纹感测装置以及其指纹感测器的驱动方法
CN108089757B (zh) * 2017-12-29 2020-03-27 云谷(固安)科技有限公司 一种触控面板及触控显示装置
WO2019128288A1 (zh) * 2017-12-29 2019-07-04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一种触控面板及其制作方法、显示装置
CN109993027B (zh) * 2017-12-29 2023-09-05 苏州迈瑞微电子有限公司 一种指纹传感器
CN108196735A (zh) * 2017-12-29 2018-06-22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一种触控面板及触控显示装置
KR102581472B1 (ko) * 2018-08-10 2023-09-21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지문 복합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664393B1 (ko) 2018-08-16 2024-05-08 삼성전자주식회사 저저항 지문센서 및 그 제조 방법
CN110188702B (zh) * 2019-05-31 2021-03-30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和显示装置
TWI705364B (zh) * 2019-08-02 2020-09-21 恆顥科技股份有限公司 觸控面板
KR20210091546A (ko) 2020-01-14 2021-07-22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지문 센서를 포함하는 터치 센서
KR20210091544A (ko) * 2020-01-14 2021-07-22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지문 센서를 포함하는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CN112882306B (zh) * 2021-03-15 2023-08-2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装置及其驱动方法
US11568670B2 (en) 2021-04-13 2023-01-31 Innolux Corporation Capacitive senso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64705A (ja) 2002-07-31 2004-02-26 Casio Comput Co Ltd 接触検知装置及びその検知方法並びに該接触検知装置を適用した画像読取装置
US20100073325A1 (en) * 2008-09-25 2010-03-25 Tpo Displays Corp.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position of object and image display system having such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289926B (en) * 2002-07-31 2007-11-11 Casio Computer Co Ltd Image reading apparatus and its driving method
KR101726623B1 (ko) * 2010-03-16 2017-04-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패널
US8564314B2 (en) 2010-11-02 2013-10-22 Atmel Corporation Capacitive touch sensor for identifying a fingerprint
JP5670827B2 (ja) * 2011-05-13 2015-02-18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導電シート及びタッチパネル
US9030440B2 (en) 2012-05-18 2015-05-12 Apple Inc. Capacitive sensor packaging
KR101432988B1 (ko) 2014-04-02 2014-08-29 (주)이미지스테크놀로지 지문 인식 일체형 정전용량 터치스크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64705A (ja) 2002-07-31 2004-02-26 Casio Comput Co Ltd 接触検知装置及びその検知方法並びに該接触検知装置を適用した画像読取装置
US20100073325A1 (en) * 2008-09-25 2010-03-25 Tpo Displays Corp.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position of object and image display system having such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557216A (zh) 2017-04-05
CN106557216B (zh) 2019-06-18
US10037452B2 (en) 2018-07-31
KR20170039050A (ko) 2017-04-10
US20170091508A1 (en) 2017-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97874B1 (ko) 지문센서 어레이 및 그를 구비한 표시장치
US11182033B2 (en) Display device
US11469279B2 (en) Display device
US10488927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US10002278B2 (en) Sensor screen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9911025B2 (en) Sensor screen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CN106354351B (zh) 触控基板及制作方法、显示装置、指纹识别装置和方法
EP3040825B1 (en) Ultra high resolution flat panel display having in-cell type touch sensor
CN107871763B (zh) 触摸式传感器及带触摸式传感器的显示装置
WO2016206207A1 (zh) 基板及显示屏
KR20170135602A (ko) 터치 센서 및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KR102384229B1 (ko) 지문인식가능 터치스크린 장치 및 그 동작방법
CN212009539U (zh) 多传感器结构及包含其的图像显示装置
US20170060308A1 (en) Touch sensor of electromagnetic resonance typ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ouch sensor
US10788905B2 (en) Touch-fingerprint complex sensor, operating method thereof, and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the touch-fingerprint complex sensor
KR102357227B1 (ko) 센서 스크린 및 그를 구비한 표시장치
US11853504B2 (en) Touch panel and touch panel operation method thereof
US20130328732A1 (en) Touchscreen and manufacturing process thereof
KR102281616B1 (ko) 터치 스크린 패널 및 터치 스크린 패널 제조 방법
US11151347B1 (en) Touch-fingerprint complex sensor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20220382395A1 (en) Sensor substrate and electronic device
KR20200037910A (ko) 표시 장치
CN115483263A (zh) 显示面板和显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