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7804B1 - 캐뉼라 장치 - Google Patents

캐뉼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7804B1
KR102397804B1 KR1020150094051A KR20150094051A KR102397804B1 KR 102397804 B1 KR102397804 B1 KR 102397804B1 KR 1020150094051 A KR1020150094051 A KR 1020150094051A KR 20150094051 A KR20150094051 A KR 20150094051A KR 102397804 B1 KR102397804 B1 KR 1023978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ring
protrusion
cannula
shap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40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29645A (ko
Inventor
가즈오 마츠바라
데루미 마츠바라
겐지 고바야시
신이치 고바야시
Original Assignee
아톰 메디칼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톰 메디칼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아톰 메디칼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600296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96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78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78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6Respiratory or anaesthetic masks
    • A61M16/0666Nasal cannulas or tubing
    • A61M16/0672Nasal cannula assemblies for oxygen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6Respiratory or anaesthetic masks
    • A61M16/0666Nasal cannulas or tub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8Bellows; Connecting tubes ; Water traps; Patient circuits
    • A61M16/0816Joints or conn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10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 A61M39/1055Rotating or swivel joi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2/00Special media to be introduced, removed or treated
    • A61M2202/02Gases
    • A61M2202/0208Oxyge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tolaryngology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비공관을 갖는 비공 캐뉼라와, 상기 비공 캐뉼라에 접속되는 호흡용 기체 유통용 튜브와, 상기 호흡용 기체 유통용 튜브에 접속된 어댑터관과, 상기 어댑터관에 자유롭게 착탈할 수 있도록 접속되는 커넥터관과, 상기 커넥터관에 접속된 호흡용 기체 공급용 튜브를 구비하고, 상기 어댑터관 및 상기 커넥터관은, 어느 일방이 수용부를 갖는 암부재, 타방이 삽입부를 갖는 수부재로서 서로 자유롭게 삽입 탈착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이 캐뉼라 장치는 추가로 상기 삽입부의 기단부의 외면에 형성되고 둘레 방향 전체 둘레로 연장되는 돌조 또는 오목홈으로 이루어지는 링상부와, 상기 수용부에 형성되고 그 수용부에 삽입된 상기 삽입부의 상기 링상부를 거는 돌기부를 갖는 로크편을 갖는다.

Description

캐뉼라 장치{CANNULA DEVICE}
본 발명은, 산소 등의 호흡용 기체를 인체에 공급할 때에 사용되는 캐뉼라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14년 9월 5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제2014-181179호에 대해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종래부터 소정량의 산소를 포함한 호흡용 기체를 환자의 기도에 보내는 인공 호흡기나, 산소 흡입 요법을 위한 장치가 알려져 있고, 이들 장치로부터 보내지는 호흡용 기체는 캐뉼라 장치에 의해 인체에 공급된다. 이 캐뉼라 장치는, 인체의 비공에 장착되는 비공 캐뉼라에 복수의 튜브가 접속된 구성이고, 그 튜브에 인공 호흡기나 산소 발생 장치 등의 호흡 기체 공급 장치가 접속된다.
종래,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1-015731호에 나타내는 캐뉼라 장치는, 중공 구조이고 플렉시블한 비공 캐뉼라와, 이 비공 캐뉼라의 양 단부에 그것들의 일단부가 각각 연결되어 있는 호흡 기체 공급용 튜브로서의 좌우 1 쌍의 플렉시블하고 비교적 짧은 제 1 산소 공급용 튜브와, 이들 1 쌍의 제 1 산소 공급용 튜브의 타단부를 호흡 기체 공급용 튜브로서의 1 개의 플렉시블하고 비교적 짧은 제 2 산소 공급용 튜브의 일단부에 연결하고 있는 플렉시블한 Y 자형 커넥터와, 제 2 산소 공급용 튜브의 타단부에 장착되어 있는 커넥터를 구비하고 있다. 이 커넥터는, 제 3 산소 공급용 튜브의 단부의 커넥터가 착탈된다. 제 3 산소 공급용 튜브는, 비교적 긴 플렉시블한 호흡 기체 공급용 튜브로, 호흡 기체 공급 장치에 접속된다.
이와 같은 캐뉼라 장치에 있어서, 비공 캐뉼라측의 커넥터와 호흡 기체 공급 장치측의 공급 튜브 선단의 커넥터가 착탈되는데, 접속 미스 등으로 인해 부주의하게 탈락되지 않게 할 필요가 있다. 환자가 심폐 정지 상태인 경우 등에 호흡용 기체를 인체에 강제적으로 공급하는 경우나, 최근 주목받고 있는 하이플로 요법 (환자의 호기 (呼氣) 보다 높은 유량으로 호흡용 기체를 공급하는 요법) 에 있어서는, 통상보다 고유량으로 호흡용 기체가 인체에 공급되는데, 이와 같은 고유량의 호흡용 기체를 공급하는 경우에, 특히 빠짐 방지를 확실하게 할 필요가 있다. 반면, 긴급시에는 간단하게 탈착할 수 있는 것이 요망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비공 캐뉼라의 튜브와 호흡 기체 공급 장치측의 공급 튜브의 착탈을 용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한 캐뉼라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련된 캐뉼라 장치는, 인체의 비공에 장착되는 1 쌍의 비공관을 갖는 비공 캐뉼라와, 그 비공 캐뉼라에 접속 고정되고 상기 비공관에 연통하는 1 쌍의 호흡용 기체 유통용 튜브와, 이들 호흡용 기체 유통용 튜브의 각 단부에 접속 고정된 어댑터관과, 그 어댑터관에 자유롭게 착탈할 수 있도록 접속되는 커넥터관과, 그 커넥터관에 접속 고정된 호흡용 기체 공급용 튜브를 구비하고, 상기 어댑터관 및 상기 커넥터관은, 어느 일방이 수용부를 갖는 암부재, 타방이 삽입부를 갖는 수부재로서 서로 자유롭게 삽입 탈착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의 기단부의 외면에 형성되고, 둘레 방향 전체 둘레로 연장되는 돌조 (突條) 또는 오목홈으로 이루어지는 링상부와, 상기 수용부에 형성되고, 그 수용부에 삽입된 상기 삽입부의 상기 링상부를 거는 돌기부를 갖는 로크편을 갖는다.
커넥터관과 어댑터관 중 일방을 암부재 (수용부), 타방을 수부재 (삽입부) 로 하여, 수부재를 암부재에 삽입한 상태에서 링상부 및 로크편이 서로 걸림으로써, 커넥터관과 어댑터관의 접속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 경우, 로크편과 걸리는 링상부는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되므로, 커넥터관과 어댑터관의 둘레 방향의 위치 관계에 상관없이, 커넥터관과 어댑터관을 확실하게 로크 상태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커넥터관과 어댑터관을 접속할 때에, 그 둘레 방향의 방향을 의식하지 않고 삽입하기만 하면 되어 간단하다.
또한, 커넥터관과 어댑터관은, 어느 것을 삽입부 (수부재) 로, 어느 것을 수용부 (암부재) 로 할지는 임의이며, 로크편은, 그 암부재 (수용부) 의 외면에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
본 발명의 캐뉼라 장치에 있어서, 상기 링상부가 돌조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로크편은, 상기 수용부의 외면에 고정된 힌지축을 개재하여 자유롭게 회동 (回動) 할 수 있도록 지지됨과 함께, 상기 수용부의 상기 외면의 일부를 따른 원호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돌기부는, 반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가 상기 수용부에 삽입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돌조로 이루어지는 상기 링상부보다 상기 삽입부의 상기 기단부측에 위치하면 된다.
혹은, 본 발명의 캐뉼라 장치에 있어서, 상기 링상부가 오목홈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로크편은, 상기 수용부의 외면에 고정된 힌지축을 개재하여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도록 지지됨과 함께, 상기 수용부의 상기 외면의 일부를 따른 원호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돌기부는, 반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가 상기 수용부에 삽입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오목홈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링상부 내에 끼워 넣으면 된다.
이 경우, 원호상의 로크편을 힌지축을 중심으로 개폐하는 조작에 의해 커넥터관과 어댑터관의 접속 상태의 로크 및 그 해제를 할 수 있어 조작성이 양호하다.
본 발명의 캐뉼라 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의 외면에, 상기 링상부를 건 상태로 상기 로크편을 고정시키는 걸기부가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
로크편을 고정시키는 걸기부를 형성함으로써, 어댑터관과 커넥터관의 접속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통상보다 고유량으로 호흡용 기체가 인체에 공급되는 경우에도 빠짐 방지를 확실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캐뉼라 장치에 의하면, 어댑터관과 커넥터관의 착탈시에, 그 둘레 방향의 방향을 의식할 필요가 없어 착탈이 용이하고, 또, 로크편으로 어댑터관과 커넥터관을 걸음으로써, 비공 캐뉼라와 호흡용 기체 공급용 튜브를 접속시킨 상태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관련된 캐뉼라 장치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캐뉼라 장치에 있어서의 어댑터관과 커넥터관의 비접속 상태를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다.
도 3 은, 도 1 의 캐뉼라 장치에 있어서의 어댑터관과 커넥터관의 비접속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4 는, 도 1 의 캐뉼라 장치에 있어서의 어댑터관과 커넥터관의 접속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5 는, 도 1 의 B-B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6 은, 도 5 의 로크편을 개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캐뉼라 장치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캐뉼라 장치 (1) 는, 환자의 비공에 장착되는 1 쌍의 비공관 (2) 을 갖는 비공 캐뉼라 (3) 와, 비공 캐뉼라 (3) 에 접속 고정되고 비공관 (2) 에 연통하는 1 쌍의 호흡용 기체 유통용 튜브 (4) 와, 이들 호흡용 기체 유통용 튜브 (4) 의 각 단부에 접속 고정된 어댑터관 (6) (수부재) 과, 어댑터관 (6) 에 자유롭게 착탈할 수 있도록 접속되는 커넥터관 (7A) (암부재) 과, 이 커넥터관 (7A) 에 접속 고정된 호흡용 기체 공급용 튜브 (7) 와, 커넥터관 (7A) 의 외면에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도록 지지된 로크 도어 (로크편) (9) 와, 비공 캐뉼라 (3) 를 환자의 두부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용 부재 (13) 를 구비한다.
비공 캐뉼라 (3) 는, 도 1 의 상방을 향하여 형성된 비공관 (2) 과, 이들 비공관 (2) 을 사이에 두고 좌우 양 단부에 형성되고 각 비공관 (2) 에 연통하여 개구되는 접속 단부 (5) 를 갖고, 환자에게 장착되었을 때에 얼굴의 표면을 따르도록, 좌우 방향의 중앙부 (비공관 (2) 근방) 가 굴곡되어 형성되어 있다. 비공 캐뉼라 (3) 는, 전체가 스티렌계 엘라스토머, 실리콘 고무, 우레탄 등, 연질의 합성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호흡용 기체 유통용 튜브 (4) 는, 각 일단이 비공 캐뉼라 (3) 의 접속 단부 (5) 에 각각 접속되어 있고, 각 타단이 어댑터관 (6) 에 접속되어 있다. 호흡용 기체 유통용 튜브 (4) 로는, 범용품의 노멀 튜브 혹은 절곡되어도 잘 폐색되지 않도록 튜브 내면의 길이 방향을 따라 리브가 형성되어 있는 논크러쉬 튜브 모두 사용할 수 있다.
고정용 부재 (13) 는, 2 개의 호흡용 기체 유통용 튜브 (4) 각각에 장착되어 있는 1 쌍의 브래킷 (20) 에 걸려 있다. 고정용 부재 (13) 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고무끈을 사용하고 있다. 이 고무끈은, 선단부 (13A) 가 가는 봉상으로 고정되어 있고, 본체부 (13B) 는 밴드상으로 신축성을 갖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어댑터관 (6) 및 커넥터관 (7A) 은, 커넥터관 (7A) 이 수용부 (7C) 를 갖는 암부재, 어댑터관 (6) 이 삽입부 (6C) 를 갖는 수부재로서 서로 자유롭게 삽입 탈착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어댑터관 (6) 은,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 개의 호흡용 기체 유통용 튜브 (4) 가 각각 접속되는 1 쌍의 도입관 (6A) 과, 이들 도입관 (6A) 에 연통하여 개구되는 대략 원통상의 삽입부 (6C) 가 일체로 경질인 합성 수지에 의해 형성된 것이며, 2 개의 호흡용 기체 유통용 튜브 (4) 의 각 유로를, 1 개의 호흡용 기체 공급용 튜브 (7) 의 유로에 접속시킨다.
어댑터관 (6) 의 삽입부 (6C) 의 외면은, 선단부를 향함에 따라 점차 축경되고, 길이 방향 도중 위치의 외경 (D1) 이 수용부 (7C) 의 선단 개구의 내경 (D2) 과 동일 치수인 테이퍼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삽입부 (6C) 의 기단부에는, 플랜지상으로 확경되는, 둘레 방향 전체 둘레로 연장되는 돌조로 이루어지는 링상부 (6B) 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어댑터관 (6) 에 대해 자유롭게 착탈할 수 있도록 접속되는 커넥터관 (7A) 은, 전체가 자유롭게 굴곡될 수 있으며 또한 자유롭게 신축될 수 있는 벨로즈상의 의 호흡용 기체 공급용 튜브 (7) 의 선단에 접속 고정되어 있다. 커넥터관 (7A) 은, 경질인 합성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도 2 및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어댑터관 (6) 의 삽입부 (6C) 를 수용하는 대략 원통상의 수용부 (7C) 와, 수용부 (7C) 외면에 로크 도어 (9) 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 (16) 와, 로크 도어 (9) 가 어댑터관 (6) 의 링상부 (6B) 의 일부를 덮었을 때에 로크 도어 (9) 의 단부를 거는 걸기부 (14A) (도 5 참조) 를 포함한다.
수용부 (7C) 는, 어댑터관 (6) 의 삽입부 (6C) 를 전방위 수용 가능, 즉 서로의 회전 위치에 상관없이 삽입 가능한 테이퍼상의 내주면 (19) 을 갖는다. 수용부 (7C) 의 선단 개구의 내경 (D2) 과 삽입부 (6C) 의 테이퍼상 부분의 길이 방향 도중 위치의 외경 (D1) 이 동일 치수로 되어 있음으로써, 어댑터관 (6) 과 커넥터관 (7A) 이 보다 확실하게 기밀하게 접속되어, 호흡용 기체의 누설 등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지지부 (16) 에는, 축 방향과 평행한 힌지축 (8) 이 고정되어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형태에서는, 힌지축 (8) 의 상단부를 돌출시킨 상태에서 하단부를 고정시키고 있다.
로크 도어 (9) 는, 도 4 ∼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수용부 (7C) 의 외경보다 조금 큰 내경의 원호 판상으로 형성되고, 둘레 방향 일방의 단부에 형성되고 힌지축 (8) 을 삽입 통과시키는 관통공 (15) 과, 둘레 방향 타방의 선단부로부터 내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걸기 후크 (14B) 와, 걸기 후크 (14B) 의 외측에 형성된 손잡이부 (18) 와, 둘레 방향을 따라 상측 가장자리부로부터 반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되는 돌기부 (9B) 를 갖는다.
돌기부 (9B) 는,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크 도어 (9) 의 종단면에 있어서 L 자의 갈고리상을 이루고, 어댑터관 (6) 의 삽입부 (6C) 가 커넥터관 (7A) 의 수용부 (7C) 에 삽입되었을 때에, 삽입부 (6C) 의 링상부 (6B) 보다 어댑터관 (6) 의 기단측에 배치 형성되도록, 즉 돌기부 (9B) 와 수용부 (7C) 의 개구단 사이에 링상부 (6B) 가 위치하는 관계로 설정되어 있다.
다음으로, 어댑터관 (6) 과 커넥터관 (7A) 을 접속하는 순서에 대해 설명한다. 도 3 에는, 어댑터관 (6) 과 커넥터관 (7A) 을 비접속 상태로 하고, 로크 도어 (9) 를 개방한 상태의 종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5 는, 로크 도어 (9) 를 폐쇄한 상태의 도 1 의 B-B 선을 따른 단면 화살표도이다. 도 6 은, 로크 도어 (9) 를 개방한 상태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먼저 로크 도어 (9) 를 개방한 상태에서, 어댑터관 (6) 의 삽입부 (6C) 를 커넥터관 (7A) 의 수용부 (7C) 에 삽입한다 (도 6). 이 때, 삽입부 (6C) 의 외경 (D1) 의 위치가 수용부 (7C) 에 완전하게 들어가는 위치까지 삽입한다. 다음으로 로크 도어 (9) 를 회동시켜, 돌기부 (9B) 를 링상부 (6B) 의 기단측에 배치하여 원호 판상부가 삽입부 (6C) 의 외주면의 일부를 덮은 상태로 하고, 수용부 (7C) 의 외주면에 형성된 걸기부 (14A) 에 로크 도어 (9) 의 걸기 후크 (14B) 를 걸어, 로크 도어 (9) 가 회동하지 않도록 고정시킨다 (도 5). 로크 도어 (9) 를 고정시키면, 로크 도어 (9) 의 돌기부 (9B) 가 어댑터관 (6) 의 링상부 (6B) 의 상면측과 겹쳐지도록 배치되어, 어댑터관 (6) 을 빠짐 방지할 수 있다.
로크 도어 (9) 의 돌기부 (9B) 는 반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되고, 어댑터관 (6) 의 링상부 (6B) 는 둘레 방향을 따라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되어 있으므로, 커넥터관 (7A) 과 어댑터관 (6) 의 둘레 방향의 위치 관계에 상관없이 삽입할 수 있고, 확실하게 로크 상태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들을 접속할 때에 그 둘레 방향의 방향을 의식하지 않고 어댑터관 (6) 을 커넥터관 (7A) 에 삽입하면 되어 착탈이 매우 간단하다.
또, 걸기부 (14A) 와 걸기 후크 (14B) 에 의해 로크 도어 (9) 가 수용부 (7C) 에 대해 고정되므로, 어댑터관 (6) 과 커넥터관 (7A) 의 접속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통상보다 고유량으로 호흡용 기체가 인체에 공급되어 관 내가 고압이 되는 경우에도 빠짐 방지를 확실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의 구성의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세부 구성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다양한 변경을 더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어댑터관 (6) 을 커넥터관 (7A) 에 삽입하였지만, 비공 캐뉼라측의 어댑터관을 암부재, 호흡용 기체 공급용 튜브측의 커넥터관을 수부재로 하여 커넥터관을 어댑터관에 삽입하는 형태여도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어댑터관 (6) 의 링상부 (6B) 를, 삽입부 (6C) 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링상으로 형성하였지만, 삽입부의 외면으로부터 함몰되는 오목홈상으로 해도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로크 도어 (로크편) (9) 를 원호 판상으로 형성하였지만, 원호의 봉상으로 형성해도 된다. 또한 로크편은 반드시 원호상이 아니어도 되고, 링상부를 걸 수 있는 형상이면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로크 도어 (로크편) (9) 의 걸기 후크 (14B) 를 거는 걸기부 (14A) 를 형성하였지만, 로크편의 걸기 구조는 그 형태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로크편의 둘레 방향 길이를 수용부의 외주면의 절반보다 약간 크게 하고, 로크편을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함으로써, 그 탄성력에 의해 수용부의 외주면에 거는 형태로 해도 된다.
1 : 캐뉼라 장치
2 : 비공관
3 : 비공 캐뉼라
4 : 호흡용 기체 유통용 튜브
5 : 접속 단부
6 : 어댑터관
6A : 도입관
6B : 링상부
6C : 삽입부
7 : 호흡용 기체 공급용 튜브
7A : 커넥터관
7C : 수용부
8 : 힌지축
9 : 로크 도어 (로크편)
9B : 돌기부
13 : 고정용 부재
13A : 선단부
13B : 본체부
14A : 걸기부
14B : 걸기 후크
15 : 관통공
16 : 지지부
18 : 손잡이부
19 : 내주면
20 : 브래킷

Claims (4)

  1. 인체의 비공에 장착되는 1 쌍의 비공관을 갖는 비공 캐뉼라와,
    그 비공 캐뉼라에 접속 고정되고 상기 비공관에 연통하는 1 쌍의 호흡용 기체 유통용 튜브와,
    이들 호흡용 기체 유통용 튜브의 각 단부에 접속 고정된 어댑터관과,
    그 어댑터관에 자유롭게 착탈할 수 있도록 접속되는 커넥터관과,
    그 커넥터관에 접속 고정된 호흡용 기체 공급용 튜브를 구비하고,
    상기 어댑터관 및 상기 커넥터관은, 어느 일방이 수용부를 갖는 암부재, 타방이 삽입부를 갖는 수부재로서 서로 자유롭게 삽입 탈착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의 기단부의 외면에 형성되고, 둘레 방향 전체 둘레로 연장되는 돌조 또는 오목홈으로 이루어지는 링상부와,
    상기 수용부에 형성되고, 그 수용부에 삽입된 상기 삽입부의 상기 링상부를 거는 돌기부를 갖는 로크편을 갖고,
    상기 삽입부의 외면은, 선단부를 향함에 따라 점차 축경되고, 길이 방향 도중 위치의 외경 (D1) 이 상기 수용부의 선단 개구의 내경 (D2) 과 동일 치수이고,
    상기 로크편은, 상기 수용부의 외면의 일부를 따른 원호상으로 형성됨과 함께, 둘레 방향 일방의 단부가 상기 수용부의 외면에 고정된 힌지축을 개재하여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고,
    상기 돌기부는, 반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가 상기 수용부에 삽입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로크편이 상기 삽입부의 일부를 덮었을 때에 상기 링상부를 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뉼라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링상부는 상기 돌조로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삽입부가 상기 수용부에 삽입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링상부보다 상기 삽입부의 상기 기단부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뉼라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링상부는 상기 오목홈으로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삽입부가 상기 수용부에 삽입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링상부 내에 끼워넣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뉼라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의 외면에, 상기 링상부를 건 상태로 상기 로크편을 고정시키는 걸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뉼라 장치.
KR1020150094051A 2014-09-05 2015-07-01 캐뉼라 장치 KR1023978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181179 2014-09-05
JP2014181179 2014-09-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9645A KR20160029645A (ko) 2016-03-15
KR102397804B1 true KR102397804B1 (ko) 2022-05-12

Family

ID=554365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4051A KR102397804B1 (ko) 2014-09-05 2015-07-01 캐뉼라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342946B2 (ko)
JP (1) JP6305369B2 (ko)
KR (1) KR102397804B1 (ko)
TW (1) TWI66184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5495B1 (ko) * 2017-01-02 2018-06-07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액세트용 연결도관의 분리방지 기구
SG11202001529RA (en) 2017-08-23 2020-03-30 Fisher & Paykel Healthcare Ltd Respiratory mask system
USD849242S1 (en) 2017-11-21 2019-05-21 Fisher & Paykel Healthcare Limited Nasal cannula assembly
CN112007247B (zh) * 2019-05-28 2023-04-25 上海潓美医疗科技有限公司 可配戴的呼吸管路系统及具有呼吸管路系统的呼吸设备
USD1025347S1 (en) * 2020-04-24 2024-04-30 Intersurgical Ag Nasal cannula assembly
KR102346304B1 (ko) 2021-05-13 2022-01-03 주식회사 토르 드라이브 모양이 복잡하거나 크기가 큰 물체를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는 센서 융합 인식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30111952A (ko) 2022-01-19 2023-07-26 이승협 비강 캐뉼라 고정 키트 및 밴드 유닛의 제조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518231A (ja) * 2003-02-21 2006-08-10 レスメド リミテッド 鼻用アセンブリ
JP2008163976A (ja) * 2006-12-27 2008-07-17 Togo Seisakusho Corp 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23948A (en) * 1986-11-12 1988-02-09 Pharmacia Nu Tech Catheter attachment system
JP2557399B2 (ja) * 1987-04-28 1996-11-27 北川工業株式会社 波形管接続具
ES2189817T3 (es) * 1994-07-29 2003-07-16 Tyco Internat Us Inc Conjunto conectador para manguito de cateter.
US5620427A (en) * 1995-04-27 1997-04-15 David R. Kipp Luer lock system
US6776162B2 (en) * 2000-03-13 2004-08-17 Innomed Technologies, Inc. Ventilation interface for sleep apnea therapy
DE50015773D1 (de) 1999-08-21 2009-12-03 Flexa Gmbh & Co Kg Befestigungskupplung für Wellrohre
SE524585C2 (sv) * 2002-03-04 2004-08-31 Aba Sweden Ab Kopplingsanordning för rör innefattande två ledbara halvor
EP1660004A4 (en) * 2003-08-18 2017-05-31 Breathe Technologies, Inc. Method and device for non-invasive ventilation with nasal interface
US9468730B2 (en) * 2006-02-06 2016-10-18 Lazarus Medical, LLC Ventilator to tracheotomy tube coupling
JP5469934B2 (ja) 2009-07-07 2014-04-16 アトムメディカル株式会社 鼻孔カニューラ装置および口マスク装置
US9022433B2 (en) * 2012-03-21 2015-05-05 Tsai-Chen Yang Quick connector adapted for a male adapter to connect thereto
JP6001903B2 (ja) * 2012-03-30 2016-10-05 大研医器株式会社 接続部材
US9561359B2 (en) * 2013-07-29 2017-02-07 Iris Way Medical connector assembly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518231A (ja) * 2003-02-21 2006-08-10 レスメド リミテッド 鼻用アセンブリ
JP2008163976A (ja) * 2006-12-27 2008-07-17 Togo Seisakusho Corp 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342946B2 (en) 2019-07-09
JP6305369B2 (ja) 2018-04-04
TW201609208A (zh) 2016-03-16
US20160067440A1 (en) 2016-03-10
JP2016055152A (ja) 2016-04-21
TWI661845B (zh) 2019-06-11
KR20160029645A (ko) 2016-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97804B1 (ko) 캐뉼라 장치
US11623060B2 (en) Swivel elbow and connector assembly for patient interface systems
JP4167788B2 (ja) ガス供給装置
US20180126102A1 (en) Nasal assembly
EP2747819B1 (en) Patient interface with snap-fit connector
CA2955024C (en) Facial interface and headgear system for use with ventilation and positive air pressure systems
EP2211963B1 (en) Face mask
JP2016135339A5 (ko)
EP2244647A1 (en) Face mask
JP2013517036A (ja) 交換可能な鼻用ピロー
US10518057B2 (en) Facial interface and headgear system for use with ventilation and positive air pressure systems
US11577039B2 (en) Replaceable cushion for respiratory masks
TWI822884B (zh) 氧氣面罩裝置、氧氣面罩、及呼氣檢測方法
CN218833343U (zh) 鼻枕面罩
JP6719126B2 (ja) 気管切開チュー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