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7234B1 - 약물 순응도 평가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약물 순응도 평가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7234B1
KR102397234B1 KR1020200120116A KR20200120116A KR102397234B1 KR 102397234 B1 KR102397234 B1 KR 102397234B1 KR 1020200120116 A KR1020200120116 A KR 1020200120116A KR 20200120116 A KR20200120116 A KR 20200120116A KR 102397234 B1 KR102397234 B1 KR 1023972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g
exposure
drug exposure
subject
peri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01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37309A (ko
Inventor
서화정
Original Assignee
가천대학교 산학협력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천대학교 산학협력산 filed Critical 가천대학교 산학협력산
Priority to KR10202001201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7234B1/ko
Publication of KR202200373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73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72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72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48Monitoring or testing the effects of treatment, e.g. of medica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a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약물 순응도 평가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약물 순응도 평가 방법은 평가 대상 약물을 노출 중인 대상자를 선정하는 약물 노출 대상자 선정단계, 상기 약물 노출 대상자를 선정하는 단계로부터 선정된 상기 약물 노출 대상자에게 상기 평가 대상 약물이 노출된 기간을 약물 노출 기간으로서 추출하는 단계, 그리고, 선정된 상기 약물 노출 대상자에게 상기 약물 노출 기간을 적용하여 상기 평가 대상 약물의 성능을 평가하는 약물 순응도 평가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로 인해, 약물 순응도 평가 기간 중 약물이 사용되지 않은 기간만을 추출하여 약물 순응도 평가를 수행할 수 있어, 불멸시간 바이어스 또는 시간 편향이 감소되어 신뢰성이 향상된 약물 순응도 평가 결과를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약물 순응도 평가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ASSESSING MEDICATION ADHERENCE}
본 발명은 약물 순응도 평가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좀더 자세하게는 불멸시간 바이어스를 고려하여 약물 순응도를 평가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질병 치료 목적으로 처방하는 약물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관찰 연구에 있어서, 불멸 시간 편향(Immortal time bias) 문제가 발생한다. 불멸 시간 편향은 1970년대에 역학 분야에서 처음으로 언급된 편향으로, 관심 질환 발생까지의 기간 중 약물에 노출되지 않은 기간을 약물 노출 기간에 포함시켜 약물 노출 기간을 정의하여 약물을 평가하는 경우, 약물에 노출되지 않은 기간을 약물 노출 기간에 미포함시켜 약물 노출 기간을 정의한 약물 순응도 평가 결과보다 위험비가 과소 추정될 수 있다는 점에서 문제점이 있다.
불멸 시간 편향은 당뇨나 암 등 약물이 복합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질환에서 다수 발생할 수 있다. 이때, 불멸 시간 편향을 방지하는 한 방법으로서, 약물 간 전환(switching)에서 관심 약물이 아닌 다른 약물의 노출 기간을 삭제하는 오류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선택 편향(Selection bias)를 초래한다. 약물 순응도 평가와 같이 내적 타당도가 낮아 편향의 통제가 중요한 관찰 연구에서 이러한 시간 편향을 다루는 것은 필요한 절차이나 과정이 복잡하고 까다로운 한계점이 있어, 시간 편향을 고려한 약물 순응도 평가 방법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88624(2010.12.18. 공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약물 노출이군 및 노출기간을 명확히 정의하여 불멸 시간 편향이 방지된 약물 순응도 평가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여 약물 순응도 평가의 신뢰성을 향상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약물 순응도 평가 방법은, 평가 대상 약물을 노출 중인 대상자를 선정하는 약물 노출 대상자 선정단계, 상기 약물 노출 대상자를 선정하는 단계로부터 선정된 상기 약물 노출 대상자에게 상기 평가 대상 약물이 노출된 기간을 약물 노출 기간으로서 추출하는 단계, 그리고, 선정된 상기 약물 노출 대상자에게 상기 약물 노출 기간을 적용하여 상기 평가 대상 약물의 성능을 평가하는 약물 순응도 평가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상기 약물 노출 대상자 선정단계는,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평가 대상 약물을 노출 중인 대상자를 약물 노출 대상자로서 추출하는 단계, 그리고 추출된 상기 약물 노출 대상자의 약물 노출 또는 약물 소지여부에 따라 상기 약물 노출 대상자를 분류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되는 것이 좋다.
상기 약물 노출 대상자를 분류하는 단계는, 다수의 환자 데이터에 대해 질병, 성별, 나이, 투여 중인 약물 종류, 약물 처방일자, 약물 투여일자, 일자별 약물 소지여부, 질환 발병일자, 수술일자를 포함하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일자별 약물 투여일자 또는 상기 일자별 약물 소지여부를 설정값과 비교하여 약물 노출 대상자 집합으로 분류하도록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약물 노출 기간 추출단계는, 상기 약물 노출 대상자의 약물 노출 시작점을 지표일자로서 타임 테이블 상에 고정시키는 시간 고정형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약물 노출 기간을 추출하도록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약물 노출 기간 추출단계는, 상기 약물 노출 대상자의 질병 진단시점부터 상기 평가 대상 약물 첫 처방시점에 이르는 기간을 약물 비노출 기간으로 간주하는 시간 의존형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약물 노출 기간을 추출하도록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약물 순응도 평가 단계는, 시간 가변 공변량을 포함하여 콕스 비례위험분석 모델을 적용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약물 순응도 평가 단계는 상기 평가 대상 약물의 성능을 오즈비로 산출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약물 순응도 평가 시스템은 평가 대상 약물을 노출 중인 대상자를 선정하는 약물 노출 대상자 선정부, 상기 약물 노출 대상자 선정부에서 선정한 상기 약물 노출 대상자에게 상기 평가 대상 약물이 노출된 기간을 약물 노출 기간으로서 추출하는 약물 노출 기간 추출부, 그리고, 선정된 상기 약물 노출 대상자에게 상기 약물 노출 기간을 적용하여 상기 평가 대상 약물의 성능을 평가하는 약물 순응도 평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약물 노출 대상자 선정부는, 데이터베이스에서 평가 대상 약물을 복용 또는 투여 중인 대상환자 정보를 추출하는 약물 노출 대상자 추출부, 그리고, 상기 약물 노출 대상자 추출부에서 추출된 대상환자 정보 중 약물 소지비율 또는 복용 기간을 설정값과 비교하여 추출된 대상환자를 약물 노출 대상환자 군으로 분류하는 약물 노출 대상자 분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다수의 환자 데이터에 대해 질병, 성별, 나이, 투여 중인 약물 종류, 약물 처방일자, 약물 투여일자, 일자별 약물 소지여부, 질환 발병일자, 수술일자를 포함하고, 상기 약물 노출 대상자 분류부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일자별 약물 투여일자 또는 상기 일자별 약물 소지여부를 설정값과 비교하여 약물 노출 대상자 집합으로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약물 노출 기간 추출부는 상기 약물 노출 대상자의 약물 노출 시작점을 지표일자로서 타임 테이블 상에 고정시키는 시간 고정형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약물 노출 기간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약물 노출 기간 추출부는 상기 약물 노출 대상자의 질병 진단시점부터 상기 평가 대상 약물 첫 처방시점에 이르는 기간을 약물 비노출 기간으로 간주하는 시간 의존형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약물 노출 기간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약물 순응도 평가부는 시간 가변 공변량을 포함하여 콕스 비례위험분석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평가 대상 약물을 평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약물 순응도 평가부는 상기 평가 대상 약물의 성능을 오즈비로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특징에 따르면, 약물 순응도 평가 기간 중 약물이 사용되지 않은 기간만을 추출하여 약물 순응도 평가를 수행할 수 있어, 불멸시간 바이어스 또는 시간 편향이 감소되어 신뢰성이 향상된 약물 순응도 평가 결과를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약물 순응도 평가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약물 순응도 평가 방법 중 약물 노출 대상자를 선정하는 단계를 좀더 자세하게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약물 순응도 평가 방법 중 약물 노출 기간을 추출하는 단계의 접근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약물 순응도 평가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약물 순응도 평가 시스템 중 약물노출 대상자 선정부를 좀더 자세하게 나타낸 블록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약물 순응도 평가 방법 및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약물 순응도 평가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약물 순응도 평가 방법 중 약물 노출 대상자를 선정하는 단계를 좀더 자세하게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약물 순응도 평가 방법 중 약물 노출 기간을 추출하는 단계의 접근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로 하는 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약물 순응도 평가 방법은 약물 노출 대상자를 선정하는 단계(S100), 약물 노출 기간을 추출하는 단계(S200), 그리고 약물을 평가하는 단계(S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약물 노출 대상자를 선정하는 단계(S100)는 평가 대상인 약물을 노출할 대상자를 선정하는 단계로서, 데이터베이스에서 특정 질병 또는 질환을 겪고 있는 대상자를 선정하도록 수행될 수 있다.
이때, 데이터베이스는 다수의 환자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고, 각 환자에 대한 질병, 성별, 나이, 투여 중인 약물 종류, 약물 처방일자, 약물 투여일자, 일자별 약물 소지여부, 질환 발병일자, 수술일자와 같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약물 노출 대상자를 선정하는 단계(S100)는 약물 노출 대상자를 추출하는 단계(S110) 및 약물 노출 대상자를 분류하는 단계(S120)로 수행될 수 있는데, 먼저, 약물 노출 대상자를 추출하는 단계(S110)는 데이터베이스에서 평가 대상인 약물을 복용 또는 투여 중인 환자를 약물 노출 대상자로서 추출하도록 수행된다.
한 예에서, 약물 노출 대상자를 추출하는 단계(S110)는 평가 대상 약물의 코드를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여, 해당 코드에 대한 약물을 복용 또는 투여 중인 환자 정보를 추출하도록 수행될 수 있다. 한편, 해당 코드에 대한 약물을 복용 또는 투여했던 기록이 있는 환자 정보를 추출할 수 있으며, 이를 한정하지는 않는다.
위 단계(S110)는 시작일과 종료일이 지정된 약물 순응도 평가 기간 내에서, 평가 대상 약물을 설정 횟수 이상 투여한 환자 정보를 추출하도록 수행될 수 있으며, 약물 순응도 평가 기간으로 정의되는 시작일 및 종료일, 그리고 평가 대상 약물 투여 설정 횟수는 입력되는 값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약물 노출 대상자를 분류하는 단계(S120)는, 위 단계(S110)에서 추출된 약물 노출 대상자가 특정 기간 동안 평가 대상 약물을 소지한 비율 또는 복용기간에 따라 약물 노출 대상자를 적어도 하나의 대상환자 군으로 분류하도록 수행된다.
한 예에서, 약물 노출 대상자를 분류하는 단계(S120)는 위 단계(S110)로부터 추출된 약물 노출 대상자가 1년의 기간 내에 평가 대상 약물을 소지한 기간을 비율로 환산하여, 그 비율이 제1 설정값 이상인 경우 제1 대상환자 군으로 분류하고, 그 비율이 제1 설정값 미만이자 제2 설정값 이상인 경우 제2 대상환자 군으로 분류하며, 그 비율이 제3 설정값인 경우 제3 대상환자 군으로 분류하도록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약물 노출 대상자의 평가 대상 약물 소지 비율 판단 기간은 입력값에 따라 설정 변경될 수 있으며 이를 한정하지는 않는다. 또한, 제1 내지 제3 설정값은 질환 또는 평가 대상 약물에 따라 설정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약물 노출 대상자의 평가 대상 약물 소지 비율은 데이터베이스에서 각 환자에 대해 저장된 일자별 약물 소지여부를 참조하여 이를 비율로 환산하여 적용할 수 있다.
다른 한 실시예에서, 약물 노출 대상자를 분류하는 단계(S120)는, 추출된 약물 노출 대상자의 설정 기간 내 약물 처방횟수를 참조하여 제1 내지 제3 대상환자 군 중 어느 하나로 분류하도록 수행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추출된 약물 노출 대상자가 1년의 기간 내에 평가 대상 약물을 처방받은 횟수가 제1 횟수 이상인 경우 제1 대상환자 군으로 분류하고, 처방받은 횟수가 제1 횟수 미만이자 제2 횟수 이상인 경우 제2 대상환자 군으로 분류하며, 처방받은 횟수가 제3 횟수인 경우 제3 대상환자 군으로 분류하도록 수행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대상환자 군은 복수의 약물 노출 대상자를 포함하는 집합이거나 또는 한 명의 약물 노출 대상자를 포함하지 않는 집합일 수 있다.
이때, 약물 처방횟수 판단기간 및 제1 내지 제3 횟수는 입력값에 따라 설정 변경될 수 있고, 특히, 제1 내지 제3 횟수는 질환 또는 평가 대상 약물에 따라 설정 변경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약물 노출 대상자를 선정하는 단계(S100)가 약물 노출 대상자를 추출하는 단계(S110) 및 약물 노출 대상자를 분류하는 단계(S120)를 포함하여 수행됨에 따라, 평가 대상 약물을 복용 또는 투여 중인 대상자 중에서, 약물을 지속적으로 소지하거나 처방 받은 환자를 효율적으로 선정할 수 있게 된다.
이는, 평가 대상 약물을 단순히 일회성으로 처방 받은 후 소지하지 않는 증상이 경미한 환자와, 약물을 꾸준히 복용 중이거나 지속적으로 처방 받은 실질적 환자를 구분할 수 있으므로, 약물 적용대상환자를 데이터베이스에서 정확히 추출하여 약물을 평가의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약물 순응도 평가 방법을 계속해서 설명하면, 약물 노출기간을 추출하는 단계(S200)는 평가 대상 약물을 복용 또는 투여중인 환자가 해당 약물에 노출된 기간과 비노출된 기간을 분류하여, 이 단계(S200)에서 분류 및 추출된 약물 노출기간을 약물 순응도 평가에 사용할 약물 노출 기간으로 사용하도록 한다.
한 예에서, 위 단계(S200)는 데이터베이스에서 각 환자에 대해 저장된 약물 처방일자 또는 약물 투여일자를 참조하여 약물 노출기간을 추출하도록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약물 노출기간은 평가 대상 약물이 단 1회 처방된 경우, 약물 노출 설정기간으로 대체되도록 추출되고, 평가 대상 약물이 적어도 2회 이상 처방된 경우에는 약물 노출 설정기간에 처방횟수를 곱한 값으로 추출될 수 있다. 또는, 위 단계(S200)에서 약물 노출기간은 약물 최초 처방일자부터 환자의 질환 완치 진단일자까지의 기간으로 추출될 수도 있으며, 이를 한정하지는 않는다.
위 단계(S200)에서 평가 대상 약물이 환자에게 실제 노출된 기간을 약물 노출기간으로 추출함으로써, 약물을 평가함에 있어서, 다수의 약물이 복합 노출됨에 따른 약물 노출기간의 오류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위 단계들(S100, S200)로부터 약물 노출 대상자에 대한 약물 노출기간이 추출됨에 따라, 평가 대상 약물이 특정 대상환자 군에 노출된 기간 및 비노출 기간이 도 3에 도시한 것처럼 타임 테이블 상에 명확하게 구분될 수 있다.
도 3을 참고로 하는 한 예에서, 약물 노출 대상자는 서로 다른 대상환자 군들(MPR>=80%, MPR<80%, MPR=0%)중 적어도 두 개의 대상환자 군으로 분류될 수 있고, 각 대상환자 군에 대한 질병 진단시점, 평가 대상 약물 첫 처방시점, 질병 진단시점으로부터 1년이 되는 시점, 그리고 이벤트 발생시점을 타임 테이블 상에 도시될 수 있다. 여기서, 이벤트 발생시점은 환자의 질병과 관련된 이벤트로서, 암 발생 등일 수 있다.
이때, 추출된 약물 노출기간이 타임 테이블 상에 도시됨에 따라, 타임 테이블 상의 약물 노출기간을 제외한 나머지 기간이 약물 비노출 기간으로 간주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약물을 평가함에 있어서, 약물 노출 기간으로 추출된 기간에 대해 약물을 평가할 수 있게 되어 약물 순응도 평가 신뢰성을 제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3의 (a)를 참고로 하는 한 예에서, 위 단계들(S100, S200)로부터 추출된 대상환자 군에 대한 약물 노출기간은, 약물 노출 시작점을 지표일자(Index date)로서 타임 테이블 상에 고정하는 시간 고정형 분석(Time-fixed analysis) 형태로 도시될 수 있다. 이때, 타임 테이블 상의 약물 첫 처방시점이 지표일자로 설정됨에 따라 약물 노출 기간을 추출하는 단계(S200)에서 지표일자를 약물 노출기간의 시작점으로 참조하여 약물 노출기간을 추출할 수 있다.
도 3의 (b) 내지 (c)를 참고로 하는 다른 한 예에서, 위 단계들(S100, S200)로부터 추출된 대상환자 군에 대한 약물 노출기간은, 타임 테이블 상에서 질병 진단시점부터 약물 첫 처방시점에 이르는 기간을 약물 비노출 기간(Unexposed)으로 간주하는 시간 의존형 분석(Time-dependent analysis) 형태로 도시될 수 있다. 이때, 타임 테이블 상의 약물 첫 처방시점 이후의 기간을 약물 노출기간으로 설정됨에 따라 약물 노출 기간을 추출하는 단계(S200)에서 약물 노출기간 및 약물 비노출기간을 참조하여 약물 노출기간을 추출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약물을 평가하는 단계(S300)는 약물 노출 대상자를 선정하는 단계(S100)로부터 선정된 약물 노출 대상자와 약물 노출 기간을 추출하는 단계(S200)로부터 추출된 약물 노출 기간을 토대로 약물을 평가한다.
이때, 약물 노출 대상자를 선정하는 단계(S100)로부터 선정된 약물 노출 대상자는 복수의 환자정보를 포함하는 대상환자 군이거나 단일개의 개별 환자정보일 수 있다. 약물 순응도 평가에 이용하는 약물 노출 대상자가 대상환자 군인 경우, 약물 노출 기간을 추출하는 단계(S200)로부터 추출된 약물 노출 기간은 대상환자 군에 포함된 복수의 환자정보에 각각 대응되는 정보일 수 있으며, 대상환자 군에 포함된 복수의 환자정보에 대응되는 각 약물 노출 기간을 대상환자 군에 포함된 환자정보의 수로 평균내어 약물 노출 기간 평균값을 산출하여 약물을 평가할 수 있다.
약물을 평가하는 단계(S300)는 로지스틱 회기분석 또는 생존분석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생존분석으로 수행되는 경우, 콕스 비례위험분석(Cox proportional hazard model)을 이용하여 약물을 평가하도록 수행될 수 있다.
한 예에서, 위 단계들(S100, S200)로부터 추출된 약물 노출 대상자에 따른 약물 노출기간이 도 3의 (b) 내지 (c)에 도시된 시간 의존형 분석 형태의 타임 테이블로 나타나는 경우, 약물을 평가하는 단계(S300)는 외적 공변량(external time dependent covariate)인 시간 가변 공변량(time-dependent covariate)를 분석모델에 추가하여 약물을 평가하도록 수행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로 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약물 순응도 평가 방법이 당뇨 질환에 처방되는 약물인 Metformin 및 OHA(oral hypoglycemic agent; 경구혈당강하제)가 복합 노출되는 당뇨 질환 대상자에 대한 Metformin의 암 발생 여부를 평가에 적용되는 구체적인 일 예를 이하에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약물 노출 대상자를 선정하는 단계(S100) 중 약물 노출 대상자를 추출하는 단계(S110)는 데이터베이스에서 당뇨 약물 비복용군과 복용군으로 나누어 복용군을 약물 노출 대상자로 추출하도록 수행되고, 약물 노출 대상자를 분류하는 단계(S120)는 추출된 당뇨 약물 복용군 중 Metformin을 복용한 대상환자 군과, Metformin이 아닌 기타 당뇨약물(OHA)를 복용한 대상환자 군으로 분류하도록 수행된다.
다음으로, 약물 노출기간 추출단계(S200)는 위 단계(S100)에서 선정된 Metformin을 복용한 대상환자 군과, 기타 당뇨약물을 복용한 대상환자 군으로부터 각 당뇨약물 노출기간을 추출하여, 각 당뇨약물이 180일 미만 노출된 대상환자와 180일 이상 노출된 대상환자로 분류하도록 수행된다.
마지막으로, 약물을 평가하는 단계(S300)에서는 Metformin을 180일 이상 복용한 대상환자 군에 대한 Metformin 암 예방 효과와 기타 OHA를 180 이상 복용한 대상환자 군에 대한 기타 OHA의 암 예방 효과를 각각 로지스틱 회귀분석하여 대상환자 군의 암 발생 오즈비(odds ratio)를 추출하도록 수행되고, 오즈비 추출시 참조군(ref)은 당뇨 약물 비복용군으로 적용된다.
이때, 약물 노출 대상자를 선정하는 단계(S100)가 Metformin을 180일 이상 복용한 대상환자 군을 30~40대 남성, 40~50대 남성, 50~60대 남성, 60~70대 남성, 70~80대 남성, 30~40대 여성, 40~50대 여성, 50~60대 여성, 60~70대 여성, 그리고, 70~80대 여성 군으로 선정하도록 수행되었을 때 약물을 평가하는 단계(S300)의 수행결과는 남성 50~60대 대상환자 군의 오즈비가 0.664로 암 발생의 오즈비가 낮은 것으로 도출된다.
한편, 30~40대 남성, 70~80대 남성, 30~80대 여성 대상환자 군의 경우 Metformin 및 기타 OHA의 암 예방효과가 없는 것으로 분석된다.
또 다른 한 예에서,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실시하는 위 과정에서, 약물 노출대상자 선정단계(S100)를 Metformin을 복용한 대상환자 군과, 기타 당뇨약물을 복용한 대상환자 군에서 각 약물 소지비율(MPR)이 80% 이상인 환자를 대상환자 군으로 선정하도록 수행하고, 약물 노출 기간 추출단계(S200)를 수행한 다음, 약물을 평가하는 단계(S300)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Metformin의 소지비율이 80% 이상인 대상환자 군과 기타 OHA의 소지비율이 80% 이상인 대상환자 군에 대한 Metformin의 암 예방 효과와 기타 OHA의 암 예방 효과를 각각 로지스틱 회귀분석하여 대상환자 군의 암 발생 오즈비(odds ratio)를 추출하도록 수행되며, 오즈비 추출시 참조군(ref)은 당뇨 약물 비복용군으로 적용된다.
이에 따른 약물을 평가하는 단계(S300)의 수행결과는 남성 50~60대 대상환자 군의 오즈비가 0.559로 Metformin의 암 발생의 오즈비가 낮은 것으로 도출되며, 30~40대 남성, 70~80대 남성, 30~80대 여성 대상환자 군의 경우 Metformin 및 기타 OHA의 암 예방효과가 없는 것으로 분석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물 순응도 평가 방법에 따라 약물 노출 대상자가 선정되고 약물 노출 기간이 추출되어 약물 순응도 평가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다음으로, 도 4 내지 도 5를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물 순응도 평가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약물 순응도 평가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약물 순응도 평가 시스템 중 약물노출 대상자 선정부를 좀더 자세하게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 내지 도 5를 참고로 하는 한 실시예에서, 약물 순응도 평가 시스템(S)은 도 1내지 도 3을 참고로 하여 설명한 약물 순응도 평가 방법을 실질적으로 수행하는 처리장치 또는 해당 방법이 프로그램된 기록매체로서, 약물 순응도 평가 방법의 동작 및 실시예를 동일하게 수행하므로, 이하에서 약물 순응도 평가 시스템(S)을 간략하게 설명하더라도 각 구성 및 동작 실시예는 상기의 약물 순응도 평가 방법에서 기 설명한 내용을 바탕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물 순응도 평가 시스템(S)은 약물 노출 대상자 선정부(100), 약물 노출 기간 추출부(200), 약물 순응도 평가부(300)를 포함한다.
약물 노출 대상자 선정부(100)는 약물 노출 대상자 추출부(110)와 약물 노출 대상자 분류부(120)를 포함하여, 약물 노출 대상자를 선정한다. 약물 노출 대상자 추출부(110)는 데이터베이스에서 평가 대상 약물을 복용 또는 투여 중인 대상환자 정보를 추출한다. 약물 노출 대상자 분류부(120)는 약물 노출 대상자 추출부(110)에서 추출된 대상환자 정보 중 약물 소지비율 또는 복용 기간을 설정값과 비교하여 추출된 대상환자를 약물 노출 대상환자 군으로 분류한다.
그리고, 약물 노출 기간 추출부(200)는 약물 노출 대상자 선정부(100)에서 추출 및 분류된 약물 노출 대상환자 군에 포함된 환자의 약물 노출 기간을 추출한다.
약물 순응도 평가부(300)는 약물 노출 기간 추출부(200)에서 추출된 약물 노출기간을 약물 노출 대상자 선정부(100)에서 선정한 대상환자 군에 적용하여 평가 대상 약물을 평가한다.
이에 따라, 특정 질환에서 복합적인 약물을 적용하는 경우에도 약물 노출 기간을 고려하여 약물의 성능을 평가할 수 있어, 약물 순응도 평가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S : 약물 순응도 평가 시스템
100 : 약물 노출 대상자 선정부
110 : 약물 노출 대상자 추출부 120 : 약물 노출 대상자 분류부
200 : 약물 노출 기간 추출부 300 : 약물 순응도 평가부

Claims (14)

  1. 데이터베이스에서 평가 대상 약물을 노출 중인 대상자를 약물 노출 대상자로서 추출하는 단계와, 추출된 상기 약물 노출 대상자의 약물 노출 또는 약물 소지 여부에 따라 상기 약물 노출 대상자를 분류하는 단계로 수행되어, 평가 대상 약물을 노출 중인 대상자 중에서 약물을 지속적으로 소지하거나 처방 받은 환자를 구분하여 선정하는 약물 노출 대상자 선정단계;
    상기 약물 노출 대상자 선정단계로부터 선정된 약물 노출 대상자에게 평가 대상 약물이 노출된 기간을 약물 노출 기간으로서 추출하는 단계; 및
    선정된 약물 노출 대상자에게 약물 노출 기간을 적용하여 평가 대상 약물의 성능을 평가하는 약물 순응도 평가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약물 순응도 평가 방법.
  2. 삭제
  3. 제1항에서,
    상기 약물 노출 대상자를 분류하는 단계는, 다수의 환자 데이터에 대해 질병, 성별, 나이, 투여 중인 약물 종류, 약물 처방일자, 약물 투여일자, 일자별 약물 소지 여부, 질환 발병일자, 수술일자를 포함하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약물 투여일자 또는 일자별 약물 소지 여부를 설정값과 비교하여 약물 노출 대상자 집합으로 분류하도록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순응도 평가 방법.
  4. 제1항에서,
    상기 약물 노출 기간으로서 추출하는 단계는, 약물 노출 대상자의 약물 노출 시작점을 지표 일자로서 타임 테이블 상에 고정시키는 시간 고정형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약물 노출 기간을 추출하도록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순응도 평가 방법.
  5. 제1항에서,
    상기 약물 노출 기간으로서 추출하는 단계는, 약물 노출 대상자의 질병 진단시점부터 평가 대상 약물 첫 처방시점에 이르는 기간을 약물 비노출 기간으로 간주하는 시간 의존형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약물 노출 기간을 추출하도록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순응도 평가 방법.
  6. 제5항에서,
    상기 약물 순응도 평가 단계는, 시간 가변 공변량을 포함하여 콕스 비례위험분석 모델을 적용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순응도 평가 방법.
  7. 제1항에서,
    상기 약물 순응도 평가 단계는, 평가 대상 약물의 성능을 오즈비로 산출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순응도 평가 방법.
  8. 데이터베이스에서 평가 대상 약물을 복용 또는 투여 중인 대상환자 정보를 추출하는 약물 노출 대상자 추출부;
    상기 약물 노출 대상자 추출부에서 추출된 대상환자 정보 중 약물 소지비율 또는 복용 기간을 설정값과 비교하여 추출된 대상환자를 약물 노출 대상환자 군으로 분류하는 약물 노출 대상자 분류부;
    평가 대상 약물을 노출 중인 대상자를 선정하는 약물 노출 대상자 선정부;
    상기 약물 노출 대상자 선정부에서 선정한 약물 노출 대상자에게 평가 대상 약물이 노출된 기간을 약물 노출 기간으로서 추출하는 약물 노출 기간 추출부; 및
    선정된 약물 노출 대상자에게 약물 노출 기간을 적용하여 평가 대상 약물의 성능을 평가하는 약물 순응도 평가부;를 포함하는 약물 순응도 평가 시스템.
  9. 삭제
  10. 제8항에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다수의 환자 데이터에 대해 질병, 성별, 나이, 투여 중인 약물 종류, 약물 처방일자, 약물 투여일자, 일자별 약물 소지 여부, 질환 발병일자, 수술일자를 포함하고,
    상기 약물 노출 대상자 분류부는 데이터베이스에서 약물 투여일자 또는 일자별 약물 소지 여부를 설정값과 비교하여 약물 노출 대상자 집합으로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순응도 평가 시스템.
  11. 제8항에서,
    상기 약물 노출 기간 추출부는 약물 노출 대상자의 약물 노출 시작점을 지표 일자로서 타임 테이블 상에 고정시키는 시간 고정형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약물 노출 기간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순응도 평가 시스템.
  12. 제8항에서,
    상기 약물 노출 기간 추출부는 약물 노출 대상자의 질병 진단시점부터 평가 대상 약물 첫 처방시점에 이르는 기간을 약물 비노출 기간으로 간주하는 시간 의존형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약물 노출 기간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순응도 평가 시스템.
  13. 제12항에서,
    상기 약물 순응도 평가부는 시간 가변 공변량을 포함하여 콕스 비례위험분석 모델을 이용하여 평가 대상 약물을 평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순응도 평가 시스템.
  14. 제8항에서,
    상기 약물 순응도 평가부는 평가 대상 약물의 성능을 오즈비로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순응도 평가 시스템.
KR1020200120116A 2020-09-17 2020-09-17 약물 순응도 평가 방법 및 시스템 KR1023972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0116A KR102397234B1 (ko) 2020-09-17 2020-09-17 약물 순응도 평가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0116A KR102397234B1 (ko) 2020-09-17 2020-09-17 약물 순응도 평가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7309A KR20220037309A (ko) 2022-03-24
KR102397234B1 true KR102397234B1 (ko) 2022-05-12

Family

ID=80935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0116A KR102397234B1 (ko) 2020-09-17 2020-09-17 약물 순응도 평가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723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42732A (ja) * 2016-02-12 2017-08-1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薬効評価補助システム、及び薬効評価補助情報提示方法
JP2019204247A (ja) * 2018-05-23 2019-11-28 地方独立行政法人市立大津市民病院 被験者候補抽出方法および被験者候補抽出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PL2238458T3 (pl) 2007-12-19 2012-03-30 Lilly Co Eli Sposób przewidywania odpowiedzi na terapię farmaceutyczną otyłości
KR20200086158A (ko) * 2019-01-08 2020-07-16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약물효과 평가에서 측정불가시간에 의해 발생하는 비뚤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42732A (ja) * 2016-02-12 2017-08-1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薬効評価補助システム、及び薬効評価補助情報提示方法
JP2019204247A (ja) * 2018-05-23 2019-11-28 地方独立行政法人市立大津市民病院 被験者候補抽出方法および被験者候補抽出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7309A (ko) 2022-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hakravarthy et al. Characterizing disease burden and progression of geographic atrophy secondary to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Huang et al. HIV preexposure prophylaxis, by race and ethnicity—United States, 2014–2016
Xie et al. Association of diabetic macular edema and proliferative diabetic retinopathy with cardiovascular disease: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Van den Akker et al. Multimorbidity in general practice: prevalence, incidence, and determinants of co-occurring chronic and recurrent diseases
Hersh et al. National use of postmenopausal hormone therapy: annual trends and response to recent evidence
Yang et al. True rise in anaphylaxis incidence: epidemiologic study based on a national health insurance database
Chin et al. Hypoglycemia is associated with dementia in elderly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an analysis based on the Korea National Diabetes Program Cohort
Klein et al. Oral contraceptives in women with diabetes
Ding et al. Diagnosis and management of polycystic ovary syndrome in the UK (2004–2014): a retrospective cohort study
Iskedjian et al. Cost of glaucoma in Canada: analyses based on visual field and physician's assessment
JP7432099B2 (ja) 被験者候補抽出方法および被験者候補抽出システム
Hald et al. Trends in incidence of intracerebral hemorrhage and association with antithrombotic drug use in Denmark, 2005-2018
Parikh et al. Incidence of new choroidal neovascularization in fellow eyes of patients with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treated with intravitreal aflibercept or ranibizumab
US20070150314A1 (en) Method for carrying out quality control of medical data records collected from different but comparable patient collectives within the bounds of a medical plan
Rodill et al. Diabetic retinopathy and dementia in type 1 diabetes
Kruse et al. Healthcare system effects of pay-for-performance for smoking status documentation
Li et al. Liberal versus conservative fluid therapy in adults and children with sepsis or septic shock
Bergson et al. Sestamibi scans and intraoperative parathyroid hormone measurement in the treatment of primary hyperparathyroidism
JP5646988B2 (ja) 臨床イベントの相関付け
Holodinsky et al. Estimating the number of hospital or emergency department presentations for stroke in Canada
Fanaroff et al. Agreement and accuracy of medication persistence identified by patient self-report vs pharmacy fill: a secondary analysis of the cluster randomized ARTEMIS trial
Sheng et al. Review of menopausal palpitations measures
Macri et al. Blood pressure measures and incident primary open-angle glaucoma
Girardeau et al. Detection of drug–drug interactions inducing acute kidney injury by electronic health records mining
Kim et al. Practice patterns of screening for hydroxychloroquine retinopathy in South Kore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