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7152B1 - 자외선 차단 테이프 - Google Patents

자외선 차단 테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7152B1
KR102397152B1 KR1020200083674A KR20200083674A KR102397152B1 KR 102397152 B1 KR102397152 B1 KR 102397152B1 KR 1020200083674 A KR1020200083674 A KR 1020200083674A KR 20200083674 A KR20200083674 A KR 20200083674A KR 102397152 B1 KR102397152 B1 KR 1023971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user
adhesive layer
ultraviolet rays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36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5914A (ko
Inventor
이권호
Original Assignee
서치앤메이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치앤메이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치앤메이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836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7152B1/ko
Publication of KR202200059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59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71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71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08Tissues; Wipes; Patch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02Masks for cosmetic treatment of the fa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05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backing impregnating composi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9/00Tenebrescent materials, i.e. materials for which the range of wavelengths for energy absorption is changed as a result of excitation by some form of energy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10Details of applicators
    • A45D2200/1009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 A45D2200/1036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containing a cosmetic substance, e.g. impregnated with liquid or containing a soluble solid substance
    • A45D2200/1045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containing a cosmetic substance, e.g. impregnated with liquid or containing a soluble solid substance with one or more internal reservoirs, e.g. rupturable microcapsu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2Colour properties
    • A61K2800/45Colour indicators, e.g. pH- or Redox indicat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Dermat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피부에 점착되도록 점착력을 가지는 점착증 및 상기 점착증의 상면에 마련되고, 외부에서 입사되는 자외선에 의하여 색이 변하는 광변색소가 함침된 섬유층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되어 자외선에 노출시 색이 변하는 자외선 차단 테이프를 제공하여, 다양한 색상 및 형태로 구성이 가능해져 사용자의 개성을 표현 할 수있고, 기업이나 문화 홍보용으로 사용될 수 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자외선 차단 테이프{Sun protection tape}
본 발명은 자외선 차단 테이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되어 자외선에 노출시 색이 변하는 자외선 차단 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최근 햇빛의 노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자외선 차단 제품에 대한 대중의 관심은 상당히 증가되고, 이에 따른 다양한 자외선 차단 관련 기술 또한 급속한 발전이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 자외선 차단 제품은 자외선에 의한 피부를 보호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서, 균일하게 피부에 도포되어야 하며, 장기적으로 피부 도포 후 땀이나 물에 잘 지워지지 않아야 함은 물론 특히 사용자의 피부에 자극 없이 자외선 차단 기능이 발휘되어야 한다.
그러나 실질적으로 썬크림, 썬스프레이, 썬스틱과 같이 피부 도포형 제품은 자외선 차단 지속력 피부자극 현상 등으로 인하여 자외선 차단 물질의 배합에 한계가 있어, 자외선 차단효과가 크지 못하기 때문에 자외선 차단제를 일정 간격 수시로 발라주어야 하는 단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관련 선행기술들이 제안되었다.
제안된 선행기술은 자외선 차단 기능을 포함하는 부착용 패치(한국공개특허 제10-1371987호)로서 자외선 차단 기능을 포함하는 부착용 패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외선 차단율이 단계적으로 상이하도록 구성된 자외선 차단층 및 다양한 종류의 기능성물질을 함유하는 기능성물질층을 포함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자외선을 차단하고 사용자에게 피부 보습, 미백 및 피부 회복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자외선 차단 기능을 포함하는 부착용 패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선행기술의 경우, 골프나 야구와 같이 야외에서 이루어지는 취미나 여가활동의 경우에는 다양하게 사람들이 자외선에 노출되는데, 자외선 차단 기능을 포함하는 부착용 패치는 사용자로 하여 자외선의 노출상태를 인지시킬 수 없다는 한계가 있고, 그 구체적인 구성에 있어서 본 발명과 차이가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371987호 : 자외선 차단 기능을 포함하는 부착용 패치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되어 자외선에 노출시 색이 변하는 자외선 차단 테이프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차단 테이프는 상기 사용자의 피부에 점착되도록 점착력을 가지는 점착층 및 상기 점착층의 상면에 마련되고, 외부에서 입사되는 자외선에 의하여 색이 변하는 광변색소가 함침된 섬유층을 구비한다.
상기 섬유층과 상기 점착층의 사이에서 형성되고, 상기 섬유층을 통과하여 상기 사용자의 피부에 입사되는 자외선을 차단하는 자외선 차단층을 구비한다.
상기 점착층의 하면에 형성되고, 상기 점착층이 상기 사용자의 피부에서 분리시 피부미용을 위한 기능성물질을 상기 사용자의 피부에 도포하는 물질도포부를 더 구비한다.
또한, 상기 물질도포부는 상기 점착층의 하면에 일측이 고정되며, 내부에 상기 기능성물질이 수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캡슐부와 상기 점착층이 상기 사용자의 피부에서 분리시 상기 기능성물질이 사용자의 피부에 도포되도록 상기 캡슐부를 절개하는 절개부를 구비한다.
상기 절개부는 상기 사용자의 피부와 점착하기 위하여 점착력을 갖도록 상기 캡슐부의 타측에 형성되고, 상기 점착층이 상기 사용자의 피부와 분리시 상기 캡슐부가 절개될 수 있도록 상기 캡슐부의 일부가 상기 사용자의 피부에 잔류하게 상기 사용자의 피부에 대한 상기 점착층의 점착력보다 더 큰 점착력을 갖도록 형성되는 보조점착부를 포함한다.
상기 절개부는 상기 점착층이 상기 사용자의 피부와 분리시 상기 캡슐부를 절개하도록 상기 점착층의 하면에 고정되고, 상기 캡슐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와이어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섬유층의 상면을 덥도록 형성되며, 상기 섬유층 상면에 기 설정된 문양을 형성하기 위해서 상기 섬유층에 입사된 자외선을 간섭하는 패치부재를 더 구비한다.
상기 패치부재는 상기 문양에 대응되게 형성된 패턴부분이 마련되고, 상기 패턴부분은 자외선을 투과하고, 상기 패턴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자외선이 불투과 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패치부재는 상기 문양에 대응되게 형성된 패턴부분이 마련되고, 상기 패턴부분은 자외선을 불투과하고, 상기 패턴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자외선이 투과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패치부재는 상기 섬유층의 상면에 마련되며 자외선이 투과되되, 투명하게 형성된 패치본체와 상기 패치본체에 상기 패턴부분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투명하게 형성되고, 자외선을 불투과하는 소재로 형성된 불투과패치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되는 자외선 차단 테이프에 자외선에 노출시 색이 변하는 광변색소가 함침된 섬유층을 포함하여, 사용자로 하여 색의 변화로 자외선의 노출을 인지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차단 테이프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자외선 차단 테이프의 단면을 표현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차단 테이프의 다른 실시예의 따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실시예의 따른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차단 테이프의 다른 실시예의 따른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실시예의 따른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차단 테이프의 다른 실시예의 따른 분해 사시도 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차단 테이프의 또 다른 실시예의 따른 분해 사시도 이고,
도 9는 도 8의 실시예의 따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자외선 차단 테이프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대하여,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내지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차단 테이프(10)의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자외선 차단 테이프(10)는 상기 사용자의 피부(20)에 점착되도록 점착력을 가지는 상기 점착층(100)과 상기 점착층(100)의 상면에 마련되고, 외부에서 입사되는 자외선에 의하여 색이 변하는 광변색소가 함침된 상기 섬유층(200)과, 상기 자외선 차단 테이프(10)에 상기 섬유층(200)과 상기 점착층(100)의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섬유층(200)을 통과하여 상기 사용자의 피부(20)에 입사되는 자외선을 차단하는 상기 자외선 차단층(300)을 포함한다.
상기 점착층(100)은 하이드로제네이티드스타이렌(Hydrogenated Styrene)과 하이드로제네이티드다이사이클로펜타다이엔(Hydrogenated Polycyclopentadiene)을 혼합하여 이루어진 열성 플라스틱 탄성체(Thermal Plastic Elastomer)가 적용된다. 상기 점착층(100)은 점착력을 가지도록 상기 열성 플라스틱 탄성체(Thermal Plastic Elastomer)의 하부에 점착물질이 도포되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점착층(100)은 상기 열성 플라스틱 탄성체(Thermal Plastic Elastomer)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사용자의 피부(20)와 점착이 가능한 다양한 물질이 가능하다. 상기 점착층(100)은 상기 사용자가 자외선에 의하여 노출되는 피부의 다양한 곳에 예를 들면 얼굴의 눈 밑, 광대, 콧등, 볼, 이마, 턱, 이마 손등, 팔등에 부착이 가능하나, 얼굴의 광대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다양한 형태의 형상이 가능하나 만곡되게 형성된 타원의 얇은막의 형태가 적용 가능하다.
상기 섬유층(200)은 면과 스판텍스로 소정비율로 구성된 섬유에 광변색소가 소정비율로 함침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점착층(100)의 상면을 덮을 수 있는 얇은막의 형태로 상기 점착층(100)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는게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섬유층(200)은 상기 사용자의 피부(20)와 대응되는 색으로 형성된다. 상기 광변색소는 포토크로믹(Photochromic)이 이용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자외선에 의해 색이 변화하는 변색물질이면 무엇이든 적용 가능하다.
상기 자외선 차단층(300)은 상기 열성 플라스틱 탄성체(Thermal Plastic Elastomer)에 자외선 차단기능을 가지는 기능성원료를 소정비율로 혼합하여 제조된다. 상기 기능성원료는 징크옥사이드(Zinc Oxide)와 티타늄다이옥사이드(Titanium Dioxide)의 혼합물이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자외선 차단기능을 가지는 다양한 물질이 적용 가능하다. 상기 자외선 차단층은(300)은 상기 섬유층(200)의 하면에 대응되게 형성되고, 상기 점착층(100)을 덮을 수 있는 얇은막의 형태로 형성된다.
상술된 본 발명은 상기 사용자의 피부(20)에 부착되어 자외선에 노출시 색이 변하는 광변색소가 함침된 상기 섬유층(200)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섬유층(200)의 색의 변화로 자외선의 노출을 용이하게 인지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 3내지 도 4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차단 테이프(30)가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자외선 차단 테이프(30)는 상기 점착층(100)의 하면에 형성되고, 상기 점착층(100)이 상기 사용자의 피부(20)에서 분리시 피부미용을 위한 상기 기능성물질을 상기 사용자의 피부(20)에 도포하는 상기 물질도포부(400)를 더 구비한다.
상기 물질도포부(400)는 상기 점착층(100)의 하면에 상단이 고정되며, 내부에 상기 기능성물질이 수용되는 다수의 캡슐부(410)와 상기 점착층(100)이 상기 사용자의 피부(20)에서 분리시 상기 기능성물질이 상기 사용자의 피부(20)에 도포되도록 상기 캡슐부(410)를 절개하는 상기 절개부(420)를 포함한다.
상기 캡슐부(410)는 상단이 상기 점착층(100)의 하면에 고정되도록 점착제가 도포될 수 있으며, 상기 절개부(420)에 의하여 절개되도록 연질의 재질로 구성되며,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원통형의 얇은막의 형태가 바람직하다. 상기 캡슐부(410)는 도시된 도 3과 같이 다수개가 상기 점착층(100)에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점착층(100) 또는 상기 캡슐부(410)의 크기에 따라 1개가 마련될 수도 있다.
상기 기능성물질은 액상의 형태이며, 콜라겐, 알로에추출물, 비타민, 향료, 아데노신, 아로마오일, 홍삼추출물, 장미추출물, 피톤치드, 레티놀, 토코페롤, 폴리페놀, 카모신, 유비퀴논, 파이토에스트로겐, 이소플라본, 글루코펩타이드, 세라마이드, 알푸틴 및 피부 보습, 미백 그리고 회복기능의 효과가 있다고 공지된 다양한 종류의 물질 및 그 혼합물을 포함한다.
상기 절개부(420)는 상기 점착층(100)이 상기 사용자의 피부(20)와 분리시 상기 캡슐부(410)가 절개될 수 있도록 상기 캡슐부(410)의 일부가 상기 사용자의 피부(20)에 잔류하게 상기 사용자의 피부(20)에 대한 상기 점착층(100)의 점착력보다 더 큰 점착력을 갖도록 형성되는 상기 보조점착부(421)를 포함한다.
상기 보조점착부(421)는 상기 점착층(100)과 같은 물질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사용자의 피부(20)와 점착이 가능한 다양한 물질을 포함한다. 상기 보조점착부(421)는 상기 캡슐부(410)가 상기 사용자의 피부(20)에 점착 되도록 상기 캡슐부(410)의 하면에 점착제가 도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물질도포부(400)의 기능에 대하여 보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캡슐부(410)는 상면이 상기 점착층(100)의 하면에 고정되고, 상기 캡슐부(410)의 하면이 상기 보조점착부(421)에 의하여 상기 사용자 피부(20)에 점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점착층(100)이 상기 사용자 피부(20)에서 분리시 상기 캡슐부(410)의 상단이 상기 사용자의 피부(2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는데, 상기 캡슐부(410)의 하면이 상기 사용자의 피부(20)에 점착되어 있어, 상기 캡슐부(410)는 일측이 절개된다. 상기 캡슐부(410)의 절개된 부분은 통해 상기 기능성물질이 배출되어 상기 사용자의 피부(20)에 도포된다.
상술된 본 발명의 상기 자외선 차단 테이프(30)는 상기 점착층(100)과 상기 사용자의 피부(20)에서 분리시 피부미용을 위한 상기 기능성물질을 상기 사용자의 피부(20)에 도포하는 상기 보조점착부(421)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야외활동 후 상기 사용자의 피부(20)에 피부보습, 미백 및 피부 회복기능을 제공한다.
한편, 도 5내지 도 6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절개부(420)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절개부(420)는 상기 점착층(100)이 상기 사용자의 피부(20)와 분리시 상기 캡슐부(410)를 절개하도록 상기 점착층(100)의 하면에 고정되고, 소정 두께의 선형으로 형성되어 타단은 상기 캡슐부(410)에 감싸도록 형성되는 상기 와이어(422)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와이어(422)는 상기 캡슐부(410)를 절개 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상기 캡슐부(410)를 감싸는 다수의 고리 형태가 바람직하다.
상기 와이어(422)의 작동에 대하여 보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와이어(422)는 상면이 상기 점착층(100)의 하면에 고정되고, 상기 캡슐부(410)의 하면이 상기 보조점착부(421)에 의하여 상기 사용자 피부(20)에 점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점착층(100)이 사용자 피부(20)에서 분리시 상기 와이어(422)가 상기 사용자의 피부(2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캡슐부(410)가 상기 와이어(422)에 의하여 절개되어, 상기 캡슐부(410)에 수용되는 상기 기능성물질이 상기 사용자의 피부(20)에 도포되어 상기 사용자의 피부(20)에 피부보습, 미백 및 피부 회복 기능을 제공한다.
상술된 본 발명의 상기 절개부(420)는 상기 캡슐부(410)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상기 와이어(422)가 구비되어, 상기 점착층(100)이 상기 사용자의 피부(20)와 분리시 상기 캡슐부(410)를 보다 쉽게 절개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자외선 차단 테이프(40)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자외선 차단 테이프(40)는 상기 섬유층(200)의 상면에 기 설정된 상기 문양을 형성하기 위해서 상기 섬유층(200)에 입사된 자외선을 간섭하도록 상기 섬유층(200)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소정두께를 갖는 상기 패치부재(500)를 더 구비한다.
상기 패치부재(500)는 자외선 불투과성 소재로 형성되고, 소정의 연질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사용자의 필요에 의하여 상기 섬유층(200)의 상면과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하면에 점착력을 갖는 얇은막의 형태가 가능하다.
상기 패치부재(500)는 상기 문양에 대응되는 상기 패턴부분(600)이 형성된다. 상기 패턴부분(600)은 일정 형태로 제한하지 않고, 특정 문구 또는 기업의 제품명이나 이미지, 국가의 상징적 로고가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패턴부분(600)은 자외선이 투과될 수 있도록 상기 패치부재(500)를 관통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패턴부분(600)을 통해 자외선이 투과되어 상기 섬유층(200)의 일부분이 해당 자외선에 노출된다. 이때, 상기 섬유층(200)의 일부분이 자외선에 의해 변색되어, 상기 섬유층(200)에 상기 문양이 표시된다.
상술된 본 발명의 상기 자외선 차단 테이프(40)는 상기 광변색소가 함침된 상기 섬유층(200)에 상기 자외선을 간섭하는 상기 패치부재(500)가 구비되어, 상기 사용자로 하여 기 설정된 상기 문양을 야외활동시 노출하게 되어 다양한 상황에서의 국가, 기업, 문화의 홍보용으로 사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 8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패치부재(700)에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패치부재(700)는 자외선이 투과되는 투명한 소재로 형성되되, 상기 패턴부분(600)은 자외선이 불투과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패치부재(700)는 상기 섬유층(200)의 상면에 마련되며, 자외선이 투과되되, 투명하게 형성된 상기 패치본체(710)와 상기 패치본체(710)에 상기 패턴부분(60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투명하게 형성되고, 자외선을 불투과하는 소재로 형성된 상기 불투과패치(720)를 구비한다.
상기 패치본체(710)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섬유층(200)의 상면을 덥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패치본체(710)는 자외선이 투과되되 투명한 소재로 형성되며, 석영(Quartz)과 같이 투명하고 자외선이 투과되는 기능이 있다고 공지된 다양한 종류의 재질로 형성 될 수 있다.
상기 불투과패치(720)는 상기 패턴부분(60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패치본체(710)의 상부에 부착된다. 상기 불투과패치(720)는 자외선이 불투과되는 유색 소재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불투과패치(720)는 투명하나, 자외선이 불투과되는 유리와 같은 소재로 형성 될 수도 있다.
상기 불투과패치(720)는 상기 패턴부분(600)와 대응되게 형성되고 일정 형태로 제한하지 않으나, 필요한 경우 기업의 제품명이나 이미지, 국가의 상징적 로고, 특정 캠페인의 문구로 다양한 형태가 될 수 있다
상술된 본 발명의 상기 자외선 차단 테이프(40)는 상기 패치본체(510)가 투명한 소재로 구비되어, 상기 사용자로 하여 상기 섬유층(200)의 자외선 노출전 색을 강조하는데 효과적이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자외선 차단 테이프 20 : 사용자의 피부
100 : 점착층 200 : 섬유층
300 : 자외선 차단층 400 : 물질 도포부
410 : 캡슐부 420 : 절개부
421 : 보조점착부 422 : 와이어
500, 700 : 패치부재 600 : 패턴부분
710 : 패치본체 720 : 불투과패치

Claims (10)

  1. 사용자의 피부에 점착되도록 점착력을 가지는 점착층;
    상기 점착층의 상면에 마련되고, 외부에서 입사되는 자외선에 의하여 색이 변하는 광변색소가 함침된 섬유층;
    상기 섬유층과 상기 점착층의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섬유층을 통과하여 상기 사용자의 피부에 입사되는 자외선을 차단하는 자외선 차단층;
    상기 점착층의 하면에 형성되고, 상기 점착층이 상기 사용자의 피부에서 분리시 피부미용을 위한 기능성물질을 상기 사용자의 피부에 도포하는 물질도포부;를 구비하며,
    상기 물질도포부는
    상기 점착층의 하면에 일측이 고정되며, 내부에 상기 기능성물질이 수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캡슐부;와
    상기 점착층이 상기 사용자의 피부에서 분리시 상기 기능성물질이 사용자의 피부에 도포되도록 상기 캡슐부를 절개하는 절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절개부는 상기 사용자의 피부와 점착하기 위하여 점착력을 갖도록 상기 캡슐부의 타측에 형성되고, 상기 점착층이 상기 사용자의 피부와 분리시 상기 캡슐부가 절개될 수 있도록 상기 캡슐부의 일부가 상기 사용자의 피부에 잔류하게 상기 사용자의 피부에 대한 상기 점착층의 점착력보다 더 큰 점착력을 갖도록 형성되는 보조점착부;와
    상기 점착층이 상기 사용자의 피부와 분리시 상기 캡슐부를 절개하도록 상기 점착층의 하면에 고정되고, 상기 캡슐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와이어;를 구비하는,
    자외선 차단 테이프.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층의 상면을 덥도록 형성되며, 상기 섬유층 상면에 기 설정된 문양을 형성하기 위해서 상기 섬유층에 입사된 자외선을 간섭하는 패치부재;를 더 구비하는
    자외선 차단 테이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패치부재는 상기 문양에 대응되게 형성된 패턴부분이 마련되고, 상기 패턴부분은 자외선을 투과하고, 상기 패턴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자외선이 불투과 되도록 형성된;
    자외선 차단 테이프.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패치부재는 상기 문양에 대응되게 형성된 패턴부분이 마련되고, 상기 패턴부분은 자외선을 불투과하고, 상기 패턴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자외선이 투과되도록 형성된;
    자외선 차단 테이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패치부재는
    상기 섬유층의 상면에 마련되며, 자외선이 투과되되, 투명하게 형성된 패치본체;와
    상기 패치본체에, 상기 패턴부분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투명하게 형성되고, 자외선을 불투과하는 소재로 형성된 불투과패치;를 구비하는
    자외선 차단 테이프.
KR1020200083674A 2020-07-07 2020-07-07 자외선 차단 테이프 KR1023971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3674A KR102397152B1 (ko) 2020-07-07 2020-07-07 자외선 차단 테이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3674A KR102397152B1 (ko) 2020-07-07 2020-07-07 자외선 차단 테이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5914A KR20220005914A (ko) 2022-01-14
KR102397152B1 true KR102397152B1 (ko) 2022-05-12

Family

ID=79343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3674A KR102397152B1 (ko) 2020-07-07 2020-07-07 자외선 차단 테이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715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1987B1 (ko) * 2012-11-14 2014-03-07 배병일 자외선 차단 기능을 포함하는 부착용 패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9807A (ko) * 2001-05-12 2001-07-25 조경래 자외선 차단과 칼라가 변화되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109558A (ko) * 2015-03-12 2016-09-21 양희찬 캡슐 함유형 패치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1987B1 (ko) * 2012-11-14 2014-03-07 배병일 자외선 차단 기능을 포함하는 부착용 패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5914A (ko) 2022-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74133A (en) Ultraviolet nose protector
JP4672799B2 (ja) 化粧補助貼付材及び該貼付材を用いた化粧方法
US7275819B2 (en) Eyewear
KR101371987B1 (ko) 자외선 차단 기능을 포함하는 부착용 패치
KR101546253B1 (ko) 마스크 팩 및 그 제조방법
WO2002006881A3 (en) Ultraviolet radiation protective eyewear and packaging
KR20010082207A (ko) 눈 보호용구
KR100781808B1 (ko) 자외선 차단 마스크
JP2003516954A5 (ko)
KR102397152B1 (ko) 자외선 차단 테이프
KR20170123067A (ko) 겔 타입 마스크 팩용 시트와 그 제조방법
JP6986767B2 (ja) マスクパックキット
BR0211188A (pt) Composição que contém um peptìdeo e um pigmento e o uso da mesma no escurecimento da pele
AU699974B2 (en) Antiphotoaging face mask
US7784467B2 (en) Skin lesion protector
MXPA06002558A (es) Venda cosmetica.
CN2681576Y (zh) 兼具口罩的医疗用头罩结构
US8708141B1 (en) Ultraviolet shields for eyes and kit therefor
KR200425470Y1 (ko) 얼굴 부위별 색조화장이 가능한 패드
KR200323339Y1 (ko) Uv 차단 기능을 갖는 1회용 안면 마스크
KR200429556Y1 (ko) 1회용 아이새도우
KR102623489B1 (ko) 이미지가 인쇄된 자외선 차단용 패치
KR200365638Y1 (ko) 안면 마스크
JP3153959U (ja) 皮膚用紫外線遮蔽シート
KR200272260Y1 (ko) 자외선 차단이 가능한 차양모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