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6560B1 -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Google Patents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6560B1
KR102396560B1 KR1020200104782A KR20200104782A KR102396560B1 KR 102396560 B1 KR102396560 B1 KR 102396560B1 KR 1020200104782 A KR1020200104782 A KR 1020200104782A KR 20200104782 A KR20200104782 A KR 20200104782A KR 102396560 B1 KR102396560 B1 KR 1023965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osed
dust collecting
suction
collecting filter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478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23197A (en
Inventor
엄민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047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6560B1/en
Publication of KR202200231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319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65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656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7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 F24F1/007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r arrangement of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8Other constructional details
    • B66D1/36Guiding, or otherwise ensuring winding in an orderly manner, of ropes, cables, or chains
    • B66D1/38Guiding, or otherwise ensuring winding in an orderly manner, of ropes, cables, or chains by means of guides movable relative to drum or barr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8Electrical aspects, e.g. circ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92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electrical means, e.g. by applying electrostatic fields or high volta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4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on the cei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외형을 형성하고, 하측이 개방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하측에 배치되고, 상하방향으로 개구된 흡입구와, 상기 흡입구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하방향으로 개구된 토출구를 형성하는 프론트패널과, 상기 케이스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구에서 상기 토출구로 공기유동을 형성하는 송풍팬과, 상기 송풍팬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토출구로 유동하는 공기를 열교환하는 열교환기와, 상기 프론트패널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구를 커버하는 흡입패널과, 상기 케이스 내측에 고정배치되고, 상기 흡입패널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승강장치와, 상기 흡입패널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흡입구로 유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집진하여 공기를 여과하는 집진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는, 하측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집진필터로 전원을 공급하거나, 접지를 제공하는 복수의 단자가 배치되고, 상기 집진필터는, 상기 흡입패널이 상기 프론트패널에 장착될 때, 상기 복수의 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촉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xternal shape, a case having an open lower side, a suction port disposed below the case and opened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 discharge port disposed at one side of the suction port and open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 front panel forming a; a suction panel disposed below the front panel and covering the suction port; a lifting device fixedly disposed inside the case and moving the suction panel in a vertical direction; and detachably mounted on the suction panel; and a dust collecting filter for filtering air by collecting foreign substances in the air introduced into the , The dust collecting filter is in electrical contact with the plurality of terminals when the suction panel is mounted on the front panel.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실내기{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천정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ndoor unit of a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공기조화기는 공기의 온도를 제어하는 냉방기나 난방기, 공기의 이물질을 제거하여 청정도를 유지시키는 공기청정기, 공기 중에 수분을 제공하는 가습기, 공기 중의 수분을 제거하는 제습기 등이 있다.Air conditioners include air conditioners or heaters that control the temperature of air, air purifiers that remove foreign substances from the air to maintain cleanliness, humidifiers that provide moisture to the air, and dehumidifiers that remove moisture from the air.

공기조화기는 압축기가 배치되고, 외부에 배치되는 실외기와 실내공간에 배치되는 실내기를 포함하는 분리형 공기조화기를 사용할 수 있다. The air conditioner may use a separate type air conditioner in which a compressor is disposed and includes an outdoor unit disposed outside and an indoor unit disposed in an indoor space.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설치 형태에 따라 스탠드형 공기조화기, 벽걸이형 공기조화기, 또는 천장형 실내기로 구분될 수 있다.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may be classified into a stand-type air conditioner, a wall-mounted air conditioner, or a ceiling-type indoor unit according to an installation type.

천장형 실내기의 경우, 흡입그릴이 바닥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흡입그릴에는 실내공기의 이물질을 여과하는 프리필터가 배치되고, 프리필터는 청소를 위해 분리할 수 있다. 사용자는 필터 청소를 위해 주기적으로 상기 흡입그릴을 케이스에서 분리할 필요가 있다.In the case of a ceiling-type indoor unit, the suction grill is arranged to face the floor. A pre-filter that filters foreign substances in the indoor air is disposed on the suction grill, and the pre-filter can be removed for cleaning. The user needs to periodically remove the suction grill from the case to clean the filter.

다만, 전기집진방식으로 미세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집진필터의 경우, 케이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므로, 케이스에 고정배치되며, 흡입패널이 분리된 상태에서, 실내공간의 상측에서 직접분리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However, in the case of the dust collecting filter that filters out fine foreign substances by the electric dust collection method, since i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ase, it is fixedly placed on the case, and the intrusion panel is separated from the upper part of the indoor space. there is.

국내등록특허 KR101511851B1에서는, 승강그릴을 이용하여, 흡입패널을 하측으로 이동시키는 구조를 개시하고 있다. 다만, 상기 문헌에서는, 집진필터를 흡입패널에 장착시키는 구조가 아니므로, 집진필터를 교체하거나 청소하기 위해, 사용자는 의자와 같은 구조물 위로 올라가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Korean Patent Registration KR101511851B1 discloses a structure for moving the suction panel to the lower side by using the elevating grill. However, in the above documen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user has to climb on a structure such as a chair in order to replace or clean the dust collecting filter because the structure is not mounted on the suction panel.

또한, 케이스의 구조상, 집진필터를 배치하기 위한 별도의 공간이 부족한 문제가 있다. 또한, 집진필터가 흡입패널과 다른 크기로 형성되는 경우, 흡입패널을 통과하여, 송풍팬으로 유동하는 공기의 일부가 집진필터를 통과하지 않거나, 유로가 급격하게 변경될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In addition, due to the structure of the case, there is a problem that a separate space for arranging the dust collecting filter is insufficient. In addition, when the dust collecting filter is formed in a size different from that of the suction panel, some of the air that passes through the suction panel and flows to the blowing fan does not pass through the dust collecting filter or a problem that the flow path may be changed abruptly may occur. .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집진필터의 교체 및 청소가 용이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that is easy to replace and clean a dust collecting filter.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송풍팬의 하측으로 집진필터가 배치되고,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in which a dust collecting filter is disposed below a blowing fan and a movable space is secured.

흡입패널은, 승강그릴을 통해, 프론트패널에 장착되는 구조이므로, 흡입패널이 프론트패널에 장착되더라도, 흡입패널이 프론트패널과 정위치로 장착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때, 복수의 단자부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집진필터는, 프론트패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는 문제를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흡입패널이 프론트패널과 일부 정위치로 장착되지 않더라도, 집진필터의 복수의 대응단자가 프론트패널의 복수의 단자 각각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Since the suction panel is mounted on the front panel through the elevating grille, even if the suction panel is mounted on the front panel, there is a case in which the suction panel cannot be mounted in the correct position with the front panel. In this case, the dust collecting filter electrically connected through the plurality of terminal parts may cause a problem that is no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ront pane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in which a plurality of corresponding terminals of a dust collection filter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f a plurality of terminals of the front panel even when the suction panel is not partially mounted in the correct position with the front panel. will be.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흡입패널을 통과하는 공기가 집진필터로 집중될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in which air passing through a suction panel can be concentrated by a dust collecting filter.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외형을 형성하고, 하측이 개방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하측에 배치되고, 상하방향으로 개구된 흡입구와, 상기 흡입구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하방향으로 개구된 토출구를 형성하는 프론트패널과, 상기 케이스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구에서 상기 토출구로 공기유동을 형성하는 송풍팬과, 상기 송풍팬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토출구로 유동하는 공기를 열교환하는 열교환기와, 상기 프론트패널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구를 커버하는 흡입패널과, 상기 케이스 내측에 고정배치되고, 상기 흡입패널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승강장치와, 상기 흡입패널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흡입구로 유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집진하여 공기를 여과하는 집진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는, 하측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집진필터로 전원을 공급하거나, 접지를 제공하는 복수의 단자가 배치되고, 상기 집진필터는, 상기 흡입패널이 상기 프론트패널에 장착될 때, 상기 복수의 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촉되어, 집진필터를 흡입패널에 장착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교체 및 청소를 수행할 수 있고, 흡입패널이 프론트패널에 장착될 때, 집진필터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xternal shape, a case having an open lower side, a suction port disposed below the case and opened in a vertical direction, and the suction port a front panel disposed on one side of the to form a discharge port open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 blowing fan disposed inside the case and forming an air flow from the suction port to the discharge port; a heat exchanger for exchanging air flowing through an outlet, a suction panel disposed below the front panel and covering the suction port, and a lifting device fixed inside the case and moving the suction panel in a vertical direction; It is detachably mounted on the suction panel and includes a dust collecting filter that filters the air by collecting foreign substances in the air flowing into the suction port, and the lower part of the case protrudes downward, and supplies power to the dust collecting filter or , a plurality of terminals for providing a ground are disposed, and the dust collecting filter is electrically in contact with the plurality of terminals when the suction panel is mounted on the front panel, and by mounting the dust collecting filter on the suction panel, a user Replacement and cleaning can be easily performed, and when the suction panel is mounted on the front panel, the dust collection filter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상기 복수의 단자 각각은, 하단부가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어, 흡입패널이 프론트패널에 완전하게 장착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집진필터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The lower end of each of the plurality of terminals is disposed to be mov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dust collecting filter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even when the suction panel is not completely mounted on the front panel.

상기 복수의 단자 각각은,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는 고정단자와, 상기 고정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고정단자 하측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이동단자와, 상기 고정단자와 상기 이동단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이동단자를 향해 하측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흡입패널이 프론트패널에 완전하게 장착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집진필터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Each of the plurality of terminals includes a fixed terminal fixed to the case, a moving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xed terminal, and disposed to be mov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below the fixed terminal, and between the fixed terminal and the moving terminal The dust collecting filter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even in a state in which the suction panel is not completely mounted to the front panel, including an elastic member disposed in the junction and applying an elastic force in a downward direction toward the moving terminal.

상기 고정단자는 일측이 개구된 실린더형태를 가지고, 상기 이동단자의 일측방향 이동을 제한하도록 일측이 개구된 단부가 내측으로 돌출된 팁을 형성하여, 이동단자가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될 수 있다. The fixed terminal has a cylindrical shape with one open side, and forms a tip with one side open end protruding inward to limit movement of the movable terminal in one direction, so that the movable terminal can be prevented from protruding to the outside. .

상기 이동단자는 상기 고정단자의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이너고정단자와, 적어도 일부가 상기 고정단자의 외측공간에 배치되는 아우터고정단자을 포함하고, 상기 이너고정단자의 직경은, 상기 고정단자의 일측단부에서 형성되는 상기 팁이 형성하는 공간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이동단자가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될 수 있다. The mobile terminal includes an inner fixed terminal disposed in the inner space of the fixed terminal, and an outer fixed terminal, at least a portion of which is disposed in an outer space of the fixed terminal, and the diameter of the inner fixed terminal is at one end of the fixed terminal. The tip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space formed, so that the movable terminal can be prevented from protruding to the outside.

상기 흡입패널에는, 상기 흡입패널이 상측으로 이동할 때, 상기 집진필터가 상기 복수의 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정위치로 안내하는 가이드블록이 배치되어, 흡입패널이 안정적으로 정위치로 배치될 수 있고, 집진필터가 케이스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In the suction panel, when the suction panel moves upward, a guide block is disposed to guide the dust collecting filter to a fixed position in which the dust collecting filter is in electrical contact with the plurality of terminals, so that the suction panel can be stably arranged in the correct position, , the dust collecting filter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ase.

상기 프론트패널에는, 상측으로 이동하는 상기 흡입패널이 상기 프론트패널에 정위치로 배치되도록 안내하는 코너벽이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블록은, 상기 코너벽과 접촉하여, 상기 흡입패널이 상기 프론트패널의 정위치로 배치되도록 가이드하여, 흡입패널이 안정적으로 정위치로 배치될 수 있고, 집진필터가 케이스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A corner wall is disposed on the front panel to guide the suction panel moving upward so that the suction panel is placed in a fixed position on the front panel, and the guide block is in contact with the corner wall so that the suction panel is positioned on the front panel. By guiding it to be placed in the correct position, the suction panel may be stably placed in the correct position, and the dust collecting filter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ase.

상기 케이스는, 상기 송풍팬이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어퍼케이스와, 상기 어퍼케이스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송풍팬과 상기 흡입패널 사이로 상기 집진필터가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로어케이스를 포함하여, 집진필터가 배치되는 공간을 마련할 수 있다. The case includes an upper case forming a space in which the blowing fan is disposed, and a lower case disposed below the upper case and forming a space in which the dust collecting filter is disposed between the blowing fan and the suction panel, A space in which the dust collecting filter is disposed may be provided.

상기 로어케이스에는, 상기 프론트패널의 상기 흡입구 상측으로 형성되고, 상기 흡입구로부터 유동하는 공기를 상기 송풍팬으로 안내하는 흡입유로와, 상기 프론트패널의 상기 토출구 상측으로 형성되고, 상기 흡입패널이 상기 프론트패널에 장착될 때, 상기 집진필터는 상기 로어케이스의 상기 흡입유로 상에 배치되어, 송풍팬으로 유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In the lower case, a suction passage is formed above the suction port of the front panel and guides air flowing from the suction port to the blowing fan, and is formed above the discharge port of the front panel, and the suction panel is formed at the front side of the front panel. When mounted on the panel, the dust collecting filter may be disposed on the suction passage of the lower case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in the air flowing into the blowing fan.

상기 로어케이스의 내측에 형성되는 상기 흡입유로 상에는, 상기 집진필터가 장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프레임이 배치되고,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집진필터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복수의 단자가 배치되어, 로어케이스 내부로 배치되는 집진필터를 고정 및 전기적 연결할 수 있다. A frame forming a space in which the dust collecting filter is mounted is disposed on the suction flow path formed inside the lower case, and a plurality of terminals in electrical contact with the dust collecting filter are disposed on the frame, the lower case interior It is possible to fix and electrically connect the dust collecting filter arranged as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전극으로 고전압을 발생시켜, 상기 흡입패널의 상기 흡입구로 유입되는 공기를 이온화하는 확산대전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전극은, 상기 흡입패널이 상기 프론트패널에 장착될 때, 상기 집진필터보다 하측으로 배치되어, 집진필터로 유입되는 공기를 이온화할 수 있다. and a diffusion charging devic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frame and generating a high voltage with the electrode to ionize the air flowing into the suction port of the suction panel, wherein the electrode is configured such that the suction panel is mounted on the front panel. In this case, it is disposed below the dust collecting filter, so that the air flowing into the dust collecting filter can be ionized.

상기 확산대전장치는, 성가 복수의 전극과, 상기 복수의 전극 각각이 삽입되는 복수의 전극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전극홀더는, 상기 프레임에 상기 집진필터가 장착되도록 형성되는 안착부의 둘레면에서 하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집진필터가 상기 안착부가 삽입되는 것을 가이드하여, 집진필터가 프레임으로 안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The diffusion charging device includes a plurality of electrodes and a plurality of electrode holders into which each of the plurality of electrodes is inserted, wherein the plurality of electrode holders have a circumferential surface of a seating part formed to mount the dust collecting filter on the frame. It protrudes from the downward direction, and the dust collecting filter guides the insertion of the seating part, so that the dust collecting filter can be stably arranged in the frame.

상기 흡입패널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흡입구를 통해 상기 케이스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프리필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집진필터는, 상기 프리필터의 상측에서, 상기 흡입패널에 분리가능하게 배치되어, 흡입패널에 프리필터와 집진필터를 배치할 수 있다. and a pre-filter detachably mounted on the suction panel and filtering out foreign substances in the air introduced into the case through the suction port, wherein the dust collecting filter is detachable from the suction panel on the upper side of the pre-filter The pre-filter and the dust collecting filter can be arranged on the suction panel.

상기 흡입패널의 상측에는, 상기 프리필터와 상기 집진필터가 배치되는 공간을 마련하는 장착부재가 배치되어, 흡입패널에 프리필터와 집진필터를 배치할 수 있다.A mounting member for providing a space in which the pre-filter and the dust collecting filter are disposed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suction panel, and the pre-filter and the dust collecting filter may be disposed on the suction panel.

상기 장착부재는, 상기 집진필터를 고정하거나, 상측으로 상기 집진필터를 착탈하는 구조를 가지는 제1장착부와, 상기 제1장착부의 하측에 상기 프리필터를 고정하거나, 측방향으로 상기 프리필터를 인입 또는 인출하는 제2장착부를 포함하여, 집진필터와 프리필터를 개별적으로 흡입패널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The mounting member may include a first mounting part having a structure for fixing the dust collecting filter or attaching and detaching the dust collecting filter upward, and fixing the pre-filter below the first mounting part, or inserting the pre-filter in a lateral direction Alternatively, the dust collecting filter and the pre-filter may be individually separated from the suction panel by including a second mounting part to be drawn out.

상기 제1장착부와 상기 제2장착부는 서로 연통하게 형성되어, 흡입패널을 통과하여 유동하는 공기가 장착부재에 배치되는 프리필터와 집진필터를 통과하여 송풍팬으로 유동할 수 있다. The first mounting part and the second mounting part are formed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so that air flowing through the suction panel may flow to the blowing fan through the pre-filter and the dust collecting filter disposed on the mounting member.

상기 장착부재는, 상기 제2장착부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장착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흡입패널의 흡입구의 상측을 커버하는 커버부를 포함하여, 흡입패널로 유입되는 공기가 집진필터로 집중되게 할 수 있다. The mounting member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mounting part,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first mounting part, and includes a cover part for covering the upper side of the suction port of the suction panel, and the air flowing into the suction panel is used as a dust collecting filter. can make you focus.

상기 집진필터 또는 상기 송풍팬의 작동을 조절하는 컨트롤박스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박스는, 상기 커버부의 상측에 배치되어, 흡입패널로 유입되는 공기가 집진필터로 집중되게 유동할 수 있다. and a control box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dust collecting filter or the blowing fan, wherein the control box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cover so that air flowing into the suction panel can flow to the dust collecting filter to be concentrated.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The 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According to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are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집진필터를 흡입패널에 장착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사용자가 흡입패널을 하측으로 이동시켜, 집진필터를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First, by having a structure in which the dust collecting filter is mounted on the suction panel,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user can easily manage the dust collecting filter by moving the suction panel to the lower side.

둘째, 송풍팬의 하측으로 배치되는 로어케이스 내측으로 별도의 공간을 확보하여, 흡입패널과 함께 케이스의 하측으로 이동하는 집진필터가 케이스 내측으로 안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는 장점도 있다.Second, by securing a separate space inside the lower case disposed below the blowing fan, the dust collecting filter moving to the lower side of the case together with the suction panel can be stably mounted inside the case.

집진필터는 로어케이스 내측으로 배치될 때, 케이스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야 한다. 케이스에는, 복수의 단자가 배치되고, 집진필터에는, 상기 복수의 단자에 대응하는 복수의 대응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단자 각각은 하단부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구조를 가짐으로, 흡입패널이 프론트패널과 일부 정위치로 장착되지 않더라도, 집진필터의 복수의 대응단자가 프론트패널의 복수의 단자 각각과 용이하게 접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When the dust collecting filter is disposed inside the lower case, it should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ase. A plurality of terminals are disposed in the case, and the dust collection filter includes a plurality of corresponding terminal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terminals,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terminals has a structure in which a lower end of the plurality of terminals moves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suction panel is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plurality of corresponding terminals of the dust collecting filter can easily contact each of the plurality of terminals of the front panel even if the front panel and the front panel are not partially mounted.

넷째, 흡입패널의 상측으로 배치되는 장착부재는, 집진필터가 배치되는 영역 이외의 영역을 커버하도록 배치되어, 흡입패널의 흡입구로 유입되는 공기가 집진필터를 통해 송풍팬으로 유동하여, 실내기로 유입되는 공기의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Fourth, the mounting member disposed above the suction panel is disposed to cover an area other than the area where the dust collection filter is disposed, so that the air flowing into the suction port of the suction panel flows to the blowing fan through the dust collection filter and flows into the indoor unit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effectively remove foreign substances in the air.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기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입패널이 케이스의 하측으로 이동한 상태의 일측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입패널이 프론트패널과 로어케이스의 하측으로 이동한 상태의 일측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입패널이 제거된 상태의 실내기의 저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필터가 흡입패널에 장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필터가 흡입패널에 장착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필터가 흡입패널에 장착된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필터와, 프리필터가 흡입패널로부터 인출되는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집진필터와, 프리필터가 제거된 상태의 흡입패널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필터가 케이스에 장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의 집진필터가 제거된 상태의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의 단자와 집진필터의 대응단자가 접촉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a와 도 14b는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의 단자와 집진필터의 대응단자가 접촉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로, 도 14a는 집진필터가 접촉되기 이전, 14b는 집진필터의 대응단자가 프레임의 단자와 접촉한 상태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내기의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indoo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ide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suction panel is moved to the lower side of the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ide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suction panel is moved to the lower side of the front panel and the lower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bottom view of the indoor unit in a state in which the suction panel is remov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dust collecting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he suction panel.
7 is a plan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dust collecting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he suction panel.
8 is a side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dust collecting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he suction panel.
9 is a perspective view of a dust collecting filter and a pre-filter being drawn out from a suction pa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ust collecting fil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uction panel in a state in which the pre-filter is removed.
11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he dust collecting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he case.
12 is a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dust collecting filter of FIG. 11 is removed.
13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he terminal of the frame and the corresponding terminal of the dust collecting filter are in conta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A and 14B are cross-sectional views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he terminal of the frame and the corresponding terminal of the dust collecting filter are in conta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rresponding terminal of the filter is in contact with the terminal of the frame.
15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door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who ha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이하, 첨부도면은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름과 같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도면들을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전체구성><Overall composition>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공기조화기의 실내기(1)는, 외형을 형성하고, 저면이 개구된 케이스(10, 12), 케이스(10, 12)의 개구된 저면을 커버하고, 하측으로 흡입구(62) 및 토출구(64)를 형성하는 프론트패널(60), 케이스(10, 12) 내부의 공기를 흡입구(62)에서 토출구(64)로 유동시키도록 케이스(10, 12) 내부에 배치되는 송풍팬(40), 송풍팬(40)을 회전시키는 팬모터(42), 흡입구(62)에서 토출구(64)로 유동하는 공기를 냉매와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44), 프론트패널(60)의 하측에 배치되고, 흡입구(82)를 형성하는 흡입패널(80), 흡입패널(80)의 상측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되고 흡입구(82)를 통해 케이스(10, 12)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프리필터(110), 및 흡입패널(80)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되고 흡입구(82)로 유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집진하여 공기를 여과하는 집진필터(100)를 포함한다. 1 to 2 , the indoor unit 1 of the air conditioner has an external shape, covers the cases 10 and 12 having an open bottom, and covers the open bottoms of the cases 10 and 12, and has a lower side. The front panel 60, which forms the intake port 62 and the discharge port 64 with the A blower fan 40 is disposed, a fan motor 42 that rotates the blower fan 40, a heat exchanger 44 that heats the air flowing from the inlet 62 to the outlet 64 with a refrigerant, and a front panel 60 ), the suction panel 80 forming the suction port 82, is detachably mounted on the upper side of the suction panel 80, and the air introduced into the case 10, 12 through the suction port 82 It includes a pre-filter 110 that filters out foreign substances, and a dust collection filter 100 that is detachably mounted on the suction panel 80 and filters the air by collecting foreign substances in the air flowing into the suction port 82 .

케이스(10, 12)의 하부에는, 하측방향으로 돌출되고, 집진필터(100)로 전원을 공급하거나, 접지를 제공하는 복수의 단자(26)가 배치된다. 집진필터(100)는, 흡입패널(80)이 프론트패널(60)에 장착될 때, 복수의 단자(26)에 전기적으로 접촉된다. 여기서, 흡입패널(80)이 프론트패널(60)에 장착될 때란, 흡입패널(80)의 상단부가 프론트패널(60)의 하단부와 접촉하여, 흡입패널(80)이 상측으로 더 이상 이동할 수 없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A plurality of terminals 26 protruding downwardly and supplying power to the dust collecting filter 100 or providing a ground are disposed at the lower portions of the cases 10 and 12 . The dust collecting filter 100 is in electrical contact with the plurality of terminals 26 when the suction panel 80 is mounted on the front panel 60 . Here, when the suction panel 80 is mounted on the front panel 60, the upper end of the suction panel 8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lower end of the front panel 60, so that the suction panel 80 cannot move upward any more. It can mean status.

공기조화기의 실내기(1)는, 프론트패널(60)의 하측에 배치되는 흡입패널(80)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승강장치(50)를 포함한다. 승강장치(50)는, 프론트패널(60) 상측에 고정배치되어, 흡입패널(80)을 하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승강장치(50)는, 프론트패널(60)의 상측에서 케이스(10, 12)에 고정배치될 수 있다. The indoor unit 1 of the air conditioner includes a lifting device 50 for vertically moving the suction panel 80 disposed below the front panel 60 . The lifting device 50 is fixedly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front panel 60 to move the suction panel 80 downward. The lifting device 50 may be fixedly disposed on the cases 10 and 12 from the upper side of the front panel 60 .

도 2를 참조하면, 승강장치(50)는, 승강모터(52), 승강기어(54), 및 승강와이어(56)를 포함하여, 흡입패널(80)을 프론트패널(60)의 하측으로 이동시키거나, 프론트패널(60)의 하측에 고정시킬 수 있다. 승강와이어(56)는, 흡입패널(80)에 연결되어, 흡입패널(80)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승강모터(52)와 승강기어(54)는, 프론트패널(60)에 고정되게 배치되어, 승강와이어(56)가 프론트패널(60) 하측으로 연장되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 the lifting device 50 includes the lifting motor 52 , the lifting gear 54 , and the lifting wire 56 , and moves the suction panel 80 to the lower side of the front panel 60 . Or it can be fixed to the lower side of the front panel (60). The lifting wire 56 is connected to the suction panel 80 to move the suction panel 80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elevating motor 52 and the elevating gear 54 are fixedly disposed on the front panel 60 , and the length of the elevating wire 56 extending downwardly of the front panel 60 can be adjusted.

케이스(10, 12)은 대략 사각박스의 형태를 가진다. 케이스(10, 12)은 내부에 송풍팬(40), 열교환기(44), 팬모터(42) 등이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하고, 저면이 개구된다. 케이스(10, 12)은 행거(미도시)를 통해 실내공간의 천장에 매달리게 설치될 수 있다. The cases 10 and 12 have the shape of an approximately square box. The cases 10 and 12 form a space in which the blowing fan 40, the heat exchanger 44, the fan motor 42, etc. are disposed, and the bottom surface is opened. The cases 10 and 12 may be installed to be suspended from the ceiling of the indoor space through a hanger (not shown).

도 2를 참조하면, 케이스(10, 12)은, 송풍팬(40)이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어퍼케이스(10)과 집진필터(100)가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로어케이스(12)을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어퍼케이스(10)과 로어케이스(12)은 별도의 구성으로 형성된다. 다만,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어퍼케이스(10)과 로어케이스(12)이 하나의 구성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Referring to FIG. 2 , the cases 10 and 12 include an upper case 10 forming a space in which the blowing fan 40 is disposed and a lower case 12 forming a space in which the dust collecting filter 100 is disposed. include Referring to FIG. 2 , the upper case 10 and the lower case 12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formed as separate components. However, this i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nd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upper case 10 and the lower case 12 are formed in one configuration.

어퍼케이스(10)에는, 송풍팬(40), 열교환기(44), 드레인팬(48)이 배치될 수 있다. 어퍼케이스(10)에는, 승강장치(50)와, 벨마우스(46)가 배치될 수 있다. 로어케이스(12)은, 어퍼케이스(10)의 하측에 배치된다. 로어케이스(12)은, 어퍼케이스(10)에 고정되게 배치될 수 있다. In the upper case 10 , a blowing fan 40 , a heat exchanger 44 , and a drain pan 48 may be disposed. In the upper case 10, the lifting device 50 and the bell mouth 46 may be disposed. The lower case 12 is disposed below the upper case 10 . The lower case 12 may be fixedly disposed to the upper case 10 .

로어케이스(12)의 구체적인 형상 및 배치는 이하에서 자세하게 설명한다. A specific shape and arrangement of the lower case 12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프론트패널(60)은 케이스(10, 12)의 개구된 저면을 커버하도록 배치된다. 프론트패널(60)은 실내의 바닥을 향해 배치된다. 프론트패널(60)에는 케이스(10, 12)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흡입구(62)와, 케이스(10, 12) 내부의 공기가 실내공간으로 빠져나가는 토출구(64)가 형성된다. The front panel 60 is disposed to cover the open bottom surfaces of the cases 10 and 12 . The front panel 60 is disposed toward the floor of the room. The front panel 60 has an intake port 62 through which air is introduced into the cases 10 and 12 and a discharge port 64 through which air inside the cases 10 and 12 exits into the indoor space.

흡입구(62)는 프론트패널(60)의 중앙에 배치되고, 토출구(64)는 흡입구(62)의 둘레측에 흡입구(62)로부터 이격배치된다. 프론트패널(60)에는 1개의 흡입구(62)가 형성되고, 4개의 토출구(64)가 형성된다. 다만, 이는 하나의 실시예로써, 1개의 흡입구(62)가 형성되고, 1개 또는 2개이상의 토출구가 배치될 수 있다. 토출구(64)는 흡입구(62)의 가장자리를 따라 긴 슬릿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The suction port 62 is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front panel 60 , and the discharge port 64 is disposed on the peripheral side of the suction port 62 to be spaced apart from the suction port 62 . One suction port 62 is formed in the front panel 60 , and four discharge ports 64 are formed. However, this is one embodiment, and one suction port 62 may be formed, and one or two or more discharge ports may be disposed. The discharge port 64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long slit along the edge of the suction port 62 .

프론트패널(60)에 형성되는 토출구(64)에는,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는 베인(66)이 배치된다. 베인(66)은, 토출구(64)를 개폐하거나, 토출구(64)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할 수 있다. A vane 66 for controlling a wind direction of the discharged air is disposed at the discharge port 64 formed in the front panel 60 . The vane 66 may open or close the discharge port 64 or adjust the wind direction of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64 .

도 5를 참조하면, 프론트패널(60)에는, 상측으로 이동하는 흡입패널(80)이 프론트패널(60)에 정위치로 배치되도록 안내하는 코너벽(68)이 배치된다. 여기서, 흡입패널(80)이 프론트패널(60)의 정위치로 장착된다는 것은, 이하에서 설명할 흡입패널(80)에 형성되는 4개의 가이드블럭(86)이 프론트패널(60)에 형성되는 4개의 코너벽(68)을 따라 상승하여, 흡입패널(80)이 프론트패널(60)에 고정되게 배치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 a corner wall 68 is disposed on the front panel 60 , which guides the suction panel 80 moving upward to be disposed on the front panel 60 in a fixed position. Here, the fact that the suction panel 80 is mounted in the correct position of the front panel 60 means that four guide blocks 86 formed on the suction panel 80,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are formed on the front panel 60. It rises along the corner wall 68 of the dog, which may mean that the suction panel 80 is fixedly disposed on the front panel 60 .

코너벽(68)은, 흡입패널(80)에 배치되는 가이드블럭(86)과 접촉하여, 흡입패널(80)이 프론트패널(60)의 정위치에 배치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코너벽(68)은, 프론트패널(60)에서 사각형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면에서 모서리부분이 공간을 의미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해당공간은 사각형의 테두리를 가지므로, 4개의 코너벽(68)이 형성될 수 있다. The corner wall 68 may be in contact with the guide block 86 disposed on the suction panel 80 , and may guide the suction panel 80 to be disposed at the proper position of the front panel 60 . Referring to FIG. 5 , in the corner wall 68 , the corner portion of the front panel 60 may mean a space on the side that forms a rectangular border. Referring to FIG. 5 , since the corresponding space has a rectangular border, four corner walls 68 may be formed.

프론트패널(60)의 일측에는 흡입패널(80)이 프론트패널(60)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는 자력부(70)를 포함할 수 있다. 자력부(70)는, 프론트패널(60)의 코너벽(68)의 외측으로 배치된다. One side of the front panel 60 may include a magnetic force unit 70 for maintaining a state in which the suction panel 8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panel 60 . The magnetic force portion 70 is disposed outside the corner wall 68 of the front panel 60 .

흡입패널(80)은, 프론트패널(60)의 흡입구(62)를 커버하도록 배치된다. 흡입패널(80)은, 승강장치(50)에 연결되어 프론트패널(60)의 하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The suction panel 80 is disposed to cover the suction port 62 of the front panel 60 . The suction panel 80 is connected to the lifting device 50 to move downward of the front panel 60 .

도 1을 참조하면, 흡입패널(80)의 흡입구(82)에는 격자형태로 형성된 복수의 그릴(84)이 배치되고, 복수의 그릴(84) 사이로 사각형상의 복수의 그릴홀이 형성된다. Referring to FIG. 1 , a plurality of grills 84 formed in a grid shape are disposed at the suction port 82 of the suction panel 80 , and a plurality of rectangular grill holes are formed between the plurality of grills 84 .

흡입패널(80)의 상측에는, 프리필터(110)와 집진필터(100)가 장착된 상태를 고정하는 장착부재(mount, 90)가 배치될 수 있다. 장착부재(90)는, 흡입패널(80)의 상측에 고정배치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장착부재(90)는, 흡입패널(80)과 별개의 구성으로 구분될 수 있다. 다만,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장착부재(90)가 흡입패널(80)의 상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On the upper side of the suction panel 80, a mounting member (mount, 90) for fixing the state in which the pre-filter 110 and the dust collecting filter 100 are mounted may be disposed. The mounting member 90 is fixedly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suction panel 80 . Referring to FIG. 6 , the mounting member 90 may be divided into a structure separate from the suction panel 80 . However, this i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nd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mounting member 90 is integrally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suction panel 80 .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흡입패널(80)에는, 프론트패널(60)의 코너벽(68) 내측으로 삽입되고, 흡입패널(80)이 프론트패널(60)의 정위치에 배치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블럭(86)이 배치된다. 가이드블럭(86)은, 대략 ‘ㄱ’자 형상을 가지고, 흡입패널(80)의 모서리 측에 배치된다. 가이드블럭(86)은, 흡입패널(80)이 상측으로 이동할 때, 프론트패널(60)의 코너벽(68)과 접촉하여, 흡입패널(80)이 프론트패널(60)의 정위치로 장착되게 할 수 있다. 6 to 7 , the suction panel 80 is inserted into the corner wall 68 of the front panel 60 , and guides the suction panel 80 to be placed in the correct position of the front panel 60 . A guide block 86 is disposed. The guide block 86 has an approximately 'L' shape and is disposed on the edge of the suction panel 80 . When the suction panel 80 moves upward, the guide block 86 comes into contact with the corner wall 68 of the front panel 60 so that the suction panel 80 is mounted in the correct position of the front panel 60 . can do.

가이드블럭(86)은, 코너벽(68)과 접촉되는 면의 상부가 내측으로 경사면(86a)을 형성할 수 있다. The guide block 86, the upper portion of th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corner wall 68 may form an inclined surface 86a inwardly.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흡입패널(80)에는, 흡입패널(80)이 프론트패널(60)의 정위치로 배치될 때, 흡입패널(80)을 프론트패널(60)로 밀착시키는 대응자력부(88)를 포함한다. 대응자력부(88)는, 프론트패널(60)에 배치되는 자력부(70)와 인력이 작용하여, 흡입패널(80)을 프론트패널(60)에 밀착시킬 수 있다. 6 to 7 , in the suction panel 80 , when the suction panel 80 is disposed in the original position of the front panel 60 , the suction panel 8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panel 60 . It includes a magnetic part 88 . The corresponding magnetic force unit 88 may have an attractive force with the magnetic force unit 70 disposed on the front panel 60 to bring the suction panel 80 into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panel 60 .

대응자력부(88)는, 가이드블럭(86)보다 외측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대응자력부(88)는, 복수의 가이드블럭(86) 각각이 배치되는 부분에서, 외측방향으로 이격되어, 흡입패널(80)에 배치된다. 여기서, 외측방향이란, 흡입패널(80)의 흡입구(82)가 형성되는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Corresponding magnetic force unit 88 is spaced apart from the guide block 86 in the outward direction. Corresponding magnetic force unit 88, a plurality of guide blocks 86, respectively, in a portion disposed, spaced apart in the outward direction, is disposed on the suction panel (80). Here, the outward direction may mean a direction away from the center in which the suction port 82 of the suction panel 80 is formed.

자력부(70)와 대응자력부(88) 중 하나는 영구자석으로 구성되고, 나머지 하나는 영구자석과 상호작용되어 인력을 형성하는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One of the magnetic force unit 70 and the corresponding magnetic force unit 88 may be formed of a permanent magnet, and the other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that interacts with the permanent magnet to form an attractive force.

도 10을 참조하면, 장착부재(90)는, 집진필터(100)가 장착되는 제1장착부(92)와, 제1장착부(92)의 하측으로 프리필터(110)가 장착되는 제2장착부(96)를 포함한다. 장착부재(90)는, 제2장착부(96)의 상측에 배치되고, 집진필터(100)가 장착되는 제1장착부(92)의 일측을 커버하는 커버부(99)를 포함한다. 커버부(99)는, 흡입구(82)로 유동하는 공기가 제1장착부(92)에 배치되는 집진필터(100)로 유동하도록, 제1장착부(92) 이외의 영역을 폐쇄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0 , the mounting member 90 includes a first mounting part 92 to which the dust collecting filter 100 is mounted, and a second mounting part to which the pre-filter 110 is mounted to the lower side of the first mounting part 92 ( 96). The mounting member 90 is disposed above the second mounting unit 96 and includes a cover unit 99 covering one side of the first mounting unit 92 to which the dust collecting filter 100 is mounted. The cover part 99 may close an area other than the first mounting part 92 so that the air flowing through the inlet 82 flows to the dust collecting filter 100 disposed in the first mounting part 92 .

도 10을 참조하면, 제1장착부(92)는, 흡입패널(80)의 흡입구 상하방향으로 개구되고, 집진필터(100)가 장착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제1장착부(92)는, 집진필터(100)의 일측과 체결되는 제1체결부(93)와, 집진필터(100)의 타측과 체결되는 제2체결부(94)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0 , the first mounting part 92 is open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suction port of the suction panel 80 , and forms a space in which the dust collecting filter 100 is mounted. The first mounting part 92 includes a first fastening part 93 fastened to one side of the dust collecting filter 100 and a second fastening part 94 fastened to the other side of the dust collecting filter 100 .

도 9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제1체결부(93)는, 후크형상을 가진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제1체결부(93)는, 집진필터(100)의 제1홈(109a)에 삽입되어, 집진필터(100)의 일측을 고정할 수 있다. 제2체결부(94)는, 제1체결부(93)의 반대측에 배치되어, 집진필터(100)의 타측을 고정할 수 있다. 제2체결부(94)는, 집진필터(100)의 상단부에 접촉되어, 집진필터(100)의 타측을 고정할 수 있다. 9 to 10 , the first fastening part 93 may be provided with a pair having a hook shape. The first fastening part 93 may be inserted into the first groove 109a of the dust collecting filter 100 to fix one side of the dust collecting filter 100 . The second fastening part 94 may be dispos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first fastening part 93 to fix the other side of the dust collecting filter 100 . The second fastening part 94 may be in contact with the upper end of the dust collecting filter 100 to fix the other side of the dust collecting filter 100 .

제2체결부(94)는, 집진필터(100)에 형성되는 손잡이홀(109b)으로 삽입되고, 집진필터(100)의 상단면에 접촉하는 후크형상을 가질 수 있다. 집진필터(100)의 구체적인 구조 및 형상은 이하에서 설명한다. The second fastening part 94 may have a hook shape that is inserted into the handle hole 109b formed in the dust collecting filter 100 and contacts the top surface of the dust collecting filter 100 . The specific structure and shape of the dust collecting filter 100 will be described below.

도 10을 참조하면, 제2장착부(96)는, 제1장착부(92)의 하측으로 프리필터(110)가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제2장착부(96)는, 장착부재(90)의 일측에 프리필터(110)가 삽입되는 인서트홀(97)이 형성된다. 인서트홀(97)은, 프리필터(110)가 배치되는 공간으로 연통된다. 따라서, 프리필터(110)는, 인서트홀(97)을 통해 제2장착부(96)의 공간으로 삽입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0 , the second mounting part 96 forms a space in which the pre-filter 110 is disposed below the first mounting part 92 . In the second mounting part 96 , an insert hole 97 into which the pre-filter 110 is inserted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mounting member 90 . The insert hole 97 communicates with a space in which the pre-filter 110 is disposed. Accordingly, the pre-filter 110 may be inserted into the space of the second mounting part 96 through the insert hole 97 .

프리필터(110)는, 제2장착부(96)의 인서트홀(97)을 통해, 슬라이드방식으로 삽입되어, 제2장착부(96)에 장착될 수 있다. The pre-filter 110 may be inserted through the insert hole 97 of the second mounting unit 96 in a slide manner and mounted on the second mounting unit 96 .

제2장착부(96)는, 제1장착부(92)의 하측에 배치된다. 따라서, 흡입구(82)를 통과한 공기는, 프리필터(110)를 거쳐, 집진필터(100)를 통과할 수 있다. The second mounting portion 96 is disposed below the first mounting portion 92 . Accordingly, the air passing through the suction port 82 may pass through the pre-filter 110 and the dust collecting filter 100 .

도 9를 참조하면, 프리필터(110)는, 흡입구(82)로 유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걸러내도록 흡입패널(8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프리필터(110)는, 메쉬형의 그물눈 사이로 공기가 통과되면서 공기 중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메쉬필터를 사용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9 , the pre-filter 110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suction panel 80 to filter out foreign substances in the air introduced into the suction port 82 . The pre-filter 110 may use a mesh filter that filters foreign substances in the air while air passes through the mesh-type meshes.

제2장착부(96)는, 프리필터(110)의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하거나, 흡입패널(80) 상측에 고정시킬 수 있다. The second mounting part 96 may guide the sliding movement of the pre-filter 110 or may be fixed to the upper side of the suction panel 80 .

도 2를 참조하면, 송풍팬(40)은 케이스(10, 12) 내측에 배치되어, 케이스(10, 12) 내측의 공기유동을 형성한다. 송풍팬(40)은 흡입구(62)의 상측에 배치된다. 송풍팬(40)은 중앙으로 공기를 흡입하고 원주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원심송풍팬을 사용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 the blowing fan 40 is disposed inside the cases 10 and 12 to form an air flow inside the cases 10 and 12 . The blowing fan 40 is disposed above the suction port 62 . The blower fan 40 may use a centrifugal blower fan that sucks air in the center and discharges air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팬모터(42)는 케이스(10, 12)의 상측에 고정되어, 하측으로 연결되는 송풍팬(40)을 회전시킨다. The fan motor 42 is fixed to the upper side of the cases 10 and 12, and rotates the blowing fan 40 connected to the lower side.

공기조화기의 실내기(1)는 흡입구(82)에서 유입된 공기를 송풍팬(40)으로 안내하는 벨마우스(46)를 포함한다. 벨마우스(46)는 흡입패널(80)과 송풍팬(40) 사이에 배치된다. The indoor unit 1 of the air conditioner includes a bell mouth 46 for guiding the air introduced from the inlet 82 to the blowing fan 40 . The bell mouth 46 is disposed between the suction panel 80 and the blowing fan 40 .

도 2를 참조하면, 열교환기(44)는 송풍팬(40)의 둘레로 배치된다. 열교환기(44)는 흡입구(62)에서 토출구(64)로 유동하는 공기를 냉매와 열교환한다. 열교환기(44)는 케이스(10, 12) 내부를 송풍팬(40)이 배치되는 내측과 케이스(10, 12)의 둘레면 사이에 형성되는 외측으로 구분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 the heat exchanger 44 is disposed around the blowing fan 40 . The heat exchanger 44 heats the air flowing from the inlet 62 to the outlet 64 with the refrigerant. The heat exchanger 44 may divide the inside of the cases 10 and 12 into an inside where the blower fan 40 is disposed and an outside formed between the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cases 10 and 12 .

열교환기(44)의 내측에는 송풍팬(40)이 배치된다. 열교환기(44)의 외측에는 토출구(64)로 공기가 유동하는 토출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열교환기(44)는 상측 또는 하측에서 바라볼 때, 대략적으로 사각형의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A blower fan 40 is disposed inside the heat exchanger 44 . A discharge passage through which air flows to the discharge port 64 may be formed outside the heat exchanger 44 . The heat exchanger 44 may be dispos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when viewed from the upper side or the lower side.

도 2를 참조하면, 케이스(10, 12) 내부에는 열교환기(44)에서 생성되는 응축수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드레인팬(48)과, 드레인팬(48)에 모인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드레인펌프(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 inside the cases 10 and 12 , there is a drain pan 48 for temporarily storing condensed water generated by the heat exchanger 44 , and a drain pump for discharging the condensed water collected in the drain pan 48 to the outside. (not shown) may be disposed.

드레인팬(48)은 열교환기(44)에 거치될 수 있다. 드레인팬(48)은 열교환기(44)에서 흘러내린 응축수를 한쪽으로 모아 저장하기 위해 방향성을 갖는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드레인펌프는 케이스(10, 12)의 내측에 고정배치될 수 있다.The drain pan 48 may be mounted on the heat exchanger 44 . The drain pan 48 may have a directional inclined surface to collect and store the condensed water flowing down from the heat exchanger 44 to one side. The drain pump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fixedly disposed inside the cases 10 and 12 .

도 5를 참조하면, 공기조화기의 실내기(1)에는 전자소자들이 내부에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컨트롤박스(58)를 포함한다. 컨트롤박스(58)는 전자소자들이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것으로, 송풍팬(40)을 회전시키는 팬모터(42)의 구동을 조절하거나, 베인(66)의 배치 및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각종 전자소자들이 배치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 the indoor unit 1 of the air conditioner includes a control box 58 that forms a space in which electronic devices are disposed. The control box 58 forms a space in which electronic elements are disposed, and various electronic devices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fan motor 42 that rotates the blower fan 40 or for adjusting the arrangement and angle of the vane 66 . Elements may be placed.

공기조화기의 실내기(1)에는, 흡입패널(80)의 흡입구(82)로 유입되는 공기를 고전압을 통해 이온화하는 확산대전장치(30)를 포함한다. 확산대전장치(30)는, 고전압을 인가받아 흡입된 공기에 이온을 분사하는 방식으로 이물질을 대전시킨다.The indoor unit 1 of the air conditioner includes a diffusion charging device 30 that ionizes air flowing into the suction port 82 of the suction panel 80 through a high voltage. The diffusion charging device 30 receives a high voltage and charges the foreign material by spraying ions into the sucked air.

확산대전장치(30)는, 로어케이스(12)에 배치될 수 있다. 로어케이스(12)에는, 공기 중으로 고전압을 발생시키는 전극(32)이 삽입되는 복수의 전극홀더(34)가 배치될 수 있다. 전극(32)은, 파워서플라이어(미도시)로부터 고전압을 인가받아 코로나 방전현상에 의해 흡입패널(80)의 흡입구(82)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이온화할 수 있다.The diffusion charging device 30 may be disposed in the lower case 12 . In the lower case 12 , a plurality of electrode holders 34 into which electrodes 32 generating a high voltage into the air are inserted may be disposed. The electrode 32 may receive a high voltage from a power supply (not shown) to ionize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suction port 82 of the suction panel 80 by the corona discharge phenomenon.

<집진필터><Dust filter>

집진필터(100)는, 송풍팬(40)의 하측에 배치되어, 송풍팬(40)으로 유동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집진할 수 있다. 집진필터(100)는, 로어케이스(12)에 분리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집진필터(100)는, 흡입패널(80)의 흡입구(82)로 유입된 공기의 이물질을 집진할 수 있다. The dust collecting filter 100 may be disposed below the blowing fan 40 to collect foreign substances in the air flowing to the blowing fan 40 . The dust collecting filter 100 may be detachably disposed in the lower case 12 . The dust collecting filter 100 may collect foreign substances in the air introduced into the suction port 82 of the suction panel 80 .

집진필터(100)는, 확산대전장치(30)에 의해 대전된 이물질을 포집할 수 있다. The dust collecting filter 100 may collect foreign substances charged by the diffusion charging device 30 .

도 2를 참조하면, 집진필터(100)는, 이하에서 설명할 로어케이스(12)의 장착공간(20a)에 배치될 수 있다. 집진필터(100)는, 로어케이스(12)의 장착공간(20a)에 고정배치될 수 있다. 집진필터(100)는, 로어케이스(12)의 장착공간(20a)에 배치될 때, 로어케이스(12)에 배치되는 복수의 단자(26) 각각에 접촉하게 배치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 the dust collecting filter 100 may be disposed in the mounting space 20a of the lower case 12 to be described below. The dust collecting filter 100 may be fixedly disposed in the mounting space 20a of the lower case 12 . When the dust collecting filter 100 is disposed in the mounting space 20a of the lower case 12 , it may be disposed in contact with each of the plurality of terminals 26 disposed in the lower case 12 .

도 2를 참조하면, 집진필터(100)는, 상하방향으로 개구홀을 형성하고 내측에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102), 하우징(102)의 내측공간에 배치되고, 유입되는 공기를 집진하는 집진부(106)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2 , the dust collecting filter 100 includes a housing 102 that forms an opening hole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forms a space therein, is disposed in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102, and collects the incoming air. (106).

도 6을 참조하면, 하우징(102)에는, 장착부재(90)의 한 쌍의 제1체결부(93)의 단부가 삽입되는 제1체결홈(109a)이 형성된다. 한 쌍의 제1체결부(93)는, 하우징(102)의 제1체결홈(109a)에 삽입되어, 하우징(102)의 일측을 고정할 수 있다. 하우징(102)에는, 장착부재(90)의 제2체결부(94)가 삽입되는 손잡이홀(109b)이 형성된다. 손잡이홀(109b)은, 집진필터(100)가 흡입패널(80)로부터 분리되었을 때, 사용자가 손잡이로 사용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 a first fastening groove 109a into which the ends of the pair of first fastening parts 93 of the mounting member 90 are inserted is formed in the housing 102 . The pair of first fastening parts 93 may be inserted into the first fastening groove 109a of the housing 102 to fix one side of the housing 102 . A handle hole 109b into which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94 of the mounting member 90 is inserted is formed in the housing 102 . The handle hole 109b may be used by a user as a handle when the dust collecting filter 100 is separated from the suction panel 80 .

제2체결부(94)는, 손잡이홀(109b)을 통해 삽입되고, 하우징(102)의 상단부에 걸려, 집진필터(100)를 장착부재(90)에 고정시킬 수 있다. The second fastening part 94 may be inserted through the handle hole 109b and hooked on the upper end of the housing 102 to fix the dust collecting filter 100 to the mounting member 90 .

도 6을 참조하면, 하우징(102)은, 대략 사각형의 판형상을 가지고, 상측과 하측으로 개구홀이 형성된다. 하우징(102)은, 내부에 집진부(106)가 배치되는 수용공간(104)을 형성한다. 하우징(102)에는, 집진부(106)와 연결되고, 로어케이스(12)에 형성되는 복수의 단자(26)와 접촉하는 복수의 대응단자(108a, 108b) 배치된다. Referring to FIG. 6 , the housing 102 has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late shape, and opening holes are formed at upper and lower sides. The housing 102 forms an accommodating space 104 in which the dust collecting part 106 is disposed. A plurality of corresponding terminals 108a and 108b connected to the dust collecting unit 106 and in contact with the plurality of terminals 26 formed in the lower case 12 are disposed in the housing 102 .

복수의 대응단자(108a, 108b)는, 하우징(102)의 상측면에 배치된다. 복수의 대응단자(108a, 108b)는, 흡입패널(80)이 프론트패널(60)에 장착될 때, 로어케이스(12)에 배치되는 복수의 단자(26)와 접촉할 수 있다. 여기서, ‘흡입패널(80)이 프론트패널(60)에 장착될 때’란, 승강장치(50)에 의해 흡입패널(80)이 상측으로 이동하여, 프론트패널(60)에 접촉되어, 더 이상 상측으로 이동할 수 없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흡입패널(80)이 프론트패널(60)에 장착될 때, 흡입패널(80)이 프론트패널(60)의 흡입구(62)를 커버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corresponding terminals 108a and 108b ar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102 . The plurality of corresponding terminals 108a and 108b may contact the plurality of terminals 26 disposed on the lower case 12 when the suction panel 80 is mounted on the front panel 60 . Here, 'when the suction panel 80 is mounted on the front panel 60' means that the suction panel 80 is moved upward by the lifting device 50 and comes into contact with the front panel 60, and is no longer It may mean a state in which it cannot move upwards. When the suction panel 80 is mounted on the front panel 60 , the suction panel 80 may cover the suction port 62 of the front panel 60 .

도 7을 참조하면, 복수의 대응단자(108a, 108b)는, 하우징(102)의 상측면에서 서로 이격배치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 the plurality of corresponding terminals 108a and 108b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102 .

복수의 대응단자(108a, 108b)는, 로어케이스(12)에 배치되는 전원단자(26b)와 접촉하는 전원대응단자(108a)와, 로어케이스(12)의 접지단자(26a)에 접촉하는 접지대응단자(108b)를 포함한다. The plurality of corresponding terminals 108a and 108b includes a power source corresponding terminal 108a in contact with a power supply terminal 26b disposed on the lower case 12 and a ground contacting a ground terminal 26a of the lower case 12 . A corresponding terminal 108b is included.

집진필터(100)의 일측에는, 공기 중의 냄새를 제거하는 탈취필터(112)가 배치된다. 탈취필터(112)는, 하우징(102)에 고정배치되어, 흡입구(82)로 유입되는 공기 중의 냄새를 제거할 수 있다. A deodorizing filter 112 for removing odors in the air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dust collecting filter 100 . The deodorizing filter 112 may be fixedly disposed on the housing 102 to remove odors in the air flowing into the suction port 82 .

<로어케이스><Lower case>

도 2를 참조하면, 로어케이스(12)은, 흡입패널(80)과 케이스(10, 12) 사이에 배치되고, 송풍팬(40)과 흡입패널(80) 사이로 간격을 형성한다. 로어케이스(12)은, 어퍼케이스(10)과 프론트패널(60) 사이에 배치된다. 로어케이스(12)에는, 내측으로 상하방향으로 개구된 흡입유로(14)와 토출유로(16)가 형성된다. 로어케이스(12)은, 흡입패널(80)과 송풍팬(40) 사이로 집진필터(100)가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Referring to FIG. 2 , the lower case 12 is disposed between the suction panel 80 and the cases 10 and 12 , and forms a gap between the blower fan 40 and the suction panel 80 . The lower case 12 is disposed between the upper case 10 and the front panel 60 . In the lower case 12 , a suction passage 14 and a discharge passage 16 that are open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re formed. The lower case 12 forms a space in which the dust collecting filter 100 is disposed between the suction panel 80 and the blowing fan 40 .

도 12을 참조하면, 로어케이스(12)에는, 흡입패널(80)이 프론트패널(60)에 장착될 때, 집진필터(100)가 배치되는 장착공간(20a)을 형성한다. 장착공간(20a)은, 로어케이스(12)의 흡입유로(14)와 동일한 공간일 수 있다. 장착공간(20a)은, 송풍팬(40)과 흡입패널(80) 사이에서 형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2 , when the suction panel 80 is mounted to the front panel 60 , a mounting space 20a in which the dust collecting filter 100 is disposed is formed in the lower case 12 . The mounting space 20a may be the same space as the suction passage 14 of the lower case 12 . The mounting space 20a may be formed between the blowing fan 40 and the suction panel 80 .

도 12을 참조하면, 로어케이스(12)은, 흡입패널(80)에 형성되는 흡입구(82) 상측으로 흡입유로(14)를 형성하고, 프론트패널(60)의 토출구(64) 상측으로 토출유로(16)를 형성한다. 도 11를 참조하면, 로어케이스(12)의 내측에 형성되는 흡입유로(14) 상에는, 집진필터(100)가 장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프레임(20)이 배치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2 , the lower case 12 has a suction flow path 14 formed above the suction port 82 formed in the suction panel 80 , and the discharge flow path is formed above the discharge port 64 of the front panel 60 . (16) is formed. Referring to FIG. 11 , a frame 20 forming a space in which the dust collecting filter 100 is mounted may be disposed on the suction passage 14 formed inside the lower case 12 .

도 12를 참조하면, 프레임(20)은, 로어케이스(12)과 별개의 구조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로어케이스(12)과 프레임(20)이 하나의 구성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프레임(20)이 로어케이스(12)과 하나의 구성으로 형성되는 경우, 로어케이스(12)에 직접적으로, 집진필터(100)가 장착될 수 있고, 로어케이스(12)에 복수의 단자(26)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로어케이스(12)에 확산대전장치(30)가 배치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2 , the frame 20 may be formed of a structure separate from the lower case 12 . However, this i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nd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lower case 12 and the frame 20 are formed in one configuration. When the frame 20 is formed in one configuration with the lower case 12 , the dust collecting filter 100 may be mounted directly to the lower case 12 , and a plurality of terminals 26 to the lower case 12 . ) can be placed. In addition, the diffusion charging device 30 may be disposed in the lower case 12 .

도 12를 참조하면, 로어케이스(12)에 형성되는 흡입유로(14)에는, 흡입패널(80)이 프론트패널(60)에 장착될 때, 집진필터(100)가 배치되는 장착공간(20a)이 형성된다. Referring to FIG. 12 , in the suction passage 14 formed in the lower case 12 , when the suction panel 80 is mounted to the front panel 60 , a mounting space 20a in which the dust collecting filter 100 is disposed. this is formed

로어케이스(12)은, 프론트패널(60)과 어퍼케이스(10) 사이에 배치되고, 흡입구(82)를 통해 송풍팬(40)으로 공기가 유동하도록, 내측이 상하방향으로 개구된 장착공간(20a)을 형성한다. 집진필터(100)는, 로어케이스(12)의 장착공간(20a)에 배치되어, 송풍팬(40)으로 유동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The lower case 12 is disposed between the front panel 60 and the upper case 10, and a mounting space ( 20a) is formed. The dust collecting filter 100 is disposed in the mounting space 20a of the lower case 12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in the air flowing to the blowing fan 40 .

도 12를 참조하면, 프레임(20)은, 로어케이스(12)의 내측에 고정배치된다. 프레임(20)은, 집진필터(100)가 장착 및 고정되는 안착부(24)를 형성한다. 안착부(24)는, 프레임(20)의 하부면(22)에서 상측으로 절곡되어, 집진필터(100)가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Referring to FIG. 12 , the frame 20 is fixedly disposed inside the lower case 12 . The frame 20 forms a seating part 24 to which the dust collecting filter 100 is mounted and fixed. The seating part 24 is bent upward from the lower surface 22 of the frame 20 to form a space in which the dust collecting filter 100 is disposed.

프레임(20)은, 로어케이스(12)에 체결될 수 있다. 프레임(20)은, 로어케이스(12)의 장착공간(20a)에 고정배치된다. 장착공간(20a)이란, 로어케이스(12) 내측으로 형성되고, 집진필터(100)가 배치되는 공간으로, 프레임(20)의 내측에 형성되는 집진필터(100)가 장착되는 공간과 중첩될 수 있다. The frame 20 may be fastened to the lower case 12 . The frame 20 is fixedly disposed in the mounting space 20a of the lower case 12 . The mounting space 20a is a space formed inside the lower case 12 and in which the dust collecting filter 100 is disposed, and may overlap with the space in which the dust collecting filter 100 formed inside the frame 20 is mounted. there is.

프레임(20)은, 집진필터(100)를 통과한 공기가 송풍팬으로 유동하도록 상하방향이 개구될 수 있다. 프레임(20)에는, 집진필터(100)가 안착부(24)에 장착될 때, 집진필터(100)의 복수의 대응단자(108a, 108b)와 접촉하는 복수의 단자(26)가 배치된다. The frame 20 may be opened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dust collecting filter 100 flows to the blowing fan. A plurality of terminals 26 in contact with the plurality of corresponding terminals 108a and 108b of the dust collecting filter 100 are disposed on the frame 20 when the dust collecting filter 100 is mounted on the seating part 24 .

복수의 단자(26)는, 집진필터(100)가 프레임(20)와 접촉할 때, 집진필터(100)와 전기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terminals 26 may be in electrical contact with the dust collecting filter 100 when the dust collecting filter 100 is in contact with the frame 20 .

도 12를 참조하면, 프레임(20)에에 배치되는 복수의 단자(26)는 상하방향으로 형태가 변경 가능하게 배치된다. 단자(26)는, 하단부(29)의 배치가 상하방향으로 변경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2 , the plurality of terminals 26 disposed on the frame 20 are disposed so as to be changeable in shape in the vertical direction. As for the terminal 26 , the arrangement of the lower end 29 may be ch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따라서, 흡입패널(80)이 프론트패널(60)에 장착될 때, 집진필터(100)의 상측면이 비스듬하게 배치되더라도, 집진필터(100)의 복수의 대응단자(108a, 108b)가 프레임(20)의 복수의 단자(26) 각각에 접촉될 수 있다. Therefore, when the suction panel 80 is mounted on the front panel 60, even if the upper surface of the dust collecting filter 100 is disposed obliquely, the plurality of corresponding terminals 108a and 108b of the dust collecting filter 100 are connected to the frame ( 20) may be in contact with each of the plurality of terminals 26 .

도 13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단자(26)는, 프레임(20)에 고정배치되는 고정단자(28a)와, 고정단자(28a) 하측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이동단자(28c)와, 고정단자(28a)와 이동단자(28c) 사이에 배치되고, 이동단자(28c)를 향해 하측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28b)를 포함한다.13 to 14 , the terminal 26 includes a fixed terminal 28a fixedly disposed on the frame 20 and a movable terminal 28c disposed movably in the vertical direction below the fixed terminal 28a. and an elastic member (28b) disposed between the fixed terminal (28a) and the moving terminal (28c) and applying an elastic force in a downward direction toward the moving terminal (28c).

고정단자(28a)는, 일단이 별도의 체결부재(27)로 프레임(20)에 고정될 수 있다. 고정단자(28a)는 일측이 개구된 실린더형태를 가질 수 있다. 고정단자(28a)는, 개구부가 형성된 단부(28a1)가 내측으로 돌출된 팁(28a1)을 형성할 수 있다. 즉, 고정단자(28a)의 일측단부에 형성되는 팁(28a1)은, 이동단자(28c)의 일측방향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따라서, 팁(28a1)이 이동단자(28c)가 탄성부재(28b)에 의해 고정단자(28a) 외측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One end of the fixed terminal 28a may be fixed to the frame 20 by a separate fastening member 27 . The fixed terminal 28a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in which one side is opened. The fixed terminal 28a may form a tip 28a1 having an end portion 28a1 formed with an opening protruding inward. That is, the tip 28a1 formed at one end of the fixed terminal 28a may limit the movement of the movable terminal 28c in one direction. Accordingly, the tip 28a1 can prevent the movable terminal 28c from escaping to the outside of the fixed terminal 28a by the elastic member 28b.

이동단자(28c)는 고정단자(28a)의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이너고정단자(28c2)와, 적어도 일부가 고정단자(28a)의 외측공간에 배치되는 아우터고정단자(28c1)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우터고정단자(28c1)은, 이너고정단자(28c2)의 하측에 배치되고, 집진필터(100)의 대응단자(108a, 108b)와 접촉할 수 있다. 이너고정단자(28c2)는, 일측이 탄성부재(28b)와 접촉하게 배치된다. The movable terminal 28c may include an inner fixed terminal 28c2 disposed in the inner space of the fixed terminal 28a, and an outer fixed terminal 28c1, at least a portion of which is disposed in the outer space of the fixed terminal 28a. . The outer fixed terminal 28c1 is disposed below the inner fixed terminal 28c2 and may contact the corresponding terminals 108a and 108b of the dust collecting filter 100 . The inner fixing terminal 28c2 is disposed so that one side is in contact with the elastic member 28b.

이너고정단자(28c2)의 직경(28d2)은, 아우터고정단자(28c1)의 직경(28d1)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너고정단자(28c2)의 직경(28d2)은, 고정단자(28a)의 일측단부에 형성되는 팁(28a1)이 형성하는 공간의 직경(28d3)보다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이너고정단자(28c2)는, 고정단자(28a)의 외측으로 빠져나가지 못한다.The diameter 28d2 of the inner fixed terminal 28c2 is larger than the diameter 28d1 of the outer fixed terminal 28c1. The diameter 28d2 of the inner fixed terminal 28c2 is larger than the diameter 28d3 of the space formed by the tip 28a1 formed at one end of the fixed terminal 28a. Accordingly, the inner fixed terminal 28c2 cannot escape to the outside of the fixed terminal 28a.

이동단자(28c)의 하단부는, 탄성부재(28b)에 의해 배치가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별도의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 이동단자(28c)의 하단부(29)는 탄성부재(28b)에 의해 최하측의 위치로 배치된다. 또한, 집진필터(100)에 의해 가압되는 경우, 이동단자(28c)의 하단부는 탄성부재(28b)에 의해 탄성력이 가해지는 반대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The lower end of the movable terminal 28c may be changed in arrangement by the elastic member 28b. Therefore, when a separate external force is not applied, the lower end 29 of the moving terminal 28c is disposed at the lowermost position by the elastic member 28b. In addition, when pressurized by the dust collecting filter 100 , the lower end of the moving terminal 28c may move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which the elastic force is applied by the elastic member 28b.

도 14a 내지 도 14b를 참조하면, 복수의 대응단자(108a, 108b)는, 집진필터(100)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된다. 복수의 대응단자(108a, 108b) 각각은, 프레임(20)에 배치되는 단자(26a, 26b) 각각과 접촉하도록 상측으로 돌출된 접촉부(109c)와, 접촉부(109c)의 일단에서 하측방향으로 연장되며, 대응단자(108a, 108b)의 상하방향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리브(109b), 가이드리브(109b)의 하단에서 절곡되며, 대응단자(108a, 108b)의 상하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109a)를 포함한다.14A to 14B , the plurality of corresponding terminals 108a and 108b are movably disposed on the dust collecting filter 100 . Each of the plurality of corresponding terminals 108a and 108b has a contact portion 109c that protrudes upward to contact each of the terminals 26a and 26b disposed on the frame 20, and extends downward from one end of the contact portion 109c. and a guide rib 109b for guiding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corresponding terminals 108a and 108b, and a stopper 109a that is bent at the lower end of the guide rib 109b and restricts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corresponding terminals 108a and 108b ) is included.

집진필터(100)는, 대응단자(108a, 108b)의 상하방향 이동을 가이드하는 단자가이더(107)를 포함한다. 단자가이더(107)는, 상하방향으로 개구되어, 대응단자(108a, 108b)가 이동하는 단자홀(107h)을 형성한다. The dust collecting filter 100 includes a terminal guider 107 for guiding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corresponding terminals 108a and 108b. The terminal guider 107 is open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form a terminal hole 107h through which the corresponding terminals 108a and 108b move.

단자가이더(107)는, 대응단자(108a, 108b)의 하측방향 이동을 제한하도록 상측으로 돌출되어, 접촉부(109c)와 접촉하는 상측돌기(107b)와, 대응단자(108a, 108b)의 상측방향 이동을 제한하도록 하측으로 돌출되어 스토퍼(109a)와 접촉하는 하측돌기(107a)를 포함한다. The terminal guider 107 protrudes upward to limit the downward movement of the corresponding terminals 108a and 108b, and includes an upper protrusion 107b in contact with the contact portion 109c, and the corresponding terminals 108a and 108b in the upper direction. and a lower protrusion 107a protruding downward to limit movement and contacting the stopper 109a.

하측돌기(107a)의 하단으로부터 상측돌기(107b)의 상단까지의 길이(L1)는, 접촉부(109c)로부터 스토퍼(109a)까지의 길이(L2)보다 짧게 형성된다. 따라서, 대응단자(108a, 108b)가 하측돌기(107a) 또는 상측돌기(107b)로 접촉하는 범위까지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The length L1 from the lower end of the lower protrusion 107a to the upper end of the upper protrusion 107b is shorter than the length L2 from the contact portion 109c to the stopper 109a. Accordingly, the corresponding terminals 108a and 108b can move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the extent that they come into contact with the lower protrusion 107a or the upper protrusion 107b.

대응단자(108a, 108b)는, 외력이 가해지지 않을 때, 스토퍼(109a)가 하측돌기(107a)와 접촉하는 위치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대응단자(108a, 108b)는, 단자(26a, 26b)와 접촉할 때, 하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The corresponding terminals 108a and 108b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where the stopper 109a contacts the lower protrusion 107a when no external force is applied. Accordingly, the corresponding terminals 108a and 108b can move downward when in contact with the terminals 26a and 26b.

즉, 도 14a와 같이, 대응단자(108a, 108b)가 프레임(20)의 단자(26a, 26b)와 접촉하지 않을 때, 대응단자(108a, 108b)는, 스토퍼(109a)가 하측돌기(107a)의 하단과 접촉하는 위치로 배치될 수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 14A , when the corresponding terminals 108a and 108b do not come into contact with the terminals 26a and 26b of the frame 20, the corresponding terminals 108a and 108b, the stopper 109a and the lower protrusion 107a ) can be arranged in a position in contact with the lower end.

또한, 도 14b와 같이, 대응단자(108a, 108b)가 프레임(20)의 단자(26a, 26b)와 접촉할 때, 대응단자(108a, 108b)는, 상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Also, as shown in FIG. 14B , when the corresponding terminals 108a and 108b come into contact with the terminals 26a and 26b of the frame 20 , the corresponding terminals 108a and 108b may move upward.

도 12를 참조하면, 프레임(20)에는, 집진필터(100)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단자(26b)와, 집진필터(100)에 접지를 제공하는 접지단자(26a)가 배치될 수 있다. 프레임(20)에는 적어도 하나의 전원단자(26b)와 적어도 하나의 접지단자(26a)가 배치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2 , a power terminal 26b for supplying power to the dust collecting filter 100 and a ground terminal 26a for providing a ground to the dust collecting filter 100 may be disposed on the frame 20 . At least one power terminal 26b and at least one ground terminal 26a may be disposed on the frame 20 .

도 11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프레임(20)에는, 집진필터(100)가 배치되는 외측에서, 하측방향으로 돌출되는 확산대전장치(30)가 배치된다. 확산대전장치(30)의 전극(32)은, 흡입패널(80)이 프론트패널(60)의 정위치에 배치될 때, 집진필터(100)보다 하측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흡입패널(80)을 통해 집진필터(100)로 유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대전할 수 있다. 11 to 12 , the diffusion charging device 30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outside where the dust collecting filter 100 is disposed is disposed on the frame 20 . The electrode 32 of the diffusion charging device 30 is disposed below the dust collecting filter 100 when the suction panel 80 is disposed at a fixed position of the front panel 60 . Accordingly, foreign substances in the air flowing into the dust collecting filter 100 through the suction panel 80 can be charged.

도 12를 참조하면, 확산대전장치(30)는, 전극이 하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된다. 도 12를 참조하면, 확산대전장치(30)의 전극홀더(34)는, 프레임(20)의 안착부(24) 외측에 배치된다. 전극홀더(34)는, 안착부(24)가 형성되는 둘레면에서 하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집진필터(100)가 안착부(24)가 삽입되는 것을 가이드할 수 있다. 12, in the diffusion charging device 30, the electrode is formed to protrude downward. Referring to FIG. 12 , the electrode holder 34 of the diffusion charging device 30 is disposed outside the seating portion 24 of the frame 20 . The electrode holder 34 may protrude downward from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n which the seating part 24 is formed, so that the dust collecting filter 100 may guide the insertion of the seating part 24 .

확산대전장치(30)에 형성되는 전극(32)은, 집진필터(100)가 프레임(20)에 장착된 상태에서, 집진필터(100)보다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전극(32)은, 집진필터(100)가 프레임(20)에 장착된 상태에서, 집진필터(100)보다 흡입패널(80)의 하단부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The electrode 32 formed in the diffusion charging device 30 may be disposed below the dust collecting filter 100 while the dust collecting filter 100 is mounted on the frame 20 . The electrode 32 may be disposed closer to the lower end of the suction panel 80 than the dust collecting filter 100 in a state in which the dust collecting filter 100 is mounted on the frame 20 .

도 11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로어케이스(12)에는, 집진필터(100) 또는 송풍팬(40)의 작동을 조절하는 회로기판(미도시)이 배치되는 컨트롤박스(58)가 배치된다. 컨트롤박스(58)는, 로어케이스(12)에 형성되는 흡입유로(14)에 배치될 수 있다. 컨트롤박스(58)는, 프레임(20)의 일측에 배치된다. 컨트롤박스(58)는, 흡입패널(80)의 상측에 배치되는 장착부재(90)의 커버부(99)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컨트롤박스(58)와 커버부(99)의 배치는, 흡입패널(80)의 흡입구(82)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집진필터(100)가 배치되는 곳을 주로 통과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11 to 12 , in the lower case 12 , a control box 58 on which a circuit board (not shown)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dust collecting filter 100 or the blowing fan 40 is disposed is disposed. The control box 58 may be disposed in the suction passage 14 formed in the lower case 12 . The control box 58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frame 20 . The control box 58 may be disposed above the cover portion 99 of the mounting member 90 disposed above the suction panel 80 . The arrangement of the control box 58 and the cover part 99 may induce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suction port 82 of the suction panel 80 to mainly pass through the place where the dust collecting filter 100 is disposed.

<환기키트><Ventilation kit>

도 15를 참조하면, 어퍼케이스(10)와 로어케이스(12)의 일측에는, 외부공기가 유입되도록 덕트(미도시)와 연결되는 환기키트(114)가 배치될 수 있다. 환기키트(114)는, 어퍼케이스(10)와 로어케이스(12)의 일측에 배치된다. 환기키트(114)는, 외부에서 유입된 공기를 송풍팬으로 보낼 수 있다. 로어케이스(12)에는, 환기키트(114)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송풍팬(40)으로 유동시키도록 내부에 흡입유로(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5 , on one side of the upper case 10 and the lower case 12, a ventilation kit 114 connected to a duct (not shown) to introduce external air may be disposed. The ventilation kit 114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upper case 10 and the lower case 12 . The ventilation kit 114 may send air introduced from the outside to the blowing fan. In the lower case 12 , a suction passage (not shown) may be formed therein to flow the air flowing in from the ventilation kit 114 to the blowing fan 40 .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In the abov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laimed in the claims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and these modific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perspec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1 : 실내기 10 : 어퍼케이스
12 : 로어케이스 14 : 흡입유로
16 : 토출유로 20 : 프레임
24 : 안착부 26a : 접지단자
26b : 전원단자 28a : 고정단자
28b : 탄성부재 28c : 이동단자
29 : 하단부 30 : 확산대전장치
32 : 전극 34 : 전극홀더
40 : 송풍팬 42 : 팬모터
44 : 열교환기 46 : 벨마우스
48 : 드레인팬 50 : 승강장치
58 : 컨트롤박스 60 : 프론트패널
64 : 토출구 66 : 베인
68 : 코너벽 70 : 자력부
80 : 흡입패널 86 : 가이드블럭
88 : 대응자력부 90 : 장착부재
92 : 제1장착부 93 : 제1체결부
94 : 제2체결부 96 : 제2장착부
97 : 인서트홀 99 : 커버부
100 : 집진필터 102 : 하우징
108a, 108b : 복수의 대응단자 110 : 프리필터
112 : 탈취필터 114 : 환기키트
1: indoor unit 10: upper case
12: lower case 14: suction flow path
16: discharge flow path 20: frame
24: seating portion 26a: ground terminal
26b: power terminal 28a: fixed terminal
28b: elastic member 28c: mobile terminal
29: lower part 30: diffusion charging device
32: electrode 34: electrode holder
40: blowing fan 42: fan motor
44: heat exchanger 46: bell mouse
48: drain pan 50: elevating device
58: control box 60: front panel
64: outlet 66: vane
68: corner wall 70: magnetic part
80: suction panel 86: guide block
88: corresponding magnetic force part 90: mounting member
92: first mounting part 93: first fastening part
94: second fastening part 96: second mounting part
97: insert hole 99: cover part
100: dust collection filter 102: housing
108a, 108b: a plurality of corresponding terminals 110: pre-filter
112: deodorization filter 114: ventilation kit

Claims (18)

외형을 형성하고, 하측이 개방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 하측에 배치되고, 상하방향으로 개구된 흡입구와, 상기 흡입구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하방향으로 개구된 토출구를 형성하는 프론트패널;
상기 케이스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구에서 상기 토출구로 공기유동을 형성하는 송풍팬;
상기 송풍팬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토출구로 유동하는 공기를 열교환하는 열교환기;
상기 프론트패널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구를 커버하는 흡입패널;
상기 케이스 내측에 고정배치되고, 상기 흡입패널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승강장치; 및
상기 흡입패널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흡입구로 유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집진하여 공기를 여과하는 집진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는, 하측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집진필터로 전원을 공급하거나, 접지를 제공하는 복수의 단자가 배치되고,
상기 집진필터는, 상기 흡입패널이 상기 프론트패널에 장착될 때, 상기 복수의 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촉되고,
상기 복수의 단자 각각은,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는 고정단자;
상기 고정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고정단자 하측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이동단자; 및
상기 고정단자와 상기 이동단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이동단자를 향해 하측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Forming an external shape, the lower side is open case;
a front panel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case and having a suction port opened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 discharge port disposed at one side of the suction port and opened in a vertical direction;
a blowing fan disposed inside the case and forming an air flow from the inlet to the outlet;
a heat exchanger disposed on one side of the blowing fan to exchange heat with air flowing through the outlet;
a suction panel disposed under the front panel and covering the suction port;
a lifting device that is fixedly disposed inside the case and moves the suction panel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nd a dust collecting filter detachably mounted on the suction panel and filtering the air by collecting foreign substances in the air flowing into the suction port,
A plurality of terminals protruding downwardly and supplying power to the dust collecting filter or providing a ground are dispos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case,
The dust collecting filter is in electrical contact with the plurality of terminals when the suction panel is mounted on the front panel,
Each of the plurality of terminals,
a fixed terminal fixed to the case;
a moving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xed terminal and arranged to be mov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below the fixed terminal; and
and an elastic member disposed between the fixed terminal and the movable terminal to apply an elastic force in a downward direction toward the movable termin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자 각각은, 하단부가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The method of claim 1,
An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wherein each of the plurality of terminals has a lower end disposed to be movable in a vertical direction.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단자는 일측이 개구된 실린더형태를 가지고, 상기 이동단자의 일측방향 이동을 제한하도록 일측이 개구된 단부가 내측으로 돌출된 팁을 형성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fixed terminal has a cylindrical shape with one open side, and an end of the movable terminal with one side open to limit movement in one direction is formed with a tip protruding inward.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단자는 상기 고정단자의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이너고정단자와, 적어도 일부가 상기 고정단자의 외측공간에 배치되는 아우터고정단자을 포함하고,
상기 이너고정단자의 직경은, 상기 고정단자의 일측단부에서 형성되는 상기 팁이 형성하는 공간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5. The method of claim 4,
The mobile terminal includes an inner fixed terminal disposed in an inner space of the fixed terminal, and an outer fixed terminal, at least a portion of which is disposed in an outer space of the fixed terminal,
The inner fixed terminal has a diameter larger than a diameter of a space formed by the tip formed at one end of the fixed termin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패널에는, 상기 흡입패널이 상측으로 이동할 때, 상기 집진필터가 상기 복수의 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정위치로 안내하는 가이드블럭이 배치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is provided with a guide block disposed on the suction panel to guide the dust collecting filter to a fixed position in which the dust collecting filter is in electrical contact with the plurality of terminals when the suction panel moves upward.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패널에는, 상측으로 이동하는 상기 흡입패널이 상기 프론트패널에 정위치로 배치되도록 안내하는 코너벽이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블럭은, 상기 코너벽과 접촉하여, 상기 흡입패널이 상기 프론트패널의 정위치로 배치되도록 가이드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7. The method of claim 6,
A corner wall is disposed on the front panel to guide the suction panel moving upward to be placed in a fixed position on the front panel;
The guide block is in contact with the corner wall, and guides the suction panel to be disposed at a proper position of the front pane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송풍팬이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어퍼케이스와;
상기 어퍼케이스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송풍팬과 상기 흡입패널 사이로 상기 집진필터가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로어케이스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case is:
an upper case forming a space in which the blowing fan is disposed;
and a lower case disposed under the upper case and forming a space in which the dust collecting filter is disposed between the blowing fan and the suction panel.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로어케이스에는, 상기 프론트패널의 상기 흡입구 상측으로 형성되고, 상기 흡입구로부터 유동하는 공기를 상기 송풍팬으로 안내하는 흡입유로와, 상기 프론트패널의 상기 토출구 상측으로 형성되고, 상기 송풍팬으로부터 토출되는 공기를 상기 토출구로 안내하는 토출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흡입패널이 상기 프론트패널에 장착될 때, 상기 집진필터는 상기 로어케이스의 상기 흡입유로 상에 배치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9. The method of claim 8,
In the lower case, a suction passage is formed above the intake port of the front panel and guides air flowing from the intake port to the blowing fan, and is formed above the discharge port of the front panel, and is discharged from the blowing fan. A discharge flow path for guiding air to the discharge port is formed,
When the suction panel is mounted on the front panel, the dust collecting filter is disposed on the suction passage of the lower case.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로어케이스의 내측에 형성되는 상기 흡입유로 상에는, 상기 집진필터가 장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프레임이 배치되고,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집진필터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복수의 단자가 배치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10. The method of claim 9,
A frame forming a space in which the dust collecting filter is mounted is disposed on the suction passage formed inside the lower case,
An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having a plurality of terminals in electrical contact with the dust collecting filter disposed on the frame.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배치되고, 전극으로 고전압을 발생시켜, 상기 흡입패널의 상기 흡입구로 유입되는 공기를 이온화하는 확산대전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전극은, 상기 흡입패널이 상기 프론트패널에 장착될 때, 상기 집진필터보다 하측으로 배치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11. The method of claim 10,
and a diffusion charging devic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frame and generating a high voltage with an electrode to ionize the air flowing into the suction port of the suction panel,
The electrode is an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that is disposed below the dust collecting filter when the suction panel is mounted on the front panel.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대전장치는,
성가 복수의 전극과;
상기 복수의 전극 각각이 삽입되는 복수의 전극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전극홀더는, 상기 프레임에 상기 집진필터가 장착되도록 형성되는 안착부의 둘레면에서 하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집진필터가 상기 안착부가 삽입되는 것을 가이드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diffusion charging device,
a plurality of electrodes;
and a plurality of electrode holders into which each of the plurality of electrodes is inserted,
The plurality of electrode holders protrude downwardly from a circumferential surface of a seating part formed to mount the dust collecting filter on the frame, and guide the insertion of the dust collecting filter into the seating par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패널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흡입구를 통해 상기 케이스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프리필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집진필터는, 상기 프리필터의 상측에서, 상기 흡입패널에 분리가능하게 배치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pre-filter detachably mounted on the suction panel and filtering out foreign substances in the air flowing into the case through the suction port,
The dust collecting filter is an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that is detachably disposed on the suction panel above the pre-filter.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패널의 상측에는, 상기 프리필터와 상기 집진필터가 배치되는 공간을 마련하는 장착부재가 배치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14. The method of claim 13,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having a mounting member disposed above the suction panel to provide a space in which the pre-filter and the dust collecting filter are disposed.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재는, 상기 집진필터를 고정하거나, 상측으로 상기 집진필터를 착탈하는 구조를 가지는 제1장착부와, 상기 제1장착부의 하측에 상기 프리필터를 고정하거나, 측방향으로 상기 프리필터를 인입 또는 인출하는 제2장착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mounting member includes a first mounting part having a structure for fixing the dust collecting filter or attaching and detaching the dust collecting filter upward, and fixing the pre-filter to a lower side of the first mounting part, or inserting the pre-filter in a lateral direction Alternatively,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including a second mounting part to be drawn out.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장착부와 상기 제2장착부는 서로 연통하게 형성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16. The method of claim 15,
An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wherein the first mounting portion and the second mounting portion are formed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재는, 상기 제2장착부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장착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흡입패널의 흡입구의 상측을 커버하는 커버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mounting member may include a cover disposed above the second mounting unit and disposed at one side of the first mounting unit to cover an upper side of the suction port of the suction panel.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필터 또는 상기 송풍팬의 작동을 조절하는 컨트롤박스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박스는, 상기 커버부의 상측에 배치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18. The method of claim 17,
and a control box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dust collecting filter or the blowing fan,
The control box is an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disposed above the cover part.
KR1020200104782A 2020-08-20 2020-08-20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10239656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4782A KR102396560B1 (en) 2020-08-20 2020-08-20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4782A KR102396560B1 (en) 2020-08-20 2020-08-20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3197A KR20220023197A (en) 2022-03-02
KR102396560B1 true KR102396560B1 (en) 2022-05-10

Family

ID=80815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4782A KR102396560B1 (en) 2020-08-20 2020-08-20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6560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46343A (en) 2022-04-12 2023-10-19 엘지전자 주식회사 Air Conditioner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6182Y1 (en) * 1995-12-05 1999-03-20 김광호 Connecting apparatus of an airconditioner
KR102584609B1 (en) * 2016-12-08 2023-10-05 엘지전자 주식회사 air conditio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3197A (en) 2022-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41007B1 (en) Air cleaner
KR100881535B1 (en) Air conditioner
US20060162564A1 (en) Air cleaner with improved airflow
US10443888B2 (en) Air conditioner
US5765544A (en) Flow-through humidifier for mobile home furnace
KR102584609B1 (en) air conditioner
EP3093563B1 (en) Air conditioner
KR102396560B1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102522063B1 (en)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
KR100452028B1 (en)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GB2226877A (en) Air conditioner
CN215765438U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CN212618769U (en) Heat exchanger assembly and air conditioner indoor unit with same
KR102055435B1 (en) Air supply method for air conditioners
KR20190001334A (en) Humidification air purifier that can perform both one of humidification function and air cleaning function
CN216203842U (en) Electrostatic dust collection structure and air conditioner with same
KR102392628B1 (en) Air Conditioner
CN215597467U (en) Machine and new trend air conditioner in new trend air conditioning
KR101362317B1 (en) Air conditioner
EP3690333B1 (en) Air conditioner
JP2013138979A (en) Air purification unit
KR20060119068A (en) Air-conditioner having cooling and air-clean road independently
CN212431112U (en) Air outlet purification system of central air conditioner
KR200305868Y1 (en) An anoin air cleaner
CN116066903A (en) Air treatment device and air conditio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