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5104B1 - 피부 진단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진단 기기 - Google Patents

피부 진단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진단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5104B1
KR102395104B1 KR1020170156585A KR20170156585A KR102395104B1 KR 102395104 B1 KR102395104 B1 KR 102395104B1 KR 1020170156585 A KR1020170156585 A KR 1020170156585A KR 20170156585 A KR20170156585 A KR 20170156585A KR 102395104 B1 KR102395104 B1 KR 1023951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unit
shielding
patch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65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9045A (ko
Inventor
명준오
김정아
정수라
임준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1701565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5104B1/ko
Publication of KR201900590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90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51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51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integumentary system, e.g. skin, hair or nails
    • A61B5/441Skin evaluation, e.g. for skin disorder diagn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3Means for maintaining contact with the body
    • A61B5/6832Means for maintaining contact with the body using adhesives
    • A61B5/6833Adhesive patch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Dermatology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진단 모듈은, 피부 진단을 위한 측정 데이터를 수집하는 측정부, 상기 측정부의 외부를 둘러싸도록 결합되는 차폐부 및 상기 차폐부와 결합하는 패치부를 포함하되, 상기 패치부는, 사용자의 피부와 접하는 일면에 점착성 재료가 도포되고, 상기 차폐부는, 외부 노이즈가 상기 측정부 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측정부를 내부에 고정시키는 하우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피부 진단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진단 기기{A skin diagnostic module and a skin diagnostic device including the skin diagnostic module}
본 발명은 피부 진단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진단 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피부에 밀착시킬 수 있는 패치가 적용된 피부 진단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진단 기기에 관한 것이다.
피부의 관리 상태가 외모를 판단하는데 중요한 요소가 되면서, 최근 자택이나 화장품 판매 매장 등에서 피부 진단 대상자인 사용자의 피부 상태를 정확하게 진단하기 위한 피부 진단 기기들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피부 진단 기기들은 측정 시 사용자의 센서 또는 카메라 등을 피부에 접촉한 상태에서 피부 상태를 측정한다. 이러한 피부 진단 기기에 있어서, 사용 미숙 또는 피부의 굴곡 등에 의해 센서 또는 카메라가 피부에 밀착되지 않는 경우 피부 상태 측정에 관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진 촬영을 이용한 피부 진단의 경우, 촬영 미숙이나 손떨림 등에 의해 촬영된 사진이 선명하지 않게 되면 촬영된 사진을 이용하여 정확한 피부 분석이 이루어질 수 없다. 또한, 외부로부터 빛, 열, 공기 등을 포함하는 노이즈가 센서 또는 카메라에 작용하게 되면, 피부 분석 결과가 부정확할 수 있다.
따라서, 피부 진단에 있어서 센서 또는 카메라를 포함하는 진단 모듈을 피부에 완전히 밀착시키면서, 외부 노이즈를 차단할 수 있는 피부 진단 기기의 구조가 요구된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110926호 (20171012, 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연성의 점착성 패치를 적용하여 피부에 밀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피부 진단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진단 기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센서 및/또는 카메라 주변에 차폐 구조를 적용하여 외부 노이즈를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된 피부 진단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진단 기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진단 모듈은 피부 진단을 위한 측정 데이터를 수집하는 측정부, 상기 측정부의 외부를 둘러싸도록 결합되는 차폐부 및 상기 차폐부와 결합하는 패치부를 포함하되, 상기 패치부는, 사용자의 피부와 접하는 일면에 점착성 재료가 도포되고, 상기 차폐부는, 외부 노이즈가 상기 측정부 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측정부를 내부에 고정시키는 하우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차폐부는, 적어도 일면이 개방된 중공 형태이고, 상기 측정부는, 상기 차폐부의 개방된 일면을 통해 적어도 일부분이 노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패치부는, 점착성 재료를 이용하여 상기 차폐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측정부는, 상기 차폐부의 상기 개방된 일면을 통해 상기 적어도 일부분이 노출되되, 상기 차폐부의 바깥으로 돌출되지 않고 상기 차폐부의 내측에 수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패치부는, 상기 차폐부의 개방된 일면의 둘레에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패치부는, 중앙에 형성된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측정부는, 상기 개구에 삽입되어 상기 적어도 일부분이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차폐부는, 상기 측정부와 적어도 일부분에서 체결 또는 결합됨으로써, 상기 측정부를 내부에 고정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차폐부는, 상기 차폐부 내의 적어도 일부분에서 접착 재료로 상기 측정부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차폐부는, 상기 측정부와 일체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패치부가 상기 점착성 재료에 의해 상기 피부에 부착될 때, 상기 패치부에 결합된 차폐부 및 상기 차폐부에 결합된 측정부가, 상기 피부에 접촉하거나 적어도 인접하게 위치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측정부는, 센서 및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진단 기기는, 상술한 실시예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피부 진단 모듈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여 구성되는 진단부 및 상기 피부 진단 모듈의 상기 측정부를 통하여 수집된 상기 측정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피부 상태를 진단하는 본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본체부 및 상기 진단부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하여 상기 측정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진단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진단 기기는, 센서 및/또는 카메라를 포함하는 진단 모듈의 피부 접촉면에 연성의 점착성 패치를 적용함으로써, 피부의 굴곡진 부위에도 진단 모듈이 용이하게 밀착되도록 하며, 측정 도중 손떨림 등에 의해 진단 모듈이 진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진단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진단 기기는, 진단 모듈의 센서 및/또는 카메라 둘레에 차폐 구조를 적용하여 빛, 열 등의 외부 노이즈를 차단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피부 진단이 가능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진단 기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진단 기기의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단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단 모듈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단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단 모듈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진단 기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진단 기기의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진단 기기(1)는 자택 또는 화장품 판매 매장 등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피부를 진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피부 진단 기기(1)는 진단부(10)와 본체부(20)로 구성될 수 있다. 진단부(10)와 본체부(20)는 USB 등의 유선 통신 기술 또는 Wi-Fi, LTE, Bluetooth, NFC, ZIGBEE, IrDA, SWAP 등의 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진단부(10)와 본체부(20)는 각각 유/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통신 모듈(111, 250)을 구비할 수 있다.
도 1에는, 진단부(10)와 본체부(20)가 근거리 또는 원격에 위치하여 유/무선으로 연결되는 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진단부(10)와 본체부(20)는 일체형으로 구비되어 별도로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진단부(10)는 적어도 하나의 진단 모듈(110)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피부에 대한 측정 데이터를 수집하고 본체부(20)로 전달한다. 진단 모듈(110)은 센서 및/또는 카메라 등을 이용하여 측정 데이터를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적어도 하나의 센서는, 예를 들어, 유분 및/또는 수분 측정 센서, 온도 측정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진단 모듈(110)은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피부의 유분도, 수분도 및/또는 온도 등을 측정할 수 있다. 카메라는, 예를 들어, 가시광선, 적외선, 자외선 등 다양한 파장의 광을 감지하여 제어 모듈(210)에 처리할 수 있는 형태의 이미지로 변환하여 모공, 색소 침착, 주름 등의 상태를 진단할 수 있다.
진단부(10)는 동일하거나 및/또는 상이한 센서 및/또는 카메라로 구성되는 복수 개의 진단 모듈(110)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피부 상의 여러 위치에서 동일하거나 및/또는 상이한 측정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진단 모듈(110)은 센서 및/또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획득된 측정 정보를 본체부(20)로 전달할 수 있다. 일예로, 진단 모듈(110)은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측정된 피부의 유분도, 수분도 및/또는 온도 등을 본체부(20)의 제어 모듈(210)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진단 모듈(110)은 카메라를 이용하여 생성된 이미지를 제어 모듈(21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각각의 진단 모듈(110)은 통신 모듈(111)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어 모듈(210)은 진단 모듈(110)로부터 수신된 측정 정보를 기초로 적어도 하나의 피부 진단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본체부(20)는 제어 모듈(210) 및 출력 모듈(2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본체부(20)는 단말로써, 피부 진단용 기기이거나 휴대폰, 스마트폰, 휴대 단말기, 스마트 패드, PC, 태블릿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체부(20)는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며 디스플레이, 스피커, LED 등과 같은 임의의 출력 수단을 구비하는 다양한 전자 기기일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본체부(20)의 형태, 구조, 인터페이스의 배치 등은 단지 실시예에 불과한 것이며, 본 발명의 본체부(20)는 이러한 형태, 구조, 인터페이스의 배치 등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어 모듈(210)은 피부 진단 기기(1)의 전반적인 동작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제어 모듈(210)은 진단부(10)로부터 수신된 측정 정보를 기초로, 피부 상태를 진단하고, 진단 결과를 출력하도록 본체부(20)의 각 구성 요소를 제어한다.
제어 모듈(210)은 진단부(10)로 제어 신호를 전달하여, 진단부(10)가 적어도 하나의 진단 모듈(110)을 통해 측정 정보를 수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진단부(10)로부터 측정 정보가 수신되면, 제어 모듈(210)은 측정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피부 상태를 진단한다. 예를 들어, 제어 모듈(210)은 센서를 이용하여 측정된 피부의 유분도 및/또는 수분도를 이용하여, 피부의 유분 상태, 수분 상태, 유수분 밸런스 상태, 피부 타입(지성, 건성, 복합성, 중성 등) 등을 진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 모듈(210)은 카메라를 이용하여 생성된 가시광선 이미지(색상 이미지) 및/또는 편광 이미지 및/또는 자외선 이미지를 이용하여, 피부톤, 트러블 상태, 피지 분비 상태, 각질 상태, 주름 상태 등을 진단할 수 있다.
제어 모듈(210)은 진단 결과를 출력 모듈(220)로 전달하여, 진단 결과가 시각적 및/또는 청각적으로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출력 모듈(220)은 진단 결과를 시각적으로 출력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LE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출력 모듈(220)은 진단 결과를 청각적으로 출력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출력 모듈(220)의 진단 결과 출력은 시각적, 청각적인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형태로 진단 결과가 출력될 수 있다.
본체부(20)는 또한 입력 모듈(23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입력 모듈(230)은 피부 진단 기기(1)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입력 모듈(230)은 적어도 하나의 버튼, 키 패드(key pad), 스위치, 터치 패드(정압/정전), 휠, 다이얼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입력 모듈(230)은 출력 모듈(220)의 디스플레이와 터치형 디스플레이로써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본체부(20)는 저장 모듈(2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저장 모듈(240)은 피부 진단 기기(1)의 동작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등을 저장하고 관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저장 모듈(240)은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피부 진단 기기(1)의 동작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등은 외부의 서버를 통해 저장되고 관리될 수 있다. 서버는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서버, 도메인 서버, 프록시 서버, 클라우드 서버 등일 수 있다. 서버의 종류 및 형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저장 모듈(240)은 피부 진단을 위해 필요한 사용자 관련 정보로써, 이름, 성별, 나이, 거주 지역, 피부 타입/상태 등과 관련된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는 저장 모듈(240)은, 제어 모듈(210)에 의해 판단된 피부 진단 결과를 사용자에 대하여 누적적으로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진단 기기에 구비되는 진단 모듈의 보다 구체적인 구조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단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단 모듈(110)은 피부 상태를 측정하도록 구성되는 측정부(112) 및 패치부(11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측정부(112)는 소형 센서 및/또는 카메라를 포함하여 피부를 측정하고 측정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측정부(112)는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하거나 피부에 인접하게 위치하여 유분, 수분, 온도 및/또는 가시광선, 적외선, 자외선 이미지 등의 측정 정보를 수집한다.
패치부(113)는 사용자의 피부에 점착될 수 있도록, 사용자의 피부와 접하는 일면(이하 점착면)에 하이드로겔, 시아노아크릴레이트, 피브린 글루, 단백질 글루, 해양 생체 접착제(홍합 접착제) 등과 같은 점착성 재료가 도포된 패치로 구성될 수 있다.
패치부(113)는 측정부(112)와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즉, 패치부(113)는 패치부(113)가 피부에 부착될 때, 패치부(113)와 결합된 측정부(112)가 피부에 접촉하거나 적어도 인접하게 위치하여 측정 정보를 수집할 수 있도록, 측정부(112)와 결합한다.
일 실시예에서,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치부(113)는 측정부(112)의 둘레에 결합할 수 있다. 이 경우, 패치부(113)는 중앙에 형성된 개구(1131)를 포함할 수 있으며, 측정부(112)는 개구(1131)에 삽입되어 점착면을 향해 노출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패치부(113)의 점착면에 대향하는 후면에서도 개구(1131)를 통해 측정부(112)가 노출될 수 있다. 패치부(113)는 측정부(112)가 후면에서 노출되어 외부 환경에 의해 오염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측정부(112)의 후면을 덮는 후면 커버(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치부(113)의 후면 중앙 일부 영역에 측정부(112)가 부착됨으로써, 패치부(113)에 측정부(112)가 결합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와 유사하게, 이러한 실시예에서 패치부(113)는 중앙에 형성된 개구(1131)를 포함할 수 있으며, 측정부(112)는 개구(1131)를 통해 점착면을 향하여 노출되도록 패치부(113)의 후면 중앙 일부 영역에 부착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치부(113)의 점착면 중앙 일부 영역에 측정부(112)가 부착됨으로써, 패치부(113)에 측정부(112)가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측정부(112)가 점착되지 않은 패치부(113)의 나머지 영역이 피부에 점착될 수 있다.
사용자가 점착면을 피부에 밀착시키면, 점착성 재료에 의해 패치부(113)가 피부에 부착된다. 패치부(113)가 사용자 피부에 부착될 때, 패치부(113)에 결합된 측정부(112)의 센서 및/또는 카메라는 피부에 접촉하거나 피부에 적어도 인접하게 위치하여 측정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패치부(113)는 연성 소재로 구성되어, 패치부(113)가 부착되는 피부의 굴곡을 따라 구부러질 수 있다. 그에 따라, 사용자가 패치부(113)를 피부에 부착하여 피부 진단을 수행하는 동안, 패치부(113)는 패치부(113)에 결합된 측정부(112)를 피부에 완전히 밀착시키고 고정시킴으로써, 정확한 피부 측정 정보가 수집될 수 있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단 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단 모듈의 측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단 모듈(110)은 측정부(112), 패치부(113) 및 차폐부(11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측정부(112) 및 패치부(113)에 관한 설명은 도 3을 예로 들어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차폐부(114)는 측정부(112)의 외부에 결합되는 하우징으로, 적어도 패치부(113)의 점착면을 향하는 일면이 개방된 중공형태를 가질 수 있고 일례로 원통형일 수 있다.
차폐부(114)는 측정부(112)와 적어도 일부분에서 체결/결합됨으로써, 측정부(112)를 내부에 고정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측정부(112)는 차폐부(114) 내에 끼워맞춤되거나, 차폐부(114) 내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 구조와 결합하여 차폐부(114) 내에 고정될 수 있다. 또는, 측정부(112)는 차폐부(114) 내의 적어도 일부분에서 접착 재료로 부착될 수 있고, 측정부(112)와 차폐부(114)가 일체로 제작될 수도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차폐부(114)의 형태나 측정부(112)와의 결합 방식에 대하여는 특별히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측정부(112)는 차폐부(114)와 결합되지 않고 패치부(113)에 결합되며 패치부(113)의 후면에서 측정부(112)의 주변에 차폐부(114)가 마련될 수도 있음을 알려둔다. 즉 차폐부(114)는 측정부(112)의 주변을 두르도록 마련되면 충분하며, 측정부(112)가 고정되는 구성은 차폐부(114) 및/또는 패치부(113)일 수 있다.
측정부(112)는, 도 6의 (a) 및 (b)에 도시된 실시예들과 같이, 원통형 차폐부(114)의 개방된 일면을 통해 노출되지만 차폐부(114)의 바깥으로 돌출되지는 않고 차폐부(114)의 내측에 수용되도록 구성된다.
즉, 차폐부(114)가 피부에 밀착될 때, 차폐부(114)의 내측에 마련되는 측정부(112)의 센서 및/또는 카메라는 피부에 접촉하거나 피부에 적어도 인접하게 위치하여 측정 정보를 수집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차폐부(114)는 측정부(112)의 주변을 두르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차폐부(114)는 차폐부(114)가 피부에 밀착되면서 외부의 빛, 열, 공기 등이 측정부(112)의 센서 및/또는 카메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결과적으로, 차폐부(114)는 외부 노이즈로 인해 측정부(112)의 측정 결과가 부정확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차폐부(114)는, 일면 및 패치부(113)의 점착면으로부터 먼 타면이 개방된 형태를 갖거나, 또는 일면과 달리 타면이 폐쇄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후자의 경우 차폐부(114) 내측에 마련되는 측정부(112)는 외부 노이즈로부터 더욱 보호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패치부(113)는 차폐부(114)와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즉, 패치부(113)는 패치부(113)가 피부에 부착될 때, 패치부(113)와 결합된 차폐부(114) 및 차폐부(114)에 결합된 측정부(112)가 피부에 접촉하거나 적어도 인접하게 위치하여 측정 정보를 수집할 수 있도록, 차폐부(114)와 결합한다.
일 실시예에서, 패치부(113)는 차폐부(114)의 개방된 일면의 둘레에 결합할 수 있다. 이 경우, 패치부(113)는 중앙에 형성된 개구(1131)를 포함할 수 있으며, 측정부(112)는 개구(1131)에 삽입되어 점착면을 향해 노출될 수 있다.
사용자가 점착면을 피부에 밀착시키면, 점착성 재료에 의해 패치부(113)가 피부에 부착된다. 패치부(113)가 사용자 피부에 부착될 때, 패치부(113)에 결합된 측정부(112)의 센서 및/또는 카메라는 피부에 접촉하거나 피부에 적어도 인접하게 위치하여 측정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설명한 실시예로 제한되지 않으며, 상기 실시예들의 조합이나, 적어도 어느 하나의 실시예 및 공지기술과의 조합을 새로운 실시예로서 포함할 수 있음을 알려둔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 피부 진단 기기 10: 진단부
110: 진단 모듈 111: 통신 모듈
112: 측정부 113: 패치부
1131: 개구 114: 차폐부
20: 본체부 210: 제어 모듈
220: 출력 모듈 230: 입력 모듈
240: 저장 모듈 250: 통신 모듈

Claims (14)

  1. 피부 진단을 위한 측정 데이터를 수집하는 측정부;
    상기 측정부의 주변을 둘러싸도록 결합되는 차폐부; 및
    상기 차폐부와 결합하는 패치부를 포함하되,
    상기 패치부는,
    사용자의 피부와 접하는 일면에 점착성 재료가 도포되고,
    상기 차폐부는,
    외부 노이즈가 상기 측정부 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측정부를 내부에 고정시키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패치부는 상기 차폐부보다 둘레가 넓게 형성되고, 연성 소재로 구성되어 피부의 굴곡을 따라 구부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진단 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는,
    적어도 일면이 개방된 중공 형태이고,
    상기 측정부는,
    상기 차폐부의 개방된 일면을 통해 적어도 일부분이 노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진단 모듈.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상기 차폐부의 상기 개방된 일면을 통해 상기 적어도 일부분이 노출되되, 상기 차폐부의 바깥으로 돌출되지 않고 상기 차폐부의 내측에 수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진단 모듈.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패치부는,
    상기 차폐부의 개방된 일면의 둘레에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진단 모듈.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패치부는,
    점착성 재료를 이용하여 상기 차폐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진단 모듈.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패치부는,
    중앙에 형성된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측정부는,
    상기 개구에 삽입되어 상기 적어도 일부분이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진단 모듈.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는,
    상기 측정부와 적어도 일부분에서 체결 또는 결합됨으로써, 상기 측정부를 내부에 고정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진단 모듈.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는,
    상기 차폐부 내의 적어도 일부분에서 접착 재료로 상기 측정부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진단 모듈.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는,
    상기 측정부와 일체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진단 모듈.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치부가 상기 점착성 재료에 의해 상기 피부에 부착될 때, 상기 패치부에 결합된 차폐부 및 상기 차폐부에 결합된 측정부가, 상기 피부에 접촉하거나 적어도 인접하게 위치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진단 모듈.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센서 및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진단 모듈.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피부 진단 모듈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여 구성되는 진단부; 및
    상기 피부 진단 모듈의 상기 측정부를 통하여 수집된 상기 측정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피부 상태를 진단하는 본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진단 기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 및 상기 진단부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하여 상기 측정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진단 기기.
  14. 피부 진단을 위한 측정 데이터를 수집하는 측정부;
    상기 측정부의 주변을 둘러싸도록 결합되는 차폐부; 및
    피부 진단을 위한 측정 데이터를 수집하는 측정부;
    상기 측정부의 주변을 둘러싸도록 결합되는 차폐부; 및
    상기 차폐부와 결합하는 패치부를 포함하되,
    상기 패치부는,
    사용자의 피부와 접하는 일면에 점착성 재료가 도포되고,
    상기 차폐부는,
    외부 노이즈가 상기 측정부 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측정부를 내부에 고정시키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패치부는 상기 차폐부보다 둘레가 넓게 형성되고,
    상기 측정부는 카메라를 포함하며,
    상기 측정부는 상기 패치부의 개구에 삽입되어 점착면을 향해 노출되고, 피부에 밀착하게 되면 상기 카메라로 유입되는 노이즈인 빛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진단 모듈.
KR1020170156585A 2017-11-22 2017-11-22 피부 진단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진단 기기 KR1023951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6585A KR102395104B1 (ko) 2017-11-22 2017-11-22 피부 진단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진단 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6585A KR102395104B1 (ko) 2017-11-22 2017-11-22 피부 진단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진단 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9045A KR20190059045A (ko) 2019-05-30
KR102395104B1 true KR102395104B1 (ko) 2022-05-09

Family

ID=666758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6585A KR102395104B1 (ko) 2017-11-22 2017-11-22 피부 진단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진단 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510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9247A (ko) 2021-12-27 2023-07-04 주식회사 페이지원 상처케어 모니터링이 가능한 led 웨어러블 디바이스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7646A (ko) * 2015-09-02 2017-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부착 패드 및 그를 구비하는 생체 정보 측정 장치
KR101862179B1 (ko) * 2015-09-11 2018-06-04 주식회사 매스컨에스 신체 상태 감지 장치 및 신체 상태 감지 시스템
KR101792232B1 (ko) 2016-03-24 2017-10-31 (주)초이스테크놀로지 체온측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9045A (ko) 2019-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8607B1 (ko) 피부 상태 측정기를 이용한 모바일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349757B1 (ko) 생체 센서의 전극을 이용한 충전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전자 장치
CN106461646A (zh) 电子测试装置数据通信
US11222725B2 (en) Device for acquring personal health information and method therefor
CN209043461U (zh) 体温测量装置
KR101927286B1 (ko) 무인 안면 및 손등 피부 분석장치
KR101793468B1 (ko) Ar을 이용한 셀프 뷰티앱 플랫폼 시스템 및 방법
JP2015521424A (ja) 生理学的センサ付きのイヤホン及び小型イヤホン
GB2571404A (en) A photoplethysmography sensor device
US11449997B2 (en) Skin condition measuring module
KR20150036015A (ko) 디지털 센서를 구비한 호스트 디바이스에 배치되는 혈액 특성 측정 장치
KR102395104B1 (ko) 피부 진단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진단 기기
CN106124505B (zh) 生理参数检测系统及试纸的辨识及判读方法
CN107106026A (zh) 用于测量毛细血管再充盈时间的方法
CN110567582A (zh) 体温测量装置和方法
US9714903B2 (en) Case for specimen analyzing kit, kit for specimen analyzing, specimen analysis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specimen analysis apparatus
AU2018200920B2 (en) Wetness notification system for detecting and notifying wetness in clothing article
KR20180001739A (ko) 모바일 기기에서 피부 진단과 일체화된 피부 케어 방법 및 시스템
CN110093747A (zh) 洗涤剂的投放方法、装置和衣物处理装置
WO2018043799A1 (ko) 다기능을 갖는 건강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디바이스
KR101843261B1 (ko) 휴대기기를 이용한 피부상태 측정장치
KR20170043762A (ko) 피부 상태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모바일 서비스 제공 시스템
US20230349769A1 (en) A system and method for an infra-red (ir) thermometer with a built-in self-test
KR101993265B1 (ko) 스마트폰용 확대 영상 장치
CN211409017U (zh) 一种基于云计算的体外诊疗检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