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4393B1 -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4393B1
KR102394393B1 KR1020150137590A KR20150137590A KR102394393B1 KR 102394393 B1 KR102394393 B1 KR 102394393B1 KR 1020150137590 A KR1020150137590 A KR 1020150137590A KR 20150137590 A KR20150137590 A KR 20150137590A KR 102394393 B1 KR102394393 B1 KR 1023943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f
log
circuit board
printed circuit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75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38338A (ko
Inventor
김시현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375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4393B1/ko
Publication of KR201700383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83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43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43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02F1/136286Wiring, e.g. gate line, drain l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08PCBs, i.e. printed circuit boards

Abstract

본 발명은 표시장치는 전원부 및 타이밍 제어부를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과, 인쇄회로기판과 연결되는 입력패드들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제1 COF(Chip On Film)과, 제1 COF의 출력패드들과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LOG(Line On Glass)가 배치된 표시패널, 및 LOG와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제2 COF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는 인쇄회로기판과 분리되어 상기 표시패널의 LOG로부터 전원 및 제어신호를 제공받는 제2 COF 구조에 의해 인쇄회로기판의 사이즈를 줄여 제조 비용을 줄이고, 표시장치 디자인 한계를 개선함과 동시에 커브드 또는 플랙서블 표시장치의 COF 데미지를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표시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음극선관(Cathode Ray Tube)의 단점인 무게와 부피를 줄일 수 있는 각종 평판 표시장치들(FPD: Flat Panel Display)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평판 표시장치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전계 방출 표시장치(FED: Field Emission Display),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 Plasma Display Panel),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및 전계발광소자(ED: Electroluminescence Device) 등이 있다.
일반적인 액정표시장치(LCD는 매트릭스(Matrix) 형태로 배열된 액정 셀들의 광투과율을 화상신호 정보에 따라 조절하여 원하는 화상을 표시하는 장치로서, 백라이트유닛에 조사되는 빛을 이용하여 표시패널에 화상을 형성한다.
이러한 원리를 이용한 표시장치는 경량, 박형, 저 소비 전력구동 등의 특징으로 인해 그 응용범위가 점차 넓어지고 있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표시장치는 사무자동화기기, 오디오/비디오 기기 등에 이용되고 있다.
최근 들어 표시장치는 컴퓨터용 모니터, 텔레비전뿐만 아니라 차량용 네비게이터 시스템의 표시장치와, 노트북, 핸드폰 등의 휴대용 표시장치 등에 광범위하게 적용되고 있다.
일반적인 표시장치는 타이밍 제어부, 전원 회로를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과, 데이터 구동부를 포함하여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표시패널을 연결하는 복수의 COF(Chip On Film)을 포함한다.
일반적인 표시장치는 복수의 COF가 표시패널의 적어도 일측을 따라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COF의 타측이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연결된 구조에 의해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길이 및 사이즈에 의해 제품 디자인에 한계가 있었다.
또한, 일반적인 표시장치는 커브드 표시장치 및 플랙서블 표시장치를 구현함에 있어서, 복수의 COF 및 상기 복수의 COF와 연결된 인쇄회로기판의 구조에 의해 COF의 데미지를 개선하기 어려웠다.
본 발명은 인쇄회로기판의 사이즈를 줄여 비용을 줄이는 표시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표시장치의 디자인 한계를 개선할 수 있는 표시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 이 있다.
본 발명은 커브드 표시장치 및 플랙서블 표시장치의 COF 데미지를 개선할 수 있는 표시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표시장치는 전원부 및 타이밍 제어부를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연결되는 입력패드들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제1 COF(Chip On Film)과, 제1 COF의 출력패드들과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LOG(Line On Glass)가 배치된 표시패널 및 LOG와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제2 COF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는 인쇄회로기판과 분리되어 상기 표시패널의 LOG로부터 전원 및 제어신호를 제공받는 제2 COF 구조에 의해 인쇄회로기판의 사이즈를 줄여 제조 비용을 줄이고, 표시장치 디자인 한계를 개선함과 동시에 커브드 또는 플랙서블 표시장치의 COF 데미지를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는 전원부 및 타이밍 제어부를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과 표시패널에 직접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COF와 상기 인쇄회로기판으로부터 이격되어 표시패널의 LOG에 의해 표시패널과 직접 연결된 제2 COF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COF는 상기 LOG에 의해 표시패널로부터 전원 및 타이밍 제어 신호를 제공받으므로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인쇄회로기판의 사이즈를 줄여 제조 비용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실시 예는 인쇄회로기판과 제2 COF가 서로 분리된 구조에 의해 이들을 서로 연결하는 공정을 생략하여 제조 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고, 인쇄회로기판과의 연결을 위한 상기 제2 COF의 입력 패드부의 삭제로 제2 COF의 사이즈를 줄여 제조 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실시 예는 커브드 표시장치 또는 플랙서블 표시장치에 있어서, 인쇄회로기판에 직접 연결된 COF를 줄여 COF의 데미지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실시 예는 영역별로 다양한 해상도를 갖는 표시장치의 경우, 출력패드의 개수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2층 COF 배선구조를 갖는 제2 COF를 배치하므로 초고해상도 및 저해상도 구현을 위해 제1 및 제2 COF를 선택적으로 채용하므로 COF의 개수를 최소화하므로 제조 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다른 커브드 표시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정표시패널, 인쇄회로기판 및 제1 및 제2 COF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2 COF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Ⅰ-Ⅰ'라인을 따라 절단한 제2 COF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실시 예에 따른 제1 및 제2 COF에 따라 표시영역의 해상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액정표시패널, 인쇄회로기판 및 COF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액정표시패널, 인쇄회로기판 및 COF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시간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후에', '~에 이어서', '~다음에', '~전에' 등으로 시간 적 선후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연속적이지 않은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리고 도면들에 있어서, 장치의 크기 및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장치(100)는 표시패널(120), 타이밍 제어부(111), 데이터 드라이버(20) 및 게이트 드라이버(3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의 표시장치(100)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LCD)를 한정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다른 예의 표시장치는 전계방출 표시장치(FE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OLED), 전기영동 표시장치(EPD)일 수 있다.
상기 표시패널(120)은 서로 마주보는 제1 및 제2 유리기판과, 상기 제1 및 제2 유리기판 사이에 배치된 액정분자들을 포함한다. 상기 표시패널(120)은 데이터라인들(D1 내지 Dm)과 게이트라인들(G1 내지 Gn)의 교차되어 매트릭스 구조를 갖고, m×n (m,n 은 양의 정수)개의 액정셀들(Clc)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패널(120)의 제1 유리기판은 m 개의 데이터라인들(D1 내지 Dm), n개의 게이트라인들(G1 내지 Gn), 데이터라인들(D1 내지 Dm)과 n개의 게이트라인들(G1 내지 Gn)의 교차영역에 위치한 트랜지스터(TFT)들, 트랜지스터(TFT)들에 각각 접속된 액정셀(Clc), 화소전극(1), 및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패널(120)의 제2 유리기판 상에는 블랙매트릭스, 컬러필터 및 공통전극(2)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공통전극(2)은 액정 구동방식에 따라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공통전극(2)은 TN(Twisted Nematic) 모드와 VA(Vertical Alignment) 모드와 같은 수직전계 구동방식에서 제2 유리기판 상에 배치될 수 있고, IPS(In Plane Switching) 모드와 FFS(Fringe Field Switching) 모드와 같은 수평전계 구동방식에서 화소전극(1)이 배치된 제1 유리기판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20)는 타이밍 제어부(111)의 제어 하에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GB)를 래치하고, 상기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를 아날로그 정극성/부극성 감마보상전압으로 변환하여 정극성/부극성 데이터전압을 발생하고 그 데이터전압을 데이터라인들(D1 내지 Dm)에 공급한다.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30)는 타이밍 제어부(111)의 제어신호에 의해 1 수평기간의 펄스 폭을 가지는 게이트 신호들을 게이트라인들(G1 내지 Gn)에 순차적으로 공급한다. 게이트 드라이버(30)는 화소 어레이와 동시에 제1 유리기판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다.
타이밍 제어부(111)는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GB)를 표시패널(120)에 맞게 재정렬하여 데이터 드라이버(20)에 공급한다.
타이밍 제어부(111)는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수직/수평 동기신호(Vsync, Hsync), 데이터 인에이블(Data Enable), 클럭신호(CLK, MCLK와 같은 메인 클럭신호를 포함한다) 등의 타이밍 신호를 입력받아 데이터 드라이버(20)와 게이트 드라이버(30)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들을 생성한다.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20)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 타이밍 제어신호는 데이터 스타트 펄스(SSP: Source Start Pulse), 데이터 샘플링 클럭(SSC: Source Sampling Clock), 극성제어신호(Pol: Polarity), 및 데이터 출력 인에이블신호(SOE: Source Output Enable) 등을 포함한다. 데이터 스타트 펄스(SSP)는 데이터 드라이버(20)의 데이터 샘플링 시작 타이밍을 제어한다.
데이터 샘플링 클럭(SSC)은 라이징 또는 폴링 에지에 기준하여 데이터 드라이버(122) 내에서 데이터의 샘플링 타이밍을 제어하는 클럭신호이다. 데이터 출력 인에이블신호(SOE)는 데이터 드라이버(20)의 출력 타이밍을 제어한다. 극성제어신호(POL)는 데이터 드라이버(20)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전압의 수평 극성 반전 타이밍을 제어한다.
게이트 드라이버(30)를 제어하기 위한 게이트 타이밍 제어신호는 게이트 스타트 펄스(GSP: Start Pulse), 게이트 시프트 클럭(GSC: Gate Shift Clock), 게이트 출력 인에이블 신호(GOE: Gate Output Enable) 등을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다른 커브드 표시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정표시패널, 인쇄회로기판 및 제1 및 제2 COF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브드 표시장치는 상부 커버(10), 표시패널(120), 백라이트 유닛(5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브드 표시장치는 장축 방향을 따라 일정한 곡률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본 발명의 표시장치는 단축 방향으로 일정한 곡률을 가질 수 있고, 플랙서블 표시장치일 수도 있다.
상기 상부 커버(10)는 상기 표시패널(120)의 가장자리를 감싸는 구조일 수 있으나,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 예는 상기 표시패널(120)의 상부 가장자리를 감싸는 상부 커버(10)를 한정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표시장치의 종류에 따라 상기 상부 커버(10)는 생략될 수 도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백라이트 유닛(50)은 복수의 광학시트 및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의 표시장치는 상기 표시패널(120)의 일측에 배치된 인쇄회로기판(110), 제1 COF(Chip On Film, 130) 및 제2 COF(1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패널(120)은 서로 마주보는 제1 및 제2 유리기판과, 상기 제1 및 제2 유리기판 사이에 개재된 액정분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패널(120)은 도 1의 기술적 특징을 채용할 수 있다.
상기 표시패널(120)은 액티브 영역(A/A)의 가장자리에 게이트 라인들과 연결되는 게이트 드라이버(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30)는 도시되지 않은 레벨 시프터(Level shifter), 게이트 시프트 레지스트(Gate shift register)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의 게이트 드라이버(30)는 상기 게이트 시프트 레지스트는 게이트 인 패널(Gate in panel) 공정으로 상기 액티브 영역(A/A) 가장자리에 직접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표시패널(120)의 액티브 영역(A/A)의 가장자리에 제1 및 제2 COF(130, 140)들을 연결하고, 패널 전원 배선(130c)과 연결되는 제1 및 제2 LOG(LOG1, LOG2)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LOG(LOG1)는 상기 제1 COF(130)의 출력패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 COF(130)를 통해서 제공되는 전원들,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 및 타이밍 제어신호를 인접한 제2 COF(140)에 제공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의 제1 LOG(LOG1)는 LOG 전원 배선(113a), LOG 게이트 제어 배선(111a), 및 LOG 데이터 제어 배선(111b)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LOG(LOG2)는 상기 제1 COF(130)의 출력패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 COF(130)를 통해서 제공되는 전원들,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 및 타이밍 제어신호를 인접한 제2 COF(140)에 제공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의 제2 LOG(LOG2)는 LOG 전원 배선(113a) 및 LOG 데이터 제어 배선(111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110)은 전원부(113) 및 타이밍 제어부(1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부(113)는 전원전압(VDD), 기저전압(VSS), 공통전압(VCOM), 게이트 하이전압(VGH), 게이트 로우전압(VGL) 등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타이밍 제어부(111)는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 및 타이밍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타이밍 제어신호는 게이트 스타트 펄스(GSP), 게이트 시프트 클럭(GSC), 게이트 출력 인에이블 신호(GOE), 데이터 스타트 펄스(SSP), 데이터 샘플링 클럭(SSC), 극성제어신호(Pol), 및 데이터 출력 인에이블 신호(SOE)등 일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110)은 상기 제1 COF(13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110)은 상기 제1 COF(130)와 직접 연결될 수 있는 기판 패드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COF(140)는 상기 인쇄회로기판(110)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어 표시패널(120)과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COF(140)는 상기 인쇄회로기판(11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즉, 상기 인쇄회로기판(110)은 상기 제2 COF(140)와 직접 연결되지 않는다.
상기 제1 COF(130)는 상기 표시패널(120)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110) 및 상기 표시패널(1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COF(130)는 데이터 드라이버 IC(150)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는 상세히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제1 COF(130)는 상기 인쇄회로기판(150)과 직접 연결되는 입력 패드들 및 표시패널(120)과 직접 연결되는 출력 패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COF(130)는 COF 배선들(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COF 배선은 상기 제1 COF(130)의 일면상에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예는 상기 제1 COF(130)가 단일인 구성으로 한정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제1 COF(130)는 2개 이상일 수 있다.
실시 예는 상기 인쇄회로기판(110) 및 상기 표시패널(120)과 직접 연결된 제1 COF(130) 및 상기 제1 및 제2 LOG(LOG1, LOG2)를 통해서 상기 표시패널(120)과 직접 연결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110)으로부터 분리된 제2 COF(140)의 구조에 의해 장축 방향으로 곡률을 갖는 커브드 표시장치에서 발생하는 COF의 데미지를 개선할 수 있다.
상기 제2 COF(140)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2 COF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Ⅰ-Ⅰ'라인을 따라 절단한 제2 COF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2 COF(140)는 상기 표시패널(120)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 COF(130)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제2 COF(140)는 상기 인쇄회로기판(110)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제2 COF(140)는 데이터 드라이버 IC(1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COF(140)는 제1 출력 패드(OP1), 제2 출력 패드(OP2), 제1 LOG 패드(LOGP1) 및 제2 LOG 패드(LOGP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출력 패드(OP1)는 상기 제1 출력 배선(OL1)이 배열된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출력 패드(OP1)는 상기 제2 COF(140)의 장축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출력 패드(OP1)는 상기 제1 출력 배선(OL1)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출력 패드(OP1) 및 상기 제1 출력 배선(OL1)은 상기 제2 COF(140)의 일면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출력 패드(OP2)는 상기 제2 COF(140)의 제2 출력 배선(OL2)이 배열된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출력 패드(OP2)는 상기 제1 출력 패드(OP1)보다 상기 표시패널(120)과 중첩된 상기 제2 COF(140)의 끝단에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출력 패드(OP1) 및 상기 제2 출력 패드(OP2)는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출력 패드(OP1) 및 상기 제2 출력 패드(OP2)는 서로 엇갈리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출력 패드(OP2)는 상기 제2 출력 배선(OL2)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출력 배선(OL1)는 상기 제2 COF(140)의 일면상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2 출력 배선(OL2)은 상기 제2 COF(140)의 타면상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출력 배선(OL1) 및 제2 출력 배선(OL@)과 상이한 층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출력 배선(OL2)은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 IC(150)의 출력단과 상기 제2 출력 패드(OP2)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제2 출력 배선(OL2)은 비아홀(VH)을 통해서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 IC(150)의 출력단 및 상기 제2 출력 패드(OP2)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LOG 패드(LOGP1) 및 제2 LOG 패드(LOGP2)는 상기 제1 출력 패드(OP1) 및 상기 제2 출력 패드(OP2)의 가장자리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LOG 패드(LOGP1)는 상기 표시 패널(120)과 중첩되는 상기 제2 COF(140)의 가장자리 모서리에 배치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1 LOG 패드(LOGP1)는 상기 제2 COF(140)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된 COF 전원 배선(113b)과 LOG 전원 배선(113a)을 연결시키고, 상기 COF 전원 배선(113b)과 패널 전원 배선(113c)을 연결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LOG 패드(LOGP1)의 위치와 COF 전원 배선(113b) 구조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제2 LOG 패드(LOGP2)는 상기 타이밍 제어부(111)와 연결되는 LOG 데이터 제어 배선(111b)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LOG 패드(LOGP2)는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 IC(150)의 입력단과 연결된 제1 입력 배선(IL1)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LOG 패드(LOGP2)는 제2 입력 배선(IL2)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입력 배선(IL2)은 상기 제2 LOG 패드(LOGP2)와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입력 배선(IL2)은 비아홀(VH)을 통해서 상기 제1 입력 배선(IL1)과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입력 배선(IL1) 및 상기 제2 입력 배선(IL2)은 서로 다른 층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 입력 배선(IL1)은 상기 제2 COF(140)의 일면 상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2 입력 배선(IL2)은 상기 제2 COF(140)의 타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실시 예의 제2 COF(IL2)는 전원 및 게이트 제어신호뿐만 아니라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 및 타이밍 제어신호를 표시패널(120)에서 제공받을 수 있도록 제1 및 제2 LOG 패드(LOGP1, LOGP2)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 예는 상기 제2 COF(140)와 상기 인쇄회로기판(110)을 직접 연결하지 않고 분리시키고, 이들을 제1 LOG(LOG1) 또는 제2 LOG(LOG2)를 통해서 전기적으로 연결함으로써, 전원, 게이트 제어신호,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 및 타이밍 제어신호가 표시패널(120)을 통해서 상기 제2 COF(140)에 제공되므로 인쇄회로기판(110)의 사이즈를 줄여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COF(140)는 일반적으로 상기 인쇄회로기판(110)과 연결되는 COF 입력패드가 삭제되므로 상기 COF 입력패드가 위치하는 입력패드영역(IPA) 삭제에 의해 전체 사이즈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COF(140)는 사이즈를 줄여 제조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실시 예는 상기 제2 COF(140)와 인쇄회로기판(110)의 패드연결 공정을 삭제하므로 제조 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다.
도 6은 실시 예에 따른 제1 및 제2 COF에 따라 표시영역의 해상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 예의 표시장치는 도 1 내지 도 5의 기술적 특징을 채용할 수 있다. 실시 예의 제1 및 제2 COF(130, 140) 포함하는 표시장치는 영역별로 다른 해상도를 구현할 수 있다. 예컨대 실시예의 표시패널은 1920 x 1800 해상도일 경우, 제1 내지 제3 영역으로 구분하여 제1 및 제3 영역은 데이터 라인이 720인 고해상도(HD), 제2 영역은 데이터 라인이 360인 저해상도(LD)일 수 있다. 이때, 실시 예의 표시장치는 출력패드의 개수가 많은 제2 COF(140)를 고해상도(HD)에 배치하고, 상기 제2 COF(140)보다 상대적으로 출력패드의 개수가 적은 제1 COF(130)를 저해상도(LD)에 배치할 수 있다. 즉, 실시 예의 표시장치는 고해상도(HD)에 대응하는 데이터 라인의 개수는 저해상도(LD)에 대응하는 데이터 라인의 개수보다 많다. 여기서, 실시 예의 표시패널(120)은 1920 x 1800 해상도를 한정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4k, 8k 이상의 초고해상도일 수 있다.
실시 예는 영역별로 다양한 해상도를 갖는 표시장치의 경우, 출력패드의 개수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2층 COF 배선구조를 갖는 제2 COF(140)를 배치하므로 초고해상도 및 저해상도 구현을 위해 제1 및 제2 COF(130, 140)를 선택적으로 채용하므로 COF의 개수를 최소화하므로 제조 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실시 예는 표시패널(120)의 영역별로 해상도가 다른 경우, 제1 및 제2 COF(130, 140)를 선택적으로 채용하여 COF의 개수를 최소화하면서 영역별로 상이한 해상도를 구현하여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다. 실시 예는 저해상도를 제1 COF(130)와 대응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저해상도 영역에 대응되는 COF는 제2 COF(140)를 이용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저해상도에 적용하는 제2 COF(140)는 저해상도에 대응되는 데이터 드라이버 IC가 사용될 수 있고, 출력 패드 개수가 확보되므로 전체 사이즈를 줄일 수 있다.
도 7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 예의 표시장치(200)는 표시패널(120), 인쇄회로기판(110), 제1 및 제2 COF(130, 14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의 표시장치(200)는 인쇄회로기판(110)과 직접 연결된 적어도 2 이상의 제1 COF(130)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110)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제1 COF(130)의 양측 가장자리에 배치된 적어도 2 이상의 제2 COF(14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COF(130, 140)의 세부 구성과, 전원부(113) 및 타이밍 제어부(111)를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110)의 구성 및 표시패널(120) 가장자리에 위치한 LOG들은 도 2 내지 도 5의 실시 예의 표시장치의 기술적 특징을 채용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의 표시장치(200)는 대형 표시장치로서, 제2 COF(10)는 전원 및 게이트 제어신호뿐만 아니라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 및 타이밍 제어신호를 표시패널(120)의 LOG에서 제공받을 수 있도록 LOG 패드들을 포함하여 인쇄회로기판(110)으로부터 분리되므로 인쇄회로기판(110)의 사이즈를 줄여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COF(140)는 일반적으로 상기 인쇄회로기판(110)과 연결되는 COF 입력패드가 삭제되므로 상기 COF 입력패드가 위치하는 입력패드영역을 삭제하여 전체 사이즈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COF(140)는 사이즈를 줄여 제조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실시 예는 상기 제2 COF(140)와 인쇄회로기판(110)의 패드연결 공정을 삭제하므로 제조 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 예의 표시장치(200)는 커브드 표시장치 또는 플랙서블 표시장치가 대형화되더라도 인쇄회로기판(110)으로부터 분리된 제2 COF(140)들에 의해 COF 데미지에 의한 불량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 예의 표시장치(200)는 다수의 영역으로 구분되어 서로 상이한 해상도를 갖는 표시패널(120)의 경우, 상기 제1 및 제2 COF(130, 140)를 해당 영역에 선택적으로 배치하므로 제조비용을 줄이면서 영역별로 상이한 해상도의 영상을 구현할 수 있다.
도 8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 다른 실시 예의 표시장치(300)는 표시패널(120), 인쇄회로기판(110), 제1 및 제2 COF(130, 140)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의 표시장치(300)는 인쇄회로기판(110)과 직접 연결된 제1 COF(130)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110)으로부터 이격된 적어도 2 이상의 제2 COF(14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COF(130, 140)의 세부 구성과, 전원부(113) 및 타이밍 제어부(111)를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110)의 구성 및 표시패널(120) 가장자리에 위치한 LOG들은 도 2 내지 도 5의 실시 예의 표시장치의 기술적 특징을 채용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의 표시장치(300)는 인쇄회로기판(110) 및 제1 COF(130)가 표시패널(120)의 일측 모서리 가장자리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또 다른 실시 예의 표시장치(300)는 디자인이나 용도에 따라 인쇄회로기판(110)의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의 제2 COF(140)는 전원 및 게이트 제어신호뿐만 아니라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 및 타이밍 제어신호를 표시패널(120)의 LOG에서 제공받을 수 있도록 LOG 패드들을 포함하여 인쇄회로기판(110)으로부터 분리되므로 인쇄회로기판(110)의 사이즈를 줄여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COF(140)는 일반적으로 상기 인쇄회로기판(110)과 연결되는 COF 입력패드가 삭제되므로 상기 COF 입력패드가 위치하는 입력패드영역을 삭제하여 전체 사이즈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COF(140)는 사이즈를 줄여 제조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실시 예는 상기 제2 COF(140)와 인쇄회로기판(110)의 패드연결 공정을 삭제하므로 제조 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실시 예의 표시장치(300)는 커브드 표시장치 또는 플랙서블 표시장치에 적용되는 경우, 인쇄회로기판(110)으로부터 분리된 제2 COF(140)들에 의해 COF 데미지에 의한 불량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실시 예의 표시장치(300)는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된 서로 상이한 해상도를 갖는 표시패널(120)의 경우, 상기 제1 및 제2 COF(130, 140)를 해당 영역에 선택적으로 배치하므로 제조비용을 줄이면서 영역별로 상이한 해상도의 영상을 구현할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들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해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실시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실시예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실시예가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설정하는 실시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표시장치
110: 인쇄회로기판
113: 전원부
111: 타이밍 제어부
111a: LOG 게이트 제어 배선
111b: LOG 데이터 제어 배선
113a: LOG 전원 배선
113b: COF 전원 배선
113c: 패널 전원 배선
130: 제1 COF
140: 제2 COF
150: 데이터 드라이버 IC

Claims (8)

  1. 전원부 및 타이밍 제어부를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
    출력패드들과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연결되는 입력패드들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제1 COF(Chip On Film);
    상기 제1 COF의 상기 출력패드들과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LOG(Line On Glass)가 배치된 표시패널; 및
    상기 LOG와 연결되며, 상기 제1 COF보다 상대적으로 많은 개수의 출력패드들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제2 COF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패널은 저해상도 영역 및 상기 저해상도 영역보다 더 많은 데이터 라인들을 갖는 고해상도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 COF보다 상대적으로 출력패드의 개수가 적은 상기 제1 COF는 상기 저해상도 영역에 연결되고, 상기 제2 COF는 상기 고해상도 영역에 연결되고,
    상기 제2 COF는 가장자리에 배치된 제1 LOG 패드 및 제2 LOG 패드, 그리고 서로 연결된 제1 입력 배선 및 제2 입력 배선을 포함하며,
    상기 제1 LOG 패드는 상기 제2 COF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된 COF 전원 배선과, 상기 전원부와 연결된 LOG 전원 배선을 연결시키고,
    상기 제1 LOG 패드는 상기 COF 전원 배선과, 상기 표시패널의 액티브 영역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된 패널 전원 배선을 연결시키고,
    상기 제2 LOG 패드는 상기 제2 입력 배선과, 상기 타이밍 제어부와 연결된 LOG 데이터 제어 배선을 연결시키는 표시장치.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COF는 데이터 드라이브 IC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입력 배선은 상기 제2 COF의 상기 데이터 드라이브 IC의 입력단에 연결되며,
    상기 제1 입력 배선 및 제2 입력 배선은 서로 다른 층에 배치된 표시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력 배선 및 제2 입력 배선은 연결하는 비아홀(via hole)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5. 삭제
  6. 삭제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은 장축 방향을 따라 일정한 곡률을 갖는 표시장치.
  8. 삭제
KR1020150137590A 2015-09-30 2015-09-30 표시장치 KR1023943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7590A KR102394393B1 (ko) 2015-09-30 2015-09-30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7590A KR102394393B1 (ko) 2015-09-30 2015-09-30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8338A KR20170038338A (ko) 2017-04-07
KR102394393B1 true KR102394393B1 (ko) 2022-05-03

Family

ID=58583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7590A KR102394393B1 (ko) 2015-09-30 2015-09-30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439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4436B1 (ko) 2017-12-18 2023-03-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200052486A (ko) 2018-11-06 2020-05-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10045567A (ko) 2019-10-16 2021-04-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10108524A (ko) 2020-02-25 2021-09-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1843B1 (ko) * 2001-03-26 2003-07-16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의 실장 방법 및 그 구조
KR100928489B1 (ko) * 2003-06-26 2009-11-2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라인 온 글래스형 액정 표시 장치
KR20050064385A (ko) * 2003-12-23 2005-06-29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패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8338A (ko) 2017-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932979B (zh) 阵列基板和包括其的显示装置
US9697786B2 (en) Display device
KR102412456B1 (ko) 표시장치
US9398687B2 (en) Display device including line on glass
KR102020938B1 (ko) 액정표시장치
KR102216659B1 (ko) 액정표시장치의 픽셀 어레이
JP2008116964A (ja)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US9423660B2 (en) Display panel
KR101549260B1 (ko) 액정표시장치
US8289255B2 (en) Electro-optical apparatus and display thereof
KR102394393B1 (ko) 표시장치
US11086449B2 (en) Driving circuit, touch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10013935B2 (en) Gate driver, display device with the same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20120147069A1 (en) Liquid crystal display and method for driving panel thereof
US9070315B2 (en) Display device
US11435846B2 (en) Touch display device, driver circuit, and driving method
KR102107408B1 (ko) 액정표시장치
US9666147B2 (en) Data driving apparatus providing data signals to data lines in a display apparatus
US10176779B2 (en) Display apparatus
KR102411379B1 (ko) 표시패널과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KR102277714B1 (ko) 게이트 드라이버 및 이를 구비한 표시장치
KR102598815B1 (ko) 표시장치
KR102075355B1 (ko) 액정표시장치
KR102262709B1 (ko) 평판표시장치
KR102662960B1 (ko) 면적이 감소된 연성필름 및 이를 구비한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