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3646B1 - 드론 투하형 디바이스를 위한 낙하산 결속 해제 장치 - Google Patents

드론 투하형 디바이스를 위한 낙하산 결속 해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3646B1
KR102393646B1 KR1020200143560A KR20200143560A KR102393646B1 KR 102393646 B1 KR102393646 B1 KR 102393646B1 KR 1020200143560 A KR1020200143560 A KR 1020200143560A KR 20200143560 A KR20200143560 A KR 20200143560A KR 102393646 B1 KR102393646 B1 KR 1023936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achute
binding
width
drone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35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민환
이상신
권영민
이승우
김성섭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2001435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36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36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36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17/00Parachutes
    • B64D17/22Load suspension
    • B64D17/38Releasable fastening devices between parachute and load or p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1/00Dropping, ejecting, releasing, or receiving articles, liquids, or the like, in flight
    • B64D1/02Dropping, ejecting, or releasing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oys (AREA)

Abstract

지상에서 역할을 수행하는 드론 투하형 디바이스를 위한 낙하산 결속 해제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낙하산 결속 해제 장치는, 상측이 낙하산과 연결되는 제1 부재; 및 제1 부재와 결속 가능하도록 형성되되, 드론에 의해 투하되는 디바이스에 연결되어, 디바이스 무게의 작용 여부에 따라 결속 상태 또는 결속 해제 상태가 되는 제2 부재;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드론에서 투하되어 지상에서 역할을 수행하는 드론 투하형 디바이스에 낙하산이 결속된 상태로 드론에 수납 및 투하되도록 하되, 디바이스가 지상에 착지된 이후에는 낙하산의 결속이 해제되도록 함으로써, 드론 투하형 디바이스가 높은 고도에서 투하될 경우, 디바이스가 부서지거나, 지상에 위치하는 사람에게 부상을 입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지상에 착지한 이후, 낙하산이 디바이스를 덮어버리거나 또는 바람에 의해 디바이스가 끌려가는 상황이 발생하여, 디바이스가 정상적으로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드론 투하형 디바이스를 위한 낙하산 결속 해제 장치{Parachute releasing device for drone dropping device}
본 발명은 낙하산 결속 해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드론에서 투하되어, 지상에서 역할을 수행하는 드론 투하형 디바이스를 위한 낙하산 결속 해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드론에서 투하되어, 지상에서 조난자 위치 확인 또는 화재 감지 등의 역할을 수행하는 드론 투하형 디바이스는, 높은 고도에서 투하될 경우, 디바이스가 부서지거나, 지상에 위치하는 사람에게 부상을 입힐 염려가 있어, 낙하산을 활용할 수 있다.
그러나, 드론 투하형 디바이스는, 낙하산 활용 시, 적절한 시점에서 낙하산이 분리되지 않으면, 지상에 착지한 이후, 낙하산이 디바이스를 덮어버리거나 또는 바람에 의해 디바이스가 끌려가는 상황이 발생하여, 디바이스가 정상적으로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드론 투하형 디바이스가 드론에서 투하될 경우, 낙하 속도 감속을 위해, 디바이스에 낙하산이 결속된 상태로 투하되도록 하고, 지상에 착지된 이후, 낙하산의 결속이 해제되도록 하는 방안의 모색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드론에서 투하되어 지상에서 역할을 수행하는 드론 투하형 디바이스에 낙하산이 결속된 상태로 드론에 수납 및 투하되도록 하되, 디바이스가 지상에 착지된 이후에는 낙하산의 결속이 해제되도록 하는 드론 투하형 디바이스를 위한 낙하산 결속 해제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낙하산 결속 해제 장치는, 상측이 낙하산과 연결되는 제1 부재; 및 제1 부재와 결속 가능하도록 형성되되, 드론에 의해 투하되는 디바이스에 연결되어, 디바이스 무게의 작용 여부에 따라 결속 상태 또는 결속 해제 상태가 되는 제2 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낙하산 결속 해제 장치는, 상호 간에 결속된 제1 부재와 제2 부재를 외측에서 덮어주도록 형성되어, 제1 부재와 제2 부재 간 결속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결속유지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부재는, 결속유지 커버가 벗겨진 이후, 디바이스의 무게가 작용하지 않으면, 제1 부재로부터 이탈되어, 결속 해제 상태가 될 수 있다.
또한, 제2 부재는, 일측 상단이 돌출형성되고, 돌출형성된 일측 상단 부분의 상면과 하면이 사선면으로 형성되고, 제1 부재는, 돌출형성된 제2 부재의 일측 상단 부분이 사선면으로 형성된 상면과 하면 중 어느 하나를 따라 인입되도록, 일측 중단에 상면과 하면이 사선면으로 형성되는 인입홈이 마련되고, 제2 부재는, 디바이스의 무게가 작용하지 않는 경우, 사선면으로 형성된 인입홈의 상면을 따라 제1 부재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낙하산 결속 해제 장치는, 제1 부재의 사선면에 장착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부재는, 제1 부재와 결속된 상태로, 결속유지 커버에 의해 덮어지며, 결속유지 커버가 벗겨진 이후, 디바이스 무게가 작용하지 않아 탄성부재에 의해 상측으로 밀리면, 사선면으로 형성된 인입홈의 상면을 따라 제1 부재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낙하산 결속 해제 장치는, 결속유지 커버의 일측에 연결되어, 물리력이 가해져 당겨지면, 연결된 결속유지 커버가 벗겨지도록 하는 커버 분리용 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커버 분리용 끈은, 낙하산이 펼쳐지는 과정에서 상측으로 당겨짐에 따라, 결속유지 커버가 벗겨지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커버 분리용 끈은. 낙하산이 펼쳐지는 과정에서 상측으로 당겨지도록, 일측이 결속유지 커버의 일측에 연결되고, 타측이 낙하산이 완전히 펼쳐지는 경우, 낙하산 최상단이 되는 지점에 연결되되, 전체 길이가 결속유지 커버의 일측으로부터 낙하산 최상단이 되는 지점까지의 거리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결속 해제 장치가 구비된 낙하산 시스템은, 드론에 투하되는 디바이스의 착지를 위해 마련되는 낙하산; 및 상측이 낙하산과 연결되는 제1 부재와 제1 부재와 결속 가능하도록 형성되되, 드론에 의해 투하되는 디바이스에 연결되어, 디바이스 무게의 작용 여부에 따라 결속 상태 또는 결속 해제 상태가 되는 제2 부재가 구비되는 낙하산 결속 해제 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낙하산 결속 해제 장치는, 상측이 낙하산과 연결되는 제1 부재; 제1 부재와 결속 가능하도록 형성되되, 드론에 의해 투하되는 디바이스에 연결되는 제2 부재; 및 상호 간에 결속된 제1 부재와 제2 부재를 외측에서 덮어주도록 형성되어, 제1 부재와 제2 부재 간 결속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결속유지 커버;를 포함하고, 이때, 제2 부재는, 결속유지 커버가 벗겨진 이후, 연결된 디바이스의 무게가 작용하지 않으면, 제1 부재로부터 이탈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결속 해제 장치가 구비된 낙하산 시스템은, 드론에 투하되는 디바이스의 착지를 위해 마련되는 낙하산; 및 상측이 낙하산과 연결되는 제1 부재, 제1 부재와 결속 가능하도록 형성되되, 드론에 의해 투하되는 디바이스에 연결되는 제2 부재 그리고 상호 간에 결속된 제1 부재와 제2 부재를 외측에서 덮어주도록 형성되어, 제1 부재와 제2 부재 간 결속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결속유지 커버가 구비되는 낙하산 결속 해제 장치;를 포함하고, 이때, 낙하산 결속 해제 장치는, 결속유지 커버가 벗겨진 이후, 연결된 디바이스의 무게가 작용하지 않으면, 제2 부재가 결속된 제1 부재로부터 이탈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드론에서 투하되어 지상에서 역할을 수행하는 드론 투하형 디바이스에 낙하산이 결속된 상태로 드론에 수납 및 투하되도록 하되, 디바이스가 지상에 착지된 이후에는 낙하산의 결속이 해제되도록 함으로써, 드론 투하형 디바이스가 높은 고도에서 투하될 경우, 디바이스가 부서지거나, 지상에 위치하는 사람에게 부상을 입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지상에 착지한 이후, 낙하산이 디바이스를 덮어버리거나 또는 바람에 의해 디바이스가 끌려가는 상황이 발생하여, 디바이스가 정상적으로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낙하산 결속 해제 장치가 구비된 낙하산 시스템의 설명에 제공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낙하산 결속 해제 장치가 구비된 낙하산 시스템을 이용하여 드론 투하형 디바이스의 배포 과정의 설명에 제공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낙하산 결속 해제 장치의 상세한 설명에 제공된 도면,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분리용 끈의 설명에 제공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낙하산 결속 해제 장치가 구비된 낙하산 시스템의 설명에 제공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낙하산 결속 해제 장치가 구비된 낙하산 시스템을 이용하여 드론 투하형 디바이스(10)의 배포 과정의 설명에 제공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낙하산 결속 해제 장치(131)의 상세한 설명에 제공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낙하산 결속 해제 장치가 구비된 낙하산 시스템은, 드론 투하형 디바이스(10)가 높은 고도에서 투하될 경우, 디바이스(10)가 부서지거나, 지상에 위치하는 사람에게 부상을 입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마련된다.
이를 위해, 본 낙하산 결속 해제 장치가 구비된 낙하산 시스템은, 드론에 투하되는 드론 투하형 디바이스(10)('이하에서는 '디바이스'로 총칭하기로 함)의 착지를 위해 마련되는 낙하산(110)과 디바이스(10)에 낙하산(110)이 결속된 상태로 드론에 수납 및 투하되도록 하되, 디바이스(10)가 지상에 착지된 이후에는 낙하산(110)의 결속이 해제되도록 하는 낙하산 결속 해제 장치(131)를 포함할 수 있다.
낙하산 결속 해제 장치(131)는, 드론에 수납되는 경우, 상측에 낙하산(110)이 결속되고, 하측에 디바이스(10)가 결속되어, 드론에 수납될 수 있다.
그리고 드론이 디바이스(10)를 투하하게 되면, 디바이스(10)에 결속된 낙하산 결속 해제 장치(131)와 낙하산 결속 해제 장치(131)에 결속된 낙하산(110)이 함께 낙하하게 된다.
낙하산(110)은 디바이스(10)가 투하되면, 우선 낙하산(110)의 일부분이 펼쳐지는 부분 전개 과정을 거쳐 낙하산(110)이 완전히 펼쳐지는 완전 전개 상태가 되어, 지상에 착지하게 된다.
그리고 낙하산 결속 해제 장치(131)는,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낙하산(110)이 부분 전개 상태인 경우, 디바이스(10)의 무게가 작용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하되, 낙하산(110)이 완전 전개 상태가 되면, 디바이스(10)의 무게가 작용하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낙하산 결속 해제 장치(131)는, 디바이스(10)가 지상에 착지하게 되면, 다시 디바이스(10)의 무게가 작용하지 않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낙하산 결속 해제 장치(131)는, 디바이스(10) 무게의 작용 여부를 이용하여, 디바이스(10)가 지상에 착지하게 됨을 인식할 수 있으며, 이때, 낙하산(110)과의 결속이 해제되도록 함으로써, 지상에 착지한 낙하산(110)이 디바이스(10)를 덮어버리거나 또는 바람에 의해 디바이스(10)가 끌려가는 상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낙하산 결속 해제 장치(131)는, 제1 부재(131), 제2 부재(132), 탄성부재(133), 결속유지 커버(134) 및 커버 분리용 끈(135)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부재(131)는, 상측이 낙하산(110)과 연결되도록 형성되며, 제2 부재(132)는, 제1 부재(131)와 결속 가능하도록 형성되되, 드론에 의해 투하되는 디바이스(10)에 연결되어, 디바이스(10) 무게의 작용 여부에 따라 결속 상태 또는 결속 해제 상태가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부재(131) 및 제2 부재(132)가 결속 상태이냐 아니면 결속 해제 상태이냐에 따라 디바이스(10)가 낙하산(110)과 결속 상태이냐, 결속 해제 상태이냐가 결정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제2 부재(132)는, 일측 상단이 돌출형성되고, 돌출형성된 일측 상단 부분의 상면과 하면이 사선면으로 형성되고, 제1 부재(131)는, 돌출형성된 제2 부재(132)의 일측 상단 부분이 사선면으로 형성된 상면(상측 사선면)과 하면(하측 사선면) 중 어느 하나를 따라 인입되도록, 일측 중단에 상면과 하면이 사선면으로 형성되는 인입홈이 마련되어, 디바이스(10)의 무게가 작용하지 않는 경우, 제2 부재(132)가, 사선면으로 형성된 인입홈의 상면을 따라 제1 부재(131)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 부재(132)는, 디바이스(10)의 무게가 작용하는 경우, 디바이스(10)의 무게에 따른 물리력이 제2 부재(132)에 작용하여, 제2 부재(132)가 아래 방향으로 당겨지게 되어, 하측에 배치되는 제1 부재(131)의 사선면이 상측에 배치되는 제2 부재(132)의 사선면과 밀착한 상태를 유지하여, 제2 부재(132)와 제1 부재(131)의 결속 상태가 유지된다.
그리고 제2 부재(132)는, 디바이스(10)의 무게가 작용하지 않는 경우, 아래 방향으로 당겨지는 물리력이 작용하지 않게 되어, 제2 부재(132)가 하측에 배치되는 제1 부재(131)의 사선면을 따라 제1 부재(131)로부터 이탈되어, 결속 해제 상태가 될 수 있다.
탄성부재(133)는, 제1 부재(131)의 하측 사선면에 장착되어, 디바이스(10)의 무게가 작용하지 않는 경우, 제2 부재(132)를 상측으로 밀어, 제2 부재(132)가 제1 부재(131)로부터 이탈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결속유지 커버(134)는, 상호 간에 결속된 제1 부재(131)와 제2 부재(132)를 외측에서 덮어주도록 형성되어, 제1 부재(131)와 제2 부재(132) 간 결속 상태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커버 분리용 끈(135)은, 결속유지 커버(134)의 일측에 연결되어, 물리력이 가해져 당겨지면, 연결된 결속유지 커버(134)가 벗겨지도록 할 수 있다.
즉, 제2 부재(132)는, 제1 부재(131)와 결속된 상태로, 결속유지 커버(134)에 의해 덮어지며, 제1 부재(131)와 제2 부재(132) 간의 상호 결속 상태는, 디바이스(10)의 무게에 의해 결속 상태가 유지된다.
그리고 제2 부재(132)는, 결속유지 커버(134)가, 커버 분리용 끈(135)에 의해 벗겨진 이후, 디바이스(10)의 무게가 작용하지 않아 탄성부재(133)에 의해 상측으로 밀리면, 사선면을 따라 제1 부재(131)로부터 이탈되는 것이다.
이때, 탄성부재(133)의 탄성력은 디바이스(10) 무게에 의해 작용하는 힘보다 더 약해야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분리용 끈(135)의 설명에 제공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낙하산 결속 해제 장치(131)는, 드론에 수납된 상태부터, 투하되어, 낙하산(110)이 부분 전개 상태가 될 때까지, 낙하산(110)과 결속 상태가 유지되어야 하기 때문에, 결속유지 커버(134)가, 제1 부재(131)와 제2 부재(132) 간 결속 상태가 유지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낙하산 결속 해제 장치(131)는, 낙하산(110)이 완전 전개 상태가 된 이후, 디바이스(10)가 지상에 착지하게 되는 경우, 결속유지 커버(134)가 제거되어, 제1 부재(131)와 제2 부재(132) 간 결속 해제 상태가 되어야 하기 때문에, 결속유지 커버(134)는, 디바이스(10)가 지상에 착지되기 이전에 제거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낙하산 결속 해제 장치(131)는, 커버 분리용 끈(135)을 이용하여, 낙하산(110)이 펼쳐지는 과정에서 결속유지 커버(134)가 제거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버 분리용 끈(135)은 일측이 결속유지 커버(134)의 일측에 연결되고, 타측이 낙하산(110)이 완전히 펼쳐지는 경우,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낙하산(110) 최상단이 되는 지점에 연결되되, 전체 길이가 결속유지 커버(134)의 일측으로부터 낙하산(110) 최상단이 되는 지점까지의 거리보다 짧게 형성되어, 낙하산(110)이 펼쳐지는 과정에서 완전 전개 상태가 되거나 또는 완전 전개 상태가 되기 직전에, 커버 분리용 끈(135)이 상측으로 당겨짐에 따라, 결속유지 커버(134)가 벗겨져 제거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드론에 수납된 상태부터, 투하되어, 낙하산(110)이 부분 전개 상태가 될 때까지, 낙하산(110)과 결속 상태가 유지되고, 낙하산(110)이 펼쳐지는 과정에서 완전 전개 상태가 되거나 또는 완전 전개 상태가 되기 직전에, 결속유지 커버(134)가 제거되어, 디바이스(10)가 지상에 착지하게 되면, 낙하산(110)과 체결 결속 해제가 될 수 있어, 드론 투하형 디바이스(10)가 높은 고도에서 투하될 경우, 디바이스(10)가 부서지거나, 지상에 위치하는 사람에게 부상을 입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지상에 착지한 이후, 낙하산(110)이 디바이스(10)를 덮어버리거나 또는 바람에 의해 디바이스(10)가 끌려가는 상황이 발생하여, 디바이스(10)가 정상적으로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 : 드론 투하형 디바이스
110 : 낙하산
130 : 낙하산 결속 해제 장치
131 : 제1 부재
132 : 제2 부재
133 : 탄성부재
134 : 결속유지 커버
135 : 커버 분리용 끈

Claims (12)

  1. 상측이 낙하산과 연결되는 제1 부재; 및
    제1 부재와 결속 가능하도록 형성되되, 드론에 의해 투하되는 디바이스에 연결되어, 디바이스 무게의 작용 여부에 따라 결속 상태 또는 결속 해제 상태가 되는 제2 부재;를 포함하고,
    제2 부재는,
    일측 상단이 돌출형성되고, 돌출형성된 일측 상단 부분의 상면과 하면이 사선면으로 형성되고,
    제1 부재는,
    돌출형성된 제2 부재의 일측 상단 부분이 사선면으로 형성된 상면과 하면 중 어느 하나를 따라 인입되도록, 일측 중단에 상면과 하면이 사선면으로 형성되는 인입홈이 마련되고,
    제2 부재는,
    디바이스의 무게가 작용하지 않는 경우, 사선면으로 형성된 인입홈의 상면을 따라 제1 부재로부터 이탈되며,
    제2 부재에서, 돌출형성된 일측 상단의 폭은 돌출형성되지 않은 타측 상단의 폭과 동일하고,
    제1 부재의 인입홈의 폭은 제2 부재의 돌출형성된 일측 상단의 폭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산 결속 해제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호 간에 결속된 제1 부재와 제2 부재를 외측에서 덮어주도록 형성되어, 제1 부재와 제2 부재 간 결속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결속유지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산 결속 해제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제2 부재는,
    결속유지 커버가 벗겨진 이후, 디바이스의 무게가 작용하지 않으면, 제1 부재로부터 이탈되어, 결속 해제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산 결속 해제 장치.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 부재의 하측 사선면에 장착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산 결속 해제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제2 부재는,
    제1 부재와 결속된 상태로, 결속유지 커버에 의해 덮어지며, 결속유지 커버가 벗겨진 이후, 디바이스 무게가 작용하지 않아 탄성부재에 의해 상측으로 밀리면, 사선면으로 형성된 인입홈의 상면을 따라 제1 부재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산 결속 해제 장치.
  7. 청구항 2에 있어서,
    결속유지 커버의 일측에 연결되어, 물리력이 가해져 당겨지면, 연결된 결속유지 커버가 벗겨지도록 하는 커버 분리용 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산 결속 해제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커버 분리용 끈은,
    낙하산이 펼쳐지는 과정에서 상측으로 당겨짐에 따라, 결속유지 커버가 벗겨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산 결속 해제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커버 분리용 끈은.
    낙하산이 펼쳐지는 과정에서 상측으로 당겨지도록, 일측이 결속유지 커버의 일측에 연결되고, 타측이 낙하산이 완전히 펼쳐지는 경우, 낙하산 최상단이 되는 지점에 연결되되, 전체 길이가 결속유지 커버의 일측으로부터 낙하산 최상단이 되는 지점까지의 거리보다 짧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산 결속 해제 장치.
  10. 드론에 투하되는 디바이스의 착지를 위해 마련되는 낙하산; 및
    상측이 낙하산과 연결되는 제1 부재와 제1 부재와 결속 가능하도록 형성되되, 드론에 의해 투하되는 디바이스에 연결되어, 디바이스 무게의 작용 여부에 따라 결속 상태 또는 결속 해제 상태가 되는 제2 부재가 구비되는 낙하산 결속 해제 장치;를 포함하고,
    제2 부재는,
    일측 상단이 돌출형성되고, 돌출형성된 일측 상단 부분의 상면과 하면이 사선면으로 형성되고,
    제1 부재는,
    돌출형성된 제2 부재의 일측 상단 부분이 사선면으로 형성된 상면과 하면 중 어느 하나를 따라 인입되도록, 일측 중단에 상면과 하면이 사선면으로 형성되는 인입홈이 마련되고,
    제2 부재는,
    디바이스의 무게가 작용하지 않는 경우, 사선면으로 형성된 인입홈의 상면을 따라 제1 부재로부터 이탈되며,
    제2 부재에서, 돌출형성된 일측 상단의 폭은 돌출형성되지 않은 타측 상단의 폭과 동일하고,
    제1 부재의 인입홈의 폭은 제2 부재의 돌출형성된 일측 상단의 폭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 해제 장치가 구비된 낙하산 시스템.
  11. 상측이 낙하산과 연결되는 제1 부재;
    제1 부재와 결속 가능하도록 형성되되, 드론에 의해 투하되는 디바이스에 연결되는 제2 부재; 및
    상호 간에 결속된 제1 부재와 제2 부재를 외측에서 덮어주도록 형성되어, 제1 부재와 제2 부재 간 결속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결속유지 커버;를 포함하고,
    제2 부재는,
    결속유지 커버가 벗겨진 이후, 연결된 디바이스의 무게가 작용하지 않으면, 제1 부재로부터 이탈되고,
    제2 부재는,
    일측 상단이 돌출형성되고, 돌출형성된 일측 상단 부분의 상면과 하면이 사선면으로 형성되고,
    제1 부재는,
    돌출형성된 제2 부재의 일측 상단 부분이 사선면으로 형성된 상면과 하면 중 어느 하나를 따라 인입되도록, 일측 중단에 상면과 하면이 사선면으로 형성되는 인입홈이 마련되고,
    제2 부재는,
    디바이스의 무게가 작용하지 않는 경우, 사선면으로 형성된 인입홈의 상면을 따라 제1 부재로부터 이탈되며,
    제2 부재에서, 돌출형성된 일측 상단의 폭은 돌출형성되지 않은 타측 상단의 폭과 동일하고,
    제1 부재의 인입홈의 폭은 제2 부재의 돌출형성된 일측 상단의 폭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산 결속 해제 장치.
  12. 드론에 투하되는 디바이스의 착지를 위해 마련되는 낙하산; 및
    상측이 낙하산과 연결되는 제1 부재, 제1 부재와 결속 가능하도록 형성되되, 드론에 의해 투하되는 디바이스에 연결되는 제2 부재 그리고 상호 간에 결속된 제1 부재와 제2 부재를 외측에서 덮어주도록 형성되어, 제1 부재와 제2 부재 간 결속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결속유지 커버가 구비되는 낙하산 결속 해제 장치;를 포함하고,
    낙하산 결속 해제 장치는,
    결속유지 커버가 벗겨진 이후, 연결된 디바이스의 무게가 작용하지 않으면, 제2 부재가 결속된 제1 부재로부터 이탈되고,
    제2 부재는,
    일측 상단이 돌출형성되고, 돌출형성된 일측 상단 부분의 상면과 하면이 사선면으로 형성되고,
    제1 부재는,
    돌출형성된 제2 부재의 일측 상단 부분이 사선면으로 형성된 상면과 하면 중 어느 하나를 따라 인입되도록, 일측 중단에 상면과 하면이 사선면으로 형성되는 인입홈이 마련되고,
    제2 부재는,
    디바이스의 무게가 작용하지 않는 경우, 사선면으로 형성된 인입홈의 상면을 따라 제1 부재로부터 이탈되며,
    제2 부재에서, 돌출형성된 일측 상단의 폭은 돌출형성되지 않은 타측 상단의 폭과 동일하고,
    제1 부재의 인입홈의 폭은 제2 부재의 돌출형성된 일측 상단의 폭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 해제 장치가 구비된 낙하산 시스템.
KR1020200143560A 2020-10-30 2020-10-30 드론 투하형 디바이스를 위한 낙하산 결속 해제 장치 KR1023936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3560A KR102393646B1 (ko) 2020-10-30 2020-10-30 드론 투하형 디바이스를 위한 낙하산 결속 해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3560A KR102393646B1 (ko) 2020-10-30 2020-10-30 드론 투하형 디바이스를 위한 낙하산 결속 해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3646B1 true KR102393646B1 (ko) 2022-05-04

Family

ID=81584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3560A KR102393646B1 (ko) 2020-10-30 2020-10-30 드론 투하형 디바이스를 위한 낙하산 결속 해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364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10050323A1 (en) * 1999-12-24 2001-12-13 Brownell David B. Parachute opening apparatus
JP3565999B2 (ja) * 1996-09-04 2004-09-15 ダイセル化学工業株式会社 パラシュート分離装置
CN106995060A (zh) * 2017-04-20 2017-08-01 长光卫星技术有限公司 一种无人机自动切伞器
JP2019069749A (ja) * 2017-08-17 2019-05-09 臼井 芳雄 宇宙飛翔体およびデブリ除去システム
CN111661341A (zh) * 2020-06-03 2020-09-15 北京电子科技职业学院 一种无人机自动脱伞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65999B2 (ja) * 1996-09-04 2004-09-15 ダイセル化学工業株式会社 パラシュート分離装置
US20010050323A1 (en) * 1999-12-24 2001-12-13 Brownell David B. Parachute opening apparatus
CN106995060A (zh) * 2017-04-20 2017-08-01 长光卫星技术有限公司 一种无人机自动切伞器
JP2019069749A (ja) * 2017-08-17 2019-05-09 臼井 芳雄 宇宙飛翔体およびデブリ除去システム
CN111661341A (zh) * 2020-06-03 2020-09-15 北京电子科技职业学院 一种无人机自动脱伞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389880A (en) Parachute system for mid-air load recovery
US6056242A (en) Parachute release apparatus and method
US6824102B2 (en) Parafoil mid-air retrieval
EP2981462A2 (en) Helicopter-mediated system and method for launching and retrieving an aircraft
US3724788A (en) Rapid extraction system
US7967254B2 (en) Sling release mechanism
US20070063103A1 (en) Parachute release apparatus
US20110121138A1 (en) Low payload weight parachute release-away static line
FR2923801A1 (fr) Dispositif de liberation d'un parachute principal et d'ouverture d'un parachute de secours.
KR102393646B1 (ko) 드론 투하형 디바이스를 위한 낙하산 결속 해제 장치
CN112135774A (zh) 无人飞行体、飞行体控制系统及搬运方法
US4664342A (en) Methods of deploying parachutes
US5618011A (en) Load securing and releasing system
US6431495B1 (en) Single release system
US3173718A (en) Parachute connectors
US6241190B1 (en) Towplate positive lock device
CN105217036A (zh) 牵引空投抛伞装置
FR2989064A1 (fr) Perfectionnement pour sellette de parapente
US4264098A (en) Mechanical cable disconnect device
KR20180024720A (ko) 수직이착륙 무인기의 함상 이착륙 수단
US11498687B1 (en) Parachute release fail-safe
US4225101A (en) Aircraft ejection system collision avoidance system
US2780428A (en) Parachute container
JP3190470B2 (ja) 緩衝材の装着構造
US3623681A (en) Aircraft location mark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