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3633B1 - 데이터 전송 방법, 단말 장치와 네트워크 장치 - Google Patents

데이터 전송 방법, 단말 장치와 네트워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3633B1
KR102393633B1 KR1020207003290A KR20207003290A KR102393633B1 KR 102393633 B1 KR102393633 B1 KR 102393633B1 KR 1020207003290 A KR1020207003290 A KR 1020207003290A KR 20207003290 A KR20207003290 A KR 20207003290A KR 102393633 B1 KR102393633 B1 KR 1023936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width
bandwidth portion
terminal device
configuration information
data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32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35036A (ko
Inventor
즈 장
Original Assignee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000350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50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36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36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2Arrangements for optimis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04L5/0057Physical resource allocation for CQ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2Selection of wireless resources by user or terminal
    • H04W72/04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H04W72/542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using measured or perceived qu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는 데이터 전송 방법, 단말 장치와 네트워크 장치를 제공하는 바, 해당 방법에는, 단말 장치가 제1 대역폭 부분과 제2 대역폭 부분을 결정하며; 상기 단말 장치가 특정 시간 도메인 자원 상에서, 상기 제1 대역폭 부분을 사용하여 데이터 전송과 무선 자원 관리(RRM) 측정을 진행하고, 또한 상기 특정 시간 도메인 자원을 제외한 기타 시간 도메인 자원 상에서, 상기 제2 대역폭 부분을 사용하여 상기 데이터 전송을 진행하는 것이 포함된다. 데이터 전송과 RRM 측정을 진행할 때 사용되는 대역폭 부분이 단지 데이터 전송을 진행할 때 사용되는 대역폭 부분과 다르기 때문에, 단말 장치는 상응한 대역폭 부분 중에서 효과적으로 데이터 전송을 진행하고, 또한 아울러 RRM 측정의 수요를 만족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데이터 전송 방법, 단말 장치와 네트워크 장치
본 출원의 실시예는 무선 통신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데이터 전송 방법, 단말 장치와 네트워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롱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주파수 도메인 자원은 모두 전체 시스템 대역폭 중에서 할당한다. 하지만 5G 엔알(New Radio, NR) 시스템에서, 시스템 대역폭이 크게 증가되었기 때문에, 단말 장치의 전송 대역폭은 단지 시스템 대역폭의 일부분만 차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네트워크 장치가 시스템 대역폭을 다수의 전송 주파수 대역으로 분할하고, 각 전송 주파수 대역을 하나의 대역폭 부분(Bandwidth Part, BWP)이라고 칭하며, 단말 장치는 단지 그 상응한 대역폭 부분 내에서 데이터 전송을 진행하기만 하면 된다.
5G 시스템에서, 단말 장치가 무선 자원 관리(Radio Resource Management, RRM) 측정을 진행할 때, 다른 셀로부터의 신호, 예를 들면 동기화 신호 블럭(Synchronization Signal Block, SS Block)이 다른 주파수 위치에 위치할 할 수 있기 때문에, 단말 장치는 다른 주파수 위치에서 다른 셀의 신호에 대하여 측정을 진행하여야 한다. 만일 다른 셀로부터의 SS block이 위치하는 다른 주파수 위치가 주파수 도메인 상에서 아치가 아주 크면, 비교적 큰 수신 대역폭을 사용하여야만 동시에 모든 셀의 SS Block을 수신할 수 있다. 이때, 네트워크 장치가 단말 장치로 구성한 데이터 전송을 위한 BWP는 단말 장치가 RRM 측정을 진행하는 수요를 만족시키지 못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는 데이터 전송 방법, 단말 장치와 네트워크 장치를 제공하며, 단말 장치는 이에 대응되는 대역폭 부분 내에서 효과적으로 데이터 전송을 진행하고, 또한 아울러 RRM 측정의 수요를 만족시킬 수 있다.
제1 방면으로, 데이터 전송 방법을 제공하는 바, 단말 장치가 제1 대역폭 부분과 제2 대역폭 부분을 결정하며; 상기 단말 장치가 특정 시간 도메인 자원 상에서, 상기 제1 대역폭 부분을 사용하여 데이터 전송과 무선 자원 관리(RRM) 측정을 진행하고, 또한 상기 특정 시간 도메인 자원을 제외한 기타 시간 도메인 자원 상에서, 상기 제2 대역폭 부분을 사용하여 상기 데이터 전송을 진행하는 것이 포함된다.
그러므로, 단말 장치가 두 개의 다른 전송 대역폭을 결정하고, 또한 다른 조작을 실행할 때 다른 대역폭 부분을 사용하며, 데이터 전송과 RRM 측정을 진행할 때 사용되는 대역폭 부분이 단지 데이터 전송을 진행할 때 사용되는 대역폭 부분과 다르기 때문에, 단말 장치는 상응한 대역폭 부분 중에서 효과적으로 데이터 전송을 진행하고, 또한 아울러 RRM 측정의 수요를 만족시킬 수 있다.
일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단말 장치가 제1 대역폭 부분과 제2 대역폭 부분을 결정하는 것에는, 상기 단말 장치가,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제1 구성 정보와 제2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바, 상기 제1 구성 정보에는 상기 제1 대역폭 부분의 대역폭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제2 구성 정보에는 상기 제2 대역폭 부분의 대역폭 정보가 포함되며;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1 구성 정보에 의하여 제1 대역폭 부분을 결정하고, 또한 상기 제2 구성 정보에 의하여 상기 제2 대역폭 부분을 결정하는 것이 포함된다.
일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단말 장치가 제1 대역폭 부분과 제2 대역폭 부분을 결정하는 것에는, 상기 단말 장치가,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제2 구성 정보와 제3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바, 상기 제2 구성 정보에는 상기 제2 대역폭 부분의 대역폭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제3 구성 정보에는 상기 RRM 측정 중의 상기 단말 장치가 측정하고자 하는 적어도 하나의 신호가 차지하는 주파수 대역의 정보가 포함되며;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2 구성 정보에 의하여 제2 대역폭 부분을 결정하고, 또한 상기 제3 구성 정보에 의하여 제3 대역폭 부분을 결정하는 바, 상기 제3 대역폭 부분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신호가 차지하는 주파수 대역이 포함되며;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2 대역폭 부분과 상기 제3 대역폭 부분에 의하여, 상기 제1 대역폭 부분을 결정하는 것이 포함된다.
일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제1 대역폭 부분에는 상기 제2 대역폭 부분과 상기 제3 대역폭 부분이 포함되고, 상기 제2 대역폭 부분은 상기 제3 대역폭 부분과 적어도 일부분이 중첩되거나 또는 중첩되지 않는다.
일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제1 대역폭 부분에는 전체 시스템 대역폭이 포함된다.
일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대역폭 정보에는 하기 중의 적어도 한 가지가 포함되는 바, 즉 중심 주파수, 대역폭 크기와 서브 캐리어 간격이다.
일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특정 시간 도메인 자원에는 시간 주기에 따라 분포되는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이 포함된다.
일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시간 주기는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RRM 측정을 진행하는 시간 주기이다.
일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RRM 측정 중의 상기 단말 장치가 측정하고자 하는 적어도 하나의 신호에는 측정하고자 하는 적어도 하나의 셀의 동기화 신호 블럭(SS Block) 및/또는 채널 상태 지시 참조 신호(CSI-RS)가 포함된다.
제2 방면으로, 데이터 전송 방법을 제공하는 바, 네트워크 장치가 단말 장치로 제1 구성 정보 또는 제3 구성 정보를 송신하는 바, 상기 제1 구성 정보에는 제1 대역폭 부분의 대역폭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제3 구성 정보에는 송신하고자 하는 상기 단말 장치가 무선 자원 관리(RRM) 측정을 진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신호가 차지하는 주파수 대역의 정보가 포함되며, 상기 제1 구성 정보와 상기 제3 구성 정보는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1 대역폭 부분을 결정하도록 하여, 상기 단말 장치가 특정 시간 도메인 자원 상에서, 상기 제1 대역폭 부분을 사용하여 데이터 전송과 상기 RRM 측정을 진행하도록 하며;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단말 장치로 제2 구성 정보를 송신하는 바, 상기 제2 구성 정보에는 상기 제2 대역폭 부분의 대역폭 정보가 포함되어,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특정 시간 도메인 자원을 제외한 기타 시간 도메인 자원 상에서, 상기 제2 대역폭 부분을 사용하여 상기 데이터 전송을 진행하도록 하는 것이 포함된다.
그러므로, 네트워크 장치가 단말 장치가 데이터 전송과 RRM 측정을 진행하는 다른 요구에 의하여, 단말 장치를 위하여 두 개의 다른 대역폭 부분을 구성하여, 단말 장치가 다른 조작을 실행할 때 다른 대역폭 부분을 사용하도록 하며, 데이터 전송과 RRM 측정을 진행할 때 사용되는 대역폭 부분이 단지 데이터 전송을 진행할 때 사용되는 대역폭 부분과 다르기 때문에, 단말 장치는 상응한 대역폭 부분 중에서 효과적으로 데이터 전송을 진행하고, 또한 아울러 RRM 측정의 수요를 만족시킬 수 있다.
일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만일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단말 장치로 상기 제3 구성 정보를 송신한다면, 상기 방법에는 또한,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고자 하는,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RRM 측정을 진행하는데 이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신호가 차지하는 대역폭의 정보에 의하여, 제3 대역폭 부분을 결정하는 바, 그 중에서, 상기 제3 대역폭 부분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신호가 차지하는 주파수 대역이 포함되며;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제2 대역폭 부분과 상기 제3 대역폭 부분에 의하여, 상기 제1 대역폭 부분을 결정하는 것이 포함된다.
일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제1 대역폭 부분에는 상기 제2 대역폭 부분과 제3 대역폭 부분이 포함되고, 상기 제2 대역폭 부분은 상기 제3 대역폭 부분과 적어도 일부분이 중첩되거나 또는 중첩되지 않는다.
일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제1 대역폭 부분에는 전체 시스템 대역폭이 포함된다.
일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대역폭 정보에는 하기 중의 적어도 한 가지가 포함되는 바, 즉 중심 주파수, 대역폭 크기와 서브 캐리어 간격이다.
일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특정 시간 도메인 자원에는 시간 주기에 따라 분포되는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이 포함된다.
일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시간 주기는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RRM 측정을 진행하는 시간 주기이다.
일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송신하고자 하는,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RRM 측정을 진행하는데 이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신호에는 측정하고자 하는 적어도 하나의 셀의 동기화 신호 블럭(SS Block) 및/또는 채널 상태 지시 참조 신호(CSI-RS)가 포함된다.
제3 방면으로, 단말 장치를 제공하는 바, 해당 단말 장치는 상기 제1 방면 또는 제1 방면의 어느 한 선택가능한 구현 방식 중의 단말 장치의 조작을 실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해당 단말 장치에는 상기 제1 방면 또는 제1 방면의 어느 한 선택가능한 구현 방식 중의 단말 장치의 조작을 실행하기 위한 모듈 유닛이 포함된다.
제4 방면으로, 네트워크 장치를 제공하는 바, 해당 네트워크 장치는 상기 제2 방면 또는 제2 방면의 어느 한 선택가능한 구현 방식 중의 네트워크 장치의 조작을 실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해당 네트워크 장치에는 상기 제2 방면 또는 제2 방면의 어느 한 선택가능한 구현 방식 중의 네트워크 장치의 조작을 실행하기 위한 모듈 유닛이 포함된다.
제5 방면으로, 단말 장치를 제공하는 바, 해당 단말 장치에는 프로세서, 송수신기와 기억장치가 포함된다. 그 중에서, 해당 프로세서, 송수신기와 기억장치 사이는 내부 연결 통로를 통하여 상호 통신한다. 해당 기억장치는 명령을 저장하고, 해당 프로세서는 해당 기억장치에 저장된 명령을 실행한다. 해당 프로세서가 해당 기억장치에 저장된 명령을 실행할 때, 해당 실행은 해당 단말 장치가 제1 방면 또는 제1 방면의 어느 한 가능한 구현 방식 중의 방법을 실행하도록 하거나, 또는 해당 실행은 해당 단말 장치가 제3 방면에서 제공하는 단말 장치를 구현하도록 한다.
제6 방면으로, 네트워크 장치를 제공하는 바, 해당 네트워크 장치에는 프로세서, 송수신기와 기억장치가 포함된다. 그 중에서, 해당 프로세서, 송수신기와 기억장치 사이는 내부 연결 통로를 통하여 상호 통신한다. 해당 기억장치는 명령을 저장하고, 해당 프로세서는 해당 기억장치에 저장된 명령을 실행한다. 해당 프로세서가 해당 기억장치에 저장한 명령을 실행할 때, 해당 실행은 해당 네트워크 장치가 제2 방면 또는 제2 방면의 어느 한 가능한 구현 방식 중의 방법을 실행하도록 하거나, 또는 해당 실행은 해당 네트워크 장치가 제4 방면에서 제공하는 네트워크 장치를 구현하도록 한다.
제7 방면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하는 바,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는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프로그램은 단말 장치가 상기 제1 방면, 및 여러 가지 구현 방식 중의 어느 한 데이터 전송 방법을 실행하도록 한다.
제8 방면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하는 바,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는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프로그램은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제2 방면, 및 여러 가지 구현 방식 중의 어느 한 데이터 전송 방법을 실행하도록 한다.
제9 방면으로 시스템 칩을 제공하는 바, 해당 시스템 칩에는 입력 인터페이스, 출력 인터페이스, 프로세서와 기억장치가 포함되고, 해당 프로세서는 해당 기억장치 중의 명령을 실행하며, 해당 명령이 실행될 때, 해당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방면 또는 제1 방면의 임의의 가능한 구현 방식 중의 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제10 방면으로 시스템 칩을 제공하는 바, 해당 시스템 칩에는 입력 인터페이스, 출력 인터페이스, 프로세서와 기억장치가 포함되고, 해당 프로세서는 해당 기억장치 중의 명령을 실행하며, 해당 명령이 실행될 때, 해당 프로세서는 상기 제2 방면 또는 제2 방면의 임의의 가능한 구현 방식 중의 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제11 방면으로, 명령이 포함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하는 바,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컴퓨터 상에서 실행될 때, 해당 컴퓨터가 상기 제1 방면 또는 제1 방면의 임의의 가능한 구현 방식 중의 방법을 실행하도록 한다.
제12 방면으로, 명령이 포함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하는 바,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컴퓨터 상에서 실행될 때, 해당 컴퓨터가 상기 제2 방면 또는 제2 방면의 임의의 가능한 구현 방식 중의 방법을 실행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일 응용 상황의 예시적 구조도.
도 2는 다른 셀의 SS Block의 주파수 도메인 위치의 도면.
도 3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데이터 전송 방법의 예시적 흐름도.
도 4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대역폭 부분의 도면.
도 5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대역폭 부분을 결정하는 방법의 예시적 흐름도.
도 6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대역폭 부분을 결정하는 방법의 예시적 흐름도.
도 7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대역폭 부분의 도면.
도 8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대역폭 부분의 도면.
도 9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데이터 전송 방법의 예시적 흐름도.
도 10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단말 장치의 예시적 블럭도.
도 11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네트워크 장치의 예시적 블럭도.
도 12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단말 장치의 예시적 구조도.
도 13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네트워크 장치의 예시적 구조도.
도 14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시스템 칩의 예시적 구조도.
아래 도면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기술방안에 대하여 설명을 진행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방안은 여러 가지 통신 시스템, 예를 들면 이동통신 글로벌 시스템(Global System of Mobile communication, GSM), 코드 분할 다중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시스템,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접속(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시스템, 롱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시스템, LTE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Frequency Division Duplex, FDD) 시스템, LTE 시간 분할 듀플렉스(Time Division Duplex, TDD) 시스템, 범용 이동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UMTS) 및 미래의 5G 통신 시스템 등에 적용될 수 있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본 출원은 단말 장치를 참조하여 각 실시예를 설명한다. 단말 장치는 또한 사용자 단말(User Equipment, UE), 접속 단말, 사용자 유닛, 사용자 스테이션, 이동 무선 스테이션, 이동 스테이션, 원격 스테이션, 원격 단말, 이동 장치, 사용자 단말, 단말, 무선통신 장치, 사용자 에이전트 또는 사용자 장치라 부를 수 있다. 접속 단말은 셀룰로오스 전화, 무선 전화, 세션 개시 프로토콜(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전화, 무선 로컬 루프(Wireless Local Loop, WLL) 스테이션, 개인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무선통신 기능을 갖는 핸드핼드 장치, 컴퓨팅 장치 또는 무선 모뎀에 연결된 기타 처리 장치, 차량용 장치, 웨어러블 장치, 미래 5G 네트워크 중의 단말 장치 또는 미래 향상된 공공 지상 모바일 네트워크(Public Land Mobile Network, PLMN) 네트워크 중의 단말 장치 등일 수 있다.
본 출원은 네트워크 장치를 참조하여 각 실시예를 설명한다. 네트워크 장치는 단말 장치와 통신을 진행하기 위한 장치일 수 있으며, 예를 들면 GSM 시스템 또는 CDMA 중의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일 수도 있고, 또는 WCDMA 시스템 중의 기지국(NodeB, NB)일 수도 있으며, 또는 LTE 시스템 중의 향상된 기지국(Evolutional NodeB, eNB 또는 eNodeB)일 수도 있거나, 또는 해당 네트워크 장치는 중계국, 접속점, 차량용 장치, 웨어러블 장치 및 미래 5G 네트워크 중의 네트워크 측 장치 또는 미래 향상된 PLMN 중의 네트워크 측 장치 등일 수 있다.
도 1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응용 상황 도면이다. 도 1 중의 통신 시스템에는 네트워크 장치(10)와 단말 장치(20)가 포함될 수 있다. 네트워크 장치(10)는 단말 장치(20)를 위하여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고 또한 코어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것이고, 단말 장치(20)는 네트워크 장치(10)가 송신하는 동기화 신호, 방송 신호 등을 검색하는 것을 통하여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네트워크와의 통신을 진행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화살표는 단말 장치(20)와 네트워크 장치(10) 사이의 셀룰러 링크를 통하여 진행되는 업링크/다운링크 전송을 표시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는 공공 지상 모바일 네트워크(Public Land Mobile Network, PLMN) 또는 장치 대 장치(Device to Device, D2D) 네트워크 또는 기계 대 기계/인간(Machine to Machine/Man, M2M) 네트워크 또는 기타 네트워크일 수 있으며, 도 1은 단지 예시적인 개략도이고, 네트워크에는 또한 기타 단말 장치가 포함될 수 있으나, 도 1에 도시하지 않았다.
5G 엔알(New Radio, NR) 시스템에서, 시스템 대역폭은 수 백 MHz 내지 수 GHz의 대역폭에 달할 수 있다. 하지만 단말 장치 작업 시, 언제나 이렇게 큰 대역폭을 필요로 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저 데이터 속도 전송일 때, 단말 장치는 단지 비교적 작은 작업 대역폭을 사용하기만 하면 된다. 이를 위하여 대역폭 부분(Bandwidth Part, BWP)의 개념을 제시하였다. 네트워크 장치가 단말 장치로 BWP를 구성한 후, 단말 장치는 단지 해당 BWP 내에서 데이터의 송수신을 진행하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효과적으로 저 데이터 속도 전송 시의 단말 장치의 전력 소모를 낮출 수 있다.
5G 시스템 중에서 동기화 채널은 동기화 신호 블럭(Synchronization Signal Block, SS Block)의 형식을 사용하여 전송을 진행하는 바, 각 SS Block 내에는 주 동기화 신호(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 PSS), 보조 동기화 신호(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 SSS), 물리 방송 채널(Physical Broadcast Channel, PBCH) 신호 등이 포함된다. LTE 시스템에서, PSS, SSS와 PBCH는 시종 시스템 대역폭의 중앙 위치에 위치하나, 5G 시스템 중의 SS Block의 시스템 대역폭 중의 위치는 고정적인 것이 아니고, 네트워크 장치가 배치 수요에 의하여 유연성 있게 구성하는 것이다. 이는 하나의 문제를 초래하는 바, 예를 들면 단말 장치가 무선 자원 관리(Radio Resource Management, RRM) 측정을 진행할 때, 다른 셀로부터의 신호, 예를 들면 SS Block이 다른 주파수 위치에 위치할 할 수 있기 때문에, 단말 장치는 다른 주파수 위치에서 다른 셀의 신호에 대하여 측정을 진행하여야 한다. 만일 다른 셀로부터의 신호가 처한 다른 주파수 위치가 주파수 도메인 상에서 큰 차이가 존재하면,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셀(예를 들면 셀1, 셀2, 셀3, 셀4)의 SS Block가 각각 다른 주파수 위치에 위치하면, 단말 장치는 비교적 큰 수신 대역폭을 사용하여야만 동시에 모든 셀의 SS Block을 수신할 수 있다. 이때, 네트워크 장치가 단말 장치로 구성한 데이터 전송을 위한 BWP는 단말 장치가 RRM 측정을 진행하는 수요를 만족시키지 못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단말 장치가 데이터 전송과 RRM 측정을 진행하는 다른 요구에 의하여, 각각 단말 장치를 위하여 두 개의 다른 대역폭 부분을 구성하여, 단말 장치가 다른 조작을 실행할 때 다른 대역폭 부분을 사용하도록 하며, 데이터 전송과 RRM 측정을 진행할 때 사용되는 대역폭 부분이 단지 데이터 전송을 진행할 때 사용되는 대역폭 부분과 다르기 때문에, 단말 장치는 상응한 대역폭 부분 중에서 효과적으로 데이터 전송을 진행하고, 또한 아울러 RRM 측정의 수요를 만족시킬 수 있다.
도 3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데이터 전송 방법의 예시적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방법은 단말 장치에 의하여 실행될 수 있고, 해당 단말 장치는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단말 장치(20)일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데이터 전송 방법에는,
310에서, 단말 장치가 제1 대역폭 부분과 제2 대역폭 부분을 결정하며;
320에서, 단말 장치가 특정 시간 도메인 자원 상에서, 해당 제1 대역폭 부분을 사용하여 데이터 전송과 RRM 측정을 진행하고, 또한 해당 특정 시간 도메인 자원을 제외한 기타 시간 도메인 자원 상에서, 해당 제2 대역폭 부분을 사용하여 해당 데이터 전송을 진행하는 것이 포함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제1 대역폭 부분(제1 BWP)과 제2 대역폭 부분(제2 BWP)은 모두 해당 단말 장치가 데이터 전송을 진행하는 대역폭 부분이고, 또한 제1 대역폭 부분은 또한 단말 장치가 RRM 측정을 진행하는데 사용되는 바, 예를 들면 측정 하고자 하는 셀로부터의 SS block 및/또는 참조 신호에 대하여 측정을 진행하며, 해당 참조 신호는 예를 들면 채널 상태 지시 참조 신호(Channel State Indication Reference Signal, CSI-RS)일 수 있다. 단말 장치가 제1 대역폭 부분과 제2 대역폭 부분을 결정한 후, 특정 시간 도메인 자원 상에서, 제1 대역폭 부분을 사용하여 데이터 전송을 진행하고 또한 RRM 측정을 진행할 수 있으며, 또한 해당 특정 시간 도메인 자원을 제외한 기타 시간 도메인 자원 상에서, 해당 제2 대역폭 부분을 사용하여 해당 데이터 전송을 진행하는 것이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해당 특정 시간 도메인 자원에는 시간 주기에 따라 분포되는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이 포함된다.
나아가, 선택적으로, 해당 시간 주기는 단말 장치가 해당 RRM 측정을 진행하는 시간 주기이다. 다시 말하면, 단말 장치는 해당 시간 주기에 따라 RRM 측정을 진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 장치가 해당 시간 주기에 따라 분포된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 상에서, 제1 대역폭 부분을 사용하여 데이터 전송을 진행하고 또한 RRM 측정을 진행하며, 또한 기타 시간 도메인 자원 상에서 제2 대역폭 부분을 사용하여 데이터 전송을 진행한다.
그러므로, 단말 장치가 두 개의 다른 전송 대역폭을 결정하고, 또한 다른 조작을 실행할 때 다른 대역폭 부분을 사용하며, 데이터 전송과 RRM 측정을 진행할 때 사용되는 대역폭 부분이 단지 데이터 전송을 진행할 때 사용되는 대역폭 부분과 다르기 때문에, 단말 장치는 상응한 대역폭 부분 중에서 효과적으로 데이터 전송을 진행하고, 또한 아울러 RRM 측정의 수요를 만족시킬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단말 장치가 제1 대역폭 부분과 제2 대역폭 부분 상에서 해당 네트워크 장치와 데이터 전송을 진행할 때, 전송하는 해당 데이터에는 서비스 데이터, 신호 데이터 또는 기타 유형의 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며, 여기에서는 제한하지 않는다. 상기 데이터 전송에는 단말 장치가,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해당 신호를 수신하거나 또는 단말 장치가 네트워크 장치로 해당 신호를 송신하는 것이 포함될 수 있다.
310에서, 단말 장치가 제1 대역폭 부분과 제2 대역폭 부분을 결정하는 것은 구체적으로 하기 두 가지 방식을 통하여 구현된다.
방식1
선택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310에는 311와 312이 포함될 수 있다.
311에서, 단말 장치가,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제1 구성 정보와 제2 구성 정보를 수신한다.
그 중에서, 해당 제1 구성 정보에는 해당 제1 대역폭 부분의 대역폭 정보가 포함되고, 해당 제2 구성 정보에는 해당 제2 대역폭 부분의 대역폭 정보가 포함되며;
312에서, 단말 장치가 해당 제1 구성 정보에 의하여 해당 제1 대역폭 부분을 결정하고, 또한 해당 제2 구성 정보에 의하여 해당 제2 대역폭 부분을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해당 제1 구성 정보와 제2 구성 정보는 네트워크 장치가 구성하고 또한 제1 구성 정보와 제2 구성 정보를 통하여 단말 장치로 지시한 것이다. 단말 장치가 수신된 제1 구성 정보에 의하여 해당 제1 대역폭 부분을 결정하고, 또한 수신된 제2 구성 정보에 의하여 해당 제2 대역폭 부분을 결정할 수 있다.
방식2
선택적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310에는 313 내지 315가 포함될 수 있다.
313에서, 단말 장치가,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제2 구성 정보와 제3 구성 정보를 수신한다.
그 중에서, 해당 제2 구성 정보에는 해당 제2 대역폭 부분의 대역폭 정보가 포함되고, 해당 제3 구성 정보에는 해당 RRM 측정 중의 단말 장치가 측정하고자 하는 적어도 하나의 신호가 차지하는 주파수 대역의 정보가 포함된다.
314에서, 단말 장치가 해당 제2 구성 정보에 의하여 해당 제2 대역폭 부분을 결정하고, 또한 해당 제3 구성 정보에 의하여 제3 대역폭 부분을 결정하는 바, 해당 제3 대역폭 부분에는 해당 적어도 하나의 신호가 차지하는 주파수 대역이 포함된다.
315에서, 단말 장치가 해당 제2 대역폭 부분과 해당 제3 대역폭 부분에 의하여, 해당 제1 대역폭 부분을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네트워크 장치가 단말 장치로 제2 구성 정보를 송신하여, 단말 장치가 해당 제2 구성 정보에 의하여 제2 대역폭 부분을 결정하게 할 수 있다. 아울러, 네트워크 장치가 단말 장치로 제3 구성 정보를 송신할 수 있고, 해당 제3 구성 정보에는 RRM 측정 과정 중의 단말 장치가 측정하고자 하는 적어도 하나의 신호가 차지하는 주파수 대역의 정보가 포함되어, 단말 장치가 해당 제3 구성 정보에 의하여 제3 대역폭 부분을 결정하는 바, 해당 제3 대역폭 부분에는 해당 적어도 하나의 신호가 차지하는 주파수 대역이 포함되어야 한다. 그 중에서, 해당 적어도 하나의 신호에는 예를 들면 단말 장치가 측정하고자 하는 적어도 하나의 셀의 SS Block 및/또는 CSI-RS가 포함될 수 있다. 단말 장치는 최종적으로 제2 대역폭 부분과 제3 대역폭 부분에 의하여 공통으로 제1 대역폭 부분을 결정하게 된다.
선택적으로, 제1 대역폭 부분에는 제2 대역폭 부분과 제3 대역폭 부분이 포함되고, 상기 제2 대역폭 부분은 제3 대역폭 부분과 적어도 일부분이 중첩되거나 또는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면, 만일 제2 대역폭 부분이 제3 대역폭 부분 내에 있다면, 즉 제3 대역폭 부분에 제2 대역폭 부분이 포함된다면, 제3 대역폭 부분을 제1 대역폭 부분으로 결정할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도 7에 도시된 대역폭 부분의 도면에서, 셀1, 셀2, 셀3과 셀4를 예로 들면, 다른 셀이 송신하는 SS block은 각각 다른 주파수 대역에 위치하고, 제3 대역폭 부분은 연속된 주파수 도메인 자원이고 또한 제3 대역폭 부분에는 이 네 셀이 송신하는 SS block이 차지하는 주파수 대역이 포함되며, 또한 네트워크 장치가 단말 장치를 위하여 구성한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제2 대역폭 부분은 해당 제3 대역폭 부분의 범위 내에 위치하면, 단말 장치는 제3 대역폭 부분을 해당 제1 대역폭 부분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만일 제2 대역폭 부분이 제3 대역폭 부분과 중첩되지 않는다면, 제1 대역폭 부분에는 적어도 응당 제2 대역폭 부분과 제3 대역폭 부분이 포함되어야 하는 바, 예를 들면, 도 8에 도시된 대역폭 부분의 도면에서, 셀1, 셀2, 셀3과 셀4를 예를 들면, 다른 셀이 송신하는 SS block은 각각 다른 주파수 대역에 위치하고, 제2 대역폭 부분과 제3 대역폭 부분은 완전히 중첩되지 않으며, 그렇다면 제1 대역폭 부분의 범위는 제2 대역폭 부분과 제3 대역폭 부분을 가로지르는 바, 즉 제1 대역폭 부분 중에는 제2 대역폭 부분과 제3 대역폭 부분이 포함되고 또한 제1 대역폭 부분은 연속적인 주파수 도메인 자원이다.
제1 대역폭 부분에는 또한 불연속적인 주파수 도메인 자원이 포함될 수 있음은 물론인 바, 예를 들면, 제1 대역폭 부분에는 단지 도 8에 도시된 제2 대역폭 부분과 제3 대역폭 부분이 포함될 수 있다.
위에서는 모두 단말 장치가 측정하고자 하는 적어도 하나의 신호가 차지하는 주파수 대역의 정보를 취득할 수 있어, 단말 장치가 제3 대역폭 부분과 제2 대역폭 부분에 의하여 제1 대역폭 부분을 결정하는 것을 가정하였다. 하지만, 만일 단말 장치가 측정하고자 하는 해당 적어도 하나의 신호가 차지하는 주파수 대역의 정보를 정확하게 취득할 수 없다면, 선택적으로, 단말 장치는 전체 시스템 대역폭을 제1 대역폭 부분으로 할 수 있으며, 이로써 모든 측정하고자 하는 셀의 신호에 대하여 모두 효과적인 측정을 진행하도록 확보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대역폭 정보에는 하기 중의 적어도 한 가지가 포함될 수 있는 바, 즉 중심 주파수, 대역폭 크기와 서브 캐리어 간격이다.
예를 들면, 단말 장치가 제1 대역폭 부분의 대역폭 정보에 의하여, 제1 대역폭 부분의 중심 주파수, 대역폭 크기와 서브 캐리어 간격 등을 결정할 수 있다. 단말 장치가 제2 대역폭 부분의 대역폭 정보에 의하여, 제2 대역폭 부분의 중심 주파수, 대역폭 크기와 서브 캐리어 간격 등을 결정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대역폭 부분(Bandwidth Part, BWP)은 또한 전송 대역폭, 대역폭 세그먼트, 대역폭 구성 등으로 칭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며, 시스템 대역폭 중에는 다수의 대역폭 부분이 포함될 수 있다. 다른 대역폭 부분은 다른 대역폭 크기 및/또는 중심 주파수를 가질 수 잇고, 다른 대역폭 부분 중에서 데이터 전송을 위한 기초 파라미터 집합 예를 들면 서브 캐리어 간격 등도 다를 수 있다.
도 9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데이터 전송 방법의 예시적 흐름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방법은 네트워크 장치에 의하여 실행될 수 있고, 해당 네트워크 장치는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네트워크 장치(10)일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데이터 전송 방법에는,
910에서, 네트워크 장치가 단말 장치로 제1 구성 정보 또는 제3 구성 정보를 송신하는 바, 상기 제1 구성 정보에는 제1 대역폭 부분의 대역폭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제3 구성 정보에는 송신하고자 하는 상기 단말 장치가 무선 자원 관리(RRM) 측정을 진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신호가 차지하는 주파수 대역의 정보가 포함되며, 상기 제1 구성 정보와 상기 제3 구성 정보는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1 대역폭 부분을 결정하도록 하여, 상기 단말 장치가 특정 시간 도메인 자원 상에서, 상기 제1 대역폭 부분을 사용하여 데이터 전송과 상기 RRM 측정을 진행하도록 하며;
920에서,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단말 장치로 제2 구성 정보를 송신하는 바, 상기 제2 구성 정보에는 상기 제2 대역폭 부분의 대역폭 정보가 포함되어,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특정 시간 도메인 자원을 제외한 기타 시간 도메인 자원 상에서, 상기 제2 대역폭 부분을 사용하여 상기 데이터 전송을 진행하도록 하는 것이 포함된다.
다시 말하면, 네트워크 장치가 배치 요구에 의하여 다른 단말 장치를 위하여 다른 제2 대역폭 부분을 구성하고, 또한 제2 구성 정보를 통하여 단말 장치로 해당 제2 대역폭 부분을 지시할 수 있다. 아울러, 네트워크 장치는 또한 다수의 셀이 송신한 단말 장치가 RRM 측정을 진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신호가 차지하는 주파수 대역에 의하여 제3 대역폭 부분을 결정하고, 마지막으로 네트워크 장치가 제2 대역폭 부분과 제3 대역폭 부분에 의하여 공통으로 해당 제1 대역폭 부분을 결정하며, 또한 제1 구성 정보를 통하여 단말 장치로 해당 제1 대역폭 부분을 지시할 수 있다. 또는 네트워크 장치가 제1 구성 정보를 송신하지 않고, 제3 구성 정보를 통하여 단말 장치로 해당 적어도 하나의 신호가 차지하는 주파수 대역의 정보를 지시하여, 단말 장치가 제3 구성 정보와 제2 구성 정보에 의하여 자체로 제1 대역폭 부분을 결정하게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네트워크 장치가 단말 장치가 데이터 전송과 RRM 측정을 진행하는 다른 요구에 의하여, 단말 장치를 위하여 두 개의 다른 대역폭 부분을 구성하여, 단말 장치가 다른 조작을 실행할 때 다른 대역폭 부분을 사용하도록 하며, 데이터 전송과 RRM 측정을 진행할 때 사용되는 대역폭 부분이 단지 데이터 전송을 진행할 때 사용되는 대역폭 부분과 다르기 때문에, 단말 장치는 상응한 대역폭 부분 중에서 효과적으로 데이터 전송을 진행하고, 또한 아울러 RRM 측정의 수요를 만족시킬 수 있다.
선택적으로, 만일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단말 장치로 상기 제3 구성 정보를 송신한다면, 상기 방법에는 또한,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고자 하는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RRM 측정을 진행하는데 이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신호가 차지하는 대역폭의 정보에 의하여, 제3 대역폭 부분을 결정하는 바, 그 중에서, 상기 제3 대역폭 부분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신호가 차지하는 주파수 대역이 포함되며;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제2 대역폭 부분과 상기 제3 대역폭 부분에 의하여, 상기 제1 대역폭 부분을 결정하는 것이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대역폭 부분에는 상기 제2 대역폭 부분과 제3 대역폭 부분이 포함되고, 상기 제2 대역폭 부분은 상기 제3 대역폭 부분과 적어도 일부분이 중첩되거나 또는 중첩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대역폭 부분에는 전체 시스템 대역폭이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대역폭 정보에는 하기 중의 적어도 한 가지가 포함되는 바, 즉 중심 주파수, 대역폭 크기와 서브 캐리어 간격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특정 시간 도메인 자원에는 시간 주기에 따라 분포되는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이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시간 주기는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RRM 측정을 진행하는 시간 주기이다.
선택적으로, 송신하고자 하는,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RRM 측정을 진행하는데 이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신호에는 측정하고자 하는 적어도 하나의 셀의 동기화 신호 블럭(SS Block) 및/또는 채널 상태 지시 참조 신호(CSI-RS)가 포함된다.
네트워크 장치가 제1 대역폭 부분과 제2 대역폭 부분을 결정하는 과정은 구체적으로 상기 도 3 내지 도 8 중의 단말 장치에 대한 관련 설명을 참조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며, 간략화를 위하여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본 출원의 여러 가지 실시예에서, 상기 각 과정의 번호의 크기는 실행 순서의 선후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고, 각 과정의 실행 순서는 그 기능과 내적인 논리에 의하여 결정되어야 하며, 본 출원의 실시예의 실시 과정에 대하여 아무런 제한도 하지 말아야 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도 10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단말 장치(1000)의 예시적 블럭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단말 장치(1000)에는 결정 유닛(1010)과 송수신 유닛(1020)이 포함된다. 그 중에서,
결정 유닛(1010)은 제1 대역폭 부분과 제2 대역폭 부분을 결정하며;
송수신 유닛(1020)은 특정 시간 도메인 자원 상에서, 상기 제1 대역폭 부분을 사용하여 데이터 전송과 무선 자원 관리(RRM) 측정을 진행하고, 또한 상기 특정 시간 도메인 자원을 제외한 기타 시간 도메인 자원 상에서, 상기 제2 대역폭 부분을 사용하여 상기 데이터 전송을 진행한다.
그러므로, 단말 장치가 두 개의 다른 전송 대역폭을 결정하고, 또한 다른 조작을 실행할 때 다른 대역폭 부분을 사용하며, 데이터 전송과 RRM 측정을 진행할 때 사용되는 대역폭 부분이 단지 데이터 전송을 진행할 때 사용되는 대역폭 부분과 다르기 때문에, 단말 장치는 상응한 대역폭 부분 중에서 효과적으로 데이터 전송을 진행하고, 또한 아울러 RRM 측정의 수요를 만족시킬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송수신 유닛(1020)은 또한,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제1 구성 정보와 제2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바, 상기 제1 구성 정보에는 상기 제1 대역폭 부분의 대역폭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제2 구성 정보에는 상기 제2 대역폭 부분의 대역폭 정보가 포함되며;
그 중에서, 상기 결정 유닛(1010)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1 구성 정보에 의하여 상기 제1 대역폭 부분을 결정하고, 또한 상기 제2 구성 정보에 의하여 상기 제2 대역폭 부분을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송수신 유닛(1020)은 또한,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제2 구성 정보와 제3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바, 상기 제2 구성 정보에는 상기 제2 대역폭 부분의 대역폭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제3 구성 정보에는 상기 RRM 측정 중의 상기 단말 장치가 측정하고자 하는 적어도 하나의 신호가 차지하는 주파수 대역의 정보가 포함되며;
그 중에서, 상기 결정 유닛(1010)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2 구성 정보에 의하여 상기 제2 대역폭 부분을 결정하고, 또한 상기 제3 구성 정보에 의하여 제3 대역폭 부분을 결정하는 바, 상기 제3 대역폭 부분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신호가 차지하는 주파수 대역이 포함되며; 상기 제2 대역폭 부분과 상기 제3 대역폭 부분에 의하여, 상기 제1 대역폭 부분을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대역폭 부분에는 상기 제2 대역폭 부분과 상기 제3 대역폭 부분이 포함되고, 상기 제2 대역폭 부분은 상기 제3 대역폭 부분과 적어도 일부분이 중첩되거나 또는 중첩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대역폭 부분에는 전체 시스템 대역폭이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대역폭 정보에는 하기 중의 적어도 한 가지가 포함되는 바, 즉 중심 주파수, 대역폭 크기와 서브 캐리어 간격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특정 시간 도메인 자원에는 시간 주기에 따라 분포되는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이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시간 주기는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RRM 측정을 진행하는 시간 주기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RRM 측정 중의 상기 단말 장치가 측정하고자 하는 적어도 하나의 신호에는 측정하고자 하는 적어도 하나의 셀의 동기화 신호 블럭(SS Block) 및/또는 채널 상태 지시 참조 신호(CSI-RS)가 포함된다.
도 11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네트워크 장치(1100)의 예시적 블럭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네트워크 장치(1100)에는 송수신 유닛(1110)이 포함되어,
단말 장치로 제1 구성 정보 또는 제3 구성 정보를 송신하는 바, 상기 제1 구성 정보에는 제1 대역폭 부분의 대역폭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제3 구성 정보에는 송신하고자 하는 상기 단말 장치가 무선 자원 관리(RRM) 측정을 진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신호가 차지하는 주파수 대역의 정보가 포함되며, 상기 제1 구성 정보와 상기 제3 구성 정보는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1 대역폭 부분을 결정하도록 하여, 상기 단말 장치가 특정 시간 도메인 자원 상에서, 상기 제1 대역폭 부분을 사용하여 데이터 전송과 상기 RRM 측정을 진행하도록 하며;
상기 단말 장치로 제2 구성 정보를 송신하는 바, 상기 제2 구성 정보에는 상기 제2 대역폭 부분의 대역폭 정보가 포함되어,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특정 시간 도메인 자원을 제외한 기타 시간 도메인 자원 상에서, 상기 제2 대역폭 부분을 사용하여 상기 데이터 전송을 진행하도록 한다.
그러므로, 네트워크 장치가 단말 장치가 데이터 전송과 RRM 측정을 진행하는 다른 요구에 의하여, 단말 장치를 위하여 두 개의 다른 대역폭 부분을 구성하여, 단말 장치가 다른 조작을 실행할 때 다른 대역폭 부분을 사용하도록 하며, 데이터 전송과 RRM 측정을 진행할 때 사용되는 대역폭 부분이 단지 데이터 전송을 진행할 때 사용되는 대역폭 부분과 다르기 때문에, 단말 장치는 상응한 대역폭 부분 중에서 효과적으로 데이터 전송을 진행하고, 또한 아울러 RRM 측정의 수요를 만족시킬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는 또한 결정 유닛(1120)이 포함되어, 송신하고자 하는,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RRM 측정을 진행하는데 이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신호가 차지하는 대역폭의 정보에 의하여, 제3 대역폭 부분을 결정하는 바, 그 중에서, 상기 제3 대역폭 부분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신호가 차지하는 주파수 대역이 포함되며; 상기 제2 대역폭 부분과 상기 제3 대역폭 부분에 의하여, 상기 제1 대역폭 부분을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대역폭 부분에는 상기 제2 대역폭 부분과 제3 대역폭 부분이 포함되고, 상기 제2 대역폭 부분은 상기 제3 대역폭 부분과 적어도 일부분이 중첩되거나 또는 중첩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대역폭 부분에는 전체 시스템 대역폭이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대역폭 정보에는 하기 중의 적어도 한 가지가 포함되는 바, 즉 중심 주파수, 대역폭 크기와 서브 캐리어 간격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특정 시간 도메인 자원에는 시간 주기에 따라 분포되는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이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시간 주기는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RRM 측정을 진행하는 시간 주기이다.
선택적으로, 송신하고자 하는,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RRM 측정을 진행하는데 이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신호에는, 측정하고자 하는 적어도 하나의 셀의 동기화 신호 블럭(SS Block) 및/또는 채널 상태 지시 참조 신호(CSI-RS)가 포함된다.
도 12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단말 장치(1200)의 예시적 구조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단말 장치에는 프로세서(1210), 송수신기(1220)와 기억장치(1230)가 포함되고, 그 중에서, 해당 프로세서(1210), 송수신기(1220)와 기억장치(1230) 사이는 내부 연결 통로를 통하여 상호 통신한다. 해당 기억장치(1230)는 명령을 저장하기 위한 것이며, 해당 프로세서(1210)는 해당 기억장치(1230)가 저장한 명령을 실행하여 해당 송수신기(1220)를 제어하여 신호를 수신하거나 또는 신호를 송신한다. 그 중에서, 해당 프로세서(1210)는,
제1 대역폭 부분과 제2 대역폭 부분을 결정하며;
해당 송수신기(1220)는 특정 시간 도메인 자원 상에서, 상기 제1 대역폭 부분을 사용하여 데이터 전송과 무선 자원 관리(RRM) 측정을 진행하고, 또한 상기 특정 시간 도메인 자원을 제외한 기타 시간 도메인 자원 상에서, 상기 제2 대역폭 부분을 사용하여 상기 데이터 전송을 진행한다.
그러므로, 단말 장치가 두 개의 다른 전송 대역폭을 결정하고, 또한 다른 조작을 실행할 때 다른 대역폭 부분을 사용하며, 데이터 전송과 RRM 측정을 진행할 때 사용되는 대역폭 부분이 단지 데이터 전송을 진행할 때 사용되는 대역폭 부분과 다르기 때문에, 단말 장치는 상응한 대역폭 부분 중에서 효과적으로 데이터 전송을 진행하고, 또한 아울러 RRM 측정의 수요를 만족시킬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송수신기(1220)는 또한,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제1 구성 정보와 제2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바, 상기 제1 구성 정보에는 상기 제1 대역폭 부분의 대역폭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제2 구성 정보에는 상기 제2 대역폭 부분의 대역폭 정보가 포함되며;
그 중에서, 상기 프로세서(1210)는 구체적으로, 상기 제1 구성 정보에 의하여 상기 제1 대역폭 부분을 결정하고, 또한 상기 제2 구성 정보에 의하여 상기 제2 대역폭 부분을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송수신기(1220)는 또한,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제2 구성 정보와 제3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바, 상기 제2 구성 정보에는 상기 제2 대역폭 부분의 대역폭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제3 구성 정보에는 상기 RRM 측정 중의 상기 단말 장치가 측정하고자 하는 적어도 하나의 신호가 차지하는 주파수 대역의 정보가 포함되며;
그 중에서, 상기 프로세서(1210)는 구체적으로, 상기 제2 구성 정보에 의하여 상기 제2 대역폭 부분을 결정하고, 또한 상기 제3 구성 정보에 의하여 제3 대역폭 부분을 결정하는 바, 상기 제3 대역폭 부분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신호가 차지하는 주파수 대역이 포함되며; 상기 제2 대역폭 부분과 상기 제3 대역폭 부분에 의하여, 상기 제1 대역폭 부분을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대역폭 부분에는 상기 제2 대역폭 부분과 상기 제3 대역폭 부분이 포함되고, 상기 제2 대역폭 부분은 상기 제3 대역폭 부분과 적어도 일부분이 중첩되거나 또는 중첩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대역폭 부분에는 전체 시스템 대역폭이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대역폭 정보에는 하기 중의 적어도 한 가지가 포함되는 바, 즉 중심 주파수, 대역폭 크기와 서브 캐리어 간격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특정 시간 도메인 자원에는 시간 주기에 따라 분포되는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이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시간 주기는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RRM 측정을 진행하는 시간 주기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RRM 측정 중의 상기 단말 장치가 측정하고자 하는 적어도 하나의 신호에는 측정하고자 하는 적어도 하나의 셀의 동기화 신호 블럭(SS Block) 및/또는 채널 상태 지시 참조 신호(CSI-RS)가 포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 중의 프로세서(1210)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일 수도 있고, 해당 프로세서(1210)는 또한 기타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 응용 주문형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ield-Programmable Gate Array, FPGA) 또는 기타 프로그램가능 논리 소자, 개별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논리 소자, 개별 하드웨어 모듈 등일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 있고, 해당 프로세서는 또한 임의의 일반적인 프로세서 등일 수 있다.
해당 기억장치(1230)에는 ROM과 RAM이 포함될 수 있고, 또한 프로세서(1210)로 명령과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기억장치(1230)의 일부분에는 또한 비휘발성 RAM이 포함될 수 있다.
구현 과정에, 상기 방법의 각 단계는 프로세서(1210) 중의 하드웨어의 집적 논리회로 또는 소프트웨어 형식의 명령을 통하여 완성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공개된 데이터 전송의 방법의 단계와 결합시켜 직접 하드웨어 프로세서로 구현되어 실행되거나, 또는 프로세서(1210) 중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모듈 조합으로 실행하여 완성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무작위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읽기전용 메모리, 프로그래머블 읽기전용 메모리 또는 전기 휘발성 프로그래머블 메모리, 레지스터 등 당업계의 성숙된 저장 매체에 위치할 수 있다. 해당 저장 매체는 기억장치(1230)에 위치하고, 프로세서(1210)가 기억장치(1230) 중의 정보를 읽으며, 그 하드웨어와 결합시켜 상기 방법의 단계를 완성한다. 복잡성을 피하기 위하여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단말 장치(1200)는 상기 방법(300) 중의 방법(300)을 실행하기 위한 단말 장치 및 본 출원의 실시예의 단말 장치(1000)에 대응될 수 있고, 또한 해당 단말 장치(1200) 중의 각 유닛 또는 모듈은 각각 상기 방법(300) 중의 단말 장치가 실행하는 각 동작 또는 처리 과정을 실행하며, 여기에서는 간략화를 위하여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13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네트워크 장치(1300)의 예시적 구조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네트워크 장치에는 프로세서(1310), 송수신기(1320)와 기억장치(1330)가 포함되고, 그 중에서, 해당 프로세서(1310), 송수신기(1320)와 기억장치(1330) 사이는 내부 연결 통로를 통하여 상호 통신한다. 해당 기억장치(1330)는 명령을 저장하기 위한 것이며, 해당 프로세서(1310)는 해당 기억장치(1330)가 저장한 명령을 실행하여 해당 송수신기(1320)를 제어하여 신호를 수신하거나 또는 신호를 송신한다. 그 중에서, 해당 송수신기(1320)는,
단말 장치로 제1 구성 정보 또는 제3 구성 정보를 송신하는 바, 상기 제1 구성 정보에는 제1 대역폭 부분의 대역폭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제3 구성 정보에는 송신하고자 하는, 상기 단말 장치가 무선 자원 관리(RRM) 측정을 진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신호가 차지하는 주파수 대역의 정보가 포함되며, 상기 제1 구성 정보와 상기 제3 구성 정보는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1 대역폭 부분을 결정하도록 하여, 상기 단말 장치가 특정 시간 도메인 자원 상에서, 상기 제1 대역폭 부분을 사용하여 데이터 전송과 상기 RRM 측정을 진행하도록 하며;
상기 단말 장치로 제2 구성 정보를 송신하는 바, 상기 제2 구성 정보에는 상기 제2 대역폭 부분의 대역폭 정보가 포함되어,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특정 시간 도메인 자원을 제외한 기타 시간 도메인 자원 상에서, 상기 제2 대역폭 부분을 사용하여 상기 데이터 전송을 진행하도록 한다.
그러므로, 네트워크 장치가 단말 장치가 데이터 전송과 RRM 측정을 진행하는 다른 요구에 의하여, 단말 장치를 위하여 두 개의 다른 대역폭 부분을 구성하여, 단말 장치가 다른 조작을 실행할 때 다른 대역폭 부분을 사용하도록 하며, 데이터 전송과 RRM 측정을 진행할 때 사용되는 대역폭 부분이 단지 데이터 전송을 진행할 때 사용되는 대역폭 부분과 다르기 때문에, 단말 장치는 상응한 대역폭 부분 중에서 효과적으로 데이터 전송을 진행하고, 또한 아울러 RRM 측정의 수요를 만족시킬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프로세서(1310)는, 송신하고자 하는,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RRM 측정을 진행하는데 이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신호가 차지하는 대역폭의 정보에 의하여, 제3 대역폭 부분을 결정하는 바, 그 중에서, 상기 제3 대역폭 부분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신호가 차지하는 주파수 대역이 포함되며; 상기 제2 대역폭 부분과 상기 제3 대역폭 부분에 의하여, 상기 제1 대역폭 부분을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대역폭 부분에는 상기 제2 대역폭 부분과 제3 대역폭 부분이 포함되고, 상기 제2 대역폭 부분은 상기 제3 대역폭 부분과 적어도 일부분이 중첩되거나 또는 중첩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대역폭 부분에는 전체 시스템 대역폭이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대역폭 정보에는 하기 중의 적어도 한 가지가 포함되는 바, 즉 중심 주파수, 대역폭 크기와 서브 캐리어 간격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특정 시간 도메인 자원에는 시간 주기에 따라 분포되는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이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시간 주기는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RRM 측정을 진행하는 시간 주기이다.
선택적으로, 송신하고자 하는,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RRM 측정을 진행하는데 이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신호에는 측정하고자 하는 적어도 하나의 셀의 동기화 신호 블럭(SS Block) 및/또는 채널 상태 지시 참조 신호(CSI-RS)가 포함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해당 프로세서(1310)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일 수 있고, 해당 프로세서(1310)는 또한 기타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응용 주문형 집적 회로(ASIC),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PGA) 또는 기타 프로그램가능 논리 소자, 개별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논리 소자, 개별 하드웨어 모듈 등일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 있고, 해당 프로세서는 또한 임의의 일반적인 프로세서 등일 수 있다.
해당 기억장치(1330)에는 ROM과 RAM이 포함될 수 있고, 또한 프로세서(1310)로 명령과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기억장치(1330)의 일부분에는 또한 비휘발성 RAM이 포함될 수 있다. 구현 과정에, 상기 방법의 각 단계는 프로세서(1310) 중의 하드웨어의 집적 논리회로 또는 소프트웨어 형식의 명령을 통하여 완성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공개된 데이터 전송의 방법의 단계와 결합시켜 직접 하드웨어 프로세서로 구현되어 실행되거나, 또는 프로세서(1310) 중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모듈 조합으로 실행하여 완성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무작위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읽기전용 메모리, 프로그래머블 읽기전용 메모리 또는 전기 휘발성 프로그래머블 메모리, 레지스터 등 당업계의 성숙된 저장 매체에 위치할 수 있다. 해당 저장 매체는 기억장치(1330)에 위치하고, 프로세서(1310)가 기억장치(1330) 중의 정보를 읽으며, 그 하드웨어와 결합시켜 상기 방법의 단계를 완성한다. 복잡성을 피하기 위하여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네트워크 장치(1300)는 상기 방법(900) 중의 방법(900)을 실행하기 위한 네트워크 장치 및 본 출원의 실시예의 네트워크 장치(1100)에 대응될 수 있고, 또한 해당 네트워크 장치(1300) 중의 각 유닛 또는 모듈은 각각 상기 방법(900) 중의 네트워크 장치가 실행하는 각 동작 또는 처리 과정을 실행하며, 여기에서는 간략화를 위하여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14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시스템 칩의 일 예시적 구조도이다. 도 14의 시스템 칩(1400)에는 입력 인터페이스(1401), 출력 인터페이스(1402),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403), 기억장치(1404)가 포함되고,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1401), 출력 인터페이스(1402), 상기 프로세서(1403) 및 기억장치(1404) 사이는 내부 연결 통로를 통하여 상호 연결된다. 상기 프로세서(1403)는 상기 기억장치(1404) 중의 코드를 실행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코드가 실행될 때, 상기 프로세서(1403)는 방법 실시예 중의 단말 장치가 실행하는 방법(400)을 구현할 수 있다. 간략화를 위하여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코드가 실행될 때, 상기 프로세서(1403)는 방법 실시예 중의 네트워크 장치가 실행하는 방법(900)을 구현할 수 있다. 간략화를 위하여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당업계의 기술자들은 본 명세서 공개된 실시예의 각 예시의 유닛 및 연산 단계를 결합시켜, 전자 하드웨어 또는 컴퓨터 소프트웨어와 전자 하드웨어의 결합으로 구현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이러한 기능이 하드웨어 방식으로 구현될 것인지 아니면 소프트웨어 방식으로 구현될 것인지는 기술방안의 특정된 응용과 설계 제한 조건에 의하여 결정된다. 전문 기술자들은 각 특정된 응용에 대하여 서로 다른 방법을 사용하여 상기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나, 이러한 구현이 본 출원의 범위를 초과한 것으로 이해해서는 않된다.
설명의 편리와 간략화를 위하여, 상기 시스템, 장치와 유닛의 구체적인 작동 과정은 상기 방법 실시예 중의 대응되는 과정을 참조할 수 있음을 당업계의 기술자들은 이해할 것이며,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본 출원에서 제공하는 몇 개 실시예에서, 공개된 시스템, 장치와 방법은 또한 기타 방식을 통하여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장치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예를 들면 상기 유닛의 구분은 단지 논리적인 구분이고, 실제 구현 시 다른 구분 방식이 있을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복수의 유닛 또는 모듈은 다른 시스템에 결합 또는 집적될 수 있거나, 일부 특징은 삭제되거나 또는 실행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서로 사이의 커플링 또는 직접 커플링 또는 통신 연결은 일부 인터페이스, 장치 또는 유닛의 간접적인 커플링 또는 통신 연결을 통하여 구현된 것일 수 있는 바, 전기적, 기계적 또는 기타 형식일 수 있다.
해당 분리된 부품으로 설명된 유닛은 물리적으로 분리되거나 분리되지 않은 것을 수 있고, 유닛으로 표시된 부품은 물리적인 유닛이거나 아닐 수 있으며, 한 곳에 위치하거나 또는 복수의 네트워크 유닛 상에 분포될 수 있다. 실제 수요에 의하여 그 중의 일부 또는 전부 유닛을 선택하여 본 실시예 방안의 목적을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출원의 각 실시예 중의 각 기능 유닛은 하나의 모니터링 유닛 중에 집적될 수도 있고, 또는 각 유닛의 독립적인 물리적 존재일 수 있으며, 또는 두 개 또는 두 개 이상의 유닛이 하나의 유닛에 집적되어 있을 수 있다.
해당 기능은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형식으로 구현되고 독립적인 제품으로 판매 또는 사용될 때,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를 기반으로 본 출원의 기술방안의 본질적이나 또는 종래 기술에 대하여 공헌이 있는 부분 또는 해당 기술방안의 일부는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식으로 구현될 수 있고, 해당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하나의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는 바, 일부 명령이 포함되어 컴퓨터 설비(컴퓨터, 서버 또는 네트워크 설비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음)로 하여금 본 출원의 각 실시예의 상기 방법의 전부 또는 일부 단계를 구현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저장 매체에는 USB 메모리, 이동 하드, 읽기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무작위 접속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 등 여러 가지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할 수 있는 매체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출원을 구체적인 실시방식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출원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출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출원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34)

  1. 데이터 전송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에는,
    단말 장치가 제1 대역폭 부분과 제2 대역폭 부분을 결정하며;
    상기 단말 장치가 특정 시간 도메인 자원 상에서, 상기 제1 대역폭 부분을 사용하여 데이터 전송과 무선 자원 관리(RRM) 측정을 진행하고, 또한 상기 특정 시간 도메인 자원을 제외한 기타 시간 도메인 자원 상에서, 상기 제2 대역폭 부분을 사용하여 상기 데이터 전송을 진행하는 것이 포함되며;
    상기 제1 대역폭 부분에는 상기 제2 대역폭 부분과 제3대역폭 부분이 포함되며;
    상기 제2 대역폭 부분과 상기 제3 대역폭 부분은 주파수 도메인에서 간격이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가 제1 대역폭 부분과 제2 대역폭 부분을 결정하는 것에는,
    상기 단말 장치가,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제1 구성 정보와 제2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바, 상기 제1 구성 정보에는 상기 제1 대역폭 부분의 대역폭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제2 구성 정보에는 상기 제2 대역폭 부분의 대역폭 정보가 포함되며;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1 구성 정보에 의하여 상기 제1 대역폭 부분을 결정하고, 또한 상기 제2 구성 정보에 의하여 상기 제2 대역폭 부분을 결정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대역폭 부분에는 전체 시스템 대역폭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대역폭 정보에는, 중심 주파수, 대역폭 크기와 서브 캐리어 간격 중의 적어도 한 가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시간 도메인 자원에는 시간 주기에 따라 분포되는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 주기는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RRM 측정을 진행하는 시간 주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RRM 측정 중의 상기 단말 장치가 측정하고자 하는 적어도 하나의 신호에는 측정하고자 하는 적어도 하나의 셀의 동기화 신호 블럭(SS Block) 및/또는 채널 상태 지시 참조 신호(CSI-RS)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8.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에는,
    제1 대역폭 부분과 제2 대역폭 부분을 결정하는 결정 유닛;
    특정 시간 도메인 자원 상에서, 상기 제1 대역폭 부분을 사용하여 데이터 전송과 무선 자원 관리(RRM) 측정을 진행하고, 또한 상기 특정 시간 도메인 자원을 제외한 기타 시간 도메인 자원 상에서, 상기 제2 대역폭 부분을 사용하여 상기 데이터 전송을 진행하는 송수신 유닛이 포함되며;
    상기 제1 대역폭 부분에는 상기 제2 대역폭 부분과 제3대역폭 부분이 포함되며;
    상기 제2 대역폭 부분과 상기 제3 대역폭 부분은 주파수 도메인에서 간격이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 유닛은 또한,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제1 구성 정보와 제2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바, 상기 제1 구성 정보에는 상기 제1 대역폭 부분의 대역폭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제2 구성 정보에는 상기 제2 대역폭 부분의 대역폭 정보가 포함되며;
    상기 결정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1 구성 정보에 의하여 상기 제1 대역폭 부분을 결정하고, 또한 상기 제2 구성 정보에 의하여 상기 제2 대역폭 부분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대역폭 부분에는 전체 시스템 대역폭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11.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대역폭 정보에는, 중심 주파수, 대역폭 크기와 서브 캐리어 간격 중의 적어도 한 가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12.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시간 도메인 자원에는 시간 주기에 따라 분포되는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 주기는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RRM 측정을 진행하는 시간 주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14.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RRM 측정 중의 상기 단말 장치가 측정하고자 하는 적어도 하나의 신호에는 측정하고자 하는 적어도 하나의 셀의 동기화 신호 블럭(SS Block) 및/또는 채널 상태 지시 참조 신호(CSI-RS)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KR1020207003290A 2017-08-11 2017-08-11 데이터 전송 방법, 단말 장치와 네트워크 장치 KR1023936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7/097013 WO2019028808A1 (zh) 2017-08-11 2017-08-11 数据传输的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5036A KR20200035036A (ko) 2020-04-01
KR102393633B1 true KR102393633B1 (ko) 2022-05-02

Family

ID=65272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3290A KR102393633B1 (ko) 2017-08-11 2017-08-11 데이터 전송 방법, 단말 장치와 네트워크 장치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11503596B2 (ko)
EP (1) EP3668148B1 (ko)
JP (1) JP7089579B2 (ko)
KR (1) KR102393633B1 (ko)
CN (2) CN110786038A (ko)
AU (1) AU2017427055A1 (ko)
BR (1) BR112020002468A2 (ko)
CA (1) CA3072138C (ko)
IL (1) IL272506A (ko)
MX (1) MX2020001204A (ko)
PH (1) PH12020500272A1 (ko)
RU (1) RU2745777C1 (ko)
SG (1) SG11202000995TA (ko)
WO (1) WO2019028808A1 (ko)
ZA (1) ZA20200076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68587A1 (en) * 2017-10-02 2019-04-11 Sony Mobile Communications Inc METHOD AND DEVICE FOR SYNCHRONIZATION AND MEASUREMENT IN A RADIO COMMUNICATION SYSTEM
WO2023151052A1 (en) * 2022-02-12 2023-08-17 Apple Inc. Enhanced reduced capability user equipment
WO2023179690A1 (zh) * 2022-03-25 2023-09-28 华为技术有限公司 测距方法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07763A1 (ja) 2008-07-15 2010-01-2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無線受信装置、及び、使用単位バンド外参照信号のメジャメント方法
CN102238243B (zh) 2010-05-05 2014-07-09 华为终端有限公司 数据传输方法及系统、地址获取方法、终端设备、服务器
GB2491858C (en) 2011-06-14 2020-07-29 Sca Ipla Holdings Inc Telecommunications method and system
GB2497743B (en) * 2011-12-19 2017-09-27 Sca Ipla Holdings Inc Telecommunications systems and methods
EP2833689B1 (en) 2012-03-29 2017-04-26 Sony Corpo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GB2502274B (en) 2012-05-21 2017-04-19 Sony Corp Telecommunications systems and methods
US8976698B2 (en) 2012-08-09 2015-03-1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radio link monitoring in new carrier type (NCT) in a long term evolution (LTE) system
GB2506403B (en) * 2012-09-28 2018-01-03 Sony Corp Assigning mode of virtual channel operation to mobile terminal
RU2594882C1 (ru) * 2015-04-23 2016-08-20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профессионального образования "Кубан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аграр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Мельница
KR101988574B1 (ko) * 2016-06-12 2019-06-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신호를 수신하는 방법 및 그 무선 기기
US20180279289A1 (en) * 2017-03-23 2018-09-27 Huawei Technologie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Signaling for Resource Allocation for One or More Numerologies
JP6561168B2 (ja) * 2017-04-21 2019-08-14 華碩電腦股▲ふん▼有限公司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プリコーディングリソースブロックグループを改善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US11470616B2 (en) * 2017-05-04 2022-10-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Bandwidth part configurations for single carrier wideband operations
WO2018212509A1 (en) * 2017-05-15 2018-11-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 resource set configuration and monitoring of downlink control channe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2443452B1 (ko) * 2017-07-17 2022-09-15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제어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US10687365B2 (en) * 2017-08-01 2020-06-16 Htc Corporation Device and method of handling bandwidth parts
WO2019024084A1 (zh) * 2017-08-04 2019-02-07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数据传输方法、装置以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WO2019031884A1 (en) * 2017-08-10 2019-02-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CONTROL APPARATUS THAT TAKES INTO ACCOUNT THE BANDWIDTH PART IN A NEW GENE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9391417B (zh) * 2017-08-11 2022-05-13 华为技术有限公司 传输下行控制信息的方法、装置和系统
WO2019028823A1 (zh) * 2017-08-11 2019-02-14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一种跨载波调度方法及装置

Non-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1-17010796*
3GPP R1-1710352*
3GPP R2-1706427*
3GPP TSG-RAN WG1 Meeting #Ad-Hoc, R1-1709974, 2017.06.17.
3GPP TSG-RAN WG1 Meeting #Ad-Hoc, R1-1710352, 2017.06.17.
3GPP TSG-RAN WG1 Meeting #Ad-Hoc, R1-1710796, 2017.06.17.
3GPP TSG-RAN WG2 Meeting #Ad-Hoc, R2-1706427, 2017.06.16.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H12020500272A1 (en) 2020-09-21
EP3668148A1 (en) 2020-06-17
SG11202000995TA (en) 2020-03-30
KR20200035036A (ko) 2020-04-01
EP3668148A4 (en) 2020-08-12
IL272506A (en) 2020-03-31
CA3072138C (en) 2023-03-07
CA3072138A1 (en) 2019-02-14
JP2020534720A (ja) 2020-11-26
US11503596B2 (en) 2022-11-15
CN110786038A (zh) 2020-02-11
WO2019028808A1 (zh) 2019-02-14
EP3668148B1 (en) 2022-12-21
JP7089579B2 (ja) 2022-06-22
CN111278030B (zh) 2022-04-12
AU2017427055A1 (en) 2020-02-27
ZA202000765B (en) 2021-08-25
RU2745777C1 (ru) 2021-03-31
CN111278030A (zh) 2020-06-12
US20200367243A1 (en) 2020-11-19
MX2020001204A (es) 2020-03-20
BR112020002468A2 (pt) 2020-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15868B1 (ko)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 네트워크 장치와 단말 장치
JP6900501B2 (ja) データ伝送方法、端末機器及びネットワーク機器
KR102417031B1 (ko)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단말 장치와 네트워크 장치
US11310814B2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network device, and terminal device
KR102427490B1 (ko)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단말 장치와 네트워크 장치
US11234175B2 (en) Method for selecting cell,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KR102462432B1 (ko) 무선 통신 방법, 네트워크 기기 및 단말 기기
CA3066296C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terminal device
KR102444898B1 (ko) 정보 전송 방법 및 기기
US20200288447A1 (en) Resource configuration method and device
KR102430292B1 (ko) 무선 통신 방법과 장치
KR102393633B1 (ko) 데이터 전송 방법, 단말 장치와 네트워크 장치
KR20200032084A (ko) 상향 전송 방법 및 단말기 디바이스
TWI762716B (zh) 無線通訊方法、網路設備和終端設備
RU2744725C1 (ru) Способ, сетевое устройство и оконе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беспроводной связи
AU2017433346A1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device
KR20210022633A (ko) 무선 링크 모니터링의 방법과 단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