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3059B1 - 습윤면 부착 성능이 우수한 고점착 고유동성 겔 점착형 컴파운드 조성물 제조방법 및 겔 점착형 컴파운드 조성물을 이용한 복합시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습윤면 부착 성능이 우수한 고점착 고유동성 겔 점착형 컴파운드 조성물 제조방법 및 겔 점착형 컴파운드 조성물을 이용한 복합시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3059B1
KR102393059B1 KR1020210180693A KR20210180693A KR102393059B1 KR 102393059 B1 KR102393059 B1 KR 102393059B1 KR 1020210180693 A KR1020210180693 A KR 1020210180693A KR 20210180693 A KR20210180693 A KR 20210180693A KR 102393059 B1 KR102393059 B1 KR 1023930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asphalt
compound composition
g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06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주현
오은정
Original Assignee
성주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주현 filed Critical 성주현
Priority to KR10202101806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30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30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30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95/00Adhesives based on bituminous materials, e.g. asphalt, tar, pitch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9Laminated materi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스트레이트아스팔트, 브로운아스팔트 및 스타이렌부타디엔스타이렌이 5:3:2의 부피비로 혼합된 복합물이 제조되는 단계와; 상기 복합물 100 중량부에 복합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에틸아세테이트 70-90 중량부, 벤즈알데하이드 60-80 중량부,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 50-70 중량부, 싸이클로펜타디엔 40-60 중량부, 말레익언하이드라이드 30-50 중량부, 탄산칼슘 20-40 및 프로세스오일 10-30 중량부가 혼합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겔 점착형 컴파운드 조성물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습윤면 부착 성능이 우수한 고점착 고유동성 겔 점착형 컴파운드 조성물 제조방법 및 겔 점착형 컴파운드 조성물을 이용한 복합시트 제조방법{Compound agent manufacturing method and composite sheet manufacturing method using compound agent}
본 발명은 겔 점착형 컴파운드 조성물 제조방법 및 겔 점착형 컴파운드 조성물을 이용한 복합시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트레이트아스팔트, 브로운아스팔트 및 스타이렌부타디엔스타이렌을 소정의 부피비로 혼합한 복합물에 에틸아세테이트, 벤즈알데하이드,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 싸이클로펜타디엔, 말레익언하이드라이드, 탄산칼슘 및 프로세스오일이 혼합된 고점착 고유동성 겔 점착형 컴파운드 조성물을 제조하고 부직포에 PE 필름 및 고무화아스팔트가 부착 구성된 자착식 시트의 일면에 상기 겔 점착형 컴파운드 조성물을 도포하여 습윤면 부착 성능이 우수한 고점착 고유동성 겔 점착형 컴파운드 조성물을 이용한 복합시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양한 건축물 또는 구조물에는 빗물 또는 지하수가 침투하여 콘크리트 강도의 저하, 온도변화에 의한 물의 체적변화에 따른 공극 균열의 발생, 시간의 경과에 따른 균열의 확대로 인해 그 건축물 또는 구조물의 안전을 저해하거나 그 수명이 단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다양한 방수공법이 실행되고 있다.
이와 같은 건축물 또는 구조물에서는 개질 아스팔트, 고무계 등 다양한 재료들이 사용되고 있으며 또한 다양한 분야에서 변형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콘크리트 건축물 또는 구조물에 적용되는 방수재로서 아스팔트 3겹 8층 방수(블로운 아스팔트), 시트식방수재, 클로로프렌 고무계 방수재, 규산 알카리계 액상 방수재(침투식방수재)가 있다.
한편, 최근에는 적용의 편리성 및 사용의 편의성으로 인해 다양한 시트형 방수재가 널리 사용 및 연구되고 있다. 이와 같은 방수시트는 대부분 자착식으로 형성되어 있어 그 사용의 편리성이 증대되고 있다. 이와 같은 자착식 방수시트의 하나의 종래예가 특허 제10-1116662호에 공지되어 있다.
상기 특허 제10-1116662호에 개시된 고분자 합성고무 및 폐플라스틱의 중합과 극성이 부여된 자착식 방수시트는, 저밀도 폴리에틸렌수지(LLDPE) 55중량% ~ 70중량%와, 폐열가소성수지 20중량% ~ 40중량%와, SBS수지(Polystyrene Polybutadiene Polystyrene) 0.5중량% ~ 5중량%로 조성된 열가소성 필름방수층과; 상기 필름방수층 하부에 조성되며, 폐타이어 10중량% ~ 60중량%, 폐플라스틱 10중량% ~ 45중량%, 폐놀류의 산화방지제 0.5중량% ~ 5중량%, 방향족아민류의 노화방지제 0.5중량% ~ 5중량%, 합성고무 10중량% ~ 50중량%, 유기산 0.5중량% ~ 5중량%, 무기산 0.5중량% ~ 5중량%로 중합된 1차 화합물을 마련하고, 상기 1차 화합물 10중량% ~ 30중량%와, 스
트레이트 아스팔트 30중량% ~ 70중량%, 불론아스팔트 2중량% ~10중량%, 석유화학수지 3중량% ~ 20중량%, 터펜페놀수지 1중량% ~ 5중량%, 나프텐계 2중량% ~ 20중량%, 파라핀계 1중량% ~ 15중량%, 왁스 1중량% ~ 15중량%, 폴리부텐 1중량% ~ 10중량%, 충진제 3중량% ~ 15중량%, SBS수지(Polystyrene Polybutadiene Polystyrene) 1중량% ~ 10중량%로 조성된 방수점착층과; 상기 방수점착층 하부면에 부착되는 박리지로 구성되어 있다.
이 같은 구성의 고분자 합성고무 및 폐플라스틱의 중합과 극성이 부여된 자착식 방수시트는 중합온도, 수지, 투입순서, 투입시간의 제법에 따라 분자량, 연화점, 인장력이 우수한 폴리머를 중합시키고, 이 폴리머를 방수 점착층에 적용될 수 있게 함으로써, 아스팔트와 다른 수지와의 결합력이 증대되고, 피착면(아스팔트 또는 시멘트)에도 부착이 잘될 수 있으며, 점착방수층은, 자착력이 강력하고, 신장률이 뛰어나, 불규칙한 피착면이나 습기가 잔류된 피착면에도 그 부착력이 우수함으로써, 들뜸현상이나 바탕면의 거동에 대한 순응력이 우수하여 탁월한 방수성이 보장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다른 하나의 종래예로서 특허공개 10-2012-0069189호에 개시된 고무화 아스팔트계 자착식 방수/방근시트는, 아스팔트, 스티렌계 블록 공중합체, 파라핀계 점탄성 오일 및 석유수지 및 폴리부텐을 포함하는 방수층; 및 상기방수층 상에 적층된 고밀도 폴리에틸렌층을 포함하며, 여기에서 상기 방수층은 아스팔트 30 내지 70중량%, 스티렌계 블록 공중합체 1 내지 30중량%, 파라핀계 점탄성 합성오일 0.5 내지 20중량%의 중량비로 구성되어 있다.
이 같은 구성에 따라 균열 추종성, 저온유연성이 우수하며 콘크리트 구조물의 바탕면이나, 방수시트간의 이음부의 접착방법이 토치 등에 의한 열융착 또는 접착제를 사용하는 접착방법이 아닌 방수재 자체가 보유하고 있는 접척성을 이용하여 부착하는 비융착/비가열형 접착공법으로 기존 시트 방수공법에서 누수하자 빈도가 가장 높은 접합부에 대한 누수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 다른 종래의 자착식 방수시트가 일본 특개소 제57-98559호, 일본 특개소 제57-139143호, 미국 특허 제4,485,201호, 한국 등록특허 제0332632호, 한국 등록특허 제0388810호, 한국 등록특허 제0569694호, 한국 등록특허 제0701822호, 한국 등록특허 제0671412호, 한국 등록특허 제0726350호, 한국 공개특허 제2009-0090532호, 한국 공개특허 제2009-0056756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각각의 자착식 방수시트들은, 시공면이 건조한 상태에서는 우수한 부착성을 통해 방수 기능 및 누수 해결 효과가 향상되지만, 시공면이 습윤한 상태에서는 부착성이 현저히 저하되어 방수성과 누수성이 저하되고, 이에, 시공면을 건조시키는 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시공성도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트레이트아스팔트, 브로운아스팔트 및 스타이렌부타디엔스타이렌을 소정의 부피비로 혼합한 복합물에 에틸아세테이트, 벤즈알데하이드,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 싸이클로펜타디엔, 말레익언하이드라이드, 탄산칼슘 및 프로세스오일이 혼합된 고점착 고유동성 겔 점착형 컴파운드 조성물을 제조하고 부직포에 PE 필름 및 고무화아스팔트가 부착 구성된 자착식 시트의 일면에 상기 겔 점착형 컴파운드 조성물을 도포하여 습윤면 부착 성능이 우수한 고점착 고유동성 겔 점착형 컴파운드 조성물을 이용한 복합시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스트레이트아스팔트, 브로운아스팔트 및 스타이렌부타디엔스타이렌이 5:3:2의 부피비로 혼합된 복합물이 제조되는 단계와; 상기 복합물 100 중량부에 복합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에틸아세테이트 70-90 중량부, 벤즈알데하이드 60-80 중량부,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 50-70 중량부, 싸이클로펜타디엔 40-60 중량부, 말레익언하이드라이드 30-50 중량부, 탄산칼슘 20-40 및 프로세스오일 10-30 중량부가 혼합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겔 점착형 컴파운드 조성물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스트레이트아스팔트, 브로운아스팔트 및 스타이렌부타디엔스타이렌을 5:3:2의 부피비로 혼합한 복합물 100 중량부에 에틸아세테이트 70-90 중량부, 벤즈알데하이드 60-80 중량부,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 50-70 중량부, 싸이클로펜타디엔 40-60 중량부, 말레익언하이드라이드 30-50 중량부, 탄산칼슘 20-40 및 프로세스오일 10-30 중량부가 혼합된 겔 점착형 컴파운드 조성물이 제조되는 단계와; 상기 겔 점착형 컴파운드 조성물이 부직포에 PE 필름과 고무화아스팔트가 부착 구성된 자착식 시트의 일면에 도포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겔 점착형 컴파운드 조성물을 이용한 복합시트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스트레이트아스팔트, 브로운아스팔트 및 스타이렌부타디엔스타이렌을 소정의 부피비로 혼합한 복합물에 에틸아세테이트, 벤즈알데하이드,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 싸이클로펜타디엔, 말레익언하이드라이드, 탄산칼슘 및 프로세스오일이 혼합된 고점착 고유동성 겔 점착형 컴파운드 조성물을 제조하고 부직포에 PE 필름 및 고무화아스팔트가 부착 구성된 자착식 시트의 일면에 상기 겔 점착형 컴파운드 조성물을 도포하여 습윤면 부착 성능이 우수한 고점착 고유동성 겔 점착형 컴파운드 조성물을 이용한 복합시트를 제조하여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습윤면 부착 성능이 우수한 고점착 고유동성 겔 점착형 컴파운드 조성물은, 스트레이트아스팔트, 브로운아스팔트 및 스타이렌부타디엔스타이렌을 소정의 부피비로 혼합한 복합물에 에틸아세테이트, 벤즈알데하이드,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 싸이클로펜타디엔, 말레익언하이드라이드, 탄산칼슘 및 프로세스오일이 혼합된다.
여기서, 겔 점착형 컴파운드 조성물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스트레이트아스팔트, 브로운아스팔트 및 스타이렌부타디엔스타이렌을 5:3:2의 부피비로 혼합한 복합물 100 중량부에 에틸아세테이트 70-90 중량부, 벤즈알데하이드 60-80 중량부,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 50-70 중량부, 싸이클로펜타디엔 40-60 중량부, 말레익언하이드라이드 30-50 중량부, 탄산칼슘 20-40 및 프로세스오일 10-30 중량부가 혼합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겔 점착형 컴파운드 조성물 제조방법은, 스트레이트아스팔트, 브로운아스팔트 및 스타이렌부타디엔스타이렌이 5:3:2의 부피비로 혼합된 복합물이 제조되는 단계와, 상기 복합물 100 중량부에 복합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에틸아세테이트 70-90 중량부, 벤즈알데하이드 60-80 중량부,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 50-70 중량부, 싸이클로펜타디엔 40-60 중량부, 말레익언하이드라이드 30-50 중량부, 탄산칼슘 20-40 및 프로세스오일 10-30 중량부가 혼합되는 단계 등을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겔 점착형 컴파운드 조성물을 이용한 복합시트 제조방법은, 스트레이트아스팔트, 브로운아스팔트 및 스타이렌부타디엔스타이렌을 5:3:2의 부피비로 혼합한 복합물 100 중량부에 에틸아세테이트 70-90 중량부, 벤즈알데하이드 60-80 중량부,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 50-70 중량부, 싸이클로펜타디엔 40-60 중량부, 말레익언하이드라이드 30-50 중량부, 탄산칼슘 20-40 및 프로세스오일 10-30 중량부가 혼합된 겔 점착형 컴파운드 조성물이 제조되는 단계와, 상기 겔 점착형 컴파운드 조성물이 부직포에 PE 필름과 고무화아스팔트가 부착 구성된 자착식 시트의 일면에 도포되는 단계 등을 포함한다.
스트레이트아스팔트는, 방수성능을 제공하고 일예로, KS F 4052 방수공사용 아스팔트가 사용될 수 있으며, 그 중 3종 또는 5종이 사용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침입도가 80-100 mm 인 5종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3종의 경우 아스팔트에 레진이나 오일함량이 높아 내한성은 우수하나 점착 성능이 5종에 비해 높아 시트 제조시 시트간 접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상대적으로 점착성이 낮은 5종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스트레이트아스팔트는, 브로운아스팔트 및 스타이렌부타디엔스타이렌과 혼합시 5의 부피비를 가지는데, 5 부피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점착 성능이 너무 커지게 되어 콘크리트층에 작업을 위해 이면필름이 제거되는 경우 PE 필름에 도포된 고무화아스팔트 조성물간 접합이 이루어져 작업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고, 5 부피비를 미만하는 경우에는 오히려 콘크리트층과의 접착성과 방수 기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브로운아스팔트는, 석유 아스팔트에 공기를 취입하여 산화중합시켜 만든 탄성력이 큰 아스팔트로 만든 것으로서, 스트레이트 아스팔트에 비해 아스팔텐(asphaltene)의 함유량이 적고 페트롤렌(petrolene)의 함유량이 적어 내열성 및 가소성이 크며 내충격성이 강하고, 감온성이 적은 특징을 갖는다. 또한, 탄성, 내충격성, 방수성, 방습성, 방청성, 방수성 및 전기 절연성이 우수하고, 변성이 적은 성질을 가지고 있다.
여기서, 브로운아스팔트는, 스트레이트아스팔트 및 스타이렌부타디엔스타이렌과 혼합시 3의 부피비를 가지는데, 3 부피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건조가 잘 되지 않아 시공후 특히 하절기에 태양열에 녹아 끈적거리는 현상과 동절기에 층분리 및 균열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고, 3 부피비를 미만하는 경우에는 방수성 및 접착성이 크게 저하되어 시공성 및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스타이렌부타디엔스타이렌은, 접촉면과의 접착성, 내습성, 내구성, 치수 안정성 등의 성질을 제공한다.
여기서, 스타이렌부타디엔스타이렌은, 스트레이트아스팔트 및 브로운아스팔트와 혼합시 2의 부피비를 가지는데, 2 부피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복합물의 전반적인 점도가 높아지게 되어 딱딱하게 굳어져서 겔 상태의 유지가 어려워 접합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고, 2 부피비를 미만하는 경우에는 내수성이 저하되고 습윤 상태를 가지는 접착면으로부터 쉽게 분리되어 방수 기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상기 복합물은, 스트레이트아스팔트, 브로운아스팔트 및 스타이렌부타디엔스타이렌이 상기와 같은 한정된 부피비를 가지는 것을 통하여, 향상된 탄성, 내충격성, 방수성, 접착성, 절연성, 시공성 및 작업성 등의 효과가 제공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에틸아세테이트는, 상기 복합물에 혼합되어 겔 점착형 컴파운드 조성물의 제조시 상기 첨가물들의 교반성능을 향상과 접착력을 향상시키는 계면활성 및 침투 기능을 제공하여 시공시 방수성과 내마모성을 제공하여 투수비와 흡수비를 낮추고 신정성과 점착성 등을 제공한다.
여기서, 에틸아세테이트는, 상기 복합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70-90 중량부가 첨가되는데, 90 중량부 보다 많이 첨가되는 경우에는 높은 내화학성으로 인하여 첨가물들의 혼합률이 저하되고, 70 중량부 보다 적게 첨가되는 경우에는 접착 및 코팅 기능이 저하되어 내구성까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한정된 중량부를 가지는 것이 좋다.
벤즈알데하이드는, 상기 복합물에 혼합되어 겔 점착형 컴파운드 조성물의 제조시 첨가물들과 반응하여 유연성과 소정의 점도를 제공하여 조성물이 겔 상태를 가지도록 한다.
여기서, 벤즈알데하이드는, 상기 복합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60-80 중량부가 첨가되는데, 80 중량부 보다 많이 첨가되는 경우에는 겔 점착형 컴파운드 조성물의 전반적인 유연성이 너무 높아지고 점도가 너무 낮아지게 되며, 60 중량부 보다 적게 첨가되는 경우에는 겔 점착형 컴파운드 조성물의 전반적인 유연성이 너무 낮아지고 점도가 너무 높아지게 되어 교반성과 습윤 상태의 접촉면과의 접착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한정된 중량부를 가지는 것이 좋다.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는, 상기 겔 점착형 컴파운드 조성물의 전반적인 흡착 및 접착 기능을 제공한다.
여기서,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는, 상기 복합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50-70 중량부가 첨가되는데, 70 중량부 보다 많이 첨가되는 경우에는 겔 점착형 컴파운드 조성물이 접착면의 공극에 침투시 셀프레벨링 기능이 커지게 되어 침투 깊이가 오히려 낮아지게 되고, 50 중량부 보다 적게 첨가되는 경우에는 겔 점착형 컴파운드 조성물에 의한 도막 전체의 흡착 및 접착 기능이 저하되어 습윤 상태의 접착면으로부터 쉽게 박리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한정된 중량부를 가지는 것이 좋다.
싸이클로펜타디엔은, 상기 겔 점착형 컴파운드 조성물의 제조시 첨가물들의 접착력을 향상키는 계면 활성 및 침투 기능을 제공하여 시공시 방수성과 내마모성을 통한 투수비와 흡수비를 낮추고 신장성과 점착성을 제공한다.
여기서, 싸이클로펜타디엔은, 상기 복합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40-60 중량부가 첨가되는데, 60 중량부 보다 많이 첨가되는 경우에는 높은 내화학성으로 인하여 첨가물들의 혼합률이 저하되고, 40 중량부 보다 적게 첨가되는 경우에는 접착 및 코팅 기능이 저하되어 내구성까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한정된 중량부를 가지는 것이 좋다.
말레익언하이드라이드는, 상기 겔 점착형 컴파운드 조성물의 제조시 방수성과 접착력을 제공한다.
여기서, 말레익언하이드라이드는, 상기 복합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30-50 중량부가 첨가되는데, 50 중량부 보다 많이 첨가되는 경우에는 겔 점착형 컴파운드 조성물에 의한 도막과 습윤 상태를 가지는 접착면 표면의 습기와 혼화성이 감소되어 장시간 방치시 누수가 발생되고, 30 중량부 보다 적게 첨가되는 경우에는 겔 점착형 컴파운드 조성물에 의한 도막 전체의 방수성과 접착강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한정된 중량부를 가지는 것이 좋다.
탄산칼슘은, 상기 겔 점착형 컴파운드 조성물의 제조시 방수 및 차광성을 제공한다.
여기서, 탄산칼슘은, 상기 복합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20-40 중량부가 첨가되는데, 40 중량부 보다 많이 첨가되는 경우에는 점착성 및 겔 점착형 컴파운드 조성물의 전반적인 경량성이 저하되고, 20 중량부 보다 적게 첨가되는 경우에는 차광성이 저하되어 장시간 이후에는 방수성도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한정된 중량부를 가지는 것이 좋다.
프로세스오일은, 파라핀계 오일, 나프텐계 오일, 아로마틱계 오일 또는 식물성 오일 중 어느 한 종류 이상일 수 있으며, 상기 겔 점착형 컴파운드 조성물의 제조시 첨가물들의 유동성과 분산성 및 복합물의 물성 강화 기능을 제공한다.
여기서, 프로세스오일은, 상기 복합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0-30 중량부가 첨가되는데, 30 중량부 보다 많이 첨가되는 경우에는 가소성이 상실되어 형태적 안정성이 유지되지 못하고, 10 중량부 보다 적게 첨가되는 경우에는 급격한 물성 변화의 억제가 불가능해지고 작업 온도의 조절이 곤란해지며 습윤 상태의 접착면의 습기가 첨가물들과 교반되어 인장성과 내열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한정된 중량부를 가지는 것이 좋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겔 점착형 컴파운드 조성물 및 겔 점착형 컴파운드 조성물을 이용한 복합시트의 효과를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실시예는, 본 발명에 따른 겔 점착형 컴파운드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복합시트의 성능과 습윤면 부착 가능 여부 등을 평가하기 위한 것으로서, 실시예와 같이 제조된 복합시트의 인장성, 인열강도, 온도의존성 및 소정의 습윤 상태를 가지는 접착면에 부착 시공한 후 습윤면 부착 성능 등의 시험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A사의 시제품과 비교하여 표 1에 그 측정 결과를 비교하여 나타내었다.
스트레이트아스팔트, 브로운아스팔트 및 스타이렌부타디엔스타이렌을 4:3:3의 부피비로 혼합한 복합물 100 중량부에 에틸아세테이트 100 중량부, 벤즈알데하이드 90 중량부,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 80 중량부, 싸이클로펜타디엔 70 중량부, 말레익언하이드라이드 60 중량부, 탄산칼슘 50 및 프로세스오일 40 중량부를 혼합하여 겔 점착형 컴파운드 조성물을 제조한 후, 상기 겔 점착형 컴파운드 조성물을 부직포에 PE 필름과 고무화아스팔트가 부착 구성된 자착식 시트의 일면에 도포하여 복합시트를 제조하였다.
스트레이트아스팔트, 브로운아스팔트 및 스타이렌부타디엔스타이렌을 5:3:2의 부피비로 혼합한 복합물 100 중량부에 에틸아세테이트 80 중량부, 벤즈알데하이드 70 중량부,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 60 중량부, 싸이클로펜타디엔 50 중량부, 말레익언하이드라이드 40 중량부, 탄산칼슘 30 및 프로세스오일 20 중량부를 혼합하여 겔 점착형 컴파운드 조성물을 제조한 후, 상기 겔 점착형 컴파운드 조성물을 부직포에 PE 필름과 고무화아스팔트가 부착 구성된 자착식 시트의 일면에 도포하여 복합시트를 제조하였다.
스트레이트아스팔트, 브로운아스팔트 및 스타이렌부타디엔스타이렌을 4:2:4의 부피비로 혼합한 복합물 100 중량부에 에틸아세테이트 60 중량부, 벤즈알데하이드 50 중량부,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 40 중량부, 싸이클로펜타디엔 30 중량부, 말레익언하이드라이드 20 중량부, 탄산칼슘 10 및 프로세스오일 5 중량부를 혼합하여 겔 점착형 컴파운드 조성물을 제조한 후, 상기 겔 점착형 컴파운드 조성물을 부직포에 PE 필름과 고무화아스팔트가 부착 구성된 자착식 시트의 일면에 도포하여 복합시트를 제조하였다.
Figure 112021146050890-pat00001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의 복합시트의 경우 시제품에 비하여 인장성능, 인열강도 및 온도의존성능이 양호한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의 복합시트의 경우 습윤면 부착이 가능하지만 시제품의 경우 습윤면 부착이 불가능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상술한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청구 범위와 청구 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2)

  1. 스트레이트아스팔트, 브로운아스팔트 및 스타이렌부타디엔스타이렌이 5:3:2의 부피비로 혼합된 복합물이 제조되는 단계와;
    상기 복합물 100 중량부에 복합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에틸아세테이트 80 중량부, 벤즈알데하이드 70 중량부,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 60 중량부, 싸이클로펜타디엔 40-60 중량부, 말레익언하이드라이드 30-50 중량부, 탄산칼슘 20-40 및 프로세스오일 20 중량부가 혼합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겔 점착형 컴파운드 조성물 제조방법.
  2. 스트레이트아스팔트, 브로운아스팔트 및 스타이렌부타디엔스타이렌을 5:3:2의 부피비로 혼합한 복합물 100 중량부에 에틸아세테이트 80 중량부, 벤즈알데하이드 70 중량부,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 60 중량부, 싸이클로펜타디엔 40-60 중량부, 말레익언하이드라이드 30-50 중량부, 탄산칼슘 20-40 및 프로세스오일 20 중량부가 혼합된 겔 점착형 컴파운드 조성물이 제조되는 단계와;
    상기 겔 점착형 컴파운드 조성물이 부직포에 PE 필름과 고무화아스팔트가 부착 구성된 자착식 시트의 일면에 도포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겔 점착형 컴파운드 조성물을 이용한 복합시트 제조방법.
KR1020210180693A 2021-12-16 2021-12-16 습윤면 부착 성능이 우수한 고점착 고유동성 겔 점착형 컴파운드 조성물 제조방법 및 겔 점착형 컴파운드 조성물을 이용한 복합시트 제조방법 KR1023930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0693A KR102393059B1 (ko) 2021-12-16 2021-12-16 습윤면 부착 성능이 우수한 고점착 고유동성 겔 점착형 컴파운드 조성물 제조방법 및 겔 점착형 컴파운드 조성물을 이용한 복합시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0693A KR102393059B1 (ko) 2021-12-16 2021-12-16 습윤면 부착 성능이 우수한 고점착 고유동성 겔 점착형 컴파운드 조성물 제조방법 및 겔 점착형 컴파운드 조성물을 이용한 복합시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3059B1 true KR102393059B1 (ko) 2022-04-29

Family

ID=81429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0693A KR102393059B1 (ko) 2021-12-16 2021-12-16 습윤면 부착 성능이 우수한 고점착 고유동성 겔 점착형 컴파운드 조성물 제조방법 및 겔 점착형 컴파운드 조성물을 이용한 복합시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305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9715B1 (ko) * 2022-05-25 2022-09-02 권영재 노후 아스팔트 도로보수용 유제 및 이를 이용한 도로포장 공법
KR102439716B1 (ko) * 2022-06-16 2022-09-02 권영재 아스팔트 내구성 강화용 표면 보호제 및 이를 이용한 아스팔트 보강 공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0163A (ko) * 2012-06-22 2014-01-02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아스팔트 조성물, 및 아스팔트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154567B1 (ko) * 2020-06-15 2020-09-11 도경건설 주식회사 접착성능이 우수한 아스팔트 바인더를 이용한 배수성 고등급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배수성 고등급 아스팔트 콘크리트의 시공방법
KR102271005B1 (ko) * 2021-01-18 2021-06-29 성주현 고무화 아스팔트 자착식 방수시트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삼중 복합 방수 시공 방법
KR102309962B1 (ko) * 2021-01-21 2021-10-07 주식회사 세영이엔씨 내균열성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복합방수공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0163A (ko) * 2012-06-22 2014-01-02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아스팔트 조성물, 및 아스팔트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154567B1 (ko) * 2020-06-15 2020-09-11 도경건설 주식회사 접착성능이 우수한 아스팔트 바인더를 이용한 배수성 고등급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배수성 고등급 아스팔트 콘크리트의 시공방법
KR102271005B1 (ko) * 2021-01-18 2021-06-29 성주현 고무화 아스팔트 자착식 방수시트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삼중 복합 방수 시공 방법
KR102309962B1 (ko) * 2021-01-21 2021-10-07 주식회사 세영이엔씨 내균열성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복합방수공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9715B1 (ko) * 2022-05-25 2022-09-02 권영재 노후 아스팔트 도로보수용 유제 및 이를 이용한 도로포장 공법
KR102439716B1 (ko) * 2022-06-16 2022-09-02 권영재 아스팔트 내구성 강화용 표면 보호제 및 이를 이용한 아스팔트 보강 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59761B2 (en) Roofing membrane with a functional layer
KR102393059B1 (ko) 습윤면 부착 성능이 우수한 고점착 고유동성 겔 점착형 컴파운드 조성물 제조방법 및 겔 점착형 컴파운드 조성물을 이용한 복합시트 제조방법
US5145748A (en) Waterproofing system for water-penetrable construction surfaces
US8298662B2 (en) Waterproofing membrane
US8298661B2 (en) Waterproofing membrane
KR101941262B1 (ko) 시공 온도의 영향을 받지 않는 자착식 노출형 아스팔트 방수 시트의 제조 및 복합 방수시공방법
CA2518001A1 (en) Composition and method for roofing material installation
CN110437754A (zh) 一种反应倍粘型高分子防水卷材及其生产方法
CN107556948B (zh) 一种防水卷材专用自粘胶
KR101611185B1 (ko) 자착식 방수단열시트
US20180201813A1 (en) Self-adhesive waterproof sheet with modified synthetic rubber
JP2007262374A (ja) 改質アスファルト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自己粘着性防水シート
US5028487A (en) Primerless waterproofing laminates
KR102327868B1 (ko) 자가치유 고무아스팔트 복합방수시트와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US5132183A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waterproofing structures formed from water-penetrable construction materials
KR20010046737A (ko) 미가류 상태인 점착성 방수시트의 제조방법 및 그것을사용한 시공방법
KR101979940B1 (ko) 열변형이 없는 자착식 노출형 아스팔트 방수 시트의 제조 및 복합 방수시공방법
KR102275171B1 (ko) 기계적 강도가 우수한 자착식 고무화 아스팔트 방수시트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복합 방수 시공 방법
US20220403215A1 (en) Roofing underlayment using a pressure sensitive adhesive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the same
KR102349881B1 (ko) 내구성이 우수한 탄성도막방수재의 제조방법 및 탄성도막방수재가 코팅된 고무화 아스팔트 자착식 방수시트
CN116179083B (zh) 一种高粘结力热熔橡胶沥青防水涂料及其制备方法、防水层叠体
CN109735123B (zh) 一种橡胶沥青及其制备方法
KR102250894B1 (ko) 초속경 바탕조정제,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적층형 자착식 복합방수공법
CN110862790A (zh) 一种pvc防水卷材专用自粘胶
CN103937448A (zh) 一种提高剥离性能的自粘防水卷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