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2908B1 - 자유시점 비디오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자유시점 비디오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2908B1
KR102392908B1 KR1020210004918A KR20210004918A KR102392908B1 KR 102392908 B1 KR102392908 B1 KR 102392908B1 KR 1020210004918 A KR1020210004918 A KR 1020210004918A KR 20210004918 A KR20210004918 A KR 20210004918A KR 102392908 B1 KR102392908 B1 KR 1023929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video data
data
moving picture
providing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49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민재
백종호
Original Assignee
서울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049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29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29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29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1Server components or server architectures
    • H04N21/218Source of audio or video content, e.g. local disk arrays
    • H04N21/21805Source of audio or video content, e.g. local disk arrays enabling multiple viewpoints, e.g. using a plurality of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scrambling of additional data or processing content descrip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decrypting of additional data, reconstructing software from modules extracted from the transport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special video data, e.g 3D video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유시점 비디오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전자장치가 재생이 요청된 동영상데이터에 대한 제1 메타데이터 및 동영상데이터를 동영상제공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전자장치가 재생 중인 동영상데이터에 포함된 객체에 대한 선택신호가 수신되면 제1 메타데이터에서 객체와 관련된 객체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전자장치가 동영상제공서버로부터 객체정보에 대응되는 객체 동영상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전자장치가 동영상데이터와 객체 동영상데이터를 스케쥴링하여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다른 실시 예로도 적용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자유시점 비디오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Providing of Free Viewpoint Video Service}
본 발명은 자유시점 비디오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멀티미디어 이용 환경은 기존의 단순 소비형에서 사용자 참여형 그리고 대화형의 형태로 발전되어 가고 있다. 이러한 변화에 따라 각각의 사용자가 원하는 바에 따라 차별화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고, 주어진 컨텐츠가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조작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들이 개발되고 있다.
자유시점 비디오(FVV; free viewpoint video) 서비스는 이러한 대화형 서비스의 일예로, 복수의 카메라를 이용해 영상데이터를 획득하고 영상데이터를 가공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시청점으로 동영상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자유시점 비디오 서비스는 비디오 전송 시에 자유시점 비디오를 구성하는 전체 시점 비디오와 시점 보간을 위한 부분시점 비디오의 양이 방대하여 동시 전송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영상데이터를 가공하는 서버에서 복수의 사용자 단말로 대용량 비디오를 전송해야 하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부하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전자장치에서 동영상데이터 재생 중에 선택된 객체를 중심으로 하는 동영상데이터를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재생하여 최적의 용량으로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자유시점 비디오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전자장치에서 동영데이터 재생 중에 줌인 신호가 수신되면, 줌인 신호에 대응되는 영역을 줌인된 동영상데이터로 재생하여 시점 간의 합성없이 동영상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는 자유시점 비디오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유시점 비디오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전자장치가 재생이 요청된 동영상데이터에 대한 제1 메타데이터 및 상기 동영상데이터를 동영상제공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전자장치가 재생 중인 상기 동영상데이터에 포함된 객체에 대한 선택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1 메타데이터에서 상기 객체와 관련된 객체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전자장치가 상기 동영상제공서버로부터 상기 객체정보에 대응되는 객체 동영상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전자장치가 상기 동영상데이터와 상기 객체 동영상데이터를 스케쥴링하여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동영상데이터를 상기 동영상제공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수신된 제1 메타데이터를 파싱하여 상기 동영상데이터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동영상데이터를 상기 동영상제공서버에서 설정된 세그먼트 단위로 재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객체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메타데이터에서 상기 객체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메타데이터에서 상기 객체정보에 대응되는 객체 동영상데이터의 경로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동영상제공서버로 상기 객체 동영상데이터를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동영상데이터와 상기 객체 동영상데이터를 스케쥴링하여 재생하는 단계는, 상기 객체 동영상데이터에 대응하는 세그먼트의 재생 구간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재생 중인 동영상데이터에서 상기 확인된 세그먼트의 재생 구간과 동일한 재생 구간에 상기 객체 동영상데이터를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전자장치가 상기 동영상데이터의 일부 영역에 대한 줌인신호의 수신에 따라 줌인 동영상데이터를 수신하여 재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줌인 동영상데이터를 수신하여 재생하는 단계는, 상기 줌인신호에 대응되는 줌인 영역에 대응되는 제2 메타데이터를 상기 동영상제공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2 메타데이터를 상기 동영상제공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2 메타데이터를 파싱하여 상기 줌인 영역에 대한 줌인 동영상데이터의 경로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동영상제공서버로 상기 줌인 동영상데이터를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줌인 동영상데이터를 요청하는 단계 이후에, 동영상제공서버로부터 상기 줌인 동영상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줌인 동영상데이터에 대응하는 세그먼트의 재생 구간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동영상제공서버에서 설정된 세그먼트 단위로 재생 중인 상기 동영상데이터에서 상기 확인된 세그먼트의 재생 구간과 동일한 재생 구간에 상기 줌인 동영상데이터를 재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유시점 비디오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는, 동영상제공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상기 동영상제공서버로부터 제1 메타데이터와 동영상데이터를 수신하고, 재생 중인 상기 동영상데이터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와 관련된 객체정보를 상기 제1 메타데이터에서 확인하고, 상기 동영상제공서버로부터 상기 객체정보에 대응되는 객체 동영상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동영상데이터와 상기 객체 동영상데이터를 스케쥴링하여 재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유시점 비디오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은, 복수의 시점에서 동영상데이터를 획득하는 복수의 카메라, 상기 복수의 카메라로부터 복수의 동영상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동영상데이터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확인하여 상기 동영상데이터를 세그먼트화하고, 상기 동영상데이터에 대한 제1 메타데이터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동영상제공서버 및 상기 제1 메타데이터와 상기 동영상데이터를 수신하고, 재생 중인 상기 동영상데이터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와 관련된 객체정보를 상기 제1 메타데이터에서 확인하고, 상기 동영상제공서버로부터 상기 객체정보에 대응되는 객체 동영상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동영상데이터와 상기 객체 동영상데이터를 스케쥴링하여 재생하는 전자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유시점 비디오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은, 전자장치에서 동영상데이터 재생 중에 객체가 선택되면, 선택된 시점에 대응되는 객체 중심의 동영상데이터만을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재생함으로써 최적의 용량으로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유시점 비디오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은, 전자장치에서 동영데이터 재생 중에 줌인 신호가 수신되면, 줌인 신호에 대응되는 영역이 줌인된 동영상데이터만을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재생함으로써 시점 간의 합성없이 동영상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고 영상처리로 인해 발생하는 지연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유시점 비디오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공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유시점 비디오 서비스를 제공하는 동영상제공서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유시점 비디오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자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영상제공서버에서 자유시점 비디오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영상제공서버에서 동영상데이터를 복수의 동영상데이터로 분할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장치에서 자유시점 비디오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할 수 있고,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또는”, “적어도 하나”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단어들 중 하나를 나타내거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는 A 또는 B 중 하나만을 포함할 수 있고, A와 B를 모두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세그먼트”는 동영상데이터를 구성하는 복수의 프레임을 프레임별로 그룹화하여 동영상데이터를 시간기준으로 분할하는 것을 의미하며, “분할 동영상데이터”는 동영상데이터를 형성하는 픽셀을 기준으로 동영상데이터의 화면을 기준으로 분할하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유시점 비디오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공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10)은 복수의 카메라(100), 동영상제공서버(200) 및 전자장치(300)를 포함한다.
복수의 카메라(100)는 동일한 장소에 복수의 시점을 기반으로 배치되어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대한 동영상데이터를 획득한다. 이때, 동영상데이터는 전자장치(300)에서 출력 시에 메인이 되는 메인 동영상데이터와 적어도 하나의 서브 동영상데이터를 포함한다. 복수의 카메라(100)는 획득된 동영상데이터를 동영상제공서버(200)로 전송한다. 이를 위해, 복수의 카메라(100)는 동영상제공서버(200)와 무선 통신 및 유선 통신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동영상제공서버(200)는 메인 동영상데이터를 재생 중인 전자장치(300)에서 특정 객체가 선택되면, 시점 별로 특정 객체를 중심적으로 시청할 수 있는 객체 동영상데이터를 전자장치(300)로 전송한다. 또한, 동영상제공서버(200)는 메인 동영상데이터를 재생 중인 전자장치(300)에서 줌인(zoom in)신호가 선택되면, 시점에 관계없이 특정 영역을 보다 자세히 시청할 수 있는 줌인 동영상데이터를 전자장치(300)로 전송한다.
동영상제공서버(200)는 복수의 카메라(100)와의 통신을 통해 복수의 카메라(100)에서 획득된 동영상데이터를 수신하고, 동영상데이터, 객체 동영상데이터 및 줌인 동영상데이터를 전자장치(300)로 전송한다. 이를 위해, 동영상제공서버(200)는 복수의 카메라(100)와 무선 통신 및 유선 통신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을 수행하고, 전자장치(300)와 5G(5th generation),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Wi-Fi(wireless fidelity) 등의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전자장치(300)는 동영상제공서버(200)와의 통신을 통해 동영상제공서버(200)로부터 수신된 메인 동영상데이터를 재생한다. 전자장치(300)는 메인 동영상데이터 재생 중에 사용자로부터 특정 객체에 대한 선택신호가 수신되면, 시점 별로 특정 객체를 중심적으로 재생할 수 있는 객체 동영상데이터를 동영상제공서버(200)로부터 수신하여 재생한다. 또한, 전자장치(300)는 메인 동영상데이터 재생 중에 사용자로부터 특정 영역을 확대하기 위한 줌인신호가 수신되면, 시점에 관계없이 특정 영역을 확대하여 재생할 수 있는 줌인 동영상데이터를 동영상제공서버(200)로부터 수신하여 재생한다.
이를 위해, 전자장치(300)는 동영상제공서버(200)와 5G(5th generation),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Wi-Fi(wireless fidelity) 등의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전자장치(300)는 스마트 폰, 태블릿 PC(personal computer), 컴퓨터 등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전자장치일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하나의 전자장치를 예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복수의 전자장치가 동영상제공서버(200)에 접속하여 자유시점 비디오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유시점 비디오 서비스를 제공하는 동영상제공서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제공서버(200)는 서버통신부(210), 서버입력부(220), 서버표시부(230), 서버메모리(240) 및 서버제어부(250)를 포함한다.
서버통신부(210)는 복수의 카메라(100) 및 전자장치(300)와의 통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서버통신부(210)는 5G(5th generation),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Wi-Fi(wireless fidelity), 블루투스(Bluetooth) 등의 무선 통신을 이용할 수 있고, 케이블 통신 유선 통신을 통해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다.
서버입력부(220)는 동영상제공서버(200)의 관리자 입력에 대응하여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서버입력부(220)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수단을 포함한다. 서버입력부(220)는 키보드(key board), 키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널(touch panel), 터치 키(touch key) 및 버튼(button)을 포함한다.
서버표시부(230)는 동영상제공서버(200)의 동작에 따른 출력 데이터를 출력한다. 이를 위해, 서버표시부(230)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ED) 디스플레이, 마이크로 전자기계 시스템(MEMS; 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s) 디스플레이 및 전자 종이(electronic paper)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표시부(230)는 서버입력부(220)와 결합되어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으로 구현될 수 있다.
서버메모리(240)는 동영상제공서버(200)의 동작 프로그램들을 저장한다. 특히, 서버메모리(240)는 복수의 카메라(100)로부터 수신된 동영상데이터, 서버제어부(250)에 의해 설정된 세그먼트 길이, 세그먼트 길이에 따라 세그먼트화된 동영상데이터, 세그먼트 길이에 따라 생성된 객체 동영상데이터 및 줌인 동영상데이터 등을 저장한다. 또한, 서버메모리(240)는 세그먼트 길이를 설정하기 위한 수학식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서버제어부(250)는 복수의 카메라(100)로부터 수신된 복수의 동영상데이터에서 메인이 되는 메인 동영상데이터를 결정한다. 이때, 복수의 카메라(100)에서 메인 동영상데이터를 획득하는 카메라는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원본 영상데이터는, 메인 동영상데이터와 적어도 하나의 시점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동영상데이터를 포함한다.
서버제어부(250)는 동영상데이터 각각을 세그먼트화한다. 이를 위해, 서버제어부(250)는 동영상데이터 각각을 구성하는 프레임에서 확인된 객체의 특징 영역이 가장 잘 보여지는 최적의 구간을 선택하고 이를 이용하여 세그먼트 길이를 설정한다. 서버제어부(250)는 설정된 세그먼트 길이를 기반으로 동영상데이터를 세그먼트화한다. 서버제어부(250)는 서브 동영상데이터가 세그먼트화된 동영상데이터 중에서 객체가 중심이 된 세그먼트들을 객체 동영상데이터로 서버메모리(240)에 저장할 수 있다.
서버제어부(250)는 동영상데이터에 매핑되는 제1 메타데이터를 생성하여 서버메모리(240)에 저장한다. 이때, 제1 메타데이터는, 동영상데이터를 구성하는 세그먼트들의 재생 구간 정보, 동영상데이터의 전송률, 동영상데이터의 해상도, 동영상데이터를 구성하는 세그먼트들의 프레임 정보, 동영상데이터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 정보, 객체에 대한 객체 동영상데이터의 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제어부(250)는 서브 동영상데이터를 형성하는 픽셀을 기준으로 각각의 서브 동영상데이터를 복수개의 분할 동영상데이터로 분할하고, 분할된 복수개의 분할 동영상데이터 각각에 대한 세그먼트화를 수행한다. 이때, 분할 동영상데이터는 서버제어부(250)에서 기설정된 세그먼트 길이를 기반으로 세그먼트화될 수 있고, 서버제어부(250)는 분할 동영상데이터를 서버메모리(240)에 저장할 수 있다.
서버제어부(250)는 동영상데이터에 매핑되는 제2 메타데이터를 생성하여 서버메모리(240)에 저장한다. 제2 메타데이터는, 동영상데이터를 구성하는 세그먼트들의 재생 구간 정보, 각 분할 동영상데이터를 구성하는 세그먼트들의 재생 구간 정보, 각 분할 동영상데이터에 할당된 ID, 각 분할 동영상데이터의 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
동영상제공서버(200)는 동영상데이터에서 확인된 객체를 기준으로 제1 메타데이터를 생성한다. 이때, 제1 메타데이터는, 각 세그먼트의 재생 구간 정보, 동영상데이터의 전송률, 동영상데이터의 해상도, 각 세그먼트를 구성하는 프레임 정보, 동영상데이터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 정보, 객체에 대한 객체 동영상데이터의 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제1 메타데이터 및 제2 메타데이터는 DASH VoD에서 사용되는 MPD(media presentation descriptor) 문서에 포함된 데이터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유시점 비디오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자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자장치(300)는 장치통신부(310), 장치입력부(320), 장치표시부(330), 장치메모리(340) 및 장치제어부(350)를 포함한다.
장치통신부(310)는 동영상제공서버(200)와의 통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장치통신부(310)는 5G(5th generation),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Wi-Fi(wireless fidelity) 등의 무선 통신을 이용할 수 있고, 케이블 통신 등의 유선 통신을 통해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다.
장치입력부(320)는 전자장치(300)의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장치입력부(320)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수단을 포함한다. 장치입력부(320)는 키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널(touch panel), 터치 키(touch key) 및 버튼(button)을 포함한다.
장치표시부(330)는 전자장치(300)의 동작에 따른 출력 데이터를 출력한다. 이를 위해, 장치표시부(330)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ED) 디스플레이, 마이크로 전자기계 시스템(MEMS; 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s) 디스플레이 및 전자 종이(electronic paper)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장치표시부(330)는 장치입력부(320)와 결합되어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으로 구현될 수 있다.
장치메모리(340)는 전자장치(300)의 동작 프로그램들을 저장한다. 특히, 장치메모리(340)는 동영상제공서버(200)로부터 수신되는 세그먼트 단위의 동영상데이터를 파싱하여 스케쥴링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장치제어부(350)는 사용자로부터 동영상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한 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요청신호에 대응하는 동영상데이터에 대한 제1 메타데이터와 메인 동영상데이터를 동영상제공서버(200)로 요청한다. 장치제어부(350)는 동영상제공서버(200)로부터 수신된 메인 동영상데이터를 재생한다. 이때, 장치제어부(350)는 동영상제공서버(200)에서 설정된 길이의 세그먼트 단위로 메인 동영상데이터를 재생한다.
장치제어부(350)는 재생 중인 메인 동영상데이터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 중 어느 하나의 객체에 대한 객체 선택신호가 수신되면, 동영상제공서버(200)로 객체 선택신호에 대응되는 객체 동영상데이터를 요청한다. 전자장치(300)는 제1 메타데이터에서 객체 선택신호에 대응되는 객체에 대한 객체 동영상데이터의 경로를 확인하고, 해당 경로에 대한 객체 동영상데이터를 동영상제공서버(200)로 전송한다. 장치제어부(350)는 동영상제공서버(200)로부터 해당 경로에 대응되는 객체 동영상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객체 동영상데이터에 대한 세그먼트를 파싱한다. 장치제어부(350)는 파싱된 결과를 기반으로 세그먼트를 스케쥴링하고 세그먼트 스케쥴링을 기반으로 메인 동영상데이터와 객체 동영상데이터를 재생한다.
또한, 장치제어부(350)는 사용자로부터 재생 중인 메인 동영상데이터의 특정 영역을 줌인(zoom in)하기 위한 줌인신호가 수신되면 동영상제공서버(200)로부터 재생 중인 메인 동영상데이터와 관련된 제2 메타데이터를 수신한다. 장치제어부(350)는 제2 메타데이터를 확인하여 동영상제공서버(200)로 줌인신호에 대응되는 영역에 대한 줌인 동영상데이터를 요청하고 수신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장치제어부(350)는 메인 동영상데이터에서 줌인신호가 수신된 영역을 확인하고, 확인된 영역을 포함하는 분할 동영상데이터에 할당된 ID를 확인한다. 그리고 장치제어부(350)는 확인된 ID에 대응되는 분할 동영상데이터의 세그먼트 중에서 줌인신호가 수신된 시점의 메인 동영상데이터의 세그먼트를 확인한다. 장치제어부(350)는 확인된 세그먼트에 대응되는 분할 동영상데이터를 동영상제공서버(200)로 요청하여 이를 수신할 수 있다.
장치제어부(350)는 수신된 줌인 동영상데이터에 대한 세그먼트를 파싱하고, 파싱된 결과를 기반으로 세그먼트를 스케쥴링한다. 장치제어부(350)는 세그먼트 스케쥴링을 기반으로 메인 동영상데이터와 줌인 동영상데이터를 재생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영상제공서버에서 자유시점 비디오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영상제공서버에서 동영상데이터를 복수의 동영상데이터로 분할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예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401단계에서 동영상제공서버(200)는 복수의 카메라(100)에서 획득된 동영상데이터를 수신한다. 403단계에서 동영상제공서버(200)는 동영상데이터를 구성하는 복수의 프레임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확인한다. 이때, 동영상데이터는 복수의 시점에서 각각 획득된 동영상데이터로 전자장치(300)로 전송 시에 메인이 되는 메인 동영상데이터와 적어도 하나의 시점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동영상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405단계에서 동영상제공서버(200)는 동영상데이터의 세그먼트 길이를 설정한다. 동영상제공서버(200)는 각각의 프레임에서 확인된 객체의 특징 영역이 가장 잘 보여지는 최적의 구간을 선택하고 이를 이용하여 세그먼트 길이를 설정한다. 예를 들면, 동영상데이터가 메인 동영상데이터와 제1 및 제2 서브 동영상데이터이고, 동영상데이터에서 확인된 객체가 2명의 인물이면, 동영상제공서버(200)는 메인 동영상데이터와 제1 및 제2 서브 동영상데이터 각각에서 제1 인물과 제2 인물의 특징 영역이 가장 잘 보여지는 최적의 구간들을 선택할 수 있다. 세그먼트 길이는 하기의 수학식 1을 기반으로 설정된다.
Figure 112021004698903-pat00001
(단,
Figure 112021004698903-pat00002
은 동영상데이터의 전체 재생 시간,
Figure 112021004698903-pat00003
는 세그먼트의 길이,
Figure 112021004698903-pat00004
은 동영상데이터를 구성하는 총 세그먼트의 개수를 의미함)
아울러, 동영상제공서버(200)는 세그먼트 길이를 기반으로 세그먼트화된 제1 및 제2 서브 동영상데이터가 객체 동영상데이터로 생성되어 전자장치(300)에 전송될 때의 전송 효율과 구간별 세그먼트의 합이 대역폭 내에 전송 가능한지의 여부를 고려하여 세그먼트 길이를 설정한다. 이를 위해, 동영상제공서버(200)는 하기의 수학식 2를 이용하여 세그먼트화된 객체 동영상데이터를 전송할 때의 효율을 산출한다.
Figure 112021004698903-pat00005
(단,
Figure 112021004698903-pat00006
은 동영상데이터의 전체 개수,
Figure 112021004698903-pat00007
는 a번 객체에 대한 선택된 구간이 n길이의 세그먼트로 분할된 크기를 의미함)
407단계에서 동영상제공서버(200)는 제1 메타데이터의 생성이 필요한 것으로 확인되면 409단계를 수행하고, 제1 메타데이터의 생성이 필요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413단계를 수행한다. 제1 메타데이터의 생성이 필요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될 때는 동영상제공서버(200)에서 동영상데이터에 대한 제1 메타데이터가 이미 생성된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409단계에서 동영상제공서버(200)는 405단계에서 설정된 세그먼트 길이로 동영상데이터를 세그먼트화한다. 411단계에서 동영상제공서버(200)는 동영상데이터에 매핑되는 제1 메타데이터를 생성한다. 이때, 제1 메타데이터는, 동영상데이터를 구성하는 세그먼트들의 재생 구간 정보, 동영상데이터의 전송률, 동영상데이터의 해상도, 동영상데이터를 구성하는 세그먼트들의 프레임 정보, 동영상데이터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 정보, 객체에 대한 객체 동영상데이터의 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어서, 동영상제공서버(200)는 421단계를 수행한다. 421단계에서 동영상제공서버(200)는 메타데이터의 생성이 완료된 것으로 확인되면 423단계를 수행하여 생성이 완료된 메타데이터를 저장한다. 메타데이터의 생성완료는, 제1 메타데이터와 제2 메타데이터의 생성이 모두 완료된 것을 의미한다. 반대로, 421단계에서 동영상제공서버(200)는 메타데이터의 생성이 완료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407단계로 회귀한다. 407단계에서 동영상제공서버(200)는 제1 메타데이터의 생성이 완료된 상태이면 제1 메타데이터의 생성이 필요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하여 413단계를 수행한다.
413단계에서 동영상제공서버(200)는 제2 메타데이터의 생성이 필요한 것으로 확인되면 415단계를 수행하고, 제2 메타데이터의 생성이 필요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해당 프로세스를 종료한다. 415단계에서 동영상제공서버(200)는 401단계에서 수집된 동영상데이터를 분할한다. 동영상제공서버(200)는 도 5의 (a) 및 (b)와 같이 동영상데이터를 형성하는 픽셀을 기준으로 복수개 예컨대, 9개의 동영상데이터로 분할할 수 있으며, 동영상데이터 모두를 분할할 수 있다. 이때, 동영상제공서버(200)는 메인 동영상데이터 및 적어도 하나의 서브 동영상데이터를 저장한 이후에, 각 동영상데이터의 복사본을 이용하여 분할 동영상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417단계에서 동영상제공서버(200)는 405단계에서 설정된 세그먼트 길이를 기반으로 분할된 분할 동영상데이터 각각에 대한 세그먼트화를 수행하고 419단계를 수행한다. 419단계에서 동영상제공서버(200)는 제2 메타데이터를 생성한다. 이때, 제2 메타데이터는 동영상데이터에 매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메타데이터는, 동영상데이터를 구성하는 세그먼트들의 재생 구간 정보, 각 분할 동영상데이터를 구성하는 세그먼트들의 재생 구간 정보, 각 분할 동영상데이터에 할당된 ID, 각 분할 동영상데이터의 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어서, 동영상제공서버(200)는 421단계를 수행한다. 421단계에서 동영상제공서버(200)는 메타데이터의 생성이 완료된 것으로 확인되면 423단계를 수행하여 생성이 완료된 메타데이터를 저장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장치에서 자유시점 비디오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601단계에서 전자장치(300)는 사용자로부터 동영상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한 요청신호가 수신되면 603단계를 수행하고, 요청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요청신호의 수신을 대기한다. 603단계에서 전자장치(300)는 요청신호를 기반으로 동영상제공서버(200)로부터 동영상데이터와 관련된 제1 메타데이터를 수신하고 605단계를 수행한다. 전자장치(300)는 제1 메타데이터를 수신하여 동영상데이터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대한 객체정보를 확인하고, 동영상데이터의 전송률 및 해상도를 확인한다.
605단계에서 전자장치(300)는 요청신호를 기반으로 동영상제공서버(200)로부터 동영상데이터에 포함된 메인 동영상데이터를 수신하고 603단계에서 확인된 전송률 및 해상도를 기반으로 메인 동영상데이터를 재생한다. 이때, 전자장치(300)는 동영상제공서버(200)에서 설정된 세그먼트 단위로 메인 동영상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다.
이어서, 607단계에서 전자장치(300)는 사용자로부터 재생 중인 메인 동영상데이터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 중 어느 하나의 객체에 대한 객체 선택신호의 수신여부를 확인한다. 607단계의 확인결과 객체 선택신호가 수신되면 전자장치(300)는 609단계를 수행하고, 객체 선택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617단계를 수행한다.
609단계에서 전자장치(300)는 동영상제공서버(200)로 객체 선택신호에 대응되는 객체 동영상데이터를 요청하고 이를 수신하여 611단계를 수행한다. 이때, 전자장치(300)는 제1 메타데이터에서 객체 선택신호에 대응되는 객체에 대한 객체 동영상데이터의 경로를 확인하고, 해당 경로에 대한 객체 동영상데이터를 동영상제공서버(200)로 전송한다. 전자장치(300)는 동영상제공서버(200)로부터 해당 경로에 대응되는 객체 동영상데이터를 수신한다. 이때, 객체 동영상데이터는 동영상제공서버(200)에서 설정된 세그먼트 길이를 기반으로 세그먼트화된 제1 및 제2 서브 동영상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의미할 수 있다.
이어서, 611단계에서 전자장치(300)는 객체 동영상데이터에 대한 세그먼트를 파싱하고, 613단계를 수행한다. 613단계에서 전자장치(300)는 파싱된 결과를 기반으로 세그먼트를 스케쥴링하고 615단계를 수행한다. 615단계에서 전자장치는 세그먼트 스케쥴링을 기반으로 메인 동영상데이터와 객체 동영상데이터를 재생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장치(300)는 객체 동영상데이터의 세그먼트를 파싱하여 객체 동영상데이터에 대응하는 세그먼트의 재생 구간 정보를 확인한다. 전자장치(300)는 세그먼트 단위로 재생 중인 메인 동영상데이터에서 객체 동영상데이터의 세그먼트의 재생 구간 정보와 동일한 재생 구간인 세그먼트를 확인한다. 전자장치(300)는 메인 동영상데이터에서 확인된 세그먼트의 재생 구간에 객체 동영상데이터의 세그먼트를 삽입하여 재생한다.
이와 같이, 전자장치(300)는 메인 동영상데이터에서 선택된 객체가 중심이 되지 않는 시점에 메인 동영상데이터 대신 객체 동영상데이터를 재생함으로써 사용자 입장에서는 선택된 객체가 중심이 되는 동영상데이터를 지속적으로 감상할 수 있다. 아울러,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사용자가 특정 객체 중심으로 동영상데이터를 감상하던 중에 객체를 변경하고자 하면, 전자장치(300)는 메인 동영상데이터를 다시 재생하다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객체를 변경하여 변경된 객체 중심의 동영상데이터를 끊김없이 제공할 수 있다.
반대로, 617단계에서 전자장치(300)는 사용자로부터 재생 중인 메인 동영상데이터의 특정 영역을 줌인(zoom in)하기 위한 줌인신호의 수신여부를 확인한다. 617단계의 확인결과, 줌인신호가 수신되면 전자장치(300)는 619단계를 수행하고, 줌인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해당 프로세스를 종료한다.
619단계에서 전자장치(300)는 동영상제공서버(200)로부터 재생 중인 메인 동영상데이터와 관련된 제2 메타데이터를 수신하고, 621단계에서 전자장치(300)는 동영상제공서버(200)로 줌인신호에 대응되는 줌인 동영상데이터를 요청하고 수신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장치(300)는 동영상제공서버(200)로부터 수신된 제2 메타데이터를 기반으로 동영상데이터를 구성하는 세그먼트들의 재생 구간 정보, 각 분할 동영상데이터를 구성하는 세그먼트들의 재생 구간 정보, 각 분할 동영상데이터에 할당된 ID, 각 분할 동영상데이터의 경로를 확인한다.
전자장치(300)는 메인 동영상데이터에서 줌인신호가 수신된 영역을 확인하고, 확인된 영역을 포함하는 분할 동영상데이터에 할당된 ID를 확인한다. 그리고 전자장치(300)는 확인된 ID에 대응되는 분할 동영상데이터의 세그먼트 중에서 줌인신호가 수신된 시점의 메인 동영상데이터의 세그먼트를 확인한다. 전자장치(300)는 확인된 세그먼트에 대응되는 분할 동영상데이터의 경로를 확인하여 이를 동영상제공서버(200)로 요청한 후에 수신할 수 있다.
이어서, 611단계에서 전자장치(300)는 줌인 동영상데이터에 대한 세그먼트를 파싱하고, 613단계를 수행한다. 613단계에서 전자장치(300)는 파싱된 결과를 기반으로 세그먼트를 스케쥴링하고 615단계를 수행한다. 615단계에서 전자장치(300)는 세그먼트 스케쥴링을 기반으로 메인 동영상데이터와 줌인 동영상데이터를 재생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장치(300)는 줌인 동영상데이터의 세그먼트를 파싱하여 줌인 동영상데이터에 대응하는 세그먼트의 재생 구간 정보를 확인한다. 전자장치(300)는 세그먼트 단위로 재생 중인 메인 동영상데이터에서 줌인 동영상데이터의 세그먼트의 재생 구간 정보와 동일한 재생 구간인 세그먼트를 확인한다. 전자장치(300)는 메인 동영상데이터에서 확인된 세그먼트의 재생 구간에 줌인 동영상데이터의 세그먼트를 삽입하여 재생한다. 이와 같이, 전자장치(300)는 메인 동영상데이터 시청 중에 줌인 신호가 수신되면 메인 동영상데이터 대신 해당 영역에 대한 줌인 동영상데이터를 재생함으로써 재생 중인 화면의 위치 변화 없이 동영상데이터를 지속적으로 감상할 수 있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0)

  1. 전자장치가 재생이 요청된 동영상데이터에 대한 제1 메타데이터 및 상기 동영상데이터를 동영상제공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제1 메타데이터를 파싱하여 상기 동영상데이터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전자장치가 재생 중인 상기 동영상데이터에 확인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 중 어느 하나의 객체에 대한 선택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1 메타데이터에서 상기 객체와 관련된 객체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전자장치가 상기 동영상제공서버로부터 상기 객체정보에 대응되고, 상기 동영상제공서버에서 상기 전자장치로 전송될 때의 전송효율과 전송 대역폭을 고려한 세그먼트 길이를 가지는 객체 동영상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전자장치가 상기 객체 동영상데이터의 세그먼트를 파싱하여 상기 객체 동영상데이터에 대응하는 세그먼트의 제1재생 구간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전자장치가 상기 동영상데이터에서 상기 제1재생 구간 정보에 기초하여 동일한 재생 구간을 가지는 상기 동영상데이터의 세그먼트의 제2재생 구간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전자장치가 상기 재생 중인 동영상데이터에서 상기 제2재생 구간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객체 동영상데이터의 세그먼트를 삽입하여 재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유시점 비디오 서비스 제공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메타데이터에서 상기 객체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메타데이터에서 상기 객체정보에 대응되는 객체 동영상데이터의 경로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동영상제공서버로 상기 객체 동영상데이터를 요청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유시점 비디오 서비스 제공 방법.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장치가 상기 동영상데이터의 일부 영역에 대한 줌인신호의 수신에 따라 줌인 동영상데이터를 수신하여 재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유시점 비디오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줌인 동영상데이터를 수신하여 재생하는 단계는,
    상기 줌인신호에 대응되는 줌인 영역에 대응되는 제2 메타데이터를 상기 동영상제공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유시점 비디오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메타데이터를 상기 동영상제공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2 메타데이터를 파싱하여 상기 줌인 영역에 대한 줌인 동영상데이터의 경로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동영상제공서버로 상기 줌인 동영상데이터를 요청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유시점 비디오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줌인 동영상데이터를 요청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동영상제공서버로부터 상기 줌인 동영상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줌인 동영상데이터에 대응하는 세그먼트의 재생 구간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동영상제공서버에서 설정된 세그먼트 단위로 재생 중인 상기 동영상데이터에서 상기 확인된 세그먼트의 재생 구간과 동일한 재생 구간에 상기 줌인 동영상데이터를 재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유시점 비디오 서비스 제공 방법.
  9. 동영상제공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상기 동영상제공서버로부터 제1 메타데이터와 동영상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1 메타데이터를 파싱하여 상기 동영상데이터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확인하고, 재생 중인 상기 동영상데이터에 확인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 중 어느 하나의 객체에 대한 선택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객체와 관련된 객체정보를 상기 제1 메타데이터에서 확인하고, 상기 동영상제공서버로부터 상기 객체정보에 대응되고, 상기 동영상제공서버에서 전자장치로 전송될 때의 전송효율과 전송 대역폭을 고려한 세그먼트 길이를 가지는 객체 동영상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객체 동영상데이터의 세그먼트를 파싱하여 상기 객체 동영상데이터에 대응하는 세그먼트의 제1재생 구간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동영상데이터에서 상기 제1재생 구간 정보에 기초하여 동일한 재생 구간을 가지는 상기 동영상데이터의 세그먼트의 제2재생 구간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재생 중인 동영상데이터에서 상기 제2재생 구간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객체 동영상데이터의 세그먼트를 삽입하여 재생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유시점 비디오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자장치.
  10. 복수의 시점에서 동영상데이터를 획득하는 복수의 카메라;
    상기 복수의 카메라로부터 복수의 동영상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동영상데이터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확인하여 상기 동영상데이터를 세그먼트화하고, 상기 동영상데이터에 대한 제1 메타데이터를 생성하여 저장하고, 전자장치로 전송할 때의 전송효율과 전송 대역폭을 고려하여 상기 동영상데이터의 세그먼트 길이를 설정하는 동영상제공서버; 및
    상기 제1 메타데이터와 상기 동영상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1 메타데이터를 파싱하여 상기 동영상데이터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확인하고, 재생 중인 상기 동영상데이터에 확인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 중 어느 하나의 객체에 대한 선택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객체와 관련된 객체정보를 상기 제1 메타데이터에서 확인하고, 상기 동영상제공서버로부터 상기 객체정보에 대응되고, 상기 동영상제공서버에서 상기 전송효율과 전송 대역폭을 고려한 세그먼트 길이를 가지는 객체 동영상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객체 동영상데이터의 세그먼트를 파싱하여 상기 객체 동영상데이터에 대응하는 세그먼트의 제1재생 구간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동영상데이터에서 상기 제1재생 구간 정보에 기초하여 동일한 재생 구간을 가지는 상기 동영상데이터의 세그먼트의 제2재생 구간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재생 중인 동영상데이터에서 상기 제2재생 구간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객체 동영상데이터의 세그먼트를 삽입하여 재생하는 전자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유시점 비디오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0210004918A 2021-01-13 2021-01-13 자유시점 비디오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3929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4918A KR102392908B1 (ko) 2021-01-13 2021-01-13 자유시점 비디오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4918A KR102392908B1 (ko) 2021-01-13 2021-01-13 자유시점 비디오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2908B1 true KR102392908B1 (ko) 2022-04-29

Family

ID=81429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4918A KR102392908B1 (ko) 2021-01-13 2021-01-13 자유시점 비디오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290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89357A (ja) * 2006-01-11 2007-07-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自由視点映像配信装置及び自由視点映像配信方法
JP2013183209A (ja) * 2012-02-29 2013-09-12 Nagoya Univ 多視点映像ストリーム視聴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1573676B1 (ko) * 2014-08-22 2015-12-11 가온미디어 주식회사 메타데이터 기반의 객체기반 가상시점 방송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기록매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89357A (ja) * 2006-01-11 2007-07-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自由視点映像配信装置及び自由視点映像配信方法
JP2013183209A (ja) * 2012-02-29 2013-09-12 Nagoya Univ 多視点映像ストリーム視聴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1573676B1 (ko) * 2014-08-22 2015-12-11 가온미디어 주식회사 메타데이터 기반의 객체기반 가상시점 방송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기록매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190092B (zh) 用于流数字内容的同步重放的系统和方法
WO2012039404A1 (ja) 映像ビットストリームの伝送システム
WO2021129277A1 (zh) 直播视频的回看方法及设备
KR101528863B1 (ko) 파노라마 영상의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타일링 영상 동기화 방법
CN102103631A (zh) 内容提供服务器和方法及内容再现设备、方法和系统
CN113141524B (zh) 资源传输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KR102133207B1 (ko) 통신장치, 통신 제어방법 및 통신 시스템
KR20180038256A (ko) Vr 스트림의 지연을 보상하는 방법 및 시스템
CN104349221A (zh) 进行流分发的通信设备、信息处理设备、及其控制方法
KR20190062816A (ko) 분할 영상 기반의 라이브 스트리밍 서비스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100901111B1 (ko) 삼차원 가상 공간 콘텐츠를 이용한 영상제공시스템
JP2017123503A (ja) 映像配信装置、映像配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13691862B (zh) 视频处理方法、用于视频播放的电子设备和视频播放系统
JP2005277847A (ja) 画像再生システム、画像送信装置、画像受信装置、画像再生方法、画像再生プログラム、記録媒体
CN112702641A (zh) 视频处理方法、摄像机、录播主机、系统及存储介质
KR102392908B1 (ko) 자유시점 비디오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US11765442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for presenting reproduced video including service object and adding additional image indicating the service object
JP2012222399A (ja) 映像再生システム、映像再生方法、映像再生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10931985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JP2021033354A (ja) 通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09021894A (ja) 映像配信システム
US11470395B2 (en) Content distribution system and content distribution method
JP7201468B2 (ja) 動画配信システム、動画配信サーバ、動画配信方法及び動画配信プログラム
CN111837401B (zh) 信息处理设备、信息处理方法
KR100616425B1 (ko) 고품질 실시간 동영상 서비스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