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2329B1 - 스트랩 디스펜서 - Google Patents

스트랩 디스펜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2329B1
KR102392329B1 KR1020210172677A KR20210172677A KR102392329B1 KR 102392329 B1 KR102392329 B1 KR 102392329B1 KR 1020210172677 A KR1020210172677 A KR 1020210172677A KR 20210172677 A KR20210172677 A KR 20210172677A KR 102392329 B1 KR102392329 B1 KR 1023923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p
stopper
dispenser
released
circumferenti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26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기항
Original Assignee
박기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기항 filed Critical 박기항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23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2329B1/ko
Priority to PCT/KR2022/007680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328246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nnula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66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jumbo rolls; for rolls of floor cov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25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2581/0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 B65D2581/051Details of packaging elements for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 B65D2581/057Edge protectors adapted to protect the circular edge of rolls of material, e.g. coils of sheet 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바디를 구비하는 메인 프레임; 상기 제1 바디를 수용하는 중공 파이프 형태의 제2 바디와, 상기 제2 바디의 외주면에 권선된 스트랩을 구비하는 스트랩 롤; 및 상기 스트랩이 당겨져서 상기 제1 바디에 대해 상기 제2 바디가 상대 회전하는 경우에 상기 제2 바디의 회전에 대한 저항을 일으켜서, 상기 제2 바디가 상기 스트랩이 당겨지는 힘에 대응하는 관성력 보다 낮은 관성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스트랩이 풀려지게 하도록 구성되는 저항 유닛을 포함하는, 스트랩 디스펜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스트랩 디스펜서{STRAP DISPENSER}
본 발명은 스트랩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꽃이나 선물 상자 등은 스트랩으로 묶여져서 마감된다. 특히, 스트랩이 리본 형태로 묶여짐에 따라 장식적인 모양이 만들어져서, 꽃이나 선물은 보다 매력적인 물품으로 인식될 수 있다.
이러한 스트랩은 롤에 감긴 채로 이용되는 것이 통상적이다. 롤에 감겨진 스트랩은 사용자가 그를 당김에 의해 풀려진다. 당김 과정에서 회전되는 롤의 관성에 의해, 스트랩은 사용자가 원하는 길이 이상으로 풀려지는 경우가 많다. 그에 따라, 스트랩이 어지럽게 널리게 되거나, 스트랩의 자유단이 일정한 위치에 놓여지지 못하여 다음 작업이 빠르게 진행되지 못하게 된다.
이에 대응하여 스트랩의 풀림을 적정 길이로 제어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상당한 주의를 기울여서 스트랩을 아주 천천히 당겨야 한다. 나아가, 스트랩의 자유단에 핀을 꽂아서 자유단을 고정하기도 한다. 이는 상당한 시간과 정신적 집중, 핀 사용 단계의 추가를 요구하여, 꽃 등에 대한 신속한 포장 작업을 저해하고 사용자를 피곤하게 하는 요인이 된다.
또한, 사용자마다 스트랩을 잡아 당기는 힘의 크기가 다르고, 스트랩이 풀리는 정도에 대한 요구 수준도 다르다. 따라서, 스트랩이 풀리는 정도를 제한하는 구조를 갖는 디스펜서라고 해도, 개별 사용자에게는 적합하지 않을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사용자가 세심한 주의없이 스트랩을 당기더라도 스트랩의 풀림에 대한 저항이 작용하여 스트랩이 적절한 길이 범위 내에서 풀리게 하는, 스트랩 디스펜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사용자의 힘이나 원하는 풀림 정도에 따라 스트랩이 풀리는 정도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게 하는, 스트랩 디스펜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스트랩 디스펜서는, 제1 바디와, 제1 바디의 측방에 배치되는 사이드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메인 프레임; 상기 제1 바디를 수용하는 중공 파이프 형태의 제2 바디와, 상기 제2 바디의 외주면에 권선된 스트랩을 구비하는 스트랩 롤; 및 상기 스트랩이 당겨져서 상기 제1 바디에 대해 상기 제2 바디가 회전하는 경우에 상기 제2 바디의 회전에 대한 저항을 일으켜서, 상기 제2 바디가 상기 스트랩이 당겨지는 힘에 대응하는 관성력 보다 낮은 관성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스트랩이 풀려지게 하도록 구성되는 저항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 프레임은, 상기 스트랩이 걸리도록 형성된 걸림부를 구비하고,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에 결합되어 상기 스트랩의 주면을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걸림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저항 유닛은, 상기 스트랩 중 풀려지는 부분이 상기 스트랩의 나머지 부분을 상기 제1 바디를 향해 가압하는 가압 작용부; 및 상기 가압 작용부를 통해 가압력을 전달받아, 제2 바디의 내주면과 마찰 저항을 일으키는 마찰 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대는, 상기 스트랩 중 풀려지는 부분이 감겨짐에 따라, 상기 가압 작용부 및 상기 마찰 접촉부가 형성되게 하는 제1 걸림대 및 제2 걸림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걸림대와 상기 제2 걸림대는, 상기 스트랩의 권선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되고, 상기 가압 작용부는, 상기 제1 걸림대와 상기 제2 걸림대 사이에서, 상기 스트랩 중 풀려지는 부분이 상기 스트랩 중 나머지 부분과 접촉하여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는, 상기 제1 바디의 양 측부에 결합되어 서로 대면하는 한 쌍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1 걸림대와 상기 제2 걸림대 각각은, 상기 한 쌍의 사이드 플레이트를 연결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가압 작용부는, 상기 한 쌍의 사이드 플레이트가 상기 스트랩의 권선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걸림대 및 상기 제2 걸림대에 의해 연결되지 않은 구간에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걸림대 및 상기 제2 걸림대 중 적어도 하나는, 복수의 걸림부를 구비하고, 상기 스트랩 중 풀려지는 부분은, 상기 복수의 걸림부에 의해, 상기 제1 걸림대 또는 상기 제2 걸림대에 복수 회에 걸쳐 감기게 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걸림대 및 상기 제2 걸림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스트랩 중 풀려지는 부분이 통과하는 관통 슬릿을 더 포함하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관통 슬릿을 한정하는 하나의 변으로서, 상기 스트랩 중 풀려지는 부분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원호 형상을 갖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마찰 접촉부는, 상기 제1 바디의 외주면과 상기 제2 바디의 내주면 중 서로 접촉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마찰 접촉부는,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제2 바디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2 바디의 내주면과 마찰하는 접촉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접촉 돌기는, 상기 제1 바디의 외주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메인 프레임은,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를 상기 제1 바디와 결합시키는 결합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접촉 돌기는, 상기 결합 부재에서 돌출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마찰 접촉부는, 서로 간에 상기 제1 바디의 중심을 기준으로 180° 미만의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되어, 작동 상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제2 바디의 내주면과 마찰 접촉하도록 배열되는 한 쌍의 접촉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른 스트랩 디스펜서는, 제1 바디와, 제1 바디의 측방에 배치되는 사이드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메인 프레임; 상기 제1 바디를 수용하는 중공 파이프 형태의 제2 바디와, 상기 제2 바디의 외주면에 권선된 스트랩을 구비하는 스트랩 롤; 및 상기 스트랩이 당겨져서 상기 제1 바디에 대해 상기 제2 바디가 회전하는 경우에 상기 제2 바디의 회전에 대한 저항을 일으켜서, 상기 제2 바디가 상기 스트랩이 당겨지는 힘에 대응하는 관성력 보다 낮은 관성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스트랩이 풀려지게 하도록 구성되는 저항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 프레임은,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에 결합되며, 상기 스트랩 중 풀려지는 부분이 관통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제1 걸림대 및 제2 걸림대를 포함하고, 상기 저항 유닛은, 상기 스트랩 중 풀려지는 부분이 상기 제1 걸림대 및 제2 걸림대 모두를 관통하도록 삽입된 경우에, 상기 제2 바디의 중심이 상기 제1 바디의 중심 보다 하방으로 처지지는 방향으로, 상기 스트랩 중 풀려지는 부분이 상기 스트랩의 나머지 부분을 가압하도록 형성되는 가압 작용부를 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걸림대 및 상기 제2 걸림대 중 적어도 하나는, 복수의 걸림부를 구비하고, 상기 스트랩 중 풀려지는 부분은, 상기 복수의 걸림부에 의해, 상기 제1 걸림대 또는 상기 제2 걸림대에 복수 회에 걸쳐 감기게 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스트랩 디스펜서에 의하면, 제1 바디를 갖는 메인 프레임과 제1 바디를 수용하는 제2 바디를 갖는 스트랩 롤과 더불어 구비되는 저항 유닛은 제1 걸림대와 제2 걸림대에 감기는 스트랩 중 풀려지는 부분이 스트랩 중 나머지 부분을 가압함에 따라 저항을 발생시켜서, 스트랩은 종래의 디스펜서에서 풀리던 정도 보다 낮은 수준으로 풀려지게 된다.
그에 의해, 사용자가 주의 없이 스트랩을 당기더라도 스트랩이 과도하게 풀리지 않게 하여, 사용자가 힘을 세심하게 조절하면서 스트랩을 당길 필요가 없게 한다. 또한, 스트랩 롤이 과도하게 회전하여 스트랩이 헐거워진 경우에, 스트랩 롤을 되감아서 스트랩을 다시 팽팽하게 감긴 상태로 만들어야 하는 불편이 제거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제1 걸림대와 제2 걸림대에 대해 스트랩 중 풀려지는 부분을 감는 다양한 방식을 활용하여, 자신의 힘이나 원하는 풀림 양에 맞도록 스트랩의 풀림 수준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랩 디스펜서(100)에 대한 조립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스트랩 디스펜서(100)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스트랩 디스펜서(100)에 대해 일 라인(Ⅲ-Ⅲ)을 따라 취한 절단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스트랩 디스펜서(100)에 대해 다른 라인(Ⅵ-Ⅵ)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스트랩 디스펜서(100)의 다른 작동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스트랩 디스펜서(100)의 또 다른 작동 상태에 보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랩 디스펜서(200)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랩 디스펜서(300)의 일 작동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스트랩 디스펜서(300)의 다른 작동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스트랩 디스펜서(300)의 또 다른 작동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7의 스트랩 디스펜서(200)의 일 작동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7의 스트랩 디스펜서(200)의 다른 작동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7의 스트랩 디스펜서(200)의 또 다른 작동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트랩 디스펜서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랩 디스펜서(100)에 대한 조립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스트랩 디스펜서(100)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스트랩 디스펜서(100)에 대해 일 라인(Ⅲ-Ⅲ)을 따라 취한 절단 사시도이다.
본 도면들을 참조하면, 스트랩 디스펜서(100)는, 메인 프레임(110), 스트랩 롤(150), 그리고 저항 유닛(190)을 포함한다.
메인 프레임(110)은 제1 바디(111)를 갖는다. 제1 바디(111)는 내부에 중공부(113)가 형성된 파이프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메인 프레임(110)은 사이드 플레이트(121)와 걸림대(125)를 더 가질 수 있다. 사이드 플레이트(121)는 그의 중앙에 중앙홀(123)을 가지는 판재일 수 있다. 상기 판재는, 아크릴 재질이나 종이 재질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사이드 플레이트(121)는 한 쌍으로 구비되고, 그들은 걸림대(125)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사이드 플레이트(121) 및 걸림대(125)는 하나의 판재를 재단하여 단일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걸림대(125)는 스트랩(161)의 주면과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걸림대(125)에는 관통 슬릿(126)이 형성될 수 있다. 관통 슬릿(126)은 스트랩(161)이 통과하도록 대체로 직사각형 형태를 갖는 개구이다. 관통 슬릿(126)은 스트랩(161)의 둘레 방향을 따라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걸림대(125) 중 관통 슬릿(126)을 한정하는 하나의 변은 사용자가 스트랩(161)을 당길 때 스트랩(161)이 걸림에 의해 걸림부(127)라 칭해질 수 있다. 걸림부(127)는 원호 형상을 가져서, 당겨지는 스트랩(161)이 자연스럽게 원호형 단면을 갖도록 휘어지게 허용한다. 그에 의해, 당겨지는 스트랩(161)이 걸림부(127)와 간섭을 일으키며 그의 표면이 손상되는 일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걸림대(125)는 복수 개, 구체적으로 2개로 구비될 수 있다. 그 경우, 2개의 걸림대는 각기 제1 걸림대(125)와 제2 걸림대(129)로 지칭될 수 있다. 제1 걸림대(125)와 제2 걸림대(129)는 사이드 플레이트(121)의 둘레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그들은 사이드 플레이트(121)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 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들은 기본적 구조는 동일하나, 각각의 관통 슬릿(126)의 간격은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그에 의해, 사용자는 스트랩(161)이 걸림부(127)에 걸리면서 발생하는 저항을 자신에 적합한 것으로 선택할 수 있다.
사이드 플레이트(121)와 제1 바디(111) 간의 결합을 위해서는 결합 부재(131)가 추가로 구비된다. 결합 부재(131)는 실린더부(133)와 플랜지부(135)로 구성될 수 있다. 실린더부(133)는 중앙홀(123)을 통해 제1 바디(111)의 중공부(113) 내에 끼움되는 부분이다. 플랜지부(135)는 실린더부(133)의 외측 단부에서 연장되는 도넛 형태로서, 사이드 플레이트(121)와 대면하도록 배치된다.
스트랩 롤(150)은 제2 바디(151) 및 스트랩(161)을 가진다. 제2 바디(151)는 중공 파이프 형태를 갖는 것이다. 제2 바디(151)의 내경은 제1 바디(111)의 외경 보다 커서, 제2 바디(151)의 중공부에는 제1 바디(111)가 수용된다. 제2 바디(151)는 제1 바디(111)와 함께, 종이, 플라스틱, 금속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스트랩(161)은 제2 바디(151)의 외주면에 권선된다. 스트랩(161)은 제2 바디(151)로부터 풀려나서 일정한 길이로 잘린 채로 꽃, 선물 상자 등을 포장하는데 사용된다.
저항 유닛(190)은 제1 바디(111)에 대한 제2 바디(151)의 상대 회전 시에 그 회전에 대한 저항을 일으키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그에 따라, 제2 바디(151)는 스트랩(161)이 당겨지는 힘에 대응하는 관성력 보다 낮은 관성력에 의해 제1 바디(111)에 대해 회전하면서, 스트랩(161)이 일정 길이 범위 내에서만 풀리도록 한다. 스트랩(161)이 풀려 나오는 길이도 적정 범위 내로 제한되고, 또한 제2 바디(151)가 회전하는 정도로 적정 범위 내로 제한된다. 그에 의해, 사용자가 스트랩(161)을 과한 힘으로 당긴 경우에 제2 바디(151)가 크게 헛돌면서, 스트랩(161)이 과도하게 풀려서 이를 다시 팽팽하게 감기도록 정리해야 하는 일을 막을 수 있다.
저항 유닛(190)은 결합 부재(131)에 설치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저항 유닛(190)은 결합 부재(131)의 플랜지부(135)에 마찰 접촉부(191)를 구비할 수 있다. 마찰 접촉부(191)는 플랜지부(135)에서 대체로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플랜지부(135)와 일체로 성형된 것일 수 있다. 그 경우, 마찰 접촉부(191)는 제1 바디(111)의 연장 방향에 평행한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외팔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마찰 접촉부(191)는 실린더부(133)와 대체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마찰 접촉부(191)는 돌기 형태이기에, 접촉 돌기라고 칭해질 수도 있다.
마찰 접촉부(191)는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 경우, 한 쌍의 마찰 접촉부(191)는 결합 부재(131)의 중심을 기준으로 180° 미만의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한 쌍의 마찰 접촉부(191)는 결합 부재(131)의 중심을 기준으로 150°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135°의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되는 것이 유용함을 발명자는 확인하였다. 나아가, 마찰 접촉부(191)는 한 개만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제2 바디(151)에 한 쌍인 경우와는 다른 크기의 저항을 줄 수 있음도 본 발명자는 확인하였다.
마찰 접촉부(191)는 제1 바디(111)와 제2 바디(151) 사이의 공간에 위치한다. 이를 위해, 사이드 플레이트(121)에는 마찰 접촉부(191)가 삽입되는 삽입홀(124)이 형성된다. 이 삽입홀(124)은 중앙홀(123)과 연통된 채로, 마찰 접촉부(191)의 단면적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스트랩 롤(150)의 제2 바디(151) 내로 제1 바디(111)가 삽입된 상태에서, 사이드 플레이트(121) 및 걸림대(125)의 조립체가 그들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 상태에서, 결합 부재(131)가 한 쌍의 사이드 플레이트(121) 각각의 외측에서 서로를 향해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사이드 플레이트(121)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결합 부재(131)의 실린더부(133)가 사이드 플레이트(121)의 중앙홀(123)에 삽입됨과 더불어 제1 바디(111)의 중공부(113)의 내주면에 끼움 결합된다. 이때, 플랜지부(135)는 사이드 플레이트(121)를 제1 바디(111)를 향해 압박하게 된다.
마찰 접촉부(191)는 삽입홀(124)을 통해 제1 바디(111)의 외측과 제2 바디(151)의 내측 사이의 공간으로 투입된다. 실린더부(133)과 제1 바디(111)의 내주면에 끼움되는 것과 달리, 마찰 접촉부(191)는 제1 바디(111)의 외주면에서 이격되게 위치할 수도 있다.
마찰 접촉부(191)는 외팔보 형태로서, 사용자가 스트랩(161)을 당기는 모드에 따라서 제2 바디(151)의 내주면과 접촉하게 된다. 마찰 접촉부(191)와 제2 바디(151)의 내주면 간의 접촉은, 제2 바디(151)의 내주면과 제1 바디(111)의 외주면 간의 접촉에 따른 저항과는 다른 크기의 저항을 발생시키게 된다. 더욱이, 제1 바디(111)와 제2 바디(151)가 지관으로 형성되는데, 그들이 진원이 아니게 제작되는 경우에 그러하다. 또한, 제1 바디(111)와 제2 바디(151)는 종이 재질인데 마찰 접촉부(191)는 플라스틱 수지 재질로 형성되어, 마찰 접촉부(191)와 제1 바디(111)가 재질적인 면에서 차이가 나는 경우에도 그러하다.
이제, 스트랩 디스펜서(100)의 사용 모드에 따라 저항 유닛(190)이 만들어내는 저항력의 크기에 대해,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도 1의 스트랩 디스펜서(100)에 대해 다른 라인(Ⅵ-Ⅵ)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스트랩(161)은 제1 걸림대(125)를 통과하여 당겨지고, 그에 따라 제2 바디(151)의 내주면은 한 쌍의 마찰 접촉부(191)에 지지되는 상태가 된다. 한 쌍의 마찰 접촉부(191)는 180° 미만의 각도를 갖기에, 제1 바디(111)의 외주면과 제2 바디(151)의 내주면이 직접 접촉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게 된다. 제2 바디(151)는 제1 바디(111)의 외경에 비해 여유 있게 큰 내경을 갖기에, 제2 바디(151)[및 스트랩(161)]이 자중에 의해 처지게 된다. 그에 따라, 제1 바디(111)의 중심(C1)과 제2 바디(151)의 중심(C2)은 서로 일치하지 않는 상태가 된다.
그러한 배치 관계에서, 저항 유닛(190)의 마찰 접촉부(191)는 제2 바디(151)의 내주면과 접촉하는 상태가 된다. 마찰 접촉부(191)는 제2 바디(151)의 회전 시에 제2 바디(151)의 내주면에 대해 마찰력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사용자가 스트랩(161)을 당기게 되면 그가 풀림과 함께 제2 바디(151)가 제1 바디(111)에 대해 상대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상대 회전시에, 저항 유닛(190)의 마찰 접촉부(191)는 제2 바디(151)의 내주면과 접촉 마찰로 회전에 대한 저항력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저항력에 의해, 제2 바디(151)[및 스트랩 롤(150)]의 과도한 회전에 따라 스트랩(161)이 필요 이상으로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사용자가 스트랩(161)을 당기는 힘은, 상기 저항력을 매개로 하여, 메인 프레임(110)까지도 회전하게 할 수 있다. 그에 따른 메인 프레임(110)의 회전을 막는 것은, 걸림대(125)에서의 힘의 균형에 의해 달성된다.
구체적으로, 걸림대(125)에서도 회전력은 발생하는데, 스트랩(161)의 자유단이 당겨질 때 걸림부(127)에 인접한 부분이 걸림부(127)에 대해 회전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정지력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회전력과 정지력이 균형을 이룸에 의해, 저항력에도 불구하고 메인 프레임(110)이 스트랩(161)의 풀림에 연동되어 함께 회전하는 일은 없어지게 된다. 이는 제1 걸림대(125)[나아가, 걸림부(127)에 인접하게 유지하는 자유단]가 항상 동일한 위치에 위치할 수 있게 한다.
도 5는 도 4의 스트랩 디스펜서(100)의 다른 작동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메인 프레임(110)[및 저항 유닛(190)]을 뒤집어서 제2 걸림대(129)를 이용하여 스트랩(161)을 풀어낼 수 있다.
그 경우, 한 쌍의 마찰 접촉부(191)는 하측에 위치하면서, 제2 바디(151)의 처짐에 따라 제2 바디(151)의 내주면과 제1 바디(111)의 외주면이 서로 접촉하게 된다. 그들의 접촉에 의해, 스트랩(161)이 당겨지는 힘에 의해 제2 바디(151)가 회전할 때, 제2 바디(151)의 내주면은 제1 바디(111)의 외주면과 마찰을 일으켜서 저항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러한 저항력은 앞서서 도 4에서의 작동 상태에서 발생하는 저항과는 크기가 달라지게 된다. 구체적으로, 본 작동 상태에서는 앞선 작동 상태 보다 작은 크기의 저항력이 발생할 수 있다.
도 6은 도 4의 스트랩 디스펜서(100)의 또 다른 작동 상태에 보인 단면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도 4의 작동 상태에서 메인 프레임(110)[및 저항 유닛(190)]을 90° 정도 회전시켜서 만들어진 새로운 작동 상태가 정의될 수 있다.
이 작동 상태에서는, 한 쌍의 마찰 접촉부(191)가 높이 방향을 따라 배열된다. 사용자 또한 스트랩(161)을 높이 방향으로 잡아 당겨야 할 것이다.
이 작동 상태에서는, 한 쌍의 마찰 접촉부(191) 중 하나 또는 둘이 제2 바디(151)의 내주면과 접촉하게 된다. 그에 따라 발생하는 저항력은 앞서 도 5에서 예시한 작동 상태에서 보다 다소 큰 것일 수 있으나, 도 4에서 예시한 작동 상태에서 보다는 작을 수 있다.
다른 형태의 스트랩 디스펜서(200)에 대해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랩 디스펜서(200)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스트랩 디스펜서(200)는, 앞선 실시예의 스트랩 디스펜서(100)와 대체로 동일하게, 메인 프레임(210)과 스트랩 롤(250)을 가질 수 있다. 메인 프레임(210)은 역시 제1 바디(211)와 사이드 플레이트(221)를 가지며, 사이드 플레이트(221)에는 제1 걸림대(225)와 제2 걸림대(229)가 결합된다. 스트랩 롤(250)은 제2 바디(251)와 스트랩(261)을 가진다.
다만, 메인 프레임(210)은 앞서의 결합 부재(131, 도 2 참조)를 갖지 않는다. 이 경우에 사이드 플레이트(221)는 제1 바디(211)의 측면과 접착되어, 결합 부재(131) 없이 서로 간에 바로 결합될 수 있다. 그러한 접착을 위해서, 사이드 플레이트(221)의 중앙홀(223)의 사이즈는 제1 바디(211)가 통과하지 못하는 것이 될 수 있다.
또한, 저항 유닛(290)으로서의 마찰 접촉부(291)는 제1 바디(211)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마찰 접촉부(291)는 제1 바디(211)의 외주면에서 돌기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마찰 접촉부(291)는 앞서와 동일하게, 서로 간에 180° 미만의 각도를 이루는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 다른 형태의 스트랩 디스펜서(300)에 대해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랩 디스펜서(300)의 일 작동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스트랩 디스펜서(300) 역시, 앞선 실시예의 스트랩 디스펜서(100)와 대체로 동일하게, 메인 프레임(310)과 스트랩 롤(350)을 가질 수 있다. 메인 프레임(310)은 역시 제1 바디(311)와 사이드 플레이트(321)를 가지며, 사이드 플레이트(321)에는 제1 걸림대(325)와 제2 걸림대(329)가 결합된다. 스트랩 롤(350)은 제2 바디(351)와 스트랩(361)을 가진다.
저항 유닛(390)의 마찰 접촉부(391)는 앞서의 마찰 접촉부(191, 291)와 다르게 형성된다. 마찰 접촉부(391)는 제1 바디(311)의 외주면과 제2 바디(351)의 내주면이 서로 접촉되는 부분으로서, 제2 바디(351)의 회전에 대해 마찰 저항을 발생시키게 된다. 그 상황에서, 제2 바디(351)의 중심(C2)은 제1 바디(311)의 중심(C1) 보다 하방으로 처지게 된다.
마찰 접촉부(391)는 스트랩 롤(350)의 자중에 의해 형성되기도 하지만, 스트랩(361) 중 풀려지는 부분에 의해 형성되기도 한다. 스트랩(361) 중 풀려지는 부분은 제1 걸림대(325)와 제2 걸림대(329)에 감겨짐에 따라, 스트랩(361) 중 나머지 부분을 제1 바디(311)를 향해 가압하게 된다. 이렇게 스트랩(361) 중 나머지 부분을 가압하는 부분을 가압 작용부(395)라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스트랩(361) 중 풀려지는 부분은 도면상 하부에서 스트랩(361) 중 나머지 부분으로부터 들뜨면서 제2 걸림대(329)에 관통 삽입된다. 제2 걸림대(329)의 관통 슬릿(126, 도 1 참조)을 통과한 풀려지는 부분은 스트랩(361)을 감싸면서 제1 걸림대(325)의 관통 슬릿에 삽입된다. 풀려지는 부분의 끝단은 사용자가 당기는 힘에 의해, 제1 걸림대(325)의 걸림부(127, 도 2 참조)에 걸리면서 풀려질 수 있다.
스트랩(361) 중 풀려지는 부분은, 제1 걸림대(325)와 제2 걸림대(329) 사이에서 스트랩(361) 중 나머지 부분과 접촉하여 가압 작용부(395)를 형성하게 된다. 그에 따라, 가압 작용부(395)는 한 쌍의 사이드 플레이트(321)가 스트랩(361)의 권선 방향을 따라 제1 걸림대(325) 및 제2 걸림대(329)에 의해 연결되지 않은 구간에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사용자가 스트랩(361)의 풀려지는 부분을 당기게 되면, 마찰 접촉부(391)가 제2 바디(351)에 대해 저항 작용을 일으키게 된다. 그 경우에, 가압 작용부(395)는 제2 바디(351)를 제1 바디(311)에 대해 가압하여, 마찰 접촉부(391)에 의한 저항 작용을 강화시킬 수 있다. 물론, 스트랩 롤(350)의 자중 역시 마찰 접촉부(391)의 저항 작용을 강화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저항 작용에 의해, 제2 바디(351)는 스트랩(361)이 당겨지는 힘에 대응하는 관성력 보다 낮은 관성력에 의해 제1 바디(311)에 대해 회전하면서, 스트랩(361)이 일정 길이 범위 내에서만 풀리도록 한다. 스트랩(361)이 풀려 나오는 길이도 적정 범위 내로 제한되고, 또한 제2 바디(351)가 회전하는 정도로 적정 범위 내로 제한된다. 그에 의해, 사용자가 스트랩(361)을 과한 힘으로 당긴 경우에 제2 바디(351)가 크게 헛돌면서, 스트랩(361)이 과도하게 풀려서 이를 다시 팽팽하게 감기도록 정리해야 하는 일을 막을 수 있게 한다.
도 9는 도 8의 스트랩 디스펜서(300)의 다른 작동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스트랩(361) 중 풀려지는 부분은 제1 걸림대(325)에 대해 2회에 걸쳐서 삽입된다. 이는 풀려지는 부분이 제1 걸림대(325)와 제2 걸림대(329) 사이에서 나머지 부분으로부터 들떠서 제1 걸림대(325)를 통과한 후에, 다시 제2 걸림대(329)를 통과하고, 마지막으로 제1 걸림대(325)를 다시 통과함에 따라 구현된다.
이를 위하여, 제1 걸림대(325) 또는 제2 걸림대(329)에서 관통 슬릿(126, 도 2 참조)은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그에 따라, 걸림부(127, 도 2 참조) 역시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1 걸림대(325)와 제2 걸림대(329) 사이의 상측 영역에 가압 작용부(395)가 형성될 수 있다. 스트랩(361) 중 풀려지는 부분이 제1 걸림대(325)와 제2 걸림대(329)를 관통하는 횟수가 늘어남에 따라, 그러한 스트랩(361) 중 풀려지는 부분이 가압 작용부(395)를 통해 스트랩(361) 중 풀려지는 부분이 나머지 부분을 가압하는 힘이 커진다. 그 결과, 마찰 접촉부(391)에서 발생하는 제2 바디(351)에 대한 마찰 저항력은 앞선 실시예에 비해 커진다.
결과적으로, 작업자는 스트랩(361) 중 풀려지는 부분이 제1 걸림대(325)와 제2 걸림대(329)를 관통하는 횟수를 늘림으로써, 스트랩(361)이 풀리는 속도를 앞서 보다 낮출 수 있게 된다.
스트랩(361) 중 풀려나는 부분은 제1 걸림대(325)와 제2 걸림대(329) 사이의 하측 영역에도 접촉부(396)를 만들기는 하나, 그 접촉부(396)는 스트랩 롤(350)을 상측으로 가압하여 롤(350)을 상방으로 들어올리는 힘은 미약하다. 이는 스트랩(361)과 걸림대(325,329) 간의 작용에 의해 롤(350)을 하방으로 가압하는 힘이 우세하기 때문이다.
도 10은 도 8의 스트랩 디스펜서(300)의 또 다른 작동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도 6에서와 유사하게, 스트랩 디스펜서(300)에서 스트랩(361)을 수직 방향을 따라 인출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 경우에 스트랩(361) 중 풀려지는 부분은, 도 8에서와 유사하게, 제2 걸림대(329)를 먼저 관통한 후에 제1 걸림대(325)를 통과하여 상방으로 인출된다.
이런 작동 상태에서, 앞선 도 9에서의 작동에 비해 조금은 더 큰 저항력이 발생함을 발명자는 확인하였다. 역시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이러한 작동 상태로 스트랩 디스펜서(300)를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제,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앞선 실시예에 따른 스트랩 디스펜서(200)에서 발생하는 저항력에 대해 설명한다. 첫 번째 실시예에 따른 스트랩 디스펜서(100)에서의 저항력 발생은 스트랩 디스펜서(200)에서와 대체로 동일한 메커니즘이 될 것인 바, 그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1은 도 7의 스트랩 디스펜서(200)의 일 작동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도 8에서와 유사하게, 스트랩(261) 중 풀려지는 부분은, 제2 걸림대(229)를 먼저 관통한 후에 제1 걸림대(225)를 통과하여 측방으로 인출된다. 이러한 구조에서 형성되는 가압 작용부(295)는 제2 바디(251)를 제1 바디(211)를 향해 하방으로 가압하고, 그에 따라 제1 바디(211)의 외면에 형성된 접촉 돌기(291)는 제2 바디(251)의 내주면과 접촉하게 된다.
가압 작용부(295)에 의해 마찰력이 증대됨에 따라, 접촉 돌기(291)와 제2 바디(251) 간에 발생하는 마찰 저항력은 도 9에서의 실시예에 비해 거의 2배 수준으로 커진다.
도 12는 도 7의 스트랩 디스펜서(200)의 다른 작동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스트랩 디스펜서(200)가 뒤집어짐에 따라, 제1 걸림대(225)와 제2 걸림대(229)의 위치가 도 11과는 반대로 되어 있다. 그에 따라, 한 쌍의 접촉 돌기(291) 역시 하부 영역에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작동 상태에서, 제1 바디(211)의 외주면과 제2 바디(251)의 외주면은 서로 접촉하여 새로운 마찰 접촉부(292)를 형성한다. 이때 발생하는 마찰 저항력은 도 8에서 발생하는 저항력과 대체로 유사한 수준이 될 수 있다.
도 13은 도 7의 스트랩 디스펜서(200)의 또 다른 작동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스트랩 디스펜서(200)는 도 10과 같은 형태로 배열되어, 스트랩(361) 중 풀려지는 부분은 제1 걸림대(225)를 통과한 후에 제2 걸림대(229)를 통과하여 상방으로 인출된다.
이 경우 접촉 돌기(291)는 제2 바디(251)의 내주면과 마찰 접촉하게 된다. 또한, 제1 바디(211)의 외주면 중 일 영역도 제2 바디(251)의 내주면과 접촉하여 새로운 마찰 접촉부(292)를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작동 상태에서 마찰 저항은 도 10의 작동 상태에 대비하여 높은 수준으로 발생한다.
상기와 같은 스트랩 디스펜서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3가지 실시예의 스트랩 디스펜서 중 하나에서 스트랩이 제1 걸림대 및 제2 걸림대에 걸리는 방식은, 다른 스트랩 디스펜서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100,200,300: 스트랩 디스펜서 110,210,310: 메인 프레임
111,2111,311: 제1 바디 121,221,321: 사이드 플레이트
150,250,350: 스트랩 롤 151,251,351: 제2 바디
161,261,361: 스트랩 190,290,390: 저항 유닛

Claims (12)

  1. 제1 바디와, 제1 바디의 측방에 배치되는 사이드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메인 프레임; 상기 제1 바디를 수용하는 중공 파이프 형태의 제2 바디와, 상기 제2 바디의 외주면에 권선된 스트랩을 구비하는 스트랩 롤; 및 상기 스트랩이 당겨져서 상기 제1 바디에 대해 상기 제2 바디가 회전하는 경우에 상기 제2 바디의 회전에 대한 저항을 일으켜서, 상기 제2 바디가 상기 스트랩이 당겨지는 힘에 대응하는 관성력 보다 낮은 관성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스트랩이 풀려지게 하도록 구성되는 저항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 프레임은, 상기 스트랩이 관통 삽입되어 걸리도록 형성된 걸림부를 구비하고,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에 결합되어 상기 스트랩의 주면을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걸림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저항 유닛은, 상기 스트랩 중 풀려지는 부분이 상기 스트랩의 나머지 부분을 상기 제1 바디를 향해 가압하여, 상기 제2 바디의 중심이 상기 제1 바디의 중심 보다 하방으로 처지게 하는 가압 작용부; 및 상기 가압 작용부를 통해 가압력을 전달받아, 제2 바디의 내주면과 마찰 저항을 일으키는 마찰 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대는, 상기 스트랩 중 풀려지는 부분이 감겨짐에 따라, 상기 가압 작용부가 형성되게 하는 제1 걸림대 및 제2 걸림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걸림대와 상기 제2 걸림대는, 상기 스트랩의 권선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되고,
    상기 가압 작용부는, 상기 제1 걸림대와 상기 제2 걸림대 사이에서, 상기 스트랩 중 풀려지는 부분이 상기 스트랩 중 나머지 부분과 접촉하여 형성되는, 스트랩 디스펜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는,
    상기 제1 바디의 양 측부에 결합되어 서로 대면하는 한 쌍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1 걸림대와 상기 제2 걸림대 각각은,
    상기 한 쌍의 사이드 플레이트를 연결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가압 작용부는, 상기 한 쌍의 사이드 플레이트가 상기 스트랩의 권선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걸림대 및 상기 제2 걸림대에 의해 연결되지 않은 구간에서 형성되는, 스트랩 디스펜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걸림대 및 상기 제2 걸림대 중 적어도 하나는,
    복수의 걸림부를 구비하고,
    상기 스트랩 중 풀려지는 부분은,
    상기 복수의 걸림부에 의해, 상기 제1 걸림대 또는 상기 제2 걸림대에 복수 회에 걸쳐 감기게 되는, 스트랩 디스펜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걸림대 및 상기 제2 걸림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스트랩 중 풀려지는 부분이 통과하는 관통 슬릿을 더 포함하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관통 슬릿을 한정하는 하나의 변으로서, 상기 스트랩 중 풀려지는 부분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원호 형상을 갖는, 스트랩 디스펜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 접촉부는,
    상기 제1 바디의 외주면과 상기 제2 바디의 내주면 중 서로 접촉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스트랩 디스펜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 접촉부는,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제2 바디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2 바디의 내주면과 마찰하는 접촉 돌기를 포함하는, 스트랩 디스펜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돌기는,
    상기 제1 바디의 외주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것인, 스트랩 디스펜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은,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를 상기 제1 바디와 결합시키는 결합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접촉 돌기는,
    상기 결합 부재에서 돌출 형성되는 것인, 스트랩 디스펜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 접촉부는,
    서로 간에 상기 제1 바디의 중심을 기준으로 180° 미만의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되어, 작동 상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제2 바디의 내주면과 마찰 접촉하도록 배열되는 한 쌍의 접촉 돌기를 포함하는, 스트랩 디스펜서.
  11. 제1 바디와, 제1 바디의 측방에 배치되는 사이드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메인 프레임;
    상기 제1 바디를 수용하는 중공 파이프 형태의 제2 바디와, 상기 제2 바디의 외주면에 권선된 스트랩을 구비하는 스트랩 롤; 및
    상기 스트랩이 당겨져서 상기 제1 바디에 대해 상기 제2 바디가 회전하는 경우에 상기 제2 바디의 회전에 대한 저항을 일으켜서, 상기 제2 바디가 상기 스트랩이 당겨지는 힘에 대응하는 관성력 보다 낮은 관성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스트랩이 풀려지게 하도록 구성되는 저항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 프레임은,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에 결합되며, 상기 스트랩 중 풀려지는 부분이 관통 삽입되어 걸리도록 구성되는 제1 걸림대 및 제2 걸림대를 포함하고,
    상기 저항 유닛은, 상기 스트랩 중 풀려지는 부분이 상기 제1 걸림대 및 제2 걸림대 모두를 관통하도록 삽입된 경우에, 상기 제2 바디의 중심이 상기 제1 바디의 중심 보다 하방으로 처지도록, 상기 스트랩 중 풀려지는 부분이 상기 스트랩의 나머지 부분을 가압하도록 형성되는 가압 작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걸림대와 상기 제2 걸림대는, 상기 스트랩의 권선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되고, 상기 가압 작용부는, 상기 제1 걸림대와 상기 제2 걸림대 사이에서, 상기 스트랩 중 풀려지는 부분이 상기 스트랩 중 나머지 부분과 접촉하여 형성되는, 스트랩 디스펜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걸림대 및 상기 제2 걸림대 중 적어도 하나는,
    복수의 걸림부를 구비하고,
    상기 스트랩 중 풀려지는 부분은,
    상기 복수의 걸림부에 의해, 상기 제1 걸림대 또는 상기 제2 걸림대에 복수 회에 걸쳐 감기게 되는, 스트랩 디스펜서.
KR1020210172677A 2021-07-05 2021-12-06 스트랩 디스펜서 KR1023923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2/007680 WO2023282468A1 (ko) 2021-07-05 2022-05-30 관성 회전 제한형 롤 디스펜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9508 2021-11-03
KR20210149508 2021-11-0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2329B1 true KR102392329B1 (ko) 2022-05-02

Family

ID=81593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2677A KR102392329B1 (ko) 2021-07-05 2021-12-06 스트랩 디스펜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232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82468A1 (ko) * 2021-07-05 2023-01-12 박기항 관성 회전 제한형 롤 디스펜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5496A (ko) * 2002-09-19 2004-03-24 박성은 접착테이프용 케이스
KR20170000395U (ko) * 2015-07-20 2017-02-01 박복주 역회전 방지용 테이프 커터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5496A (ko) * 2002-09-19 2004-03-24 박성은 접착테이프용 케이스
KR20170000395U (ko) * 2015-07-20 2017-02-01 박복주 역회전 방지용 테이프 커터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82468A1 (ko) * 2021-07-05 2023-01-12 박기항 관성 회전 제한형 롤 디스펜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92329B1 (ko) 스트랩 디스펜서
EP2889252B1 (fr) Dispositif de mouflage amélioré
US20100193539A1 (en) Dispenser for length material
CA2793938C (en) Auto-lock compact rope descent device
US20070125897A1 (en) Yarn ball retaining and dispensing device
CH331907A (fr) Dispositif pour dévider en continu du fil à partir de fûts
FI95685C (fi) Kalvon jakelulaite
KR102336277B1 (ko) 스트랩 디스펜서 및 그에 사용되는 메인 프레임
US7819354B2 (en) Roll holder for tape dispenser and tape dispenser assembly therewith
US3218003A (en) Filament dispenser package
KR20220123955A (ko) 스트랩 디스펜서 및 그에 사용되는 메인 프레임과 스트랩 롤
CN108249223B (zh) 用于分配细长柔性材料的包装装置的套环保持系统
US4034930A (en) Spool holding device
US5722613A (en) Easy reel device
US1099360A (en) Window-shade-controlling device.
US919371A (en) Box-strap-supply reel.
JP2016216175A (ja) クリールスタンド
WO2012115716A2 (en) Wound rope or cord support
US958877A (en) Ribbon-clip.
US395701A (en) Ribbon-holder
KR20080002668U (ko) 낚싯줄 스풀
US316595A (en) Spool or ball holder
US3260472A (en) Cord reel
USRE9018E (en) Device for holding coi ls of brai d an d si m ilar a rticles
US855848A (en) Ribbon-hol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