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2184B1 - 부착형 기능성 부목 - Google Patents
부착형 기능성 부목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92184B1 KR102392184B1 KR1020200086298A KR20200086298A KR102392184B1 KR 102392184 B1 KR102392184 B1 KR 102392184B1 KR 1020200086298 A KR1020200086298 A KR 1020200086298A KR 20200086298 A KR20200086298 A KR 20200086298A KR 102392184 B1 KR102392184 B1 KR 10239218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raction
- wrist
- arm
- frame
- support memb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5—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immobilising
- A61F5/058—Splints
- A61F5/05841—Splints for the limbs
- A61F5/05858—Splints for the limbs for the arm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5/0104—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without articulation
- A61F5/0118—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without articulation for the arms, hands or finge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42—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extension or stretching
- A61F5/048—Traction spli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손목, 팔꿈치 등 부착형 기능성 부목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전체 골격을 형성하는 견인부와 상기 견인부의 일측에 결합되고, 팔의 일측을 지지하는 지지부재와 상기 견인부의 타측에 결합되고, 팔의 타측을 지지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 또는 연결부재가 상기 견인부를 따라 이송됨으로써 상기 팔을 견인하되, 상기 견인부, 지지부재, 연결부재는 복수개로, 사용자의 팔꿈치를 기준으로 상부와 하부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팔의 어떤 부위에서 골절, 인대 파열, 탈구 등의 손상이 발생하더라도 손상부위를 견인하거나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손목, 팔꿈치 등 부착형 기능성 부목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가벼운 신소재로 제작되어 휴대가 가능하고 사용이 용이하며, 환자의 신장, 팔 굵기 등에 따라 길이, 너비 또는 크기 조절이 가능하고, 탈골, 골절, 인대 파열 및 염좌 등의 발생 시 응급조치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부착형 기능성 부목에 관한 것이다.
부목(splint)이란, 사람의 다리나 팔에 골절, 인대 파열, 탈구 등의 손상이 발생한 경우, 손상된 신체 부위의 가동성을 제한하고 안정을 위해 착용하여 환자의 손상된 신체 부위를 고정시키는 교정 장치라 할 수 있다.
종래에는 골절, 인대 파열, 탈구 등으로 손상된 신체 부위를 고정시키기 위해 석고 붕대를 많이 사용해왔는데, 이러한 석고 붕대는 신체 부위에 대한 고정력이 우수하다는 이점이 있지만, 시술 과정이 복잡하고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는 한편, 탈거가 쉽지 않아 의사가 환부를 진찰하거나 치료하기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석고 붕대는 통기가 원활치 못하여 가려움증과 땀으로 인한 악취 등으로 그 착용에 불편함을 호소하는 환자가 많다는 문제점도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432859호(2004.05.31.)에서는 부직포를 사용하여 통기성이 우수하고 환부에 접촉하는 면에 항균처리가 되어 환부를 통한 감염을 예방하는 의료용 부목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신체 부위에 대한 고정력이 떨어지고 여전히 시술 과정이 번거로우며, 환부의 붓기가 빠지는 등 환부의 크기가 변경되는 경우 환부에 밀착되지 못하게 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환자가 유아 또는 아동일 때에는, 부목 장착부위를 답답하게 느껴 부목을 자기 스스로 탈거시킴으로써 환부가 덧나게 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된다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손을 고정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단상지부목(short arm splint)과 손목에서 팔꿈치(상완골 중간부분)까지 고정하는 장상지부목(long arm splint)과 손목의 상부에서 상완골 중간부분까지 고정하기 위한 현수석고붕대(Hanging cast)를 각각 시술하기 위해서는 먼저 다친 부위의 부종이 가라않기 위해서 일정기간 동안 부목을 사용한 다음 깁스작업을 하게 되는데, 이때 근래의 깁스부재는 부목을 하기 위한 작업과 깁스를 하기 위한 작업이 각각 별도로 이루어지므로 부목 재료와 깁스재료를 다르게 적용하여 사용하여야 되는 번거러움이 있었다. 그리고, 골절부위 정복을 유지하기 위하여 현재는 부목의 고정력을 이용하는데 중간 중간 골절부위를 조절 할 수 있는 견인력이 필요한 실정이다.
또한, 다친 부위에 깁스작업을 하게 되면 깁스기간 중 조기 관절운동이나 중간 점검을 통하여 불완전 도수정복 등과 조정이상을 시술 후에는 확인하기 어려운 결함도 있는 것이다.
또한, 탈골 환자의 발생 시 신속한 응급조치를 수행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여전히 남아있다.
따라서, 전술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본 발명가들은 부착형 기능성 부목에 대한 개발이 시급하다 인식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가벼우면서 우수한 강도를 나타내는 신소재로 제작되어 종래와 비교하여 현저히 경량화되어 휴대가 가능하고 이로 인해 사용자가 사용하기에 용이하며, 환자의 신장, 팔 굵기 등에 따라 크기 조절이 가능하고, 골절부위를 견인함으로써 골절부 정복 유지로 골절로 인한 통증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탈골의 발생 시 응급조치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부착형 기능성 부목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손목, 팔꿈치 등 부착형 기능성 부목을 제공한다.
이하, 본 명세서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부착형 기능성 부목은 전체 골격을 형성하는 견인부와 상기 견인부의 일측에 결합되고, 팔의 일측을 지지하는 지지부재와 상기 견인부의 타측에 결합되고, 팔의 타측을 지지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 또는 연결부재가 상기 견인부를 따라 이송됨으로써 상기 팔을 견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견인부, 지지부재, 연결부재는 복수개로, 사용자의 팔꿈치를 기준으로 상부와 하부에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견인부는, 상기 팔의 길이방향의 축을 기준으로 양측에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평행하게 구비되는 제1프레임 및 제2프레임과 상기 제1프레임 및 제2프레임의 일측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지지부재와 제1프레임 및 제2프레임을 결합하고,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지지부재를 상기 제1프레임 및 제2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직선이동시키는 제1견인부재 및 제2견인부재와 상기 제1프레임 및 제2프레임의 단부에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견인부재 및 제2견인부재가 상기 제1프레임 및 제2프레임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정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는, 손목을 감싸는 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손목을 지지하는 손목고정부와 상기 손목고정부의 내주면에 결합되어, 외부의 충격을 흡수하는 쿠션부와 상기 쿠션부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쿠션부를 가압하는 두께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견인부의 단부에 고정되어 상기 팔을 지지하는 판넬을 포함하고, 상기 판넬은, 상기 지지부재가 직선이동하더라도 상기 팔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부착형 기능성 부목은 또한, 본 발명의 부착형 기능성 부목은 탈골 시, 탈골이 발생한 부위를 고정한 상태로 일방향으로 힘을 가하여 뼈를 이동시킴으로써, 응급조치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지며, 견인부, 지지부재, 연결부재는 복수개로, 사용자의 팔꿈치를 기준으로 상부와 하부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팔의 어떤 부위에서 골절, 인대 파열, 탈구 등의 손상이 발생하더라도 손상부위를 견인하거나 고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부착형 기능성 부목은 가벼우면서 우수한 강도를 나타내는 신소재로 제작되어 종래와 비교하여 현저히 경량화되어 휴가가 가능하고 이로 인해 사용자가 사용하기에 용이하며, 환자의 신장, 팔 굵기 등에 따라 크기 조절이 가능하고, 손목 지지대가 포함되어 있어 손목관절 움직임을 편안하게 수용할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부착형 기능성 부목은 손목, 팔꿈치 등 관절 부위의 회전이 가능하여 각 환자마다 상이한 골절 양상에 따라 견인 방향을 달리하여 고정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부착형 기능성 부목은 팔고정부재가 2개의 판넬이 신체를 감싸는 형태로 마련되어 2개의 판넬 사이의 틈으로 공이가 유동할 수 있어 통기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부착형 기능성 부목의 구성을 나타낸 사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부착형 기능성 부목에서 팔꿈치의 하부에 위치한 지지부재가 팔의 길이방향으로 직선이동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부착형 기능성 부목에서 팔꿈치의 상부에 위치한 지지부재가 팔의 길이방향으로 직선이동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부착형 기능성 부목에서 팔꿈치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위치한 지지부재가 각각 팔의 길이방향으로 직선이동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부착형 기능성 부목이 착용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부착형 기능성 부목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부착형 기능성 부목의 구성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8은 존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부착형 기능성 부목의 두께조절부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부착형 기능성 부목을 대략적으로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부착형 기능성 부목에 있어서 견인부를 대략적으로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부착형 기능성 부목에 있어서 지지부재를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부착형 기능성 부목에서 팔꿈치의 하부에 위치한 지지부재가 팔의 길이방향으로 직선이동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부착형 기능성 부목에서 팔꿈치의 상부에 위치한 지지부재가 팔의 길이방향으로 직선이동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부착형 기능성 부목에서 팔꿈치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위치한 지지부재가 각각 팔의 길이방향으로 직선이동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부착형 기능성 부목이 착용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부착형 기능성 부목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부착형 기능성 부목의 구성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8은 존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부착형 기능성 부목의 두께조절부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부착형 기능성 부목을 대략적으로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부착형 기능성 부목에 있어서 견인부를 대략적으로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부착형 기능성 부목에 있어서 지지부재를 확대한 확대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사용된 용어 “기능성”이란, 특정 기능을 가져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성질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사용된 용어 “부목(split)”이란, 골절 또는 손상된 환부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용구의 총칭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사용된 용어 “견인(traction)”이란, 골절 또는 손상된 환부를 간헐적 또는 지속적으로 끌어 당기는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은 손목, 팔꿈치 등 부착형 기능성 부목을 제공한다. 이하, 본 명세서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부착형 기능성 부목은 전체 골격을 형성하는 견인부(1100)와 상기 견인부(1100)의 일측에 결합되고, 팔의 일측을 지지하는 지지부재(1200)와 상기 견인부(1100)의 타측에 결합되고, 팔을 지지하는 연결부재(1300)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1200) 또는 연결부재(1300)가 상기 견인부(1100)를 따라 이송됨으로써 상기 팔을 견인하거나 고정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견인부(1100), 지지부재(1200), 연결부재(1300)는 복수개로, 사용자의 팔꿈치를 기준으로 상부와 하부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팔의 어떤 부위에서 골절, 인대 파열, 탈구 등의 손상이 발생하더라도 손상부위를 견인하거나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일례로, 골절, 인대 파열, 탈구 등의 응급상황 발생 시, 본 발명의 부착형 기능성 부목을 도 1과 같이 착용한다. 이후, 착용자의 팔에서 손상부위를 확인하여 팔꿈치의 하부인 경우, 상기 연결부재(1300-1)가 상기 팔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부재(1200-1)를 직선이동시켜 상기 연결부재(1300-1)로부터 이격시킨다. 이후, 상기 지지부재(1200-1)를 상기 팔에 고정시킨다. 이를 통하여 상기 손상부위를 견인함과 동시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마찬가지로, 도 3을 참조하면, 착용자의 팔에서 손상부위를 확인하여 팔꿈치의 상부인 경우, 상기 연결부재(1300-2)가 상기 팔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부재(1200-2)를 직선이동시켜 상기 연결부재(1300-2)로부터 이격시킨다. 이후, 상기 지지부재(1200-2)를 상기 팔에 고정시킨다. 이를 통하여 상기 손상부위를 견인함과 동시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착용자의 팔에서 손상부위가 팔꿈치의 상부와 하부 모두 발생한 경우, 상기 지지부재(1200-1, 1200-2) 각각을 이송시켜 동시에 견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먼저, 견인부(1100)가 마련된다. 상기 견인부(1100)는, 상기 팔의 길이방향의 축을 기준으로 양측에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평행하게 구비되는 제1프레임(1110a) 및 제2프레임(1110b)과 상기 제1프레임(1110a) 및 제2프레임(1110b)의 일측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지지부재(1200)와 제1프레임(1110a) 및 제2프레임(1110b)을 결합하고,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지지부재(1200)를 상기 제1프레임(1110a) 및 제2프레임(1110b)의 길이방향으로 직선이동시키는 제1견인부재(1120a) 및 제2견인부재(1120b)와 상기 제1프레임(1110a) 및 제2프레임(1110b)의 단부에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견인부재(1120a) 및 제2견인부재(1120b)가 상기 제1프레임(1110a) 및 제2프레임(1110b)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정지부(1130)를 포함한다. 즉, 상기 견인부(1100)는 착용자의 신체를 중심으로 양측에 평행하게 놓이는 상기 제1프레임(1110a)과 제2프레임(1110b)을 포함하는 것이다. 일례로, 도 5와 같이 상기 제1프레임(1110a)과 제2프레임(1110b)은 상기 착용자의 팔 및 손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일단부는 상기 연결부재(1300)에 고정되며, 타단부는 상기 손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제1프레임(1110a)과 제2프레임(1110b)은 상기 착용자의 신체사이즈에 맞춰 사용할 수 있도록, 또한 상기 착용자의 팔, 다리 및 목 등과 같은 신체부위에 적용될 수 있도록 충분한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프레임(1110a)과 제2프레임(1110b)은 각각 상기 지지부재(1200) 또는 연결부재(1300)가 상기 견인부(1110)의 길이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하거나 상기 견인부(1110)에 고정되도록 하는 잠금부(116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잠금부(1160)는 상기 지지부재(1200) 또는 연결부재(1300)를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면 어떠한 형태로든 형성될 수 있으며 종래에 공지된 기술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견인부(1100)는 상기 지지부재(1200)를 이송시켜 놓이는 위치를 가변시키는 제1견인부재(1120a)와 제2견인부재(1120b)를 더 포함한다. 일례로, 상기 제1견인부재(1120a)와 제2견인부재(1120b)는 각각 상기 제1프레임(1110a)과 제2프레임(1110b)을 따라 직선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재(1200)의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지지부재(1200)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제1견인부재(1120a)와 제2견인부재(1120b)의 중앙부에는 홀이 형성되며, 상기 홀에 상기 제1프레임(1110a)과 제2프레임(1110b)이 각각 삽입된다. 이때, 상기 제1프레임(1110a)과 제2프레임(1110b)의 타단부에는 상기 제1견인부재(1120a)와 제2견인부재(1120b)가 상기 제1프레임(1110a)과 제2프레임(1110b)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정지부(1130)가 마련된다. 이때, 상기 정지부(1130)는 상기 제1프레임(1110a)과 제2프레임(1110b)에 각각 외측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1견인부재(1120a)와 제2견인부재(1120b)가 상기 제1프레임(1110a)과 제2프레임(1110b)의 타단부 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제1견인부재(1120a)와 제2견인부재(1120b)의 외주면에는 각각 돌기(도면 미도시)가 형성되며, 상기 제1프레임(1110a)과 제2프레임(1110b)의 내측면에는 상기 돌기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다수개의 단계홈(1111)이 마련된다. 즉, 상기 돌기가 상기 다수개의 단계홈(1111) 중 어느 하나의 단계홈(1111)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1견인부재(1120a)와 제2견인부재(1120b)가 고정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돌기가 상기 다수개의 단계홈(1111) 중 어느 하나의 단계홈(1111)에 삽입되는가에 따라 상기 지지부재(1200)의 고정위치가 결정되는 것이다. 이를 통하여, 상기 착용자의 신체사이즈 및 신체부위에 대응하여 상기 지지부재(1200)의 위치를 조절하여 착용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견인부(1100)는 상기 견인부(1100)과 지지부재(1200)가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버튼부(1121)와 삽입부(1122)를 포함한다. 상기 삽입부(1122)의 일단부는 상기 견인부재(1120)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후술할 삽입홈(1230)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이때, 상기 버튼부(1121)를 가압하면 상기 삽입부(1122)가 상기 삽입홈(1230)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일례로, 상기 삽입부(1122)는 ‘X’자 형태로 탄성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버튼부(1121)의 내부에는 스프링(도면 미도시)이 형성되어 상기 버튼부(1121)를 하방으로 가압하면 상기 견인부재(1120)가 이동하면서 상기 상입부(1122)가 길이방향으로 길게 변형되어 상기 삽입홈(1230)으로부터 이탈하게 된다.
또한, 상기 견인부(1100)는 상기 제1프레임(1110a)과 제2프레임(1110b)의 일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견인부(1100)와 연결부재(1300)가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결착부(1140)를 더 포함한다. 상기 결착부(1140)는 후술할 결착홈(1320)에 삽입되어 고정됨으로써, 상기 견인부(1100)와 연결부재(1300)가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견인부(1100)는 상기 견인부(1100)에 의해 상기 지지부재(1200)가 직선이동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레일부(115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레일부(1150)는 후술할 고정부(1330)에 의해 상기 연결부재(1300)의 하부면에 결합되어 고정되며, 상기 프레임(1110)과 같이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레일부(1150)는 후술할 슬라이딩부재(1270)와 결합되어 상기 지지부재(1200)가 용이하게 직선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일례로, 상기 레일부(1150)는 마찰력이 낮은 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레일부(1150)의 중앙부는 평평한 판으로 형성되되 양측이 비스듬하게 절곡되어 상방으로 기울어진 형태로 마련되며, 상기 레일부(1150)의 양단부는 원기둥형상으로 라운드지게 마련된다. 따라서, 후술할 돌출부(1240)가 상기 레일부(1150)의 중앙부에 안착된 상태로 상기 레일부(1150)의 양단부에 의해 안내되어 상기 지지부재(1200)가 용이하게 직선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지지부재(1200)가 마련된다. 상기 지지부재(1200)는, 손목을 감싸는 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손목을 지지하는 손목고정부(1221)와 상기 손목고정부(1221)의 내주면에 결합되어, 외부의 충격을 흡수하는 쿠션부(1250)와 상기 쿠션부(1250)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쿠션부(1250)를 가압하는 두께조절부(1260)를 포함한다. 일례로, 상기 지지부재(1200)는 상기 착용자의 손목을 감싸는 형태로 마련되는 상기 손목고정부(1221)와 상기 손목고정부(1221)의 내부에 마련되는 상기 쿠션부(1250) 및 상기 두께조절부(1260)를 포함한다. 상기 손목고정부(1221)는 중공축의 원기둥형상으로 내부에 상기 착용자의 신체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한다. 또한, 상기 쿠션부(1250) 는 ‘U’자 형태로 외부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소재로 마련되며, 상기 두께조절부(1260)는 상기 손목고정부(1221)의 내부에 중공축의 원기둥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상기 착용자의 신체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며 외주면이 요철형상으로 형성되어 마찰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두께조절부(1260)는 일례로, 밑면을 향할수록 직경이 점차적으로 작아지는 깔때기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두께조절부(1260)의 직경이 작은 밑면이 상기 손목고정부(1221)에 삽입되도록 하여, 상기 지지부재(1200)가 팔꿈치에서 손을 향하는 방향으로 직선이동하더라도 상기 쿠션부(1250)가 상기 손목고정부(1221)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쿠션부(1250)는 상기 손목고정부(1221)에 삽입되면 상기 두께조절부(1260)에 의해 상기 손목고정부(1221)에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두께조절부(1260)에 의해 내부의 부피가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두께조절부(1260)는 상기 착용자의 신체와 쿠션부(1250)를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두께조절부(1260)는 실리콘 부재(도면 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실리콘 부재가 상기 쿠션부(1250)를 감싸는 방식으로 상기 지지부재(1200)의 내부를 채워주는 방식으로 상기 지지부재(1200)의 내부를 착용자의 팔뚝 사이즈에 맞춰 고정시킬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지지부재(1200)는 상기 지지부재(1200) 외주면에 상기 견인부(1100)의 길이방향으로 구비되어 상기 지지부재(1200)가 상기 견인부(1100)를 따라 직선이송된 후 그 지점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체크 밸브 방식의 벨트(12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벨트(1290)는 상기 잠금부(1160)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벨트(1290)는 상기 지지부재(1200) 또는 연결부재(1300)가 상기 견인부(1110)의 길이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하거나 상기 견인부(1110)에 고정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1200)는 상기 삽입부(1122)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재(1200)의 양측 외주면에 각각 형성되는 삽입홈(1230)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1200)는 상기 레일부(1150)에 안착되어 상기 지지부재(1200)가 직선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재(1200)의 하부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출부(124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돌출부(1240)는 상기 레일부(1150)에 안착된 상태로 상기 지지부재(1200)가 직선이동할 수 있도록 마찰력이 낮은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1200)는 상기 레일부(1150)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재(1200)의 이동 시, 상기 지지부재(1200)가 측방향으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는 슬라이딩부재(127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슬라이딩부재(1270)는 상기 지지부재(1200)의 하부 두 지점에서부터 각각 지면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레일부(1150)의 중심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레일부(1150)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부재(1270)는 상기 돌출부(1240)가 상기 레일부(1150)에 안착된 상태로 상기 지지부재(1200)가 직선이동할 수 있도록 마찰력이 낮은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1200)는 착용자의 맥박을 측정하거나 체온을 측정하는 센서부(1280)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센서부(1280)는 상기 쿠션부(1250)의 내주면에 구비되며, 상기 착용자의 팔과 접촉함으로써 체온을 측정하고, 블루투스 및 와이파이와 같은 무선통신을 통하여 측정값을 실시간으로 송신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센서부(1280)는 상기 착용자의 손목과 접촉함으로써 맥박을 측정하고, 블루투스 및 와이파이와 같은 무선통신을 통하여 측정값을 실시간으로 송신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하여, 실시간으로 환자의 상태를 보다 더 신속하게 확인하여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연결부재(1300)가 마련된다. 상기 연결부재(1300)는 상기 견인부(1100)의 단부에 고정되어 상기 팔을 지지하는 판넬(1310)을 포함하고, 상기 판넬(1310)은 상기 지지부재(1200)가 직선이동하더라도 상기 팔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일례로, 상기 연결부재(1300)는 중공축의 원기둥형상으로 상기 착용자의 신체부위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상기 판넬(1310)과 상기 결착부(1140)가 삽입되어 상기 연결부재(1300)와 견인부(1100)를 결합시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결착홈(132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판넬(1310)의 내부에는 후술할 팔고정부재(1400)의 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외부의 압력에 견딜 수 있도록 강성이 높은 재질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결착홈(1320)은 상기 판넬(1310)의 양측 외주면에 각각 상기 결착부(114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견인부(1100)와 연결부재(1300)가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1300)는 상기 연결부재(1300)와 레일부(1150)가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레일부(1150)를 감싸는 형태로 마련되는 고정부(1330)를 더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1330)는 상기 연결부재(1300)의 하부 두 지점에서부터 각각 지면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레일부(1150)의 중심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레일부(1150)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부(1330)는 상기 레일부(1150)가 상기 고정부(1330)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마찰력이 높은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은 상기 연결부재(1300)의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팔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는 팔고정부재(14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팔고정부재(1400)는, 상기 팔의 일측면을 감싸는 전면판넬(1410a) 및 타측면을 감싸는 후면판넬(1410b)을 포함하고, 상기 팔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해 상이한 환자의 팔뚝 두께에 따라 상기 전면판넬(1410a) 및 후면판넬(1410b)의 거리 조절이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일례로, 상기 팔고정부재(1400)는 상기 착용자의 신체부위 중 일부분을 횡방향으로 감싸는 형태로 마련되는 상기 전면판넬(1410a)과 나머지 신체부위를 횡방향으로 감싸는 형태로 마련되는 상기 후면판넬(1410b)을 포함한다. 상기 전면판넬(1410a)과 후면판넬(1410b)은 상기 착용자의 신체를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단부가 상기 연결부재(1300)의 내부에 삽입되는 형태로 상기 착용자의 신체가 상기 연결부재(1300)를 관통하여 상기 지지부재(1200)에 삽입될 수 있도록 안내한다. 일례로, 상기 전면판넬(1410a)과 후면판넬(1410b)은 각각 절곡되어 형성되며 절곡된 지점에 상기 착용자의 팔꿈치가 놓이도록 함으로써, 상기 착용자의 팔을 보다 더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팔고정부재(1400)는 상기 전면판넬(1410a)과 후면판넬(1410b)의 단부를 결합하고, 보관 시 상기 전면판넬(1410a)과 후면판넬(1410b)이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받침대(142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받침대(1420)는 상기 전면판넬(1410a)과 후면판넬(1410b)의 하부에 각각 구비되어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나사 등의 결속수단에 의해 결합된다. 이를 통하여, 상기 팔고정부재(1400)가 상기 착용자의 신체를 보다 더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착용자의 팔꿈치를 기준으로 상부에 구비되는 상기 연결부재(1300)의 상부에 결합되고, 착용자의 어깨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는 어깨고정부재(15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어깨고정부재(1500)는, 상기 어깨의 일측면을 감싸는 제1판넬(1510a) 및 타측면을 감싸는 제2판넬(1510b)을 포함하고, 상기 어깨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해 상이한 환자의 어깨 두께에 따라 상기 제1판넬(1510a) 및 제2판넬(1510b)의 거리 조절이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일례로, 상기 어깨고정부재(1500)는 상기 착용자의 어깨를 횡방향으로 감싸는 형태로 마련되는 상기 제1판넬(1510a)과 나머지 신체부위를 횡방향으로 감싸는 형태로 마련되는 상기 제2판넬(1510b)을 포함한다. 상기 제1판넬(1510a)과 제2판넬(1510b)은 상기 착용자의 신체를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단부가 상기 연결부재(1300)에 결합되는 형태로 상기 착용자의 팔이 상기 연결부재(1300)를 관통하여 상기 지지부재(1200)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어깨고정부재(1500)와 팔고정부재(1400)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착용자의 신체를 보다 더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부착형 기능성 부목은, 탈골의 발생 시 탈골이 발생한 부위를 고정한 상태로 일방향으로 힘을 가하여 뼈를 이동시킴으로써, 응급조치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일례로, 팔꿈치 부위에 탈골이 발생한 경우, 팔꿈치가 상기 팔고정부재(1400)의 절곡부위에 삽입되도록 하고, 팔이 상기 연결부재(1300)를 관통하여 상기 지지부재(1200)에 삽입되어 상기 두께조절부(1260)에 의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부재(1200)를 전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비숙련자라 하더라도 탈골에 대한 응급조치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부착형 기능성 부목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손가락부재(210)를 포함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실시예와 중첩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제1실시예의 설명을 원용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부착형 기능성 부목을 대략적으로 나타낸 모식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부착형 기능성 부목에 있어서 견인부를 대략적으로 나타낸 모식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부착형 기능성 부목에 있어서 지지부재를 확대한 확대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부착형 기능성 부목은 견인부(100), 지지부재(200), 연결부재(300) 및 팔고정부재(400)로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부착형 기능성 부목은 전체 골격을 형성하는 견인부(100)와 손가락에서 손목까지 고정하기 위해 손가락부재(210)와 손목부재(220)로 구성되는 지지부재(200)와 상기 지지부재(200)의 일단과 연결되어 팔뚝을 감싸는 판넬(310)을 포함하는 연결부재(300)와 상기 연결부재(300)의 일단이 연결되어 팔뚝을 감싸기 위한 고정 판넬(410)을 포함하는 팔고정부재(400)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견인부(100)는 상기 부착형 기능성 부목(1)의 전체 골격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팔 관절 부위에 해당하는 부분은 회전(rotation) 또는 접힘(bending)이 가능한 조인트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견인부(100)는 PVC, 탄소봉, 금속봉 또는 나무로 형성되고 휴대가 가능할 정도로 경량화 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견인부(100)는 종래의 석고 붕대를 이용한 부목과 비교하여 무게를 현저히 경량화 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휴대가 가능하여 필요 시 환자 또는 보호자가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견인부(100)는 길이 조절부(110), 손목 견인부재(120), 락킹 조인트(locking joint)(130) 및 벤딩(bending) 조인트(140)로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견인부(100)는 상기 견인부(100)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길이 조절부(110)와 상기 손목부재(220)에 고정된 환자의 손목 골절 정도에 따라 손목을 견인하기 위한 손목 견인부재(120)와 상기 지지부재(200)와 연결부재(300)가 링크되는 지점에 환자의 상이한 골절 양상에 따라 손목 관절의 각도를 상하좌우로 180 ° 회전이 가능한 락킹 조인트(130)와 및 상기 연결부재(300)와 팔꿈치 지지부재(400)가 링크되는 지점에 환자의 팔꿈치가 45 내지 110 ° 접힘이 가능한 벤딩 조인트(140)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길이 조절부(110)는 환자의 팔 길이, 손가락 길이 등에 따라 상기 부착형 기능성 부목의 길이가 조절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길이 조절부는 길이방향으로 상하 슬라이딩 방법을 통해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길이 조절부(110)는 유압장치 등을 이용한 자동 방법 또는 직접 환자의 팔 길이에 따라 조절하는 수동 방법을 이용하여 길이 조절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길이 조절부(110)는 상기 지지부재(200), 연결부재(300) 또는 팔고정부재(400)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 견인부재(120)는 상기 손목부재(220)에 고정된 환자의 손목 골절 정도에 따라 환자의 손목을 견인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후술할 손목 지지부(222)의 양단이 연결되어 환자의 손목 골절 양상에 따라 견인된 상기 손목 지지부(222)를 락킹 홀드(locking hold)(101)를 이용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락킹 홀드(101)는 상기 견인부(100)에 위치하여 슬라이딩 방법을 통해 상기 손목 지지부(222)를 고정시켜 견인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락킹 홀드(101)는 상하 운동이 가능한 구(sphere)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어 상기 손목 지지부(222)를 견인시키기 위한 적절한 위치에서 상기 구(sphere) 형상의 락킹 홀드(101)를 슬라이딩으로 이동시켜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락킹 조인트(locking joint)(130)는 상기 지지부재(200)와 연결부재(300)가 링크되는 지점에 위치하여 환자마다 상이한 골절 양상에 따라 손목 관절의 각도를 상하좌우로 180 ° 회전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락킹 조인트(130)는 유니버셜 조인트(universal joint)일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이중 카르단 조인트(double cardan joint)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된 용어 “유니버셜 조인트”란, 두 축을 연결하기 위한 축이음(커플링)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이중 카르단 조인트는 십자 조인트 2개를 연결한 형태로 상기 십자 조인트가 굴절된 상태로 회전하게 되어 180 °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벤딩(bending) 조인트(140)는 상기 연결부재(300)와 팔꿈치 지지부재(400)가 링크되는 지점에 위치하여 환자의 팔꿈치가 45 내지 110 ° 접힘이 가능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벤딩 조인트(140)는 기본 45 ° 이상 접힌 상태로 유지되며 45 내지 110 ° 까지 접힘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벤딩 조인트(140)는 트렉터형의 유니버셜 조인트, 일반 베어링 유니버셜 조인트, 회전 조인트(Revolute joint) 또는 스페리컬 조인트(Spherical joint) 일 수 있으며, 45 내지 110 ° 로 자유롭게 접힘이 가능한 조인트라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200)는 환자의 손가락에서 손목까지 고정시켜 견인하기 위한 손가락부재(210)와 손목부재(220)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부재(210)는 손가락 지지부(211), 손가락 삽입부(212) 및 손가락 연결부(213)로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손가락부재(210)는 상기 견인부(100) 상부면에 위치하여 손가락을 고정시킬 수 있는 손가락 지지부(211)와 통풍이 가능한 그물망 형태로 형성되어 환자의 손가락이 삽입될 수 있는 손가락 삽입부(212)와 및 상기 손가락 지지부(211)와 손가락 삽입부(212)를 연결하기 위한 손가락 연결부(213)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 지지부(211)는 상기 손가락 삽입부(212)를 견인하는 손가락 연결부(213)를 상기 견인부(100)에 연결하기 위한 구성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 지지부(211)는 상기 손가락 연결부(213)가 고정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손가락 지지부(211)는 갈고리, 후크, 로프, 와이어 또는 케이블 형태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갈고리 형태일 수 있으나, 상기 손가락 연결부(213)를 고정할 수 있는 형태라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 삽입부(212)는 통풍이 가능한 그물망 형태로 형성되어 환자의 손가락이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 삽입부(212)는 손가락 전체가 삽입되거나 손가락 일부만이 삽입될 수 있으며, 이는 환부의 크기, 종류 등에 따라 용이하게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 삽입부(212)는 그물망 형태의 망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그물망 형태의 망은 나일론(nylon) 섬유, 필라멘트(filament) 섬유, 폴리에틸렌(poly ethylene) 섬유 또는 폴리프로필렌(poly propylene) 섬유일 수 있으며, 손가락 통풍이 가능한 섬유라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 연결부(213)는 상기 손가락 지지부(211)와 손가락 삽입부(212)를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 연결부(213)는 탄성력을 갖는 재질의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손가락 연결부(213)는 상기 손가락 삽입부(212)에 삽입된 손가락을 견인하기 위해 상기 손가락 지지부(211)에 고정시키기 위해 플렉서블(flexible)한 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 연결부(213)는 나일론, 라이크라(lycra), 스판덱스(spandex), 아크릴(acrylic), 폴리우레탄, 미모사(mimose), 밀키직물(milex), 스트레치(wool plus lycra) 또는 엘리스틱 터치(elastic touch)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한 하나 이상의 탄성 재질 재료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 연결부(213)는 끈의 형상일 수 있으며, 상기 끈은 루프(loop)가 이어진 형태, 직선의 형태 또는 물결 무늬 형태의 끈일 수 있으며, 상기 손가락 지지부(211)와 손가락 삽입부(212)를 연결할 수 있는 형태의 탄성 재질의 재료라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손목부재(220)는 손목 고정부(221), 손목 지지부(222), 이음 조인트(223) 및 손목 연결부(224)로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손목부재(220)는 탄성 소재로 형성되어 환자의 손목을 감싸 고정시킬 수 있는 손목 고정부(221)와 상기 손목 견인부재(120)의 양 끝단에 연결되는 제1 손목지지대와 제2 손목지지대로 구성되는 손목 지지부(222)와 상기 제1 손목지지대(222a)와 제2 손목지지대(222b)를 연결하고 상기 손목 지지부(222)를 길이 방향으로 벤딩(bending) 시키는 이음 조인트(223)와 상기 손목 고정부(221)와 이음 조인트(223)를 연결하여 상기 손목 고정부(221)를 견인시키는 손목 연결부(224)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손목 고정부(221)는 환자의 손목을 감싸도록 중공형의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손목 고정부(221)는 환자마다 상이한 손목 두께에 적절히 조절하기 위해 손목 조절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손목 조절부는 체인 형태의 랍스터를 이용한 방법으로 손목 두께를 조절하거나 상기 손목 고정부(221)를 쪼이는 방법으로 조절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손목 고정부(221)는 탄성력을 갖는 재질의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손목 고정부(221)는 플렉서블(flexible)한 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손목 지지부(222)는 상기 손목 견인부재(120)의 양 끝단에 연결되는 제1 손목지지대(222a)와 제2 손목지지대(222b)로 나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이음 조인트(223)는 상기 제1 손목지지대(222a)와 제2 손목지지대(222b)를 연결하고 상기 손목 지지부(222)를 길이 방향으로 벤딩(bending) 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음 조인트(223)는 구형의 형태로 상기 제1 손목지지대(222a)와 제2 손목지지대(222b)의 일측이 내부로 삽입되어 회전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이음 조인트(223)는 상기 제1 손목지지대(222a)와 제2 손목지지대(222b)를 연결되고, 후술할 손목 연결부(224)과 연결되어 3중 연결선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음 조인트(223)는 후술할 손목 연결부(224)에 의해 손목 고정부(221)와 연결되어 환자의 골절 양상에 따라 견인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손목 연결부(224)는 상기 손목 고정부(221)와 이음 조인트(223)를 연결하여 상기 손목 고정부(221)를 견인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손목 연결부(224)는 탄성력을 갖는 재질의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손목 연결부(224)는 상기 손목 고정부(221)에 삽입된 손목을 견인하기 위해 상기 이음 조인트(223)에 연결시키기 위해 플렉서블(flexible)한 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손목 연결부(224)는 나일론, 라이크라(lycra), 스판덱스(spandex), 아크릴(acrylic), 폴리우레탄, 미모사(mimose), 밀키직물(milex), 스트레치(wool plus lycra) 또는 엘리스틱 터치(elastic touch)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한 하나 이상의 탄성 재질 재료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300)는 환자의 팔을 지지하기 위한 판넬(310)이 구성되고, 상기 판넬(310)은 환자의 팔 전면 또는 후면을 지지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판넬(310)은 상기 락킹 홀드(101)를 이용하여 너비를 조절하여 고정시킬 수 있으며, 상기 판넬(310)은 팔 전면, 후면 또는 양면 모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팔고정부재(400)는 환자의 팔뚝 일측면을 감싸는 전면판넬(410)a 및 팔뚝 타측면을 감싸는 후면판넬(410b)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팔고정부재(400)는 환자의 팔뚝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해 상이한 환자의 팔뚝 두께에 따라 상기 전면판넬(410a) 및 후면판넬(410b)의 거리 조절이 가능하다.
이상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1100 : 견인부
1110 : 프레임
1110a : 제1프레임
1110b : 제2프레임
1111 : 단계홈
1120 : 견인부재
1120a : 제1견인부재
1120b : 제2견인부재
1121 : 버튼부
1122 : 삽입부
1130 : 정지부
1140 : 결착부
1150 : 레일부
1160 : 잠금부
1200 : 지지부재
1221 : 손목고정부
1230 : 삽입홈
1240 : 돌출부
1250 : 쿠션부
1260 : 두께조절부
1270 : 슬라이딩부재
1280 : 센서부
1290 : 벨트
1300 : 연결부재
1310 : 판넬
1320 : 결착홈
1330 : 고정부
1400 : 팔고정부재
1410a : 전면판넬
1410b : 후면판넬
1420 : 받침대
1500 : 어깨고정부재
1510a : 제1판넬
1510b : 제2판넬
100 : 견인부
101 : 락킹 홀드(locking hold)
110 : 길이 조절부
120 : 손목 견인부재
130 : 락킹 조인트(locking joint)
140 : 벤딩(bending) 조인트
200 : 지지부재
210 : 손가락부재
211 : 손가락 지지부
212 : 손가락 삽입부
213 : 손가락 연결부
220 : 손목부재
221 : 손목 고정부
222 : 손목 지지부
222a : 제1 손목지지대
222b : 제2 손목지지대
223 : 이음 조인트
224 : 손목 연결부
300 : 연결부재
310 : 판넬
400 : 팔고정부재
410 : 고정판넬
410a : 전면판넬
410b : 후면판넬
1110 : 프레임
1110a : 제1프레임
1110b : 제2프레임
1111 : 단계홈
1120 : 견인부재
1120a : 제1견인부재
1120b : 제2견인부재
1121 : 버튼부
1122 : 삽입부
1130 : 정지부
1140 : 결착부
1150 : 레일부
1160 : 잠금부
1200 : 지지부재
1221 : 손목고정부
1230 : 삽입홈
1240 : 돌출부
1250 : 쿠션부
1260 : 두께조절부
1270 : 슬라이딩부재
1280 : 센서부
1290 : 벨트
1300 : 연결부재
1310 : 판넬
1320 : 결착홈
1330 : 고정부
1400 : 팔고정부재
1410a : 전면판넬
1410b : 후면판넬
1420 : 받침대
1500 : 어깨고정부재
1510a : 제1판넬
1510b : 제2판넬
100 : 견인부
101 : 락킹 홀드(locking hold)
110 : 길이 조절부
120 : 손목 견인부재
130 : 락킹 조인트(locking joint)
140 : 벤딩(bending) 조인트
200 : 지지부재
210 : 손가락부재
211 : 손가락 지지부
212 : 손가락 삽입부
213 : 손가락 연결부
220 : 손목부재
221 : 손목 고정부
222 : 손목 지지부
222a : 제1 손목지지대
222b : 제2 손목지지대
223 : 이음 조인트
224 : 손목 연결부
300 : 연결부재
310 : 판넬
400 : 팔고정부재
410 : 고정판넬
410a : 전면판넬
410b : 후면판넬
Claims (5)
- 전체 골격을 형성하는 견인부;
상기 견인부의 일측에 결합되고, 팔의 일측을 지지하는 지지부재; 및
상기 견인부의 타측에 결합되고, 팔의 타측을 지지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 또는 연결부재가 상기 견인부를 따라 이송됨으로써 상기 팔을 견인하며,
상기 견인부는,
상기 팔의 길이방향의 축을 기준으로 양측에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평행하게 구비되는 제1프레임 및 제2프레임;
상기 제1프레임 및 제2프레임의 일측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지지부재와 제1프레임 및 제2프레임을 결합하고,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지지부재를 상기 제1프레임 및 제2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직선이동시키는 제1견인부재 및 제2견인부재; 및
상기 제1프레임 및 제2프레임의 단부에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견인부재 및 제2견인부재가 상기 제1프레임 및 제2프레임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정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형 기능성 부목.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부, 지지부재, 연결부재는 복수개로, 사용자의 팔꿈치를 기준으로 상부와 하부에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형 기능성 부목.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손목을 감싸는 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손목을 지지하는 손목고정부;
상기 손목고정부의 내주면에 결합되어, 외부의 충격을 흡수하는 쿠션부; 및
상기 쿠션부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쿠션부를 가압하는 두께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형 기능성 부목.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견인부의 단부에 고정되어 상기 팔을 지지하는 판넬;을 포함하고,
상기 판넬은,
상기 지지부재가 직선이동하더라도 상기 팔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형 기능성 부목.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86298A KR102392184B1 (ko) | 2020-07-13 | 2020-07-13 | 부착형 기능성 부목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86298A KR102392184B1 (ko) | 2020-07-13 | 2020-07-13 | 부착형 기능성 부목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08111A KR20220008111A (ko) | 2022-01-20 |
KR102392184B1 true KR102392184B1 (ko) | 2022-04-27 |
Family
ID=800529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86298A KR102392184B1 (ko) | 2020-07-13 | 2020-07-13 | 부착형 기능성 부목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92184B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938002B2 (ja) * | 2005-05-12 | 2012-05-23 | リンダ・ポメロイ | スプリント又は固定装置 |
US8870802B1 (en) * | 2011-04-13 | 2014-10-28 | Water Crest Industries LLC | Traction splint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32859B1 (ko) | 2001-08-01 | 2004-05-31 | 이영찬 | 의료용 부목 |
KR100446556B1 (ko) * | 2001-12-28 | 2004-09-04 | 주식회사 티엔알메디텍 | 골절고정을 위한 부목겸용 깁스부재 |
KR101108112B1 (ko) * | 2009-10-21 | 2012-01-31 | (주)힐닉스 | 수관절 보조기 |
KR101883805B1 (ko) | 2016-11-10 | 2018-07-31 | 우삼의료기 주식회사 | 의료용 부목 |
-
2020
- 2020-07-13 KR KR1020200086298A patent/KR10239218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938002B2 (ja) * | 2005-05-12 | 2012-05-23 | リンダ・ポメロイ | スプリント又は固定装置 |
US8870802B1 (en) * | 2011-04-13 | 2014-10-28 | Water Crest Industries LLC | Traction splint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08111A (ko) | 2022-01-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518097B1 (ko) | 사지 보조기, 특히 무릎 보조기 | |
US11517465B2 (en) | Upper extremity braces | |
US20170095390A1 (en) | Devices for mobilizing the hip joint capsule and methods of using same | |
US20060293623A1 (en) | Orthopedic restraint and method for shoulder remediation | |
US20090043232A1 (en) | Sterile Tensor Cravats And Methods For Storing And Deploying Same | |
US3693617A (en) | Fracture reducing appliance for the arm | |
KR102392184B1 (ko) | 부착형 기능성 부목 | |
KR101785190B1 (ko) | 어깨 보조기 | |
KR101815274B1 (ko) | 무릎보조기 | |
EP2874579B1 (de) | Schulterabduktionsorthese | |
KR20230108489A (ko) | 부착형 기능성 부목 | |
NL1039802C2 (en) | Clavicle brace. | |
US6221037B1 (en) | Wrist traction device and method | |
US6976971B2 (en) | Arm sling | |
EP3030203B1 (en) | Brace for immobilising a traumatized or operated shoulder | |
US1366576A (en) | Surgical splint | |
CN207445088U (zh) | 一种骨科用膝关节支具 | |
CN206342586U (zh) | 一种前臂及手掌部骨科外固定装置 | |
CN215960516U (zh) | 一种前臂活动型肩关节外展支具 | |
CN210250192U (zh) | 一种用于膝关节拉伸的矫正器 | |
CN217488997U (zh) | 一种牵引装置及颈部肢体牵引器 | |
US20100161078A1 (en) | Simplified prosthetic device | |
CN216725026U (zh) | 一种髋关节骨折后侧体位支撑器及支撑装置 | |
CN214073980U (zh) | 腿部减压垫 | |
CN219963208U (zh) | 一种术后护理用腿部限位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