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0818B1 - 가접용 용접기 크레인 시스템 - Google Patents

가접용 용접기 크레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0818B1
KR102390818B1 KR1020220023251A KR20220023251A KR102390818B1 KR 102390818 B1 KR102390818 B1 KR 102390818B1 KR 1020220023251 A KR1020220023251 A KR 1020220023251A KR 20220023251 A KR20220023251 A KR 20220023251A KR 102390818 B1 KR102390818 B1 KR 1023908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lding machine
pipe
distance
led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32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홍철
Original Assignee
하홍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홍철 filed Critical 하홍철
Priority to KR10202200232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08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08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08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1/00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1/02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relating to soldering or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23K37/0247Driv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5/00Driving or feeding mechanisms; Control arrangements therefor
    • B23Q5/02Driving main working members
    • B23Q5/04Driving main working members rotary shafts, e.g. working-spindles
    • B23Q5/10Driving main working members rotary shafts, e.g. working-spindles driven essentially by electrica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68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mounted on, or guided by, ji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6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with jibs supported by columns, e.g. towers having their lower end mounted for slewing mov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0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 F16B7/0406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coax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3Cranes with arms or jibs; Multiple cranes
    • B66C2700/0392Movement of the crane arm; Coupling of the crane arm with the counterweights; Safety devices for the movement of the a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aser Beam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접기, 용접기를 설치 및 고정하는 고정판, 회전하는 수직 프레임, 상, 하로 동작하는 수평프레임, 구부러지는 밴딩 파이프, 메인 파이프, 메인 파이프를 고정하는 지지대, 지지대를 고정하는 지지 플레이트 및 오염도와 거리를 측정하는 LED 레이저부가 구비된 가접용 용접기 크레인 시스템이 제공된다.

Description

가접용 용접기 크레인 시스템{Temporary welding machine system}
본 발명은 가접용 용접기 크레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용접기, 용접기를 설치 및 고정하는 고정판, 회전하는 수직 프레임, 상, 하로 동작하는 수평프레임, 구부러지는 밴딩 파이프, 메인 파이프, 메인 파이프를 고정하는 지지대, 지지대를 고정하는 지지 플레이트 및 오염도와 거리를 측정하는 LED 레이저부가 구비된 가접용 용접기 크레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크레인은 화물 상하차 작업 등을 수행할 수 있도록 화물을 상하ㆍ좌우 및 전후 방향으로 운반하는 기계장치로써, 사용 목적과 형식 및 운동방식 등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되고 있다.
또한, 근래에는 통상의 고정식 크레인이 아닌 이동식 크레인이 널리 보급됨으로써, 건설이나 물류 등의 다양한 업종에서 중량물의 운반, 적재 또는 하역용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동식 크레인은 대형 트럭 등에 탑재되거나 또는 동력장치와 연결되는 형태로 구성됨으로써, 크레인 장치의 이동을 통해 불특정 장소에서 작업이 가능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설비이다.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의 이동식 크레인은 상대적으로 크고 무거운 화물의 운송에 적합하도록 대형 설비로 구성됨으로써, 좁은 공간이나 도로 시설이 잘 갖춰져 있지 않은 장소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구입 비용이나 사용 비용이 매우 고가(高價)라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종래의 문제점을 타파하고자 이동식 크레인 중에서도 용접 작업을 위해 사용되는 이동식 크레인을 제안함으로써 설치 및 이동이 용이한 간편성의 특징을 강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용접기와 용접기가 상향을 바라보도록 설치 및 고정하는 고정판을 구비하는 가접용 용접기 크레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회전 또는 상, 하로 동작하는 수직 프레임 및 수평 프레임을 구비하는 가접용 용접기 크레인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작업자의 필요에 따라 구부러지는 밴딩 파이프 및 메인 파이프를 구비하는 가접용 용접기 크레인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메인 파이프를 고정하는 지지대 및 지지대를 고정하는 지지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가접용 크레인 용접기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오염도 및 수직 거리를 측정하는 LED 레이저부를 구비하는 가접용 용접기 크레인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접용 용접기 크레인 시스템은 용접기, 용접기가 상향을 바라보도록 설치 및 고정하는 고정판, 상기 고정판을 회전시키도록 제 1 모터가 내재되는 제 1 회전부, 상기 제 1 회전부와 연결되는 수직 프레임, 상기 수직 프레임과 연결되고, 상기 수직 프레임을 상, 하로 동작시키도록 제 2 모터가 내재되는 수평 프레임, 상기 수평 프레임의 말단에 구부러지게 결합되는 복수 개의 밴딩 파이프, 상기 밴딩 파이프의 말단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메인 파이프, 상기 메인 파이프를 고정하는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 하부에 연결되고, 상기 지지대가 회전되도록 제 3 모터가 내재되는 지지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각각 말단에 상기 밴딩 파이프와 상기 메인 파이프가 연통으로 이어지도록 각각 연결 결합하는 연결체로서, 상기 연결체의 양측 외주면에는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한 쌍의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밴딩 파이프는, 외주면에 링 형태의 돌부와 링홈이 등간격으로 번갈아가며 형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메인 파이프는, 외주면에 상기 체결부가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체결부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한 쌍의 체결부는, 상기 밴딩 파이프의 상기 링홈 및 상기 메인 파이프의 상기 결합홈에 삽탈되어 상기 밴딩 파이프 및 상기 메인 파이프를 고정 및 분리 가능하게 하는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 개의 메인 파이프 각각은, 내부가 비어 있는 관 형상으로 형성되며, 전단 및 후단이 개방되어 있으며, 상기 메인 파이프 길이를 따라 복수 개의 걸림홈이 이격 형성되는 파이프 바디, 상기 파이프 바디 내부에 삽입되어 길이를 연장하거나 축소하여 상기 복수의 걸림홈에 삽입될 수 있는 사각형 형상의 걸림 돌기가 외주면에 복수 개 형성되는 내부 파이프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가접용 용접기 크레인 시스템으로서, 상기 수평 프레임의 말단에 설치되어 하방을 향해 LED 및 레이저를 조사하여 작업대로부터 상기 수직 프레임까지의 수직 거리를 측정하고, 상기 작업대 주변의 오염도를 측정하는 LED 레이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LED 레이저부는, 본체, 상기 본체의 하방을 향해 LED를 조사하여 오염도를 측정하는 오염도 측정모듈, 상기 본체의 하방을 향해 레이저를 조사하여 수직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 측정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오염도 측정모듈은, 상기 본체의 하방을 향한 밑면에 설치되어 LED를 조사하여 오염도를 측정하는 LED조사부 및 상기 측정된 오염도 데이터를 수집하는 오염도 측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거리 측정모듈은, 상기 본체의 하방을 향한 밑면에 설치된 LED조사부와 이격되어 설치되고 레이저를 조사하여 수직 거리를 측정하는 레이저 조사부 및 상기 측정된 수직거리를 분석하여 작업자에게 적정의 작업 거리를 전송하는 거리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오염도 측정부로서, 작업 환경의 적정 오염도를 제공하는 동작, 상기 작업자의 주변의 분진 등에 의한 오염도의 평균을 계산하는 동작, 상기 계산된 평균 오염도가 적정 오염도보다 높을 경우, 상기 작업자의 단말기에 오염도 경고 표시를 발송하는 동작 및 상기 계산된 평균 오염도가 적정 오염도와 같거나 낮을 경우, 상기 작업자의 단말기에 오염도 안전 표시를 발송하는 동작을 순차적으로 수행하고,
상기 거리 조절부로서, 상기 수평 프레임과 상기 작업대의 적정 거리의 데이터를 제공하는 동작, 상기 레이저를 조사하여 상기 수평 프레임과 상기 작업대의 수직 거리를 측정하는 동작, 상기 측정된 수직 거리가 상기 적정 거리보다 작을 경우, 상기 작업자의 단말기에 안전 거리 유지 표시를 발송하는 동작 및 상기 측정된 수직 거리가 상기 적정 거리보다 같거나 클 경우, 상기 작업자의 단말기에 안전 거리 적정 표시를 발송하는 동작을 순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용접기, 용접기를 설치 및 고정하는 고정판, 회전하는 수직 프레임, 상, 하로 동작하는 수평프레임, 구부러지는 밴딩 파이프, 메인 파이프, 메인 파이프를 고정하는 지지대, 지지대를 고정하는 지지 플레이트 및 오염도와 거리를 측정하는 LED 레이저부가 구비된 가접용 용접기 크레인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발명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접용 용접기 크레인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접용 용접기 크레인 시스템의 또 다른 각도의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접용 용접기 크레인 시스템의 도 1 또는 도 2의 수평 프레임에 결합되는 밴딩 파이프의 체결부의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접용 용접기 크레인 시스템의 도 1 또는 도 2의 수평 프레임에 결합되는 밴딩 파이프의 체결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접용 용접기 크레인 시스템의 도 1 또는 도 2의 수평 프레임에 결합되는 밴딩 파이프의 체결부의 또 다른 각도의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 1 및 도 2의 가접용 용접기 크레인 시스템의 수평프레임에 결합되는 밴딩파이프와 연결되는 메인 파이프의 파이프 바디 및 내부 파이프 바디의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가접용 용접기 크레인 시스템의 메인 파이프와 밴딩 파이프의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가접용 용접기 크레인 시스템의 LED 레이저부의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가접용 용접기 크레인 시스템의 LED 레이저부의 오염도 측정모듈의 순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가접용 용접기 크레인 시스템의 LED 레이저부의 거리 측정모듈의 순서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가 도면에서 묘사되고 상세한 설명에서 자세하게 설명될 수 있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한 실시 예는 다양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따라서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 실시 예에 의해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상술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술한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모듈" 또는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모듈" 또는 "부"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에 의해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특정 하드웨어에서 수행되어야 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서 수행되는 "모듈" 또는 "부"를 제외한 복수의 "모듈들" 또는 복수의 "부들"은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통합될 수도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그 밖에도,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축약하거나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접용 용접기 크레인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접용 용접기 크레인 시스템의 또 다른 각도의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가접용 용접기 크레인 시스템은 용접기(1), 고정판(10), 제 1 회전부(20), 수직 프레임(30), 수평 프레임(40), 밴딩 파이프(50), 메인 파이프(60), 지지대(70), 및 지지 플레이트(80)를 포함할 수도 있다.
용접기(1)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용접기로써 작업자가 임의의 형태로 작업 환경에 알맞도록 자유롭게 변형할 수 있다.
고정판(10)은 용접기(1)가 상향을 바라보도록 설치 및 고정할 수 있다.
제 1 회전부(20)는 고정판(10)을 회전시키도록 제 1 모터(21)가 내재될 수 있다.
수직 프레임(30)은 제 1 회전부(20)와 연결될 수 있다.
수평 프레임(40)은 수직 프레임(30)과 연결되고, 수직 프레임(30)을 상, 하로 동작시키도록 제 2 모터(41)가 내재될 수 있다.
밴딩 파이프(50)는 수평 프레임(40)의 말단에 구부러지게 결합될 수 있다.
메인 파이프(60)는 밴딩 파이프(50)의 말단에 결합될 수 있다.
밴딩 파이프(50) 및 메인 파이프(60)는 작업 환경에 따라 작업자가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설치 및 결합할 수도 있다.
지지대(70)는 일 메인 파이프(60)를 고정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80)는 지지대(70)의 하부에 연결되고, 지지대(70)가 회전되도록 제 3 모터(81)가 내재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접용 용접기 크레인 시스템의 도 1 또는 도 2의 수평 프레임에 결합되는 밴딩 파이프의 체결부의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접용 용접기 크레인 시스템의 도 1 또는 도 2의 수평 프레임에 결합되는 밴딩 파이프의 체결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접용 용접기 크레인 시스템의 도 1 또는 도 2의 수평 프레임에 결합되는 밴딩 파이프의 체결부의 또 다른 각도의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수평 프레임(40)과 결합하는 밴딩 파이프(50)와 그 체결부(110)의 결합 실시예 및 밴딩에 대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연결체(100)는 각각 말단에 밴딩 파이프(50) 및 메인 파이프(60)가 연통으로 이어지도록 각각 연결 결합할 수 있다.
체결부(110)는 연결체(100)의 양측 외주면에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한 쌍이 형성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밴딩 파이프(50)는 외주면에 링 형태의 돌부(5)와 링홈(52)이 등간격으로 번갈아가며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메인 파이프(60)는 외주면에 체결부(110)가 결합되는 결합홈(61)이 형성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의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고정부(111)는 한 쌍의 체결부(110)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한 쌍의 체결부(110)는 밴딩 파이프(50)의 링홈(52) 및 메인 파이프(60)의 결합홈(61)에 삽탈되어 밴딩 파이프(50) 및 메인 파이프(60)를 고정 및 분리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를 상세히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밴딩 파이프(50)는 작업자의 필요에 따라 구부러지게 할 수도 있고 구부러지지 않게 할 수도 있다.
이때 구부러지는 정도는 임의의 구부러지는 정도에 제한하지 않으며 자유롭게 가능하다.
특히 밴딩 파이프(50)의 구부러지는 정도는 후술할 거리 측정모듈(230)과 연동하여 거리를 조절하기 위해 상, 하로도 구부러질 수도 있다.
체결부(110)는 연결체(100)의 일측에 밴딩 파이프(50)를 향해 대면한 상태에서 회동가능한 힌지가 내장되어 고정부(111)가 상, 하로 움직이면서 체결할 수 있다.
체결부(110)는 연결체(100)의 타측에 메인 파이프(60)를 향해 대면한 상태에서 회동가능한 힌지가 내장되어 고정부(111)가 상, 하로 움직이면서 체결할 수 있다.
체결부(110)는 연결체(100)의 양측 외주면에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한 쌍이 형성될 수도 있고, 또한 상, 하 대응하는 위치에 또 다른 한 쌍이 형성될 수도 있다.
메인 파이프(60)를 향해 회동하는 체결부(110)는 고정부(111)가 상, 하로 회동하면서 결합홈(61)에 삽탈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접용 용접기 크레인 시스템의 메인 파이프의 파이프 바디 및 내부 파이프 바디의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가접용 용접기 크레인 시스템의 메인 파이프와 밴딩 파이프의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도 1 및 도 2의 수평 프레임(40)에 결합된 도 3 내지 도 5의 밴딩 파이프(50)에 이어 결합된 메인 파이프(60)의 세부 구성들인 파이프 바디(601) 및 내부 파이프 바디(602)의 연장 또는 축소를 걸림돌기(6021)에 의한 실시예로 도시한 것이다.
복수 개의 메인 파이프(60) 각각은 파이프 바디(601) 및 내부 파이프 바디(602)를 포함할 수 있다.
파이프 바디(601)는 내부가 비어 있는 관 형상으로 형성되며, 전단 및 후단이 개방되어 있으며, 메인 파이프(60) 길이를 따라 복수 개의 걸림홈(6011)이 이격 형성될 수 있다.
내부 파이프 바디(602)는 파이프 바디(601) 내부에 삽입되어 길이를 연장하거나 축소하여 복수의 걸림홈(6011)에 삽입될 수 있는 사각형 형상의 걸림 돌기(6021)가 외주면에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가접용 용접기 크레인 시스템의 LED 레이저부의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가접용 용접기 크레인 시스템의 LED 레이저부의 오염도 측정모듈의 순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가접용 용접기 크레인 시스템의 LED 레이저부의 거리 측정모듈의 순서도를 나타낸 것이다.
가접용 용접기 크레인 시스템은 LED 레이저부(20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LED 레이저부(200)는 본체(210), 오염도 측정모듈(220), 및 거리 측정모듈(230)을 포함할 수 있다.
오염도 측정모듈(220)은 본체(210)의 하방을 향해 LED를 조사하여 오염도를 측정할 수 있다.
오염도 측정모듈(220)은 LED조사부(221) 및 오염도 측정부(222)를 포함할 수 있다.
LED조사부(221)는 본체의 하방을 향한 밑면에 설치되어 LED를 조사하여 오염도를 측정할 수 있다.
오염도 측정부(222)는 측정된 오염도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거리 측정모듈(230)은 본체(210)의 하방을 향해 레이저를 조사하여 수직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거리 측정모듈(230)은 레이저 조사부(231) 및 거리 조절부(232)를 포함할 수 있다.
레이저 조사부(231)는 본체의 하방을 향한 밑면에 설치된 LED조사부(221)와 이격되어 설치되고 레이저를 조사하여 작업대와 수평 프레임 간의 수직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거리 조절부(232)는 측정된 수직거리를 분석하여 작업자에게 적정의 작업거리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LED레이저부(200)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오염도 측정모듈(220)은 먼저 작업 환경의 적정 오염도 데이터를 작업자의 단말기에 제공하여 사전에 작업자가 작업 환경의 오염도에 대한 인지를 할 수 있도록 보조한다.
이후 LED조사부(221)가 LED를 지속적으로 조사하여 작업자의 주변 환경(예를 들어, 분진) 등에 의한 오염도를 측정하여 평균을 계산하도록 오염도 측정부(220)에 데이터를 제공한다.
오염도 측정부(220)를 통해 계산된 평균 오염도가 적정 오염도보다 높을 경우, 작업자의 단말기에 오염도 경고 표시를 발송할 수 있다.
한편, 오염도 측정부(220)를 통해 계산된 평균 오염도가 적정 오염도와 같거나 낮을 경우, 작업자의 단말기에 오염도 안전 표시를 발송할 수 있다.
상기의 단계들을 순차적으로, 반복적으로 수행하게 된다.
거리 측정모듈(230)은 먼저 수평 프레임(40)과 작업대의 적정 거리에 대한 데이터를 작업자의 단말기에 제공하여 사전에 작업자가 용접기(1)와 작업대 사이의 거리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레이저 조사부(231)에서 레이저를 조사하여 수평 프레임(40)과 작업대의 수직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거리 조절부(232)에서 측정된 수직 거리의 데이터를 제공받아 측정된 수직 거리가 적정 거리보다 작을 경우, 작업자의 단말기에 안전 거리 유지 표시를 발송할 수 있다.
한편, 측정된 수직 거리가 적정 거리보다 같거나 클 경우, 작업자의 단말기에 안전 거리 적정 표시를 발송할 수 있다.
상기의 단계들을 순차적으로, 반복적으로 수행하게 된다.
상기의 실시예들을 통해 작업자는 가접용 용접기 크레인 시스템의 수직 거리를 작업 안전에 맞게 임의로 조절할 수 있게 되고, 또한 오염도에 대한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제공받음으로써 분진 등에 의해 호흡기와 같은 문제들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용접기(1)
고정판(10)
제 1 회전부(20)
제 1 모터(21)
수직 프레임(30)
수평 프레임(40)
제 2 모터(41)
밴딩 파이프(50)
돌부(51)
링홈(52)
메인 파이프(60)
결합홈(61)
파이프 바디(601)
걸림홈(6011)
내부 파이프 바디(602)
걸림 돌기(6021)
지지대(70)
지지 플레이트(80)
제 3 모터(81)
연결체(100)
체결부(110)
고정부(111)
LED레이저부(200)
본체(210)
오염도 측정모듈(220)
LED조사부(221)
오염도 측정부(222)
거리 측정모듈(230)
레이저 조사부(231)
거리 조절부(232)

Claims (3)

  1. 용접기; 및
    상기 용접기가 상향을 바라보도록 설치 및 고정하는 고정판;
    을 포함하는, 가접용 용접기 크레인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을 회전시키도록 제 1 모터가 내재되는 제 1 회전부;
    상기 제 1 회전부와 연결되는 수직 프레임;
    상기 수직 프레임과 연결되고, 상기 수직 프레임을 상, 하로 동작시키도록 제 2 모터가 내재되는 수평 프레임;
    상기 수평 프레임의 말단에 구부러지게 결합되는 밴딩 파이프;
    상기 밴딩 파이프의 말단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메인 파이프;
    상기 메인 파이프를 고정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 하부에 연결되고, 상기 지지대가 회전되도록 제 3 모터가 내재되는 지지 플레이트;
    를 포함하고,
    각각 말단에 상기 밴딩 파이프와 상기 메인 파이프가 연통으로 이어지도록 각각 연결 결합하는 연결체로서,
    상기 연결체의 양측 외주면에는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한 쌍의 체결부;
    를 포함하고,
    상기 밴딩 파이프는,
    외주면에 링 형태의 돌부와 링홈이 등간격으로 번갈아가며 형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메인 파이프는,
    외주면에 상기 체결부가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체결부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밴딩 파이프의 상기 링홈 및 상기 메인 파이프의 상기 결합홈에 삽탈되어 상기 밴딩 파이프 및 상기 메인 파이프를 고정 및 분리 가능하게 하는 고정부;
    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메인 파이프 각각은,
    내부가 비어 있는 관 형상으로 형성되며, 전단 및 후단이 개방되어 있으며, 상기 메인 파이프 길이를 따라 복수 개의 걸림홈이 이격 형성되는 파이프 바디;
    상기 파이프 바디 내부에 삽입되어 길이를 연장하거나 축소하여 상기 복수의 걸림홈에 삽입될 수 있는 사각형 형상의 걸림 돌기가 외주면에 복수 개 형성되는 내부 파이프 바디;
    를 포함하고,
    상기 가접용 용접기 크레인 시스템으로서,
    상기 수평 프레임의 말단에 설치되어 하방을 향해 LED 및 레이저를 조사하여 작업대로부터 상기 수직 프레임까지의 수직 거리를 측정하고, 상기 작업대 주변의 오염도를 측정하는 LED 레이저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LED 레이저부는,
    본체;
    상기 본체의 하방을 향해 LED를 조사하여 오염도를 측정하는 오염도 측정모듈;
    상기 본체의 하방을 향해 레이저를 조사하여 수직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 측정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오염도 측정모듈은,
    상기 본체의 하방을 향한 밑면에 설치되어 LED를 조사하여 오염도를 측정하는 LED조사부; 및
    상기 측정된 오염도 데이터를 수집하는 오염도 측정부;
    를 포함하고,
    상기 거리 측정모듈은,
    상기 본체의 하방을 향한 밑면에 설치된 LED조사부와 이격되어 설치되고 레이저를 조사하여 수직 거리를 측정하는 레이저 조사부; 및
    상기 측정된 수직거리를 분석하여 작업자에게 적정의 작업 거리를 전송하는 거리 조절부;
    를 포함하는, 가접용 용접기 크레인 시스템.
  2. 삭제
  3. 삭제
KR1020220023251A 2022-02-22 2022-02-22 가접용 용접기 크레인 시스템 KR1023908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3251A KR102390818B1 (ko) 2022-02-22 2022-02-22 가접용 용접기 크레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3251A KR102390818B1 (ko) 2022-02-22 2022-02-22 가접용 용접기 크레인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0818B1 true KR102390818B1 (ko) 2022-04-25

Family

ID=81451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3251A KR102390818B1 (ko) 2022-02-22 2022-02-22 가접용 용접기 크레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081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2180U (ko) * 1990-06-08 1992-02-24
JP2003200266A (ja) * 2001-12-28 2003-07-15 Hamada Kogyo Kk 昇降装置
KR20130023927A (ko) * 2011-08-30 2013-03-08 주식회사 피앤아이 주름관의 연결구 체결구조
KR101702525B1 (ko) * 2015-10-27 2017-02-06 삼성중공업(주) 용접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2180U (ko) * 1990-06-08 1992-02-24
JP2003200266A (ja) * 2001-12-28 2003-07-15 Hamada Kogyo Kk 昇降装置
KR20130023927A (ko) * 2011-08-30 2013-03-08 주식회사 피앤아이 주름관의 연결구 체결구조
KR101702525B1 (ko) * 2015-10-27 2017-02-06 삼성중공업(주) 용접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62056B1 (en) Direction correcting apparatus, method thereof and movable radiation inspecting system
JP6454676B2 (ja) 配管検査用ロボット
CN101206182B (zh) 借助无损检测法检验被检物尤其是轮胎的装置
EP3290963A1 (en) Movable divided inspection system and method
EP2871465B1 (en) Vehicle-mounted radiation inspection system
JP2007183172A (ja) 航空機機体の検査方法および装置
KR20040034481A (ko) 차량으로 운반되는 이동 컨테이너 점검 장치
CN107576991B (zh) 车辆检测系统
US20180306749A1 (en) Movable detector and methods for inspecting elongated tube-like objects in equipment
US10312577B2 (en) Antenna attachment structure and dump truck
CN102126405A (zh) 用于将轮胎安装到轮缘上以及从轮缘上拆下的方法及设备
CA3100772C (en) Robotic device, and method for inspection of components of a belt conveyor
JP2018062241A (ja) レール検査装置及びレール検査システム
CN104459811A (zh) 车载移动式集装箱或车辆检查系统
CN100565154C (zh) 用于汽车轮辋边缘分析及校正配重选择指导的方法和装置
KR102390818B1 (ko) 가접용 용접기 크레인 시스템
KR101936018B1 (ko) 관로 탐사 유닛을 이용한 관로 진단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관로 진단 시스템
CN113021305B (zh) 一种巡检机器人系统
CN204314483U (zh) 车载移动式集装箱或车辆检查系统
CN105397470A (zh) 汽车座椅弹簧压入装置
CN106080653B (zh) 一种便携式的轨道交通限界检测小车车架
CN101498579B (zh) 便携式激光投射设备和壳体
JP2010085390A (ja) 締付け位置検出装置
CN102183531A (zh) 乘客输送机的扶手检查装置
ITMI20082341A1 (it) Carrello per un impianto di trasporto a fune, impianto di trasporto a fune comprendente tale carrello e metodo di controllo di tale impianto di trasporto a fu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