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0513B1 - 레이저 다이오드 기반 살균 조명등 - Google Patents

레이저 다이오드 기반 살균 조명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0513B1
KR102390513B1 KR1020210110171A KR20210110171A KR102390513B1 KR 102390513 B1 KR102390513 B1 KR 102390513B1 KR 1020210110171 A KR1020210110171 A KR 1020210110171A KR 20210110171 A KR20210110171 A KR 20210110171A KR 102390513 B1 KR102390513 B1 KR 1023905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grating
case
laser diode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01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사이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사이언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사이언스
Priority to KR10202101101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0513B1/ko
Priority to KR1020220032542A priority patent/KR202300281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05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05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084Visible ligh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60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 F21K9/65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specially adapted for changing the characteristics or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g. by adjustment of pa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1Apparatus for generating biocidal substances, e.g. vaporisers, UV l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2Light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ed Device Packages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살균 조명등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다이오드 기반 살균 조명등은 케이스(130); 상기 케이스(130) 일면에 구비되는 격자필터부(110) 및 광투과부(120)를 포함하고, 상기 격자필터부(110)는 상기 케이스(130) 내부에 위치한 레이저 다이오드(112)가 출사한 레이저 광을 투과시키고, 상기 광투과부(120)는 상기 케이스(130) 내부에 위치한 LED(122, Light Emitting Diode)가 출사한 LED 광을 투과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인체에 유해하지 않은 파장대의 살균 기능을 가지는 레이저 광과 순수 조명 기능을 가지는 광을 조합하여, 조명 기능을 가짐과 동시에 살균 기능을 가질 수 있다.

Description

레이저 다이오드 기반 살균 조명등{Laser Diode Based Sterilization Lights}
본 발명은 살균 조명등에 관한 것이다.
자외광이란 파장 100~400nm의 눈에 보이지 않는 광이다. 자외광은 살균에 사용된다. 자외광을 이용한 자외선 살균은 약품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 후에 씻어내거나 제거가 필요없기 때문에 다양한 분야에서 살균을 위해 널리 사용된다. 다만, 인체나 생물로의 건강피해(급성/만성의 자외선상해)와 같은 부정적 요소가 존재한다. 자외선 살균 능력은 광량에 의해 결정되므로, 살균력을 강화하기 위해 광량을 늘일수록 인체에 유해한 정도는 증가한다.
KR20-1996-0005064 (공개일 : 1996.02.16)
본 발명은 인체에 무해한 파장 대역을 이용한 살균 조명등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다이오드 기반 살균 조명등은 케이스(130); 및 상기 케이스(130) 일면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격자필터부(110)를 포함하고, 상기 격자필터부(110)는 상기 케이스(130) 내부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레이저 다이오드(112)가 출사한 레이저 광을 투과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112)는 405 nm 파장의 광을 출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130)는 광투과부(120)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광투과부(120)는 상기 케이스(130) 내부에 위치한 LED(122, Light Emitting Diode)가 출사한 LED 광을 투과시키고, 상기 LED(122)는 백색광을 출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격자 필터부(110)는 적어도 하나의 격자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격자 필터는 길이 방향으로 균일하게 연장되는 라인 형상의 복수개의 격자라인(a)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격자 필터부(110)가 단일의 격자 필터를 구비하는 경우, 상기 격자 필터의 격자 라인의 길이 방향은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112)가 출사하는 타원형 광의 단반경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112)는 복수개이며, 상기 복수의 레이저 다이오드(112)는 레이저 다이오드(112)가 출사하는 타원형 광의 단방경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격자 필터부(110)는 상하로 적층된 제 1 격자 필터(110a)와 제 2 격자 필터(110b)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격자 필터(110a)와 제 2 격자 필터(110b)는 길이 방향으로 균일하게 연장되는 라인 형상의 복수개의 격자라인(a)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격자 필터(110a)와 제 2 격자 필터(110b)의 복수개의 격자 라인(a)은 길이 방향에 수직인 방향을 향해 배열되고, 상기 제 1 격자 필터(110a)와 제 2 격자 필터(110b)의 이웃하는 격자 라인(a)은 서로 평행하고, 상기 제 1 격자 필터(110a)의 격자 라인(a)과 상기 제 2 격자 필터(110b)의 격자 라인(a)은 상호 직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112)는 상기 케이스(130) 내부에서 상기 격자필터부(110)에 대향되게 설치되고,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112)는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112) 하부에 위치한 메탈 PCB(111) 상에 실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130)는 광투과부(120)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광투과부(120)는 상기 케이스(130) 내부에 위치한 LED(122, Light Emitting Diode)가 출사한 LED 광을 투과시키고, 상기 LED(122)는 상기 케이스(130) 내부에서 상기 광투과부(120)에 대향되게 설치되고, 상기 LED(122)는 상기 LED(122) 하부에 위치한 PCB(121, Printed Circuit Board)에 실장되고, 상기 PCB(121)는 상기 메탈 PCB(111)와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인체에 유해하지 않은 파장대의 살균 기능을 가지는 레이저 광과 순수 조명 기능을 가지는 광을 조합하여, 조명 기능을 가짐과 동시에 살균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은 격자 필터의 회절 작용을 이용해, 살균 기능을 가지는 레이저 광을 균일하게 살균 대상에 조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인체에 유해하지 않은 살균 기능을 가지는 레이저 광을 이용해 조명 기능과 살균 기능을 동시에 가질 수 있다. 이때, 레이저 광이 공간에 조사되는 강도는 격자 필터의 회절 정도의 조절을 통해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인체에 유해하지 않은 살균 기능을 가지는 레이저 광 소스(Laser Diode)를 복수개로 하여 살균 기능을 강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다이오드 기반 살균 조명등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도 1의 선 A-B에 따른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3은 격자필터부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3의 격자필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레이저 다이오드 기반 살균 조명등의 광특성에 대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복수개의 레이저 다이오드와 단일 격자 필터가 적용된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7은 살균 조명등에 복수개의 레이저 다이오드가 적용된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주지된 바와 같이, UV-A 파장 (320~400nm)은 살균 기능을 가지지 않는다. 다만, UV-A 파장 (320~400nm)과 가시광 파장 (400~800nm) 경계에 있는 405nm 에서는 살균이 가능하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가시광선과 자외선 경계 영역에 위치한 405nm 파장은 '포피린 반응 분해'라는 원리로 박테리아 내 존재하는 포피린이라는 405nm 에서 가장 크게 반응하는 물질을 이용하여 살균하는 기능을 가진다. 405nm 파장은 인체에 무해하기 때문에(IEC62471 참조) 외부에 노출되어 있는 다양한 어플레케이션에 사용이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조명으로 White와 섞어서 사용한다면, 조명 기능을 가짐과 동시에 살균 효과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다이오드 기반 살균 조명등(이하, '살균 조명등')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히 하기 위해 종래 주지된 사항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거나 간단히 한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살균 조명등(100)은 케이스(130) 및 케이스(130) 일면에 구비되는 격자필터부(110) 및 광투과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격자필터부(110)는 케이스(130) 내부에 위치한 레이저 다이오드(112, 도 2 참조)가 출사한 레이저 광(405 nm)을 투과시키고, 광투과부(120)는 케이스(130) 내부에 위치한 LED(122, Light Emitting Diode)가 출사한 LED 광(White)을 투과시킬 수 있다. 도 1은 광투과부(120)가 2개인 경우를 예시하나, 격자 필터부(110)와 광투과부(120)가 병존하는 경우라면, 갯수에 무관하게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할 수 있다. 다만, 살균 조명등이 조명 및 살균 기능을 잘 발휘할 수 있도록, 광투과부(120)가 복수개로 설치되는 경우, 복수의 광투과부(120)는 격자 필터부(110)를 중심으로 상호 대칭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케이스(130)는 광이 투과하지 못하는 매질로 형성될 수 있다. 살균 조명등(100)에서 광투과부(120)는 생략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살균 조명등(100)은 광 소스로 레이저 다이오드(112) 만을 탑재할 수 있다. 도 1은 살균용 광원 소스인 레이저 다이오드(112)가 하나이어서 격자필터부(110)가 한 개인 것을 예시하나, 레이저 다이오드(112)가 복수인 경우 격자 필터부(110)는 레이저 다이오드(112)의 갯수와 동일한 갯수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레이저 다이오드(112)가 복수인 경우라도 격자 필터부(110)는 한 개 또는 레이저 다이오드(112) 이하의 갯수로 형성될 수도 있다.
케이스(130) 내부에서 격자필터부(110)에 대향되게, 레이저 다이오드(112)가 설치될 수 있다. 레이저 다이오드(112)는 405 nm 파장의 레이저 광을 격자필터부(110)를 향해 출사할 수 있다. 격자 필터부(110)는 레이저 다이오드(112)가 출사한 광을 케이스(130) 외부로 배출시키는 케이스(130)의 레이저광 투과공(H1)을 덮도록 레이저광 투과공(H1) 측에서 케이스(130)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이때, 격자 필터부(110)에 방열 매질(113)이 구비될 수 있다. 방열 매질(113)은 레이저를 투과시킴 따라 LED를 투과시키는 것 대비 상대적은 많은 열을 발생시키는 격자필터부(110)에서 발생한 열을 격자필터부(110)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다. 방열 매질(113)은 금속(예를 들어, 알루미늄)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방열 매질(113)은 패드 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방열 매질(113)은 격자필터부(110)에서 형성된 열이 바로 케이스(130)로 배출될 수 있도록, 방열 매질(113)은 격자필터부(110)와 케이스(130)와 직접 접촉할 수 있다. 그리고, 케이스(130)는 케이스(130)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을 용이하게 흡수하여 외부로 방출할 수 있도록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격자 필터부(110)는 제 1 격자 필터(110a)와 제 2 격자 필터(110b)가 상하로 적층된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격자 필터(110a)가 레이저 다이오드(112) 측에 위치하고, 레이저 다이오드(112)의 광이 조사되는 공간 측에 제 2 격자 필터(110b)가 위치할 수 있다. 제 1 격자 필터(110a)와 제 2 격자 필터(110b)의 수평면에 대향되게 레이저 다이오드(112)가 설치될 수 있다. 제 1 격자 필터(110a)와 제 2 격자 필터(110b)는 투명 격자체로 광을 회절시키면서 투과시킬 수 있다. 제 1 격자 필터(110a)와 제 2 격자 필터(110b)의 구조는 공통되게 도 4와 같을 수 있다. 제 1 격자 필터(110a)와 제 2 격자 필터(110b)의 일면(하면)은 평탄한 면으로 형성되고, 그 일면의 반대측인 타면(상면)에 격자 라인(a)이 형성될 수 있다. 제 1 격자 필터(110a)와 제 2 격자 필터(110b)의 격자 라인(a)은 격자 라인(a)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 구간에 걸쳐 동일한 형상으로 상부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제 1 격자 필터(110a)와 제 2 격자 필터(110b)의 격자라인(a)은 격자라인(a)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단면이 삼각형, 반원형 또는 타원형일 수 있다. 본 발명이 제 1 격자 필터(110a)와 제 2 격자 필터(110b)의 격자라인(a)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단면의 형상을 제한하지는 않는다. 제 1 격자 필터(110a)와 제 2 격자 필터(110b)의 격자 라인(a)은 길이 방향으로 균일하게 연장되는 라인 형상일 수 있다. 제 1 격자 필터(110a)와 제 2 격자 필터(110b)의 격자라인(a)은 복수개일 수 있다. 제 1 격자 필터(110a)와 제 2 격자 필터(110b)의 복수개의 격자 라인(a)은 길이 방향에 수직인 방향을 향해 배열될 수 있다. 이웃하는 격자 라인(a)은 서로 평행할 수 있다.
제 1 격자 필터(110a)와 제 2 격자 필터(110b)의 복수의 격자 라인(a)은 균일한 주기(Λ), 회절각(θg), 높이(h)를 가질 수 있다.
제 1 격자 필터(110a)의 격자 라인(a)과 제 2 격자 필터(110b)의 격자 라인(a)은 상호 직교하게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격자 필터(110a)의 격자 라인(a)과 제 2 격자 필터(110b)의 격자 라인(a)이 모두 레이저 다이오드(112)의 반대측을 향해 돌출되도록 제 1 격자 필터(110a) 및 제 2 격자 필터(110b)가 설치될 수 있다.
이 같은 구조에서, 레이저 다이오드(112)에서 조사된 광은 제 1 격자 필터(110a)에서 회절 되면서 제 1 방향으로 수렴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격자 필터(110a)를 통해 제 1 방향으로 수렴된 광은 제 2 격자 필터(110a)를 통과하면서 제 2 방향으로 수렴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렴된 광은 제 1 격자 필터(110a)와 제 2 격자 필터(110b)의 격자 라인(a)이 서로 직교하는 복수의 포인트 각각에서 제 2의 광소스가 되어, 공간에 조사될 수 있다. 그리고, 격자필터부(110)에서 수렴되면서 2차원 적으로 배열된 광은 일정 거리 내에서 균일하게 면 광의 형태(S, 도 2 참조)로 공간에 조사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인체에 유해하지 않은 405 nm의 파장이 일정 거래 내에서 균일하게 살균 대상에 조사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인체에 유해하지 않은 405 nm의 파장의 살균 효과가 격자필터부(110)에 의해 증대될 수 있고 살균 시간도 단출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 1 및 제 2 격자 필터(110a, 110b)를 통과한 광이 2차원 공간 상에서 일정 수치 이상의 광량으로 균일하게 분포함을 알 수 있다.
레이저 다이오드(112)는 레이저 다이오드(112) 하부에 위치한 메탈 PCB(111) 상에 실장될 수 있다. 이에 의해, LED 대비 상대적으로 많은 열을 발생시키는 레이저 다이오드(112)에서 생성되는 열이 레이저 다이오드(112)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메탈 PCB(111)는 별도의 연결 및 고정 수단을 통해, 또는 직접 케이스(130)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케이스(130) 내부에서 광투과부(120)에 대향되게, LED(122)가 설치될 수 있다. LED(122)는 횐색의 광을 출사할 수 있다. 광투과부(120)는 LED(122)가 출사한 광을 케이스(130) 외부로 배출시키는 케이스(130)의 LED광 투과공(H2)을 덮도록 LED광 투과공(H2) 측에서 케이스(130)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LED(122)는 LED(122) 하부에 위치한 PCB(121, Printed Circuit Board)에 실장될 수 있다. PCB(121)는 메탈 PCB(111)와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메탈 PCB(111) 상의 열이 PCB(121)로 전달되지 않을 수 있다. LED가 실장되는 PCB는 메탈 PCB와 구분되며, LED가 실장되는 PCB는 단면 PCB(Single Side PCB) 또는 양면 PCB(Single Side PCB)일 수 있다.
도 2는 LED(122)가 2개인 경우를 예시하나, 레이저 다이오드(112)와 LED(122)가 병존하는 경우라면, 갯수에 무관하게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할 수 있다. 다만, 살균 조명등이 조명 및 살균 기능을 잘 발휘할 수 있도록, LED(122)가 복수개로 설치되는 경우, 복수의 광투과부(120)는 격자 필터부(110)를 중심으로 상호 대칭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앞서 본 바와 같이, 광소스로 레이저 다이오드(112) 만 적용되고 LED(122)가 생략되는 실시예에서, 광투과부(120), PCB(121) 및 LED(122)는 생략될 수 있다. 그리고, 광소스로 레이저 다이오드(112)가 복수개 구비되는 경우, 격자 필터부(110), 메탈 PCB(111)는 레이저 다이오드(112)의 갯수 만큼 구비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단일 메탈 PCB(111)가 2 이상의 레이저 다이오드(112)를 실장하는 형태로 실시될 수도 있다. 그리고, 격자 필터부(110)는 복수의 레이저 다이오드(112)에 대향되게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도 3과 달리, 격자 필터부(110)는 단일의 격자 필터로 구성될 수도 있다. 주지된 바와 같이, 레이저 다이오드(112)는 광의 진행 방향에 수직인 단면에 타원형 형태의 광을 출사할 수 있다. 단일의 격자 필터로 격자 필터부(110)가 구비되는 경우, 격자 필터의 격자 라인의 길이 방향은 레이저 다이오드(112)가 출사하는 타원형 광의 단반경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이에 의해, 타원형 광의 확산 또는 손실이 감소되어, 광의 조사 대상 공간에 조사될 수 있다.
도 6은 복수개의 레이저 다이오드(112a, 112b, 112c)와 단일 격자 필터로 구성된 격자필터부(110a, 110b, 110c)가 적용된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6을 참조하면, 제 1 방향을 따라 케이스(130) 내부에 복수개의 레이저 다이오드(112a, 112b, 112c)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그 복수개의 레이저 다이오드(112a, 112b, 112c)에 대향되게 격자필터부(110a, 110b, 110c)가 구비될 수 있다. 도 6은 복수개의 레이저 다이오드(112a, 112b, 112c) 각각에 매칭되게 복수개의 레이저 다이오드(112a, 112b, 112c)와 동일한 갯수로 격자필터부(110a, 110b, 110c)가 구비되는 경우를 예시한다. 도 6과 달리, 격자필터부(110a, 110b, 110c)는 복수개의 레이저 다이오드(112a, 112b, 112c)에 모두 대향되게 위치한다면, 그 갯수에는 제한이 없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일 격자필터부에 대향되게 복수의 레이저 다이오드가 배치될 수 있다. 도 6의 실시예에서 격자필터부는 모두 도 4에서 설명한 격자 필터가 1개 층으로만 구성될 수 있다. 이때, 격자 필터의 격자 라인의 길이 방향은 레이저 다이오드(112)가 출사하는 타원형 광의 단반경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도 2에서와 같이, 격자 필터부(110a, 110b, 110c) 측에 방열 매질(113a, 113b, 113c)이 구비될 수 있다.
도 6은 복수의 레이저 다이오드(112a, 112b, 112c) 각각이 별개의 메탈 PCB(111a, 111b, 111c)에 실장된 경우를 예시하나, 복수의 레이저 다이오드(112a, 112b, 112c)는 단일 메탈 PCB 또는 복수의 레이저 다이오드(112a, 112b, 112c)의 수보다 적은 수의 메탈 PCB에 실장될 수도 있다.
복수의 레이저 다이오드(112a, 112b, 112c)는 복수의 레이저 다이오드(112a, 112b, 112c)가 출사하는 타원형 광의 단반경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레이저광 투과공(H1)은 복수의 레이저 다이오드(112a, 112b, 112c) 각각과와 매대향되게 복수의 레이저 다이오드(112a, 112b, 112c) 수만큼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달리, 단일 레이저광 투과공(H1)이 복수의 레이저 다이오드(112a, 112b, 112c)에 대향되게 설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복수의 레이저 다이오드(112a, 112b, 112c)에서 출사된 광이 격자필터를 거쳐 케이스 외부로 방출될 수 있는 한, 레이저광 투과공(H1)의 갯수 및 위치를 제한하지는 않는다.
이 같은 구조에 따라, 단일 레이저 다이오드가 출사하는 직사각형 형태(S1, S2, S3)의 광이 짧은 변을 따라 배열되는 형태로 공간에 조사될 수 있다. 이 같은 구조를 통해, 넓은 면적에 균일한 살균광의 조사를 할 수 있다.
도 7을 참고하면, 복수의 격자 필터부(110a, 110b, 110c)와 복수의 광투과부(120a-1, 120b-1, 120c-1, 120a-2, 120b-2, 120c-2)가 배치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때, 복수의 격자 필터부(110a, 110b, 110c) 각각에 대항되게, 케이스(130) 내부에 레이저 다이오드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광투과부(120a-1, 120b-1, 120c-1, 120a-2, 120b-2, 120c-2) 각각에 대향되게 케이스(130) 내부에 LED가 설치될 수 있다. 복수의 레이저 다이오드는 단일 또는 복수의 메탈 PCB에 실장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LED는 단일 또는 복수의 PCB에 실장될 수 있다. 도 7과 달리, 복수의 레이저 다이오드에 단일 격자필터부가 대향되게 구현될 수도 있다. 도 7과 달리 복수의 LED에 단일 광투과부가 대향되게 설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광투과부 및 LED가 생략된 형태로 실시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복수의 레이저 다이오드가 구비되는 한 LED의 개수, 광투과부의 개수, 광투과부의 배치 등에 제한이 없을 수 있다. 복수의 격자 필터부(110a, 110b, 110c)는 도 3에서와 같이, 2개의 격자필터가 적층된 형태 또는 단일 격자필터가 적용된 형태 등일 수 있다. 앞서 본 바와 같이, 2개의 격자필터가 적층되는 경우 상하의 격자필터의 격자라인은 상호 직교할 수 있다.
원활한 조명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복수의 레이저를 중심으로 대칭되게 LED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100 : 살균 조명등
110 : 격자 필터부
110a : 제 1 격자필터
110b : 제 2 격자필터
111 : 메탈 PCB
112 : 레이저 다이오드
113 : 방열 매질
120 : 광투과부
121 : PCB
122 : LED
130 : 케이스
H1 : 레이저광 투과공
H2 : LED광 투과공
a : 격자라인

Claims (9)

  1. 케이스(130); 및
    상기 케이스(130) 일면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격자필터부(110)를 포함하고,
    상기 격자필터부(110)는 상기 케이스(130) 내부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레이저 다이오드(112)가 출사한 레이저 광을 투과시키고,
    상기 격자 필터부(110)는
    상하로 적층된 제 1 격자 필터(110a)와 제 2 격자 필터(110b)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격자 필터(110a)와 제 2 격자 필터(110b)는 길이 방향으로 균일하게 연장되는 라인 형상의 복수개의 격자라인(a)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격자 필터(110a)와 제 2 격자 필터(110b)의 복수개의 격자 라인(a)은 길이 방향에 수직인 방향을 향해 배열되고,
    상기 제 1 격자 필터(110a)와 제 2 격자 필터(110b)의 이웃하는 격자 라인(a)은 서로 평행하고,
    상기 제 1 격자 필터(110a)의 격자 라인(a)과 상기 제 2 격자 필터(110b)의 격자 라인(a)은 상호 직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다이오드 기반 살균 조명등.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112)는 405 nm 파장의 광을 출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다이오드 기반 살균 조명등.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30)는 광투과부(120)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광투과부(120)는 상기 케이스(130) 내부에 위치한 LED(122, Light Emitting Diode)가 출사한 LED 광을 투과시키고,
    상기 LED(122)는 백색광을 출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다이오드 기반 살균 조명등.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112)는 상기 케이스(130) 내부에서 상기 격자필터부(110)에 대향되게 설치되고,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112)는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112) 하부에 위치한 메탈 PCB(111) 상에 실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다이오드 기반 살균 조명등.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30)는 광투과부(120)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광투과부(120)는 상기 케이스(130) 내부에 위치한 LED(122, Light Emitting Diode)가 출사한 LED 광을 투과시키고,
    상기 LED(122)는 상기 케이스(130) 내부에서 상기 광투과부(120)에 대향되게 설치되고,
    상기 LED(122)는 상기 LED(122) 하부에 위치한 PCB(121, Printed Circuit Board)에 실장되고,
    상기 PCB(121)는 상기 메탈 PCB(111)와 이격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다이오드 기반 살균 조명등.

KR1020210110171A 2021-08-20 2021-08-20 레이저 다이오드 기반 살균 조명등 KR1023905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0171A KR102390513B1 (ko) 2021-08-20 2021-08-20 레이저 다이오드 기반 살균 조명등
KR1020220032542A KR20230028116A (ko) 2021-08-20 2022-03-16 레이저 다이오드 기반 살균 조명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0171A KR102390513B1 (ko) 2021-08-20 2021-08-20 레이저 다이오드 기반 살균 조명등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2542A Division KR20230028116A (ko) 2021-08-20 2022-03-16 레이저 다이오드 기반 살균 조명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0513B1 true KR102390513B1 (ko) 2022-04-26

Family

ID=8139008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0171A KR102390513B1 (ko) 2021-08-20 2021-08-20 레이저 다이오드 기반 살균 조명등
KR1020220032542A KR20230028116A (ko) 2021-08-20 2022-03-16 레이저 다이오드 기반 살균 조명등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2542A KR20230028116A (ko) 2021-08-20 2022-03-16 레이저 다이오드 기반 살균 조명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39051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5064U (ko) 1994-07-15 1996-02-16 고석배 분해 조립이 용이한 정수기용 자외선 살균등
KR20110113702A (ko) * 2010-04-10 2011-10-1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광원 장치
KR20140023315A (ko) * 2011-03-31 2014-02-26 시카토, 인코포레이티드. Led 기반 조명 모듈의 투과층 상의 그리드 구조체
WO2020171586A1 (ko) * 2019-02-19 2020-08-27 서울반도체 주식회사 Led 조명 장치 및 그것을 갖는 조명 시스템
KR20210073594A (ko) * 2018-11-29 2021-06-18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살균 기능을 갖는 led 조명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5064U (ko) 1994-07-15 1996-02-16 고석배 분해 조립이 용이한 정수기용 자외선 살균등
KR20110113702A (ko) * 2010-04-10 2011-10-1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광원 장치
KR20140023315A (ko) * 2011-03-31 2014-02-26 시카토, 인코포레이티드. Led 기반 조명 모듈의 투과층 상의 그리드 구조체
KR20210073594A (ko) * 2018-11-29 2021-06-18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살균 기능을 갖는 led 조명 장치
WO2020171586A1 (ko) * 2019-02-19 2020-08-27 서울반도체 주식회사 Led 조명 장치 및 그것을 갖는 조명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8116A (ko) 2023-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04590B2 (en) Sterilization device using straightener and UV LED array facing the straightener
TWI565487B (zh) 殺菌裝置
JP5153681B2 (ja) 空調関連機器
ATE438882T1 (de) Oberflächenabstrahlende leuchteinrichtung
JP5203289B2 (ja) ライン光源ユニット及び紙葉類の読取装置
ATE513313T1 (de) Planare lichtquelle auf led-basis
RU2009120531A (ru) Модуль осветитель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JPWO2013094599A1 (ja) 光学素子、該光学素子を含む照明装置及び該照明装置を使用した照明モジュール
KR102390513B1 (ko) 레이저 다이오드 기반 살균 조명등
WO2019049702A1 (ja) 水処理用の紫外線照射装置、及び紫外線照射を利用した水処理方法
KR20200099341A (ko) 탈취장치 및 공기정화 장치
JP2008078034A (ja) 車両用灯具
JP6215607B2 (ja) 光源装置
KR102439200B1 (ko) 살균일체형조명시스템
KR100714457B1 (ko) 빛의 산란을 유도하는 광추출기
KR102621813B1 (ko) 살균 조명 장치
KR101288390B1 (ko)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한 램프
KR102262415B1 (ko) 살균 조명 장치
KR102585542B1 (ko) 광 조사 장치
WO2023223419A1 (ja) 紫外光殺菌装置
KR102634029B1 (ko) Uv 발광모듈을 포함하는 살균 장치
KR20230082276A (ko) 조명 장치, 발광모듈, 이들을 포함한 진료 장치
JP2015173053A (ja) 照明装置、発光モジュールおよび診療装置
US20240077198A1 (en) Lighting arrangement for illumination and disinfection lighting
JP2011029124A (ja) 照明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