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0279B1 - 디지털 트윈 기술을 활용한 항공기 조종석 장비 최적 위치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트윈 기술을 활용한 항공기 조종석 장비 최적 위치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0279B1
KR102390279B1 KR1020210115261A KR20210115261A KR102390279B1 KR 102390279 B1 KR102390279 B1 KR 102390279B1 KR 1020210115261 A KR1020210115261 A KR 1020210115261A KR 20210115261 A KR20210115261 A KR 20210115261A KR 102390279 B1 KR102390279 B1 KR 1023902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ckpit
equipment
virtual
aircraf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52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세훈
Original Assignee
한화시스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시스템(주) filed Critical 한화시스템(주)
Priority to KR10202101152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02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02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02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5/00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20Design optimisation, verification or sim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eome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트윈 기술을 통해 가상의 공간에 실제 적용된 항공기 조종석을 동일하게 적용한 공간에서 인간 공학적으로 항공기 조종석을 설계할 수 있는 데이터를 추출해 내어 실제 항공기 조종석을 신규/개조 개발시 조종석을 최적화하기 위한 최적의 조종석 장비 위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디지털 트윈 기술을 활용한 항공기 조종석 장비 최적 위치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시스템은, 항공기 기종별(회전익/고정익 포함) 조종석 환경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신규/개조개발 항공기 조종석 장비들의 최적 위치 분석을 위한 항공기 기종 정보가 입력되면, 입력된 항공기 기종 정보에 상응하는 기종의 조종석 환경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리드하여 가상 조종석 환경 생성하고, 생성된 가상 조종석의 각 장비들의 위치 변경을 통한 장비들의 동작을 가상 조종사에 의해 시뮬레이션 한 후, 가상 조종사의 움직임을 측정하여 측정된 움직임에 따른 신규/개조 개발 항공기에 대한 조종석 각 장비들의 최적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지털 트윈 기술을 활용한 항공기 조종석 장비 최적 위치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Aircraft cockpit equipment optimal positioning system and method using digital twin technology}
본 발명은 디지털 트윈 기술을 활용한 항공기 조종석 장비 최적 위치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디지털 트윈 기술을 통해 가상의 공간에 실제 적용된 항공기 조종석을 동일하게 적용한 공간에서 인간 공학적으로 항공기 조종석을 설계할 수 있는 데이터를 추출해 내어 실제 항공기 조종석을 신규/개조 개발시 조종석을 최적화하기 위한 최적의 조종석 장비 위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디지털 트윈 기술을 활용한 항공기 조종석 장비 최적 위치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트윈 시스템이란 실제 물리적인 자산 대신 소프트웨어로 가상화한 자산의 디지털 트윈을 만들어 모의실험(시뮬레이션)함으로써 실제 자산의 특성(현재 상태, 생산성, 동작 시나리오, 등)에 대한 정확한정보를 얻도록 하는 방법을 말한다.
상기 디지털 트윈 시스템을 이용하는 경우 에너지, 항공, 헬스케어, 자동차, 국방 등 여러 산업 분야에서 디지털 트윈을 이용하여 자산 최적화, 돌발 사고 최소화, 생산성 증가 등 설계부터 제조, 서비스에 이르는 모든 과정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항공기 신규/개조 개발시, 종래 기술에 따른 조종석 장비 위치의 최적화를 위해서는 기존의 항공기 기종에 따른 조종속의 각종 장비를 조종사가 직접 동작해 보고, 장비 별 인터페이싱 연동 상태를 운용자가 직접 확인한 후, 사용에 불편함이 존재하는 경우, 직접 조종석 주변 각종 장비들을 철거 및 위치 변경을 수행한 후, 재조립하여 조종사의 동작 움직임을 재 분석하여 조종석의 최적화를 수행하기 때문에 많은 시간과 인력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항공기 장비의 신규/개조개발 후, 신규/개조개발된 장비의 적용 시간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시간과 인력을 최소화하면서, 항공기 조종석 장비들의 위치를 최적화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2197485호(2020/12/24)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지털 트윈 기술을 통해 가상의 공간에 실제 적용된 항공기 조종석을 동일하게 적용한 공간에서 인간 공학적으로 항공기 조종석을 설계할 수 있는 데이터를 추출해 내어 실제 항공기 조종석을 신규/개조 개발시 조종석을 최적화하기 위한 장비 위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디지털 트윈 기술을 활용한 항공기 조종석 장비 최적 위치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실제 항공기 조종석에서 항공기 조종사의 움직임과 컨트롤러 조작등의 동작등을 디지털 트윈의 가상 공간에서 분석하여 컨트롤러의 위치에 따른 조종사의 움직임의 불편함, 좌석의 크기, 높이, 위치에 따른 장비 컨트롤의 움직임등의 불편들을 분석하여 이에 대한 데이터를 운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한 디지털 트윈 기술을 활용한 항공기 조종석 장비 최적 위치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다만,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과제로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디지털 트윈 기술을 활용한 항공기 조종석 장비 최적 위치 제공 시스템은, 항공기 기종별(회전익/고정익 포함) 조종석 환경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신규/개조개발 항공기 조종석 장비들의 최적 위치 분석을 위한 항공기 기종 정보가 입력되면, 입력된 항공기 기종 정보에 상응하는 기종의 조종석 환경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리드하여 가상 조종석을 생성하고, 생성된 가상 조종석의 각 장비들의 위치 변경을 통한 장비들의 동작을 가상 조종사에 의해 시뮬레이션 한 후, 가상 조종사의 움직임을 측정하여 측정된 움직임에 따른 신규/개조 개발 항공기에 대한 조종석 각 장비들의 최적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조종속 환경 정보는, 항공기 기종별 조종석에 설치되는 각종 장비들의 명칭, 각 장비들의 현재 설치 위치 정보, 각 장비들간의 연결 관계 및 인터페이싱 연동 관계에 대한 정보, 조종석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상 조종석은, 디지털 트윈 기술을 통한 가상 공간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상 공간에 형성된 가상 조종석의 각 장비들과, 가상 조종사는 실제 조종석 환경 및 실제 조종사와 연동될 수 있다.
상기 시스템은, 운용자의 선택에 따라 신규/개조 개발 항공기의 조종석 장비들의 최적 위치 분석을 위한 요청신호 및 신규/개조 개발되는 항공기 기종 정보를 상기 제어부로 입력하는 입력부; 및 상기 제어부에서 생성된 신규/개조 개발 항공기에 대한 조종석 각 장비들의 최적 위치 정보를 운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출력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력부는, 상기 생성된 신규/개조 개발 항공기에 대한 조종석 각 장비들의 최적 위치 정보를 화면상에 출력하는 디스플레이장치, 상기 생성된 신규/개조 개발 항공기에 대한 조종석 각 장비들의 최적 위치 정보를 문서로 출력하는 프린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신규/개조개발 항공기 조종석 장비들의 최적 위치 분석을 위한 항공기 기종 정보가 입력되면, 디지털 트윈 가상 공간을 생성하고, 운용자가 입력한 기종에 상응하는 조종석 환경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리드하여, 상기 생성된 디지털 트윈 가상 공간에 해당 기종에 대한 가상 조종사를 포함하는 가상 조종석을 생성하는 디지털 트윈 가상 공간 생성부; 상기 생성된 가상 조종석의 각 장비들을 연동되는 실제 조종석 장비들에 대한 실제 조종사의 조종에 따라 가상 조종석 장비들의 동작 시물레이션을 수행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재배치되는 가상 조종석 장비들의 동작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는 시뮬레이션부; 상기 가상 조종석 장비들의 위치 변경에 따른 시뮬레이션 동작시 가상 조종사의 움직임을 측정하는 움직임 측정부; 및 상기 움직임 측정부를 통해 측정된 움직임 측정값을 분석하여 조종석 장비들의 최적 위치를 산출하고, 산출된 장비들의 최적 위치 정보를 생성하여 생성된 장비들의 최적 위치 정보를 상기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최적 위치 분석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움직임 측정부는, 가상 조종사에 의해 각 가상 조종석 장비를 구동함에 있어 소요되는 시간, 가상 조종사와 동작되는 해당 장비간의 거리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움직임 측정부에서 측정된 가상 조종석 장비들의 위치 변경에 따른 각각의 움직직 측정값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트윈 기술을 활용한 항공기 조종석 장비 최적 위치 제공방법은, 항공기 기종별(회전익/고정익 포함) 조종석 환경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 및 신규/개조개발 항공기 조종석 장비들의 최적 위치 분석을 위한 항공기 기종 정보가 입력되면, 입력된 항공기 기종 정보에 상응하는 기종의 조종석 환경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리드하여 가상 조종석을 생성하고, 생성된 가상 조종석의 각 장비들의 위치 변경을 통한 장비들의 동작을 가상 조종사에 의해 시뮬레이션한 후, 가상 조종사의 움직임을 측정하여 측정된 움직임에 따른 신규/개조 개발 항공기에 대한 조종석 각 장비들의 최적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조종속 환경 정보는, 항공기 기종별 조종석에 설치되는 각종 장비들의 명칭, 각 장비들의 현재 설치 위치 정보, 각 장비들간의 연결 관계 및 인터페이싱 연동 관계에 대한 정보, 조종석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상 조종석, 디지털 트윈 기술을 통한 가상 공간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상 공간에 형성된 가상 조종석의 각 장비들과, 가상 조종사는 실제 조종석 환경 및 실제 조종사와 연동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운용자의 선택에 따라 신규/개조 개발 항공기의 조종석 장비들의 최적 위치 분석을 위한 요청신호 및 신규/개조 개발되는 항공기 기종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신규/개조 개발 항공기에 대한 조종석 각 장비들의 최적 위치 정보를 운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출력장치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력장치는, 상기 생성된 신규/개조 개발 항공기에 대한 조종석 각 장비들의 최적 위치 정보를 화면상에 출력하는 디스플레이장치, 상기 생성된 신규/개조 개발 항공기에 대한 조종석 각 장비들의 최적 위치 정보를 문서로 출력하는 프린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최적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신규/개조개발 항공기 조종석 장비들의 최적 위치 분석을 위한 항공기 기종 정보가 입력되면, 디지털 트윈 가상 공간을 생성하고, 운용자가 입력한 기종에 상응하는 조종석 환경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리드하여, 상기 생성된 디지털 트윈 가상 공간에 해당 기종에 대한 가상 조종사를 포함하는 가상 조종석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가상 조종석의 각 장비들을 연동되는 실제 조종석 장비들에 대한 실제 조종사의 조종에 따라 가상 조종석 장비들의 동작 시물레이션을 수행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재배치되는 가상 조종석 장비들의 동작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가상 조종석 장비들의 위치 변경에 따른 시뮬레이션 동작시 가상 조종사의 움직임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움직임 측정값을 분석하여 조종석 장비들의 최적 위치를 산출하고, 산출된 장비들의 최적 위치 정보를 생성하여 생성된 장비들의 최적 위치 정보를 상기 출력장치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움직임 측정값은, 가상 조종사에 의해 각 가상 조종석 장비를 구동함에 있어 소요되는 시간, 가상 조종사와 동작되는 해당 장비간의 거리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최적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가상 조종석 장비들의 위치 변경에 따른 각각의 움직직 측정값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디지털 트윈 기술을 통해 가상의 공간에 실제 적용된 항공기 조종석을 동일하게 적용한 공간에서 인간 공학적으로 항공기 조종석을 설계할 수 있는 데이터를 추출해 내어 실제 항공기 조종석을 신규/개조 개발시 조종석을 최적화하기 위한 조종석 장비들의 위치를 제공 즉, 실제 항공기 조종석에서 항공기 조종사의 움직임과 컨트롤러 조작등의 동작 등을 디지털 트윈의 가상 공간에서 이를 분석하여 컨트롤러의 위치에 따른 조종사의 움직임의 불편함, 좌석의 크기, 높이, 위치에 따른 장비 컨트롤의 움직임등의 불편들을 분석하여 이에 대한 데이터를 운용자에게 제공하여 줌으로써, 시간과 인력의 소모 없이 개조개발이나 신규 개발되는 항공기의 조종석 및 조종석 장비들의 최적화 위치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 첨부되는 도면들은 본 실시 예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상세한 설명과 함께 실시 예들을 제공한다. 다만, 본 실시 예의 기술적 특징이 특정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 도면에서 개시하는 특징들은 서로 조합되어 새로운 실시 예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트윈 기술을 활용한 항공기 조종석 장비 최적 위치 제공 시스템에 대한 개략적 블록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어부에 대한 상세 블록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트윈 기술을 활용한 항공기 조종석 장비 최적 위치 제공방법에 대한 동작 플로우챠트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트윈 기술을 활용한 항공기 조종석 장비 최적 위치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트윈 기술을 활용한 항공기 조종석 장비 최적 위치 제공 시스템에 대한 개략적 블록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트윈 기술을 활용한 항공기 조종석 장비 최적 위치 제공 시스템은, 데이터베이스(100), 입력부(200), 제어부(300) 및 출력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100)는 항공기 기종별(회전익/고정익 포함) 조종석 환경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조종석 환경 정보는, 항공기 기종별 조종석에 설치되는 각종 장비들의 명칭, 각 장비들의 현재 설치 위치 정보, 각 장비들간의 연결 관계 및 인터페이싱 연동 관계에 대한 정보, 조종석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200)는 항공기 기종별 조종석 장비들의 최적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분석 요청신호를 항공기 기종 정보와 함께 제어부(300)로 제공한다.
제어부(300)는 입력부(200)를 통해 항공기 기종별 조종석 장비들의 최적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분석 요청신호 및 항공기 기종 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디지털 트윈 가상 공간을 생성하고, 데이터베이스(100)에 저장된 해당 기종의 조종석 장비들의 현재 설치 위치 정보, 각 장비들간의 연결 관계 및 인터페이싱 연동 관계에 대한 정보, 조종석 위치 정보들을 이용하여 상기 생성된 디지털 트윈가상 공간에 해당 기종의 조종석 환경을 형성한다. 이때, 형성된 가상 조종석 환경의 조종석에 가상 조종사 역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00)는 실제 조종석의 각 장비들과 실제 조종사는 상기 디지털 트윈 가상 공간에 생성된 조종석의 가상 조종사 및 가상 조종석 장비들과 연동되어, 실제 조종사의 조종석 각 장비들의 작동에 따라 동일하게 움직임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실제 조종사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생성된 디지털 트윈 가상 공간의 가상 조종석의 동작들을 시뮬레이션한다. 즉, 실제 조종사의 움직임에 따라 디지털 트윈 가상 조종석 환경의 가상 조종사의 움직임을 측정하는 시뮬레이션 동작을 수행한다. 여기서, 움직임 측정은, 가상 조종사에 의해 각 장비를 구동함에 있어 소요되는 시간, 가상 조종사와 동작되는 해당 장비간의 거리등을 측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각 장비들에 조종석 장비들에 대하여 측정된 움직임 측정값은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00)는 사용자(운용자)에 의해 상기 디지털 트윈 가상 공간에 형성된 조종석의 각 장비들의 위치 변경을 통한 위치 재배치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요청에 따라 디지털 트윈 가상 공간의 조종석의 각 장비들에 위치를 재배치할 수 있다. 여기서, 각 장비들의 위치의 재배치의 경우, 데이터베이스(100)에 저장된 각 장비들의 인터페이싱 연동 관계 등을 고려하여 장비들의 연동 관계에 대한 정보 즉, 장비들의 위치의 재배치 시 재배치되는 장비들의 인터페이싱 연동성에 문제가 존재하는지 아니면 인터페이싱 연동이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지에 대한 연동 관계 정보를 생성하여 출력부(400)를 통해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의 확인 결과, 재배치되는 장비들의 인터페이싱 연동 관계에 문제가 발생하지 않을 경우, 제어부(300)는 디지털 트윈 가상 공간에 재배치된 조종석의 가가 장비들의 동작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다시 수행한다.
시뮬레이션이 이루어지는 동안, 제어부(300)는 재배치된 장비들의 동작에 대한 가상 조종사의 움직임을 측정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이와 같은 동작을 사용자의 장비 재배치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와 같은 시뮬레이션 동작 및 움직임 측정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한 후, 반복적으로 측정된 가상 조종사의 움직임 측정값들을 비교하여 장비들간의 인터페이싱 연동 관계를 고려하여 조종석 장비들의 최적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것이다.
제어부(300)는 이와 같은 동작을 통해 생성된 조종석 장비들의 최적 위치 정보를 출력부(400)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출력부(400)는 생성된 조종석 장비들의 최적 위치 정보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및, 생성된 조종석 장비들의 최적 위치 정보를 문서로 출력하는 프린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1에 도시된 제어부(300)의 구체적인 구성 및 해당 구성들의 상세 동작에 대하여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해 보기로 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어부(300)에 대한 상세 블록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300)는 디지털 트윈 가상 공간 생성부(310), 시뮬레이션부(320), 움직임 측정부(330), 메모리(340), 분석부(350) 및 조종석 장비 최적 위치 데이터 생성부(36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트윈 가상 공간 생성부(310)는, 상기 도 1에 도시된 입력부(200)를 통해 항공기 기종별 조종석 장비들의 최적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분석 요청신호 및 항공기 기종 정보가 입력되면, 디지털 트윈 가상 공간을 생성하고, 데이터베이스(100)에 저장된 해당 기종의 조종석 장비들의 현재 설치 위치 정보, 각 장비들간의 연결 관계 및 인터페이싱 연동 관계에 대한 정보, 조종석 위치 정보들을 이용하여 상기 생성된 디지털 트윈가상 공간에 해당 기종의 조종석 환경을 형성한다. 이때, 형성된 가상 조종석 환경의 조종석에 가상 조종사 역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시뮬레이션부(320)는, 실제 조종사 및 실제 조종석의 각 장비들과 상기 디지털 트윈 가상 공간에 생성된 조종석의 장비 및 가상 조종사와 연동될 수 있다.
상기 시뮬레이션부(320)는 연동된 실제 조종사의 조종석 각 장비들의 작동에 따라 동일하게 움직임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시뮬레이션부(320)는 실제 조종사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생성된 디지털 트윈 가상 공간의 가상 조종석의 각 장비들에 대한 동작들을 시뮬레이션한다.
이와 같이, 시뮬레이션부(320)를 통해 시뮬레이션이 수행되는 동안, 움직임 측정부(330)는 실제 조종사의 움직임에 따라 디지털 트윈 가상 조종석 환경의 가상 조종사의 움직임을 측정한다. 여기서, 움직임 측정은, 가상 조종사에 의해 각 장비를 구동함에 있어 소요되는 시간, 가상 조종사와 동작되는 해당 장비간의 거리등을 측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각 장비들에 조종석 장비들에 대하여 측정된 움직임 측정값은 메모리(340)에 임시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시뮬레이션부(320)는 사용자(운용자)에 의해 상기 디지털 트윈 가상 공간에 형성된 조종석의 각 장비들의 위치 변경을 통한 장비 위치 재배치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요청에 따라 디지털 트윈 가상 공간 생성부(310)에 생성된 가상 공간 내 조종석의 각 장비들에 위치를 재배치할 수 있다. 여기서, 각 장비들의 위치의 재배치의 경우, 데이터베이스(100)에 저장된 각 장비들의 인터페이싱 연동 관계등을 고려하여 장비들의 연동 관계에 대한 정보 즉, 장비들의 위치의 재배치 시 재배치되는 장비들의 인터페이싱 연동성에 문제가 존재하는지 아니면 인터페이싱 연동이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지에 대한 연동 관계 정보를 생성하여 출력부(400)를 통해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재배치되는 장비들의 인터페이싱 연동 관계에 문제가 발생하지 않을 경우, 시뮬레이션부(320)는 디지털 트윈 가상 공간에 재배치된 조종석의 각 장비들의 동작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다시 수행한다.
시뮬레이션이 이루어지는 동안, 제어부(300)의 움직임 측정부(330)는 재배치된 장비들의 동작에 대한 가상 조종사의 움직임을 측정하고, 측정된 움직임 측정값은 상기 메모리(340)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시뮬레이션부(320)는 이와 같은 동작을 사용자의 장비 재배치 요청이 있는 경우 반복적으로 수행한 후, 장비의 위치 변경에 따라 가상 조종사의 움직임 측정값을 메모리(340)에 순차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분석부(350)는 장비들간의 인터페이싱 연동 관계를 고려하여 상기 메모리(340)에 저장된 움직임 측정값들을 비교 분석한 후, 분석 결과 정보를 조종석 장비 최적 위치 데이터 생성부(360)로 제공한다.
조종석 장비 최적 위치 데이터 생성부(360)는 상기 분석부(250)로부터 제공되는 움직임 측정값들의 분석 결과 정보를 이용하여 조종석 장비들의 최적 위치 정보(데이터)를 생성한 후, 생성된 최적 위치 데이터를 도 1에 도시된 출력부(400)로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출력부(400)를 통해 출력되는 조종석 장비 최적 위치 정보는 디스플레이화면에 표시할 수도 있으며, 프린터를 통해 출력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트윈 기술을 활용한 항공기 조종석 장비 최적 위치 제공 시스템의 동작과 상응하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트윈 기술을 활용한 항공기 조종석 장비 최적 위치 제공방법에 대하여 첨부한 도 3을 참조하여 단계적으로 살펴보기로 하자.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트윈 기술을 활용한 항공기 조종석 장비 최적 위치 제공방법에 대한 동작 플로우챠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항공기 기종별(회전익/고정익 포함) 조종석 환경 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다(S301). 여기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상기 조종석 환경 정보는, 항공기 기종별 조종석에 설치되는 각종 장비들의 명칭, 각 장비들의 현재 설치 위치 정보, 각 장비들간의 연결 관계 및 인터페이싱 연동 관계에 대한 정보, 조종석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어, 항공기 기종별 조종석 장비들의 최적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분석 요청신호 및 신규/개조 개발되는 항공기 기종 정보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한다(S302).
판단 결과, 항공기 기종별 조종석 장비들의 최적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분석 요청신호 및 신규/개조 개발되는 항공기 기종 정보가 입력되면, 디지털 트윈 가상 공간을 생성하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해당 기종의 조종석 장비들의 현재 설치 위치 정보, 각 장비들간의 연결 관계 및 인터페이싱 연동 관계에 대한 정보, 조종석 위치 정보들을 이용하여 상기 생성된 디지털 트윈가상 공간에 해당 기종의 조종석 환경을 형성한다. 이때, 형성된 가상 조종석 환경의 조종석에 가상 조종사 역시 형성할 수 있다(S303). 여기서, 실제 조종석의 실제 조종사 및 실제 조종석 각 장비들과, 상기 디지털 트윈 가상 공간에 생성된 조종석의 가상 조종사 및 가상 조종석 장비들간에는 상호 연동되도록 구성될 있다.
따라서, 가상 조종사와 연동된 실제 조종사의 조종석 각 장비들의 작동에 따라 동일하게 움직임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어, 가상 조종사와 연동된 실제 조종사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생성된 디지털 트윈 가상 공간의 가상 조종사에 의한 가상 조종석의 각 장비들에 대한 동작들을 시뮬레이션한다. 즉, 가상 조정사와 연동된 실제 조종사의 움직임에 따른 가상 공간의 가상 조종사를 조정하여 가상 공간상에 형성된 조종석 각 장비들의 동작을 시뮬레이션한다(S304)
이어, 이와 같이, 뮬레이션이 수행되는 동안, 실제 조종사의 움직임에 따라 디지털 트윈 가상 조종석 환경의 가상 조종사의 움직임을 측정하고, 측정된 움직임 측정값은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S305). 여기서, 움직임 측정은, 가상 조종사에 의해 각 장비를 구동함에 있어 소요되는 시간, 가상 조종사와 동작되는 해당 장비간의 거리등을 측정할 수 있다.
이어, 사용자(운용자)에 의해 상기 디지털 트윈 가상 공간에 형성된 조종석의 각 장비들의 위치 변경을 통한 장비 위치 재배치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요청에 따라 가상 공간 내 조종석의 각 장비들에 위치를 재배치할 수 있다. 여기서, 각 장비들의 위치의 재배치의 경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각 장비들의 인터페이싱 연동 관계 등을 고려하여 장비들의 연동 관계에 대한 정보 즉, 장비들의 위치의 재배치 시, 재배치되는 장비들의 인터페이싱 연동성에 문제가 존재하는지 아니면 인터페이싱 연동이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지에 대한 연동 관계 정보를 생성하여 출력장비를 통해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재배치되는 장비들의 인터페이싱 연동 관계에 문제가 발생하지 않을 경우, 디지털 트윈 가상 공간에 재배치된 조종석의 각 장비들의 동작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다시 수행하고, 시뮬레이션이 이루어지는 동안, 재배치된 장비들의 동작에 대한 가상 조종사의 움직임을 측정하고, 측정된 움직임 측정값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S306). 여기서, 운용자에 의해 가상 트윈 공간에 형성된 가상 조종석의 각 장비들의 위치 변경(재배치) 요청신호가 다시 입력되는 경우, 상기 S306단계를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수행 결과에 따른 움직임 측정값을 메모리에 저장하게 된다.
이어, 시뮬레이션 동작이 모두 종료된 경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장비들간의 인터페이싱 연동 관계 등을 고려하여 상기 메모리에 순차적으로 저장된 조종석 장비들의 위치 변경(재배치)에 따른 움직임 측정값들을 비교 분석한다(S307).
이어, 상기 S307단계를 통한 움직임 측정값들의 분석 결과 정보를 이용하여 조종석 장비들의 최적 위치 정보(데이터)를 생성한 후, 생성된 최적 위치 데이터를 출력장치로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S308). 여기서, 출력장치를 통해 출력되는 조종석 장비 최적 위치 정보는 디스플레이화면에 표시할 수도 있으며, 프린터를 통해 문서로 출력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트윈 기술을 활용한 항공기 조종석 장비 최적 위치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에 대하여 간단하게 정리해 보면, 본 발명은 디지털 트윈에 의해 신규 또는 개조가 진행될 실제 항공기 조종석에 의해 구성되는 가상의 디지틸 트윈 공간을 구성한다.
그리고, 디지털 트윈 공간에 의해 진행될 실제 항공기의 조종석은 가상의 공간에서 개조로 진행되는 신규 장비 또는 교체 장비의 구성이 기 적용된 항공기 조종석 가상의 공간부에서 디지털 트윈에 반영이 되며 실제 조종사의 움직임과 장비 조작에 따라 이를 분석하여 분석 데이터를 제공한다. 기초의 분석 데이터 기반으로 개조 장비의 위치 변경에 따라 분석을 진행하며 분석 데이터를 통해 최적의 위치를 판단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트윈 기술을 활용한 인간 공학적 항공기 조종석 최적화 설계 기술을 통해 가상의 공간에 실제 적용된 항공기 조종석을 동일하게 적용한 공간에서 인간 공학적으로 항공기 조종석을 설계할 수 있는 데이터를 추출해 내어 실제 항공기 조종석을 신규 설계 또는 개조시 조종석을 최적화할 수 있는 것이다.
결국, 본 발명은 실제 항공기 조종석에서 항공기 조종사의 움직임과 컨트롤러 조작등의 동작등을 디지털 트윈의 가상 공간에서 이를 분석하여 컨트롤러의 위치에 따른 조종사의 움직임의 불편함, 좌석의 크기, 높이, 위치에 따른 장비 컨트롤의 움직임등의 불편들을 분석하여 이에 대한 데이터를 운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트윈 기술을 활용한 항공기 조종석 장비 최적 위치 제공방법은, 하드웨어인 컴퓨터와 결합되어 실행되기 위해 프로그램(또는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어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전술한 프로그램은, 상기 컴퓨터가 프로그램을 읽어 들여 프로그램으로 구현된 상기 방법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CPU)가 상기 컴퓨터의 장치 인터페이스를 통해 읽힐 수 있는 C, C++, JAVA, Ruby, 기계어 등의 컴퓨터 언어로 코드화된 코드(Code)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코드는 상기 방법들을 실행하는 필요한 기능들을 정의한 함수 등과 관련된 기능적인 코드(Functional Code)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기능들을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소정의 절차대로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실행 절차 관련 제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코드는 상기 기능들을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추가 정보나 미디어가 상기 컴퓨터의 내부 또는 외부 메모리의 어느 위치(주소 번지)에서 참조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메모리 참조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상기 기능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원격(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통신이 필요한 경우, 코드는 상기 컴퓨터의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원격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어떻게 통신해야 하는지, 통신 시 어떠한 정보나 미디어를 송수신해야 하는지 등에 대한 통신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되는 매체는,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저장되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컴퓨터가 접속할 수 있는 다양한 서버 상의 다양한 기록매체 또는 사용자의 상기 컴퓨터상의 다양한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데이터베이스
200 : 입력부
300 : 제어부
310 : 디지털 트윈 가상 공간 생성부
320 : 시뮬레이션부
330 : 움직임 측정부
340 : 메모리
350 : 분석부
360 : 조종석 장비 최적 위치 데이터 생성부
400 : 출력부

Claims (18)

  1. 디지털 트윈 기술을 활용한 항공기 조종석 장비 최적 위치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항공기 기종별(회전익/고정익 포함) 조종석 환경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신규/개조개발 항공기 조종석 장비들의 최적 위치 분석을 위한 항공기 기종 정보가 입력되면, 입력된 항공기 기종 정보에 상응하는 기종의 조종석 환경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리드하여 가상 조종석을 생성하고, 생성된 가상 조종석의 각 장비들의 위치 변경을 통한 장비들의 동작을 가상 조종사에 의해 시뮬레이션 한 후, 가상 조종사의 움직임을 측정하여 측정된 움직임에 따른 신규/개조 개발 항공기에 대한 조종석 각 장비들의 최적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조종석 환경 정보는,
    항공기 기종별 조종석에 설치되는 각종 장비들의 명칭, 각 장비들의 현재 설치 위치 정보, 각 장비들간의 연결 관계 및 인터페이싱 연동 관계에 대한 정보, 조종석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가상 조종석은, 디지털 트윈 기술을 통한 가상 공간에 형성되고,
    상기 가상 공간에 형성된 가상 조종석의 각 장비들과, 가상 조종사는 실제 조종석 환경 및 실제 조종사와 연동되고,
    운용자의 선택에 따라 신규/개조 개발 항공기의 조종석 장비들의 최적 위치 분석을 위한 요청신호 및 신규/개조 개발되는 항공기 기종 정보를 상기 제어부로 입력하는 입력부; 및
    상기 제어부에서 생성된 신규/개조 개발 항공기에 대한 조종석 각 장비들의 최적 위치 정보를 운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출력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생성된 신규/개조 개발 항공기에 대한 조종석 각 장비들의 최적 위치 정보를 화면상에 출력하는 디스플레이장치, 상기 생성된 신규/개조 개발 항공기에 대한 조종석 각 장비들의 최적 위치 정보를 문서로 출력하는 프린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신규/개조개발 항공기 조종석 장비들의 최적 위치 분석을 위한 항공기 기종 정보가 입력되면, 디지털 트윈 가상 공간을 생성하고, 운용자가 입력한 기종에 상응하는 조종석 환경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리드하여, 상기 생성된 디지털 트윈 가상 공간에 해당 기종에 대한 가상 조종사를 포함하는 가상 조종석을 생성하는 디지털 트윈 가상 공간 생성부;
    상기 생성된 가상 조종석의 각 장비들을 연동되는 실제 조종석 장비들에 대한 실제 조종사의 조종에 따라 가상 조종석 장비들의 동작 시물레이션을 수행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재배치되는 가상 조종석 장비들의 동작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는 시뮬레이션부;
    상기 가상 조종석 장비들의 위치 변경에 따른 시뮬레이션 동작시 가상 조종사의 움직임을 측정하는 움직임 측정부; 및
    상기 움직임 측정부를 통해 측정된 움직임 측정값을 분석하여 조종석 장비들의 최적 위치를 산출하고, 산출된 장비들의 최적 위치 정보를 생성하여 생성된 장비들의 최적 위치 정보를 상기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최적 위치 분석 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움직임 측정부는, 가상 조종사에 의해 각 가상 조종석 장비를 구동함에 있어 소요되는 시간, 가상 조종사와 동작되는 해당 장비간의 거리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움직임 측정부에서 측정된 가상 조종석 장비들의 위치 변경에 따른 각각의 움직직 측정값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인 디지털 트윈 기술을 활용한 항공기 조종석 장비 최적 위치 제공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디지털 트윈 기술을 활용한 항공기 조종석 장비 최적 위치 제공방법에 있어서,
    항공기 기종별(회전익/고정익 포함) 조종석 환경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 및
    신규/개조개발 항공기 조종석 장비들의 최적 위치 분석을 위한 항공기 기종 정보가 입력되면, 입력된 항공기 기종 정보에 상응하는 기종의 조종석 환경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리드하여 가상 조종석을 생성하고, 생성된 가상 조종석의 각 장비들의 위치 변경을 통한 장비들의 동작을 가상 조종사에 의해 시뮬레이션 한 후, 가상 조종사의 움직임을 측정하여 측정된 움직임에 따른 신규/개조 개발 항공기에 대한 조종석 각 장비들의 최적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조종석 환경 정보는, 항공기 기종별 조종석에 설치되는 각종 장비들의 명칭, 각 장비들의 현재 설치 위치 정보, 각 장비들간의 연결 관계 및 인터페이싱 연동 관계에 대한 정보, 조종석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가상 조종석은, 디지털 트윈 기술을 통한 가상 공간에 형성되고,
    상기 가상 공간에 형성된 가상 조종석의 각 장비들과, 가상 조종사는 실제 조종석 환경 및 실제 조종사와 연동되고,
    운용자의 선택에 따라 신규/개조 개발 항공기의 조종석 장비들의 최적 위치 분석을 위한 요청신호 및 신규/개조 개발되는 항공기 기종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신규/개조 개발 항공기에 대한 조종석 각 장비들의 최적 위치 정보를 운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출력장치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출력장치는, 상기 생성된 신규/개조 개발 항공기에 대한 조종석 각 장비들의 최적 위치 정보를 화면상에 출력하는 디스플레이장치, 상기 생성된 신규/개조 개발 항공기에 대한 조종석 각 장비들의 최적 위치 정보를 문서로 출력하는 프린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최적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신규/개조개발 항공기 조종석 장비들의 최적 위치 분석을 위한 항공기 기종 정보가 입력되면, 디지털 트윈 가상 공간을 생성하고, 운용자가 입력한 기종에 상응하는 조종석 환경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리드하여, 상기 생성된 디지털 트윈 가상 공간에 해당 기종에 대한 가상 조종사를 포함하는 가상 조종석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가상 조종석의 각 장비들을 연동되는 실제 조종석 장비들에 대한 실제 조종사의 조종에 따라 가상 조종석 장비들의 동작 시물레이션을 수행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재배치되는 가상 조종석 장비들의 동작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가상 조종석 장비들의 위치 변경에 따른 시뮬레이션 동작시 가상 조종사의 움직임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움직임 측정값을 분석하여 조종석 장비들의 최적 위치를 산출하고, 산출된 장비들의 최적 위치 정보를 생성하여 생성된 장비들의 최적 위치 정보를 상기 출력장치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움직임 측정값은, 가상 조종사에 의해 각 가상 조종석 장비를 구동함에 있어 소요되는 시간, 가상 조종사와 동작되는 해당 장비간의 거리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최적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가상 조종석 장비들의 위치 변경에 따른 각각의 움직직 측정값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디지털 트윈 기술을 활용한 항공기 조종석 장비 최적 위치 제공방법.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KR1020210115261A 2021-08-31 2021-08-31 디지털 트윈 기술을 활용한 항공기 조종석 장비 최적 위치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3902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5261A KR102390279B1 (ko) 2021-08-31 2021-08-31 디지털 트윈 기술을 활용한 항공기 조종석 장비 최적 위치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5261A KR102390279B1 (ko) 2021-08-31 2021-08-31 디지털 트윈 기술을 활용한 항공기 조종석 장비 최적 위치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0279B1 true KR102390279B1 (ko) 2022-04-22

Family

ID=81452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5261A KR102390279B1 (ko) 2021-08-31 2021-08-31 디지털 트윈 기술을 활용한 항공기 조종석 장비 최적 위치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027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84855A (ko) * 2016-01-13 2017-07-21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조종실 pvi 평가 시스템
KR20200081395A (ko) * 2017-11-02 2020-07-07 엔체인 홀딩스 리미티드 블록체인을 디지털 트윈에 연결하기 위한 컴퓨터 구현 시스템 및 방법
KR102197485B1 (ko) 2019-12-06 2020-12-31 (주)세이프텍리서치 디지털 트윈을 이용한 음성 명령 선박 조종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선박 조종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84855A (ko) * 2016-01-13 2017-07-21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조종실 pvi 평가 시스템
KR20200081395A (ko) * 2017-11-02 2020-07-07 엔체인 홀딩스 리미티드 블록체인을 디지털 트윈에 연결하기 위한 컴퓨터 구현 시스템 및 방법
KR102197485B1 (ko) 2019-12-06 2020-12-31 (주)세이프텍리서치 디지털 트윈을 이용한 음성 명령 선박 조종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선박 조종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12284B2 (en) Highly representative real-time simulation of an avionics system
US10318667B2 (en) Test case generation
EP3798758B1 (en) System, method and medium for generating system project data
US2009012528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determining compliance with building regulations
US1124994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electronically generating submittal registers
US11468223B2 (en) Model documentation generation system
US11803372B2 (en) Creation and execution of customised code for a data processing platform
JP2023086678A (ja) 深層学習フレームワークに基づいて深層学習モデルを生成して適用する方法及び装置
KR102397921B1 (ko) 디지털 트윈 기술 및 운용 데이터를 이용한 항공기의 예방 정비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3885341A (zh) 基于汽车性能模拟器的性能分析系统和方法
KR102390279B1 (ko) 디지털 트윈 기술을 활용한 항공기 조종석 장비 최적 위치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Leroux et al. Model-based systems engineering for systems simulation
Ulrich et al. Operator timing of task level primitives for use in computation-based human reliability analysis
CN111709117A (zh) 核电模拟机全寿期过程管理方法及装置
CN112667202B (zh) Mda与bpmn相结合的软件设计方法和装置
US20220012378A1 (en) Method of performing design verification with automatic optimization and related design verification system
Gallina How to increase efficiency with the certification of process compliance
US11321505B1 (en) Complex component modal synthesis (CMS) method and modal solutions
KR102375675B1 (ko) 항공기 기종에 따른 인터페이스 장치 최적 위치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Okawa et al. An information system development method based on the link of business process modeling with executable UML modeling and its evaluation by Prototyping
Zhang et al. Model-Based Requirements Capture and Validation Approach based on PLM Platform Applied in the Civil Aircraft
KR102405092B1 (ko) 완성품 개발을 위한 요구사항 가이드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240094701A1 (en) Information provision device, information provision method, and storage medium storing information provision program
CA3058200C (en) Method and system for updating a simulation plan
Singla et al. Model Based Self‐Learning System Engineering Approa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