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0128B1 - 용접 대상물 고정을 위한 지그 - Google Patents

용접 대상물 고정을 위한 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0128B1
KR102390128B1 KR1020200164916A KR20200164916A KR102390128B1 KR 102390128 B1 KR102390128 B1 KR 102390128B1 KR 1020200164916 A KR1020200164916 A KR 1020200164916A KR 20200164916 A KR20200164916 A KR 20200164916A KR 102390128 B1 KR102390128 B1 KR 1023901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jig
fixing
spacer
we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49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대원
Original Assignee
장대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대원 filed Critical 장대원
Priority to KR10202001649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01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01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01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426Fixtures for other work
    • B23K37/0435Clamps
    • B23K37/0443Ji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461Welding tab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 대상물 고정을 위한 지그는, 판 형태의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부면에 배치되며 자력부 및 상기 베이스 상에서 선형으로 돌출되는 스페이서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베이스는 상부면에 음각으로 형성되는 제1 상부면 호옴을 구비하며, 상기 자력부는 상기 제1 상부면 호옴 내에 위치될 수 있어서, 상기 자력부는 용접 대상물이 상기 스페이서의 양측에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용접 대상물의 위치를 자력으로 고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용접 대상물 고정을 위한 지그{JIG FOR FIXING WELDING OBJECT}
용접 대상물 고정을 위한 지그가 개시된다. 구체적으로, 용접 훈련 및 시험을 보조하며 훈련 및 시험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용접 대상물의 고정 및 분리가 용이한 용접 대상물 고정을 위한 지그가 개시된다.
용접지그는 일반적으로 용접제품을 생산하면서 일관된 품질 및 작업효율을 올리고 작업의 반복성과 정확도, 그리고 품종 교환시의 호환성을 제공하기 위해 부품 및 부품 간에 정확한 위치가 결정될 수 있도록 하며, 외력이나 용접변형 등에 지장을 최소화할 수 있게 설계된다.
또한, 지그는 용접을 수행하기 위한 물리적인 요건을 일정하게 충족할 수 있어, 용접 교육이나 용접 훈련, 시험 등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용접시험용 지그는 대한민국 실용신안 공개번호 제2020-0001777호 "오버레이 용접 시험편용 지그"에 개시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용접 대상물을 고정하기 용이한 용접 대상물 고정을 위한 지그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다른 목적은 용접이 완료된 용접 대상물을 분리하기 용이한 용접 대상물 고정을 위한 지그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다른 목적은 용접 비드가 지그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용접 대상물 고정을 위한 지그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다른 목적은 용접 시 복수 개 용접 대상물의 용접 배열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용접 대상물 고정을 위한 지그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다른 목적은 용접 시 일정한 물리적 조건을 유지할 수 있어 용접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용접 대상물 고정을 위한 지그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다른 목적은 용접 시 용접 대상물을 안정적으로 고정하여 돌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용접 대상물 고정을 위한 지그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다른 목적은 용접 시 용접 대상물과 용접 대상물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용접 대상물 고정을 위한 지그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다른 목적은 구성의 교체가 용이한 용접 대상물 고정을 위한 지그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다른 목적은 단순한 구조로 제작되어 경제성과 유지 보수가 용이한 용접 대상물 고정을 위한 지그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다른 목적은 보관이 용이하게 컴팩트한 사이즈로 제공될 수 있는 용접 대상물 고정을 위한 지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 대상물 고정을 위한 지그는, 판 형태의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부면에 배치되며 자력부 및 상기 베이스 상에서 선형으로 돌출되는 스페이서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베이스는 상부면에 음각으로 형성되는 제1 상부면 호옴을 구비하며, 상기 자력부는 상기 제1 상부면 호옴 내에 위치될 수 있어서, 상기 자력부는 용접 대상물이 상기 스페이서의 양측에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용접 대상물의 위치를 자력으로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 대상물 고정을 위한 지그의, 상기 자력부는 복수 개로 구성되며, 적어도 한 쌍의 자력부는 상기 스페이서의 양측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 대상물 고정을 위한 지그의, 상기 베이스는 상부면에서 일자로 돌출되는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가이드는 상기 베이스의 일측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 대상물 고정을 위한 지그의, 상기 스페이서와 상기 가이드는 상기 베이스의 상부면에서 서로 수직하게 배치되며, 상기 스페이서와 상기 가이드는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 대상물 고정을 위한 지그의, 상기 자력부의 최상단부는 상기 베이스의 상부면보다 낮거나 같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 대상물 고정을 위한 지그의, 상기 자력부는 상기 베이스에서 탈착되어서 교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 대상물 고정을 위한 지그의, 상기 자력부는 제1 부재, 제2 부재 및 제1 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부재는 상기 베이스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상기 제1 상부면 호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베이스의 하부면에 형성되는 제1 하부면 호옴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제1 상부면 호옴과 상기 제2 하부면 호옴을 관통하는 제1 연결부재에 의해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 대상물 고정을 위한 지그의, 상기 제1 연결부재는 볼트일 수 있고, 상기 제1 연결부재는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1 상부면 호옴 및 상기 제2 하부면 호옴을 관통하여 상기 제2 부재에 형성되는 나사산과 나사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 대상물 고정을 위한 지그의, 상기 베이스는 상부면에 음각으로 형성되는 제2 상부면 호옴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스페이서의 하부는 상기 제2 상부면 호옴으로 삽입되며, 상기 스페이서의 상부는 상기 베이스의 상부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으며,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베이스의 상부면에서 교체가 가능하게 탈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 대상물 고정을 위한 지그의, 상기 베이스의 하부면에는 음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 상부면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2 하부면 호옴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스페이서는 볼트로 형성되는 제2 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연결부재는 상기 제2 하부면 호옴과 제2 상부면을 관통하여 상기 스페이서의 하단에 형성되는 나사산으로 삽입되어 상기 스페이서와 나사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 대상물 고정을 위한 지그에 의하면, 용이하게 용접 대상물을 고정할 수 있는 용접 대상물 고정을 위한 지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 대상물 고정을 위한 지그에 의하면, 용이하게 용접 대상물을 분리할 수 있는 용접 대상물 고정을 위한 지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 대상물 고정을 위한 지그에 의하면, 용접 비드가 지그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용접 대상물 고정을 위한 지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 대상물 고정을 위한 지그에 의하면, 용접 시 복수 개 용접 대상물의 배열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용접 대상물 고정을 위한 지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 대상물 고정을 위한 지그에 의하면, 접 시 일정한 물리적 조건을 유지할 수 있어 용접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용접 대상물 고정을 위한 지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 대상물 고정을 위한 지그에 의하면, 용접 시 용접 대상물을 안정적으로 고정하여 돌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용접 대상물 고정을 위한 지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 대상물 고정을 위한 지그에 의하면, 용접 시 용접 대상물과 용접 대상물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용접 대상물 고정을 위한 지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 대상물 고정을 위한 지그에 의하면, 용이하게 구성을 교체할 수 있는 용접 대상물 고정을 위한 지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 대상물 고정을 위한 지그에 의하면, 단순한 구조로 제작되어 경제성과 유지 보수가 용이한 용접 대상물 고정을 위한 지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 대상물 고정을 위한 지그에 의하면, 보관이 용이하게 컴팩트한 사이즈로 제공될 수 있는 용접 대상물 고정을 위한 지그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 대상물 고정을 위한 지그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 대상물 고정을 위한 지그의 베이스로부터 스페이서와 자력부가 분리되는 상태를 도시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 대상물 고정을 위한 지그의 하부 사시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 대상물 고정을 위한 지그의 베이스로부터 스페이서와 자력부가 분리되는 상태를 하부에서 도시한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 대상물 고정을 위한 지그 상에 두 개의 용접 대상물이 위치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 대상물 고정을 위한 지그 상에 위치된 두 개의 용접 대상물이 일측에서 가용접(취부)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 대상물 고정을 위한 지그 상에 일측이 가용접된 두 개의 용접 대상물을 위치시킨 상태를 도시한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 대상물 고정을 위한 지그 상에서 용접 대상물 양 측이 모두 가용접된 상태를 도시한다.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용접 대상물(S) 고정을 위한 지그(100)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 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 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 대상물(S) 고정을 위한 지그(100)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 대상물(S) 고정을 위한 지그(100)의 베이스(110)로부터 스페이서(130)와 자력부(120)가 분리되는 상태를 도시한다.
또한,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 대상물(S) 고정을 위한 지그(100)의 하부 사시도이고,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 대상물(S) 고정을 위한 지그(100)의 베이스(110)로부터 스페이서(130)와 자력부(120)가 분리되는 상태를 하부에서 도시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 대상물(S) 고정을 위한 지그(100)는 베이스(110), 자력부(120) 및 스페이서(13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110)는 바람직하게 판 형태일 수 있다. 특히 베이스(110) 상에는 용접 대상물(S)이 위치하게 되며, 용접시험이 이루어지는 동안 용접 대상물(S)은 이동되지 않고 고정되어야 하기 때문에, 마찰이 큰 재질이나 단단한 재질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는 베이스(110)는 상부면 전 면이 자성을 띄는 물질로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110)의 상부 전부 또는 일부는 자석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또는 자성체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하부에 자성체와 접촉되는 자석이 구비될 수도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 베이스(110)는 베이스(110) 상에 놓이는 용접 대상물(S)과 접촉되고, 두 개 이상의 용접 대상물(S)은 베이스(110) 상에서 용접이 되며, 베이스(110)는 이에 따라 용접 대상물(S)로부터 열을 전달받을 수 있다. 또한, 베이스(110) 상에서 용접이 진행되면서 용접 부산물이 떨어져 굳어질 수 있다. 따라서, 바람직하게 베이스(110)는 열 전도성이 낮거나 열용량이 큰 재료, 형태, 또는 배열 등으로 제공될 수 있고, 용접 부산물이 쉽게 제거될 수 있는 재료로 구성될 수도 있다.
베이스(110)는 이동이 용이하도록 일 측에 손잡이나 고리로 이용될 수 있는 호올이 형성될 수 있으며, 또는 지그(100)는 손잡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110)의 상부면에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호옴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베이스(110)의 상부면에는 하나 이상의 제1 상부면 호옴(112)과 제2 상부면 호옴(116)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을 참조하여, 베이스(110)의 상부면에는 일자로 돌출되는 가이드(111)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가이드(111)는 바람직하게 베이스(110)의 일측의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110)가 사각형 판 형태인 경우, 가이드(111)는 하나의 변 쪽에 길게 형성될 수 있으며, 하나 또는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111)는 베이스(110)의 상부면에 용접 대상물(S)이 위치되는 경우에 용접 대상물(S)이 일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용접 대상물(S)과 접촉될 수 있다.
제1 상부면 호옴(112)은 바람직하게 2개 이상이며,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상부면 호옴(116)은 베이스(110) 상에서 바람직하게 중간 부분에 형성될 수 있고, 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상부면 호옴(116)과 가이드(111)는 평면도 상에서 서로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가이드(111)와 제2 상부면 호옴(116)은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제1 상부면 호옴(112)은 이렇게 위치된 제2 상부면 호옴(116)의 양측에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제2 상부면 호옴(116)의 양측은, 베이스(110) 상에서 선형으로 형성되는 제2 상부면 호옴(116)의 선형을 임의의 길이로 가상 연장하였을 때, 양분되는 베이스(110)의 양측을 의미한다.
도 1을 다시 참고하여, 예를 들어 베이스(110)는 사각 판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베이스(110)의 측면쪽 상부면 단부에는 가이드(111)가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111)와 이격되어서 제2 상부면 호옴(116)이 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선형의 제2 상부면 호옴(116)의 길이방향 가상의 연장선과 가이드(111)는 수직으로 교차할 수 있다. 제1 상부면 호옴(112)은 제2 상부면 호옴(116)의 가상의 길이방향 연장선 또는 제2 상부면 호옴(116)의 양쪽 측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즉 제1 상부면 호옴(112)은 한 쌍이 제2 상부면 호옴(116) 근처에 배치될 수 있다.
자력부(120)는 자성을 가진 물질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자력부(120)는 스스로 자성을 띄거나 다른 부재로부터 자력을 전달받을 수 있는 전자석이나 자성체 등일 수 있다. 이러한 자력을 통해 자력부(120)는 용접 대상물(S)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이러한 자력부는 베이스(110)의 제1 상부면 호옴(112)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상부면 호옴(112)은 한 쌍 또는 복수 개 일 수 있고, 따라서 자력부(120)도 두 개 이상일 수 있으며, 또한, 제1 상부면 호옴(112)과 마찬가지로 제2 상부면 호옴(112)의 양측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상부면 호옴(112)에는 스페이서(130)가 배치되며 이는 아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된다. 따라서, 적어도 한 쌍 이상의 자력부(120)는 스페이서(130)의 양측에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자력부(120)는 제1 상부면 호옴(112) 내에 위치되며, 보다 상세하게, 자력부(120)의 두께는 제1 상부면 호옴(112)의 음각 깊이보다 같거나 낮을 수 있다. 즉, 자력부(120)는 제1 상부면 호옴(112) 내부에 인입되며, 제1 상부면 호옴(112) 외부로 돌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용접 대상물(S)은 자력부(120)에 접촉되거나 자력부에 근접하여서 베이스(110) 상에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자력부(120)는 스페이서(130)의 양측에 평행하게 배치되어서 두 개의 용접 대상물(S)을 베이스(110) 상에 평행하게 배치할 수 있다. 이렇게 배치되는 용접 대상물(S)들은 가이드(111)와 접촉되어서 정렬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스페이서(130)는 상부와 하부를 구분할 수 있으며, 스페이서(130)의 하부는 베이스(110)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제2 상부면 호옴(116) 끼워질 수 있다. 남은 스페이서(130)의 상부는 베이스(110)의 상부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는 형태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스페이서(130)는 제2 상부면 호옴(116)을 따라서 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또는 선형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기둥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두 용접 대상물(S)은 이러한 스페이서(130)를 사이에 두고 스페이서(130)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가로 폭만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자력부(120)와 스페이서(130)는 각각 제1 상부면 호옴(112)과 제2 상부면 호옴(116)에서 분리되어서 교체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자력부(120)는 바람직한게 자석 또는 자성체로 구성될 수 있는 제1 부재(122) 및 제1 연결부재(12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부재(122)는 제1 상부면 호옴(112)에 인입될 수 있고, 제1 연결부재(126)는 제1 부재(122)를 베이스(110)에 고정시킬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연결부재(126)는 바람직하게 볼트의 형태일 수 있고, 제1 부재(122)는 가운데 개구가 형성되는 링 형태일 수 있다. 연결부재(126)는 제1 부재(122)를 관통하여 제1 부재(122)의 하부에 있는 제1 상부면 호옴(112)에 도달될 수 있으며, 제1 부재(122)는 제1 상부면 호옴(112)과 나사결합 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도 4를 참조하여, 베이스(110)의 하부면에는 음각으로 형성되는 제1 하부면 호옴(114)이 형성될 수 있다. 자력부(120)는 제2 부재(124)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부재(124)는 제1 부재(122)와 마찬가지로 제1 하부면 호옴(114)에 인입될 수 있다. 제2 부재(124)의 두께는 제1 부재(122)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제1 하부면 호옴(114) 깊이보다 적을 수 있으며, 따라서 제2 부재(124)는 베이스(110)의 하부면에서 돌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제1 연결부재(126)는 제1 부재(122)와 제1 상부면 호옴(112)을 관통한 후 베이스(110)의 몸체를 지나서 제1 하부면 호옴(114)을 관통할 수 있다. 제1 하부면 호옴(114)을 지난 제1 연결부재(126)는 제2 부재(124)에 도달할 수 있으며, 제2 부재(124)와 제1 연결부재는 서로 나사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부재(122)와 제2 부재(124)는 제1 연결부재(126)에 의해 베이스(110)에 고정될 수 있다.
다시 도 2와 도 4를 참조하여, 베이스(110)의 하부면에는 음각으로 형성되는 제2 하부면 호옴(118)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하부면 호옴(118)은 바람직하게 제1 상부면 호옴(116)과 매칭되도록 제2 상부면 호옴(116)의 바로 아래에 형성될 수 있다. 스페이서(130)는 볼트로 형성되는 제2 연결부재(13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연결부재(132)는 제2 하부면 호옴(118)에 인입될 수 있다. 제2 연결부재(132)는 제2 하부면 호옴(118)과 제1 상부면 호옴(116)을 동시에 관통할 수 있으며, 제1 상부면 호옴(116) 위에 배치되는 스페이서(130)의 하단와 접촉되어 나사결합될 수 있다.
스페이서(130)의 하단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연결부재(132)의 하단에는 십자홈이나 일자홈, 육각홈 등이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 대상물(S) 고정을 위한 지그(100) 상에 두 개의 용접 대상물(S)이 위치된 상태를 도시하고,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 대상물(S) 고정을 위한 지그(100) 상에 위치된 두 개의 용접 대상물(S)이 일측에서 가용접(취부, 임시 용접)된 상태를 도시하며,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 대상물(S) 고정을 위한 지그(100) 상에 일측이 가용접된 두 개의 용접 대상물(S)을 위치시킨 상태를 도시한다. 또한,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 대상물(S) 고정을 위한 지그(100) 상에서 용접 대상물(S) 양 측이 모두 가용접된 상태를 도시한다.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 대상물(S) 고정을 위한 지그(100)의 사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5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 대상물(S) 고정을 위한 지그(100)의 베이스(110) 상에는 두 개의 용접 대상물(S)이 놓일 수 있다. 두 개의 용접 대상물(S)은 각각 스페이서(130)의 양측에 위치될 수 있으며, 스페이서(130)의 양측에 배치된 자력부(120)의 자력에 의해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두 개의 용접 대상물(S)은 스페이서(130)에 의해 서로 평행하게 이격될 수 있으며, 두 개의 용접 대상물(S)의 단부는 가이드(111)와 접촉되어서, 두 용접 대상물(S)이 동일한 바(Bar)나 판(Plate) 형태일 때, 두 용접 대상물(S)이 스페이서(130)를 중심으로 좌우 대칭이 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110) 상에서, 용접 대상물(S)의 가이드(111) 반대 방향 일 단은 베이스(110) 상에 있을 수 있고, 바람직하게 용접 대상물(S)의 가이드(111) 반대 방향 일 단은 돌출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용접 대상물(S)이 베이스(110) 상에 놓였을 때, 용접 대상물(S)은 베이스(110)보다 길이가 길어서, 베이스(110)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렇게 돌출되는 용접 대상물(S)의 일 측 하부에는 지지목(P)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목(P)은 용접 대상물(S)의 타 단이 승강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일 측을 지지할 수 있으며, 용접 대상물(S)의 가용접 위치에 배치되어 용접 부산물이 바닥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 대상물(S) 고정을 위한 지그(100)의 베이스(110) 상에 놓인 용접 대상물(S)의 일 단은 지지목(P)에 의해 지지되고, 타 단은 자력부(120)에 의해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지지된 두 용접 대상물(S)의 일 단들은 가용접 될 수 있다. 지지목(P)은 바람직하게 용접 비드와 분리가 용이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 대상물(S) 고정을 위한 지그(100)의 베이스(110) 상에 놓인 용접 대상물(S)의 타 단은 사용자에 의해 자력부(120)와 분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용접 대상물(S)의 열기가 식은 이후 또는 클램프 등의 기구를 통해 용접 대상물(S)을 들어올릴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용접 대상물(S)과 지그(100)는 분리될 수 있다. 분리된 용접 대상물(S)은 가용접된 일 단이 가이드(111) 방향을 향하게 베이스(110) 상에 놓일 수 있으며, 타 단이 지지목(P) 상에 배치되도록 놓일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여, 지지목(P) 상에 놓인 용접 대상물(S)의 타 단은 사용자에 의해 가용접 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지지목(P)은 다른 실시예에서 랙기어나 링크 등을 통해 지그(100)와 연결되어서,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지그(100)와 접촉되게 보관되고, 지그(100)와 이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지지목(P)을 이용하는 변형들도 모두 본 발명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의 구성과 과정에 의해,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 대상물 고정을 위한 지그는, 용이하게 용접 대상물을 고정할 수 있고, 또한 용이하게 용접 대상물을 분리할 수 있으며, 용접에 따른 용접 비드가 지그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 대상물 고정을 위한 지그는, 용접 시 복수 개 용접 대상물의 용접배열 변형을 방지할 수 있고, 일 정한 물리적 조건을 유지할 수 있어 용접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용접 시 용접 대상물을 안정적으로 고정하여 돌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 대상물 고정을 위한 지그는, 용접 시 용접 대상물과 용접 대상물 사이의 간격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고, 지그의 구성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으며, 단순한 구조로 제작되어 제작 경제성과 유지 보수가 용이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 대상물 고정을 위한 지그는 컴팩트한 사이즈로 제공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 대상물 고정을 위한 지그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구조, 장치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 지그
110 : 베이스
111 : 가이드
112 : 제1 상부면 호옴
114 : 제1 하부면 호옴
116 : 제2 상부면 호옴
118 : 제2 하부면 호옴
120 : 자력부
122 : 제1 부재
124 : 제2 부재
126 : 제1 연결부재
130 : 스페이서
132 : 제2 연결부재
B : 비드
S : 용접 대상물
P : 지지목

Claims (10)

  1. 판 형태의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부면에 배치되며 자력부; 및
    상기 베이스 상에서 선형으로 돌출되는 스페이서;
    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는 상부면에 음각으로 형성되는 제1 상부면 호옴을 구비하며, 상기 자력부는 상기 제1 상부면 호옴 내에 위치되어서,
    상기 자력부는 용접 대상물이 상기 스페이서의 양측에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용접 대상물의 위치를 자력으로 고정하고,
    상기 자력부는 상기 베이스에서 탈착되어서 교체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자력부는 제1 부재, 제2 부재 및 제1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부재는 상기 베이스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상기 제1 상부면 호옴에 배치되며,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베이스의 하부면에 형성되는 제2 하부면 호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제1 상부면 호옴과 상기 제2 하부면 호옴을 관통하는 제1 연결부재에 의해 위치가 고정되는, 용접 대상물 고정을 위한 지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력부는 복수 개로 구성되며, 적어도 한 쌍의 자력부는 상기 스페이서의 양측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용접 대상물 고정을 위한 지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부면에서 일자로 돌출되는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는 상기 베이스의 일측에 위치되는, 용접 대상물 고정을 위한 지그.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와 상기 가이드는 상기 베이스의 상부면에서 서로 수직하게 배치되며, 상기 스페이서와 상기 가이드는 서로 이격되는, 용접 대상물 고정을 위한 지그.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력부의 최상단부는 상기 베이스의 상부면보다 낮거나 같게 배치되는, 용접 대상물 고정을 위한 지그.
  6. 삭제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재는 볼트일 수 있고,
    상기 제1 연결부재는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1 상부면 호옴 및 상기 제2 하부면 호옴을 관통하여 상기 제2 부재에 형성되는 나사산과 나사결합되는, 용접 대상물 고정을 위한 지그.
  9. 판 형태의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부면에 배치되는 자력부; 및
    상기 베이스 상에서 선형으로 돌출되는 스페이서;
    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는 상부면에 음각으로 형성되는 제1 상부면 호옴을 구비하며, 상기 자력부는 상기 제1 상부면 호옴 내에 위치되어서,
    상기 자력부는 용접 대상물이 상기 스페이서의 양측에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용접 대상물의 위치를 자력으로 고정하고,
    상기 베이스는 상부면에 음각으로 형성되는 제2 상부면 호옴이 형성되고,
    상기 스페이서의 하부는 상기 제2 상부면 호옴으로 삽입되며, 상기 스페이서의 상부는 상기 베이스의 상부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베이스의 상부면에서 교체가 가능하게 탈착되는, 용접 대상물 고정을 위한 지그.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하부면에는 음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 상부면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2 하부면 호옴이 형성되고,
    상기 스페이서는 볼트로 형성되는 제2 연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연결부재는 상기 제2 하부면 호옴과 제2 상부면을 관통하여 상기 스페이서의 하단에 형성되는 나사산으로 삽입되어 상기 스페이서와 나사결합되는, 용접 대상물 고정을 위한 지그.
KR1020200164916A 2020-11-30 2020-11-30 용접 대상물 고정을 위한 지그 KR1023901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4916A KR102390128B1 (ko) 2020-11-30 2020-11-30 용접 대상물 고정을 위한 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4916A KR102390128B1 (ko) 2020-11-30 2020-11-30 용접 대상물 고정을 위한 지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0128B1 true KR102390128B1 (ko) 2022-04-22

Family

ID=81452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4916A KR102390128B1 (ko) 2020-11-30 2020-11-30 용접 대상물 고정을 위한 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012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65092U (ko) * 1986-04-10 1987-10-20
KR20180068563A (ko) * 2016-12-14 2018-06-22 주식회사 포스코 용접용 지그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65092U (ko) * 1986-04-10 1987-10-20
KR20180068563A (ko) * 2016-12-14 2018-06-22 주식회사 포스코 용접용 지그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15737B2 (ja) チェーン分解機
KR102390128B1 (ko) 용접 대상물 고정을 위한 지그
CN209998411U (zh) 链轨节夹具及链轨节制作工装
US20130277903A1 (en) Precision Vise Jaw Plates
CN205834554U (zh) 一种用于泊车设备后支撑梁焊接的夹具
JP3201760U (ja) 治具
KR102409073B1 (ko) 용접 대상물 고정을 위한 지그
CN212191881U (zh) 一种大梁焊接工装
CN114161119A (zh) 一种阀门组装设备及其组装方法
CN211009508U (zh) 一种螺母套件
CN220498209U (zh) 焊接定位装置
US2524969A (en) Welder's work holder
CN219293162U (zh) 一种前悬架焊接工装
CN207548588U (zh) 弹性钢球涨紧定位机构
KR20130002599U (ko) 티 바 고정 지그
JP2020104349A (ja) 射出成型機の金型位置決め装置
JP2594589Y2 (ja) 工作物固定用治具
CN213105251U (zh) 一种定位工装
CN207629484U (zh) 一种叉车支架焊接夹具
CN212946233U (zh) 一种履带梁部件组焊工装
CN212634837U (zh) 钢构件精加工装置
KR200364823Y1 (ko) 레이아웃 머신의 검사블록
CN214518495U (zh) 一种散热器自动焊接快速装夹工装
JPH048440A (ja) ワークテーブル装置
CN219151963U (zh) 一种低成本方便快捷的支架焊接工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