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9861B1 - 클램프 구조의 변류기 - Google Patents

클램프 구조의 변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9861B1
KR102389861B1 KR1020210152300A KR20210152300A KR102389861B1 KR 102389861 B1 KR102389861 B1 KR 102389861B1 KR 1020210152300 A KR1020210152300 A KR 1020210152300A KR 20210152300 A KR20210152300 A KR 20210152300A KR 102389861 B1 KR102389861 B1 KR 1023898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clamping housing
sensing unit
clamping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23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준철
Original Assignee
박준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준철 filed Critical 박준철
Priority to KR10202101523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98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98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98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20Instruments transformers
    • H01F38/22Instruments transformers for single phase ac
    • H01F38/28Current transformers
    • H01F38/30Constru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5/00Details of measuring arrangements of the types provided for in groups G01R17/00 - G01R29/00, G01R33/00 - G01R33/26 or G01R35/00
    • G01R15/14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 G01R15/18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using inductive devices, e.g. transform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ing Instrument Details And Bridges, And Automatic Balancing Devices (AREA)

Abstract

개폐기의 전원을 차단하지 않고, 개폐기에 전선이 연결된 상태에서 전선의 둘레에 변류기를 설치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신속한 작업이 가능한 클램프 구조의 변류기를 개시한다.
클램프 구조의 변류기는 지중용 개폐기에 연결되는 전선에 설치되어 지중용 개폐기를 통해 전선에 공급되는 전류를 감지하는 센싱유닛을 포함하고, 센싱유닛은 복수로 분할되어 전선이 지중용 개폐기에 연결된 상태에서 전선의 둘레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클램프 구조의 변류기{Clamp structure current transformer}
본 발명은 클램프 구조의 변류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동식 개폐기와, 그에 연결된 고압선로에 설치되어 전류를 관리 및 감시하는 클램프 구조의 변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전소로부터 설정 전압을 가진 전기가 송전에 적합하도록 초고압으로 승압되어 변전소로 송전되고, 변전소로 송전된 전기는 개폐기를 통하여 각 수용가의 수전 설비로 공급된다.
최근에는 인구 및 건물의 증가로 인하여 전기 사용 수용가의 증가와 전기 사용 형태가 복잡해짐에 따라 지중선로를 이용하여 각 수용가에 전기가 공급되고 있다.
이에 따라, 지상에는 지중선로와 연결되어 지중선로에 공급되는 전류를 센싱하는 자동식 개폐기가 설치된다.
자동식 개폐기에는 전류를 실시간 감지하는 센서와, 전원공급시설에 유/무선 통신방식으로 연결되어 센서에서 검출된 센싱값을 전원공급시설로 전송하는 통신모듈이 구비된다.
이에, 전원공급시설에서는 자동식 개폐기에 연결된 지중선로를 원격으로 실시간 검침할 수 있다.
한편, 종래에는 상술한 자동식 개폐기와 함께, 장비 내에 센서와 통신모듈이 구비되지 않은 수동식 개폐기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수동식 개폐기는 센서와 통신모듈을 구비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검침자가 일일이 별도의 검침장비를 이용하여 수동식 개폐기에 검침을 수행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수동식 개폐기에 연결된 전선에 장착되고, 전자유도현상을 이용하여 전류를 센싱한 후, 센싱값을 전원공급시설로 전송하는 모듈형 변류기가 개발되었다.
모듈형 변류기는 전선의 둘레를 감싸도록 전선에 설치되는 고리형상의 하우징과,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고 전자유도현상을 이용하여 전류의 변화를 센싱하는 코일이 권취된 코어와, 수동식 개폐기의 내면에 장착되어 하우징을 지지하는 브라켓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모듈형 변류기는 일체형의 고리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변류기를 전선의 둘레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수동형 개폐기의 전원을 차단한 상태에서, 수동형 개폐기로부터 전선을 분리하고, 수동형 개폐기로부터 분리된 전선을 모듈형 변류기의 내부로 통과시킨 후, 다시 수동형 개폐기에 연결하여 수동형 개폐기의 전원을 인가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모듈형 변류기는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된 코어가 하우징의 내부에서 안정적으로 지지되지 못하여, 어느 한 방향으로 치우치도록 배치되고, 이로 인해 정확한 측정이 이루어질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의 모듈형 변류기는 수동형 개폐기의 내면에 장착된 브라켓에 지지되어 특정 위치에 고정된 상태로 배치된다. 이에, 모듈형 변류기가 전선이 일직선으로 통과될 수 없는 위치에 배치될 경우, 모듈형 변류기의 내부에 수용되는 전선의 일부분은 구부러지거나, 휜 상태로 배치될 수밖에 없고, 이는 전선에 무리를 가하여 전선을 변형시키거나, 손상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나아가, 전선이 변형되거나, 손상될 경우 정확한 측정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966749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개폐기의 전원을 차단하지 않고, 개폐기에 전선이 연결된 상태에서 전선의 둘레에 변류기를 설치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신속한 작업이 가능한 클램프 구조의 변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클램핑 하우징에 수용된 코어를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코어의 유동을 제한하고, 코어를 전선을 감싸는 클램핑 하우징의 내주면에 인접하게 배치하여 측정 손실을 최소화하여 정확한 전류의 측정이 가능한 클램프 구조의 변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클램핑 하우징을 전선에 고정하고, 클램핑 하우징의 중심과 전선의 중심을 정렬시킬 수 있는 클램프 구조의 변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 구조의 변류기는 지중용 개폐기에 연결되는 전선에 설치되어 상기 지중용 개폐기를 통해 상기 전선에 공급되는 전류를 감지하는 센싱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센싱유닛은 복수로 분할되어 상기 전선이 상기 지중용 개폐기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전선의 둘레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센싱유닛은, 상기 센싱유닛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데이터 송수신선의 일부분이 수용 및 지지되는 연결 지지부; 상기 연결 지지부의 일부분에 결합되어 상기 데이터 송수신선에 연결되고, 상기 전선의 일부분을 감싸도록 구성되는 제1 센싱부; 상기 연결 지지부의 다른 일부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데이터 송수신선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센싱부에 접하여 상기 전선의 다른 일부분을 감싸면서 상기 제1 센싱부와 함께 폐루프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제2 센싱부; 및 상기 제2 센싱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센싱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2 센싱부를 상기 제1 센싱부에 구속하거나, 상기 제1 센싱부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제2 센싱부의 구속을 해제하도록 구성되는 클램핑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센싱부는, 상기 연결 지지부의 일부분에 고정 배치되고, 반고리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전선의 일부분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제1 클램핑 하우징; 반고리 형상으로 형성되고, 양 단부가 상기 제1 클램핑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제1 클램핑 하우징에 수용되는 제1 코어; 상기 제1 클램핑 하우징에 수용되어 상기 제1 코어와 상기 제1 클램핑 하우징의 내주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코어를 지지하는 제1-1 지지구; 상기 제1 클램핑 하우징에 수용되어 상기 제1 코어와 상기 제1 클램핑 하우징의 외주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코어로부터 이격 배치되는 제1-2 지지구; 상기 제1-1 지지구와 상기 제1-2 지지구의 둘레에 감기는 제1 코일; 상기 제1-2 지지구와 상기 제1 코어 사이에 복수로 배치되고, 상기 제1 코어를 상기 제1 클램핑 하우징의 내주면 측을 향하여 탄성적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제1 탄성가압부재들; 및 상기 제1 클램핑 하우징의 외주면에 배치되고, 상기 클램핑부에 걸려 지지되는 걸림고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센싱부는, 상기 연결 지지부의 다른 일부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반고리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클램핑 하우징에 접촉 시 상기 전선의 다른 일부분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제2 클램핑 하우징; 반고리 형상으로 형성되고, 양 단부가 상기 제2 클램핑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제2 클램핑 하우징에 수용되며, 상기 제1 클램핑 하우징과 상기 제2 클램핑 하우징의 접촉 시 상기 제1 코어에 접촉되면서 상기 제1 코어와 함께 폐루프를 형성하는 제2 코어; 상기 제2 클램핑 하우징에 수용되어 상기 제2 코어와 상기 제2 클램핑 하우징의 내주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코어를 지지하는 제2-1 지지구; 상기 제2 클램핑 하우징에 수용되어 상기 제2 코어와 상기 제2 클램핑 하우징의 외주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코어로부터 이격 배치되는 제2-2 지지구; 상기 제2-1 지지구와 상기 제2-2 지지구의 둘레에 감기는 제2 코일; 상기 제2-2 지지구와 상기 제2 코어 사이에 복수로 배치되고, 상기 제2 코어를 상기 제2 클램핑 하우징의 내주면 측을 향하여 탄성적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제2 탄성가압부재들; 및 상기 제2 클램핑 하우징의 외주면에 배치되고, 상기 클램핑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 브라켓;을 포함하며, 상기 클램핑부는, 상기 회동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키부재; 및 상기 키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걸림고리에 결려 지지되도록 구성되는 훅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코어는 상기 제1 클램핑 하우징의 외주면 보다 상기 제1 클램핑 하우징의 내주면에 더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2 코어는 상기 제2 클램핑 하우징의 외주면 보다 상기 제2 클램핑 하우징의 내주면에 더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1 코어의 중심선과 상기 제1 클램핑 하우징의 내주면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1 코어의 중심선과 상기 제1 클램핑 하우징의 외주면 사이의 거리 보다 더 작은 값을 가지고, 상기 제2 코어의 중심선과 상기 제2 클램핑 하우징의 내주면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2 코어의 중심선과 상기 제2 클램핑 하우징의 외주면 사이의 거리 보다 더 작은 값을 가지며, 상기 제1 탄성가압부재들 및 상기 제2 탄성가압부재들은, 'V'형상으로 절곡된 판스프링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센싱유닛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센싱유닛에서 감지된 데이터를 표시하고, 자력에 의해 상기 지중용 개폐기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모니터링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링 유닛은,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에 수용되고, 상기 데이터 송수신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센싱유닛에서 감지된 신호를 기설정된 알고리즘에 의해 분석하고, 분석된 데이터를 표시 및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컨트롤 유닛; 및 상기 하우징부의 내면에 설치되고, 자력에 의해 상기 지중용 개폐기에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설치자석들;을 포함하며, 상기 설치자석들은,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하우징부의 내면에 복수로 배치되는 제1 설치자석들; 상기 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을 따라 상기 하우징부의 내면에 복수로 배치되는 제2 설치자석들; 및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과 다른 제3 방향을 따라 상기 하우징부의 내면에 복수로 배치되는 제3 설치자석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센싱부는, 상기 제1 클램핑 하우징의 내면에 복수로 배치되고, 상기 제1 코일을 상기 제1 코어 측을 향하여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상기 제1 클램핑 하우징의 반경방향으로 상기 제1-1 지지구 및 상기 제1-2 지지구의 유동을 제한하도록 구성되는 제1 완충 가압부재들; 상기 제1 클램핑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1 지지구의 양단부 및 상기 제1-2 지지구의 양단부를 지지하여 상기 제1 클램핑 하우징의 원주방향으로 상기 제1-1 지지구 및 상기 제1-2 지지구의 유동을 제한하도록 구성되는 제1 걸림턱들; 상기 제1 걸림턱들에 수용되어 상기 제1 코어의 일부분과, 상기 제1 코어의 다른 일부분을 상기 제1 코어의 중심선 측을 향하여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제1 실러들; 상기 제1 클램핑 하우징의 일단부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제1 웨지돌기; 상기 제1 클램핑 하우징의 일단부로부터 함몰 형성되는 제1 웨지홈; 및 상기 제1 웨지돌기와, 상기 제1 웨지홈에 수용되는 제1 결합자석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센싱부는, 상기 제2 클램핑 하우징의 내면에 복수로 배치되고, 상기 제2 코일을 상기 제2 코어 측을 향하여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상기 제2 클램핑 하우징의 반경방향으로 상기 제2-1 지지구 및 상기 제2-2 지지구의 유동을 제한하도록 구성되는 제2 완충 가압부재들; 상기 제2 클램핑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1 지지구의 양단부 및 상기 제2-2 지지구의 양단부를 지지하여 상기 제2 클램핑 하우징의 원주방향으로 상기 제2-1 지지구 및 상기 제2-2 지지구의 유동을 제한하도록 구성되는 제2 걸림턱들; 상기 제2 걸림턱들에 수용되어 상기 제2 코어의 일부분과, 상기 제2 코어의 다른 일부분을 상기 제2 코어의 중심선 측을 향하여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제2 실러들; 상기 제2 클램핑 하우징의 일단부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 클램핑 하우징과 상기 제2 클램핑 하우징의 접촉 시 상기 제1 웨지홈에 결합되는 제2 웨지돌기; 상기 제2 클램핑 하우징의 일단부로부터 함몰 형성되고, 상기 제1 클램핑 하우징과 상기 제2 클램핑 하우징의 접촉 시 상기 제1 웨지돌기에 결합되는 제2 웨지홈; 및 상기 제2 웨지돌기와, 상기 제2 웨지홈에 수용되고, 상기 제1 클램핑 하우징과 상기 제2 클램핑 하우징의 접촉 시 상기 제1 결합자석들에 결합되는 제2 결합자석들;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완충 가압부재들은, 상기 제1 클램핑 하우징의 제1 외측판에 복수로 배치되고, 상기 제1 코일을 상기 제1 코어 측을 향하여 탄성적으로 지지하면서, 상기 제1 외측판을 통해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 및 분산시키도록 구성되는 제1-1 완충 가압부재들; 및 상기 제1 클램핑 하우징의 제1 내측판에 복수로 배치되고, 상기 제1 코일을 상기 제1 코어 측을 향하여 탄성적으로 지지하면서, 상기 제1 내측판을 통해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 및 분산시키도록 구성되는 제1-2 완충 가압부재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완충 가압부재들은, 상기 제2 클램핑 하우징의 제2 외측판에 복수로 배치되고, 상기 제2 코일을 상기 제2 코어 측을 향하여 탄성적으로 지지하면서, 상기 제2 외측판을 통해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 및 분산시키도록 구성되는 제2-1 완충 가압부재들; 및 상기 제2 클램핑 하우징의 제2 내측판에 복수로 배치되고, 상기 제2 코일을 상기 제2 코어 측을 향하여 탄성적으로 지지하면서, 상기 제2 내측판을 통해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 및 분산시키도록 구성되는 제2-2 완충 가압부재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분은 상기 제1 센싱부에 결합되어 상기 전선의 일부분을 파지하고, 다른 일부분은 상기 제2 센싱부에 결합되어 상기 전선의 다른 일부분에 파지하여, 상기 센싱유닛을 고정 및 지지하면서, 상기 센싱유닛의 중심을 상기 전선의 중심에 정렬시키도록 구성되는 그립유닛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그립유닛들은, 상기 센싱유닛을 파지하도록 구성되는 제1 그립부; 상기 전선을 파지하도록 구성되는 제2 그립부; 및 상기 제1 그립부와 상기 제2 그립부를 연결하고, 상기 제2 그립부의 위치를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그립암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그립부는, 상기 센싱유닛의 일면을 가압 및 지지하는 제1-1 수평부와, 상기 센싱유닛의 두께 방향을 따라 상기 제1-1 수평부로부터 이격 배치되는 제1-2 수평부와, 상기 제1-1 수평부와 상기 제1-2 수평부를 연결하고, 상기 그립암부의 일부분이 결합되어 지지되는 제1 수직부를 포함하는 상부 브라켓; 상기 제1-1 수평부와 상기 제1-2 수평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1-1 수평부와 상기 제1-2 수평부 사이에 배치되는 브라켓 조절 볼트; 상기 제1-1 수평부와 상기 제1-2 수평부 사이에 배치되는 가이드 로드; 일부분은 상기 브라켓 조절 볼트에 체결되고, 다른 일부분은 상기 가이드 로드에 결합되며, 상기 브라켓 조절 볼트의 회전 시 상기 센싱유닛의 두께 방향을 따라 이동되면서 상기 센싱유닛의 다른 일면을 가압 및 지지하는 제2-1 수평부와, 상기 제2-1 수평부로부터 이격되어 일부분은 상기 브라켓 조절 볼트에 체결되고, 다른 일부분은 상기 가이드 로드에 결합되며, 상기 브라켓 조절 볼트의 회전 시 상기 센싱유닛의 두께 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제2-2 수평부와, 상기 제2-1 수평부와 상기 제2-2 수평부를 연결하는 제2 수직부를 포함하는 하부 브라켓; 상기 제1-1 수평부에 부착되고, 상기 센싱유닛의 일면에 접하여 상기 센싱유닛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제1 탄성판; 상기 제2-1 수평부의 일면에 부착되고, 상기 제2-2 수평부가 상기 제1-1 수평부를 향하도록 배치될 경우 상기 센싱유닛의 타면에 접하여 상기 센싱유닛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제2 탄성판; 및 상기 제2-1 수평부의 타면에 부착되고, 상기 제2-2 수평부가 상기 제1-2 수평부를 향하도록 배치될 경우 상기 센싱유닛의 타면에 접하여 상기 센싱유닛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제3 탄성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그립부는, 상기 전선의 출입이 가능한 개구와, 상기 개구와 연통되어 상기 전선의 일부를 수용 가능한 수용공간을 가지는 수용본체; 상기 수용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전선이 상기 수용공간으로 삽입되면 상기 전선에 가압되어 상기 전선의 반경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전선의 외면을 가압 및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탄성그립부재들; 상기 수용본체와 상기 탄성그립부재들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탄성그립부재들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탄성부재들; 및 상기 수용본체의 전면에 배치되는 홀딩자성체들;을 포함하며, 상기 그립암부는, 상기 제2 그립부를 지지하고, 상기 제2 그립부의 높이, 상기 제2 그립부의 회전각도 및 상기 제2 그립부와 상기 전선의 상대적 거리를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제1 암부; 및 상기 제1 그립부에 결합되어 지지되고, 상기 제1 암부의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제2 그립부와 상기 전선의 상대적 거리를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제2 암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암부는, 상기 제2 암부에 체결되고,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센싱유닛의 두께 방향을 따라 승강되는 높이조절 볼트; 상기 높이조절 볼트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높이조절 볼트에 의해 승강되는 승강 브라켓; 상기 승강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 브라켓; 상기 승강 브라켓과 상기 회전 브라켓을 관통하여 상기 승강 브라켓과 상기 회전 브라켓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각도조절 볼트; 상기 각도조절 볼트에 체결되고, 상기 승강 브라켓을 상기 회전 브라켓에 밀착시켜 상기 회전 브라켓의 회전을 제한하거나, 상기 승강 브라켓을 상기 회전 브라켓으로부터 이격시켜 상기 회전 브라켓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각도조절 너트; 상기 회전 브라켓에 결합되는 제1 거리조절 볼트; 및 일부분은 상기 제1 거리조절 볼트에 체결되고, 다른 일부분은 상기 제2 그립부를 지지하며, 상기 제1 거리조절 볼트의 외면을 따라 이동되면서 상기 제2 그립부와 상기 전선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미세조절 너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암부는, 상기 제1 그립부에 결합되어 지지되고, 내부에 체결홀, 가이드홈, 슬롯 및 이탈방지홈이 형성되는 소켓부재; 상기 소켓부재에 수용되어 상기 높이조절 볼트에 체결되고,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면서 상기 높이조절 볼트의 위치를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이송너트; 상기 체결홀에 체결되고, 상기 이송너트를 상기 제1 그립부 측을 향하여 가압하여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제2 거리조절 볼트; 및 일부분은 상기 제2 거리조절 볼트를 지지하고, 다른 일부분은 상기 이탈방지홈에 수용되며, 상기 이송너트를 상기 제2 거리조절 볼트 측을 향하여 탄성적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탄성복원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지중용 개폐기의 전원을 차단하지 않고, 지중용 개폐기에 전선이 연결된 상태에서 전선의 둘레에 변류기를 설치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신속한 작업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클램핑 하우징들에 수용된 코어들이 각각 안정적으로 지지되어 코어들의 유동이 제한되고, 코어들을 전선을 감싸는 클램핑 하우징들의 내주면에 인접하게 배치함으로써 측정 손실을 최소화하여 정확한 전류의 측정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클램핑 하우징들을 전선에 고정하고, 클램핑 하우징들의 중심과 전선의 중심을 정렬시켜, 전선의 손상 및 변형을 방지하고, 정확한 전류의 측정이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발명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 구조의 변류기가 지중용 개폐기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싱유닛이 전선의 둘레에 체결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싱유닛의 내부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3의 "B"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 구조의 변류기의 일부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 구조의 변류기의 다른 일부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 구조의 변류기가 전선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그립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그립부가 전선을 파지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암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암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위(on)"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의 크기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 구조의 변류기가 지중용 개폐기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싱유닛이 전선의 둘레에 체결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 구조의 변류기(CT)(이하 '변류기(CT)'라 함)는 센싱유닛(1)을 포함한다.
센싱유닛(1)은 지중용 개폐기(US)에 연결되는 전선(PL)에 설치되어 지중용 개폐기(US)를 통해 전선(PL)에 공급되는 전류를 감지한다.
센싱유닛(1)은 복수로 분할되어 전선(PL)이 지중용 개폐기(US)에 연결된 상태에서 전선(PL)의 둘레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센싱유닛(1)은 연결 지지부(11), 제1 센싱부(12), 제2 센싱부(13) 및 클램핑부(14)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지지부(11)는 센싱유닛(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데이터 송수신선(15)의 일부분이 수용 및 지지될 수 있다.
제1 센싱부(12)는 연결 지지부(11)의 일부분에 결합되어 데이터 송수신선(15)에 연결되고, 전선(PL)의 일부분을 감싸도록 구성되고, 제2 센싱부(13)는 연결 지지부(11)의 다른 일부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데이터 송수신선(15)에 연결되고, 제1 센싱부(12)에 접하여 전선(PL)의 다른 일부분을 감싸면서 제1 센싱부(12)와 함께 폐루프를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싱유닛의 내부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1 센싱부(12)는 제1 클램핑 하우징(12A), 제1 코어(12B), 제1-1 지지구(12C), 제1-2 지지구(12D), 제1 코일(12E), 제1 탄성가압부재들(12F) 및 걸림고리(12G)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클램핑 하우징(12A)은 연결 지지부(11)의 일부분에 고정 배치되고, 반고리 형상으로 형성되어 전선(PL)의 일부분을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코어(12B)는 반고리 형상으로 형성되고, 양 단부가 제1 클램핑 하우징(12A)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제1 클램핑 하우징(12A)에 수용될 수 있다.
제1-1 지지구(12C)는 제1 클램핑 하우징(12A)에 수용되어 제1 코어(12B)와 제1 클램핑 하우징(12A)의 내주면 사이에 배치되고, 제1 코어(12B)를 지지할 수 있다.
제1-2 지지구(12D)는 제1 클램핑 하우징(12A)에 수용되어 제1 코어(12B)와 제1 클램핑 하우징(12A)의 외주면 사이에 배치되고, 제1 코어(12B)로부터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제1 코일(12E)은 제1-1 지지구(12C)와 제1-2 지지구(12D)의 둘레에 감길 수 있다.
제1 탄성가압부재들(12F)은 제1-2 지지구(12D)와 제1 코어(12B) 사이에 복수로 배치되고, 제1 코어(12B)를 제1 클램핑 하우징(12A)의 내주면 측을 향하여 탄성적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A"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1 코어(12B)는 제1 클램핑 하우징(12A)의 외주면 보다 제1 클램핑 하우징(12A)의 내주면에 더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코어(12B)의 중심선(C1)과 제1 클램핑 하우징(12A)의 내주면 사이의 거리(d1)는, 제1 코어(12B)의 중심선(C1)과 제1 클램핑 하우징(12A)의 외주면 사이의 거리(d2) 보다 더 작은 값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탄성가압부재들(12F)은, 'V'형상으로 절곡된 판스프링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걸림고리(12G)는 제1 클램핑 하우징(12A)의 외주면에 배치되고, 클램핑부(14)에 걸려 지지될 수 있다.
제2 센싱부(13)는 제2 클램핑 하우징(13A), 제2 코어(13B), 제2-1 지지구(13C), 제2-2 지지구(13D), 제2 코일(13E), 제2 탄성가압부재들(13F) 및 회동 브라켓(13G)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클램핑 하우징(13A)은 연결 지지부(11)의 다른 일부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반고리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 클램핑 하우징(12A)에 접촉 시 전선(PL)의 다른 일부분을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 코어(13B)는 반고리 형상으로 형성되고, 양 단부가 제2 클램핑 하우징(13A)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제2 클램핑 하우징(13A)에 수용되며, 제1 클램핑 하우징(12A)과 제2 클램핑 하우징(13A)의 접촉 시 제1 코어(12B)에 접촉되면서 제1 코어(12B)와 함께 폐루프를 형성할 수 있다.
제2-1 지지구(13C)는 제2 클램핑 하우징(13A)에 수용되어 제2 코어(13B)와 제2 클램핑 하우징(13A)의 내주면 사이에 배치되고, 제2 코어(13B)를 지지할 수 있다.
제2-2 지지구(13D)는 제2 클램핑 하우징(13A)에 수용되어 제2 코어(13B)와 제2 클램핑 하우징(13A)의 외주면 사이에 배치되고, 제2 코어(13B)로부터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제2 코일(13E)은 제2-1 지지구(13C)와 제2-2 지지구(13D)의 둘레에 감길 수 있다.
제2 탄성가압부재들(13F)은 제2-2 지지구(13D)와 제2 코어(13B) 사이에 복수로 배치되고, 제2 코어(13B)를 제2 클램핑 하우징(13A)의 내주면 측을 향하여 탄성적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5는 도 3의 "B"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2 코어(13B)는 제2 클램핑 하우징(13A)의 외주면 보다 제2 클램핑 하우징(13A)의 내주면에 더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코어(13B)의 중심선(C2)과 제2 클램핑 하우징(13A)의 내주면 사이의 거리(d1')는, 제2 코어(13B)의 중심선(C2)과 제2 클램핑 하우징(13A)의 외주면 사이의 거리(d2') 보다 더 작은 값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탄성가압부재들(13F)은 'V'형상으로 절곡된 판스프링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회동 브라켓(13G)은 제2 클램핑 하우징(13A)의 외주면에 배치되고, 클램핑부(14)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클램핑부(14)는 제2 센싱부(13)에 배치되고, 제1 센싱부(12)에 결합되어 제2 센싱부(13)를 제1 센싱부(12)에 구속하거나, 제1 센싱부(12)로부터 분리되어 제2 센싱부(13)의 구속을 해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클램핑부(14)는 회동 브라켓(13G)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키부재(141)와, 키부재(14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걸림고리(12G)에 결려 지지되도록 구성되는 훅부재(14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변류기(CT)는 모니터링 유닛(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모니터링 유닛(2)은 센싱유닛(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센싱유닛(1)에서 감지된 데이터를 표시하고, 자력에 의해 지중용 개폐기(US)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6을 참조하면, 모니터링 유닛(2)은 하우징부(21)와, 하우징부(21)에 수용되고, 데이터 송수신선(15)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센싱유닛(1)에서 감지된 신호를 기설정된 알고리즘에 의해 분석하고, 분석된 데이터를 표시 및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컨트롤 유닛(22)과, 하우징부(21)의 내면에 설치되고, 자력에 의해 지중용 개폐기(US)에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설치자석들(23)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치자석들(23)은 제1 방향(D1)을 따라 하우징부(21)의 내면에 복수로 배치되는 제1 설치자석들(231)과, 제1 방향(D1)과 다른 제2 방향(D2)을 따라 하우징부(21)의 내면에 복수로 배치되는 제2 설치자석들(232)과, 제1 방향(D1) 및 제2 방향(D2)과 다른 제3 방향(D3)을 따라 하우징부(21)의 내면에 복수로 배치되는 제3 설치자석들(233)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 구조의 변류기의 일부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 센싱부(12)는 제1 완충 가압부재들(12H)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완충 가압부재들(12H)은 제1 클램핑 하우징(12A)의 내면에 복수로 배치되고, 제1 코일(12E)을 제1 코어(12B) 측을 향하여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제1 클램핑 하우징(12A)의 반경방향으로 제1-1 지지구(12C) 및 제1-2 지지구(12D)의 유동을 제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완충 가압부재들(12H)은 제1-1 완충 가압부재들(12H1)과, 제1-2 완충 가압부재들(12H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1 완충 가압부재들(12H1)은 제1 클램핑 하우징(12A)의 제1 외측판(12A1)에 복수로 배치되고, 제1 코일(12E)을 제1 코어(12B) 측을 향하여 탄성적으로 지지하면서, 제1 외측판(12A1)을 통해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 및 분산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2 완충 가압부재들(12H2)은 제1 클램핑 하우징(12A)의 제1 내측판(12A2)에 복수로 배치되고, 제1 코일(12E)을 제1 코어(12B) 측을 향하여 탄성적으로 지지하면서, 제1 내측판(12A2)을 통해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 및 분산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센싱부(13)는 제2 완충 가압부재들(13H)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완충 가압부재들(13H)은 제2 클램핑 하우징(13A)의 내면에 복수로 배치되고, 제2 코일(13E)을 제2 코어(13B) 측을 향하여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제2 클램핑 하우징(13A)의 반경방향으로 제2-1 지지구(13C) 및 제2-2 지지구(13D)의 유동을 제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완충 가압부재들(13H)은 제2-1 완충 가압부재들(13H1)과, 제2-2 완충 가압부재들(13H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1 완충 가압부재들(13H1)은 제2 클램핑 하우징(13A)의 제2 외측판(13A1)에 복수로 배치되고, 제2 코일(13E)을 제2 코어(13B) 측을 향하여 탄성적으로 지지하면서, 제2 외측판(13A1)을 통해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 및 분산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2 완충 가압부재들(13H2)은 제2 클램핑 하우징(13A)의 제2 내측판(13A2)에 복수로 배치되고, 제2 코일(13E)을 제2 코어(13B) 측을 향하여 탄성적으로 지지하면서, 제2 내측판(13A2)을 통해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 및 분산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 구조의 변류기의 다른 일부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1 센싱부(12)는 제1 걸림턱들(12I)과, 제1 실러들(12J)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걸림턱들(12I)은 제1 클램핑 하우징(12A)의 내부에 배치되고, 제1-1 지지구(12C)의 양단부 및 제1-2 지지구(12D)의 양단부를 지지하여 제1 클램핑 하우징(12A)의 원주방향으로 제1-1 지지구(12C) 및 제1-2 지지구(12D)의 유동을 제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실러들(12J)은 제1 걸림턱들(12I)에 수용되어 제1 코어(12B)의 일부분과, 제1 코어(12B)의 다른 일부분을 제1 코어(12B)의 중심선(C1) 측을 향하여 가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센싱부(12)는 제1 클램핑 하우징(12A)의 일단부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제1 웨지돌기(12K)와, 제1 클램핑 하우징(12A)의 일단부로부터 함몰 형성되는 제1 웨지홈(12L)과, 제1 웨지돌기(12K)와, 제1 웨지홈(12L)에 수용되는 제1 결합자석들(12M)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센싱부(13)는 제2 걸림턱들(13I)과, 제2 실러들(13J)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걸림턱들(13I)은 제2 클램핑 하우징(13A)의 내부에 배치되고, 제2-1 지지구(13C)의 양단부 및 제2-2 지지구(13D)의 양단부를 지지하여 제2 클램핑 하우징(13A)의 원주방향으로 제2-1 지지구(13C) 및 제2-2 지지구(13D)의 유동을 제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실러들(13J)은 제2 걸림턱들(13I)에 수용되어 제2 코어(13B)의 일부분과, 제2 코어(13B)의 다른 일부분을 제2 코어(13B)의 중심선(C2) 측을 향하여 가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센싱부(13)는 제2 클램핑 하우징(13A)의 일단부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제1 클램핑 하우징(12A)과 제2 클램핑 하우징(13A)의 접촉 시 제1 웨지홈(12L)에 결합되는 제2 웨지돌기(13K)와, 제2 클램핑 하우징(13A)의 일단부로부터 함몰 형성되고, 제1 클램핑 하우징(12A)과 제2 클램핑 하우징(13A)의 접촉 시 제1 웨지돌기(12K)에 결합되는 제2 웨지홈(13L)과, 제2 웨지돌기(13K)와, 제2 웨지홈(13L)에 수용되고, 제1 클램핑 하우징(12A)과 제2 클램핑 하우징(13A)의 접촉 시 제1 결합자석들(12M)에 결합되는 제2 결합자석들(13M)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 구조의 변류기가 전선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변류기(CT)는 그립유닛들(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립유닛들(3)은 일부분이 제1 센싱부(12)에 결합되어 전선(PL)의 일부분을 파지하고, 다른 일부분이 제2 센싱부(13)에 결합되어 전선(PL)의 다른 일부분에 파지하여, 센싱유닛(1)을 고정 및 지지하면서, 센싱유닛(1)의 중심을 전선(PL)의 중심에 정렬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립유닛들(3)은 센싱유닛(1)을 파지하도록 구성되는 제1 그립부(31)와, 전선(PL)을 파지하도록 구성되는 제2 그립부(32)와, 제1 그립부(31)와 제2 그립부(32)를 연결하고, 제2 그립부(32)의 위치를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그립암부(3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그립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제1 그립부(31)는 상부 브라켓(31A), 브라켓 조절 볼트(31B), 가이드 로드(31C), 하부 브라켓(31D), 제1 탄성판(31E), 제2 탄성판(31F) 및 제3 탄성판(31G)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브라켓(31A)은 센싱유닛(1)의 일면을 가압 및 지지하는 제1-1 수평부(31A1)와, 센싱유닛(1)의 두께 방향을 따라 제1-1 수평부(31A1)로부터 이격 배치되는 제1-2 수평부(31A2)와, 제1-1 수평부(31A1)와 제1-2 수평부(31A2)를 연결하고, 그립암부(33)의 일부분이 결합되어 지지되는 제1 수직부(31A3)를 포함할 수 있다.
브라켓 조절 볼트(31B)는 제1-1 수평부(31A1)와 제1-2 수평부(31A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제1-1 수평부(31A1)와 제1-2 수평부(31A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 로드(31C)는 제1-1 수평부(31A1)와 제1-2 수평부(31A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하부 브라켓(31D)은 일부분이 브라켓 조절 볼트(31B)에 체결되고, 다른 일부분이 가이드 로드(31C)에 결합되며, 브라켓 조절 볼트(31B)의 회전 시 센싱유닛(1)의 두께 방향을 따라 이동되면서 센싱유닛(1)의 다른 일면을 가압 및 지지하는 제2-1 수평부(31D1)와, 제2-1 수평부(31D1)로부터 이격되어 일부분은 브라켓 조절 볼트(31B)에 체결되고, 다른 일부분은 가이드 로드(31C)에 결합되며, 브라켓 조절 볼트(31B)의 회전 시 센싱유닛(1)의 두께 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제2-2 수평부(31D2)와, 제2-1 수평부(31D1)와 제2-2 수평부(31D2)를 연결하는 제2 수직부(31D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탄성판(31E)은 제1-1 수평부(31A1)에 부착되고, 센싱유닛(1)의 일면에 접하여 센싱유닛(1)을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제2 탄성판(31F)은 제2-1 수평부(31D1)의 일면에 부착되고, 제2-2 수평부(31D2)가 제1-1 수평부(31A1)를 향하도록 배치될 경우 센싱유닛(1)의 타면에 접하여 센싱유닛(1)을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제3 탄성판(31G)은 제2-1 수평부(31D1)의 타면에 부착되고, 제2-2 수평부(31D2)가 제1-2 수평부(31A2)를 향하도록 배치될 경우 센싱유닛(1)의 타면에 접하여 센싱유닛(1)을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그립부가 전선을 파지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및 도 11을 참조하면, 제2 그립부(32)는 전선(PL)의 출입이 가능한 개구(32A1)와, 개구(32A1)와 연통되어 전선(PL)의 일부를 수용 가능한 수용공간(32A2)을 가지는 수용본체(32A)와, 수용공간(32A2)에 배치되고, 전선(PL)이 수용공간(32A2)으로 삽입되면 전선(PL)에 가압되어 전선(PL)의 반경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전선(PL)의 외면을 가압 및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탄성그립부재들(32B)과, 수용본체(32A)와 탄성그립부재들(32B) 사이에 배치되고, 탄성그립부재들(32B)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탄성부재들(32C)과, 수용본체(32A)의 전면에 배치되는 홀딩자성체들(32D)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암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암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그립암부(33)는 제1 암부(33A) 및 제2 암부(33B)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2를 참조하면, 제1 암부(33A)는 제2 그립부(32)를 지지하고, 제2 그립부(32)의 높이, 제2 그립부(32)의 회전각도 및 제2 그립부(32)와 전선(PL)의 상대적 거리를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암부(33A)는 제2 암부(33B)에 체결되고,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센싱유닛(1)의 두께 방향을 따라 승강되는 높이조절 볼트(33A1)와, 높이조절 볼트(33A1)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높이조절 볼트(33A1)에 의해 승강되는 승강 브라켓(33A2)과, 승강 브라켓(33A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 브라켓(33A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암부(33A)는 승강 브라켓(33A2)과 회전 브라켓(33A3)을 관통하여 승강 브라켓(33A2)과 회전 브라켓(33A3)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각도조절 볼트(33A4)와, 각도조절 볼트(33A4)에 체결되고, 승강 브라켓(33A2)을 회전 브라켓(33A3)에 밀착시켜 회전 브라켓(33A3)의 회전을 제한하거나, 승강 브라켓(33A2)을 회전 브라켓(33A3)으로부터 이격시켜 회전 브라켓(33A3)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각도조절 너트(33A5)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암부(33A)는 회전 브라켓(33A3)에 결합되는 제1 거리조절 볼트(33A6)와, 일부분은 제1 거리조절 볼트(33A6)에 체결되고, 다른 일부분은 제2 그립부(32)를 지지하며, 제1 거리조절 볼트(33A6)의 외면을 따라 이동되면서 제2 그립부(32)와 전선(PL)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미세조절 너트(33A7)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3을 참조하면, 제2 암부(33B)는 제1 그립부(31)에 결합되어 지지되고, 제1 암부(33A)의 위치를 조절하여 제2 그립부(32)와 전선(PL)의 상대적 거리를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암부(33B)는 제1 그립부(31)에 결합되어 지지되고, 내부에 체결홀(33B11), 가이드홈(33B12), 슬롯(33B13) 및 이탈방지홈(33B14)이 형성되는 소켓부재(33B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암부(33B)는 소켓부재(33B1)에 수용되어 높이조절 볼트(33A1)에 체결되고, 가이드홈(33B12)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면서 높이조절 볼트(33A1)의 위치를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이송너트(33B2)와, 체결홀(33B11)에 체결되고, 이송너트(33B2)를 제1 그립부(31) 측을 향하여 가압하여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제2 거리조절 볼트(33B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암부(33B)는 일부분은 제2 거리조절 볼트(33B3)를 지지하고, 다른 일부분은 이탈방지홈(33B14)에 수용되며, 이송너트(33B2)를 제2 거리조절 볼트(33B3) 측을 향하여 탄성적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탄성복원부재(33B4)를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지중용 개폐기(US)의 전원을 차단하지 않고, 지중용 개폐기(US)에 전선(PL)이 연결된 상태에서 전선(PL)의 둘레에 변류기(CT)를 설치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신속한 작업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클램핑 하우징들(12A, 13A)에 수용된 코어들(12B, 13B)이 각각 안정적으로 지지되어 코어들(12B, 13B)의 유동이 제한되고, 코어들(12B, 13B)을 전선(PL)을 감싸는 클램핑 하우징들(12A, 13A)의 내주면에 인접하게 배치함으로써 측정 손실을 최소화하여 정확한 전류의 측정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클램핑 하우징들(12A, 13A)을 전선(PL)에 고정하고, 클램핑 하우징들(12A, 13A)의 중심과 전선(PL)의 중심을 정렬시켜, 전선(PL)의 손상 및 변형을 방지하고, 정확한 전류의 측정이 가능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T. 변류기
1. 센싱유닛
11. 연결 지지부
12. 제1 센싱부
12A. 제1 클램핑 하우징
12A1. 제1 외측판
12A2. 제1 내측판
12B. 제1 코어
C1. 중심선
12C. 제1-1 지지구
12D. 제1-2 지지구
12E. 제1 코일
12F. 제1 탄성가압부재들
12G. 걸림고리
12H. 제1 완충 가압부재들
12H1. 제1-1 완충 가압부재들
12H2. 제1-2 완충 가압부재들
12I. 제1 걸림턱들
12J. 제1 실러들
12K. 제1 웨지돌기
12L. 제1 웨지홈
12M. 제1 결합자석들
13. 제2 센싱부
13A. 제2 클램핑 하우징
13A1. 제2 외측판
13A2. 제2 내측판
13B. 제2 코어
C2. 중심선
13C. 제2-1 지지구
13D. 제2-2 지지구
13E. 제2 코일
13F. 제2 탄성가압부재들
13G. 회동 브라켓
13H. 제2 완충 가압부재들
13H1. 제2-1 완충 가압부재들
13H2. 제2-2 완충 가압부재들
13I. 제2 걸림턱들
13J. 제2 실러들
13K. 제2 웨지돌기
13L. 제2 웨지홈
13M. 제2 결합자석들
14. 클램핑부
141. 키부재
142. 훅부재
15. 데이터 송수신선
2. 모니터링 유닛
21. 하우징부
22. 컨트롤 유닛
23. 설치자석들
231. 제1 설치자석들
232. 제2 설치자석들
233. 제3 설치자석들
3. 그립유닛들
31. 제1 그립부
31A. 상부 브라켓
31A1. 제1-1 수평부
31A2. 제1-2 수평부
31A3. 제1 수직부
31B. 브라켓 조절 볼트
31C. 가이드 로드
31D. 하부 브라켓
31D1. 제2-1 수평부
31D2. 제2-2 수평부
31D3. 제2 수직부
31E. 제1 탄성판
31F. 제2 탄성판
31G. 제3 탄성판
32. 제2 그립부
32A. 수용본체
32A1. 개구
32A2. 수용공간
32B. 탄성그립부재들
32C. 탄성부재들
32D. 홀딩자성체들
33. 그립암부
33A. 제1 암부
33A1. 높이조절 볼트
33A2. 승강 브라켓
33A3. 회전 브라켓
33A4. 각도조절 볼트
33A5. 각도조절 너트
33A6. 제1 거리조절 볼트
33A7. 미세조절 너트
33B. 제2 암부
33B1. 소켓부재
33B11. 체결홀
33B12. 가이드홈
33B13. 슬롯
33B14. 이탈방지홈
33B2. 이송너트
33B3. 제2 거리조절 볼트
33B4. 탄성복원부재
US. 지중용 개폐기
PL. 전선

Claims (3)

  1. 지중용 개폐기에 연결되는 전선에 설치되어 상기 지중용 개폐기를 통해 상기 전선에 공급되는 전류를 감지하는 센싱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센싱유닛은 복수로 분할되어 상기 전선이 상기 지중용 개폐기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전선의 둘레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센싱유닛은,
    상기 센싱유닛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데이터 송수신선의 일부분이 수용 및 지지되는 연결 지지부;
    상기 연결 지지부의 일부분에 결합되어 상기 데이터 송수신선에 연결되고, 상기 전선의 일부분을 감싸도록 구성되는 제1 센싱부;
    상기 연결 지지부의 다른 일부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데이터 송수신선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센싱부에 접하여 상기 전선의 다른 일부분을 감싸면서 상기 제1 센싱부와 함께 폐루프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제2 센싱부; 및
    상기 제2 센싱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센싱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2 센싱부를 상기 제1 센싱부에 구속하거나, 상기 제1 센싱부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제2 센싱부의 구속을 해제하도록 구성되는 클램핑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센싱부는,
    상기 연결 지지부의 일부분에 고정 배치되고, 반고리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전선의 일부분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제1 클램핑 하우징;
    반고리 형상으로 형성되고, 양 단부가 상기 제1 클램핑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제1 클램핑 하우징에 수용되는 제1 코어;
    상기 제1 클램핑 하우징에 수용되어 상기 제1 코어와 상기 제1 클램핑 하우징의 내주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코어를 지지하는 제1-1 지지구;
    상기 제1 클램핑 하우징에 수용되어 상기 제1 코어와 상기 제1 클램핑 하우징의 외주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코어로부터 이격 배치되는 제1-2 지지구;
    상기 제1-1 지지구와 상기 제1-2 지지구의 둘레에 감기는 제1 코일;
    상기 제1-2 지지구와 상기 제1 코어 사이에 복수로 배치되고, 상기 제1 코어를 상기 제1 클램핑 하우징의 내주면 측을 향하여 탄성적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제1 탄성가압부재들; 및
    상기 제1 클램핑 하우징의 외주면에 배치되고, 상기 클램핑부에 걸려 지지되는 걸림고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센싱부는,
    상기 연결 지지부의 다른 일부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반고리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클램핑 하우징에 접촉 시 상기 전선의 다른 일부분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제2 클램핑 하우징;
    반고리 형상으로 형성되고, 양 단부가 상기 제2 클램핑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제2 클램핑 하우징에 수용되며, 상기 제1 클램핑 하우징과 상기 제2 클램핑 하우징의 접촉 시 상기 제1 코어에 접촉되면서 상기 제1 코어와 함께 폐루프를 형성하는 제2 코어;
    상기 제2 클램핑 하우징에 수용되어 상기 제2 코어와 상기 제2 클램핑 하우징의 내주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코어를 지지하는 제2-1 지지구;
    상기 제2 클램핑 하우징에 수용되어 상기 제2 코어와 상기 제2 클램핑 하우징의 외주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코어로부터 이격 배치되는 제2-2 지지구;
    상기 제2-1 지지구와 상기 제2-2 지지구의 둘레에 감기는 제2 코일;
    상기 제2-2 지지구와 상기 제2 코어 사이에 복수로 배치되고, 상기 제2 코어를 상기 제2 클램핑 하우징의 내주면 측을 향하여 탄성적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제2 탄성가압부재들; 및
    상기 제2 클램핑 하우징의 외주면에 배치되고, 상기 클램핑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 브라켓;을 포함하며,
    상기 클램핑부는,
    상기 회동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키부재; 및
    상기 키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걸림고리에 결려 지지되도록 구성되는 훅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코어는 상기 제1 클램핑 하우징의 외주면 보다 상기 제1 클램핑 하우징의 내주면에 더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2 코어는 상기 제2 클램핑 하우징의 외주면 보다 상기 제2 클램핑 하우징의 내주면에 더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1 코어의 중심선과 상기 제1 클램핑 하우징의 내주면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1 코어의 중심선과 상기 제1 클램핑 하우징의 외주면 사이의 거리 보다 더 작은 값을 가지고,
    상기 제2 코어의 중심선과 상기 제2 클램핑 하우징의 내주면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2 코어의 중심선과 상기 제2 클램핑 하우징의 외주면 사이의 거리 보다 더 작은 값을 가지며,
    상기 제1 탄성가압부재들 및 상기 제2 탄성가압부재들은, 'V'형상으로 절곡된 판스프링 구조를 가지는, 클램프 구조의 변류기.
  2. 삭제
  3. 삭제
KR1020210152300A 2021-11-08 2021-11-08 클램프 구조의 변류기 KR1023898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2300A KR102389861B1 (ko) 2021-11-08 2021-11-08 클램프 구조의 변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2300A KR102389861B1 (ko) 2021-11-08 2021-11-08 클램프 구조의 변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9861B1 true KR102389861B1 (ko) 2022-04-22

Family

ID=81452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2300A KR102389861B1 (ko) 2021-11-08 2021-11-08 클램프 구조의 변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986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9208B1 (ko) 2023-03-22 2023-06-01 주식회사 어니언소프트웨어 에너지 측정용 변류기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측정 시스템
CN116936215A (zh) * 2023-06-16 2023-10-24 海安县巨力磁材有限责任公司 一种便于安装的箍紧式磁环及使用方法
CN117423528A (zh) * 2023-12-01 2024-01-19 国网四川省电力公司营销服务中心 一种用于电能表的电流互感器及其制造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8148B1 (ko) * 2012-05-14 2013-07-19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력선 통신용 신호연결장치
KR101323607B1 (ko) * 2013-05-10 2013-11-01 (주)테라에너지시스템 변류기
KR20180120140A (ko) * 2016-02-26 2018-11-05 다이덴 가부시키가이샤 커런트 트랜스포머
KR101966749B1 (ko) 2015-12-11 2019-04-08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자기차폐형 변류기
KR20210070540A (ko) * 2019-12-05 2021-06-15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철도 전력선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무선 모니터링 센서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8148B1 (ko) * 2012-05-14 2013-07-19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력선 통신용 신호연결장치
KR101323607B1 (ko) * 2013-05-10 2013-11-01 (주)테라에너지시스템 변류기
KR101966749B1 (ko) 2015-12-11 2019-04-08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자기차폐형 변류기
KR20180120140A (ko) * 2016-02-26 2018-11-05 다이덴 가부시키가이샤 커런트 트랜스포머
KR20210070540A (ko) * 2019-12-05 2021-06-15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철도 전력선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무선 모니터링 센서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9208B1 (ko) 2023-03-22 2023-06-01 주식회사 어니언소프트웨어 에너지 측정용 변류기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측정 시스템
CN116936215A (zh) * 2023-06-16 2023-10-24 海安县巨力磁材有限责任公司 一种便于安装的箍紧式磁环及使用方法
CN117423528A (zh) * 2023-12-01 2024-01-19 国网四川省电力公司营销服务中心 一种用于电能表的电流互感器及其制造方法
CN117423528B (zh) * 2023-12-01 2024-06-18 国网四川省电力公司营销服务中心 一种用于电能表的电流互感器及其制造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89861B1 (ko) 클램프 구조의 변류기
CA2773562C (en) Device and assembly for measuring an electric current
CN111315613B (zh) 用于在能量供应装置处给储存能量源充电的充电电缆和适配器
US9172178B2 (en) Magnetic coupling with low moment articulated plug
KR101323607B1 (ko) 변류기
EP3721511B1 (en) Shallow electrical protection device (gfci, afci, and afci/gfci) system and method
EP260380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ounting an overhead monitoring device
US9177718B2 (en) Sensing transformer with pivotable and rotatable split cores
KR102278270B1 (ko) 스마트 수배전반
KR102086653B1 (ko) 전력선로용 기기의 함체 및 그 설치기구와, 이를 구비한 전력선로용 기기
CN103534737A (zh) 用于在壁与在该壁上固定的翼扇之间无接触地传输电能的方法和设备
JP2006191098A (ja) 装着オートマトンと構成素子用の供給装置との間の誘導性エネルギー伝達装置、供給装置、および装着オートマトン
KR20120002204A (ko) 버스바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시진단하는 유비쿼터스형 배전반
US20160380395A1 (en) Reeling device
KR102047360B1 (ko) 전주에 안정적 고정이 가능한 가공배전선로용 고정기구
EP1570551B1 (en) Multi-conductor connector plug
WO2013136497A1 (ja) Icタグを用いた制御機器用の操作状態検出装置、回転スイッチ機構、及び検出アダプター
WO2022143277A1 (zh) 一种无线充电设备
KR100529143B1 (ko) 자계 검출장치를 사용한 원격 접지저항 자동측정기
KR20180045740A (ko) 스마트 도어를 구비한 배전반
CN107946126B (zh) 具有测温功能的剪刀式隔离开关静触头
KR101070432B1 (ko) 단락사고를 사전에 예방하기 위한 시험 장치를 구비한 지능형 배전반
KR101462204B1 (ko) 전력 부하 측정용 프로브
KR20180091797A (ko) 배전반
KR102032559B1 (ko) 수배전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