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9848B1 - 스테인리스 강관 연결구 - Google Patents

스테인리스 강관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9848B1
KR102389848B1 KR1020190134729A KR20190134729A KR102389848B1 KR 102389848 B1 KR102389848 B1 KR 102389848B1 KR 1020190134729 A KR1020190134729 A KR 1020190134729A KR 20190134729 A KR20190134729 A KR 20190134729A KR 102389848 B1 KR102389848 B1 KR 1023898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pipe
jaw
housing
wing
suppor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47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50287A (ko
Inventor
홍성돈
Original Assignee
홍성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성돈 filed Critical 홍성돈
Priority to KR10201901347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9848B1/ko
Publication of KR202100502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02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98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98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2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 F16L21/04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in which sealing rings are compressed by axially-movabl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07Joints with sleeve or socket clamped by a wedging a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작비용을 절감함과 동시에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스테인리스 강관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절곡턱(11)과 강관(P)이 끼워지는 인입구(12)가 형성된 양측 공간부(13) 사이에 제1,2걸림턱(14)(15)이 구비되는 연결관(10); 제1걸림턱(14)에 걸리도록 공간부(13)로 삽입되는 하우징(20); 하우징(20)의 내측에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강관(P)의 외경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다단의 래칫톱니(31)와 제1,2밀착날개(32)(33)을 구비하는 조우(30); 하우징(20)에 내장되어 래칫톱니(31)가 끼워지는 톱니홀(41)과 제1,2밀착날개(32)(33)가 끼워지는 날개홈(42)(43)을 구비하여 조우(30)를 지지하는 실리콘 조우지지부재(40); 절곡턱(11)과 하우징(20) 사이에 배치되어 강관(P)의 외경에 밀착되는 실리콘패킹(50)을 포함하고, 강관(P) 삽입시 제1밀착날개(32)는 실리콘 조우지지부재(40)을 가압하면서 하우징(20)의 내경에 밀착되고, 제2밀착날개(33)는 실리콘 조우지지부재(40)의 날개홈(43)을 내측으로 가압함과 동시에 하우징(20)의 내경과 이격되면서 강관(P)의 외경에 밀착되는 밀착부(44)를 형성시키며, 다단의 래칫톱니(31) 첨단은 모두가 강관(P)의 외경을 가압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스테인리스 강관 연결구{Connecter for stainless steel pipe}
본 발명은 수도관 등에 사용되는 스테인리스 강관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강관 연결구에 별도의 스프링을 사용하지 않고 실리콘재의 조우지지부재 자체 탄성에 의해 다수의 조우(jaw)를 탄력적 지지토록 함으로 스테인리스 강관을 원터치 끼움방식으로 간단하고도 기밀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고, 부품수를 줄일 수 있도록 간단한 구조로 개선하여 연결부의 수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 경제적으로 제작비용을 절감함과 동시에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스테인리스 강관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최근 들어 건설 배관재로서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는 스테인리스 강관은 물에서 보호성이 탁월한 부동태 피막을 형성하여 내식성과 위생성이 매우 우수하고, 기계적 성질 또한 뛰어나 수도관 등으로서 최적의 재료로 주목받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러한 스테인리스 강관은 배관연결 작업성이 용이하지 않아서 현재까지는 용접방식에 의존하고 있는데, 상기와 같은 용접방식에 의한 배관연결 작업은 용접을 위한 장비가 구비되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또한 용접을 할 수 있는 전문기술인력이 필요할 뿐 아니라, 용접 후에는 보수가 어렵기 때문에 보수 작업을 위해서는 기존의 강관을 파기해야 하는 경제적 손실이 있으며, 또한 용접부위는 충격에 매우 취약한 구조를 갖기 때문에 작은 진동이나 충격에도 이음부가 깨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용접방식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신축가동식 또는 나사식, 압착식과 같은 다양한 무용접 이음방식이 개발된 바 있으나, 무용접 이음방식은 대부분 외국 기술을 모방 및 변형한 것으로, 강관 이음쇠의 모든 조건을 만족시키는데 커다란 한계를 나타내고 있고, 구조가 복잡하고 작업성 및 성능이 떨어지며 또한 기존의 나사식 이음의 기술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용접이 필요 없고 나사구조가 없이도 간단한 방식으로 연결이 가능하도록 한 스테인리스 강관 연결구의 개발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
한편, 하기 특허문헌인 국내 등록특허 제10-1326079호에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P)가 삽입되는 몸체부(211)와, 상기 몸체부(211)의 내주면에서 상기 몸체부(211)의 반경방향으로 확관되어 단차지게 형성된 수납홈부(215)를 포함하는 파이프 연결구(210); 및 상기 수납홈부(215)에 수납되되, 상기 몸체부(211)에 삽입된 상기 파이프(P)를 파지하는 파이프 파지유닛(220)을 포함하며, 상기 파이프 파지유닛(220)은, 상기 수납홈부(215)에 수납된 중공형상의 케이싱부(240)와, 삽입된 상기 파이프(P)의 외주면에 걸리는 복수의 쐐기(257)를 구비한 훅(255)과 외주면에 상기 훅(255)이 삽입되어 안착되는 훅 안착홀(252)이 복수 개 형성된 훅 홀더부(251)를 포함하되 상기 케이싱부(240)의 내부에 마련되는 파이프 파지부(250)와, 상기 훅 홀더부(251)의 일측에 밀착되어 상기 훅 홀더부(251)를 탄력 지지하는 탄성부재(260)를 포함하여, 상기 몸체부(211)에 삽입된 상기 파이프(P)를 파지하는 파이프 파지모듈(220); 및 상기 수납홈부(215)에 수납되되, 상기 파이프 파지모듈(220)을 탄력 지지하고 실링을 유지하는 실링모듈(281)(285)을 포함하며, 상기 케이싱부(240)의 내주면에는, 상기 파이프(P)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수평부(241)와, 상기 수평부(241)에서 연속적으로 상기 몸체부(211)의 반경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경사부(243)가 형성되며, 상기 파이프(P)가 상기 훅 홀더부(251)에 삽입되는 경우에 상기 탄성부재(260)가 압축되어 상기 훅(255)이 상기 수평부(241)에서 상기 경사부(243)를 따라 이동되며, 상기 파이프(P)가 상기 훅 홀더부(251)에 삽입 완료된 경우에 상기 탄성부재(260)가 팽창하여 상기 훅(255)이 상기 경사부(243)에서 상기 수평부(241)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파이프 연결장치는 파이프 연결구(210)의 몸체부(211) 내주면에 파이프 파지유닛(220)을 수납하는 수납홈부(215)를 마련함으로써, 파이프 연결구(210)와 파이프 파지유닛(220)의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어 작업공수를 절감할 수 있으며, 또한 파이프 연결구(210)와 파이프 파지유닛(220)을 결합함에 있어 별도의 고정수단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제작시간 및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아울러 파이프 연결구(210)와 파이프 파지유닛(220)의 결합을 견고하게 할 수 있어 기밀유지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종래의 파이프 연결장치는 케이싱부(240), 훅(255), 훅 홀더부(251), 탄성부재(260), 탄성부재 지지부(270), 실링부재(282)(286), 실링부재 지지부(283)(287)를 구비하는 많은 부품으로 구성되었기 때문에, 구조가 매우 복잡하여 조립이 까다로운 문제점과 원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특히 코일 스프링 또는 웨이브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탄성부재(260)에 녹이 발생하면 스프링의 탄성이 소멸되어 작동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파이프 연결장치는 수납홈부(215)에 실링부재 지지부(287), 실링부재(286), 탄성부재 지지부(270), 탄성부재(260), 파이프 파지부(250), 케이싱부(240), 실링부재(282), 실링부재 지지부(283)를 순차적으로 장착한 후 몸체부(211)의 끝단부를 절곡하였기 때문에, 이와 같이 파이프 연결장치를 조립하기 위해서 다수의 부품을 순차적으로 수납홈부(215)에 장착하여야 하고, 다수의 부품을 상호 정렬하여야 하므로 작업시간과 작업공수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 등록특허 제10-1326079호(등록일자 : 2013.10.31)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 별도의 스프링을 사용하지 않고 자체적으로 탄성을 가지는 실리콘 조우지지부재로 다수의 조우를 탄력적으로 지지하여 스테인리스 강관을 원터치 방식으로 간단하고도 기밀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한 스테인리스 강관 연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부품수를 줄일 수 있도록 간단한 구조로 개선하여 경제적으로 제작비용을 절감함과 동시에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스테인리스 강관 연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절곡턱의 내경으로 강관이 끼워지는 인입구가 형성된 양측 공간부 사이에 제1, 2걸림턱이 구비되는 연결관; 상기 제1걸림턱에 걸리도록 연결관의 공간부로 삽입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강관의 외경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다단의 래칫톱니와 제1, 2밀착날개을 구비하는 다수의 조우;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어 래칫톱니가 끼워지는 톱니홀과 제1,2밀착날개가 끼워지는 날개홈을 구비하여 조우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실리콘 조우지지부재; 상기 연결관의 절곡턱과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어 강관의 외경에 밀착되는 실리콘패킹을 포함하고, 상기 강관 삽입시 조우의 제1밀착날개는 실리콘 조우지지부재를 가압하면서 하우징의 내경에 밀착하며, 이와 동시에 상기 제2밀착날개는 실리콘 조우지지부재의 날개홈을 내측으로 가압함과 동시에 하우징의 내경과 이격되면서 강관의 외경에 밀착되는 밀착부를 형성하고, 이와 동시에 상기 다단의 래칫톱니 첨단은 모두가 강관의 외경을 가압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하우징의 선단 내경에는 지지링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링의 외면에는 실리콘패킹이 끼워지는 패킹홈을 형성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하우징의 내경에는 제1걸림턱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경사면을 형성하고, 상기 강관 삽입시 조우의 제1밀착날개는 경사면에 밀착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하우징의 내경 후방에는 조우의 제1밀착날개와 마주하도록 제1걸림턱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다수의 경사홈을 형성하고, 상기 강관 삽입시 조우의 제1밀착날개는 경사홈에 끼워지면서 경사홈의 경사면에 밀착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실리콘 조우지지부재의 후단 내경에는 밀착링을 형성하고, 상기 강관 삽입시 밀착링은 강관의 외경에 밀착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본 발명의 스테인리스 강관 연결구에 따르면, 자체적으로 탄성을 가지는 실리콘 조우지지부재에 강관을 원터치 방식으로 가압하여 고정하는 다수의 조우가 실리콘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되기 때문에, 별도의 스프링을 사용하지 않고 실리콘 조우지지부재로 다수의 조우가 조임력을 갖고 지지하여 스테인리스 강관을 원터치 방식으로 간단하고도 기밀하게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연결관, 하우징, 조우, 실리콘 조우지지부재 및 실리콘패킹을 포함하는 5개의 부품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종래에 비하여 구성이 매우 간단하고 부품수를 절반으로 줄일 수 있으므로 제작비용을 절감함과 동시에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파이프 연결장치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종래의 파이프 연결장치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결합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작용을 보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8은 도 7의 작용을 보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10은 도 9의 결합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11은 도 10의 작용을 보인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스테인리스 강관 연결구는 도 3 내지 도 1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양측 단부 내측에 수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패킹이 설치된 강관 연결구에 있어서, 연결관(10)의 인입구(12) 공간부(13)에 설치되며 전면 테두리에 절곡된 지지링(21)을 갖는 하우징(20)과; 상기 인입구(12)의 공간부(13)에 설치되는 하우징(20) 내측에 설치되며 탄성을 갖는 실리콘 조우지지부재(40)와; 상기 실리콘재 조우지지부재(40) 외주면에 다수 형성된 톱니홀(41)에 끼워져 연결되는 강관(P)을 지지할 수 있도록 래칫톱니(31)를 갖는 다수의 조우(30)와; 상기 하우징(20)의 전면에 설치되어 연결되는 강관(P)의 수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된 실리콘패킹(50)을 포함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적인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르면 강관 연결구는, 절곡턱(11)의 내경으로 강관(P)이 끼워지는 인입구(12)가 형성된 양측 공간부(13) 사이에 제1,2걸림턱(14)(15)이 구비되는 연결관(10); 상기 제1걸림턱(14)에 걸리도록 연결관(10)의 공간부(13)로 삽입되는 하우징(20); 상기 하우징(20)의 내측에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강관(P)의 외경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다단의 래칫톱니(31)와 제1,2밀착날개(32)(33)을 구비하는 다수의 조우(30); 상기 하우징(20)에 내장되어 래칫톱니(31)가 끼워지는 톱니홀(41)과 제1,2밀착날개(32)(33)가 끼워지는 날개홈(42)(43)을 구비하여 조우(30)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실리콘 조우지지부재(40); 상기 연결관(10)의 절곡턱(11)과 하우징(20) 사이에 배치되어 강관(P)의 외경에 밀착되는 실리콘패킹(50)을 포함하고, 상기 강관(P) 삽입시 조우(30)의 제1밀착날개(32)는 실리콘 조우지지부재(40)를 가압하면서 하우징(20)의 내경에 밀착되고, 상기 제2밀착날개(33)는 실리콘 조우지지부재(40)의 날개홈(43)을 내측으로 가압함과 동시에 하우징(20)의 내경과 이격되면서 강관(P)의 외경에 밀착되는 밀착부(44)를 형성시키며, 상기 다단의 래칫톱니(31) 첨단은 모두가 강관(P)의 외경을 가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스테인리스 강관 연결구는 별도의 스프링을 사용하지 않고 강관(P)을 원터치 방식으로 간단하고도 기밀하게 고정하고, 또한 부품수를 줄일 수 있도록 간단한 구조로 개선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의 스테인리스 강관 연결구는 연결관(10), 하우징(20), 조우(30), 실리콘 조우지지부재(40) 및 실리콘패킹(50)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본 발명의 스테인리스 강관 연결구는 연결관(10), 하우징(20), 조우(30), 실리콘 조우지지부재(40) 및 실리콘패킹(50)을 포함하는 5개의 부품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종래에 비하여 구성이 매우 간단하고 부품수를 절반으로 줄일 수 있으므로 제작비용을 절감함과 동시에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스테인리스 강관 연결구는 상하수도 배관, 송유관, LNG 배관, 식품 및 위생관, 가스 배관, 반도체 및 원자력 분야의 배관 및 조선 구조물 배관 등 다양한 산업분야의 배관에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연결관(10)은 스테인리스 강관 연결구의 몸체를 구성하는 것으로, 이러한 연결관(10)은 도 3,4에서와 같이 중앙에 형성되는 제1몸체(10a)와, 제1몸체(10a)의 양측으로 확장 형성되는 제2몸체(10b)와, 상기 제2몸체(10b)의 외측으로 확장 형성되는 제3몸체(10c)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연결관(10)은 부식되지 않는 스테인리스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첨부된 도면에서는 일 예로 연결관(10)이 일(-)자형으로 형성된 것을 도시하였으나, 상기 연결관(10)은 일자형뿐만 아니라 엘(L)자형, 티(T)자형, 십(+)자형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는 것임을 분명히 밝혀둔다.
상기 제1몸체(10a)와 제2몸체(10b) 사이에는 강관(P)이 걸리는 제2걸림턱(15)이 형성되고, 상기 제2몸체(10b)와 제3몸체(10c) 사이에는 하우징(20)과 실리콘 조우지지부재(40)가 걸리는 제1걸림턱(14)이 형성된다.
상기 제3몸체(10c)의 내부에는 하우징(20), 조우(30), 실리콘조우지지부재(40) 및 실리콘패킹(50)을 수용하는 공간부(13)가 형성되고, 상기 제3몸체(10c)의 단부에는 하우징(20), 조우(30), 실리콘 조우지지부재(40) 및 실리콘패킹(50)의 이탈을 방지하는 절곡턱(11)이 내측으로 절곡 형성되며, 상기 절곡턱(11)의 내경에는 강관(P)이 끼워지는 인입구(12)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공간부(13)에 하우징(20), 조우(30), 실리콘 조우지지부재(40) 및 실리콘패킹(50)을 조립한 후, 절곡턱(11)을 형성하면 조립이 완료되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제작비용을 절감함과 동시에 조립이 간단하게 이루어지므로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이를 통해 조립시 소요되는 작업시간과 작업공수를 줄일 수 있다.
상기 하우징(20)은 제1걸림턱(14)에 걸리도록 연결관(10)의 공간부(13)로 삽입되는 것으로, 이러한 하우징(20)은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조우(30)와 실리콘 조우지지부재(40)를 지지 및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하우징(20)은 부식되지 않는 금속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20)의 선단 내경에는 지지링(21)이 돌출되고, 상기 지지링(21)의 외면에는 실리콘패킹(50)이 끼워지는 패킹홈(2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하우징(20)의 지지링(21)에는 패킹홈(22)이 형성되기 때문에, 패킹홈(22)에 실리콘패킹(50)을 간단하게 끼워서 지지시킬 수 있으므로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조우(30)는 실리콘 조우지지부재(40)에 지지된 상태에서 하우징(20)의 내측에 등간격으로 다수가 배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조우(30)의 내측에는 강관(P) 삽입시 강관(P)의 외경을 가압하여 견고하게 고정하는 다단의 래칫톱니(31)가 형성되고, 조우(30)의 외면 양측에는 제1밀착날개(32)와 제2밀착날개(33)가 돌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조우(30)는 부식되지 않는 고강도 금속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래칫톱니(31)는 제1걸림턱(14) 방향을 향해 순차적으로 높이가 높아지도록 다단으로 형성되고, 상기 래칫톱니(31)의 외측은 강관(P)을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강관(P)의 삽입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래칫톱니(31)의 내측은 삽입된 강관(P)이 빠지지 않도록 강관(P)의 삽입방향에 대하여 대략 수직으로 형성된다.
상기 실리콘 조우지지부재(40)는 다수의 조우(30)를 탄력적으로 지지한 상태에서 하우징(20)에 내장되는 것으로, 이러한 실리콘 조우지지부재(40)에는 조우(30)의 래칫톱니(31)가 끼워지도록 다수의 톱니홀(41)이 등간격으로 형성되고, 톱니홀(41)의 외측으로는 조우(30)의 제1,2밀착날개(32)(33)가 각각 끼워지도록 날개홈(42)(43)이 각각 형성된다. 이때, 상기 실리콘 조우지지부재(40)는 자체적으로 탄성을 가지는 실리콘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종래와 달리 별도의 스프링을 사용하지 않고도 조우(30)를 탄력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실리콘 조우지지부재(40)의 후단 내경에는 밀착링(45)이 돌출되고, 상기 강관(P) 삽입시 밀착링(45)은 강관(P)의 외경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밀착링(45)은 실리콘 조우지지부재(40)와 강관(P) 사이의 실링을 긴밀하게 유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또한 밀착링(45)은 강관(P)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실리콘패킹(50)은 연결관(10)의 절곡턱(11)과 하우징(20) 사이에 배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실리콘패킹(50)은 강관(P)의 삽입시 강관(P)의 외경에 긴밀하게 밀착된다. 이때, 상기 실리콘패킹(50)은 자체적으로 탄성을 가지는 실리콘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러한 실리콘패킹(50)은 하우징(20)과 절곡턱(11) 사이의 실링을 긴밀하게 유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또한 실리콘패킹(50)은 하우징(20)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전체적인 작동관계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5에서와 같이 스테인리스 강관(P)을 연결관(10)에 삽입하지 않은 평상시, 조우(30)의 제1,2밀착날개(32)(33)은 수평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제1걸림턱(14) 방향을 향해 순차적으로 높이가 높아지도록 조우(30)에 다단으로 형성된 래칫톱니(31)들의 각 첨단은 경사진 상태, 즉 제1밀착날개(32)에 인접한 래칫톱니(31)는 높고 제2밀착날개(33)에 인접한 래칫톱니(31)는 낮게 기울어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평상시 실리콘 조우지지부재(40)와 실리콘패킹(50)은 팽창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 5에서와 같은 상태에서 연결관(10)의 인입구(12)와 실리콘패킹(50)에 강관(P)을 삽입하여 원터치 방식으로 밀어 끼우면, 강관(P)은 실리콘패킹(50)을 가압하면서 하우징(20)내로 삽입되고, 이 과정에서 실리콘패킹(50)은 도 6에서와 같이 하우징(20)과 절곡턱(11) 및 강관(P)의 외경에 긴밀하게 밀착되면서 실링을 유지하게 된다.
강관(P)을 더 삽입하여 실리콘 조우지지부재(40)로 밀어 끼우면 강관(P)의 끝단은 조우(30)의 래칫톱니(31)에 걸리지만, 이 상태에서 강관(P)을 더 밀어 끼우면 강관(P)은 조우(30)의 래칫톱니(31)를 가압하면서 제2걸림턱(15)측으로 계속 이동하게 되고, 강관(P)과 래칫톱니(31) 사이에서 발생하는 마찰력에 의해 조우(30)는 실리콘 조우지지부재(40)를 강관(P)의 이동방향으로 가압하면서 도 6에서와 같은 작용을 수행하게 된다. 즉, 강관(P)을 더 밀어 끼우면 조우(30)의 제1밀착날개(32)는 도 6에서와 같이 실리콘 조우지지부재(40)를 가압하면서 하우징(20)의 내경에 밀착하게 되고, 조우(30)의 제2밀착날개(33)는 실리콘 조우지지부재(40)의 날개홈(43)을 도 6에서와 같이 내측으로 가압함과 동시에 하우징(20)의 내경과 이격되면서 강관(P)의 외경에 밀착되는 밀착부(44)를 형성시키게 되며, 이와 동시에 조우(30)에 다단으로 형성된 래칫톱니(31)들의 각 첨단은 도 6에서와 같이 작동되면서 모두가 강관(P)의 외경을 강하게 가압하게 된다.
즉 상기 제2 밀착날개(33)가 강관에 삽입시 실리콘 날개홈(43) 내측을 가압하는 동시에 실리콘 조우지지부재(40)을 가압하여 강관(P)의 외경에 밀착되는 밀착부(44)가 형성된다.
도 6에서와 같이 스테인리스 강관(P)의 끝단이 연결관(10)의 제2걸림턱(15)에 걸릴 때까지 강관(P)을 완전히 밀어 끼우면, 강관(P)은 실리콘 조우지지부재(40)의 밀착링(45)을 가압하면서 제2걸림턱(15)에 걸리게 되고, 이 과정에서 실리콘 조우지지부재(40)의 밀착링(45)은 도 6에서와 같이 강관(P)의 외경에 긴밀하게 밀착되면서 실링을 유지하게 된다.
도 6에서와 같이 연결관(10)에 강관(P)이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는 실리콘패킹(50)과 밀착부(44) 및 밀착링(45)이 강관(P)의 외경에 각각 긴밀하게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실링을 한층 더 견고하게 유지하여 누수 및 누출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조우(30)에 형성된 다단의 래칫톱니(31) 각 첨단들이 모두 강관(P)의 외경을 강하게 가압하므로 삽입된 강관(P)이 빠지지 않도록 강관(P)을 견고하게 고정하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7,8에서와 같이, 상기 하우징(20)의 내경에는 제1걸림턱(14)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경사면(23)이 형성되고, 상기 강관(P) 삽입시 조우(30)의 제1밀착날개(32)는 경사면(23)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7에서와 같이 평상시 조우(30)의 제1밀착날개(32)는 하우징(20)의 경사면(23)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도 8에서와 같이 강관(P) 삽입시 조우(30)의 제1밀착날개(32)는 경사면(23)에 밀착되도록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강관(P)의 삽입시 제1밀착날개(32)가 경사면(23)에 밀착되도록 소정의 이동공간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강관(P)을 한층 더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즉, 강관(P)의 삽입과정 중 강관(P)의 끝단이 래칫톱니(31)에 걸린 상태에서 강관(P)을 더 밀어 끼울 때, 제1밀착날개(32)가 경사면(23)과 이격된 거리만큼 이동하면서 경사면(23)에 밀착되고, 이와 동시에 래칫톱니(31)들 중 제1밀착날개(32)에 인접한 곳에 위치한 높이가 높은 래칫톱니(31)가 경사면(23)측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경사면(23)을 통해 강관(P)을 한층 더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이때, 도 8에서와 같이 조우(30)의 제2밀착날개(33)는 실리콘 조우지지부재(40)의 날개홈(43)을 내측으로 가압함과 동시에 하우징(20)의 내경과 이격되면서 강관(P)의 외경에 밀착되는 밀착부(44)를 형성시키게 되고, 이와 동시에 조우(30)에 다단으로 형성된 래칫톱니(31)들의 각 첨단은 모두가 강관(P)의 외경을 강하게 가압하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9,10,11에서와 같이, 상기 하우징(20)의 내경 후방에는 조우(30)의 제1밀착날개(32)와 마주하도록 제1걸림턱(14)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다수의 경사홈(24)이 형성되고, 상기 강관(P) 삽입시 조우(30)의 제1밀착날개(32)는 경사홈(24)에 끼워지면서 경사홈(24)의 경사면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10에서와 같이 평상시 조우(30)의 제1밀착날개(32)는 하우징(20)의 경사홈(24)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도 11에서와 같이 강관(P) 삽입시 조우(30)의 제1밀착날개(32)는 경사홈(24)의 경사면에 밀착되도록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강관(P)의 삽입시 제1밀착날개(32)가 경사홈(24)의 경사면에 밀착되도록 소정의 이동공간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강관(P)을 한층 더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즉, 강관(P)의 삽입과정 중 강관(P)의 끝단이 래칫톱니(31)에 걸린 상태에서 강관(P)을 더 밀어 끼울 때, 제1밀착날개(32)가 경사홈(24)의 경사면과 이격된 거리만큼 이동하면서 경사홈(24)의 경사면에 밀착되고, 이와 동시에 래칫톱니(31)들 중 제1밀착날개(32)에 인접한 곳에 위치한 높이가 높은 래칫톱니(31)가 경사홈(24)측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경사홈(24)을 통해 강관(P)을 한층 더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이때, 도 11에서와 같이 조우(30)의 제2밀착날개(33)는 실리콘 조우지지부재(40)의 날개홈(43)을 내측으로 가압함과 동시에 하우징(20)의 내경과 이격되면서 강관(P)의 외경에 밀착되는 밀착부(44)를 형성시키게 되고, 조우(30)에 다단으로 형성된 래칫톱니(31)들의 각 첨단은 도 11에서와 같이 모두가 강관(P)의 외경을 강하게 가압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본 발명은 자체적으로 탄성을 가지는 실리콘 조우지지부재(40)에 강관(P)을 원터치 방식으로 가압하여 고정하는 다수의 조우(30)가 탄력적으로 지지되기 때문에, 별도의 스프링을 사용하지 않고 실리콘 조우지지부재(40)로 다수의 조우(30)를 탄력적으로 지지하여 스테인리스 강관(P)을 원터치 방식으로 간단하고도 기밀하게 고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은 연결관(10), 하우징(20), 조우(30), 실리콘 조우지지부재(40) 및 실리콘패킹(50)을 포함하는 5개의 부품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종래에 비하여 구성이 매우 간단하고 부품수를 절반으로 줄일 수 있으므로 제작비용을 절감함과 동시에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 : 연결관 11 : 절곡턱
12 : 인입구 13 : 공간부
14 : 제1걸림턱 15 : 제2걸림턱
20 : 하우징 21 : 지지링
22 : 패킹홈 23 : 경사면
24 : 경사홈 30 : 조우
31 : 래칫톱니 32 : 제1밀착날개
33 : 제2밀착날개 40 : 실리콘 조우지지부재
41 : 톱니홀 42,43 : 날개홈
44 : 밀착부 45 : 밀착링
50 : 실리콘패킹 P : 강관

Claims (6)

  1. 양측 단부 내측에 수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패킹이 설치된 강관 연결구에 있어서,
    연결관(10)의 인입구(12) 공간부(13)에 설치되며 전면 테두리에 절곡된 지지링(21)을 갖는 하우징(20)과;
    상기 인입구(12)의 공간부(13)에 설치되는 하우징(20) 내측에 설치되며 탄성을 갖는 실리콘 조우지지부재(40)와;
    상기 실리콘 조우지지부재(40) 외주면에 다수 형성된 톱니홀(41)에 끼워져 연결되는 강관(P)을 지지할 수 있도록 래칫톱니(31)를 갖는 다수의 조우(30)와;
    상기 하우징(20)의 전면에 설치되어 연결되는 강관(P)의 수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된 실리콘패킹(50);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20)의 내경 후방에는 조우(30)의 제1밀착날개(32)와 마주하도록 제1걸림턱(14)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다수의 경사홈(24)이 형성되고, 상기 강관(P) 삽입시 조우(30)의 제1밀착날개(32)는 경사홈(24)에 끼워지면서 경사홈(24)의 경사면에 밀착되며,
    상기 강관 연결구는,
    절곡턱(11)의 내경으로 강관(P)이 끼워지는 인입구(12)가 형성된 양측 공간부(13) 사이에 제1, 2걸림턱(14)(15)이 구비되는 연결관(10);
    상기 제1걸림턱(14)에 걸리도록 연결관(10)의 공간부(13)로 삽입되는 하우징(20);
    상기 하우징(20)의 내측에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강관(P)의 외경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다단의 래칫톱니(31)와 제1, 2밀착날개(32)(33)을 구비하는 다수의 조우(30);
    상기 하우징(20)에 내장되어 래칫톱니(31)가 끼워지는 톱니홀(41)과 제1,2밀착날개(32)(33)가 끼워지는 날개홈(42)(43)을 구비하여 조우(30)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실리콘 조우지지부재(40);
    상기 연결관(10)의 절곡턱(11)과 하우징(20) 사이에 배치되어 강관(P)의 외경에 밀착되는 실리콘패킹(50)을 포함하고,
    상기 강관(P) 삽입시 조우(30)의 래칫톱니(31)가 밀착링(45)측으로 밀리면서 톱니홀(41) 및 날개홈(42) 측을 가압하도록 날개홈(42)에 설치된 제1 밀착날개(32)와;
    상기 강관(P) 삽입시 조우(30)의 래칫톱니(31)가 밀리면서 하우징(20) 경사홈(24)의 경사면을 따라 제1 밀착날개(32)가 밀리면서 하우징(20)의 내면으로부터 이격되어 날개홈(43) 내측을 가압하도록 날개홈(43)에 설치된 제2밀착날개(33)와;
    상기 제2 밀착날개(33)가 강관 삽입시 실리콘 날개홈(43) 내측을 가압하는 동시에 실리콘 조우지지부재(40)을 가압하여 강관(P)의 외경에 밀착되도록 형성된 밀착부(44)와;
    상기 강관(P)의 외경과 맞물려 첨단 모두가 가압하도록 된 다단의 래칫톱니(31)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인리스 강관 연결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90134729A 2019-10-28 2019-10-28 스테인리스 강관 연결구 KR1023898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4729A KR102389848B1 (ko) 2019-10-28 2019-10-28 스테인리스 강관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4729A KR102389848B1 (ko) 2019-10-28 2019-10-28 스테인리스 강관 연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0287A KR20210050287A (ko) 2021-05-07
KR102389848B1 true KR102389848B1 (ko) 2022-04-22

Family

ID=75916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4729A KR102389848B1 (ko) 2019-10-28 2019-10-28 스테인리스 강관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984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72805A1 (en) 2004-08-16 2007-11-29 Sukyoon Kim Pipe fixing system
KR101326079B1 (ko) * 2013-04-15 2013-11-07 우지현 파이프 연결장치
KR101432945B1 (ko) 2013-11-08 2014-08-21 주식회사 워터테이크 원터치식 배관 연결장치
KR101543367B1 (ko) * 2014-11-17 2015-08-11 이주헌 삽입 고정식 파이프 연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72805A1 (en) 2004-08-16 2007-11-29 Sukyoon Kim Pipe fixing system
KR101326079B1 (ko) * 2013-04-15 2013-11-07 우지현 파이프 연결장치
KR101432945B1 (ko) 2013-11-08 2014-08-21 주식회사 워터테이크 원터치식 배관 연결장치
KR101543367B1 (ko) * 2014-11-17 2015-08-11 이주헌 삽입 고정식 파이프 연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0287A (ko) 2021-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86179B1 (en) Quick coupling pipe fitting system
US4063760A (en) Quick connect coupling
EP2472161A2 (en) Quick coupling pipe fitting system
KR920000663B1 (ko) 파이프 연결용 커넥터
KR101326079B1 (ko) 파이프 연결장치
CN103133794B (zh) 用于连接两个管端部的连接器
US8757670B2 (en) Pipe connection consisted on interior of a joint pipe
KR101916892B1 (ko) 패스트 그루브 조인트
KR20090132072A (ko) 원터치식 파이프 연결구
KR102175152B1 (ko) 원터치식 파이프 연결구
KR102389848B1 (ko) 스테인리스 강관 연결구
KR100574745B1 (ko) 플랜지를 이용한 관 이음장치
KR200269760Y1 (ko) 배관용 조인트
HU218236B (hu) Csőkötő idom
KR102053283B1 (ko) 파이프 연결구
KR100808440B1 (ko) 수밀 및 이탈방지 구조를 갖는 관
KR101918082B1 (ko) 약압 압착식 관 이음쇠 및 그 압착 방법
JP2009133417A (ja) 管継手
JP4140931B2 (ja) 差込み式管継手
KR100833815B1 (ko) 수밀 및 이탈방지 구조를 갖는 관
KR101469151B1 (ko) 원푸싱 배관결합체
KR200269752Y1 (ko) 배관용 조인트
JP5197146B2 (ja) 離脱防止管継手
JP2006070994A (ja) 離脱防止管継手
JP4740219B2 (ja) パイプの連結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