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9761B1 - 압력 센서용 적층체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압력 센서용 적층체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9761B1
KR102389761B1 KR1020180002615A KR20180002615A KR102389761B1 KR 102389761 B1 KR102389761 B1 KR 102389761B1 KR 1020180002615 A KR1020180002615 A KR 1020180002615A KR 20180002615 A KR20180002615 A KR 20180002615A KR 102389761 B1 KR102389761 B1 KR 1023897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pressure sensor
refractive index
laminate
polariz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26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84630A (ko
Inventor
배우현
박기준
탁광용
Original Assignee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026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9761B1/ko
Publication of KR201900846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46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97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97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0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 G01L1/14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by measuring variations in capacitance or inductance of electrical elements, e.g. by measuring variations of frequency of electrical oscilla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01Filters in the form of ar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Abstract

편광판 및 굴절률 조절층과 일체화되어 표시 장치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압력 센서용 적층체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압력 센서용 적층체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Force Sensor Laminat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압력 센서용 적층체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는 편광판 및 굴절률 조절층과 일체화되어 표시 장치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압력 센서용 적층체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표시 장치에는 사용자가 손가락을 이용하여 직접 화면을 터치하여 입력하는 터치 입력방식이 많이 적용되고 있다. 터치 입력방식은 키보드나 마우스와 같은 별도의 입력장치 없이 표시 화면에 결합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표시 화면의 특정 위치를 직접 터치하여 입력할 수 있어 직관적이고 편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터치 입력방식으로 현재 정전용량식 터치 센서의 구조가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정전용량식 터치 센서는 터치 입력에 따라 터치 감지 전극과 손가락 사이의 정전용량 변화를 감지하거나 서로 교차하는 제1 터치 감지 전극과 제2 터치 감지 전극 사이의 정전용량 변화를 감지하여 터치 입력의 위치를 산출한다.
그러나, 스마트폰과 같이 터치 센서를 입력수단으로 사용하는 전자기기의 기능이 다양화되고 복잡해지면서 더욱 다양한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는 방식이 요구되며, 이에 따라, x, y축으로 구성된 2차원 위치 정보에 추가하여 누르는 힘의 방향 즉 z 축 정보를 추가로 인식할 수 있는 3차원 입력 방식이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52029호에서는 절연층 상에 위치하는 제1전극과 제2전극; 및 탄성폼;을 포함하는 압력 검출 모듈을 포함하는 스마트폰을 개시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7-0121904호에서는 박막 트랜지스터를 구비하고, 플렉서빌리티(flexibility)를 갖는 기판; 상기 기판 상에서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와 연결된 유기 발광 소자; 및 상기 기판 하부에서 상기 기판을 지지하며, 터치 입력의 세기를 측정하도록 구성된 압력 센서를 구비하는 백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압력 센서 일체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52029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7-0121904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기술적 배경을 바탕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기존의 2차원 입력을 감지할 수 있는 표시 장치에 추가로 용이하게 압력 센서를 부가하여 3차원 입력을 감지할 수 있게 하는 압력 센서용 적층체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3차원 입력을 감지할 수 있는 표시 장치의 제조 공정 간소화 및 박막화를 달성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편광판; 상기 편광판 상부의 점착층; 상기 점착층 상부의 분리층; 상기 분리층 상부의 보호층; 상기 보호층 상부의 굴절률 조절층; 및 상기 굴절률 조절층 상부의 압력 감지용 전극 패턴을 포함하는 압력 센서용 적층체를 제공한다.
여기에서, 상기 굴절률 조절층은 SiON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굴절률 조절층은 2 이상의 층의 적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압력 감지용 전극 패턴은 중앙부에 비해 가장자리부에서 더 조밀하게 이루어진 패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르면, 프레임; 상기 프레임 상부에 결합된 BLU; 상기 BLU 상부에 위치하는 압력 감지용 대향 전극; 상기 압력 감지용 대향 전극 상부에 에어 갭 또는 OCA층을 사이에 두고 결합된 상기 압력 센서용 적층체; 및 상기 압력 센서용 적층체 상부에 결합된 표시층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압력 센서용 적층체는 상기 편광판이 상기 표시층과 마주보는 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표시층은 LCD층 또는 OLED층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굴절률 조절층을 포함하는 압력 센서용 적층체를 편광판에 전사 방식으로 형성하여 시인성을 해치지 않으면서 압력 센서를 표시 장치에 용이하게 부가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편광판과 일체형으로 압력 센서용 적층체를 형성함으로써 편광판과의 접합 공정이 생략될 수 있으며, 압력 센서용 적층체의 기재로서 편광판이 대신 사용되므로 표시 장치의 박막화를 달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 센서용 적층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선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 센서용 적층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4g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 센서용 적층체의 제조 방법의 공정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할 때, 도면들은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일 뿐, 본 발명이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설명 상의 편의를 위해 일부 구성요소들은 도면 상에서 과장되게 표현되거나, 축소 또는 생략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은 편광판에 전사 방식으로 형성하여 표시 장치에 용이하게 부가할 수 있으며 굴절률 조절층을 포함하여 시인성이 개선되는 압력 센서용 적층체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 센서용 적층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2는 도 1의 II-II'선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 센서용 적층체(10)는 편광판(110), 편광판(110) 상부의 점착층(120), 점착층(120) 상부의 분리층(130), 분리층(130) 상에 형성된 보호층(140), 보호층(140) 상에 형성된 굴절률 조절층(150), 굴절률 조절층(150) 상에 형성된 압력 감지용 전극패턴(160) 및 압력 감지용 전극 패턴(160)을 덮는 패시베이션층(17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편광판(110)은 압력 센서용 적층체(10)의 기재 역할을 하며 표시 장치에 사용되는 공지의 것이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PVA(폴리비닐알코올), TAC(트리아세틸셀룰로스)나 COP(시클로올레핀폴리머) 계열 필름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 센서용 적층체(10)는 전사 방식을 사용하여 형성하며, 점착층(120)은 별도의 캐리어 기판(도시하지 않음) 상에서 형성한 압력 센서 구성 요소(130 내지 170)를 편광판(110)과 결합하기 위하여 형성하는 층이다.
점착층(120)은 예를 들면 OCA(Optically Clear Adhesive)와 같은 고분자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점착층(120)으로 OCA를 사용할 경우, OCA의 탄성률은 0 내지 5 MPa, 두께는 5 내지 150um일 수 있다.
분리층(13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 센서용 적층체(10)의 제조공정에서 캐리어 기판과의 박리를 위해 형성하는 층이다. 따라서 분리층(130)은 캐리어 기판과는 물리적인 힘을 통해 분리될 수 있다.
보호층(140)은 상기 분리층(130)을 보호하기 위한 층으로 분리층(130) 위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유연성 압력 센서를 제공하기 위하여 분리층(130) 또는 보호층(140), 또는 분리층(130)과 보호층(140)이 모두 유기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기층의 재질로는 고분자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고분자 재질은 예를 들면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폴리메타크릴레이트(polymethacrylate, 예를 들면 PMMA), 폴리이미드(polyimide), 폴리아미드(polyamide), 폴리비닐알코올(poly vinyl alcohol), 폴리아믹산(polyamic acid), 폴리올레핀(polyolefin, 예를 들면, PE, PP), 폴리스티렌(polystyrene), 폴리노보넨(polynorbornene), 페닐말레이미드 공중합체(phenylmaleimide copolymer), 폴리아조벤젠(polyazobenzene), 폴리페닐렌프탈아미드(polyphenylenephthalamide), 폴리에스테르(polyester, 예를 들면, PET, PBT), 폴리아릴레이트(polyarylate), 신나메이트(cinnamate)계 고분자, 쿠마린(coumarin)계 고분자, 프탈리미딘(phthalimidine)계 고분자, 칼콘(chalcone)계 고분자 및 방향족 아세틸렌계 고분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물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 센서용 적층체(10)에서는 압력 감지용 전극 패턴을 편광판과 일체형으로 형성함으로써 표시 장치에서 편광판을 결합하는 단계에서 압력 감지용 전극 패턴을 결합할 수 있다. 이 때, 압력 센서용 적층체(10)의 결합 방향 및/또는 결합 위치에 따라 압력 감지용 전극 패턴(160)이 사용자에게 시인될 가능성이 발생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 센서용 적층체(10)에서는 압력 감지용 전극 패턴(160)을 형성하기 전에 보호층(140) 상부에 굴절률 조절층(150)을 형성한다.
굴절률 조절층(150)을 형성하기 위한 물질은 이 분야에서 공지된 것을 특별한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SiON을 사용할 수 있다. 그밖에도, 무기 재료로서, 예를 들면, 산화 지르코늄, 산화 아연, 산화 규소, 산화 세륨, 산화 인듐, 산화 티타늄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유기 재료의 예를 들면, 아크릴계 화합물, 실리콘계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각각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굴절률 조절층(150)은 하나의 굴절률을 갖는 단독층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또는 굴절률이 서로 다른 적어도 2개의 층이 적층되어 형성된 것일 수도 있다.
굴절률 조절층(150)이 복수의 층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보호층(140) 상에 고굴절층/저굴절층 순서로 적층된 것일 수 있으며, 이 경우, 고굴절 물질 두께 저굴절 물질 두께를 최적화하여 광학적 특성 차이를 더욱 감소시켜 시인성을 개선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굴절률 조절층(150)의 굴절률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면, 1.45 내지 2.5 일 수 있으며, 굴절률 조절층(150)이 고굴절층/저굴절층으로 이루어진 경우, 고굴절층은 1.55 내지 2.5, 저굴절층은 1.45 내지 1.95일 수 있다.
굴절률 조절층(150)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면, 무기 박막의 경우 10 내지 1000Å,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200Å일 수 있으며, 유기막의 경우 0.5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일 수 있다.
굴절률 조절층(150)의 형성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면, 그라비아법, 진공증착법, 스퍼터링법, 이온 플레이팅법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은 방법을 통해 박막 형태로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다.
굴절률 조절층(150) 상부에 형성되는 압력 감지용 전극 패턴(160)은 투명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금속, 금속 나노와이어, 금속 산화물, 탄소 나노튜브, 그래핀, 전도성 고분자 및 도전성 잉크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금속은 금, 은, 구리, 몰리브덴, 알루미늄, 팔라듐, 네오듐, 백금, 아연, 주석, 티타늄 또는 이들의 합금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그리고, 금속 나노와이어는 은 나노와이어, 구리 나노와이어, 지르코늄 나노와이어, 금 나노와이어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그리고, 금속 산화물은 인듐틴옥사이드(ITO), 인듐징크옥사이드(IZO), 인듐징크틴옥사이드(IZTO), 알루미늄징크옥사이드(AZO), 갈륨징크옥사이드(GZO), 플로린틴옥사이드(FTO), 징크옥사이드(ZnO)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또한 압력 감지용 전극 패턴(160)은 탄소 나노튜브(CNT) 또는 그래핀 (graphene)을 포함하는 탄소(carbon)계 물질로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전도성 고분자는 폴리피롤(polypyrrole), 폴리티오펜(polythiophene), 폴리아세틸렌(polyacetylene), 피닷(PEDOT) 및 폴리아닐린(polyaniline)을 포함하며, 상기 도전성 잉크는 금속파우더와 경화성 고분자 바인더가 혼합된 잉크를 포함한다.
또한, 압력 감지용 전극 패턴(160)은 전기 저항을 저감시키기 위해 경우에 따라서는 2 이상의 전도층의 적층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압력 감지용 전극 패턴(160)은 일 실시예로 ITO, AgNW(은나노와이어), 또는 메탈 메쉬로 1층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2 이상의 층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제 1 전극층을 ITO와 같은 투명 금속산화물로 형성하고, 전기적 저항을 더 낮추기 위하여 ITO 전극층 상부에 금속이나 AgNW 등을 이용하여 제 2 전극층을 형성할 수 있다.
압력 감지용 전극 패턴(160)은 이 분야에서 공지된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압력 센서의 중앙부에 비해 가장자리부에서 패턴이 더 조밀하게 형성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압력 감지용 전극 패턴(160)을 이와 같이 형성하는 이유는 동일한 힘을 갖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대한 압력 감지 전극의 변위가 압력 센서의 위치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이다. 즉, 압력 센서의 가장자리부에서는 동일한 힘으로 터치 입력을 하더라도 압력 감지 전극의 변위가 중앙부에 비해 적으며, 이를 보상하기 위해 가장자리부의 패턴을 중앙부에 비해 조밀하게 형성한다.
이제, 상술한 바와 같은 압력 센서용 적층체(10)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 센서용 적층체(10)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프레임(40) 상에 BLU(30)가 부착되어 있으며, BLU(30) 상에 압력 및 거리 측정을 위한 에어 갭 또는 OCA층(20)을 사이에 두고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압력 센서용 적층체(10)가 부착된다. 압력 센서용 적층체(10) 상에는 표시층(50), 터치 센서(60), 편광판(70), 커버글래스(80)가 차례로 적층되어 있다.
압력 센서용 적층체(10)는 그 편광판(도 2: 110)이 표시층(50)과 마주보는 방향으로 부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압력 감지용 전극 패턴(도 2: 160)이 BLU(30) 상부에 위치하게 될 수 있으며, 이는 압력 감지용 전극 패턴(160)이 사용자에게 시인될 수 있도록 하는 원인이 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 센서용 적층체(10)에서는 굴절률 조절층(도 2: 150)을 통해 압력 감지용 전극 패턴(160)이 형성된 부분과 형성되지 않은 부분의 반사율 차이를 감소시켜 시인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도면 상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에어 갭 또는 OCA층(20)과 BLU(30) 사이에 압력 감지용 대향 전극이 형성될 수 있다.
표시층(50)은 예를 들면, OLED층이거나 LCD층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터치 센서(60)는 2차원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는 터치 센서로서, 예를 들면, 정전용량식 터치 센서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 센서용 적층체(10)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의하면, 압력 감지용 전극 패턴을 편광판과 일체형으로 형성함으로써 편광판과의 접합 공정이 생략될 수 있으며, 압력 센서용 적층체의 기재로서 편광판이 대신 사용되므로 표시 장치의 박막화를 달성할 수 있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력 센서용 적층체의 제조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압력 센서용 적층체는 캐리어 기판을 이용하여 공정을 진행하여 적층 구조를 형성한 후 캐리어 기판을 분리하고 편광판을 부착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g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 센서용 적층체의 제조 방법의 공정 단면도이다.
먼저, 도 4a를 참조하면, 캐리어 기판(100)을 준비한 후, 분리층 형성용 조성물을 도포하여 분리층(130)을 형성한다.
캐리어 기판(100)으로는 유리 기판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만, 이후 압력 감지 센서를 형성하는 공정에서의 온도를 견딜 수 있도록 고온에서도 변형이 되지 않는, 즉 평탄성을 유지할 수 있는 내열성을 가진 재료가 바람직하다.
분리층(130)의 재료로는 상술한 바와 같은 고분자 유기막을 사용할 수 있다.
분리층 형성용 조성물을 도포하는 방법으로는 공지의 코팅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핀 코팅, 다이 코팅, 스프레이 코팅, 롤 코팅, 스크린 코팅, 슬릿 코팅, 딥 코팅, 그라비아 코팅 등을 들 수 있다. 또는 잉크젯 방식이 사용될 수도 있다.
분리층 형성용 조성물은 코팅 후 경화시켜 분리층(130)을 형성한다. 이때 경화 공정은 열경화 또는 UV경화를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열경화 및 UV 경화를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열경화를 사용할 경우 오븐, 핫 플레이트 등에 의해 가열할 수 있으며, 가열 온도 및 시간은 조성물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일례로 80 내지 250 ℃에서 10 내지 120 분의 조건으로 열처리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b에 나타난 바와 같이, 형성된 분리층(130) 상에 보호층 형성용 조성물을 도포하여 보호층(140)을 형성한다.
보호층 형성용 조성물의 재료, 코팅 방법 및 경화 공정은 분리층에 대해 상술한 바와 같다.
이제, 도 4c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보호층(140) 상부에 굴절률 조절층(150)을 형성한다.
굴절률 조절층(150)은, 예를 들면, SiON을 증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다음, 도 4d에 나타난 바와 같이, 굴절률 조절층(150) 상에 투명 전도막을 형성하고 패터닝하여 압력 감지용 전극 패턴(160)을 형성한다. 투명 전도막의 패터닝은 감광성 레지스트를 이용하는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감광성 레지스트는 네가티브형(negative type) 감광성 레지스트 또는 포지티브형(positive type) 감광성 레지스트가 사용될 수 있다.
이제 도 4e에 나타난 바와 같이, 압력 감지용 전극 패턴(160) 상부에 패시베이션층(170)을 형성한다.
다음, 도 4f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적층 구조의 제조 공정을 진행하기 위하여 사용된 캐리어 기판(100)으로부터 적층 구조가 형성된 분리층(130)을 분리한다. 캐리어 기판(100)을 분리층(130)으로부터 분리하는 공정은 상온에서 진행되며, 예를 들면 유리 기판인 캐리어 기판(100)을 분리층(130)으로부터 떼어내는 물리적인 박리 방식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박리하는 방법은 리프트오프(Lift-off) 또는 필오프(Peel-off)의 방법이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 경우 박리시 가해지는 힘의 크기는 분리층의 박리력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1N/25mm 이하가 바람직하며, 0.1N/25mm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박리력이 1N/25mm를 초과할 경우, 캐리어 기판으로부터 박리시에 필름 터치 센서가 찢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필름 터치 센서에 과도한 힘이 가해져 필름 터치 센서가 변형되어 디바이스의 기능을 하지 못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g에 나타난 바와 같이, 캐리어 기판(100)이 박리된 분리층(130)의 면에 점착제 또는 접착제를 사용하여 편광판(110)을 부착한다.
예를 들면, 편광판(110)은 OCA와 같은 점착제를 사용하여 분리층(130)과 점착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편광판(110)은 접착제를 사용하여 분리층(130)에 접착될 수 있는데, 사용 가능한 접착제는 광경화형 접착제이며 광경화 후 별도의 건조 공정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제조공정이 단순하여 생산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광경화형 접착제로는 해당 분야에서 사용되는 광경화형 접착제를 특별한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에폭시 화합물 또는 아크릴계 단량체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착제층의 광경화에 있어서, 원자외선, 자외선, 근자외선, 적외선 등의 광선, X선, γ선 등의 전자파 외에, 전자선, 프로톤선, 중성자선 등을 이용할 수 있으나, 경화 속도, 조사 장치의 입수의 용이성, 가격 등으로부터 자외선 조사에 의한 경화가 유리하다.
자외선 조사를 행할 때의 광원으로서는, 고압 수은등, 무전극 램프, 초고압 수은등 카본 아크 램프, 제논 램프, 메탈할라이드 램프, 케미컬 램프, 블랙라이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독립적으로 또는 그 특징들의 일부 또는 전부를 조합하여 적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지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압력 센서용 적층체 20: 에어 갭 또는 OCA층
30: 백라이트유닛 40: 프레임
50: 표시층 60: 터치 센서
70: 편광판 80: 커버글래스
110: 편광판 120: 점착층
130: 분리층 140: 보호층
150: 굴절률 조절층 160: 압력 감지용 전극 패턴
170: 패시베이션층

Claims (7)

  1. 편광판;
    상기 편광판 상부의 점착층;
    상기 점착층 상부의 분리층;
    상기 분리층 상부의 보호층;
    상기 보호층 상부의 굴절률 조절층; 및
    상기 굴절률 조절층 상부의 압력 감지용 전극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압력 감지용 전극 패턴은 중앙부에 비해 가장자리부에서 더 조밀하게 이루어진 패턴을 갖도록 형성되는 압력 센서용 적층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굴절률 조절층은 SiON층을 포함하는 압력 센서용 적층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굴절률 조절층은 2 이상의 층의 적층 구조를 갖는 압력 센서용 적층체.
  4. 삭제
  5. 프레임;
    상기 프레임 상부에 결합된 BLU;
    상기 BLU 상부에 위치하는 압력 감지용 대향 전극;
    상기 압력 감지용 대향 전극 상부에 에어 갭 또는 OCA층을 사이에 두고 결합된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압력 센서용 적층체; 및
    상기 압력 센서용 적층체 상부에 결합된 표시층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센서용 적층체는 상기 편광판이 상기 표시층과 마주보는 방향으로 결합된 표시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층은 LCD층 또는 OLED층인 표시 장치.
KR1020180002615A 2018-01-09 2018-01-09 압력 센서용 적층체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3897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2615A KR102389761B1 (ko) 2018-01-09 2018-01-09 압력 센서용 적층체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2615A KR102389761B1 (ko) 2018-01-09 2018-01-09 압력 센서용 적층체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4630A KR20190084630A (ko) 2019-07-17
KR102389761B1 true KR102389761B1 (ko) 2022-04-22

Family

ID=67512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2615A KR102389761B1 (ko) 2018-01-09 2018-01-09 압력 센서용 적층체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9761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2029B1 (ko) 2015-04-13 2016-08-30 주식회사 하이딥 압력 검출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폰
KR20170112482A (ko) * 2016-03-31 2017-10-12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필름 터치 센서
KR102563454B1 (ko) 2016-04-26 2023-08-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압력 센서 일체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터치 스크린 일체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1838686B1 (ko) * 2016-12-01 2018-03-14 주식회사 하이딥 압력 검출을 위한 전극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 입력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4630A (ko) 2019-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10643B2 (en) Touch panel and junction structure of touch panel and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US20120075209A1 (en) Touch panel
KR102337695B1 (ko) 필름 터치 센서
US20140307186A1 (en) Touch panel
TWI722159B (zh) 觸碰感測器及其製備方法
US20180210570A1 (en) Touch sensor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US20130069906A1 (en) Touch sensing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KR101866632B1 (ko) 터치센서 일체형 컬러 필터 및 그 제조 방법
TWI636386B (zh) 混合觸控感測電極及觸控螢幕面板
KR101956086B1 (ko) 터치 패널,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79220B1 (ko) 투명 전극 패턴 적층체 및 이를 구비한 터치 스크린 패널
US20170220161A1 (en) Touch window
JP2013186633A (ja) 透明導電膜、透明導電膜製造方法およびタッチパネル
KR20190103872A (ko) 터치센서 일체형 디지타이저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170113033A (ko) 필름 터치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US9864241B1 (en) Display stack having an optically transparent conductor and polarizing layer
JP2013214173A (ja) 静電容量方式のフィルムセンサーとこれを用いたセンサーモジュール及びカバーモジュール
KR20130046022A (ko) 터치 패널
KR102053704B1 (ko) 고해상도 터치 센서
CN104978058B (zh) 电路元件及其制造方法
TWI486859B (zh) 電容式觸控面板結構
KR102389761B1 (ko) 압력 센서용 적층체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1391306B1 (ko) 인쇄법을 적용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터치 스크린 패널
KR102354108B1 (ko) 터치 패널과 연성 인쇄회로기판의 접합 구조체
KR20170124323A (ko) 터치 패널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