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9470B1 - 무정전 전원 공급장치로 전환 가능한 에너지 저장 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정전 전원 공급장치로 전환 가능한 에너지 저장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9470B1
KR102389470B1 KR1020180002333A KR20180002333A KR102389470B1 KR 102389470 B1 KR102389470 B1 KR 102389470B1 KR 1020180002333 A KR1020180002333 A KR 1020180002333A KR 20180002333 A KR20180002333 A KR 20180002333A KR 102389470 B1 KR102389470 B1 KR 1023894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ergy storage
storage system
power supply
constant power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23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84506A (ko
Inventor
이승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to KR10201800023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9470B1/ko
Priority to JP2020502614A priority patent/JP7106630B2/ja
Priority to PCT/KR2019/000229 priority patent/WO2019135657A1/ko
Priority to EP19735962.3A priority patent/EP3648296A4/en
Priority to US16/652,821 priority patent/US11646600B2/en
Publication of KR201900845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45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94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94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 H02J9/061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for DC powered loa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66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 G01R19/16576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comparing DC or AC voltage with one threshol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2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2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 G01R31/3835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involving only voltage measur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40Testing power suppl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4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 H01M10/443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in response to temperatur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 H02J9/068Electronic means for switching from one power supply to another power supply, e.g. to avoid parallel conne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06Overdischarge prote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08Overvoltage prote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09Overheat or overtemperature protec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Stand-By Power Supply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을 무정전 전원 공급장치(UPS)로 전환하는 방법은, 상기 에너지 저장 시스템에 상시 전원이 공급되는지 유무를 판단하는 상시 전원 공급 판단단계, 상기 상시 전원 공급 유무에 따라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동작 모드를 설정하는 동작 모드 설정 단계, 상기 동작 모드에 대응되는 기준에 따라 상기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제어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 제어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무정전 전원 공급장치로 전환 가능한 에너지 저장 시스템{Switchable ESS device for UPS}
본 발명은 무정전 전원 공급장치로 전환하여 사용 가능한 에너지 저장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방전 진단을 우회하여 방전하는 회로를 추가로 구비함으로써,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무정전 전원 공급장치로 전환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정전 전원 공급장치는 UPS 장치라고도 하며, 계통의 상용 전원 및 발전기 전원의 변동시 부하에 일정한 전압 및 주파수를 부하 기기에 연속적으로 공급하고, 정전시에도 배터리 전원을 이용하여 지정된 시간 동안 전원을 연속적으로 유지 공급하는 시스템적 장치를 의미한다.
이러한 무정전 전원 공급장치는 산업이 발전하면서 데이터의 손실이나 정보의 손실 등의 피해를 감소하고자 개발된 것으로서, 컴퓨터를 주로 사용하는 현재 사회에서는 시장성 및 발전이 날로 증가되어 전력전자회로 분야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다.
아울러 상기 무정전 전원 공급장치(UPS)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Energy Storage System, ESS)과의 장벽이 허물어지게 되어 최근에는 정부가 무정전 전원 공급장치(UPS)만 가능했던 일반 시설물에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을 적용가능 하도록 함으로써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무정전 전원 공급장치 겸용으로 사용하는 형태(UES, UPS+ESS)가 개발되고 있다.
한편, 일반적인 에너지 저장 시스템은, 에너지 저장 시스템이 과방전 되어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수명이 감소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충전용량, 온도, 방전 전압 등에 따라서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방전을 제어하게 된다.
한편, 무정전 전원 공급장치는, 데이터의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부하에 전원이 끊기지 않고 공급되도록 방전하는 것이 최우선순위를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최대한 방전하도록 방전 기준을 낮게 설정하는 것이 좋다.
따라서,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무정전 전원 공급장치 겸용으로 사용하는 경우 에너지 저장 시스템으로 사용되는 경우의 방전 기준과 무정전 전원 공급장치로 사용되는 경우의 방전 기준이 별도로 관리 및 제어 해야 된다.
이에 대한 종래의 기술은, 사용 용도에 따라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방전 기준을 소프트웨어 제어를 통해 설정하는 기술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에너지 저장 시스템 사용 용도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제1 기준을 기반으로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부하로 방전하고,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무정전 전원 공급장치 사용 용도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1 기준보다 낮은 제2 기준을 기반으로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부하로 방전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소프트웨어 제어를 통해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무정전 전원 공급장치 겸용으로 사용하는 경우,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방전 기준(제1 기준)과 무정전 전원 공급장치의 방전 기준(제2 기준) 각각에 대응되는 소프트웨어를 개발 해야 되므로 소프트웨어 개발에 시간과 비용이 많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소프트웨어 변경을 최소화하고 간단한 스위치 조작만으로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무정전 전원 공급장치로 전환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한국등록특허공보 KR 10-1605475
본 발명은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진단 회로를 우회하여 방전하는 회로를 구성함으로써, 정전 발생시 간단한 스위치 조작으로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진단 회로를 우회하여, 에너지 저장 시스템이 무정전 전원 공급장치로 전환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을 무정전 전원 공급장치(UPS)로 전환하는 방법은, 상기 에너지 저장 시스템에 상시 전원이 공급되는지 유무를 판단하는 상시 전원 공급 판단단계, 상기 상시 전원 공급 유무에 따라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동작 모드를 설정하는 동작 모드 설정 단계, 상기 동작 모드에 대응되는 기준에 따라 상기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제어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 제어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시 전원 공급 판단 단계는, 상기 상시 전원으로부터 인가 받는 전압을 측정하는 인가 전압 측정 단계, 상기 상시 전원으로부터 인가 받는 전압 및 기설정된 기준 전압을 비교하여 상시 전원 공급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판단 단계는, 상시 전원으로부터 인가 받는 전압이 기설정된 기준 전압 이상인 경우 상시 전원이 공급되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전원으로부터 인가 받는 전압이 기설정된 기준 전압 미만인 경우 상시 전원이 공급이 중단 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동작 모드 설정 단계는, 상기 상시 전원 공급 판단 단계에서 상시 전원이 공급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에너지 저장 시스템 모드로 설정하고, 상기 상시 전원 공급 판단 단계에서 상시 전원의 공급이 중단 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무정전 전원 공급장치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에너지 저장 시스템 제어 단계는, 상기 에너지 저장 시스템이 상기 에너지 저장 시스템 모드로 설정되는 경우, 소정의 기준으로 방전 가능 여부를 진단하는 방전 진단 단계 및 상기 방전 진단 단계의 진단 결과에 따라 메인 방전 스위치를 온 시켜 방전을 수행하며, 상기 에너지 저장 시스템이 상기 무정전 전원 공급장치 모드로 설정되는 경우, 상기 방전 진단 단계를 수행하지 않고 UPS 방전 스위치를 온 시켜 바로 방전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방전 진단 단계는, 상기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충전 용량, 온도, 방전 전압을 측정하고, 이를 상기 소정의 기준과 비교하여 상기 에너지 저장 시스템이 방전 가능한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상시 전원 공급 판단 단계는, 상기 에너지 저장 시스템과 상시 전원의 물리적인 체결 여부를 확인하는 체결 확인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체결 확인 단계는, 상시 전원 출력단이 체결 확인부의 삽입부에 삽입되어 체결 확인부의 스위치의 온 상태인 경우, 상시 전원과 에너지 저장 시스템이 물리적으로 체결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체결 확인부의 스위치가 오프 상태인 경우, 상시 전원과 에너지 저장 시스템이 물리적으로 체결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체결 확인 단계는, 상기 스위치가 자성체에 의해 온 되는 마그네틱 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경우, 상기 상시 전원 출력단은 자성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상시 전원 출력단이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삽입부에 삽입되면, 상기 상시 전원의 출력단에 구비되는 자성체에 의해 상기 마그네틱 스위치가 온 될 수 있다.
상기 체결 확인 단계는, 상기 스위치가 가압에 의해 온 되는 푸시 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경우, 상시 전원의 출력단은 가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상시 전원의 출력단이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삽입부에 삽입되면, 상기 상기 전원의 출력단에 구비되는 가압부에 의해 상기 푸시 스위치가 온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다른 무정전 전원 공급장치 모드로 동작 가능한 에너지 저장 시스템은, 상시 전원 공급 여부를 확인하는 상시 전원 공급 확인부, 상기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동작 모드, 충/방전을 제어하는 BMS, 상기 BMS의 제어에 따라 동작하는 모드 전환 스위치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시 전원 공급 확인부는, 상기 상시 전원으로부터 인가되는 전압을 측정하는 전압 측정 모듈 및 상기 상기 전원으로부터 인가 받은 전압과 기설정된 기준 전압을 비교하여 상시 전원 연결 유무를 판단하는 판단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판단 모듈은, 상시 전원으로부터 인가 받는 전압이 기설정된 기준 전압 이상인 경우 상시 전원이 공급되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전원으로부터 인가 받는 전압이 기설정된 기준 전압 미만인 경우 상시 전원이 공급이 중단 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BMS는, 상기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동작 모드를 설정하는 모드 설정 모듈 및 상기 에너지 저장 시스템이 에너지 저장 시스템 모드로 설정되면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방전 가능 여부를 진단하는 방전 진단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모드 설정 모듈은, 상기 상시 전원 공급 확인부에서 상시 전원이 공급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에너지 저장 시스템 모드로 설정하고, 상기 상시 전원 공급 확인부에서 상시 전원의 공급이 중단 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무정전 전원 공급장치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방전 진단 모듈은, 상기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충전 용량, 온도, 방전 전압을 측정하고, 이를 상기 소정의 기준과 비교하여 상기 에너지 저장 시스템이 방전 가능한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모드 전환 스위치부는, 상기 에너지 저장 시스템이 에너지 저장 시스템 모드로 설정되면, BMS로부터 방전 명령을 수신 받아 온 되어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방전하는 메인 방전 스위치 및 상기 BMS로부터 UPS 동작 모드 명령을 수신 받아 온 되어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UPS 모드로 동작 시키는 UPS 방전 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UPS 방전 스위치는, 다이오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메인 방전 스위치와 UPS 방전 스위치는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상시 전원 공급 확인부는, 상기 상시 전원과 물리적으로 체결되었는지를 확인하는 체결 확인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체결 확인부는, 상시 전원의 출력단이 삽입되는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에 상시 전원 출력단의 삽입 여부에 따라 온 또는 오프 되는 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스위치는 자성체에 의해 온 되는 마그네틱 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상시 전원 출력단은, 상기 마그네틱 스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자성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상시 전원 출력단이 상기 삽입부에 체결되는 경우, 상기 상시 전원 출력단의 자성체에 의해 상기 마그네틱 스위치가 온 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스위치는, 가압에 의해 온 되는 푸시 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상시 전원 출력단은, 상기 푸시 스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압력을 가하는 가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상시 전원 출력단이 상기 삽입부에 체결되는 경우, 상기 상시 전원 출력단의 가압부에 의해 상기 푸시 스위치가 온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무정전 전원 공급장치로 전환함으로써 에너지 저장 시스템만으로 전원 공급 및 백업 전원 공급 모두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간단한 스위치 조작만으로 무정전 전원 공급장치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스팩 별로 제2 기준(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무정전 전원 공급으로 사용시 방전 기준)에 대응되는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지 않아도 되므로, 소프트웨어 개발에 사용되는 시간과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을 무정전 전원 공급장치(UPS)로 전환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정전 전원 공급장치 모드로 동작 가능한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정전 전원 공급장치 모드로 동작 가능한 에너지지 저장 시스템의 회로도이다.
도 4는 종래의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무정전 전원 공급장치 겸용으로 사용하는 기술의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정전 전원 공급장치 모드로 동작 가능한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스위치를 마그네틱 스위치로 구성한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정전 전원 공급장치 모드로 동작 가능한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스위치를 푸시 스위치로 구성한 구성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부호를 붙였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컨대,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에너지 저장 시스템 용도와 무정전 전원 공급장치 용도 겸용으로 사용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정전시 소프트웨어 제어를 통해 방전 기준을 변경하여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무정전 전원 공급장치로 사용하는 대신에 간단한 스위치 조작만으로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무정전 전원 공급장치로 전환하여 사용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도 4는 종래의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무정전 전원 공급장치 겸용으로 사용하는 기술(한국등록특허공보 KR 10-1605475)의 도면이다.
도 4를 살펴보면, 종래의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무정전 전원 공급장치 겸용으로 사용하는 방법은, 에너지 저장 시스템 모드에서는 정격 용량 대비 사용가능 용량을 낮게 설정(제1 기준)하여 정전시 공급 가능한 용량을 증가 시키고, 무정전 전원 모드에서는 정격 용량 대비 사용가능 용량을 높게 설정(제2 기준)하여 정전시 부하로 전원을 공급하는 기술이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제어 소프트웨어를 제1 기준 및 제2 기준에 따라 별도로 소프트웨어를 설계 해야 되므로, 소프트웨어 설계에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었다.
또한, 상기 제1 기준 및 제2 기준은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스펙 별로 별도의 소프트웨어를 설계가 필요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제1 기준 및 제2 기준 만족 여부를 계속 확인 해야 되므로, 시스템 프로세스를 많이 사용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달리, 제1 기준, 제2 기준을 설정하는 것이 아니라 정전시로 판단되는 경우, 간단한 모드 전환 스위칭 회로를 통하여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무정전 전원 공급장치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1.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을 무정전 전원 공급장치(UPS)로 전환하는 방법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을 무정전 전원 공급장치(UPS)로 전환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을 무정전 전원 공급장치(UPS)로 전환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1-1. 상시 전원 공급 판단 단계(S110)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을 무정전 전원 공급장치(UPS)로 전환하는 방법은 상시 전원의 공급 여부를 판단하는 상시 전원 공급 판단 단계(S110)로부터 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을 무정전 전원 공급장치(UPS)로 전환하는 방법은, 정전시에만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무정전 전원 공급장치로 전환하는데,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상기 에너지 저장 시스템은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충전용량, 온도, 방전 전압 등이 소정의 방전 기준을 만족하는 경우에만 방전하므로, 정전시에 상기 소정의 방전 기준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에너지 저장 시스템에 연결된 부하에 전원 공급이 중단 되어 부하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가 손실되거나 부하에 손상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정전 발생시 부하에 전원을 끊기지 않게 공급하기 위해서 상기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무정전 전원 공급장치로 동작하도록 전환 한다.
한편, 정전이 아닐 경우(상시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에도 계속적으로 무정전 전원 공급장치로 사용하면, 무정전 전원 공급장치는 최대한 만충전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충전을 계속적으로 수행하므로,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수명이 단축될 수 있다.
상술한 이유 때문에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기능과 무정전 전원 공급장치의 기능 모두를 갖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정전시에만 무정전 전원 공급장치로 전환하여 사용한다. 따라서, 상시 전원이 다시 공급되는 경우에는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로 전환된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에너지 저장 시스템으로 동작하도록 전환한다.
한편, 상시 전원 공급 판단 단계(S110)는, 상기 상시 전원으로부터 인가 받는 전압을 측정하는 전압 측정 단계(S112) 및 상기 상시 전원으로부터 인가 받는 전압과 기설정된 기준 전압을 비교하여 상시 전원 연결 유무를 판단하는 판단 단계(S11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판단 단계(S113)는, 상시 전원으로부터 인가 받는 전압이 기설정된 기준 전압 이상인 경우 상시 전원이 공급되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전원으로부터 인가 받는 전압이 기설정된 기준 전압 미만인 경우 상시 전원이 공급이 중단 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시 전원 공급 판단 단계(S110)는, 상기 에너지 저장 시스템과 상시 전원이 물리적으로 체결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체결 확인 단계(S111)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체결 확인 단계(S111)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체결 확인부의 스위치가 온 되는 경우, 상시 전원과 에너지 저장 시스템이 물리적으로 체결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체결 확인부의 스위치가 오프되는 경우, 상시 전원과 에너지 저장 시스템이 물리적으로 체결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체결 확인 단계(S111)는, 자성체가 구비된 상시 전원의 출력단이 상기 체결 확인부의 삽입부에 삽입되어 상기 체결 확인부에 구비되는 마그네틱 스위치가 상기 상시 전원의 출력단에 구비되는 자성체에 의해 온 되는 경우, 상시 전원이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자성체가 구비된 상기 상시 전원 출력단이, 체결 확인부의 수용부에 삽입되면 상기 상시 전원 출력단에 구비된 자성체와 상기 마그네틱 스위치와 가까워져 상기 마그네틱 스위치가 온 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체결 확인 단계(S111)는, 가압부가 구비된 상시 전원의 출력단이 상기 체결 확인부의 수용부에 삽입되어 상기 체결 확인부에 구비되는 푸시 스위치가 상기 출력단에 구비된 가압부에 의해 온 되는 푸시 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경우, 상시 전원이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압부가 구비된 상기 상시 전원 츨력단이 상기 체결 확인부의 삽입부에 삽입되면 상기 가압부가 상기 푸시 스위치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압력을 가하여 상기 푸시 스위치는 온 될 수 있다.
이러한 체결 확인 단계(S111)는 본 발명의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수명 감소를 방지할 수 있다.
만약 상시 전원이 연결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무정전 전원 공급 모드로 계속 사용하면 통상적인 무정전 전원 공급장치는 과방전 유무에 상관 없이 최대한 부하로 전원을 공급하는 목적으로 사용되므로 에너지 저장 시스템이 과방전 되어 에너지 저장 시스템이 손상 받아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사용 수명이 감소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에너지 저장 시스템은 에너지 저장 시스템 모드와 무정전 전원 공급 모드를 겸용으로 사용하므로, 에너지 저장 시스템이 과방전 되어 에너지 저장 시스템이 손상 되어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사용 수명이 감소해서는 안 된다.
따라서, 체결 확인 단계를 더 포함하면, 에너지 저장 시스템이 상시 전원이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에너지 저장 시스템 모드로만 사용 가능하도록 설정함으로써, 에너지 저장 시스템이 과방전 되어 에너지 저장 시스템이 손상 되는 것을 방지하고,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사용 수명을 늘릴 수 있다.
1-2. 동작 모드 설정 단계(S120)
한편, 동작 모드 설정 단계(S120)는, 상기 상시 전원 공급 확인 단계(S110)에서 상시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와 상시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에 따라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동작 모드를 설정하는 단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시 전원 공급 확인 단계(S110)에서 상시 전원이 공급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에너지 저장 시스템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시 전원 공급 확인 단계(S110)에서 상시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기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무정전 전원 공급장치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무정전 전원 공급장치 모드로 설정하는 방법으로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BMS에서 에너지 저장 시스템이 방전되는 메인 방전 스위치와는 별개로 구비된 UPS 방전 스위치를 온 시킴으로써,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무정전 전원 공급장치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UPS 방전 스위치를 온 시키게 되면, 에너지 저장 시스템 모드로 사용될 때 방전되는 경로와는 다른 경로를 통해 부하로 방전이 발생하게 되므로, 후술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방전 진단 단계를 수행하지 않고 부하로 방전을 수행할 수 있다.
1-3. 에너지 저장 시스템 제어 단계(S130)
한편, 에너지 저장 시스템 제어 단계(S130)는, 상기 동작 모드 설정 단계(S120)에서 에너지 저장 시스템 모드를 유지하는 경우에는, 방전 진단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1-3-1. 방전 진단 단계(S131)
상기 방전 진단 단계(S131)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충전용량, 온도, 방전 전압을 기반으로 에너지 저장 시스템이 방전 가능한지 여부를 진단하는 단계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에너지 저장 시스템은 과방전으로 인해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수명이 줄어들거나 손상 받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방전시 최소 충전 용량, 방전시 최대/최소 온도 범위, 방전시 최대 방전 전압 등이 기설정되어 있다. 이때 기설정되어 있는 방전시 최소 충전 용량, 방전시 최대/최소 온도 범위, 방전시 최대 방전 전압 등은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스팩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방전 진단 단계(S131)는, 상기 기설정되어 있는 방전시 최소 충전 용량, 방전시 최대/최소 온도 범위, 방전시 최대 방전 전압과 현재의 충전 용량, 온도, 방전 전압을 비교하여, 현재의 충전 용량, 온도, 방전 전압이 기설정되어 있는 방전시 최소 충전 용량 이상, 방전시 최대/최소 온도 범위 이내, 방전시 최대 방전 전압 미만인 경우에만 에너지 저장 시스템이 방전 가능한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방전 진단 단계(S131)에서 에너지 저장 시스템이 방전 가능한 상태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BMS에서 메인 방전 스위치를 온 하여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방전 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동작 모드 설정 단계(S120)에서 무정전 전원 공급장치 모드로 설정되는 경우에는, 상기 방전 진단 단계를 수행하지 않고 바로 방전을 수행(S132)할 수 있다.
이때에는, 상기 메인 방전 스위치와는 별도의 UPS 방전 스위치를 온 시켜,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방전 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방전 진단 단계(S131)를 거치지 않고, BMS에서 상기 메인 방전 스위치를 우회하는 상기 UPS 동작 스위치를 온 시켜서 방전 진단 단계를 수행하지 않고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방전 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방전 진단 단계를 수행하지 않고 부하로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기설정되어 있는 방전시 최소 충전 용량 미만이고, 방전시 최대/최소 온도 범위 밖이고, 방전시 최대 방전 전압을 초과하는 경우에도 방전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정전으로 인해 부하의 데이터가 손상되거나 손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2.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정전 전원 공급장치 모드로 동작 가능한 에너지 저장 시스템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정전 전원 공급장치 모드로 동작 가능한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다른 무정전 전원 공급장치 모드로 동작 가능한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회로도의 예시이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정전 전원 공급장치 모드로 동작 가능한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설명한다.
2-1 상시 전원 공급 확인부(100)
먼저 상시 전원 공급 확인부(100)는,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을 무정전 전원 공급장치(UPS)로 전환하는 방법의 상시 전원 공급 판단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에너지 저장 시스템은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충전용량, 온도, 방전 전압 등이 소정의 방전 기준을 만족하는 경우에만 방전하므로, 정전시에 상기 소정의 방전 기준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에너지 저장 시스템에 연결된 부하에 전원 공급이 중단 되어 부하에 저장되었는 데이터가 손실되거나 부하에 손상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정전 발생시 부하에 전원을 끊기지 않게 공급하기 위해서 상기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무정전 전원 공급장치 모드로 전환한다.
한편, 정전이 아닐 경우(상시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에도 계속적으로 무정전 전원 공급장치로 사용하면, 무정전 전원 공급장치는 최대한 만충전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충전을 계속적으로 수행하므로,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수명이 단축될 수 있다.
상술한 이유 때문에 에너지 저장 시스템 모드와 무정전 전원 공급장치 모드 모두를 갖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은 정전시에만 에너지 저장 시스템 모드를 무정전 전원 공급장치 모드로 전환하여 사용한다.
한편, 상시 전원 공급 확인부(100)는, 상기 상시 전원으로부터 인가 받는 전압을 측정하는 전압 측정 모듈(110) 및 상기 상시 전원으로부터 인가 받는 전압과 기설정된 기준 전압을 비교하여 상시 전원 연결 유무를 판단하는 판단 모듈(1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2-1-1. 전압 측정 모듈(110)
한편, 본 발명의 전압 측정 모듈(110)은, 상기 상시 전원으로부터 에너지 저장 시스템에 공급되는 전압을 측정하는 모듈이다. 상기 전압 측정 모듈은 BMS 내부에 탑재되어 형성되거나 별도의 모듈 형태로 제작되어 에너지 저장 시스템에 탑재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압 측정 모듈에서 측정된 상기 상시 전원으로부터 에너지 저장 시스템에 공급되는 전압은 후술하는 판단 모듈(120)로 전송된다.
2-1-2. 판단 모듈(120)
한편, 본 발명의 상기 판단 모듈(120)은, 상시 전원으로부터 에너지 저장 시스템에 공급되는 전압이 기설정된 기준 전압 이상인 경우 상시 전원이 공급되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전원으로부터 인가 받는 전압이 기설정된 기준 전압 미만인 경우 상시 전원이 공급이 중단 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2-1-3. 체결 확인부(130)
한편, 상기 상시 전원 공급 확인부(100)는, 상기 에너지 저장 시스템과 상시 전원의 출력단이 물리적으로 체결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체결 확인부(13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시 전원의 출력단은 플러그 또는 케이블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2-1-3-1. 수용부(131)
상기 수용부는 상기 상시 전원의 출력단이 삽입되거나 연결되는 구성이다. 본 발명의 에너지 저장 시스템은 상기 수용부를 통하여 상시 전원을 받아들인다.
2-1-3-2. 체결 확인 스위치(132)
상기 체결 확인 스위치는, 상기 수용부로 삽입되는 상시 전원의 출력단의 삽입여부 또는 연결 연결여부를 확인하는 스위치다.
상기 체결 확인 스위치는 후술하는 마그네틱 스위치 혹은 푸시 스위치 등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2-1-3-2-1. 마그네틱 스위치(132-1)
마그네틱 스위치는 자성체가 일정 범위 이상 접근하는 경우, 온 또는 오프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도 5는 상시 전원의 출력단에 자성체가 포함되어 상시 전원의 출력단이 수용부에 삽입되는 경우, 마그네틱 스위치가 온 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마그네틱 스위치는, 상기 상시 전원의 출력단이 상기 수용부에 삽입되면, 상기 상시 전원의 출력단에 구비된 자성체가 상기 마그네틱 스위치와 일정 범위 이상으로 접근한다.
상기 상시 전원의 출력단에 구비된 자성체가 상기 마그네틱 스위치에 일정 범위 이상으로 접근하면, 상기 마그네틱 스위치는 온 된다.
2-1-3-2-2. 푸시 스위치(132-2)
푸시 스위치는 일정 압력 이상이 가해지는 경우, 온 또는 오프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도 6은 상시 전원의 출력단에 가압부가 포함되어 상시 전원 출력단이 수용부에 삽입되는 경우, 푸시 스위치가 온 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푸시 스위치는, 상기 상시 전원의 출력단이 상기 수용부에 삽입되면, 상기 상시 전원의 출력단에 구비된 가압부가 상기 푸시 스위치에 일정 압력 이상을 가하게 된다.
상기 상시 전원의 출력단에 구비된 가압부가 상기 푸시 스위치에 일정 압력 이상을 가하면, 상기 푸시 스위치는 온 된다.
한편, 상술한 체결 확인부(110)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사용 수명이 감소를 방지할 수 있다.
만약, 상시 전원이 연결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무정전 전원 공급 모드로 계속 사용하면 통상적인 무정전 전원 공급장치는 과방전 유무에 상관 없이 최대한 부하로 전원을 공급하는 목적으로 사용되므로 에너지 저장 시스템이 과방전 되어 에너지 저장 시스템이 손상 받아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사용 수명이 감소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에너지 저장 시스템은 에너지 저장 시스템 모드와 무정전 전원 공급 모드를 겸용으로 사용하므로, 에너지 저장 시스템이 과방전 되어 에너지 저장 시스템이 손상 되어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사용 수명이 감소해서는 안 된다.
따라서, 체결 확인부(110)를 더 포함하면, 에너지 저장 시스템이 상시 전원이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에너지 저장 시스템 모드로만 사용 가능하도록 설정함으로써, 에너지 저장 시스템이 과방전 되어 에너지 저장 시스템이 손상 되는 것을 방지하고,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사용 수명을 늘릴 수 있다.
2-2. BMS(200)
상기 BMS는, 상기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동작 모드를 설정하는 모드 설정 모듈(210) 및 상기 에너지 저장 시스템이 에너지 저장 시스템 모드를 유지하면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방전 가능 여부를 진단하는 방전 진단 모듈(2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2-2-1. 모드 설정 모듈(210)
한편, 모드 설정 모듈(210)은, 상기 상시 전원 확인부(100)에서 상시 전원이 공급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에너지 저장 시스템 모드를 설정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상시 전원 공급 확인부에서 상시 전원의 공급이 중단 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에너지 저장 시스템 모드를 무정전 전원 공급장치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2-2-2. 방전 진단 모듈(220)
상기 방전 진단 모듈(220)은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충전용량, 온도, 방전 전압을 기반으로 에너지 저장 시스템이 방전 가능한지 여부를 진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에너지 저장 시스템은 과방전으로 인해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수명이 줄어들거나 손상 받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방전시 최대/최소 충전 용량 범위, 방전시 최대/최소 온도 범위, 방전시 최대/최소 방전 전압 범위 등이 기설정되어 있다. 이때 기설정되어 있는 방전시 최대/최소 충전 용량 범위, 방전시 최대/최소 온도 범위, 방전시 최대/최소 방전 전압 범위 등은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스팩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방전 진단 모듈(220)은, 상기 기설정되어 있는 방전시 최대/최소 충전 용량 범위, 방전시 최대/최소 온도 범위, 방전시 최대/최소 방전 전압 범위와 현재의 충전 용량, 온도, 방전 전압을 비교하여, 현재의 충전 용량, 온도, 방전 전압이 기설정되어 있는 방전시 최대/최소 충전 용량 범위, 방전시 최대/최소 온도 범위, 방전시 최대/최소 방전 전압 범위 내의 값인 경우에만 에너지 저장 시스템이 방전 가능한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
2-3. 모드 전환 스위치부(300)
상기 모드 전환 스위치부(300)는, 상기 에너지 저장 시스템이 에너지 저장 시스템 모드로 설정되면, BMS로부터 방전 명령을 수신 받아 온 되어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방전하는 메인 방전 스위치(310) 및 상기 BMS로부터 UPS 동작 모드 명령을 수신 받아 온 되어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UPS 모드로 동작 시키는 UPS 방전 스위치(3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UPS 방전 스위치는, 다이오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메인 방전 스위치와 UPS 방전 스위치는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모드 전환 스위치부(300)는, 상기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충전을 제어하는 메인 충전 스위치(33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메인 충전 스위치(330)이 더 포함되는 경우, 상기 메인 방전 스위치(310), UPS 방전 스위치(320) 및 메인 충전 스위치(330)는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 실시 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지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당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상시 전원 확인부
110 : 체결 확인부
111 : 마그네틱 스위치
112 : 자성체
200 : BMS
210 : 모드 설정 모듈
220 : 방전 진단 모듈
300 : 모드 전환 스위치부
310 : 메인 방전 스위치
320 : UPS 방전 스위치
330 : 메인 충전 스위치

Claims (17)

  1.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을 무정전 전원 공급장치(UPS)로 전환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저장 시스템에 상시 전원이 공급되는지 유무를 판단하는 상시 전원 공급 판단단계;
    상기 상시 전원 공급 유무에 따라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동작 모드를 설정하는 동작 모드 설정 단계;
    상기 동작 모드에 대응되는 기준에 따라 상기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제어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 제어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동작 모드 설정 단계는,
    상기 상시 전원 공급 판단 단계에서 상시 전원이 공급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에너지 저장 시스템 모드로 설정하고,
    상기 상시 전원 공급 판단 단계에서 상시 전원의 공급이 중단 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무정전 전원 공급장치 모드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에너지 저장 시스템 제어 단계는,
    상기 에너지 저장 시스템이 상기 에너지 저장 시스템 모드로 설정되는 경우,
    소정의 기준으로 방전 가능 여부를 진단하는 방전 진단 단계; 및
    상기 방전 진단 단계의 진단 결과에 따라 UPS 방전스위치와 병렬 연결되어 제1 방전경로를 형성하는 메인 방전 스위치를 온 시켜 방전을 수행하며,
    상기 에너지 저장 시스템이 상기 무정전 전원 공급장치 모드로 설정되는 경우,
    상기 방전 진단 단계를 수행하지 않고 상기 메인 방전 스위치와 병렬 연결되어 상기 제1 방전경로와는 다른 제2의 방전경로를 형성하는 UPS 방전 스위치를 온 시켜 방전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을 무정전 전원 공급장치(UPS)로 전환하는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시 전원 공급 판단 단계는,
    상기 상시 전원으로부터 인가 받는 전압을 측정하는 인가 전압 측정 단계;
    상기 상시 전원으로부터 인가 받는 전압 및 기설정된 기준 전압을 비교하여 상시 전원 공급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판단 단계는,
    상시 전원으로부터 인가 받는 전압이 기설정된 기준 전압 이상인 경우 상시 전원이 공급되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전원으로부터 인가 받는 전압이 기설정된 기준 전압 미만인 경우 상시 전원이 공급이 중단 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을 무정전 전원 공급장치(UPS)로 전환하는 방법.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전 진단 단계는,
    상기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충전 용량, 온도, 방전 전압을 측정하고, 이를 상기 소정의 기준과 비교하여 상기 에너지 저장 시스템이 방전 가능한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을 무정전 전원 공급장치(UPS)로 전환하는 방법.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상시 전원 공급 판단 단계는,
    상기 에너지 저장 시스템과 상시 전원의 물리적인 체결 여부를 확인하는 체결 확인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체결 확인 단계는,
    상시 전원 출력단이 체결 확인부의 삽입부에 삽입되어 체결 확인부의 스위치의 온 상태인 경우, 상시 전원과 에너지 저장 시스템이 물리적으로 체결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체결 확인부의 스위치가 오프 상태인 경우, 상시 전원과 에너지 저장 시스템이 물리적으로 체결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며,
    상시 전원과 에너지 저장 시스템이 물리적으로 체결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에너지 저장시스템 모드로만 사용되도록 설정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을 무정전 전원 공급장치(UPS)로 전환하는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체결 확인 단계는,
    상기 스위치가 자성체에 의해 온 되는 마그네틱 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경우,
    상기 상시 전원 출력단은 자성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상시 전원 출력단이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삽입부에 삽입되면, 상기 상시 전원의 출력단에 구비되는 자성체에 의해 상기 마그네틱 스위치가 온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을 무정전 전원 공급장치(UPS)로 전환하는 방법.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체결 확인 단계는,
    상기 스위치가 가압에 의해 온 되는 푸시 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경우,
    상시 전원의 출력단은 가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상시 전원의 출력단이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삽입부에 삽입되면, 상기 상기 전원의 출력단에 구비되는 가압부에 의해 상기 푸시 스위치가 온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을 무정전 전원 공급장치(UPS)로 전환하는 방법.
  9. 무정전 전원 공급장치 모드로 동작 가능한 에너지 저장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저장 시스템은,
    상시 전원 공급 여부를 확인하는 상시 전원 공급 확인부;
    상기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동작 모드, 충/방전을 제어하는 BMS;
    상기 BMS의 제어에 따라 동작하는 모드 전환 스위치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BMS는,
    상기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동작 모드를 설정하는 모드 설정 모듈 및
    상기 에너지 저장 시스템이 에너지 저장 시스템 모드로 설정되면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방전 가능 여부를 진단하는 방전 진단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모드 설정 모듈은,
    상기 상시 전원 공급 확인부에서 상시 전원이 공급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에너지 저장 시스템 모드로 설정하고,
    상기 상시 전원 공급 확인부에서 상시 전원의 공급이 중단 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무정전 전원 공급장치 모드로 설정하며,
    상기 모드 전환 스위치부는,
    상기 에너지 저장 시스템이 에너지 저장 시스템 모드로 설정되면, BMS로부터 방전 명령을 수신 받아 온 되어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방전하는 메인 방전 스위치; 및
    상기 BMS로부터 무정전 전원 공급장치 모드 명령을 수신 받아 온 되어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UPS 모드로 동작 시키는 UPS 방전 스위치;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전원 공급장치로 전환 가능한 에너지 저장 시스템.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상시 전원 공급 확인부는,
    상기 상시 전원으로부터 인가되는 전압을 측정하는 전압 측정 모듈; 및
    상기 상기 전원으로부터 인가 받는 전압과 기설정된 기준 전압을 비교하여 상시 전원 연결 유무를 판단하는 판단 모듈;
    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판단 모듈은,
    상시 전원으로부터 인가 받는 전압이 기설정된 기준 전압 이상인 경우 상시 전원이 공급되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전원으로부터 인가 받는 전압이 기설정된 기준 전압 미만인 경우 상시 전원이 공급이 중단 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전원 공급장치로 전환 가능한 에너지 저장 시스템.
  11. 삭제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방전 진단 모듈은,
    상기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충전 용량, 온도, 방전 전압을 측정하고, 이를 소정의 기준과 비교하여 상기 에너지 저장 시스템이 방전 가능한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전원 공급장치로 전환 가능한 에너지 저장 시스템.
  13. 삭제
  14.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UPS 방전 스위치는,
    다이오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메인 방전 스위치와 UPS 방전 스위치는 병렬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전원 공급장치로 전환 가능한 에너지 저장 시스템.
  15.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상시 전원 공급 확인부는,
    상기 상시 전원과 물리적으로 체결되었는지를 확인하는 체결 확인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체결 확인부는,
    상시 전원의 출력단이 삽입되는 수용부; 및
    상기 수용부에 상시 전원 출력단의 삽입 여부에 따라 온 또는 오프 되는 스위치;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전원 공급장치로 전환 가능한 에너지 저장 시스템.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자성체에 의해 온 되는 마그네틱 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상시 전원 출력단은,
    상기 마그네틱 스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자성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상시 전원 출력단이 상기 수용부에 체결되는 경우, 상기 상시 전원 출력단의 자성체에 의해 상기 마그네틱 스위치가 온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전원 공급장치로 전환 가능한 에너지 저장 시스템.
  17.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가압에 의해 온 되는 푸시 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상시 전원 출력단은,
    상기 푸시 스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압력을 가하는 가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상시 전원 출력단이 상기 수용부에 체결되는 경우, 상기 상시 전원 출력단의 가압부에 의해 상기 푸시 스위치가 온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전원 공급장치로 전환 가능한 에너지 저장 시스템.
KR1020180002333A 2018-01-08 2018-01-08 무정전 전원 공급장치로 전환 가능한 에너지 저장 시스템 KR1023894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2333A KR102389470B1 (ko) 2018-01-08 2018-01-08 무정전 전원 공급장치로 전환 가능한 에너지 저장 시스템
JP2020502614A JP7106630B2 (ja) 2018-01-08 2019-01-07 無停電電源供給装置に切換え可能なエネルギー貯蔵システム
PCT/KR2019/000229 WO2019135657A1 (ko) 2018-01-08 2019-01-07 무정전 전원 공급장치로 전환 가능한 에너지 저장 시스템
EP19735962.3A EP3648296A4 (en) 2018-01-08 2019-01-07 ENERGY STORAGE SYSTEM CONVERTIBLE TO UNINTERRUPTED POWER SUPPLY
US16/652,821 US11646600B2 (en) 2018-01-08 2019-01-07 Energy storage system convertible to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2333A KR102389470B1 (ko) 2018-01-08 2018-01-08 무정전 전원 공급장치로 전환 가능한 에너지 저장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4506A KR20190084506A (ko) 2019-07-17
KR102389470B1 true KR102389470B1 (ko) 2022-04-22

Family

ID=67144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2333A KR102389470B1 (ko) 2018-01-08 2018-01-08 무정전 전원 공급장치로 전환 가능한 에너지 저장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646600B2 (ko)
EP (1) EP3648296A4 (ko)
JP (1) JP7106630B2 (ko)
KR (1) KR102389470B1 (ko)
WO (1) WO201913565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17997A (ko) 2022-02-03 2023-08-10 주식회사 포드림 정해진 주기에 따라 에너지저장장치(ess)와 무정전전원공급장치(ups)의 역할을 절체하는 자동절체장치를 포함하는 ess-ups겸용 전기 에너지 공급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3321Y1 (ko) * 2004-06-29 2004-10-0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살균기능을 갖는 휴대폰 충전기
JP2013027136A (ja) * 2011-07-20 2013-02-04 Seiko Electric Co Ltd 貯蔵電力制御装置、貯蔵電力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5029405A (ja) 2013-07-30 2015-02-12 イファ テクノロジーズ インフォメーション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バッテリーを備えた無停電電源装置のエネルギー貯蔵システム及びその運転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9317741U1 (de) * 1993-11-19 1994-01-27 Gimmy, Lindomare, Dr., 99610 Sömmerda Gerät zur Überwachung der Netzspannungsversorgung von elektrischen Verbrauchern
JPH10164765A (ja) * 1996-11-25 1998-06-19 Yamaha Motor Co Ltd 電池駆動装置、電池管理装置および外部機器のコントローラ
JPH1159291A (ja) * 1997-08-26 1999-03-02 Harness Sogo Gijutsu Kenkyusho:Kk 車両における電装品への電力供給装置
KR100273501B1 (ko) 1997-09-24 2001-01-15 이종훈 전력확보용다중전원자동절환장치
JPH11344544A (ja) * 1998-06-03 1999-12-14 Fuji Film Celltec Kk バッテリーパックの電池容量測定方法
JP2006280145A (ja) 2005-03-30 2006-10-12 Ricoh Co Ltd 発電装置、画像形成装置
US8829799B2 (en) * 2006-03-28 2014-09-09 Wireless Environment, Llc Autonomous grid shifting lighting device
US9338839B2 (en) * 2006-03-28 2016-05-10 Wireless Environment, Llc Off-grid LED power failure lights
AU2008224835C1 (en) * 2007-03-14 2013-10-03 Zonit Structured Solutions, Llc Automatic transfer switch module
JP4487210B2 (ja) 2007-03-14 2010-06-23 日本電気株式会社 無停電電源装置
CN101902056B (zh) 2009-06-01 2015-06-17 Ge医疗系统环球技术有限公司 不间断电源和使不间断电源省电的方法
US20120319653A1 (en) * 2011-06-15 2012-12-20 Ajith Kuttannair Kumar System and method for rechargeable battery
KR20140003317U (ko) 2012-11-26 2014-06-05 유호동 정전과 전원분리 식별 기능을 갖는 냉장고의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
CN104143854B (zh) * 2013-05-10 2017-04-12 光宝电子(广州)有限公司 直流型不断电系统及其电压异常检测方法
KR20150069613A (ko) 2013-12-13 2015-06-24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ups)를 활용한 에너지 저장 시스템
KR101605475B1 (ko) 2014-02-19 2016-03-22 세방전지(주) 무정전 전원기능을 갖는 계통연계형 대용량 에너지저장시스템
KR101598452B1 (ko) 2014-09-01 2016-02-29 주식회사 맥스컴 에너지저장장치용 전력조정장치 겸용 무정전 전원장치
US10193380B2 (en) 2015-01-13 2019-01-29 Inertech Ip Llc Power sources and systems utilizing a common ultra-capacitor and battery hybrid energy storage system for both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and generator start-up functions
KR20160128706A (ko) * 2015-04-29 2016-11-08 중소기업은행 하이브리드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US10454772B2 (en) * 2015-10-30 2019-10-22 Vapor IO Inc. Compact uninteruptable power supply
KR101729273B1 (ko) 2015-11-26 2017-04-21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복수의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를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최대 수요 전력을 제어하는 에너지 관리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KR101805273B1 (ko) * 2015-12-29 2017-12-06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온라인 ups 기능이 내장된 에너지 저장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US10137792B2 (en) * 2016-01-20 2018-11-2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control based on lithium plating detection in electrified vehicle battery
US10700527B2 (en) 2016-03-25 2020-06-30 Sharp Kabushiki Kaisha Power generation system, power conditioner, power control device, power control method, and power control program
KR101663445B1 (ko) 2016-04-01 2016-10-06 노제호 에너지저장시스템을 이용한 무정전전원공급장치 및 상기 장치의 동작방법
US10286807B2 (en) * 2016-09-15 2019-05-1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Location-based electric vehicle preemptive cooling for DC fast charg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3321Y1 (ko) * 2004-06-29 2004-10-0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살균기능을 갖는 휴대폰 충전기
JP2013027136A (ja) * 2011-07-20 2013-02-04 Seiko Electric Co Ltd 貯蔵電力制御装置、貯蔵電力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5029405A (ja) 2013-07-30 2015-02-12 イファ テクノロジーズ インフォメーション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バッテリーを備えた無停電電源装置のエネルギー貯蔵システム及びその運転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235604A1 (en) 2020-07-23
US11646600B2 (en) 2023-05-09
EP3648296A4 (en) 2020-08-12
JP2020528723A (ja) 2020-09-24
KR20190084506A (ko) 2019-07-17
JP7106630B2 (ja) 2022-07-26
WO2019135657A1 (ko) 2019-07-11
EP3648296A1 (en) 2020-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49538B2 (ja) 電池ユニット及び電池ユニットを使用する装置
US8334673B2 (en) Voltage monitoring apparatus including active power source, low consumption power source, and a failure diagnosis section to disconnect active power source as a result of failure
US7538518B2 (en) Method for detecting a defective charger circuit
US20110307733A1 (en) Electrical charge and discharge circuit, and an embedded controller
US20060028168A1 (en) Battery pack having a secondary battery and a charging system using the battery pack
US20020190693A1 (en) Battery pack and its tester
EP1778513A2 (en) System and method for electrical energy switching and control in a vehicle
JP2014030281A (ja) 電源システム
US6051956A (en) Rechargeable battery pack with pre-end signal output terminal and electronic device containing rechargeable battery pack
US11228062B2 (en) Battery pack and power system comprising same
US20160056646A1 (en) Overcharge protection apparatus with minimized power consumption
JPH07231584A (ja) 装置に電力を供給するシステムならびに電力貯蔵装置の寿命および容量を評価する方法
US5397974A (en) Rechargeable battery overdischarge prevention circuit
KR102389470B1 (ko) 무정전 전원 공급장치로 전환 가능한 에너지 저장 시스템
CN113316527B (zh) 电源系统
US744986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battery discharge between internal battery and external battery
KR20080000390A (ko) 다중 배터리 셀 제어방법 및 그를 이용한 휴대형 기기
JP2001177998A (ja) モジュール電池の保護装置及び蓄電装置
JPH1012283A (ja) バツテリパツク及びバツテリパツクの制御方法
KR100285714B1 (ko) 양방향 페이저의 충전특성을 이용한 충전배터리 충전장치 및 방법
JP7278906B2 (ja) 電子機器の電源制御回路
KR100308530B1 (ko) 배터리의 충방전 제어회로
JP2022098137A (ja) 無停電電源装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制御方法
JP2004288537A (ja) パック電池、二次電池充電装置および二次電池充電方法
JP2022544466A (ja) 非常電源供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