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9353B1 - 전파 흡수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전파 흡수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9353B1
KR102389353B1 KR1020210173742A KR20210173742A KR102389353B1 KR 102389353 B1 KR102389353 B1 KR 102389353B1 KR 1020210173742 A KR1020210173742 A KR 1020210173742A KR 20210173742 A KR20210173742 A KR 20210173742A KR 102389353 B1 KR102389353 B1 KR 1023893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o wave
wave absorbing
shell
fastening member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37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지한
이명섭
정만철
김현순
Original Assignee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방과학연구소 filed Critical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to KR10202101737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93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93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93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7/00Devices for absorbing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Combinations of such devices with active antenna elements or systems
    • H01Q17/007Devices for absorbing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Combinations of such devices with active antenna elements or systems with means for controlling the absorption

Abstract

일 실시 예에 따른 전파 흡수 어셈블리는, 항공기에 체결 및 해제 가능한 전파 흡수 체결 부재; 및 상기 항공기 및 상기 전파 흡수 체결 부재의 상단을 커버하고, 박리 가능한 전파 흡수 외피를 포함하고, 상기 전파 흡수 외피의 일 부분은 상기 전파 흡수 체결 부재와 탈부착될 수 있다.

Description

전파 흡수 어셈블리{RADAR ABSORBING ASSEMBLY}
아래의 설명은 전파 흡수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텔스 성능을 구현하기 위하여 복합재로 제작된 외피(skin) 전체에 전파흡수도료(RAM, Radar Absorbing Material)를 도포하여 RCS를 저감시킨다. 스텔스 항공기 운용 유지를 위해서는 우선 점검창을 탈거하게 되는데 볼트 상부에 RAM이 도포되어 있어, 이 RAM을 제거한 후 점검창 분리, 내부 탑재장비 탈거 및 점검, 재장착, 점검창 조립, 조립 볼트 RAM 도포/보수 순으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정비/점검시마다 볼트 위에 도포되어 있는 RAM을 제거, 재도포 혹은 보수가 필요하며 이에 따른 작업시간, RAM 경화시간 등이 과도하게 소요된다.
등록특허 제10-1983336호(등록일 2019년05월22일)에는 전파 흡수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전파 흡수 구조체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과정에서 보유하거나 습득한 것으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 공개된 공지기술이라고 할 수는 없다.
일 실시 예의 목적은 스텔스 항공기의 점검시에도 전파 흡수 기능이 저하되지 않고 점검 이후의 보수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키고 반복사용 가능한 전파 흡수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파 흡수 어셈블리는, 항공기에 체결 및 해제 가능한 전파 흡수 체결 부재; 및 상기 항공기 및 상기 전파 흡수 체결 부재의 상단을 커버하고, 박리 가능한 전파 흡수 외피를 포함하고, 상기 전파 흡수 외피의 일 부분은 상기 전파 흡수 체결 부재와 탈부착될 수 있다.
상기 전파 흡수 어셈블리는, 상기 전파 흡수 외피를 상기 전파 흡수 체결 부재에 접착하는 외피 접착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외피 접착 수단은, 상기 전파 흡수 외피가 상기 전파 흡수 체결 부재로부터 복수 회 분리되더라도 접착력이 저하 또는 상실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전파 흡수 외피는, 제 1 외피 및 제 2 외피로 분할되고, 상기 제 1 외피 및 상기 제 2 외피의 분할된 면이 맞닿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파 흡수 체결 부재는, 복수 개로 형성되며, 상기 항공기 상에 하나 이상의 열로 배치되고, 상기 전파 흡수 외피의 상기 일 부분은, 상기 열을 따라서 지그재그 형상으로 분할될 수 있다.
상기 전파 흡수 외피의 상기 일 부분은, 상기 전파 흡수 체결 부재의 상단면과 오버랩되는 영역에서 분할되고, 상기 제 1 외피가 상기 제 2 외피보다 상기 전파 흡수 체결 부재의 상단면에 더 길게 오버랩 될 수 있다.
상기 전파 흡수 외피는, 상기 전파 흡수 체결 부재의 상단면과 오버랩되지 않는 영역에서 분할되고, 상기 제 1 외피가 상기 전파 흡수 체결 부재의 상부를 커버하고, 상기 제 2 외피가 상기 전파 흡수 체결 부재의 상부를 커버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전파 흡수 외피는, 상기 전파 흡수 외피의 외부에서 내부로 갈수록 상기 전파 흡수 체결 부재에 가까워지도록 사선으로 분할되어, 분할된 부분을 기준으로 상기 제 1 외피의 일부는 상기 제 2 외피의 일부의 위에 겹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파 흡수 외피는, 상기 제 1 외피 및 상기 제 2 외피 사이를 접착하는 접착부를 구비하고, 상기 접착부는, 상기 제 1 외피가 제 2 외피로부터 복수 회 분리되더라도 접착력이 저하 또는 상실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전파 흡수 외피는, 상기 전파 흡수 외피의 외부에서 내부로 갈수록 사선으로 분할되어, 분할된 부분을 기준으로 상기 제 1 외피의 일부는 상기 제 2 외피의 일부 위에 겹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외피의 제 1 부분은 상기 전파 흡수 체결 부재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전파 흡수 체결 부재의 타측을 향해 연장되어 상기 전파 흡수 체결 부재의 상부를 커버하도록 연장되고, 상기 제 2 외피의 제 2 부분은 상기 전파 흡수 체결 부재의 상기 타측으로부터 상기 전파 흡수 체결 부재의 상기 일측을 향해 연장되어 상기 전파 흡수 체결 부재의 상부를 커버하도록 연장되고, 상기 제 1 외피의 제 1 부분 및 상기 제 2 외피의 제 2 부분은 상기 전파 흡수 체결 부재의 상부에 적층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외피의 제 1 부분은 상기 전파 흡수 체결 부재의 상기 타측을 넘어 상기 제 2 외피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전파 흡수 외피는, 상기 전파 흡수 체결 부재의 상부의 외측 상에서 상기 제 1 외피 및 상기 제 2 외피를 동시에 관통함으로써 제 1 외피 및 상기 제 2 외피를 고정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전파 흡수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외피는, 상기 제 2 외피는, 함몰된 끼움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외피는 상기 끼움 홈에 형합될 수 있는 끼움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파 흡수 체결 부재는, 상기 항공기 내부로 인입되어 체결되는 체결부; 및 상기 체결부의 상단에 배치되고 전파 흡수 재료로 형성되는 시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 및 상기 시트부에는 상기 전파 흡수 체결 부재를 체결하기 위한 공구가 안착될 수 있도록 공구 홈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파 흡수 체결 부재는, 상기 공구 홈에 삽입되는 인서트부; 및 상기 인서트부의 상단에 형합하는 중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서트부는, 상기 공구 홈에 영구적으로 본딩되고, 상기 중간부는 상기 시트부 및 상기 인서트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시트부에 영구적으로 본딩되어, 상기 인서트부와 상기 중간부가 서로 탈부착가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의 전파 흡수 어셈블리에 따르면, 항공기의 점검시에 체결 부재를 해제하고 결합시키는 과정에서 전파 흡수 도료를 재도포 하지 않을 수 있고, 간단하게 전파 흡수 외피를 분리시키고 점검 이후 부착함으로써 전파 흡수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파 흡수 체결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파 흡수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파 흡수 어셈블리의 평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파 흡수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파 흡수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파 흡수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파 흡수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파 흡수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파 흡수 체결 부재의 단면도이다.
이하,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 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 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파 흡수 체결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파 흡수 체결 부재(11)는, 상단에 전파 흡수 재료로 형성된 부분을 구비하고, 십자머리 홈이 가공되어 있어 전파 흡수 기능이 저하되지 않고 반복 사용가능한 체결 부재를 제공한다. 즉, 전파 흡수 체결 부재(11)의 상단에는 공구 홈이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파 흡수 체결 부재(11)는, 체결부(111), 본딩부(112) 및 시트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체결부(111)는 항공기 내부로 인입되어 체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체결부(111)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본딩부(112)는 체결부(111) 및 시트부(113)를 본딩할 수 있다. 여기서, 본딩부(112)는 체결부(111) 및 시트부(113)가 서로 탈부착되지 않고 영구적으로 접착되도록 할 수 있다.
시트부(113)는 체결부(111)의 상단에 배치되고 전파 흡수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트부(113)는 전파 흡수 도료(Radar Absorbing Material, RAM)를 도포한 후 경화시켜 체결부(111) 상단의 형상(예를 들어, 원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하에서, '전파 흡수 재료'에는 전파 흡수 도료를 경화시킨 재료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파 흡수 어셈블리의 단면도이고,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파 흡수 어셈블리의 평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전파 흡수 어셈블리(1)는, 전파 흡수 외피(12)의 일 부분이 전파 흡수 체결 부재(11)에 탈부착될 수 있으므로, 전파 흡수 체결 부재(11)를 해제 및 체결할 때마다 전파 흡수 도료를 재도포하는 등의 공정을 거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항공기 점검시에도 간단하고 용이하게 전파 흡수 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파 흡수 어셈블리(1)는, 전파 흡수 체결 부재(11), 전파 흡수 외피(12), 외피 접착 수단(13) 및 외피 고정 수단(14)을 포함할 수 있다.
전파 흡수 체결부재(11)는, 항공기(s)에 체결 및 해제 가능하다.
전파 흡수 외피(12)는 항공기(s) 및 전파 흡수 체결 부재(11)의 상단을 커버하고, 박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파 흡수 외피(12)는 일 부분이 전파 흡수 체결 부재(11)로부터 분리 및 개방되어 전파 흡수 체결 부재(11)의 해제 및 체결 이후에, 전파 흡수 체결 부재(11)에 부착될 수 있다. 전파 흡수 외피(12)의 양 측에는 전파 흡수층(a)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파 흡수 외피(12)는, 제 1 외피(121) 및 제 2 외피(122)로 분할되고, 제 1 외피(121) 및 제 2 외피(122)의 분할된 면이 맞닿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파 흡수 외피(12)는 전파 흡수 체결 부재(11)의 상단면과 오버랩되는 영역에서 분할되고, 제 1 외피(121)가 제 2 외피(122)보다 전파 흡수 체결 부재(11)의 상단면에 더 길게 오버랩될 수 있다. 제 1 외피(121) 및 제 2 외피(122)는 각각 들어올려짐으로써 전파 흡수 체결 부재(11)를 노출시켜 점검시 공구가 접근하여 분리 및 결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점검이 완료되면, 전파 흡수 체결 부재(11)를 결합시키고 제 1 외피(121) 및 제 2 외피(122)를 다시 덮고 외피 접착 수단(13)에 의하여 접착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파 흡수 체결 부재(11)가 복수 개로 형성되고 항공기(s) 상에 하나 이상의 열로 배채되고, 전파 흡수 외피(12)는 열을 따라서 지그재그 형상으로 분할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분할 형상에 따르면, 좌우 상하 병진운동에 의한 전파 흡수 외피(12)의 이탈을 줄일 수 있다.
외피 접착 수단(13)는, 전파 흡수 외피(12)를 전파 흡수 체결 부재(11)에 접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파 흡수 외피(12)가 전파 흡수 체결 부재(11)로부터 복수 회 분리되더라도 접착력이 저하 또는 상실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외피 접착 수단(13)은 저 점착성 재료로 형성되어, 영구적으로 접착성을 가질 수 있다.
외피 고정 수단(14)는 전파 흡수 외피(12)를 항공기(s)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외피 고정 수단(14)은 전파 흡수 외피(12)가 이탈하지 않도록 할 결합시킬 수 있다.
위 기재는 아래 다양한 실시 예에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대응되는 구성요소에 대하여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을 명확히 한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파 흡수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전파 흡수 외피(22)는, 전파 흡수 체결 부재(11)의 상단면과 오버랩되지 않는 영역에서 분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파 흡수 외피(22)는, 제 1 외피(221), 제 2 외피(222) 및 접착부(2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외피(221)는 전파 흡수 체결 부재(11)의 상부를 커버하고, 제 2 외피(222)는 전파 흡수 체결 부재(11)의 상부를 커버하지 않을 수 있다. 전파 흡수 외피(12)는, 전파 흡수 외피(12)의 외부에서 내부로 갈수록 전파 흡수 체결 부재(11)에 가까워지도록 사선으로 분할되어, 분할된 부분을 기준으로 제 1 외피(221)의 일부는 제 2 외피(222)의 일부의 위에 겹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접착부(223)는 제 1 외피(221) 및 제 2 외피(222) 사이를 접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착부(223)는, 제 1 외피(221)가 제 2 외피(222)로부터 복수 회 분리되더라도 접착력이 저하 또는 상실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착 부(223)는 저 점착성 재료로 형성되어, 영구적으로 접착성을 가질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파 흡수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전파 흡수 어셈블리(3)의 전파 흡수 외피(32)는, 전파 흡수 체결 부재(11)의 상단면에 오버랩되는 영역에서 분할되고, 전파 흡수 외피(32)의 외부에서 내부로 갈수록 사선으로 분할되어, 분할된 부분을 기준으로 제 1 외피(321)의 일부는 제 2 외피(322)의 일부 위에 겹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전파 흡수 체결 부재(11)는, 시트부(113)를 포함하지 않고, 외피 접착 수단(13')으로 접착된 전파 흡수 외피(32)에 의하여 전파 흡수 효과를 발현할 수 있다. 여기서, 외피 접착 수단(13')은, 본딩부(112)와 같이 전파 흡수 외피(32)와 체결부(111)를 영구적으로 접착하지 않는 탈부착 가능한 접착 재료일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파 흡수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전파 흡수 어셈블리(4)의 전파 흡수 외피(42)는 제 1 외피(421) 및 제 2 외피(422)로 분할될 수 있다.
제 1 외피(421)의 제 1 부분은 전파 흡수 체결 부재(11)의 일측으로부터 전파 흡수 체결 부재(11)의 타측을 향해 연장되어 전파 흡수 체결 부재(11)의 상부를 커버하도록 연장되고, 제 2 외피(422)의 제 2 부분은 전파 흡수 체결 부재(11)의 타측으로부터 전파 흡수 체결 부재(11)의 일측을 향해 연장되어 전파 흡수 체결 부재(11)의 상부를 커버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제 1 외피(421)의 제 1 부분 및 제 2 외피(422)의 제 2 부분은 전파 흡수 체결 부재(11)의 상부에 적층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 1 외피(421) 및 제 2 외피(422)는 외피 접착 수단(13)에 의하여 접착될 수 있고, 제 1 외피(421)를 분리하고, 제 2 외피(422)를 분리하는 순서대로 전파 흡수 체결 부재(11)를 노출 시킬 수 있고, 제 2 외피(422)를 덮고 제 1 외피(421)를 덮는 순서대로 전파 흡수 체결 부재(11)를 커버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파 흡수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전파 흡수 어셈블리(5)는 전파 흡수 체결 부재(11), 전파 흡수 외피(52), 외피 접착 수단(13), 외피 고정 수단(14) 및 고정부(53)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53)는, 전파 흡수 채결 부재(11)의 상부의 외측 상에서 제 1 외피(521) 및 제 2 외피(522)를 동시에 관통함으로써 제 1 외피(521) 및 상기 제 2 외피(522)를 고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외피(521)의 제 1 부분은 전파 흡수 체결 부재(11)의 타측을 넘어 제 2 외피(522)를 향해 연장될 수 있고, 고정부(53)는 제 1 외피(521)에서 전파 흡수 체결 부재(11)의 상부를 넘어서 타측으로 연장된 부분 및 제 2 외피(522)를 동시에 관통함으로써 고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부(53)는 전하 흡수 재료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전파 흡수 어셈블리(5)의 표면 전체적으로 전파 흡수 기능이 유지될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파 흡수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 1 외피(621)는 돌출되어 끼움 홈에 형합하는 끼움 돌기(6211)를 포함하고, 제 2 외피(622)는 함몰되어 끼움 돌기에 형합하는 끼움 홈을 포함할 수 있다.
끼움 돌기(6211)는 제 1 외피(621)의 제 2 외피(622)에 가까운 측의 단부에 상기 전파 흡수 체결 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끼움 홈은 제 2 외피(622)에서 끼움 돌기(6211)에 형합하도록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점검시에 끼움 홈으로부터 끼움 돌기(6211)를 분리시켜 제 1 외피(621)를 박리할 수 있다. 점검 이후에는 끼움 돌기(6211)를 끼움 홈에 끼움으로써 제 1 외피(621)를 부착할 수 있다.
도 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파 흡수 체결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전파 흡수 체결 부재(21)는, 체결부(111), 제 1 본딩부(112), 인서트부(213), 중간부(214), 제 2 본딩부(215) 및 시트부(216)를 포함할 수 있다.
인서트부(213)는 공구 홈에 삽입될 수 있고, 중간부(214)는 인서트부(213)의 상단에 형합할 수 있다. 인서트부(213)는, 공구 홈에 영구적으로 본딩되고, 중간부(214)는 시트부(216) 및 인서트부(213) 사이에 배치되고 시트부216)에 영구적으로 본딩될 수 있다. 인서트부(213)와 중간부(214)를 분리 및 결합함으로써 탈부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서트부(213)는 중간부(214)와 나사산 형태로 형합될 수 있고 인서트부(213)의 헤드는 육각 볼트형상으로 형성되어 육각 소켓 렌치로 조립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실시 예들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구조, 장치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Claims (16)

  1. 항공기에 체결 및 해제 가능한 전파 흡수 체결 부재; 및
    상기 항공기 및 상기 전파 흡수 체결 부재의 상단을 커버하고, 박리 가능한 전파 흡수 외피를 포함하고,
    상기 전파 흡수 외피의 일 부분은 상기 전파 흡수 체결 부재와 탈부착될 수 있고,
    상기 전파 흡수 외피는,
    제 1 외피 및 제 2 외피로 분할되고, 상기 제 1 외피 및 상기 제 2 외피의 분할된 면이 맞닿도록 배치되고,
    상기 전파 흡수 체결 부재는, 복수 개로 형성되며, 상기 항공기 상에 하나 이상의 열로 배치되고,
    상기 전파 흡수 외피의 상기 일 부분은,
    상기 열을 따라서 지그재그 형상으로 분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파 흡수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파 흡수 외피를 상기 전파 흡수 체결 부재에 접착하는 외피 접착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외피 접착 수단은,
    상기 전파 흡수 외피가 상기 전파 흡수 체결 부재로부터 복수 회 분리되더라도 접착력이 저하 또는 상실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파 흡수 어셈블리.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파 흡수 외피의 상기 일 부분은,
    상기 전파 흡수 체결 부재의 상단면과 오버랩되는 영역에서 분할되고, 상기 제 1 외피가 상기 제 2 외피보다 상기 전파 흡수 체결 부재의 상단면에 더 길게 오버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파 흡수 어셈블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파 흡수 외피는,
    상기 전파 흡수 체결 부재의 상단면과 오버랩되지 않는 영역에서 분할되고, 상기 제 1 외피가 상기 전파 흡수 체결 부재의 상부를 커버하고, 상기 제 2 외피가 상기 전파 흡수 체결 부재의 상부를 커버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파 흡수 어셈블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파 흡수 외피는, 상기 전파 흡수 외피의 외부에서 내부로 갈수록 상기 전파 흡수 체결 부재에 가까워지도록 사선으로 분할되어, 분할된 부분을 기준으로 상기 제 1 외피의 일부는 상기 제 2 외피의 일부의 위에 겹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파 흡수 어셈블리.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전파 흡수 외피는,
    상기 제 1 외피 및 상기 제 2 외피 사이를 접착하는 접착부를 구비하고,
    상기 접착부는,
    상기 제 1 외피가 제 2 외피로부터 복수 회 분리되더라도 접착력이 저하 또는 상실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전파 흡수 어셈블리.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전파 흡수 외피는, 상기 전파 흡수 외피의 외부에서 내부로 갈수록 사선으로 분할되어, 분할된 부분을 기준으로 상기 제 1 외피의 일부는 상기 제 2 외피의 일부 위에 겹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파 흡수 어셈블리.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외피의 제 1 부분은 상기 전파 흡수 체결 부재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전파 흡수 체결 부재의 타측을 향해 연장되어 상기 전파 흡수 체결 부재의 상부를 커버하도록 연장되고,
    상기 제 2 외피의 제 2 부분은 상기 전파 흡수 체결 부재의 상기 타측으로부터 상기 전파 흡수 체결 부재의 상기 일측을 향해 연장되어 상기 전파 흡수 체결 부재의 상부를 커버하도록 연장되고,
    상기 제 1 외피의 제 1 부분 및 상기 제 2 외피의 제 2 부분은 상기 전파 흡수 체결 부재의 상부에 적층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파 흡수 어셈블리.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외피의 제 1 부분은 상기 전파 흡수 체결 부재의 상기 타측을 넘어 상기 제 2 외피를 향해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파 흡수 어셈블리.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파 흡수 외피는,
    상기 전파 흡수 체결 부재의 상부의 외측 상에서 상기 제 1 외피 및 상기 제 2 외피를 동시에 관통함으로써 제 1 외피 및 상기 제 2 외피를 고정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전파 흡수 어셈블리.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전파 흡수 재료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파 흡수 어셈블리.
  14.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외피는,
    함몰된 끼움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외피는
    상기 끼움 홈에 형합될 수 있는 끼움 돌기를 포함하는,
    전파 흡수 어셈블리.
  15. 항공기에 체결 및 해제 가능한 전파 흡수 체결 부재; 및
    상기 항공기 및 상기 전파 흡수 체결 부재의 상단을 커버하고, 박리 가능한 전파 흡수 외피를 포함하고,
    상기 전파 흡수 외피의 일 부분은 상기 전파 흡수 체결 부재와 탈부착될 수 있으며,
    상기 전파 흡수 체결 부재는,
    상기 항공기 내부로 인입되어 체결되는 체결부; 및
    상기 체결부의 상단에 배치되고 전파 흡수 재료로 형성되는 시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 및 상기 시트부에는 상기 전파 흡수 체결 부재를 체결하기 위한 공구가 안착될 수 있도록 공구 홈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파 흡수 어셈블리.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전파 흡수 체결 부재는,
    상기 공구 홈에 삽입되는 인서트부; 및
    상기 인서트부의 상단에 형합하는 중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서트부는,
    상기 공구 홈에 영구적으로 본딩되고,
    상기 중간부는 상기 시트부 및 상기 인서트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시트부에 영구적으로 본딩되어,
    상기 인서트부와 상기 중간부가 서로 탈부착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파 흡수 어셈블리.
KR1020210173742A 2021-12-07 2021-12-07 전파 흡수 어셈블리 KR1023893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3742A KR102389353B1 (ko) 2021-12-07 2021-12-07 전파 흡수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3742A KR102389353B1 (ko) 2021-12-07 2021-12-07 전파 흡수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9353B1 true KR102389353B1 (ko) 2022-04-21

Family

ID=81437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3742A KR102389353B1 (ko) 2021-12-07 2021-12-07 전파 흡수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935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72383A (ko) * 2008-12-22 2010-07-0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자파 흡수체를 구비한 운송수단 용 자동 요금 징수 시스템, 운송용 장치, 건물형 구조물, 전자기기, 전자파 무반사실
KR20130085162A (ko) * 2012-01-19 2013-07-29 한국과학기술원 전자파 흡수 패널의 제조방법
KR20170040774A (ko) * 2015-10-05 2017-04-13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자성시트, 이를 포함하는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기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72383A (ko) * 2008-12-22 2010-07-0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자파 흡수체를 구비한 운송수단 용 자동 요금 징수 시스템, 운송용 장치, 건물형 구조물, 전자기기, 전자파 무반사실
KR20130085162A (ko) * 2012-01-19 2013-07-29 한국과학기술원 전자파 흡수 패널의 제조방법
KR20170040774A (ko) * 2015-10-05 2017-04-13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자성시트, 이를 포함하는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23833B2 (en) Window installation method and apparatus
US8297556B2 (en) Window element for insertion in a window cutout in an outer skin of an aircraft
US20040011927A1 (en) Apparatuses and methods for joining structural members, such as composite structural members
US20070075187A1 (en) Window frame for aircraft
EP1448369B1 (en) Method and system of thermal protection
KR20140117434A (ko) 고정장치 지지체 스트립
KR102389353B1 (ko) 전파 흡수 어셈블리
US8038823B2 (en) Peel ply masking device for an adhesive bonded attachment
US20030015278A1 (en) Method of sealing a panel to an aircraft structure
JP6797903B2 (ja) 外側から固定される、輸送手段の側面のグレージングユニット
EP2877374A1 (de) Ultraschallsensoranordnung mit einem zwischenelement,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ultraschallsensoranordnung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15205016A1 (de) Verbindungssystem, Verbindungsanordnung und Verfahren
DE102008041259B4 (de) Klebehalter zur Anbindung eines leichtgewichtigen Bauteils
US20180170548A1 (en) Aircraft module covering device
EP1698514B1 (de) Leuchte für Fahrzeuge
CA2168003A1 (en) Large aircraft critical surface covers
US20160375535A1 (en) Drilling method for structural parts, and collecting element for a drilling method of this kind
EP1963722B1 (en) Method for producing a releasable seal with a sealing compound and use of adhesive strips for carrying out the method
US11472573B2 (en) Tool for holding the side panels of a primary structure of an aircraft pylon during assembly thereof, and method for assembling a primary structure of an aircraft pylon using said holding tool
WO2020104313A1 (de) Haltenocken und schnellverschlusssystem hiermit
DE102011077188B4 (de) Elektrische Komponente und Kontaktierungsverfahren für eine elektrische Komponente
US20220170165A1 (en) Method for applying a corrosion protection layer to a surface to be protected of a component
DE102014106319A1 (de) Verfahren und System zum Aufbringen einer Folie auf ein zur Aushärtung vorgesehenes Kunststoffwerkstück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Kunststoffwerkstücks
CN203805817U (zh) 固定组件、防水罩和车辆
DE102012020181B4 (de) Befestigungselement und Verfahren zum Befestig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