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8137B1 - 전원 플러그 - Google Patents

전원 플러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8137B1
KR102388137B1 KR1020190176459A KR20190176459A KR102388137B1 KR 102388137 B1 KR102388137 B1 KR 102388137B1 KR 1020190176459 A KR1020190176459 A KR 1020190176459A KR 20190176459 A KR20190176459 A KR 20190176459A KR 102388137 B1 KR102388137 B1 KR 1023881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plug
temperature sensor
power
suppor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64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83807A (ko
Inventor
성경모
Original Assignee
성경정밀(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경정밀(주) filed Critical 성경정밀(주)
Priority to KR10201901764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8137B1/ko
Publication of KR202100838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38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81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81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 H01R13/668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with built-in sens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00Details of thermomet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thermometer
    • G01K1/02Mean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specially adapted for thermome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5/00Three p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원 콘센트에 연결하여 사용 중에 과부하와 과열이 발생되면 전기를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전원 플러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 중 과부하와 과열이 발생하면서 화재로 이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온도감지센서를 넣어서 전원 플러그를 몰딩할 때 온도감지센서를 정확한 위치에 안정되게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온도감지센서의 설치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전원 플러그에 관한 것으로, 이는 한 쌍의 전원단자가 돌출 구비되는 내부 프레임에 접지단자를 설치하고, 상기 한 쌍의 전원단자와 접지단자에는 전원전선과 접지전선을 각각 연결하며, 양측에 리드선이 구비된 온도감지센서를 지주에 삽입하고, 양측 리드선을 각각의 전선에 연결한 후, 상기 구성들 모두를 몰딩하여 전원 플러그의 하우징을 구성하되, 상기 전원 플러그의 상기 내부 프레임에 지지홀을 형성하고, 상기 온도감지센서가 삽입되는 삽입홀을 일측에 형성한 지주는 프레임과는 별도로 형성하면서 타측에 절개홈에 의해 구성되는 한 쌍의 탄성편을 형성하며, 그 탄성편을 프레임의 지지홀에 결합한 후 구성하는 전원 플러그에 있어서, 상기 지주의 삽입홀에는 상기 온도감지센서를 삽입하고, 상기 온도감지센서의 양측 리드선은 상기 지주의 상기 절개홈으로 인출하며, 상기 지주의 삽입홀 외측으로는 수축튜브를 씌워서 입구를 막은 후, 상기 지주의 상기 탄성편을 상기 내부 프레임의 상기 지지홀에 결합하여 전원 플러그를 구성함으로써 이룰 수 있다.

Description

전원 플러그{Power plug}
본 발명은 전원 콘센트에 연결하여 사용 중에 과부하와 과열이 발생되면 전기를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전원 플러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 중 과부하와 과열이 발생하면서 화재로 이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온도감지센서를 넣어서 전원 플러그를 몰딩할 때 온도감지센서를 정확한 위치에 안정되게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온도감지센서의 설치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전원 플러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원 플러그는 전기기구의 코드 끝에 구비되어 전원 콘센트에 꽂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이와 같은 전원 플러그와 전원 콘센트의 접속에 의해 전원 콘센트로부터 전원 플러그와 코드를 통하여 전기기구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전원 플러그와 전원 콘센트에는 접지단자가 구비되어 전기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이와 같은 접지단자의 구성은 고전압을 사용하는 산업용과 안정된 전압이 필요한 정밀 전기, 전자기기를 비롯하여 전기자동차 등에 주로 사용되었으나, 근래에는 일반 가정에서도 접지단자를 사용할 수 있는 전원 콘센트의 설치가 보편화 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전기 플러그는 내부의 합성수지 프레임에 한 쌍의 전원단자를 고정하고, 그 프레임에 접지단자도 고정하며, 상기 전원단자와 접지단자에 각각의 전선을 연결한 후, 외부의 하우징을 몰딩하여 전원 플러그를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전원 플러그는 접속상태가 불안정해지거나 먼지 등의 이물질이 많이 묻은 상태는 물론 전원 플러그의 전원단자가 전원 콘센트의 소켓단자에 완전히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전기기구를 사용하면 전원단자가 삽입된 접속부분에 과전류가 흘러서 전원 플러그와 전선들의 묶음인 전원코드에 과열이 발생되고, 그로 인하여 화재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과전류와 과열의 발생은 전력소모량이 많은 전기기구에서 더 많이 발생될 뿐만 아니라, 그로 인하여 전력소모량의 많은 전기기구의 전원 플러그는 화재의 위험성도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에도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기술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었으며, 이러한 종래의 기술들은 전원 플러그 내부에 온도감지센서를 삽입하여 과열을 감지함으로써 화재를 방지하는 기술이었다.
그러나 종래의 온도감지센서를 삽입하는 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2003-0096543호와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평05-135827호에 공개된 바와 같이 전원전선 2가닥이 구비되는 전원 플러그를 몰딩할 때 온도감지센서를 전원 플러그의 내부에 함께 몰딩시킴으로써 전원 플러그가 과열되면 온도감지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전기기구의 전원을 강제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그로 인하여 전원 플러그의 과열로 인한 화재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특히 상기 국내외의 공보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종래의 전원 플러그에 삽입되는 온도감지센서는 전원 플러그 내부의 전원단자 사이에 단순하게 위치시킨 후, 전원 플러그의 하우징을 몰딩하는 것이므로 하우징을 몰딩할 때 금형 내부로 주입되는 용융합성수지로 인하여 위치가 변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각각의 전원 플러그마다 온도감지센서의 설치 위치가 달라지면서 감지되는 온도에 편차가 발생되어 일률적이고 균일한 온도감지를 실현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전원 플러그의 하우징 몰딩을 위해 주입되는 합성수지액은 고온의 상태로 금형으로 주입되는 것이므로 온도감지센서는 고온의 합성수지액으로 인하여 사용하기도 전에 기능을 상실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모두 해소할 수 있도록 한 대한민국 특허 제10-2044020호인 전원 플러그가 본원 출원인에 의하여 개발된 바 있으나, 이와 같은 본원 출원인에 의한 선특허 전원 플러그는 과전류와 과열 등을 감지할 수 있도록 온도감지센서가 설치됨은 물론 그 온도감지센서를 내부 프레임에 일체로 형성된 지주에 삽입한 후 몰딩함으로써 몰딩과정에서 온도감지센서의 위치가 변하는 것을 방지하고, 고온의 몰딩수지에 온도감지센서가 직접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선특허 전원 플러그는 온도감지센서를 삽입하는 지주를 내부프레임에 일체로 형성하는 것이므로 온도감지센서를 지주에 삽입한 후, 온도감지센서의 양측 리드선을 각각의 전선에 연결하는 작업이 매우 불편하여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개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온도감지센서를 삽입하는 지주를 전원 플러그의 내부 프레임과는 별도로 구성하여 별도의 지주에 온도감지센서를 삽입하고 그 양측 리드선을 각각의 전선에 연결한 후, 지주를 내부 프레임에 끼워서 고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온도감지센서를 보호하면서 몰딩할 수 있고, 온도감지센서가 일정한 위치에서 과전류와 과열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온도감지센서를 지주에 삽입하고 양측 리드선을 각각의 전선에 연결하는 작업이 별도로 구성된 지주에 의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전원 플러그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한 쌍의 전원단자가 돌출 구비되는 내부 프레임에 접지단자를 설치하고, 상기 한 쌍의 전원단자와 접지단자에는 전원전선과 접지전선을 각각 연결하며, 양측에 리드선이 구비된 온도감지센서를 지주에 삽입하고, 양측 리드선을 각각의 전선에 연결한 후, 상기 구성들 모두를 몰딩하여 전원 플러그의 하우징을 구성하되, 상기 전원 플러그의 상기 내부 프레임에 지지홀을 형성하고, 상기 온도감지센서가 삽입되는 삽입홀을 일측에 형성한 지주는 프레임과는 별도로 형성하면서 타측에 절개홈에 의해 구성되는 한 쌍의 탄성편을 형성하며, 그 탄성편을 프레임의 지지홀에 결합한 후 구성하는 전원 플러그에 있어서, 상기 지주의 삽입홀에는 상기 온도감지센서를 삽입하고, 상기 온도감지센서의 양측 리드선은 상기 지주의 상기 절개홈으로 인출하며, 상기 지주의 삽입홀 외측으로는 수축튜브를 씌워서 입구를 막은 후, 상기 지주의 상기 탄성편을 상기 내부 프레임의 상기 지지홀에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삭제
본 발명에 의한 전원 플러그는 내부 프레임과는 별도로 형성한 지주에 온도감지센서를 삽입하고, 온도감지센서와 전선들을 모두 연결한 후, 지주를 프레임의 지지홀에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지주로 온도감지센서를 보호하면서 전원 플러그의 하우징을 몰딩할 수 있고, 온도감지센서가 일정한 위치에서 과전류와 과열을 감지하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온도감지센서를 지주에 삽입하고 양측 리드선에 각각의 전선을 연결하는 작업을 모두 마친 후에 지주를 프레임에 결합함으로써 작업공간의 제약이 해소되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일 실시예의 요부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일 실시예의 요부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 요부의 결합상태를 보인 확대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요부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요부 평면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스위스를 비롯한 여러 국가에서 사용되는 전원 플러그(100)이고, 다른 실시예는 이탈리아를 비롯한 여러 국가에서 사용되는 전원 플러그(100')로서 전원단자(220)(230)와 접지단자(240)가 삼각형태로 배열된 것과 직선형태로 배열된 것의 차이가 있는 것이며, 이러한 차이는 국가별 전원 플러그(100(100')의 규격 차이에서 비롯된 것이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들의 전원 플러그(100)(100') 내에 구성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전원 플러그(100)(100′)는 한 쌍의 전원단자(220)(230)를 전원 콘센트에 접속시켜 전기자동차 충전 및 산업용과 가정용 전기기구에 전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일 실시예의 전원 플러그(100)는 상기 한 쌍의 전원단자(220)(230)와 하나의 접지단자(240)가 돌출 구비되는 하우징(110) 내부 프레임(200)에는 지지홀(210)을 형성하되, 그 지지홀(210)은 삼각형태로 배열된 전원단자(220)(230)와 접지단자(240) 중 가운데 상측에 위치한 접지단자(240)의 아래쪽 프레임(200)에 형성한다.
또한 다른 실시예의 전원 플러그(100')는 상기 한 쌍의 전원단자(220)(230)와 하나의 접지단자(240)가 돌출 구비되는 하우징(110') 내부 프레임(200)에는 지지홀(210)을 형성하되, 그 지지홀(210)은 직선형태로 배열된 전원단자(220)(230)와 접지단자(240) 중 일측의 전원단자(220)와 중앙의 접지단자(240) 사이의 프레임(200')에 형성한다.
상기 전원단자(220)(230)과 접지단자(240)에는 전원코드(250) 내의 전원전선(251)(252)과 접지전선(253)을 연결한다.
한편, 상기 프레임(200)(200')과는 별개로 형성되어 지지홀(210)에 결합되는 지주(260)는 일측으로 온도감지센서(280)가 삽입되는 삽입홀(261)을 구비하고, 그 대향측인 지주(260)의 타측에는 절개홈(264)을 형성하여 지지홀(210)에 직접 삽입 고정되는 한 쌍의 탄성편(265)(266)을 형성하며, 상기 삽입홀(261)의 내부에는 2개의 관통홀(262)(263)을 형성하여 온도감지센서(280)의 양측 리드선(281)(282)이 각각 삽입되어 절개홈(264)을 통해 인출되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전원 플러그(100)(100')의 전원단자(220)(230)와 접지단자(240)의 배열에 관계없이 하우징(110)(110') 내부의 프레임(200)(200')에 지지홀(210)을 형성하고, 그 지지홀(210)에 온도감지센서(280)가 삽입된 지주(260)를 결합하여 하우징(110)(110')을 몰딩할 때 고온의 합성수지에 의해 온도감지센서(280)가 고장 나거나 온도감지센서(280)의 위치가 변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하여 온도감지센서(280)로 일정한 감지 값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전원 플러그(100)(100')는 프레임(200)(200')과 지주(260)를 별개로 형성하고, 지주(260)의 삽입홀(261)에 온도감지센서(280)를 삽입하면서 양측 리드선(281)(282)을 관통홀(262)(263)로 각각 삽입하여 절개홈(264)으로 인출시킴으로써 일측 리드선(281)은 접지전선(253)에 연결하고, 타측 리드선(282)은 센서전선(254)에 연결하는 작업을 먼저 마무리 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와 같이 지주(260)에 온도감지센서(280)를 삽입하고, 양측 리드선(281)(282)에 접지전선(253)과 센서전선(254)을 연결하는 작업을 마무리 한 후, 지주(260)의 탄성편(265)(266)을 프레임(200)(200')의 지지홀(210)에 결합시킴으로써 작업공간에 제약을 받지 않고 편리하게 작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하여 생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지지홀(210)에 삽입되는 지주(260)의 탄성편(265)(266)은 절개홈(264)애 의해 2개로 분리되어 구성된 한 쌍의 탄성편(265)(266)이므로 그 탄성편(265)(266)을 지지홀(210)에 가압하여 끼워 넣으면 쉽게 빠지지 않게 되어 몰딩작업에도 온도감지센서(280)의 위치를 정확하게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은 온도감지센서(280)를 지주(260)의 삽입홀(261)로 삽입하면서 양측 리드선(281)(282)을 관통홀(262)(263)을 통해 절개홈(264)으로 빼내어 접지전선(253)과 센서전선(254)에 연결시키는 것이므로 지지홀(210)에 결합된 지주(260)에 의해 양측 리드선(281)(282)이 완전히 분리된 상태로 고정되는 것이므로 합선 등의 염려를 배제할 수 있게 된다.
더불어 온도감지센서(280)를 지주에 삽입하고 양측 리드선(281)(282)을 접지전선(253)과 센서전선(254)에 연결한 후에 지주(260)의 삽입홀(261) 외측으로 수축튜브(270)를 씌우고 열을 가하여 수축시키면 수축튜브(270)에 의해 삽입홀(261)이 폐쇄된 상태가 되어 하우징(110)(110')의 몰딩작업시 고온의 합성수지가 삽입홀(261)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로 인하여 고온의 몰딩수지가 온도감지센서(280)에 고장 등의 영향을 주는 것도 간단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100, 100′ : 전원 플러그 110, 110′ : 하우징
200, 200′ : 프레임 210 : 지지홀
220, 230 : 전원단자 240 : 접지단자
250 : 전원코드 251, 252 : 전원전선
253 : 접지전선 254 : 센서전선
260 : 지주 261 : 삽입홀
262, 263 : 관통홀 264 : 절개홈
265, 266 : 탄성편 270 : 수축튜브
280 : 온도감지센서 281, 282 : 리드선

Claims (2)

  1. 삭제
  2. 한 쌍의 전원단자가 돌출 구비되는 내부 프레임에 접지단자를 설치하고, 상기 한 쌍의 전원단자와 접지단자에는 전원전선과 접지전선을 각각 연결하며, 양측에 리드선이 구비된 온도감지센서를 지주에 삽입하고, 양측 리드선을 각각의 전선에 연결한 후, 상기 구성들 모두를 몰딩하여 전원 플러그의 하우징을 구성하되, 상기 전원 플러그의 상기 내부 프레임에 지지홀을 형성하고, 상기 온도감지센서가 삽입되는 삽입홀을 일측에 형성한 지주는 프레임과는 별도로 형성하면서 타측에 절개홈에 의해 구성되는 한 쌍의 탄성편을 형성하며, 그 탄성편을 프레임의 지지홀에 결합한 후 구성하는 전원 플러그에 있어서,
    상기 지주의 삽입홀에는 상기 온도감지센서를 삽입하고, 상기 온도감지센서의 양측 리드선은 상기 지주의 상기 절개홈으로 인출하며, 상기 지주의 삽입홀 외측으로는 수축튜브를 씌워서 입구를 막은 후, 상기 지주의 상기 탄성편을 상기 내부 프레임의 상기 지지홀에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전원 플러그.
KR1020190176459A 2019-12-27 2019-12-27 전원 플러그 KR1023881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6459A KR102388137B1 (ko) 2019-12-27 2019-12-27 전원 플러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6459A KR102388137B1 (ko) 2019-12-27 2019-12-27 전원 플러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3807A KR20210083807A (ko) 2021-07-07
KR102388137B1 true KR102388137B1 (ko) 2022-04-19

Family

ID=76862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6459A KR102388137B1 (ko) 2019-12-27 2019-12-27 전원 플러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813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15264A (ja) 2013-12-13 2015-06-2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源コード
JP2016115520A (ja) 2014-12-15 2016-06-23 富士電線工業株式会社 電源プラグ
US20170358890A1 (en) * 2014-11-21 2017-12-14 Volex Plc Electrical plug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4020B1 (ko) * 2015-12-30 2019-11-12 성경정밀(주) 전원 플러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15264A (ja) 2013-12-13 2015-06-2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源コード
US20170358890A1 (en) * 2014-11-21 2017-12-14 Volex Plc Electrical plug
JP2016115520A (ja) 2014-12-15 2016-06-23 富士電線工業株式会社 電源プラ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3807A (ko) 2021-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4020B1 (ko) 전원 플러그
KR102388137B1 (ko) 전원 플러그
JP3129332U (ja) 組み立て式メスコネクタ内部構造体の改良構造
JPH10125407A (ja) 一対の導電ピンと必要に応じて1つの接地ピンを有する電気器具プラグ用のプラグブリッジ
KR102358507B1 (ko) 전원 플러그
JP2014222612A (ja) 差し込みプラグ
KR960002139Y1 (ko) 플러그
KR101381412B1 (ko) 플러그 유도기가 구성된 콘센트
KR102150943B1 (ko) 센서박스가 구비된 온도감지식 안전플러그
JPH03687Y2 (ko)
KR200240280Y1 (ko) 220-110볼트겸용플러그
KR200330733Y1 (ko) 2극 차단 접속콘센트
KR102612467B1 (ko) 탄성지지형 온도감지 전류차단 콘센트
KR200185369Y1 (ko) 교환형 콘센트와 플러그
KR102612447B1 (ko) 이중접지형 온도감지 전류차단 콘센트
KR910002749Y1 (ko) 퓨우주 내장플럭
CN209626156U (zh) 一种有温控异常报警的塑壳断路器
KR200209398Y1 (ko) 탄성부재로 형성한 일체형 콘센트
CN217848379U (zh) 小家电耦合器的公端
CN211208776U (zh) 一种连体组合式塑胶件插头
CN219017957U (zh) 螺纹插头连接器
KR200326549Y1 (ko) 휴즈 커넥터
KR200446143Y1 (ko) 직류전원장치용 접속잭
US10804649B2 (en) Non-conductive member between incompatible power terminals
KR200169769Y1 (ko) 엘이드를 부착한 퓨즈 내장 플러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