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7678B1 - 핸드헬드 청소기 - Google Patents

핸드헬드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7678B1
KR102387678B1 KR1020200141497A KR20200141497A KR102387678B1 KR 102387678 B1 KR102387678 B1 KR 102387678B1 KR 1020200141497 A KR1020200141497 A KR 1020200141497A KR 20200141497 A KR20200141497 A KR 20200141497A KR 102387678 B1 KR102387678 B1 KR 1023876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hollow part
dust
hollow
coupling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14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만
Original Assignee
레이캅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레이캅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레이캅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414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7678B1/ko
Priority to US17/117,215 priority patent/US20220125252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76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76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25Convertible suction cleaners, i.e. convertible between different types thereof, e.g. from upright suction cleaners to sledge-type suction clea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4Hand-supported suction clea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4Hand-supported suction cleaners
    • A47L5/26Hand-supported suction cleaners with driven dust-loosen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009Storing devices ; Supports, stands or holders
    • A47L9/0018Storing devices ; Supports, stands or holders integrated in or removably mounted upon the suction cleaner for storing parts of said suction clean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02Dust separa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2Dry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2Dry filters
    • A47L9/127Dry filters tube- or sleeve-shap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83Dust collecting chambers; Dust collecting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91Mounting or coupling means for cyclonic chamber or dust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4Hoses or pipes; Hose or pipe couplings
    • A47L9/242Hose or pipe couplings
    • A47L9/246Hose or pipe couplings with electrical connec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32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32Handles
    • A47L9/322Handles for hand-supported suction clea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201/00Robotic cleaning machines, i.e.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or the cleaning operation
    • A47L2201/02Docking stations; Docking operations
    • A47L2201/022Recharging of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핸드헬드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길이방향의 일측에 제1 결합부가 형성된 손잡이 몸체; 일측에는 상기 제1 결합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결합부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제3 결합부가 형성되며 내부에 모터가 설치된 구동부 몸체; 및 일측과 타측에는 서로 연통 가능한 제1 중공부와 제2 중공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 중공부와 제2 중공부 사이에는 더스트 수용부가 상기 제1 중공부 및 제2 중공부와 연통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1 중공부의 내측면에는 상기 제3 결합부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4 결합부가 형성되는 여과 배출 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각 구성요소에 대한 완전분해가 가능하여 그 부피를 크게 줄일 수 있어 가방 등에 넣어서 휴대 또는 보관하는 것이 용이한 편의성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일부의 구성의 파손시 파손된 해당 구성만 간단하게 교체할 수 있으므로 그에 따른 유지보수 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사용 목적에 따라 용량 또는 형태가 다른 구성과 교체하여 혼용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핸드헬드 청소기{handheld cleaner}
본 발명은 핸드헬드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손잡이부, 구동부, 더스트 저장부, 흡입부를 간편하게 결합 및 분리할 수 있어 유지보수를 위한 관리의 편의성 및 보관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분할되는 각 구성을 다양한 용량 또는 형태를 가지는 다른 구성과 교체하여 혼용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핸드헬드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핸드헬드 청소기는 구동부 작동에 의한 흡입력으로부터 공기와 더불어 이물질을 흡입하고, 흡입한 이물질은 일정 공간에 가두는 상태로 저장함과 동시에 흡입한 공기에 포함된 미세한 이물질은 내부 필터에 걸러진 후 공기만 외부로 배출하는 구성을 갖는다.
이러한 핸드헬드 청소기는 전원선을 연결할 필요가 없는 무선타입으로 휴대가 용이한 크기로 제작되어 차량 실내, 계단, 책상 위 등과 같은 좁은 면적의 청소에 유리하다.
종래기술의 핸드헬드 청소기는 일측에 손잡이를 형성하며 내측에는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모터가 수용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전방에 설치되며 내부에 이물질을 저장하는 저장공간을 형성한 흡기부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와 흡기부 사이에는 흡기된 이물질이 본체 쪽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과 동시에 미세한 이물질을 걸러주는 필터가 설치된다.
이러한 종래기술의 핸드헬드 청소기는 저장공간에 저장된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서는 매번 상기 흡기부를 본체로부터 분리시킨 후 다시 결합시키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해야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최근에는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본체와 해체 작업 없이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핸드헬드 청소기가 개발되고 있다.
즉, 본체의 일측에 상하방향으로 힌지 회전하는 더스트 저장부를 구성함으로써, 저장된 이물질을 간편하게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구조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의 더스트 저장부의 상,하방식 개폐구조는 이물질 배출시 상기 더스트 저장부가 개방되게 되면 저장된 일부의 이물질은 쓰레기통으로 낙하하되 밀도가 낮은 먼지의 경우에는 사방으로 비산되어 쓰레기통 주변으로 흩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의 핸드헬드 청소기는 본체와 손잡이가 일체형 구조로 제작이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본체 또는 손잡이 쪽에 해당하는 케이스가 부분적으로 파손되거나 변형이 발생하게 되면 본체 케이스 전체를 교체해야 하므로 그에 따른 유지보수 비용이 크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기술의 핸드헬드 청소기는 단순히 본체와 흡입부에 한정된 2단 분리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휴대 또는 보관을 위한 크기를 효과적으로 줄이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의 핸드헬드 청소기는 차량 실내, 계단, 책상 위 등의 좁은 면적의 청소에 한정되어 활용되는 것이 대부분이어서 활용도가 낮은 문제점이 있었으며, 사용목적에 따라 용량과 크기에 맞추어 다른 청소기를 일일이 추가 구입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선행문헌 1.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83382호(2011.11.08) 선행문헌 2.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20-0064151호(2020.06.05)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더스트 저장부에 저장된 이물질 배출시 밀도가 낮은 먼지가 외부로 비산되어 쓰레기통 주변이 더럽혀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핸드헬드 청소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손잡이부, 구동부, 더스트 저장부, 흡입부를 간편하게 결합 및 분리할 수 있어 유지보수를 위한 관리의 편의성 및 보관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핸드헬드 청소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사용 목적에 따라 용량 또는 형태가 다른 구성과 교체하여 혼용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핸드헬드 청소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핸드헬드 청소기는, 길이방향의 일측에 제1 결합부가 형성된 손잡이 몸체; 일측에는 상기 제1 결합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결합부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제3 결합부가 형성되며 내부에 모터가 설치된 구동부 몸체; 및 일측과 타측에는 서로 연통 가능한 제1 중공부와 제2 중공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 중공부와 제2 중공부 사이에는 더스트 수용부가 상기 제1 중공부 및 제2 중공부와 연통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1 중공부의 내측면에는 상기 제3 결합부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4 결합부가 형성되는 여과 배출 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더스트 수용부의 전,후방에는 개구가 형성되며, 전방 개구는 상기 여과 배출 몸체에 대하여 힌지 이동하는 개폐용 캡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더스트 수용부에는 더스트 하우징이 장착되되, 상기 더스트 하우징은 일단에 형성된 개구는 여과 배출 몸체의 개폐용 캡에 의해 기폐되고, 상기 개폐용 캡의 반대 개구에는 필터부재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더스트 하우징의 개구의 테두리 일 지점에는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개폐용 캡의 둘레 외측에는 상기 걸림돌기에 걸리는 후크가 형성되며, 상기 더스트 하우징의 외면에는 상기 후크에 걸린 걸림돌기를 밀어서 분리시키는 분리 버튼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폐용 캡은 상기 개구에 대하여 개방되는 방향으로 복원력이 작용하며, 상기 분리 버튼은 상기 걸림돌기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복원력이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필터부재의 중심부에는 인출용 손잡이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여과 배출 몸체에서 제2 중공부가 형성된 타측에는 상기 더스트 수용부 내의 공간과 제2 중공부 사이를 개폐하는 밸브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밸브는 아치형의 굴곡면으로 이루어지며, 선단부는 상기 제2 중공부의 배출구측 끝단에 맞닿아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손잡이 몸체는 상기 제1 결합부를 기준으로 아래쪽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결합부를 전면에서 바라볼 때, 폭방향 중심부를 기준으로 일측에는 수 걸림쇠가 형성되며, 타측에는 암 커넥터 단자를 구비한 커넥터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저면도에서 바라볼 때, 상기 커넥터부가 형성된 타측과 수 걸림쇠가 형성된 일측은 단차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 걸림쇠는 상기 일측의 선단면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되, 돌출되는 길이는 상기 커넥터부의 돌출길이 보다 짧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여과 배출 몸체의 제2 중공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흡기 몸체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흡기 몸체의 일측에는 상기 제2 중공부에 대응하여 결합되는 통전부와 제3 원터치 체결버튼을 구비한 연결 덕트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손잡이 몸체, 구동부 몸체, 여과 배출 몸체가 상호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각각의 결합부를 구성함으로써, 각 구성요소에 대한 완전분해가 가능하여 그 부피를 크게 줄일 수 있어 가방 등에 넣어서 휴대 또는 보관하는 것이 용이한 편의성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일부의 구성의 파손시 파손된 해당 구성만 간단하게 교체할 수 있으므로 그에 따른 유지보수 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사용 목적에 따라 용량 또는 형태가 다른 구성과 교체하여 혼용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또한, 더스트 수용부는 전방 개구에 대해 힌지 이동하는 개폐용 캡을 구성함으로써, 집진된 이물질과 먼지를 일방향으로 배출시킬 수 있어 밀도가 낮은 먼지가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더스트 수용부 내의 공간과 제2 중공부 사이에 설치되는 밸브를 설치함으로써, 더스트 수용부 내에 집진된 이물질 및 먼지가 다시 제2 중공부 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손잡이 몸체는 제1 결합부를 기준으로 아래쪽을 향해 경사진 형태로 이루어짐에 따라 청소기를 잡은 사용자의 손목이 과도하게 꺽여 손목에 무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손목의 꺽임 각도를 크게 줄여 큰 힘을 들이지 않고 편안하게 청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 결합부에는 폭방향 중심부를 기준으로 일측에는 수 걸림쇠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커넥터부를 형성함에 따라 기구적인 고정력과 전기적 접촉 안전성을 동시에 한층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여과 배출 몸체의 제2 중공부에 결합되는 흡기 몸체를 구성함으로써, 넓은 공간의 바닥면에 대한 청소 효율성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핸드헬드 청소기를 나타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손잡이 몸체의 구성 및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및 저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구동부 몸체의 구성 및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여과 배출 몸체의 구성 및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내부 구성 및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핸드헬드 청소기를 나타내 부분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핸드헬드 청소기는 길이방향의 일측에 제1 결합부(110)가 형성된 손잡이 몸체(100), 일측에는 상기 제1 결합부(1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결합부(210)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제3 결합부(220)가 형성되며 내부에 모터가 설치된 구동부 몸체(200), 일측과 타측에는 서로 연통 가능한 제1 중공부(301)와 제2 중공부(302)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 중공부(301)와 제2 중공부(302) 사이에는 더스트 수용부(310)가 형성되며 상기 제1 중공부(301)의 내측면에는 상기 제3 결합부(220)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4 결합부(320)가 형성되는 여과 배출 몸체(300)로 구성된다.
먼저, 상기 손잡이 몸체(100)는 사용자가 안정적으로 잡을 수 있도록 소정의 두께를 가지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으로, 그 길이방향의 일측에는 제1 결합부(110)가 형성되며 타측에는 외부 전원이 연결되는 전원잭(120)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손잡이 몸체(100)의 제1 결합부(110)를 전면에서 바라볼 때, 폭방향 중심부를 기준으로 일측에는 수 걸림쇠(111)가 형성되며, 타측에는 암 커넥터 단자를 구비한 커넥터부(112)가 형성된다.
즉, 상기 수 걸림쇠(111)와 커넥터부(112)는 손잡이 몸체(100)의 폭 중심부를 기준으로 일측과 타측에 각각 형성함으로써 기구적인 고정력과 전기적 접촉 안전성을 동시에 한층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저면도에서 바라볼 때, 상기 커넥터부(112)가 형성된 타측과 수 걸림쇠(111)가 형성된 일측은 단차가 형성되며, 상기 수 걸림쇠(111)는 상기 일측의 선단면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되, 돌출되는 길이는 상기 커넥터부(112)의 돌출길이 보다짧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손잡이 몸체(100)의 제1 결합부(110)를 단차지게 형성한 이유는 제조사에서 상기 손잡이 몸체(100)를 사용자마다 다른 취향에 따라 손잡이를 다양한 모양과 크기를 가지는 형태로 제공하더라도 상기 제1 결합부(110)는 항상 일정한 규격의 형태를 유지함으로써 후술할 구동부 몸체(200)에 대해 안정적으로 호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손잡이 몸체(100)는 상기 제1 결합부(110)를 기준으로 아래쪽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는 구조이다.
상기 손잡이 몸체(100)의 제1 결합부(110)는 상기 구동부 몸체(200)와 수평한 상태로 체결이 이루어지되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는 길이방향은 약 30°~ 45°사이의 경사각을 형성하여 사용자가 손잡이 몸체(100)를 손으로 잡았을 때 청소기를 지면에 대해 수평한 상태로 들거나 청소할 바닥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내렸을 때 사용자의 손목이 과도하게 꺽여 손목에 무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손목의 꺽임 각도를 크게 줄여 큰 힘을 들이지 않고 편안하게 청소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손잡이 몸체(100)의 일측 상부에는 전원결합부(130)가 형성되며, 상기 전원결합부(130)에는 상기 구동부 몸체(200) 내에 설치되는 모터의 전원 및 작용을 제어할 수 있는 전원 제어 버튼(131)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 몸체(100)의 내부에는 상기 전원 제어 버튼(131) 및 모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동력 발생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미도시)가 설치된다.
한편, 상기 구동부 몸체(200)는 상기 손잡이 몸체(100)에 결합되는 것으로, 내부에는 이물질 및 먼지를 흡입할 수 있도록 흡입 구동력이 작용하는 모터(미도시)가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동부 몸체(200)는 일정 길이로 연장되며 그 길이방향 일측에는 상기 제1 결합부(1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결합부(210)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제3 결합부(220)가 형성되며 상기 제2 결합부(210)와 제3 결합부(220) 사이의 내부에 모터가 위치한다.
상기 제2 결합부(210)는 상기 제1 결합부(110)와 전원결합부(130)에 대응하는 각각의 수용홈으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즉, 상기 제2 결합부(210)의 내측에는 상기 수 걸림쇠(111)와 체결되는 걸림홈부(211)가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부(112)와 접속하는 수 커넥터 단자를 구비한 수용커넥터부(212)가 형성되며, 상부에는 전원결합부(130)를 수용하는 전원결합홈(213)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걸림홈(211)이 위치하는 구동부 몸체(200)의 외주에는 상기 걸림홈부(211)를 상하방향으로 탄성 이동시켜 상기 수 걸림쇠(111)와 원터치 방식으로 착탈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제1 원터치 체결버튼(230)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3 결합부(220)는 후술할 여과 배출 몸체(300)의 안쪽으로 끼워지는 구성으로, 상부에는 전원통전 커넥터(221)가 형성되며, 상기 전원통전 커넥터(221)를 기준으로 둘레방향 양측에는 체결용 걸림홈(222)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3 결합부(220)는 구동부 몸체(200)의 외형 폭보다 작은 단차진 구조로 형성한다.
상기 제3 결합부(220)를 단차지게 형성하는 이유는 앞서 설명한 손잡이 몸체(100)의 제1 결합부(110)를 단차지게 형성한 이유와 동일 내지 유사하다.
아울러, 상기 구동부 몸체(200)에는 상기 여과 배출 몸체(300)를 통해 유입된 공기와 모터에서 발생한 열을 외부로 방출시키는 방출구멍(240)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여과 배출 몸체(300)는 공기의 흡입력에 의해 유입되는 이물질과 먼지를 한곳에 모이도록 집진시키고 모여진 이물질과 먼지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구성이다.
이러한 상기 여과 배출 몸체(300)의 일측과 타측에는 서로 연통 가능한 제1 중공부(301)와 제2 중공부(302)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 중공부(301)와 제2 중공부(302) 사이에 설치되는 더스트 수용부(310)가 상기 제1 중공부(301) 및 제2 중공부(302)를 연통시키는 매개체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제2 중공부(302)는 흡입력을 높이기 위해 제1 중공부(301)보다 내부 공간이 좁은 형상으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 중공부(301)의 내측면에는 상기 제3 결합부(220)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4 결합부(320)가 형성된다.
상기 제4 결합부(320)는 제3 결합부(220)에 형성되는 전원통전 커넥터(221)에 연결되는 전원통전부(321)와, 상기 체결용 걸림홈(222)에 착탈가능하게 걸림단속이 이루어지는 제2 원터치 체결버튼(322)이 형성된다.
상기 더스트 수용부(310)의 전,후방에는 개구가 형성되며, 전방의 개구는 상기 여과 배출 몸체(300)에 대하여 힌지 이동하는 개폐용 캡(312)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더스트 수용부(310)에 집진된 이물질과 먼지는 개구되는 전방을 통해 쓰레기통 내부로 정확하게 배출시킬 수 있어 종래기술에서와 같이 집진된 이물지과 먼지를 쓰레기통으로 배출시키는 과정에서 밀도가 낮은 먼지의 경우 쓰레기통 외측으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더스트 수용부(310)에는 더스트 하우징(311)이 장착되되, 상기 더스트 하우징(311)의 일단에 형성된 개구는 여과 배출 몸체(300)의 개폐용 캡(312)에 의해 기폐되고, 상기 개폐용 캡(312)의 반대 개구에는 필터부재(330)가 삽입된다.
상기 더스트 하우징(311)은 내부로 유입된 이물질 및 먼지를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의 합성수지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더스트 하우징(311)의 개구의 테두리 일 지점에는 걸림돌기(311a)가 형성되고, 상기 개폐용 캡(312)의 둘레 외측에는 상기 걸림돌기(311a)에 걸리는 후크(312a)가 형성되며, 상기 더스트 하우징(311)의 외면에는 상기 후크(312a)에 걸린 걸림돌기(311a)를 밀어서 분리시키는 분리 버튼(313)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개폐용 캡(312)의 둘레 내측에는 상기 더스트 하우징(311)의 개구의 테두리와 긴밀한 밀폐 마감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고무패킹(314)이 설치된다.
상기 개폐용 캡(312)은 상기 개구에 대하여 개방되는 방향으로 복원력이 작용하는 제1 탄성 힌지부(312b)가 설치되며, 상기 분리 버튼(313)에는 상기 걸림돌기(311a)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복원력이 작용하는 스프링(313a)이 설치된다.
상기 필터부재(330)는 상기 여과 배출 몸체(300)의 제1 중공부(301)를 통과하여 상기 더스트 하우징(311) 내에 배치되는 것으로, 외부 프레임(331)과, 외부 프레임(331) 내측에 설치되는 제1 필터(332)와, 제1 필터(332) 내측에 설치되는 제2 필터(333)로 구성된다.
상기 외부 프레임(331)은 상기 제2 중공부(302)로부터 유입되는 이물질이 상기 제1 필터(332)와 제2 필터(333)에 충돌하여 필터가 손상되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보호막 역할을 수행하여 결과적으로 필터의 내구성 및 수명을 높이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외부 프레임(331)의 일측의 둘레에는 상기 더스트 하우징(311)에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회전방지 커팅부(331a)가 형성되고, 중심부에는 인출용 손잡이(334)가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여과 배출 몸체(300)에서 제2 중공부(302)가 형성된 타측에는 상기 더스트 수용부(310) 내의 공간과 제2 중공부(302) 사이를 개폐하는 밸브(340)가 설치된다.
상기 상기 밸브(340)는 아치형의 굴곡면으로 이루어지며, 선단부는 상기 제2 중공부(302)의 배출구측 끝단에 맞닿아 폐쇄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러한 상기 밸브(340)는 더스트 수용부(310) 내에 집진된 이물질 및 먼지가 다시 제2 중공부(302) 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밸브(340)는 상기 개폐용 캡(312)과 상하 이웃하여 배치되며, 평상시 상기 더스트 수용부(310) 내의 공간과 제2 중공부(302)를 폐쇄하는 상태를 유지하되 청소를 위한 흡입력 발생시 상기 더스트 수용부(310)를 향하는 방향으로 개방되도록 하는 제2 탄성 힌지부(340a)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2 중공부(302)가 형성된 내부 상단에는 통전 커넥터(350)가 형성되며 외측 바닥면에는 아래쪽을 향해 돌출되는 체결돌기(360)가 형성된다.
한편,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과 배출 몸체(300)의 제2 중공부(302)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흡기 몸체(400)를 추가로 포함한다.
즉, 상기 흡기 몸체(400)는 이물질 및 먼지를 흡입할 수 있는 폭의 넓이를 크게하여 넓은 공간의 바닥면에 대한 청소 효율성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흡기 몸체(400)의 일측에는 상기 제2 중공부(302)의 통전 커넥터(350)와 체결돌기(360)에 대응하여 결합되는 통전부(미도시)와 제3 원터치 체결버튼(412)을 구비한 연결 덕트(410)가 형성되며, 타측에는 상기 연결 덕트(410)와 직각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흡기 덕트(420)로 구성된다.
상기 흡기 덕트(420)의 바닥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연결 덕트(410)와 연통하는 흡입공(401)이 형성되며, 상기 흡입공(401)에는 이물질 및 먼지를 흡입하는 청소 바닥면에 대해 살균처리가 함께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자외선 램프(430)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흡기 덕트의 바닥면에는 청소 바닥면에 경사 각도에 대응하여 회전하는 각도조절용 회전 플레이트(440)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흡입 덕트(420)의 상면에는 상기 자외선 램프의 작용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작동 표시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100... 손잡이 몸체
110... 제1 결합부
200... 구동부 몸체
210... 제2 결합부
220... 제3 결합부
300... 여과 배출 몸체
310... 더스트 수용부
320... 제4 결합부
330... 필터부재
340... 밸브
400... 흡기 몸체

Claims (12)

  1. 길이방향의 일측에 제1 결합부가 형성된 손잡이 몸체;
    일측에는 상기 제1 결합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결합부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제3 결합부가 형성되며 내부에 모터가 설치된 구동부 몸체; 및,
    일측과 타측에는 서로 연통 가능한 제1 중공부와 제2 중공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 중공부와 제2 중공부 사이에는 더스트 수용부가 상기 제1 중공부 및 제2 중공부와 연통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1 중공부의 내측면에는 상기 제3 결합부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4 결합부가 형성되는 여과 배출 몸체;
    를 포함하되,
    상기 더스트 수용부의 전,후방에는 개구가 형성되며, 전방 개구는 상기 여과 배출 몸체에 대하여 힌지 이동하는 개폐용 캡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헬드 청소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더스트 수용부에는 더스트 하우징이 장착되되,
    상기 더스트 하우징은 일단에 형성된 개구는 여과 배출 몸체의 개폐용 캡에 의해 기폐되고, 상기 개폐용 캡의 반대 개구에는 필터부재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헬드 청소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더스트 하우징의 개구의 테두리 일 지점에는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개폐용 캡의 둘레 외측에는 상기 걸림돌기에 걸리는 후크가 형성되며, 상기 더스트 하우징의 외면에는 상기 후크에 걸린 걸림돌기를 밀어서 분리시키는 분리 버튼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헬드 청소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용 캡은 상기 개구에 대하여 개방되는 방향으로 복원력이 작용하며, 상기 분리 버튼은 상기 걸림돌기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복원력이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헬드 청소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재의 중심부에는 인출용 손잡이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헬드 청소기.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 배출 몸체에서 제2 중공부가 형성된 타측에는 상기 더스트 수용부 내의 공간과 제2 중공부 사이를 개폐하는 밸브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헬드 청소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는 아치형의 굴곡면으로 이루어지며, 선단부는 상기 제2 중공부의 배출구측 끝단에 맞닿아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헬드 청소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몸체는 상기 제1 결합부를 기준으로 아래쪽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헬드 청소기.
  10. 제1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를 전면에서 바라볼 때, 폭방향 중심부를 기준으로 일측에는 수 걸림쇠가 형성되며, 타측에는 암 커넥터 단자를 구비한 커넥터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헬드 청소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저면도에서 바라볼 때, 상기 커넥터부가 형성된 타측과 수 걸림쇠가 형성된 일측은 단차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 걸림쇠는 상기 일측의 선단면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되, 돌출되는 길이는 상기 커넥터부의 돌출길이 보다 짧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헬드 청소기.
  12. 제1항 또는, 제3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 배출 몸체의 제2 중공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흡기 몸체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흡기 몸체의 일측에는 상기 제2 중공부에 대응하여 결합되는 통전부와 제3 원터치 체결버튼을 구비한 연결 덕트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헬드 청소기.
KR1020200141497A 2020-10-28 2020-10-28 핸드헬드 청소기 KR1023876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1497A KR102387678B1 (ko) 2020-10-28 2020-10-28 핸드헬드 청소기
US17/117,215 US20220125252A1 (en) 2020-10-28 2020-12-10 Handheld clea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1497A KR102387678B1 (ko) 2020-10-28 2020-10-28 핸드헬드 청소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7678B1 true KR102387678B1 (ko) 2022-04-19

Family

ID=812585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1497A KR102387678B1 (ko) 2020-10-28 2020-10-28 핸드헬드 청소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220125252A1 (ko)
KR (1) KR10238767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620160A (en) * 2022-06-29 2024-01-03 Dyson Technology Ltd Dirt seperator
GB2620164A (en) * 2022-06-29 2024-01-03 Dyson Technology Ltd Dirt separator
WO2024003812A1 (en) * 2022-06-29 2024-01-04 Dyson Technology Limited Vacuum cleaner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1783Y1 (ko) * 1999-09-09 2000-03-15 주식회사동양아로나전자 핸디형 진공청소기
KR20110044542A (ko) * 2009-10-23 2011-04-29 (주)마미로봇 휴대형 핸드청소기
KR101083382B1 (ko) 2009-06-02 2011-11-14 (주)마미로봇 휴대형 진공청소기
KR20140113856A (ko) * 2013-03-15 2014-09-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청소기 모드를 갖는 복합 청소기
KR20200064151A (ko) 2017-09-22 2020-06-05 샤크닌자 오퍼레이팅 엘엘씨 핸드헬드 표면 청소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44363A (en) * 1991-10-25 1994-09-06 Grain Systems Incorporated Roof vent assembly for grain storage bin
US6994622B2 (en) * 2003-12-24 2006-02-07 Juergen Koessler Vent apparatus
US9516979B2 (en) * 2013-11-21 2016-12-13 Sharkninja Operating Llc Surface cleaning apparatus configurable in a storage position
US11445872B2 (en) * 2014-12-17 2022-09-20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KR102466282B1 (ko) * 2017-12-05 2022-11-11 삼성전자주식회사 청소기
KR102431691B1 (ko) * 2018-01-29 2022-08-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EP3962337A1 (en) * 2019-04-30 2022-03-09 Black & Decker Inc. A vacuum cleaner with a dirt collection chamber emptying blow mod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1783Y1 (ko) * 1999-09-09 2000-03-15 주식회사동양아로나전자 핸디형 진공청소기
KR101083382B1 (ko) 2009-06-02 2011-11-14 (주)마미로봇 휴대형 진공청소기
KR20110044542A (ko) * 2009-10-23 2011-04-29 (주)마미로봇 휴대형 핸드청소기
KR20140113856A (ko) * 2013-03-15 2014-09-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청소기 모드를 갖는 복합 청소기
KR20200064151A (ko) 2017-09-22 2020-06-05 샤크닌자 오퍼레이팅 엘엘씨 핸드헬드 표면 청소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125252A1 (en) 2022-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87678B1 (ko) 핸드헬드 청소기
US11484164B2 (en) Cyclone dust collecting apparatus and handheld cleaner having the same
US8069529B2 (en) Handheld vacuum cleaner
CA2628573C (en) Motor, fan and filter arrangement for a vacuum cleaner
ES2279471T3 (es) Aspiradora.
EP2392244B1 (en) Hand-held and stick vacuum cleaner
KR101369234B1 (ko) 사이클론 집진장치 및 이를 구비한 핸디형 진공청소기
US20080105278A1 (en) Method for vacuum cleaning
US20090276974A1 (en) Cordless Hand-Held Rechargeable Vacuum Cleaner and Charger Unit Therefore
JP7237481B2 (ja) クリーナ
CN204293061U (zh) 清洁器
CN113749550A (zh) 一种手持式吸尘器
KR20210130461A (ko) 청소기거치대
CN211881916U (zh) 尘盒组件及除螨仪
KR100692577B1 (ko) 진공 청소기용 필터감지장치
KR100762328B1 (ko) 핸디청소기 일체형 진공청소기
CN211633065U (zh) 除螨仪
JP2002223997A (ja) 電気掃除機
CN211633059U (zh) 过滤组件、尘盒组件及除螨仪
CN213850445U (zh) 一种手持式吸尘器的手柄组件
WO2021171661A1 (ja) 電気掃除機の吸口体およびこれを備えた電気掃除機
JP4269315B2 (ja) 電気掃除機
KR100762324B1 (ko) 진공청소기
KR100812612B1 (ko) 핸디청소기 일체형 진공청소기
JP2005000287A (ja) 電気掃除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