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6862B1 - 실내환경 모니터링에 사용되는 통합 환경센서 모듈 - Google Patents

실내환경 모니터링에 사용되는 통합 환경센서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6862B1
KR102386862B1 KR1020200088967A KR20200088967A KR102386862B1 KR 102386862 B1 KR102386862 B1 KR 102386862B1 KR 1020200088967 A KR1020200088967 A KR 1020200088967A KR 20200088967 A KR20200088967 A KR 20200088967A KR 102386862 B1 KR102386862 B1 KR 1023868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noise
value
indoor environment
vib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89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10279A (ko
Inventor
최기도
권오찬
이상현
Original Assignee
최기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기도 filed Critical 최기도
Priority to KR10202000889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6862B1/ko
Priority to PCT/KR2020/011865 priority patent/WO2022014773A1/ko
Publication of KR202200102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02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68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68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24Housings ; Casings for instru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2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by mea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H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G01H11/00Measuring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by detecting changes in electric or magnetic propert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WMETEOROLOGY
    • G01W1/00Meteorology
    • G01W1/02Instruments for indicating weather conditions by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e.g. humidity, pressure, temperature, cloud cover or wind spe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Testing Or Calibration Of Command Recor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환경 모니터링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통합환경센서를 이용해 실내공간의 온도, 습도, 미세먼지, 소음 및 진동을 통합 모니터링하는 동시에 소음 및 진동을 분석하여 층간소음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실내환경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실내환경 모니터링 방법은 실내환경 플랫폼에서 실내환경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방법으로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환경센서의 식별정보를 등록하는 단계와, 상기 환경센서로부터 온도센서신호, 습도센서신호, 미세먼지센서신호, 소음센서신호 및 진동센서신호를 포함하는 센서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센서신호를 처리하여 온도값, 습도값, 미세먼지농도, 소음레벨 및 진동세기를 포함하는 실내환경값을 생성하고 실내환경값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소음레벨을 소음 기준치와 비교하여 상기 소음레벨이 소음 기준치 이상이면, 상기 진동센서신호를 시간영역에서 분석하여 평균 진동값을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평균 진동값을 제1 기준값과 비교하여 상기 평균 진동값이 제1 기준값 이상이면, 상기 진동센서신호를 주파수 영역에서 분석하여 일정 범위 내의 대역폭에 대한 파워값을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파워값을 제2 기준값과 비교하여 상기 파워값이 제2 기준값 이상이면 소음원인을 충격에 의한 것으로 추정하여 층간소음으로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실내환경 모니터링에 사용되는 통합 환경센서 모듈{Integrated environment sensor module for indoor environment monitoring}
본 발명은 실내환경 모니터링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통합환경센서를 이용해 실내공간의 온도, 습도, 미세먼지, 소음 및 진동을 통합 모니터링하는 동시에 소음 및 진동을 분석하여 층간소음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실내환경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람들이 실내에서 생활하는 시간이 늘어남에 따라서 실내 쾌적성에 대한 관리를 위해 실내 쾌적도를 모니터링할 필요성이 점점 커지고 있다.
그런데 대부분의 실내환경 관리기술은 열 환경(온/습도)와 공기질 위주로 발전되어 왔기 때문에 사용자가 실내공간에서 느끼는 쾌적성과 만족도가 충분히 반영되지 못하고 있다.
한편, 아파트나 공동주택의 수가 대폭 증가하면서 층간소음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어서 실내환경에서 층간소음에 대한 파악 및 관리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상황이다.
또한, 종래 실내환경 관리를 위해 온도센서, 습도센서, 미세먼지센서 등과 같이 다양한 환경센서가 존재하고 있는데, 실내환경 모니터링을 위해 종류별로 환경센서를 설치해야 하고 센서별로 사용 등록을 해야 하는 불편함과 번거로움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76545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층간소음에 대한 파악 및 관리가 가능한 실내환경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실내환경 모니터링을 위한 환경센서의 설치 및 등록이 편리한 실내환경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실내환경 모니터링 방법은 실내환경 플랫폼에서 실내환경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방법으로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환경센서의 식별정보를 등록하는 단계와, 상기 환경센서로부터 온도센서신호, 습도센서신호, 미세먼지센서신호, 소음센서신호 및 진동센서신호를 포함하는 센서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센서신호를 처리하여 온도값, 습도값, 미세먼지농도, 소음레벨 및 진동세기를 포함하는 실내환경값을 생성하고 실내환경값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소음레벨을 소음 기준치와 비교하여 상기 소음레벨이 소음 기준치 이상이면, 상기 진동센서신호를 시간영역에서 분석하여 평균 진동값을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평균 진동값을 제1 기준값과 비교하여 상기 평균 진동값이 제1 기준값 이상이면, 상기 진동센서신호를 주파수 영역에서 분석하여 일정 범위 내의 대역폭에 대한 파워값을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파워값을 제2 기준값과 비교하여 상기 파워값이 제2 기준값 이상이면 소음원인을 충격에 의한 것으로 추정하여 층간소음으로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환경센서는 특정 위치에 부착되는 지그에 센서박스를 고정하여 설치되는 통합 환경센서 모듈로서, 상기 센서박스는 베이스와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의 양단에는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커버의 내부에는 진동센서가 장착된 제1 기판과 제1 기판 위에 설치되어 온/습도 센서 및 소음센서가 장착된 제2 기판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지그는 밑면과 측면을 포함하여 상기 밑면 또는 측면이 상기 특정 위치에 부착되는 면이 되고, 상기 밑면 및 측면 중 어느 한 면에 삽입부재가 형성되어 상기 센서박스의 베이스의 양단 홈을 통해 상기 삽입부재가 삽입되면서 상기 센서박스가 상기 지그에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실내공간의 온도, 습도, 미세먼지, 소음 및 진동을 통합 모니터링하는 동시에 소음레벨에 근거해 진동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아파트나 공동주택에서 문제되는 층간소음을 파악하고 관리할 수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온도센서, 습도센서, 미세먼지센서, 소음센서 및 진동센서를 하나의 하우징에 내장한 통합 환경센서 모듈을 사용하기 때문에 실내환경 모니터링을 위한 센서 설치 및 사용 등록을 쉽고 편리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환경 모니터링 시스템의 개략적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내환경 모니터링 시스템에서 각 주체 간의 신호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환경 플랫폼의 내부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실내환경 플랫폼에서의 처리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시간 영역에서의 진동 분석 결과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주파수 영역에서의 진동 분석 결과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통합 환경센서 모듈의 하우징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통합 환경센서 모듈 내부의 부품 구성을 나타낸 도면.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환경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환경 모니터링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실내환경 모니터링 시스템은 실내환경 플랫폼(100), 사용자 단말(200), 환경센서(300) 등을 포함한다.
실내환경 플랫폼(100)은 의해 네트워크를 통해 접근될 수 있는 웹(web) 기반 또는 앱(app) 기반의 플랫폼(platform)이다. 실내환경 플랫폼(100)은 사용자 단말(200) 상에 설치되어 있는 웹 브라우저(web browser) 또는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client application)에 의해 접근된다. 실내환경 플랫폼(100)은 실내환경정보 서비스 제공업체가 구축한 서버 상에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내환경 플랫폼(100)은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입력받은 환경센서(300)의 식별정보를 등록하고, 환경센서(300)로부터 실시간 수신하는 센서신호를 처리하여, 사용자 단말(200)로 실내환경정보를 제공하는 장치이다.
사용자 단말(200)은 실내환경 플랫폼(100)으로부터 실시간 실내환경정보를 제공받는다. 사용자 단말(200)은 실내환경정보 서비스를 제공받는 사람이 소유한 컴퓨팅 장치이다. 컴퓨팅 장치로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랩탑 컴퓨터, 퍼스널 컴퓨터 등이 될 수 있으며, 앱이나 웹으로 실내환경 플랫폼(100)에 접속할 수 있는 기기라면 어떠한 종류의 장치도 가능하다.
환경센서(300)는 실내에 설치되어 실내환경을 측정하는 센서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경센서(300)는 온도센서, 습도센서, 미세먼지센서, 소음센서, 진동센서 등 5종의 센서를 포함한다. 환경센서(300)은 설치 위치에서 측정한 센서신호를 실내환경 플랫폼(100)으로 실시간 전송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환경센서(300)는 하나의 하우징에 온도센서, 습도센서, 미세먼지센서, 소음센서, 진동센서 등 5종의 센서를 내장한 통합 환경센서 모듈로 구성되어 있다. 통합 환경센서 모듈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내환경 모니터링 시스템에서 각 주체 간의 신호 흐름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우선 사용자 단말(200)에는 실내환경정보 서비스 이용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이나 소프트웨어가 설치되어 있어야 한다. 설명의 편의상 사용자 단말(200)로서 스마트폰이 사용되며 스마트폰에는 실내환경정보 서비스 전용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사용자 단말(200)은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실내환경 플랫폼(100)에 접속한 후, 환경센서(300)에 대한 식별정보를 입력하면, 환경센서(300)의 식별정보가 실내환경 플랫폼(100)으로 전송된다(S10). 환경센서(300)의 식별정보는 각 센서(온도센서, 습도센서, 미세먼지센서, 소음센서, 진동센서)의 아이디(ID)나 시리얼넘버(SN)를 말한다.
실내환경 플랫폼(100)에 환경센서(300)의 식별정보가 등록되고(S20), 환경센서(300)의 동작이 개시되면, 환경센서(300)에서 측정한 센서신호가 실내환경 플랫폼(100)으로 실시간 전송된다(S30).
실내환경 플랫폼(100)은 센서신호를 처리하여 사용자 단말(200)로 실내환경값(온도값, 습도값, 미세먼지농도, 소음레벨, 진동세기)을 전송하고(S35), 실내환경값을 분석하여(S40), 실내환경값의 분석결과를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한다(S50).
실내환경 플랫폼(100)은 실내환경값 중에서 소음레벨이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진동 분석을 통해 소음 원인(층간 소음, 실제 소리, 바람 등)을 도출한다. 또한, 실내환경 플랫폼(100)은 각 실내환경값에 대한 환경지수를 설정해 놓고, 각 환경지수를 합산하여 통합 환경지수를 산출한다.
사용자 단말(200)은 실내환경값의 분석결과를 화면에 표시하고 분석결과에 근거해 사용자 경고(알람)를 출력할 수 있다(S60).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환경 플랫폼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실내환경 플랫폼(100)은 통신인터페이스(102), 제어부(104), 데이터베이스(106) 등을 포함한다.
통신 인터페이스(102)는 사용자 단말(200) 및 환경센서(30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부분이다. 통신 인터페이스(102)는 인터넷과 접속되어 TCP/IP 통신을 수행하는 이더넷 등의 통신 모듈이다.
제어부(104)는 실내환경 플랫폼(10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관리하는 부분이다. 제어부(104)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환경센서 등록, 센서신호 처리, 실내환경값 처리 및 저장, 진동 분석 등의 기능을 통해 실내환경 모니터링을 수행한다.
제어부(104)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알고리즘(소프트웨어)를 통해 실내환경값 처리 및 진동 분석을 수행한다.
데이터베이스(106)는 실내환경정보 서비스 이용자 정보, 환경센서의 식별정보, 실내환경값 등을 저장 및 관리한다. 제어부(104)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서비스 이용자 정보 및 환경센서의 식별정보를 데이터베이스(106)에 저장하고, 환경센서(300)로부터 수신한 센서신호를 처리하여 가공한 실내환경값을 데이터베이스(106)에 저장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실내환경 모니터링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4의 각 단계는 실내환경 플랫폼(100)에서 수행되며, 구체적으로 실내환경 플랫폼(100)의 제어부(104)가 실내환경 모니터링 알고리즘을 실행하여 각 단계를 처리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실내환경 플랫폼(100)은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환경센서(300)의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내부 데이터베이스(DB)에 등록한다(S100).
이후, 실내환경 플랫폼(100)은 환경센서(300)로부터 일정 시간 간격으로 센서신호를 수신한다(S102). 센서신호가 수신되면, 실내환경 플랫폼(100)은 센서신호를 처리하여 실내환경값(온도값, 습도값, 미세먼지농도, 소음레벨, 진동세기)을 생성한다(S104). 본 발명에 따른 환경센서(300)는 온도센서, 습도센서, 미세먼지센서, 소음센서 및 진동센서로 구성되어 있어서, 센서신호는 온도센서신호, 습도센서신호, 미세먼지센서신호, 소음센서신호 및 진동센서신호를 포함한다.
실내환경 플랫폼(100)은 실내환경값에 근거해 실내환경 인자(온도, 습도, 미세먼지, 소음, 진동)의 환경지수를 구하고, 각 환경지수를 합산하여 통합 환경지수를 산출한다(S106).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각 실내환경값이 최적 범위에 존재하면 환경지수 20점을 부여하고, 최적 범위를 벗어난 경우 일정한 점수를 감산하는 방식으로 각 실내환경 인자의 환경지수를 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도의 환경지수를 구할 때, 냉방(여름) 시의 온도값이 24~28도 범위에 있을 때 환경지수 20점이 되고, 난방(겨울) 시의 온도값이 18~24도 범위에 있을 때 온도의 환경지수가 20점이 될 수 있다.
습도의 환경지수를 구할 때, 온도에 따라 최적의 습도가 달라지므로 온도 18~20도에서 습도값이 50~60% 범위, 온도 21~23도에서 습도값이 40~50% 범위에 있을 때 습도의 환경지수가 20점이 될 수 있다.
미세먼지(PM 10)의 환경지수를 구할 때, 미세먼지농도가 0~30(㎍/㎥) 범위에 있을 때 미세먼지의 환경지수는 20점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각 실내환경 인자의 환경점수에 최고점 20점을 부여하여 통합 환경지수 100점을 기준으로 환경상태를 매우 나쁨. 나쁨, 보통, 좋음, 매우 좋음으로 분류하여 모니터링할 수 있다.
실내환경 플랫폼(100)은 실내환경값 중에서 소음레벨이 소음 기준치(38dB) d이상인지를 확인하여(S108), 소음 기준치 이상인 경우 진동센서로부터 수신된 진동센서신호를 분석한다(S110).
1차 진동 분석 단계(S110)에서, 실내환경 플랫폼(100)은 진동센서신호를 시간 영역(time domain)에서 분석하여 얻은 평균 진동값(RMS)을 제1 기준값과 비교한다(S112).
도 5는 진동센서신호를 시간 영역에서 분석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시간에 따른 진동세기를 확인할 수 있는데, (a)는 일반적인 상황에서의 진동 상태를 나타내고, (b)는 바람에 의한 진동 상태를 나타내고, (c)는 충격에 의한 진동 상태를 나타낸다.
일반적인 상황의 진동 상태에서 구한 평균 진동값은 제1 기준값보다 작으며, 바람에 의한 진동 상태와 충격에 의한 진동 상태에서 구한 평균 진동값은 제1 기준값보다 크다.
따라서 평균 진동값이 제1 기준값 미만이면, 소음이 실제 소리에 의해 발생한 것이라고 추정할 수 있다(S114).
만약, 평균 진동값이 제1 기준값 이상이면, 실내환경 플랫폼(100)은 진동센서신호를 주파수 영역(frequency domain)에서 분석하여 100Hz 미만의 대역폭에 대한 파워값을 구한다(S116).
도 6은 진동센서신호를 주파수 영역에서 분석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진동 주파수(Hz)를 푸리에 변환(FFT)하여 주파수에 따른 파워값을 확인할 수 있다. 도 6에서, 도면부호 1이 가리키는 파워값을 확인함으로써 외부 충격이 발생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내환경 플랫폼(100)은 2차 진동 분석 단계(S116)에서 산출한 파워값을 제2 기준값과 비교한다(S118). 파워값이 제2 기준값 미만이면, 소음이 바람 등의 외부인자에 의해 발생한 것이라고 추정할 수 있다(S122).
만약, 파워값이 제2 기준값 이상이면, 소음이 충격에 의해 발생한 것이라고 추정하고 이 경우 소음의 원인을 층간 소음으로 판정할 수 있다(S120).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실내환경 모니터링에 대해 상술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통합 환경센서 모듈의 설치 위치에 따라 유리창 모니터링, 현관문 모니터링, 실내활동 모니터링 등과 같은 다양한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실내환경 인자로서 실내환경 모니터링에서는 온도, 습도, 미세먼지, 소음 및 진동이 적용되는 반면, 유리창 모니터링에서는 온도 또는 진동이 적용되고, 현관문 모니터링에서는 진동이 적용되고, 실내활동 모니터링에서는 소음 및 진동이 적용될 수 있다.
실내환경 모니터링에서는 통합 환경지수나 미세먼지농도, 소음레벨 등에 근거해 실내환경 상태의 이상을 경고하고, 유리창 모니터링에서는 온도값이나 진동세기에 근거해 유리창 파손, 침입 또는 결로 등을 경고하고, 현관문 모니터링에서는 진동세기에 근거해 현관문 충격이나 침입 등을 경고하고, 실내활동 모니터링에서는 소음레벨이나 진동세기에 근거해 낙상이나 쓰러짐 등 사용자 활동의 이상을 경고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통합 환경센서 모듈의 하우징 구조를 나타내고, 도 8은 통합 환경센서 모듈의 내부 부품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통합 환경센서 모듈은 크게 지그(30)와 센서박스(40)로 구성된다.
지그(30)는 센서박스(40)를 고정하는 부분이다. 사용자는 통합 환경센서 모듈을 설치하려는 위치에 먼저 지그(30)을 설치한 후 지그(30)에 센서박스(40)를 고정하게 된다. 통합 환경센서 모듈이 지그(30)에 센서박스(40)를 고정하는 방식으로 설치되기 때문에 휴대성 및 설치 편의성이 증대된다.
센서박스(40)는 베이스(20)와 커버(10)로 구성되어 있다. 커버(10) 내부와 베이스(20) 상에 환경센서를 포함하여 각종 부품이 설치된다.
도 8을 참조하면, 제1 기판(50)은 커버(10) 내면에 부착되며, 제1 기판(50)에는 진동센서(52)와 제2 기판(60)와 접속되는 제1 커넥터(54)가 장착되어 있다.
진동센서(52)는 지면이나 벽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측정해야 하기 때문에 지면이나 벽면 가까이 배치되어야 하므로 제1 기판(50)에 장착된다.
제2 기판(60)은 제1 기판(50) 상에 부착되며, 제2 기판(60) 상에는 온/습도 센서(62), 소음센서(64), 미세먼지센서(80)와 접속되는 제2 커넥터(66)가 장착되어 있다. 미세먼지센서(80)는 제2 커넥터(66)와 접속하며 베이스(20)에 안착되어 있고, 배터리(70)는 도시되지 않은 케이블을 통해 각 기판과 연결되어 베이스(20)에 안착되어 있다.
이렇게 커버(10) 내부와 베이스(20)에 각종 기판과 부품을 설치하고, 커버(10)와 베이스를 닫으면, 센서박스(40)가 완성된다.
다음, 사용자는 통합 환경센서 모듈을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에 지그(30)를 설치한다. 지그(30)는 특정 위치에 부착 부분이 되는 동시에 센서박스(40)가 안착되는 밑면(32) 및 측면(34)을 가지며, 밑면(32)에는 센서박스(40)를 고정하는 한 쌍의 직사각형의 판형 삽입 부재(36)가 구비되어 있다.
센서박스(40)의 베이스(20)의 저면 양단에는 한 쌍의 일자형 홈(22)이 형성되어 있어서, 일자형 홈(22)을 통해 지그(30)의 직사각형의 판형 삽입 부재(36)가 삽입되면서 센서박스(40)가 지그(30)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 커버 20: 베이스
22: 일자형 홈 30: 지그
32: 밑면 34: 측면
36: 직사각형의 판형 삽입부재 40: 센서박스
50: 제1 기판 52: 진동센서
60: 제2 기판 62: 온/습도 센서
64: 소음센서 66: 제2 커넥터
70: 배터리 80: 미세먼지센서
100: 실내환경 플랫폼 200: 사용자단말
300: 환경센서

Claims (3)

  1. 특정 위치에 부착되는 지그에 센서박스를 고정하여 설치되는 통합 환경센서 모듈에 있어서,
    상기 센서박스는 베이스와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 저면에 한 쌍의 일자형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커버의 내부에는 진동센서가 장착된 제1 기판과 제1 기판 위에 설치되어 온/습도 센서 및 소음센서가 장착된 제2 기판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지그는 ㄱ자 형태로서 밑면과 측면을 포함하여 상기 밑면 또는 측면이 상기 특정 위치에 부착되는 면이 되고, 상기 밑면에 상기 한 쌍의 일자형 홈에 대응하여 한 쌍의 직사각형의 판형 삽입부재가 설치되어, 상기 센서박스의 베이스 저면의 한 쌍의 일자형 홈을 통해 상기 한 쌍의 직사각형의 판형 삽입부재가 상기 센서박스 내부로 삽입되면서, 상기 센서박스의 베이스가 상기 밑면에 안착되고 상기 센서박스의 커버가 상기 측면에 접촉하여 상기 센서박스가 상기 지그의 측면과 밑면의 전체 면에 접촉한 상태로 상기 지그에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환경센서 모듈.
  2. 삭제
  3. 삭제
KR1020200088967A 2020-07-17 2020-07-17 실내환경 모니터링에 사용되는 통합 환경센서 모듈 KR1023868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8967A KR102386862B1 (ko) 2020-07-17 2020-07-17 실내환경 모니터링에 사용되는 통합 환경센서 모듈
PCT/KR2020/011865 WO2022014773A1 (ko) 2020-07-17 2020-09-03 실내환경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8967A KR102386862B1 (ko) 2020-07-17 2020-07-17 실내환경 모니터링에 사용되는 통합 환경센서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0279A KR20220010279A (ko) 2022-01-25
KR102386862B1 true KR102386862B1 (ko) 2022-04-13

Family

ID=795547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8967A KR102386862B1 (ko) 2020-07-17 2020-07-17 실내환경 모니터링에 사용되는 통합 환경센서 모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86862B1 (ko)
WO (1) WO202201477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42040B (zh) * 2022-03-21 2023-08-01 重庆医科大学附属第二医院 一种用于医院内的噪声采集及管理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2595B1 (ko) * 2011-12-21 2012-06-01 (주)바이헤븐 실내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
KR101795765B1 (ko) * 2015-06-11 2017-11-08 주식회사 피지오닉스 층간 소음 및 실내 소음의 자가 인지 모니터링시스템
KR101912625B1 (ko) * 2018-05-18 2018-10-29 케이웨더(주) 다지점 공기질 관리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38389A (ja) * 2004-11-11 2006-06-01 Tokai Rika Co Ltd 締結構造
KR101765454B1 (ko) 2016-11-30 2017-08-23 주식회사 비쥬드림 스마트 환경 센서 시스템
KR101977330B1 (ko) * 2017-06-19 2019-05-10 박지현 사용자 만족도를 반영한 실내 환경 모니터링 및 평가 시스템 및 방법
KR101902122B1 (ko) * 2017-06-29 2018-11-08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잔류소음에 대한 청감을 개선하는 능동적 소음 제거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2595B1 (ko) * 2011-12-21 2012-06-01 (주)바이헤븐 실내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
KR101795765B1 (ko) * 2015-06-11 2017-11-08 주식회사 피지오닉스 층간 소음 및 실내 소음의 자가 인지 모니터링시스템
KR101912625B1 (ko) * 2018-05-18 2018-10-29 케이웨더(주) 다지점 공기질 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0279A (ko) 2022-01-25
WO2022014773A1 (ko) 2022-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24699B2 (en) Device and method for dynamically measuring an enviromental quality factor
US10965488B2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 property
US20190017721A1 (en) Air-conditioning control evaluation apparatus, air-conditioning system, air-conditioning control evaluation method, and program
US8024451B2 (en)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computer networks and equipment
US8903551B2 (en) Sensor-swarm environmental event detection
US10446166B2 (en) Assessment and adjustment of audio installation
US20050285748A1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 drying procedure
RU2008102140A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централизованого мониторинга и управления режимом работы силовых трансформаторов, установленных на разных подстанциях и в центрах мониторинга
US20200348183A1 (en) System and method for non-contact wetness detection using thermal sensing
KR102386862B1 (ko) 실내환경 모니터링에 사용되는 통합 환경센서 모듈
US7071701B2 (en) Online fiber optic sensor for detecting partial discharge and similar events in large utility station transformers and the like
KR20130097306A (ko) 층간 소음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73754A (ko) 공기질 평가 장치, 공기질 평가 시스템 및 공기질 평가 방법
WO202121165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notifying particular devices based on estimated distance
US20210326811A1 (en) Time Clock with Thermal Reader Integral Therewith
KR102076749B1 (ko) 건물 붕괴 전조 감지 시스템
CN116884382A (zh) 无人机机库的降噪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Rosato et al. Non-invasive monitoring system to detect sitting people
KR102196947B1 (ko) IoT 기반의 전력소모기기 융합 컨설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190014937A (ko) 누수 감시 시스템 및 누수 감시 방법
CN114295197B (zh) 一种噪声监控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102625683B1 (ko) 실내환경 모니터링 장치
US2020036517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sound levels
CN111461535B (zh) 微环境数据量化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KR102465916B1 (ko)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건설현장의 환경정보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