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6443B1 - Air clean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Air clean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6443B1
KR102386443B1 KR1020200135611A KR20200135611A KR102386443B1 KR 102386443 B1 KR102386443 B1 KR 102386443B1 KR 1020200135611 A KR1020200135611 A KR 1020200135611A KR 20200135611 A KR20200135611 A KR 20200135611A KR 102386443 B1 KR102386443 B1 KR 1023864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air
fixing bracket
photocatalyst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561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재형
박은선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356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6443B1/en
Priority to US17/640,820 priority patent/US20230175721A1/en
Priority to PCT/KR2021/011387 priority patent/WO2022045776A1/en
Priority to TW111133029A priority patent/TW202300831A/en
Priority to TW111133028A priority patent/TW202300830A/en
Priority to TW111133030A priority patent/TW202300832A/en
Priority to TW110131742A priority patent/TWI801981B/en
Priority to IL291918A priority patent/IL29191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64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644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5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chemical means
    • F24F8/167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chemical means using catalytic rea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2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 F24F8/22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using UV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leaner which comprises: a housing having an inlet opening through which external air is introduced, a discharge opening through which the ai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and an internal flow passage connecting the inlet opening and the discharge opening; and a photocatalyst module having a filter assembly coated with a photocatalyst on at least a portion thereof, a light emitter providing excitation light for activating the photochemical reaction of the photocatalyst, and a fixing bracket fixing the filter assembly and the light emitter to the internal flow passage so that the excitation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er is radiat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filter assembly, wherein the filter assembly has a hollow photocatalyst filter having a bypass hole formed in the center thereof, and a filter guide accommodating the photocatalyst filter so that the air passes through the photocatalyst filter and some of the air selectively passes through the bypass hole, and coupled to the fixing bracket.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deterioration of the dust collection performance of a dust collection filter due to the photocatalyst filter.

Description

공기 청정기{Air cleaning apparatus}Air cleaning apparatus

본 발명은 공기 청정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purifier.

공기 청정기는 먼지, 기타 오염물에 의해 오염된 실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정화한 후, 정화된 공기를 실내로 토출하여 실내의 공기질을 개선하는 장치이다.An air purifier is a device for improving indoor air quality by inhaling and purifying indoor air polluted by dust and other contaminants, and then discharging the purified air into the room.

일반적으로, 공기 청정기는 공기에 포함된 오염물을 포집하여 공기를 정화하는 필터와, 실내의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력을 제공함과 함께, 필터에 의해 정화된 공기를 실내로 다시 토출하는 송풍팬, 송풍팬을 회전 구동하는 구동 모터와, 상기 필터, 송풍팬, 구동 모터 등 공기 청정기에 포함된 각종의 부품들이 설치되는 하우징 등을 포함한다.In general, an air purifier includes a filter that purifies air by collecting contaminants contained in air, a blower fan that provides suction power for sucking indoor air, and a blower that discharges the air purified by the filter back into the room. It includes a driving motor that rotates and drives the fan, and a housing in which various parts included in the air purifier such as the filter, the blowing fan, and the driving motor are installed.

일반적으로, 공기 청정기는, 공기에 대한 집진 및 살균을 실시하기 위하여, 공기에 포함된 먼지, 이물질을 포집하여 제거하는 집진 필터와, 자외선, 기타 여기광에 의해 활성화되는 광촉매의 광화학 반응에 의해 생성된 라디칼을 이용해 공기에 대한 살균 및 탈취를 실시하는 광촉매 필터 등을 포함한다.In general, an air purifier is produced by a photochemical reaction between a dust collection filter that collects and removes dust and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air, and a photocatalyst activated by ultraviolet rays and other excitation light, in order to collect and sterilize air. It includes a photocatalytic filter that sterilizes and deodorizes air using the radicals.

그런데, 종래의 공기 청정기는, 광촉매 필터로 인해 공기에 대한 유로 저항이 증가되면서 집진 필터의 집진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의 공기의 공기 청정기는, 광촉매 필터가 공기 청정기의 내부에 탈부착이 불가능한 형태로 고정 설치된다. 이에, 종래의 공기 청정기는, 광촉매 필터에 누적되는 먼지, 기타 이물질로 인해, 광촉매 필터에 코팅된 광촉매에 여기광이 원활하게 조사되지 못해 광촉매 필터의 살균 및 탈취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과, 공기 청정기의 사용 시간에 따라 공기에 대한 유로 저항이 점진적으로 증가됨으로써, 광촉매 필터로 인한 집진 필터의 집진 성능의 저하가 심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air purifier has a problem in that the dust collecting performance of the dust collecting filter is deteriorated as the flow resistance to air is increased due to the photocatalytic filter. On the other hand, in the conventional air purifier, the photocatalytic filter is fixedly installed inside the air purifier in a non-detachable form. Accordingly, in the conventional air purifier, the sterilization and deodorization performance of the photocatalyst filter is deteriorated because the excitation light is not smoothly irradiated to the photocatalyst coated on the photocatalyst filter due to dust and other foreign substances accumulated in the photocatalyst filter, and the air purifier As the flow resistance to air gradually increased according to the usage time of the device, the deterioration of the dust collecting performance of the dust collecting filter due to the photocatalytic filter was deepened.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광촉매 필터로 인한 집진 필터의 집진 성능의 저하가 최소화될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한 공기 청정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purifier with an improved structure so that the deterioration of the dust collecting performance of the dust collecting filter due to the photocatalytic filter can be minimized.

나아가, 본 발명은, 광촉매 필터를 분리하여 유지 관리할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한 공기 청정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Further,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purifier with an improved structure so that the photocatalytic filter can be separated and maintained.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는,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 개구와, 상기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 개구와, 상기 유입 개구와 상기 배출 개구를 연결하는 내부 유로를 구비하는 하우징; 및 적어도 일부분에 광촉매가 코팅된 필터 조립체와, 상기 광촉매의 광화학 반응을 활성화하기 위한 여기광을 제공하는 발광기와, 상기 발광기로부터 방출된 상기 여기광이 상기 필터 조립체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조사되도록, 상기 필터 조립체 및 상기 발광기를 각각 상기 내부 유로에 고정하는 고정 브라켓을 구비하는 광촉매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필터 조립체는, 중심부에 바이패스홀이 형성된 중공 형상의 광촉매 필터와, 상기 공기가 상기 광촉매 필터를 통과하되 상기 공기 중 어느 일부가 상기 바이패스홀을 선택적으로 통과하도록 상기 광촉매 필터가 수용되고, 상기 고정 브라켓에 결합되는 필터 가이드를 갖는다.An air purifi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an inlet opening through which external air is introduced, an outlet opening through which the ai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and connecting the inlet opening and the outlet opening a housing having an internal flow path; and a filter assembly coated with a photocatalyst on at least a portion thereof, a light emitter providing excitation light for activating a photochemical reaction of the photocatalyst, and the excitation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er is irradiat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filter assembly, the and a photocatalyst module having a filter assembly and a fixing bracket for fixing the light emitter to the inner flow path, respectively, wherein the filter assembly includes a hollow photocatalytic filter having a bypass hole formed in the center, and the air passing through the photocatalyst filter The photocatalytic filter is accommodated so that any part of the air passes through the bypass hole selectively, and has a filter guide coupled to the fixing bracket.

바람직하게, 상기 광촉매 필터는, 환형의 고리 형상 또는 다각형의 고리 형상을 갖는다.Preferably, the photocatalytic filter has an annular ring shape or a polygonal ring shape.

바람직하게, 상기 필터 조립체는, 상기 발광기를 기준으로 상기 배출 개구의 반대 쪽에 위치하도록 상기 고정 브라켓에 결합된다.Preferably, the filter assembly is coupled to the fixing bracket so as to be position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discharge opening with respect to the light emitter.

바람직하게, 상기 필터 가이드는, 상기 바이패스홀과 합치되는 관통홀과, 상기 광촉매 필터와 연통되는 연통홀을 갖는다.Preferably, the filter guide has a through hole that coincides with the bypass hole and a communication hole that communicates with the photocatalytic filter.

바람직하게, 상기 고정 브라켓은, 상기 유입 개구에서 상기 배출 개구를 향해 유동하는 공기가 상기 필터 조립체를 통과하도록 상기 필터 조립체의 적어도 일부분이 삽입되는 필터 삽입홀을 갖는다.Preferably, the fixing bracket has a filter insertion hole into which at least a portion of the filter assembly is inserted so that air flowing from the inlet opening toward the outlet opening passes through the filter assembly.

바람직하게, 상기 광촉매 모듈은, 상기 유입 개구를 통해 상기 내부 유로에 삽입되거나 상기 내부 유로로부터 인출될 수 있도록 상기 유입 개구에 비해 작은 크기를 갖고, 상기 필터 가이드는, 상기 필터 삽입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Preferably, the photocatalyst module has a smaller size than the inlet opening so that it can be inserted into or withdrawn from the inner passage through the inlet opening, and the filter guide is separably into the filter insertion hole. are combined

바람직하게, 상기 필터 가이드는, 상기 필터 삽입홀의 내주면을 향하도록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는 걸림 리브를 갖고, 상기 고정 브라켓은, 상기 걸림 리브가 분리 가능하게 걸림되도록 상기 필터 삽입홀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걸림홈을 갖는다.Preferably, the filter guide has a locking rib protruding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o face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lter insertion hole, and the fixing bracket includes a locking groov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lter insertion hole so that the locking rib is separably caught. have

바람직하게, 상기 필터 가이드는,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는 결합 후크를 더 갖고, 상기 고정 브라켓은, 상기 후크가 후크 결합되도록 상기 필터 삽입홀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후크홈을 더 갖는다.Preferably, the filter guide further includes a coupling hook protruding from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fixing bracket further has a hook groove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lter insertion hole so that the hook is hook-coupled.

바람직하게, 상기 후크 및 상기 후크홈은, 상기 걸림 리브가 상기 걸림홀에 걸림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 후크를 상기 후크홈에 후크 결합하거나 상기 결합 후크를 상기 후크홈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Preferably, the hook and the hook groove are provided so that, in a state in which the locking rib is caught in the locking hole, the coupling hook can be hook-coupled to the hook groove or the coupling hook can be separated from the hook groove.

바람직하게, 상기 필터 가이드는, 외주면에 상기 광촉매 필터의 두께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 리브를 갖고, 상기 고정 브라켓은, 상기 필터 조립체가 상기 필터 삽입홀에 미리 정해진 깊이만큼 삽입될 때 상기 돌출 리브가 걸림되도록 상기 필터 삽입홀의 내주면에 돌출 형성되는 스토퍼를 갖는다.Preferably, the filter guide has a protruding rib protruding from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photocatalytic filter, and the fixing bracket engages the protruding rib when the filter assembly is inserted into the filter insertion hole by a predetermined depth. It has a stopper protruding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lter insertion hole as much as possible.

바람직하게, 상기 필터 가이드는, 적어도 일부분에 상기 광촉매가 코팅되며 상기 관통홀에 설치되는 유입 그릴을 더 갖는다.Preferably, the filter guide, at least a portion of which is coated with the photocatalyst, further has an inlet grill installed in the through hole.

바람직하게, 상기 발광기는, 상기 광촉매 필터의 직경과 대응하는 직경을 갖고, 상기 광촉매 필터와 대면하도록 상기 고정 브라켓에 결합되는 중공 형상의 기판과, 상기 광촉매 필터와 대면하는 상기 기판의 일면에 미리 정해진 간격을 두고 실장되며, 상기 광촉매 필터에 여기광을 조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들을 갖는다.Preferably, the light emitter includes a hollow substrate having a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diameter of the photocatalytic filter and coupled to the fixing bracket to face the photocatalytic filter, and a predetermined surface of the substrate facing the photocatalytic filter. It has at least one light emitting element mounted at an interval and irradiating excitation light to the photocatalytic filter.

바람직하게, 상기 고정 브라켓은, 상기 발광기가 결합되며,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는 제1 고정 브라켓과, 상기 필터 조립체가 결합되며, 상기 필터 조립체와 상기 발광기가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상기 제1 고정 브라켓에 결합되는 제2 고정 브라켓을 갖는다.Preferably, the fixing bracket includes a first fixing bracket to which the light emitter is coupled, a first fixing bracket fixed to the housing, and the filter assembly, and the first fixing bracket so that the filter assembly and the light emitter ar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t has a second fixing bracket coupled to.

바람직하게, 상기 제1 고정 브라켓은, 상기 발광기가 분리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는 끼움홈이 일면에 형성된 발광기 가이드를 갖는다.Preferably, the first fixing bracket has a light emitter guide having a fitting groove formed on one surface into which the light emitter is detachably fitted.

바람직하게,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 고정 브라켓의 일면이 안착되는 브라켓 안착홈과, 상기 제2 고정 브라켓의 적어도 일부분이 삽입되는 모듈 삽입홀을 갖는 제1 파트를 더 구비한다.Preferably, the housing further includes a first part having a bracket seating groove in which one surface of the first fixing bracket is seated, and a module insertion hole into which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fixing bracket is inserted.

바람직하게, 상기 제1 고정 브라켓은, 상기 제1 고정 브라켓의 타면에 요입 형성되는 정렬홈을 갖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정렬홈에 삽입되는 정렬 돌기를 갖는 제2 파트를 더 구비한다.Preferably, the first fixing bracket has an alignment groove recessed in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fixing bracket, and the housing further includes a second part having an alignment protrusion inserted into the alignment groove.

바람직하게, 상기 유입 개구는, 상기 하우징의 측면과 하면 중 적어도 일면에 형성되고, 상기 배출 개구는,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 형성된다.Preferably, the inlet opening is form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a side surface and a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and the discharge opening is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바람직하게, 상기 내부 유로에 설치되며, 상기 유입 개구를 통해 상기 내부 유로에 유입된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포집하는 집진 필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광촉매 모듈은, 상기 집진 필터와 상기 배출 개구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내부 유로에 설치된다.Preferably, it is installed in the inner flow path, further comprising a dust collecting filter for collecting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air introduced into the inner channel through the inlet opening, the photocatalyst module, between the dust collecting filter and the outlet opening It is installed in the inner flow path so as to be located.

바람직하게, 상기 광촉매 모듈과 상기 배출 개구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내부 유로에 설치되며, 상기 내부 유로에 수용된 공기를 상기 유입 개구에서 상기 배출 개구를 향해 송풍하는 송풍 유닛을 더 포함한다.Preferably, the method further includes a blowing unit installed in the inner flow path to be positioned between the photocatalyst module and the discharge opening, and blowing the air received in the inner flow path from the inlet opening toward the discharge opening.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청정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본 발명은, 중심부에 바이패스홀이 형성된 중공 형상의 광촉매 모듈을 광촉매 모듈에 적용하여, 광촉매 모듈에 도달된 공기의 어느 일부는 광촉매 필터를 통과시키고 다른 일부는 바이패스홀을 통과시킨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광촉매 필터로 인한 공기의 유로 저항을 감소시켜, 광촉매 필터로 인해 집진 필터의 집진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First, in the present invention, a hollow-shaped photocatalyst module having a bypass hole formed in the center is applied to the photocatalyst module, and some of the air reaching the photocatalyst module passes through the photocatalytic filter and the other part passes through the bypass hole. Through this,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flow resistance of air due to the photocatalytic filter, thereby preventing the dust collecting performance of the dust collecting filter from being deteriorated due to the photocatalytic filter.

둘째, 본 발명은, 광촉매 필터와 발광기가 일체화된 광촉매 모듈을 적용하되, 광촉매 필터를 광촉매 모듈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결합 구조를 광촉매 모듈에 도입함으로써, 광촉매 필터를 광촉매 모듈로부터 분리시킨 상태에서 광촉매 필터의 세척, 교체, 기타 유지 관리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Second, the present invention applies a photocatalyst module in which a photocatalytic filter and a light emitting device are integrated, but by introducing a coupling structure capable of separably coupling the photocatalytic filter to the photocatalyst module into the photocatalyst module, the photocatalytic filter is separated from the photocatalyst module can easily perform cleaning, replacement, and other maintenance work of the photocatalytic filter in the

셋째, 본 발명은, 광촉매 필터가 발광기를 기준으로 배출 개구의 반대 쪽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발광기로부터 방출된 여기광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이 차단됨으로써, 외부로 방출된 자외선, 기타 여기광으로 인해 사용자의 건강에 악영향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ir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hotocatalytic filter is installed so as to be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discharge opening with respect to the light emitter. Through th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xcitation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er is blocked from being emitted to the outside, thereby preventing adverse effects on the user's health due to ultraviolet rays and other excitation light emitted to the outside.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Ⅰ-Ⅰ 라인에 대한 단면도.
도 3은 도 1의 Ⅰ-Ⅰ 라인에 대한 부분 단면 사시도.
도 4는 광촉매 모듈이 하우징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공기 청정기의 부분 사시도.
도 5는 도 2의 Ⅱ-Ⅱ 라인에 대한 부분 단면도.
도 6은 광촉매 모듈의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필터 조립체의 분리 사시도.
도 8은 도 6에 도시된 광촉매 모듈의 분리 사시도.
도 9및 도 5의 X 영역에 대한 부분 확대도.
도 10은 도 5의 Y 영역에 대한 부분 확대도.
도 11은 도 8에 도시된 발광기의 저면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2는 필터 조립체가 고정 브라켓으로부터 분리되는 양상을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도 13은 도 12의 부분 확대도.
도 14는 광촉매 모듈이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공기 청정기의 부분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n air purifi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 of Figure 1;
Fig. 3 is a partial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taken along line I-I of Fig. 1;
4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the air purifier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hotocatalyst module is mounted on the housing;
FIG. 5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 of FIG. 2 ;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photocatalyst module;
Fig.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filter assembly shown in Fig. 6;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hotocatalyst module shown in FIG. 6;
A partial enlarged view of the X region of FIGS. 9 and 5 .
10 is a partial enlarged view of the Y region of FIG. 5;
1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bottom surface of the light emitter shown in FIG. 8;
12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filter assembly is separated from the fixing bracket;
Fig. 13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Fig. 12;
14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the air purifier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hotocatalyst module is separated from the housing;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though they are indicat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interferes with the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b), etc.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for distinguishing the elements from other elements, and the essence, order, or order of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In addition,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es not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Ⅰ-Ⅰ 라인에 대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Ⅰ-Ⅰ 라인에 대한 부분 단면 사시도이고, 도 4는 광촉매 모듈이 하우징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공기 청정기의 부분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n air purifi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 of FIG. 1, and FIG. 3 is a portion for line I-I of FIG. It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and FIG. 4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the air purifier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hotocatalyst module is mounted on the housing.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1)는, 내부 유로(10a)가 형성된 하우징(10)과, 외부의 공기(A)를 내부 유로(10a)로 안내하는 흡입홀들(22)이 형성된 커버 판넬(20)과, 내부 유로(10a)로 안내된 공기(A)에 포함된 먼지, 기타 이물질을 포집하여 제거하는 집진 필터(30)와, 광촉매의 광화학 반응을 통해 내부 유로(10a)로 안내된 공기(A)에 대한 살균 및 탈취를 실시하는 광촉매 모듈(40)과, 내부 유로(10a)에 수용된 공기(A)를 송풍하는 송풍 유닛(50)과, 송풍 유닛(50)에 의해 송풍된 공기(A)를 외부로 토출하는 토출 유닛(60)과, 정보를 입출력하기 위한 입출력 모듈(70) 등을 포함할 수 있다.1 to 3 , an air purifier 1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10 having an internal flow path 10a formed therein, and external air A into an internal flow path 10a. A cover panel 20 having suction holes 22 to guide it, a dust collecting filter 30 for collecting and removing dust and other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air A guided to the internal flow path 10a, and a photocatalyst A photocatalyst module 40 for sterilizing and deodorizing the air (A) guided to the internal flow path 10a through a photochemical reaction, and a blowing unit 50 for blowing the air (A) accommodated in the internal flow path 10a and a discharge unit 60 for discharging the air A blown by the blowing unit 50 to the outside, and an input/output module 70 for inputting and outputting information, and the like.

공기 청정기(1)는, 하우징(10)의 측면과 하면 중 적어도 일면에 위치한 흡입홀들(22)을 통해 외부로부터 흡입된 공기(A)를 집진 필터(30) 및 광촉매 모듈(40)을 이용해 정화 및 살균한 후 하우징(10)의 상면에 위치한 토출홀들(62b)을 통해 외부로 토출하는 타워형 공기 청정기로 구성되는 갖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는, 공기 청정기(1)가 타워형 공기 청정기로 구성되는 경우를 기준으로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The air purifier 1 uses the dust collecting filter 30 and the photocatalyst module 40 to collect the air (A) sucked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suction holes 22 locat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sid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10 . After purification and sterilization, it is preferable to have a tower type air purifier that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charge holes 62b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10, but is not limited thereto.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case in which the air purifier 1 is configured as a tower type air purifier.

먼저, 하우징(10)은, 공기 청정기(1)에 포함된 각종의 부품들을 설치 및 수용하기 위한 장치이다.First, the housing 10 is a device for installing and accommodating various parts included in the air purifier 1 .

하우징(10)의 구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하우징(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1)와, 각종의 부품들을 설치 및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하우징 본체(12)와, 하우징 본체(12)를 지지하도록 베이스(11)와 하우징 본체(12)를 연결하는 지지대(13)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structure of the housing 1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For example, as shown in FIG. 2 , the housing 10 includes a base 11 , a housing body 12 providing a space for installing and accommodating various parts, and the housing body 12 . It may include a support 13 and the like connecting the base 11 and the housing body 12 to support it.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하우징(10)의 내부에는, 커버 판넬(20)의 흡입홀들(22)을 통해 외부로부터 흡입된 공기(A)가 후술할 토출 유닛(60)의 토출홀들(62b)을 향해 유동하는 내부 유로(10a)가 형성된다. 또한, 내부 유로(10a)는, 지지대들(13a)에 의해 구획된 하우징(10)의 내부 공간에 형성되며, 커버 판넬(20)의 흡입홀들(22)을 통해 외부로부터 유입된 공기(A)가 유동하는 제1 내부 유로(10b)와, 하우징 본체(12)에 의해 구획된 하우징(10)의 내부 공간에 형성되며, 제1 내부 유로(10b)를 통과한 공기(A)가 유동하는 제2 내부 유로(10c) 등을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 inside the housing 10 , air A sucked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suction holes 22 of the cover panel 20 is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hole of the discharge unit 60 to be described later. An inner flow path 10a flowing toward the fields 62b is formed. In addition, the internal flow path 10a is formed in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10 partitioned by the supports 13a, and the air introduced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suction holes 22 of the cover panel 20 (A) ) is formed in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10 partitioned by the first internal flow path 10b and the housing body 12, through which the air (A) passing through the first internal flow path 10b flows A second internal flow path 10c may be included.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1)는, 공기 청정기(1)에 설치되는 지면에 안착시킬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베이스(11)에는, 공기 청정기(1)를 이송시키기 위한 바퀴들과, 공기 청정기(1)를 외부의 전원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전선 및 플러그 등이 설치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 the base 11 is provided to be seated on the ground installed in the air purifier 1 . In the base 11, wheels for transporting the air purifier 1 and wires and plugs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air purifier 1 with an external power source may be installed.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 본체(12)는, 하우징 본체(12)의 하부를 구성하며, 제1 내부 유로(10b)에서 집진 필터(30)에 의해 정화된 공기(A)를 제2 내부 유로(10c)로 안내하는 제1 파트(14)와, 제1 파트(14)를 통해 제2 내부 유로(10c)에 유입된 공기(A)를 송풍 유닛(50)으로 안내하도록 제1 파트(14)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2 파트(15)와, 하우징 본체(12)의 상부를 구성하며, 송풍 유닛(50)에 의해 송풍된 공기(A)를 외부로 안내하는 제3 파트(16) 등을 구비할 수 있다.2 and 3 , the housing body 12 constitutes a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body 12, and the air (A) purified by the dust collection filter 30 in the first internal flow path 10b. to guide the air (A) introduced into the second internal flow path 10c through the first part 14 and the first part 14 to the blowing unit 50 The second part 15 installed inside the first part 14 and the third part constituting the upper part of the housing body 12 and guiding the air A blown by the blowing unit 50 to the outside Part 16 and the like may be provided.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파트(14)는, 제1 내부 유로(10b)와 연통되도록 형성되며, 광촉매 모듈(40)의 적어도 일부분이 삽입되는 모듈 삽입홀(14a)을 가질 수 있다. 이에, 제1 내부 유로(10b)를 통과한 공기(A)는, 모듈 삽입홀(14a)에 삽입된 광촉매 모듈(40)을 통과한 후 제2 내부 유로(10c)로 유입될 수 있다.4 , the first part 14 is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first internal flow path 10b, and may have a module insertion hole 14a into which at least a portion of the photocatalyst module 40 is inserted. . Accordingly, the air A passing through the first internal flow path 10b may be introduced into the second internal flow path 10c after passing through the photocatalyst module 40 inserted into the module insertion hole 14a.

제2 파트(15)는, 제1 파트(14)의 내부에 공기 청정기(1)의 높이 방향으로 삽입된다. 제2 파트(15)는, 송풍 유닛(50) 쪽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직경이 작아지는 경사 구조를 갖는다. 이를 통해, 제2 파트(15)는, 광촉매 모듈(40)을 통과한 공기(A)를 송풍 유닛(50)으로 안내할 수 있다.The second part 15 is inserted into the first part 14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air cleaner 1 . The second part 15 has an inclined structure in which the diameter gradually decreases toward the blowing unit 50 . Through this, the second part 15 may guide the air A that has passed through the photocatalyst module 40 to the blowing unit 50 .

또한, 제2 파트(15)는, 후술할 송풍 유닛(50)의 구동 모터(54)가 장착되는 모터 브라켓(15a)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모터 브라켓(15a)은 결합 리브(15b)에 의해 제2 파트(15)의 내주면에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part 15 may have a motor bracket 15a on which a driving motor 54 of the blowing unit 50 to be described later is mounted. The motor bracket 15a may be coupl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part 15 by the coupling rib 15b.

제3 파트(16)는, 제1 파트(14)에 공기 청정기(1)의 높이 방향으로 결합된다. 제3 파트(16)는 송풍 유닛(50)에 의해 송풍된 공기(A)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 개구(16a)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제3 파트(16)는 송풍 유닛(50)을 둘러싸도록 송풍 유닛(50)과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다. 예를 들어, 제3 파트(16)의 하부에는, 배출 개구(16a) 쪽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넓어지는 경사면(16b)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3 파트(16)는 송풍 유닛(50)에 의해 송풍된 공기(A)를 배출 개구(16a)를 통해 외부로 안내할 수 있다.The third part 16 is coupled to the first part 14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air cleaner 1 . The third part 16 may have a discharge opening 16a for discharging the air A blown by the blowing unit 50 to the outside. Further, the third part 16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blowing unit 50 so as to surround the blowing unit 50 . For example, an inclined surface 16b whose diameter gradually increases toward the discharge opening 16a may be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third part 16 . The third part 16 may guide the air A blown by the blowing unit 50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charge opening 16a.

지지대(13)는 하우징 본체(12)를 지지하도록 베이스(11)와 제1 파트(14) 사이에 마련된다. 지지대(13)의 설치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복수의 지지대들(13)이 미리 정해진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지지대들(13) 사이에는, 커버 판넬(20)의 흡입홀들(22)과 제1 내부 유로(10b)를 연통시키는 유입 개구들(13a)이 형성된다. 이러한 유입 개구들(13a)에 의하면, 커버 판넬(20)의 흡입홀들(22)을 통해 외부로부터 흡입된 공기(A)는 유입 개구들(13a)을 통해 제1 내부 유로(10b)로 유입될 수 있다.A support 13 is provided between the base 11 and the first part 14 to support the housing body 12 . The number of installations of the supports 13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a plurality of supports 13 are install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s shown in FIG. 4 , between the supports 13 , inlet openings 13a for communicating the suction holes 22 of the cover panel 20 and the first internal flow path 10b are formed. According to these inlet openings 13a, the air (A) sucked in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suction holes 22 of the cover panel 20 flows into the first internal flow path 10b through the inlet openings 13a. can be

다음으로, 커버 판넬(20)은 하우징 본체(12)를 외부로부터 보호함과 함께, 외부의 공기(A)를 내부 유로(10a)에 전달하기 위한 장치이다.Next, the cover panel 20 is a device for protecting the housing body 12 from the outside and transmitting the external air (A) to the internal flow path (10a).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 판넬(20)은, 하우징(10)의 적어도 일부분을 둘러쌀 수 있도록, 하우징(10)의 외주면과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다.3 , the cover panel 20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10 so as to surround at least a portion of the housing 10 .

커버 판넬(20)의 설치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커버 판넬(20)은 적어도 한 개가 설치될 수 있다. 커버 판넬(20)은, 하우징(10)의 외측에서 유입 개구(13a)를 커버하도록, 후크, 기타 결합 부재(미도시)에 의해 하우징(10)의 외면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The number of the cover panels 2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at least one cover panel 20 may be installed. The cover panel 20 may be detachably moun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10 by a hook or other coupling member (not shown) so as to cover the inlet opening 13a from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 .

이러한 커버 판넬(20)에는, 공기(A)가 통과 가능하도록 미리 정해진 크기를 갖는 복수의 흡입홀들(22)이 유입 개구(13a)와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그러면, 송풍 유닛(50)이 구동될 때, 유입 개구(13a) 및 유입 개구(13a)와 연통된 흡입홀들(22)에는 흡입력이 인가되고, 이러한 흡입력에 의해 외부로부터 흡입홀들(22)에 흡입된 공기(A)는, 유입 개구(13a)를 통해 제1 내부 유로(10b)에 유입될 수 있다.In the cover panel 20, a plurality of suction holes 22 having a predetermined size to allow air A to pass therethrough are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inlet opening 13a. Then, when the blowing unit 50 is driven, a suction force is applied to the inlet opening 13a and the suction holes 22 communicating with the inlet opening 13a, and the suction holes 22 from the outside by this suction force. The air (A) sucked in may be introduced into the first internal flow path 10b through the inlet opening 13a.

다음으로, 집진 필터(30)는, 제1 내부 유로(10b)로 유입된 공기(A)를 정화하기 위한 장치이다.Next, the dust collecting filter 30 is a device for purifying the air (A) introduced into the first internal flow path (10b).

집진 필터(30)로서 사용 가능한 필터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공기(A)에 포함된 먼지, 기타 이물질을 포집하여 제거할 수 있는 다양한 필터들이 집진 필터(30)로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집진 필터(30)는 활성탄 필터와 헤파 필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type of filter usable as the dust collecting filter 3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various filters capable of collecting and removing dust and other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air A may be used as the dust collecting filter 30 . For example, the dust collection filter 3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 activated carbon filter and a HEPA filter.

집진 필터(30)는 지지대들(13)의 내측에서 유입 개구(13a)를 커버하도록 제1 내부 유로(10b)의 내부에 삽입 가능한 형상을 갖는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부 유로(10b)가 원통 형상을 갖는 경우에, 집진 필터(30)는 제1 내부 유로(10b)의 직경과 대응하는 외경을 갖는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러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 개구(13a)를 통해 제1 내부 유로(10b)로 유입된 공기(A)는 집진 필터(30)를 필수적으로 통과하게 된다. 이를 통해, 집진 필터(30)는 제1 내부 유로(10b)로 유입된 공기(A)에 포함된 이물질을 포집하여, 제1 내부 유로(10b)로 유입된 공기(A)를 정화할 수 있다.The dust collecting filter 30 has a shape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first internal flow path 10b to cover the inflow opening 13a from the inside of the supports 13 . For example, as shown in FIG. 3 , when the first internal flow path 10b has a cylindrical shape, the dust collecting filter 30 has a cylindrical shape having an outer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diameter of the first internal flow path 10b. can have Then, as shown in FIG. 2 , the air A introduced into the first internal flow path 10b through the inlet opening 13a essentially passes through the dust collecting filter 30 . Through this, the dust collection filter 30 may collect foreign substances included in the air A introduced into the first internal flow path 10b and purify the air A introduced into the first internal flow path 10b. .

다음으로, 광촉매 모듈(40)은, 광촉매의 광화학 반응을 이용해, 제1 내부 유로(10b)를 통과한 공기(A)에 대한 살균 및 탈취를 실시하기 위한 장치이다.Next, the photocatalyst module 40 is a device for sterilizing and deodorizing the air A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rst internal flow path 10b by using the photochemical reaction of the photocatalyst.

광촉매 모듈(40)의 구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촉매 모듈(40)은, 적어도 일부분에 광촉매가 코팅된 필터 조립체(41)와, 필터 조립체(41)에 코팅된 광촉매의 광화학 반응을 활성화하기 위한 여기광(UV)을 제공하는 발광기(42)와, 발광기(42)로부터 방출된 여기광(UV)이 필터 조립체(41)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조사되도록, 필터 조립체(41) 및 발광기(42)를 각각 내부 유로(10a)에 고정하는 고정 브라켓(43) 등을 구비할 수 있다.The structure of the photocatalyst module 4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For example, as shown in FIG. 3 , the photocatalyst module 40 is an excitation for activating a photochemical reaction of the filter assembly 41 coated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photocatalyst and the photocatalyst coated on the filter assembly 41 . The filter assembly 41 and the light emitter 42 are arranged such that the light emitter 42 providing light UV and the excitation light UV emitted from the light emitter 42 are irradiat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filter assembly 41 . Each of the fixing brackets 43 fixed to the inner flow path 10a may be provided.

광촉매 모듈(40)은 설치 위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촉매 모듈(40)은 집진 필터(30)와 송풍 유닛(50)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특히, 필터 조립체(41)는 발광기(42)를 기준으로 배출 개구(16a)의 반대 쪽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며, 발광기(42)는 이처럼 배출 개구(16a)의 반쪽 쪽에 위치한 필터 조립체(41)를 향해 여기광(UV)을 조사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필터 조립체(41)와 발광기(42)의 위치 관계에 의하면, 발광기(41)로부터 방출된 여기광(UV)이 배출 개구(16a)를 통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이 차단됨으로써, 공기 청정기(1)의 외부로 방출된 여기광(UV)으로 인해 사용자의 건강에 악영향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n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photocatalyst module 4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For example, as shown in FIGS. 3 and 4 , the photocatalyst module 40 is installed to be positioned between the dust collecting filter 30 and the blowing unit 50 . In particular, the filter assembly 41 is installed to be position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discharge opening 16a with respect to the light emitter 42, and the light emitter 42 is positioned toward the filter assembly 41 located on the half side of the discharge opening 16a as described above. It is installed to irradiate excitation light (UV). According to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filter assembly 41 and the light emitter 42 , the excitation light UV emitted from the light emitter 41 is blocked from being emit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charge opening 16a, so that the air purifier 1 is It is possible to prevent adverse effects on the user's health due to the excitation light (UV) emitted to the outside of the .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촉매 모듈(40)은, 제1 내부 유로(10b)에서 집진 필터(30)에 의해 정화된 공기(A)가 필터 조립체(41)를 통과하도록 제1 파트(14)의 모듈 삽입홀(14a)에 적어도 일부분이 삽입될 수 있다. 그러면, 제1 내부 유로(10b)에서 집진 필터(30)에 의해 정화된 공기(A)는, 광촉매 모듈(40)에서 살균 및 탈취된 후, 제2 내부 유로(10c)에 유입될 수 있다.3 and 4 , the photocatalyst module 40 is configured such that the air (A) purified by the dust collecting filter 30 in the first internal flow path 10b passes through the filter assembly 41 first. At least a portion may be inserted into the module insertion hole 14a of the part 14 . Then, the air (A) purified by the dust collecting filter 30 in the first internal flow path 10b may be sterilized and deodorized by the photocatalyst module 40 and then introduced into the second internal flow path 10c.

이러한 광촉매 모듈(40)에 대한 더욱 자세한 내용은 후술하기로 한다.Further details of the photocatalyst module 40 will be described later.

다음으로, 송풍 유닛(50)은 내부 유로(10a)에 수용된 공기(A)를 강제 유동시키기 위한 유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이다.Next, the blowing unit 50 is a device for providing a flow force for forcibly flowing the air (A) accommodated in the internal flow path (10a).

송풍 유닛(50)의 구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풍 유닛(50)은, 내부 유로(10a)에 수용된 공기(A)를 송풍하도록 마련되는 송풍팬(52)과, 송풍팬(52)을 회전 구동하는 구동 모터(54) 등을 구비할 수 있다.The structure of the blowing unit 50 is not specifically limited. For example, as shown in FIGS. 2 and 3 , the blowing unit 50 includes a blowing fan 52 provided to blow the air A accommodated in the internal flow path 10a and the blowing fan 52 . It may be provided with a driving motor 54 and the like for rotationally driving the .

송풍 유닛(50)은, 광촉매 모듈(40)과 배출 개구(16a) 사이에 위치하도록, 제2 내부 유로(10c)에 설치된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청정기(1)가 타워형 공기 청정기로 구성되는 경우에, 송풍 유닛(50)은, 광촉매 모듈(40)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제2 내부 유로(10c)에 설치된다.The blowing unit 50 is installed in the second internal flow path 10c so as to be positioned between the photocatalyst module 40 and the discharge opening 16a. For example, as shown in FIG. 3 , when the air purifier 1 is configured as a tower-type air purifier, the blowing unit 50 is positioned above the photocatalyst module 40, the second internal flow path ( 10c) is installed.

송풍팬(52)으로서 사용 가능한 팬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송풍팬(52)은 축 방향으로 흡입한 공기(A)를 방사형으로 토출하는 터보팬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송풍팬(52)은, 미리 정해진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복수의 블레이드들(52a)과, 블레이드들(52a)에 의해 송풍된 공기(A)를 방사형으로 토출되도록 안내하는 안내 플레이트(52c, 52d)를 구비할 수 있다. 안내 플레이트(52c, 52d)의 설치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풍팬(52)은, 블레이드들(52a)의 상측을 커버하도록 마련되는 제1 안내 플레이트(52c)와, 블레이드들(52a)의 하측을 커버하도록 마련되는 제2 안내 플레이트(52d)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안내 플레이트(52c) 및 제2 안내 플레이트(52d)는, 배출 개구(16a) 쪽으로 갈수록 제2 내부 유로(10c)의 내주면을 향하게 경사진 경사 구조를 가질 수 있다.The kind of fan that can be used as the blowing fan 52 is not particularly limited. For example, the blower fan 52 may be configured as a turbofan that radially discharges the air (A) sucked in the axial direction. As shown in FIG. 3 , such a blower fan 52 radially discharges air (A) blown by a plurality of blades 52a and the blades 52a install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Guide plates 52c and 52d for guiding may be provided. The number of installations of the guide plates 52c and 52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For example, as shown in FIG. 3 , the blowing fan 52 includes a first guide plate 52c provided to cover the upper side of the blades 52a, and the lower side of the blades 52a to cover the lower side. A second guide plate 52d provided may be provided. The first guide plate 52c and the second guide plate 52d may have an inclined structure inclined towar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inner flow path 10c toward the discharge opening 16a.

구동 모터(54)는, 송풍팬(52)과 유입 개구(13a) 사이, 보다 구체적으로, 송풍팬(52)과 광촉매 모듈(40) 사이에 위치하되 샤프트(54a)가 배출 개구(16a) 쪽으로 돌출되도록, 제2 내부 유로(10c)에 설치된다. 또한, 구동 모터(54)는, 배출 개구(16a) 쪽에서 송풍팬(52)을 바라봤을 때 송풍팬(52)에 의해 가려지도록 송풍팬(52)에 비해 작은 면적을 갖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샤프트(54a)는, 송풍팬(52)에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송풍팬(52)의 샤프트홀(52b)에 축 결합된다. 또한, 샤프트홀(52b)의 관통한 샤프트(54a)의 단부에는 송풍팬(52)이 샤프트(54a)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 방지 캡(56)이 장착될 수 있다.The driving motor 54 is located between the blowing fan 52 and the inlet opening 13a, more specifically, between the blowing fan 52 and the photocatalyst module 40, but the shaft 54a is toward the outlet opening 16a. It is installed in the second internal flow path 10c so as to protrude. In addition, the driving motor 54 is preferably provided to have a smaller area than the blowing fan 52 so as to be covered by the blowing fan 52 when the blowing fan 52 is viewed from the discharge opening 16a side. The shaft 54a is axially coupled to the shaft hole 52b of the blowing fan 52 so as to provide a driving force to the blowing fan 52 . In addition, a separation prevention cap 56 for preventing the blower fan 52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shaft 54a may be mounted at an end of the shaft 54a through the shaft hole 52b.

이러한 구동 모터(54)는, 내부 유로(10a)에 수용된 공기(A)가 유입 개구(13a) 쪽에서 배출 개구(16a) 쪽을 향해 강제 유동하도록, 송풍팬(52)을 미리 정해진 방향으로 회전 구동한다. 그러면, 유입 개구(13a) 및 유입 개구(13a)와 연통된 흡입홀들(22)에는 외부의 공기(A)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력이 인가되고, 송풍팬(52)에 의해 송풍된 공기(A)는 배출 개구(16a)를 향해 송풍된 후 토출 유닛(60)을 통해 외부로 토출된다. 이를 통해 송풍팬(52)은, 공기 청정기(1)가 설치된 실내 공간과 공기 청정기(1)에 사이에서 공기(A)를 강제 순환시킬 수 있다.The drive motor 54 rotates and drives the blower fan 52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so that the air A accommodated in the internal flow path 10a is forced to flow from the inlet opening 13a side toward the outlet opening 16a side. do. Then, a suction force for sucking the external air (A) is applied to the inlet opening (13a) and the suction holes (22) communicating with the inlet opening (13a), and the air blown by the blower fan (52) (A) ) is blown toward the discharge opening 16a and then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charge unit 60 . Through this, the blowing fan 52 may forcibly circulate the air A between the indoor space in which the air purifier 1 is installed and the air purifier 1 .

다음으로, 토출 유닛(60)은, 송풍팬(52)에 의해 송풍된 공기(A)를 외부로 토출시키기 위한 장치이다.Next, the discharge unit 60 is a device for discharging the air A blown by the blowing fan 52 to the outside.

토출 유닛(60)의 구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 유닛(60)은, 토출 그릴(62), 가이드 베인(64), 보조 그릴(66) 등을 구비할 수 있다.The structure of the discharge unit 6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For example, as shown in FIG. 3 , the discharge unit 60 may include a discharge grill 62 , a guide vane 64 , an auxiliary grill 66 , and the like.

토출 그릴(62)은, 배출 개구(16a)에 도달한 공기(A)를 외부로 토출함과 함께, 오염물, 기타 액상 또는 고상의 외부 물체가 배출 개구(16a)를 통해 내부 유로(10a)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또한,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 그릴(62)은, 입출력 모듈(70)이 안착되는 모듈 안착홈(62a)과, 배출 개구(16a)에 도달한 공기(A)를 외부로 토출하는 토출홀들(62b) 등을 가질 수 있다.The discharge grill 62 discharges the air A that has reached the discharge opening 16a to the outside, and contaminants and other liquid or solid external objects enter the internal flow path 10a through the discharge opening 16a. It is designed to prevent inflow. 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s 1 and 3, the discharge grill 62, the module seating groove (62a) in which the input/output module 70 is seated, and the air (A) reaching the discharge opening (16a) to the outside It may have discharge holes 62b for discharging to the air.

가이드 베인(64)은, 송풍팬(52)에 의해 송풍된 공기(A)를 미리 정해진 양상으로 토출 그릴(62)에 전달하는 다수의 베인 날개들로 구성될 수 있다.The guide vane 64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vane blades that deliver the air A blown by the blowing fan 52 to the discharge grill 62 in a predetermined manner.

보조 그릴(66)은, 토출 그릴(62)을 통과한 외부 물체의 잔여물이 내부 유로(10a)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이를 위하여, 보조 그릴(66)은 토출 그릴(62)의 토출홀들(62b)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를 갖는 다수의 통공들을 가질 수 있다.The auxiliary grill 66 is provided to prevent a residue of an external object passing through the discharge grill 62 from flowing into the internal flow path 10a. To this end, the auxiliary grill 66 may have a plurality of through-holes having a relatively smaller size than the discharge holes 62b of the discharge grill 62 .

다음으로, 입출력 모듈(70)은, 공기 청정기(1)를 제어하거나 공기 청정기(1)의 구동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각종의 정보들을 입력 및 출력하기 위한 장치이다.Next, the input/output module 70 is a device for controlling the air purifier 1 or inputting and outputting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for displaying the driving state of the air purifier 1 .

입출력 모듈(70)은, 토출 그릴(62)의 안착홈에 분리 가능하게 안착시킬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입출력 모듈(70)은, 공기 청정기(1)를 이용한 공기(A)의 정화 시에는 토출 그릴(62)에 안착된 상태로 보관될 수 있고, 제2 내부 유로(10c)에 설치된 부품들의 청소, 교체, 기타 배출 개구(16a)의 개방이 필요한 사유가 발생한 경우에는 토출 그릴(62)을 간섭하지 않도록 토출 그릴(62)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The input/output module 70 is preferably provided so that it can be detachably seated in the seating groove of the discharge grill 62 . Then, the input/output module 70 can be stored in a state seated on the discharge grill 62 when the air A is purified using the air purifier 1, and the components installed in the second internal flow path 10c When cleaning, replacement, or other reasons that require opening of the discharge opening 16a occur, it may be separated from the discharge grill 62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discharge grill 62 .

이러한 입출력 모듈(70)의 구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입출력 모듈(70)은,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 부재(미도시)와, 정보를 출력 가능하게 형성되는 출력 부재(미도시) 등을 구비할 수 있다.The structure of the input/output module 7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For example, the input/output module 70 may include an input member (not shown) for inputting information, an output member (not shown) configured to output information, and the like.

입력 부재를 이용해 입력 가능한 정보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입력 부재는, 공기 청정기(1)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 기타 각종의 정보를 제어기에 입력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Information that can be input using the input memb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For example, the input member may be provided to input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air purifier 1 and various other information to the controller.

입력 부재의 구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입력 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버튼과, 터치스크린 등을 가질 수 있다.The structure of the input memb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For example, the input member may include at least one button and a touch screen.

출력 부재를 이용해 출력 가능한 정보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출력 부재는, 공기 청정기(1)의 구동 상태, 공기 청정기(1)가 설치된 실내 환경, 기타 각종의 정보를 출력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Information that can be output using the output memb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For example, the output member may be provided to output the driving state of the air purifier 1 , the indoor environment in which the air purifier 1 is installed, and other various information.

출력 부재의 구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출력 부재는, 정보를 영상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정보를 음성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 등을 가질 수 있다. 특히, 입력 부재가 터치스크린인 경우에, 입력 부재 및 출력 부재는 일체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structure of the output memb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For example, the output member may have a display for outputting an image of information, a speaker for outputting audio information, and the like. In particular, when the input member is a touch screen, the input member and the output member are preferably provided integrally, but is not limited thereto.

도 5는 도 2의 Ⅱ-Ⅱ 라인에 대한 부분 단면도이고, 도 6은 광촉매 모듈의 사시도이다.5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 of FIG. 2, and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hotocatalyst module.

광촉매 모듈(40)은, 집진 필터(30)와 송풍 유닛(50) 사이에 위치하도록 하우징 본체(12)에 설치된다. 예를 들어, 도 5를 참조하면, 필터 조립체(41)는 고정 브라켓(43)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상태로 제1 파트(14)의 모듈 삽입홀(14a)에 삽입되고, 발광기(42)는 여기광(UV)을 필터 조립체(41)에 조사할 수 있도록 고정 브라켓(43)에 결합된다. 또한, 고정 브라켓(43)의 어느 일부분은 제1 파트(14)와 제2 파트(15) 사이에 개재됨으로써 하우징 본체(12)에 고정되고, 고정 브라켓(43)의 다른 일부분은 필터 조립체(41)를 지지하는 상태로 제1 파트(14)의 모듈 삽입홀(14a)에 삽입된다.The photocatalyst module 40 is installed in the housing body 12 so as to be positioned between the dust collecting filter 30 and the blowing unit 50 . For example, referring to FIG. 5 , the filter assembly 41 is inserted into the module insertion hole 14a of the first part 14 in a state detachably coupled to the fixing bracket 43 , and the light emitter 42 . is coupled to the fixing bracket 43 to irradiate the excitation light UV to the filter assembly 41 . In addition, a part of the fixing bracket 43 is fixed to the housing body 12 by being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part 14 and the second part 15 , and the other part of the fixing bracket 43 is the filter assembly 41 . ) is inserted into the module insertion hole 14a of the first part 14 in a state of supporting it.

위와 같이 광촉매 모듈(40)을 설치하기 위하여,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 조립체(41)는, 광촉매 필터(44)와, 광촉매 필터(44)가 수용되는 필터 가이드(45) 등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고정 브라켓(43)은, 발광기(42)가 결합되며, 제1 파트(14)와 제2 파트(15) 사이에 개재되어 하우징 본체(12)에 고정되는 제1 고정 브라켓(48)과, 필터 조립체(41)의 필터 가이드(45)가 결합되며, 필터 조립체(41)의 광촉매 필터(44)와 발광기(42)가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제1 고정 브라켓(48)에 결합되는 제2 고정 브라켓(49) 등을 가질 수 있다.In order to install the photocatalyst module 40 as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S. 5 and 6 , the filter assembly 41 includes a photocatalytic filter 44 and a filter guide 45 in which the photocatalytic filter 44 is accommodated. can have the back. Correspondingly, the fixing bracket 43 includes a first fixing bracket 48 to which the light emitter 42 is coupled, and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part 14 and the second part 15 to be fixed to the housing body 12 . ) and the filter guide 45 of the filter assembly 41 are coupled, and the photocatalytic filter 44 and the light emitter 42 of the filter assembly 41 are coupled to the first fixing bracket 48 so as to b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t may have a second fixing bracket 49 and the like.

광촉매 모듈(40)은 집진 필터(30)를 통과한 공기(A)를 전달받는 바, 집진 필터(30)와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진 필터(30)가 원통 형상을 갖는 경우에, 광촉매 모듈(40)은 원반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photocatalyst module 40 receives the air A that has passed through the dust collecting filter 30 , and preferably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dust collecting filter 30 . For example, as shown in FIG. 6 , when the dust collecting filter 30 has a cylindrical shape, the photocatalyst module 40 may have a disk shape.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필터 조립체의 분리 사시도이다.FIG.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filter assembly shown in FIG. 6 ;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촉매 필터(44)는, 중심부에 바이패스홀(44a)이 형성된 환형의 고리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또한, 광촉매 필터(44)는 중심부에 바이패스홀(44a)이 형성된 다각형의 고리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이처럼 광촉매 필터(44)가 중공의 고리 형상을 가짐에 따라, 제1 내부 유로(10b)로부터 광촉매 모듈(40)에 도달된 공기(A) 중 어느 일부는 광촉매 필터(44)를 통과하게 되고 다른 일부는 바이패스홀(44a)을 선택적으로 통과하게 된다.As shown in FIG. 7 , the photocatalytic filter 44 preferably has an annular annular shape in which a bypass hole 44a is formed in the center.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photocatalytic filter 44 may have a polygonal annular shape in which a bypass hole 44a is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As such, as the photocatalytic filter 44 has a hollow annular shape, some of the air A reaching the photocatalyst module 40 from the first internal flow path 10b passes through the photocatalytic filter 44 and other Some are selectively passed through the bypass hole (44a).

한편, 광촉매 필터(44)는 고리 형상을 갖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광촉매 필터(44)는 바이패스홀(44a)이 생략된 원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광촉매 필터(44)가 환형의 고리 형상을 갖는 것을 기준으로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Meanwhile, although the photocatalytic filter 44 has been described as having a ring shape, it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the photocatalytic filter 44 may have a disk shape in which the bypass hole 44a is omitted.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on the basis that the photocatalytic filter 44 has an annular ring shape.

광촉매 필터(44)의 크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광촉매 필터(44)는 필터 가이드(45)에 수용된 상태로 후술할 제1 파트(14)의 모듈 삽입홀(14a)에 삽입될 수 있도록 모듈 삽입홀(14a)의 직경에 비해 미리 정해진 비율만큼 작은 외경을 갖는다. 또한, 광촉매 필터(44)는, 제1 내부 유로(10b)로부터 광촉매 모듈(40)에 도달된 공기(A) 중 미리 정해진 비율의 공기(A)가 바이패스홀(44a)을 통과할 수 있도록 외경에 비해 정해진 비율만큼 작은 내경을 갖는다.The size of the photocatalytic filter 44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the photocatalytic filter 44 is accommodated in the filter guide 45 and is inserted into the module insertion hole 14a of the first part 14 to be described later. It has an outer diameter that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hole 14a by a predetermined ratio. In addition, the photocatalytic filter 44 is configured so that a predetermined ratio of air A among the air A reaching the photocatalytic module 40 from the first internal flow path 10b can pass through the bypass hole 44a. It has an inner diameter that is smaller than the outer diameter by a predetermined ratio.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촉매 필터(44)는, 서로 분리된 복수의 단위 필터들로 구성될 수 있다. 광촉매 필터(44)가 환형의 원반 형상을 갖는 경우에, 단위 필터들은 각각 미리 정해진 원호 각도를 원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단위 필터들은, 미리 정해진 여유 간격(G)만큼 서로 이격되도록 필터 가이드(45)에 수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단위 필터들이 서로 접촉됨으로 인해 단위 필터들이 형상이 변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lso, as shown in FIG. 7 , the photocatalytic filter 44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unit filters separated from each other. When the photocatalytic filter 44 has an annular disk shape, each of the unit filters may have an arc shape with a predetermined arc angle. These unit filters are preferably accommodated in the filter guide 45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clearance gap (G).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unit filters from being changed in shape due to the unit filters coming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이러한 광촉매 필터(44)의 적어도 일부분에는 광촉매가 코팅될 수 있다. 광촉매 필터(44)에 코팅 가능한 광촉매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산화아연(ZnO), 황화카드늄(CdS), 이산화티타늄(TiO2) 등이 광촉매로서 사용될 수 있다.At least a portion of the photocatalytic filter 44 may be coated with a photocatalyst. The type of photocatalyst that can be coated on the photocatalytic filter 44 is not particularly limited. For example, zinc oxide (ZnO), cadmium sulfide (CdS), titanium dioxide (TiO 2 ), etc. may be used as the photocatalyst.

이산화티타늄(TiO2)은, 자신이 빛을 받아도 변하지 않아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바, 광촉매는 이산화티타늄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산화아연(ZnO), 황화카드늄(CdS)은, 자신이 빛을 흡수하면서 촉매 자신이 분해되는 단점을 갖고 있어, 광촉매로서의 수명이 상대적으로 짧은 단점을 갖는다.Titanium dioxide (TiO 2 ) does not change even when it receives light, so it can be used semi-permanently, and the photocatalyst is preferably made of titanium dioxide. On the other hand, zinc oxide (ZnO) and cadmium sulfide (CdS) have a disadvantage that the catalyst itself is decomposed while absorbing light, and thus has a relatively short lifespan as a photocatalyst.

이러한 광촉매가 광촉매 필터(44)에 코팅됨에 따라, 발광기(42)로부터 방출된 여기광(UV)이 광촉매 필터(44)에 조사되어 광촉매의 광화학 반응이 활성화되면, 공기(A) 중의 산소(O2) 및 수증기(H2O)로부터 오존(O2) 및 수산화 라디칼(수산기, OH 라디칼, 하이드록시 라디칼)이 생성된다. 이처럼 발생된 수산화 라디칼은, 광촉매 필터(44) 및 바이패스홀(44a)을 통과하는 공기(A)와 혼합된 후 공기(A)에 포함된 오염물질 및 악취물질을 분해함으로써, 공기(A)에 대한 살균 및 탈취를 수행할 수 있다. 전술한 수산화 라디칼의 생성 과정과 살균 및 탈취 작용은 널리 알려진 바, 이에 대한 더욱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As the photocatalyst is coated on the photocatalyst filter 44, excitation light (UV) emitted from the light emitter 42 is irradiated to the photocatalyst filter 44 to activate the photochemical reaction of the photocatalyst, and oxygen (O) in the air (A) 2 ) and water vapor (H 2 O) generate ozone (O 2 ) and hydroxyl radicals (hydroxyl groups, OH radicals, hydroxy radicals). The hydroxyl radicals generated in this way are mixed with the air (A) passing through the photocatalytic filter 44 and the bypass hole 44a and then decompose the pollutants and odor substances contained in the air (A), so that the air (A) Can perform sterilization and deodorization for Since the above-described process of generating hydroxyl radicals and sterilizing and deodorizing actions are well known, a mor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필터 가이드(45)는 광촉매 필터(44)가 미리 정해진 형상을 유지하도록 광촉매 필터(44)를 수용하는 부재이다. 필터 가이드(45)의 구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필터 가이드(45)는, 제1 필터 가이드(46), 제2 필터 가이드(47) 등 서로 합치 가능한 구조를 갖는 한쌍의 파트들로 구성될 수 있다.The filter guide 45 is a member for accommodating the photocatalytic filter 44 so that the photocatalytic filter 44 maintains a predetermined shape. The structure of the filter guide 45 is not specifically limited. For example, the filter guide 45 may be composed of a pair of parts having a structure compatible with each other, such as the first filter guide 46 and the second filter guide 47 .

제1 필터 가이드(46)는, 광촉매 필터(44)의 상부를 수용하기 위한 부재이다. 제1 필터 가이드(46)는 광촉매 필터(44)와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다. 예를 들어, 광촉매 필터(44)가 환형의 원반 형상을 갖는 경우에, 제1 필터 가이드(46)는 환형의 원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에, 제1 필터 가이드(46)는, 광촉매 필터(44)의 상부가 제1 필터 가이드(46)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광촉매 필터(44)의 외경 및 내경에 비해 미리 정해진 비율만큼 큰 외경 및 내경을 가질 수 있다. The first filter guide 46 is a member for accommodating the upper portion of the photocatalytic filter 44 . The first filter guide 46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photocatalytic filter 44 . For example, when the photocatalytic filter 44 has an annular disc shape, the first filter guide 46 may have an annular disc shape. In this case, the first filter guide 46 has a predetermined ratio compared to the outer diameter and inner diameter of the photocatalytic filter 44 so that the upper portion of the photocatalytic filter 44 can be accommodated inside the first filter guide 46 . It can have an outer diameter and an inner diameter as large as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필터 가이드(46)는, 제1 관통홀(46a)과, 제1 연통홀(46b)과, 제1 결합 후크(46c)와, 제2 결합 후크(46d)와, 걸림 리브(46e)와, 제1 지지 리브(46f) 등을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7, the first filter guide 46, the first through hole (46a), the first communication hole (46b), the first coupling hook (46c), and the second coupling hook It may have a (46d), a locking rib (46e), a first support rib (46f), and the like.

제1 관통홀(46a)의 제1 필터 가이드(46)의 중심부에 광촉매 필터(44)의 바이패스홀(44a)과 합치되도록 형성된다. 제1 연통홀(46b)은 광촉매 필터(44)와 연통되도록 광촉매 필터(44)와 대면하는 일영역에 제1 필터 가이드(46)의 두께 방향으로 형성된다.The first through hole 46a is formed to coincide with the bypass hole 44a of the photocatalytic filter 44 at the center of the first filter guide 46 . The first communication hole 46b is formed in a region facing the photocatalytic filter 44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first filter guide 46 to communicate with the photocatalytic filter 44 .

제1 결합 후크(46c)는 제1 필터 가이드(46)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된다. 제2 결합 후크(46d)는 제1 필터 가이드(46)의 내주면에 돌출 형성된다.The first coupling hook 46c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filter guide 46 . The second coupling hook 46d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filter guide 46 .

걸림 리브(46e)는 후술할 제2 고정 브라켓(49)의 필터 삽입홀(49a)의 내주면을 향해 돌출되도록 제1 필터 가이드(46)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된다. 제1 지지 리브(46f)는 단위 필터들의 사이 간격(G)에 미리 정해진 깊이만큼 삽입되도록 제1 필터 가이드(46)의 하면에 단위 필터들의 원호 각도와 동일한 원호 각도 간격을 두고 돌출 형성된다.The locking rib 46e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filter guide 46 so as to protrude towar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lter insertion hole 49a of the second fixing bracket 49 to be described later. The first support ribs 46f ar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filter guide 46 at the same arc angle as the arc angles of the unit filters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gap G between the unit filters by a predetermined depth.

이러한 제1 필터 가이드(46)의 적어도 일부분에는 광촉매가 코팅될 수 있다. 그러면, 제1 필터 가이드(46)에 코팅된 광촉매에서 광화학 반응이 발생함으로써, 공기(A)에 대한 살균 및 탈취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filter guide 46 may be coated with a photocatalyst. Then, as a photochemical reaction occurs in the photocatalyst coated on the first filter guide 46 , the sterilization and deodorization efficiency of the air A may be improved.

제2 필터 가이드(47)는, 광촉매 필터(44)의 하부를 수용하기 위한 부재이다. 제2 필터 가이드(47)는 광촉매 필터(44)와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다. 예를 들어, 광촉매 필터(44)가 환형의 원반 형상을 갖는 경우에, 제2 필터 가이드(47)는 환형의 원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에, 제2 필터 가이드(47)는, 광촉매 필터(44)의 하부가 제2 필터 가이드(47)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광촉매 필터(44)의 외경 및 내경에 비해 미리 정해진 비율만큼 큰 외경 및 내경을 가질 수 있다.The second filter guide 47 is a member for accommoda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photocatalytic filter 44 . The second filter guide 47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photocatalytic filter 44 . For example, when the photocatalytic filter 44 has an annular disc shape, the second filter guide 47 may have an annular disc shape. In this case, the second filter guide 47 has a predetermined ratio compared to the outer diameter and inner diameter of the photocatalytic filter 44 so that the lower portion of the photocatalytic filter 44 can be accommodated inside the second filter guide 47 . It can have an outer diameter and an inner diameter as large as

또한, 제2 필터 가이드(47)는, 제2 관통홀(47a)과, 제2 연통홀(47b)과, 유입 그릴(47c)과, 제1 돌출 리브(47d)와, 제2 돌출 리브(47f)와, 제3 결합 후크(47h)와, 볼트홀(47i)과, 제2 지지 리브(47j) 등을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filter guide 47 includes a second through hole 47a, a second communication hole 47b, an inlet grill 47c, a first protruding rib 47d, and a second protruding rib ( 47f), a third coupling hook 47h, a bolt hole 47i, and a second support rib 47j may be provided.

제2 관통홀(47a)은 제2 필터 가이드(47)의 중심부에 광촉매 필터(44)의 바이패스홀(44a)과 합치되도록 형성된다. 제2 연통홀(47b)은 광촉매 필터(44)와 연통되도록 광촉매 필터(44)와 대면하는 일영역에 제2 필터 가이드(47)의 두께 방향으로 형성된다. 유입 그릴(47c)은 격자 구조 또는 방사형 구조를 갖도록 제2 관통홀(47a)에 형성된다.The second through hole 47a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second filter guide 47 to coincide with the bypass hole 44a of the photocatalytic filter 44 . The second communication hole 47b is formed in a region facing the photocatalytic filter 44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second filter guide 47 to communicate with the photocatalytic filter 44 . The inlet grill 47c is formed in the second through hole 47a to have a grid structure or a radial structure.

제1 돌출 리브(47d)는 제2 필터 가이드(47)의 외주면에 배출 개구(16a)를 향해 돌출 형성되며, 이러한 제1 돌출 리브(47d)에는 제1 결합 후크(46c)가 후크 결합될 수 있는 제1 후크홈(47e)이 형성된다. 제2 돌출 리브(47f)는 제2 필터 가이드(47)의 내주면에 배출 개구(16a)를 향해 돌출 형성되며, 이러한 제2 돌출 리브(47f)에는 제2 결합 후크(46d)가 후크 결합될 수 있는 제2 후크홈(47g)이 형성된다. 이러한 제1 돌출 리브(47d) 및 제2 돌출 리브(47f)는, 제1 결합 후크들(46c) 및 제2 결합 후크들(46d)이 제1 후크홈들(47e) 및 제2 후크홈들(47g)에 동시에 후크 결합될 수 있도록, 제1 결합 후크들(46c) 및 제2 결합 후크들(46d)의 형성 간격과 동일한 형성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The first protruding rib 47d is formed to protrude toward the discharge opening 16a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filter guide 47, and a first coupling hook 46c may be hook-coupled to this first protruding rib 47d. A first hook groove (47e) is formed. The second protruding rib 47f is formed to protrude toward the discharge opening 16a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filter guide 47, and a second coupling hook 46d may be hook-coupled to this second protruding rib 47f. A second hook groove (47g) is formed. These first protruding ribs 47d and second protruding ribs 47f have the first coupling hooks 46c and the second coupling hooks 46d in the first hook grooves 47e and the second hook grooves. In order to be hook-coupled to the 47g at the same time, the first coupling hooks 46c and the second coupling hooks 46d are formed with the same spacing as the formation spacing.

제3 결합 후크(47h)는 제2 필터 가이드(47)의 외주면에 배출 개구(16a)를 향해 돌출 형성된다. 볼트홀(47i)은 제2 필터 가이드(47)의 외주면에 형성된다. 제2 지지 리브(47j)는 단위 필터들의 사이 간격(G)에 삽입되도록 제2 필터 가이드(47)의 상면에 상기 단위 필터의 원호 각도와 대응하는 원호 간격을 두고 돌출 형성된다.The third coupling hook (47h) is formed to protrude toward the discharge opening (16a)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filter guide (47). The bolt hole 47i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filter guide 47 . The second support rib 47j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filter guide 47 with an arc gap corresponding to the arc angle of the unit filter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gap G between the unit filters.

이러한 제2 필터 가이드(47)의 적어도 일부분에는 광촉매가 코팅될 수 있다. 특히, 공기(A)와 접촉되는 표면적이 상대적으로 넓은 유입 그릴(47c)의 적어도 일부분에는 광촉매가 코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제2 필터 가이드(47)에 코팅된 광촉매에서 광화학 반응이 발생함으로써, 공기(A)에 대한 살균 및 탈취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filter guide 47 may be coated with a photocatalyst. In particular, it is preferable that at least a portion of the inlet grill 47c with a relatively large surface area in contact with the air A is coated with a photocatalyst. Then, as a photochemical reaction occurs in the photocatalyst coated on the second filter guide 47 , the sterilization and deodorization efficiency of the air A may be improved.

위와 같이 제1 필터 가이드(46) 및 제2 필터 가이드(47)가 마련됨에 따라, 제1 필터 가이드(46) 및 제2 필터 가이드(47)는, 결합 후크들(46c, 46d)과 후크홈들(47e, 47g)의 후크 결합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광촉매 필터(44)는 제1 필터 가이드(46) 및 제2 필터 가이드(47)가 합치되어 형성되는 필터 가이드(45)의 내부 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As the first filter guide 46 and the second filter guide 47 are provided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filter guide 46 and the second filter guide 47 are connected to the coupling hooks 46c and 46d and the hook groove. They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by hook coupling of the ones 47e and 47g. In addition, the photocatalytic filter 44 may be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filter guide 45 formed by matching the first filter guide 46 and the second filter guide 47 .

도 8은 도 6에 도시된 광촉매 모듈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9및 도 5의 X 영역에 대한 부분 확대도이며, 도 10은 도 5의 Y 영역에 대한 부분 확대도이고, 도 11은 도 8에 도시된 발광기의 저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hotocatalyst module shown in FIG. 6 , a partial enlarged view of the X region of FIGS. 9 and 5 , FIG. 10 is a partial enlarged view of the Y region of FIG. 5 , and FIG. 11 is FIG. It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ottom of the light emitter shown in .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고정 브라켓(48)은, 브라켓 본체(48a)와, 발광기 가이드(48b) 등을 가질 수 있다.As shown in FIG. 8 , the first fixing bracket 48 may include a bracket body 48a, a light emitter guide 48b, and the like.

브라켓 본체(48a)는, 광촉매 필터(44)와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촉매 필터(44)가 환형의 원반 형상을 갖는 경우에, 브라켓 본체(48a)는 필터 가이드(45)의 외경에 비해 미리 정해진 비율만큼 큰 내경을 갖는 환형의 원반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bracket body 48a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photocatalytic filter 44 . For example, as shown in FIG. 8 , when the photocatalytic filter 44 has an annular disc shape, the bracket body 48a has an inner diameter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filter guide 45 by a predetermined ratio. It may have an annular disk shape.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 본체(48a)는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1 볼트홀(48c)을 가질 수 있다. 제1 볼트홀(48c)은 복수개가 미리 정해진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8, the bracket body (48a) may have a first bolt hole (48c)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first bolt holes 48c be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 본체(48a)는 하우징 본체(12)의 제1 파트(14)와 제2 파트(15) 사이에 개재됨으로써 하우징 본체(12)에 고정된다. 이를 위하여, 제1 파트(14)는 브라켓 본체(48a)의 하면이 안착되도록 요입 형성되는 브라켓 안착홈(14b)을 더 가질 수 있다. 또한, 브라켓 본체(48a)는 상면에 요입 형성되는 정렬홈(48d)을 더 가질 수 있고, 제2 파트(15)는 제2 파트(15)가 제1 파트(14)에 삽입될 때 정렬홈(48d)에 삽입되도록 제2 파트(15)의 일면에 돌출 형성되는 정렬 돌기(15c)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정렬홈(48d) 및 정렬 돌기(15c)는, 브라켓 본체(48a)를 미리 정해진 정렬 형태로 정렬된 상태로 브라켓 안착홈(14b)에 안착시킬 수 있다.Further, as shown in FIGS. 9 and 10 , the bracket body 48a is fixed to the housing body 12 by being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part 14 and the second part 15 of the housing body 12 . . To this end, the first part 14 may further have a bracket seating groove 14b that is recessed so that the lower surface of the bracket body 48a is seated. In addition, the bracket body 48a may further have an alignment groove 48d that is recessed in the upper surface, and the second part 15 has an alignment groove when the second part 15 is inserted into the first part 14 . It may have an alignment protrusion 15c protruding from one surface of the second part 15 to be inserted into the 48d. These alignment grooves 48d and alignment protrusions 15c can seat the bracket body 48a in the bracket seating groove 14b in a state in which they are aligned in a predetermined alignment shape.

발광기 가이드(48b)는, 광촉매 필터(44)와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촉매 필터(44)가 환형의 원반 형상을 갖는 경우에, 발광기 가이드(48b)는 광촉매 필터(44)의 외경에 비해 미리 정해진 비율만큼 작은 외경 및 광촉매 필터(44)의 내경에 비해 미리 정해진 비율만큼 큰 내경을 갖는 환형의 원반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light emitter guide 48b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photocatalytic filter 44 . For example, as shown in FIG. 8 , when the photocatalytic filter 44 has an annular disc shape, the light emitter guide 48b has an outer diameter small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photocatalytic filter 44 by a predetermined ratio and a photocatalyst It may have an annular disc shape having an inner diameter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filter 44 by a predetermined ratio.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기 가이드(48b)는, 필터 조립체(41)가 제2 고정 브라켓(49)에 결합되었을 때 광촉매 필터(44)와 대면할 수 있도록, 브라켓 본체(48a)의 중심부에 배치된다. 이를 위하여, 브라켓 본체(48a)는, 발광기 가이드(48b)를 브라켓 본체(48a)에 고정하도록 미리 정해진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복수의 고정 리브들(48e)을 더 가질 수 있다. 또한, 고정 리브들(48e) 사이 간격에는, 필터 조립체(41)로부터 전달된 공기(A)가 통과될 수 있는 유로홀들(48f)이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6 and 8 , the light emitter guide 48b is provided with the bracket body 48a so as to face the photocatalytic filter 44 when the filter assembly 41 is coupled to the second fixing bracket 49 . ) is placed in the center of the To this end, the bracket body 48a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fixing ribs 48e install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to fix the light emitter guide 48b to the bracket body 48a. In addition, in the interval between the fixing ribs 48e, passage holes 48f through which the air A transmitted from the filter assembly 41 may pass may be formed.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기 가이드(48b)는, 광촉매 필터(44)와 대면하는 하면에 요입 형성되는 끼움홈(48g)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기(42)는, 끼움홈(48g)에 분리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는 기판(42a)과, 기판(42a)의 일면에 미리 정해진 간격을 두고 실장되며, 광촉매의 광화학 반응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여기광(UV)을 발광하는 발광 소자(42b)와, 기판(42a)과 외부의 전원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접속 단자(42c) 등을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9 and 10 , the light emitter guide 48b may have a fitting groove 48g that is concave in its lower surface facing the photocatalytic filter 44 . Correspondingly, as shown in FIG. 11, the light emitter 42 is mount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one surface of the substrate 42a separably fitted into the fitting groove 48g and the substrate 42a. , a light emitting device 42b emitting excitation light (UV) to activate a photochemical reaction of the photocatalyst, and a connection terminal 42c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substrate 42a and an external power source, and the like.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42a)은 발광기 가이드(48b)와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다. 예를 들어, 발광기 가이드(48b)가 환형의 원반 형상을 갖는 경우에, 이러한 발광기 가이드(48b)의 하면에 형성되는 끼움홈(48g) 역시 환형의 원반 형상을 갖게 되는 바, 기판(42a)은 끼움홈(48g)에 끼움 결합할 수 있는 환형의 원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특히, 기판(42a)은 끼움홈(48g)에 분리 가능하게 끼움 결합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해 기판(42a)을 발광기 가이드(48b)로부터 분리한 후 발광 소자(42b), 기타 발광기(42)의 부품에 대한 수리, 교체, 기타 유지 관리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11 , the substrate 42a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at of the light emitter guide 48b. For example, when the light emitter guide 48b has an annular disc shape, the fitting groove 48g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light emitter guide 48b also has an annular disc shape, the substrate 42a is It may have an annular disc shape that can be fitted into the fitting groove (48g). In particular, the substrate 42a is preferably provided so as to be separably fitted into the fitting groove 48g, and through this, the substrate 42a is separated from the light emitter guide 48b, and then the light emitting element 42b, etc. Repair, replacement, and other maintenance work for parts of the light emitter 42 can be easily performed.

발광 소자(42b)는, 자체적으로 살균 효과를 갖는 자외선을 여기광(UV)으로서 발광하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발광 소자(42b)는, 자외선 이외에도 광촉매의 광화학 반응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다양한 파장의 빛을 발광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발광 소자(42b)는, 발광 다이오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light emitting element 42b is preferably provided to emit ultraviolet rays having a sterilizing effect by itself as excitation light (UV), but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light emitting device 42b may be provided to emit light of various wavelengths capable of activating a photochemical reaction of a photocatalyst in addition to ultraviolet light. The light emitting device 42b is preferably composed of a light emitting diode, but is not limited thereto.

위와 같이 발광기(42)가 마련됨에 따라,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기(42)의 기판(42a)은, 발광 소자들(42b)과 광촉매 필터(44)가 대면하도록, 끼움홈(48g)에 분리 가능하게 끼움 결합된다. 그러면, 발광 소자들(42b)로부터 방출된 여기광(UV)은 제2 고정 브라켓(49)에 고정된 필터 조립체(41)에 조사되고, 필터 조립체(41)에 코팅된 광촉매는 여기광(UV)에 의해 광화학 반응이 활성화됨으로써 수산화 라디칼을 생성하게 된다.As the light emitter 42 is provided as above, as shown in FIGS. 9 and 10 , the substrate 42a of the light emitter 42 is fitted so that the light emitting elements 42b and the photocatalytic filter 44 face each other. It is detachably fitted into the groove (48g). Then, the excitation light UV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elements 42b is irradiated to the filter assembly 41 fixed to the second fixing bracket 49 , and the photocatalyst coated on the filter assembly 41 is excitation light (UV). ), a photochemical reaction is activated to generate hydroxyl radicals.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고정 브라켓(49)은, 필터 삽입홀(49a)과, 제2 볼트홀(49b)과, 걸림홈(49c)과, 제3 후크홈(49d)과, 리브홈(49f) 등을 가질 수 있다.8, the second fixing bracket 49 includes a filter insertion hole 49a, a second bolt hole 49b, a locking groove 49c, a third hook groove 49d, It may have a rib groove (49f) or the like.

제2 고정 브라켓(49)은 광촉매 필터(44)와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촉매 필터(44)가 환형의 원반 형상을 갖는 경우에, 제2 고정 브라켓(49)은 필터 가이드(45)의 외경과 동일하거나 필터 가이드(45)의 외경에 비해 미리 정해진 비율만큼 큰 내경을 갖는 환형의 원반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second fixing bracket 49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photocatalytic filter 44 . For example, as shown in FIG. 8 , when the photocatalytic filter 44 has an annular disk shape, the second fixing bracket 49 is the same as the outer diameter of the filter guide 45 or the filter guide 45 . It may have an annular disk shape having an inner diameter that is large by a predetermined ratio compared to the outer diameter of .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고정 브라켓(49)은, 필터 가이드(45)에 수용된 광촉매 필터(44)와 발광기 가이드(48b)에 결합된 발광기(42)가 미리 정해진 기준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마련된다. 기준 거리는, 발광 소자(42b)로부터 방출된 여기광(UV)이 광촉매 필터(44)에 집중적으로 조사될 수 있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필터 가이드(45)에 비해 상대적으로 넓은 표면적을 갖는 광촉매 필터(44)에 여기광(UV)이 집중적으로 조사됨으로써, 광촉매의 광화학 반응을 더욱 활성화시킬 수 있다.9 and 10, the second fixing bracket 49 is a predetermined reference distance between the photocatalytic filter 44 accommodated in the filter guide 45 and the light emitter 42 coupled to the light emitter guide 48b. arranged to be spaced apart. The reference distance is preferably set so that the excitation light UV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element 42b can be intensively irradiated to the photocatalytic filter 44 . Then, the excitation light UV is intensively irradiated to the photocatalytic filter 44 having a relatively large surface area compared to the filter guide 45 , thereby further activating the photochemical reaction of the photocatalyst.

필터 삽입홀(49a)은 제2 고정 브라켓(49)의 중심부에 광촉매 필터(44)의 두께 방향으로 형성되는 중공에 해당된다. 이러한 필터 삽입홀(49a)에는 필터 가이드(45)의 외주면이 필터 삽입홀(49a)의 내주면과 대면하도록 필터 조립체(41)가 삽입될 수 있다.The filter insertion hole 49a corresponds to a hollow formed in the center of the second fixing bracket 49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photocatalytic filter 44 . The filter assembly 41 may be inserted into the filter insertion hole 49a so that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lter guide 45 faces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lter insertion hole 49a.

제2 볼트홀(49b)은 제1 고정 브라켓(48)의 제1 볼트홀(48c)과 합치될 수 있도록 제2 고정 브라켓(49)의 상면에 형성된다. 제2 볼트홀(49b)은 제1 볼트홀(48c)의 형성 개수와 동일한 개수가 형성된다. 예를 들어, 복수의 제1 볼트홀들(48c)이 형성되는 경우에, 제1 볼트홀들(48c)의 형성 개수와 동일한 개수의 제2 볼트홀들(49b)이 제1 볼트홀들(48c)의 형성 간격과 동일한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bolt hole 49b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fixing bracket 49 so as to be matched with the first bolt hole 48c of the first fixing bracket 48 . The number of the second bolt holes 49b is the same as the number of the first bolt holes 48c. For example, when the plurality of first bolt holes 48c are formed, the number of second bolt holes 49b equal to the number of the first bolt holes 48c is formed in the first bolt holes ( 48c) may be formed at the same interval as the formation interval.

이와 같이 고정 브라켓들(48, 48)에 볼트홀들(48c, 49b)이 마련됨에 따라, 제1 볼트홀들(48c)과 제2 볼트홀들(49b)이 서로 합치되도록 제1 고정 브라켓(48) 및 제2 고정 브라켓(49)을 배치한 상태에서 서로 합치된 제1 볼트홀들(48c) 및 제2 볼트홀들(49b)에 볼트를 체결함으로써, 제1 고정 브라켓(48) 및 제2 고정 브라켓(49)을 결합할 수 있다. 그러면, 제2 고정 브라켓(49) 및 제2 고정 브라켓(49)에 결합된 필터 조립체(41)는 제1 고정 브라켓(48)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제2 내부 유로(10c)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As the bolt holes 48c and 49b are provided in the fixing brackets 48 and 48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fixing bracket ( 48) and the second fixing bracket 49, by fastening the bolts to the first bolt holes 48c and the second bolt holes 49b coincident with each other in a state where the first fixing bracket 48 and the second fixing bracket 49 are arranged. 2 The fixing bracket 49 can be combined. Then, the second fixing bracket 49 and the filter assembly 41 coupled to the second fixing bracket 49 are supported by the first fixing bracket 48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second internal flow path 10c. can be fixed to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홈(49c)은 제1 필터 가이드(46)의 걸림 리브(46e)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필터 삽입홀(49a)의 내주면에 형성된다. 특히,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홈(49c)은, 걸림홈(49c)에 삽입된 걸림 리브(46e)가 걸림홈(49c)의 내주면에 걸림될 수 있도록 미리 정해진 정해진 깊이를 갖도록 형성된다.As shown in FIG. 8 , the locking groove 49c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lter insertion hole 49a so that the locking rib 46e of the first filter guide 46 can be inserted. In particular, as shown in Fig. 10, the engaging groove 49c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depth so that the engaging rib 46e inserted into the engaging groove 49c can be caught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ngaging groove 49c. do.

제3 후크홈(49d)은 제2 필터 가이드(47)의 제3 결합 후크(47h)가 후크 결합될 수 있도록 필터 삽입홀(49a)의 내주면에 형성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후크홈(49d)의 내주면에는 제3 후크홈(49d)에 삽입된 제3 결합 후크(47h)이 걸림되는 걸림 돌기(49e)가 돌출 형성된다. 그러면, 제3 후크홈(49d)에 삽입된 제3 결합 후크(47h)가 걸림 돌기(49e)에 걸림됨으로써, 제3 결합 후크(47h)는 제3 후크홈(49d)에 후크 결합될 수 있다.The third hook groove 49d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lter insertion hole 49a so that the third coupling hook 47h of the second filter guide 47 can be hook-coupled. As shown in FIG. 8 , a locking protrusion 49e for engaging the third coupling hook 47h inserted into the third hook groove 49d is protruded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hird hook groove 49d. Then, as the third coupling hook 47h inserted into the third hook groove 49d is caught by the locking protrusion 49e, the third coupling hook 47h may be hook-coupled to the third hook groove 49d. .

이러한 제3 후크홈(49d) 및 제3 결합 후크(47h)는, 걸림 리브(46e)가 걸림홈(49c)에 걸림된 상태에서, 제3 결합 후크(47h)를 제3 후크홈(49d)에 후크 결합하거나 제3 결합 후크(47h)를 제3 후크홈(49d)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제3 후크홈(49d) 및 제3 결합 후크(47h) 중 적어도 하나는 탄성 변형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The third hook groove (49d) and the third coupling hook (47h) are, in a state in which the locking rib (46e) is caught in the locking groove (49c), the third coupling hook (47h) to the third hook groove (49d) It is preferable to be provided so as to be coupled to the hook or to separate the third coupling hook (47h) from the third hook groove (49d). To this end, at least one of the third hook groove 49d and the third coupling hook 47h may be provided to be elastically deformable.

리브홈(49f)은 제2 필터 가이드(47)의 제1 돌출 리브(47d)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필터 삽입홀(49a)의 내주면에 형성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브홈(49f)의 내측면에는, 스토퍼(49g)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스토퍼(49g)는 필터 조립체(41)가 필터 삽입홀(49a)에 미리 정해진 깊이만큼 삽입될 때 제1 돌출 리브(47d)의 상단부가 광촉매 필터(44)의 두께 방향으로 걸림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스토퍼(49g)는 필터 조립체(41)가 필터 삽입홀(49a)에 상기 미리 정해진 깊이를 초과하여 과삽입되지 않도록 필터 조립체(41)의 삽입 깊이를 제한할 수 있다.The rib groove 49f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lter insertion hole 49a so that the first protruding rib 47d of the second filter guide 47 can be inserted. As shown in FIG. 9 , a stopper 49g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rib groove 49f. The stopper 49g is formed so that the upper end of the first protruding rib 47d is caught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photocatalytic filter 44 when the filter assembly 41 is inserted into the filter insertion hole 49a by a predetermined depth. The stopper 49g may limit the insertion depth of the filter assembly 41 so that the filter assembly 41 is not over-inserted into the filter insertion hole 49a beyond the predetermined depth.

이러한 제2 고정 브라켓(49)에 의하면, 필터 조립체(41)가 필터 삽입홀(49a)에 삽입될 때 걸림 리브(46e)가 걸림홈(49c)에 걸림됨과 함께 제3 결합 후크(47h)가 제3 후크홈(49d)에 후크 결합되고, 이를 통해 필터 조립체(41)는 필터 삽입홀(49a)의 내주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이처럼 필터 조립체(41)가 설치됨에 따라,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 소자(42b)로부터 방출된 여기광(UV)이 필터 조립체(41)에 조사되는 상태에서, 제1 내부 유로(10b)에서 집진 필터(30)에 의해 정화된 후 필터 조립체(41)에 도달된 공기(A)는 필터 조립체(41)를 통과한 후 제2 내부 유로(10c)로 유입된다. 그러면, 필터 조립체(41)에 코팅된 광촉매는 여기광(UV)에 의해 광화학 반응이 활성화되고, 필터 조립체(41)를 통과하는 공기(A)는 광화학 반응에 의해 생성된 수산화 라디칼에 의해 살균 및 탈취된다.According to this second fixing bracket 49, when the filter assembly 41 is inserted into the filter insertion hole 49a, the locking rib 46e is caught in the locking groove 49c, and the third coupling hook 47h is A hook is coupled to the third hook groove 49d, through which the filter assembly 41 may be coupl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lter insertion hole 49a. As the filter assembly 41 is installed in this way, as shown in FIGS. 9 and 10 , in a state in which the excitation light UV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element 42b is irradiated to the filter assembly 41 , the first interior After being purified by the dust collecting filter 30 in the flow path 10b, the air A reaching the filter assembly 41 passes through the filter assembly 41 and then flows into the second internal flow path 10c. Then, in the photocatalyst coated on the filter assembly 41, a photochemical reaction is activated by excitation light (UV), and the air (A) passing through the filter assembly 41 is sterilized and sterilized by the hydroxyl radical generated by the photochemical reaction. is deodorized

한편, 집진 필터(30)의 집진 성능은 내부 유로(10a)를 따라 유동하는 공기(A)에 대한 유로 저항에 영향을 받는 바, 광촉매 필터(44)의 설치로 인해 내부 유로(10a)를 따라 유동하는 공기(A)에 대한 유로 저항이 증가하면 집진 필터(30)의 집진 성능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그런데, 필터 조립체(41)의 광촉매 필터(44)는 중심부에 바이패스홀(44a)이 형성된 환형의 고리 형상을 갖는다. 이에,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 조립체(41)에 도달된 공기(A)의 어느 일부는 광촉매 필터(44)를 통과하게 되고 다른 일부는 바이패스홀(44a)을 통과하게 된다. 따라서, 환형의 고리 형상을 갖는 광촉매 모듈(40)에 적용하면, 바이패스홀(44a)이 형성되지 않은 일반적인 원반 형상의 광촉매 필터를 광촉매 모듈(40)에 적용하는 경우에 비해, 광촉매 필터(44)로 인해 야기되는 유로 저항 증가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광촉매 필터(44)는, 광촉매 필터(44)로 인한 집진 필터(30)의 집진 성능의 저하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dust collection performance of the dust collecting filter 30 is affected by the flow resistance against the air A flowing along the internal flow path 10a, and the photocatalytic filter 44 is installed along the internal flow path 10a When the flow resistance of the flowing air (A) increases, there is a fear that the dust collecting performance of the dust collecting filter (30) is reduced. However, the photocatalytic filter 44 of the filter assembly 41 has an annular ring shape in which a bypass hole 44a is formed in the center. Accordingly, as shown in FIGS. 9 and 10 , a part of the air A that has reached the filter assembly 41 passes through the photocatalytic filter 44 and the other part passes through the bypass hole 44a. do. Therefore, when applied to the photocatalyst module 40 having an annular annular shape, compared to the case where a general disk-shaped photocatalytic filter in which the bypass hole 44a is not formed is applied to the photocatalyst module 40, the photocatalytic filter 44 ) can reduce the increase in flow resistance caused by Through this, the photocatalytic filter 44 may minimize the deterioration of the dust collecting performance of the dust collecting filter 30 due to the photocatalytic filter 44 .

또한, 바이패스홀(44a)과 합치되도록 형성된 제2 필터 가이드(47)의 제2 관통홀(47a)에는 광촉매가 코팅된 유입 그릴(47c)이 바이패스홀(44a)을 통과하는 공기(A)와 접촉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유입 그릴(47c)에 의하면, 환형의 고리 형상을 갖는 광촉매 필터(44)를 광촉매 모듈(40)에 적용함에 따른 수산화 라디칼의 생성량 감소분이 보충될 수 있는 바, 공기(A)의 살균 및 탈취에 적정한 수준의 수산화 라디칼의 생성량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second through hole 47a of the second filter guide 47 formed to coincide with the bypass hole 44a, the inlet grill 47c coated with the photocatalyst is air (A) passing through the bypass hole 44a. ) is installed so as to be in contact with According to this inlet grill 47c, the reduction in the amount of hydroxyl radical generated by applying the photocatalyst filter 44 having an annular ring shape to the photocatalyst module 40 can be supplemented, so that sterilization and deodorization of air (A) It is possible to stably secure an appropriate level of hydroxyl radical generation.

도 12는 필터 조립체가 고정 브라켓으로부터 분리되는 양상을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부분 확대도이며, 도 14는 광촉매 모듈이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공기 청정기의 부분 사시도이다.FIG. 12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lter assembly is separated from the fixing bracket, FIG. 13 is a partial enlarged view of FIG. 12, and FIG. 14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the air purifier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hotocatalyst module is separated from the housing.

전술한 바와 같이, 제3 후크홈(49d) 및 제3 결합 후크(47h) 중 적어도 하나는, 걸림 리브(46e)가 걸림홈(49c)에 걸림된 상태에서 제3 결합 후크(47h)를 제3 후크홈(49d)에 후크 결합하거나 제3 결합 후크(47h)를 제3 후크홈(49d)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도록, 탄성 변형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 조립체(41)를 필터 삽입홀(49a)로부터 분리할 때에는, 커버 판넬(20) 및 집진 필터(30)를 하우징(10)으로부터 분리하여 필터 삽입홀(49a)에 결합된 필터 조립체(41)를 유입 개구(13a)를 통해 외부로 노출시킨 상태에서 제3 결합 후크(47h)를 제3 후크홈(49d)으로부터 우선적으로 분리시킨다. 다음으로, 걸림홈(49c)에 걸림된 걸림 리브(46e)를 중심으로 필터 조립체(41)를 비스듬히 기울인 후, 걸림 리브(46e)를 걸림홈(49c)으로부터 인출시킴으로써, 필터 조립체(41)를 필터 삽입홀(49a)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 삽입홀(49a)로부터 분리된 필터 조립체(41)는 유입 개구(13a)를 통해 하우징(10)의 외부로 인출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필터 조립체(41)가 외부로 인출된 상태에서 광촉매 필터(44)의 세척, 교체, 기타 필터 조립체(41)의 유지 관리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t least one of the third hook groove 49d and the third coupling hook 47h removes the third coupling hook 47h while the locking rib 46e is caught in the locking groove 49c. In order to be hook-coupled to the third hook groove (49d) or to separate the third coupling hook (47h) from the third hook groove (49d), it may be provided to be elastically deformable. Accordingly, as shown in FIGS. 12 and 13 , when the filter assembly 41 is separated from the filter insertion hole 49a, the cover panel 20 and the dust collection filter 30 are separated from the housing 10 to separate the filter In a state in which the filter assembly 41 coupled to the insertion hole 49a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inlet opening 13a, the third coupling hook 47h is preferentially separated from the third hook groove 49d. Next, by tilting the filter assembly 41 around the locking rib 46e caught in the locking groove 49c, and then withdrawing the locking rib 46e from the locking groove 49c, the filter assembly 41 is removed. It can be separated from the filter insertion hole (49a). 14, the filter assembly 41 separated from the filter insertion hole 49a can be drawn out of the housing 10 through the inlet opening 13a, and through this, the filter assembly 41 In a state in which is withdrawn to the outside, cleaning and replacement of the photocatalytic filter 44 and other maintenance operations of the filter assembly 41 can be easily performed.

한편, 필터 조립체(41)를 필터 삽입홀(49a)에 결합시킬 때에는, 전술한 필터 조립체(41)의 분리 과정을 반대로 실시하여 필터 조립체(41)를 필터 삽입홀(49a)에 결합할 수 있다. 즉, 필터 조립체(41)를 필터 삽입홀(49a)에 결합시킬 때에는, 걸림 리브(46e)를 걸림홈(49c)에 먼저 삽입한 후 제3 결합 후크(47h)를 제3 후크홈(49d)에 후크 결합하여, 필터 조립체(41)를 필터 삽입홀(49a)에 결합할 수 있다.Meanwhile, when the filter assembly 41 is coupled to the filter insertion hole 49a, the separation process of the filter assembly 41 described above may be reversed to couple the filter assembly 41 to the filter insertion hole 49a. . That is, when coupling the filter assembly 41 to the filter insertion hole 49a, the locking rib 46e is first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 49c, and then the third coupling hook 47h is inserted into the third hook groove 49d. By hook-coupled to the filter assembly 41 may be coupled to the filter insertion hole (49a).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 공기 청정기
10 : 하우징
10a : 내부 유로
10b : 제1 내부 유로
10c : 제2 내부 유로
11 : 베이스
12 : 하우징 본체
13 : 지지대
13a : 유입 개구
14 : 제1 파트
14a : 모듈 삽입홀
14b : 브라켓 안착홈
15 : 제2 파트
15a : 모터 브라켓
15b : 결합 리브
15c : 정렬 돌기
16 : 제3 파트
16a : 배출 개구
16b : 경사면
20 : 커버 팔넬
22 : 흡입홀
30 : 집진 필터
40 : 광촉매 모듈
41 : 필터 조립체
42 : 발광기
42a : 기판
42b : 발광 소자
42c : 단자
43 : 고정 브라켓
44 : 광촉매 필터
44a : 바이패스홀
45 : 필터 가이드
46 : 제1 필터 가이드
46a : 제1 관통홀
46b : 제1 연통홀
46c : 제1 결합 후크
46d : 제2 결합 후크
46e : 걸림 리브
46f : 제1 지지 리브
47 : 제2 필터 가이드
47a : 제2 관통홀
47b : 제2 연통홀
47c : 유입 그릴
47d : 제1 돌출 리브
47e : 제1 후크홈
47f : 제2 돌출 리브
47g : 제2 후크홈
47h : 제3 결합 후크
47i : 볼트홀
47j : 제2 지지 리브
48 : 제1 고정 브라켓
48a : 브라켓 본체
48b : 발광기 가이드
48c : 제1 볼트홀
48d : 정렬홈
48e : 고정 리브
48f : 유로홀
48g : 끼움홈
49 : 제2 고정 브라켓
49a : 필터 삽입홀
49b : 제2 볼트홀
49c : 걸림홈
49d : 제3 후크홈
49e : 걸림 돌기
49f : 리브홈
49g : 스토퍼
50 : 송풍 유닛
52 : 송풍팬
52a : 블레이드
52b : 샤프트홀
52c : 제1 안내 플레이트
52d : 제2 안내 플레이트
54 : 구동 모터
54a : 샤프트
56 : 이탈 방지 캡
60 : 토출 유닛
62 : 토출 그릴
62a : 모듈 안착홈
62b : 토출홀
64 : 가이드 베인
66 : 보조 그릴
70 : 입출력 모듈
A : 공기
UV : 여기광
1: Air purifier
10: housing
10a: internal flow
10b: first internal flow path
10c: second internal flow path
11: base
12: housing body
13: support
13a: inlet opening
14: first part
14a: module insertion hole
14b: bracket seating groove
15: second part
15a: motor bracket
15b: bonding ribs
15c: alignment protrusion
16: the third part
16a: exhaust opening
16b: slope
20: cover panel
22: suction hole
30: dust filter
40: photocatalyst module
41 filter assembly
42: light emitter
42a: substrate
42b: light emitting element
42c: terminal
43: fixed bracket
44: photocatalytic filter
44a: bypass hole
45: filter guide
46: first filter guide
46a: first through hole
46b: first communication hole
46c: first coupling hook
46d: second coupling hook
46e: jamming rib
46f: first support rib
47: second filter guide
47a: second through hole
47b: second communication hole
47c : Inlet Grill
47d: first protruding rib
47e: first hook groove
47f: second protruding rib
47g: second hook groove
47h: third coupling hook
47i: bolt hole
47j: second support rib
48: first fixing bracket
48a: bracket body
48b: light emitter guide
48c: first bolt hole
48d: alignment groove
48e : fixed rib
48f : Euro Hall
48g : Fitting groove
49: second fixing bracket
49a: filter insertion hole
49b: second bolt hole
49c: jamming groove
49d: third hook groove
49e: snag
49f: rib home
49g: stopper
50: blowing unit
52: blow fan
52a: blade
52b: shaft hole
52c: first guide plate
52d: second guide plate
54: drive motor
54a: shaft
56: anti-separation cap
60: discharge unit
62: discharge grill
62a: module seating groove
62b: discharge hole
64: guide vanes
66: auxiliary grill
70: input/output module
A: Air
UV: excitation light

Claims (19)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 개구와, 상기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 개구와, 상기 유입 개구와 상기 배출 개구를 연결하는 내부 유로를 구비하는 하우징; 및
적어도 일부분에 광촉매가 코팅된 필터 조립체와, 상기 광촉매의 광화학 반응을 활성화하기 위한 여기광을 제공하는 발광기와, 상기 발광기로부터 방출된 상기 여기광이 상기 필터 조립체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조사되도록, 상기 필터 조립체 및 상기 발광기를 각각 상기 내부 유로에 고정하는 고정 브라켓을 구비하는 광촉매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필터 조립체는, 중심부에 바이패스홀이 형성된 중공 형상의 광촉매 필터와, 상기 공기가 상기 광촉매 필터를 통과하되 상기 공기 중 어느 일부가 상기 바이패스홀을 선택적으로 통과하도록 상기 광촉매 필터가 수용되고, 상기 고정 브라켓에 결합되는 필터 가이드를 갖는, 공기 청정기.
a housing having an inlet opening through which external air is introduced, an outlet opening through which the ai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and an internal flow path connecting the inlet opening and the outlet opening; and
A filter assembly coated with a photocatalyst on at least a portion thereof, a light emitter providing excitation light for activating a photochemical reaction of the photocatalyst, and the excitation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er is irradiat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filter assembly, the filter Comprising a photocatalyst module having a fixing bracket for fixing the assembly and the light emitter to the internal passage, respectively,
The filter assembly includes a hollow-shaped photocatalyst filter having a bypass hole formed in the center thereof, and the photocatalytic filter is accommodated so that the air passes through the photocatalytic filter, but any part of the air selectively passes through the bypass hole, An air purifier having a filter guide coupled to the fixing bracke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촉매 필터는, 환형의 고리 형상 또는 다각형의 고리 형상을 갖는, 공기 청정기.
According to claim 1,
The photocatalytic filter has an annular annular shape or a polygonal annular annular shap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조립체는, 상기 발광기를 기준으로 상기 배출 개구의 반대 쪽에 위치하도록 상기 고정 브라켓에 결합되는, 공기 청정기.
According to claim 1,
The filter assembly is coupled to the fixing bracket so as to be position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discharge opening with respect to the light emitt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가이드는, 상기 바이패스홀과 합치되는 관통홀과, 상기 광촉매 필터와 연통되는 연통홀을 갖는, 공기 청정기.
According to claim 1,
The filter guide may include a through hole that coincides with the bypass hole and a communication hole that communicates with the photocatalytic filt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브라켓은, 상기 유입 개구에서 상기 배출 개구를 향해 유동하는 공기가 상기 필터 조립체를 통과하도록 상기 필터 조립체의 적어도 일부분이 삽입되는 필터 삽입홀을 갖는, 공기 청정기.
According to claim 1,
The fixing bracket may have a filter insertion hole into which at least a portion of the filter assembly is inserted so that air flowing from the inlet opening toward the outlet opening passes through the filter assembly.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광촉매 모듈은, 상기 유입 개구를 통해 상기 내부 유로에 삽입되거나 상기 내부 유로로부터 인출될 수 있도록 상기 유입 개구에 비해 작은 크기를 갖고,
상기 필터 가이드는, 상기 필터 삽입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공기 청정기.
6. The method of claim 5,
The photocatalyst module has a smaller size than the inlet opening so that it can be inserted into or withdrawn from the inner passage through the inlet opening,
The filter guide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filter insertion hole, the air purifie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가이드는, 상기 필터 삽입홀의 내주면을 향하도록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는 걸림 리브를 갖고,
상기 고정 브라켓은, 상기 걸림 리브가 분리 가능하게 걸림되도록 상기 필터 삽입홀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걸림홈을 갖는, 공기 청정기.
7. The method of claim 6,
The filter guide has a locking rib protruding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o face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lter insertion hole,
The fixing bracket has a locking groove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lter insertion hole so that the locking rib is separably engaged.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가이드는,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는 결합 후크를 더 갖고,
상기 고정 브라켓은, 상기 후크가 후크 결합되도록 상기 필터 삽입홀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후크홈을 더 갖는, 공기 청정기.
8. The method of claim 7,
The filter guide further has a coupling hook protruding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 fixing bracket further has a hook groove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lter insertion hole so that the hook is hook-coupled to the hook.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 및 상기 후크홈은, 상기 걸림 리브가 상기 걸림홈에 걸림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 후크를 상기 후크홈에 후크 결합하거나 상기 결합 후크를 상기 후크홈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공기 청정기.
9. The method of claim 8,
The hook and the hook groove are provided to hook the coupling hook to the hook groove or to separate the coupling hook from the hook groove in a state in which the locking rib is caught in the locking groov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가이드는, 외주면에 상기 광촉매 필터의 두께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 리브를 갖고,
상기 고정 브라켓은, 상기 필터 조립체가 상기 필터 삽입홀에 미리 정해진 깊이만큼 삽입될 때 상기 돌출 리브가 걸림되도록 상기 필터 삽입홀의 내주면에 돌출 형성되는 스토퍼를 갖는, 공기 청정기.
7. The method of claim 6,
The filter guide has a protruding rib formed to protrude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photocatalytic filter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 fixing bracket includes a stopper protruding from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lter insertion hole so that the projecting rib is caught when the filter assembly is inserted into the filter insertion hole by a predetermined depth.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가이드는, 적어도 일부분에 상기 광촉매가 코팅되며 상기 관통홀에 설치되는 유입 그릴을 더 갖는, 공기 청정기.
5. The method of claim 4,
The filter guide, at least a portion of which is coated with the photocatalyst and further has an inlet grill installed in the through hole, the air purifi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기는, 상기 광촉매 필터의 직경과 대응하는 직경을 갖고, 상기 광촉매 필터와 대면하도록 상기 고정 브라켓에 결합되는 중공 형상의 기판과, 상기 광촉매 필터와 대면하는 상기 기판의 일면에 미리 정해진 간격을 두고 실장되며, 상기 광촉매 필터에 여기광을 조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들을 갖는, 공기 청정기.
According to claim 1,
The light emitter has a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diameter of the photocatalytic filter, a hollow substrate coupled to the fixing bracket to face the photocatalytic filter, and a predetermined interval on one surface of the substrate facing the photocatalytic filter Mounted, the air purifier having at least one light emitting element for irradiating excitation light to the photocatalytic filt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브라켓은, 상기 발광기가 결합되며,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는 제1 고정 브라켓과, 상기 필터 조립체가 결합되며, 상기 필터 조립체와 상기 발광기가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상기 제1 고정 브라켓에 결합되는 제2 고정 브라켓을 갖는, 공기 청정기.
According to claim 1,
The fixing bracket includes a first fixing bracket to which the light emitter is coupled, a first fixing bracket fixed to the housing, and the filter assembly, and is coupled to the first fixing bracket such that the filter assembly and the light emitter ar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 air purifier having a second fixing bracket.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 브라켓은, 상기 발광기가 분리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는 끼움홈이 일면에 형성된 발광기 가이드를 갖는, 공기 청정기.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first fixing bracket has a light emitting guid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fitting groove to which the light emitting device is detachably fitted, the air purifier.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 고정 브라켓의 일면이 안착되는 브라켓 안착홈과, 상기 제2 고정 브라켓의 적어도 일부분이 삽입되는 모듈 삽입홀을 갖는 제1 파트를 더 구비하는, 공기 청정기.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housing further includes a first part having a bracket seating groove in which one surface of the first fixing bracket is mounted, and a module insertion hole into which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fixing bracket is inserted.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 브라켓은, 상기 제1 고정 브라켓의 타면에 요입 형성되는 정렬홈을 갖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정렬홈에 삽입되는 정렬 돌기를 갖는 제2 파트를 더 구비하는, 공기 청정기.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first fixing bracket has an alignment groove formed in a concave shape on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fixing bracket,
The housing, the air cleaner further comprising a second part having an alignment protrusion inserted into the alignment groov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 개구는, 상기 하우징의 측면과 하면 중 적어도 일면에 형성되고,
상기 배출 개구는,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 형성되는, 공기 청정기.
According to claim 1,
The inlet opening is form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a side surface and a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The discharge opening is formed in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the air purifi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유로에 설치되며, 상기 유입 개구를 통해 상기 내부 유로에 유입된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포집하는 집진 필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광촉매 모듈은, 상기 집진 필터와 상기 배출 개구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내부 유로에 설치되는, 공기 청정기.
According to claim 1,
It is installed in the internal flow path, further comprising a dust collecting filter for collecting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air introduced into the internal flow path through the inlet opening,
The photocatalyst module is installed in the internal flow path to be positioned between the dust collection filter and the discharge opening, the air purifier.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광촉매 모듈과 상기 배출 개구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내부 유로에 설치되며, 상기 내부 유로에 수용된 공기를 상기 유입 개구에서 상기 배출 개구를 향해 송풍하는 송풍 유닛을 더 포함하는, 공기 청정기.
19. The method of claim 18,
The air purifier further comprising: a blowing unit installed in the inner flow path to be positioned between the photocatalyst module and the discharge opening, and blowing the air accommodated in the inner flow path from the inlet opening toward the discharge opening.
KR1020200135611A 2020-01-30 2020-10-20 Air cleaning apparatus KR102386443B1 (en)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5611A KR102386443B1 (en) 2020-10-20 2020-10-20 Air cleaning apparatus
US17/640,820 US20230175721A1 (en) 2020-08-27 2021-08-25 Air cleaning apparatus
PCT/KR2021/011387 WO2022045776A1 (en) 2020-08-27 2021-08-25 Air cleaner
TW111133029A TW202300831A (en) 2020-08-27 2021-08-26 Air cleaning apparatus
TW111133028A TW202300830A (en) 2020-08-27 2021-08-26 Air cleaning apparatus
TW111133030A TW202300832A (en) 2020-08-27 2021-08-26 Air cleaning apparatus
TW110131742A TWI801981B (en) 2020-08-27 2021-08-26 Air cleaning apparatus
IL291918A IL291918A (en) 2020-01-30 2022-04-03 Air clean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5611A KR102386443B1 (en) 2020-10-20 2020-10-20 Air cleaning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6443B1 true KR102386443B1 (en) 2022-04-13

Family

ID=812129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5611A KR102386443B1 (en) 2020-01-30 2020-10-20 Air clean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6443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45000A (en) * 2006-11-17 2008-05-22 엘지전자 주식회사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KR20160001945A (en) * 2014-06-30 2016-01-07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Apparatus for purifying air using space
JP2017537294A (en) * 2014-11-28 2017-12-14 ソウル バイオシ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Seoul Viosys Co.,Ltd. Air clean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45000A (en) * 2006-11-17 2008-05-22 엘지전자 주식회사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KR20160001945A (en) * 2014-06-30 2016-01-07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Apparatus for purifying air using space
JP2017537294A (en) * 2014-11-28 2017-12-14 ソウル バイオシ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Seoul Viosys Co.,Ltd. Air clean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1326B1 (en) An air sterilizer using a photo plasma technology
KR102148432B1 (en) The sterilizer filter and sterilizing apparatus
US20220339573A1 (en) Air cleaner
KR20190024390A (en) Air purifier using ceramic filter and photocatalyst
KR100943328B1 (en) Air sterilizer
KR20180001156A (en) Apparatus for removing stink using plasma
KR20170036434A (en) Air cleaner for vehicle with humidification function
KR20210140930A (en) Aircleaner
KR102293117B1 (en) Air purifier
KR20220048338A (en)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device with photocatalyst plate modules arranged in zigzag form
KR20200013284A (en) Air Purifier to use the coating of photocatalyst
KR102386443B1 (en) Air cleaning apparatus
KR101708220B1 (en) The desk with air purification function
KR102654527B1 (en) Sterillizing module for inner side of cicular filter and the air cleaning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2609845B1 (en) Air cleaning apparatus
CN212774812U (en) Self-disinfection fan and fan with disinfection function
US20230175721A1 (en) Air cleaning apparatus
KR20220022038A (en) Air cleaning apparatus
KR20220035721A (en) An air sterilizer using a photo plasma technology
KR20220129303A (en) An apparatus for photocatalytic downlight
KR102571328B1 (en) Internal structure of rotation device for cylindrical filter and air cleaner using the same
CN218120100U (en) Air conditioner for air conditioner
KR102557551B1 (en)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device using positive pressure
KR102600644B1 (en) Rotation device for cylindrical filter and air cleaner using the same
KR102255203B1 (en) A tower type air purifi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