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6345B1 - 김치 이취를 제거하는 나노복합소재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김치 이취를 제거하는 나노복합소재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6345B1
KR102386345B1 KR1020200025562A KR20200025562A KR102386345B1 KR 102386345 B1 KR102386345 B1 KR 102386345B1 KR 1020200025562 A KR1020200025562 A KR 1020200025562A KR 20200025562 A KR20200025562 A KR 20200025562A KR 102386345 B1 KR102386345 B1 KR 1023863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nocomposite material
porous material
disulfide
deodorizing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55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10473A (ko
Inventor
신양재
Original Assignee
한국식품산업클러스터진흥원
주식회사 풀무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식품산업클러스터진흥원, 주식회사 풀무원 filed Critical 한국식품산업클러스터진흥원
Priority to KR10202000255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6345B1/ko
Publication of KR202101104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04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63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63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066Use of inorganic compounding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2Deodorant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being in a special form, e.g. gels, emul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8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20/28014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B01J20/28033Membrane, sheet, cloth, pad, lamellar or m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1/00Catalysts comprising the elements, oxides, or hydroxides of magnesium, boron, aluminium, carbon, silicon, titanium, zirconium, or hafnium
    • B01J21/06Silicon, titanium, zirconium or hafnium; Oxides or hydroxides thereof
    • B01J21/066Zirconium or hafnium; Oxides or hydroxide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0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 B29C48/0012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combined with 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foam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24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 B65D81/26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with provision for draining away, or absorbing, or removing by ventilation, fluids, e.g. exuded by contents; Applications of corrosion inhibitors or desiccators
    • B65D81/266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with provision for draining away, or absorbing, or removing by ventilation, fluids, e.g. exuded by contents; Applications of corrosion inhibitors or desiccators for absorbing gases, e.g. oxygen absorbers or desiccants
    • B65D81/267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with provision for draining away, or absorbing, or removing by ventilation, fluids, e.g. exuded by contents; Applications of corrosion inhibitors or desiccators for absorbing gases, e.g. oxygen absorbers or desiccants the absorber being in sheet form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4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 C08J9/06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chemical blowing agent
    • C08J9/08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chemical blowing agent developing carbon diox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4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 C08J9/06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chemical blowing agent
    • C08J9/1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chemical blowing agent developing nitrogen, the blowing agent being a compound containing a nitrogen-to-nitrogen bo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22Expanded, porous or hollow particles
    • C08K7/24Expanded, porous or hollow particles inorganic
    • C08K7/26Silicon- 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2Poly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7/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7/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7/1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fluorine ato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20Method-related aspects
    • A61L2209/22Treatment by sorption, e.g. absorption, adsorption, chemisorption, scrubbing, wet clean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37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titanium
    • C08K2003/2241Titanium diox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96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zin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20/00Technologies relating to chemical industry
    • Y02P20/50Improvements relating to the production of bulk chemicals
    • Y02P20/52Improvements relating to the production of bulk chemicals using catalysts, e.g. selective catalys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김치 이취를 제거하는 나노복합소재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나노복합소재는 김치의 이취 주요 원인물질을 감축 할 수 있고 김치용기로 사용되어 김치용기 내 향균 효과와 함께 세균,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하여 이취 생성 요인을 억제하는 것을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김치 이취를 제거하는 나노복합소재 및 이의 제조방법{Nanocomposite material to remove kimchi odo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김치 이취를 제거하는 나노복합소재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김치를 보관하는 용기의 소재를 다공성소재가 포함된 폴리올레핀 필름 내에 촉매화합물을 포함하여 황 화합물 탈취용 나노복합소재를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김치에서 발생하는 이취의 주요원인물질로 지목되는 황화합물을 탈취 하는 방법이 개발되어 왔다.
예를 들어, 다공질물질과 촉매화합물을 조합하여 생성되는 탈취제를 구성이 알려져 있다. 하지만 이런 탈취제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다공성 물질 및 탈취를 위한 촉매화합물을 복합화하는 기술이 필요했다.
이러한 배경하에, 본 발명자들은 황화합물을 탈취하는 나노복합소재 및 나노복합소재 복합화 제조방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예의 노력한 결과, 황화합물 이취를 제거하는 나노복합소재 및 이의 제조방법에서 복합화 기술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다공성소재가 포함된 폴리올레핀 필름; 상기 다공성소재 또는 폴리올레핀 필름 내에 촉매화합물을 포함한 것인, 황 화합물 탈취용 나노복합소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른 황 화합물 탈취용 나노복합소재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한편, 본 발명에서 개시된 각각의 설명 및 실시형태는 각각의 다른 설명 및 실시 형태에도 적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개시된 다양한 요소들의 모든 조합이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또한, 하기 기술된 구체적인 서술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주가 제한된다고 볼 수 없다.
본 발명의 제1양태로서,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다공성소재가 포함된 폴리올레핀 필름, 상기 다공성소재 또는 폴리올레핀 필름 내에 촉매화합물을 포함한 것인, 황 화합물 탈취용 나노복합소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2양태로서,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혼합수지 용융온도에서 폴리올레핀 수지, 일래스토머, 발포제, 불소계 수지, 다공성소재, 촉매화합물을 건식 혼합시켜 수지 조성물을 형성하여 수지 조성물을 콤파운딩 하는 단계;
상기 콤파운딩된 수지 조성물을 필름 성형기를 사용하여 발포필름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황 화합물 탈취용 나노복합소재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용어, "다공성소재"는 물리적 화학적 흡착력이 강한 다공성(porous)을 가지는 고분자 소재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상기 다공성 소재는 셀라이트(Cellite)를 포함할 수 있다.
다공성소재로 활성탄이 저가로 가장 유용할 수 있으나, 흑색으로 인해 식품포장 용도로 적용하기 어려워 무색 및 무독성을 가진 셀라이트가 적합할 수 있다. 셀라이트는 무색을 갖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투과시킬 수 있다. 셀라이트를 투과한 빛은 셀라이트 내부에 제공된 촉매화합물에 전달된다. 이때 셀라이트는 촉매화합물에서 광 촉매 반응을 유발하기 위해서 자외선 파장 대역의 빛을 손실없이 투과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어, "폴리올레핀 필름"은 합성수지의 종류로써, 에틸렌과 프로필렌 같은 올레핀을 첨가중합반응시켜 만드는 유기물질 폴리올레핀으로 제조한 필름이다. 기존의 플라스틱 물질보다 가벼울 뿐만 아니라 투명도도 높고 수분도 거의 흡수하지 않아 방수가 된다는 장점이 있다.
폴리올레핀 필름은 세공(pore)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폴리올레핀 필름은 발포되어 제공되며, 발포되는 과정에서 내부에 세공을 포함할 수 있다. 폴리올레핀 필름에 제공된 세공의 크기는 다공성 물질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다공성 물질이 폴리올레핀 필름에 제공된 세공 안에 제공되고, 세공의 크기가 다공성 물질의 크기보다 큼에 따라, 폴리올레핀 필름과 다공성 물질이 밀착하지 않고 적어도 일부 영역에서 이격될 수 있다. 이격된 공간 내부로 황화합물 등이 유입될 수 있으며, 유입된 황화합물이 다공성 물질 표면에 제공된 촉매 화합물에 의해 제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어, "촉매화합물"은 빛에너지를 받아 산화환원반응과 표면 친수화 반응으로 향균, 탈취 등의 다양한 기능을 구현하는 촉매를 의미한다.
촉매화합물은 광촉매 반응을 통해 향균, 탈취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광촉매 반응은 공기 중의 물과 산소로부터 슈퍼옥사이드 음이온 (O2 -) 및/또는 하이드록실 라디칼(OH·)이 생성되는 반응일 수 있다. 생성된 슈퍼옥사이드 음이온 (O2 -) 및/또는 하이드록실 라디칼(OH·)은 유기 오염 물질, 무기 오염 물질, 및 바이러스, 박테리아를 분해, 소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기 오염 물질의 경우, 슈퍼옥사이드 음이온 (O2 -) 및/또는 하이드록실 라디칼(OH·)과 반응하여 물과 이산화탄소로 분해될 수 있다. 아울러, 무기 오염 물질의 경우, 질소 산화물과 같은 산화물 형태로 분해될 수 있다. 세균 또는 박테리아의 경우 슈퍼옥사이드 음이온 (O2 -) 및/또는 하이드록실 라디칼(OH·)과 반응하여 불활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슈퍼옥사이드 음이온 (O2 -) 및/또는 하이드록실 라디칼(OH·)은 세균 또는 박테리아의 DNA 및 세포막과 반응함으로써 세균 또는 박테리아를 불활성시킬 수 있다.
촉매화합물 물질은 이산화 티타늄(TiO2), 지르코니아(ZrO2), 산화 아연(ZnO), 텅스텐 산화물(WO3), 산화주석(SnO2)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촉매화합물의 표면에서 생성된 정공과 전자는 재결합 속도가 대단히 빠르기 때문에 광화학 반응에 이용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Pt, Ni, Mn, Ag, W, Cr, Mo, Zn 등의 금속 또는 그것들의 산화물을 첨가하여 정공과 전자의 재결합 속도를 지연시킬 수 있다. 정공과 전자의 재결합 속도가 지연되는 경우 산화 및/또는 분해시키고자 하는 대상 물질과의 접촉 가능성이 증가되며, 그 결과 반응도가 높아질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산화물 첨가에 의해 촉매화합물 밴드갭을 조절하여 성능을 향상 시킬 수도 있다. 상술한 촉매화합물 반응을 이용하면 공기를 살균, 정화, 탈취 처리 등을 할 수 있다. 특히 살균의 경우, 균 세포내의 효소와 호흡계에 작용하는 효소 등을 파괴시켜 살균 또는 항균작용을 하는 것으로 균이나 곰팡이의 번식을 막고, 이들이 내놓는 독소도 분해할 수 있다.
상기 촉매화합물 가운데 이산화 티타늄(TiO2)은 광촉매 반응 및 세균, 미생물 증식을 억제하는 향균 효과가 우수하여 나노복합소재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촉매화합물 중 산화 아연(ZnO)은 저가의 가격으로도 햇빛이 없는 곳에서도 미량의 수분에 의해 활성화반응하여 황화합물을 분해하여 이취를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 하기 때문에 나노복합소재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촉매화합물 중 이산화 티타늄과 산화 아연을 동시에 사용함으로써, 광촉매 반응을 통해 향균 효과를 제공하는 동시에 산화 아연을 통해 황화합물을 분해, 제거할 수 있다.
특히 산화 아연이 햇빛이 없는 곳에서도 미량의 수분에 의해 활성화되기 때문에 어두운 환경에서도 황화합물을 분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나노복합소재가 식품 포장 용기에 적용되는 경우, 식품 포장 용기를 운반하는 과정 또는 냉장고 등의 빛이 들어오기 어려운 밀폐 공간에 보관하는 중에서도 황화합물을 분해할 수 있다.
또한, 산화 아연과 함께 이산화 티타늄이 함께 사용되기 때문에 세균 또는 곰팡이 등이 촉매화합물 표면에 제공되어 산화 아연에 의한 황화합물 제거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촉매화합물 표면에 제공되는 세균 또는 곰팡이 등은 이산화 티타늄에 의한 광촉매 반응에 의해 제거되고, 황화합물은 산화 아연에 의해 제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양태의 촉매화합물은 나노복합소재 전체 중량대비 10 중량% 내지 30 중량%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촉매화합물 중량이 전체중량 대비 10 중량% 미만일 경우 탈취 효능이 미미할 수 있고, 30 중량% 초과할 경우 촉매화합물간 응집현상이 발생해 패드 표면을 거칠게 하고 탈취 성능 효과도 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양태의 나노복합소재의 두께는 0.8mm 내지 2mm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나노복합소재의 두께가 0.8mm 미만일 경우 조분쇄에 따른 마찰열로 인해 제조시 폭발 문제등이 발생할 수 있고, 2mm 초과할 경우 유격이 발생하여 접촉면적이 작아져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상기 제1양태의 황 화합물은 김치 이취의 주요원인으로 지목되는 황 화합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알릴 메틸 설파이드(Alll methyl sulfide), 디메틸 디설파이드(Dimethyl disulfide), 디 알릴 설파이드(Diallyl sulfide), 메틸 프로필 디설파이드(Methyl propyl disulfide), 디메틸 트리 설파이드(Dimethyl trisulfide), 알릴 메틸 디설파이드(Allyl methyl disulfide), 디 알릴디설파이드(Diallyl disulfide), 알릴이소프로필 디설파이드(Allyl isopropyl disulfide), (z)-알릴 1-프로페닐 디설파이드((z)-allyl 1-propenyl disulfide), 디 프로필 디설파이드(Dipropyl disulfide), 알릴 메틸 트리 설파이드(Allyl methyl trisulfide), 또는 메틸 프로필 트리 설파이드(Methyl propyl trisulfide)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전술한 본 발며의 제2양태에 따라, 황 화합물 탈취용 나노복합소재 제조방법은 혼합수지 용융온도에서 폴리올레핀 수지, 일래스토머, 발포제, 불소계 수지, 다공성소재, 촉매화합물을 건식 혼합시켜 수지 조성물을 형성하여 수지 조성물을 콤파운딩 하는 단계;
상기 콤파운딩된 수지 조성물을 필름 성형기를 사용하여 발포필름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콤파운딩 하는 단계의 용융온도는 200℃ 이하인 것일 수 있으나, 필요에 따라, 수지가 모두 용융되는 온도로 변경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콤파운딩 하는 단계의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는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 저밀도폴리에틸렌, 극저밀도폴리에틸렌 및 메탈로센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수지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콤파운딩 하는 단계의 상기 일래스토머는 폴리에스테르계, 올레핀계, 우레탄계, 폴리아미드계, 스티렌계, 염화비닐계, PMMA계, 니트릴계, 실리콘계, 부타디엔계, 에틸렌계 및 프로필렌계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콤파운딩 하는 단계의 상기 발포제는 탄산수소 나트륨, 탄산 나트륨, 탄산수소 암모늄, 탄산암모늄 및 아질산 나트륨으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되는 무기 발포제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콤파운딩 하는 단계의 상기 불소계 수지는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PTFE), 테드라플루오르에틸렌-헥사플루오르프로필렌 공중합체(FEP) 및 폴리불화비닐라덴(PVDF)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필름 성형기는 실린더, 어댑터, 헤드, 아이스 및 다이스의 구성을 갖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발포필름을 제조하는 단계는 압출발포하는 상기 수지조성물을 복합화 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나노복합소재는 종래 사용되어온 시중 폴리올래핀소재 대비 다공성소재를 포함하여 세공의 물리적인 흡착 및 촉매화합물을 포함하여 화학적 흡착을 제공하고, 황 화합물 소취 및 향균 효과가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나노복합소재는 김치의 이취 주요 원인물질을 감축 할 수 있고 김치용기로 사용되어 김치용기 내 향균 효과와 함께 세균,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하여 이취 생성 요인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나노복합소재를 김치용기로 사용할 경우를 나타낸 모식도 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나노복합소재 필름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나노복합소재의 ZnO함량을 나타낸 XRD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나노복합소재의 TiO2함량을 나타낸 XRD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나노복합소재에 촉매화합물을 12.5%함유하여 제조한 패드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나노복합소재에 촉매화합물을 25%함유하여 제조한 패드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나노복합소재를 사용하여 김치의 이취성분을 GC-MS로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표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나노복합소재의 이취 감소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실험기구 데시케이터의 사진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나노복합소재를 사용한 김치 용기를 포함한 데시케이터 사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나노복합소재 또는 시중 폴리올레핀소재를 사용하여 김치의 이취성분 감축을 GC-MS로 비교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표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나노복합소재의 SEM 단면 나타낸 사진이다.
도 12는 시중의 폴리올레핀소재의 SEM단면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나노복합소재의 나노샘폴 표면을 나타낸 SEM-EDS 사진이다.
도 14는 시중의 폴리올레핀소재의 나노샘폴 표면을 나타낸 SEM-EDS 사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나노복합소재의 EDS분석 그래프이다.
도 16은 시중의 폴리올레핀소재의 EDS분석 그래프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황 화합물 탈취용 나노복합소재 제조
혼합수지 용융온도200℃에서 폴리올레핀 수지, 일래스토머, 발포제, 불소계 수지, 다공성소재, 촉매화합물 ZnO 및 TiO2 15, 20, 30 및 40중량%로 중량을 각각 다르게 하여 건식 혼합시킨 다음 콤파운딩 하고, 콤파운딩된 수지 조성물을 필름 성형기를 사용하여 발포필름을 제조하였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다공성소재 또는 폴리올레핀 수지에 촉매화합물을 포함한 나노복합소재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2: 김치용기용 패드 제조
상기 제조예 1로 제조한 발포필름을 제조시 촉매화합물 ZnO 및 TiO2를 12.5중량% 사용하여 두께 1.6mm, 지름7.25mm인 nano 1차 패드 또는 촉매화합물 ZnO 및 TiO2를 25중량% 사용하여 두께1.28mm, 지름7.25mm인 nano 2차 패드를 제조하였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김치용기 뚜껑내에 위치할 수 있는 패드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1: 나노복합소재의 김치 이취 소취 효과 분석
김치의 이취 주요 원인물질을 상기 제조예 2로 제조한 패드를 부착한 김치용기 사용시 이취 소취 효과를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김치의 이취 소취효과를 분석하기위해 상기 제조예 2로 제조한 패드를 김치용기 뚜껑 내에 부착하고 5g 김치가 담긴 용기를 데시케이터 내에 위치시키고 데시케이터의 틈을 파라핀 필름으로 막아 GC-MS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패드(nano 1차, nano 2차)를 사용하여 김치의 이취 소취 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는 패드내에 포함된 촉매화합물까지 냄새입자가 도달하여 소취 및 흡착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2: 시중 폴리올레핀 소재 또는 나노복합소재를 사용한 김치 이취 소취 효과 분석
김치의 이취 주요 원인물질을 상기 제조예 2로 제조한 패드를 부착한 김치용기(nano 2차) 및 시중의 폴리올레핀소재를 사용하여 제조한 패드를 부착한 김치용기(OG) 사용시 이취 소취 효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도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시중의 폴리올레핀 소재를 사용한 패드(OG) 대비 본 발명의 나노복합소재로 제조한 패드(nano 2차)의 이취성분 감소량이 평균 67% 수준으로 우수하였다. 이는 촉매화합물을 포함한 나노복합소재로 제조한 패드가 황 화합물을 화학적 흡착하여 소취 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확인하였다.
실험예 3: 나노복합소재로 제조된 패드 및 시중 폴리올레핀소재로 제조된 패드 EDS, 단면 및 표면 분석
상기 제조예 2로 제조한 패드 및 시중의 폴리올레핀소재를 사용하여 제조한 패드의 소취된 냄새입자 EDS분석, 단면 및 표면을 비교 분석하였다.
도 11 내지 도 1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시중 폴리올레핀 소재 단면은 다공성 구조가 다수 밀집되어 있는 모습이 관찰되었고, 본 발명의 나노복합소재로 제조한 패드의 단면은 다공성 물질로 인해 상대적으로 큰 사이즈의 발포셀 구조가 관찰되었다. 표면 SEM-EDS는 시중 폴리올래핀 소재 대비 본 발명의 나노복합소재로 제조한 패드가 세공(pore) 구조가 관찰되었다. 또한, 소취된 냄새입자 검출을 위해 시행된 EDS분석그래프를 통해, 두개의 패드에서 모두 황 화합물이 관찰되었으나 나노복합소재로 제조한 패드에서 더 높은 피크(peak)가 확인되는 것으로 보아 나노복합소재로 제조한 패드의 세공에 물리적인 흡착하여 소취 효과가 더욱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실험예 1 내지 실험예 3을 종합하면, 발포필름으로 제조된 본 발명의 나노복합소재는 종래 사용되어온 시중 폴리올래핀소재 대비 다공성소재를 포함하여 세공의 물리적인 흡착 및 촉매화합물을 포함하여 화학적 흡착을 제공하고, 황 화합물 소취 및 향균 효과가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5)

  1. 다공성소재가 포함된 폴리올레핀 필름;
    상기 다공성소재 또는 폴리올레핀 필름 내에 촉매화합물을 포함하고,
    상기 폴리올레핀 필름은 상기 다공성소재 보다 크기가 큰 복수 개의 세공을 포함하고,
    상기 다공성소재는 상기 폴리올레핀 필름에 제공된 상기 세공 내에 제공되며, 상기 세공 내에서 상기 폴리올레핀 필름과 적어도 일부 영역에서 이격되고,
    상기 다공성소재는 광학적으로 투명한 셀라이트를 포함하여, 상기 다공성소재 내부에 제공된 상기 촉매화합물로 빛을 전달하고,
    상기 촉매화합물은 TiO2 및 ZnO를 포함하고 상기 다공성소재를 투과한 빛을 받아 광촉매 반응을 발생시키는, 황 화합물 탈취용 나노복합소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 필름은 발포 수지인 것인, 황 화합물 탈취용 나노복합소재.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촉매화합물은 나노복합소재 전체 중량대비 10 중량% 내지 30 중량%인 것인, 황 화합물 탈취용 나노복합소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복합소재의 두께는 0.8mm 내지 2mm인 것인, 황 화합물 탈취용 나노 복합소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황 화합물은 알릴 메틸 설파이드(Alll methyl sulfide), 디메틸 디설파이드(Dimethyl disulfide), 디 알릴 설파이드(Diallyl sulfide), 메틸 프로필 디설파이드(Methyl propyl disulfide), 디메틸 트리 설파이드(Dimethyl trisulfide), 알릴 메틸 디설파이드(Allyl methyl disulfide), 디 알릴디설파이드(Diallyl disulfide), 알릴이소프로필 디설파이드(Allyl isopropyl disulfide), (z)-알릴 1-프로페닐 디설파이드((z)-allyl 1-propenyl disulfide), 디 프로필 디설파이드(Dipropyl disulfide), 알릴 메틸 트리 설파이드(Allyl methyl trisulfide), 또는 메틸 프로필 트리 설파이드(Methyl propyl trisulfide)를 포함하는 것인, 황 화합물 탈취용 나노복합소재.
  8. 혼합수지 용융온도에서 폴리올레핀 수지, 일래스토머, 발포제, 불소계 수지, 다공성소재, 촉매화합물을 건식 혼합시켜 수지 조성물을 형성하여 수지 조성물을 콤파운딩 하는 단계;
    상기 콤파운딩된 수지 조성물을 필름 성형기를 사용하여 발포필름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발포필름 내 제공된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는 상기 다공성소재 보다 크기가 큰 복수 개의 세공을 포함하고,
    상기 다공성소재는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에 제공된 상기 세공 내에 제공되며, 상기 세공 내에서 상기 폴리올레핀 필름과 적어도 일부 영역에서 이격되고,
    상기 다공성소재는 광학적으로 투명한 셀라이트를 포함하여, 상기 다공성소재 내부에 제공된 상기 촉매화합물로 빛을 전달하고,
    상기 촉매화합물은 TiO2 및 ZnO를 포함하고 상기 다공성소재를 투과한 빛을 받아 광촉매 반응을 발생시키는, 황 화합물 탈취용 나노복합소재 제조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용융온도는 200℃ 이하인 것인, 황 화합물 탈취용 나노복합소재 제조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는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 저밀도폴리에틸렌, 극저밀도폴리에틸렌 및 메탈로센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수지인 것인, 황 화합물 탈취용 나노복합소재 제조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일래스토머는 폴리에스테르계, 올레핀계, 우레탄계, 폴리아미드계, 스티렌계, 염화비닐계, PMMA계, 니트릴계, 실리콘계, 부타디엔계, 에틸렌계 및 프로필렌계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것인, 황 화합물 탈취용 나노복합소재 제조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제는 탄산수소 나트륨, 탄산 나트륨, 탄산수소 암모늄, 탄산암모늄 및 아질산 나트륨으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되는 무기 발포제인, 황 화합물 탈취용 나노복합소재 제조방법.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불소계 수지는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PTFE), 테드라플루오르에틸렌-헥사플루오르프로필렌 공중합체(FEP) 및 폴리불화비닐라덴(PVDF)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 화합물 탈취용 나노복합소재 제조방법.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성형기는 실린더, 어댑터, 헤드, 아이스 및 다이스의 구성을 갖는 것인, 황 화합물 탈취용 나노복합소재 제조방법.
  15.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필름을 제조하는 단계는 압출발포하는 것인, 황 화합물 탈취용 나노복합소재 제조방법.

KR1020200025562A 2020-02-28 2020-02-28 김치 이취를 제거하는 나노복합소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863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5562A KR102386345B1 (ko) 2020-02-28 2020-02-28 김치 이취를 제거하는 나노복합소재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5562A KR102386345B1 (ko) 2020-02-28 2020-02-28 김치 이취를 제거하는 나노복합소재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0473A KR20210110473A (ko) 2021-09-08
KR102386345B1 true KR102386345B1 (ko) 2022-04-13

Family

ID=77787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5562A KR102386345B1 (ko) 2020-02-28 2020-02-28 김치 이취를 제거하는 나노복합소재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634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70416A (ko) 2022-11-14 2024-05-21 한국식품연구원 김치 포장을 위한 이산화탄소 및 냄새 제거 기능성 소재의 제조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6259B1 (ko) * 2004-08-31 2005-12-12 주식회사 승우화학 다공성 탈취필터 및 그 제조방법
JP2012065906A (ja) 2010-09-24 2012-04-05 Takasago Internatl Corp スルフィド類用消臭剤組成物
JP2018059043A (ja) * 2016-10-06 2018-04-12 日東電工株式会社 伸縮性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含む物品
JP2020001273A (ja) 2018-06-28 2020-01-09 大日本印刷株式会社 消臭包装材料及び消臭包装体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7806B1 (ko) * 2008-07-04 2010-07-05 (주)반도 폴리올레핀 발포필름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발포필름
KR101468135B1 (ko) * 2013-04-17 2014-12-05 영보화학 주식회사 소취성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 그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형성된 매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6259B1 (ko) * 2004-08-31 2005-12-12 주식회사 승우화학 다공성 탈취필터 및 그 제조방법
JP2012065906A (ja) 2010-09-24 2012-04-05 Takasago Internatl Corp スルフィド類用消臭剤組成物
JP2018059043A (ja) * 2016-10-06 2018-04-12 日東電工株式会社 伸縮性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含む物品
JP2020001273A (ja) 2018-06-28 2020-01-09 大日本印刷株式会社 消臭包装材料及び消臭包装体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70416A (ko) 2022-11-14 2024-05-21 한국식품연구원 김치 포장을 위한 이산화탄소 및 냄새 제거 기능성 소재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0473A (ko) 2021-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355768A (zh) 用于气体受控持续释放的能量活化组合物
KR100397659B1 (ko) 환경정화용 광촉매 분체, 그 분체함유 중합체 조성물 및그것의 성형품 및 그것들의 제조방법
KR102386345B1 (ko) 김치 이취를 제거하는 나노복합소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56087B1 (ko) 항균성 및 악취유발화합물 분해성을 가지는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조성물
US11931490B2 (en) Air purification module and refrigerator comprising the same
WO2014172543A1 (en) Methods of increasing the generation of a gas within a package
KR101929829B1 (ko) 은 이온수를 이용한 항균 탈취제 조성물
CN104258437B (zh) 一种冰箱用除臭器及冰箱
JPH0761480A (ja) 脱臭乾燥剤
KR102403900B1 (ko) 유해가스제거 및 항균탈취기능을 가지는 소재를 이용한 필터 제조방법
KR102341929B1 (ko) 공기 정화 살균 시스템
WO2014189833A1 (en) Method of controlling the generation of a gas within a package
CN212881867U (zh) 适用于污水废气的杀菌除臭系统
JP6616666B2 (ja) ポリビニルアセタール樹脂多孔質体の滅菌方法及び滅菌用包装体
Hodgson et al. Review of zeolites as deodorants for polyethylene resins used in food packaging applications
KR200256582Y1 (ko) 다기능성 천연피혁원단
US20240216570A1 (en) Air purification module and refrigerator comprising the same
KR102569968B1 (ko) 살균 및 산소발생기능을 갖는 필터가 내장된 열회수 공기순환기
KR20190090450A (ko) 광촉매를 이용한 자가재생 기능을 갖춘 냉장고용 에어클리너
CN106794456B (zh) 光催化剂组合物及其制造方法
US11957805B2 (en) Light-activated chlorine dioxide-releasing powder and method of manufacture
JP7275766B2 (ja) 抗菌性消臭防汚シート材料
KR20110043313A (ko) 활성탄 필터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음식물 처리기
JP4472366B2 (ja) 脱臭装置
KR20230064034A (ko) 항균탈취기능을 함유한 흡착소재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