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6121B1 - 저당밥 취사를 위한 보조 용기 - Google Patents

저당밥 취사를 위한 보조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6121B1
KR102386121B1 KR1020210170603A KR20210170603A KR102386121B1 KR 102386121 B1 KR102386121 B1 KR 102386121B1 KR 1020210170603 A KR1020210170603 A KR 1020210170603A KR 20210170603 A KR20210170603 A KR 20210170603A KR 102386121 B1 KR102386121 B1 KR 1023861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rice
cooking
low
contain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06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문석
Original Assignee
이문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문석 filed Critical 이문석
Priority to KR10202101706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61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61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61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2Multiple-unit cooking vessels
    • A47J27/13Tie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취사 시 곡물에 포함된 당질을 효과적으로 분리하여 칼로리가 낮은 저당밥을 지을 수 있도록 하는 저당밥 취사를 위한 보조 용기에 관한 것으로,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밀폐된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의 바닥에서 상향으로 돌출된 사이펀 파이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사이펀 파이프는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다단의 파이프 형상을 갖는다. 상기 사이펀 파이프는, 상기 용기 본체의 바닥에서 상향으로 돌출된 테이퍼 형상의 제1파이프와, 상기 제1파이프의 상단에서 상향으로 돌출된 테이퍼 형상의 제2파이프로 이루어진 다단의 파이프일 수 있다.

Description

저당밥 취사를 위한 보조 용기{AUXILIARY CONTAINER FOR LOW SUGAR RICE COOKING}
본 발명은 저당밥 취사를 위한 보조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곡물에 포함된 당질을 효과적으로 분리하여 칼로리가 낮은 저당밥을 지을 수 있도록 하는 저당밥 취사를 위한 보조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탄수화물에 포함된 성분인 당질을 섭취하면 몸에서 인슐린이 분비되는데, 많은 양의 당질을 섭취해 인슐린이 과도하게 분비될 경우 사용 후 남은 포도당이 체지방으로 바뀐다.
특히, 쌀밥을 주식으로 하고 면류 등 밀가루 음식을 즐기는 우리나라 사람들의 탄수화물 섭취량은 심각한 수준이다. 최근 의학계의 연구에 따르면 탄수화물을 과다 섭취하면 만성질환의 발병률이 높아지고, 당뇨를 비롯하여 비만, 고지혈증, 고혈압 등의 질환과 밀접한 연관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지난 2015년 한국영양학회 발표에 의하면 당뇨, 고혈압, 대사증후군을 앓는 환자는 건강한 사람보다 탄수화물 섭취 비율이 뚜렷하게 높았다. 한국인은 주로 밥을 통해 탄수화물을 섭취하는데, 특히 쌀밥은 탄수화물 덩어리나 다름없다.
쌀밥은 맛이 있고 소화가 잘 되지만, 체내 흡수가 빨라서 혈당이 급히 상승하도록 하기 때문에 당뇨환자가 마음 편히 섭취하기 어렵다. 최근에는 백미 대신 현미 같은 잡곡을 찾는 사람이 늘고 있지만, 현미의 탄수화물 함량은 백미보다 약간 낮은 수준이어서, 현미가 백미보다 건강할 것이라고 믿고 식사량을 늘리면 오히려 탄수화물을 더 많이 섭취하게 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내솥과 함께 전기밥솥의 내부에 구비되어 취사 시 쌀밥에 포함된 당질을 분리할 수 있도록 한 저당밥 취사 용기가 제안된 바 있다.
종래의 저당밥 취사 용기는,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밀폐된 냄비 형상의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의 바닥에서 상향으로 돌출된 파이프 형상의 토출관으로 구성된다.
상술한 구성의 저당밥 취사 용기는 밥물에서 발생한 증기(당질을 포함하는 증기)가 토출관을 통해 유입되어 용기 본체에 저장됨으로써 쌀밥에 포함된 당질을 분리한다.
그런데 종래의 저당밥 취사 용기는 취사 시 발생한 증기를 단순히 포집하여 당질을 분리하는 구조로서, 쌀밥에 포함된 당질을 효과적으로 분리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2193331호(2020.12.22.)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취사 시 곡물에 포함된 당질을 효과적으로 분리하여 칼로리가 낮은 저당밥을 지을 수 있도록 하는 저당밥 취사를 위한 보조 용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저당밥 취사를 위한 보조 용기는,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밀폐된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의 바닥에서 상향으로 돌출된 사이펀 파이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사이펀 파이프는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다단의 파이프 형상을 갖는다.
상기 사이펀 파이프는, 상기 용기 본체의 바닥에서 상향으로 돌출된 테이퍼 형상의 제1파이프와, 상기 제1파이프의 상단에서 상향으로 돌출된 테이퍼 형상의 제2파이프로 이루어진 다단의 파이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이펀 파이프는,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다단의 나선형 파이프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밥물에서 발생한 증기가 이송되는 사이펀 파이프를 다단으로 형성함으로써 사이펀 파이프의 내부 압력이 변동함에 따라 증기의 이송 속도가 증가하여 더 많은 양의 증기(당질을 포함하는 증기)를 포집할 수 있다.
따라서 곡물에 포함된 당질을 효과적으로 분리하여 칼로리가 낮은 저당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비만 환자나 당뇨병 환자에게도 맛 좋고 부드러운 식감의 쌀밥을 섭취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저당밥 취사를 위한 보조 용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저당밥 취사를 위한 보조 용기의 단면도.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당밥 취사를 위한 보조 용기와 종래기술에 따른 취사 보조 용기의 당물 포집량을 실험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저당밥 취사를 위한 보조 용기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저당밥 취사를 위한 보조 용기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저당밥 취사를 위한 보조 용기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저당밥 취사를 위한 보조 용기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저당밥 취사를 위한 보조 용기의 사시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그리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부가하였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당밥 취사를 위한 보조 용기(100, 이하 ‘보조 용기’라 함)는, 용기 본체(1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용기 본체(110)는 밥을 지을 때 밥물에서 발생한 증기(당질을 포함하는 증기, ‘당물’ 또는 ‘쌀물’함)이 포집되는 부분으로서, 전기 밥솥의 내솥(미도시)에 삽입 가능한 냄비 형상, 즉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밀폐된 냄비 형상이다.
용기 본체(110)의 상단 외주연에는 플랜지(120)가 형성된다. 플랜지(120)는 용기 본체(110)보다 외측으로 돌출되어 용기 본체(110)의 장착 시 용기 본체(110)가 내솥(미도시)의 상단에 걸려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용기 본체(110)의 상단 내주면에는 손잡이(130)가 마련된다. 손잡이(130)는 용기 본체(110)를 내솥(미도시)에 장착하거나 내솥(미도시)에서 제거할 때 사용되며, 용기 본체(110)의 장착 및 제거가 용이하도록, 그리고 전기밥솥의 덮개와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용기 본체(110)의 바닥 중앙에는 사이펀 파이프(140,150)가 형성된다. 사이펀 파이프(140,150)는 밥을 지을 때 밥물에서 발생한 증기가 이송되는 유로로서, 용기 본체(110)의 바닥에서 상향으로 돌출된다.
본 실시예의 사이펀 파이프(140,150)는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다단의 파이프 형상을 갖는다. 즉, 사이펀 파이프(140,150)는, 용기 본체(110)의 바닥에서 상향으로 돌출된 제1파이프(140)와, 제1파이프(140)의 상단에서 상향으로 돌출된 제2파이프(150)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밥물에서 발생한 증기가 이송되는 사이펀 파이프(140,150)를 다단의 파이프 형상으로 제작할 경우, 제1파이프(140)와 제2파이프(150) 사이의 형상에 따른 내부 압력 차이로 인하여 사이펀 파이프(140,150)를 통해 이송되는 증기의 이송 속도가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밥을 지을 때 밥물에서 발생한 증기(당질을 포함하는 증기)를 더 많이 포집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곡물에 포함된 당질을 효과적으로 분리함으로써 칼로리가 낮은 저당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1파이프(140)와 제2파이프(150)는 테이퍼 형상를 갖되 서로 다른 테이퍼 경사도를 갖는다. 즉, 제1파이프(140)의 테이퍼면(142)은 사이펀 파이프(140,150)의 중심을 관통하는 축(C)에 대해 45~49도 기울어지게 형성된다. 또한, 제2파이프(150)의 테이퍼면(152)은 사이펀 파이프(140,150)의 중심을 관통하는 축(C)에 대해 23~27도 기울어지게 형성된다.
또한, 제1파이프(140)와 제2파이프(150)의 높이비는 1 : 1.2 ~ 1.3인 것이 바람직하며, 제1파이프(140)의 하단 직경과 상단 직경의 비는 1 : 0.4 ~ 0.5이고, 제2파이프(150)의 하단 직경과 상단 직경의 비는 1 : 0.5 ~ 0.6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보조 용기(100)와 종래의 보조 용기(미도시)에 의한 당질 제거 효과에 대하여 실험예와 비교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때, 종래의 보조 용기(미도시)는 밥물에서 발생한 증기가 이송되는 토출관(본 실시예의 사이펀 파이프에 대응)이 단순 테이퍼 형상인 용기이다.
[실험예 1. 본 실시예에 따른 보조 용기를 이용한 저당밥의 제조 1]
실험예 1에서는 쌀 150g와 물 450g을 혼합하여 저당밥을 지었다. 이때 저당밥의 취사 시간은 34분이다.
[실험예 2. 본 실시예에 따른 보조 용기를 이용한 저당밥의 제조 2]
실험예 2에서는 쌀 150g와 물 600g을 혼합하여 저당밥을 지었다. 이때 저당밥의 취사 시간은 35분이다.
[실험예 3. 본 실시예에 따른 보조 용기를 이용한 저당밥의 제조 3]
실험예 3에서는 쌀 150g와 물 750g을 혼합하여 저당밥을 지었다. 이때 저당밥의 취사 시간은 36분이다.
[표 1]
Figure 112021139750978-pat00001
[비교예 1. 종래의 보조 용기를 이용한 저당밥의 제조 1]
실험예 1에서는 쌀 150g와 물 450g을 혼합하여 저당밥을 지었다. 이때 저당밥의 취사 시간은 34 ~ 35분이다.
[실험예 2. 종래의 보조 용기를 이용한 저당밥의 제조 2]
실험예 2에서는 쌀 150g와 물 600g을 혼합하여 저당밥을 지었다. 이때 저당밥의 취사 시간은 35분이다.
[실험예 3. 종래의 보조 용기를 이용한 저당밥의 제조 3]
실험예 3에서는 쌀 150g와 물 750g을 혼합하여 저당밥을 지었다. 이때 저당밥의 취사 시간은 36분이다.
[표 2]
Figure 112021139750978-pat00002
상기 [표 1], [표 2] 및 [도 3],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보조 용기를 사용할 경우 종래의 보조 용기를 사용할 때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당물이 포집됨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보조 용기를 사용할 경우 포집된 당물의 점도가 종래의 보조 용기를 사용할 때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보조 용기를 사용하여 취사된 밥에 포함된 탄수화물의 양이 적고 열량이 낮음을 알 수 있다.
이를 종합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보조 용기를 사용할 경우 더 많은 양의 당질을 효과적으로 분리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탄수화물과 칼로리가 낮은 저당밥을 제공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저당밥 취사를 위한 보조 용기(200)는, 용기 본체(2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용기 본체(210)는 전기 밥솥의 내솥(미도시)에 삽입 가능한 냄비 형상, 즉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밀폐된 냄비 형상이다. 용기 본체(210)의 상단 외주연에는 용기 본체(210)를 내솥(미도시)의 상단에 고정하기 위한 플랜지(220)가 형성된다. 또한, 용기 본체(210)의 상단 내주면에는 용기 본체(210)의 장착 및 제거를 위한 손잡이(230)가 마련된다.
용기 본체(210)의 바닥 중앙에는 사이펀 파이프(240,250)가 형성된다. 사이펀 파이프(240,250)는 밥을 지을 때 밥물에서 발생한 증기가 이송되는 유로로서, 용기 본체(210)의 바닥에서 상향으로 돌출된다.
본 실시예의 사이펀 파이프(240,250)는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다단의 나선형 파이프 형상이다. 즉, 사이펀 파이프(240,250)는, 용기 본체(210)의 바닥에서 상향으로 돌출된 제1파이프(240)와, 제1파이프(240)의 상단에서 상향으로 돌출된 제2파이프(250)로 이루어지되, 제1파이프(240)와 제2파이프(250)는 서로 다른 테이퍼 경사도를 갖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본 실시예의 사이펀 파이프(240,250), 즉 제1파이프(240)와 제2파이프(250)의 둘레에는 나선형의 이송로(260)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밥물에서 발생한 증기가 이송되는 사이펀 파이프(240,250)를 다단의 나선형 파이프 형상으로 제작할 경우, 사이펀 파이프(240,250)와의 접촉 면적을 증대시키고 마찰을 저감시켜 증기의 이송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밥을 지을 때 밥물에서 발생한 증기(당질을 포함하는 증기)를 더 많이 포집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곡물에 포함된 당질을 효과적으로 분리함으로써 칼로리가 낮은 저당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저당밥 취사를 위한 보조 용기(300)는, 전기 밥솥의 내솥(미도시)에 삽입 가능한 냄비 형상의 용기 본체(310)와, 밥을 지을 때 밥물에서 발생한 증기가 이송되는 유로인 사이펀 파이프(340,350)으로 이루어진다.
사이펀 파이프(340,350)는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다단의 나선형 파이프 형상이다. 즉, 사이펀 파이프(340,350)는, 용기 본체(310)의 바닥에서 상향으로 돌출된 제1파이프(340)와, 제1파이프(340)의 상단에서 상향으로 돌출된 제2파이프(350)로 이루어지되, 제1파이프(340)와 제2파이프(350)는 서로 다른 테이퍼 경사도를 갖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본 실시예의 사이펀 파이프(340,350)의 상단 둘레, 즉 제1파이프(340)의 상단 둘레에는 다수의 개구(360)가 형성되며, 다수의 개구(360)은 제1파이프(340)의 상단 둘레를 따라 방사상으로 배열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개구(360)가 제1파이프(340)의 상단 둘레에 형성된 것으로 예시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파이프(340)의 중단 또는 하단에 형성되거나 제2파이프(350)에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사이펀 파이프(340,350)에 다수의 개구(360)를 형성할 경우 사이펀 파이프(340,350)를 통해 이송되는 증기(밥물에서 발생한 증기)의 이송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밥을 지을 때 밥물에서 발생한 증기(당질을 포함하는 증기)를 더 많이 포집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곡물에 포함된 당질을 효과적으로 분리함으로써 칼로리가 낮은 저당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저당밥 취사를 위한 보조 용기(400)는, 전기 밥솥의 내솥(미도시)에 삽입 가능한 냄비 형상의 용기 본체(410)와, 밥을 지을 때 밥물에서 발생한 증기가 이송되는 유로인 사이펀 파이프(440,450)으로 이루어진다.
사이펀 파이프(440,450)는, 용기 본체(410)의 바닥에서 상향으로 돌출된 제1파이프(440)와, 제1파이프(440)의 상단에서 상향으로 돌출된 제2파이프(450)로 이루어지되, 제1파이프(440)와 제2파이프(450)는 서로 다른 테이퍼 경사도를 갖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본 실시예의 사이펀 파이프(440,450)의 하단 둘레, 즉 제1파이프(440)의 중단 둘레에는 복수의 돌출부(460)가 형성되며, 복수의 돌출부(460)은 제1파이프(440)의 중단 둘레를 따라 방사상으로 배열된다.
이와 같이, 사이펀 파이프(440,450)에 복수의 돌출부(460)를 형성할 경우 사이펀 파이프(340,350)를 통해 이송되는 증기(밥물에서 발생한 증기)의 접촉면적이 증대되므로 밥을 지을 때 밥물에서 발생한 증기(당질을 포함하는 증기)를 더 많이 포집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곡물에 포함된 당질을 효과적으로 분리함으로써 칼로리가 낮은 저당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저당밥 취사를 위한 보조 용기(500)는, 전기 밥솥의 내솥(미도시)에 삽입 가능한 냄비 형상의 용기 본체(510)와, 밥을 지을 때 밥물에서 발생한 증기가 이송되는 유로인 사이펀 파이프(540,550)으로 이루어진다.
사이펀 파이프(540,550)는, 용기 본체(510)의 바닥에서 상향으로 돌출된 제1파이프(540)와, 제1파이프(540)의 상단에서 상향으로 돌출된 제2파이프(550)로 이루어지되, 제1파이프(540)와 제2파이프(550)는 서로 다른 테이퍼 경사도를 갖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된다.
한편, 본 실시예의 사이펀 파이프(540,550)의 상단에는 가이드 링(560)이 구비된다. 가이드 링(560)은 사이펀 파이프(540,550)의 상단, 즉 제1파이프(550)의 상단에서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링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사이펀 파이프(540,550)에 가이드 링(560)를 형성할 경우 사이펀 파이프(540,550)를 통해 이송되는 증기(밥물에서 발생한 증기)가 사이펀 파이프(540,550)의 외주면을 따라 상승하는 것을 억제하여 밥을 지을 때 밥물에서 발생한 증기(당질을 포함하는 증기)를 더 많이 포집할 수 있다. 또한, 사이펀 파이프(540,550)의 외주면을 따라 상승하는 증기가 가이드 링(560)에 충돌하며 입자가 쪼개지므로 당질을 효과적으로 분리함으로써 칼로리가 낮은 저당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저당밥 취사를 위한 보조 용기(600)는, 전기 밥솥의 내솥(미도시)에 삽입 가능한 냄비 형상의 용기 본체(610)와, 밥을 지을 때 밥물에서 발생한 증기가 이송되는 유로인 사이펀 파이프(640,650)와, 사이펀 파이프(640,650)의 상단에 구비되는 가이드 링(660)으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의 가이드 링(660)은 제5실시예의 가이드 링(660)과 달리 사이펀 파이프(640,650)의 상단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를 위하여, 사이펀 파이프(640,650) 또는/및 가이드 링(660)에는 자석 등과 같은 체결수단이 마련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하였는데,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가 가능함은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정 실시예가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저당밥 취사를 위한 보조 용기
110: 용기 본체 120: 플랜지
130: 손잡이 140,150: 사이펀 파이프
140: 제1파이프 150: 제2파이프

Claims (6)

  1. 저당밥 취사를 위한 보조 용기로서,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밀폐된 용기 본체; 및
    상기 용기 본체의 바닥에서 상향으로 돌출되고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다단으로 형성되며 나선형의 이송로가 둘레에 형성된 사이펀 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사이펀 파이프는, 상기 용기 본체의 바닥에서 상향으로 돌출된 테이퍼 형상의 제1파이프와, 상기 제1파이프의 상단에서 상향으로 돌출된 테이퍼 형상의 제2파이프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파이프와 상기 제2파이프는 서로 다른 테이퍼 경사도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파이프의 중단 둘레에는 복수의 돌출부가 방사상으로 배열되며,
    상기 제1파이프의 테이퍼면은 상기 사이펀 파이프의 중심을 관통하는 축에 대해 45~49도 기울어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2파이프의 테이퍼면은 상기 사이펀 파이프의 중심을 관통하는 축에 대해 23~27도 기울어지게 형성되며,
    상기 제1파이프와 상기 제2파이프의 높이비는 1 : 1.2 ~ 1.3이고, 상기 제1파이프의 하단 직경과 상단 직경의 비는 1 : 0.4 ~ 0.5이며, 상기 제2파이프의 하단 직경과 상단 직경의 비는 1 : 0.5 ~ 0.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당밥 취사를 위한 보조 용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210170603A 2021-12-02 2021-12-02 저당밥 취사를 위한 보조 용기 KR1023861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0603A KR102386121B1 (ko) 2021-12-02 2021-12-02 저당밥 취사를 위한 보조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0603A KR102386121B1 (ko) 2021-12-02 2021-12-02 저당밥 취사를 위한 보조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6121B1 true KR102386121B1 (ko) 2022-04-12

Family

ID=811878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0603A KR102386121B1 (ko) 2021-12-02 2021-12-02 저당밥 취사를 위한 보조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612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7067B1 (ko) 2022-07-20 2022-09-26 주식회사 더원스테이스 저당밥 취사용 트레이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61094A (ja) * 2010-02-12 2011-08-25 Mitsubishi Electric Corp 炊飯器
CN211270021U (zh) * 2019-07-31 2020-08-18 九阳股份有限公司 一种带有米汤容器的烹饪器具
KR102193331B1 (ko) 2020-07-28 2020-12-22 주식회사 더원스테이스 전기밥솥용 저당밥 취사용기 및 그 제조 방법
KR102243925B1 (ko) * 2019-12-11 2021-04-23 (주)에버그린엔터프라이즈 전기밥솥용 저당밥 취사장치
KR102316020B1 (ko) * 2020-08-13 2021-10-22 라창환 찜용 증기발생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61094A (ja) * 2010-02-12 2011-08-25 Mitsubishi Electric Corp 炊飯器
CN211270021U (zh) * 2019-07-31 2020-08-18 九阳股份有限公司 一种带有米汤容器的烹饪器具
KR102243925B1 (ko) * 2019-12-11 2021-04-23 (주)에버그린엔터프라이즈 전기밥솥용 저당밥 취사장치
KR102193331B1 (ko) 2020-07-28 2020-12-22 주식회사 더원스테이스 전기밥솥용 저당밥 취사용기 및 그 제조 방법
KR102316020B1 (ko) * 2020-08-13 2021-10-22 라창환 찜용 증기발생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7067B1 (ko) 2022-07-20 2022-09-26 주식회사 더원스테이스 저당밥 취사용 트레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3925B1 (ko) 전기밥솥용 저당밥 취사장치
KR102386121B1 (ko) 저당밥 취사를 위한 보조 용기
Divisi et al. Diet and cancer
CN108651581A (zh) 饼干及其制备方法
KR102399351B1 (ko) 저당용 전기밥솥을 이용한 저당밥 취사방법
KR20240042862A (ko) 회전날개를 갖는 저당밥 취사용 보조 용기
KR102447067B1 (ko) 저당밥 취사용 트레이
JP2007267618A (ja) ケーキ
CN220308946U (zh) 一种脱糖收集器具及电饭煲
CN213524739U (zh) 一种辅助饮食管理的餐具
KR200244293Y1 (ko) 넘침방지 냄비
Hwang Recent research and development of functional food in Taiwan
Umer et al. Quantification of quercetin from red onion (Allium cepa L.) powder via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ultraviolet (HPLC‐UV) and its effect on hyperuricemia in male healthy Wistar albino rats
CN219516014U (zh) 一种多功能炸锅
KR102507684B1 (ko) 취사 보조 용기
CN2754521Y (zh) 鸳鸯电饭煲
CN217137521U (zh) 一种食品加工机
Nagla Leisure, food and health: Practices and attitudes of rural and urban people in India
CN210055651U (zh) 一种多功能养生壶
CN213155376U (zh) 分离组件及电饭煲
CN108065180A (zh) 一种盒装牛肉盖饭快餐食品
TWM627105U (zh) 複合配方膠囊
KR200353633Y1 (ko) 다중 밥솥
Junita Entrepreneurship Final Report" Crudo Cafe"
TWM591861U (zh) 草本膠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