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6070B1 - 조립식 벽체 구조물의 지지프레임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조립식 벽체 구조물의 지지프레임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6070B1
KR102386070B1 KR1020190166013A KR20190166013A KR102386070B1 KR 102386070 B1 KR102386070 B1 KR 102386070B1 KR 1020190166013 A KR1020190166013 A KR 1020190166013A KR 20190166013 A KR20190166013 A KR 20190166013A KR 102386070 B1 KR102386070 B1 KR 1023860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horizontal
coupling plate
fram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60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74882A (ko
Inventor
신정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조은데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조은데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조은데코
Priority to KR10201901660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6070B1/ko
Publication of KR202100748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48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60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60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0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 F16B7/04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in angled relationshi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 벽체 구조물의 지지프레임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무용접 방식으로 지지프레임 상호를 연결함으로써 조립 및 분리가 용이하고, 수평 조절 및 간격 조절이 용이한 조립식 벽체 구조물의 지지프레임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벽체 구조물의 지지프레임 연결장치은 상호 교차하도록 배치되는 지지프레임 상호를 무용접 방식으로 연결시킴으로써 조립 및 분리가 용이하고, 지지프레임의 높이 조정, 수평 조정, 간격 조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조립식 벽체 구조물의 지지프레임 연결장치{Support frame connecting device of prefabricated wall structure}
본 발명은 조립식 벽체 구조물의 지지프레임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무용접 방식으로 지지프레임 상호를 연결함으로써 조립 및 분리가 용이하고, 수평 조절 및 간격 조절이 용이한 조립식 벽체 구조물의 지지프레임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 등 각종 산업현장에서 구조물을 형성하기 위하여 각형으로 형성된 프레임 또는 파이프를 주로 사용하고 있다.
특히, 조립식으로 실내 및 실외 벽체를 시공하는 현장에서 벽체를 형성하기 위한 구조물을 형성할 때, 복수의 각형 프레임 또는 각형 파이프(이하, 지지프레임)들을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교차하도록 배치하여 벽체 구조물을 형성하고 있으며, 지지프레임이 만나는 부분을 용접을 하거나 피스나 볼트 등과 같은 별도의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지지프레임 상호를 연결 및 고정시킨다.
그러나, 각형 프레임 또는 파이프를 용접으로 연결하는 경우, 용접 작업이 까다로움은 물론, 용접에 의해서 형성된 돌출부(용접부)를 그라인딩하여 마감 처리했기 때문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작업 효율이 저하되고, 특히 용접 후에는 분리가 매우 까다로워 지지프레임의 높이, 수평, 간격 조정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20-2011-0003035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9-0034373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9-0082344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1-0104599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교차하도록 배치되는 지지프레임 상호를 무용접 방식으로 연결시킴으로써 조립 및 분리가 용이하고, 지지프레임의 높이 조정, 수평 조정, 간격 조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조립식 벽체 구조물의 지지프레임 연결장치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벽체 구조물의 지지프레임 연결장치은 수직으로 배치되는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의 전면 측에 상기 수직프레임과 교차하도록 수평으로 배치되는 수평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수직프레임의 좌측면 및 우측면에 각각 대응되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수직프레임의 좌측면 및 우측면 일부를 감싸도록 각각 연장되는 수직결합플레이트와; 상기 수평프레임의 상측면 및 하측면에 각각 대응되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하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수평프레임의 상측면 및 하측면 일부를 감싸도록 각각 연장되는 수평결합플레이트와; 일 측이 상기 수직결합플레이트에 각각 결합되고, 타 측이 상기 수직프레임의 후면 측에 걸리도록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를 상기 수직프레임에 밀착시키는 수직보강고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직보강고정부는 상기 수직결합플레이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수직결합플레이트에 구비된 고정부재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로드와, 상기 고정로드의 양측 단부로부터 상기 수직프레임의 후면 측을 향해 연장되고 단부에 상기 수직프레임의 후면 측에 걸리도록 절곡된 훅이 마련된 체결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직보강고정부는 상기 수직프레임의 전방 측에서 일 측 수직결합플레이트와 타 측 수직결합플레이트를 가로지르도록 배치되는 고정로드와, 상기 고정로드의 양측 단부로부터 상기 수직프레임의 후면 측을 향해 연장되고 단부에 상기 수직프레임의 후면 측에 걸리도록 절곡된 훅이 마련된 체결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측이 상기 수평결합플레이트에 결합되고 타 측은 상기 수평결합플레이트에 지지된 상기 수평프레임에 밀착되어 상기 수평프레임을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밀착시키는 수평보강고정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평보강고정부는 상기 수평결합플레이트에 지지된 상기 수평프레임의 전면 측에 밀착되게 배치되는 밀착지지부와, 상기 밀착지지부의 상단 및 하단으로부터 각각 상기 수평결합플레이트를 향해 연장되고, 단부에 상기 수평결합플레이트에 구비된 체결돌기에 걸리도록 잠금훅이 마련된 잠금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평보강고정부는 상기 수평결합플레이트에 지지된 상기 수평프레임의 전면 측에 밀착되게 배치되는 밀착지지부와, 상기 밀착지지부의 상단으로부터 상측의 수평결합플레이트를 향해 연장되고 단부에 상측의 수평결합플레이트에 구비된 체결돌기에 걸리도록 잠금훅이 마련된 잠금결합부와, 상기 밀착지지부의 하단으로부터 하측의 수평결합플레이트를 향해 연장되고 단부 측이 힌지부에 의해 하측의 수평결합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벽체 구조물의 지지프레임 연결장치은 상호 교차하도록 배치되는 지지프레임 상호를 무용접 방식으로 연결시킴으로써 조립 및 분리가 용이하고, 지지프레임의 높이 조정, 수평 조정, 간격 조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벽체 구조물의 지지프레임 연결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벽체 구조물의 지지프레임 연결장치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벽체 구조물의 지지프레임 연결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벽체 구조물의 지지프레임 연결장치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벽체 구조물의 지지프레임 연결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벽체 구조물의 지지프레임 연결장치의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벽체 구조물의 지지프레임 연결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벽체 구조물의 지지프레임 연결장치의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벽체 구조물의 지지프레임 연결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벽체 구조물의 지지프레임 연결장치의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6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벽체 구조물의 지지프레임 연결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6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벽체 구조물의 지지프레임 연결장치의 측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벽체 구조물의 지지프레임 연결장치(100)이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벽체 구조물의 지지프레임 연결장치(100)은 직교하도록 배치되는 수직프레임(1)과 수평프레임(2) 상호를 연결 및 고정시키는 것으로서, 베이스플레이트(110)와, 수직결합플레이트(130)와, 수평결합플레이트(150)와, 수직보강고정부(170)를 구비한다.
베이스플레이트(110)는 수직으로 배치되는 수직프레임(1)과, 수직프레임(1)의 전면 측에 수직프레임(1)과 교차하도록 수평으로 배치되는 수평프레임(2) 사이에 배치되며, 사각의 평판형으로 형성된다.
수직결합플레이트(130)는 수직프레임(1)의 좌측면 및 우측면에 각각 대응되는 베이스플레이트(110)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수직프레임(1)의 좌측면 및 우측면 일부를 감싸도록 각각 후방으로 일정 길이 연장된다. 수직결합플레이트(130)는 한 쌍이 구비되고, 수직프레임(1)의 좌측면 또는 우측면 좌우 폭보다 짧은 길이로 연장된다.
수직결합플레이트(130)는 베이스플레이트(110)의 가장자리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될뿐만 아니라, 수직프레임(1)의 좌측면 및 우측면과 접촉되는 면적이 확장될 수 있게 수직프레임(1)의 상하 길이방향으로도 일정 길이 연장된다. 즉, 베이스플레이트(110)의 상하 길이보다 더 긴 상하 길이를 갖는다.
수평결합플레이트(150)는 수평프레임(2)의 상측면 및 하측면에 각각 대응되는 베이스플레이트(110)의 상하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수평프레임(2)의 상측면 및 하측면 일부를 감싸도록 각각 연장된다. 수평결합플레이트(150)는 한 쌍이 구비되고, 수평프레임(2)의 상측면 및 하측면 전후 폭보다 짧은 길이로 연장된다.
그리고, 수직결합플레이트(130)와 수평결합플레이트(150)에는 고정피스를 이용하여 수직프레임(1)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복수의 피스구멍이 형성된다.
수직보강고정부(170)는 일 측이 수직결합플레이트(130)에 각각 결합되고, 타 측이 수직프레임(1)의 후면 측에 걸리도록 결합되어 베이스플레이트(110)를 수직프레임(1)에 밀착되게 고정시키는 것으로서, 고정로드(171)와, 체결로드(17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고정로드(171)는 수직결합플레이트(130)의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 연장되고, 수직결합플레이트(130)에 구비된 고정부재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실시 예에서 고정로드(171)는 직선형으로 형성된 구조를 적용하였다.
수직결합플레이트(130)에는 고정로드(171)를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고정부재가 구비되어 있으며, 고정부재는 복수의 제1고정리브(131)와 제2고정리브(132)를 포함한다.
제1고정리브(131)와 제2고정리브(132)는 수직결합플레이트(130)의 길이방향을 따라 교번하여 형성된다.
제1고정리브(13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결합플레이트(130)의 일부를 절개하고, 절개된 부분을 일 측으로 젖히거나 구부려 형성한다.
제2고정리브(132)는 고정로드(171)를 기준으로 제1고정리브(131)와 대향되는 측의 수직결합플레이트(130)의 일부를 절개하고. 절개된 부분을 제1고정리브(131)과 반대되는 타 측으로 젖히거나 구부려 형성한다.
제1고정리브(131)와 제2고정리브(132)는 엇갈리게 배치되어 고정로드(171)가 수직결합플레이트(130)의 폭 방향을 따라 유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체결로드(175)는 고정로드(171)의 양측 단부로부터 수직프레임(1)의 후면 측을 향해 각각 연장되고, 그 단부에 수직프레임(1)의 후면 측에 걸리도록 절곡된 훅(176)이 마련된다.
또한, 수직결합플레이트(130)에는 고정부재를 기준으로 고정로드(171) 및 체결로드(175)가 회전되는 것을 차단하며, 체결로드(175)가 일정 각도 이상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회전차단리브(133)가 더 구비된다. 회전차단리브(133)는 제1고정리브(131) 및 제2고정리브(132)와 같이 수직결합플레이트(130)의 일부를 절개한 뒤, 절개된 부분을 젖혀 수직결합플레이트(130)와의 사이로 체결로드(175)를 집어넣을 수 있게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수직보강고정부(170)는 고정로드(171)가 수직결합플레이트(130)에 결합되고, 체결로드(175)가 수직프레임(1)에 걸리도록 결합되어 수직결합플레이트(130) 및 베이스플레이트(110)를 수직프레임(1)에 견고하게 밀착 및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도 3 및 도 4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벽체 구조물의 지지프레임 연결장치(200)이 도시되어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벽체 구조물의 지지프레임 연결장치(200)은 직교하도록 배치되는 수직프레임(1)과 수평프레임(2) 상호를 연결 및 고정시키는 것으로서, 베이스플레이트(210)와, 수직결합플레이트(230)와, 수평결합플레이트(250)와, 수직보강고정부(270)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벽체 구조물의 지지프레임 연결장치(200)의 베이스플레이트(210)와, 수직결합플레이트(230)와, 수평결합플레이트(250)는 앞서 도 1 및 도 2를 참고로 설명한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벽체 구조물의 지지프레임 연결장치(100)의 베이스플레이트(110)와, 수직결합플레이트(130)와, 수평결합플레이트(150)와 동일한 것을 적용하였으며,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수직보강고정부(270)는 일 측이 수직결합플레이트(130)에 각각 결합되고, 타 측이 수직프레임(1)의 후면 측에 걸리도록 결합되어 베이스플레이트(110)를 수직프레임(1)에 밀착되게 고정시키는 것으로서, 고정로드(271)와, 체결로드(27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고정로드(271)는 수직결합플레이트(130)의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 연장되고, 수직결합플레이트(130)에 구비된 고정부재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수직결합플레이트(130)에는 고정로드(271)를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고정부재가 구비되어 있으며, 고정부재는 복수의 제1고정리브(231)와 제2고정리브(232)를 포함한다.
제1고정리브(231)와 제2고정리브(232)는 수직결합플레이트(230)의 길이방향을 따라 교번하여 형성된다.
제1고정리브(23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결합플레이트(230)의 일부를 절개하고, 절개된 부분을 일 측으로 젖히거나 구부려 형성한다.
제2고정리브(232)는 고정로드(271)를 기준으로 제1고정리브(231)와 대향되는 측의 수직결합플레이트(230)의 일부를 절개하고. 절개된 부분을 제1고정리브(231)과 반대되는 타 측으로 젖히거나 구부려 형성한다.
제2고정리브는 후술하는 고정로드(271)의 인입부(171A)에 걸리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고정리브(131)와 제2고정리브(132)는 엇갈리게 배치되어 고정로드(171)가 수직결합플레이트(130)의 폭 방향을 따라 유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고정로드(271)에는 체결로드(275)의 단부 측을 향해 고리 형상으로 일정 길이 인입된 인입부(171A)가 고정로드(27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게 형성된다. 고정로드(271)는 인입부(171A)에 의해 구형파 또는 정현파 형상을 갖는 지그재그 패턴으로 형성된다.
수직결합플레이트(230)에는 고정로드(271)를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고정부재가 구비되어 있으며, 고정부재는 수직결합플레이트(230)의 일부를 절개하고, 절개된 부분을 젖히거나 구부려 고정로드(271)가 수직결합플레이트(230)에 이탈 및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형성된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수직결합플레이트(230)에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고정부재를 기준으로 고정로드(271) 및 체결로드(275)가 회전되는 것을 차단하며, 체결로드(275)가 일정 각도 이상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회전차단리브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회전차단리브는 제1고정리브(231) 및 제2고정리브(232)와 같이 수직결합플레이트(230)의 일부를 절개한 뒤, 절개된 부분을 젖혀 수직결합플레이트(230)와의 사이로 체결로드(275)를 집어넣을 수 있게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도 5 및 도 6에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벽체 구조물의 지지프레임 연결장치(300)이 도시되어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벽체 구조물의 지지프레임 연결장치(300)은 직교하도록 배치되는 수직프레임(1)과 수평프레임(2) 상호를 연결 및 고정시키는 것으로서, 베이스플레이트(310)와, 수직결합플레이트(330)와, 수평결합플레이트(350)와, 수직보강고정부(370)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벽체 구조물의 지지프레임 연결장치(300)의 베이스플레이트(310)와, 수직결합플레이트(330)와, 수평결합플레이트(350)는 앞서 도 1 및 도 2를 참고로 설명한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벽체 구조물의 지지프레임 연결장치(100)의 베이스플레이트(110)와, 수직결합플레이트(130)와, 수평결합플레이트(150)와 동일한 것을 적용하였으며,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수직보강고정부(370)는 고정로드(371)와, 체결로드(375)를 구비하며, 한 쌍으로 구성된다.
고정로드(371)는 수직프레임(1)의 전방 측에서 일 측 수직결합플레이트(330)와 타 측 수직결합플레이트(330)를 가로지르도록 배치된다.
체결로드(375)는 고정로드(371)의 양측 단부로부터 각각 수직프레임(1)의 후면 측을 향해 연장되고, 그 단부에 수직프레임(1)의 후면 측에 걸리도록 절곡된 훅(376)이 마련된다.
도 7 및 도 8에는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벽체 구조물의 지지프레임 연결장치(400)이 도시되어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벽체 구조물의 지지프레임 연결장치(400)은 직교하도록 배치되는 수직프레임(1)과 수평프레임(2) 상호를 연결 및 고정시키는 것으로서, 베이스플레이트(410)와, 수직결합플레이트(430)와, 수평결합플레이트(450)와, 수직보강고정부(470)와, 수평보강고정부(490)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벽체 구조물의 지지프레임 연결장치(400)의 베이스플레이트(410)와, 수직결합플레이트(430)와, 수평결합플레이트(450)는 앞서 도 1 및 도 2를 참고로 설명한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벽체 구조물의 지지프레임 연결장치(100)의 베이스플레이트(110)와, 수직결합플레이트(130)와, 수평결합플레이트(150)와 동일한 것을 적용하였다.
수직결합플레이트(430)에는 고정로드(471)를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고정부재가 구비되어 있으며, 고정부재는 복수의 제1고정리브(431)와 제2고정리브(432)를 포함한다. 제1고정리브(431), 제2고정리브(432)는 각각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제1고정리브(231), 제2고정리브(232)와 동일한 것을 적용하였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벽체 구조물의 지지프레임 연결장치(400)의 수직보강고정부(470)는 도 1 및 도 2를 참고로 설명한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벽체 구조물의 지지프레임 연결장치(100)의 수직보강고정부(170)를 적용하였으나, 도 3 및 도 4를 참고로 설명한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벽체 구조물의 지지프레임 연결장치(200)의 수직보강고정부(270) 또는 도 5 및 도 6을 참고로 설명한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벽체 구조물의 지지프레임 연결장치(300)의 수직보강고정부(370)를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수평보강고정부(490)는 일 측이 수평결합플레이트(450)에 결합되고, 타 측은 수평결합플레이트(450)에 지지된 수평프레임(2)에 밀착되어 수평프레임(2)을 베이스플레이트(410)에 밀착되게 고정시키는 것으로서, 밀착지지부(491)와 잠금결합부(493)를 구비한다.
수평보강고정부(490)는 일정한 단면적을 갖는 와이어 또는 강선을 직사각의 링 형상으로 형성하고, 길이방향 양측 단부를 수평결합플레이트(450)에 각각 걸릴 수 있게 절곡하고, 중앙 부분을 수평프레임(2)을 감싸도록 절곡하여 형성할 수 있다.
밀착지지부(491)는 수평결합플레이트(450)에 지지된 수평프레임(2)의 전면 측에 밀착되게 배치될 수 있게 직선형으로 형성되고, 한 쌍이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고, 나란하게 형성된다.
잠금결합부(493)는 밀착지지부(491)의 상단 및 하단으로부터 각각 수평결합플레이트(450)를 향해 일정 길이 연장되고, 그 단부에는 수평결합플레이트(450)에 구비된 체결돌기에 걸릴 수 있게 절곡된 잠금훅(495)이 마련된다.
잠금결합부(493)는 수평보강고정부(490)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있으며, 어느 일 측의 잠금훅(495)을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하는 수평결합플레이트(450)의 체결돌기(451)에 걸리도록 결합시킨 상태에서 다른 타 측의 잠금훅(495)을 하부 또는 상부에 위치하는 수평결합플레이트(450)의 체결돌기(451)에 걸리도록 결합시켜 수평프레임(2)을 베이스플레이트(410) 측으로 밀착되게 가압할 수 있으며, 수평프레임(2)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수평보강고정부(490)의 양측 단부에 구비된 잠금훅(495)와 체결되는 체결돌기(451)는 수평결합플레이트(450)의 일부를 절개하고, 절개된 부분을 외측으로 젖히거나 구부려 수평결합플레이트(450)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한 것으로서, 잠금훅(495)이 수평결합플레이트(450)와 체결돌기 사이로 진입된 후에는 잠금훅(495)이 수평결합플레이트(450)와 체결돌기 사이에서 빠지지 않도록 베이스플레이트(410) 및 수직결합플레이트(430) 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한편, 도 9 및 도 10에는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벽체 구조물의 지지프레임 연결장치(500)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벽체 구조물의 지지프레임 연결장치(500)은 직교하도록 배치되는 수직프레임(1)과 수평프레임(2) 상호를 연결 및 고정시키는 것으로서, 베이스플레이트(510)와, 수직결합플레이트(530)와, 수평결합플레이트(550)와, 수직보강고정부(570)와, 수평보강고정부(590)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벽체 구조물의 지지프레임 연결장치(500)의 베이스플레이트(510)와, 수직결합플레이트(530)와, 수평결합플레이트(550)는 앞서 도 1 및 도 2를 참고로 설명한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벽체 구조물의 지지프레임 연결장치(100)의 베이스플레이트(110)와, 수직결합플레이트(130)와, 수평결합플레이트(150)와 동일한 것을 적용하였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벽체 구조물의 지지프레임 연결장치(500)의 수직보강고정부(570)는 도 1 및 도 2를 참고로 설명한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벽체 구조물의 지지프레임 연결장치(100)의 수직보강고정부(170)를 적용하였으나, 도 3 및 도 4를 참고로 설명한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벽체 구조물의 지지프레임 연결장치(200)의 수직보강고정부(270) 또는 도 5 및 도 6을 참고로 설명한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벽체 구조물의 지지프레임 연결장치(300)의 수직보강고정부(370)를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7 및 도 8의 수평보강고정부(490)는 링 형으로 형성된 와이어나 강선을 구부려 형성한 것을 적용하였으나, 본 실시 예에 따른 수평보강고정부(590)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 평판형으로 형성된 금속플레이트를 구부려 형성할 수도 있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수평보강고정부(590)는 밀착지지부(591)와, 잠금결합부(593)를 구비한다.
밀착지지부(591)는 평판형으로 형성되고, 수평프레임(2)의 전면 측에 밀착되게 형성된다.
잠금결합부(593)는 밀착지지부(591)의 상측 및 하측 가장자리로부터 각각 수평결합플레이트(550) 측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고, 그 단부에 수평결합플레이트(550)에 구비된 체결돌기(551)에 걸릴 수 있게 절곡된 잠금훅(595)이 마련된다.
잠금결합부(593)는 수평보강고정부(590)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있으며, 어느 일 측의 잠금훅(595)을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하는 수평결합플레이트(550)의 체결돌기(551)에 걸리도록 결합시킨 상태에서 다른 타 측의 잠금훅(595)을 하부 또는 상부에 위치하는 수평결합플레이트(550)의 체결돌기(551)에 걸리도록 결합시켜 수평프레임(2)을 베이스플레이트(510) 측으로 밀착되게 가압할 수 있으며, 수평프레임(2)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수평보강고정부(590)의 양측 단부에 구비된 잠금결합부(593)와 체결되는 체결돌기(551)는 수평결합플레이트(550)의 일부를 절개하고, 절개된 부분을 외측으로 젖히거나 구부려 수평결합플레이트(550)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한 것으로서, 잠금결합부(593)의 잠금훅(595)이 수평결합플레이트(550)와 체결돌기(551) 사이로 진입된 후에는 잠금훅(595)이 수평결합플레이트(550)와 체결돌기(551) 사이에서 빠지지 않도록 베이스플레이트(510) 및 수직결합플레이트(530) 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도 11 및 도 12에는 본 발명의 제6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벽체 구조물의 지지프레임 연결장치(600)이 도시되어 있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6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벽체 구조물의 지지프레임 연결장치(600)은 직교하도록 배치되는 수직프레임(1)과 수평프레임(2) 상호를 연결 및 고정시키는 것으로서, 베이스플레이트(610)와, 수직결합플레이트(630)와, 수평결합플레이트(650)와, 수직보강고정부(670)와, 수평보강고정부(690)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6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벽체 구조물의 지지프레임 연결장치(600)의 베이스플레이트(610)와, 수직결합플레이트(630)와, 수평결합플레이트(650)는 앞서 도 1 및 도 2를 참고로 설명한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벽체 구조물의 지지프레임 연결장치(100)의 베이스플레이트(110)와, 수직결합플레이트(130)와, 수평결합플레이트(150)와 동일한 것을 적용하였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6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벽체 구조물의 지지프레임 연결장치(600)의 수직보강고정부(670)는 도 1 및 도 2를 참고로 설명한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벽체 구조물의 지지프레임 연결장치(100)의 수직보강고정부(170)와 동일한 것을 적용하였으나, 도 3 및 도 4를 참고로 설명한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벽체 구조물의 지지프레임 연결장치(200)의 수직보강고정부(270) 또는 도 5 및 도 6을 참고로 설명한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벽체 구조물의 지지프레임 연결장치(300)의 수직보강고정부(370)를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수평보강고정부(690)는 일 측이 수평결합플레이트(650)에 결합되고, 타 측은 수평결합플레이트(650)에 지지된 수평프레임(2)에 밀착되어 수평프레임(2)을 베이스플레이트(610)에 밀착되게 고정시키는 것으로서, 밀착지지부(691)와, 잠금결합부(693)와, 회전결합부(696) 및 힌지부(697)를 구비한다.
밀착지지부(691)는 수평결합플레이트(650)에 지지된 수평프레임(2)의 전면 측에 밀착되게 배치된다.
잠금결합부(693)는 밀착지지부(691)의 상단으로부터 상측의 수평결합플레이트(650)를 향해 연장되고 단부에 상측의 수평결합플레이트(650)에 구비된 체결돌기(651)에 걸리도록 잠금훅(695)이 마련된다.
회전결합부(695)는 밀착지지부(691)의 하단으로부터 하측의 수평결합플레이트(650)를 향해 연장되고 단부 측이 힌지부(697)에 의해 하측의 수평결합플레이트(65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힌지부(697)는 일 측이 하측의 수평결합플레이트(650)에 고정되고, 타 측이 회전결합부(696)에 고정되어 수평결합플레이트(650)에 대해 회전결합부(696), 밀착지지부(691), 잠금결합부(693)를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상측의 수평결합플레이트(650)에는 잠금결합부(693)와 체결되는 체결돌기(651)가 형성되고, 하측의 수평결합플레이트(650)에는 힌지부(697)를 이용하여 회전결합부(695)를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기 위한 지지돌기(652)가 형성된다. 체결돌기(651) 및 지지돌기(652)는 각각 수평결합플레이트(650)의 일부를 절개하고, 절개된 부분을 외측으로 젖히거나 구부려 수평결합플레이트(650)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벽체 구조물의 지지프레임 연결장치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 수직프레임
2 : 수평프레임
110 : 베이스플레이트
130 : 수직결합플레이트
150 : 수평결합플레이트
170 : 수직보강고정부
490 : 수평보강고정부

Claims (6)

  1. 수직으로 배치되는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의 전면 측에 상기 수직프레임과 교차하도록 수평으로 배치되는 수평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수직프레임의 좌측면 및 우측면에 각각 대응되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수직프레임의 좌측면 및 우측면 일부를 감싸도록 각각 연장되는 수직결합플레이트와;
    상기 수평프레임의 상측면 및 하측면에 각각 대응되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하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수평프레임의 상측면 및 하측면 일부를 감싸도록 각각 연장되는 수평결합플레이트와;
    일 측이 상기 수직결합플레이트에 각각 결합되고, 타 측이 상기 수직프레임의 후면 측에 걸리도록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를 상기 수직프레임에 밀착시키는 수직보강고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수직보강고정부는
    상기 수직결합플레이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수직결합플레이트에 구비된 고정부재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로드와,
    상기 고정로드의 양측 단부로부터 상기 수직프레임의 후면 측을 향해 연장되고 단부에 상기 수직프레임의 후면 측에 걸리도록 절곡된 훅이 마련된 체결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벽체 구조물의 지지프레임 연결장치.
  2. 삭제
  3. 수직으로 배치되는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의 전면 측에 상기 수직프레임과 교차하도록 수평으로 배치되는 수평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수직프레임의 좌측면 및 우측면에 각각 대응되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수직프레임의 좌측면 및 우측면 일부를 감싸도록 각각 연장되는 수직결합플레이트와;
    상기 수평프레임의 상측면 및 하측면에 각각 대응되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하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수평프레임의 상측면 및 하측면 일부를 감싸도록 각각 연장되는 수평결합플레이트와;
    일 측이 상기 수직결합플레이트에 각각 결합되고, 타 측이 상기 수직프레임의 후면 측에 걸리도록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를 상기 수직프레임에 밀착시키는 수직보강고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수직보강고정부는
    상기 수직프레임의 전방 측에서 일 측 수직결합플레이트와 타 측 수직결합플레이트를 가로지르도록 배치되는 고정로드와,
    상기 고정로드의 양측 단부로부터 상기 수직프레임의 후면 측을 향해 연장되고 단부에 상기 수직프레임의 후면 측에 걸리도록 절곡된 훅이 마련된 체결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벽체 구조물의 지지프레임 연결장치.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일 측이 상기 수평결합플레이트에 결합되고 타 측은 상기 수평결합플레이트에 지지된 상기 수평프레임에 밀착되어 상기 수평프레임을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밀착시키는 수평보강고정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벽체 구조물의 지지프레임 연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보강고정부는
    상기 수평결합플레이트에 지지된 상기 수평프레임의 전면 측에 밀착되게 배치되는 밀착지지부와,
    상기 밀착지지부의 상단 및 하단으로부터 각각 상기 수평결합플레이트를 향해 연장되고, 단부에 상기 수평결합플레이트에 구비된 체결돌기에 걸리도록 잠금훅이 마련된 잠금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벽체 구조물의 지지프레임 연결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보강고정부는
    상기 수평결합플레이트에 지지된 상기 수평프레임의 전면 측에 밀착되게 배치되는 밀착지지부와,
    상기 밀착지지부의 상단으로부터 상측의 수평결합플레이트를 향해 연장되고 단부에 상측의 수평결합플레이트에 구비된 체결돌기에 걸리도록 잠금훅이 마련된 잠금결합부와,
    상기 밀착지지부의 하단으로부터 하측의 수평결합플레이트를 향해 연장되고 단부 측이 힌지부에 의해 하측의 수평결합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벽체 구조물의 지지프레임 연결장치.
KR1020190166013A 2019-12-12 2019-12-12 조립식 벽체 구조물의 지지프레임 연결장치 KR1023860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6013A KR102386070B1 (ko) 2019-12-12 2019-12-12 조립식 벽체 구조물의 지지프레임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6013A KR102386070B1 (ko) 2019-12-12 2019-12-12 조립식 벽체 구조물의 지지프레임 연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4882A KR20210074882A (ko) 2021-06-22
KR102386070B1 true KR102386070B1 (ko) 2022-04-13

Family

ID=76600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6013A KR102386070B1 (ko) 2019-12-12 2019-12-12 조립식 벽체 구조물의 지지프레임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607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6052A (ko) 2021-06-09 2022-12-16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절곡된 형태의 센싱 유닛을 포함하는 전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KR102611047B1 (ko) * 2023-07-17 2023-12-06 박종필 반도체 제조 설비용 케이스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0145B1 (ko) * 2014-12-12 2016-08-22 주식회사 조은데코 마감패널 고정구 및 이를 구비한 마감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3035U (ko) 2009-09-18 2011-03-24 (주) 에스에프 조립형 각 파이프 연결장치
KR20110104599A (ko) 2010-03-17 2011-09-23 (주)성우정공 건축 안전 시설물용 파이프 연결 장치
KR102055437B1 (ko) 2017-09-22 2020-01-23 주식회사 더큐브시스템 조립식 파이프 결합구조
KR102475808B1 (ko) 2017-12-29 2022-12-08 박종길 조립식 파이프 결합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0145B1 (ko) * 2014-12-12 2016-08-22 주식회사 조은데코 마감패널 고정구 및 이를 구비한 마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4882A (ko) 2021-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86070B1 (ko) 조립식 벽체 구조물의 지지프레임 연결장치
US7735787B2 (en) Mounting structure for fire protection systems
JP4271139B2 (ja) スロット排水管、スロット排水管を備える排水システム、スロット排水管を備える道路、スロット排水管を備える滑走路、排水システムを備える道路、排水システムを備える滑走路及びスロット排水管を構成する方法
US10745902B1 (en) Framing systems and brackets therefor
JP4939892B2 (ja) フェンス用継手
JP2019203325A (ja) フェンス連結部材
KR101455504B1 (ko) 조립식 격자지보의 결합구조
KR101849919B1 (ko) 방화문 보강 구조물
US11396747B1 (en) Framing systems and brackets therefor
CA2478727C (en) Embedded pipe hanger
US20220064932A1 (en) Hybrid foundation system
EP0882857B1 (en) Furring strips for fence and fence
JP2003090100A (ja) 天井吊ボルト連結金具
JPH0752263Y2 (ja) 無溶接タイプの野縁受け部材
JP3051332U (ja) 陳列棚
JP7237304B2 (ja) ブレース取付金具
KR20150007567A (ko) 비닐하우스 골조 체결용 브라켓
TWI834564B (zh) 模板固定構造及其具有固定支架的金屬模板
CN212802201U (zh) 一种用于吊顶安装的边角连接件及边角龙骨组件
KR100837786B1 (ko) 스페이서를 구비한 조립식 물탱크
JP5339832B2 (ja) ベタ基礎外周立上り部の型枠取付け金物
JP4279770B2 (ja) 空気調和機の吊下げ据付台
JPS591141Y2 (ja) 室内ユニットの壁掛装置
KR200437936Y1 (ko) 지주 체결부재
JP4544930B2 (ja) 空気調和機及び空気調和機の取付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