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5985B1 - 자원제어장치 및 셀 자원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자원제어장치 및 셀 자원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5985B1
KR102385985B1 KR1020200007453A KR20200007453A KR102385985B1 KR 102385985 B1 KR102385985 B1 KR 102385985B1 KR 1020200007453 A KR1020200007453 A KR 1020200007453A KR 20200007453 A KR20200007453 A KR 20200007453A KR 102385985 B1 KR102385985 B1 KR 1023859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
access
resource control
terminal
situ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74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93624A (ko
Inventor
이덕희
김동욱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074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5985B1/ko
Publication of KR202100936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36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59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59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16Central resource management; Negotiation of resources or communication parameters, e.g. negotiating bandwidth or QoS [Quality of Service]
    • H04W72/1257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35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resource usage polic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e.g. scheduled or random access
    • H04W74/002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 H04W74/004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in the uplink, i.e. towards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 H04W76/16Involving different core network technologies, e.g. a packet-switched [PS] bearer in combination with a circuit-switched [CS] bearer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이 cell에 접속하기 전 cell 간의 시그널링이 선행되는 특징의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로부터의 접속 시도(예: Random Access Preamble) 수신을 대기하기 위해 점유되던 무선자원(예: PRACH)을 동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자원 활용도를 향상시키는 방안(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Description

자원제어장치 및 셀 자원 제어 방법{RESOURCE CONTROL DEVICE AND RESOURCE CONTROL METHOD}
본 발명은, 단말 및 셀 간의 접속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말로부터의 접속 시도 수신을 대기하기 위해 점유되던 무선자원을 동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자원 활용도를 향상시키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현재, NR(New Radio, 5G) 규격만으로 서비스 상용화가 어려운 상황이며, 초기 NR 투자 비용 과다 및 NR 독자적인 상용 서비스 제공 불가를 고려하여, 많은 사업자들이 기존 상용화된 E-UTRA 기술과 NR 기술을 연동하는 EN-DC(E-UTRA NR Dual Connectivity) 방식을 사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EN-DC의 Architecture는, 기존 EPC(MME/S-GW)와 E-UTRA 기지국 달리 말하면 LTE 기지국(이하, eNB)/NR 기지국 달리 말하면 5G 기지국(이하, gNB)를 연동하는 방식으로서, 서로 다른 이기종의 4G(LTE) 및 5G 네트워크 간 상호 연동을 기반으로 통신서비스를 이용하는 Non-Standalone(NSA)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Non-Standalone 기술은, 4G(LTE)를 Primary 네트워크로 사용하여 Seamless한 Coverage를 확보하면서, 5G를 Secondary 네트워크로 사용하여 보다 대용량/저지연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식으로, 4G 및 5G 네트워크 간 상호 연동을 기반으로 통신 서비스를 이용하는 기술이다.
이에, 5G NSA 단말은, 네트워크 초기 접속 시, eNB의 LTE cell에 접속하여 Primary인 4G 네트워크에 접속하고 gNB의 NR cell에 접속(NR addition)하여 Secondary인 5G 네트워크에 접속함으로써, EN-DC 상태로 동작하게 된다.
이를 위해, 5G NSA 구조에서는, NR addition하는 단말의 접속 시도(예: Random Access Preamble) 수신을 위해 기 할당된 무선자원(예: PRACH, 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를, 항상 Pre-Occupied하여 점유하고 있다.
한편, 5G NSA 구조에서는, LTE cell에 접속해 있는 5G NSA 단말이 NR cell에 접속(NR addition)하는 과정에서 LTE cell 및 NR cell 간의 시그널링이 필수적으로 선행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5G NSA 구조에서 5G NSA 단말이 NR cell에 접속(NR addition)하기 전 LTE cell 및 NR cell 간의 시그널링이 선행되는 점에 기인하여, 5G NSA 단말이 언제 NR cell에 접속 시도할 것인지를 예측하고, 예측을 기반으로 항상 접속 시도(예: Random Access Preamble) 수신의 용도로만 점유되던 무선자원(예: PRACH)을 동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단말이 cell에 접속하기 전 cell 간의 시그널링이 선행되는 특징의 통신 시스템에서, cell 간의 시그널링 기반의 예측을 통해, 단말의 접속 시도(예: Random Access Preamble) 수신의 용도로만 점유되던 무선자원(예: PRACH)을 동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자원제어장치는, 제1셀에 접속된 단말이 제2셀로의 접속을 시도하는 상황을, 상기 상황이 발생하기 이전에 예측하는 예측부; 및 상기 상황의 발생이 예측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제2셀에서 단말로부터의 접속 시도 수신을 위해 할당한 특정 무선자원을 상기 접속 시도의 수신 외의 다른 용도로 사용하는 자원제어부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셀은, 상기 접속된 단말에 대한 접속 허용을 상기 제2셀로 요청하여 접속 허용을 응답받는 경우, 상기 단말에 상기 제2셀로의 접속을 시도하여 상기 제2셀과 접속 절차를 수행하도록 하며, 상기 예측부는, 상기 제2셀에서 상기 단말에 대한 접속 허용을 응답하는 경우, 상기 상황이 발생할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자원제어부는, 상기 상황의 발생이 예측되는 경우 상기 특정 무선자원을 상기 접속 시도 수신의 용도로 사용하며, 상기 상황의 발생이 예측된 후 기 정의된 타이머가 만료되거나 상기 특정 무선자원을 상기 접속 시도 수신의 용도로 사용하여 상기 단말 및 상기 제2셀 간의 접속 절차가 완료되면, 상기 특정 무선자원을 상기 다른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다른 용도에 기본 설정되며, 상기 상황의 발생이 예측되는 경우 상기 기본 설정에서 상기 접속 시도 수신의 용도로 변경 설정되는 식별자가 기 정의되며, 상기 자원제어부는, 상기 식별자에 따라, 상기 특정 무선자원을 상기 접속 시도의 수신 용도 또는 상기 다른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식별자는, 상기 접속 시도 수신의 용도로 설정된 상태에서 기 정의된 타이머가 만료되면 상기 기본 설정으로 변경 설정되며, 상기 타이머에는, 상기 제2셀의 PRACH(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구성정보로부터 확인되는 최대 PRACH 재전송 횟수 및 PRACH 전송 주기, 상기 접속 시도에 따른 접속 절차 상의 응답 수신 Window 길이, 상기 제2셀이 상기 단말에 대한 접속 허용을 응답하는 시점부터 상기 단말이 상기 제2셀로의 접속 시도를 수행하도록 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시점까지 소요되는 시간 중 적어도 하나가 반영된 만료 시간이 정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자원제어부는, 상기 다른 용도로서, 상기 특정 무선자원을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할당에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셀은, 상기 단말이 핸드오버하는 경우의 소스(Source) 셀, 또는 상기 단말이 추가 접속하는 경우의 기본(Primary) 셀이며, 상기 제2셀은, 상기 단말이 핸드오버하는 경우의 타겟(Target) 셀, 또는 상기 단말이 추가 접속하는 경우의 보조(Secondary) 셀일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자원제어장치에서 수행되는 자원 제어 방법은, 제1셀에 접속된 단말이 제2셀로의 접속을 시도하는 상황을, 상기 상황이 발생하기 이전에 예측하는 예측단계; 및 상기 상황의 발생이 예측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제2셀에서 단말로부터의 접속 시도 수신을 위해 할당한 특정 무선자원을 상기 접속 시도의 수신 외의 다른 용도로 사용하는 자원제어단계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셀은, 상기 접속된 단말에 대한 접속 허용을 상기 제2셀로 요청하여 접속 허용을 응답받는 경우, 상기 단말에 상기 제2셀로의 접속을 시도하여 상기 제2셀과 접속 절차를 수행하도록 하며, 상기 예측단계는, 상기 제2셀에서 상기 단말에 대한 접속 허용을 응답하는 경우, 상기 상황이 발생할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다른 용도에 기본 설정되며, 상기 상황의 발생이 예측되는 경우 상기 기본 설정에서 상기 접속 시도 수신의 용도로 변경 설정되는 식별자가 기 정의되며, 상기 자원제어단계는, 상기 식별자에 따라, 상기 특정 무선자원을 상기 접속 시도의 수신 용도 또는 상기 다른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식별자는, 상기 접속 시도 수신의 용도로 설정된 상태에서 기 정의된 타이머가 만료되면 상기 기본 설정으로 변경 설정되며, 상기 타이머에는, 상기 제2셀의 PRACH(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구성정보로부터 확인되는 최대 PRACH 재전송 횟수 및 PRACH 전송 주기, 상기 접속 시도에 따른 접속 절차 상의 응답 수신 Window 길이, 상기 제2셀이 상기 단말에 대한 접속 허용을 응답하는 시점부터 상기 단말이 상기 제2셀로의 접속 시도를 수행하도록 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시점까지 소요되는 시간 중 적어도 하나가 반영된 만료 시간이 정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셀은, 상기 단말이 핸드오버하는 경우의 소스(Source) 셀, 또는 상기 단말이 추가 접속하는 경우의 기본(Primary) 셀이며, 상기 제2셀은, 상기 단말이 핸드오버하는 경우의 타겟(Target) 셀, 또는 상기 단말이 추가 접속하는 경우의 보조(Secondary) 셀일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자원제어장치 및 자원 제어 방법에 의하면, 단말이 cell에 접속하기 전 cell 간의 시그널링이 선행되는 특징의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로부터의 접속 시도(예: Random Access Preamble) 수신을 대기하기 위해 점유되던 무선자원(예: PRACH)을 동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자원 활용도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도출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EN-DC(E-UTRA NR Dual Connectivity) 환경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원제어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5G NSA 구조에서 NR addition 과정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원 제어 방법을 보여주는 제어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E-UTRA 기술과 NR 기술을 연동하는 EN-DC(E-UTRA NR Dual Connectivity) 환경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EN-DC의 Architecture는, 기존 EPC(MME/S-GW)와 E-UTRA 기지국 달리 말하면 LTE 기지국(이하, eNB)/NR 기지국 달리 말하면 5G 기지국(이하, gNB)를 연동하는 방식으로서, 서로 다른 이기종의 4G(LTE) 및 5G 네트워크 간 상호 연동을 기반으로 통신서비스를 이용하는 Non-Standalone(NSA)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Non-Standalone(NSA) 기술은, 4G(LTE)를 Primary 네트워크로 사용하여 Seamless한 Coverage를 확보하면서, 5G를 Secondary 네트워크로 사용하여 보다 대용량/저지연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식으로, 4G 및 5G 네트워크 간 상호 연동을 기반으로 통신 서비스를 이용하는 기술이다.
이에, 5G NSA 단말은, 네트워크 초기 접속 시, eNB의 LTE cell에 접속하여 Primary인 4G 네트워크에 접속하고 gNB의 NR cell에 접속(NR addition)하여 Secondary인 5G 네트워크에 접속함으로써, EN-DC 상태로 동작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30)이eNB(10)의 LTE cell/gNB(20)의 NR cell에 접속하여 EN-DC 상태로 동작하는 상황을 가정하여 설명하겠다.
즉, 단말(30) 즉 5G NSA 단말은, 네트워크 초기 접속 시 eNB(10)의 LTE cell에 접속하여 Primary인 4G 네트워크에 접속하고, gNB(20)의 NR cell에 접속(NR addition)하여 Secondary인 5G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EN-DC 상태로 동작할 수 있다.
이를 위해, 5G NSA 구조에서 gNB(20)의 NR cell에서는, NR addition하는 단말(30)의 접속 시도(예: Random Access Preamble) 수신을 위해 기 할당된 무선자원(예: PRACH, 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를, 항상 Pre-Occupied하여 점유하고 있다.
한편, 5G NSA 구조에서는, eNB(10)의 LTE cell에 접속해 있는 단말(30)이 gNB(20)의 NR cell에 접속(NR addition)하는 과정에서 LTE cell(eNB(10)) 및 NR cell(gNB(20)) 간의 시그널링이 필수적으로 선행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5G NSA 구조에서 단말(30)이 NR cell에 접속(NR addition)하기 전 LTE cell(eNB(10)) 및 NR cell(gNB(20)) 간의 시그널링이 선행되는 점에 기인하여, 5G NSA 단말이 언제 NR cell에 접속 시도할 것인지를 예측하고자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예측을 기반으로, NR cell에서 항상 접속 시도(예: Random Access Preamble) 수신의 용도로만 점유되던 무선자원(예: PRACH)을 동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새로운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새로운 방안(이하, 자원 제어 방안)을, 이하에서 설명한 자원제어장치를 통해 실현하고자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원제어장치의 구성을 보여주고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원제어장치(100)는, 예측부(110), 자원제어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원제어장치(100)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자원 제어 방안을 실현하기 위해 정의되는 식별자 및 타이머(130)의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본 발명의 자원제어장치(100)는, LTE cell의 eNB(10) 및/또는 NR cell의 gNB(20)와의 통신 기능, 단말(UE(30))과의 통신 기능을 담당하는 통신부(140)의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부(140)는 예컨대, 안테나 시스템, RF 송수신기, 하나 이상의 증폭기, 튜너, 하나 이상의 발진기, 디지털 신호 처리기, 코덱(CODEC) 칩셋, 및 메모리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이 기능을 수행하는 공지의 회로는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자원제어장치(100)의 구성 전체 내지는 적어도 일부는 하드웨어 모듈 형태 또는 소프트웨어 모듈 형태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 모듈과 소프트웨어 모듈이 조합된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소프트웨어 모듈이란, 예컨대, 자원제어장치(100) 내에서 연산을 제어하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명령어로 이해될 수 있으며, 이러한 명령어는 자원제어장치(100) 내 메모리에 탑재된 형태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결국,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원제어장치(100)는 전술한 구성을 통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새로운 방식의 자원 제어 방안을 실현하며, 이하에서는 이를 실현하기 위한 자원제어장치(100) 내 각 구성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자원제어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EN-DC의 Architecture에서, eNB(10)에 구현될 수도 있고, gNB(20)에 구현될 수도 있으며, eNB(10) 및 gNB(20)와는 별개의 장비에 구현되어 eNB(10) 및/또는 gNB(20)와의 연동을 기반으로 본 발명의 자원 제어 방안을 실현할 수도 있다.
예측부(110)는, 제1셀에 접속된 단말이 제2셀로의 접속을 시도하는 상황을, 상기 상황이 발생하기 이전에 예측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은, 단말이 cell에 접속하기 전, 접속 중인 cell 및 접속하게 될 cell 간의 시그널링이 선행되는 특징의 통신 시스템에 적용하기 위한 것이다.
예컨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통신 시스템으로는, 도 1에 도시된 EN-DC 환경에서 LTE cell에 접속해 있는 5G NSA 단말이 NR cell에 접속(NR addition)하게 되는, 5G NSA 구조에서 NR addition의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이 5G NSA 구조에서 NR addition 즉 단말이 추가 접속하는 경우에 적용되는 경우, 본 발명의 자원제어장치(100)는, 5G NSA 단말이 접속하게 될 NR cell 측의 기지국 즉 gNB(20)에 구현되는 실시예가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이 5G NSA 구조에서 NR addition의 경우에 적용되는 경우, 제1셀은 단말(30)이 접속하고 있는 기본(Primary) 셀에 해당되며 구체적으로 LTE cell일 것이고, 제2셀은 단말(30)이 접속하게 될 보조(Secondary) 셀에 해당되며 구체적으로 NR cell일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또 다른 통신 시스템을 예를 들면, 4G(LTE) 또는 5G SA/NSA 구조에서 4G(LTE) 또는 5G SA/NSA 단말이 핸드오버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이 4G(LTE) 또는 5G SA/NSA 구조에서 단말이 핸드오버하는 경우에 적용되는 경우, 본 발명의 자원제어장치(100)는, 단말이 핸드오버를 통해 접속하게 될 cell(LTE 또는 NR) 측의 기지국(eNB 또는 gNB)에 구현되는 실시예가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이 4G(LTE) 또는 5G SA/NSA 구조에서 단말이 핸드오버하는 경우에 적용되는 경우, 제1셀은 단말이 접속하고 있는 소스(Source) 셀에 해당되며, 제2셀은 단말이 핸드오버를 통해 접속하게 될 접속하게 될 타겟(Target)셀에 해당될 것이다.
예를 들어, 도 1을 참조하여 5G NSA 구조에서 단말(30)이 NR cell 간 핸드오버하는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면, 제1셀은 단말(30) 접속하고 있는 소스(Source) 셀로서의 NR cell에 해당되며, 제2셀은 단말(30)이 핸드오버를 통해 접속하게 될 접속하게 될 타겟(Target) 셀로서의 NR cell에 해당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통신 시스템(또는 통신 구조) 중, 5G NSA 구조에서의 NR addition 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설명의 편의 상, 도 3에서는, gNB에서 단일 NR cell을 형성하는 것으로 가정하였으며, gNB에서 다수의 NR cell을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3을 참조하여 5G NSA 구조에서의 NR addition 과정을 간단히 설명하면, 단말(UE)은 네트워크 초기 접속 시, eNB의 LTE cell를 기본(Primary) 셀로 하여 접속하게 된다.
한편, 각 gNB(각 NR cell)는 자신이 형성하는 다수의 빔 별로, 빔 식별자를 포함한 특정 신호(예: SSB, CSI-RS 등)을 빔 포밍 기술을 기반으로 송신하는 TX Beam Sweeping을 수행한다.
도 3에서는, gNB(NR cell) 각각이, 자신이 형성하는 다수의 빔 별로 빔 식별자(예: SSB Index)를 포함한 SSB 신호(SSB #1,#2.. .#n)을 송신하는 TX Beam Sweeping을 수행하는 경우로 도시하고 있다.
한편, 단말(UE)은, LTE cell에 접속된 상태에서 5G 네트워크의 특정 신호(예: SSB, CSI-RS 등)를 수신 및 신호품질을 측정하며, 측정 결과(예: 신호 가장 세기가 센 NR cell의 PCI, SSB의 RSRP 정보 등)를 보고하는 보고 정보(MR: Measurement Report)를 LTE cell로 송신한다.
이때, 도 3에서는, 단말(UE)에서 주변 NR cell의 각 빔에 대하여 신호품질을 측정한 결과, 특정 NR cell(신호 가장 세기가 센 NR cell)의 SSB #i 신호가 송신된 특정 빔에 대해 측정한 신호품질이 가장 우수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단말(UE)의 보고 정보(MR)를 수신하는 LTE cell(eNB)는, 보고 정보를 근거로 해당 NR cell(gNB)와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MR을 보고한 단말(UE)에 대한 5G 네트워크로의 접속 가능 여부를 묻고 응답받는 시그널링(SgNB Addition Request, SgNB Addition Request Response)을 송수신하여, NR addition(또는, SgNB addition)을 준비할 수 있다.
이후, gNB가 단말(UE)에 대해 접속을 허용하는 응답(SgNB Addition Resposnse)을 하게 되면, 이를 수신한 eNB는 해당 단말(UE)에게 5G 네트워크의 NR cell(gNB)로 접속하도록 하는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Message를 전달한다.
한편, 각 gNB(각 NR cell)는 기 정의된 PRACH(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주기 단위로, RX Beam Sweeping을 수행하기 위해 지정되는 무선자원(PRACH)에서, 각 단말 별로 Random Access Preamble을 송신할 수 있는 자원(RO: RACH Occasion)를 할당해 둔다.
이에, 전술의 eNB로부터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Message를 수신한 단말(UE)은, 자신에 할당된 RO에서 자신이 가장 우수한 신호품질로 측정한 NR cell(gNB)의 특정 빔(예: SSB #i의 빔)을 통해 Random Access Preamble를 송신하여, 보조(Secondary) 셀로서의 NR cell(gNB)에 접속을 시도하는 랜덤액세스 절차(Random Access Procedure)를 개시 및 수행하게 된다.
한편, 각 gNB(각 NR cell)는, 빔 포밍 기술을 기반으로 단말(UE)로부터의 Random Access Preamble를 수신하기 위한 RX Beam Sweeping을 수행한다.
이때, gNB(NR cell)는, 단말의 접속 시도(예: Random Access Preamble) 수신을 위해 기 할당(지정)된 무선자원(PRACH)를, 언제 수신될지 모를 접속 시도(예: Random Access Preamble) 수신을 대기하고자 항상 Pre-Occupied하여 점유하고 있다.
도 3에서는, gNB(NR cell)는, 자신에 정의(할당)된 PRACH 구성을 기반으로, 빔 맵핑 룰에 따라 PRACH 슬롯 별로 슬롯 내 각 단위 자원에 다수의 빔을 할당하고, PRACH 슬롯(PRACH #1,#2,.. .#n) 단위로 RX Beam Sweeping을 수행하고 있다.
gNB(NR cell)는 PRACH 슬롯(PRACH #1,#2,.. .#n) 단위로 RX Beam Sweeping을 수행 중 단말(UE)의 PO와 매핑되는 PRACH 슬롯(예: PRACH #j)에서 Random Access Preamble을 수신하고, 이에 대한 Random Access Response를 회신하는 일련의 시그널링을 통해 랜덤액세스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이후, 단말(UE) 및 NR cell(gNB) 간의 랜덤액세스 절차가 정상적으로 종료되고, NR cell(gNB) 기반의 접속 절차가 모두 완료되면, 단말(UE)은 NR cell(gNB)을 통해서도 DL Data를 전송 받아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알 수 있듯이, 5G NSA 구조에서의 NR addition 과정 중에는, 단말(UE)이 NR cell에 접속(NR addition)하기 전, LTE cell(eNB) 및 NR cell(gNB) 간의 시그널링(예: SgNB Addition Request, SgNB Addition Request Response)이 필수적으로 선행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처럼 선행되는 시그널링에 기인하여, 단말(UE)이 언제 NR cell에 접속 시도할 것인지를 예측하고자 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 상, 5G NSA 구조에서의 NR addition 과정을 언급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겠다.
따라서, 이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자원제어장치(100)가 5G NSA 단말이 접속하게 될 NR cell(예: 20, gNB)에 구현되는 실시예로 해석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다시 설명하면, 예측부(110)는, 제1셀 즉 LTE cell(10)에 접속된 단말(30)이 제2셀 즉 NR cell(20)로의 접속을 시도하는 상황, 구체적으로 Random Access Preamble를 송신하는 상황을, 해당 상황이 발생하기 이전에 예측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앞서 도 3을 참조한 설명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LTE cell(10, eNB)은, 접속된 단말(30)에 대한 접속 허용을 NR cell(20, gNB)로 요청(SgNB Addition Request)하여 접속 허용을 응답(SgNB Addition Request Response)받는 경우, 단말(30)에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Message를 전달함으로써 단말(30)로 하여금 NR cell(20, gNB)로의 접속을 시도하고 NR cell(20, gNB)과 접속 절차 즉 랜덤액세스 절차(Random Access Procedure)를 수행하도록 한다.
이에, 일 실시예를 설명하면, 예측부(110)는, 제2셀 즉 NR cell(20, gNB)에서 단말(30)에 대한 접속 허용을 응답(SgNB Addition Request Response)하는 경우, 해당 상황(LTE cell(10)에 접속된 단말(30)이 NR cell(20)로 Random Access Preamble를 송신하는 상황)이 발생할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자원제어부(120)는, 예측부(110)에서 전술한 상황의 발생이 예측되는지 여부에 따라, 제2셀 즉 NR cell(20)에서 단말(30)로부터의 접속 시도(예: Random Access Preamble) 수신을 위해 할당한 특정 무선자원 즉 PRACH를 접속 시도(예: Random Access Preamble)의 수신 외 다른 용도로 사용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NR cell(20)에 할당(지정)된 무선자원(PRACH)을, 접속 시도(예: Random Access Preamble) 수신을 대기하고자 항상 Pre-Occupied하는 대신, 전술한 상황 예측에 따라 접속 시도(예: Random Access Preamble)의 수신 외 다른 용도로 동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자원제어부(120)는, 예측부(110)에서 전술한 상황의 발생이 예측되는 경우, 특정 무선자원 즉 PRACH를 Pre-Occupied하여 점유해 두고 기존처럼 접속 시도(예: Random Access Preamble)의 수신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자원제어부(120)는, 예측부(110)에서 전술한 상황의 발생이 비 예측되는 경우, 특정 무선자원 즉 PRACH를 접속 시도(예: Random Access Preamble)의 수신 용도가 아닌 다른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전술의 비 예측되는 경우란, 예측부(110)에서 전술한 상황의 발생이 예측된 후 기 정의된 타이머가 만료된 이후 시점을 의미할 수 있고, 또는 예측부(110)에서 전술한 상황의 발생이 예측됨에 따라 특정 무선자원 즉 PRACH를 접속 시도(예: Random Access Preamble)의 수신 용도로 사용하여 단말(30) 및 NR cell(20) 간의 접속 절차가 모두 완료된 이후 시점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자원제어부(120)는, 예측부(110)에서 전술한 상황의 발생이 예측된 후, 기 정의된 타이머가 만료되거나 특정 무선자원 즉 PRACH를 접속 시도(예: Random Access Preamble)의 수신 용도로 사용하여 단말(30) 및 NR cell(20) 간의 접속 절차가 완료되면, PRACH를 다른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전술의 다른 용도란, 업링크(UL)와 관련된 용도이면 어떤 기능을 위한 것이든 가능할 것이다.
일 예로는, 자원제어부(120)는, 예측부(110)에서 전술한 상황의 발생이 비 예측되는 경우, PRACH를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할당에 사용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본 발명에서는, NR cell(20)에 할당(지정)된 무선자원(PRACH)을, 접속 시도(예: Random Access Preamble) 수신을 대기하고자 항상 Pre-Occupied하는 대신, 전술한 상황 예측에 따라 접속 시도(예: Random Access Preamble)의 수신 용도 및 PUSCH 할당 용도 중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실현하기 위한 구체적일 일 실시예를 더 설명하겠다.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다른 용도(예: PUSCH)에 기본 설정되며, 전술한 상황의 발생이 예측되는 경우 기본 설정에서 접속 시도(예: Random Access Preamble) 수신의 용도로 변경 설정되는 식별자(예: 플래그_FLAG)가 기 정의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정의되는 식별자(예: 플래그_FLAG)는, 접속 시도(예: Random Access Preamble) 수신의 용도로 설정된 상태에서 기 정의된 타이머가 만료되면 다시 기본 설정(다른 용도, 예: PUSCH)으로 변경 설정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 타이머에는, 제2셀 즉 NR cell(20)의 PRACH 구성정보로부터 확인되는 최대 PRACH 재전송 횟수 및 PRACH 전송 주기, 접속 시도(예: Random Access Preamble)에 따른 접속 절차(예: 랜덤액세스 절차) 상의 응답 수신 Window 길이, 제2셀 즉 NR cell(20)이 단말(30)에 대한 접속 허용을 응답(SgNB Addition Request Response)하는 시점부터 단말(30)이 NR cell(20)로의 접속 시도(예: Random Access Preamble 송신)를 수행하도록 하는 메시지(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Message)를 수신하는 시점까지 소요되는 시간 중 적어도 하나가 반영된 만료 시간이 정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 타이머에는, 다음의 수학식 1에 따른 만료시간이 정의될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112020006460192-pat00001
여기서, preambleTransMax는 최대 PRACH 재전송 횟수를 의미하고, max(a, b)는 a와 b중 최대값을 return하는 함수이며, ra-ResponseWindow는 랜덤액세스 절차 상의 Msg2 (RAR, Random Access Response) 수신 Window 길이를 의미하며, C는 gNB가 SgNB Addition Request Response를 보낸 시점부터 UE가 5G Network 접속을 위한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Message를 수신하기까지 걸리는 시간을 반영하기 위한 Constant 수치를 의미한다.
이에, 자원제어부(120)는, 식별자 즉 플래그의 설정 상태에 따라, 특정 무선자원 즉 PRACH를 접속 시도(예: Random Access Preamble)의 수신 용도 또는 다른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즉, 식별자 즉 플래그의 기본 설정을 FALSE_다른 용도(예: PUSCH)로 하고, 전술한 상황의 발생이 예측되는 경우 플래그를 TRUE_RA 수신 용도로 변경 설정하는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
자원제어부(120)는, 플래그가 기본 설정 상태로서 FALSE인 경우, PRACH를 PUSCH 할당에 사용할 수 있다.
전술한 상황의 발생이 예측되는 경우 플래그가 TRUE로 변경 설정되고 타이머가 동작될 것이며, 자원제어부(120)는, 플래그가 TRUE로 변경된 시점부터 플래그에 따라 PRACH를 Pre-Occupied하여 점유해 두고 기존처럼 접속 시도(예: Random Access Preamble)의 수신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상황 발생을 예측하게 한 단말(30)의 접속 시도(예: Random Access Preamble)가 수신된 후 단말(30)에 대한 랜덤액세스 절차가 정상적으로 종료되면, 타이머는 리셋되고 플래그는 다시 기본 설정 상태로서 FALSE로 변경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전술과 같이 유의미한 파라미터들로 정의한 타이머의 만료시간이 경과되면, 플래그는 다시 기본 설정 상태로서 FALSE로 변경될 수 있다.
이에, 자원제어부(120)는, 플래그가 TRUE로 변경된 시점부터 플래그에 따라 PRACH를 Pre-Occupied하여 점유해 두고 기존처럼 접속 시도(예: Random Access Preamble)의 수신 용도로 사용하는 중, 단말(30)에 대한 랜덤액세스 절차가 정상적으로 종료되거나 타이머의 만료시간이 경과되면, 다시 기본 설정 상태로서 FALSE로 변경되는 플래그에 따라 PRACH를 PUSCH 할당에 사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5G NSA 구조에서 접속 시도(예: Random Access Preamble) 수신 대기를 위해 해당 UL 자원 즉 PRACH를 항상 Pre-Occupied하여 점유해 두고 전용으로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단말(UE)가 접속 할 것임을 미리 예측할 수 있는 점을 활용하여, 필요 시에만 UL 자원을 PRACH 자원으로 사용하고 그 외에는 PUSCH 자원으로 사용함으로써 UL Data 전율을 높일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전술의 자원 제어 방안은, 3GPP 규격 위반 없이, 현재 상용화 된 기지국(예: gNB)의 Scheduler Algorithm 변경 만으로 적용 할 수 있으므로, 그 효용이 크다 할 것이다.
아울러, 전술에서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통신 시스템으로서, 5G NSA 구조에서 NR addition의 경우를 대표적으로 언급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4G(LTE) 또는 5G SA/NSA 구조에서 4G(LTE) 또는 5G SA/NSA 단말이 핸드오버하는 경우에 적용되더라도 본 발명의 전술한 자원 제어 방안은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간단히 설명하면, 단말(UE)가 Source Cell로부터 Target Cell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경우, Source Cell은 Target Cell에게 Handover Request를 송신하고 Target Cell은 이에 대해 Handover Request Ack를 응답하면 Source Cell은 해당 단말(UE)에게 Handover 수행을 위한 RRC Reconfiguration Message를 전송한다.
이때, 본 발명의 자원제어장치(100)는, Target Cell이 Handover Request Ack를 응답하는 경우, 이 Target Cell에 접속 시도(예: Random Access Preamble)를 송신하는 상황이 발생할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자원제어장치(100)는, Target Cell에서 플래그가 기본 설정 상태로서 FALSE인 경우, PRACH를 PUSCH 할당에 사용할 수 있다.
전술한 상황의 발생이 예측되는 경우 플래그가 TRUE로 변경 설정되고 타이머가 동작될 것이며, 본 발명의 자원제어장치(100)는, Target Cell에서 플래그가 TRUE로 변경된 시점부터 플래그에 따라 PRACH를 Pre-Occupied하여 점유해 두고 기존처럼 접속 시도(예: Random Access Preamble)의 수신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상황 발생을 예측하게 한 단말(UE)의 접속 시도(예: Random Access Preamble)가 수신된 후 단말(UE)에 대한 랜덤액세스 절차가 정상적으로 종료되면, 타이머는 리셋되고 플래그는 다시 기본 설정 상태로서 FALSE로 변경될 수 있다.
한편, 전술과 같이 유의미한 파라미터들로 정의한 타이머의 만료시간이 경과되면, 플래그는 다시 기본 설정 상태로서 FALSE로 변경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자원제어장치(100)는, Target Cell에서 플래그가 TRUE로 변경된 시점부터 플래그에 따라 PRACH를 Pre-Occupied하여 점유해 두고 기존처럼 접속 시도(예: Random Access Preamble)의 수신 용도로 사용하는 중, 단말(UE)에 대한 랜덤액세스 절차가 정상적으로 종료되거나 타이머의 만료시간이 경과되면, 다시 기본 설정 상태로서 FALSE로 변경되는 플래그에 따라 PRACH를 PUSCH 할당에 사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단말이 cell에 접속하기 전 cell 간의 시그널링이 선행되는 특징의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로부터의 접속 시도(예: Random Access Preamble) 수신을 대기하기 위해 점유되던 무선자원(예: PRACH)을 동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자원 활용도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도출한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원 제어 방법을 설명하겠다.
이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자원 제어 방법(방안)을 수행하는 주체로서 자원제어장치(100)를 언급하겠으며, 이러한 자원제어장치(100)는 eNB(10)에 구현될 수도 있고, gNB(20)에 구현될 수도 있으며, eNB(10) 및 gNB(20)와는 별개의 장비에 구현되어 eNB(10) 및/또는 gNB(20)와의 연동을 기반으로 본 발명의 자원 제어 방안을 실현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자원 제어 방법(방안)은, 단말이 cell에 접속하기 전, 접속 중인 cell 및 접속하게 될 cell 간의 시그널링이 선행되는 특징의 통신 시스템에 적용하기 위한 것으로, 5G NSA 구조에서 NR addition의 경우, 4G(LTE) 또는 5G SA/NSA 구조에서 4G(LTE) 또는 5G SA/NSA 단말이 핸드오버하는 경우에 적용 가능하다.
다만, 도 4에서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일 실시예로서 5G NSA 구조에서 NR addition의 경우를 언급하여 설명하겠으며, 이 경우 자원제어장치(100)가 5G NSA 단말이 접속하게 될 NR cell(예: 20, gNB)에 구현되는 실시예로 해석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먼저, 본 발명에서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자원 제어 방법(방안)을 실현하기 위해 식별자(예: 플래그) 및 타이머를 기 정의할 수 있다(S10).
이때, 식별자(예: 플래그_FLAG)는, 접속 시도(예: Random Access Preamble) 수신의 용도가 아닌 다른 용도(예: PUSCH)에 기본 설정될 수 있고, 이때 플래그의 설정 상태를 FALSE_다른 용도(예: PUSCH)로 정의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자원 제어 방법에서 자원제어장치(100)는, 식별자 즉 플래그의 설정 상태에 따라 특정 무선자원 즉 PRACH를 사용하므로, 플래그가 기본 설정 상태로서 FALSE인 경우, PRACH를 PUSCH 할당에 사용할 수 있다(S20).
한편, 네트워크 초기 접속하는 5G NSA 단말 즉 단말(30)은, 제1셀 즉 eNB(10)의 LTE cell에 접속 및 동작하며, NR addition(또는, SgNB addition)을 위해 MR 보고 등을 수행한다(S30).
이에, 본 발명의 자원 제어 방법에서 자원제어장치(100)는, 제1셀 즉 LTE cell(10)에 접속된 단말(30)이 제2셀 즉 NR cell(20)로의 접속을 시도하는 상황, 구체적으로 Random Access Preamble를 송신하는 상황을, 해당 상황이 발생하기 이전에 예측하게 된다(S40).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앞서 도 3을 참조한 설명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LTE cell(10, eNB)은, 접속된 단말(30)에 대한 접속 허용을 NR cell(20, gNB)로 요청(SgNB Addition Request)하여 접속 허용을 응답(SgNB Addition Request Response)받는 경우, 단말(30)에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Message를 전달함으로써 단말(30)로 하여금 NR cell(20, gNB)로의 접속을 시도하고 NR cell(20, gNB)과 접속 절차 즉 랜덤액세스 절차(Random Access Procedure)를 수행하도록 한다.
이에, 본 발명의 자원 제어 방법에서 자원제어장치(100)는, 제2셀 즉 NR cell(20, gNB)에서 단말(30)에 대한 접속 허용을 응답(SgNB Addition Request Response)하는 경우, 해당 상황(LTE cell(10)에 접속된 단말(30)이 NR cell(20)로 Random Access Preamble를 송신하는 상황)이 발생할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S40 Yes).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상황의 발생이 예측되는 경우(S40 Yes), 식별자(예: 플래그_FLAG)는, 설정 상태가 기본 설정인 FALSE_다른 용도(예: PUSCH)에서 접속 시도(예: Random Access Preamble) 수신의 용도인 TRUE_RA 수신 용도로 변경되며, 타이머가 동작되기 시작한다(S50).
이에, 본 발명의 자원 제어 방법에서 자원제어장치(100)는, 식별자 즉 플래그의 설정 상태에 따라 특정 무선자원 즉 PRACH를 사용하므로, 플래그가 TRUE로 변경된 시점부터 플래그에 따라 PRACH를 Pre-Occupied하여 점유해 두고 기존처럼 접속 시도(예: Random Access Preamble)의 수신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S50).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상황 발생을 예측하게 한 단말(30)의 접속 시도(예: Random Access Preamble)가 수신된 후 단말(30)에 대한 랜덤액세스 절차가 정상적으로 종료되면(S60 Yes), 타이머는 리셋되고 플래그는 다시 기본 설정 상태로서 FALSE로 변경될 수 있다(S80).
한편, 본 발명에서는, 기 정의한 타이머의 만료시간이 경과되면(S70), 플래그는 다시 기본 설정 상태로서 FALSE로 변경될 수 있다(S80).
이때, 본 발명에서 타이머에는, 제2셀 즉 NR cell(20)의 PRACH 구성정보로부터 확인되는 최대 PRACH 재전송 횟수 및 PRACH 전송 주기, 접속 시도(예: Random Access Preamble)에 따른 접속 절차(예: 랜덤액세스 절차) 상의 응답 수신 Window 길이, 제2셀 즉 NR cell(20)이 단말(30)에 대한 접속 허용을 응답(SgNB Addition Request Response)하는 시점부터 단말(30)이 NR cell(20)로의 접속 시도(예: Random Access Preamble 송신)를 수행하도록 하는 메시지(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Message)를 수신하는 시점까지 소요되는 시간 중 적어도 하나가 반영된 만료 시간이 정의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자원 제어 방법에서 자원제어장치(100)는, 플래그가 TRUE로 변경된 시점부터 플래그에 따라 PRACH를 Pre-Occupied하여 점유해 두고 기존처럼 접속 시도(예: Random Access Preamble)의 수신 용도로 사용하는 중(S50), 단말(30)에 대한 랜덤액세스 절차가 정상적으로 종료되거나(S60 Yes) 타이머의 만료시간이 경과되면(S70 Yes), 다시 기본 설정 상태로서 FALSE로 변경되는 플래그에 따라 PRACH를 PUSCH 할당에 사용할 수 있다(S20).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자원 제어 방법에서 자원제어장치(100)는, 플래그의 설정 상태에 따라 PRACH를 동적으로 사용하는 동작을, 자원제어장치(100)가 구현된 기지국 즉 gNB(20)의 동작 종료시까지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자원 제어 방법에 따르면, 단말이 cell에 접속하기 전 cell 간의 시그널링이 선행되는 특징의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로부터의 접속 시도(예: Random Access Preamble) 수신을 대기하기 위해 점유되던 무선자원(예: PRACH)을 동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자원 활용도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도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원 제어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원제어장치 및 자원 제어 방법에 따르면, 단말이 cell에 접속하기 전 cell 간의 시그널링이 선행되는 특징의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로부터의 접속 시도(예: Random Access Preamble) 수신을 대기하기 위해 점유되던 무선자원(예: PRACH)을 동적으로 사용하는 기술을 실현한다는 점에서,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음에 따라 관련 기술에 대한 이용만이 아닌 적용되는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100 : 자원제어장치
110 : 예측부 120 : 자원제어부
130 : 식별자 및 타이머

Claims (10)

  1. 제1셀(Source or Primary Cell)에 접속된 단말이 제2셀(Target or Secondary Cell)로의 접속을 시도하는 상황을, 상기 상황이 발생하기 이전에 예측하는 예측부; 및
    상기 상황의 발생이 예측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제2셀에서 단말로부터의 접속 시도 수신을 위해 할당한 특정 무선자원을 상기 접속 시도 수신의 용도 또는 상기 접속 시도의 수신 외 다른 용도로 선택하여 사용하는 자원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특정 무선자원는,
    상기 상황의 발생이 예측되는 경우 상기 접속 시도 수신의 용도로 사용되며, 상기 상황의 발생이 예측된 후 상기 제2셀의 PRACH(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구성정보로부터 확인되는 최대 PRACH 재전송 횟수 및 PRACH 전송 주기, 상기 접속 시도에 따른 접속 절차 상의 응답 수신 Window 길이, 상기 제2셀이 상기 단말에 대한 접속 허용을 응답하는 시점부터 상기 단말이 상기 제2셀로의 접속 시도를 수행하도록 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시점까지 소요되는 시간 중 적어도 하나가 반영된 만료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다른 용도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원제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셀은, 상기 접속된 단말에 대한 접속 허용을 상기 제2셀로 요청하여 접속 허용을 응답받는 경우, 상기 단말에 상기 제2셀로의 접속을 시도하여 상기 제2셀과 접속 절차를 수행하도록 하며,
    상기 예측부는,
    상기 제2셀에서 상기 단말에 대한 접속 허용을 응답하는 경우, 상기 상황이 발생할 것으로 예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원제어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제어부는,
    상기 상황의 발생이 예측되는 경우 상기 특정 무선자원을 상기 접속 시도 수신의 용도로 사용하며,
    상기 상황의 발생이 예측된 후 기 정의된 타이머가 만료되거나 상기 특정 무선자원을 상기 접속 시도 수신의 용도로 사용하여 상기 단말 및 상기 제2셀 간의 접속 절차가 완료되면, 상기 특정 무선자원을 상기 다른 용도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원제어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용도에 기본 설정되며, 상기 상황의 발생이 예측되는 경우 상기 기본 설정에서 상기 접속 시도 수신의 용도로 변경 설정되는 식별자가 기 정의되며,
    상기 자원제어부는,
    상기 식별자에 따라, 상기 특정 무선자원을 상기 접속 시도의 수신 용도 또는 상기 다른 용도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원제어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자는, 상기 접속 시도 수신의 용도로 설정된 상태에서 기 정의된 타이머가 만료되면 상기 기본 설정으로 변경 설정되며,
    상기 타이머에는,
    상기 만료 시간이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원제어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제어부는,
    상기 다른 용도로서, 상기 특정 무선자원을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할당에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원제어장치.
  7. 자원제어장치에서 수행되는 자원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제1셀(Source or Primary Cell)에 접속된 단말이 제2셀(Target or Secondary Cell)로의 접속을 시도하는 상황을, 상기 상황이 발생하기 이전에 예측하는 예측단계; 및
    상기 상황의 발생이 예측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제2셀에서 단말로부터의 접속 시도 수신을 위해 할당한 특정 무선자원을 상기 접속 시도 수신의 용도 또는 상기 접속 시도의 수신 외 다른 용도로 선택하여 사용하는 자원제어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특정 무선자원는,
    상기 상황의 발생이 예측되는 경우 상기 접속 시도 수신의 용도로 사용되며, 상기 상황의 발생이 예측된 후 상기 제2셀의 PRACH(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구성정보로부터 확인되는 최대 PRACH 재전송 횟수 및 PRACH 전송 주기, 상기 접속 시도에 따른 접속 절차 상의 응답 수신 Window 길이, 상기 제2셀이 상기 단말에 대한 접속 허용을 응답하는 시점부터 상기 단말이 상기 제2셀로의 접속 시도를 수행하도록 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시점까지 소요되는 시간 중 적어도 하나가 반영된 만료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다른 용도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원 제어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셀은, 상기 접속된 단말에 대한 접속 허용을 상기 제2셀로 요청하여 접속 허용을 응답받는 경우, 상기 단말에 상기 제2셀로의 접속을 시도하여 상기 제2셀과 접속 절차를 수행하도록 하며,
    상기 예측단계는,
    상기 제2셀에서 상기 단말에 대한 접속 허용을 응답하는 경우, 상기 상황이 발생할 것으로 예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원 제어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용도에 기본 설정되며, 상기 상황의 발생이 예측되는 경우 상기 기본 설정에서 상기 접속 시도 수신의 용도로 변경 설정되는 식별자가 기 정의되며,
    상기 자원제어단계는,
    상기 식별자에 따라, 상기 특정 무선자원을 상기 접속 시도의 수신 용도 또는 상기 다른 용도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원 제어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자는, 상기 접속 시도 수신의 용도로 설정된 상태에서 기 정의된 타이머가 만료되면 상기 기본 설정으로 변경 설정되며,
    상기 타이머에는,
    상기 만료 시간이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원 제어 방법.
KR1020200007453A 2020-01-20 2020-01-20 자원제어장치 및 셀 자원 제어 방법 KR1023859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7453A KR102385985B1 (ko) 2020-01-20 2020-01-20 자원제어장치 및 셀 자원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7453A KR102385985B1 (ko) 2020-01-20 2020-01-20 자원제어장치 및 셀 자원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3624A KR20210093624A (ko) 2021-07-28
KR102385985B1 true KR102385985B1 (ko) 2022-04-12

Family

ID=77126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7453A KR102385985B1 (ko) 2020-01-20 2020-01-20 자원제어장치 및 셀 자원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598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33689A1 (en) * 2021-09-01 2023-03-0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s and network nodes for verifying cell relation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7693B1 (ko) * 2008-03-31 2014-09-03 엘지전자 주식회사 핸드오버 과정 수행방법
KR102141621B1 (ko) * 2013-11-05 2020-08-05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연결 재설정을 위한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3624A (ko) 2021-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624492B1 (en)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US11412429B2 (en) Method for measurement report event operation and network signaling in UE autonomous handover
KR20230023741A (ko) 빔 실패 결정 방법, 장치, 기기 및 저장 매체
KR101805288B1 (ko) 피코 bs로의 부분적인 오프로딩
RU2737868C1 (ru) Устройство беспроводной связи и способ передачи обслуживания в новом радио, основанной на управляемом сетью луче
US10420113B2 (en) Resource reconfiguration method, base station, and user equipment
JP5015254B2 (ja) ランダムアクセスチャネルに基づくハンドオフアクセス方法及びデバイス
RU2448439C2 (ru) Способ доступа к передаче мобильного терминала и устройство, основанное на канале случайного доступа
EP2891360B1 (en) Methods and nodes for fast handover using pre-allocation of resources in target nodes
EP4149199A1 (en) Random access method and equipment
KR20080086415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랜덤 액세스 프로시져를 처리하는방법 및 장치
MX2008014359A (es) Metodo y arreglo para la entrega o transferencia en una red de acceso por radio.
KR20180081548A (ko) 커버리지 확장을 위한 핸드오버
TW202021404A (zh) 使用者設備、網路節點及其在無線通信網路中處理兩步驟隨機存取程序的方法
JP2019522921A (ja) ビームベースのmm波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方法、ネットワークデバイス及び端末デバイス
KR20110060807A (ko) 매크로 기지국과 홈 기지국 간의 핸드오버를 위한 방법 및 장치
WO2018127079A1 (zh) 一种随机接入方法及其网元
CN114126075B (zh) 一种用于5g nr的调度请求处理方法及系统
EP2959738B1 (en) Sector individual control of access to a cell of a mobile network
US20230084028A1 (en) Beam failure recovery
US20240057127A1 (en) Pscch detection method and communication apparatus
KR102385985B1 (ko) 자원제어장치 및 셀 자원 제어 방법
WO2018024029A1 (zh) 一种进行随机接入的方法和设备
KR20230124693A (ko) 포지셔닝 설정 방법 및 전자 장치
KR102293435B1 (ko) 기지국장치 및 단말장치, 그 장치의 핸드오버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