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5602B1 - Non-Fungible Token(NFT) 플랫폼을 통해 소유권이 할당된 히스토리컬 타임 슬롯에 대응하는 히스토리컬 이벤트 정보를 시간-컨텍스트 기반으로 노출하도록 지원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서버 - Google Patents

Non-Fungible Token(NFT) 플랫폼을 통해 소유권이 할당된 히스토리컬 타임 슬롯에 대응하는 히스토리컬 이벤트 정보를 시간-컨텍스트 기반으로 노출하도록 지원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5602B1
KR102385602B1 KR1020210123558A KR20210123558A KR102385602B1 KR 102385602 B1 KR102385602 B1 KR 102385602B1 KR 1020210123558 A KR1020210123558 A KR 1020210123558A KR 20210123558 A KR20210123558 A KR 20210123558A KR 102385602 B1 KR102385602 B1 KR 1023856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ent information
specific
historical
information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35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계한
이이구
임재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메타보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메타보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메타보라
Priority to KR10202101235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56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56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56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7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video data
    • G06F16/73Querying
    • G06F16/732Query formulation
    • G06F16/7335Graphical querying, e.g. query-by-region, query-by-sketch, query-by-trajectory, GUIs for designating a person/face/object as a query predicat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7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video data
    • G06F16/7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06F16/783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metadata automatically derived from the cont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Non-Fungible Token(NFT) 플랫폼을 통해 소유권이 할당된 히스토리컬 타임 슬롯에 대응하는 히스토리컬 이벤트 정보를 시간-컨텍스트 기반으로 노출하도록 지원하기 위한 방법이 개시된다, 즉, a) 상기 히스토리컬 타임 슬롯들이 블록체인 네트워크와 연동하여 동작하는 NFT 플랫폼 서버를 통해 구매된 후, 이들의 구매자에 의해 입력된 상기 히스토리컬 이벤트 정보가 상기 히스토리컬 타임 슬롯들과 연동됨으로써 상기 히스토리컬 타임 슬롯에 대응하는 시점의 상기 히스토리컬 이벤트 정보를 UI를 통해 노출하기 위한 사전 프로세스가 완료된 상태에서, NFT 이벤트 정보 노출 관리 서버가, 특정 시각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히스토리컬 이벤트 정보 중 적어도 일부인, 상기 특정 시각 정보와 매칭되는 특정 이벤트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b) 상기 NFT 이벤트 정보 노출 관리 서버가, 상기 특정 이벤트 정보를, 이와 연동하여 동작하는 단말 장치의 제1 영역에 노출하도록 지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Non-Fungible Token(NFT) 플랫폼을 통해 소유권이 할당된 히스토리컬 타임 슬롯에 대응하는 히스토리컬 이벤트 정보를 시간-컨텍스트 기반으로 노출하도록 지원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서버{METHOD FOR DISPLAYING HISTORICAL EVENT INFORMATION ON THE BASIS OF TIME-CONTEXT CORRESPONDING TO HISTORICAL TIME SLOTS WHOSE OWNERSHIP HAVE BEEN ALLOTTED THROUGH NON-FUNGIBLE TOKEN PLATFORM, AND SERVE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Non-Fungible Token(NFT) 플랫폼을 통해 소유권이 할당된 히스토리컬 타임 슬롯에 대응하는 히스토리컬 이벤트 정보를 시간-컨텍스트 기반으로 노출하도록 지원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서버에 관한 것이다.
NFT란 Non-Fungible Token의 약자로, 이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기록된 디지털 정보라는 점에서 비트코인과 같은 암호화폐와 유사한 것인데, 'Non-Fungible', 즉 대체 불가능성이라는 특징이 NFT와 일반적인 암호화폐를 구분짓는 가장 큰 특징이다. 즉, 비트코인과 같은 일반적인 암호화폐의 경우, 같은 양이라면 얼마든지 서로 교환될 수 있는 것으로서, 개별 코인 객체들이 각자를 구별하는 특징을 가지지 않는다. 하지만, NFT는 개별 코인 객체별로 희소성과 고유성을 가지는 것으로서, 서로 간에 교환될 수 없는 것이다.
이러한 특성을 이용해, NFT는, 주로 예술 분야와 같은, 각 객체의 희소성과 고유성이 중요한 분야에서 거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용도로 많이 쓰이고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NFT의 사용은 여러 가지 단점을 가지고 있는데, 첫 번째는 원작자의 저작권을 보호할 수 없다는 것이다. 즉, 현재의 NFT 알고리즘에서는 원작자가 아닌 자가 허가를 받지 않고 NFT를 만들어 판매함으로써 부당한 수익을 얻는 것을 막을 방법이 없다는 문제가 있다. 두 번째로, NFT를 구매한다고 하여도 해당 저작물에 대한 소유권을 얻을 수는 없고, 단지 원본 증명을 얻을 뿐이므로, 이와 같은 불일치에 따른 법적인 문제의 소지가 다분하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NFT를 예술 작품 등의 거래 용도로만 사용하는 것보다는, 그 외의 다른 용도로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한 예로, 시간에 대한 NFT를 발행하여, 사용자 본인에게 의미 있는 시간에 대한 NFT를 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 신규 플랫폼을 구축하고자 하며, 이를 통하여 타 사용자들을 본 플랫폼으로 적극적으로 유입하기 위하여, 각 사용자가 구매한 NFT를 타인이 확인하고, 또 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 각 사용자의 타임 슬롯에 대한 자신의 역사적인 정보, 즉 히스토리컬 이벤트 정보를 노출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플랫폼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Non-Fungible Token(NFT) 플랫폼을 통해 소유권이 할당된 히스토리컬 타임 슬롯에 대응하는 히스토리컬 이벤트 정보를 시간-컨텍스트 기반으로 노출하도록 지원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서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단말 장치의 화면의 제1 영역에는 특정 시각 정보에 대한 NFT 에 대응되는 특정 이벤트 정보를 노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단말 장치의 화면을 2개의 영역으로 나누어, 제1 영역에는 특정 시각 정보에 대응하는 특정 이벤트 정보를 노출하고, 제2 영역에는 특정 시각 정보와 임계 범위 이내의 시간 범위에 매칭되는 인접 이벤트 정보를 노출하도록 지원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서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영역 확장 커맨드에 따라 제1 영역 및 제2 영역에 노출되는 정보의 양이 달라지도록 지원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서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고, 후술하는 본 발명의 특징적인 효과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은 하기와 같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Non-Fungible Token(NFT) 플랫폼을 통해 소유권이 할당된 히스토리컬 타임 슬롯에 대응하는 히스토리컬 이벤트 정보를 시간-컨텍스트 기반으로 노출하도록 지원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히스토리컬 타임 슬롯들이 블록체인 네트워크와 연동하여 동작하는 NFT 플랫폼 서버를 통해 구매된 후, 이들의 구매자에 의해 입력된 상기 히스토리컬 이벤트 정보가 상기 히스토리컬 타임 슬롯들과 연동됨으로써 상기 히스토리컬 타임 슬롯에 대응하는 시점의 상기 히스토리컬 이벤트 정보를 UI를 통해 노출하기 위한 사전 프로세스가 완료된 상태에서, NFT 이벤트 정보 노출 관리 서버가, 특정 시각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히스토리컬 이벤트 정보 중 적어도 일부인, 상기 특정 시각 정보와 매칭되는 특정 이벤트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b) 상기 NFT 이벤트 정보 노출 관리 서버가, 상기 특정 이벤트 정보를, 이와 연동하여 동작하는 단말 장치의 제1 영역에 노출하도록 지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일례로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NFT 이벤트 정보 노출 관리 서버가, 상기 특정 시각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특정 시각 정보와 임계 범위 이내의 시간 범위에 매칭되는, 상기 히스토리컬 이벤트 정보 중 적어도 일부인 적어도 하나의 인접 이벤트 정보를 추가적으로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b) 단계는, 상기 NFT 이벤트 정보 노출 관리 서버가, 상기 인접 이벤트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시간적 순서에 따라 상기 단말 장치의 제2 영역에 노출하도록 지원하되, 상기 제2 영역에 포함된 제2-1 영역에 상기 시간적 순서에 대응하는 시간축을 노출하고, 상기 제2 영역에 포함된 제2-2 영역에 상기 시간축에 대응되도록 상기 인접 이벤트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노출하도록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일례로서, (c) 사용자의 상기 제2-1 영역에 대한 입력에 의해 상기 시간축이 스크롤되었음이 감지되면, 상기 NFT 이벤트 정보 노출 관리 서버가, 상기 스크롤에 따른 상기 시간축 상의 상기 제2-1 영역에서의 노출 시간대의 변경과 함께 상기 변경된 시간대에 대응되는 변경된 인접 이벤트 정보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2 영역에 노출되도록 지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일례로서, (d) 상기 NFT 이벤트 정보 노출 관리 서버가, 상기 제2 영역에 포함된 제2-3 영역에 사용자가 날짜를 선택할 수 있도록 소정 달력 정보를 노출하고, 상기 사용자의 상기 제2-3 영역에 대한 입력에 의해 특정 날짜가 선택되었음이 감지되면, 상기 특정 날짜에 대응하는, 상기 히스토리컬 이벤트 정보 중 적어도 일부인 특정일 이벤트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제2-2 영역에 노출하되, 상기 특정일 이벤트 정보 중 (i) 상기 특정 날짜에 대해 중요도가 가장 높게 설정된 세부 이벤트 정보, (ii) 상기 특정 시각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특정 날짜의 특정 시점에 대한 세부 이벤트 정보 및 (iii) 상기 사용자의 관심도 정보를 참조하여 선택된 세부 이벤트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제1 영역에 노출하도록 지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일례로서, (e) 사용자에 의해 제1 영역 확장 커맨드가 입력되었음이 감지되면, 상기 NFT 이벤트 정보 노출 관리 서버가, 상기 제1 영역에 비해 확장된 상기 단말 장치의 제4 영역에 상기 특정 이벤트 정보를 노출하도록 지원하되, 상기 제4 영역의 사이즈 및 상기 제1 영역의 사이즈의 차이 정보를 참조로 하여, 상기 특정 이벤트 정보에 대해 추가적으로 노출될 정보를 결정하고 노출하도록 지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일례로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NFT 이벤트 정보 노출 관리 서버가, 상기 특정 시각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특정 시각 정보와 임계 범위 이내의 시간 범위에 매칭되는, 상기 히스토리컬 이벤트 정보 중 적어도 일부인 적어도 하나의 인접 이벤트 정보를 추가적으로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b) 단계는, 상기 NFT 이벤트 정보 노출 관리 서버가, 상기 인접 이벤트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시간적 순서에 따라 상기 단말 장치의 제2 영역에 노출하도록 지원하되, 상기 제2 영역에 포함된 제2-1 영역에 상기 시간적 순서에 대응하는 시간축을 노출하고, 상기 제2 영역에 포함된 제2-2 영역에 상기 시간축에 대응되도록 상기 인접 이벤트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노출하도록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f) 상기 NFT 이벤트 정보 노출 관리 서버가, 사용자에 의해 제2 영역 확장 커맨드가 입력되었음이 감지되면, 상기 제2 영역에 비해 확장된 상기 단말 장치의 제5 영역에 상기 인접 이벤트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노출하도록 지원하되, 상기 제5 영역의 사이즈 및 상기 제2 영역의 사이즈의 차이 정보를 참조로 하여, 추가적으로 노출될 상기 인접 이벤트 정보의 개수 또는 상기 인접 이벤트 정보에 대해 추가적으로 노출될 정보를 결정하고 노출하도록 지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일례로서, 상기 (a) 단계 이전에, (a1) 상기 NFT 플랫폼 서버가, 소정 시간 범위별로 설정된 히스토리컬 타임 슬롯들 중 적어도 일부인 특정 히스토리컬 타임 슬롯을 구매하고자 하는 특정 사용자의 의사표시가 획득되면, 상기 특정 히스토리컬 타임 슬롯에 대응하는 특정 토큰에 대한 발행 조건이 만족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a2) 상기 NFT 플랫폼 서버가, 상기 발행 조건이 만족된 경우, 상기 특정 토큰의 발행이 유효함을 나타내는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블록체인을 업데이트함으로써 상기 특정 히스토리컬 타임 슬롯에 대응하는 상기 특정 토큰을 발행하는 단계; 및 (a3) 상기 NFT 플랫폼 서버가, 상기 특정 사용자로부터 획득된, 상기 특정 히스토리컬 타임 슬롯에 대응하는 상기 특정 사용자의 특정 히스토리컬 이벤트 정보를 참조하여, (i) 이와 연동하여 동작하는 토큰 메타데이터 DB에 포함된 상기 특정 토큰에 대한 특정 메타데이터가 업데이트될 수 있도록 하는 프로세스 및 (ii) 이와 연동하여 동작하는 오브젝트 스토리지에 포함된, 상기 특정 히스토리컬 이벤트를 기념하기 위한 특정 히스토리컬 오브젝트가 업데이트될 수 있도록 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함으로써 상기 특정 히스토리컬 이벤트 정보를 상기 UI를 통해 노출하기 위한 상기 사전 프로세스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Non-Fungible Token(NFT) 플랫폼을 통해 소유권이 할당된 히스토리컬 타임 슬롯에 대응하는 히스토리컬 이벤트 정보를 시간-컨텍스트 기반으로 노출하도록 지원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히스토리컬 타임 슬롯들이 블록체인 네트워크와 연동하여 동작하는 NFT 플랫폼 서버를 통해 구매된 후, 이들의 구매자에 의해 입력된 상기 히스토리컬 이벤트 정보가 상기 히스토리컬 타임 슬롯들과 연동됨으로써 상기 히스토리컬 타임 슬롯에 대응하는 시점의 상기 히스토리컬 이벤트 정보를 UI를 통해 노출하기 위한 사전 프로세스가 완료된 상태에서, NFT 이벤트 정보 노출 관리 서버가, 키워드 카테고리를 참조하여, 상기 히스토리컬 이벤트 정보 중 적어도 일부인, 상기 키워드 카테고리들과 매칭되는 타임라인 이벤트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b) 상기 NFT 이벤트 정보 노출 관리 서버가, 상기 타임라인 이벤트 정보를, 이와 연동하여 동작하는 단말 장치의 제1 영역에 노출하도록 지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일례로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NFT 이벤트 정보 노출 관리 서버가, 상기 단말 장치의 제2 영역에 상기 키워드 카테고리를 노출하도록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일례로서, (c) 상기 NFT 이벤트 정보 노출 관리 서버가, 상기 사용자의 상기 제2 영역에 대한 입력에 따라 상기 키워드 카테고리 중 적어도 하나인 특정 키워드 카테고리가 선택되었음이 감지되면, 상기 단말 장치의 제3 영역에 상기 특정 키워드 카테고리에 대한 정보를 노출하고, 상기 단말 장치의 제4 영역에, 상기 특정 키워드 카테고리와 매칭되는, 상기 타임라인 이벤트 정보 중 적어도 일부인 특정 타임라인 이벤트 정보를 노출하도록 지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일례로서, (d) 상기 NFT 이벤트 정보 노출 관리 서버가, 상기 사용자의 상기 제1 영역에 대한 입력에 따라 상기 타임라인 이벤트 정보 중 하나인 대상 타임라인 이벤트 정보가 선택되었음이 감지되면, 상기 단말 장치의 제5 영역에 상기 대상 타임라인 이벤트 정보에 대한 상세 정보를 노출하도록 지원하되, 상기 제5 영역에 포함된 제5-1 영역에 상기 대상 타임라인 이벤트 정보를 노출하고, 상기 제5 영역에 포함된 제5-2 영역에 상기 대상 타임라인 이벤트 정보에 대한 ID 정보를 노출하며, 상기 제5 영역에 포함된 제5-3 영역에 상기 대상 타임라인 이벤트 정보에 대응하는 히스토리컬 타임 슬롯에 대한 구매 버튼을 노출하도록 지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일례로서, 상기 (a) 단계 이전에, (a1) 상기 NFT 플랫폼 서버가, 소정 시간 범위별로 설정된 히스토리컬 타임 슬롯들 중 적어도 일부인 특정 히스토리컬 타임 슬롯을 구매하고자 하는 특정 사용자의 의사표시가 획득되면, 상기 특정 히스토리컬 타임 슬롯에 대응하는 특정 토큰에 대한 발행 조건이 만족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a2) 상기 NFT 플랫폼 서버가, 상기 발행 조건이 만족된 경우, 상기 특정 토큰의 발행이 유효함을 나타내는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블록체인을 업데이트함으로써 상기 특정 히스토리컬 타임 슬롯에 대응하는 상기 특정 토큰을 발행하는 단계; 및 (a3) 상기 NFT 플랫폼 서버가, 상기 특정 사용자로부터 획득된, 상기 특정 히스토리컬 타임 슬롯에 대응하는 상기 특정 사용자의 특정 히스토리컬 이벤트 정보를 참조하여, (i) 이와 연동하여 동작하는 토큰 메타데이터 DB에 포함된 상기 특정 토큰에 대한 특정 메타데이터가 업데이트될 수 있도록 하는 프로세스 및 (ii) 이와 연동하여 동작하는 오브젝트 스토리지에 포함된, 상기 특정 히스토리컬 이벤트를 기념하기 위한 특정 히스토리컬 오브젝트가 업데이트될 수 있도록 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함으로써 상기 특정 히스토리컬 이벤트 정보를 상기 UI를 통해 노출하기 위한 상기 사전 프로세스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태양에 따르면, Non-Fungible Token(NFT) 플랫폼을 통해 소유권이 할당된 히스토리컬 타임 슬롯에 대응하는 히스토리컬 이벤트 정보를 시간-컨텍스트 기반으로 노출하도록 지원하기 위한 NFT 이벤트 정보 노출 관리 서버에 있어서,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 및 상기 인스트럭션들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I) 상기 히스토리컬 타임 슬롯들이 블록체인 네트워크와 연동하여 동작하는 NFT 플랫폼 서버를 통해 구매된 후, 이들의 구매자에 의해 입력된 상기 히스토리컬 이벤트 정보가 상기 히스토리컬 타임 슬롯들과 연동됨으로써 상기 히스토리컬 타임 슬롯에 대응하는 시점의 상기 히스토리컬 이벤트 정보를 UI를 통해 노출하기 위한 사전 프로세스가 완료된 상태에서, 특정 시각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히스토리컬 이벤트 정보 중 적어도 일부인, 상기 특정 시각 정보와 매칭되는 특정 이벤트 정보를 획득하는 프로세스; 및 (II) 상기 특정 이벤트 정보를, 이와 연동하여 동작하는 단말 장치의 제1 영역에 노출하도록 지원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하도록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가 개시된다.
일례로서, 상기 (I) 프로세스는,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특정 시각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특정 시각 정보와 임계 범위 이내의 시간 범위에 매칭되는, 상기 히스토리컬 이벤트 정보 중 적어도 일부인 적어도 하나의 인접 이벤트 정보를 추가적으로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II) 프로세스는,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인접 이벤트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시간적 순서에 따라 상기 단말 장치의 제2 영역에 노출하도록 지원하되, 상기 제2 영역에 포함된 제2-1 영역에 상기 시간적 순서에 대응하는 시간축을 노출하고, 상기 제2 영역에 포함된 제2-2 영역에 상기 시간축에 대응되도록 상기 인접 이벤트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노출하도록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가 개시된다.
일례로서, 상기 프로세서가, (III) 사용자의 상기 제2-1 영역에 대한 입력에 의해 상기 시간축이 스크롤되었음이 감지되면, 상기 NFT 이벤트 정보 노출 관리 서버가, 상기 스크롤에 따른 상기 시간축 상의 상기 제2-1 영역에서의 노출 시간대의 변경과 함께 상기 변경된 시간대에 대응되는 변경된 인접 이벤트 정보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2 영역에 노출되도록 지원하는 프로세스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가 개시된다.
일례로서, 상기 프로세서가, (IV) 상기 제2 영역에 포함된 제2-3 영역에 사용자가 날짜를 선택할 수 있도록 소정 달력 정보를 노출하고, 상기 사용자의 상기 제2-3 영역에 대한 입력에 의해 특정 날짜가 선택되었음이 감지되면, 상기 특정 날짜에 대응하는, 상기 히스토리컬 이벤트 정보 중 적어도 일부인 특정일 이벤트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제2-2 영역에 노출하되, 상기 특정일 이벤트 정보 중 (i) 상기 특정 날짜에 대해 중요도가 가장 높게 설정된 세부 이벤트 정보, (ii) 상기 특정 시각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특정 날짜의 특정 시점에 대한 세부 이벤트 정보 및 (iii) 상기 사용자의 관심도 정보를 참조하여 선택된 세부 이벤트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제1 영역에 노출하도록 지원하는 프로세스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가 개시된다.
일례로서, 상기 프로세서가, (V) 사용자에 의해 제1 영역 확장 커맨드가 입력되었음이 감지되면, 상기 제1 영역에 비해 확장된 상기 단말 장치의 제4 영역에 상기 특정 이벤트 정보를 노출하도록 지원하되, 상기 제4 영역의 사이즈 및 상기 제1 영역의 사이즈의 차이 정보를 참조로 하여, 상기 특정 이벤트 정보에 대해 추가적으로 노출될 정보를 결정하고 노출하도록 지원하는 프로세스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가 개시된다.
일례로서, 상기 (I) 프로세스는,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특정 시각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특정 시각 정보와 임계 범위 이내의 시간 범위에 매칭되는, 상기 히스토리컬 이벤트 정보 중 적어도 일부인 적어도 하나의 인접 이벤트 정보를 추가적으로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II) 프로세스는,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인접 이벤트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시간적 순서에 따라 상기 단말 장치의 제2 영역에 노출하도록 지원하되, 상기 제2 영역에 포함된 제2-1 영역에 상기 시간적 순서에 대응하는 시간축을 노출하고, 상기 제2 영역에 포함된 제2-2 영역에 상기 시간축에 대응되도록 상기 인접 이벤트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노출하도록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프로세서가, (VI) 사용자에 의해 제2 영역 확장 커맨드가 입력되었음이 감지되면, 상기 제2 영역에 비해 확장된 상기 단말 장치의 제5 영역에 상기 인접 이벤트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노출하도록 지원하되, 상기 제5 영역의 사이즈 및 상기 제2 영역의 사이즈의 차이 정보를 참조로 하여, 추가적으로 노출될 상기 인접 이벤트 정보의 개수 또는 상기 인접 이벤트 정보에 대해 추가적으로 노출될 정보를 결정하고 노출하도록 지원하는 프로세스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가 개시된다.
일례로서, 상기 (I) 프로세스 이전에, 상기 NFT 플랫폼 서버가, (I1) 소정 시간 범위별로 설정된 히스토리컬 타임 슬롯들 중 적어도 일부인 특정 히스토리컬 타임 슬롯을 구매하고자 하는 특정 사용자의 의사표시가 획득되면, 상기 특정 히스토리컬 타임 슬롯에 대응하는 특정 토큰에 대한 발행 조건이 만족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프로세스; (I2) 상기 발행 조건이 만족된 경우, 상기 특정 토큰의 발행이 유효함을 나타내는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블록체인을 업데이트함으로써 상기 특정 히스토리컬 타임 슬롯에 대응하는 상기 특정 토큰을 발행하는 프로세스; 및 (I3) 상기 특정 사용자로부터 획득된, 상기 특정 히스토리컬 타임 슬롯에 대응하는 상기 특정 사용자의 특정 히스토리컬 이벤트 정보를 참조하여, (i) 이와 연동하여 동작하는 토큰 메타데이터 DB에 포함된 상기 특정 토큰에 대한 특정 메타데이터가 업데이트될 수 있도록 하는 프로세스 및 (ii) 이와 연동하여 동작하는 오브젝트 스토리지에 포함된, 상기 특정 히스토리컬 이벤트를 기념하기 위한 특정 히스토리컬 오브젝트가 업데이트될 수 있도록 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함으로써 상기 특정 히스토리컬 이벤트 정보를 상기 UI를 통해 노출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포함하는 상기 사전 프로세스를 수행한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태양에 따르면, Non-Fungible Token(NFT) 플랫폼을 통해 소유권이 할당된 히스토리컬 타임 슬롯에 대응하는 히스토리컬 이벤트 정보를 시간-컨텍스트 기반으로 노출하도록 지원하기 위한 NFT 이벤트 정보 노출 관리 서버에 있어서,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 및 상기 인스트럭션들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I) 상기 히스토리컬 타임 슬롯들이 블록체인 네트워크와 연동하여 동작하는 NFT 플랫폼 서버를 통해 구매된 후, 이들의 구매자에 의해 입력된 상기 히스토리컬 이벤트 정보가 상기 히스토리컬 타임 슬롯들과 연동됨으로써 상기 히스토리컬 타임 슬롯에 대응하는 시점의 상기 히스토리컬 이벤트 정보를 UI를 통해 노출하기 위한 사전 프로세스가 완료된 상태에서, 키워드 카테고리를 참조하여, 상기 히스토리컬 이벤트 정보 중 적어도 일부인, 상기 키워드 카테고리들과 매칭되는 타임라인 이벤트 정보를 획득하는 프로세스; 및 (II) 상기 타임라인 이벤트 정보를, 이와 연동하여 동작하는 단말 장치의 제1 영역에 노출하도록 지원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하도록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가 개시된다.
일례로서, 상기 (II) 프로세스는,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단말 장치의 제2 영역에 상기 키워드 카테고리를 노출하도록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가 개시된다.
일례로서, 상기 프로세서가, (III) 상기 사용자의 상기 제2 영역에 대한 입력에 따라 상기 키워드 카테고리 중 적어도 하나인 특정 키워드 카테고리가 선택되었음이 감지되면, 상기 단말 장치의 제3 영역에 상기 특정 키워드 카테고리에 대한 정보를 노출하고, 상기 단말 장치의 제4 영역에, 상기 특정 키워드 카테고리와 매칭되는, 상기 타임라인 이벤트 정보 중 적어도 일부인 특정 타임라인 이벤트 정보를 노출하도록 지원하는 프로세스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가 개시된다.
일례로서, 상기 프로세서가, (IV) 상기 사용자의 상기 제1 영역에 대한 입력에 따라 상기 타임라인 이벤트 정보 중 하나인 대상 타임라인 이벤트 정보가 선택되었음이 감지되면, 상기 단말 장치의 제5 영역에 상기 대상 타임라인 이벤트 정보에 대한 상세 정보를 노출하도록 지원하되, 상기 제5 영역에 포함된 제5-1 영역에 상기 대상 타임라인 이벤트 정보를 노출하고, 상기 제5 영역에 포함된 제5-2 영역에 상기 대상 타임라인 이벤트 정보에 대한 ID 정보를 노출하며, 상기 제5 영역에 포함된 제5-3 영역에 상기 대상 타임라인 이벤트 정보에 대응하는 히스토리컬 타임 슬롯에 대한 구매 버튼을 노출하도록 지원하는 프로세스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가 개시된다.
일례로서, 상기 (I) 프로세스 이전에, 상기 NFT 플랫폼 서버가, (I1) 소정 시간 범위별로 설정된 히스토리컬 타임 슬롯들 중 적어도 일부인 특정 히스토리컬 타임 슬롯을 구매하고자 하는 특정 사용자의 의사표시가 획득되면, 상기 특정 히스토리컬 타임 슬롯에 대응하는 특정 토큰에 대한 발행 조건이 만족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프로세스; (I2) 상기 발행 조건이 만족된 경우, 상기 특정 토큰의 발행이 유효함을 나타내는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블록체인을 업데이트함으로써 상기 특정 히스토리컬 타임 슬롯에 대응하는 상기 특정 토큰을 발행하는 프로세스; 및 (I3) 상기 특정 사용자로부터 획득된, 상기 특정 히스토리컬 타임 슬롯에 대응하는 상기 특정 사용자의 특정 히스토리컬 이벤트 정보를 참조하여, (i) 이와 연동하여 동작하는 토큰 메타데이터 DB에 포함된 상기 특정 토큰에 대한 특정 메타데이터가 업데이트될 수 있도록 하는 프로세스 및 (ii) 이와 연동하여 동작하는 오브젝트 스토리지에 포함된, 상기 특정 히스토리컬 이벤트를 기념하기 위한 특정 히스토리컬 오브젝트가 업데이트될 수 있도록 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함으로써 상기 특정 히스토리컬 이벤트 정보를 상기 UI를 통해 노출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포함하는 상기 사전 프로세스를 수행한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가 개시된다.
본 발명은 Non-Fungible Token(NFT) 플랫폼을 통해 소유권이 할당된 히스토리컬 타임 슬롯에 대응하는 히스토리컬 이벤트 정보를 시간-컨텍스트 기반으로 노출하도록 지원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서버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말 장치의 화면의 제1 영역에는 특정 시각 정보에 대한 NFT 에 대응되는 특정 이벤트 정보를 노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말 장치의 화면을 2개의 영역으로 나누어, 제1 영역에는 특정 시각 정보에 대응하는 특정 이벤트 정보를 노출하고, 제2 영역에는 특정 시각 정보와 임계 범위 이내의 시간 범위에 매칭되는 인접 이벤트 정보를 노출하도록 지원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서버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영역 확장 커맨드에 따라 제1 영역 및 제2 영역에 노출되는 정보의 양이 달라지도록 지원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서버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on-Fungible Token(NFT) 플랫폼을 통해 소유권이 할당된 히스토리컬 타임 슬롯에 대응하는 히스토리컬 이벤트 정보를 시간-컨텍스트 기반으로 노출하도록 지원하기 위한 방법을 수행하는 NFT 이벤트 정보 노출 관리 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FT 플랫폼을 통해 소유권이 할당된 히스토리컬 타임 슬롯에 대응하는 히스토리컬 이벤트 정보를 시간-컨텍스트 기반으로 노출하도록 지원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FT 플랫폼을 통해 소유권이 할당된 히스토리컬 타임 슬롯에 대응하는 히스토리컬 이벤트 정보를 시간-컨텍스트 기반으로 노출하도록 지원하기 위한 방법에 따라 단말 장치 상에 히스토리컬 이벤트 정보가 노출된 일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NFT 플랫폼을 통해 소유권이 할당된 히스토리컬 타임 슬롯에 대응하는 히스토리컬 이벤트 정보를 시간-컨텍스트 기반으로 노출하도록 지원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NFT 플랫폼을 통해 소유권이 할당된 히스토리컬 타임 슬롯에 대응하는 히스토리컬 이벤트 정보를 시간-컨텍스트 기반으로 노출하도록 지원하기 위한 방법에 따라 단말 장치 상에 히스토리컬 이벤트 정보가 노출된 일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NFT 플랫폼을 통해 소유권이 할당된 히스토리컬 타임 슬롯에 대응하는 히스토리컬 이벤트 정보를 시간-컨텍스트 기반으로 노출하도록 지원하기 위한 방법에 따라, 다소 큰 단말 장치 상에 히스토리컬 이벤트 정보가 노출된 일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on-Fungible Token(NFT) 플랫폼을 통해 소유권이 할당된 히스토리컬 타임 슬롯에 대응하는 히스토리컬 이벤트 정보를 시간-컨텍스트 기반으로 노출하도록 지원하기 위한 방법을 수행하는 NFT 이벤트 정보 노출 관리 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NFT 이벤트 정보 노출 관리 서버(100)는 통신부(110) 및 프로세서(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NFT 이벤트 정보 노출 관리 서버(100)의 입출력 및 연산 과정은 각각 통신부(110) 및 프로세서(120)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도 1에서는 통신부(110) 및 프로세서(120)의 구체적인 연결 관계를 생략하였다. 또한, 메모리(115)는 후술할 여러 가지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한 상태일 수 있고, 프로세서(120)는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을 수행하도록 됨으로써 추후 설명할 프로세스들을 수행하여 본 발명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NFT 이벤트 정보 노출 관리 서버(100)가 묘사되었다고 하여, NFT 이벤트 정보 노출 관리 서버(100)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미디엄, 프로세서 및 메모리가 통합된 형태인 통합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경우를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은 NFT 이벤트 정보 노출 관리 서버(100)는, 소정 단말 장치(200)와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 장치(200)는, 후술할 히스토리컬 이벤트 정보가 노출되는 단말로, NFT 이벤트 정보 노출 관리 서버(100)와 통신할 수 있고,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탑재한 것일 수 있다. 일례로, 단말 장치(200)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 위 조건을 만족하는 어떠한 단말 장치라도 가능하다.
또한, NFT 이벤트 정보 노출 관리 서버(100)는, 소정 NFT 플랫폼 서버(300)와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다. NFT 플랫폼 서버(300) 역시 NFT 이벤트 정보 노출 관리 서버(100)와 유사하게 통신부,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NFT 플랫폼 서버(300)는, 블록체인 네트워크(400)와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다. 블록체인 네트워크(400)는 복수 개의 노드를 가지는 분산화된 네트워크일 수 있다. NFT 플랫폼 서버(300)는, 기본적으로 사용자가 블록체인 네트워크(400)의 노드들에 접근하는 것을 지원하기 위해 설정된 것일 수 있다. 따라서, NFT 플랫폼 서버(300)는 사용자에게 프론트엔드 코드를 송신하여 노드로의 접속을 중개하는 역할만을 수행할 수도 있고, 또는 사용자와 노드들을 직접 중간에서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을 것인데, 이와 같은 서로 다른 구현은 통상의 기술자가 상황에 따라 적절히 취사선택할 수 있는 사항이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본다.
나아가, 다른 실시예로서, NFT 이벤트 정보 노출 관리 서버(100)와 NFT 플랫폼 서버(300)의 역할을 단일 서버가 동시에 수행하는 실시예 역시 통상의 기술자가 본 발명에 대한 설명을 참고하여 용이하게 도출해 낼 수 있을 것임은 자명하므로, 이 역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본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과 같이 NFT 이벤트 정보 노출 관리 서버(100) 및 NFT 플랫폼 서버(300)가 별도의 서버로 구현된 경우를 가정하도록 한다.
이상 본 발명과 연관된 하드웨어적 요소에 대한 내용이 설명되었고,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FT 플랫폼을 통해 소유권이 할당된 히스토리컬 타임 슬롯에 대응하는 히스토리컬 이벤트 정보를 시간-컨텍스트 기반으로 노출하도록 지원하기 위한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도 2를 참조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FT 플랫폼을 통해 소유권이 할당된 히스토리컬 타임 슬롯에 대응하는 히스토리컬 이벤트 정보를 시간-컨텍스트 기반으로 노출하도록 지원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히스토리컬 타임 슬롯들이 블록체인 네트워크(400)와 연동하여 동작하는 NFT 플랫폼 서버(300)를 통해 구매된 후, 이들의 구매자에 의해 입력된 히스토리컬 이벤트 정보가 NFT 플랫폼 서버(300)에 의해 히스토리컬 타임 슬롯들과 연동됨으로써 히스토리컬 타임 슬롯에 대응하는 시점의 히스토리컬 이벤트 정보가 UI를 통해 노출되기 위한 사전 프로세스가 수행될 수 있다(S01). 이후, NFT 이벤트 정보 노출 관리 서버(100)가, 특정 시각 정보를 참조하여, 히스토리컬 이벤트 정보 중 적어도 일부인, 특정 시각 정보와 매칭되는 특정 이벤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음으로, NFT 이벤트 정보 노출 관리 서버(100)가, 특정 이벤트 정보를, 이와 연동하여 동작하는 단말 장치(200)의 제1 영역에 노출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하 이에 대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사전 프로세스의 경우, 본 발명의 주요한 내용은 아니나, 더욱 용이한 이해를 돕기 위해, 사전 프로세스에 대하여 먼저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사전 프로세스로서, NFT 플랫폼 서버(300)는, 사용자가 자신의 히스토리컬 이벤트 정보에 기반하여 히스토리컬 타임 슬롯들 중 하나를 구매할 수 있도록, 이들을 리스트업해 둘 수 있다. 여기서 히스토리컬 이벤트 정보란, 해당 시점을 기준으로 과거에 일어났던 기정적 이벤트에 대한 정보 및 기정적 이벤트에 따라 미래에 일어날 수 있는 예정적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는데, 기정적 이벤트 및 예정적 이벤트는 사용자의 주관적 선택에 따라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이에 따라, 히스토리컬 이벤트를 사용자가 기념하기 위해 선택할 수 있는 히스토리컬 타임 슬롯은, 사용자가 토큰의 발행을 시도하는 해당 시점 이전 및 이후를 모두 포함하는 시간 범위별로 설정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자신의 결혼기념일을 기념하고자 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히스토리컬 타임 슬롯은, 사용자가 해당 시점보다 과거인 결혼기념일에 대응하는 시간 범위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과거의 시간 범위가 리스트업된 상태일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사용자는, 자신의 결혼 10주년 기념일을 기념하고자 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히스토리컬 타임 슬롯은, 해당 시점보다 미래인 결혼 10주년 기념일에 대응하는 시간 범위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미래의 시간 범위가 리스트업된 상태일 수 있다는 것이다.
이와 같이 리스트업된 히스토리컬 타임 슬롯들 중 적어도 일부인 특정 히스토리컬 타임 슬롯을 구매하고자 하는 특정 사용자의 의사표시가 획득되면, NFT 플랫폼 서버(300)는, 특정 히스토리컬 타임 슬롯에 대응하는 특정 토큰에 대한 발행 조건이 만족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발행 조건은, 특정 히스토리컬 타임 슬롯에 대한 토큰이 기발행되지 않은 것이 맞는지 여부와, 특정 토큰에 대한 구매 대금이 지불되었는지 여부를 포함할 수 있고, 여타 통상의 기술자가 구현할 수 있는 일반적인 발행 조건이 포함될 수 있다.
이후, NFT 플랫폼 서버(300)는, 발행 조건이 만족된 경우, 블록체인 네트워크(400)에 포함된 노드들 중 적어도 일부에 상기 특정 토큰의 발행이 유효함을 나타내는 특정 트랜잭션을 발신할 수 있다. 일 예로, 특정 트랜잭션을 수신한 노드를 특정 노드로 가정하자. 특정 노드는, 특정 트랜잭션을 자신의 블록에 기록한 뒤, 이를 블록체인 네트워크(400)에 포함된 나머지 노드들에 전파함으로써 블록체인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을 위해, NFT 플랫폼 서버(300)에, 토큰과 관련된 스마트 컨트랙트 템플릿이 설정된 상태일 수 있다. 여기서 스마트 컨트랙트 템플릿은, (i) 공통정보로서 토큰명, 토큰심볼, 컨트랙트 메타데이터 연결정보 및 토큰 메타데이터 연결정보 중 적어도 일부 및 (ii) 개별정보로서 토큰ID, 토큰소유자 정보 및 토큰거래가능여부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공통정보에서, 토큰명은 히스토리컬 타임 슬롯에 대응하는 토큰의 이름을 의미하고, 토큰심볼은 해당 토큰의 심볼을 의미할 수 있다. 컨트랙트 메타데이터 연결정보는, 블록체인 네트워크(400)의 스마트 컨트랙트 메타데이터 데이터베이스와 연결되는 URL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토큰 메타데이터 연결정보는 토큰들의 메타데이터를 포함하는 토큰 메타데이터 데이터베이스와 연결되는 URL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개별정보에서 토큰ID는 개별 토큰 객체들의 식별번호를 의미할 수 있고, 토큰소유자 정보는 개별 토큰 객체들의 소유자 정보를 의미할 수 있으며, 토큰거래가능여부 정보는 개별 토큰 객체들의 거래 가능여부를 의미할 수 있다. NFT 플랫폼 서버(300)에 이와 같은 스마트 컨트랙트 템플릿이 설정됨으로써, NFT 플랫폼 서버(300)가 토큰의 발행을 용이하게 지원할 수 있다.
여기서, 토큰ID를 부여하기 위해, 소정 타임스탬프 함수를 사용할 수 있다. 즉, NFT 플랫폼 서버(300)가, 타임스탬프 함수를 사용하여, 특정 히스토리컬 타임 슬롯에 대응하는 특정 타임 그룹에 포함된 타임스탬프들에 동일한 특정 토큰ID를 부여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의 프로세스가 수행됨으로써 특정 히스토리컬 타임 슬롯에 대응하는 특정 토큰이 발행되면, NFT 플랫폼 서버(300)는 특정 사용자로부터 특정 히스토리컬 타임 슬롯에 대한 추가적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즉, NFT 플랫폼 서버(300)는, 특정 사용자로부터 상기 특정 히스토리컬 타임 슬롯에 대응하는 상기 특정 사용자의 특정 히스토리컬 이벤트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후, NFT 플랫폼 서버(300)는, 특정 히스토리컬 이벤트 정보를 참조하여, (i) 이와 연동하여 동작하는 토큰 메타데이터 DB에 포함된 특정 토큰에 대한 특정 메타데이터가 업데이트될 수 있도록 하는 프로세스 및 (ii) 이와 연동하여 동작하는 오브젝트 스토리지에 포함된, 특정 히스토리컬 이벤트를 기념하기 위한 특정 히스토리컬 오브젝트가 업데이트될 수 있도록 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특정 메타데이터는, 특정 히스토리컬 타임 슬롯이 특정 사용자에게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에 대한 정보 또는 특정 사용자가 특정 히스토리컬 타임 슬롯에 대해 기록하고 싶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정보는 블록체인 상에 탑재되기에는 다소 용량이 커 따로 토큰 메타데이터 DB에 저장하는 것이다. 또한, 특정 히스토리컬 오브젝트는, 특정 히스토리컬 타임 슬롯을 특정 사용자가 구매하는 이유인 특정 히스토리컬 이벤트를 기념하기 위한 소정 객체,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 등일 수 있다.
이에 대해 예를 들어 설명하면, 특정 사용자가 자신이 응원하는 아이돌 가수의 출생일에 대응하는 특정 히스토리컬 타임 슬롯을 구매했다고 가정하자(이 때 특정 히스토리컬 이벤트는 해당 가수의 출생일 것이다). 특정 사용자는, 해당 시간이 해당 아이돌 가수의 출생일에 대응한다는 정보 및 해당 아이돌 가수의 사진을 포함하는 특정 히스토리컬 정보를 NFT 플랫폼 서버(300)에 입력하고, NFT 플랫폼 서버(300)는 상기 출생일에 대한 정보 및 사진을 이용해 토큰 메타데이터 DB 및 오브젝트 스토리지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이 사용자들의 히스토리컬 타임 슬롯의 구매에 의해 이루어짐으로써, 사전 프로세스가 완료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히스토리컬 타임 슬롯이 처음 판매된 경우를 가정하였는데, 히스토리컬 타임 슬롯이 최초 판매된 후 그 소유권이 이전된 경우에도 유사한 프로세스가 진행될 수 있을 것이다. 즉, NFT 플랫폼 서버(300)가, 특정 히스토리컬 타임 슬롯을 구매하고자 하는 거래자로부터, 특정 히스토리컬 타임 슬롯을 구매하고자 하는 의사표시와 함께, 특정 히스토리컬 타임 슬롯에 대응하는 특정 사용자의 히스토리컬 이벤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후, NFT 플랫폼 서버(100)가, 특정 히스토리컬 이벤트 정보를 참조하여, (i) 이와 연동하여 동작하는 메타데이터 DB에 포함된 특정 토큰에 대한 특정 메타데이터가 업데이트될 수 있도록 하는 프로세스 및 (ii) 이와 연동하여 동작하는 오브젝트 스토리지에 포함된, 특정 히스토리컬 이벤트를 기념하기 위한 특정 히스토리컬 오브젝트가 업데이트될 수 있도록 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이하 사전 프로세스 이후의, 본격적인 본 발명의 히스토리컬 이벤트 정보 노출 지원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즉, NFT 이벤트 정보 노출 관리 서버(100)는, 특정 시각 정보(가령, 현재 시각 정보 또는 기설정된 조건에 따라 선택된 시각 정보)를 참조하여, 히스토리컬 이벤트 정보 중 적어도 일부인, 특정 시각 정보와 매칭되는 특정 이벤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즉, 특정 시각 정보에 대응하는 특정 히스토리컬 타임 슬롯을 찾고, 이와 연동된 특정 히스토리컬 이벤트 정보를 상기 특정 이벤트 정보로서 획득할 수 있다. 특정 시각 정보는, 다양한 알고리즘에 따라 획득될 수 있는 것인데, 일례로는, 전술한 S01 단계가 수행되는 해당 시점, 즉 사용자가 단말 장치(200)를 통해 NFT 이벤트 정보 노출 관리 서버(100)와 통신하는 시점에 대응할 수 있다.
이상의 과정을 통해 특정 이벤트 정보가 획득되면, NFT 이벤트 정보 노출 관리 서버(100)가, 특정 이벤트 정보를, 단말 장치(200)의 제1 영역에 노출할 수 있다. 제1 영역에 대하여는, 전술한 프로세스와 병렬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하기 프로세스에 대해 설명한 후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다른 예로서, 상기 제1 영역에의 노출 프로세스와 병렬적으로, 단말 장치(200)의 제2 영역으로의 노출 프로세스가 수행될 수도 있다. 즉, NFT 이벤트 정보 노출 관리 서버가, 특정 시각 정보를 참조하여, 특정 시각 정보와 임계 범위 이내의 시간 범위에 매칭되는, 히스토리컬 이벤트 정보 중 적어도 일부인 적어도 하나의 인접 이벤트 정보를 추가적으로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NFT 이벤트 정보 노출 관리 서버(300)가, 인접 이벤트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시간적 순서에 따라 단말 장치(200)의 제2 영역에 노출하도록 지원하되, 제2 영역에 포함된 제2-1 영역에 시간적 순서에 대응하는 시간축을 노출하고, 제2 영역에 포함된 제2-2 영역에 시간축에 대응되도록 인접 이벤트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노출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특정 시각 정보가, 전술한 사용자가 단말 장치(200)를 통해 NFT 이벤트 정보 노출 관리 서버(100)와 통신하는 시점에 대응할 경우, 인접 이벤트 정보는, 특정 시각 정보에 대응하는 시점을 포함하는 해당 날짜의 히스토리컬 이벤트 정보일 수 있다. 다른 예로, 해당 시점을 포함하는 주 또는 월에 대응하는 히스토리컬 이벤트 정보일 수도 있을 것이다. 이상의 제1 영역 및 제2 영역에 대한 노출 프로세스에 대해 설명하기 위해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도록 한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FT 플랫폼을 통해 소유권이 할당된 히스토리컬 타임 슬롯에 대응하는 히스토리컬 이벤트 정보를 시간-컨텍스트 기반으로 노출하도록 지원하기 위한 방법에 따라 단말 장치 상에 히스토리컬 이벤트 정보가 노출된 일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3a를 참조하면, 단말기(200)의 제1 영역(210)에 특정 이벤트 정보가, 제2 영역(220)에 인접 이벤트 정보가 노출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3a의 경우, 특정 시각 정보에 대응하는 히스토리컬 타임 슬롯을 광고사가 구매한 경우로서, 제1 영역(210)에 버킷리스트로 돈 모으기 서비스 광고가 노출된 경우이다. 제2 영역을 보면, 제2-1 영역(221)에 전술한 시간축이 노출되고, 제2-2 영역(222)에, 시간축에 대응되도록 인접 이벤트 정보 중 적어도 일부가 디스플레이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제2-3 영역(223)에 대하여도 이후 설명될 것이다. 또한, 시간축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영역(210)에까지 대응되도록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을 것이다. 가령, 도 3a 에서는 예시적으로 제1 영역(210)이 제일 상단에 있고 시간축이 대응되어 디스플레이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다른 예로서, 시간축이 화면 하단에서 상단까지 뻗어 있고, 현재 시각에 대응되는 제1 영역(210)이 다소 큰 사이즈로 중간 영역에 위치하고 이에 대응되는 현재 시각이 시간축 상의 소정의 포인트로서 하이라이팅되어 있으며, 제1 영역(210)의 상단에는 현재 시각보다 미래의 시각의 시간축과 이에 대응되어 NFT 로서 구매된 인접 이벤트 정보가 디스플레이되고 제1 영역(210)의 하단에는 현재 시각보다 과거의 시각의 시간축과 이에 대응되어 NFT 로서 구매된 인접 이벤트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이라 할 것이다.
제2-1 영역(221)을 통한 사용자와의 피드백 과정에 대해서도 설명하도록 한다. 즉, 사용자의 제2-1 영역(221)에 대한 입력에 의해 시간축이 스크롤되었음이 감지되면, NFT 이벤트 정보 노출 관리 서버(100)가, 스크롤에 따른 시간축 상의 제2-1 영역(221)에서의 노출 시간대의 변경과 함께 변경된 시간대에 대응되는 변경된 인접 이벤트 정보 중 적어도 일부가 제2-2 영역에 노출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즉, 도 3a의 상태에서는 오후 8시 40분 및 8시 15분에 대응하는 인접 이벤트 정보가 노출되고 있는데,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2-1 영역(221)을 아래로 스크롤하면, 더 이후에 대응하는 시간대가 노출되고, 이에 따른 다른 인접 이벤트 정보가 노출될 수 있다는 것이다.
제2-3 영역(223)에 대해 설명하면, NFT 이벤트 정보 노출 관리 서버(100)는, 제2-3 영역(223)에, 사용자가 날짜를 선택할 수 있도록 소정 달력 정보를 노출할 수 있다. 도 3a의 경우, 사용자가 8월 13일 날짜를 선택한 경우로, 사용자가 다른 특정 날짜를 선택하였음이 감지되면, NFT 이벤트 정보 노출 관리 서버(100)는, 특정 날짜에 대응하는, 히스토리컬 이벤트 정보 중 적어도 일부인 특정일 이벤트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제2-2 영역(222)에 노출할 수 있다. 특정일 이벤트 정보는, 히스토리컬 이벤트 정보 중 전술한 특정 날짜에 포함된 히스토리컬 타임 슬롯에 대응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이와 같이 제2-3 영역(223)에서 다른 날짜가 선택될 경우, 제1 영역(210)에 노출되는 정보가 변경될 수도 있다. 첫 번째 실시예로, 전술한 특정 시각 정보에 대응하는, 특정 날짜의 특정 시점에 대응하는 특정일 이벤트 정보의 적어도 일부인 세부 이벤트 정보가 노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시각 정보가 도 3c와 같이 20시 40분에 대응하고, 사용자가 새로이 선택한 특정 날짜가 8월 12일이라고 가정하면, NFT 이벤트 정보 노출 관리 서버(100)는, 8월 12일의 20시 40분에 대응하는, 또는 이와 가장 가까운 시간대에 대응하는 세부 이벤트 정보를 제1 영역(210)에 노출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특정 날짜에 대해 중요도가 가장 높게 설정된 세부 이벤트 정보가 제1 영역(210)에 노출될 수 있다. 이 경우, 중요도는 토큰이 거래된 가격에 비례할 수도 있고, 기설정된 카테고리별로 결정될 수도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전자의 예시에 따라 중요도가 결정되는 경우, 제1 영역(210)에는, 특정 날짜에 대해 판매된 토큰들 중 가장 비싼 가격에 팔린 토큰에 대응하는 히스토리컬 이벤트 정보가 세부 이벤트 정보로서 노출될 수 있을 것이고, 후자의 경우, 세계적인 이벤트로 분류되는 카테고리가 중요도가 높은 것으로 설정되어 있다면, 특정일 이벤트 정보 중, 해당 카테고리에 포함된 히스토리컬 이벤트 정보가 세부 이벤트 정보로서 노출될 수 있을 것이다.
또다른 실시예로, 사용자의 관심도 정보를 참조하여 선택된 세부 이벤트 정보가 제1 영역(210)에 노출될 수 있다. 관심도 정보 역시 여러 가지 방법에 따라 정의될 수 있는데, 일 예로, 사용자들의 조회 수를 관심도에 비례하는 것으로 보아, NFT 이벤트 정보 노출 관리 서버(100)는, 가장 조회수가 높은 특정일 이벤트 정보를 세부 이벤트 정보로서 제1 영역(210)에 노출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세 가지 실시예를 혼합하여, 위 세 가지 실시예에 따라 도출된 세부 이벤트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제1 영역(210)에 노출할 수 있다. 이들을 랜덤으로 노출하거나, 돌아가면서 노출하는 방식이 고려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영역(210) 및 제2 영역(220)은, 각각이 확대되어 노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a와 같은 화면에서, 사용자는 제1 영역(210)에서 제2 영역(220) 방향으로 드래그함으로써 제1 영역(210)을 확대할 수 있고, 그 반대 방향으로 드래그함으로써 제2 영역(220)을 확대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이와 같은 확대 방식은 예시일 뿐으로,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어떠한 방식도 사용될 수 있다. 제1 영역(210) 및 제2 영역(220)이 확대된 경우의 예시에 대해 설명하기 위해 도 3b 및 도 3c를 참조하도록 한다.
도 3b를 참조하면, 사용자에 의해 제1 영역 확장 커맨드가 입력되었음이 감지되면, NFT 이벤트 정보 노출 관리 서버(100)가, 제1 영역(210)에 비해 확장된 단말 장치(200)의 제4 영역(240)에 특정 이벤트 정보를 노출하도록 지원하되, 제4 영역(240)의 사이즈 및 제1 영역(210)의 사이즈의 차이 정보를 참조로 하여, 특정 이벤트 정보에 대해 추가적으로 노출될 정보를 결정하고 노출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도 3b에서 확인할 수 있듯, 특정 이벤트 정보가 도 3a에서의 그것에 비해 더 넓은 영역인 제4 영역(240)에 노출되었고, 이에 따라 사용자에게 더 많은 정보가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이러한 확장 커맨트 없이도 처음부터 제1 영역(210)의 전체 화면 사이즈를 통해 특정 이벤트 정보를 노출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3c 역시 참조하면, 사용자에 의해 제2 영역 확장 커맨드가 입력되었음이 감지되면, NFT 이벤트 정보 노출 관리 서버(100)가, 제2 영역(220)에 비해 확장된 단말 장치(200)의 제5 영역(250)에 인접 이벤트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노출하도록 지원하되, 제5 영역(250)의 사이즈 및 제2 영역(220)의 사이즈의 차이 정보를 참조로 하여, 추가적으로 노출될 인접 이벤트 정보의 개수 또는 인접 이벤트 정보에 대해 추가적으로 노출될 정보를 결정하고 노출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도 3c에서 확인할 수 있듯, 노출 영역이 넓어짐에 따라 더 많은 개수의 인접 이벤트 정보가 제공되고, 더 자세한 내용의 인접 이벤트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NFT 플랫폼을 통해 소유권이 할당된 히스토리컬 타임 슬롯에 대응하는 히스토리컬 이벤트 정보를 시간-컨텍스트 기반으로 노출하도록 지원하기 위한 방법의 일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하 다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양 실시예는 완전히 독립된 것은 아니고, 소정 알고리즘에 따라 서로 전환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 위해 도 4를 참조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NFT 플랫폼을 통해 소유권이 할당된 히스토리컬 타임 슬롯에 대응하는 히스토리컬 이벤트 정보를 시간-컨텍스트 기반으로 노출하도록 지원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히스토리컬 타임 슬롯들이 블록체인 네트워크(400)와 연동하여 동작하는 NFT 플랫폼 서버(300)를 통해 구매된 후, 이들의 구매자에 의해 입력된 히스토리컬 이벤트 정보가 NFT 플랫폼 서버(300)에 의해 히스토리컬 타임 슬롯들과 연동됨으로써 히스토리컬 타임 슬롯에 대응하는 시점의 히스토리컬 이벤트 정보가 UI를 통해 노출되기 위한 사전 프로세스가 수행될 수 있다(S04). 그리고, NFT 이벤트 정보 노출 관리 서버(100)가, 키워드 카테고리를 참조하여, 히스토리컬 이벤트 정보 중 적어도 일부인, 키워드 카테고리들과 매칭되는 타임라인 이벤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05). 이후, NFT 이벤트 정보 노출 관리 서버(100)가, 타임라인 이벤트 정보를, 이와 연동하여 동작하는 단말 장치(200)의 제1 영역에 노출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S06).
여기서 사전 프로세스는 전술한 실시예와 대동소이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사전 프로세스가 수행된 이후, NFT 이벤트 정보 노출 관리 서버(100)가 키워드 카테고리를 참조하여 타임라인 이벤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데, 키워드 카테고리는, 해당 사용자에 의해 개인화된 카테고리이거나, 전체 사용자 층에서 인기도에 따라 선택된 키워드별 카테고리일 수 있다. 일례로, 아이돌 가수 AA, 중견 가수 BB, XXX 게임즈 등의 키워드 카테고리가 존재할 수 있다. NFT 이벤트 정보 노출 관리 서버(100)는, 히스토리컬 이벤트 정보 중 키워드 카테고리에 매칭되는 것들을 뽑아 타임라인 이벤트 정보로서 획득할 수 있다. 이후의 NFT 이벤트 정보 노출 관리 서버(100)의 노출 지원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 위해 도 5를 참조하도록 한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NFT 플랫폼을 통해 소유권이 할당된 히스토리컬 타임 슬롯에 대응하는 히스토리컬 이벤트 정보를 시간-컨텍스트 기반으로 노출하도록 지원하기 위한 방법에 따라 단말 장치 상에 히스토리컬 이벤트 정보가 노출된 일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즉, 도 5a를 참조하면, NFT 이벤트 정보 노출 관리 서버(100)는, 단말 장치(200)의 제1 영역(260)에 타임라인 이벤트 정보를, 제2 영역(270)에 키워드 카테고리를 노출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제1 영역(260)에 노출된 타임라인 이벤트 정보는, 그 이름답게 타임라인에 따라 배열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보이그룹 AA의 드림 콘서트는 2021년도 칸에 배치되고, 해외 콘서트는 2019년 칸에 배치되어 보이그룹 AA에 대한 타임라인 이벤트 정보가 시계열적으로 노출된 것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통해, 전술한 실시예보다 조금 더 시계열적인 구성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사용자가 키워드 카테고리들 중 하나인 특정 키워드 카테고리에 대한 특정 타임라인 이벤트 정보만을 확인하고자 할 경우 사용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도 5b를 참조로 설명하도록 한다. 즉, 도 5b를 참조하면, NFT 이벤트 정보 노출 관리 서버(100)가, 사용자의 제2 영역(270)에 대한 입력에 따라 키워드 카테고리 중 적어도 하나인 특정 키워드 카테고리가 선택되었음이 감지되면, 단말 장치(200)의 제3 영역(280)에 특정 키워드 카테고리에 대한 정보를 노출하고, 단말 장치의 제4 영역(290)에, 특정 키워드 카테고리와 매칭되는, 타임라인 이벤트 정보 중 적어도 일부인 특정 타임라인 이벤트 정보를 노출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즉, 제3 영역(280)에 사용자가 어떠한 키워드 카테고리를 선택하였는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제4 영역(290)에, 사용자가 선택한 특정 키워드 카테고리에 대한 특정 타임라인 이벤트 정보만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카테고리 특화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사용자가 타임라인 이벤트 정보 중 어느 하나에 관심을 보여, 이에 대응하는 히스토리컬 타임 슬롯을 구매하고자 할 수 있다. 이를 위한 실시예로서, 도 5c를 참조하면, NFT 이벤트 정보 노출 관리 서버(100)가, 사용자의 제1 영역(260)에 대한 입력에 따라 타임라인 이벤트 정보 중 하나인 대상 타임라인 이벤트 정보가 선택되었음이 감지되면, 단말 장치(200)의 제5 영역(295)에 상기 대상 타임라인 이벤트 정보에 대한 상세 정보를 노출하도록 지원하되, 제5 영역(295)에 포함된 제5-1 영역(295-1)에 대상 타임라인 이벤트 정보를 노출하고, 제5 영역(295)에 포함된 제5-2 영역(295-2)에 대상 타임라인 이벤트 정보에 대한 ID 정보를 노출하며, 제5 영역(295)에 포함된 제5-3 영역(295-3)에 대상 타임라인 이벤트 정보에 대응하는 히스토리컬 타임 슬롯에 대한 구매 버튼을 노출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즉, 제5-1 영역(295-1)에는, 대상 타임라인 이벤트 정보, 즉 해당 히스토리컬 타임 슬롯에 대응하는 시각 정보 및 이에 대해 입력된 오브젝트 정보가 노출될 수 있다. 제5-2 영역(295-2)에는, 블록체인 네트워크(400)과 관련된 정보 및 대상 타임라인 이벤트 정보에 대응하는 토큰이 어떠한 의미를 가지고 있는지에 대한 정보가 노출될 수 있다. 제5-3 영역(295-3)에는, 사용자가 대상 타임라인 이벤트 정보에 대응하는 히스토리컬 타임 슬롯을 빠르게 구매(즉, 소유권 이전을 위한 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 버튼이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의 도면들은 주로 단말 장치(200)가 스마트폰 등 작은 장치인 것을 상정하고 제작되었는데, 단말 장치(200)가 PC와 같은 큰 화면을 가진 장치인 경우에도 본 방법의 노출 지원 방법이 사용될 수 있음을 설명하기 위해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도록 한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NFT 플랫폼을 통해 소유권이 할당된 히스토리컬 타임 슬롯에 대응하는 히스토리컬 이벤트 정보를 시간-컨텍스트 기반으로 노출하도록 지원하기 위한 방법에 따라, 다소 큰 단말 장치 상에 히스토리컬 이벤트 정보가 노출된 일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 및 6b를 참조하면, 이는 각각 도 5a 및 도 5b의 그것과 대응되는 것으로서, 도 5a 및 도 5b와 같은 화면을 PC에서 디스플레이하고자 할 경우 이와 같이 노출될 수 있을 것이며, 도 5a 및 도 5b와 대동소이하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계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24)

  1. Non-Fungible Token(NFT) 플랫폼을 통해 소유권이 할당된 히스토리컬 타임 슬롯에 대응하는 히스토리컬 이벤트 정보를 시간-컨텍스트 기반으로 노출하도록 지원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히스토리컬 타임 슬롯들이 블록체인 네트워크와 연동하여 동작하는 NFT 플랫폼 서버를 통해 구매된 후, 이들의 구매자에 의해 입력된 상기 히스토리컬 이벤트 정보가 상기 히스토리컬 타임 슬롯들과 연동됨으로써 상기 히스토리컬 타임 슬롯에 대응하는 시점의 상기 히스토리컬 이벤트 정보를 UI를 통해 노출하기 위한 사전 프로세스가 완료된 상태에서, NFT 이벤트 정보 노출 관리 서버가, 특정 시각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히스토리컬 이벤트 정보 중 적어도 일부인, 상기 특정 시각 정보와 매칭되는 특정 이벤트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b) 상기 NFT 이벤트 정보 노출 관리 서버가, 상기 특정 이벤트 정보를, 이와 연동하여 동작하는 단말 장치의 제1 영역에 노출하도록 지원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a) 단계는,
    상기 NFT 이벤트 정보 노출 관리 서버가, 상기 특정 시각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특정 시각 정보와 임계 범위 이내의 시간 범위에 매칭되는, 상기 히스토리컬 이벤트 정보 중 적어도 일부인 적어도 하나의 인접 이벤트 정보를 추가적으로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b) 단계는,
    상기 NFT 이벤트 정보 노출 관리 서버가, 상기 인접 이벤트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시간적 순서에 따라 상기 단말 장치의 제2 영역에 노출하도록 지원하되, 상기 제2 영역에 포함된 제2-1 영역에 상기 시간적 순서에 대응하는 시간축을 노출하고, 상기 제2 영역에 포함된 제2-2 영역에 상기 시간축에 대응되도록 상기 인접 이벤트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노출하도록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c) 사용자의 상기 제2-1 영역에 대한 입력에 의해 상기 시간축이 스크롤되었음이 감지되면, 상기 NFT 이벤트 정보 노출 관리 서버가, 상기 스크롤에 따른 상기 시간축 상의 상기 제2-1 영역에서의 노출 시간대의 변경과 함께 상기 변경된 시간대에 대응되는 변경된 인접 이벤트 정보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2 영역에 노출되도록 지원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d) 상기 NFT 이벤트 정보 노출 관리 서버가, 상기 제2 영역에 포함된 제2-3 영역에 사용자가 날짜를 선택할 수 있도록 소정 달력 정보를 노출하고, 상기 사용자의 상기 제2-3 영역에 대한 입력에 의해 특정 날짜가 선택되었음이 감지되면, 상기 특정 날짜에 대응하는, 상기 히스토리컬 이벤트 정보 중 적어도 일부인 특정일 이벤트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제2-2 영역에 노출하되, 상기 특정일 이벤트 정보 중 (i) 상기 특정 날짜에 대해 중요도가 가장 높게 설정된 세부 이벤트 정보, (ii) 상기 특정 시각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특정 날짜의 특정 시점에 대한 세부 이벤트 정보 및 (iii) 상기 사용자의 관심도 정보를 참조하여 선택된 세부 이벤트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제1 영역에 노출하도록 지원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e) 사용자에 의해 제1 영역 확장 커맨드가 입력되었음이 감지되면, 상기 NFT 이벤트 정보 노출 관리 서버가, 상기 제1 영역에 비해 확장된 상기 단말 장치의 제4 영역에 상기 특정 이벤트 정보를 노출하도록 지원하되, 상기 제4 영역의 사이즈 및 상기 제1 영역의 사이즈의 차이 정보를 참조로 하여, 상기 특정 이벤트 정보에 대해 추가적으로 노출될 정보를 결정하고 노출하도록 지원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NFT 이벤트 정보 노출 관리 서버가, 상기 특정 시각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특정 시각 정보와 임계 범위 이내의 시간 범위에 매칭되는, 상기 히스토리컬 이벤트 정보 중 적어도 일부인 적어도 하나의 인접 이벤트 정보를 추가적으로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b) 단계는,
    상기 NFT 이벤트 정보 노출 관리 서버가, 상기 인접 이벤트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시간적 순서에 따라 상기 단말 장치의 제2 영역에 노출하도록 지원하되, 상기 제2 영역에 포함된 제2-1 영역에 상기 시간적 순서에 대응하는 시간축을 노출하고, 상기 제2 영역에 포함된 제2-2 영역에 상기 시간축에 대응되도록 상기 인접 이벤트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노출하도록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f) 상기 NFT 이벤트 정보 노출 관리 서버가, 사용자에 의해 제2 영역 확장 커맨드가 입력되었음이 감지되면, 상기 제2 영역에 비해 확장된 상기 단말 장치의 제5 영역에 상기 인접 이벤트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노출하도록 지원하되, 상기 제5 영역의 사이즈 및 상기 제2 영역의 사이즈의 차이 정보를 참조로 하여, 추가적으로 노출될 상기 인접 이벤트 정보의 개수 또는 상기 인접 이벤트 정보에 대해 추가적으로 노출될 정보를 결정하고 노출하도록 지원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 이전에,
    (a1) 상기 NFT 플랫폼 서버가, 소정 시간 범위별로 설정된 히스토리컬 타임 슬롯들 중 적어도 일부인 특정 히스토리컬 타임 슬롯을 구매하고자 하는 특정 사용자의 의사표시가 획득되면, 상기 특정 히스토리컬 타임 슬롯에 대응하는 특정 토큰에 대한 발행 조건이 만족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a2) 상기 NFT 플랫폼 서버가, 상기 발행 조건이 만족된 경우, 상기 특정 토큰의 발행이 유효함을 나타내는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블록체인을 업데이트함으로써 상기 특정 히스토리컬 타임 슬롯에 대응하는 상기 특정 토큰을 발행하는 단계; 및
    (a3) 상기 NFT 플랫폼 서버가, 상기 특정 사용자로부터 획득된, 상기 특정 히스토리컬 타임 슬롯에 대응하는 상기 특정 사용자의 특정 히스토리컬 이벤트 정보를 참조하여, (i) 이와 연동하여 동작하는 토큰 메타데이터 DB에 포함된 상기 특정 토큰에 대한 특정 메타데이터가 업데이트될 수 있도록 하는 프로세스 및 (ii) 이와 연동하여 동작하는 오브젝트 스토리지에 포함된, 상기 특정 히스토리컬 이벤트를 기념하기 위한 특정 히스토리컬 오브젝트가 업데이트될 수 있도록 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함으로써 상기 특정 히스토리컬 이벤트 정보를 상기 UI를 통해 노출하기 위한 상기 사전 프로세스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Non-Fungible Token(NFT) 플랫폼을 통해 소유권이 할당된 히스토리컬 타임 슬롯에 대응하는 히스토리컬 이벤트 정보를 시간-컨텍스트 기반으로 노출하도록 지원하기 위한 NFT 이벤트 정보 노출 관리 서버에 있어서,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 및
    상기 인스트럭션들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I) 상기 히스토리컬 타임 슬롯들이 블록체인 네트워크와 연동하여 동작하는 NFT 플랫폼 서버를 통해 구매된 후, 이들의 구매자에 의해 입력된 상기 히스토리컬 이벤트 정보가 상기 히스토리컬 타임 슬롯들과 연동됨으로써 상기 히스토리컬 타임 슬롯에 대응하는 시점의 상기 히스토리컬 이벤트 정보를 UI를 통해 노출하기 위한 사전 프로세스가 완료된 상태에서, 특정 시각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히스토리컬 이벤트 정보 중 적어도 일부인, 상기 특정 시각 정보와 매칭되는 특정 이벤트 정보를 획득하는 프로세스; 및 (II) 상기 특정 이벤트 정보를, 이와 연동하여 동작하는 단말 장치의 제1 영역에 노출하도록 지원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하도록 설정되되,
    상기 (I) 프로세스는,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특정 시각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특정 시각 정보와 임계 범위 이내의 시간 범위에 매칭되는, 상기 히스토리컬 이벤트 정보 중 적어도 일부인 적어도 하나의 인접 이벤트 정보를 추가적으로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II) 프로세스는,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인접 이벤트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시간적 순서에 따라 상기 단말 장치의 제2 영역에 노출하도록 지원하되, 상기 제2 영역에 포함된 제2-1 영역에 상기 시간적 순서에 대응하는 시간축을 노출하고, 상기 제2 영역에 포함된 제2-2 영역에 상기 시간축에 대응되도록 상기 인접 이벤트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노출하도록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14. 삭제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가,
    (III) 사용자의 상기 제2-1 영역에 대한 입력에 의해 상기 시간축이 스크롤되었음이 감지되면, 상기 NFT 이벤트 정보 노출 관리 서버가, 상기 스크롤에 따른 상기 시간축 상의 상기 제2-1 영역에서의 노출 시간대의 변경과 함께 상기 변경된 시간대에 대응되는 변경된 인접 이벤트 정보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2 영역에 노출되도록 지원하는 프로세스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가,
    (IV) 상기 제2 영역에 포함된 제2-3 영역에 사용자가 날짜를 선택할 수 있도록 소정 달력 정보를 노출하고, 상기 사용자의 상기 제2-3 영역에 대한 입력에 의해 특정 날짜가 선택되었음이 감지되면, 상기 특정 날짜에 대응하는, 상기 히스토리컬 이벤트 정보 중 적어도 일부인 특정일 이벤트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제2-2 영역에 노출하되, 상기 특정일 이벤트 정보 중 (i) 상기 특정 날짜에 대해 중요도가 가장 높게 설정된 세부 이벤트 정보, (ii) 상기 특정 시각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특정 날짜의 특정 시점에 대한 세부 이벤트 정보 및 (iii) 상기 사용자의 관심도 정보를 참조하여 선택된 세부 이벤트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제1 영역에 노출하도록 지원하는 프로세스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가,
    (V) 사용자에 의해 제1 영역 확장 커맨드가 입력되었음이 감지되면, 상기 제1 영역에 비해 확장된 상기 단말 장치의 제4 영역에 상기 특정 이벤트 정보를 노출하도록 지원하되, 상기 제4 영역의 사이즈 및 상기 제1 영역의 사이즈의 차이 정보를 참조로 하여, 상기 특정 이벤트 정보에 대해 추가적으로 노출될 정보를 결정하고 노출하도록 지원하는 프로세스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I) 프로세스는,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특정 시각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특정 시각 정보와 임계 범위 이내의 시간 범위에 매칭되는, 상기 히스토리컬 이벤트 정보 중 적어도 일부인 적어도 하나의 인접 이벤트 정보를 추가적으로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II) 프로세스는,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인접 이벤트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시간적 순서에 따라 상기 단말 장치의 제2 영역에 노출하도록 지원하되, 상기 제2 영역에 포함된 제2-1 영역에 상기 시간적 순서에 대응하는 시간축을 노출하고, 상기 제2 영역에 포함된 제2-2 영역에 상기 시간축에 대응되도록 상기 인접 이벤트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노출하도록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프로세서가,
    (VI) 사용자에 의해 제2 영역 확장 커맨드가 입력되었음이 감지되면, 상기 제2 영역에 비해 확장된 상기 단말 장치의 제5 영역에 상기 인접 이벤트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노출하도록 지원하되, 상기 제5 영역의 사이즈 및 상기 제2 영역의 사이즈의 차이 정보를 참조로 하여, 추가적으로 노출될 상기 인접 이벤트 정보의 개수 또는 상기 인접 이벤트 정보에 대해 추가적으로 노출될 정보를 결정하고 노출하도록 지원하는 프로세스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I) 프로세스 이전에,
    상기 NFT 플랫폼 서버가, (I1) 소정 시간 범위별로 설정된 히스토리컬 타임 슬롯들 중 적어도 일부인 특정 히스토리컬 타임 슬롯을 구매하고자 하는 특정 사용자의 의사표시가 획득되면, 상기 특정 히스토리컬 타임 슬롯에 대응하는 특정 토큰에 대한 발행 조건이 만족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프로세스; (I2) 상기 발행 조건이 만족된 경우, 상기 특정 토큰의 발행이 유효함을 나타내는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블록체인을 업데이트함으로써 상기 특정 히스토리컬 타임 슬롯에 대응하는 상기 특정 토큰을 발행하는 프로세스; 및 (I3) 상기 특정 사용자로부터 획득된, 상기 특정 히스토리컬 타임 슬롯에 대응하는 상기 특정 사용자의 특정 히스토리컬 이벤트 정보를 참조하여, (i) 이와 연동하여 동작하는 토큰 메타데이터 DB에 포함된 상기 특정 토큰에 대한 특정 메타데이터가 업데이트될 수 있도록 하는 프로세스 및 (ii) 이와 연동하여 동작하는 오브젝트 스토리지에 포함된, 상기 특정 히스토리컬 이벤트를 기념하기 위한 특정 히스토리컬 오브젝트가 업데이트될 수 있도록 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함으로써 상기 특정 히스토리컬 이벤트 정보를 상기 UI를 통해 노출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포함하는 상기 사전 프로세스를 수행한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KR1020210123558A 2021-09-15 2021-09-15 Non-Fungible Token(NFT) 플랫폼을 통해 소유권이 할당된 히스토리컬 타임 슬롯에 대응하는 히스토리컬 이벤트 정보를 시간-컨텍스트 기반으로 노출하도록 지원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서버 KR1023856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3558A KR102385602B1 (ko) 2021-09-15 2021-09-15 Non-Fungible Token(NFT) 플랫폼을 통해 소유권이 할당된 히스토리컬 타임 슬롯에 대응하는 히스토리컬 이벤트 정보를 시간-컨텍스트 기반으로 노출하도록 지원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3558A KR102385602B1 (ko) 2021-09-15 2021-09-15 Non-Fungible Token(NFT) 플랫폼을 통해 소유권이 할당된 히스토리컬 타임 슬롯에 대응하는 히스토리컬 이벤트 정보를 시간-컨텍스트 기반으로 노출하도록 지원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서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5602B1 true KR102385602B1 (ko) 2022-04-14

Family

ID=81211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3558A KR102385602B1 (ko) 2021-09-15 2021-09-15 Non-Fungible Token(NFT) 플랫폼을 통해 소유권이 할당된 히스토리컬 타임 슬롯에 대응하는 히스토리컬 이벤트 정보를 시간-컨텍스트 기반으로 노출하도록 지원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560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8298B1 (ko) 2022-05-03 2022-10-25 주식회사 이앤아이월드 Nft 기반의 전자책 유통 서비스를 지원하는 시스템
WO2023203862A1 (ja) * 2022-04-21 2023-10-26 徳久 小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2907A (ko) * 2017-03-08 2018-09-1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정보 표시 방법
KR20210101275A (ko) * 2018-12-07 2021-08-18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암호화로 보호된 디지털 자산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2907A (ko) * 2017-03-08 2018-09-1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정보 표시 방법
KR20210101275A (ko) * 2018-12-07 2021-08-18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암호화로 보호된 디지털 자산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03862A1 (ja) * 2022-04-21 2023-10-26 徳久 小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23203861A1 (ja) * 2022-04-21 2023-10-26 徳久 小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458298B1 (ko) 2022-05-03 2022-10-25 주식회사 이앤아이월드 Nft 기반의 전자책 유통 서비스를 지원하는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65689B1 (ko) 히스토리컬 타임 슬롯의 거래를 지원하기 위한 시간-컨텍스트 데이터 기반 NFT(Non-Fungible Token)의 발행 및 거래 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서버
US20190205893A1 (en) Method for providing a bulletin board for placing an image and method for providing electronic album service
KR102385602B1 (ko) Non-Fungible Token(NFT) 플랫폼을 통해 소유권이 할당된 히스토리컬 타임 슬롯에 대응하는 히스토리컬 이벤트 정보를 시간-컨텍스트 기반으로 노출하도록 지원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서버
US20050256784A1 (en) Electronic shop providing method, site search method, and bulletin board providing method
JPH10207945A (ja) 分散コンテンツ電子商取引システム及び方法
US20230041182A1 (en) Transaction Delegation Method, Transaction Delegation System,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JP2022013271A (ja) 非代替性トークン管理システム
US2023008867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blockchain network congestion-adaptive digital asset event handling
KR102013526B1 (ko) 예술품 대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US2022039857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transfers of digital assets
US2022037459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ynamically rendering content based on a template
JP6976293B2 (ja) クーポンを管理するための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200006766A (ko) 편집형 온라인 소호몰 구축 플랫폼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시스템
CN111833187A (zh) 一种基于流动性的一键式金融产品交易方法、装置和系统
US20220245656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delivering interactive data units
JP6399338B2 (ja) 販促情報提供サーバー装置、販促情報提供システム
US11587157B2 (en) Embedded payment tokens in digital media objects
US2022011432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digital layouts with feature-based formatting
US20210303525A1 (en) Server for ingesting and updating renderable data objects from a flat file server
US1189369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digital media based on object feature points
JP2019191631A (ja) 仮想通貨取引システム
US20240078537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usage-conditioned access control based on a blockchain wallet
US20240020914A1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2D Images of Viritual 3D Models According to Imaging Parameters Determining From 2D Images of Other Objects
US20230384906A1 (en) System and Method for Tandem Manipulation of 3D Objects in Electronic User Interfaces
US2023026024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aining and using a machine learning model for matching objec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