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5192B1 - 가맹점 기반의 택배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가맹점 기반의 택배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5192B1
KR102385192B1 KR1020190067924A KR20190067924A KR102385192B1 KR 102385192 B1 KR102385192 B1 KR 102385192B1 KR 1020190067924 A KR1020190067924 A KR 1020190067924A KR 20190067924 A KR20190067924 A KR 20190067924A KR 102385192 B1 KR102385192 B1 KR 1023851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enter
delivery
parcel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79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41558A (ko
Inventor
노영진
지현성
허치홍
전진혁
김지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에스네트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에스네트웍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에스네트웍스
Priority to KR10201900679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5192B1/ko
Publication of KR202001415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15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51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51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50/28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20Point-of-sale [POS] network syste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rket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맹점 기반의 택배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택배 이용을 위한 택배 접수정보와 택배물품의 점포 출고정보를 생성 및 전송하는 택배접수 단말, 택배물품의 점포 입고정보와 상기 택배 접수정보와 대응되는 고객 수취정보를 생성 및 전송하는 택배수취 단말, 택배물품의 센터 입고정보 및 센터 출고정보를 생성 및 전송하는 물류 서버 및 상기 택배접수 단말로부터 택배 접수정보와 점포 출고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택배수취 단말로부터 점포 입고정보와 고객 수취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물류 서버로부터 센터 입고정보 및 센터 출고정보를 수신하는 본부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맹점 기반의 택배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Franchise Based Courier Service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은 가맹점 기반의 택배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택배 서비스란 개인 또는 기업으로부터 소형 및 소량 화물의 수송을 의뢰 받아 화물의 접수로부터 포장, 수송 및 배달에 이르기까지 일체의 수송 서비스를 의미한다.
근래에 들어, 국내외 온라인 쇼핑몰, TV 홈쇼핑, 중고 물품 판매 사이트 등을 통한 상품거래가 활발해짐에 따라 판매되는 물품들의 배송을 위한 택배 서비스의 이용이 급증하고 있다.
또한, 배송된 물품을 반송하거나 개인 간의 물품 교환 등을 이유로 개인이 택배 서비스를 이용하는 빈도 역시 급증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택배 서비스는 물품의 배송을 담당하는 운송인이 물품을 수하인에게 전달하기 위하여 배송지를 방문하여야 하는데, 운송인이 배송지의 지리를 정확히 파악하지 못하여 시간이 소요되거나, 수하인이 부재 중이라 배송이 지연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특히, 1인 가구 및 맞벌이 가구가 증가함에 따라 운송인이 물품을 수하인에게 직접 전달하지 못하는 경우가 더욱 빈번히 발생하여 물품이 반송 처리되거나 대리 수취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근래에는 택배 물품의 수취 장소를 편의점 등과 같은 가맹점의 점포로 지정하여 간접 수령하는 택배서비스가 운용되고 있다.
이에 대한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28020호에 개시되어 있는 피오에스 시스템을 이용한 택배 시스템 및 그 방법이 있다.
상기 피오에스 시스템을 이용한 택배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복수 개의 피오에스 단말기(10)와 매장 관리 본사 서버(20) 및 택배사 서버(30)로 구성되며, 실질적인 택배물품의 배송은 택배사를 통하여 수행된다.
즉, 종래의 피오에스 시스템을 이용한 택배 시스템은 택배물품을 배송하기 위하여 택배사의 물류 인프라를 이용함으로써 실질적인 물류 배송 과정에 따른 비용 절감에 한계가 있다.
또한, 종래의 피오에스 시스템을 이용한 택배 시스템은 어느 한 점포에 택배물품의 입고가 집중되거나 매장 자체의 협소한 면적으로 인하여 택배물품 보관에 어려움을 겪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로 인하여 택배 서비스가 아닌 점포가 제공하는 본래의 서비스의 질이 저하되는 경우가 발생하므로 점주들이 택배 서비스 제공을 꺼리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또한, 종래의 피오에스 시스템을 이용한 택배 시스템은 택배물품이 배송 중인 경우에는 도착지 변경이 불가한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28020호(2006.03.29.)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가맹점의 기 구축된 물류 인프라를 통하여 직접 택배물품의 배송을 수행하여 고객의 비용 부담을 현저히 줄일 수 있는 가맹점 기반의 택배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택배물품 재고의 집중 또는 장소 제한 등으로 인한 택배물품 보관의 어려움을 겪는 상황이 발생하는 것을 완화 또는 방지할 수 있는 가맹점 기반의 택배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비교적 긴 배송 리드 타임에 따라 고객의 필요에 따라 택배물품의 실질적인 배송 중에도 도착지 변경이 가능한 가맹점 기반의 택배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맹점 기반의 택배 서비스 시스템은 가맹점의 기 구축된 물류 인프라를 통하여 택배물품을 배송함으로써 고객 부담 비용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에 따른 가맹점 기반의 택배 서비스 시스템은 택배 이용을 위한 택배 접수정보와 택배물품의 점포 출고정보를 생성 및 전송하는 택배접수 단말, 택배물품의 점포 입고정보와 상기 택배 접수정보와 대응되는 고객 수취정보를 생성 및 전송하는 택배수취 단말, 택배물품의 센터 입고정보 및 센터 출고정보를 생성 및 전송하는 물류 서버 및 상기 택배접수 단말로부터 택배 접수정보와 점포 출고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택배수취 단말로부터 점포 입고정보와 고객 수취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물류 서버로부터 센터 입고정보 및 센터 출고정보를 수신하는 본부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택배 접수정보는 발송 물품 정보, 발송인 정보, 수신인 정보, 출발지 정보, 도착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택배접수 단말은 POS(Point Of Sales) 단말기 또는 웹 상에 구현되어 택배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개인 또는 업체용 단말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택배수취 단말은 POS(Point Of Sales)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류 서버는 택배물품이 일배센터 또는 허브센터에 입, 출고 시 각각 일배센터 입출고 정보 또는 허브센터 입출고 정보를 생성 및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맹점 기반의 택배 서비스 시스템은 택배물품 보관의 어려움을 겪는 상황이 발생하는 것을 완화 또는 방지할 수 있으며 고객 편의에 따라 택배물품의 배송 중에도 도착지를 변경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택배수취 단말은 택배수취 불가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본부 서버에 전송하며, 상기 본부 서버는 상기 택배수취 단말로부터 수신한 택배수취 불가정보를 상기 택배접수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택배접수 단말은 상기 택배수취 불가정보에 따라 상기 택배 접수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부 서버로부터 택배물품의 센터 입고정보 및 센터 출고정보를 수신하고 도착지 변경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본부 서버에 전송하는 고객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맹점 기반의 택배 서비스 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보다 효율적으로 달성할 수 있게 한다.
구체적으로는 네트워크 통신망에 연결되어 정보를 각각 생성 또는 송수신하는 택배접수 단말과 택배수취 단말, 물류 서버, 본부 서버 및 고객 단말을 이용하는 본 발명에 따른 가맹점 기반의 택배 서비스 방법은 상기 본부 서버가 상기 택배접수 단말로부터 생성된 택배 접수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본부 서버가 상기 택배 접수정보와 대응되는 집하 요청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상기 물류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본부 서버가 상기 택배접수 단말로부터 생성된 점포 출고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본부 서버가 상기 물류 서버로부터 생성된 택배물품의 센터 출고 및 입고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본부 서버가 상기 택배수취 단말로부터 생성된 택배물품의 점포 입고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본부 서버가 상기 택배수취 단말로부터 생성된 고객 수취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택배물품의 센터 출고 및 입고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택배물품의 배송 경로에 따라 제 1일배센터 입고정보 수신단계, 제 1일배센터 출고정보 수신단계, 허브센터 입고정보 수신단계, 허브센터 출고정보 수신단계, 제 2일배센터 입고정보 수신단계 및 제 2일배센터 출고정보 수신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택배 접수정보 수신단계 내지 허브센터 입고정보 수신단계가 수행되는 동안 상기 고객 단말을 통하여 광역 도착지 변경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상기 본부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허브센터 출고정보 수신단계 내지 제 2일배센터 입고정보 수신단계가 수행되는 동안 상기 고객 단말을 통하여 지역 도착지 변경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상기 본부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맹점 기반의 택배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은 기 구축된 가맹점 물류 인프라를 활용하여 택배물품의 실질적인 배송이 수행되어 택배 서비스를 의뢰하는 고객의 비용 부담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맹점 기반의 택배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은 가맹점 점포에서 택배물품 재고의 집중이나 점포 자체의 공간적 제약에 따른 택배물품 보관의 한계를 완화 또는 방지하여 택배물품 보관으로 인한 가맹점 점주의 부담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맹점 기반의 택배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은 택배물품의 배송 중에도 택배물품의 도착지를 고객의 필요에 따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으므로 고객 편의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피오에스 시스템을 이용한 택배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맹점 기반의 택배 서비스 시스템에서 점포 간 정보 흐름을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맹점 기반의 택배 서비스 시스템에서 점포 간 택배물품의 물류 흐름을 나타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맹점 기반의 택배 서비스 시스템에서 업체와 점포 간 정보 흐름을 나타낸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맹점 기반의 택배 서비스 시스템에서 업체와 점포 간 물류 흐름을 나타낸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맹점 기반의 택배 서비스 시스템의 정보 흐름을 나타낸 세부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맹점 기반의 택배 서비스 시스템에서 택배접수 단말의 도착지 정보를 선택하는 화면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맹점 기반의 택배 서비스 시스템에서 고객 단말을 포함하는 경우의 정보 흐름을 나타낸 세부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맹점 기반의 택배 서비스 시스템의 배송지 변경 시 물류 흐름을 나타낸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맹점 기반의 택배 서비스 방법에서 본부 서버 내에 정보 흐름 순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맹점 기반의 택배 서비스 방법 중 택배수취 불가 선택을 위한 순서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맹점 기반의 택배 서비스 시스템에서 가맹점에 속한 점포 간 정보 흐름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맹점 기반의 택배 서비스 시스템에서 편의점 간 택배물품의 물류 흐름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와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맹점 기반의 택배 서비스 시스템은 네트워크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상호 간의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는 택배접수 단말(100)과 택배수취 단말(200)과 물류 서버(300) 및 본부 서버(4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맹점은 편의점, 마트, 문구점, 코스메틱 판매점 등과 같이 판매하고자 하는 상품이 물류 센터에서 주기적으로 배송, 반품되는 물류 인프라가 기 구축된 복수 개의 오프라인 점포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맹점은 택배 서비스를 이용하는 고객의 접근성이 비교적 우수한 24시간 운영되는 편의점인 경우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기 구축된 물류 인프라는 판매하고자 하는 상품이 보관되는 허브센터(310)와 상기 허브센터(310)와 가맹점에 속한 점포 사이에 상품을 전달하는 일일배달 센터(이하, 일배센터(320)) 및 이들 각각을 연결하는 이송 및 통신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허브센터(310)는 상품 보관을 위하여 비교적 대규모의 창고 시설을 갖추고 접근성이 용이한 지역에 서로 이격되어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일배센터(320)는 할당된 지역 내에 위치하는 복수 개의 점포로 각각 상품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나의 허브 센터(310)를 중심으로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허브센터(310)와 일배센터(320) 및 점포 간 상품 배송을 위한 이송수단으로는 물류 차량, 항공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허브센터(310)와 일배센터(320) 및 점포 간의 상품 배송은 택배 서비스와는 별도로 일정 주기를 갖고 반복되어 수행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가맹점 기반의 택배 서비스 시스템은 허브센터(310)와 일배센터(320) 및 점포 간에 택배를 제외한 상품을 배송하기 위한 물류 인프라가 기 구축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명확한 설명을 위하여 가맹점 점포는 편의점으로, 이송수단은 물류 차량으로, 가맹점 점포에서 판매하고자 하는 상품을 상품으로, 택배 서비스의 대상이 되는 물품을 택배물품으로 통칭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맹점 기반의 택배 서비스 시스템의 택배접수 단말(100)은 택배 이용을 위한 택배 접수정보와 택배물품의 점포 출고정보를 생성 및 전송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고객이 택배 이용을 위하여 제 1편의점(110)을 방문하여 택배물품을 전달하며 상기 제 1편의점 내에 구비된 택배접수 단말(100)에 상기 택배물품에 대응되는 택배 접수정보를 입력함으로써 택배 접수정보가 생성 및 저장되며, 이는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본부 서버(400)에 전송된다.
이때, 택배 접수정보는 발송 물품 정보, 발송인 정보, 수신인 정보, 출발지 정보, 도착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택배접수 단말(100)은 상기 제 1편의점(110)에 구비되어 점원이 조작할 수 있는 POS(Point Of Sales) 단말이거나 고객이 직접 조작할 수 있는 키오스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택배접수 단말(100)은 제 1편의점(110)에 접수되어 보관 중인 택배물품이 물류 차량에 의하여 수거되는 시점에 점포 출고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본부 서버(400)에 전송한다.
이때, 상기 택배물품은 제 1편의점(110)에서 제 1일배센터(321)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상기 택배수취 단말(200)은 택배물품의 점포 입고정보와 상기 택배 접수정보와 대응되는 고객 수취정보를 생성 및 전송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택배수취 단말(200)은 상기 택배접수 단말(100)에 의하여 생성된 택배 접수정보에 포함된 도착지인 제 2편의점(210)에 택배물품이 물류 차량에 의하여 입고되는 시점에 점포 입고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본부 서버(400)에 전송한다.
즉, 상기 택배물품이 제 2일배센터(321)로부터 제 2편의점(210)으로 입고되는 시점에 점포 입고정보가 생성되어 상기 본부 서버(400)로 전송된다.
또한, 상기 택배수취 단말(200)은 택배 수신인이 상기 제 2편의점(210)을 방문하여 택배물품을 수령하는 시점에 고객 수취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본부 서버(400)에 전송한다.
또한, 상기 택배수취 단말(200)은 상기 제 2편의점(210)에 구비되어 점원이 조작할 수 있는 POS(Point Of Sales) 단말이거나 고객이 직접 조작할 수 있는 키오스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택배접수 단말(100)과 택배수취 단말(200)은 동일한 단말일 수도 있다.
즉, 상기 택배접수 단말(100)과 택배수취 단말(200)이 각각 구비되는 제 1, 2편의점(110, 120)은 동일한 편의점일 수 있으며, 상기 제 1일배센터(321)와 제 2일배센터(322) 역시 동일한 일배센터(320)일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물류 서버(300)는 택배물품이 일배센터(320), 허브센터(310)로 입, 출고되면 이에 대응되는 센터 입출고정보를 생성 및 저장하고 이를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본부 서버(400)에 전송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한 바와 같이 택배물품이 제 1편의점(110)에서 출고되어 제 1일배센터(321)로 입고되면 상기 물류 서버(300)는 제 1일배센터 입고정보를 생성 및 저장하고 이를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본부 서버(400)에 전송한다.
이후, 상기 택배물품이 물류 차량에 의하여 제 1일배센터(321)에서 출고되어 허브 센터(310)로 입고되면 상기 물류 서버(300)는 순차적으로 제 1일배센터 출고정보 및 허브센터 입고정보를 생성 및 저장하고 이를 상기 본부 서버(400)에 전송한다.
또한, 상기 택배물품이 물류 차량에 의하여 허브센터(310)에서 출고되어 제 2일배센터(322)로 입고되면 상기 물류 서버(300)는 순차적으로 허브센터 출고정보 및 제 2일배센터 입고정보를 생성 및 저장하고 이를 상기 본부 서버(400)에 전송한다.
이후, 상기 택배물품이 물류 차량에 의하여 제 2일배센터(322)에서 출고되어 제 2편의점(210)으로 입고되면 상기 물류 서버(300)는 제 2일배센터 출고정보를 생성 및 저장하고 이를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본부 서버(400)에 전송한다.
즉, 상기 본부 서버(400)는 상기 택배접수 단말(100)로부터 택배 접수정보와 점포 출고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택배수취 단말(200)로부터 점포 입고정보와 고객 수취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물류 서버(300)로부터 센터 입고정보 및 센터 출고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상기 본부 서버(40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수신된 각각의 정보를 수신 시점에 따라 알림 메시지 형태로 발송인 또는 수신인 정보에 포함된 발송인 연락처 또는 수신인 연락처로 전송할 수도 있다.
한편, 비교적 많은 개수의 택배물품을 동시에 접수하는 온라인 쇼핑몰 등을 포함한 업체나 개인은 복수 개의 택배물품을 편의점으로 전달하기에는 무리가 따른다.
또한, 편의점 역시 택배물품 보관을 위한 공간이 한정되어 있으므로 동시에 복수 개의 택배물품이 접수되면 보관에 무리가 따른다.
따라서, 택배접수 단말(100)은 웹 상에 구현되어 가맹점 기반의 택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실행되는 업체 또는 개인용 단말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맹점 기반의 택배 서비스 시스템에서 업체와 점포 간 정보 흐름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맹점 기반의 택배 서비스 시스템에서 업체와 점포 간 물류 흐름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4 및 5를 참조하여 상기한 바와 같이 가맹점 기반의 택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택배접수 단말(100)을 통하여 택배 접수정보가 상기 본부 서버(400)에 전송되는 경우를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상기 가맹점 기반의 택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택배접수 단말(100)은 택배물품의 출고정보의 생성 및 전송을 생략할 수 있다.
즉, 고객은 상기 가맹점 기반의 택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택배접수 단말(100)을 통하여 직접 택배 접수정보를 생성 및 저장하고 이를 본부 서버(40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경우의 택배물품은 기 구축된 물류 인프라에 포함된 물류 차량이 아닌 업체나 개인의 차량 등을 통하여 제 1일배센터(321)를 거치지 않고 허브센터(310)로 바로 입고될 수 있다.
상기 물류 서버(300)는 택배물품이 업체나 개인의 차량에 의하여 허브센터(310)로 입고되면 허브센터 입고정보를 생성 및 저장하고 이를 상기 본부 서버(400)에 전송한다.
이후, 상기 택배물품이 물류 차량에 의하여 허브센터(310)에서 출고되어 제 2일배센터(322)로 입고되면 상기 물류 서버(300)는 순차적으로 허브센터 출고정보 및 제 2일배센터 입고정보를 생성 및 저장하고 이를 상기 본부 서버(400)에 전송한다.
또한, 상기 택배물품이 물류 차량에 의하여 제 2일배센터(322)에서 출고되어 제 2편의점(210)으로 입고되면 상기 물류 서버(300)는 제 2일배센터 출고정보를 생성 및 저장하고 이를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본부 서버(400)에 전송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맹점 기반의 택배 서비스 시스템의 정보 흐름을 나타낸 세부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맹점 기반의 택배 서비스 시스템에서 택배접수 단말의 도착지 정보를 선택하는 화면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과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맹점 기반의 택배 서비스 시스템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상기 택배수취 단말(200)은 택배수취 불가정보를 생성 및 저장하고 이를 상기 본부 서버(4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택배수취 불가정보는 상기 택배수취 단말(200)이 구비된 편의점 정보와 상기 택배수취 단말(200)이 구비된 편의점의 택배물품 재고 및 택배물품 입고 예정 재고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부 서버(400)는 상기 택배수취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택배수취 불가정보를 상기 택배접수 단말(100)로 전송한다.
또한, 상기 택배접수 단말(100)은 상기 택배수취 불가정보에 따라 상기 택배 접수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즉,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택배수취 불가정보를 수신한 택배접수 단말(100)은 택배접수 정보 생성 시 도착지 정보를 나타내는 화면에서 상기 택배수취 불가정보를 전송한 택배수취 단말(200)이 구비된 편의점을 도착지로 선택할 수 없도록 강제 또는 유도할 수 있다.
일례로, A, B, C, D편의점 중 A, B편의점은 각각 5개, 3개의 택배물품이 입고되어 보관 중이며 C, D편의점은 입고된 택배물품이 없는 상태이다.
또한, 상기 A, B, C, D편의점 내에 구비된 각각의 택배수취 단말(200)은 상기 본부 서버(400)로부터 택배물품의 입고 예정 정보를 하기와 같이 수신할 수 있다.
A, B편의점은 입고 예정인 택배물품의 개수가 각각 0이고, C, D편의점은 입고 예정인 택배물품의 개수가 각각 2, 1개이다.
이때, 상기 A, B편의점은 보관 장소의 협소함, 택배물품 수취 지연 등을 이유로 택배물품의 보관에 어려움을 겪어 각각 택배수취 단말(200)을 통하여 택배수취 불가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본부 서버(40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부 서버(400)는 상기 택배수취 불가가공정보를 택배접수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객이 택배접수 단말(100)로부터 택배 접수정보를 생성 시 A, B편의점은 도착지로 선택할 수 없도록 비활성화하고 비교적 재고가 없는 C, D편의점은 도착지로 선택할 수 있도록 활성화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가맹점 기반의 택배 서비스 시스템은 택배물품 재고의 집중과 편의점 자체의 협소함으로 인한 택배물품 보관 장소의 제한 등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택배물품 보관의 제한을 완화시킬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맹점 기반의 택배 서비스 시스템에서 고객 단말을 포함하는 경우의 정보 흐름을 나타낸 세부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맹점 기반의 택배 서비스 시스템의 배송지 변경 시 물류 흐름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8과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맹점 기반의 택배 서비스 시스템의 배송지 변경을 위한 세부 구성을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맹점 기반의 택배 서비스 시스템은 상기 본부 서버(400)와 네트워크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상호 간의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는 고객 단말(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객 단말(500)은 가맹점 기반의 택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스마트폰, PC, 태블릿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발송인 또는 수신인의 휴대용 단말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고객 단말(500)은 상기 본부 서버(400)로부터 택배 접수정보와 센터 입, 출고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택배접수 단말(100)에 의하여 생성된 도착지 정보를 변경할 수 있는 도착지 변경정보를 생성 및 저장하고 이를 상기 본부 서버(4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부 서버(400)는 상기 고객 단말(500)로부터 수신한 도착지 변경정보를 물류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물류 서버(300)는 상기 본부 서버(400)로부터 수신한 도착지 변경정보에 대응되도록 센터 입출고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본부 서버(400)로 전송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고객 단말(500)은 택배접수 단말(100)에 의하여 도착지 정보가 포함된 택배 접수정보가 생성되어 본부 서버(400)로 전송 완료된 시점부터 물류 서버(300)에 의하여 허브센터 출고정보가 생성되기 전까지 광역 도착지 변경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광역 도착지는 1일 내에 허브센터(310)의 물류 배송 가능 범위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 고객 단말(500)은 물류 서버(300)에 의하여 허브센터 출고정보가 생성되어 본부 서버(400)로 전송되는 시점부터 물류 서버에 의하여 제 2일배센터 출고정보가 생성되기 전까지 지역 도착지 변경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지역 도착지는 1일 내에 일배센터(320)의 물류 배송 가능 범위를 의미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맹점 기반의 택배 서비스 시스템은 비교적 배송 리드타임이 긴 편의점의 기 구축된 물류 인프라를 통하여 택배물품의 배송이 수행되므로 택배물품이 배송 중인 경우 도착지를 변경할 수 있어 고객 편의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맹점 기반의 택배 서비스 방법에서 본부 서버 내에 정보 흐름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맹점 기반의 택배 서비스 방법에서 센터 출, 입고 정보수신단계의 세부 순서도이다.
도 10과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맹점 기반의 택배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본 발명에 따른 가맹점 기반의 택배 서비스 방법은 네트워크 통신망에 연결되어 정보를 각각 생성 또는 송수신하는 택배접수 단말(100)과 택배수취 단말(200), 물류 서버(300) 본부 서버(400) 및 고객 단말(500) 내에서 수행된다.
첫째로, 본 발명에 따른 가맹점 기반의 택배 서비스 방법은 택배 접수정보 수신단계(S100)가 수행된다.
상기 택배 접수정보 수신단계(S100)는 고객이 제 1편의점(110)을 방문하여 택배물품을 전달하며 이에 대응되는 택배 접수정보를 택배접수 단말(100)에 입력함으로써 생성된 택배 접수정보가 상기 본부 서버(400)로 전송되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택배 접수정보는 발송 물품 정보, 발송인 정보, 수신인 정보, 출발지 정보, 도착지 정보 및 배송료 지불 방식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둘째로, 본 발명에 따른 가맹점 기반의 택배 서비스 방법은 집하 요청정보 생성 및 전송단계(S200)가 수행된다.
상기 집하 요청정보 생성 및 전송단계(S200)는 상기 본부 서버(400)에 의하여 상기 택배 접수정보와 대응되는 집하 요청정보가 생성되어 상기 물류 서버(300)에 전송되는 단계이다.
셋째로, 본 발명에 따른 가맹점 기반의 택배 서비스 방법은 점포 출고정보 수신단계(S300)가 수행된다.
상기 점포 출고정보 수신단계(S300)는 제 1편의점에 접수된 택배물품이 물류 차량에 의하여 배송을 시작하면 상기 택배접수 단말(100)을 통하여 생성되는 점포 출고정보가 상기 본부 서버(400)로 전송되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점포 출고정보는 점주 또는 물류 차량 운전자가 상기 택배접수 단말(100)에 입력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점포 출고정보는 물류 차량 운전자가 휴대할 수 있는 배송 담당자 단말을 통하여 입력함으로써 생성될 수도 있다.
넷째로, 본 발명에 따른 가맹점 기반의 택배 서비스 방법은 센터 출, 입고 정보수신단계(S400)가 수행된다.
도 11을 참조하여 상기 센터 출, 입고 정보수신단계(400)의 세부 단계를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상기 센터 출, 입고 정보수신단계(S400)는 택배물품의 배송 경로에 따라 제 1일배센터 입고정보 수신단계(S410), 제 1일배센터 출고정보 수신단계(S420), 허브센터 입고정보 수신단계(S430), 허브센터 출고정보 수신단계(S440), 제 2일배센터 입고정보 수신단계(S450), 제 2일배센터 출고정보 수신단계(S460)가 순차적으로 수행된다.
상기 제 1일배센터 입고정보 수신단계(S410)는 택배물품이 제 1편의점(110)에서 제 1일배센터(321)로 입고 시 물류 서버(300)에 의하여 생성되는 제 1일배센터 입고정보가 상기 본부 서버(400)로 전송되는 단계이다.
또한, 상기 제 1일배센터 출고정보 수신단계(S420)는 상기 택배물품이 제 1일배센터(321)에서 출고될 시 물류 서버(300)에 의하여 생성되는 제 1일배센터 출고정보가 상기 본부 서버(400)로 전송되는 단계이다.
또한, 상기 허브센터 입고정보 수신단계(S430)는 상기 택배물품이 상기 제 1일배센터(321)에서 허브센터(310)로 입고 시 물류 서버(300)에 의하여 생성되는 허브센터 입고정보가 상기 본부 서버(400)로 전송되는 단계이다.
또한, 상기 허브센터 출고정보 수신단계(S440)는 상기 택배물품이 상기 허브센터(310)에서 출고될 시 물류 서버(300)에 의하여 생성되는 허브센터 출고정보가 상기 본부 서버(400)로 전송되는 단계이다.
또한, 상기 제 2일배센터 입고정보 수신단계(S450)는 상기 택배물품이 상기 허브센터(310)에서 제 2일배센터(322)로 입고 시 물류 서버(300)에 의하여 생성되는 제 2일배센터 입고정보가 상기 본부 서버(400)로 전송되는 단계이다.
또한, 상기 제 2일배센터 출고정보 수신단계(S460)는 상기 택배물품이 상기 제 2일배센터(322)에서 출고될 시 물류 서버(300)에 의하여 생성되는 제 2일배센터 출고정보가 상기 본부 서버(400)로 전송되는 단계이다.
또한, 상기 제 1일배센터 입고정보 수신단계(S410), 제 1일배센터 출고정보 수신단계(S420), 허브센터 입고정보 수신단계(S430), 허브센터 출고정보 수신단계(S440), 제 2일배센터 입고정보 수신단계(S450), 제 2일배센터 출고정보 수신단계(S460)가 수행되는 시점에 본부 서버(400)로 수신된 각각의 정보는 알림 메시지 형태로 택배물품의 발송인 또는 수신인의 연락처로 전송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섯째로, 본 발명에 따른 가맹점 기반의 택배 서비스 방법은 점포 입고정보 수신단계(S500)가 수행된다.
상기 점포 입고정보 수신단계(S500)는 상기 택배물품이 제 2일배센터(322)으로부터 제 2편의점(210)으로 입고 시 상기 택배수취 단말(200)로부터 생성된 점포 입고정보가 상기 본부 서버(400)로 전송되는 단계이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가맹점 기반의 택배 서비스 방법은 고객 수취정보 수신단계(S600)가 수행된다.
상기 고객 수취정보 수신단계(S600)는 수신인이 제 2편의점(210)에 방문하여 상기 택배물품 수령 시 상기 택배수취 단말(200)로부터 생성된 고객 수취정보가 상기 본부 서버(400)로 전송되는 단계이다.
즉, 상기 고객 수취정보 수신단계(S600)는 본 발명에 따른 가맹점 기반의 택배 서비스 방법이 모두 수행되어 택배 서비스가 종료되는 단계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맹점 기반의 택배 서비스 방법은 상기 택배 접수정보 수신단계(S100) 내지 허브센터 입고정보 수신단계(S430)가 수행되는 동안 상기 고객 단말(500)을 통하여 광역 도착지 변경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상기 본부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허브센터 출고정보 수신단계(S440) 내지 제 2일배센터 입고정보 수신단계(S450)가 수행되는 동안 상기 고객 단말(500)을 통하여 지역 도착지 변경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상기 본부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맹점 기반의 택배 서비스 방법은 택배수취 단말(200)로부터 생성된 택배수취 불가정보를 상기 본부 서버(400)로 전송하는 택배수취 불가정보 수신단계와 상기 본부 서버(400)가 상기 택배수취 불가정보를 택배접수 단말(100)로 전송하는 택배수취 불가정보 전송단계 및 상기 택배수취 불가정보에 대응하여 택배접수 단말(100)에서 택배접수 정보 생성 시 도착지 정보 생성을 제한하는 택배수취 불가정보 갱신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택배접수 단말
110. 제 1편의점
200. 택배수취 단말
210. 제 2편의점
300. 물류 서버
310. 허브센터
320. 일배센터
321. 제 1일배센터
322. 제 2일배센터
400. 본부 서버
500. 고객 단말
S100. 택배 접수정보 수신단계
S200. 집하 요청정보 생성 및 전송단계
S300. 점포 출고정보 수신단계
S400. 센터 출, 입고정보 수신단계
S410. 제 1일배센터 입고정보 수신단계
S420. 제 1일배센터 출고정보 수신단계
S430. 허브센터 입고정보 수신단계
S440. 허브센터 출고정보 수신단계
S450. 제 2일배센터 입고정보 수신단계
S460. 제 3일배센터 출고정보 수신단계
S500. 점포 입고정보 수신단계
S600. 고객 수취정보 수신단계

Claims (10)

  1. 본부 서버로부터 수신된 복수의 택배수취 단말들 각각에 대한 택배수취 불가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택배수취가 가능한 하나 이상의 택배수취 단말들이 선택되도록 활성화하고 상기 택배수취가 불가능한 하나 이상의 택배수취 단말들이 선택되지 않도록 비활성화한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화면을 통해 상기 택배수취가 가능한 택배수취 단말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택배수취 단말에 따른 택배 이용을 위한 택배 접수정보와 택배물품의 점포 출고정보를 생성 및 전송하는 택배접수 단말;
    택배물품의 점포 입고정보와 상기 택배 접수정보와 대응되는 고객 수취정보를 생성 및 전송하는 택배수취 단말;
    택배물품이 허브센터 및 일배 센터로 입출고 되면, 이에 대응되는 센터 입고정보 및 센터 출고정보를 생성 및 전송하는 물류 서버;
    상기 택배접수 단말로부터 택배 접수정보와 점포 출고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택배수취 단말로부터 점포 입고정보와 고객 수취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물류 서버로부터 센터 입고정보 및 센터 출고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센터 입고정보 및 상기 센터 출고정보를 고객 단말로 전송하는 상기 본부 서버; 및
    택배 접수정보와 택배물품의 센터 입고정보 및 센터 출고정보를 수신하고 도착지 변경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본부 서버에 전송하는 고객 단말을 포함하며,
    상기 본부 서버는,
    상기 고객 단말로부터 수신된 상기 도착지 변경정보를 상기 물류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물류 서버는,
    상기 도착지 변경정보의 수신에 기반하여 센터 입고정보 및 센터 출고 정보를 재생성하고, 상기 재생성된 센터 입고정보 및 센터 출고 정보를 상기 본부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도착지 변경 정보는 광역 도착지에 대한 변경정보와 지역 도착지에 대한 변경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광역 도착지는 상기 허브센터의 물류 배송이 1일 이내인 범위이며, 상기 광역 도착지 변경정보는 상기 본부 서버가 상기 택배접수 단말로부터 상기 택배 접수정보와 상기 점포 출고정보를 수신한 시점부터 상기 물류 서버에 의해 허브센터 출고 정보가 생성되기 전까지 상기 고객 단말에 의해 생성되며,
    상기 지역 도착지는 상기 일배 센터의 물류 배송이 1일 이내인 범위이며, 상기 지역 도착지 변경정보는 상기 허브센터 출고 정보가 생성되어 상기 본부 서버로 전송되는 시점부터 상기 물류 서버에 의해 일배 센터 출고정보가 생성되기 전까지 상기 고객 단말에 의해 생성되는 가맹점 기반의 택배 서비스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택배 접수정보는 발송 물품 정보, 발송인 정보, 수신인 정보, 출발지 정보, 도착지 정보를 포함하는 가맹점 기반의 택배 서비스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택배접수 단말은 POS 단말기 또는 웹 상에 구현되어 택배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개인 또는 업체용 단말 중 어느 하나인 가맹점 기반의 택배 서비스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택배수취 단말은 POS 단말기인 가맹점 기반의 택배 서비스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물류 서버는 택배물품이 상기 일배센터 또는 상기 허브센터에 입, 출고 시 각각 일배센터 입출고 정보 또는 허브센터 입출고 정보를 생성 및 전송하는 가맹점 기반의 택배 서비스 시스템.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택배수취 단말은 택배수취 불가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본부 서버에 전송하며,
    상기 본부 서버는 상기 택배수취 단말로부터 수신한 택배수취 불가정보를 상기 택배접수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택배접수 단말은 상기 택배수취 불가정보에 따라 상기 택배 접수정보를 갱신하는 가맹점 기반의 택배 서비스 시스템.
  7. 삭제
  8. 네트워크 통신망에 연결되어 정보를 각각 생성 또는 송수신하는 택배접수 단말과 택배수취 단말, 물류 서버, 본부 서버 및 고객 단말을 이용하는 가맹점 기반의 택배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택배접수 단말이 상기 본부 서버로부터 수신된 복수의 택배수취 단말들 각각에 대한 택배수취 불가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택배수취가 가능한 하나 이상의 택배수취 단말들이 선택되도록 활성화하고 상기 택배수취가 불가능한 하나 이상의 택배수취 단말들이 선택되지 않도록 비활성화한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택배접수 단말이 상기 표시된 화면을 통해 상기 택배수취가 가능한 택배수취 단말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택배수취 단말에 따른 택배 이용을 위한 택배 접수정보와 택배물품의 점포 출고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본부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본부 서버가 상기 택배접수 단말로부터 생성된 택배 접수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본부 서버가 상기 택배 접수정보와 대응되는 집하 요청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상기 물류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본부 서버가 상기 택배접수 단말로부터 생성된 점포 출고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본부 서버가 상기 물류 서버로부터 생성된 택배물품의 센터 출고 및 입고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본부 서버가 상기 택배수취 단말로부터 생성된 택배물품의 점포 입고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본부 서버가 상기 택배수취 단말로부터 생성된 고객 수취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본부 서버가 상기 수신된 센터 출고 및 입고 정보를 고객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본부 서버가 상기 고객 단말로부터 도착지 변경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본부 서버가 상기 고객 단말로부터 수신된 상기 도착지 변경정보를 상기 물류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물류 서버가 상기 도착지 변경정보의 수신에 기반하여 센터 입고정보 및 센터 출고 정보를 재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물류 서버가 상기 재생성된 센터 입고정보 및 센터 출고 정보를 상기 본부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도착지 변경 정보는 광역 도착지에 대한 변경정보와 지역 도착지에 대한 변경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광역 도착지는 허브센터의 물류 배송이 1일 이내인 범위이며, 상기 광역 도착지 변경정보는 상기 본부 서버가 상기 택배접수 단말로부터 상기 택배 접수정보와 상기 점포 출고정보를 수신한 시점부터 상기 물류 서버에 의해 허브센터 출고 정보가 생성되기 전까지 상기 고객 단말에 의해 생성되며,
    상기 지역 도착지는 일배 센터의 물류 배송이 1일 이내인 범위이며, 상기 지역 도착지 변경정보는 상기 허브센터 출고 정보가 생성되어 상기 본부 서버로 전송되는 시점부터 상기 물류 서버에 의해 일배 센터 출고정보가 생성되기 전까지 상기 고객 단말에 의해 생성되는
    가맹점 기반의 택배 서비스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택배물품의 센터 출고 및 입고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택배물품의 배송 경로에 따라 제 1일배센터 입고정보 수신단계;
    제 1일배센터 출고정보 수신단계;
    허브센터 입고정보 수신단계;
    허브센터 출고정보 수신단계;
    제 2일배센터 입고정보 수신단계; 및
    제 2일배센터 출고정보 수신단계;를 포함하는 가맹점 기반의 택배 서비스 방법.
  10. 삭제
KR1020190067924A 2019-06-10 2019-06-10 가맹점 기반의 택배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23851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7924A KR102385192B1 (ko) 2019-06-10 2019-06-10 가맹점 기반의 택배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7924A KR102385192B1 (ko) 2019-06-10 2019-06-10 가맹점 기반의 택배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1558A KR20200141558A (ko) 2020-12-21
KR102385192B1 true KR102385192B1 (ko) 2022-04-11

Family

ID=74090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7924A KR102385192B1 (ko) 2019-06-10 2019-06-10 가맹점 기반의 택배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519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76750A (ja) * 2001-08-31 2003-03-14 Toppan Printing Co Ltd 配送管理システム、方法、プログラム
JP2014044519A (ja) * 2012-08-24 2014-03-13 Denso Corp 荷物配送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8912B1 (ko) 2004-09-24 2006-12-15 씨제이 지엘에스 주식회사 피오에스 시스템을 이용한 택배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816983B1 (ko) * 2006-05-23 2008-03-27 씨제이 지엘에스 주식회사 무선 정보를 이용한 배송 시스템 및 방법
KR20100127504A (ko) * 2009-05-26 2010-12-06 이기설 온라인 쇼핑몰을 통한 상품 주문에 대한 출고 처리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76750A (ja) * 2001-08-31 2003-03-14 Toppan Printing Co Ltd 配送管理システム、方法、プログラム
JP2014044519A (ja) * 2012-08-24 2014-03-13 Denso Corp 荷物配送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1558A (ko) 2020-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08677B2 (ja) 有人集配拠点を使って荷物を配達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107251085A (zh) 物流支持方法、系统和程序
CN108090721A (zh) 一种物流订单处理方法、装置、服务器及存储介质
KR102385192B1 (ko) 가맹점 기반의 택배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440909B1 (ko) 오픈 마켓 위탁 배송 시스템
KR102265799B1 (ko) 가맹점의 tms를 이용하는 택배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AU2012100874A4 (en) Distribution system
US20080010224A1 (en) Method of storing and distributing regulated goo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