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4841B1 - 야외운동기구 - Google Patents

야외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4841B1
KR102384841B1 KR1020210087615A KR20210087615A KR102384841B1 KR 102384841 B1 KR102384841 B1 KR 102384841B1 KR 1020210087615 A KR1020210087615 A KR 1020210087615A KR 20210087615 A KR20210087615 A KR 20210087615A KR 102384841 B1 KR102384841 B1 KR 1023848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ensor
disposed
uni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76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종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지스포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지스포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지스포츠
Priority to KR10202100876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48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48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48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046Details of the support elements or their connection to the exercising apparatus, e.g. adjustment of size or orienta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support elements performing a rotating cycling movement, i.e. a closed path movement
    • A63B22/060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support elements performing a rotating cycling movement, i.e. a closed path movement performing a circular movement, e.g. ergomet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63B23/047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by rotating cycling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8Leisure, hobby or sport articles, e.g. toys, games or first-aid kits; Hand tools; Toolbox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20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10Positions
    • A63B2220/12Absolute positions, e.g. by using GP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05Optical or opto-electronic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06Video camera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3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sensor
    • A63B2220/833Sensors arranged on the exercise apparatus or sports impl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야외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 측면에 따른 야외운동기구는 제1프레임; 상기 제1프레임과 상호 대향하게 배치되는 제2프레임; 일단이 상기 제1프레임의 상단과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2프레임의 상단에 결합되는 제3프레임; 및 일단이 상기 제1프레임의 하단과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2프레임의 하단과 결합되는 제4프레임; 및 상기 제4프레임의 상부에 배치되는 운동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야외운동기구{OUTDOOR EXERCISE EQUIPMENT}
본 실시예는 야외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야외운동기구는 답답한 실내 헬스장이 아닌 공원이나 아파트 단지, 산책로 주변 공간 등에 설치되는 공공체육시설이다. 이러한 야외운동기구는 누구나 쉽게 접근하여 운동을 즐길 수 있어 시민 체력증진에 기여하고 있다.
그러나 야외운동기구가 설치되는 장소는 실외이고, 특히 산속 산책로나 강가에 설치되는 경우 주변에 조명시설이 없는 경우가 많아 야간이나 새벽시간에 시민들이 야외 운동기구를 이용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었다.
이러한 장소에 별도의 조명시설을 갖추기 위해서는 전력시설도 구비 되어야 하는데, 단순히 운동기구 사용을 위한 전력시설과 조명시설을 갖추는 것은 과도한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별도의 외부 전력 공급 없이 사용 가능한 조명을 제공하여 야간에도 야외운동기구를 안전하게 사용 가능하게 하고, 나아가 사용자의 운동의욕을 상승시키는 야외운동기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야외운동기구는 제1프레임; 상기 제1프레임과 상호 대향하게 배치되는 제2프레임; 일단이 상기 제1프레임의 상단과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2프레임의 상단에 결합되는 제3프레임; 및 일단이 상기 제1프레임의 하단과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2프레임의 하단과 결합되는 제4프레임; 및 상기 제4프레임의 상부에 배치되는 운동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1프레임은 상기 제1프레임의 내면 상부에 배치되는 GPS모듈; 상기 GPS모듈의 하부에 배치되는 LED패널; 상기 LED패널의 하부에 배치되는 무선충전부; 상기 무선충전부의 하부에 배치되는 태그부; 상기 무선충전부와 상기 태그부 사이에 배치되는 카메라; 상기 제1프레임의 내면에 상하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발광센서부; 상기 제1프레임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제어부; 상기 제1프레임의 내부공간 하부에 배치되는 배터리; 및 상기 제1프레임의 내부공간 상부에 배치되는 통신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LED패널은 파장이 400nm 내지 780nm인 가시광선을 방출하고, 상기 LED패널은 대기상태에서 백색광을 방출하고, 상기 LED패널은 좌우 방향으로 이분할 되어 정보를 표시하고, 이분할 된 상기 LED패널의 좌측에는 무선충전 정보가 표시되고, 이분할 된 상기 LED패널의 우측에는 사용자의 운동정보가 표시되며, 상기 무선충전부는 상기 제1프레임의 내면으로부터 타 영역보다 외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무선충전부의 내면은 곡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무선충전부의 하면은 상기 제1프레임의 내면에서 상기 무선충전부의 바닥면으로 갈수록 지면과의 거리가 멀어지는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태그부는 사용자의 운동량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 하는 NFC태그이고, 상기 발광센서부는 적외선 센서이고, 상기 발광센서부는 상하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1센서, 제2센서, 제3센서, 제4센서 및 제5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1센서, 제2센서, 제3센서, 제4센서 및 제5센서는 각각 3개의 개별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3개의 개별센서는 상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제2프레임은, 제2프레임의 내면에 배치되는 수광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광부는 상하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1수광부, 제2수광부, 제3수광부, 제4수광부 및 제5수광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프레임은,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상면 일 영역에 배치되는 레인센서;상기 바디부의 상면 중 상기 레인센서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태양광 패널; 상기 바디부의 하면에 배치되는 LED조명; 및 상기 바디부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레인센서가 우천을 감지하는 경우 상하로 작동하여 상기 태양광 패널과 바디부와의 상대 각도를 조절하고, 상기 제4프레임은, 상기 제4프레임의 상부에 배치되는 운동기구; 및 상기 제4프레임의 하부에 배치되는 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부는, 끝단이 첨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돌기부의 길이방향 중심부에 플랜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운동기구는, 상기 운동기구의 내부에 배치되는 발전모듈부; 상기 운동기구의 상부에 배치되는 높이조절부; 상기 높이조절부의 상부에 배치되는 의자부를 포함하고, 상기 높이조절부와 상기 의자부는 힌지결합되고, 상기 높이 조절부는 사람의 머리정보가 상기 제3센서에서 감지되는 경우 기준높이상태가 되고, 사람의 머리정보가 상기 제2센서에서 감지되는 경우 상기 높이 조절부는 상기 기준높이상태보다 3cm 높아지고, 사람의 머리정보가 상기 제1센서에서 감지되는 경우 상기 높이 조절부는 상기 기준높이상태 보다 6cm 높아지며, 상기 의자부는 사람의 머리정보가 상기 제3센서에서 감지되는 경우 기준각도상태가 되고, 사람의 머리정보가 상기 제2센서에서 감지되는 경우 상기 의자부는 상기 제1프레임과 마주하는 영역이 상기 힌지결합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기준각도상태에서 지면방향으로 3°회전하고, 사람의 머리정보가 상기 제1센서에서 감지되는 경우 상기 의자부는 상기 제1프레임과 마주하는 영역이 상기 힌지결합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기준각도상태에서 지면방향으로 6°회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LED패널은 대기상태에서 밝기가 8lx(lm/m²)일 수 있다.
또한, 상기 LED조명은 파장이 400nm 이상 780nm 이하인 가시광선을 방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LED패널 좌측에 표시되는 무선충전 정보는 파란색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LED패널에 표시되는 사용자의 운동정보는 빨간색으로 표시될 수 있다.
본 실시예를 통해 태양광 패널과, 발전모듈에 의해 생산하고, 생산된 전력을 조명에 이용하여 야간에도 야외운동기구의 사용이 가능하며, 나아가 사용자의 운동의욕을 상승시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야외운동기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야외운동기구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프레임의 내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프레임의 내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3프레임의 상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3프레임의 전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3프레임의 하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4프레임을 도시한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설명되는 일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라면, 실시 예들간 그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결합,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기술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할 수 있고, “A 및(와) B, C중 적어도 하나(또는 한 개 이상)”로 기재되는 경우 A,B,C로 조합할 수 있는 모든 조합 중 하나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뿐 만 아니라,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있는 또 다른 구성 요소로 인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 요소의 "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뿐 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야외운동기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야외운동기구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프레임의 전면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프레임의 전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3프레임의 상면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3프레임의 전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3프레임의 하면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4프레임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야외운동기구는 제1프레임(100), 제2 프레임(200), 제3 프레임(300), 제4 프레임(400), 및 운동기구(5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프레임(100)과 제2프레임(200)은 상호 대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제2프레임과 마주보는 제1프레임의 면을 제1프레임의 내면, 제1프레임과 마주보는 제2프레임의 면을 제2프레임의 내면으로 정의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1프레임(100)은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긴 박스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제2프레임(200)은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긴 박스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제2프레임의 높이는 상기 제1프레임(100)의 높이보다 낮을 수 있다.
제3프레임(300)의 일단은 상기 제1프레임(100)의 상단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3프레임(300)의 타단은 상기 제2프레임(200)의 상단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4프레임(400)의 일단은 상기 제1프레임(100)의 하단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4프레임(400)의 타단은 상기 제2프레임(200)의 하단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프레임(100)의 내면에는 GPS모듈(110), LED패널(120), 무선충전부(130), 태그부(140), 발광센서부(150), 카메라(16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GPS모듈(110)은 위치정보를 수신 또는 발신할 수 있다. 상기 GPS모듈(110)은 상기 제1프레임(100)의 내면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GPS모듈(110)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프레임(100)의 외부로 노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GPS 모듈(110)의 감도가 향상될 수 있다. 상기 GPS모듈(110)은 본 발명 야외운동기구의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후술할 제어부로 전달 할 수 있다. 상기 GPS모듈은 사용자에게 본 발명 야외운동기구의 위치정보를 발신 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는 상기 발신된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야외운동기구의 위치를 인지할 수 있다.
상기 LED패널(120)은 상기 제1프레임의 내면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LED패널(120)은 상기 GPS모듈(110)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LED패널(120)은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정보는 무선 충전 정보, 사용자의 운동정보 또는 사용자의 발전량 정보일 수 있다. 상기 정보는 색깔 또는 밝기를 달리하여 표시될 수 있다. 상기 LED패널(120)이 방출하는 빛의 파장은 400nm 이상일 수 있다. 상기 LED패널(120)은 가시광선 또는 적외선 파장의 광을 방출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LED패널(120)이 야간에 점등 되는 경우, 적외선 파장의 광이 아닌 가시광선 또는 적외선 파장의 광을 방출하게 되므로 곤충이 상기 LED패널(120)에 모이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다.
상기 LED패널(120)은 후술할 제어부에 의해 작동할 수 있다. 상기 LED패널(120)은 일몰부터 일출 사이의 시간에 대기조명상태로 점등될 수 있다. 상기 대기조명상태는 상기 LED패널(120)이 백색광을 방출하는 상태일 수 있다. 상기 백색광은 밝기가 8lx(lm/m²)일 수 있다.
또한 상기 LED패널(120)은 후술할 무선충전부(130)의 작동 여부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LED패널(120)은 후술할 발전모듈(510)의 작동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LED패널(120)은 사용자의 운동량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LED패널의 구체적인 작동 방법은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무선충전부(130)는 상기 LED패널(120)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무선충전부(130)는 상기 운동기구(500)의 손잡이와 오버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운동중에도 상기 무선충전부에 거치된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무선충전부(130)는 상기 제1프레임의 내면으로부터 타영역보다 외측으로 함몰되는 홈 형상의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간에는 사용자 단말기가 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무선충전부(130)는 사용자 단말기를 충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사용자에 의해 휴대되는 스마트폰과 같은 기기일 수 있다.
상기 무선충전부(130)의 내면은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무선충전부 내에 배치되고, 사용자가 음악 등을 재생하면 소리가 상기 공간 내에서 확산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소리는 상기 무선충전부(130)의 내면을 따라 유동되어 상기 제1프레임(100)의 내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송출될 수 있다.
상기 무선충전부(130)의 하면은 경사면(131)일 수 있다. 상기 경사면(131)은 상기 제1프레임(100)의 내면에서 상기 무선충전부(130)의 바닥면(132)으로 갈수록 지면과의 거리가 멀어지는 경사면(131)일 수 있다. 상기 경사면(131)의 상면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거치될 수 있다. 사용자는 무선충전 중에도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무선충전부(130)의 작동여부는 상기 LED패널(120)에 표시될 수 있다.
상기 태그부(140)는 상기 무선충전부(130)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태그부(140)는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기로 정보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상기 태그부(140)는 일 예로 NFC태그 일 수 있다. 상기 태그부(140)는 사용자 단말기로 운동량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운동량 정보는 발전량일 수 있다. 상기 운동량 정보는 CO2 저감량 일 수 있다. 상기 운동량 정보는 칼로리 소모량 일 수 있다. 상기 태그부(140)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상용자 정보는 누적된 운동량 정보일 수 있다. 상기 누적된 운동량 정보는 누적된 발전량일 수 있다. 상기 누적된 운동량 정보는 누적된 CO2 저감량 일 수 있다. 상기 누적된 운동량 정보는 누적된 칼로리 소모량일 수 있다.
상기 발광센서부(150)는 상기 제1프레임(100)의 내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발광센서부(150)는 복수로 구비되어 상기 제1프레임(100)의 내면에서 상하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발광센서부(150)는 제1센서(151), 상기 제1센서(151)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2센서(152), 상기 제2센서(152)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3센서(153), 상기 제3센서(153)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4센서(154), 및 상기 제4센서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5센서(15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5센서는 각각 복수로 구비되어 상호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1 내지 제5센서는 각각 상하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3개의 개별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광센서부(150)는 물체의 유무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발광센서부(150)는 빛을 조사할 수 있다. 상기 조사되는 빛은 적외선일 수 있다. 상기 발광센서부(150)는 물체의 유무를 감지 할 수 있다. 상기 발광센서부(150)에서 조사된 빛은 후술할 수광부(150a)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5제센서는 상하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므로, 상기 수광부에서 상기 제1 내지 제5센서로부터 조사된 광의 감지 여부에 따라 사용자의 신장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신장 정보는 선키 또는 앉은키 정보일 수 있다. 상기 신장 정보는 후술할 제어부로 전송되어 상기 야외운동기구의 작동에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160)는 상기 무선충전부(130)의 하측으로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160)는 상기 태그부(140)와 상기 무선충전부(130)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160)는 상기 제1프레임(100)과 제2프레임(200)의 사이 공간을 촬영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160)는 일 예로 적외선 카메라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160)는 상기 하우징(105)의 수평방향 중심을 기준으로 중심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는 (160) 상기 발광센서부(150)와 상기 수광부(150a)에 의해 생성되는 센서 정보에 따라 동작이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160)의 동작은 후술할 제어부와 관련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1프레임(100) 내부에는 배터리(170), 통신모듈(미도시) 및 제어부(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170)는 상기 제1프레임 내부 일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170)는 본 발명 야외운동기구의 작동을 위한 전원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170)는 리튬이온 배터리 일 수 있다. 상기 배터리(170)는 리튬폴리머 배터리일 수 있다. 상기 배터리(170)는 후술할 태양광 패널(320)에서 생산된 전기로 충전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170)는 후술할 발전모듈(510)에서 생산된 전기로 충전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170)는 외부 충전 포트(미도시)에 의해 충전될 수 있다.
상기 통신모듈은 상기 제1프레임(100)의 내 공간 중 상단에 인접한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통신 모듈은 상기 카메라(160)에서 촬영된 사진정보를 외부 서버로 송출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외부 서버는 소방방재청에서 관리되는 서버일 수 있다. 상기 통신모듈은 후술할 제어부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제2프레임(200)은 상기 제1프레임(100)과 마주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프레임(200)의 상하 방향 높이는 상기 제1프레임(100)의 상하 방향 높이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프레임(200)은 내면에는 수광부(150a)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수광부(150a)는 상기 제2프레임(200)의 내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수광부(150a)는 복수로 구비되어 상기 제2프레임(100)의 내면에서 상하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수광부(150)는 제1수광부(151a), 상기 제1수광부(151a)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2수광부(152a), 상기 제2수광부(152a)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3수광부(153a), 상기 제3수광부(153a)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4수광부(154a), 및 상기 제4수광부(154a)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5수광부(155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5수광부는 각각 복수로 구비되어 상호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1 내지 제5센서는 각각 6개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수광부(150a)는 상기 발광센서부(150)에서 조사된 빛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발광센서부(150)와 상기 수광부(151a 내지 155a)에서 얻어진 정보에 의해 사용자의 유무, 사용자의 신장 정보 등이 판단될 수 있다
상기 제3프레임(300)은 본 발명 야외운동기구의 상부를 형성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프레임은 상기 제1프레임(100) 및 상기 제2프레임(20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3프레임(300)은 바디부(310), 태양광 패널(320), 레인센서(326) 및 LED조명(3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프레임(100)과 상기 제2프레임(200)의 높이 차에 의해 상기 제3프레임(300)은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3프레임(300)은 상기 제2프레임(200)에 가까워질수록 지면으로부터의 상하 방향 거리가 가까워지게 배치될 수 있다. 다르게 말하면, 상기 제3프레임(300)은 상기 제1프레임(100)에 가까워질수록 지면으로부터의 상하 방향 거리가 멀어지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상기 제3프레임(300)의 경사 구조에 의해, 태양광 패널(320)의 발전 효율이 증가될 수 있다. 즉, 상기 제3프레임(300)의 경사 구조에 의해, 상기 태양광 패널(320)이 배치되는 상기 제3프레임(300)의 상면에는 경사면이 형성되므로, 상기 태양광 패널(320)이 태양과 형성하는 각도가 수직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발전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태양광 패널(320)은 상기 제3프레임(300)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태양광 패널(320)은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전환할 수 있다. 상기 태양광 패널(320)은 직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상기 태양광 패널(320)의 하면 중심부는 상기 바디부(310)와 힌지 결합 될 수 있다. 상기 태양광 패널(320)의 하면 일 영역에는 액추에이터(325)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바디부(310)는 액츄에이터(32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디부(310)의 내부에는 액츄에이터 수용 공간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액추에이터(325)는 상기 태양광 패널(320)을 움직일 수 있다.
상기 액추에이터(325)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바디부(310)에서 인입 또는 인출 될 수 있다. 상기 액추에이터(325)는 상기 태양광 패널(320)의 적어도 일부를 상 하로 움직일 수 있다. 상기 움직임에 의해 상기 태양광 패널(320)은 패널경사면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패널경사면은 상기 태양광 패널이 상기 힌지결합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액추에이터(325)가 형성하는 패널 경사면에 의해 상기 태양광 패널(320)이 태양과 형성하는 각도가 수직에 가깝게 형성되므로 발전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액추에이터(325)는 우천시 반복적인 패널 경사면 형성 거동을 하여 상기 태양광패널(320) 위의 먼지를 제거 할 수 있다. 상기 박복적인 경사면 형성 거동은 후술할 제어부와 관련하여 설명한다.
상기 레인센서(326)는 상기 제3프레임(300) 상면 일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태양광 패널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레인센서(326)는 상기 태양광 패널(320)과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레인센서(326)는 우천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레인센서에서 감지된 우천 정보는 후술할 제어부로 보내질 수 있다. 상기 레인 센서(326)가 감지하는 우천 정보는 상기 액추에이터(325)의 동작에 이용될 수 있다.
상기 LED조명(330)은 상기 바디부(310)의 하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LED조명(330)은 상기 제3프레임(300) 하면 중심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LED조명(330)은 400nm보다 긴 파장을 방출할 수 있다. 즉, 가시광선과, 적외선을 방출 할 수 있다. 상기 LED조명(330)이 자외선을 방출하지 않으므로, 상기 LED조명(330)의 발광에 의해 곤충들이 상기 야외운동기구로 모이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다. 즉, 야간에 곤충들은 자외선을 따라 모이는 습성이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상기 LED 조명의 파장에 의해 곤충이 상기 야외운동기구로 모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LED조명(330)은 밝기가 조절될 수 있다. 상기 LED조명(330)의 밝기는 상기 발광센서부(150)와 상기 수광부(151a)에서 얻어진 정보에 기초하여 조절될 수 있다. 즉, 상기 발광센서부(150)와 수광부(150a)는 사용자의 앉은키 정보를 판단할 수 있고, 사용자의 앉은키가 클수록 상기 LED조명(330)의 조도는 낮아질 수 있다. 사용자의 키가 큰 경우 상기 LED조명(330)과 사용자의 눈이 가까워 지고, LED 조명의 높은 조도는 사용자의 시력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앉은키가 클수록 상기 LED조명(330)의 조도는 낮게 조절될 수 있다. 상기 LED조명(330)은 사용자가 운동기구를 사용하는 경우 점등될 수 있고, 상용자가 운동기구에서 이탈하는 경우 소등될 수 있다.
상기 제4프레임(400)은 본 발명 야외운동기구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4프레임(400)은 일 영역이 상기 제1프레임(100)의 하단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4 프레임(400)은 타 영역이 상기 제3 프레임(300)의 하단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4프레임(400)은 지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4 프레임(400)은 돌기부(410,420,430,4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기부(410,420,430,440)는 제1돌기부(410), 제2돌기부(420), 제3돌기부(430) 및 제4돌기부(4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기부(410,420,430,440)는 상기 제4 프레임(40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돌기부(410,420,430,440)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돌기부(410,420,430,440)는 각 기둥 또는 원 기둥 형상일 수 있다. 상기 돌기부(410,420,430,440)는 끝단이 첨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돌기부(410,420,430,440)는 지면을 파고들어가므로 상기 야외운동기구의 설치가 용이할 수 있다. 상기 돌기부(410,420,430,440)는 길이방향 중심부에 플랜지부(415,425,435,445)를 포함할 수 있다. 플랜지부는 돌기부의 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형상일 수 있다. 플랜지부는 돌기부에 대해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플랜지(415,425,435,445)의 단면은 일 예로 8각형일 수 있다. 상기 플랜지(415,425,435,445)에 의해 돌기부(410,420,430,440)와 지면 간 결합력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플랜지부(415,425,435,445)에 의해 상기 돌기부(410,420,430,440)가 지면 내에서 임의로 유동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면으로부터 상기 야외운동기구가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운동기구(500)는 상기 제4 프레임(40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운동기구(500)는 발전모듈부(510), 의자부(520), 힌지부(525) 및 높이 조절부(5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전모듈부(510)는 상기 운동기구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발전모듈부(510)는 사용자의 운동을 전기에너지로 변환 할 수 있다. 상기 발전모듈부(510)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회전 구동력을 통해 전기에너지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발전모듈부(510)에 의해 발생된 전기에너지를 통해 배터리가 충전될 수 있다.
상기 의자부(520)는 힌지부(52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힌지부(525)는 상기 의자부(520)와 상기 높이 조절부(530)를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의자부(520)는 상기 힌지부(523)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의자부(520)의 회전은 사용자의 앉은키 정보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의자부(520) 회전에 관한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할 제어부와 관련하여 설명한다.
상기 높이 조절부(530)의 상단은 상기 의자부(520)와 힌지 결합 될 수 있다. 상기 높이 조절부(530)의 하단는 상기 운동기구(50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높이 조절부(530)는 상기 의자부(52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높이 조절부(530)는 사용자의 앉은키 정보에 따라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상기 높이 조절부(530)의 구체적인 동작은 후술할 제어부와 관련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예인 야외운동기구의 작동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야외운동기구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발명의 명칭의 전반적인 제어를 위한 구성으로서, 상기 발명의 명칭에 배치되는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구동함으로써, 상기 발명의 명칭의 구동을 위한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프레임(100) 내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GPS모듈(110), 상기 발광센서부(150), 상기 수광부(150a), 상기 무선충전부(130), 상기 레인센서부(326) 및 상기 발전모듈부(510)에서 발신되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의자부(520), 상기 높이조절부(530), 상기 LED패널부(120), 상기 LED조명부(330), 상기 카메라(160), 상기 액추에이터(325)의 동작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야외운동기구의 위치 정보는 상기 GPS모듈이(110) 수신한 위도 및 경도 정보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야외운동기구의 위치정보는 상기 제어부에 입력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일몰 및 일출 시간을 결정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일몰시간에 상기 LED패널(120)을 상기 대기 조명 상태로 점등 시킬 수 있다. 상기 대기조명상태의 빛은 색깔이 백색일 수 있다. 상기 LED패널(120)은 대기조명상태에서만 백색 빛을 방출 하므로, 사용자는 상기 LED패널(120)의 색깔에 의해 상기 야외운동기구의 사용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상기 대기 조명 상태는 밝기가 8 lx(lm/m2) 이하일 수 있다. 대한민국 서울특별시의 조명환경관리구역내 빛방사허용기준을 따를 때 공원 등 조명환경관리구역의 공간 조명은 일몰 중 허용 조도가 10 lx(lm/m2) 이하로 제한 되고, 대기 조명 상태에서는 전력소모를 줄여야 하므로 밝기를 8 lx(lm/m2) 이하로 제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GPS모듈(110)에서 수신된 위도 및 경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액추에이터를 동작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도 및 경도 정보와 시간정보를 취합하여 태양의 위치를 파악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액추에이터를 구동 시켜 상기 태양광 패널(320)에 패널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패널 경사면은 상기 태양광 패널(320)과 태양이 형성하는 각도가 수직에 가깝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발전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무선충전패드(130)에 사용자 단말기를 배치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충전패드(130)를 작동시킬 수 있다. 상기 무선충전패드(130)가 작동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충전하는 경우 제어부는 상기 LED패널(120)에 충전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충전 정보는 파란색 빛으로 표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LED패널(120)을 세로로 2분할 한 화면의 왼쪽에 파란색 빛이 점등 될 수 있다. 상기 파란색 빛의 밝기는 조도가 8 lx(lm/m2) 일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운동기구(500)에 앉은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발광센서부(150)와 상기 수광부(150a)에 의해 사용자의 앉은키 정보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앉은키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높이 조절부(530) 및 상기 의자부(520)의 동작을 결정할 수 있다.
사용자의 머리가 상기 제3센서(153)에서 감지되는 경우 상기 높이 조절부(530) 및 상기 의자부(520)는 기준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상기 기준상태는 기준높이상태와 기준각도상태를 포함한다.상기 기준높이상태는 상기 높이 조절부(530)의 높이가 최저로 조절된 상태를 의미한다. 상기 기준각도상태는 상기 의자부(520)가 지면과 평행한 상태를 의미한다.
사용자의 머리가 제2센서(152) 또는 제1센서(151)에서 감지되는 경우 상기 높이 조절부(530)는 높아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람의 머리가 상기 제3센서(153)에서만 감지되는 경우 높이 조절부(530)의 높이는 변화하지 않을 수 있다. 즉, 기준높이상태에 있을 수 있다. 사람의 머리가 상기 제2센서(152) 또는 제1센서(151)에서 감지되는 경우 상기 높이 조절부의 높이는 높아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센서(152)가 사람의 머리를 감지하는 경우 상기 높이 조절부(530)는 상기 기준높이상태보다 3cm 높아질 수 있다. 상기 제1센서(151)가 사람의 머리를 감지하는 경우 상기 높이 조절부(530)는 상기 기준 높이 상태 보다 6cm 높아질 수 있다.
사용자의 머리가 상기 제3센서(153)에서만 감지되는 경우 상기 의자부는 각도가 변화하지 않을 수 있다. 즉, 기준각도상태에 있을 수 있다. 제2센서(152) 또는 제1센서(151)에서 감지되는 경우 상기 의자부(520)는 상기 제1프레임(100)과 마주하는 영역이 지면방향으로 회전 이동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람의 머리가 제2센서(152)에서 감지되는 경우 상기 의자부(520)는 상기 기준 각도 상태를 기준으로 3°회전할 수 있다. 상기 사람의 머리가 제1센서(151)에서 감지되는 경수 상기 의자부(520)는 상기 기준 각도 상태를 기준으로 6°회전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운동기구(500)에 앉은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LED조명(330)을 점등 할 수 있다. 상기 LED조명(330)의 밝기는 10 lx(lm/m2) 이하, 8 lx(lm/m2) 이상 일 수 있다. 대한민국 서울특별시의 조명환경관리구역내 빛방사허용기준을 따를 때 공원 등 조명환경관리구역의 공간 조명은 일몰 중 허용 조도가 10 lx(lm/m2) 이하로 제한 되므로, 상기 LED조명(330)의 밝기는 10 lx(lm/m2) 이하, 8 lx(lm/m2) 이상 일 수 있다.
사용자가 본 발명 야외운동기구에서 운동을 하는 경우, 상기 발전모듈(510)에서 전기가 생산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생산되는 전기의 생산량 및 순간 발전량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발전모듈에서 전기가 생산되는 경우 상기 LED패널(120)에 빨간색 빛이 표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빨간색 빛은 상기 LED패널(120)을 세로로 2분할 한 화면의 오른쪽에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빨간색 빛은 사용자의 운동량이 증가함에 따라 상기 LED패널(120)의 하에서 상측으로 점등될 수 있다. 상기 빨간색 빛은 사용자의 운동에 따른 순간발전량에 따라 밝기가 변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순간발전량이 상기 야외운동기구의 순간전력사용량 이하인 경우 상기 빨간색 빛의 밝기는 8 lx(lm/m^2)이고, 사용자의 순간발전량이 상기 야외운동기구의 순간전력 사용량 이상인 경우 상기 빨간색 빛의 밝기는 8 lx(lm/m2) 이상으로 변화 할 수 있다. 다만, 최대 밝기는 10 lx(lm/m2)로 제한될 수 있다.
상기 레인센서(326)에 의해 우천상태가 감지되는 경우 제어부는 상기 액츄에이터(325)를 작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는 상기 액추에이터(325)를 상하로 반복 작동 시킬 수 있다. 상기 액추에이터(325)의 상하 반복 작동에 의해 상기 패널 경사부가 양 방향으로 반복 형성 될 수 있다. 비와 상기 경사부의 반복 형성에 의해 상기 태양광 패널(320) 상부에 쌓인 먼지가 제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태양광 패널(320)의 발전효율이 유지될 수 있다.
상기 발광센서부(150)와 수광부(150a)에 의해 이상신호가 감지되는 경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160)를 작동시켜 사진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발광센서부(150)와 수광부(150a)가 감지한 머리 정보가 순간적으로 소실되고, 상기 제4센서(154) 또는 상기 제5센서(155) 신호는 유지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이상신호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통신 모듈은 상기 카메라(160)에서 촬영된 사진정보를 외부 서버로 송출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외부 서버는 소방방재청에서 관리되는 서버일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5)

  1. 제1프레임;
    상기 제1프레임과 상호 대향하게 배치되는 제2프레임;
    일단이 상기 제1프레임의 상단과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2프레임의 상단에 결합되는 제3프레임; 및
    일단이 상기 제1프레임의 하단과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2프레임의 하단과 결합되는 제4프레임; 및
    상기 제4프레임의 상부에 배치되는 운동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1프레임은
    상기 제1프레임의 내면 상부에 배치되는 GPS모듈;,
    상기 GPS모듈의 하부에 배치되는 LED패널;
    상기 LED패널의 하부에 배치되는 무선충전부;
    상기 무선충전부의 하부에 배치되는 태그부;
    상기 무선충전부와 상기 태그부 사이에 배치되는 카메라;
    상기 제1프레임의 내면에 상하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발광센서부;
    상기 제1프레임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제어부;
    상기 제1프레임의 내부공간 하부에 배치되는 배터리; 및
    상기 제1프레임의 내부공간 상부에 배치되는 통신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LED패널은 파장이 400nm 내지 780nm인 가시광선을 방출하고,
    상기 LED패널은 대기상태에서 백색광을 방출하고,
    상기 LED패널은 좌우 방향으로 이분할 되어 정보를 표시하고,
    이분할 된 상기 LED패널의 좌측에는 무선충전 정보가 표시되고,
    이분할 된 상기 LED패널의 우측에는 사용자의 운동정보가 표시되며,
    상기 무선충전부는 상기 제1프레임의 내면으로부터 타 영역보다 외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무선충전부의 내면은 곡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무선충전부의 하면은 상기 제1프레임의 내면에서 상기 무선충전부의 바닥면으로 갈수록 지면과의 거리가 멀어지는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태그부는 사용자의 운동량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 하는 NFC태그이고,
    상기 발광센서부는 적외선 센서이고,
    상기 발광센서부는 상하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1센서, 제2센서, 제3센서, 제4센서 및 제5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1센서, 제2센서, 제3센서, 제4센서 및 제5센서는 각각 3개의 개별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3개의 개별센서는 상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제2프레임은,
    제2프레임의 내면에 배치되는 수광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광부는 상하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1수광부, 제2수광부, 제3수광부, 제4수광부 및 제5수광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프레임은,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상면 일 영역에 배치되는 레인센서;,
    상기 바디부의 상면 중 상기 레인센서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태양광 패널;,
    상기 바디부의 하면에 배치되는 LED조명; 및
    상기 바디부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레인센서가 우천을 감지하는 경우 상하로 작동하여 상기 태양광 패널과 바디부와의 상대 각도를 조절하고,
    상기 제4프레임은,
    상기 제4프레임의 상부에 배치되는 운동기구; 및
    상기 제4프레임의 하부에 배치되는 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부는,
    끝단이 첨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돌기부의 길이방향 중심부에 플랜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운동기구는,
    상기 운동기구의 내부에 배치되는 발전모듈부;
    상기 운동기구의 상부에 배치되는 높이조절부;
    상기 높이조절부의 상부에 배치되는 의자부를 포함하고,
    상기 높이조절부와 상기 의자부는 힌지결합되고,
    상기 높이 조절부는 사람의 머리정보가 상기 제3센서에서 감지되는 경우 기준높이상태가 되고, 사람의 머리정보가 상기 제2센서에서 감지되는 경우 상기 높이 조절부는 상기 기준높이상태보다 3cm 높아지고, 사람의 머리정보가 상기 제1센서에서 감지되는 경우 상기 높이 조절부는 상기 기준높이상태 보다 6cm 높아지며,
    상기 의자부는 사람의 머리정보가 상기 제3센서에서 감지되는 경우 기준각도상태가 되고, 사람의 머리정보가 상기 제2센서에서 감지되는 경우 상기 의자부는 상기 제1프레임과 마주하는 영역이 상기 힌지결합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기준각도상태에서 지면방향으로 3°회전하고, 사람의 머리정보가 상기 제1센서에서 감지되는 경우 상기 의자부는 상기 제1프레임과 마주하는 영역이 상기 힌지결합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기준각도상태에서 지면방향으로 6°회전하는 야외운동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LED패널은 대기상태에서 밝기가 8lx(lm/m²)인 야외운동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LED조명은 파장이 400nm 내지 780nm인 가시광선을 방출하는 야외운동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LED패널 좌측에 표시되는 무선충전 정보는 파란색으로 표시되는 야외운동기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LED패널에 표시되는 사용자의 운동정보는 빨간색으로 표시되는 야외운동기구.

KR1020210087615A 2021-07-05 2021-07-05 야외운동기구 KR1023848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7615A KR102384841B1 (ko) 2021-07-05 2021-07-05 야외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7615A KR102384841B1 (ko) 2021-07-05 2021-07-05 야외운동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4841B1 true KR102384841B1 (ko) 2022-04-12

Family

ID=81187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7615A KR102384841B1 (ko) 2021-07-05 2021-07-05 야외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484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7915B1 (ko) * 2009-06-24 2010-07-06 (주)에코그린텍 발전형 운동기구의 활용 장치 및 방법
KR101267352B1 (ko) * 2013-02-18 2013-05-27 유한회사 형후 야외용 다목적 운동기구
KR101852451B1 (ko) * 2017-06-12 2018-04-30 호진기계주식회사 야외운동기구
KR20210074590A (ko) * 2019-12-12 2021-06-22 주식회사 싸인랩 9축 센서를 이용한 야외운동기구 운동량 측정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7915B1 (ko) * 2009-06-24 2010-07-06 (주)에코그린텍 발전형 운동기구의 활용 장치 및 방법
KR101267352B1 (ko) * 2013-02-18 2013-05-27 유한회사 형후 야외용 다목적 운동기구
KR101852451B1 (ko) * 2017-06-12 2018-04-30 호진기계주식회사 야외운동기구
KR20210074590A (ko) * 2019-12-12 2021-06-22 주식회사 싸인랩 9축 센서를 이용한 야외운동기구 운동량 측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7007B1 (ko) 자가발전이 가능한 IoT 기반의 시설물 관리 시스템
KR102120193B1 (ko) 지능형 도시정보 스마트 폴 장치
KR101734351B1 (ko) 스마트 led 가로등모듈
KR20160124504A (ko) 복합 기능형 가로등 시스템
CN106761307A (zh) 一种多功能光伏百叶窗及使用其的移动终端
KR101267352B1 (ko) 야외용 다목적 운동기구
KR102441270B1 (ko) 무선통신망 기반 블록형 스마트 폴
CN107435906A (zh) 一种风光互补智能监控安防路灯
KR102223023B1 (ko) 거미줄 제거·예방 기능을 갖는 cctv 감시카메라 시스템
CN206269035U (zh) 一种车联网路灯装置及系统
KR20180023195A (ko) 스마트 태양광 보안 가로등 시스템
KR102384841B1 (ko) 야외운동기구
CN206163093U (zh) 一种园区信息展示装置
US20110304273A1 (en) Security lighting system
CN103968322B (zh) 高大建筑物顶用节能型警示标识灯
KR20210101910A (ko) 스마트 태양광 가로등
KR101278300B1 (ko) 무선 통신을 이용한 통합 정보 안내 시스템
US20140313703A1 (en) Led lighting module having battery power and photovoltaic charging
CN105513177A (zh) 基于led可见光通信的人流密度统计系统及统计方法
KR102379278B1 (ko) 스마트 벤치
EP3553249A1 (en) Floor unit, floor and internet of things-based home system
KR20180125698A (ko) 태양전지 안내판과, 이를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CN207853886U (zh) 一种利用太阳能风能互补供电的水陆两用智能移动终端
KR200481176Y1 (ko) 태양광을 이용한 휴대용 조명등
JP2006049085A (ja) 発光体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