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7915B1 - 발전형 운동기구의 활용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발전형 운동기구의 활용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7915B1
KR100967915B1 KR1020090056486A KR20090056486A KR100967915B1 KR 100967915 B1 KR100967915 B1 KR 100967915B1 KR 1020090056486 A KR1020090056486 A KR 1020090056486A KR 20090056486 A KR20090056486 A KR 20090056486A KR 100967915 B1 KR100967915 B1 KR 1009679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ercise
power
amount
power generation
electric energ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64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선
Original Assignee
(주)에코그린텍
박재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코그린텍, 박재선 filed Critical (주)에코그린텍
Priority to KR10200900564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79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79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79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support elements performing a rotating cycling movement, i.e. a closed path movement
    • A63B22/060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support elements performing a rotating cycling movement, i.e. a closed path movement performing a circular movement, e.g. ergomet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전형 운동기구의 활용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일면에 따른 발전형 운동기구의 활용 장치는 상기 발전형 운동기구를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운동량 또는 전력 발전량을 표시하는 표시 영역을 제공하는 제1 본체부; 상기 제1 본체부와 연결되어 상기 사용자에게 햇빛 또는 비를 막아주는 제2 본체부; 상기 제1 또는 제2 본체부에 설치되고, 2종 이상의 상이한 유형의 발전형 운동기구를 탈착 가능하게 전기적으로 연결시켜 상기 발전형 운동기구에서 발전된 전기 에너지를 공급받는 연결부; 상기 제1 또는 제2 본체부에 설치되어 상기 연결부를 통해 전달되는 전기 에너지를 충전하는 배터리; 및 상기 제1 또는 제2 본체부에 설치되어 전기 에너지가 공급되어 점등되는 조명등을 포함한다.
운동기구, 발전, 태양광전지, 배터리

Description

발전형 운동기구의 활용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UTILIZING OF POWER GENERATING TRAINING DEVICE}
본 발명은 발전형 운동기구의 활용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태양에너지 또는 운동에너지를 이용하여 자가발전한 전력을 운동하는 사람에게 편의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하는 발전형 운동기구의 활용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동네 공터, 아파트 단지 또는 도심 공원 등과 같은 곳에는 운동기구가 많이 설치되어 있다. 사람들은 이 운동기구를 사용하여 언제라도 자유롭게 운동하며 건강을 관리할 수 있다.
이러한 곳에 설치된 운동기구를 사람들로 하여금 야간에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운동기구 주변에 조명등을 설치하여 운동기구의 주변을 일정 밝기 이상으로 유지해주어야 한다. 이는 야간에 실외에 설치된 운동기구를 이용하는 사람들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꼭 필요한 부분이다.
그러나, 운동기구가 설치된 곳의 주변을 일정 밝기 이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전력이 많이 소모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많은 사람이 운동기구를 사용하는 경우, 운동기구가 설치된 곳의 주변을 일정 밝기 이상으로 유지하는 것은 에너지 활용 측면에서 효율적일 수 있겠으나, 설치된 운동기구가 사용되고 있지 않거나 사용되는 수가 많지 않을 경우, 운동기구가 설치된 곳 주변을 일정 밝기 이상으로 계속 유지하는 것은 에너지 활용 측면에서 비효율적인 것으로 전력을 낭비하는 문제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출한 것으로서, 발전한 전력을 활용하여 야간에 운동기구가 사용될 경우 조명등이 점등되고, 사용되지 않을 경우, 소등되는 발전형 운동기구의 활용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발전한 전력을 활용하여 외부기기를 충전하는 발전형 운동기구의 활용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발전형 운동기구의 활용 장치는 상기 발전형 운동기구를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운동량 또는 전력 발전량을 표시하는 표시 영역을 제공하는 제1 본체부; 상기 제1 본체부와 연결되어 상기 사용자에게 햇빛 또는 비를 막아주는 제2 본체부; 상기 제1 또는 제2 본체부에 설치되고, 2종 이상의 상이한 유형의 발전형 운동기구를 탈착 가능하게 전기적으로 연결시켜 상기 발전형 운동기구에서 발전된 전기 에너지를 공급받는 연결부; 상기 제1 또는 제2 본체부에 설치되어 상기 연결부를 통해 전달되는 전기 에너지를 충전하는 배터리; 및 상기 제1 또는 제2 본체부에 설치되어 전기 에너지가 공급되어 점등되는 조명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른 발전형 운동기구의 활용 방법은 외부의 발전형 운동기구로부터 전달된 전기 에너지를 충전하는 단계; 조도 및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하여 상기 감지된 조도가 기설정된 조도 이하이고, 상기 사용자가 기설정된 감지 범위 내로 접근한 경우, 조명등에 상기 충전된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는 단계; 및 외부기기의 연결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외부기기가 연결된 경우, 상기 외부기기에 상기 충전된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야간에 운동기구가 사용될 경우 조명등이 점등되도록 함으로써, 발전한 전력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발전한 전력을 사용함으로써, 환경친화적으로 야간에 운동기구를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발전한 전력을 활용하여 휴대폰과 같은 단말기 등을 충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기재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 이외의 하나 이 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가발전 운동기구의 활용 장치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전형 운동기구의 활용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전형 운동기구의 활용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고, 도 3 내지 도 6는 발전형 운동기구의 예시도이고, 도 7은 도 1의 표시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전형 운동기구의 활용 장치에 부착되거나 그려질 수 있는 캐릭터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에에 따른 발전형 운동기구의 활용 장치(100)는 제1 본체부(10), 제2 본체부(20), 손잡이부(30) 및 연결부(4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제1 본체부(10)는 발전형 운동기구의 활용 장치(100)가 설치된 바닥면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제1 지지부(11)와, 제1 지지부(10)로부터 소정 각도로 구부러져 연장되어 형성된 제2 지지부(12)와, 제2 지지부(12)로부터 바닥면과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3 지지부(13)와, 제3 지지부(13)로부터 소정 각도로 구부러져 연장되어 형성된 제4 지지부(14)를 포함한다.
제1 본체부(10)는 발전형 운동기구(200)를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운동량 또는 전력 발전량을 표시하는 표시 영역, 예컨대 LCD 등과 같은 표시장치가 설치될 수 있는 영역을 제공한다.
제2 본체부(20)는 제2 지지부(12)로부터 소정 곡률로 구부러져 연장되어 형성된 제5 지지부(21)와, 제5 지지부(21)로부터 바닥면과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6 지지부(22)를 포함한다.
제2 본체부(20)는 제1 본체부(10)와 연결된다. 즉 제2 본체부(20)의 제5 지지부(21)가 제1 본체부(10)의 제2 지지부(12)로부터 연결되어 형성된다.
제2 본체부(20)의 제6 지지부(22)는 면적을 넓게 형성하여 사용자에게 햇빛 또는 비를 막아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6 지지부(22)의 상측에는 태양광전지를 설치할 수 있고, 하측에는 조명기기를 설치할 수 있다.
대한민국 남성의 평균키가 173.2cm이고 초등학교 6학년 남자아이 평균키가 149cm인 통계 데이터를 근거로 제1 본체부(10)는 180cm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2 본체부(20)는 250cm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손잡이부(30)는 발전형 운동기구(200)의 종류에 따라 탈부착되고, 제1 본체부(10)의 양측 각각에 제1 본체부(10)의 하단부로부터 소정 각도로 구부러져 연장되어 형성된 제7 지지부(31)와, 제7 지지부(31)로부터 소정 곡률로 구부러져 상기 바닥면과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8 지지부(32)와, 제8 지지부(32)로부터 소정 곡률로 구부러져 연장되어 형성된 제9 지지부(33)를 포함한다.
손잡이부(30)는 발전형 운동기구의 활용 장치(100)가 발전형 운동기구(200)의 보조 장치로도 활용될 수 있도록 한다. 예컨대, 발전형 운동기구(200)가 자전거 와 같이 손잡이가 필요한 운동기구인 경우, 손잡이부(30)는 발전형 운동기구의 활용 장치(100)에 부착될 수 있고, 사용자가 운동을 보다 안정된 자세에서 할 수 있도록 손잡이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러나, 발전형 운동기구(200)가 손잡이가 필요없는 운동기구인 경우, 손잡이부(30)는 발전형 운동기구의 활용 장치(100)에서 탈착될 수 있다.
연결부(40)는 발전형 운동기구(200)와 발전형 운동기구의 활용 장치(100)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예컨대, 발전형 운동기구(200)는 발전된 전기 에너지를 발전형 운동기구의 활용 장치(100)에 전달하기 위해 연결부(40)를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발전형 운동기구의 활용 장치(100)는 실외 또는 실내에 설치된 발전형 운동기구(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부(40)를 통해 연결되어 설치될 수 있다. 사용자가 발전형 운동기구(200)를 사용하여 운동을 할 경우, 발전형 운동기구(200)는 운동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키고, 변환된 전기 에너지를 발전형 운동기구의 활용 장치(100)에 전달할 수 있다. 발전형 운동기구의 활용 장치(100)는 배터리를 구비하여 발전형 운동기구(200)로부터 전달받은 전기 에너지를 충전시킬 수 있고, 자체적으로 태양광전지를 구비하여 태양광전지로 흡수된 태양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켜 배터리에 충전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전형 운동기구의 활용장치(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양광전지(111), 연결부(112), 배터리(113), 센서부(120), 조명등(130), 외부기기 충전부(140), 제어부(150), 측정부(160), 산출부(170), 표시부(180) 및 낙뢰 보호부(190)를 포함한다.
태양광전지(111), 즉 솔라셀은 제6 지지부의 상측에 설치되어 흡수한 태양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한다.
연결부(112)는 발전형 운동기구(200)로부터 전기 에너지를 전달받는다.
예컨대, 발전형 운동기구(200)는 사용자의 운동에 따라 발생한 운동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한다. 발전형 운동기구(200)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전거(300)일 경우, 발전형 운동기구(200)의 발전기는 페달이 형성된 구동축과 체인에 의해 연결된 휠에 축 결합될 수 있고, 휠에 연동되어 휠 회전시 발생한 운동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할 수 있다. 발전형 운동기구(200)는 이렇게 변환된 전기 에너지를 연결부(112)를 통해 발전형 운동기구의 활용 장치(100)로 전달할 수 있다.
발전형 운동기구(200)는 자전거(300) 외에도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허리 돌리기(400), 근육 풀기(500), 줄 당기기(600) 등 다양한 운동기구를 활용하여 전기를 발전할 수 있다. 발전형 운동기구(200)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허리 돌리기(400)를 활용할 경우, 발전기는 회전 원반에 결합될 수 있다. 발전형 운동기구(200)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근육 풀기(500)를 활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발전기는 핸들 축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발전형 운동기구(200)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줄 당기기(600)를 활용할 경우, 발전기는 롤러 축에 결합될 수 있다. 즉, 발전형 운동기구의 활용 장치(100)는 다양한 발전형 운동기구(200)[자전거(300), 허리 돌리기(400), 근육 풀기(500), 줄 당기기(600) 등]와 연결부(112)를 통해 연결되어 각각에서 발전된 전기 에너지를 전달받을 수 있다.
배터리(113)는 태양광전지(111)에 의해 변환된 전기 에너지를 충전시키거나 연결부(112)를 통해 전달된 전기 에너지를 충전시킬 수 있다.
센서부(120)는 발전형 운동기구(200)가 설치된 주변의 조도 및 발전형 운동기구(200)에 접근하는 사용자를 감지한다.
예컨대, 센서부(120)는 발전형 운동기구(200)가 설치된 곳 주변의 조도를 감지할 수 있는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조도 센서를 이용하여 발전형 운동기구(200)의 주변 조도를 감지하는 이유는 발전형 운동기구(200)를 사용하여 운동하고자 하는 사람들에게 보다 편리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즉, 발전형 운동기구(200)의 주변 밝기, 즉 감지된 조도에 따라 조명등(130)을 점멸하거나 조명등(130)의 밝기를 조절하기 위함이다.
또한 센서부(120)는 사용자가 발전형 운동기구(200)를 사용하기 위해 발전형 운동기구(200)로 접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으로 사용할 수 있는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하는 적외선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적외선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접근 범위, 즉 접근 거리를 감지하는 이유는 감지된 조도에 따라 조명등(130)의 점멸 및 밝기를 조절하기에 앞서 사용자가 발전 운동기구(200)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조명등(120)을 소등, 즉 점등하지 않기 위함이다. 즉, 조명등(130)을 조도에 따라 점등시켜 밝기를 조절하는 이유는 사용자가 어두운 곳에서도 발전형 운동기구(200)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함이므로, 사용자가 발전형 운동기구(200)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조 명등(130)을 점등하지 않음으로써, 불필요한 에너지 소비를 방지할 수 있다.
조명등(130)은 제6 지지부에 설치될 수 있고, 충전된 전력이 공급되어 점등된다.
예컨대, 사용자의 운동에 의해 발전된 전기 에너지가 연결부(112)를 통해 전달되면, 전달된 전기 에너지가 배터리(113)를 거치지 않고 직접 조명등(130)에 공급되어 조명등(130)이 점등될 수 있다. 또는, 사용자의 조작, 예컨대 타이머를 사용하여 조명 시간을 설정하거나 스위치를 통해 조명을 온 시키는 것에 따라 배터리(113)에 충전된 전기 에너지가 조명등(130)에 공급되어 조명등(130)이 점등될 수도 있다. 또는 발전형 운동기구(200) 주변의 조도가 감지되어 감지된 조도에 따라 배터리(113)에 충전된 전기 에너지가 조명등(130)에 공급되어 조명등(130)이 점등될 수도 있다.
외부기기 충전부(140)는 충전된 전력이 공급되어 연결된 외부기기(300)를 충전시킨다.
예컨대, 외부기기 충전부(140)에 외부기기(300), 즉 휴대폰이 연결된 경우, 외부기기 충전부(140)는 배터리(113)에 충전된 전력을 공급받아 휴대폰을 충전시킬 수 있다.
제어부(150)는 감지된 조도가 기설정된 조도[예컨대, 조명등(130)이 점등되어야 하는 수치의 조도) 이하이고, 사용자가 감지 범위[예컨대, 사용자가 발전형 운동기구(200)를 사용하여 운동하기 위해 접근하는 거리] 내로 접근한 경우, 조명등(130)에 충전된 전력이 공급되도록 제어하고, 외부기기 충전부(140)와 외부기 기(300)의 연결 여부를 확인하여 연결된 경우, 외부기기 충전부(140)에 충전된 전력이 공급되도록 제어한다.
예컨대, 제어부(150)는 배터리(113)를 제어하여 배터리(113)에 충전된 전력을 조명등(130) 또는 외부기기 충전부(140)에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조명등(130)과 배터리(113) 간에 제1 온오프 스위치와 외부기기 충전기(140)와 배터리(113) 간에 제2 온오프 스위치가 설치되어 있어서, 제어부(150)는 조명등(130)으로 충전된 전력이 공급될 수 있도록 제1 온오프 스위치를 제어할 수 있고, 외부기기 충전부(140)로 충전된 전력이 공급될 수 있도록 제2 온오프 스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외부기기 충전부(140)에는 외부기기(300)가 연결될 경우 온 또는 오프 되는 연결 스위치가 설치되어 있을 수 있고, 외부기기 충전부(140)에 외부기기(300)가 연결될 경우, 연결 스위치의 스위칭에 의해 제어부(150)는 외부기기 충전부(140)에 외부기기(300)가 연결된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배터리(113)의 충전된 전력량 및 방전된 전력량을 측정하여, 배터리(113)에 전력이 과충전 및 과방전되지 않도록 제어한다.
예컨대, 제어부(150)는 방전된 전력량이 기설정된 허용 방전량을 초과한 경우, 외부기기 충전부(140)에 공급되고 있는 전력을 차단하거나 조명등(130)에 공급되고 있는 전력을 차단시킬 수 있다.
측정부(160)는 연결부(112)를 통해 전달된 전기 에너지로 발전된 전력량 측정한다.
산출부(170)는 측정된 전력량에 근거하여 운동량을 산출한다.
산출부(170)는 사용자에 의해 운동 강도가 조절될 경우, 발전형 운동기구(200)에서 측정한 운동량을 데이터 케이블을 통해 전달받고, 전달받은 운동량이 표시부(180)에 표시되도록 한다. 예컨대, 운동 강도가 강하게 조절된 경우, 산출부(170)는 단순히 전달된 전기 에너지로 측정된 전력량을 근거로 운동량을 산출할 수가 없다. 일정 시간 동안 측정된 전력량을 근거로 운동량을 산출할 경우, 실제 운동량에 비해 낮게 산출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반대로 운동 강도가 낮게 조절된 경우, 일정 시간 동안 측정된 전력량을 근거로 산출된 운동량은 실제 운동량에 비해 높게 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운동 강도가 기설정된 표준 강도, 예컨대 측정된 전력량을 근거로 운동량을 산출할 경우, 실제 운동량과 동일한 운동량이 산출되는 강도가 아닐 경우, 산출부(170)는 발전형 운동기구(200)에서 직접 측정한 운동량을 데이터 케이블을 통해 전달받아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시부(180)는 측정된 전력량 또는 산출된 운동량을 표시한다.
예컨대, 표시부(18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7인치 화면일 수 있다.
표시부(180)는 측정된 전력량, 산출된 운동량 및 이산화탄소 감소량을 7인치 화면에 동시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고, 또는 기설정된 시간마다 운동량, 전력 발전량 및 기제작된 홍보 동영상을 각각 번갈아 가며 7인치 화면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낙뢰 보호부(190)는 낙뢰에 의해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고전압을 차단시킨다. 예컨대, 낙뢰 보호부(190)는 낙뢰에 의해 외부로부터 발전형 운동기구(200)로 고전 압이 유입되지 않도록 고전압을 흡수시키거나 방전시킬 수 있다.
또한 발전형 운동기구의 활용 장치(100)에는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친환경 ECO-군 캐릭터가 부착되거나 그려져 있어서 성인뿐 아니라 어린이에게도 운동에 대한 거부감 없이 발전형 운동기구(200)로 운동할 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할 수 있다. 이런 분위기 속에서 어린이는 성인과 함께 발전형 운동기구(200)로 운동을 하면서 자연스럽게 에너지 자원 및 신 재생 에너지 교육을 받을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전형 운동기구의 활용 장치(100)를 설명하였고, 이하에서는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전형 운동기구의 활용 방법을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전형 운동기구의 활용 방법을 설명한 흐름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전형 운동기구의 활용 장치(100)는 흡수한 태양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고, 변환된 전기 에너지를 배터리(113)에 충전시키거나 또는 사용자의 운동에 따라 발전된 전기 에너지를 전달받아 충전시킨다(S802). 전기 에너지가 배터리(113)에 과충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전기 에너지를 배터리(113)에 충전시키기에 앞서 충전된 전력량을 측정하고, 측정된 배터리(113)의 충전량과 기설정된 배터리(113)의 충전 허용량을 비교한다(S800).
비교결과, 배터리(113)에 전기 에너지가 과충전된 경우(S800), 전기 에너지가 배터리(113)에 충전되는 것을 정지시킨다(S801).
그러나, 비교결과, 과충전이 아닌 경우(S800), 전기 에너지를 배터리(113)에 충전시킨다(S802).
발전형 운동기구(200)의 주변 조도를 감지하고, 발전형 운동기구(200)로 사용자가 접근하는지 여부를 감지한다(S803).
발전형 운동기구(200)의 주변 조도를 감지하는 이유는 사용자가 발전형 운동기구(200)를 이용하여 운동하기에 적합한 밝기인지를 확인하기 위함이며, 조도 센서를 이용하여 주변 조도를 쉽게 감지할 수 있다.
발전형 운동기구(200)에 사용자가 접근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이유는 사용자가 운동을 하기 위해 발전형 운동기구(200)로 접근해 오는 건지를 확인하기 위함이며, 적외선 센서 등을 사용하여 사용자가 기설정된 접근 범위 이내로 접근해 오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외부기기(300), 예컨대 휴대폰 등의 연결 여부를 확인한다(S804).
그런 다음 각 센서, 즉 조도 센서 및 적외선 센서 등을 이용하여 감지된 결과와 기설정된 조도 및 접근 범위를 비교한다(S805).
비교결과, 감지된 결과가 기설정된 조도 이하이고, 기설정된 접근 범위 이내인 경우, 즉 사용자가 운동하기에 발전형 운동기구(200)의 주변이 어둡고, 사용자가 운동을 하기 위해 발전형 운동기구(200)에 접근한 경우, 배터리(113)에 방전량을 측정하여 측정된 방전량이 기설정된 허용치를 초과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806).
확인결과, 초과하지 않은 경우, 조명등(130)으로 배터리(113)에 충전된 전력이 공급되도록 한다(S807).
조명등(130)은 전력을 공급받아 점등된다.
그런 다음 단계(S800)로 복귀하여 앞서 전술한 단계(S800 내지 S807)를 반복한다.
그러나, 단계(S806) 확인결과, 측정된 방전량이 기설정된 허용치를 초과한 경우, 조명등(130)으로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한다(S808).
그러나, 단계(S805) 비교결과, 감지된 결과가 기설정된 조도 이상이거나, 기설정된 접근 범위가 아닌 경우, 외부기기(300)가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809).
판단결과, 외부기기(300)가 연결되었으면, 배터리(113)가 과방전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810).
확인결과, 과방전되지 않았으면, 외부기기(300)에 충전된 전력을 공급한다(S811).
외부기기(300)의 충전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812).
확인결과, 충전이 완료되었으면, 외부기기(300)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시킨다(S808).
그러나, 단계(S809) 판단결과, 외부기기(300)가 연결되지 않았거나, 단계(S810) 확인결과, 배터리(113)가 과방전된 경우이거나, 단계(S812) 확인결과, 외부기기(300)의 충전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 중 어느 한 경우이면, 단계(S800)로 복귀하여 앞서 전술한 단계(S800 내지 S812)를 반복한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에 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전형 운동기구의 활용 장치를 설명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전형 운동기구의 활용 장치를 설명한 블럭도.
도 3 내지 도 6은 발전형 운동기구의 예시도.
도 7은 도 1의 표시부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전형 운동기구의 활용 장치에 부착되거나 그려질 수 있는 캐릭터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전형 운동기구의 활용 방법을 설명한 흐름도.
<도면의 주요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
111 : 태양광전지 112:연결부
113 : 배터리 120 : 센서부
130 : 조명등 140 : 외부기기 충전부
150 : 제어부 160 : 측정부
170 : 산출부 180 : 표시부
190 : 낙뢰 보호부 200 : 발전형 운동기구
300 : 외부기기

Claims (13)

  1. 야외 또는 실내에 설치되는 발전형 운동기구의 활용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발전형 운동기구를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운동량 또는 전력 발전량을 표시하는 표시 영역을 제공하는 제1 본체부;
    상기 제1 본체부와 연결되어 상기 사용자에게 햇빛 또는 비를 막아주는 제2 본체부;
    상기 제1 또는 제2 본체부에 설치되고, 2종 이상의 상이한 유형의 발전형 운동기구를 탈착 가능하게 전기적으로 연결시켜 상기 발전형 운동기구에서 발전된 전기 에너지를 공급받는 연결부;
    상기 제1 또는 제2 본체부에 설치되어 상기 연결부를 통해 전달되는 전기 에너지를 충전하는 배터리; 및
    상기 제1 또는 제2 본체부에 설치되어 전기 에너지가 공급되어 점등되는 조명등
    을 포함하는 발전형 운동기구의 활용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본체부는,
    상기 발전형 운동기구의 활용 장치가 설치된 바닥면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제1 지지부;
    상기 제1 지지부로부터 소정 각도로 구부러져 연장되어 형성된 제2 지지부;
    상기 제2 지지부로부터 상기 바닥면과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3 지 지부; 및
    상기 제3 지지부로부터 소정 각도로 구부러져 연장되어 형성된 제4 지지부
    를 포함하는 것인 발전형 운동기구의 활용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본체부는,
    상기 제2 지지부로부터 소정 곡률로 구부러져 연장되어 형성된 제5 지지부;
    상기 제5 지지부로부터 상기 바닥면과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6 지지부
    를 포함하는 것인 발전형 운동기구의 활용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조도 및 상기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감지된 조도가 기설정된 조도 이하이고, 상기 사용자가 기설정된 감지 범위 내로 접근한 경우, 상기 조명등에 상기 충전된 전기 에너지가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발전형 운동기구의 활용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등은
    상기 연결부를 통해 전달된 전기 에너지가 공급되거나,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배터리에 충전된 전기 에너지가 공급되거나, 조도를 감지하여 상기 감지된 조도에 따라 상기 배터리에 충전된 전기 에너지가 공급되어 점등되는 것인 발전형 운동기구의 활용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의 충전된 전력량 또는 방전된 전력량을 측정하여, 상기 배터리에 전력이 과충전 또는 과방전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인 발전형 운동기구의 활용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를 통해 전달된 전기 에너지로 발전된 전력량을 측정하는 측정부,
    상기 측정된 전력량에 근거하여 운동량을 산출하는 산출부; 및
    상기 측정된 전력량 또는 산출된 운동량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제1 본체부의 표시 영역에 설치되고,
    상기 운동량, 상기 전력량 및 기제작된 홍보 동영상을 한 화면상에 표시하거나 기설정된 시간마다 각각 번갈아가며 표시하는 것인 발전형 운동기구의 활용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부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운동 강도가 조절될 경우, 상기 발전형 운동기구에서 측정한 운동량을 데이터 케이블을 통해 전달받고, 전달받은 운동량이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도록 하는 것인 발전형 운동기구의 활용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낙뢰에 의해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고전압을 흡수 및 방전시키는 낙뢰 보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인 발전형 운동기구의 활용 장치.
  10. 외부의 발전형 운동기구로부터 전달된 전기 에너지를 충전하는 단계;
    조도 및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하여 상기 감지된 조도가 기설정된 조도 이하이고, 상기 사용자가 기설정된 감지 범위 내로 접근한 경우, 조명등에 상기 충전된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는 단계; 및
    외부기기의 연결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외부기기가 연결된 경우, 상기 외부기기에 상기 충전된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발전형 운동기구의 활용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에너지가 충전된 전력량 및 상기 충전된 전력이 외부로 공급되어 방전된 전력량을 측정하는 단계; 및
    측정된 결과에 따라 전력이 과충전되거나 과방전되지 않도록 충전 또는 방전을 제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발전형 운동기구의 활용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의 발전형 운동기구로부터 전달된 상기 전기 에너지로 발전된 전력량을 측정하고, 측정된 전력량으로 운동량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전력량 및 산출된 운동량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운동량, 상기 전력량 및 기제작된 홍보 동영상을 한 화면상에 표시하거나 기설정된 시간마다 각각 번갈아가며 표시하는 단계 인 것인 발전형 운동기구의 활용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운동 강도가 조절될 경우, 상기 발전형 운동기구에서 측정한 운동량을 데이터 케이블을 통해 전달받는 단계; 및
    상기 전달받은 운동량이 표시부에 표시되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발전형 운동기구의 활용 방법.
KR1020090056486A 2009-06-24 2009-06-24 발전형 운동기구의 활용 장치 및 방법 KR1009679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6486A KR100967915B1 (ko) 2009-06-24 2009-06-24 발전형 운동기구의 활용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6486A KR100967915B1 (ko) 2009-06-24 2009-06-24 발전형 운동기구의 활용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7915B1 true KR100967915B1 (ko) 2010-07-06

Family

ID=42645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6486A KR100967915B1 (ko) 2009-06-24 2009-06-24 발전형 운동기구의 활용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791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7352B1 (ko) 2013-02-18 2013-05-27 유한회사 형후 야외용 다목적 운동기구
KR102384841B1 (ko) * 2021-07-05 2022-04-12 주식회사 엠지스포츠 야외운동기구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3579A (ko) * 2002-01-22 2003-07-31 박종구 싸이클 운동기구에 있어서 전력 발생장치
KR20030081106A (ko) * 2002-04-09 2003-10-17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전자 부품의 제조 방법, 전자 부품 및 탄성표면파 필터
KR20040024886A (ko) * 2002-09-16 2004-03-24 한국식품개발연구원 배를 주재로 한 발효음료의 제조방법
KR200381106Y1 (ko) * 2005-01-18 2005-04-08 이현주 자가발전장치가 구비된 헬스기구
KR200424886Y1 (ko) * 2006-06-15 2006-08-28 한각수 햇빛가리개가 장치된 윗몸일으키기용 운동기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3579A (ko) * 2002-01-22 2003-07-31 박종구 싸이클 운동기구에 있어서 전력 발생장치
KR20030081106A (ko) * 2002-04-09 2003-10-17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전자 부품의 제조 방법, 전자 부품 및 탄성표면파 필터
KR20040024886A (ko) * 2002-09-16 2004-03-24 한국식품개발연구원 배를 주재로 한 발효음료의 제조방법
KR200381106Y1 (ko) * 2005-01-18 2005-04-08 이현주 자가발전장치가 구비된 헬스기구
KR200424886Y1 (ko) * 2006-06-15 2006-08-28 한각수 햇빛가리개가 장치된 윗몸일으키기용 운동기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7352B1 (ko) 2013-02-18 2013-05-27 유한회사 형후 야외용 다목적 운동기구
KR102384841B1 (ko) * 2021-07-05 2022-04-12 주식회사 엠지스포츠 야외운동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7352B1 (ko) 야외용 다목적 운동기구
CN201949551U (zh) 一种多功能发电式踏步机
CN202218437U (zh) 紧急安全照明装置
KR100967915B1 (ko) 발전형 운동기구의 활용 장치 및 방법
CN203099667U (zh) 一种改进型地下停车场照明系统
CN102091393B (zh) 一种多功能发电式踏步机
GB2483161A (en) An outdoor fitness centre with an exercise station which generates electricity
CN107899183A (zh) 一种可照明的户外跑步机
CN102494296B (zh) 健身器材与健身场所的光照系统
CN202419463U (zh) 脚踏发光指示灯
CN203893048U (zh) 一种风光互补型led路灯
CN201971089U (zh) 自行车发电照明
JP2010218808A (ja) 太陽電池照明装置
KR20090012739A (ko) 이동식 발전기용 충전 콘트롤러 박스
KR20130046962A (ko) 풍력발전기 및 태양광발전시스템의 발전량 정보를 표시하는 독립형 가로등
CN103615668A (zh) 重力发电手提led灯具
CN210398730U (zh) 一种基于移动人员重力作用的自发电自动照明系统
US20020070559A1 (en) Dynamic energy storage device for sport appliances
CN203615091U (zh) 重力发电手提led灯具
CN101442216B (zh) 辅助自然能源供电的电源切换装置
KR20100098880A (ko) 현수막 게시대 제어방법
CN201555134U (zh) 一种太阳能光控照明装置
JP2004259521A (ja) 太陽電池付き照明装置
CN205214520U (zh) 一种太阳能充放电自动散热的多功能书包
CN205400224U (zh) 一种高压线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