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4397B1 - Cutting oil recorvery apparatus for tool machine - Google Patents

Cutting oil recorvery apparatus for tool mach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4397B1
KR102384397B1 KR1020170036213A KR20170036213A KR102384397B1 KR 102384397 B1 KR102384397 B1 KR 102384397B1 KR 1020170036213 A KR1020170036213 A KR 1020170036213A KR 20170036213 A KR20170036213 A KR 20170036213A KR 102384397 B1 KR102384397 B1 KR 1023843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coolant
cutting oil
region
storage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621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107626A (en
Inventor
정석우
Original Assignee
두산공작기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공작기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공작기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362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4397B1/en
Publication of KR201801076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762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43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439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10Arrangements for cooling or lubricating tools or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12Arrangements for cooling or lubricating parts of the machi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achine Tools (AREA)

Abstract

공작기계용 절삭유 회수 장치는 유입된 절삭유를 수집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공간을 제1 영역과 제2 영역으로 구분하며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상기 절삭유가 흐르는 슬릿이 형성된 격벽을 갖는 저장조, 상기 제1 영역 내의 상기 저장조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슬릿의 높이보다 큰 제1 높이에 형성되어 상기 절삭유 표면층에서 부유하는 폐유를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관, 및 상기 제2 영역 내의 상기 저장조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슬릿의 높이보다 큰 제2 높이에서 상기 절삭유가 유입되는 유입구를 가지며 상기 유입된 절삭유를 회수하기 위한 회수관을 포함한다.A coolant recovery apparatus for a machine tool provides a space for collecting the introduced coolant, divides the space into a first area and a second area, and has a partition having a slit through which the coolant flows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a bottom surface of the storage tank; A discharge pipe formed at a first height greater than the height of the slit from the bottom of the storage tank in the first region to discharge waste oil floating in the coolant surface layer, and the height of the slit from the bottom of the storage tank in the second region It has an inlet through which the cutting oil is introduced at a large second height and includes a return pipe for recovering the introduced cutting oil.

Figure R1020170036213
Figure R1020170036213

Description

공작기계용 절삭유 회수 장치{CUTTING OIL RECORVERY APPARATUS FOR TOOL MACHINE}Cutting oil recovery device for machine tools {CUTTING OIL RECORVERY APPARATUS FOR TOOL MACHINE}

본 발명은 공작기계용 절삭유 회수 장치 및 이를 갖는 절삭유 회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공작기계에서 사용된 절삭유를 여과하여 재사용하기 위한 절삭유 회수 장치 및 이를 갖는 절삭유 회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utting oil recovery device for a machine tool and a coolant recovery system having the same. More particularly, it relates to a coolant recovery device for filtering and reuse of coolant used in a machine tool, and a coolant recovery system having the same.

공작기계에서 공작물 가공시 사용된 절삭유는 윤활유와 함께 절삭유 탱크로 회수될 수 있다. 상기 절삭유를 여과하기 위하여 오일 스키머가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공작기계의 베드로부터 배출되는 폐유가 포함된 절삭유를 별도의 버킷에 수집된 후 폐기될 수 있다.The coolant used in machining the workpiece in the machine tool may be returned to the coolant tank together with the lubricant. An oil skimmer may be used to filter the cutting oil. On the other hand, the cutting oil containing the waste oil discharged from the bed of the machine tool may be collected in a separate bucket and then discarded.

관련 기술들에 있어서, 상기 오일 스키머의 종류에 따라 상승하는 별도의 절삭유 회수 장치가 필요하고, 상기 공작기계의 베드로부터 상기 폐유와 함께 절삭유도 배출되므로, 절삭유가 과다하게 소모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오일 스키머의 종류에 관계없이 사용될 수 있고, 상기 버킷을 통해 폐기되어 상기 절삭유가 과다하게 소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절삭유 회수 장치가 요구된다.In the related art, a separate cutting oil recovery device that rises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oil skimmer is required, and since the cutting oil is also discharged from the bed of the machine tool along with the waste oil, the cutting oil may be excessively consumed.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cutting oil recovery device of a new structure that can be used regardless of the type of the oil skimmer and can be discarded through the bucket to prevent excessive consumption of the cutting oil.

본 발명의 일 과제는 절삭유 소모를 방지하고 작업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공작기계용 절삭유 회수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On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utting oil recovery device for a machine tool that can prevent consumption of cutting oil and improve operator convenience.

상기 본 발명의 일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공작기계용 절삭유 회수 장치는 유입된 절삭유를 수집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공간을 제1 영역과 제2 영역으로 구분하며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상기 절삭유가 흐르는 슬릿이 형성된 격벽을 갖는 저장조, 상기 제1 영역 내의 상기 저장조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슬릿의 높이보다 큰 제1 높이에 형성되어 상기 절삭유 표면층에서 부유하는 폐유를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관, 및 상기 제2 영역 내의 상기 저장조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슬릿의 높이보다 큰 제2 높이에서 상기 절삭유가 유입되는 유입구를 가지며 상기 유입된 절삭유를 회수하기 위한 회수관을 포함한다.The coolant recovery device for a machine tool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for achiev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pace for collecting the introduced coolant, divides the space into a first area and a second area, and a bottom surface A storage tank having a partition wall in which a slit through which the coolant flows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storage tank, formed at a first height greater than the height of the sli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storage tank in the first region, a discharge pipe for discharging waste oil floating in the coolant surface layer and a return pipe having an inlet through which the cutting oil is introduced at a second height greater than a height of the slit from the bottom of the storage tank in the second region and for recovering the introduced cutting oil.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의 상기 제1 높이는 상기 회수관의 상기 유입구의 상기 제2 높이보다 클 수 있다.In example embodiments, the first height of the discharge pipe may be greater than the second height of the inlet of the recovery pipe.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회수관은 상기 저장조 바닥면을 관통하여 상기 유입구로부터 유입된 상기 절삭유가 배출되는 배출구를 가질 수 있다.In example embodiments, the recovery pipe may have an outlet through which the cutting oil introduced from the inlet through the bottom surface of the storage tank is discharged.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회수관은 상기 제2 영역 내의 상기 저장조 바닥면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할 수 있다.In example embodiments, the recovery pipe may extend vertically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storage tank in the second area.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공작기계용 절삭유 회수 장치는 상기 제1 영역 내의 일측에 설치되어 유입된 폐유를 수용하기 위한 제3 영역을 정의하며, 상기 유입된 폐유를 상기 제1 영역으로 공급하는 개방형 브라켓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exemplary embodiments, the cutting oil recovery device for the machine tool is installed on one side within the first area to define a third area for accommodating the introduced waste oil, and supplies the introduced waste oil to the first area It may further include an open bracket.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3 영역의 바닥면은 상기 저장조의 바닥면보다 더 높을 수 있다.In example embodiments, a bottom surface of the third region may be higher than a bottom surface of the storage tank.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공작기계용 절삭유 회수 장치는 상기 개방형 브라켓 내에 배치되며 상기 제3 영역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폐유를 공급하기 위한 호스의 일단부를 접촉 지지하는 호스 위치 정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exemplary embodiments, the cutting oil recovery device for the machine tool is disposed in the open bracket and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third region to provide a hose alignment part for contacting and supporting one end of a hose for supplying the waste oil. may include more.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절삭유 회수 장치는 공작기계의 베드로부터 배출되는 폐유가 포함된 절삭유를 수집하고 상기 절삭유 표면층에 부유하는 폐유를 배출관를 통해 배출시키고 상기 폐유를 제외한 절삭유는 격벽의 슬릿을 통해 별도의 제2 영역으로 이동시킨 후 회수관을 통해 절삭유 탱크로 다시 회수할 수 있다.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the cutting oil recovery device collects the cutting oil containing the waste oil discharged from the bed of the machine tool, and discharges the waste oil floating on the surface layer of the cutting oil through the discharge pipe, and the cutting oil except for the waste oil is passed through the slit of the partition wall. After moving to a separate second area, it can be recovered back to the coolant tank through a recovery pipe.

또한, 상기 절삭유 회수 장치는 튜브 타입 또는 벨트 타입의 오일 스키머로부터 일차적으로 여과된 절삭유를 수집한 후, 상기 절삭유 표면층에 부유하는 폐유를 상기 배출관을 통해서 배출시키고 상기 폐유를 제외한 절삭유는 상기 회수관을 통해 상기 절삭유 탱크로 다시 회수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utting oil recovery device collects the firstly filtered cutting oil from the tube type or belt type oil skimmer, and then discharges the waste oil floating in the cutting oil surface layer through the discharge pipe, and the cutting oil excluding the waste oil is removed from the recovery pipe Through the coolant, it can be recovered back to the coolant tank.

따라서, 상기 절삭유 회수 장치는 윤활유와 절삭유 사이의 점도 차이를 이용하여 상기 절삭유 내의 상기 윤활유를 용이하게 분리시키고 절삭유가 과다하게 소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삭유 회수 장치는 상기 오일 스키머의 종류에 관계없이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ly, the cutting oil recovery device can easily separate the lubricant in the cutting oil by using the difference in viscosity between the lubricant and the cutting oil and prevent excessive consumption of the cutting oil. In addition, since the cutting oil recovery device can be used regardless of the type of the oil skimmer, user convenience can be improved.

다만,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 언급한 효과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may be variously expand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공작기계용 절삭유 회수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절삭유 회수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절삭유 회수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절삭유 회수 장치에서의 절삭유 및 폐유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절삭유 회수 시스템을 나타내는 사시도들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utting oil recovery device for a machine tool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FIG. 2 is a plan view illustrating the cutting oil recovery device of FIG. 1 .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utting oil recovery device of FIG. 1 .
FIG. 4 is a view showing the flow of cutting oil and waste oil in the cutting oil recovery device of FIG. 1 .
5A and 5B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coolant recovery system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각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In each drawing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mensions of the structures are enlarged than the actual size for clarity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a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s,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preclude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본문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With respect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n the text, specific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s are only exemplified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various forms and the text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즉,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at is,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various changes and can have various form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specific disclosed form,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공작기계용 절삭유 회수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절삭유 회수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절삭유 회수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절삭유 회수 장치에서의 절삭유 및 폐유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utting oil recovery device for a machine tool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FIG. 2 is a plan view illustrating the cutting oil recovery device of FIG. 1 .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utting oil recovery device of FIG. 1 . FIG. 4 is a view showing the flow of cutting oil and waste oil in the cutting oil recovery device of FIG. 1 .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공작기계용 절삭유 회수 장치(100)는 유입된 절삭유를 수집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저장조(storage bath)(110), 저장조(110)로부터 상기 절삭유 표면층에서 부유하는 폐유를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관(130), 및 저장조(110)로부터 상기 유입된 절삭유를 회수하기 우한 회수관(140)을 포함할 수 있다.1 to 4, the coolant recovery device 100 for a machine tool is a storage bath 110 that provides a space for collecting the introduced coolant, and floating in the coolant surface layer from the storage tank 110 It may include a discharge pipe 130 for discharging the waste oil, and a recovery pipe 140 for recovering the introduced cutting oil from the storage tank 110 .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공작기계용 절삭유 회수 장치(100)는 터닝 센터, 머시닝 센터 등과 같은 공작기계의 절삭유 탱크 상에 설치되며, 상기 절삭유 탱크 내의 절삭유를 여과하기 위한 오일 스키머로부터 또는 상기 공작기계의 베드(bed)로부터 유입된 절삭유에 혼입된 윤활유와 같은 폐유를 분리하여 제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In exemplary embodiments, the coolant recovery device 100 for a machine tool is installed on a coolant tank of a machine tool, such as a turning center, a machining center, or the like, from an oil skimmer for filtering the coolant in the coolant tank or the machine It can be used to separate and remove waste oil such as lubricating oil mixed with cutting oil introduced from a machine bed.

구체적으로, 저장조(110)는 상기 공간을 제1 영역(112)와 제2 영역(114)으로 구분하기 위한 격벽(120)를 구비할 수 있다. 격벽(120)의 하부에는 상기 절삭유가 흐를 수 있는 슬릿(122)이 형성될 수 있다. 슬릿(122)은 바닥면(111)으로부터 일정 높이(H0)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격벽(120)은 바닥면(111)으로부터 일정 높이(H0)만큼 이격되어 슬릿(122)을 정의할 수 있다. 슬릿(122)이 바닥면(111)으로부터 일정 높이(H0)에 형성된 경우는, 슬릿(122)의 하부 측면이 바닥면(111)에 접한 경우 및 슬릿(122)의 하부 측면이 바닥면(111)으로부터 이격된 경우 모두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storage tank 110 may include a partition wall 120 for dividing the space into a first area 112 and a second area 114 . A slit 122 through which the cutting oil may flow may be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partition wall 120 . The slit 122 may be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height H0 from the bottom surface 111 . For example, the partition wall 120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111 by a predetermined height H0 to define the slit 122 . When the slit 122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height H0 from the bottom surface 111 , when the lower side of the slit 122 is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111 , and when the lower side of the slit 122 is formed at the bottom surface 111 ) may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ases spaced from it.

제1 영역(112)은 상기 절삭유가 일차적으로 유입되는 유입 영역이고, 제2 영역(114)은 격벽(120)의 슬릿(122)을 통해 상기 유입 영역과 연통된 회수 영역일 수 있다. 따라서, 제1 영역(112)으로 유입된 절삭유는 슬릿(122)을 통해 제2 영역(114)으로 흐를 수 있다.The first region 112 may be an inflow region into which the cutting oil is primarily introduced, and the second region 114 may be a recovery region communicated with the inflow region through the slit 122 of the partition wall 120 . Accordingly, the coolant flowing into the first region 112 may flow into the second region 114 through the slit 122 .

배출관(130)은 제1 영역(112)의 일측벽에 저장조(100)의 바닥면(111)으로부터 슬릿(122)의 높이(H0)보다 큰 제1 높이(H1)에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삭유 표면층에서 부유하는 폐유는 배출관(130)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The discharge pipe 130 may be formed through one wall of the first region 112 at a first height H1 greater than a height H0 of the slit 122 from the bottom surface 111 of the storage tank 100 . Waste oil floating in the cutting oil surface layer may be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ipe 130 .

회수관(140)은 제2 영역(114) 내의 바닥면(111)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할 수 있다. 회수관(140)은 양단에 유입구(142) 및 배출구(144)를 가질 수 있다. 유입구(142)는 저장조(100)의 바닥면(111)으로부터 슬릿(122)의 높이(H0)보다 큰 제2 높이(H2)를 가질 수 있다. 배출구(144)는 제2 영역(114)의 바닥면(111)에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제2 영역(114) 내의 절삭유는 유입구(142)를 통해 회수관(140) 내부로 유입되고 배출구(144)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The recovery pipe 140 may extend vertically from the bottom surface 111 in the second region 114 . The recovery pipe 140 may have an inlet 142 and an outlet 144 at both ends. The inlet 142 may have a second height H2 greater than a height H0 of the slit 122 from the bottom surface 111 of the storage tank 100 . The outlet 144 may be formed through the bottom surface 111 of the second region 114 . The cutting oil in the second region 114 may be introduced into the return pipe 140 through the inlet 142 and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144 .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배출관(130)의 제1 높이(H1)는 회수관(140)의 유입구(142)의 제2 높이(H2)보다 클 수 있다. 이에 따라, 저장조(110)의 제1 영역(112)에 유입된 폐유(A)는 점도 차이로 인해 일정 높이(H0)이상 채워진 상기 절삭유 표면층에서 부유하고, 상기 절삭유가 더욱 유입됨에 따라 격벽(130)에 의해 제2 영역(114)으로 흐르지 못하고 제1 영역(112) 내에서 상승한 후, 바닥면(111)으로부터 제1 높이(H1)에 형성된 배출관(130)으로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폐유를 제외한 절삭유(B)는 슬릿(122)을 통해 제2 영역(114)으로 흐른 후, 바닥면(111)으로부터 제2 높이(H2)에 형성된 회수관(140)의 유입구(142)를 통해 유입된 후 배출구(144)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In example embodiments, the first height H1 of the discharge pipe 130 may be greater than the second height H2 of the inlet 142 of the recovery pipe 140 . Accordingly, the waste oil A flowing into the first region 112 of the storage tank 110 floats in the coolant surface layer filled to a certain height H0 or more due to the difference in viscosity, and as the coolant flows further, the bulkhead 130 ) does not flow to the second region 114 and rises in the first region 112 , and then may be discharged from the bottom surface 111 through the discharge pipe 130 formed at the first height H1 to the outside. On the other hand, after the cutting oil (B) excluding the waste oil flows into the second region 114 through the slit 122 , the inlet 142 of the return pipe 140 formed at the second height H2 from the bottom surface 111 . ) after being introduced through the outlet 144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배출관(130)을 통해 배출된 폐유(A)는 배출관(130)에 연결된 호스를 통해 외부의 폐유 버킷으로 수집된 후 폐기될 수 있다. 회수관(140)을 통해 배출된 절삭유(B)는 회수관(140)에 연결된 호스를 통해 상기 절삭유 탱크로 회수된 후, 절삭유 펌프에 의해 재순환되어 상기 공작기계로 공급될 수 있다.The waste oil A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ipe 130 may be disposed of after being collected into an external waste oil bucket through a hose connected to the discharge pipe 130 . The coolant (B) discharged through the recovery pipe 140 may be recovered to the coolant tank through a hose connected to the recovery pipe 140 , and then recirculated by a coolant pump and supplied to the machine tool.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절삭유 회수 장치(100)는 제1 영역(112) 내의 일측에 설치되어 유입된 폐유를 일차적으로 수용하기 위한 제3 영역(116)을 정의하는 개방형 브라켓(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개방형 브라켓(150)의 하부에는 상기 폐유가 흐를 수 있는 제2 슬릿(152)이 형성될 수 있다. 제3 영역(116)은 공작기계의 베드로부터 호스를 통해 직접 유입되는 폐유 유입 영역일 수 있다.In exemplary embodiments, the cutting oil recovery device 100 includes an open bracket 150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first area 112 to define a third area 116 for primarily accommodating the introduced waste oil. may include more. A second slit 152 through which the waste oil may flow may be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open bracket 150 . The third region 116 may be a waste oil inflow region directly introduced through a hose from the bed of the machine tool.

제3 영역(116)의 바닥면(117)은 저장조(110)의 바닥면(111)보다 더 높게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브라켓(150)은 상기 폐유를 공급하기 위한 호스를 수용하고 지지할 수 있는 치수를 갖는 구조물일 수 있다.The bottom surface 117 of the third region 116 may be positioned higher than the bottom surface 111 of the storage tank 110 . In addition, the bracket 150 may be a structure having a dimension capable of receiving and supporting the hose for supplying the waste oil.

절삭유 회수 장치(100)는 개방형 브라켓(150) 내에 호스 위치 정렬부(15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호스 위치 정렬부(154)는 제3 영역(116)의 바닥면(117)으로부터 상부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호스의 일단부를 접촉 지지하여 상기 호수의 일단부를 바닥면(117)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위치시킬 수 있다. 호스 위치 정렬부(154)는 상기 호스가 개방형 브라켓(150) 내에 너무 깊게 꽂혀 상기 폐유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The coolant recovery device 100 may further include a hose positioning unit 154 in the open bracket 150 . The hose alignment part 154 is formed to protrude upward from the bottom surface 117 of the third region 116 to contact and support one end of the hose to position one end of the hose to be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117. there is. The hose positioning unit 154 may prevent the hose from being inserted too deeply into the open bracket 150 to obstruct the flow of the waste oil.

따라서, 상기 공작기계의 베드로부터 호스를 통해 수집된 폐유는 제3 영역(116)으로 일차적으로 유입된 후, 제2 슬릿(152)을 통해 제1 영역(112)으로 흐를 수 있다.Accordingly, the waste oil collected from the bed of the machine tool through the hose may flow into the first region 112 through the second slit 152 after first flowing into the third region 116 .

이하에서는, 상기 절삭유 회수 장치를 포함하는 공작기계의 절삭유 회수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cutting oil recovery system of a machine tool including the coolant recovery device will be described.

도 5a 및 도 5b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절삭유 회수 시스템을 나타내는 사시도들이다.5A and 5B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coolant recovery system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도 1,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공작기계의 절삭유 회수 시스템은 공작기계에서 사용된 절삭유를 수집하기 위한 절삭유 탱크(10), 절삭유 탱크(10) 상부에 설치되며 절삭유 탱크(10) 내의 상기 절삭유 내의 오일을 분리하기 위한 오일 스키머(oil skimmer)(20, 22), 절삭유 탱크(10) 내의 상기 절삭유를 상기 공작기계로 공급하기 위한 절삭유 펌프(30), 및 절삭유 탱크(10) 및 오일 스키머(20, 22) 사이에 배치되어 오일 스키머(20, 22)로부터 분리된 오일(폐유)이 포함된 절삭유를 회수하기 위한 절삭유 회수 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1, 5A and 5B, the coolant recovery system of the machine tool is installed on the coolant tank 10 for collecting the coolant used in the machine tool, the coolant tank 10, and the coolant tank 10 Oil skimmers 20 and 22 for separating oil in the coolant, a coolant pump 30 for supplying the coolant in the coolant tank 10 to the machine tool, and a coolant tank 10 and oil It is disposed between the skimmers 20 and 22 and may include a cutting oil recovery device 100 for recovering cutting oil including oil (waste oil) separated from the oil skimmers 20 and 22 .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절삭유 회수 시스템은 도 5a의 튜브 타입의 오일 스키머(20) 또는 도 5b의 벨트 타입의 오일 스키머(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일 스키머는 절삭유 탱크(10) 내의 절삭유에서 일차적으로 폐유를 분리한 후, 상기 폐유를 절삭유 회수 장치(100)의 제1 영역(112)으로 공급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폐유는 절삭유 일부와 함께 절삭유 회수 장치(100)의 제1 영역(112)으로 유입될 수 있다.In example embodiments, the coolant recovery system may include a tube type oil skimmer 20 of FIG. 5A or a belt type oil skimmer 22 of FIG. 5B . The oil skimmer may supply the waste oil to the first area 112 of the cutting oil recovery device 100 after first separating the waste oil from the cutting oil in the cutting oil tank 10 . At this time, the waste oil may be introduced into the first region 112 of the cutting oil recovery device 100 together with a portion of the cutting oil.

일정 높이만큼 채워진 절삭유 표면층에서 부유하는 폐유는 격벽(130)에 의해 제2 영역(114)으로 흐르지 못하고 상기 절삭유의 공급으로 인하여 제1 영역(112) 내에서 상승하여 배출관(13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배출관(130)을 통해 배출된 폐유는 배출관(130)에 연결된 호스를 통해 외부의 폐유 버킷(50)으로 수집된 후 폐기될 수 있다.Waste oil floating in the coolant surface layer filled to a certain height does not flow to the second region 114 by the partition wall 130 , but rises in the first region 112 due to the supply of the coolant and goes out through the discharge pipe 130 . can be emitted. The waste oil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ipe 130 may be collected and then disposed of in an external waste oil bucket 50 through a hose connected to the discharge pipe 130 .

한편, 상기 폐유가 제거된 절삭유는 슬릿(122)을 통해 제2 영역(114)으로 흐른 후, 회수관(140)의 유입구(142)를 통해 유입된 후 배출구(144)를 통해 절삭유 탱크(10)로 배출될 수 있다. 절삭유 탱크(10) 내로 여과된 절삭유는 절삭유 펌프(30)에 의해 상기 공작기계로 다시 공급되어 공작물 가공시 발생하는 열과 절삭칩을 제거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olant from which the waste oil has been removed flows into the second region 114 through the slit 122 , and then flows into the inlet 142 of the recovery pipe 140 , and then flows into the coolant tank 10 through the outlet 144 . ) can be released. The coolant filtered into the coolant tank 10 is supplied back to the machine tool by the coolant pump 30 to be used to remove heat and chips generated during workpiece machining.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절삭유 회수 장치는 공작기계의 베드로부터 배출되는 폐유가 포함된 절삭유를 수집하고 상기 절삭유 표면층에 부유하는 폐유를 배출관(130)를 통해 배출시키고 상기 폐유를 제외한 절삭유는 격벽(120)의 슬릿(122)을 통해 별도의 제2 영역(114)으로 이동시킨 후 회수관(140)을 통해 절삭유 탱크로 다시 회수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utting oil recovery device collects the cutting oil containing the waste oil discharged from the bed of the machine tool, and discharges the waste oil floating on the surface layer of the cutting oil through the discharge pipe 130, and the cutting oil excluding the waste oil is separated by the bulkhead 120 ) through the slit 122 to move to a separate second area 114 , it can be recovered back to the coolant tank through the recovery pipe 140 .

또한, 상기 절삭유 회수 장치는 튜브 타입 또는 벨트 타입의 오일 스키머로부터 일차적으로 여과된 절삭유를 수집한 후, 상기 절삭유 탱크로 다시 회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삭유 회수 장치는 튜브 타입 또는 벨트 타입의 오일 스키머로부터 일차적으로 여과된 절삭유를 수집한 후, 상기 절삭유 표면층에 부유하는 폐유를 배출관(130)을 통해서 배출시키고 상기 폐유를 제외한 절삭유는 회수관(140)을 통해 상기 절삭유 탱크로 다시 회수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utting oil recovery device may collect the firstly filtered cutting oil from the tube type or belt type oil skimmer, and then recover it back to the cutting oil tank. In addition, the cutting oil recovery device collects the firstly filtered cutting oil from the tube type or belt type oil skimmer, and then discharges the waste oil floating on the cutting oil surface layer through the discharge pipe 130, and the cutting oil excluding the waste oil is collected through the recovery pipe It can be recovered back to the coolant tank through (140).

따라서, 상기 절삭유 회수 장치는 윤활유와 절삭유 사이의 점도 차이를 이용하여 상기 절삭유 내의 상기 윤활유를 용이하게 분리시키고 절삭유가 과다하게 소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삭유 회수 장치는 상기 오일 스키머의 종류에 관계없이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ly, the cutting oil recovery device can easily separate the lubricant in the cutting oil by using the difference in viscosity between the lubricant and the cutting oil and prevent excessive consumption of the cutting oil. In addition, since the cutting oil recovery device can be used regardless of the type of the oil skimmer, user convenience can be improved.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variously modify and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You will understand that you can.

10: 절삭유 탱크 20, 22: 오일 스키머
30: 절삭유 펌프 50: 폐유 버킷
100: 절삭유 회수 장치 110: 저장조
111: 바닥면 112: 제1 영역
114: 제2 영역 116: 제3 영역
117: 바닥면 120: 격벽
122: 슬릿 130: 배출관
140: 회수관 142: 유입구
144: 배출구 150: 개방형 브라켓
152: 제2 슬릿 154: 호스 위치 정렬부
10: coolant tank 20, 22: oil skimmer
30: coolant pump 50: waste oil bucket
100: coolant recovery device 110: storage tank
111: bottom surface 112: first area
114: second area 116: third area
117: bottom surface 120: bulkhead
122: slit 130: discharge pipe
140: return pipe 142: inlet
144: outlet 150: open bracket
152: second slit 154: hose position alignment unit

Claims (8)

공작기계에서 사용된 절삭유를 수집하기 위한 절삭유 탱크;
상기 절삭유 탱크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절삭유 탱크 내의 상기 절삭유 내의 오일을 분리하기 위한 오일 스키머;
상기 절삭유 탱크 내의 상기 절삭유를 상기 공작기계로 공급하기 위한 절삭유 펌프;
상기 절삭유 탱크 및 상기 오일 스키머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오일 스키머로부터 분리된 폐유가 포함된 절삭유를 회수하기 위한 절삭유 회수 장치; 및
상기 절삭유 회수 장치로부터 배출된 상기 폐유를 수집하기 위한 폐유 버킷을 포함하고,
상기 절삭유 회수 장치는,
유입된 절삭유를 수집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공간을 제1 영역과 제2 영역으로 구분하며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상기 절삭유가 흐르는 제1 슬릿이 형성된 격벽을 갖는 저장조;
상기 제1 영역 내의 상기 저장조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제1 슬릿의 높이보다 큰 제1 높이에 형성되어 상기 절삭유 표면층에서 부유하는 폐유를 상기 폐유 버킷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관;
상기 제2 영역 내의 상기 저장조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제1 슬릿의 높이보다 큰 제2 높이에서 상기 절삭유가 유입되는 유입구를 가지며 상기 유입된 절삭유를 하부에 위치하는 상기 절삭유 탱크로 회수하기 위한 회수관;
상기 제1 영역 내의 일측에 설치되어 폐유를 수용하기 위한 제3 영역을 정의하며, 상기 제3 영역으로 유입된 폐유를 상기 제1 영역으로 공급하도록 하부에 상기 폐유가 흐를 수 있는 제2 슬릿이 형성된 개방형 브라켓; 및
상기 개방형 브라켓 내에 배치되며 상기 제3 영역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폐유를 공급하기 위한 호스의 일단부를 접촉 지지하는 호스 위치 정렬부를 포함하고,
상기 오일 스키머에 의해 상기 절삭유 탱크 내의 절삭유에서 일차적으로 분리된 폐유는 상기 저장조의 상기 제1 영역으로 유입되고,
상기 공작기계의 베드로부터의 폐유는 상기 호스를 통해 상기 저장조의 상기 제3 영역으로 직접 유입되는 공작기계의 절삭유 회수 시스템.
a coolant tank for collecting coolant used in machine tools;
an oil skimmer installed above the coolant tank and configured to separate oil in the coolant in the coolant tank;
a coolant pump for supplying the coolant in the coolant tank to the machine tool;
a cutting oil recovery device disposed between the cutting oil tank and the oil skimmer and configured to recover cutting oil including waste oil separated from the oil skimmer; and
and a waste oil bucket for collecting the waste oil discharged from the cutting oil recovery device,
The cutting oil recovery device,
a storage tank that provides a space for collecting the introduced coolant, divides the space into a first area and a second area, and has a partition having a first slit through which the coolant flows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a bottom surface;
a discharge pipe formed at a first height greater than a height of the first sli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storage tank in the first region to discharge waste oil floating in the cutting oil surface layer to the waste oil bucket;
a recovery pipe having an inlet through which the coolant is introduced at a second height greater than the height of the first sli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storage tank in the second region and for recovering the coolant to the coolant tank located below;
It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first region to define a third region for accommodating the waste oil, and a second slit through which the waste oil can flow is formed at a lower portion to supply the waste oil introduced into the third region to the first region. open bracket; and
It is disposed in the open bracket and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third region and includes a hose position alignment part for contacting and supporting one end of a hose for supplying the waste oil,
The waste oil primarily separated from the cutting oil in the cutting oil tank by the oil skimmer flows into the first area of the storage tank,
The waste oil from the bed of the machine tool is directly introduced into the third area of the storage tank through the hos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의 상기 제1 높이는 상기 회수관의 상기 유입구의 상기 제2 높이보다 큰 공작기계의 절삭유 회수 시스템.The cutting oil recovery system for a machine tool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height of the discharge pipe is greater than the second height of the inlet of the return pip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관은 상기 저장조 바닥면을 관통하여 상기 유입구로부터 유입된 상기 절삭유가 배출되는 배출구를 갖는 공작기계의 절삭유 회수 시스템.The cutting oil recovery system of a machine tool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covery pipe has an outlet through which the cutting oil introduced from the inlet is discharged through the bottom surface of the storage tank.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관은 상기 제2 영역 내의 상기 저장조 바닥면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하는 공작기계의 절삭유 회수 시스템.The cutting oil recovery system for a machine tool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covery pipe extends vertically from a bottom surface of the storage tank in the second area.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영역의 바닥면은 상기 저장조의 바닥면보다 더 높은 공작기계의 절삭유 회수 시스템.The cutting oil recovery system for a machine tool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bottom surface of the third region is higher than a bottom surface of the storage tank.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 스키머는 튜브 타입의 오일 스키머 또는 벨트 타입의 오일 스키머를 포함하는 공작기계의 절삭유 회수 시스템.The cutting oil recovery system of a machine tool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il skimmer comprises a tube-type oil skimmer or a belt-type oil skimmer.
KR1020170036213A 2017-03-22 2017-03-22 Cutting oil recorvery apparatus for tool machine KR10238439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6213A KR102384397B1 (en) 2017-03-22 2017-03-22 Cutting oil recorvery apparatus for tool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6213A KR102384397B1 (en) 2017-03-22 2017-03-22 Cutting oil recorvery apparatus for tool mach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7626A KR20180107626A (en) 2018-10-02
KR102384397B1 true KR102384397B1 (en) 2022-05-10

Family

ID=638638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6213A KR102384397B1 (en) 2017-03-22 2017-03-22 Cutting oil recorvery apparatus for tool machi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4397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2660B1 (en) 2018-12-12 2023-11-15 주식회사 디엔솔루션즈 Waste oil recovery device of machine tools
CN110039371A (en) * 2019-06-05 2019-07-23 张家港市金帆箱柜有限公司 A kind of volume bits chip removal mechanism device
KR102302334B1 (en) 2019-12-24 2021-09-15 (주)앰스코 Cutting Oil Collecting Apparatus having air injection part
CN113996870B (en) * 2021-10-12 2023-09-05 杭州前方齿轮有限公司 Cutting oil circulating device for gear production equipm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221461A (en) * 2013-05-14 2014-11-27 富士機械製造株式会社 Oil separator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5694A (en) * 2006-04-05 2006-04-26 이준호 Cutting oil refine machin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221461A (en) * 2013-05-14 2014-11-27 富士機械製造株式会社 Oil separ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7626A (en) 2018-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84397B1 (en) Cutting oil recorvery apparatus for tool machine
KR101331286B1 (en) Oil-water separator embedded type refining machine
JP6754714B2 (en) Coolant treatment equipment
KR102122995B1 (en) Filtration device
JP3952160B2 (en) Cutting fluid filtration device
EP3408001B1 (en) Industrial cleaning installation with a filter arrangement and corresponding process
CN111069970A (en) Cutting fluid tank for machine tool
KR20180005494A (en) Chip disposal apparatus for machine tool
KR200489987Y1 (en) Equipment for purifying cutting oil of machine tools by using vacuum
JP5770776B2 (en) Oil Exceptioner
CN115485099A (en) Fine chip processing device for machine tool
KR101806409B1 (en) Oil Separator
KR20070098967A (en) The assistant coolant tank for excluding steel chips
KR20080006380U (en) Coolant recycle unit
JP5470657B2 (en) Treatment liquid purification device
JP6547302B2 (en) Coolant debris recovery system
JP2015231644A (en) Sludge recovery device
KR101788816B1 (en) cutting oil collecting device in cutting sludge
KR102237989B1 (en) Apparatus for separating oil-water
KR20060030859A (en) Recovery device with bucket for scooping up floating objects
JP6893547B2 (en) Oil separation and recovery device
JP5425734B2 (en) Oil-water separation method and oil-water separation system
TWI632979B (en) Oil water separation device
KR20200121072A (en) Apparatus for removing sludge and oil film in cutting oil tank for tool machine
JP7052211B2 (en) Sewage receiving device and sewage receiv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