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4159B1 - Apparatus and method of membrane structure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of membrane struc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4159B1
KR102384159B1 KR1020210067167A KR20210067167A KR102384159B1 KR 102384159 B1 KR102384159 B1 KR 102384159B1 KR 1020210067167 A KR1020210067167 A KR 1020210067167A KR 20210067167 A KR20210067167 A KR 20210067167A KR 102384159 B1 KR102384159 B1 KR 1023841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membrane
wear
color
sag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716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현수
Original Assignee
태하이앤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태하이앤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태하이앤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671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415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41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415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2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by mea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7/00Indicating measured values
    • G01D7/02Indicating value of two or more variables simultaneousl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3/00Spectrometry; Spectrophotometry; Monochromators; Measuring colours
    • G01J3/46Measurement of colour; Colour measuring devices, e.g. colori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5/00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01L5/04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measuring tension in flexible members, e.g. ropes, cables, wires, threads, belts or bands
    • G01L5/047Specific indicating or recording arrangements, e.g. for remote indication, for indicating overload or underloa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5/00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01L5/04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measuring tension in flexible members, e.g. ropes, cables, wires, threads, belts or bands
    • G01L5/10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measuring tension in flexible members, e.g. ropes, cables, wires, threads, belts or bands using electrical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56Investigating resistance to wear or abras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conomics (AREA)
  • Immu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orce Measurement Appropriate To Specific Purposes (AREA)

Abstract

An objec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ense and display stretching, discoloring, and wear or leakage in a membrane by natural phenomena such as winds, rainwater, snow, and sunlight as time elapses after a membrane structure is installed. To achieve the objective, an apparatus for managing a membrane structure comprises: a sensor unit sensing stretching, color, wear, and leakage of a roof membrane to output sensing signals in accordance with the sensed stretching, color, wear, and leakage; a control unit analyzing a stretching sensing signal, a color sensing signal, a wear sensing signal, and a leakage sensing signal outputted by the sensor unit, and outputting stretching information, color change information, wear change information, and leakage information in accordance with the analysis; and a display unit displaying the stretching information, the color change information, the wear change information, and the leakage information.

Description

막구조물의 관리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OF MEMBRANE STRUCTURE}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membrane structures {APPARATUS AND METHOD OF MEMBRANE STRUCTURE}

본 발명은 막구조물의 관리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막구조물이 설치된 후 시간 경과에 따라 상태가 변형되거나 특성이 저하되는 것을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즉시 조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nagement technology of a membrane structure, and more particularly, it detects in real time that a state of a membrane structure is deformed or a characteristic deteriorates over time after the membrane structure is installed, so that an immediate action can be taken.

막구조(membrane structure)이란 코팅된 직물(coated fabrics)을 주재료로 사용하는 구조물로서 건축적 표현가능성의 다양함과 아름다운 조형미 등에 기인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사용되는 막재료의 투광성 때문에 내부공간이 밝고 경량성, 시공성 등에서 이점이 있으며, 새로운 막재료의 개발에 따라 기존의 다른 구조 방식과 비교하여 동등의 안정성과 내구성을 갖추고 있다. 대규모 스타디움, 야외 공연장, 야외 무대, 그늘막, 시장통로 아케이트, 각종 스포츠 시설물의 주요한 구조 방식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박람회 관련시설 뿐만 아니라 재래시장 개량화, 파고라, 주택 등에서도 그 적용 사례를 찾아볼 수 있다.A membrane structure is a structure using coated fabrics as the main material, and is widely used due to the diversity of architectural expressiveness and beautiful formative beauty. In addition, due to the light transmittance of the membrane material used, the interior space is bright, light weight, and workability, etc. It is widely used as a major structural method for large-scale stadiums, outdoor performance halls, outdoor stages, shade curtains, market passage arcades, and various sports facilities. .

그런데, 막구조물의 유지보수기술 및 재난예방 기술의 한계로 인하여 폭설 및 태풍에 의해 파손되어 복구 및 재시공 되는 대형 막구조물이 많이 발생되고 있는 실정에 있다. However, due to the limitations of the maintenance technology and disaster prevention technology of the membrane structure, a large number of large membrane structures that are damaged by heavy snow and typhoons are being restored and reconstructed.

막구조물(연성구조물)은 특성상 대변위 거동을 하기 때문에 풍하중에 의한 공진하중이 작용할 경우 대변위가 발생되어 효과에 의해 작은 바람에 의해서도 구조물이 붕괴되는 취약함을 가지고 있다. 또한, 막구조물은 크리프(Creep)현상이 발생되면 초기장력이 손실되며, 그에 의해 외부하중에 의한 변위발생이 커지므로 구조물이 취약해 짐에 따라 초기장력을 계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게 된다. 또한, 구조물 설계시에 예상하지 못한 적설하중이 연성구조물에 작용하면 폰딩현상(Ponding)이 발생되고 변형된 구조물에 추가적으로 적설이 작용하여 적설하중에 의해 붕괴될 수 있으므로 폰딩현상이 발생 되지 않게 변위를 제어할 수 있는 장치가 요구된다. 예를 들어, 구조물 설계시에 예상치 못한 강한 외력(태풍, 토네이도 등)이 막구조물에 작용하면 막의 떨림현상(Fluttering)이 발생되어 공진효과에 의해 붕괴될 수 있으므로 막의 떨림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진동을 감쇠시켜 줄 제어장치가 제안될 수 있다.Membrane structures (ductile structures) have large displacement behavior in nature, so when a resonant load by wind loads acts, large displacement occurs, and the structure is vulnerable to collapse even by a small wind. In addition, when the creep phenomenon occurs in the membrane structure, the initial tension is lost, thereby increasing the displacement caused by the external load. . In addition, when an unexpected snow load acts on the flexible structure when designing the structure, a ponding phenomenon occurs and additional snow acts on the deformed structure to collapse due to the snow load. A controllable device is required. For example, when an unexpected strong external force (typhoon, tornado, etc.) acts on the membrane structure during structure design, the membrane may flutter and collapse due to the resonance effect. A control device for damping may be proposed.

이에 대응하기 위한 종래기술로써, 음파를 이용하여 진동을 발생시키고, 발생된 진동을 검출 및 분석하여 막 장력을 측정하는 장치가 있으나 막재의 동적제어를 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또다른 종래기술로써, 음파에 의한 공진 현상을 통해 막 장력을 측정하는 장치가 있으나 동적제어가 불가능하고 상시 모니터링을 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As a prior art to respond to this, there is a device that generates vibration using sound waves, detects and analyzes the generated vibration, and measures the membrane tension, but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dynamic control of the membrane material cannot be performed. As another prior art, there is a device for measuring the membrane tension through a resonance phenomenon caused by sound waves, but there is a problem in that dynamic control is impossible and constant monitoring cannot be performed.

대한민국특허출원 10-2013-0021832 (2013.02.28. 출원)Korean Patent Application 10-2013-0021832 (Applied on February 28, 2013) 대한민국특허출원 10-2004-0028171 (2004.04.23. 출원)Korean Patent Application 10-2004-0028171 (filed on April 23, 2004)

따라서, 본 발명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막구조물이 설치된 후 시간 경과에 따라 바람, 빗물, 눈 및 햇빛 등의 자연현상에 의해 멤브레인(막재)에 늘어짐, 탈색 및 마모가 진행되거나 누수가 발생되는 것을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현장의 표시장치에 출력하거나 사용자의 휴대통신단말기에 전송하는 막구조물의 관리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impro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fter the membrane structure is installed, the membrane (makjae) sags, discolors and wears due to natural phenomena such as wind, rain, snow and sunlight over tim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anagement device for membrane structures that detects progress or leakage in real time and outputs it to a display device on the site or transmits it to a user'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또한, 본 발명은 막구조물이 설치된 후 시간 경과에 따라 바람, 빗물, 눈 및 햇빛 등의 자연현상에 의해 멤브레인(막재)에 늘어짐, 탈색, 마모 및 산화가 진행되거나 누수가 발생되는 것을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현장의 표시장치에 출력하거나 사용자의 휴대통신단말기에 전송하는 막구조물의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lapse of time after the membrane structure is installed,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in real time that the membrane (makjae) is stretched, discolored, abraded, oxidized or leaked due to natural phenomena such as wind, rain, snow and sunlight.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managing a membrane structure that is output to a display device in the field or transmitted to a user'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붕막, 철골빔, 막구조물 프레임 및 지지대를 포함하는 막구조물; 상기 지붕막의 늘어짐, 컬러, 마모 및 누수를 감지하여 그에 따른 감지신호들을 출력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에서 출력되는 늘어짐 감지신호, 컬러 감지신호, 마모 감지신호 및 누수 감지신호를 분석하고, 그에 따른 늘어짐 정보, 컬러변화 정보, 마모변화 정보 및 누수 정보를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늘어짐 정보, 컬러변화 정보, 마모변화 정보 및 누수 정보를 각기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늘어짐 정보, 컬러변화 정보, 마모변화 정보 및 누수 정보를 통신부를 통해 무선통신 단말기와 유선통신 단말기들에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membrane structure including a roof membrane, a steel beam, a membrane structure frame and a support; a sensor unit for detecting sagging, color, abrasion and leakage of the roof film and outputting sensing signals accordingly; a control unit that analyzes the sagging detection signal, the color detection signal, the wear detection signal and the leak detection signal output from the sensor unit, and outputs sagging information, color change information, wear change information and water leakage information accordingly;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sagging information, color change information, wear change information, and water leakage information, respectively; and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sagging information, color change information, wear change information, and water leakage information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wired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본 발명의 센서부는 상기 지붕막의 늘어짐을 감지하여 상기 늘어짐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장력감지모듈; 상기 지붕막의 임의의 부위에 대한 컬러를 감지하여 상기 컬러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컬러감지센서; 상기 지붕막의 임의의 부위에 대한 마모 정도를 감지하여 상기 마모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마모감지센서; 및 상기 지붕막의 임의의 부위에 대한 누수를 감지하여 상기 누수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누수감지센서;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The sensor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ension sensing module for detecting the sagging of the roof membrane and outputting the sagging detection signal; a color detection sensor that detects a color for an arbitrary portion of the roof film and outputs the color detection signal; a wear sensor for detecting the degree of wear on an arbitrary part of the roof membrane and outputting the wear detection signal; and a leak detection sensor that detects a leak in an arbitrary portion of the roof membrane and outputs the leak detection signal. It is characterized in the technical configuration to include one or more of them.

본 발명의 장력감지모듈은 U자형 스트립을 통해 상기 지붕막에 연결되되, 서포트 플레이트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장력볼트; 상기 지붕막과의 장력에 의한 압력변화를 전기신호로 변환 출력하는 압력센서; 및 상기 압력센서의 후단에 체결된 고정너트의 전단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너트의 풀림을 방지하는 풀림방지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The tension sensing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ension bolt connected to the roof membrane through a U-shaped strip, and movably installed on a support plate; a pressure sensor that converts and outputs a pressure change due to tension with the roof membrane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an anti-loosening nut installed at the front end of the fixing nut fastened to the rear end of the pressure sensor to prevent loosening of the fixing nut.

본 발명의 장력감지모듈은 상기 지붕막의 센싱 대상 부위가 늘어나는 것에 상응되게 장력을 증가시켜 원래의 장력이 유지되게 하는 유압잭을 더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The tension sensing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a hydraulic jack for maintaining the original tension by increasing the tension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sensing target portion of the roof membrane.

본 발명의 압력센서는 로드셀(Load cell)인 것을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The pressure sens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 load cell in terms of technical configuration.

본 발명의 표시부는 상기 늘어짐 정보, 컬러변화 정보, 마모변화 정보 및 누수 정보를 표시할 때 감지된 시간, 정도 및 위치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The display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its technical configuration to display the sensed time, degree and position information when displaying the sagging information, color change information, wear change information, and water leakage information.

또한, 목적한 장소에 막구조물이 설치되는 막구조물 설치 단계; 상기 막구조물에 센서부가 설치되는 센서부 설치 단계; 상기 센서부를 통해 상기 막구조물의 지붕막에 대한 장력변화, 컬러변화, 마모변화 및 누수가 감지되는 지붕막 감지 단계; 및 상기 지붕막에 대한 센싱 결과가 표시되는 센싱결과 표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a membrane structure installation step in which the membrane structure is installed at a target place; a sensor unit installation step in which the sensor unit is installed on the membrane structure; a roof film sensing step of detecting a change in tension, a color change, a change in wear, and a leak of the roof film of the film structure through the sensor unit; and a sensing result display step of displaying a sensing result for the roof membrane.

본 발명의 막구조물의 관리 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a membran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are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막구조물이 설치된 후 시간 경과에 따라 바람, 빗물, 눈 및 햇빛 등의 자연현상에 의해 멤브레인에 늘어짐, 탈색 및 마모가 진행되거나 누수가 발생되는 것을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현장의 표시장치에 출력하거나 사용자의 휴대통신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게 함으로써, 막구조물을 안정된 상태로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First, over time after the membrane structure is installed, it detects in real time that the membrane is stretched, discolored, abraded, or leaked due to natural phenomena such as wind, rain, snow, and sunlight, and outputs it to the on-site display device. By enabling transmission to the user's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 is an effect that the membrane structure can be managed in a stable state.

둘째, 멤브레인에 늘어짐, 탈색 및 마모가 진행되거나 누수가 발생되는 것을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현장의 표시장치에 출력하거나 사용자의 휴대통신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게 함으로써, 관리자가 별다른 주의를 기울이지 않고도 문제가 발생할 때 즉시 조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Second, it detects sagging, discoloration, abrasion, or leakage of the membrane in real time and outputs it to the on-site display device or transmits it to the user'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taken immediately.

셋째, 멤브레인에 늘어짐, 탈색 및 마모가 진행되거나 누수가 발생되는 것을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현장의 표시장치에 출력하거나 사용자의 휴대통신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게 함으로써, 막구조물의 수명이 최대한으로 연장되는 효과가 있다. Third, the effect of maximally extending the life of the membrane structure by detecting sagging, discoloration, abrasion, or leakage of the membrane in real time and outputting it to the on-site display device or transmitting it to the user'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 i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막구조물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막구조물의 관리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장력감지모듈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4a는 늘어짐 정보의 표시 예시도이다.
도 4b는 컬러변화 정보의 표시 예시도이다.
도 4c는 마모 변화 정보의 표시 예시도이다.
도 4d는 누수 정보의 표시 예시도이다.
도 5a는 컬러감지센서의 구현 예시도이다
도 5b는 메인칩의 선택 옵션에 대한 테이블이이다.
도 5c는 컬러감지센서를 통해 감지한 색좌표의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막구조물의 관리 방법의 순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membran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of an apparatus for managing a membran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a tension sensing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A is an exemplary diagram of display of sagging information.
4B is a diagram illustrating display of color change information.
4C is an exemplary view of display of wear change information.
Figure 4d is an exemplary view of the leak information display.
5A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mplementation of a color sensor.
5B is a table for selection options of the main chip.
5C is an exemplary diagram of color coordinates detected by a color sensor.
6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managing a membran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하고,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으로 보아서는 아니 되며,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 term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conventional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 can proper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to describe his invention in the best way. Based on the principle,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inc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not be regarded as representing all of them,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various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한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information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막구조물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막구조물의 관리 장치의 블록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membran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block diagram of an apparatus for managing a membran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막구조물(100)은 지붕막(110), 철골빔(110A), 막구조물 프레임(120) 및 지지대(13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 , the membrane structur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oof membrane 110 , a steel beam 110A, a membrane structure frame 120 and a support 130 .

지붕막(110)은 방수성을 갖고, 빛을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차단하는 막재이다.The roof membrane 110 is a membrane material that has waterproof properties and partially or completely blocks light.

철골빔(110A)은 지붕막(110)을 하측에서 지지하여 목적한 형상을 유지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철골빔(110A)은 일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복수개 구비된다. 철골빔(110A)은 직선이나 호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steel beam 110A serves to support the roof membrane 110 from the lower side to maintain a desired shape. At this time, a plurality of steel beams (110A) are provided in parallel along one direction. The steel beam 110A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 straight line or an arc shape.

막구조물 프레임(120)은 철골빔(110A)의 양측 변에 설치되어 철골빔(110A)의 양측 가장자리를 연결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막구조물 프레임(120)은 충분한 강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막구조물 프레임(120)은 지붕막(110)의 양측 가장자리를 당겨서 펴진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Membrane structure frame 120 i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steel beam (110A) serves to connect and fix both edges of the steel beam (110A). The membrane structure frame 120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sufficient rigidity, and can be deformed into various shapes. In addition, the membrane structure frame 120 serves to pull both edges of the roof membrane 110 to maintain the expanded state.

지지대(130)는 막구조물 프레임(12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지지대(13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이 가능하고, 철골빔(110A)과 지지대(130)는 충분한 강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다.The support 130 serves to support the membrane structure frame 120 . The support 130 can be deformed into various shapes, and the steel beam 110A and the support 130 are made of a material having sufficient rigidity.

따라서, 막구조물(100)이 처음 설치된 상태에서 지붕막(110A)은 전체적으로 구겨지거나 처진 부분이 없이 펴진 상태를 유지한다. Therefore, in the state in which the membrane structure 100 is initially installed, the roof membrane 110A maintains an unfolded state without wrinkling or sagging as a whole.

지붕막(110A)은 시간 경과에 따라 바람, 빗물, 눈 및 햇빛 등의 자연현상에 의해 늘어짐, 탈색 및 마모가 진행되거나 누수가 발생될 수 있다.The roof membrane 110A may sag, discolor, and wear or leak due to natural phenomena such as wind, rain, snow, and sunlight over time.

그러나, 도 2와 같은 막구조물의 관리 장치(200)에 의해 지붕막(110A)은 시간 경과에 관계없이 원래의 펴진 상태를 계속 유지할 수 있게 되는데,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owever, the roof membrane 110A can continue to maintain its original unfolded state regardless of the lapse of time by the apparatus 200 for managing the membrane structure as shown in FIG. 2 ,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막구조물의 관리장치(200)는 센서부(210), 제어부(220), 표시부(230), 통신부(240), 무선통신 단말기(250) 및 유선통신 단말기(26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2 , the apparatus 200 for managing a membran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nsor unit 210 , a control unit 220 , a display unit 230 , a communication unit 240 ,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250 , and a wired communication terminal. (260).

센서부(210)는 지붕막(110A)이 시간 경과에 따라 바람, 빗물, 눈 및 햇빛 등의 자연현상에 의해 늘어짐, 탈색 및 마모가 진행되거나 누수가 발생되는 것을 감지하여 그에 따른 감지신호를 출력하고, 지붕막(110A)이 늘어진 것을 자체적으로 바로잡는 역할을 한다.The sensor unit 210 detects that the roof membrane 110A is stretched, discolored and worn or leaked due to natural phenomena such as wind, rainwater, snow and sunlight over time, and outputs a detection signal accordingly. And, it serves to correct the slack of the roof membrane (110A) itself.

이를 위해, 센서부(210)는 장력감지모듈(210A), 컬러감지센서(210B),마모감지센서(210C) 및 누수감지센서(210D)를 포함한다.To this end, the sensor unit 210 includes a tension detection module 210A, a color detection sensor 210B, a wear detection sensor 210C, and a water leak detection sensor 210D.

장력감지모듈(210A)은 지붕막(110A)의 늘어짐(또는 처짐)을 감지하여 그에 따른 감지신호를 출력하고, 늘어진 것을 자체적으로 원래의 상태로 바로잡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지붕막(110A)의 전체에 대해 늘어짐을 감지하기 위하여 지붕막(110A)의 4개의 가장자리 변 중에서 마주하는 두 개의 변에 복수 개의 장력감지모듈(210A)들을 설치하였다. The tension sensing module 210A may detect the sagging (or sagging) of the roof membrane 110A, output a sensing signal corresponding thereto, and serve to correct the slack to its original state. A plurality of tension sensing modules 210A were installed on two opposite sides of the four edge sides of the roof membrane 110A in order to sense the sagging of the entire roof membrane 110A.

본 실시예에서는 지붕막(110A)의 4개의 가장자리 변 중에서 임의의 변을 제1변(X1)이라 하고, 나머지 3개의 변을 시계 반대방향으로 제2 내지 제4변(X2-X4)이라 할 때, 마주하는 두 개의 변인 제1변(X1)과 제4변(X4)에 복수 개의 장력감지모듈(210A)들을 설치하였다. 제1변(X1)과 제4변(X4)에 각각 복수 개의 장력감지모듈(210A)들이 설치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각각 6개의 장력감지모듈(210A)들 등간격으로 설치하였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an arbitrary side among the four edge sides of the roof membrane 110A will be referred to as a first side X1, and the remaining three sides will be referred to as second to fourth sides X2-X4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At this time, a plurality of tension sensing modules 210A were installed on the first side X1 and the fourth side X4, which are two sides facing each other. A plurality of tension sensing modules 210A may be installed on the first side X1 and the fourth side X4, respectively. In this embodiment, each of the six tension sensing modules 210A is installed at equal intervals.

제1변(X1)과 제4변(X4)에 각기 6개 씩 설치된 장력감지모듈(210A)들은 서로 동일한 구조를 가지며 동일한 역할을 하므로, 이들 중에서 하나를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로, 도 3은 지붕막(110A)의 제1변(X1)에 설치된 6개의 장력감지모듈(210A)들 중에서 최좌측에 설치된 첫 번째의 장력감지모듈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장력감지모듈(210A)은 장력볼트(141), 압력센서(142), 유압잭(143), 풀림방지너트(144) 및 고정너트(145)를 포함한다.Tension sensing modules 210A installed on each of the first side X1 and the fourth side X4 each have the same structure and perform the same role, so one of them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as follows. . For reference, FIG. 3 shows the first tension sensing module installed on the left among the six tension sensing modules 210A installed on the first side X1 of the roof membrane 110A. Referring to FIG. 3 , the tension sensing module 210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ension bolt 141 , a pressure sensor 142 , a hydraulic jack 143 , an anti-loosening nut 144 and a fixing nut 145 .

장력볼트(141)는 U자형 스트립(111)을 매개로 하여 지붕막(110)에 연결되어 있다. 장력볼트(141)는 서포트 플레이트(112)에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삽입 설치된다. The tension bolt 141 is connected to the roof membrane 110 via the U-shaped strip 111 . The tension bolt 141 is inserted and installed in the support plate 112 to move freely.

압력센서(142)는 지붕막(110)과의 장력에 의한 압력변화를 전기신호로 변환 출력한다. 압력센서(142)의 종류는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로드셀(Load cell)이 사용될 수 있다.The pressure sensor 142 converts and outputs a pressure change due to tension with the roof membrane 110 into an electrical signal. The type of the pressure sensor 142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ways, for example, a load cell may be used.

유압잭(143)은 지붕막(110)에서 발생하는 크리프, 적설하중, 풍하중 등에 의해 지붕막(110)의 해당 부위가 늘어지거나 처지는 것에 상응되게 장력을 증가시켜 원래의 장력이 유지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The hydraulic jack 143 increases the tension corresponding to the sagging or sagging of the corresponding portion of the roof membrane 110 due to creep, snow load, wind load, etc. occurring in the roof membrane 110, thereby maintaining the original tension. .

풀림방지너트(144)는 고정너트(145)의 풀림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풀림방지너트(144)는 고정너트(145)의 전단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anti-loosening nut 144 serves to prevent loosening of the fixing nut 145 . For this purpose, the anti-loosening nut 144 is preferably installed at the front end of the fixing nut 145 .

고정너트(145)의 조임 위치에 따라 장력감지모듈(210A) 내부에 설치된 압축스프링의 반발력이 조절되어 지붕막(110)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지붕막(110)에 안정된 장력이 인가될 때 장력감지모듈(210A) 내부에 설치된 한 쌍의 스프링 캡의 사이에 일정한 완충 갭이 유지되도록 고정너트(145)가 조절되어 설치된다.According to the tightening position of the fixing nut 145 , the repulsive force of the compression spring installed inside the tension sensing module 210A is adjusted to adjust the tension of the roof membrane 110 . At this time, when a stable tension is applied to the roof membrane 110, the fixing nut 145 is adjusted so that a constant buffer gap is maintained between the pair of spring caps installed inside the tension sensing module 210A.

제어부(220)는 압력센서(142)에서 출력되는 압력변화신호를 근거로 지붕막(110)의 해당 부위가 늘어진 정도를 분석하여 그 분석된 늘어짐 정보를 표시부(230)에 표시함과 아울러 통신부(240)에 출력한다.The control unit 220 analyzes the degree of elongation of the corresponding portion of the roof membrane 110 based on the pressure change signal output from the pressure sensor 142 and displays the analyzed elongation information on the display unit 230 as well as the communication unit ( 240) is printed.

이때, 제어부(220)가 상기 늘어짐 정보를 표시부(230)에 표시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다. 상기 늘어짐 정보는 지붕막의 늘어짐이 감지된 시간정보, 늘어짐이 발생된 위치 및 늘어짐의 정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늘어짐의 정도를 미리 설정된 몇 단계(예: 10단계)로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으며, 장력조정이 필요하다는 메시지를 함께 표시할 수도 있다. 도 4a는 이와 같은 늘어짐 정보의 표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늘어짐이 감지된 시간은 2021.03.31.이고, 늘어짐의 정도는 20%이며, 늘어짐이 발생된 위치는 X12 섹터인 것을 나타내었다. 여기서, 늘어짐의 백분율 100%는 미리 설정된 늘어짐의 한계치를 의미한다. In this case, there may be various methods for the control unit 220 to display the sagging information on the display unit 230 . The sagging information may include time information at which sagging of the roof membrane is sensed, a location where sagging occurs, and a degree of sagging. Here, the degree of sagging can be displayed by dividing it into several preset steps (eg, 10 steps), and a message indicating that tension adjustment is required can also be displayed. 4A shows an example of display of such sagging information. Here, the time at which the sagging was sensed was 2021.03.31., the degree of sagging was 20%, and it was shown that the location where the sagging occurred was the X12 sector. Here, 100% of the sagging percentage means a preset limit of sagging.

이에 대하여, 통신부(240)는 상기 지붕막(110)의 늘어짐 정보를 유선통신 단말기(260)에 유선을 통해 전송함과 아울러, 다른 한편으로는 무선통신망을 통해 무선통신 단말기(250)에 전송한다.In contrast, the communication unit 240 transmits the information on the sagging of the roof membrane 110 to the wired communication terminal 260 through a wire, and on the other hand, transmits it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250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

이에 따라, 막구조물 관리자는 현장에 있을 때, 표시부(230)를 통해 지붕막(110)의 늘어짐 정보를 실시간으로 인식할 수 있고, 외부에 있는 경우에는 데스크탑이나 노트북 컴퓨터 등의 유선통신 단말기(260)를 통해 지붕막(110)의 늘어짐 정보를 실시간으로 인식할 수 있으며,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피씨(PC)와 같은 무선통신 단말기(250)를 통해 실시간으로 인식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membrane structure manager can recognize the sagging information of the roof membrane 110 in real time through the display unit 230 when in the field, and when outside, a wired communication terminal 260 such as a desktop or notebook computer ) through which information on the sagging of the roof membrane 110 can be recognized in real time, and can be recognized in real time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250 such as a smartphone or tablet PC.

이때, 제어부(220)는 상기 지붕막(110)의 늘어짐 정보를 근거로 유압잭(도면에 미표시)의 구동을 제어하고, 이에 의해 유압잭(143)의 장력이 상승되어 지붕막(110)의 해당 부위가 원래의 장력으로 유지된다.At this time, the controller 220 controls the driving of the hydraulic jack (not shown in the drawing) based on the sagging information of the roof membrane 110 , thereby increasing the tension of the hydraulic jack 143 , and thus the corresponding portion of the roof membrane 110 . is maintained in its original tension.

이와 같이, 제어부(220)가 상기와 같은 경로를 통해 공급되는 지붕막(110)의 늘어짐 정보를 근거로 유압잭(143)을 제어함으로써, 관리자가 별도의 조치를 취하지 않고도 지붕막(110)의 장력을 항상 원래의 장력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In this way, the controller 220 controls the hydraulic jack 143 based on the sagging information of the roofing membrane 110 supplied through the above path, so that the tension of the roofing membrane 110 without the administrator taking a separate action. can always be maintained in its original tension.

다른 실시예로써, 막구조물 관리자는 상기 표시부(23) 또는 무선통신 단말기(250) 또는 유선통신 단말기(260)를 통해 표시되는 지붕막(110)의 늘어짐 정보를 근거로 직접 지붕막(110)의 해당 부위의 장력을 증가시켜 지붕막(110)의 장력을 항상 원래의 장력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As another embodiment, the membrane structure manager directly based on the sagging information of the roof membrane 110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23 or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250 or the wired communication terminal 260. By increasing the tension of the corresponding region, the tension of the roof membrane 110 can always be maintained at the original tension.

컬러감지센서(210B)는 지붕막(110)의 한 곳 이상에 설치될 수 있다. 컬러감지센서(210B)는 지붕막(110)의 해당 부위의 컬러를 감지하여 그에 따른 컬러 감지신호를 출력한다. The color sensor 210B may be installed on one or more places of the roof film 110 . The color detection sensor 210B detects the color of the corresponding portion of the roof film 110 and outputs a color detection signal accordingly.

도 5a는 컬러감지센서(210B)의 구현예를 보인 상세 블록도이다. 5A is a detailed block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color detection sensor 210B.

도 5a를 참조하면, 마이크로 컨트롤러(211)를 통해 메인칩(212)의 단자(S2, S3)에 "하이"또는 "로우"신호를 출력하여 포토다이오드의 적색(R), 녹색(G) 및 그린색(B)을 선택하면, 메인칩(212)은 단자(S0, S1)를 통해 최대 주파수를 마이크로 컨트롤러(211)의 최대 주파수 처리 속도에 맞추어 선택하고, 마이크로 컨트롤러(211)는 메인칩(212)의 출력단자(OUT)를 통해 출력되는 주파수를 근거로 색상을 판별할 수 있다. 제어부(220)는 컬러감지센서(210B)를 통해 상기와 같은 과정을 3번 반복하여 R,G,B 각각의 값을 읽은 후 이 값을 조합 함으로써, 지붕막(110)의 해당 지점에 대한 칼라를 감지할 수 있게 된다. Referring to FIG. 5A , a “high” or “low” signal is output to the terminals S2 and S3 of the main chip 212 through the microcontroller 211 to obtain red (R), green (G) and When green color (B) is selected, the main chip 212 selects the maximum frequency through the terminals S0 and S1 according to the maximum frequency processing speed of the microcontroller 211, and the microcontroller 211 selects the main chip ( 212),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color based on the frequency output through the output terminal (OUT). The control unit 220 repeats the above process three times through the color sensor 210B to read each value of R, G, and B, and then combines these values to obtain the color for the corresponding point of the roof membrane 110 . can be detected.

도 5b는 메인칩(212)의 선택 옵션에 대한 테이블이고, 도 5c는 제어부(220)가 컬러감지센서(210B)를 통해 감지한 색좌표를 나타낸 것이다.FIG. 5B is a table for selection options of the main chip 212 , and FIG. 5C shows color coordinates detected by the controller 220 through the color sensor 210B.

이때, 제어부(220)는 컬러감지센서(210B)를 통해 감지한 지붕막(110)의 컬러변화를 표시부(230)에 표시한다. 이때, 제어부(220)가 상기 컬러 변화를 표시부(230)에 표시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컬러 변화 정도를 미리 설정된 몇 단계(예: 10단계)로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으며, 컬러의 변화 정도가 심한 경우 지붕막(110)의 보수 또는 교체가 필요하다는 메시지를 함께 표시할 수도 있다. 이와 함께, 제어부(220)는 상기와 같은 컬러 변화 정보(변색 정보)를 통신부(240)에 출력한다.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220 displays the color change of the roof film 110 detected by the color sensor 210B on the display unit 230 . In this case, there may be various methods for the control unit 220 to display the color change on the display unit 230 . For example, the degree of color change can be divided into several preset steps (eg, 10 steps) and displayed, and when the degree of color change is severe, a message indicating that repair or replacement of the roof membrane 110 is required may be At the same time, the control unit 220 outputs the color change information (discoloration information) as described above to the communication unit 240 .

도 4b는 이와 같은 컬러변화 정보의 표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컬러 변화가 감지된 시간은 2021.03.31.이고, 컬러 변화의 정도는 3단계이며, 컬러 변화가 발생된 위치는 X12,X42 섹터인 것을 나타내었다. 4B shows an example of displaying such color change information. Here, the time at which the color change was sensed was March 31, 2021, the degree of the color change was in three stages, and the location where the color change occurred was sector X12 and X42.

이에 대하여, 통신부(240)는 상기 지붕막(110)의 컬러 변화 정보를 유선통신 단말기(260)에 유선을 통해 전송함과 아울러, 다른 한편으로는 무선통신망을 통해 무선통신 단말기(250)에 전송한다.In contrast, the communication unit 240 transmits the color change information of the roof membrane 110 to the wired communication terminal 260 through a wire, and on the other hand, transmits it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250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do.

이에 따라, 막구조물 관리자는 현장에 있을 때, 표시부(230)를 통해 지붕막(110)의 컬러 변화 정보를 실시간으로 인식할 수 있고, 외부에 있는 경우에는 데스크탑이나 노트북 컴퓨터 등의 유선통신 단말기(260)를 통해 지붕막(110)의 컬러 변화 정보를 실시간으로 인식할 수 있으며,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피씨(PC)와 같은 무선통신 단말기(250)를 통해 실시간으로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관리자는 지붕막(110)의 컬러 변화에 대하여 필요한 조치를 즉시 취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membrane structure manager can recognize the color change information of the roof membrane 110 in real time through the display unit 230 when in the field, and when outside, a wired communication terminal such as a desktop or notebook computer ( Color change information of the roof membrane 110 may be recognized in real time through 260 , and may be recognized in real time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250 such as a smart phone or tablet PC. Accordingly, the manager can immediately take necessary measures for the color change of the roof membrane 110 .

마모감지센서(210C)는 지붕막(110)의 한 곳 이상에 설치될 수 있다. 마모감지센서(210C)는 지붕막(110)의 해당 부위의 마모 정도를 감지하여 그에 따른 마모 감지신호를 출력한다. The wear sensor 210C may be installed on one or more places of the roof membrane 110 . The wear sensor 210C detects the degree of wear of the corresponding part of the roof membrane 110 and outputs a wear detection signal accordingly.

이때, 제어부(220)는 마모감지센서(210C)를 통해 감지한 지붕막(110)의 마모 변화 정보를 표시부(230)에 표시한다. 이때, 제어부(220)가 상기 마모 변화 정보를 표시부(230)에 표시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마모 변화 정도를 미리 설정된 몇 단계(예: 10단계)로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으며, 마모의 정도가 심한 경우 지붕막(110)의 보수 또는 교체가 필요하다는 메시지를 함께 표시할 수도 있다. 이와 함께, 제어부(220)는 상기와 같은 마모 변화 정보를 통신부(240)에 출력한다.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220 displays the wear change information of the roof membrane 110 detected by the wear sensor 210C on the display unit 230 . In this case, there may be various methods for the control unit 220 to display the wear change information on the display unit 230 . For example, the degree of wear change can be displayed by dividing it into several preset steps (eg, 10 steps), and if the degree of wear is severe, a message indicating that repair or replacement of the roof membrane 110 is required there is. At the same time, the control unit 220 outputs the wear change information as described above to the communication unit 240 .

도 4c는 이와 같은 마모 변화 정보의 표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마모 변화가 감지된 시간은 2021.03.31.이고, 마모 변화의 정도는 30%이며, 마모 변화가 발생된 위치는 X13,X43 섹터인 것을 나타내었다. 4C shows an example of display of such wear change information. Here, the time at which the wear change was sensed was 2021.03.31., the degree of the wear change was 30%, and the location where the wear change occurred was sector X13 and X43.

이에 대하여, 통신부(240)는 상기 지붕막(110)의 마모 변화 정보를 유선통신 단말기(260)에 유선을 통해 전송함과 아울러, 다른 한편으로는 무선통신망을 통해 무선통신 단말기(250)에 전송한다.In contrast, the communication unit 240 transmits the wear change information of the roof membrane 110 to the wired communication terminal 260 through a wire, and on the other hand, transmits it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250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do.

이에 따라, 막구조물 관리자는 현장에 있을 때, 표시부(230)를 통해 지붕막(110)의 마모 변화 정보를 실시간으로 인식할 수 있고, 외부에 있는 경우에는 데스크탑이나 노트북 컴퓨터 등의 유선통신 단말기(260)를 통해 지붕막(110)의 마모 변화 정보를 실시간으로 인식할 수 있으며,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피씨(PC)와 같은 무선통신 단말기(250)를 통해 실시간으로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관리자는 지붕막(110)의 마모에 대하여 필요한 조치를 즉히 취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membrane structure manager can recognize the wear change information of the roof membrane 110 in real time through the display unit 230 when in the field, and when outside, a wired communication terminal such as a desktop or notebook computer ( The wear change information of the roof membrane 110 may be recognized in real time through 260 , and may be recognized in real time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250 such as a smart phone or tablet PC. Accordingly, the manager can immediately take necessary measures against the abrasion of the roof membrane 110 .

누수감지센서(210D)는 지붕막(110)의 하부 중 한 곳 이상에 설치될 수 있다. 누수감지센서(210D)는 지붕막(110)의 하부 해당 부위의 누수를 감지하여 그에 따른 누수 감지신호를 출력한다. The water leak detection sensor 210D may be installed on one or more of the lower portions of the roof membrane 110 . The water leak detection sensor 210D detects a water leak in the corresponding lower portion of the roof membrane 110 and outputs a water leak detection signal accordingly.

이때, 제어부(220)는 누수감지센서(210D)를 통해 감지한 지붕막(110)의 누수 정보를 표시부(230)에 표시한다. 이때, 제어부(220)가 상기 누수 정보를 표시부(230)에 표시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누수 정도를 미리 설정된 몇 단계(예: 10단계)로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으며, 누수의 정도가 심한 경우 지붕막(110)의 보수 또는 교체가 필요하다는 메시지를 함께 표시할 수도 있다. 이와 함께, 제어부(220)는 상기와 같은 누수 정보를 통신부(240)에 출력한다.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220 displays information on the leakage of the roof membrane 110 detected by the water leakage sensor 210D on the display unit 230 . In this case, there may be various methods for the control unit 220 to display the leak information on the display unit 230 . For example, the degree of water leakage may be divided into several preset steps (eg, 10 steps) and displayed, and if the degree of leakage is severe, a message indicating that repair or replacement of the roof membrane 110 is required may also be displayed. . At the same time, the control unit 220 outputs the leak information as described above to the communication unit 240 .

도 4d는 이와 같은 누수 정보의 표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누수가 감지된 시간은 2021.03.31.이고, 누수의 정도는 4단계이며, 누수가 발생된 위치는 X13,X43 및 X14,X44 섹터인 것을 나타내었다. 4D shows an example of display of such leak information. Here, the time at which the leak was detected is March 31, 2021, the degree of the leak is 4 steps, and it is shown that the location where the leak occurred is the sectors X13, X43 and X14, X44.

이에 대하여, 통신부(240)는 상기 지붕막(110)의 누수 정보를 유선통신 단말기(260)에 유선을 통해 전송함과 아울러, 다른 한편으로는 무선통신망을 통해 무선통신 단말기(250)에 전송한다.In contrast, the communication unit 240 transmits the leak information of the roof membrane 110 to the wired communication terminal 260 through a wire, and on the other hand, transmits it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250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

이에 따라, 막구조물 관리자는 현장에 있을 때, 표시부(230)를 통해 지붕막(110)의 누수 정보를 실시간으로 인식할 수 있고, 외부에 있는 경우에는 데스크탑이나 노트북 컴퓨터 등의 유선통신 단말기(260)를 통해 지붕막(110)의 누수 정보를 실시간으로 인식할 수 있으며,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피씨(PC)와 같은 무선통신 단말기(250)를 통해 실시간으로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관리자는 지붕막(110)의 누수에 대하여 필요한 조치를 즉시 취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membrane structure manager can recognize the leak information of the roof membrane 110 in real time through the display unit 230 when in the field, and when outside, a wired communication terminal 260 such as a desktop or notebook computer ), the leak information of the roof membrane 110 may be recognized in real time, and may be recognized in real time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250 such as a smartphone or tablet PC. Accordingly, the manager can immediately take necessary measures for the leakage of the roof membrane 110 .

한편,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막구조물의 관리 방법의 순서도이다.Meanwhile, FIG. 6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managing a membran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막구조물의 관리 방법은 목적한 장소에 막구조물이 설치되는 막구조물 설치 단계(S1); 막구조물에 센서부가 설치되는 센서부 설치 단계(S2); 센서부를 통해 상기 막구조물의 지붕막에 대한 장력변화, 컬러변화, 마모변화 및 누수가 감지되는 지붕막 감지 단계(S3); 및 상기 지붕막에 대한 센싱 결과가 표시되는 센싱결과 표시 단계(S4);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6 , the method for managing a membran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embrane structure installation step (S1) in which the membrane structure is installed at a target location; A sensor unit installation step in which the sensor unit is installed in the membrane structure (S2); a roof film sensing step (S3) in which a change in tension, a color change, a change in wear, and a leak of the roof film of the film structure are detected through the sensor unit; and a sensing result display step (S4) in which a sensing result for the roof membrane is displayed.

막구조물 설치 단계(S1)에서, 지붕막(110), 철골빔(110A), 막구조물 프레임(120) 및 지지대(130)를 포함하는 막구조물(100)이 목적한 장소에 설치된다. In the membrane structure installation step (S1), the membrane structure 100 including the roof membrane 110, the steel beam 110A, the membrane structure frame 120 and the support 130 is installed at a desired location.

센서부 설치 단계(S2)에서, 장력감지모듈(210A), 컬러감지센서(210B),마모감지센서(210C) 및 누수감지센서(210D)를 포함하는 센서부(210)가 설치된다. In the sensor unit installation step S2, the sensor unit 210 including the tension sensing module 210A, the color sensing sensor 210B, the wear sensing sensor 210C and the water leak sensing sensor 210D is installed.

지붕막 감지 단계(S3)에서, 장력감지모듈(210A)은 지붕막(110A)의 늘어짐을 감지하기 위해 압력센서(142)를 구비한다. 압력센서(142)는 지붕막(110)과의 장력에 의한 압력변화를 전기신호로 변환 출력한다. 압력센서(142)의 종류는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로드셀이 사용될 수 있다.In the roof membrane sensing step (S3), the tension sensing module 210A is provided with a pressure sensor 142 to detect the sagging of the roof membrane 110A. The pressure sensor 142 converts and outputs a pressure change due to tension with the roof membrane 110 into an electrical signal. The type of the pressure sensor 142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ways, for example, a load cell may be used.

컬러감지센서(210B)는 지붕막(110)의 한 곳 이상에 설치될 수 있다. 컬러감지센서(210B)는 지붕막(110)의 해당 부위의 컬러를 감지하여 그에 따른 컬러 감지신호를 출력한다. The color sensor 210B may be installed on one or more places of the roof film 110 . The color detection sensor 210B detects the color of the corresponding portion of the roof film 110 and outputs a color detection signal accordingly.

마모감지센서(210C)는 지붕막(110)의 한 곳 이상에 설치될 수 있다. 마모감지센서(210C)는 지붕막(110)의 해당 부위의 마모 정도를 감지하여 그에 따른 마모 감지신호를 출력한다. The wear sensor 210C may be installed on one or more places of the roof membrane 110 . The wear sensor 210C detects the degree of wear of the corresponding part of the roof membrane 110 and outputs a wear detection signal accordingly.

누수감지센서(210D)는 지붕막(110)의 하부 중 한 곳 이상에 설치될 수 있다. 누수감지센서(210D)는 지붕막(110)의 하부 해당 부위의 누수를 감지하여 그에 따른 누수 감지신호를 출력한다. The water leak detection sensor 210D may be installed on one or more of the lower portions of the roof membrane 110 . The water leak detection sensor 210D detects a water leak in the corresponding lower portion of the roof membrane 110 and outputs a water leak detection signal accordingly.

이때, 제어부(220)는 상기 압력변화 감지신호, 컬러 감지신호, 마모 감지신호 및 누수 감지신호를 공급받아 이들을 분석하고, 그에 따른 늘어짐 정보, 컬러변화 정보, 마모변화 정보 및 누수 정보를 출력한다.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220 receives the pressure change detection signal, the color detection signal, the wear detection signal and the leak detection signal, and analyzes them, and outputs sagging information, color change information, wear change information and water leakage information accordingly.

센싱결과 표시 단계(S4)에서, 제어부(220)는 상기와 같이 각기 분석된 늘어짐 정보, 컬러변화 정보, 마모변화 정보 및 누수 정보를 통신부(240)를 통해 무선통신 단말기(250)들에 전송함과 아울러, 다른 한편으로는 유선통신 단말기(260)들에 전송한다. In the sensing result display step (S4), the control unit 220 transmits the sagging information, color change information, wear change information, and water leakage information analyzed as described above, respectively,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s 25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240 . In addition, on the other hand, it is transmitted to the wired communication terminals (260).

이상과 같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 configuration shown in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s described above is mere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es not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o various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that can be substituted for them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examples.

100 : 막구조물 110 : 지붕막
110A : 철골빔 111 : U자형 스트립
112 : 서포트 플레이트 120 : 막구조물 프레임
130 : 지지대 141 : 장력볼트
142 : 압력센서 143 : 유압잭
144 : 플림방지너트 145 : 고정너트
200 : 관리장치 210 : 센서부
210A : 장력감지모듈 210B : 컬러감지센서
210C : 마모감지센서 210D : 누수감지센서
220 : 제어부 230 : 표시부
240 : 통신부 250 : 무선통신 단말기
260 : 유선통신 단말기
100: membrane structure 110: roof membrane
110A: steel beam 111: U-shaped strip
112: support plate 120: membrane structure frame
130: support 141: tension bolt
142: pressure sensor 143: hydraulic jack
144: anti-flip nut 145: fixing nut
200: management device 210: sensor unit
210A: tension detection module 210B: color detection sensor
210C: Wear sensor 210D: Water leak sensor
220: control unit 230: display unit
240: communication unit 250: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260: wired communication terminal

Claims (7)

지붕막, 철골빔, 막구조물 프레임 및 지지대를 포함하는 막구조물;
상기 지붕막의 늘어짐, 컬러, 마모 및 누수를 감지하여 그에 따른 감지신호들을 출력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에서 출력되는 늘어짐 감지신호, 컬러 감지신호, 마모 감지신호 및 누수 감지신호를 분석하고, 그에 따른 늘어짐 정보, 컬러변화 정보, 마모변화 정보 및 누수 정보를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늘어짐 정보, 컬러변화 정보, 마모변화 정보 및 누수 정보를 각기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늘어짐 정보, 컬러변화 정보, 마모변화 정보 및 누수 정보를 통신부를 통해 무선통신 단말기와 유선통신 단말기들에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되,
상기 센서부는
상기 지붕막의 늘어짐을 감지하여 상기 늘어짐 감지신호를 출력하되, 상기 지붕막의 4개의 가장자리 변 중에서 마주하는 두 개의 변에 복수 개로 설치되는 장력감지모듈;
상기 지붕막의 임의의 부위에 대한 컬러를 감지하여 상기 컬러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컬러감지센서;
상기 지붕막의 임의의 부위에 대한 마모 정도를 감지하여 상기 마모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마모감지센서; 및
상기 지붕막의 임의의 부위에 대한 누수를 감지하여 상기 누수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누수감지센서;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장력감지모듈은
U자형 스트립을 통해 상기 지붕막에 연결되되, 서포트 플레이트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장력볼트;
상기 지붕막과의 장력에 의한 압력변화를 전기신호로 변환 출력하는 로드셀(Load cell)인 압력센서;
상기 압력센서의 후단에 체결된 고정너트의 전단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너트의 풀림을 방지하는 풀림방지너트; 및
상기 지붕막의 센싱 대상 부위가 늘어나는 것에 상응되게 장력을 증가시켜 원래의 장력이 유지되게 하는 유압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구조물의 관리 장치.
a membrane structure including a roof membrane, a steel beam, a membrane structure frame, and a support;
a sensor unit for detecting sagging, color, abrasion and leakage of the roof film and outputting detection signals accordingly;
a control unit that analyzes the sagging detection signal, the color detection signal, the wear detection signal and the leak detection signal output from the sensor unit, and outputs sagging information, color change information, wear change information and water leakage information accordingly;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sagging information, color change information, wear change information, and water leakage information, respectively; and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sagging information, color change information, wear change information, and water leakage information to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s and wired communication terminals through a communication unit; including;
the sensor unit
a tension sensing module configured to detect the sagging of the roof membrane and output the sagging detection signal, the plurality of tension sensing modules being installed on two opposite sides of the four edge sides of the roof membrane;
a color detection sensor that detects a color for an arbitrary portion of the roof film and outputs the color detection signal;
a wear sensor for detecting the degree of wear on an arbitrary part of the roof membrane and outputting the wear detection signal; and
a water leak detection sensor that detects a water leak in an arbitrary portion of the roof membrane and outputs the leak detection signal; comprising at least one of
The tension sensing module is
a tension bolt connected to the roof membrane through a U-shaped strip and movably installed on the support plate;
a pressure sensor which is a load cell that converts and outputs a pressure change due to tension with the roof membrane into an electrical signal;
an anti-loosening nut installed at the front end of the fixing nut fastened to the rear end of the pressure sensor to prevent loosening of the fixing nut; and
Management apparatus of a membrane structure comprising a; a hydraulic jack for maintaining the original tension by increasing the tension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sensing target portion of the roof membran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늘어짐 정보, 컬러변화 정보, 마모변화 정보 및 누수 정보를 표시할 때 감지된 시간, 정도 및 위치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구조물의 관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display unit
The management apparatus of the membrane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for displaying the sensed time, degree and position information when displaying the sagging information, color change information, wear change information and leakage information.
삭제delete
KR1020210067167A 2021-05-25 2021-05-25 Apparatus and method of membrane structure KR10238415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7167A KR102384159B1 (en) 2021-05-25 2021-05-25 Apparatus and method of membrane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7167A KR102384159B1 (en) 2021-05-25 2021-05-25 Apparatus and method of membrane structu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4159B1 true KR102384159B1 (en) 2022-04-08

Family

ID=81182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7167A KR102384159B1 (en) 2021-05-25 2021-05-25 Apparatus and method of membrane struc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4159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2477B1 (en) * 2022-12-05 2023-06-14 (주)타이가 Membrane structure having test-miniature-membrane for maintenance
KR102634235B1 (en) * 2022-11-22 2024-02-06 (주)스페이스업 Connecting system for waterproof reinforcement membrane structure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77474A (en) * 1994-09-08 1996-03-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Water monitoring device for housing
KR20040028171A (en) 2002-09-30 2004-04-03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Method for power consumption reduction by controlling keypad back light and mobile phone implementing the same
JP2012012868A (en) * 2010-07-02 2012-01-19 Nippon Signal Co Ltd:The Damage detection system of structure
JP2012027759A (en) * 2010-07-26 2012-02-09 Toyota Home Kk Building inspection management system
KR20120037568A (en) * 2010-10-12 2012-04-20 유한회사 형후 Control device for tensile strength of membrane structure
KR20130021832A (en) 2011-08-24 2013-03-06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timing in communication system
KR20160027556A (en) * 2014-09-01 2016-03-10 동의과학대학 산학협력단 Warning device and method for predict the collapse of the roof due to load
KR101636327B1 (en) * 2015-10-20 2016-07-05 (주) 스페이스업 Unit Membrane Block Possible Tension Maintenance And Membrane Wall System Compri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77474A (en) * 1994-09-08 1996-03-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Water monitoring device for housing
KR20040028171A (en) 2002-09-30 2004-04-03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Method for power consumption reduction by controlling keypad back light and mobile phone implementing the same
JP2012012868A (en) * 2010-07-02 2012-01-19 Nippon Signal Co Ltd:The Damage detection system of structure
JP2012027759A (en) * 2010-07-26 2012-02-09 Toyota Home Kk Building inspection management system
KR20120037568A (en) * 2010-10-12 2012-04-20 유한회사 형후 Control device for tensile strength of membrane structure
KR20130021832A (en) 2011-08-24 2013-03-06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timing in communication system
KR20160027556A (en) * 2014-09-01 2016-03-10 동의과학대학 산학협력단 Warning device and method for predict the collapse of the roof due to load
KR101636327B1 (en) * 2015-10-20 2016-07-05 (주) 스페이스업 Unit Membrane Block Possible Tension Maintenance And Membrane Wall System Comprising The Sam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4235B1 (en) * 2022-11-22 2024-02-06 (주)스페이스업 Connecting system for waterproof reinforcement membrane structure
KR102542477B1 (en) * 2022-12-05 2023-06-14 (주)타이가 Membrane structure having test-miniature-membrane for maintenan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84159B1 (en) Apparatus and method of membrane structure
KR101386588B1 (en) Tension measurement and dynamic control having smart membrane structure and membrane stabilizing method using it
Stathopoulos et al. Scale effects in wind tunnel testing of low buildings
CN108538265B (en) Display brightness adjusting method and device of liquid crystal display screen
US20040223007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display brightness control method
Malhara et al. Mechanical state estimation of overhead transmission lines using tilt sensors
JP5069069B2 (e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JP2011053264A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20220406242A1 (en) Display panel and driving method thereof
CN101777310A (en) Dynamic backlight control method
US20180277049A1 (en) Pixel rendering method and pixel rendering device
CN110211493A (en) Flexible display panels and flexible display apparatus
KR102089220B1 (en) Solar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system equipped with natural disaster detection and power supply path blocking function
CN106933427A (en) Display screen condition control method and electronic equipment
Robertson et al. Wind pressures on permeably and impermeably-clad structures
CN108760023B (en) Visual vibration measuring device and method for solar wing with two ends supported
AU2003255560A1 (en) Publicity medium
ATE536451T1 (en) SUN PROTECTION INSTALLATION WITH WIND SENSOR
KR102515597B1 (en) Membrane structure system with easy tension control
CN208074905U (en) A kind of protective device of helideck vertical equipment for anti-high wind
CN105895055A (en) Screen brightness regulating method and regulating system as well as display device
KR102228197B1 (en) Tower for supporting overhead line of electric power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CN108519809B (en) Display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Miyauchi et al. Force transfer mechanism on fastener section of mechanically anchored waterproofing membrane roofs under wind pressure during typhoons
KR20210071630A (en) Soundproof wall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