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4158B1 -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generating location analysis map for offshore wind power generation, and apparatus for providing location analysis map - Google Patents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generating location analysis map for offshore wind power generation, and apparatus for providing location analysis map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4158B1
KR102384158B1 KR1020200051428A KR20200051428A KR102384158B1 KR 102384158 B1 KR102384158 B1 KR 102384158B1 KR 1020200051428 A KR1020200051428 A KR 1020200051428A KR 20200051428 A KR20200051428 A KR 20200051428A KR 102384158 B1 KR102384158 B1 KR 1023841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layer
location
location analysis
analysis m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142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132923A (en
Inventor
김석우
Original Assignee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2000514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4158B1/en
Publication of KR202101329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292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41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415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lectricity, gas or water supp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4Browsing; Visualisation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7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06F16/909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geographical or spatial information, e.g. lo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9/00Maps; Plans; Charts; Diagrams, e.g. route diagram
    • G09B29/003Maps
    • G09B29/006Representation of non-cartographic information on maps, e.g. population distribution, wind direction, radiation levels, air and sea routes
    • G09B29/007Representation of non-cartographic information on maps, e.g. population distribution, wind direction, radiation levels, air and sea routes using computer metho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50Systems or methods supporting the power network operation or management, involving a certain degree of interaction with the load-side end user applications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풍력발전을 위한 입지 분석 지도를 생성하기 위하여, 대상 지역에 대한 데이터들을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부, 수집된 데이터들을 기초로 분석하고자 하는 복수의 유효 팩터(factor)들을 추출하고, 추출한 유효 팩터들을 공간 정보로 변환함에 따라 복수의 레이어들을 생성하는 레이어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레이어들을 통합하여 상기 입지 분석 지도를 생성하는 지도 생성부를 포함하는 풍력발전을 위한 입지 분석 지도 생성장치를 제공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generate a location analysis map for wind power generation, a data collection unit that collects data on a target area, a plurality of effective factors to be analyzed based on the collected data are extracted and , a location analysis map generator for wind power generation, comprising a layer generator that generates a plurality of layers by converting the extracted effective factors into spatial information, and a map generator that integrates the generated layers to generate the location analysis map to provide.

Description

해상 풍력발전을 위한 입지 분석 지도 생성장치, 방법, 입지 분석 지도 제공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GENERATING LOCATION ANALYSIS MAP FOR OFFSHORE WIND POWER GENERATION, AND APPARATUS FOR PROVIDING LOCATION ANALYSIS MAP}Location analysis map generator, method, location analysis map providing system, and computer program for offshore wind power

본 발명은 풍력발전을 위한 입지 분석 지도 생성장치, 방법, 입지 분석 지도 제공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a location analysis map for wind power generation, a location analysis map providing system, and a computer program.

세계는 기후변화의 위협 속에서 지속가능한 발전을 유지하기 위하여 풍력, 태양에너지, 수력 등 재생 가능한 에너지 개발에 많은 투자를 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2006년 말 현재 재생에너지가 총 1차 에너지 소비의 2.2%.(2006년 신재생에너지 통계집 (2007년판)-1차에너지 확정치 기준) 수준에 불과하여, 2030년까지 신재생에너지 보급률을 11%로 올린다는 목표를 세우고 있다. 이에 최근에는, 이러한 목표달성을 위하여 기후변화대응 종합기본계획을 수립하고 녹색기술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다.The world is investing heavily in the development of renewable energy such as wind power, solar energy, and hydro power to maintain sustainable power generation amid the threat of climate change. As of the end of 2006, in Korea, renewable energy accounted for only 2.2% of total primary energy consumption. We are aiming to increase the percentage. In recent years, to achieve this goal, a comprehensive master plan for responding to climate change has been established and the focus is on green technology development.

따라서, 기후변화에 의한 온실가스 감축의무 부담을 줄이고, 국가 에너지 안보에 기여하며, 환경친화적인 재생에너지 중 하나인 풍력 기상자원을 활용하여, 사업자들이 풍력발전의 개발을 보다 용이하고 원활하게 추진할 수 있도록 하는 해상 풍력발전 개발에 최적화된 입지를 분석한 지도의 구축이 필요한 실정이다.Therefore, by reducing the burden of greenhouse gas reduction due to climate change, contributing to national energy security, and utilizing wind meteorological resources, one of the environmentally friendly renewable energies, business operators can more easily and smoothly promote the development of wind power generation. There is a need to build a map that analyzes the optimal location for offshore wind power development.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해상 풍력발전에 최적화된 입지를 분석한 지도를 생성함으로써, 해상풍력 유망 해역 확보를 통한 보급 및 개발 산업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입지 분석 지도 생성장치, 방법 및 이를 기반으로 하는 입지 분석 지도 제공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technical task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generate a map analyzing the location optimized for offshore wind power generation, thereby activating the distribution and development industry through securing promising offshore wind power areas, a location analysis map generating apparatus, method, and a method for generating a location based on the same It is to provide a location analysis map providing system.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description below. There will be.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풍력발전을 위한 입지 분석 지도를 생성하기 위하여, 대상 지역에 대한 데이터들을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부, 수집된 데이터들을 기초로 분석하고자 하는 복수의 유효 팩터(factor)들을 추출하고, 추출한 유효 팩터들을 공간 정보로 변환함에 따라 복수의 레이어들을 생성하는 레이어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레이어들을 통합하여 상기 입지 분석 지도를 생성하는 지도 생성부를 포함하는 풍력발전을 위한 입지 분석 지도 생성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ata collection unit that collects data for a target area, a plurality of data to be analyzed based on the collected data, in order to generate a location analysis map for wind power generation. Wind power generation comprising: a layer generator that extracts effective factors and converts the extracted effective factors into spatial information to generate a plurality of layers; and a map generator that integrates the generated layers to generate the location analysis map It provides a location analysis map generator for

또한, 상기 복수의 레이어들은, 지리적 입지조건과 관련된 제1레이어, 환경적 입지조건과 관련된 제2레이어, 및 기술적 입지조건과 관련된 제3레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layers may include a first layer related to a geographical location condition, a second layer related to an environmental location condition, and a third layer related to a technical location condition.

또한, 상기 데이터 수집부는, 상기 수집된 데이터들 중 상기 제1레이어를 생성하기 위한 제1그룹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1그룹 데이터베이스, 상기 수집된 데이터들 중 상기 제2레이어를 생성하기 위한 제2그룹 데이터들을 저장하는 제2그룹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수집된 데이터들 중 상기 제3레이어를 생성하기 위한 제3그룹 데이터들을 저장하는 제3그룹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ata collection unit may include a first group database for storing first group data for generating the first layer from among the collected data, and a second group for generating the second layer from among the collected data. It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group database for storing data and a third group database for storing third group data for generating the third layer from among the collected data.

또한, 상기 제1그룹 데이터는, 해도 기준면, 해안선, 영해선, 배타적 경제수역(EEZ)의 경계, 통항로, 해상관제구역, 해상사격훈련구역, 해양 안전 관리를 위한 입지 및 해양 연구를 위한 입지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group data includes the reference plane of the chart, the coastline, the territorial sea, the boundary of the exclusive economic zone (EEZ), the traffic route, the maritime control area, the maritime shooting training area, the location for maritime safety management, and the location for maritime research. may be information.

또한, 상기 제2그룹 데이터들은, 해양 환경 또는 환경 생태를 위한 입지, 어업 활동을 위한 입지, 해양 자원을 위한 입지, 중 해양 관광을 위한 입지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group data may include information on at least one of a location for a marine environment or environmental ecology, a location for fishing activities, a location for marine resources, and a location for marine tourism.

또한, 상기 제3그룹 데이터들은, 전력계통망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third group data may include information on the power grid.

또한, 상기 복수의 유효 팩터들은, 제1유효 팩터들, 제2유효 팩터들, 및 제3 유효 팩터들을 포함하고, 상기 레이어 생성부는, 상기 제1그룹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제1유효 팩터들을 추출하고, 상기 제2 그룹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제2유효 팩터들을 추출하며, 상기 제3 그룹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제3유효 팩터들을 추출하는 유효 팩터 추출부 및 상기 제1유효 팩터를 공간 정보로 변환하여 상기 제1레이어를 생성하고, 상기 제2유효 팩터를 공간 정보로 변환하여 상기 제2레이어를 생성하며, 상기 제3유효 팩터를 공간 정보로 변환하여 상기 제3레이어를 생성하는 변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effective factors includes first effective factors, second effective factors, and third effective factors, and the layer generator extracts the first effective factors based on the first group data a valid factor extractor that extracts the second effective factors based on the second group data, extracts the third effective factors based on the third group data, and converts the first effective factors into spatial information to generate the first layer, convert the second effective factor into spatial information to generate the second layer, and further include a converter configured to generate the third layer by converting the third effective factor into spatial information can do.

또한, 상기 레이어 생성부는, 상기 제1유효 팩터들, 상기 제2유효 팩터들 및 상기 제3유효 팩터들 각각에 대하여 기 설정된 기준에 따른 가중치를 적용함에 따라 상기 대상 지역의 구분된 위치별 스코어를 산출하여, 상기 위치별 태그 정보를 생성하는 태그 정보 생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ayer generating unit, by applying a weight according to a preset criterion to each of the first effective factors, the second effective factors, and the third effective factors, the score for each divided location of the target area It may further include a tag information generating unit that calculates and generates the tag information for each location.

또한, 상기 지도 생성부는, 상기 변환부로부터 생성된 상기 제1, 제2, 및 제3레이어를 통합함에 따라 상기 유효 팩터들에 상응하는 정보를 서로 다른 색상으로 표시하여 상기 입지 분석 지도를 생성하되, 상기 대상 지역의 위치별로 상기 태그 정보 생성부로부터 생성된 태그 정보를 저장하여 상기 입지 분석 지도를 생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p generation unit generates the location analysis map by display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effective factors in different colors as the first, second, and third layers generated by the conversion unit are integrated. , the location analysis map may be generated by storing the tag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tag information generator for each location of the target area.

또한, 상기 지도 생성부는, 상기 대상 지역과 관련하여 미리 준비된 전자 지도 및 상기 복수의 레이어들을 통합하여 상기 입지 분석 지도를 생성할 수 있다.Also, the map generator may generate the location analysis map by integrating the electronic map prepared in advance in relation to the target area and the plurality of layers.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풍력발전을 위한 입지 분석 지도를 생성하기 위하여, 대상 지역에 대한 데이터들을 수집하는 단계, 수집된 데이터들을 기초로 분석하고자 하는 복수의 유효 팩터(factor)들을 추출하고, 추출한 유효 팩터들을 공간 정보로 변환함에 따라 복수의 레이어들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레이어들을 통합하여 상기 입지 분석 지도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풍력발전을 위한 입지 분석 지도 생성방법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ep of collecting data on a target area to generate a location analysis map for wind power generation, a plurality of effective factors to be analyzed based on the collected data Location analysis map for wind power generation, comprising extracting factors and converting the extracted effective factors into spatial information to generate a plurality of layers and integrating the generated layers to generate the location analysis map It provides a creation method.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풍력발전을 위한 입지 분석 지도를 생성하기 위하여, 대상 지역에 대한 데이터들을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부, 수집된 데이터들을 기초로 분석하고자 하는 복수의 유효 팩터(factor)들을 추출하고, 추출한 유효 팩터들을 공간 정보로 변환함에 따라 복수의 레이어들을 생성하는 레이어 생성부, 상기 생성된 레이어들을 통합하여 상기 입지 분석 지도를 생성하는 지도 생성부 및 상기 지도 생성부로부터 생성된 입지 분석 지도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부를 포함하는 풍력발전을 위한 입지 분석 지도 제공시스템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ata collection unit that collects data for a target area, a plurality of data to be analyzed based on the collected data, in order to generate a location analysis map for wind power generation A layer generator that extracts effective factors of and converts the extracted effective factors into spatial information to generate a plurality of layers, a map generator that integrates the generated layers to generate the location analysis map, and the map A location analysis map providing system for wind power generation is provided, including a service provider providing a location analysis map generated by the generator.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입지 분석 지도 생성방법이 컴퓨터에서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한다.In addition, in order to achieve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mputer program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the method of generating a location analysis map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performed by a compute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각종 개발행위제한 요소에 대한 발굴을 통해 해상 풍력 입지를 도출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해당 해역을 에너지 개발구역으로 지정하여 개발을 추진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ffshore wind power locations can be derived through excavation of various development activity restriction factors, and accordingly, the corresponding sea area can be designated as an energy development zone and development can be promot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해상 풍력 개발사업에 대한 불확실성을 최소화하고, 사업자의 적극적 투자 유도를 통한 관련 사업을 활성화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uncertainty about the offshore wind power development project, and to activate the related business through the active investment induction of the operator.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ffects, and include all effects that can be inferred from the configuration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r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지 분석 지도 생성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어 생성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지 분석 지도의 생성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지 분석 지도에 따른 유효 팩터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효 팩터들에 대한 정보를 표시한 입지 분석 지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6 및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일부 유효 팩터를 선택함으로써 화면 상에 표시되는 입지 분석 지도를 도시한 일 예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지 분석 지도 제공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력발전을 위한 입지 분석 지도 생성방법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apparatus for generating a location analysis ma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layer gen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generating a location analysis ma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effective factors according to a location analysis ma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location analysis map displaying information on effective facto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and 7 are an example of a location analysis map displayed on a screen when a user selects some effective facto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location analysis map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ethod for generating a location analysis map for wind power generation over ti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several different forms, and thus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connected, contacted, coupled)” with another part, it i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member interposed therebetween. "Including cases where In addi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this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provided withou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used only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s,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preclude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입지 분석 지도 생성장치, 방법 및 입지 분석 지도 제공시스템은 풍력발전 개발사업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풍력발전 개발사업에 고려되어야 할 다양한 요소 및 정보들을 수집하여, 풍력발전에 최적화된 지역을 안내할 수 있는 지도를 생성함으로써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location analysis map generating apparatus, method and location analysis map provid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below collects various elements and information to be considered in the wind power development project in order to provide information for the wind power development project, and generates wind power. This is to provide by creating a map that can guide the optimized area.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지 분석 지도 생성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지 분석 지도 생성장치(100)는 데이터 수집부(120), 레이어 생성부(140), 및 지도 생성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apparatus for generating a location analysis ma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 an apparatus 100 for generating a location analysis ma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data collecting unit 120 , a layer generating unit 140 , and a map generating unit 160 . .

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수집부(120)는 풍력발전을 위한 입지 분석 지도를 생성하기 위하여, 대상 지역에 대한 데이터들을 수집할 수 있다. 여기서, 대상 지역이란 분석하고자 하는 관심 지역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상기 대상 지역은 한반도 전체로 설정될 수도 있고, 전라남도, 전라북도, 경상남도 등 한반도의 일부 지역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의 대상 지역은 당업자의 설계에 따라 선택적으로 설정되는 지역일 수 있다.The data collection unit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collect data on a target area in order to generate a location analysis map for wind power generation. Here, the target region means a region of interest to be analyzed, and the target region may be set to the entire Korean Peninsula, or to a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such as Jeollanam-do, Jeollabuk-do, or Gyeongsangnam-do. That is, the target reg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a region selectively set according to a design of a person skilled in the ar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지 지도 생성장치(100)는 풍력발전과 관련된 지리적 조건, 환경적 조건 및 기술적 조건을 고려하여 풍력발전을 위한 입지 지도를 생성하는데, 이를 위해서 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수집부(120)는 외부 서버를 통해 통신 연결된 복수의 클라이언트(client)들을 통해 수신되는 다양한 데이터들을 입력받아, 입력된 데이터들을 조건별로 분류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함으로써, 풍력발전을 위한 입지 지도를 생성하기 위한 데이터들을 수집할 수 있다.The location map generat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a location map for wind power generation in consideration of geographical conditions, environmental conditions, and technical conditions related to wind power generation. For this purpose, data coll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unit 120 receives various data received through a plurality of clients that are communicatively connected through an external server, and stores the input data in a database classified by conditions to generate a location map for wind power generation. data can be collected.

예컨대, 데이터 수집부(120)가 외부 서버를 통해 연결되는 상기 클라이언트들은, 해양수산부(국립해양조사원, 국립공원관리공단, 국립수산과학원, 국립수산물품질관리원), 국토 교통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방부, 환경부, 지방자치단체, 해양환경공단, 한국광물자원공사,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문화재청, 한국전력공사, 한국전기통신공사, 해양환경공단, 수산업 협동조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lients to which the data collection unit 120 is connected through an external server are the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National Institute of Oceans and Fisheries, National Park Service, National Institute of Fisheries Science, National Fisheries Quality Management Servic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Ministry of Science and ICT,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Ministry of Environment, local governments, Ocean Environment Corporation, Korea Mineral Resources Corporation,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Korea Electric Power Corporation, Korea Telecommunications Corporation, Ocean Environment Corporation, and fishery cooperatives.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수집부(120)는 지리적 입지조건과 관련된 데이터인 제1그룹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1그룹 데이터베이스, 환경적 입지조건과 관련된 데이터인 제2그룹 데이터들을 저장하는 제2그룹 데이터베이스, 및 기술적 입지조건과 관련된 데이터인 제3그룹 데이터들을 저장하는 제3그룹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data collection unit 1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first group database for storing first group data, which is data related to geographic location conditions, and a second group database for storing second group data, which is data related to environmental location conditions. , and a third group database for storing third group data that is data related to technical location conditions may be included.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수집부(120)는 해도 기준면, 해안선, 영해선, 배타적 경제수역(EEZ)의 경계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해도(nautical chart), 통항로, 해상관제구역, 해상사격훈련구역, 해양 안전 관리를 위한 입지 및 해양 연구를 위한 입지에 대한 정보인 제1그룹 데이터를 제1그룹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The data collection unit 1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nautical chart including information on at least one of a chart reference plane, a coastline, a territorial sea line, and the boundary of an exclusive economic zone (EEZ), a traffic route, a maritime control area, and a maritime shooting. The first group data, which is information on the training zone, the location for marine safety management, and the location for marine research, may be stored in the first group database.

여기서, 데이터 수집부(120)는 해도 기준면, 해안선, 영해선, 배타적 경제수역(EEZ)의 경계가 모두 표시된 하나의 해도를 입력받아, 입력된 하나의 해도를 제1그룹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복수의 클라이언트들 각각을 통해 해도 기준면이 표시된 해도, 해안선이 표시된 해도, 영해선이 표시된 해도, 및 배타적 경제수역의 경계가 표시된 해도를 각각 입력받아, 입력된 해도들을 제1그룹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Here, the data collection unit 120 receives one chart in which all the boundaries of the chart reference plane, the coastline, the territorial sea, and the exclusive economic zone (EEZ) are displayed, and stores the inputted chart in the first group database. Alternatively, a chart on which the reference plane of the chart is displayed, a chart with a coastline, a chart with a territorial sea line, and a chart with the boundary of an exclusive economic zone are received through each of a plurality of clients, respectively, and the inputted charts are stored in the first group database It may be implemented as

데이터 수집부(120)는 해양 환경 또는 환경 생태를 위한 입지, 어업 활동을 위한 입지, 해양 자원을 위한 입지, 중 해양 관광을 위한 입지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인 제2그룹 데이터를 제2그룹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The data collection unit 120 collects second group data, which is information about at least one of a location for a marine environment or environmental ecology, a location for fishing activities, a location for marine resources, and a location for marine tourism in the second group database. can be stored in

데이터 수집부(120)는 전력계통망에 대한 정보인 제3그룹 데이터를 제3그룹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The data collection unit 120 may store third group data, which is information on the power grid, in the third group databas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수집부(120)는 클라이언트들을 제1 내지 제3그룹 데이터베이스에 대응하도록 분류하여, 분류된 그룹에 해당하는 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제1 내지 제3그룹 데이터베이스 중 대응하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The data collection unit 1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ssifies clients to correspond to the first to third group databases, and collects data received from the clients corresponding to the classified groups from among the first to third group databases. It can be implemented to store in a corresponding databas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수집부(120)는 상기 클라이언트들로부터 수신하는 데이터들을 수집하여, 수집된 데이터들 각각을 분류하여 제1, 제2, 및 제3 그룹 데이터베이스 각각에 저장하기 위해, 상기 수집된 데이터들을 기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분류하는 분류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data collection unit 12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llects data received from the clients, classifies each of the collected data and stores them in first, second, and third group databases, respectively. , may further include a classification unit (not shown) for classifying the collected data according to a preset algorithm.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분류부(미도시)는 상기 클라이언트들로부터 수집되는 각 데이터 파일의 표제(title)를 토대로 키워드를 추출하고, 추출된 키워드에 따라 상기 수집된 데이터를 제1 또는 제2 또는 제3그룹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classification unit (not shown) extracts a keyword based on the title of each data file collected from the clients, and divides the collected data into a first or second or It can be stored in the third group database.

예컨대, 데이터 수집부(120)가 해양 수산부(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한 데이터 파일의 표제가 “해양 생태계 보호 구역”인 경우, 분류부(미도시)는 상기 데이터 파일의 표제에서, “해양”, “생태계”, “보호”, “구역”의 키워드를 추출하고, 추출된 키워드들을 분류를 위해 미리 저장된 키워드들과 비교한 결과, 제2그룹 데이터베이스로 분류하기 위한 제2비교 키워드와, 상기 추출된 “생태계” 및 “보호”가 매칭되면, 상기 수신한 데이터를 제2그룹 데이터베이스로 분류 저장하게 되는 것이다.For example, when the title of the data file received by the data collection unit 120 from the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client) is “Marine Ecosystem Protection Area”, the classification unit (not shown) in the title of the data file, “Marine”, “ As a result of extracting keywords of “ecosystem”, “protection” and “region”, and comparing the extracted keywords with keywords stored in advance for classification, a second comparison keyword for classifying into the second group database, and the extracted “ When “ecosystem” and “protection” match, the received data is classified and stored as a second group database.

예를 들어, 제1그룹 데이터베이스로 분류하기 위한 키워드(제1비교 키워드)로는, “수심”, ”해안선” 등이 있을 수 있고, 제2그룹 데이터베이스로 분류하기 위한 키워드(제2비교 키워드)로는, ”생태계”, ”보호”, ”보전”, ”습지”, “바다골재”, ”야생동물”, ”국립공원”, ”사격”, ”훈련” 등이 있을 수 있으며, 제3그룹 데이터베이스로 분류하기 위한 키워드(제3비교 키워드)로는, ”전력”, ”변전소”, ”통신망” 등이 있을 수 있다. For example, as a keyword (first comparison keyword) for classifying into the first group database, there may be “water depth”, “coastline”, etc., and as a keyword for classifying into the second group database (second comparison keyword), , “ecosystem”, “protection”, “conservation”, “wetland”, “sea aggregate”, “wild animal”, “national park”, “shooting”, “training”, etc. As keywords for classification (the third comparative keyword), there may be 'electric power', 'substation',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like.

상기 예시한 제1비교 키워드, 제2비교 키워드 및 제3비교 키워드는 입력되는 데이터 파일의 표제에 따른 키워드와 매칭 비교를 위해 미리 저장되는 것일 수 있다.The exemplified first comparison keyword, second comparison keyword, and third comparison keyword may be previously stored for matching comparison with a keyword according to the title of the input data file.

레이어 생성부(140)는 데이터 수집부(120)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들을 기초로 분석하고자 하는 복수의 유효 팩터(factor)들을 추출하고, 추출한 유효 팩터들을 공간 정보로 변환함에 따라 복수개의 레이어들을 생성할 수 있다.The layer generating unit 140 extracts a plurality of effective factors to be analyzed based on the data collected from the data collection unit 120, and converts the extracted effective factors into spatial information to generate a plurality of layers. can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어 생성부(14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the layer generating unit 1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이어 생성부(140)는 유효 팩터 추출부(142), 변환부(144), 및 태그 정보 생성부(14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the layer generating unit 14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effective factor extracting unit 142 , a transforming unit 144 , and a tag information generating unit 146 .

유효 팩터 추출부(142)는 제1그룹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제1그룹 데이터를 기반으로 제1유효 팩터들을 추출하고, 제2그룹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제2그룹 데이터를 기반으로 제2유효 팩터들을 추출하며, 제3그룹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제3그룹 데이터를 기반으로 제3유효 팩터들을 추출할 수 있다.The effective factor extraction unit 142 extracts first effective factors based on the first group data stored in the first group database, and extracts the second effective factors based on the second group data stored in the second group database, Third effective factors may be extracted based on the third group data stored in the third group database.

여기서, 유효 팩터(factor)란 제1 내지 제3그룹 데이터들 중 입지 분석 지도를 생성하기 위한 레이어를 생성하는데 사용할 데이터를 의미하는 것이다.Here, the effective factor means data to be used for generating a layer for generating a location analysis map among the first to third group data.

구분division 표제(title)title 자료생산시기Data production period 상태state 제2그룹 데이터2nd group data 해양생태계보호구역Marine Ecosystem Reserve 20182018 OO 제2그룹 데이터2nd group data 수산지원보호구역Fisheries Support Reserve 20162016 XX

상기 <표1>은 유효 팩터 추출부(142)가 제2그룹 데이터베이스부로부터 전달받은 제2그룹 데이터들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일 실시예인 <표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유효 팩터 추출부(142)는 '해양생태계보호구역' 데이터의 '상태'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 '상태'가 'O'이면 제2레이어를 생성하는데 고려할 유효 팩터로서 추출하고, 반대로 확인 결과 '상태'가 'X'이면 제2레이어를 생성하기 위한 유효 팩터로 취급하지 않을 수 있다.Table 1 shows an example of the second group data received by the effective factor extracting unit 142 from the second group database unit. Wh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able 1>, which is an embodiment, the effective factor extraction unit 142 checks the 'state' of the 'marine ecosystem protection zone' data, and if the 'state' is 'O' as a result of the check, the second layer It is extracted as a valid factor to be considered for generation, and conversely, if the 'state' is 'X' as a result of confirmation, it may not be treated as a valid factor for generating the second layer.

여기서, 상기 <표1>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참고자료일 뿐, 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들은 프로그래밍 언어로서 코딩(coding)되어 처리될 수 있다.Here, the <Table 1> is only a reference material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coded and processed as a programming language.

또 다른 일 예로서, 유효 팩터 추출부(142)는 각 데이터의 자료생산시기를 고려하여 기 설정된 기준 이상 오래된 데이터의 경우에는, 해당 데이터를 유효 팩터로 취급하지 않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effective factor extraction unit 142 may be implemented not to treat the data as a valid factor in the case of data older than a preset standard in consideration of the data production time of each data.

변환부(144)는 유효 팩터 추출부(142)로부터 추출된 제1유효 팩터를 공간 정보로 변환하여 제1레이어를 생성하며, 제2유효 팩터를 공간 정보로 변환하여 제2레이어를 생성하고, 제3유효 팩터를 공간 정보로 변환함에 따라 제3레이어를 생성할 수 있다.The conversion unit 144 converts the first effective factor extracted from the effective factor extractor 142 into spatial information to generate a first layer, and converts the second effective factor into spatial information to generate a second layer, A third layer may be generated by converting the third effective factor into spatial information.

예컨대, 변환부(144)는 각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대상 지역의 세부 지역별 해당여부를 토대로 래스터 데이터(raster data)로 생성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verter 144 may generate raster data based on whether the target region included in each data corresponds to a specific region.

일 실시예로, 변환부(144)는 대상 지역 중 해양생태계보호구역에 해당되는 위도 A, 경도 B인 지역에 색상값, 명도값, 선(line)유형을 구분되게 처리함에 따라 래스터 데이터를 생성하여, 제2레이어를 생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변환부(144)는 복수의 유효 팩터를 고려하여 세부 지역별 색상값, 명도값, 선(line)유형을 구분되게 처리함에 따라 래스터 데이터를 생성하여, 제2레이어를 생성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onversion unit 144 generates raster data by separately processing color values, brightness values, and line types in the regions of latitude A and longitude B corresponding to the marine ecosystem protection zone among the target regions. Thus, a second layer can be created. More specifically, the conversion unit 144 may generate raster data by separately processing color values, brightness values, and line types for each region in consideration of a plurality of effective factors to generate the second layer. there is.

변환부(144)는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1유효 팩터를 고려하여 래스터 데이터를 생성함으로써 제1레이어를 생성하고, 제3유효 팩터를 고려하여 래스터 데이터를 생성함으로써 제3레이어를 생성할 수 있다.The conversion unit 144 may generate the first layer by generating the raster data in consideration of the first effective factor, and generate the third layer by generating the raster data in consideration of the third effective factor, as in the above embodiment. .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그 정보 생성부(146)는 제1유효 팩터들, 제2유효 팩터들, 및 제3유효 팩터들 각각에 대하여 기 설정된 기준에 따른 가중치를 적용함에 따라 대상 지역의 구분된 위치별 스코어(score)를 산출하여, 위치별로 태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The tag information generating unit 146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vides the target region by applying a weight according to a preset criterion to each of the first effective factors, the second effective factors, and the third effective factors By calculating a score for each location, it is possible to generate tag information for each location.

일 실시예에 따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태그 정보 생성부(146)는 제1내지 제3유효 팩터들 중 풍속이 높은 지역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유효 팩터의 가중치를 해양생태계보호구역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유효 팩터의 가중치에 비해 높게 설정함으로써, 대상 지역의 세부 지역별 스코어를 산출하여, 상기 세부 지역별로 산출된 스코어를 나타내는 태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To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tag information generating unit 146 sets the weight of the effective factor including information on the area with high wind speed among the first to third effective factors to the information on the marine ecosystem protection zone. By setting the weight to be higher than the weight of the effective factor including , a score for each sub-region of the target region may be calculated, and tag information indicating the score calculated for each sub-region may be generated.

예컨대, 태그 정보 생성부(146)가 적용하는 유효 팩터별 가중치는, 기 설정된 데이터 표제의 키워드별 가중치로서, 미리 설정되어 있는 가중치 값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weight for each effective factor applied by the tag information generating unit 146 is a weight for each keyword of a preset data title, and may be a preset weight value.

다시 도1을 참조하면, 지도 생성부(160)는 레이어 생성부(140)로부터 생성된 레이어들을 통합하여, 입지 분석 지도를 생성할 수 있다.Referring back to FIG. 1 , the map generator 160 may integrate the layers generated by the layer generator 140 to generate a location analysis map.

지도 생성부(160)는 변환부(144)로부터 생성된 제1 내지 제3레이어를 통합함에 따라 제1 내지 제3유효 팩터들에 상응하는 정보를 서로 다른 색상으로 표시하여 입지 분석 지도를 생성할 수 있다.As the first to third layers generated by the transforming unit 144 are integrated, the map generating unit 160 display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to third effective factors in different colors to generate a location analysis map. can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지도 생성부(160)는 제1 내지 제3레이어를 통합한 지도에, 태그 정보 생성부(146)로부터 생성된 태그 정보를 대상 지역의 세부 지역별로 저장함으로써 입지 분석 지도를 생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p generating unit 16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tores the tag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tag information generating unit 146 in the map integrating the first to third layers for each sub-region of the target region, thereby providing a location analysis map can create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지 분석 지도의 생성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generating a location analysis ma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도3을 참고하면, 지도 생성부(160)는 먼저 대상 지역과 관련하여 미리 준비된 전자 지도(32) 위에, 레이어 생성부(140)로부터 생성된 제1레이어(34), 제2레이어(36), 제3레이어(38)를 적층 통합함으로써, 입지 분석 지도를 생성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which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p generating unit 160 first includes a first layer 34 generated by the layer generating unit 140 on the electronic map 32 prepared in advance in relation to the target area; By laminating and integrating the second layer 36 and the third layer 38, a location analysis map can be generated.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지 분석 지도에 따른 유효 팩터들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효 팩터들에 대한 정보를 표시한 입지 분석 지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4 및 도5에 도시된 도면은, 디스플레이 또는 화면 상에서 사용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모습일 수 있다.4 is a diagram showing effective factors according to a location analysis ma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diagram showing a location analysis map displaying information on effective facto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drawings shown in FIGS. 4 and 5 may be a state that a user can visually confirm on a display or a screen.

도4 및 도5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입지 분석 지도는 대상 지역에 대하여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유효 팩터들에 대한 정보가 서로 다른 색상, 명도, 또는 선 유형으로 구분하여 표시한 지도로 구현될 수 있다.4 and 5, the location analysis map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displays information on effective factors as shown in FIG. 4 for a target area by dividing them into different colors, brightness, or line types. It can be implemented as a map.

입지 분석 지도에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유효 팩터들의 목록을 지도와 함께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지도와 함께 표시된 유효 팩터들은 사용자가 관심 있는 유효 팩터를 선택할 수 있도록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선택도 가능하도록 표시될 수 있다.On the location analysis map, a list of effective factors as shown in FIG. 4 may be displayed together with the map. In addition, the effective factors displayed together with the map may be displayed to enable selection of activation or deactivation so that the user can select the effective factor of interest.

도6 및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일부 유효 팩터를 선택함으로써 화면 상에 표시되는 입지 분석 지도를 도시한 일 예이다.6 and 7 are an example of a location analysis map displayed on a screen when a user selects some effective facto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일 실시예인 도6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입지 분석 지도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유효 팩터, “등심선”, “해안선“, “약최저저조선“, “영해한계선“, “경계“, “해양보호구역“, “환경관리해역“, “자연환경보전“, “무인도서“를 대상 지역 상에 표시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which is an embodiment, the location analysis map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effective factors, “sea line”, “coast line”, “weak lowest line”, “territorial sea limit line”, “boundary”, “Marine protected area”, “environmental management area”, “natural environment conservation”, and “uninhabited island” can be displayed on the target area.

또 다른 실시예인 도7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입지 분석 지도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도6에서 표시되었던 유효 팩터에 더불어, 유효 팩터, “해상사격훈력구역“을 대상 지역 상에 더욱 표시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which is another embodiment, the location analysis map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further displays an effective factor, “marine shooting training zone”, on the target area in addition to the effective factor displayed in FIG. 6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can do.

도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지 분석 지도 제공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입지 분석 지도 제공시스템(200)은 상기 도1 내지 도7을 참조하여 설명한 입지 분석 지도를 필요로 하는 정보기관에 상기 입지 분석 지도를 제공하기 위한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8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location analysis map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cation analysis map providing system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as a server for providing the location analysis map to an information institution in need of the location analysis map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7 .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지 분석 지도 제공시스템(200)은, 데이터 수집부(220), 레이어 생성부(240), 및 지도 생성부(260)를 포함하는 입지 분석 지도 생성장치, 및 서비스 제공부(280)를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8 , the location analysis map providing system 2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ocation data collection unit 220 , a layer generation unit 240 , and a map generation unit 260 . It may be composed of an analysis map generating device and a service providing device including the service providing unit 280 .

입지 분석 제공시스템(200)의 데이터 수집부(220), 레이어 생성부(240), 및 지도 생성부(260)의 동작 구성 및 원리는 상술한 입지 분석 지도 생성장치(100)의 데이터 수집부(120), 레이어 생성부(140), 및 지도 생성부(160)의 동작 구성 및 원리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여기서는 생략하도록 한다.The configuration and principle of the operation of the data collection unit 220, the layer generation unit 240, and the map generation unit 260 of the location analysis providing system 200 is the data collection unit ( 120), the layer generating unit 140, and the map generating unit 160 have the same configuration and principle,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서비스 제공장치의 서비스 제공부(280)는 지도 생성부(260)로부터 생성된 입지 분석 지도를 외부로 제공할 수 있다.The service providing unit 280 of the service providing apparatus may externally provide the location analysis map generated by the map generating unit 260 .

본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부(280)는 풍력발전 개발사업을 하고자 하는 업체 및 기관에 입지 분석 지도를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서비스 제공부(280)는 서버에 연결되어 있는 입지 분석 지도를 필요로 하는 클라이언트(상기 업체 또는 기관)로부터 제공요청 메시지 신호가 입력되면, 생성된 입지 분석 지도를 전달할 수 있다.The service providing unit 28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provide a location analysis map to companies and institutions that want to develop a wind power generation business. For example, the service providing unit 280 may deliver the generated location analysis map when a request message signal is input from a client (the company or institution) that requires a location analysis map connected to the server.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서비스 제공부(280)는 상기 생성된 입지 분석 지도를 웹서비스로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모바일 서비스로도 공중에게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ice providing unit 280 may provide the generated location analysis map as a web service.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mobile service can also be provided to the public.

도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입지 분석 지도 생성장치가 풍력발전을 위한 입지 분석 지도 생성방법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9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ethod for generating a location analysis map for wind power generation by the location analysis map generating apparatus over ti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S910 단계에서 데이터 수집부(120)는 풍력발전을 위한 입지 분석 지도를 생성하기 위하여, 대상 지역에 대한 데이터들을 수집할 수 있다.First, in step S910 , the data collection unit 120 may collect data on a target area in order to generate a location analysis map for wind power generation.

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수집부(120)는 외부 서버를 통해 통신 연결된 복수의 클라이언트(client)들을 통해 풍력발전과 관련된 지리적 조건, 환경적 조건 및 기술적 조건과 관련한 다양한 데이터들을 입력받아, 입력된 데이터들을 제1, 제2, 및 제3그룹 데이터로 분류하여, 각 그룹 데이터에 대응되는 제1 내지 제3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함으로써, 풍력발전을 위한 입지 지도를 생성하기 위한 데이터들을 수집할 수 있다.The data collection unit 12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receives various data related to geographic conditions, environmental conditions and technical conditions related to wind power generation through a plurality of clients that are communicatively connected through an external server, and receives the input data By classifying them into first, second, and third group data and storing them in first to third databases corresponding to each group data, data for generating a location map for wind power generation can be collected.

S920 단계에서, 레이어 생성부(140)는 제1 내지 제3그룹 데이터를 기반으로 제1 내지 제3유효 팩터들을 추출할 수 있다. 여기서, 유효 팩터(factor)란 제1 내지 제3그룹 데이터들 중 입지 분석 지도를 생성하기 위한 레이어를 생성하는데 사용할 데이터를 의미하는 것이다.In operation S920 , the layer generator 140 may extract first to third effective factors based on the first to third group data. Here, the effective factor means data to be used for generating a layer for generating a location analysis map among the first to third group data.

S930 단계에서, 레이어 생성부(140)는 추출된 제1, 제2, 및 제3유효 팩터 각각을 공간 정보로 변환하여 제1, 제2, 및 제3레이어를 생성할 수 있다.In operation S930 , the layer generator 140 may generate first, second, and third layers by converting each of the extracted first, second, and third effective factors into spatial information.

이에 따라, S940 단계에서, 지도 생성부(160)는 레이어 생성부(140)로부터 생성된 레이어들을 통합하여, 입지 분석 지도를 생성할 수 있다.Accordingly, in operation S940 , the map generator 160 may integrate the layers generated by the layer generator 140 to generate a location analysis map.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은 USB 메모리, CD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등과 같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기록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Even though all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described as being combined or operated in combina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embodiment. That is, within the scope of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the components may operate by selectively combining one or more. In addition,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implemented as one independent hardware, but a part or all of each component is selectively combined to perform some or all of the functions combined in one or a plurality of hardware program modules It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program having In addition, such a computer program is stored in a computer readable media such as a USB memory, a CD disk, a flash memory, etc., read and executed by a computer, thereby implemen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puter program recording medium may include a magnetic recording medium, an optical recording medium, and the like.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for illustration,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understand that it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persed form, and likewise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입지 분석 지도 생성장치
200: 입지 분석 지도 제공시스템
120, 220: 데이터 수집부
140, 240: 레이어 생성부
142: 유효 팩터 추출부
144: 변환부
146: 태그 정보 생성부
160, 260: 지도 생성부
280: 서비스 제공부
100: location analysis map generator
200: location analysis map providing system
120, 220: data collection unit
140, 240: layer creation unit
142: effective factor extraction unit
144: conversion unit
146: tag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60, 260: map generator
280: service provider

Claims (17)

풍력발전을 위한 입지 분석 지도를 생성하기 위하여, 대상 지역에 대한 데이터들을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부;
수집된 데이터들을 기초로 분석하고자 하는 복수의 유효 팩터(factor)들을 추출하고, 추출한 유효 팩터들을 공간 정보로 변환함에 따라 지리적 입지조건과 관련된 제1레이어, 환경적 입지조건과 관련된 제2레이어, 및 기술적 입지조건과 관련된 제3레이어를 생성하는 레이어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레이어들을 통합하여 상기 입지 분석 지도를 생성하는 지도 생성부;를 포함하되,
상기 환경적 입지조건은, ⅰ) 해양보호구역 및 환경관리해역을 포함하는 해양환경 또는 환경 생태를 위한 입지와, ⅱ) 조업 밀집구역 및 어초지역을 포함하는 어업 활동을 위한 입지와, ⅲ) 해양 자원을 위한 입지와, ⅳ) 여객항로 및 문화재보호구역을 포함하는 해양 관광을 위한 입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유효 팩터들은, 제1유효 팩터들, 제2유효 팩터들, 및 제3유효 팩터들을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수집부는, 상기 수집된 데이터들 중 상기 제1레이어를 생성하기 위한 제1그룹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1그룹 데이터베이스; 상기 수집된 데이터들 중 상기 제2레이어를 생성하기 위한 제2그룹 데이터들을 저장하는 제2그룹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수집된 데이터들 중 상기 제3레이어를 생성하기 위한 제3그룹 데이터들을 저장하는 제3그룹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수집부는, 상기 수집된 데이터들 각각의 데이터 파일의 표제를 토대로 키워드를 추출하고, 추출된 키워드를 미리 저장된 키워드와 비교하여, 상기 수집된 데이터들을 상기 제1 내지 제3그룹 데이터베이스에 분류하여 저장하며,
상기 레이어 생성부는, 상기 제1그룹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제1유효 팩터들을 추출하고, 상기 제2그룹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제2유효 팩터들을 추출하며, 상기 제3그룹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제3유효 팩터들을 추출하는 유효 팩터 추출부; 및 상기 제1유효 팩터를 공간 정보로 변환하여 상기 제1레이어를 생성하고, 상기 제2유효 팩터를 공간 정보로 변환하여 상기 제2레이어를 생성하며, 상기 제3유효 팩터를 공간 정보로 변환하여 상기 제3레이어를 생성하는 변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을 위한 입지 분석 지도 생성장치.
In order to generate a location analysis map for wind power generation, a data collection unit for collecting data on the target area;
A first layer related to a geographical location condition, a second layer related to an environmental location condition, and a plurality of effective factors to be analyzed based on the collected data are extracted and the extracted effective factors are converted into spatial information. a layer generating unit that generates a third layer related to technical location conditions; and
Including; a map generator that integrates the generated layers to generate the location analysis map;
The above environmental site conditions are: i) a site for marine environment or environmental ecology including marine protection areas and environmental management areas; ii) a site for fishing activities including fishing clusters and reef areas; Sites for resources and iv) sites for marine tourism, including passenger routes and cultural properties protection areas;
wherein the plurality of significant factors include first significant factors, second significant factors, and third significant factors;
The data collection unit may include: a first group database for storing first group data for generating the first layer among the collected data; a second group database for storing second group data for generating the second layer among the collected data; and a third group database for storing third group data for generating the third layer among the collected data;
The data collection unit extracts a keyword based on the title of each data file of the collected data, compares the extracted keyword with a keyword stored in advance, and classifies the collected data into the first to third group databases. save,
The layer generator may be configured to extract the first effective factors based on the first group data, extract the second effective factors based on the second group data, and extract the third effective factors based on the third group data. a valid factor extracting unit for extracting valid factors; and converting the first effective factor into spatial information to generate the first layer, converting the second effective factor into spatial information to generate the second layer, and converting the third effective factor into spatial information. Location analysis map generator for wind power gener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version unit for generating the third lay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그룹 데이터는, 해도 기준면, 해안선, 영해선, 배타적 경제수역(EEZ)의 경계, 통항로, 해상관제구역, 해상사격훈련구역, 해양 안전 관리를 위한 입지 및 해양 연구를 위한 입지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을 위한 입지 분석 지도 생성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group data includes the reference plane of the chart, the coastline, the territorial sea line, the boundary of the exclusive economic zone (EEZ), the traffic route, the maritime control area, the maritime shooting training area, the location for maritime safety management, and the location for maritime research. Location analysis map generator for wind power gener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information about at least on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그룹 데이터들은, 전력계통망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을 위한 입지 분석 지도 생성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third group of data is a location analysis map generator for wind power gener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information on the power grid.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어 생성부는,
상기 제1유효 팩터들, 상기 제2유효 팩터들 및 상기 제3유효 팩터들 각각에 대하여 기 설정된 기준에 따른 가중치를 적용함에 따라 상기 대상 지역의 구분된 위치별 스코어를 산출하여, 상기 위치별로 태그 정보를 생성하는 태그 정보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을 위한 입지 분석 지도 생성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layer creation unit,
By applying a weight according to a preset criterion to each of the first effective factors, the second effective factors, and the third effective factors, a score for each location of the target area is calculated, and the tag for each location Location analysis map generator for wind power gener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tag information generator for generating information.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지도 생성부는,
상기 변환부로부터 생성된 상기 제1, 제2, 및 제3레이어를 통합함에 따라 상기 유효 팩터들에 상응하는 정보를 서로 다른 색상으로 표시하여 상기 입지 분석 지도를 생성하되,
상기 대상 지역의 위치별로 상기 태그 정보 생성부로부터 생성된 태그 정보를 저장하여 상기 입지 분석 지도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을 위한 입지 분석 지도 생성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The map generator,
By integrating the first, second, and third layers generated from the conversion uni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effective factors is displayed in different colors to generate the location analysis map,
Location analysis map generator for wind power genera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location analysis map is generated by storing the tag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tag information generator for each location of the target are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도 생성부는, 상기 대상 지역과 관련하여 미리 준비된 전자 지도 및 상기 복수의 레이어들을 통합하여 상기 입지 분석 지도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을 위한 입지 분석 지도 생성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location analysis map generator for wind power genera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map generator generates the location analysis map by integrating the electronic map prepared in advance in relation to the target area and the plurality of layers.
입지 분석 지도 생성장치를 이용하여 풍력발전을 위한 입지 분석 지도를 생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데이터 수집부가, 풍력발전을 위한 입지 분석 지도를 생성하기 위하여, 대상 지역에 대한 데이터들을 수집하는 단계;
레이어 생성부가, 수집된 데이터들을 기초로 분석하고자 하는 복수의 유효 팩터(factor)들을 추출하고, 추출한 유효 팩터들을 공간 정보로 변환함에 따라 지리적 입지조건과 관련된 제1레이어, 환경적 입지조건과 관련된 제2레이어, 및 기술적 입지조건과 관련된 제3레이어를 포함하는 레이어들을 생성하는 단계; 및
지도 생성부가, 상기 생성된 레이어들을 통합하여 상기 입지 분석 지도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환경적 입지조건은, ⅰ) 해양보호구역 및 환경관리해역을 포함하는 해양환경 또는 환경 생태를 위한 입지와, ⅱ) 조업 밀집구역 및 어초지역을 포함하는 어업 활동을 위한 입지와, ⅲ) 해양 자원을 위한 입지와, ⅳ) 여객항로 및 문화재보호구역을 포함하는 해양 관광을 위한 입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유효 팩터들은, 제1유효 팩터들, 제2유효 팩터들, 및 제3유효 팩터들을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들을 수집하는 단계는, 상기 수집된 데이터들 중 상기 제1레이어를 생성하기 위한 제1그룹 데이터를 제1그룹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데이터들 중 상기 제2레이어를 생성하기 위한 제2그룹 데이터들을 제2그룹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수집된 데이터들 중 상기 제3레이어를 생성하기 위한 제3그룹 데이터들을 제3그룹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수집부는, 상기 수집된 데이터들 각각의 표제를 토대로 키워드를 추출하고, 추출된 키워드를 미리 저장된 키워드와 비교하여, 상기 수집된 데이터들을 상기 제1 내지 제3그룹 데이터베이스에 분류하여 저장하며,
상기 레이어들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그룹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제1유효 팩터들을 추출하고, 상기 제2그룹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제2유효 팩터들을 추출하며, 상기 제3그룹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제3유효 팩터들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유효 팩터를 공간 정보로 변환하여 상기 제1레이어를 생성하고, 상기 제2유효 팩터를 공간 정보로 변환하여 상기 제2레이어를 생성하며, 상기 제3유효 팩터를 공간 정보로 변환하여 상기 제3레이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을 위한 입지 분석 지도 생성방법.
In the method of generating a location analysis map for wind power generation using a location analysis map generating device,
Collecting, by the data collection unit, data on the target area in order to generate a location analysis map for wind power generation;
As the layer generator extracts a plurality of effective factors to be analyzed based on the collected data, and converts the extracted effective factors into spatial information, the first layer related to the geographical location condition, the first layer related to the environmental location condition generating layers including two layers and a third layer related to a technical location condition; and
Including, by a map generator, integrating the generated layers to generate the location analysis map;
The above environmental site conditions are: i) a site for marine environment or environmental ecology including marine protection areas and environmental management areas; ii) a site for fishing activities including fishing clusters and reef areas; Sites for resources and iv) sites for marine tourism, including passenger routes and cultural properties protection areas;
wherein the plurality of significant factors include first significant factors, second significant factors, and third significant factors;
The collecting of the data may include: storing first group data for generating the first layer among the collected data in a first group database; storing second group data for generating the second layer among the collected data in a second group database; and storing third group data for generating the third layer among the collected data in a third group database;
The data collection unit extracts a keyword based on the title of each of the collected data, compares the extracted keyword with a keyword stored in advance, classifies the collected data in the first to third group databases, and stores it,
The generating of the layers includes extracting the first effective factors based on the first group data, extracting the second effective factors based on the second group data, and based on the third group data. extracting the third significant factors; and converting the first effective factor into spatial information to generate the first layer, converting the second effective factor into spatial information to generate the second layer, and converting the third effective factor into spatial information. Generating the third layer; location analysis map generation method for wind power gener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그룹 데이터는, 해도 기준면, 해안선, 영해선, 배타적 경제수역(EEZ)의 경계, 통항로, 해상관제구역, 해상사격훈련구역, 해양 안전 관리를 위한 입지 및 해양 연구를 위한 입지에 대한 정보이고,
상기 제3그룹 데이터들은, 전력계통망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을 위한 입지 분석 지도 생성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first group data is information about the reference plane of the chart, the coastline, the territorial sea line, the boundary of the exclusive economic zone (EEZ), the traffic route, the maritime control area, the maritime shooting training area, the location for maritime safety management, and the location for marine research. ,
The third group data, location analysis map generation method for wind power gener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information on the power grid.
풍력발전을 위한 입지 분석 지도를 생성하기 위하여, 대상 지역에 대한 데이터들을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부, 수집된 데이터들을 기초로 분석하고자 하는 복수의 유효 팩터(factor)들을 추출하고, 추출한 유효 팩터들을 공간 정보로 변환함에 따라 지리적 입지조건과 관련된 제1레이어, 환경적 입지조건과 관련된 제2레이어, 및 기술적 입지조건과 관련된 제3레이어를 생성하는 레이어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레이어들을 통합하여 상기 입지 분석 지도를 생성하는 지도 생성부를 포함하는 입지 분석 지도 생성장치; 및
상기 입지 분석 지도 생성장치로부터 생성된 입지 분석 지도를 통신 연결된 외부의 클라이언트로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환경적 입지조건은, ⅰ) 해양보호구역 및 환경관리해역을 포함하는 해양환경 또는 환경 생태를 위한 입지와, ⅱ) 조업 밀집구역 및 어초지역을 포함하는 어업 활동을 위한 입지와, ⅲ) 해양 자원을 위한 입지와, ⅳ) 여객항로 및 문화재보호구역을 포함하는 해양 관광을 위한 입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유효 팩터들은, 제1유효 팩터들, 제2유효 팩터들, 및 제3유효 팩터들을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수집부는, 상기 수집된 데이터들 중 상기 제1레이어를 생성하기 위한 제1그룹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1그룹 데이터베이스; 상기 수집된 데이터들 중 상기 제2레이어를 생성하기 위한 제2그룹 데이터들을 저장하는 제2그룹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수집된 데이터들 중 상기 제3레이어를 생성하기 위한 제3그룹 데이터들을 저장하는 제3그룹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수집부는, 상기 수집된 데이터들 각각의 표제를 토대로 키워드를 추출하고, 추출된 키워드를 미리 저장된 키워드와 비교하여, 상기 수집된 데이터들을 상기 제1 내지 제3그룹 데이터베이스에 분류하여 저장하며,
상기 레이어 생성부는, 상기 제1그룹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제1유효 팩터들을 추출하고, 상기 제2그룹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제2유효 팩터들을 추출하며, 상기 제3그룹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제3유효 팩터들을 추출하는 유효 팩터 추출부; 및 상기 제1유효 팩터를 공간 정보로 변환하여 상기 제1레이어를 생성하고, 상기 제2유효 팩터를 공간 정보로 변환하여 상기 제2레이어를 생성하며, 상기 제3유효 팩터를 공간 정보로 변환하여 상기 제3레이어를 생성하는 변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을 위한 입지 분석 지도 제공시스템.
In order to generate a location analysis map for wind power generation, a data collection unit that collects data on a target area, extracts a plurality of effective factors to be analyzed based on the collected data, and uses the extracted effective factors as spatial information A layer generator that generates a first layer related to geographical location conditions, a second layer related to environmental location conditions, and a third layer related to technical location conditions as it is converted into , and the location analysis by integrating the generated layers a location analysis map generator including a map generator for generating a map; and
A service providing device for providing the location analysis map generated by the location analysis map generating device to an external client connected through communication;
The above environmental site conditions are: i) a site for marine environment or environmental ecology including marine protection areas and environmental management areas; ii) a site for fishing activities including fishing clusters and reef areas; Sites for resources and iv) sites for marine tourism, including passenger routes and cultural properties protection areas;
wherein the plurality of significant factors include first significant factors, second significant factors, and third significant factors;
The data collection unit may include: a first group database for storing first group data for generating the first layer among the collected data; a second group database for storing second group data for generating the second layer among the collected data; and a third group database for storing third group data for generating the third layer among the collected data;
The data collection unit extracts a keyword based on the title of each of the collected data, compares the extracted keyword with a keyword stored in advance, classifies the collected data in the first to third group databases, and stores it,
The layer generator may be configured to extract the first effective factors based on the first group data, extract the second effective factors based on the second group data, and extract the third effective factors based on the third group data. a valid factor extracting unit for extracting valid factors; and converting the first effective factor into spatial information to generate the first layer, converting the second effective factor into spatial information to generate the second layer, and converting the third effective factor into spatial information. A location analysis map providing system for wind power gener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version unit for generating the third layer.
삭제delete 제11항 및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입지 분석 지도 생성방법을 컴퓨터에서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A computer program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executing the method for generating a location analysis map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1 and 14 on a computer.

KR1020200051428A 2020-04-28 2020-04-28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generating location analysis map for offshore wind power generation, and apparatus for providing location analysis map KR10238415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1428A KR102384158B1 (en) 2020-04-28 2020-04-28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generating location analysis map for offshore wind power generation, and apparatus for providing location analysis map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1428A KR102384158B1 (en) 2020-04-28 2020-04-28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generating location analysis map for offshore wind power generation, and apparatus for providing location analysis map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2923A KR20210132923A (en) 2021-11-05
KR102384158B1 true KR102384158B1 (en) 2022-04-08

Family

ID=78507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1428A KR102384158B1 (en) 2020-04-28 2020-04-28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generating location analysis map for offshore wind power generation, and apparatus for providing location analysis map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415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3818B1 (en) * 2023-01-31 2024-03-06 주식회사 청호알앤디 Wind power plant simulator considering a evaluation of private influenc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3616A (en) * 2003-12-22 2005-06-28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Wind resource mapping method
KR101316576B1 (en) * 2011-05-26 2013-10-15 대한민국 Site Analysis System and Method for Wind Power
KR20140029882A (en) * 2012-08-31 2014-03-11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3d spatial image based renewable energy site evaluation method and evalu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2923A (en) 2021-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nis et al. Toward a better appraisal of urbanization in India. A fresh look at the landscape of morphological agglomerates
Ali et al. Exercising multidisciplinary approach to assess interrelationship between energy use, carbon emission and land use change in a metropolitan city of Pakistan
González‐Olabarria et al. Different factors for different causes: analysis of the spatial aggregations of fire ignitions in Catalonia (Spain)
CN105590160A (en) Three-dimensional emergency command method and system on the basis of GIS
KR102384158B1 (e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generating location analysis map for offshore wind power generation, and apparatus for providing location analysis map
Shepherd et al. Scotland’s onshore wind energy generation, impact on natural capital & satisfying no-nuclear energy policy
CN114022092A (en) Intelligent management platform system for natural protected area
Vasko et al. Space assets, technology and services in support of energy policy
de Boer et al. Local power and land use: spatial implications for local energy development
Esch et al. Earth observation-supported service platform for the development and provision of thematic information on the built environment—The TEP-Urban project
Rusu An evaluation of the expected wind dynamics in the black sea in the context of the climate change
Gismalla et al. Use of a GIS in reconnaissance studies for small-scale hydropower development in a developing country: A case study from Tanzania
Wu et al. Protection efficiency assessment and quality of coastal shelterbelt for Dongshan Island at the coastal section scale
Haces-Fernandez et al. Assessment of Wind Energy in the United States Gulf of Mexico Area as Power Supply for Offshore Oil Platforms
Hrouga et al. Supply chain planning of off-shores winds farms operations: a review
Michalena Using renewable energy as a tool to achieve tourism sustainability in Mediterranean islands
El-Sayed et al. Towards a fossil free energy production using gis multi-criteria decision-making support tool
Kraxner et al. Recommendations and lessons learned for a renewable energy strategy in the Alps
Abdollahi et al. Urban forest ecosystem structure and the function of the gulf coastal communities in the United States
de Vries et al. Geospatial Approaches to Model Renewable Energy Requirements of the New Capital City of Indonesia
KR102309345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nsumer-Customized Coastal weather information according to working field and area of consumer
Andersen et al. Assessment of social acceptance of 30 starts/stops in Ume River: A HydroFlex report
Palacios et al. New Enabling Technologies to Observe and Characterise Urban Environments with Big Data from Space–the Urban Thematic Exploitation Platform
Handam et al. The Development Strategy of Coastal Area In Makassar City Through Governance System Analysis (GSA)
Ryden Analysis of Solar Power Land Use in Massachusetts through the Lens of Environmental Just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