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3834B1 - Personality type classify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Personality type classify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3834B1
KR102383834B1 KR1020200047790A KR20200047790A KR102383834B1 KR 102383834 B1 KR102383834 B1 KR 102383834B1 KR 1020200047790 A KR1020200047790 A KR 1020200047790A KR 20200047790 A KR20200047790 A KR 20200047790A KR 102383834 B1 KR102383834 B1 KR 1023838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sonality type
answer
determining
client
keywor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779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129812A (en
Inventor
현철우
어유경
이지현
Original Assignee
(주)피플벤처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피플벤처스 filed Critical (주)피플벤처스
Priority to KR10202000477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3834B1/en
Publication of KR202101298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981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38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383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6Devices for psychotechnics; Testing reaction times ; Devices for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state
    • A61B5/167Personality evalu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35Details of waveform analysis
    • A61B5/7264Classification of physiological signals or data, e.g. using neural networks, statistical classifiers, expert systems or fuzzy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20Natural language analysis
    • G06F40/205Par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20Natural language analysis
    • G06F40/279Recognition of textual entiti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electronic clinical trials or questionnaires

Abstract

성격 유형 결정 장치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성격 유형 결정 장치는, 내담자의 성격 유형을 결정하기 위한 성격 유형 결정 장치에 있어서, 성격 유형을 결정하기 위한 질문 리스트에 대한 내담자의 답변이 입력되는 입력부; 질문 리스트에 대하여 내담자의 외향성, 개방성, 우호성, 성실성 및 신경성과 관련된 성격 유형을 판단하기 위하여 생성된 성격 유형별 진단 키워드가 저장된 메모리부; 입력부에 입력된 답변으로부터 답변 키워드를 생성하고, 생성된 답변 키워드 및 진단 키워드를 이용하여 유사도를 판단하며, 판단된 유사도에 따라 내담자의 성격 유형을 결정하는 제어부; 및 결정된 성격 유형을 출력하는 출력부; 를 포함한다.
A personality type determination apparatus and method are disclosed.
A personality type determi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personality type determining apparatus for determining a personality type of a client, comprising: an input unit into which an answer of a client to a list of questions for determining a personality type is input; a memory unit storing diagnostic keywords for each personality type generated to determine the personality type related to the client's extraversion, openness, friendliness, sincerity, and neuroticism with respect to the question list; a control unit for generating answer keywords from answers input to the input unit, determining a similarity level using the generated answer keywords and diagnostic keywords, and determining a personality type of the client according to the determined similarity level; and an output unit for outputting the determined personality type; includes

Description

성격 유형 결정 장치 및 그 방법{PERSONALITY TYPE CLASSIFY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personality type

본 발명은 성격 유형 결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미리 설정된 질문 리스트와 내담자의 답변을 비교, 분석하여 내담자의 성격 유형을 분류할 수 있는 성격 유형 결정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personality type determina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personality type determination apparatus and method capable of classifying a client's personality type by comparing and analyzing a preset question list with the client's answers.

최근 사회적으로 상담 서비스 종사자수와 상담 서비스에 대한 고객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세계적인 코칭산업 발전 트렌드에 따라 온디맨드(on-demand) 서비스 필요성이 함께 증가하고 있다. Recently, the number of counseling service workers and customer demand for counseling services are increasing in society, and the need for on-demand services is increasing along with the global coaching industry development trend.

라이프, 비즈니스, 진로(커리어), 학습코칭 등 전문적인 코칭 산업이 상담, 컨설팅 사업과는 별개로 성장하는 중이며, 특히, 국내의 코칭 서비스 역시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데, 그 중 전화를 통한 코칭이 전체의 35% 이상을 점유하고 있다. Professional coaching industries such as life, business, career (career), and learning coaching are growing independently of consulting and consulting businesses. In particular, coaching services in Korea are also rapidly increasing. It occupies more than 35%.

또한, 조직구성원의 직무 스트레스/정신건강 등에 대한 전문가 상담 지원 프로그램인 근로자지원프로그램(Employee Assistance Program; EAP) 시장의 급속한 성장으로 B2B(Business to Business) 시장이 본격화되고 있다. In addition, the B2B (Business to Business) market is in full swing due to the rapid growth of the Employee Assistance Program (EAP) market, which is an expert counseling support program for job stress/mental health of organizational members.

미국 100대 기업의 90%가 근로자지원프로그램 서비스를 도입하고 있고, 일본은 2014년 214억엔에서 2015년 노동안전위생법 시행으로 2020년 까지 350억엔 규모로 증가할 전망이며, 국내는 공공기관과 대기업 중심으로 근로자지원프로그램 서비스의 도입이 늘고 있으며, 2022년까지 1200억원 규모로 성장할 전망이다. 90% of the top 100 U.S. companies have introduced worker support programs, and in Japan, it is expected to increase from 21.4 billion yen in 2014 to 35 billion yen by 2020 due to the enforcement of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 in 2015. As a result, the introduction of worker support program services is increasing, and it is expected to grow to 120 billion won by 2022.

더욱이, 2018년 10월부터 시행된 감정노동자 보호법으로, 치료 및 상담지원에 대한 B2B 시장이 급팽창되고 있다. Moreover, with the Emotional Workers Protection Act that took effect in October 2018, the B2B market for treatment and counseling support is rapidly expanding.

감정노동자 보호법의 국내 감정노동자는 전체 근로자의 31 ~ 41% 인 560 ~ 740만명을 대상으로 하며, 감정노동자 보호를 위한 예방조치, 상담지원 등을 의무화하고, 근로자의 신체건강외에 정신건강도 보호범위에 포함되어 시장의 급성장이 예상된다. According to the Emotional Workers Protection Act, domestic emotional workers are 31 to 41% of all workers, or 5.6 to 7.4 million, and preventive measures and counseling support are mandatory to protect emotional workers. included in the market, which is expected to grow rapidly.

또한, 우울증 환자의 증가로 정신건강 서비스에 대한 인식이 변화하고 심리 상담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면서 정신건강 서비스 이용률이 증가하고 있다. In addition, as the number of depressed patients changes, the perception of mental health services is changing and the demand for psychological counseling is increasing, so the use of mental health services is increasing.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2005년에서 2015년까지 10년 동안 우울증 환자가 약 20% 증가되어 세계 전체 인구의 3억명 이상으로 추정하고 있다. According to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between 2005 and 2015, the number of patients with depression increased by about 20%, and it is estimated that more than 300 million people in the world.

국내에서는 공식적으로 집계된 우울증 환자가 약 64만명인데, 숨겨진 우울증 환자의 수까지 합하면 적어도 120만명 정도가 될 것으로 추정된다. In Korea, the officially counted number of depressed patients is about 640,000, and it is estimated that the number of patients with hidden depression is at least 1.2 million.

참고로, 2017년 건강보험공단 자료에 따르면, 정신건강 진료비는 2012년에 2조 2228억원에서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16년에는 3조 2483억원으로 3조원으로 넘겼다고 보고된다. For reference, according to data from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in 2017, it is reported that mental health treatment expenses increased from 2.22 trillion won in 2012 to 3.248.3 trillion won in 2016, surpassing 3 trillion won.

이에 따라, 최근에는 정신건강 서비스에 대한 인식 변화와 심리상담 등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면서 정신건강서비스의 이용률이 증가하고 있다. Accordingly, in recent years, the use of mental health services is increasing due to a change in awareness of mental health services and an increase in demand for psychological counseling.

그러나, 여전히 국내 정신건강서비스 이용률은 다른 나라에 비해 현저히 낮은 수준으로, 2016년 기준으로 한국의 정신질환 진단자의 정신건강서비스 평생 이용률이 22.2%로써, 캐나다, 미국 등 1년 동안의 이용률이 한국의 평생 이용률보다 높은 실정이다. However, the domestic mental health service use rate is still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other countries. This is higher than the lifetime usage rate.

정신건강서비스 이용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과 많은 사람들이 자신의 정신건강에 대한 문제를 스스로 인식하지 못하며, 또한, 정신건강에 대한 상담 치료는 보험 처리가 되지 않으므로, 금전적으로 가계 경제에 부담이 크다는 문제점이 있다. Negative perceptions about the use of mental health services, many people do not recognize their own mental health problems, and mental health counseling and treatment are not covered by insurance, so the financial burden on the household economy is high. there is.

이에, 점차적으로 정신건강서비스 이용에 대한 문제점이 개선되고 있기는 하지만, 여전히 수요에 비해 공급이 매우 부족한 상황이다. Accordingly, although the problems with the use of mental health services are gradually being improved, the supply is still very insufficient compared to the demand.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미국을 중심으로 정신건강서비스에 빅데이터와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ngence; AI) 기술을 접목하는 프로젝트가 전 세계적으로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recently, various projects that graft big data and artificial intelligence (AI) technology to mental health services are being carried out around the world, mainly in the United States.

특히, 정신건강에 대한 문제는 심리 사회의 문화적 영향을 많이 받으므로, 인공지능을 이용하면, 이와 관련된 다양한 데이터 분석을 통해 공급 부족 문제를 해결함과 동시에 사회의 부정적인 시선으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도록 하여 정신질환 진단 및 치료에 도움을 줄 수 있다고 보고 있다. In particular, mental health issues are greatly influenced by psychological and social cultures, so if you use artificial intelligence, you can solve the problem of supply shortage through various data analysis related to this and at the same time be protected from negative views of society. It is believed to be helpful in diagnosing and treating diseases.

이와 같이, 인공지능을 이용한 정신건강 서비스가 상용화될 경우, 서비스의 접근성이 편리하고 자신의 언어와 행동 패턴을 통해 스스로의 심리 상태에 대한 이해도 증가로 정신질환 조기 발견이 가능할 수 있으며, 정신건강서비스에 대한 주변의 부정적인 시선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으므로 낙인에 대한 두려움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As such, when mental health service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re commercialized, the accessibility of the services is convenient and the understanding of one's own psychological state through one's own language and behavioral patterns increases, so that early detection of mental illness may be possible. It can be expected to reduce the fear of stigma since it is possible to escape from the negative gaze of the people around the service.

이에, 빅데이터와 인공지능 기반의 상담 및 분석 리포트를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의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Accordingly,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system that can provide big data and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consultation and analysis reports.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31561호(2017.04.24.등록)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731561 (Registered on April 24, 2017)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유형의 질문 리스트에 대한 내담자의 답변을 분석하여 미리 정해진 유형으로 분류하고, 분류된 유형에 따라 시각화된 분석 자료를 제공하거나 적합한 상담사 추천을 제공할 수 있는 성격 유형 결정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nalyze a client's answers to a list of various types of questions, classify them into a predetermined type, and provide a visualized analysis data according to the classified type or a personality type determination device capable of providing a suitable counselor recommendation and to provide that method.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의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내담자의 성격 유형을 결정하기 위한 성격 유형 결정 장치에 있어서, 성격 유형을 결정하기 위한 질문 리스트에 대한 내담자의 답변이 입력되는 입력부; 질문 리스트에 대하여 내담자의 외향성, 개방성, 우호성, 성실성 및 신경성과 관련된 성격 유형을 판단하기 위하여 생성된 성격 유형별 진단 키워드가 저장된 메모리부; 입력부에 입력된 답변으로부터 답변 키워드가 생성되고, 생성된 답변 키워드 및 진단 키워드를 이용하여 유사도를 판단하며, 판단된 유사도에 따라 내담자의 성격 유형을 결정하는 제어부; 및 결정된 성격 유형을 출력하는 출력부; 를 포함하는 성격 유형 결정 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ersonality type determining apparatus for determining a personality type of a client, comprising: an input unit into which an answer of a client to a list of questions for determining a personality type is input; a memory unit storing diagnostic keywords for each personality type generated to determine the personality type related to the client's extraversion, openness, friendliness, sincerity, and neuroticism with respect to the question list; a controller for generating answer keywords from answers input to the input unit, determining a degree of similarity using the generated answer keywords and diagnostic keywords, and determining a personality type of a client according to the determined degree of similarity; and an output unit for outputting the determined personality type; It can be achieved by a personality type determining device comprising a.

성격 유형 결정 장치에서 입력부에는 10개 내지 15개 이내의 성격 유형별 질문 리스트가 포함되고, 메모리부에는 성격 유형별 질문 리스트에 대하여 고유형(Positive) 및 저유형(Negative)으로 분류되어 집합된 진단 키워드가 저장될 수 있다. In the personality type determination device, the input unit includes a list of questions for each personality type within 10 to 15, and the memory unit contains diagnostic keywords classified into positive and negative types with respect to the question list by personality type. can be saved.

성격 유형 결정 장치에서 메모리부에는, 뉴스기사 크롤링(Crawling), 영화 대본 및 영화 리뷰로부터 확보된 말뭉치가 저장되고, 워드 임베딩(Word embedding) 기법을 이용하여 진단 키워드를 기준으로 확보된 말뭉치에 대한 진단 키워드 벡터가 구축될 수 있다. In the personality type determining device, a corpus obtained from crawling news articles, movie scripts, and movie reviews is stored in the memory unit, and diagnosis of the corpus obtained based on diagnostic keywords using the word embedding technique A keyword vector may be constructed.

성격 유형 결정 장치에서 제어부는, 내담자의 답변으로부터 답변 키워드를 생성하고, 워드 임베딩 기법을 이용하여 답변 키워드를 기준으로 확보된 말뭉치에 대한 답변 키워드 벡터를 추출할 수 있다. In the personality type determining apparatus, the controller may generate an answer keyword from the client's answer, and extract an answer keyword vector for the corpus secured based on the answer keyword using a word embedding technique.

또한, 제어부는, 진단 키워드 벡터와 답변 키워드 벡터를 비교하되 진단 키워드 벡터와 답변 키워드 벡터 간의 거리를 계산하여 성격 유형별 유사도를 판단할 수 있다. Also, the controller may compare the diagnosis keyword vector and the answer keyword vector, and calculate a distance between the diagnosis keyword vector and the answer keyword vector to determine the similarity for each personality type.

여기서, 제어부는, 진단 키워드 벡터와 답변 키워드 벡터 간의 거리를 계산할 때 두 벡터 간의 코사인값을 이용하여 두 벡터 간의 유사한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Here, when calcula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diagnostic keyword vector and the answer keyword vector, the controller may determine the degree of similarity between the two vectors by using a cosine value between the two vectors.

성격 유형 결정 장치에서 질문 리스트는, '크리스마스 이브 정말 많은 사람들이 모인 대학로 한복판에 서있는 당신의 모습을 떠올려 봅시다. 이렇게 사람들이 많은 장소에 가면 어떤 기분이나 생각이 드나요', '직장이나 학교에서 당신을 가장 잘 알고 있다고 생각되는 사람을 떠올려 봅시다. 그 사람은 어떤 성격의 소유자라고 생각하고 있을까요', '회사에서 새로운 프로젝트를 시작하게 되어 테스크포스팀이 구성되었습니다. 당신이 맡고 싶은 역할은 무엇인가요', '이번 블랙프라이데이에 갖고 싶던 물건을 어렵게 찾아 주문했는데 택배회사의 실수로 제품이 분실되어 확인 중이라고 연락이 왔네요. 이런 경우 당신은 어떤 방식으로 대응할까요', '당신의 대인관계 스타일은 어떤가요', '이직이나 이사 등 새로운 경험과 변화에 대해 어떤 반응을 보이는 편인가요', '스스로 인정하는 당신의 장점을 무엇인가요', '인간관계에서 의견 충돌이나 갈등이 생기면 어떤 모습을 보이나요', '당신을 학업을 하거나 기술을 익힐 때 어던 방식을 선호하나요?', '학창시절 당신은 어떤 학생이었나요', '어느날 갑자기 당신의 상사가 부르더니 급하게 일주일 내로 내년도 사업계획서를 작성하라고 지시를 하네요. 당신은 어떤 생각이 드나요, '계절의 변화나 일상생활 속에서 자신의 기분변화는 어떤 편이라고 생각하나요', '당신은 어떤 유형의 여가 활동을 좋아하나요' 및/또는 '스스로 생각하는 자신의 단점은 무엇인가요' 를 포함할 수 있다. The list of questions in the personality type determination device is, 'Let's imagine yourself standing in the middle of Daehak-ro on Christmas Eve, where so many people gather. How do you feel or feel when you go to a place with so many people?' or 'Think of the person you think you know best at work or school. What kind of personality do you think that person has?', 'The company started a new project, so a task force was formed. What role do you want to take on?', 'I had a hard time finding the item I wanted on this Black Friday and ordering it, but I got a call saying that the product was lost due to the courier company's mistake and I am checking it. In this case, how would you respond?', 'What is your interpersonal style?', 'How do you react to new experiences and changes, such as changing jobs or moving?' ', 'What do you look like when there is a conflict of opinion or conflict in a relationship', 'Which way do you prefer to study or acquire skills?', 'What kind of student were you in school?', 'One day Suddenly, your boss calls and tells you to write a business plan for next year within a week. What do you think, 'What kind of side do you think your mood changes in the change of seasons or in your daily life', 'What types of leisure activities do you like' and/or 'What do you think of yourself? What are the disadvantages?'

성격 유형 결정 장치에서 출력부는, 결정된 성격 유형별 결과 및 설명이된 표시된 리포트, 제어부에서 판단된 유사도를 수치화하여 나타낸 그래프 및 내담자의 답변 키워드의 단어 빈도를 표시하는 워드넷(Wordnet)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출력할 수 있다. The output unit in the personality type determination device outputs at least one of a displayed report with the results and explanations for each determined personality type, a graph that digitizes the similarity determined by the control unit, and Wordnet that displays the word frequency of the client's answer keyword. can

이때, 출력부에서 출력되는 그래프는, 방사형 그래프 및 막대형 그래프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제공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graph output from the output unit may be provided as at least one of a radial graph and a bar graph.

또한, 출력부에서 출력되는 리포트에는, 성격 유형별 성격 프로파일 분석 결과 및 외향성, 개방성, 우호성, 성실성 및 신경성의 각 성격 유형별 결과 및 설명이 포함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report output from the output unit may include a personality profile analysis result for each personality type, and results and explanations for each personality type of extraversion, openness, friendlyity, conscientiousness, and nervousness.

한편, 본 발명의 다른 분야에 따르면, 상기의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성격 유형 결정 장치를 이용하여 내담자의 성격 유형을 결정하기 위한 성격 유형 결정 방법에 있어서, 성격 유형 결정을 위한 질문 리스트를 출력하는 단계; 출력된 질문 리스트에 대한 내담자의 답변을 접수하는 단계; 질문 리스트로부터 형태소 분석을 통해 진단 키워드를 추출하고, 접수된 답변으로부터 형태소 분석을 통해 답변 키워드를 추출하는 단계; 추출된 답변 키워드 및 외향성, 개방성, 우호성, 성실성 및 신경성을 포함하는 성격 유형별 질문 리스트에 대한 진단 키워드를 비교하여 유사도를 판단하는 단계; 판단된 유사도에 따라 성격 유형을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성격 유형을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성격 유형 결정 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Meanwhile, according to another fiel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bove objec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ersonality type determination method for determining the personality type of a client using the personality type determination device, a list of questions for determining the personality type outputting; receiving the client's answer to the outputted question list; extracting diagnostic keywords from the question list through morpheme analysis, and extracting answer keywords from the received answers through morpheme analysis; determining the similarity by comparing the extracted answer keywords and diagnostic keywords for the question list for each personality type including extraversion, openness, friendliness, sincerity, and nervousness; determining a personality type according to the determined similarity; and outputting the determined personality type; It can be achieved by a personality type determination method comprising

성격 유형 결정 방법에서의 유사도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워드 임베딩(Word embedding) 기법을 이용하여 진단 키워드로부터 추출된 진단 키워드 벡터와 답변 키워드로부터 추출된 답변 키워드 벡터 간의 거리를 계산하고 계산된 수치에 따른 성격 유형별 유사도를 판단할 수 있다. In the step of determining the similarity in the personality type determination method, the distance between the diagnostic keyword vector extracted from the diagnostic keyword and the answer keyword vector extracted from the answer keyword is calculated using the word embedding technique, and the The degree of similarity by personality type can be judged.

본 발명의 성격 유형 결정 장치 및 그 방법은, 다양한 질문 리스트에 대한 내담자의 답변을 분석하여 미리 정해진 외향성, 개방성, 우호성, 성실성 및 신경성에 대한 유사도를 판단할 수 있고, 판단된 유사도에 따라 내담자의 성격 유형을 결정하며, 결정된 성격 유형을 그래프, 리포트 등과 같이 시각화하된 자료로 제공함으로써 내담자는 편리하게 자신의 성격 유형을 파악할 수 있다. The personality type determining apparatus and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determine the degree of similarity to a predetermined extraversion, openness, friendliness, conscientiousness, and neuroticism by analyzing the client's answers to various question lists, and according to the determined similarity, the client's By determining the personality type and providing the determined personality type as visualized data such as graphs and reports, the client can easily identify his or her personality type.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성격 유형 결정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입력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메모리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8은 메모리부에 저장된 외향성, 개방성, 우호성, 성실성 및 신경성의 질문 리스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도 1에 도시한 제어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1에 도시한 출력부에 의해 출력되는 성격 유형 결정의 결과를 그래프 및 워드넷으로 나타낸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1에 도시한 출력부에 의해 출력되는 성격 유형 결정의 결과를 리포트로 나타낸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성격 유형 결정 장치를 이용한 성격 유형 결정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한 성격 유형 결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한 성격 유형 결정 방법을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n apparatus for determining a personality ty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input unit shown in FIG. 1 .
FIG. 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memory unit shown in FIG. 1 .
4 to 8 are diagrams showing a list of questions of extraversion, openness, friendliness, sincerity, and nervousness stored in the memory unit.
FIG. 9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trol unit shown in FIG. 1 .
FIG. 10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case in which a result of personality type determination output by the output unit shown in FIG. 1 is expressed in graphs and wordnet.
FIG. 1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case in which a result of personality type determination output by the output unit shown in FIG. 1 is displayed as a report.
1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determining a personality type using the apparatus for determining a personality ty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for determining a personality type shown in FIG. 12 .
14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ethod for determining a personality type shown in FIG. 13 .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easily implement them.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several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도면들은 개략적이고 축적에 맞게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일러둔다. 도면에 있는 부분들의 상대적인 치수 및 비율은 도면에서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해 그 크기에 있어 과장되거나 감소되어 도시되었으며 임의의 치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그리고 둘 이상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구조물, 요소 또는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It is noted that the drawings are schematic and not drawn to scale. Relative dimensions and proportions of parts in the drawings are shown exaggerated or reduced in size for clarity and convenience in the drawings, and any dimensions are illustrative only and not limiting.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denote like features to the same structure, element, or part appearing in two or more drawings.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ally represent ideal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result, various modifications of the drawings are expected. Accordingly, the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shape of the illustrated area, and includes, for example, a shape modification by manufacturin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성격 유형 결정 장치 및 그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a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a personality ty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성격 유형 결정 장치를 설명한다. First, an apparatus for determining a personality ty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0 .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성격 유형 결정 장치(100)는 입력부(110), 메모리부(120), 제어부(130) 및 출력부(140)를 포함한다. 1 , the apparatus 100 for determining a personality ty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put unit 110 , a memory unit 120 , a control unit 130 , and an output unit 140 .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입력부(110)는 성격 유형을 결정하기 위한 질문 리스트에 대한 답변이 입력되는 부분이다. 1 and 2 , the input unit 110 is a part into which an answer to a question list for determining a personality type is input.

예를 들어, 입력부(110)는 스마트폰과 같은 유무선 전화, 태블릿(tablet), 노트북, 컴퓨터 등의 입력 수단을 갖춘 기기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는, 성격 유형 결정 장치(100)를 이용하는 내담자에 선택에 의해 입력부(110)에 입력되는 기기가 달라질 수 있다. For example, the input unit 110 may be a device equipped with an input means such as a wired or wireless phone such as a smart phone, a tablet, a notebook computer, or the like,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In this case, a device input to the input unit 110 may be changed by selection of a client using the personality type determining apparatus 100 .

입력부(110)에는 내담자에 의해 성격 유형을 결정하기 위한 질문 리스트에 대한 답변이 입력된다. An answer to a list of questions for determining a personality type is input by the client into the input unit 110 .

참고로, 내담자는 유무선 전화 또는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사용 시에 성별, 연령, 직업 등과 같은 기본 데이터를 저장하고, 미리 저장된 질문 리스트에 대한 질문을 듣고 해당되는 답변을 입력할 수 있다. For reference, the client can store basic data such as gender, age, occupation, etc. when using a wired/wireless phone or smartphone application, listen to a question on a pre-stored question list, and input a corresponding answer.

그러면, 입력부(110)에 내담자가 유무선 전화 또는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입력한 성격 유형별 질문리스트에 대한 답변이 입력된다. Then, the answer to the question list for each personality type input by the client through a wired/wireless phone or smartphone application is input to the input unit 110 .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메모리부(120)는 내담자의 성격 유형별 진단 키워드가 저장되는 부분이다. 1 and 3 , the memory unit 120 stores diagnosis keywords for each personality type of the client.

다시 말해서, 메모리부(120)에는 질문 리스트에 대하여 내담자의 성격 유형을 판단하기 위하여 성격 유형별 진단 키워드가 저장될 수 있다. In other words, diagnosis keywords for each personality type may be stored in the memory unit 120 to determine the client's personality type with respect to the question list.

이때, 성격 유형 및 질문 리스트는 협력 대학교 등 별도의 기관을 통해 성격 유형 관련자료를 입수할 수 있다. 참고로, 입수된 성격 유형 관련자료는 쉼표를 기준으로 항목을 구분하여 저장한 형태인 CSV 데이터로 가공되어 처리될 수 있다. In this case, personality type and question list can be obtained through a separate institution, such as a partner university, personality type related data. For reference, the obtained personality type-related data can be processed and processed into CSV data that is stored by dividing items based on commas.

참고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모리부(120)는 입력부(110)에 입력된 답변이 저장되는 별도의 클라우드 서버(cloud server, 102)에 저장된다. For reference, as shown in FIG. 2 , the memory unit 120 is stored in a separate cloud server 102 in which an answer input to the input unit 110 is stored.

한편, 메모리부(120)에 저장된 성격 유형별 질문 리스트는 심리유형, 연애유형, 적성유형 등에 관한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list of questions for each personality type stored in the memory unit 120 may include contents related to a psychological type, a love type, an aptitude type, and the like.

이러한 내용을 포함하는 질문 리스트는 신체 심리적 에너지를 판단하는 외향성, 새로운 경험과 변화에 대한 수용력을 판단하는 개방성, 대인관계 성향을 판단하는 우호성, 일과 학업을 수행하는 방식을 판단하는 성실성 및 정서적인 반응 성향을 판단하는 신경성을 포함하는 5개 그룹으로 정의될 수 있다. The list of questions including these contents is extroversion to judge physical and psychological energy, openness to judge receptiveness to new experiences and changes, friendliness to judge interpersonal tendencies, sincerity to judge work and academic performance, and emotional response It can be defined as 5 groups including neuroticism that judges propensity.

즉, 메모리부(120)에는 질문 리스트에 대하여 외향성, 개방성, 우호성, 성실성 및 신경성과 관련된 성격 유형을 판단하기 위하여 성격 유형별 진단 키워드가 저장된다. That is, the memory unit 120 stores diagnosis keywords for each personality type in order to determine personality types related to extraversion, openness, friendliness, sincerity, and nervousness with respect to the question list.

참고로, 후술할 제어부(130)에서 질문 리스트로부터 형태소 분석을 통해 질문 리스트에 대한 성격 유형별 진단 키워드를 추출할 수 있다. For reference, the controller 13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may extract diagnostic keywords for each personality type for the question list through morphological analysis from the question list.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성격 유형 결정 장치(100)에서 성격 유형별 질문 리스트는 각 성격 유형별로 10개 내지 15개의 질문을 포함할 수 있다. Here, in the personality type determin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question list for each personality type may include 10 to 15 questions for each personality type.

예를 들어,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질문 리스트는 '크리스마스 이브 정말 많은 사람들이 모인 대학로 한복판에 서있는 당신의 모습을 떠올려 봅시다. 이렇게 사람들이 많은 장소에 가면 어떤 기분이나 생각이 드나요', '직장이나 학교에서 당신을 가장 잘 알고 있다고 생각되는 사람을 떠올려 봅시다. 그 사람은 어떤 성격의 소유자라고 생각하고 있을까요', '회사에서 새로운 프로젝트를 시작하게 되어 테스크포스팀이 구성되었습니다. 당신이 맡고 싶은 역할은 무엇인가요', '이번 블랙프라이데이에 갖고 싶던 물건을 어렵게 찾아 주문했는데 택배회사의 실수로 제품이 분실되어 확인 중이라고 연락이 왔네요. 이런 경우 당신은 어떤 방식으로 대응할까요', '당신의 대인관계 스타일은 어떤가요', '이직이나 이사 등 새로운 경험과 변화에 대해 어떤 반응을 보이는 편인가요', '스스로 인정하는 당신의 장점을 무엇인가요', '인간관계에서 의견 충돌이나 갈등이 생기면 어떤 모습을 보이나요', '당신을 학업을 하거나 기술을 익힐 때 어던 방식을 선호하나요?', '학창시절 당신은 어떤 학생이었나요', '어느날 갑자기 당신의 상사가 부르더니 급하게 일주일 내로 내년도 사업계획서를 작성하라고 지시를 하네요. 당신은 어떤 생각이 드나요, '계절의 변화나 일상생활 속에서 자신의 기분변화는 어떤 편이라고 생각하나요', '당신은 어떤 유형의 여가 활동을 좋아하나요' 및/또는 '스스로 생각하는 자신의 단점은 무엇인가요' 를 포함할 수 있다. For example, referring to FIGS. 4 to 8 , the question list is 'Let's think of you standing in the middle of Daehak-ro on Christmas Eve, where so many people gather. How do you feel or feel when you go to a place with so many people?' or 'Think of the person you think you know best at work or school. What kind of personality do you think that person has?', 'The company started a new project, so a task force was formed. What role do you want to take on?', 'I had a hard time finding the item I wanted on this Black Friday and ordering it, but I got a call saying that the product was lost due to the courier company's mistake and I am checking it. In this case, how would you respond?', 'What is your interpersonal style?', 'How do you react to new experiences and changes, such as changing jobs or moving?' ', 'What do you look like when there is a conflict of opinion or conflict in a relationship', 'Which way do you prefer to study or acquire skills?', 'What kind of student were you in school?', 'One day Suddenly, your boss calls and tells you to write a business plan for next year within a week. What do you think, 'What kind of side do you think your mood changes in the change of seasons or in your daily life', 'What types of leisure activities do you like' and/or 'What do you think of yourself? What are the disadvantages?'

여기서, 외향성, 개방성, 우호성, 성실성 및 신경성의 성격 유형을 판단하기 위한 각 성격 유형별 질문 리스트는 서로 중복되는 리스트가 있을 수 있으며, 그에 따라 해당 성격 유형별로 질문 개수는 차이가 있을 수 있다. Here, the list of questions for each personality type for determining the personality types of extroversion, openness, friendlyity, conscientiousness, and neuroticism may have overlapping lists, and accordingly, the number of questions for each personality type may be different.

또한, 메모리부(120)에는 외향성, 개방성, 우호성, 성실성 및 신경성의 성격 유형별 질문 리스트에 대하여 고유형(Positive) 및 저유형(Negative)로 분류되어 집합된 진단 키워드가 저장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emory unit 120 may store diagnostic keywords classified into positive and negative types with respect to the question list for each personality type of extraversion, openness, friendliness, sincerity, and neuroticism.

질문 리스트의 고유형은 각 유형별 질문 리스트에 대한 내담자의 답변이 긍정적인 경우를 의미하고, 반대로 저유형은 각 유형별 해당되는 질문 리스트에 대한 내담자의 답변이 부정적인 경우를 의미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intrinsic type of the question list may mean a case in which the client's answer to the question list for each type is positive, while the low type may mean a case in which the client's answer to the question list corresponding to each type is negative. it is not going to be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이, 각 성격 유형별 질문 리스트에 대한 고유형 및 저유형 단어는 질문 리스트에 대한 내담자의 성격 유형을 판단하기 위한 진단 키워드를 의미할 수 있다. Here, as described above, the intrinsic and low-type words for the question list for each personality type may mean diagnostic keywords for determining the personality type of the client with respect to the question list.

참고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메모리부(120)는 성격 유형별 질문 리스트에 대한 답변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질문 리스트에 대한 답변데이터는 사내 직원을 대상으로 성격 유형별 질문 리스트에 대한 답변을 확보할 수 있으며, 이는 성격 유형 분류의 기초 데이터로 활용할 수 있다. For referenc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memory unit 120 may include answer data for a question list for each personality type. In this case, the answer data for the question list can secure answers to the question list by personality type for in-house employees, which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personality type classification.

또한, 메모리부(120)에는 성격 유형 결정를 위하여 2017년 8월부터 2019년 7월 까지 78만 6천 건의 뉴스 기사 크롤링(crawling), 약 180개의 영화대본 및 영화리뷰로부터 확보된 말뭉치가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워드 임베딩(word-embedding) 기법을 이용하여 진단 키워드를 기준으로 확보된 말뭉치에 대한 진단 키워드 벡터가 구축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emory unit 120 may store a corpus secured from crawling 786,000 news articles, about 180 movie scripts and movie reviews from August 2017 to July 2019 in order to determine the personality type. there is. Here, a diagnostic keyword vector for a corpus secured based on a diagnostic keyword may be constructed using a word-embedding technique.

이와 같이, 구축된 워드 벡터는 내담자의 성격 유형을 판단하기 위한 진단 키워드 및 후술할 내담자의 답변 키워드 간의 유사도 측정에 활용된다. As such, the constructed word vector is used to measure the degree of similarity between a diagnostic keyword for determining a client's personality type and a client's answer keyword,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참고로, 말뭉치는 언어 연구를 위해 컴퓨터를 이용하여 텍스트를 가공, 처리, 분석할 수 있는 형태로 모아 놓은 자료의 집합을 의미한다. For reference, a corpus refers to a set of data collected in a form that can process, process, and analyze texts using a computer for language research.

또한, 메모리부(120)는 데이터 전처리 및 연관어 사전이 구축된다. 참고로, 메모리부(120)에 저장되는 다양한 데이터의 갱신주기는 내담자의 답변 데이터를 기반으로 워드 임베딩, 즉 워드 벡터를 재학습할 수 있다. Also, in the memory unit 120 , data pre-processing and a related word dictionary are built. For reference, the update cycle of the various data stored in the memory unit 120 may relearn word embeddings, that is, word vectors based on the client's answer data.

또한, 메모리부(120)에 저장된 데이터의 크기는 N/A(해당 없음; not applicable) 일 수 있다. Also, the size of data stored in the memory unit 120 may be N/A (not applicable).

한편, 내담자가 유무선 전화를 이용하는 경우, 메모리부(120)는 음성인식 모듈을 통해 내담자의 답변을 텍스터화, 즉 데이터화하여 저장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내담자가 유무선 전화로 ARS 서비스 시스템을 이용하는 경우에 내담자의 음성 답변을 추출하고, 이를 음성인식기를 통해 텍스트(text)로 전환하여 축적될 수 있다. Meanwhile, when the client uses a wired or wireless phone, the memory unit 120 may text the client's answer through the voice recognition module, ie, convert it into data, and store it. In other words, when the client uses the ARS service system over a wired/wireless phone, the client's voice answer may be extracted, converted into text through a voice recognizer, and accumulated.

이때, 메모리부(120)에서 내담자의 답변을 텍스터화할 때 비정형 데이터에 대한 통계적인 의미가 있는 개념이나 특성을 추출하고 이들 간의 패턴이나 추세 등의 고품질 정보를 끌어내는 텍스트 마이닝(text mining) 기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At this time, when texturing the client's answer in the memory unit 120, a text mining technique for extracting statistically meaningful concepts or characteristics of unstructured data and extracting high-quality information such as patterns or trends between them can be used,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참고로, ARS 서비스 시스템과 음성 인식기는 종래에 사용하고 있는 상용 프로그램을 별도로 적용할 수 있으며, ARS 서비스 시스템과 음성 인식기의 종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For reference, a conventional commercial program may be separately applied to the ARS service system and the voice recognizer, and the types of the ARS service system and the voice recognizer are not limited thereto.

도 1 및 도 9를 참조하면, 제어부(130)는 유사도를 판단하여 성격 유형을 결정하는 부분이다. Referring to FIGS. 1 and 9 , the controller 130 is a part that determines the personality type by determining the degree of similarity.

제어부(130)는 입력부(110)에 입력된 답변으로부터 답변 키워드를 생성하고, 답변 키워드 및 진단 키워드를 이용하여 성격 유형에 대한 유사도를 판단하며, 판단된 유사도에 따라 내담자의 성격 유형을 결정한다. The control unit 130 generates an answer keyword from the answer input to the input unit 110 , determines the similarity to the personality type using the answer keyword and the diagnosis keyword, and determines the client's personality type according to the determined similarity.

특히, 제어부(130)는 내담자의 답변 데이터로부터 자연어 처리, 형태소 분석/빈도 분석, 핵심단어/문장에 관한 답변 키워드를 추출하고, 이를 통해 미리 생성된 성격 유형별 진단 키워드 및 형태소와의 유사도를 판단함으로써 판단된 값에 따라 내담자의 성격 유형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130)는 질문 리스트로부터 형태소 분석을 통해 진단 키워드를 추출할 수도 있다. In particular, the control unit 130 extracts answer keywords for natural language processing, morpheme analysis/frequency analysis, and key words/sentences from the client's answer data, and through this, by determining the degree of similarity with pre-generated diagnostic keywords and morphemes for each personality type. According to the judged value, the personality type of the client can be determined. Also,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ler 130 may extract a diagnostic keyword from the question list through morphological analysis.

참고로, 형태소는 뜻을 가진 가장 작은 말의 단위로서, 문법적 또는 관계적인 뜻 만을 나타내는 단어나 단어 성분을 의미한다. For reference, a morpheme is the smallest unit of speech that has a meaning, and refers to a word or word component that only has a grammatical or relational meaning.

하기에서 제어부(130)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control unit 130 will be briefly described.

먼저, 제어부(130)는 내담자의 답변으로부터 답변 키워드를 생성한다. First, the controller 130 generates an answer keyword from the client's answer.

그 다음, 워드 임베딩 기법을 이용하여 답변 키워드를 기준으로 확보된 말뭉치에 대한 답변 키워드 벡터를 추출한다. Then, an answer keyword vector is extracted for the corpus secured based on the answer keyword by using the word embedding technique.

그 다음, 메모리부(120)에 구축된 진단 키워드 벡터와 답변 키워드 벡터를 비교한다. 이때, 진단 키워드 벡터와 답변 키워드 벡터 간의 거리를 계산하여 성격 유형별 유사도를 판단한다. Next, the diagnosis keyword vector constructed in the memory unit 120 and the answer keyword vector are compared. At this time, the distance between the diagnosis keyword vector and the answer keyword vector is calculated to determine the similarity for each personality type.

한편, 진단 키워드 벡터와 답변 키워드 벡터 간의 거리를 계산하기 위하여 두 벡터 간의 코사인값을 이용하여 두 벡터 간의 유사한 정도를 판단하는 코사인 유사도를 이용할 수 있다. Meanwhile, in order to calculate the distance between the diagnostic keyword vector and the answer keyword vector, the cosine similarity of determining the degree of similarity between the two vectors by using the cosine value between the two vectors may be used.

이때, 제어부(130)에서 판단되는 유사도는 0 ~ 1 까지의 유사도값 사이에서 개개의 성격 유형과 내담자의 답변 유사도가 높을 수록 그 수치가 '1' 에 가깝게 나타나고, 유사도가 낮을수록 그 수치가 '0' 에 가깝게 나타난다. At this time, the similarity determined by the control unit 130 is a similarity value between 0 and 1, and the higher the similarity between the individual personality type and the client's answer, the closer to '1', and the lower the similarity, the lower the value is ' appears close to 0'.

즉, 코사인 유사도가 1에 가깝게 나타나는 경우, 진단 키워드 벡터와 답변 키워드 벡터 간의 방향이 동일하고 각도가 0°에 가깝다고 보여지므로 이는 유사도가 높다고 판단할 수 있다. 반대로, 코사인 유사도가 0에 가깝게 나타나는 경우, 진단 키워드 벡터와 답변 키워드 벡터 간의 방향이 동일하고 각도가 90°에 가깝다고 보여지므로 이는 유사도가 낮다고 판단할 수 있다. That is, when the cosine similarity is close to 1, the direction between the diagnostic keyword vector and the answer keyword vector is the same and the angle is close to 0°, so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similarity is high. Conversely, when the cosine similarity is close to 0, the direction between the diagnostic keyword vector and the answer keyword vector is the same and the angle is close to 90°, so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similarity is low.

이와 같이, 코사인 유사도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두 벡터 간의 각도 값을 통해 데이터 간의 유사도를 판단한다. As described above, when cosine similarity is used, similarity between data is determined based on an angle value between two vectors.

상기와 같이, 메모리부(120) 및 제어부(130)에 의해 상담에 특화된 스마트 빅데이터를 구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smart big data specialized for consultation can be built by the memory unit 120 and the control unit 130 .

출력부(140)는 제어부(130)에 의해 결정된 성격 유형을 출력한다. The output unit 140 outputs the personality type determined by the control unit 130 .

이때, 출력부(140)는 성격 유형을 시각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출력부(140)는 성격 유형별 유사도를 그래프 및 리포트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출력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output unit 140 may visually output the personality type. In other words, the output unit 140 may output the similarity for each personality type as at least one of a graph and a report.

예를 들어, 성격 유형별 유사도의 코사인 값이 개방성: 0.402, 성실성: 0.414, 신경성: 0.603, 외향성: 0.395, 우호성: 0.572 이라면,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출력부(140)에서는 방사형 그래프, 막대형 그래프의 형태로 출력될 수 있다. For example, if the cosine values of the similarity for each personality type are openness: 0.402, conscientiousness: 0.414, neuroticism: 0.603, extraversion: 0.395, and affinity: 0.572, as shown in FIG. It can be output in the form of a graph.

또한, 도 10의 하단부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출력부(140)는 내담자의 답변 키워드의 단어 빈도를 나타내는 워드넷 형태로 출력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the lower part of FIG. 10 , the output unit 140 may output in the form of a wordnet indicating the word frequency of the client's answer keyword.

참고로, 출력부(140)가 그래프로 나타나는 경우에는 PNG 파일과 같은 사진 파일의 형태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For reference, when the output unit 140 is displayed as a graph, it may be in the form of a photo file such as a PNG file,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또한,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출력부(140)에서 출력되는 리포트는 성격 유형별 성격 프로파일 분석 결과 및 외향성, 개방성, 우호성, 성실성 및 신경성의 각 성격 유형별 결과 및 설명이 포함될 수 있다. 즉, 출력부(140)로부터 출력되는 리포트에는 내담자 성격 유형 결정 결과값을 기반으로 내담자의 각각의 성격 유형에 대한 상세 설명이 출력될 수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11 , the report output from the output unit 140 may include a personality profile analysis result for each personality type, and results and explanations for each personality type of extraversion, openness, friendlyity, conscientiousness, and nervousness. That is, in the report output from the output unit 140 , a detailed description of each personality type of the client may be output based on the client personality type determination result value.

또한, 리포트에는 내담자의 성격 분류 결과값에 따라 각 성격 유형별로 고유형과 저유형에 대한 설명이 분류되어 출력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report, the description of the intrinsic type and the low type may be classified and output for each personality type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client's personality classification.

출력부(140)가 리포트로 출력되는 경우, JSON 파일과 같은 형태일 수 잇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When the output unit 140 is output as a report, it may be in the form of a JSON file,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참고로, JSON 파일은 자바스크립트 언어로부터 파생되어 자바스크립트의 구문 형식을 따르는 것으로, 언어 독립형 데이터 포맷으로는 매우 우연하게 정보를 저장하고 구조화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될 수 있다.For reference, a JSON file is derived from the JavaScript language and follows the syntax format of JavaScript, and as a language-independent data format, it may become possible to store and structure information very accidentally.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출력부(140)에 의해 결정된 성격 유형에 따라 적합한 상담사 추천을 제공할 수도 있다. Meanwhil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 counselor recommendation may be provided according to the personality type determined by the output unit 140 .

이하, 도 12 내지 도 14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성격 유형 결정 장치(100)를 이용한 성격 유형 결정 방법(S100)을 간단히 설명한다. Hereinafter, a method S100 for determining a personality type using the apparatus 100 for determining a personality ty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brief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2 to 14 .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성격 유형 결정 방법(S100)은 성격 유형 결정을 위한 질문 리스트를 출력한다(S110)).First, the personality type determination method ( S100 )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utputs a list of questions for determining the personality type ( S110 ).

질문 리스트는 성격 유형 결정 장치(100)의 메모리부(120)에 저장되며, 외향성, 개방성, 우호성, 성실성 및 신경성을 포함하는 성격 유형을 결정하기 위한 10개 내지 15개 이내의 질문을 포함한다. The question list is stored in the memory unit 120 of the personality type determining device 100, and includes 10 to 15 questions for determining a personality type including extraversion, openness, friendly, conscientiousness, and neuroticism.

그 다음, 출력된 질문 리스트에 대한 답변을 접수한다(S120). Then, an answer to the output question list is received (S120).

이때, 성격 유형 결정 장치(100)의 입력부(110)에 ARS 서비스 시스템을 통해 내담자의 성격 유형을 결정하기 위한 질문 리스트에 대한 내담자의 답변이 입력된다. At this time, the client's answer to the question list for determining the client's personality type is input to the input unit 110 of the personality type determining device 100 through the ARS service system.

여기서,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IP-PBX 기반 일대일 상담 중계 시스템을 이용하여 질문 리스트의 답변에 대한 실시간 녹취가 이루어질 수 있다. Here, as shown in FIG. 13, real-time recording of answers to the question list can be made using an IP-PBX-based one-to-one counseling relay system.

이때, IP-PBX 기반 일대일 상담 중계 시스템은 내담자의 필요에 따라 선불제, 후불제 과금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참고로, IP-PBX 기반 일대일 상담 중계시스템은 종래 개발된 시스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In this case, the IP-PBX-based one-to-one counseling relay system can enable prepaid and postpaid billing according to the client's needs. For reference, the IP-PBX-based one-to-one consultation relay system may be a conventionally developed system, but is not limited thereto.

실시간으로 녹취된 질문 리스트에 대한 답변은 별도로 마련된 서버(102)에 실시간으로 저장될 수 있다. An answer to the question list recorded in real time may be stored in real time in a separately provided server 102 .

그 다음, 입력된 답변으로부터 키워드 및 형태소를 추출한다(S130). Then, keywords and morphemes are extracted from the input answer (S130).

다시 말해서, 질문 리스트로부터 형태소를 분석하여 진단 키워드를 추출하고, 접수된 답변으로부터 형태소를 분석하여 답변 키워드를 추출한다. In other words, diagnostic keywords are extracted by analyzing morphemes from the question list, and answer keywords are extracted by analyzing morphemes from received answers.

이때, 성격 유형 결정 장치(100)의 제어부(130)를 이용하여, 내담자 음성 데이터와 상담사 음성 데이터를 텍스트로 변환하고 변환된 텍스트를 분석한다. At this time, using the controller 130 of the personality type determining apparatus 100, the client's voice data and the counselor's voice data are converted into text and the converted text is analyzed.

도 13 및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담자 음성 데이터와 상담사 음성 데이터는 별도로 마련된 음성인식/분석 서버(102)를 통해 자연어 음성 인식 기술, 형태소 음성 인식 기술, 핵심어 검출 색인화 기술을 이용하여 음성을 텍스트화할 수 있다. 13 and 14, the client's voice data and the counselor's voice data are voiced using natural language voice recognition technology, morpheme voice recognition technology, and key word detection and indexing technology through a separately provided voice recognition/analysis server 102. It can be textualized.

그 다음, 답변으로부터 형태소 분석을 통해 추출된 답변 키워드 및 외향성, 개방성, 우호성, 성실성 및 신경성을 포함하는 성격 유형별 질문 리스트에 대한 진단 키워드를 비교하여 유사도를 판단한다(S140).Next, the similarity is determined by comparing the answer keyword extracted through morpheme analysis from the answer and the diagnostic keyword for the question list for each personality type including extraversion, openness, friendliness, sincerity, and nervousness (S140).

그 다음, 판단된 유사도에 따라 성격 유형을 결정한다(S150). Next, a personality type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determined similarity (S150).

여기서, 성격 유형 결정 장치(100)의 제어부(130)를 통해, 워드 임베딩 기법을 이용하여 진단 키워드로부터 추출된 진단 키워드 벡터와 답변 키워드로부터 추출된 답변 키워드 벡터 간의 거리를 계산하고, 계산된 수치에 따른 성격 유형별 유사도를 판단하며, 판단된 유사도에 따라 성격 유형을 결정할 수 있다. Here, through the controller 130 of the personality type determination apparatus 100, the distance between the diagnostic keyword vector extracted from the diagnostic keyword and the answer keyword vector extracted from the answer keyword is calculated using the word embedding technique, and the The degree of similarity for each personality type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level of similarity, and the personality type can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determined degree of similarity.

제어부(130)는 코사인 유사도 방식을 이용하여 진단 키워드 벡터와 답변 키워드 벡터 간의 거리를 계산한다. The controller 130 calculates the distance between the diagnosis keyword vector and the answer keyword vector using the cosine similarity method.

계산된 코사인 값이 1에 가까운 경우 진단 키워드 벡터와 답변 키워드 벡터가 동일한 방향을 가지고 있고 양 벡터 간의 각도가 0°에 수렴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유사도가 높다고 판단할 수 있다. 반대로, 계산된 코사인 값이 0에 가까운 경우 진단 키워드 벡터와 답변 키워드 벡터가 동일한 방향을 가지고 이고 양 벡터 간의 각도가 90°에 수렴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유사도가 낮가도 할 수 있다. When the calculated cosine value is close to 1, it is determined that the diagnostic keyword vector and the answer keyword vector have the same direction and the angle between the two vectors converges to 0°, so that the similarity can be determined to be high. Conversely, when the calculated cosine value is close to 0, it is determined that the diagnosis keyword vector and the answer keyword vector have the same direction and the angle between the vectors converges to 90°, so that the similarity may be low.

마지막으로, 결정된 성격 유형을 출력한다(S160). Finally, the determined personality type is output (S160).

이때, 성격 유형 결정 장치(100)의 출력부(140)를 이용하여, 내담자의 성격 유형에 대한 결과를 리포트, 그래프, 워드 넷 등으로 시각화하여 나타낼 수 있다. In this case, using the output unit 140 of the personality type determining apparatus 100, the results of the client's personality type may be visualized in a report, graph, word net, or the like.

또한, 출력부(140)는 결정된 성격 유형에 대한 결과를 시각화하는 것 뿐만 아니라 내담자에게 결정된 성격 유형에 대하여 적합한 상담사를 추천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output unit 140 may not only visualize the results for the determined personality type, but also recommend a counselor suitable for the determined personality type to the client.

상기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성격 유형 결정 장치(100) 및 그 방법(S100)은 성격 유형에 대한 질문 리스트를 확보하여 내담자의 답변을 분석하여 내담자의 성격 유형을 분류할 수 있으며, 분류된 성격 유형에 따라 맞춤형 리포트, 통계 등을 제공할 수 있는 데이터 기반 인공지능 성격 유형 진단 서비스를 구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With the above configuration, the personality type determining apparatus 100 and the method S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lassify the client's personality type by securing a list of questions about the personality type and analyzing the client's answer. It has the effect of building a data-based AI personality type diagnosis service that can provide customized reports and statistics according to the classified personality types.

더욱이, 이에 따라, 내담자는 성격 유형 진단 결과를 시각화된 자료를 받을 수 있기 때문에, 더욱 편리하게 자신의 성격 유형을 파악할 수 있다. Moreover, according to this, since the client can receive the data visualized as the result of the personality type diagnosis, it is possible to more conveniently identify his or her personality typ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성격 유형 결정 장치(100) 및 그 방법(S100)은 상담 서비스 도입이 필요한 기업 및 단체를 위하여 맞춤형 UI(User Interface)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ersonality type determining apparatus 100 and the method S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customized UI (User Interface) system for companies and organizations that need to introduce a counseling servic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matters such as specific components, etc., and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have been described, but these are only provided to help a more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It is not limited,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from these descriptions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ccordingl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not only the claims described below, but also all of the claims and all equivalents or equivalent modifications will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성격 유형 결정 장치
102: 서버
110: 입력부
120: 메모리부
130: 제어부
140: 출력부
100: personality type determination device
102: server
110: input unit
120: memory unit
130: control unit
140: output unit

Claims (12)

내담자의 성격 유형을 결정하기 위한 성격 유형 결정 장치에 있어서,
성격 유형을 결정하기 위한 질문 리스트에 대한 내담자의 답변이 입력되는 입력부;
질문 리스트에 대하여 내담자의 외향성, 개방성, 우호성, 성실성 및 신경성과 관련된 성격 유형을 판단하기 위하여 생성된 성격 유형별 진단 키워드가 저장된 메모리부;
입력부에 입력된 답변으로부터 답변 키워드를 생성하고, 생성된 답변 키워드 및 진단 키워드를 이용하여 유사도를 판단하며, 판단된 유사도에 따라 내담자의 성격 유형을 결정하는 제어부; 및
결정된 성격 유형을 출력하는 출력부;
를 포함하고,
입력부에는 성격 유형별로 10개 내지 15개 이내의 질문 리스트가 포함되며,
메모리부에는 성격 유형별 질문 리스트에 대하여 고유형(Positive) 및 저유형(Negative)으로 분류되어 집합된 진단 키워드 및 성격 유형별 질문 리스트에 대한 답변 데이터를 포함하고, 답변 데이터는 내담자를 대상으로 성격 유형별 질문 리스트에 대한 답변을 확보하여 성격 유형 분류의 기초 데이터로 활용되며,
제어부는 내담자의 답변 데이터로부터 자연어 처리, 형태소 분석/빈도 분석, 핵심단어/문장에 관한 답변 키워드를 추출하고, 추출된 답변 키워드를 이용하여 미리 생성된 성격 유형별 진단 키워드 및 형태소와의 유사도를 판단하여 판단된 값에 따라 내담자의 성격 유형을 결정하는, 성격 유형 결정 장치.
A personality type determining device for determining a client's personality type, comprising:
an input unit into which a client's answer to a list of questions for determining a personality type is input;
a memory unit storing diagnostic keywords for each personality type generated to determine the personality type related to the client's extraversion, openness, friendliness, sincerity, and neuroticism with respect to the question list;
a control unit for generating answer keywords from answers input to the input unit, determining a similarity level using the generated answer keywords and diagnostic keywords, and determining a personality type of the client according to the determined similarity level; and
an output unit for outputting the determined personality type;
including,
The input section contains a list of no more than 10 to 15 questions for each personality type,
The memory unit includes diagnostic keywords classified into positive and negative types for the question list by personality type and answer data for the question list by personality type, and the answer data includes questions by personality type for clients It is used as basic data for personality type classification by securing answers to the list.
The control unit extracts answer keywords for natural language processing, morpheme analysis/frequency analysis, and key words/sentences from the client's answer data, and uses the extracted answer keywords to determine the degree of similarity with pre-created diagnostic keywords for each personality type and morphemes. A personality type determining device that determines the client's personality type according to the determined valu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메모리부에는,
뉴스기사 크롤링(Crawling), 영화 대본 및 영화 리뷰로부터 확보된 말뭉치가 저장되고, 워드 임베딩(Word embedding) 기법을 이용하여 진단 키워드를 기준으로 확보된 말뭉치에 대한 진단 키워드 벡터가 구축되는, 성격 유형 결정 장치.
According to claim 1,
In the memory section,
Personality type determination, in which a corpus obtained from crawling news articles, movie scripts, and movie reviews is stored, and a diagnostic keyword vector is constructed for the corpus obtained based on the diagnostic keyword using the word embedding technique Device.
제3항에 있어서,
제어부는,
워드 임베딩 기법을 이용하여 답변 키워드를 기준으로 확보된 말뭉치에 대한 답변 키워드 벡터를 추출하는, 성격 유형 결정 장치.
4. The method of claim 3,
the control unit,
A personality type determination device that extracts an answer keyword vector for a corpus secured based on an answer keyword using a word embedding technique.
제4항에 있어서,
제어부는,
진단 키워드 벡터와 답변 키워드 벡터를 비교하되 진단 키워드 벡터와 답변 키워드 벡터 간의 거리를 계산하여 성격 유형별 유사도를 판단하는, 성격 유형 결정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control unit,
A personality type determining device that compares the diagnostic keyword vector and the answer keyword vector, and determines the similarity for each personality type by calcula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diagnostic keyword vector and the answer keyword vector.
제5항에 있어서,
제어부는,
진단 키워드 벡터와 답변 키워드 벡터 간의 거리를 계산할 때 두 벡터 간의 코사인값을 이용하여 두 벡터 간의 유사한 정도를 판단하는, 성격 유형 결정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control unit,
When calcula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diagnostic keyword vector and the answer keyword vector, a personality type determination device that determines the degree of similarity between the two vectors by using the cosine value between the two vectors.
제1항에 있어서,
질문 리스트는,
'크리스마스 이브 정말 많은 사람들이 모인 대학로 한복판에 서있는 당신의 모습을 떠올려 봅시다. 이렇게 사람들이 많은 장소에 가면 어떤 기분이나 생각이 드나요', '직장이나 학교에서 당신을 가장 잘 알고 있다고 생각되는 사람을 떠올려 봅시다. 그 사람은 어떤 성격의 소유자라고 생각하고 있을까요', '회사에서 새로운 프로젝트를 시작하게 되어 테스크포스팀이 구성되었습니다. 당신이 맡고 싶은 역할은 무엇인가요', '이번 블랙프라이데이에 갖고 싶던 물건을 어렵게 찾아 주문했는데 택배회사의 실수로 제품이 분실되어 확인 중이라고 연락이 왔네요. 이런 경우 당신은 어떤 방식으로 대응할까요', '당신의 대인관계 스타일은 어떤가요', '이직이나 이사 등 새로운 경험과 변화에 대해 어떤 반응을 보이는 편인가요', '스스로 인정하는 당신의 장점을 무엇인가요', '인간관계에서 의견 충돌이나 갈등이 생기면 어떤 모습을 보이나요', '당신을 학업을 하거나 기술을 익힐 때 어던 방식을 선호하나요?', '학창시절 당신은 어떤 학생이었나요', '어느날 갑자기 당신의 상사가 부르더니 급하게 일주일 내로 내년도 사업계획서를 작성하라고 지시를 하네요. 당신은 어떤 생각이 드나요, '계절의 변화나 일상생활 속에서 자신의 기분변화는 어떤 편이라고 생각하나요', '당신은 어떤 유형의 여가 활동을 좋아하나요' 및/또는 '스스로 생각하는 자신의 단점은 무엇인가요' 를 포함하는, 성격 유형 결정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list of questions is
'On Christmas Eve, imagine yourself standing in the middle of Daehak-ro, where so many people gather. How do you feel or think when you go to a place with so many people?' or 'Think of the person you think you know best at work or school. What kind of personality do you think that person has?', 'The company started a new project, so a task force was formed. What role do you want to take on?', 'I had a hard time finding the item I wanted on this Black Friday and ordering it, but I got a call saying that the product was lost due to the courier company's mistake and is being checked. In this case, how would you respond', 'What is your interpersonal style', 'How do you react to new experiences and changes, such as changing jobs or moving', 'What are your strengths that you acknowledge yourself? ', 'What does it look like when there is a conflict of opinion or conflict in a relationship', 'What kind of method do you prefer to study or acquire skills?', 'What kind of student were you in school?', 'One day Suddenly, your boss calls and tells you to write a business plan for next year within a week. What do you think, 'What kind of side do you think your mood changes with the change of seasons or in your daily life', 'What types of leisure activities do you like' and/or 'What do you think of yourself? Personality type determination device, including 'What are your weaknesses?
제5항에 있어서,
출력부는,
결정된 성격 유형별 결과 및 설명이 표시된 리포트, 제어부에서 판단된 유사도를 수치화하여 나타낸 그래프 및 내담자의 답변 키워드의 단어 빈도를 표시하는 워드넷(Wordnet)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출력하는, 성격 유형 결정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output part,
A personality type determination device that outputs at least one of a report displaying the results and explanations for each personality type determined, a graph quantifying the similarity determined by the control unit, and Wordnet indicating the word frequency of the client's answer keyword.
제8항에 있어서,
출력부에서 출력되는 그래프는,
방사형 그래프 및 막대형 그래프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제공되는, 성격 유형 결정 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The graph output from the output section is,
A personality type determining device, provided with at least one of a radar graph and a bar graph.
제8항에 있어서,
출력부에서 출력되는 리포트는,
성격 유형별 성격 프로파일 분석 결과 및 외향성, 개방성, 우호성, 성실성 및 신경성의 각 성격 유형별 결과 및 설명이 포함되는, 성격 유형 결정 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The report output from the output unit is,
A personality type determining device, including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personality profile for each personality type, and the results and explanations for each personality type of extraversion, openness, friendly, conscientious and neurotic.
제1항에 따른 성격 유형 결정 장치를 이용하여 내담자의 성격 유형을 결정하기 위한 성격 유형 결정 방법에 있어서,
성격 유형 결정을 위한 질문 리스트를 출력하는 단계;
출력된 질문 리스트에 대한 내담자의 답변을 접수하는 단계;
질문 리스트로부터 형태소 분석을 통해 진단 키워드를 추출하고, 접수된 답변으로부터 형태소 분석을 통해 답변 키워드를 추출하는 단계;
추출된 답변 키워드 및 외향성, 개방성, 우호성, 성실성 및 신경성을 포함하는 성격 유형별 질문 리스트에 대한 진단 키워드를 비교하여 유사도를 판단하는 단계;
판단된 유사도에 따라 성격 유형을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성격 유형을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질문 리스트는 성격 유형별로 10개 내지 15개 이내로 마련되며, 성격 유형별 질문 리스트에 대하여 고유형(Positive) 및 저유형(Negative)으로 분류되어 집합된 진단 키워드가 저장되되,
접수 단계에서, 성격 유형별 질문 리스트에 대한 답변 데이터를 포함하고, 답변 데이터를 내담자를 대상으로 성격 유형별 질문 리스트에 대한 답변을 확보하여 성격 유형 분류의 기초 데이터로 활용되며,
추출 단계 및 결정 단계에서, 내담자의 답변 데이터로부터 자연어 처리, 형태소 분석/빈도 분석, 핵심단어/문장에 관한 답변 키워드를 추출하고, 추출된 답변 키워드를 이용하여 미리 생성된 성격 유형별 진단 키워드 및 형태소와의 유사도를 판단하여 판단된 값에 따라 내담자의 성격 유형을 결정하는, 성격 유형 결정 방법.
A method for determining a personality type for determining a personality type of a client using the personality type determin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the method comprising:
outputting a list of questions for determining a personality type;
receiving the client's answer to the outputted question list;
extracting diagnostic keywords from the question list through morpheme analysis, and extracting answer keywords from the received answers through morpheme analysis;
determining the similarity by comparing the extracted answer keywords and diagnostic keywords for the question list for each personality type including extraversion, openness, friendliness, sincerity, and nervousness;
determining a personality type according to the determined similarity; and
outputting the determined personality type;
including,
The list of questions is provided within 10 to 15 for each personality type, and the diagnostic keywords that are classified into positive and negative types for the question list by personality type are stored,
In the reception stage, answer data for a list of questions by personality type is included, and the answer data is used as basic data for personality type classification by securing answers to a list of questions by personality type for clients,
In the extraction and decision stages, answer keywords for natural language processing, morpheme analysis/frequency analysis, and key words/sentences are extracted from the client's answer data, and diagnostic keywords and morphemes for each personality type generated in advance using the extracted answer keywords A personality type determination method that determines the client's personality type according to the determined value by judging the similarity of
제11항에 있어서,
유사도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워드 임베딩(word embedding) 기법을 이용하여 진단 키워드로부터 추출된 진단 키워드 벡터와 답변 키워드로부터 추출된 답변 키워드 벡터 간의 거리를 계산하고 계산된 수치에 따른 성격 유형별 유사도를 판단하는, 성격 유형 결정 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In the step of determining the similarity,
A personality type determination method that calculates the distance between a diagnostic keyword vector extracted from a diagnostic keyword and an answer keyword vector extracted from an answer keyword using a word embedding technique, and determines the similarity for each personality type according to the calculated numerical value.
KR1020200047790A 2020-04-21 2020-04-21 Personality type classify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KR10238383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7790A KR102383834B1 (en) 2020-04-21 2020-04-21 Personality type classify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7790A KR102383834B1 (en) 2020-04-21 2020-04-21 Personality type classify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9812A KR20210129812A (en) 2021-10-29
KR102383834B1 true KR102383834B1 (en) 2022-04-07

Family

ID=78231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7790A KR102383834B1 (en) 2020-04-21 2020-04-21 Personality type classify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3834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2868B1 (en) * 2022-08-10 2022-12-01 주식회사 플리더스 Game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that can determine the genre and subject matter of a game based on review data collected from game testers and the operating method thereof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8701B1 (en) * 2018-04-11 2018-12-12 김화숙 System for testing personality and method for testing personality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9504B1 (en) * 2012-08-24 2014-07-15 (주)에이엔비 System and method providing a suited shopping information by analyzing the propensity of an user
KR101731561B1 (en) * 2015-05-19 2017-05-02 트윈워드 주식회사 Personality test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KR20200007713A (en) * 2018-07-12 2020-01-22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a topic based on sentiment analysi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8701B1 (en) * 2018-04-11 2018-12-12 김화숙 System for testing personality and method for testing personalit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9812A (en) 2021-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osa et al. A knowledge-based recommendation system that includes sentiment analysis and deep learning
Chen et al. What about mood swings: Identifying depression on twitter with temporal measures of emotions
US20190057310A1 (en) Expert knowledge platform
Alessia et al. Approaches, tools and applications for sentiment analysis implementation
Banerjee et al. Using supervised learning to classify authentic and fake online reviews
Vo et al. Twitter emotion analysis in earthquake situations.
Park Developing a COVID-19 crisis management strategy using news media and social media in big data analytics
CN106683688B (en) Emotion detection method and device
KR20120109943A (en) Emotion classification method for analysis of emotion immanent in sentence
CN107807968A (en) Question and answer system, method and storage medium based on Bayesian network
Chatterjee et al. Classifying facts and opinions in Twitter messages: a deep learning-based approach
Gaikar et al. Depression detection and prevention system by analysing tweets
US10248648B1 (en) Determining whether a comment represented as natural language text is prescriptive
KR102383834B1 (en) Personality type classify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Wang et al. An explainable sentiment prediction model based on the portraits of users sharing representative opinions in social sensors
US11966698B2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tagging customer message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s
Shrestha Machine learning for depression diagnosis using twitter data
ÖZEL et al. Effects of feature extraction and classification methods on cyberbully detection
Ergu et al. Predicting personality with twitter data and machine learning models
Patil et al. Personality prediction using Digital footprints
Al-Shaibani et al. Terrorist Tweets Detection using Sentiment Analysis: Techniques and Approaches
Mantoro et al. Machine learning approach for sentiment analysis in crime information retrieval
Singh et al. Sentiment Analysis of Twitter Data: A Review
van Dalen et al. Profiling dutch authors on twitter: Discovering political preference and income level
Geetha et al. Tweedle: sensitivity check in health-related social short texts based on regret theo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