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3752B1 - 명령어설정기능이 강화된 포터블 디바이스 및 포터블 디바이스의 기능을 활성화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명령어설정기능이 강화된 포터블 디바이스 및 포터블 디바이스의 기능을 활성화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3752B1
KR102383752B1 KR1020200078826A KR20200078826A KR102383752B1 KR 102383752 B1 KR102383752 B1 KR 102383752B1 KR 1020200078826 A KR1020200078826 A KR 1020200078826A KR 20200078826 A KR20200078826 A KR 20200078826A KR 102383752 B1 KR102383752 B1 KR 1023837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nction
command
portable device
input
enhanc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88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0763A (ko
Inventor
조병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to KR10202000788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3752B1/ko
Publication of KR202200007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07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37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37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30Devices using two or more structurally separated inhalable precursors, e.g. using two liquid precursors in two cartridg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24F40/57Temperature control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60Devices with integrated user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2User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pri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7Audio in a user interface, e.g. using voice commands for navigating, audio feedb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제1명령어 및 제1명령어에 대응되는 제1기능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제1명령어 및 제1기능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제2명령어 및 제2기능을 설정하는 기능설정부 및 수신부에 제2명령어가 수신되면, 제2기능을 활성화하는 처리부를 포함하는 명령어설정기능이 강화된 포터블 디바이스를 개시한다.

Description

명령어설정기능이 강화된 포터블 디바이스 및 포터블 디바이스의 기능을 활성화하는 방법 {Portable device with enhanced command setting function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명령어설정기능이 강화된 포터블 디바이스 및 포터블 디바이스의 기능을 활성화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포터블 디바이스에서 이미 설정되어 있는 명령 외에 사용자가 직접 다수의 설정기능을 입력하고, 입력된 설정에 따라 포터블 디바이스의 특정 기능을 활성화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및 그 방법에 대한 것이다.
휴대가능한 전자기기(이하, "포터블 디바이스")에 포함되는 각종 모듈의 성능이 비약적으로 향상됨에 따라서, 일상생활을 영위하는 데에 있어서, 사용자가 포터블 디바이스에 의존하는 의존도도 꾸준하게 상승되어 가고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는 설계되고 제조되면서 미리 입력되는 기능에 대해서는 신뢰도 높게 동작하나, 하드웨어의 한계로 인해서, 사용자가 사용자만의 고유한 명령어를 입력했을 때, 입력된 명령어를 해석하여, 그 해석된 명령어에 대응되는 기능을 활성화하지 못하는 경향이 있으며, 이러한 한계점은 소프트웨어를 통해 점차적으로 보완되는 추세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명령어설정기능을 강화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현저하게 개선시킨 포터블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포터블 디바이스는, 제1명령어 및 상기 제1명령어에 대응되는 제1기능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된 제1명령어 및 상기 제1기능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제2명령어 및 제2기능을 설정하는 기능설정부; 및 상기 수신부에 상기 제2명령어가 수신되면, 상기 제2기능을 활성화하는 처리부를 포함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제1명령어 및 제1기능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명령어 및 상기 제1기능을 기초로 제2명령어 및 제2기능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2명령어가 수신되면, 상기 설정된 제2기능을 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명령어를 자유롭게 설정하고, 그 설정된 명령어에 따라서, 포터블 디바이스가 동작함에 따라서, 사용자 편의성이 현저하게 상승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 시스템을 개괄적으로 나타내고 있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명령어설정기능 강화 장치의 일 예의 블록도를 도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포터블 디바이스의 제2명령어 및 제2기능이 구현되는 과정을 도식적으로 나타낸 제1실시 예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포터블 디바이스의 제2명령어 및 제2기능이 구현되는 과정을 도식적으로 나타낸 제2실시 예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포터블 디바이스의 제2명령어 및 제2기능이 구현되는 과정을 도식적으로 나타낸 제3실시 예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포터블 디바이스의 제2명령어 및 제2기능이 구현되는 과정을 도식적으로 나타낸 제4실시 예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포터블 디바이스의 제2명령어 및 제2기능이 구현되는 과정을 도식적으로 나타낸 제5실시 예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포터블 디바이스가 동작하는 방법의 일 예를 흐름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실시 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 시스템을 개괄적으로 나타내고 있는 도면이다.
도 1의 본 발명의 전체 시스템(1)은 스마트폰(11), PC(13), 노트북 컴퓨터(15) 및 에어로졸 생성 장치(17)가 통신망(20)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명령어설정기능 강화 장치(200)와 통신하는 형태로 구현된다.
도 1에서, 스마트폰(11), PC(13), 노트북 컴퓨터(15) 및 에어로졸 생성 장치(17)는 명령어설정기능 강화 장치(200)와 통신하거나, 명령어설정기능 강화 장치(200)가 포함될 수 있는 전자기기의 일 예로서, 예시에 불과하므로 도 1에서 표현되어 있지 않은 다른 전자기기에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다.
통신망(20)이 지원하는 통신은 유선통신뿐만 아니라, 무선통신도 포함할 수 있고, 명령어설정기능 강화 장치(200)가 전자기기에 포함되어, 전자기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면, 통신의 종류를 제한하지 않는다. 일 예로서, 통신망(20)은 Wifi망이 될 수도 있고, 케이블(cable)을 매개로 한 케이블망일 수도 있다.
명령어설정기능 강화 장치(200)는 스마트폰(11), PC(13), 노트북 컴퓨터(15) 및 에어로졸 생성 장치(17)와 같은 각종 전자기기와 통신망(20)을 통해 통신하면서, 전자기기의 동작을 제어한다. 도 1에서 명령어설정기능 강화 장치(200)는, 물리적인 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실시 예에 따라서, 전자기기의 저장장치 내에 논리적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명령어설정기능 강화 장치(200)는 전자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각종 스크립트의 집합 형태로 전자기기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다가, 유효한 사용자의 입력이 전자기기의 입력장치에 입력되면, 스크립트에 정의된 기능을 전자기기의 MCU(microcontorller unit)를 통해서 처리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명령어설정기능 강화 장치(2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processor)에 해당하거나,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명령어설정기능 강화 장치(100)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나 범용 컴퓨터 시스템과 같은 다른 하드웨어 장치에 포함된 형태로 구동될 수 있다. 즉, 명령어설정기능 강화 장치(100)는 전자기기에 물리적으로 탑재될 수도 있고, 전자기기에 유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내용에 영향을 주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포터블 디바이스는 본 발명에 따른 명령어설정기능 강화장치(200)를 물리적 또는 논리적으로 포함하고 있는 전자기기를 포괄적으로 지칭하는 것으로 간주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명령어설정기능 강화 장치의 일 예의 블록도를 도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명령어설정기능 강화 장치(200)는 입력부(210), 수신부(230), 기능설정부(270) 및 처리부(290)를 포함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입력부(210)는 사용자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는 입력장치(input device)와 연동되어 동작한다. 구체적으로, 입력부(210)는 전자기기에 하드웨어로 구비되어 있거나, 소프트웨어로 구현되어 있는 입력장치에 사용자의 입력이 입력되면, 그 입력을 전달받아서 가공하고, 수신부(230)에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전자기기에 구비되는 입력장치로는 키보드, 마우스, 트랙볼, 마이크, 기계버튼, 터치 패널(touch panel)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부(230)는 제1명령어 및 제1명령어에 대응되는 제1기능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다. 본 발명에서, 제1명령어는 후술하는 제2명령어와 구분하기 위한 명령어로서, 사용자가 입력하여 정의하는 명령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의 터치 패널의 중앙부를 연속하여 5회 터치하는 입력은 제1명령어가 될 수 있다.
제1명령어는 전자기기에 설치되어 있는 하드웨어나 펌웨어에 의해서, 디폴트(default)로 지원하고 있는 간단한 명령과는 구분된다. 일 예로서, 스마트폰에서 화면을 확대하거나 축소하는 데에 사용되는 줌인 및 줌아웃(Zoom in & Zoom out) 입력은 스마트폰을 구동하는 데에 필수적인 명령어이므로, 전자기기를 사용하는 일반적인 사용자가 그 명령어를 임의로 변경할 수 없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1명령어가 될 수 없다. 또한, 페이지 포워드 및 백워드(page forward & page backward)입력도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데에 있어서, 필수적인 명령이므로, 제1명령어가 될 수 없다.
제1명령어는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거나, 중요하게 여기는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서 추가적으로 정의하는 명령어이므로, 사용자만의 특이성이 반영된 명령어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본 발명에 따른 명령어설정기능 강화 장치(200)는 부적절한 입력을 제1명령어로 설정하라는 입력을 수신하면, 이에 대한 거부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제1기능은 제1명령어와 연관되어 구현되는 기능을 의미하고, 전자기기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는 기능에 한한다. 예를 들어, 캠코더를 구비하고 있는 노트북 PC는 사용자가 출현하는 동영상을 촬영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동영상촬영기능은 제1기능이 될 수 있으나, 녹음기를 내장하고 있지 않은 노트북 PC는 사용자의 음성을 녹음할 수 없으므로, 녹음기능은 제1기능으로 설정될 수 없다.
본 발명에서, 제1명령어 및 제1기능이 입력되고, 전자기기에 설정되면, 전자기기는 제1명령어가 입력되면, 제1기능을 구현(실행)한다.
기능설정부(270)는 수신부(230)가 수신한 제1명령어 및 제1기능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고, 제1명령어 및 제1기능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제2명령어 및 제2기능을 설정한다.
기능설정부(270)가 제1명령어 및 제1기능을 분석하는 것은, 제2명령어 및 제2기능을 새로 정의하는 데에 기초데이터(raw data)로 사용하기 위함이다. 즉, 제2명령어 및 제2기능은 제1명령어 및 제1기능에 대한 분석이 완료된 후에, 기능설정부(270)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처리부(290)는 기능설정부(270)에 의해서 제2명령어 및 제2기능이 설정되고 나서, 수신부(230)에 제2명령어가 수신되면, 제2기능을 활성화한다.
위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명령어 및 기능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면,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 외에,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를 기초로 대응되는 명령어와 기능이 병렬적으로 설정되며, 사용자가 입력하지 않았지만 설정된 명령어가 입력되면, 그 명령어에 대응되는 기능이 활성화됨으로써, 전자기기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편의성이 현저하게 개선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도 2 내지 도 8을 통해 설명하기로 한다.
선택적 일 실시 예로서, 제2기능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기능으로서, 제1기능과 매칭되어 있는 제2기능일 수 있다. 본 선택적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기기에 일반적으로 포함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에 제1기능과 매칭되어 있는 기능으로서, 제2기능이 포함되어 있을 때, 기능설정부(270)가 이를 참고하여, 제2기능을 설정하게 된다. 제1기능이 특정 모듈을 동작시키는 기능이라면, 제2기능은 특정 모듈의 동작을 멈추게 하는 기능이 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에 제1기능과 제2기능이 매칭되어 저장되어 있다면, 기능설정부(270)는 사용자가 데이터베이스의 제1기능에 해당하는 기능을 입력했을 때, 그 기능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지 않고,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한 결과만으로 간단히 제2기능을 설정할 수 있게 된다.
다른 선택적 일 실시 예로서, 제2기능은 적어도 두 가지 이상 출력된 기능들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하나일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제1기능과 제2기능은 반드시 on/off 기능처럼 양분된 기능이 아닐 수 있으므로, 제1기능이 정의되었을 때, 제1기능과 대응되는 제2기능이 복수일 수도 있다. 위와 같은 상황에서, 기능설정부(270)는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서, 사용자의 입력을 유도하고, 전자기기의 입력장치를 통해서 사용자의 입력이 입력되면, 그 입력을 기초로 제2기능을 설정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선택적 일 실시 예로서, 제1기능은 외부 단말과의 통신을 활성화하는 기능, 제2기능은 외부 단말과의 통신을 비활성화하는 기능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단말과의 통신의 방식은 NFC, Blue-tooth 및 Wifi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사용자는, 외부 단말과의 통신 기능을 제1명령어로 켜고, 제2명령어로 끌 수 있게 됨으로써, 간편하게 해당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휴대용 전자기기는 용량이 한정되어 있는 배터리로 동작하고, 외부 단말과의 통신 기능이 계속 켜져 있다면, 슬립 모드나 대기 모드로 동작하는 통신모듈에 의해서 많은 배터리 소모가 발생될 수 밖에 없으나,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on/off를 명확히 해야 하는 기능(통신 기능)에 대해서, 제1명령어를 입력하는 것만으로, 제2명령어 및 제2기능이 설정됨에 따라서, 사용자가 장치를 사용하는 데에 있어서, 높은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포터블 디바이스의 제2명령어 및 제2기능이 구현되는 과정을 도식적으로 나타낸 제1실시 예이다.
도 3의 (a)에서, 제1명령어는 6개의 입력패널에서 3개의 화살표가 좌측 상단에서 우측 하단을 향해 내려오는 명령어이다. 제1명령어와 함께 입력된 제1기능은 a모듈을 활성화하는 기능이라고 간주한다.
기능설정부(270)는 제1명령어 및 제1기능을 분석하여, 제1명령어가 하단 방향, 우측 방향, 하단 방향으로 구성된 명령어라는 것을 분석하고, 제1기능은 a모듈을 활성화하는 기능이라는 것을 분석할 수 있다. 이어서, 기능설정부(270)는 분석된 제1명령어 및 제1기능을 기초로 하여, 제2명령어와 제2기능을 설정한다.
도 3의 (b)를 참조하면, 제2명령어는 상단방향, 좌측방향, 상단방향으로 구성된 명령어이고, 제2명령어에 대한 기능은 a모듈을 비활성화(off)하는 기능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제2명령어는 방향성을 갖는 표지가 순차적으로 기록된 명령어로서, 제1명령어를 구성하는 방향들과 모두 반대방향으로 구성되어 있다. 기능설정부(270)는 제1명령어가 제1방향의 입력을 포함하는 것으로 분석되면, 제2명령어에는 제1방향의 반대방향의 입력이 포함되도록 제2명령어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2기능도 제1기능과 대응되거나 대향요소(opposite component)가 인정되는 기능이 설정된다는 것은 이미 설명한 바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포터블 디바이스의 제2명령어 및 제2기능이 구현되는 과정을 도식적으로 나타낸 제2실시 예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410)에 두 가지 음성 입력이 순차적으로 적용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먼저, 도 4에서, 제1사용자(430)는 제1명령어로서, ABCDE라는 문자열을 스마트폰(410)에 입력하였으며, 스마트폰(410)은 ABCDE라는 제1명령어를 받아들여서, 기능을 활성화(ON)시킨다. 이어서, 제2사용자(450)는 제2명령어로서, EDCBA라는 문자열을 스마트폰(410)에 입력하였으며, 스마트폰(410)은 EDCBA라는 제2명령어를 받아들여서, 기능을 비활성화(OFF)시킨다.
이때, 제1사용자(430) 및 제2사용자(450)가 스마트폰(410)에 가하는 입력은 제1명령어 및 제2명령어를 음성인식방식으로 입력한 것이며, 도 4를 참조하면, 제2명령어는 제1명령어의 반대방향 문자열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스마트폰(410)에 설정되어 있는 기능 중에서, 제2명령어와 스마트폰(410)의 기능을 비활성화시키는 제2기능은 스마트폰(410)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능동적으로 입력하고 설정한 명령어나 기능이 아니고, 제1명령어 및 제1기능이 입력되면서, 자동으로 설정된 명령어 및 기능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포터블 디바이스의 제2명령어 및 제2기능이 구현되는 과정을 도식적으로 나타낸 제3실시 예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에 두 가지 입력이 적용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먼저, 제1예시(510)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에 사용자의 엄지손가락 지문이 입력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엄지손가락 지문을 입력하는 것은 제1명령어, A기능이 활성화되는 것이 제1기능으로 볼 수 있다.
이어서, 제2예시(530)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에 사용자의 엄지손가락 지문이 반대로 입력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엄지손가락 지문을 입력하는 것은 제2명령어, A기능이 비활성화되는 것이 제2기능으로 볼 수 있다.
도 5는 도 4와 마찬가지로, 제2명령어 및 제2기능은 제1명령어 및 제1기능이 설정될 때, 기능설정부(270)에 의해 자동으로 설정된 것이며, 사용자가 입력하였으나, 사용자가 설정한 명령어 및 기능이 아니다.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포터블 디바이스의 제2명령어 및 제2기능이 구현되는 과정을 도식적으로 나타낸 제4실시 예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이 잠금해제되거나 잠금해제되지 않는 사례를 도식적으로 설명하고 있는 도면이다. 도 6에서, 스마트폰은 사용자의 입력을 받아들이면서 화면출력도 가능한 터치디스플레이 패널(touch display panel)을 포함하고 있으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서 제1패턴 또는 제2패턴을 출력한다. 도 6에서 제1패턴은 세로가 긴 직사각형을 출력하는 패턴, 제2패턴은 마름모를 출력하는 패턴이라고 간주한다.
도 6에서, 제1명령어는 제1패턴이 출력될 때 유효한 명령어로서, 좌측 상단에서 우측 하단으로 내려오는 세 방향의 화살표이고, 제1기능은 제1패턴이 출력되는 스마트폰의 화면의 잠금상태를 해제하는 것이다. 또한, 제2명령어는 제2패턴이 출력될 때 유효한 명령어로서, 우측 하단에서 좌측 상단까지 올라가는 세 방향의 화살표이고, 제2기능은 제2패턴이 출력되는 스마트폰의 화면의 잠금상태를 해제하는 것이다.
제1케이스(610)에서, 스마트폰에 제1패턴이 출력되어 있으며, 제1명령어가 입력되었으므로, 스마트폰은 잠금해제된다.
제2케이스(630)에서, 스마트폰에 제1패턴이 출력되어 있으며, 제2명령어가 입력되었으므로, 스마트폰은 잠금해제되지 않고 변화가 없다.
제3케이스(650)에서, 스마트폰에 제2패턴이 출력되어 있으며, 제1명령어가 입력되었으므로, 스마트폰은 잠금해제되지 않고 변화가 없다.
제4케이스(670)에서, 스마트폰에 제2패턴이 출력되어 있으며, 제2명령어가 입력되었으므로, 스마트폰은 잠금해제된다.
도 6처럼 동일한 스마트폰에 대해서, 잠금해제방식을 두 가지 이상 구비하게 되면, 스마트폰의 보안효율을 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종래에 알려진 방식에 따르면, 특정 패턴을 입력하여 스마트폰의 잠금을 해제하는 것을 반복적으로 관찰한 타인에 의해서, 사용자의 스마트폰의 잠금상태가 해제될 가능성이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르면, 스마트폰이 잠겨있을 때에 출력되는 패턴에 따라서, 잠금해제 방식을 다르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스마트폰의 잠금상태를 해제하는 것을 우연히 1~2회 관측한 것만으로, 사용자의 스마트폰에 대한 정보를 손쉽게 열람할 수 있게 되는 일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6에서 설명한 예와 유사한 다른 예로서, 제1기능이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부에 대한 입력을 무시하는 기능이고, 제2기능이 디스플레이부에 대한 입력을 수용하는 기능일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포터블 디바이스의 제2명령어 및 제2기능이 구현되는 과정을 도식적으로 나타낸 제5실시 예이다.
도 7에서, 본 발명에 따른 포터블 디바이스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700)이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하고, 생성된 에어로졸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포터블 디바이스로서, 기존에는 단순히 on/off 기능만 구비하고 있는 장치가 대다수였으나, 최근에는 디스플레이부, 각종 입력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장치도 출시되고 있다.
먼저, 제1명령어(710)가 입력되면,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히터에 적용되는 온도프로파일은 제1그래프(730)와 같다. 여기서, 제1그래프(730)는 도 7에서 제1명령어(710)가 입력되었을 때, 에어로졸 생성 장치(700)의 히터를 가열하는 방법을 그래프로 나타낸 결과로서, 일 예로서, 제1그래프(730)는 PID제어방식에 따른 히터의 온도변화 그래프일 수 있다.
이어서, 제2명령어(750)가 입력되면,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히터에 적용되는 온도프로파일은 제2그래프(770)와 같다. 여기서, 제2그래프(770)는 도 7에서 제2명령어(750)가 입력되었을 때, 에어로졸 생성 장치(700)의 히터를 가열하는 방법을 그래프로 나타낸 결과로서, 일 예로서, 제2그래프(770)는 히터를 PWM(pulse width modulation)신호를 기초로 제어한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일 수 있다.
즉, 도 7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700)는 내부에 PID제어방식 및 PWM신호를 통한 제어방식을 모두 구현하기 위한 모듈을 모두 포함하고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명령어설정기능 강화 장치(200)를 포함하고 있고, 그 장치에 따라서, 제1명령어(710), 제2명령어(750), 제1기능 및 제2기능이 모두 설정된 상태이다. 전술한 것처럼, 제1명령어(710) 및 제1기능에 대해서만 사용자가 입력한 것으로서, 나머지는 기능설정부(270)에 의해 설정된 정보들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명령어(710)와 제2명령어(750)는 서로 반대방향의 패턴임을 알 수 있다.
다른 일 예로서, 제1기능은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담배 각초인 경우에 사용되는 온도프로파일로 히터의 온도를 제어하는 기능이고, 제2기능은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기설정된 크기 미만의 과립인 경우에 사용되는 온도프로파일로 히터의 온도를 제어하는 기능일 수도 있다.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각초인지 과립인지에 따라서, 히터의 목표온도는 판이하게 다르므로, 만족스러운 흡연경험을 위해서, 이에 대해서 사용자가 온도프로파일을 제어할 필요성이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가 에어로졸 생성 장치일 때, 제1기능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가 고체매질 및 액체매질을 기초로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기능이고, 제2기능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가 고체매질(또는 액체매질)만으로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기능일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 예에서, 본 발명에 따라서, 제1기능 및 제2기능이 각각 반대로 동작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도 구현될 수 있음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도 3 내지 도 7에서 도식적으로 설명하지 않은 본 발명의 선택적 일 실시 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서 제1기능은 포터블 디바이스의 관리자 모드(administrator mode)로 진입하는 기능이고, 제2기능은 관리자모드를 해제하는 기능이며, 제2명령어는 제1명령어에 따라 다르게 설정되도록 제1명령어에 대한 의존성을 갖는 명령어일 수 있다. 본 선택적 일 실시 예는, 사용자가 전자기기를 수리점(repair center)에 맡겼을 때, 전자기기의 고장을 진단하기 위한 관리자 모드로 진입할 때에만 한정적으로 쓰일 수 있는 명령어 및 기능에 대한 것으로서, 수리점직원은 제1명령어를 입력하여 관리자모드로 전자기기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결함을 진단하고 나서, 제2명령어를 입력하여, 관리자모드를 해제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7에서 설명한 실시 예들에 부여된 번호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며, 해당 실시 예들의 숫자로 실시 예의 수를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모두 포함한다면, 도 3 내지 도 7에서 설명한 실시 예 외의 다른 실시 예가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는 게 아니라는 것은 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포터블 디바이스가 동작하는 방법의 일 예를 흐름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에 따른 방법은, 도 2에서 설명한 명령어설정기능 강화 장치(200) 및 그 장치를 포함하는 포터블 디바이스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므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하고, 이하에서는, 이미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명령어설정기능 강화 장치(200)는 제1명령어 및 제1기능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다(S810).
명령어설정기능 강화 장치(200)는 제1명령어 및 제1기능을 기초로 제2명령어 및 제2기능을 설정한다(S820).
명령어설정기능 강화 장치(200)는 제1명령어가 수신되었다면(S830), 제1기능을 활성화하고(S840), 제2명령어가 수신되었다면(S850), 제2기능을 활성화시킨다(S860).
본 발명은 사용자가 입력한 제1명령어 및 제1기능을 분석하여, 사용자가 입력하거나 설정하지 않은 제2명령어 및 그 제2명령어에 대응되는 제2기능을 설정하고, 사용자로부터 제2명령어가 입력되었을 때, 제2기능을 활성화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포터블 디바이스에 대한 사용자 편의성을 현저하게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당업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210: 입력부
230: 수신부
270: 기능설정부
290: 처리부

Claims (20)

  1. 제1순서로 배열되는 입력을 포함하는 제1명령어 및 상기 제1명령어에 대응되도록 입력된 제1기능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된 제1명령어 및 상기 제1기능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제2명령어 및 제2기능을 설정하는 기능설정부; 및
    상기 수신부에 상기 제2명령어가 수신되면, 상기 제2기능을 활성화하는 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명령어는 상기 제1순서와 반대인 제2순서로 배열되는 입력을 포함하고, 상기 제2기능은 상기 제1기능에 반대 기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명령어설정기능이 강화된 포터블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기능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제1기능과 매칭되어 있는 제2기능인, 명령어설정기능이 강화된 포터블 디바이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기능은,
    적어도 두 가지 이상 출력된 기능들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하나인, 명령어설정기능이 강화된 포터블 디바이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명령어는,
    제1방향의 입력을 포함하고,
    상기 제2명령어는,
    상기 제1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방향의 입력을 포함하는, 명령어설정기능이 강화된 포터블 디바이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능은,
    외부 단말과의 통신을 활성화하는 기능,
    상기 제2기능은,
    외부 단말과의 통신을 비활성화하는 기능인, 명령어설정기능이 강화된 포터블 디바이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의 방식은 NFC, Blue-tooth 및 Wifi 중 어느 하나인, 명령어설정기능이 강화된 포터블 디바이스.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다기능 복합형 단말이고,
    상기 제1기능은,
    상기 단말의 디스플레이부에 대한 입력을 무시하는 기능이고,
    상기 제2기능은,
    상기 단말의 디스플레이부에 대한 입력을 수용하는 기능인, 명령어설정기능이 강화된 포터블 디바이스.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인, 명령어설정기능이 강화된 포터블 디바이스.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다기능 복합형 단말이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제1패턴 및 제2패턴 중 적어도 하나가 표시되고,
    상기 제1패턴이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제2명령어가 수신되면, 상기 제2기능을 활성화하는, 명령어설정기능이 강화된 포터블 디바이스.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다기능 복합형 단말이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제1패턴 및 제2패턴 중 적어도 하나가 표시되고,
    상기 제2패턴이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제2명령어가 수신되면, 상기 제2기능을 활성화하는, 명령어설정기능이 강화된 포터블 디바이스.
  15. 삭제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능은,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의 관리자 모드(administrator mode)로 진입하는 기능이고,
    상기 제2기능은,
    상기 관리자 모드를 해제하는 기능이고,
    상기 제2명령어는,
    상기 제1명령어에 따라 다르게 설정되도록 제1명령어에 대한 의존성을 갖는, 명령어설정기능이 강화된 포터블 디바이스.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명령어는,
    문자를 연속하여 상기 제1순서로 배치시켜 구성한 문자열이고,
    상기 제2명령어는,
    상기 제1순서와 반대인 상기 제2순서로 배치시켜 구성한 문자열이고,
    상기 수신부는,
    상기 제1명령어 및 상기 제2명령어를 음성인식방식으로 수신하는, 명령어설정기능이 강화된 포터블 디바이스.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명령어는,
    인증된 사용자의 제1방향으로 입력된 지문이고,
    상기 제2명령어는,
    상기 인증된 사용자의 상기 제1방향과 반대인 제2방향으로 입력된 지문인, 명령어설정기능이 강화된 포터블 디바이스.
  19. 제1순서로 배열되는 입력을 포함하는 제1명령어 및 상기 제1명령어에 대응되도록 입력된 제1기능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명령어 및 상기 제1기능을 기초로 제2명령어 및 제2기능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2명령어가 수신되면, 상기 설정된 제2기능을 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명령어는 상기 제1순서와 반대인 제2순서로 배열되는 입력을 포함하고, 상기 제2기능은 상기 제1기능에 반대 기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터블 디바이스의 기능을 활성화하는 방법.
  20. 제19항에 따른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1020200078826A 2020-06-26 2020-06-26 명령어설정기능이 강화된 포터블 디바이스 및 포터블 디바이스의 기능을 활성화하는 방법 KR1023837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8826A KR102383752B1 (ko) 2020-06-26 2020-06-26 명령어설정기능이 강화된 포터블 디바이스 및 포터블 디바이스의 기능을 활성화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8826A KR102383752B1 (ko) 2020-06-26 2020-06-26 명령어설정기능이 강화된 포터블 디바이스 및 포터블 디바이스의 기능을 활성화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763A KR20220000763A (ko) 2022-01-04
KR102383752B1 true KR102383752B1 (ko) 2022-04-06

Family

ID=793424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8826A KR102383752B1 (ko) 2020-06-26 2020-06-26 명령어설정기능이 강화된 포터블 디바이스 및 포터블 디바이스의 기능을 활성화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3752B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30398A (ko) * 2012-08-28 2014-03-12 삼성전자주식회사 명령어 패드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KR102135355B1 (ko) * 2012-10-23 2020-07-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60100771A (ko) * 2015-02-16 2016-08-24 주식회사 퓨처플레이 지문 인식에 따른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KR20180124739A (ko) * 2017-05-11 2018-11-21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궐련의 종류별로 에어로졸 생성장치에 포함된 히터의 온도를 제어하는 방법 및 궐련의 종류별로 히터의 온도를 제어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KR102007478B1 (ko) * 2017-06-28 2019-08-05 크리스토퍼 재현 윤 특정 조건에서 음성인식을 이용한 어플리케이션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90041632A (ko) * 2017-10-13 2019-04-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763A (ko) 2022-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84089B2 (en) Unlock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by performing multiple actions on an unlock interface
US9419982B2 (en) Login to a computing device based on facial recognition
KR102299261B1 (ko) 어플리케이션의 잠금 상태를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장치
US9286482B1 (en) Privacy control based on user recognition
WO2016054890A1 (zh) 指纹输入信息的处理方法、系统及移动终端
US20140143856A1 (en) Operational shortcuts for computing devices
US20090224874A1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uthentication and activation functions to a computing device
US20140189604A1 (en) Method and system for unlocking a touchscreen of an electronic device
WO2018086259A1 (zh) 鉴权方法及电子设备
US20110246952A1 (en)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defining touch gestures and method thereof
US9021270B1 (en) Combining wake-up and unlock into a single gesture
US8806612B2 (en) Verification method and computer system using the same
WO2022068723A1 (zh) 支付界面的显示方法、装置和电子设备
US20130127706A1 (en) Method for unlocking screen
US20140189855A1 (en) Gestures for Unlocking a Mobile Device
WO2018165942A1 (zh) 终端设备和识别指纹的方法
CN104200147A (zh) 基于触屏设备的身份认证方法和系统及安全隐私加密方法
CN104798014A (zh) 基于姿势的分区切换
KR102383752B1 (ko) 명령어설정기능이 강화된 포터블 디바이스 및 포터블 디바이스의 기능을 활성화하는 방법
US9424416B1 (en) Accessing applications from secured states
US20180314815A1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with locking interface
CN110032844B (zh) 基于折叠屏移动终端的副系统交互方法、系统和移动终端
KR20150063899A (ko) 숫자와 패턴을 조합한 스마트폰 보안모드 잠금해제 방법 및 단말 장치
JP5569615B1 (ja) 電子機器
WO2021248346A1 (zh) 触控方法、终端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