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3019B1 - 슬개대퇴 관절염 용도에 한정하는 재활 보조기 - Google Patents

슬개대퇴 관절염 용도에 한정하는 재활 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3019B1
KR102383019B1 KR1020210162347A KR20210162347A KR102383019B1 KR 102383019 B1 KR102383019 B1 KR 102383019B1 KR 1020210162347 A KR1020210162347 A KR 1020210162347A KR 20210162347 A KR20210162347 A KR 20210162347A KR 102383019 B1 KR102383019 B1 KR 1023830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ella
patellar
correction
hole
rehabili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23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병오
Original Assignee
정병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병오 filed Critical 정병오
Priority to KR10202101623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30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30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30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5/0104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without articulation
    • A61F5/0106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without articulation for the kne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0051Accessories for dressings
    • A61F13/00063Accessories for dressings comprising medicaments or additives, e.g. odor control, PH control, debriding, antimicrob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6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feet or legs; Corn-pads; Corn-rings
    • A61F13/061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feet or legs; Corn-pads; Corn-rings for kne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2005/0132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 A61F2005/0172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with cushions
    • A61F2005/0176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with cushions supporting the patell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2005/0197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with spr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365Plasters use
    • A61F2013/00489Plasters use for bracing or strapp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902Plasters containing means
    • A61F2013/00906Plasters containing means for transcutaneous or transdermal drugs applic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902Plasters containing means
    • A61F2013/0091Plasters containing means with disinfecting or anaesthetics means, e.g. anti-mycrobic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활 보조기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무릎부위에 단순 압박이 아니라 슬개골 골절 특히 슬개골 탈구나 선천적으로 대퇴골 원위부의 과간부에 슬개골이 제대로 맞지 않아 움직일 때 연골에 과도한 스트레스가 가해져 관절연골이 닳아 버리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슬개골을 정확한 위치 즉, 대퇴부 원위부의 과간부에 위치토록하여 퇴행성 관절염이나 슬개대퇴 관절염을 최소화하거나 또는 지연 및 올바른 교정과 더불어 재활치료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슬개대퇴 관절염 용도에 한정하는 재활 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해결적 수단은,
"일측에 슬개골 교정공(100)이 형성되고, 상기 슬개골 교정공(100) 둘레로 체결부(110)가 형성되며, 신축성 및 통기성을 갖는 직물로 형성된 본체부(10); 상기 본체부(10)와 가로방향으로 일체로 연장 형성되고, 슬개골 교정공(100) 배면인 대퇴골과 경골 사이에 위치하는 연골의 과도한 스트레스 및 관절 면의 뒤틀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가로방향으로 길게 정위치유지공(200)이 천공된 연골 보호부(20); 상기 연골 보호부(20)와 가로방향으로 일체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슬개골 교정공(100)에 위치한 슬개골을 보호하면서 상기 체결부(110)에 체결되는 슬개골 보호부(30); 상기 슬개골 보호부(30)와 가로방향으로 일체로 연장 형성되고, 상하 양측으로 밴드 형상으로 연장되어 상기 정위치유지공(200) 상하 양측에 체결되는 탄력성을 갖는 밴드부(40);를 포함하는 슬개대퇴 관절염 용도에 한정하는 재활 보조기와,
상기 슬개골 교정공(100)은 슬개골의 크기와 일체되며 상기 슬개골이 유동되지 아니하도록 상기 슬개골 교정공(100) 외측으로 돌출 형성토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슬개대퇴 관절염 용도에 한정하는 재활 보조기와,
상기 슬개골 교정공(100)과 일치하는 상기 슬개골 보호부(30) 중앙면에 염증 및 통증 완화제가 도포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는 슬개대퇴 관절염 용도에 한정하는 재활 보조기와,
상기 체결부(110)와 이에 체결되는 상기 슬개골 보호부(30)는 각각 벨크로 테이프로 이루어진 것을 포함하는 슬개대퇴 관절염 용도에 한정하는 재활 보조기와,
상기 정위치유지공(200)의 상하면과 이에 체결되는 상기 밴드부(40)는 각각 벨크로 테이프로 이루어진 것을 포함하는 슬개대퇴 관절염 용도에 한정하는 재활 보조기와,
상기 슬개골 교정공(100)의 인접된 외주부에는 슬개골의 탈구를 방지키 위한 제1 가압부재(101)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는 슬개대퇴 관절염 용도에 한정하는 재활 보조기와,
상기 정위치유지공(200)의 인접된 외주부에는 연골의 과도한 스트레스 및 관절 면의 뒤틀림을 방지하기 위한 제2 가압부재(201)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는 슬개대퇴 관절염 용도에 한정하는 재활 보조기"를 구성적 특징으로 함으로서,
본 발명은 슬개골을 정확한 위치 즉, 대퇴부 원위부의 과간부에 위치토록하여 슬개골의 탈구의 예방이나 교정을 가능하도록 신체조건에 맞춘 인체역학적 구조와 피부 밀착 구조를 통해 착용의 용이성을 향상하고 교정 및 재활치료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슬개대퇴 관절염 용도에 한정하는 재활 보조기{Rehabilitation orthosis limited to patellar femoral arthritis use}
본 발명은 재활 보조기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무릎부위에 단순 압박이 아니라 슬개골 골절 특히 슬개골 탈구나 선천적으로 대퇴골 원위부의 과간부에 슬개골이 제대로 맞지 않아 움직일 때 연골에 과도한 스트레스가 가해져 관절연골이 닳아 버리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슬개골을 정확한 위치 즉, 대퇴부 원위부의 과간부에 위치토록하여 퇴행성 관절염이나 슬개대퇴 관절염을 최소화하거나 또는 지연 및 올바른 교정과 더불어 재활치료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슬개대퇴 관절염 용도에 한정하는 재활 보조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삶의 질 향상에 따라 다양한 스포츠 및 신체활동을 즐기는 사람들이 늘고 있는 가운데, 잘못된 방법으로 과도하게 관절을 사용함에 따른 퇴행성 질환의 촉진과 다양한 근골격 질환 및 외상이 증가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다양한 기술의 발전은 생활의 편리함과 동시에 과거에 비해 운동량과 활동량을 줄이고 올바르지 않은 자세를 유발하게 되었고 이는 신체의 근력 약화를 야기하고 있다. 특히 하지 근력의 약화가 문제시되는 가운데 우리 몸에서 체중부하 및 안정성과 움직임에 큰 영향을 미치는 무릎을 둘러싼 근육들의 약화가 초래되고 있다.
이와 같이 체중부하 및 안정성과 움직임에 큰 영향을 미치는 무릎관절은 인체를 움직임을 위한 필수 관절로 힘을 비축했다가 발산하고 체중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나, 언급된 다양한 원인으로 부상 및 질환 발생이 잦은 부분으로 반월판 손상, 슬개대퇴증후군, 십자인대 파열, 측부인대 손상, 연골연화증, 무릎뼈 탈구 등의 질환발생 가능성이 있고 무릎 연부조직의 손상은 퇴행성관절염을 촉진하므로 한번 손상된 후에는 지속적인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관심 및 관리의 미흡, 고령화 사회로의 진입 등으로 인해 무릎 통증을 호소하며 병원을 찾는 인구가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연골손상이 비교적 적은 퇴행성관절염 초, 중기에는 물리치료와 약물치료, 연골재생술 등으로 관절을 보존할 수 있지만, 대부분의 환자는 잠시 쉬면 증상이 호전되거나 나이가 들면 흔히 생기는 자연스러운 현상이라 여기고 정확한 진단을 받지 않아 치료시기를 놓치는 경우가 많고, 이를 방치할 경우 말기에는 무릎이 붓고 잠을 이룰 수 없을 정도의 통증, 다리의 변형이 발생하여 무릎 인공관절수술까지 시행하기도 한다.
결국, 장기간의 재활치료 및 집중적인 관리가 요구되나 아직까지 치료를 원하는 수요자에 비해 전문적인 재활기관 및 치료사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자가 치료형태의 재활보조기기가 시중에 판매되고 있지만 이는 단순히 무릎뼈의 고정에만 초점을 맞춰져 있으며, 슬개골의 정위치를 유지토록 하거나 또는 슬개골의 밑면을 보호해주는 관절 연골의 손상으로 비록 뼈가 붙는다 하더라도 관절 면의 틀어지게 되는 문제점을 최소화하는 재활 보조기가 존재치 아니하고 종래의 재활 보조기는 정확하게 슬개골 또는 슬개골의 밑면을 보호해 주는 관절 연골의 재활을 위한 보조기는 존재치 아니한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3-0001999호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80938호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3-0101847호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56921호
본 발명에서는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슬개골 골절 특히 슬개골 탈구나 선천적으로 대퇴골 원위부의 과간부에 슬개골이 제대로 맞지 않아 움직일 때 연골에 과도한 스트레스가 가해져 관절연골이 닳아 버리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슬개골을 정확한 위치 즉, 대퇴부 원위부의 과간부에 위치토록하여 퇴행성 관절염이나 슬개대퇴 관절염을 최소화하거나 또는 지연 및 올바른 교정과 더불어 재활치료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슬개대퇴 관절염 용도에 한정하는 재활 보조기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슬개대퇴 관절염 용도에 한정하는 재활 보조기의 기술적 해결수단은,
"일측에 슬개골 교정공(100)이 형성되고, 상기 슬개골 교정공(100) 둘레로 체결부(110)가 형성되며, 신축성 및 통기성을 갖는 직물로 형성된 본체부(10); 상기 본체부(10)와 가로방향으로 일체로 연장 형성되고, 슬개골 교정공(100) 배면인 대퇴골과 경골 사이에 위치하는 연골의 과도한 스트레스 및 관절 면의 뒤틀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가로방향으로 길게 정위치유지공(200)이 천공된 연골 보호부(20); 상기 연골 보호부(20)와 가로방향으로 일체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슬개골 교정공(100)에 위치한 슬개골을 보호하면서 상기 체결부(110)에 체결되는 슬개골 보호부(30); 상기 슬개골 보호부(30)와 가로방향으로 일체로 연장 형성되고, 상하 양측으로 밴드 형상으로 연장되어 상기 정위치유지공(200) 상하 양측에 체결되는 탄력성을 갖는 밴드부(40);를 포함하는 슬개대퇴 관절염 용도에 한정하는 재활 보조기와,
상기 슬개골 교정공(100)은 슬개골의 크기와 일체되며 상기 슬개골이 유동되지 아니하도록 상기 슬개골 교정공(100) 외측으로 돌출 형성토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슬개대퇴 관절염 용도에 한정하는 재활 보조기와,
상기 슬개골 교정공(100)과 일치하는 상기 슬개골 보호부(30) 중앙면에 염증 및 통증 완화제가 도포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는 슬개대퇴 관절염 용도에 한정하는 재활 보조기와,
상기 체결부(110)와 이에 체결되는 상기 슬개골 보호부(30)는 각각 벨크로 테이프로 이루어진 것을 포함하는 슬개대퇴 관절염 용도에 한정하는 재활 보조기와,
상기 정위치유지공(200)의 상하면과 이에 체결되는 상기 밴드부(40)는 각각 벨크로 테이프로 이루어진 것을 포함하는 슬개대퇴 관절염 용도에 한정하는 재활 보조기와,
상기 슬개골 교정공(100)의 인접된 외주부에는 슬개골의 탈구를 방지키 위한 제1 가압부재(101)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는 슬개대퇴 관절염 용도에 한정하는 재활 보조기와,
상기 정위치유지공(200)의 인접된 외주부에는 연골의 과도한 스트레스 및 관절 면의 뒤틀림을 방지하기 위한 제2 가압부재(201)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는 슬개대퇴 관절염 용도에 한정하는 재활 보조기"를 구성적 특징으로 함으로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슬개골을 정확한 위치 즉, 대퇴부 원위부의 과간부에 위치토록하여 슬개골의 탈구의 예방이나 교정을 가능하도록 신체조건에 맞춘 인체역학적 구조와 피부 밀착 구조를 통해 착용의 용이성을 향상하고 교정 및 재활치료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무릎 내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인 슬개대퇴 관절염 용도에 한정하는 재활 보조기의 정면 전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인 슬개대퇴 관절염 용도에 한정하는 재활 보조기의 배면 전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인 슬개대퇴 관절염 용도에 한정하는 재활 보조기를 환자 무릎부위에 체결전 상태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인 슬개대퇴 관절염 용도에 한정하는 재활 보조기를 환자 무릎중 슬개골이 상기 슬개골 교정공에 정확하게 위치토록 체결하는 상태를 나타낸 체결 상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인 슬개대퇴 관절염 용도에 한정하는 재활 보조기를 환자 무릎중 슬개골이 상기 슬개골 교정공에 정확하게 위치토록 체결한 상태의 배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인 슬개대퇴 관절염 용도에 한정하는 재활 보조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 전개 사시도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며,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않음은 물론,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점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닌바, 본 발명의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를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가능하거나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일반적인 무릎 내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인 슬개대퇴 관절염 용도에 한정하는 재활 보조기의 정면 전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인 슬개대퇴 관절염 용도에 한정하는 재활 보조기의 배면 전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인 슬개대퇴 관절염 용도에 한정하는 재활 보조기를 환자 무릎부위에 체결전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인 슬개대퇴 관절염 용도에 한정하는 재활 보조기를 환자 무릎중 슬개골이 상기 슬개골 교정공에 정확하게 위치토록 체결하는 상태를 나타낸 체결 상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인 슬개대퇴 관절염 용도에 한정하는 재활 보조기를 환자 무릎중 슬개골이 상기 슬개골 교정공에 정확하게 위치토록 체결한 상태의 배면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인 슬개대퇴 관절염 용도에 한정하는 재활 보조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 전개 사시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일반적인 무릎 내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으로, 정면에는 슬개골이 있고 사익 슬개골의 상하 양측에는 슬래건과 대퇴사두근인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슬개골의 이면에는 연골이 그 하단에는 반원상 연골이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연골의 이면 상하 양측에는 각각 대퇴골과 경골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슬개골은 무릎 앞에 대퇴골과 경골이 만나는 지점에 있는 작은 뼈로서 슬개골은 무릎을 보호하고 허벅지 앞의 근육을 경골에 이어주는 역할을 하며, 슬개골은 대퇴 원위부의 과간부에 얹혀져 잇으며 무릎을 굽히고 혹은 필 경우에 과간부에서 앞뒤로 움직이게 되며, 대퇴 원위부의 관간부와 슬개골의 밑면은 관절 연골로 덮혀 있어 뼈가 움직이기 용이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슬개골에 이상이 발생하는 원인 즉, 슬개 대퇴 관절염 원인으로는 슬개골 골절과 슬개골 형성이상 두종류가 있는데, 상기 슬개골 골절은 슬개골의 밑면을 보호해주는 관절 연골에 손상이 발생하게 되며 뼈가 붙는다 하더라도 관절 면은 틀어지게 되어 오랜 시간 후에 퇴행성 관절염이 발생할 염려가 있고, 상기 형성이상은 선천적으로 대퇴골 원위부의 과간부에 슬개골이 제대로 맞지 않는 경우 발생하는 것으로 이로 인해 움직일 때 연골에 과도한 스트레스가 가해져 관절연골이 닳아 버리는 경우이다.
이와 같은 슬개 대퇴 관절염 증상은 전방 무릎 통증으로 나타나며, 슬개대퇴 관절은 무릎 앞에 있기 때문에, 이 영역에서 통증이 나타나게 되는 것으로 통증은 휴식이나 활동 중에 발생할 수 있으며 슬개대퇴 관절에 압력을 증가시키는 무릎을 꿇는 행동이나 쪼그려앉기, 계단 오르기 그리고 낮은 의자에서 일어나는 행동 등에서 발생한다.
또한 무릎을 움직이게 될 때 소리가 나는 것을 경험할 수 있으며, 소리는 통증과 함께 나타날 수 있고 다른 사람이 들릴 수 있을 정도로 크게 들리기도 하는데 관절염이 심한 경우 무릎을 신전 시킬 때 걸리는 느낌이 나타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슬개 대퇴 관절염 치료는 일반적인 무릎 관절염의 치료와 유사하며 대부분의 경우 X-선 검사상에서 심하지 않은 경우 비수술적 방법으로 치료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비수술적 방법에 도움을 주는 보조기 도는 재활 보조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구체적인 구성은,
지시부호 10은 본체부를 지시하는 것으로서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10)은 본 발명의 전체 구성을 전개도로 펼친 상태에서 보면 일측에 구비되며 구체적으로는 일측에 슬개골 교정공(100)이 형성되고, 상기 슬개골 교정공(100) 둘레로 체결부(110)가 형성되며, 신축성 및 통기성을 갖는 직물로 형성된 구조이다.
상기 슬개골 교정공(100)에 슬개골을 돌출 형성하고 슬개골의 움직임 또는 뒤틀림을 방지함으로서 상기 설명한 슬개골을 정위치에 유지토록 함으로서 통증 및 기타 치료적인 효과를 도모할 수 있는 것이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슬개골 교정공(100)은 슬개골의 크기와 일체되며 상기 슬개골이 유동되지 아니하도록 상기 슬개골 교정공(100) 외측으로 돌출 형성토록 하는 것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개골 교정공(100)의 인접된 외주부에는 슬개골의 탈구를 방지키 위한 제1 가압부재(101)가 구비되어 있는 것으로서, 상기 제1 가압부재(101)는 완충패드와 같은 구성일 수도 있고 상기 슬개골 교정공(100) 외부로 돌출된 슬개골이 상기 슬개골 교정공(100)으로 부터 벗어나지 아니하도록 상기 슬개골 외주부를 가압 가능하도록 슬개골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슬개골의 이탈을 방지하게 하여 슬개골이 정위치에 유지토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지시부호 20은 연골 보호부를 지시하는 것으로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10)와 가로방향으로 일체로 연장 형성되고, 슬개골 교정공(100) 배면인 대퇴골과 경골 사이에 위치하는 연골의 과도한 스트레스 및 관절 면의 뒤틀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가로방향으로 길게 정위치유지공(200)이 천공된 구조이다.
무릎을 피거나 굽히는 동작시 대퇴골과 경골 사이 또는 대퇴골 전면 및 하단인 경골 상단에 구비된 반월상 연골이 손상을 받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며 이와 같은 연골의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대퇴골과 경골 및 연골이 정궤도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정위치유지공(200)의 인접된 외주부에는 연골의 과도한 스트레스 및 관절 면의 뒤틀림을 방지하기 위한 제2 가압부재(201)가 구비 가능하며, 상기 제2 가압부재(201)은 완충패드와 같은 구성일 수도 있고 상기 연골의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대퇴골과 경골 및 연골이 정궤도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역할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지시부호 30은 슬개골 보호부를 지시하는 것으로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개골 보호부(30)은 상기 연골 보호부(20)와 가로방향으로 일체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슬개골 교정공(100)에 위치한 슬개골을 보호하면서 상기 체결부(110)에 체결되는 구조로서,
상기 슬개골 교정공(100)과 일치하는 상기 슬개골 보호부(30) 중앙면에 염증 및 통증 완화제가 도포가능하며,
또한, 상기 체결부(110)와 이에 체결되는 상기 슬개골 보호부(30)는 각각 벨크로 테이프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서 환자가 자유롭게 착탈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지시부호 40은 밴드부를 지시하는 것으로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밴드부(40)은 상기 슬개골 보호부(30)와 가로방향으로 일체로 연장 형성되고, 상하 양측으로 밴드 형상으로 연장되어 상기 정위치유지공(200) 상하 양측에 체결되는 탄력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 정위치유지공(200)의 상하면과 이에 체결되는 상기 밴드부(40)는 각각 벨크로 테이프로 이루어진 것을 포함하는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우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0)의 중앙에 위치하는 슬개골 교정공(100)을 환자의 슬개골이 돌출되도록 상기 슬개골 교정공(100)을 위치시킨 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정위치유지공(200)을 슬개골이 위치한 배면 즉, 대퇴골과 경골 사이에 위치하도록 환자의 무릎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동시에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개골 보호부(30)을 상기 본체부(10)의 슬개골 교정공(100)을 덮는 방식으로 체결하면서 상기 밴드부(40)를 상기 정위치유지공(200) 상하 양측에 체결함으로서 완성되는 것이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개골 교정공(100)을 무릎 앞쪽에 위치시킨 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정위치유지공(200)을 슬개골이 위치한 배면 즉, 대퇴골과 경골 사이에 위치하도록 환자의 무릎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동시에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개골 보호부(30)을 상기 본체부(10)의 슬개골 교정공(100)을 덮는 방식으로 체결하면서 상기 밴드부(40)를 상기 정위치유지공(200) 상하 양측에 체결하는 것으로서,
상기와 같이 구성 및 작용하는 본 발명은 슬개골을 정확한 위치 즉, 대퇴부 원위부의 과간부에 위치토록하여 슬개골의 탈구의 예방이나 교정을 가능하도록 신체조건에 맞춘 인체역학적 구조와 피부 밀착 구조를 통해 착용의 용이성을 향상하고 교정 및 재활치료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적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상기 기재된 내용으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의 기술적 사상은 아래에 기재되는 청구범위에 의해 파악되어야 하되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에 속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 : 본체부 20 : 연골 보호부
30 : 슬개골 보호부 40 : 밴드부
100 : 슬개골 교정공 101 : 제1 가압부재
110 : 체결부 200 : 정위치유지공
201 : 제2 가압부재

Claims (7)

  1. 일측에 슬개골 교정공(100)이 형성되고, 상기 슬개골 교정공(100) 둘레로 체결부(110)가 형성되며, 신축성 및 통기성을 갖는 직물로 형성된 본체부(10);
    상기 본체부(10)와 가로방향으로 일체로 연장 형성되고, 슬개골 교정공(100) 배면인 대퇴골과 경골 사이에 위치하는 연골의 과도한 스트레스 및 관절 면의 뒤틀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가로방향으로 길게 정위치유지공(200)이 천공된 연골 보호부(20);
    상기 연골 보호부(20)와 가로방향으로 일체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슬개골 교정공(100)에 위치한 슬개골을 보호하면서 상기 체결부(110)에 체결되는 슬개골 보호부(30);
    상기 슬개골 보호부(30)와 가로방향으로 일체로 연장 형성되고, 상하 양측으로 밴드 형상으로 연장되어 상기 정위치유지공(200) 상하 양측에 체결되는 탄력성을 갖는 밴드부(40);
    를 포함하는 슬개대퇴 관절염 용도에 한정하는 재활 보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개골 교정공(100)은 슬개골의 크기와 일체되며 상기 슬개골이 유동되지 아니하도록 상기 슬개골 교정공(100) 외측으로 돌출 형성토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슬개대퇴 관절염 용도에 한정하는 재활 보조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개골 교정공(100)과 일치하는 상기 슬개골 보호부(30) 중앙면에 염증 및 통증 완화제가 도포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는 슬개대퇴 관절염 용도에 한정하는 재활 보조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110)와 이에 체결되는 상기 슬개골 보호부(30)는 각각 벨크로 테이프로 이루어진 것을 포함하는 슬개대퇴 관절염 용도에 한정하는 재활 보조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위치유지공(200)의 상하면과 이에 체결되는 상기 밴드부(40)는 각각 벨크로 테이프로 이루어진 것을 포함하는 슬개대퇴 관절염 용도에 한정하는 재활 보조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개골 교정공(100)의 인접된 외주부에는 슬개골의 탈구를 방지키 위한 제1 가압부재(101)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는 슬개대퇴 관절염 용도에 한정하는 재활 보조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위치유지공(200)의 인접된 외주부에는 연골의 과도한 스트레스 및 관절 면의 뒤틀림을 방지하기 위한 제2 가압부재(201)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는 슬개대퇴 관절염 용도에 한정하는 재활 보조기.



KR1020210162347A 2021-11-23 2021-11-23 슬개대퇴 관절염 용도에 한정하는 재활 보조기 KR1023830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2347A KR102383019B1 (ko) 2021-11-23 2021-11-23 슬개대퇴 관절염 용도에 한정하는 재활 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2347A KR102383019B1 (ko) 2021-11-23 2021-11-23 슬개대퇴 관절염 용도에 한정하는 재활 보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3019B1 true KR102383019B1 (ko) 2022-04-08

Family

ID=81182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2347A KR102383019B1 (ko) 2021-11-23 2021-11-23 슬개대퇴 관절염 용도에 한정하는 재활 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3019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40334B2 (ko) * 1985-11-20 1990-09-11 Nakamura Bureisu Kk
KR20030001999A (ko) 2001-06-28 2003-01-08 김관기 무릎보호대
KR200318299Y1 (ko) * 2003-04-14 2003-06-28 황옥순 관절덮개가 구비된 관절 보호용 밴드
KR200415120Y1 (ko) * 2006-02-09 2006-04-27 류승준 퇴행성 관절염 환자용 3점 압박식 내측무릎 인장밴드
KR20070080938A (ko) 2006-02-09 2007-08-14 류승준 퇴행성 관절염 환자용 3점 압박식 내측무릎 인장밴드
KR20130101847A (ko) 2012-03-06 2013-09-16 (주)세일코리아마케팅 무릎보호대
KR20140056921A (ko) 2012-11-02 2014-05-12 조문국 무릎반월판보호대
KR102011203B1 (ko) * 2017-11-06 2019-08-14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슬개골 안정화용 무릎보호대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40334B2 (ko) * 1985-11-20 1990-09-11 Nakamura Bureisu Kk
KR20030001999A (ko) 2001-06-28 2003-01-08 김관기 무릎보호대
KR200318299Y1 (ko) * 2003-04-14 2003-06-28 황옥순 관절덮개가 구비된 관절 보호용 밴드
KR200415120Y1 (ko) * 2006-02-09 2006-04-27 류승준 퇴행성 관절염 환자용 3점 압박식 내측무릎 인장밴드
KR20070080938A (ko) 2006-02-09 2007-08-14 류승준 퇴행성 관절염 환자용 3점 압박식 내측무릎 인장밴드
KR20130101847A (ko) 2012-03-06 2013-09-16 (주)세일코리아마케팅 무릎보호대
KR20140056921A (ko) 2012-11-02 2014-05-12 조문국 무릎반월판보호대
KR102011203B1 (ko) * 2017-11-06 2019-08-14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슬개골 안정화용 무릎보호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58527B2 (en) Orthotic device and segmented liner
US20100106065A1 (en) Orthotic Assembly for Selectively off-Loading a Weight-Bearing Joint
KR101626907B1 (ko) 무릎관절 보조기구
KR101672860B1 (ko) 척추 및 무릎과 발목관절의 정형과 보행을 위한 보조기구
US5092320A (en) Knee brace with magnetic securing means
EP0010389B1 (en) Dynamic patellar brace
KR102383019B1 (ko) 슬개대퇴 관절염 용도에 한정하는 재활 보조기
KR20190051232A (ko) 슬개골 안정화용 무릎보호대
SHIFRIN et al. Elbow Hemiarthroplasty With 20-Year Follow-Up Study: A Case Report and Literature Review.
US9480592B2 (en) Topical proprioceptive ACL tube and methods of use
KR200279900Y1 (ko) 퇴행성 무릎관절염 환자용 슬관절 보호대
CN110192944A (zh) 一种足踝关节韧带保护具
Helfet et al. The helicoid knee brace: a lightweight but effective support for the damaged knee
Walsh Custom removable immediate postoperative prosthesis
Friedberg Patient education: Anterior cruciate ligament injury (Beyond the Basics)
Heijnen et al. Orthotic Principles and Practice, and Shoe Adaptations
Chronister et al. The Chronister Protocol: Early Experience With Immediate Immobilization in Flexion and Rapid Return to Play After Acute Lateral Patellar Dislocation
Karlsson et al. Separate centre of ossification of the lateral malleolus with instability of the ankle joint
Abakka et al. Neglected Posterior Dislocation of the Proximal Interphalangeal Joint of the 5th Finger by Incarceration of the Volar Plate: About A Case
Comminuted Free Communications, Poster Presentations: Lower Extremity Cases
JPS6038982Y2 (ja) 短下肢型o,x脚矯正装具
Alqarni Case study of patient after Total Knee Replacement on left side
Paul Spinal problems in myelomeningocele-orthotic principles
Angin et al. Dokuz Eylül University (DEU) orthosis: an orthotic method of preventing ankle equinus during tibial lengthening
Jacobson et al. AN ORTHOSIS FOR A PATIENT WITH A FAILED TOTAL HIP-PROSTHESI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