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2165B1 - 공조기용 팬 벨트 분리 공구 - Google Patents

공조기용 팬 벨트 분리 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2165B1
KR102382165B1 KR1020200176266A KR20200176266A KR102382165B1 KR 102382165 B1 KR102382165 B1 KR 102382165B1 KR 1020200176266 A KR1020200176266 A KR 1020200176266A KR 20200176266 A KR20200176266 A KR 20200176266A KR 102382165 B1 KR102382165 B1 KR 1023821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tool
groove
arc
pull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62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성
김민관
Original Assignee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762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21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21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21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7/00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B27/02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nnecting objects by press fit or detaching sam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Conveying Motion By Means Of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조기용 팬 벨트 분리 공구에 관한 것으로, 풀리의 외경에 브이 벨트의 분리 또는 설치시에 결합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원호 형태로 형성되는 팬 벨트 분리 공구에 있어서, 상기 팬 벨트 분리 공구는, 원호를 형성한 원호부의 양측단에 직각으로 형성되는 결합유도 단면부가 형성되는 공구 몸체와, 상기 원호부의 상단 좌측과 하단 우측에 각각 사선형태로 형성되는 벨트 유도측벽부와, 상기 공구 몸체의 원호부에 브이 벨트들의 이동 경로를 변경할 수 있도록 벨트 유도측벽부사이에 일정 각도를 두고 사선형태로 다수 형성되는 벨트홈 변경 유도 홈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브이벨트 홈이 다수개 형성된 풀리에서 브이벨트를 분리하거나 설치할 때 팬 벨트 분리 공구의 벨트홈 변경 유도홈부를 지나도록 하는 것만으로 풀리에 대한 브이벨트의 탈장착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공조기용 팬 벨트 분리 공구{HVAC Fan Belt remove tool}
본 발명은 공조기용 팬 벨트 분리 공구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브이벨트 홈이 다수개 형성된 풀리에서 브이벨트를 분리하거나 설치할 때 팬 벨트 분리 공구의 벨트홈 변경 유도홈부를 지나도록 하는 것만으로 풀리에 대한 브이벨트의 탈 장착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공조기용 팬 벨트 분리 공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팬 벨트 분리 공구"는, 이미 널리 개시된 사항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등록실용신안 제20-0216950호 “브이벨트 설치용 공구”와, 공개실용신안 제20-1996-030674호 “V벨트 착탈구”등을 참고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브이벨트 설치용 공구”는, 각 산업체나 발전소에 설치되어 있는 팬, 공기압축기, 에어콘등에서 벨트전동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는 브이벨트(V-Belt)를 풀리로 부터 착탈시킬수 있도록 한 것이지만, 브이벨트가 여러개 걸려있는 경우 분리하거나 거는 작업을 수회 반복적으로 해야하는 번거로움과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V벨트 착탈구”는, V벨트 풀리간을 연결하여 동력을 전달하는 V벨트를 V벨트 풀리에서 이탈시키거나 걸기 편리하도록 결착돌기와 경사면을 두고 있지만 풀리에 V벨트 홈이 하나인 경우 V벨트가 미끄러져 이탈되도록 하는 가능하지만 반면에 V벨트 홈이 다수개인 경우에는 V벨트를 분리하거나 거는 작업을 할 수 없거나 V벨트 홈 개수만큼 같은 작업을 수회 반복해야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즉, 원자력발전소에서 공기조화설비에 설치된 중소형 전동기의 분해점검을 수행할 시에 팬 커버를 취외한 후 팬의 구동력인 모터 풀리에 연결된 벨트를 취외 하게 되는데, 이때 취외 도구로 사용되는 드라이버를 풀리에 닿는 부분에 끼워 벨트를 돌리며 지렛대방법을 이용하여 하나씩 빼내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한 드라이버를 이용한 작업시에 벨트를 잡고 회전시키며 다수의 벨트를 분리하고 또 전동기 분해점검을 마치고 조립된 풀리에 다수개의 벨트를 끼울 때에도 동일한 방법으로 작업을 하는데, 이때, 벨트를 하나씩 끼워 풀리를 회전시키며 벨트를 걸기 위해 돌릴 때 부주의시 전동기의 회전력에 의해서 손가락이 끼이게 되어 손가락 골절 상해를 입는 안전사고를 격게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벨트를 걸거나 분리할 때 현장에서 쉽게 사용되는 드라이버의 날카로운 금속부분에 의하여 풀리의 벨트 접촉면을 손상시키거나 풀리의 산을 손상시켜 파손시키게 되는 경우에는, 벨트는 회전시 벨트의 마모를 촉진시켜 수명을 단축시키고 이로인해 전동기에 진동 유발 원인을 제공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0001] 등록실용신안 제20-0216950호 "브이벨트 설치용 공구" (공고 2001.06.01.) [특허문헌 0002] 공개실용신안 제20-1996-030674호 "V벨트 착탈구" (공개 1996.10.22.)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풀리에 팬 벨트 분리 공구를 벨트 분리방향으로 설치한 후 벨트들이 팬 벨트 분리 공구의 벨트홈 변경 유도 홈부를 지나도록 하면, 벨트들 중 최외측 벨트홈 변경 유도 홈부를 지나는 벨트부터 하나씩 벨트들이 풀리에서 분리되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풀리에 팬 벨트 분리 공구를 벨트 거는방향으로 설치한 후 하면 벨트들이 팬 벨트 분리 공구의 벨트홈 변경 유도 홈부를 지나도록 하면, 벨트들 중 최내측 벨트홈 변경 유도 홈부를 지나는 벨트부터 하나씩 벨트들이 풀리에 하나씩 거치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풀리에 걸려 있는 브이 벨트를 돌려서 팬 벨트 분리 공구의 벨트홈 변경 유도 홈부의 공구측 벨트홈과 풀리의 풀리측 벨트홈들을 브이 벨트가 교대로 타고 넘도록 함으로써, 브이 벨트들이 풀리에서 간단히 분리되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2개에서 최대 8개까지 형성된 풀리의 풀리측 벨트홈에 결합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벨트홈 변경 유도 홈부의 공구측 벨트 홈 1개 단위로 공구 몸체를 분할시켜 형성함으로써, 브이 벨트 개수에 따라 가변적으로 분해 결합 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2개에서 최대 8개까지 조립하여 형성할 수 있도록 팬 벨트 분리 공구의 공구 몸체를 분리 결합이 가능한 구조로 형성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공구 몸체를 분리 결합 구조에서 분리면에 암수 결합돌기를 형성하여 분리 또는 결합이 견고하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팬 벨트 분리 공구의 공구측 벨트홈의 후면에 풀리의 플리측 산(山부에 삽입되어 안착될 수 있도록 후면 돌출부분마다 일정 길이를 한 사선 형태의 거치홈들이 형성되어 팬 벨트 분리 공구의 설치가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드라이버나 다른 보조 공구에 의한 풀리와 브이 벨트 사이에 집어 넣어 사용하는 것을 지양함으로써, 풀리의 산부에 흠집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팬 벨트 분리 공구 사용으로 브이 벨트를 쉽고 깔끔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브이 벨트의 마모와 진동이 줄일 수 있도록 하여 정비 품질이 향상되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팬 벨트 분리공구를 사용함으로써, 풀리에 설치된 브이 벨트의 분리 중 작업자의 상해를 방지 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풀리의 산부 개수보다 1개 부족한 공구측 벨트홈이 구비하도록 공구 몸체를 결합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브이 벨트의 분리 작업이 간편하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브이 벨트를 분리하는 작업뿐 아니라 설치 작업 시에도 팬 벨트 분리공구에 형성된 벨트 분리시 삽입면과 벨트 설치시 삽입면의 풀리에 대한 결합 방향만 바꾸어 주면 되기 때문에 브이 벨트의 분리 및 설치 관련 작업에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풀리의 외경에 브이 벨트의 분리 또는 설치시에 결합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원호 형태로 형성되는 팬 벨트 분리 공구에 있어서, 상기 팬 벨트 분리 공구는, 원호를 형성한 원호부의 양측단에 직각으로 형성되는 결합유도 단면부가 형성되는 공구 몸체와, 상기 원호부의 상단 좌측과 하단 우측에 각각 사선형태로 형성되는 벨트 유도측벽부와, 상기 공구 몸체의 원호부에 브이 벨트들의 이동 경로를 변경할 수 있도록 벨트 유도측벽부사이에 일정 각도를 두고 사선형태로 다수 형성되는 벨트홈 변경 유도 홈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구 몸체는, 풀리의 외경으로 원호가 형성되는 원호부와, 상기 원호부의 양측단에 직각으로 형성되는 결합유도 단면부와, 상기 원호부와 결합유도 단면부 사이에 해당하는 양측면에 풀리의 양측면을 커버할 수 있도록 돌출 형성되는 측면 커버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벨트 유도측벽부는, 원호부의 상단 좌측에 벨트홈 변경 유도 홈부상의 브이 벨트가 공구측 벨트 홈에서 분리되도록 사선형태로 형성되는 상단 홈 무 형성면과, 원호부의 하단 우측에 벨트홈 변경 유도 홈부 상의 브이 벨트를 풀리측 벨트홈 진입을 유도할 수 있도록 사선형태로 형성되는 하단 홈 무 형성면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벨트홈 변경 유도 홈부는, 공구 몸체의 원호부에 브이 벨트들이 공구측 벨트 홈에서 변경 방향측에 형성된 벨트 홈으로 경로를 변경할 수 있도록 일정 각도로 경사져서 사선 형태로 형성되되, 벨트홈 변경 유도 홈부의 공구측 벨트 홈들이 형성된 후면에 풀리의 플리측 산(山)부에 삽입되어 안착될 수 있도록 돌출부분마다 일정 길이를 한 사선 형태의 거치홈들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측면 커버판에는, 풀리의 양측면에 원형으로 형성된 중심공간부에 삽입되어 걸리도록 내측에 돌출된 호형 걸림턱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구 몸체에는, 분해 결합이 벨트홈 변경 유도 홈부의 공구측 벨트 홈 1개 단위로 분할되어 형성되고, 상기 공구측 벨트 홈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 중 어느 면에 형성되는 분할 분리면마다 공구측 벨트 홈들의 결합 수량을 가감할 수 있도록 돌출되는 암수 결합돌기들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공조기용 팬 벨트 분리공구에 의하면, 풀리에 팬 벨트 분리 공구를 벨트 분리방향으로 설치한 후 벨트들이 팬 벨트 분리 공구의 벨트홈 변경 유도 홈부를 지나도록 하면, 벨트들 중 최외측 벨트홈 변경 유도 홈부를 지나는 벨트부터 하나씩 벨트들이 풀리에서 분리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풀리에 팬 벨트 분리 공구를 벨트 거는방향으로 설치한 후 하면 벨트들이 팬 벨트 분리 공구의 벨트홈 변경 유도 홈부를 지나도록 하면, 벨트들 중 최내측 벨트홈 변경 유도 홈부를 지나는 벨트부터 하나씩 벨트들이 풀리에 하나씩 거치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풀리에 걸려 있는 브이 벨트를 돌려서 팬 벨트 분리 공구의 벨트홈 변경 유도 홈부의 공구측 벨트홈과 풀리의 풀리측 벨트홈들을 브이 벨트가 교대로 타고 넘도록 함으로써, 브이 벨트들이 풀리에서 간단히 분리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2개에서 최대 8개까지 형성된 풀리의 풀리측 벨트홈에 결합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벨트홈 변경 유도 홈부의 공구측 벨트 홈 1개 단위로 공구 몸체를 분할시켜 형성함으로써, 브이 벨트 개수에 따라 가변적으로 분해 결합 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2개에서 최대 8개까지 조립하여 형성할 수 있도록 팬 벨트 분리 공구의 공구 몸체를 분리 결합이 가능한 구조로 형성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공구 몸체를 분리 결합 구조에서 분리면에 암수 결합돌기를 형성하여 분리 또는 결합이 견고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팬 벨트 분리 공구의 공구측 벨트홈의 후면에 풀리의 플리측 산(山부에 삽입되어 안착될 수 있도록 후면 돌출부분마다 일정 길이를 한 사선 형태의 거치홈들이 형성되어 팬 벨트 분리 공구의 설치가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드라이버나 다른 보조 공구에 의한 풀리와 브이 벨트 사이에 집어 넣어 사용하는 것을 지양함으로써, 풀리의 산부에 흠집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팬 벨트 분리 공구 사용으로 브이 벨트를 쉽고 깔끔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브이 벨트의 마모와 진동이 줄일 수 있도록 하여 정비 품질이 향상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팬 벨트 분리공구를 사용함으로써, 풀리에 설치된 브이 벨트의 분리 중 작업자의 상해를 방지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풀리의 산부 개수보다 1개 부족한 공구측 벨트홈이 구비하도록 공구 몸체를 결합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브이 벨트의 분리 작업이 간편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브이 벨트를 분리하는 작업뿐 아니라 설치 작업 시에도 팬 벨트 분리공구에 형성된 벨트 분리시 삽입면과 벨트 설치시 삽입면의 풀리에 대한 결합 방향만 바꾸어 주면 되기 때문에 브이 벨트의 분리 및 설치 관련 작업에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조기용 팬 벨트 분리 공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낸 팬 벨트 분리 공구와 풀리 간의 결합 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에 나타낸 팬 벨트 분리 공구와 풀리 간의 다른 위치에서 결합 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1에 나타낸 팬 벨트 분리 공구의 설치 방향 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1에 나타낸 팬 벨트 분리 공구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 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 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조기용 팬 벨트 분리공구(2)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풀리(4)의 외경에 브이 벨트(32)의 분리 또는 설치시에 결합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원호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팬 벨트 분리 공구(2)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호를 형성한 원호부(6)의 양측단에 직각으로 형성되는 결합유도 단면부(8)가 형성되는 공구 몸체(10)와, 상기 원호부(6)의 상단 좌측과 하단 우측에 각각 사선형태로 형성되는 벨트 유도측벽부(20)와, 상기 공구 몸체(10)의 원호부(6)에 브이 벨트(32)들의 이동 경로를 변경할 수 있도록 벨트 유도측벽부(20)사이에 일정 각도를 두고 사선형태로 다수 형성되는 벨트홈 변경 유도 홈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공구 몸체(10)는, 풀리(4)의 외경으로 원호가 형성되는 원호부(6)와, 상기 원호부(6)의 양측단에 직각으로 형성되는 결합유도 단면부(8)와, 상기 원호부(6)와 결합유도 단면부(8) 사이에 해당하는 양측면에 풀리(4)의 양측면을 커버할 수 있도록 돌출 형성되는 측면 커버판(1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벨트 유도측벽부(2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호부(6)의 상단 좌측에 벨트홈 변경 유도 홈부(30)상의 브이 벨트(32)가 공구측 벨트 홈(36)에서 분리되도록 사선형태로 형성되는 상단 홈 무 형성면(20a)과, 원호부(6)의 하단 우측에 벨트홈 변경 유도 홈부(30) 상의 브이 벨트(32)를 풀리측 벨트홈(4a) 진입을 유도할 수 있도록 사선형태로 형성되는 하단 홈 무 형성면(20b)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벨트홈 변경 유도 홈부(3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구 몸체(10)의 원호부(6)에 브이 벨트(32)들이 공구측 벨트 홈(36)에서 변경 방향측에 형성된 벨트 홈(36)으로 경로를 변경할 수 있도록 일정 각도로 경사져서 사선 형태로 형성되되, 벨트홈 변경 유도 홈부(30)의 공구측 벨트 홈(36)들이 형성된 후면에 풀리(4)의 플리측 산(山:4b)부에 삽입되어 안착될 수 있도록 돌출부분마다 일정 길이를 한 사선 형태의 거치홈(34)들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측면 커버판(12)에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풀리(4)의 양측면에 원형으로 형성된 중심공간부(14)에 삽입되어 걸리도록 내측에 돌출된 호형 걸림턱(12a)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공구 몸체(10)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해 결합이 벨트홈 변경 유도 홈부(30)의 공구측 벨트 홈(36) 1개 단위로 분할되어 형성되고, 상기 공구측 벨트 홈(36)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 중 어느 면에 형성되는 분할 분리면(14)마다 공구측 벨트 홈(36)들의 결합 수량을 가감할 수 있도록 돌출되는 암수 결합돌기(16)들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사용 예를 도면을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공기조화설비 중소형 전공기의 분해점검 수행 시 팬 커버 취외를 하고 전동기 측 풀리(50a)와 팬 측 풀리(50b)를 연결하는 벨트를 먼저 분리해야 한다.
이때 팬 벨트 분리 공구(2)를 기존 풀리(50) 풀리측 산부(54)에 끼우고 분리 고정 바(도시하지 않음)를 기존 풀리(50)에 고정하면 브이 벨트(32)를 분리할 준비가 완료된다.
이러한 팬 벨트 분리 공구(2)는, 풀리(50)의 풀리측 벨트홈(52)을 용이하게 넘어갈 수 있도록 벨트홈 변경 유도 홈부(30)의 공구측 벨트 홈(36)들이 넘어가는 방향측으로 일정 각도로 비스듬하게 형성되어 있어서 브이 벨트(32)의 회전시 용이하게 다음 공구측 벨트 홈(36)으로 넘어가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팬 벨트 분리 공구(2)의 공구측 벨트 홈(36)을 브이 벨트(32)들이 옮겨 탈수 있도록 완만한 속도로 풀리(50)와 브이 벨트(32)들을 회전시킨다. 이때, 팬 벨트 분리 공구(2)에 형성된 벨트홈 변경 유도 홈부(30)로 브이 벨브(32)가 쉽게 옮겨갈 수 있도록 분리 고정바 등의 도구를 이용하여 브이 벨트(32)의 진행 방향을 살짝 틀어준다.
이에 따라 브이 벨트(32)는, 회전하면서 분리시키고자 하는 방향으로 유도되면서 벨트홈 변경 유도 홈부(30)의 공구측 벨트 홈(36)내로 진입하게 된다. 상기한 과정을 반복하게 되면, 브이 벨트(32)들은 회전하면서 상단 홈 무 형성면(20a)측에 형성된 공구측 벨브 홈(36)들을 타고 유도되는 브이 벨트(32)부터 풀리(50)에서 하나씩 하나씩 분리된다. 즉, 브이 벨트(32)가 여러개인 경우 브이 벨트(32)들을 계속 회전시키면 하나씩 공구측 밸브 홈(36)들을 타게되면서 풀리(50)에서 분리 된다.
상기한 팬 벨트 분리 공구(2)를 이용하여 풀리(50)에 설치된 브이 벨트(32)를 간편하게 분리함으로써, 작업자의 손가락 끼임 같은 안전사고가 방지되고, 풀리(50)의 풀리측 벨트홈(52)에 스크레치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풀리(50)에서 풀리측 벨트홈(52)에 대한 스크레치 없이 브이 벨트(32)의 분리가 가능함에 따라 전동기의 진동이 감소된다.
한편, 풀리(50)에 브이 벨브(21)를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팬 벨트 분리 공구(2)를 풀리(50)에 결합시킬 때 벨트 설치시 삽입면(8b)을 전방에 두고 풀리(50)에 결합시키면 된다. 이는 벨트홈 변경 유도 홈부(30)의 공구측 벨트 홈(36)들이 풀리(50)의 풀리측 산부(54)를 타고 넘어 브이 벨트(32)들이 설치되도록 한다. 브이 벨트(32)가 여러개 인 경우 상기작업을 반복하면 된다. 즉, 전동기 분해 정비 후 풀리(50)에 브이 벨트(32)를 끼울 때에도 팬 벨트 분리 공구(2)의 방향을 바꾸어 고정하고 하나씩 브이 벨트(32)를 끼워가면 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공조기용 팬 벨트 분리 공구의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2: 팬 벨트 분리 공구
6: 원호부 8: 결합유도 단면부
8a: 벨트 분리시 삽입면 8b: 벨트 설치시 삽입면
10: 공구 몸체 12: 측면 커버판
12a: 호형 걸림턱 14: 중심 공간부
15: 분리면 16: 암수 결합돌기
20: 벨트 유도측벽부 20a: 상단 홈 무 형성면
20b: 하단 홈 무 형성면 30: 벨트홈 변경 유도 홈부
32: 브이 벨트 34: 거치홈
36: 공구측 벨트 홈 50: 풀리
50a: 전동기측 풀리 50b: 팬측 풀리
52: 풀리측 벨트홈 54:풀리측 산(山)부

Claims (6)

  1. 삭제
  2. 풀리(4)의 외경에 브이 벨트(32)의 분리 또는 설치시에 결합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원호 형태로 형성되는 팬 벨트 분리 공구(2)에 있어서,
    상기 팬 벨트 분리 공구(2)는,
    원호를 형성한 원호부(6)의 양측단에 직각으로 형성되는 결합유도 단면부(8)가 형성되는 공구 몸체(10)와,
    상기 원호부(6)의 상단 좌측과 하단 우측에 각각 사선형태로 형성되는 벨트 유도측벽부(20)와,
    상기 공구 몸체(10)의 원호부(6)에 브이 벨트(32)들의 이동 경로를 변경할 수 있도록 벨트 유도측벽부(20)사이에 일정 각도를 두고 사선형태로 다수 형성되는 벨트홈 변경 유도 홈부(30)를 포함하되,
    상기 공구 몸체(10)는,
    풀리(4)의 외경으로 원호가 형성되는 원호부(6)와,
    상기 원호부(6)의 양측단에 직각으로 형성되는 결합유도 단면부(8)와,
    상기 원호부(6)와 결합유도 단면부(8) 사이에 해당하는 양측면에 풀리(4)의 양측면을 커버할 수 있도록 돌출 형성되는 측면 커버판(12)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기용 팬 벨트 분리 공구.
  3. 풀리(4)의 외경에 브이 벨트(32)의 분리 또는 설치시에 결합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원호 형태로 형성되는 팬 벨트 분리 공구(2)에 있어서,
    상기 팬 벨트 분리 공구(2)는,
    원호를 형성한 원호부(6)의 양측단에 직각으로 형성되는 결합유도 단면부(8)가 형성되는 공구 몸체(10)와,
    상기 원호부(6)의 상단 좌측과 하단 우측에 각각 사선형태로 형성되는 벨트 유도측벽부(20)와,
    상기 공구 몸체(10)의 원호부(6)에 브이 벨트(32)들의 이동 경로를 변경할 수 있도록 벨트 유도측벽부(20)사이에 일정 각도를 두고 사선형태로 다수 형성되는 벨트홈 변경 유도 홈부(30)를 포함하되,
    상기 벨트 유도측벽부(20)는,
    원호부(6)의 상단 좌측에 벨트홈 변경 유도 홈부(30)상의 브이 벨트(32)가 공구측 벨트 홈(36)에서 분리되도록 사선형태로 형성되는 상단 홈 무 형성면(20a)과,
    원호부(6)의 하단 우측에 벨트홈 변경 유도 홈부(30) 상의 브이 벨트(32)를 풀리측 벨트홈(4a) 진입을 유도할 수 있도록 사선형태로 형성되는 하단 홈 무 형성면(20b)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기용 팬 벨트 분리 공구.
  4. 풀리(4)의 외경에 브이 벨트(32)의 분리 또는 설치시에 결합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원호 형태로 형성되는 팬 벨트 분리 공구(2)에 있어서,
    상기 팬 벨트 분리 공구(2)는,
    원호를 형성한 원호부(6)의 양측단에 직각으로 형성되는 결합유도 단면부(8)가 형성되는 공구 몸체(10)와,
    상기 원호부(6)의 상단 좌측과 하단 우측에 각각 사선형태로 형성되는 벨트 유도측벽부(20)와,
    상기 공구 몸체(10)의 원호부(6)에 브이 벨트(32)들의 이동 경로를 변경할 수 있도록 벨트 유도측벽부(20)사이에 일정 각도를 두고 사선형태로 다수 형성되는 벨트홈 변경 유도 홈부(30)를 포함하되,
    상기 벨트홈 변경 유도 홈부(30)는,
    공구 몸체(10)의 원호부(6)에 브이 벨트(32)들이 공구측 벨트 홈(36)에서 변경 방향측에 형성된 벨트 홈(36)으로 경로를 변경할 수 있도록 일정 각도로 경사져서 사선 형태로 형성되되,
    벨트홈 변경 유도 홈부(30)의 공구측 벨트 홈(36)들이 형성된 후면에 풀리(4)의 플리측 산(山: 4b)부에 삽입되어 안착될 수 있도록 돌출부분마다 일정 길이를 한 사선 형태의 거치홈(34)들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기용 팬 벨트 분리공구.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커버판(12)에는,
    풀리(4)의 양측면에 원형으로 형성된 중심공간부(14)에 삽입되어 걸리도록 내측에 돌출된 호형 걸림턱(12a)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기용 팬 벨트 분리공구.
  6. 풀리(4)의 외경에 브이 벨트(32)의 분리 또는 설치시에 결합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원호 형태로 형성되는 팬 벨트 분리 공구(2)에 있어서,
    상기 팬 벨트 분리 공구(2)는,
    원호를 형성한 원호부(6)의 양측단에 직각으로 형성되는 결합유도 단면부(8)가 형성되는 공구 몸체(10)와,
    상기 원호부(6)의 상단 좌측과 하단 우측에 각각 사선형태로 형성되는 벨트 유도측벽부(20)와,
    상기 공구 몸체(10)의 원호부(6)에 브이 벨트(32)들의 이동 경로를 변경할 수 있도록 벨트 유도측벽부(20)사이에 일정 각도를 두고 사선형태로 다수 형성되는 벨트홈 변경 유도 홈부(30)를 포함하되,
    상기 공구 몸체(10)에는,
    분해 결합이 벨트홈 변경 유도 홈부(30)의 공구측 벨트 홈(36) 1개 단위로 분할되어 형성되고,
    상기 공구측 벨트 홈(36)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 중 어느 면에 형성되는 분할 분리면(14)마다 공구측 벨트 홈(36)들의 결합 수량을 가감할 수 있도록 돌출되는 암수 결합돌기(16)들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기용 팬 벨트 분리공구.
KR1020200176266A 2020-12-16 2020-12-16 공조기용 팬 벨트 분리 공구 KR1023821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6266A KR102382165B1 (ko) 2020-12-16 2020-12-16 공조기용 팬 벨트 분리 공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6266A KR102382165B1 (ko) 2020-12-16 2020-12-16 공조기용 팬 벨트 분리 공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2165B1 true KR102382165B1 (ko) 2022-04-01

Family

ID=81183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6266A KR102382165B1 (ko) 2020-12-16 2020-12-16 공조기용 팬 벨트 분리 공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216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0674U (ko) 1995-03-06 1996-10-22 김기태 V벨트 착탈구
KR200216950Y1 (ko) 1997-12-26 2001-06-01 김형국 브이벨트 설치용 공구
KR200438838Y1 (ko) * 2006-10-19 2008-03-06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브이벨트 설치 및 해체공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0674U (ko) 1995-03-06 1996-10-22 김기태 V벨트 착탈구
KR200216950Y1 (ko) 1997-12-26 2001-06-01 김형국 브이벨트 설치용 공구
KR200438838Y1 (ko) * 2006-10-19 2008-03-06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브이벨트 설치 및 해체공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141730A1 (en) Cut-off saw
US20050241157A1 (en) String trimmer head
JP6622083B2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US8684871B2 (en) Belt positioner
WO2018014135A1 (en) Plant stem separating apparatus
KR102382165B1 (ko) 공조기용 팬 벨트 분리 공구
US9404560B2 (en) Stretch belt removal and installation tool
KR100788406B1 (ko) 와이어 트위스터
WO2012127802A1 (ja) ベルト取外具
KR102184461B1 (ko) 브이벨트용 안전분리공구
CN109715329B (zh) 切断工具
JP3911480B2 (ja) ベルト取外し具
US5264999A (en) Light screen
JP5475576B2 (ja) ベルトカバー及びこのベルトカバーを用いたベルト取付方法
CN105522465A (zh) 电动力全牙螺杆一根多段同时切断並端头处理机
CN211343901U (zh) 发动机皮带装配装置
CN214274381U (zh) 手术机器人主手轴连杆及手术机器人主手轴
CN211343902U (zh) 一种发动机皮带装配工装
US4051741A (en) Drive belt with connector
KR0114193Y1 (ko) V벨트 착탈구
KR200438838Y1 (ko) 브이벨트 설치 및 해체공구
RU2250399C2 (ru) Инструмент для установки ремня на шкиве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CN215606245U (zh) 手术机器人主手轴用主动轮隔板、主手轴及手术机器人
CN215606247U (zh) 手术机器人主手轴用隔离板、主手轴及手术机器人
CN212705874U (zh) 除毛刺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