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1242B1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1242B1
KR102381242B1 KR1020160004340A KR20160004340A KR102381242B1 KR 102381242 B1 KR102381242 B1 KR 102381242B1 KR 1020160004340 A KR1020160004340 A KR 1020160004340A KR 20160004340 A KR20160004340 A KR 20160004340A KR 102381242 B1 KR102381242 B1 KR 1023812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try
cold air
cover
duct structure
air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43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84916A (ko
Inventor
정용락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043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1242B1/ko
Priority to EP17151208.0A priority patent/EP3193109B1/en
Priority to US15/405,539 priority patent/US10203146B2/en
Publication of KR201700849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49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12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12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62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in household refrigerators
    • F25D17/065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in household refrigerators with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67Evaporator fan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9/00Evaporators; Conden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25D11/02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with cooling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8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using du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14Collecting or removing condensed and defrost water; Drip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4Slidable shelves
    • F25D25/025Dra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9/00Evaporators; Condensers
    • F25B39/02Evapo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7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air ducts
    • F25D2317/0672Outlet du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8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ans
    • F25D2317/0682Two or more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02Details for cooling refrigerating machinery
    • F25D2323/0028Details for cooling refrigerating machinery characterised by the fans
    • F25D2323/00281Two or more f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Abstract

본 발명은 식품 저장실에 배치되는 팬트리의 내부 온도는 식품 저장실의 평균 온도보다 낮은 온도로 유지할 수 있는 구조의 냉장고를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식품 저장실에 배치되는 팬트리; 적어도 일부가 상기 식품 저장실의 뒤에 설치되는 증발기를 가리도록 형성되며, 상기 증발기를 마주보는 위치에 관통홀을 구비하는 커버; 상기 커버의 전면에 결합되어 상기 관통홀을 덮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팬트리를 향해 돌출된 냉기 토출구를 구비하는 덕트 구조물; 및 상기 덕트 구조물의 내측에 결합되며, 상기 증발기와의 열교환에 의해 형성된 냉기를 상기 덕트 구조물의 냉기 토출구를 통해 상기 팬트리로 공급하도록 이루어지는 팬트리 팬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증발기에서 형성된 차가운 공기가 덕트 구조물과 팬트리 팬에 의해 팬트리의 내부 공간으로 직접 공급될 수 있으므로, 식품 저장실의 온도보다 팬트리의 온도가 더 낮은 온도로 유지될 수 있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발명은 식품 저장실에 독립된 식품 저장 영역을 형성하는 팬트리를 구비하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는 내부에 물품을 냉동 또는 냉장 보관하기 위한 장치다. 냉장고는 내부에 식품 저장실을 구비하는 냉장고 본체, 냉각을 위한 냉동사이클 장치를 구비한다. 냉동사이클 장치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기 및 증발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냉장고 본체의 후방 영역에는 기계실이 형성되며, 이 기계실에는 냉동사이클 장치 중 압축기와 응축기가 설치된다.
식품 저장실은 온도에 따라 식품을 저온으로 보관하기 위한 냉장실과 식품을 냉동하기 위한 냉동실로 구분된다. 냉동실은 냉장실보다 식품을 장기간 보관하기 위한 공간이므로, 냉장고 사용자는 냉동실보다는 냉장실을 더 자주 이용하게 된다. 이에 따라 냉장고 사용자는 냉동실에 보관해야 할 저온 보관 식품을 냉장실에 보관하기도 한다. 이러한 냉장고 사용자의 성향을 고려할 때 종래의 냉장고에는 여러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먼저 종래의 냉장고는 일반적으로 냉장실의 온도가 냉장실의 전체 공간에 걸쳐 비교적 일정한 범위 내로 유지된다. 따라서 냉동실에 보관되어야 할 저온 보관 식품이 냉장실에 보관될 경우 쉽게 부패되는 문제가 있었다.
냉장고에는 냉장실에 냉기를 공급하기 위한 냉장실 팬이 존재하는 데, 만일 냉장실에 별도의 저온 식품 저장 공간을 형성하고, 이곳으로 냉장실 팬으로부터 직접 냉기를 공급하고자 할 경우에는 냉장실 팬의 강한 흡입력에 의해 냉기의 공급이 아니라 역으로 흡입이 발생하거나 유로에 의한 손실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나아가 냉기는 근본적으로 증발기와의 열교환에 의해 차가워지는데, 증발기와 미처 열교환 되지 못한 따뜻한 공기가 저온 식품 저장 공간에 공급되는 문제도 존재하였다.
본 발명의 제1목적은 냉장실 내에 냉장실의 평균 온도보다 낮은 온도로 유지되는 별도의 저온 식품 저장 공간(팬트리)을 갖는 냉장고의 구조를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2목적은 편심되게 설치된 덕트 구조물로부터 저온 식품 저장 공간의 가운데로 냉기를 공급할 수 있는 구조를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3목적은 저온 식품 저장 공간으로 공급되어야 할 냉기가 오히려 냉장실 팬으로 흡입되는 문제를 해결하고, 상기 저온 식품 저장 공간으로 냉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덕트 구조물을 갖는 냉장고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4목적은 증발기와 저온 식품 저장 공간 사이의 단열 문제를 해결하고, 상기 단열 문제를 해결하는 구성이 저온 식품 저장 공간에 냉기를 공급하는 구성과 구조적으로 간섭을 일으키지 않는 냉장고를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5목적은 저온 식품 저장 공간에 냉기를 공급하는 구조에 물이 고임에 따라 오작동을 유발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6목적은 단일의 냉장실 냉기 유로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냉기의 손실 문제를 해결하고, 냉기가 냉장실과 저온 식품 저장 공간으로 충분히 공급될 수 있는 구조의 냉장고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7목적은 저온 식품 저장 공간으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증발기와 충분한 열교환을 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구조의 냉장고를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냉장고는 팬트리, 커버, 덕트 구조물 및 팬트리 팬을 포함한다.
팬트리는 식품을 저장하도록 이루어지며, 식품 저장실에 배치된다. 커버는 식품 저장실의 뒤에 설치되는 증발기를 가리도록 형성되고, 증발기를 마주보는 위치에 관통홀을 구비한다. 덕트 구조물은 커버의 전면에 결합되어 관통홀을 덮도록 이루어지고, 팬트리를 향해 돌출된 냉기 토출구를 구비한다. 팬트리 팬은 덕트 구조물의 내측에 결합되며, 증발기와의 열교환에 의해 형성된 냉기를 덕트 구조물의 냉기 토출구를 통해 팬트리로 공급하도록 이루어진다.
냉기 토출구는 좌측 둘레와 우측 둘레를 구비한다. 상기 냉기 토출구가 비스듬한 방향을 향해 개구되도록, 상기 냉기 토출구의 좌측 둘레와 우측 둘레 중 어느 하나는 다른 하나보다 더욱 돌출된다.
냉기가 팬트리의 중앙을 향해 토출되도록, 상기 좌측 둘레와 우측 둘레 중 다른 하나보다 더욱 돌출된 쪽의 냉기 토출구가 부분적으로 폐쇄된다.
상기 덕트 구조물은 상기 팬트리 팬의 전면을 마주보도록 형성되는 전면부를 구비한다. 상기 전면부의 적어도 일부 영역은 아래로 갈수록 상기 팬트리 팬으로부터 멀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거나 굽은 형상을 갖는다. 상기 덕트 구조물의 냉기 토출구는 상기 전면부의 아래에 형성되며, 상기 전면부의 적어도 일부 영역은 상기 냉기 토출구에 가까워질수록 상기 팬트리 팬으로부터 멀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거나 굽은 형상을 갖는다.
상기 냉장고는 상기 팬트리의 상측에 배치되는 드로워를 포함하고, 상기 드로워의 후벽은 상기 덕트 구조물의 전면부에 대응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거나 굽은 형상을 가지며, 상기 덕트 구조물의 냉기 토출구는 상기 팬트리와 상기 드로워 사이의 높이에 위치한다.
상기 팬트리는 상기 커버를 마주보도록 형성되는 후벽을 구비하고, 상기 후벽의 일부 영역은 상기 냉기 토출구의 배치 영역을 형성하도록 다른 영역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된다.
상기 냉장고는 상기 팬트리 팬과 상기 덕트 구조물의 사이에 배치되는 덕트 단열재를 더 포함한다. 상기 덕트 단열재는 상기 팬트리 팬의 테두리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상기 덕트 구조물의 냉기 토출구에 대응되는 구멍을 구비한다. 냉기는 덕트 단열재의 구멍과 덕트 구조물의 냉기 토출구를 통해 팬트리로 공급된다.
상기 덕트 단열재는 상기 팬트리 팬의 전면을 마주보는 전면부를 구비한다. 상기 전면부의 적어도 일부 영역은 하단으로 갈수록 상기 팬트리 팬으로부터 멀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거나 굽은 형상을 갖는다. 덕트 단열재의 구멍은 전면부의 아래에 형성되고, 상기 전면부의 적어도 일부 영역은 상기 구멍에 가까워질수록 팬트리 팬트으로부터 멀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거나 굽은 형상을 갖는다.
상기 덕트 단열재의 두 부분은 상기 팬트리 팬의 하단과 상기 덕트 구조물의 바닥면 사이에서 서로 이격되어 그 사이에 배수 유로를 형성한다.
상기 냉장고는 상기 커버의 배면에 설치되는 커버 단열재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 단열재는 상기 관통홀에 대응되는 개구부를 구비하며, 상기 커버 단열재의 두 부분은 상기 개구부의 아래에서 서로 이격되어 그 사이에 배수 유로를 형성한다.
상기 덕트 구조물의 바닥면은 물이 모이도록 부분적으로 다른 영역보다 낮게 형성되는 배수 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배수 영역은 모인 물이 배수되도록 상기 관통홀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다.
덕트 단열재의 배수 유로, 덕트 구조물의 배수 영역, 커버 단열재의 배수 유로는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하나의 배수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팬트리 팬은 축방향으로 바람을 일으키는 축류팬으로 이루어진다. 팬트리 팬은 증발기를 마주보는 위치에 설치되므로, 팬트리 팬은 축방향으로 바람을 일으키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냉장고는 식품 저장실 냉기 토출구, 식품 저장실 팬, 식품 저장실 냉기 유로를 포함한다. 식품 저장실은 냉장실과 냉동실을 포함하므로, 식품 저장실 냉기 토출구는 설치 위치에 따라 냉장실 냉기 토출구 또는 냉동실 냉기 토출구로 명명될 수 있다. 또한 식품 저장실 팬은 설치 위치에 따라 냉장실 팬 또는 냉동실 팬으로 명명될 수 있으며, 식품 저장실 냉기 유로는 설치 위치에 따라 냉장실 냉기 유로 또는 냉동실 냉기 유로로 명명될 수 있다.
식품 저장실 냉기 토출구는 상기 식품 저장실의 후벽 또는 상기 커버에 형성된다.
식품 저장실 팬은 상기 식품 저장실의 후벽 또는 상기 커버의 뒤에 설치되며, 상기 증발기와의 열교환에 의해 형성된 냉기를 상기 식품 저장실 냉기 토출구로 공급하도록 원주 방향으로 바람을 일으킨다. 식품 저장실 팬은 원주 방향으로 바람을 일으키는 원심팬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식품 저장실 냉기 유로는 상기 식품 저장실 팬의 둘레를 감싸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식품 저장실 팬의 둘레에서 연장되어 상기 식품 저장실 냉기 토출구에 연결된다.
상기 팬트리 팬은 상기 식품 저장실 냉기 유로와 구분되는 냉기 유로를 통해 상기 팬트리로 냉기를 공급하도록 상기 식품 저장실 냉기 유로의 외부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팬트리 팬의 구동에 의해 팬트리로 냉기를 공급하도록 이루어지는 냉기 유로는 식품 저장실 냉기 유로와 별도로 이원화 된다.
상기 증발기는 냉매 배관의 적층에 의해 형성된 복수의 열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열은 높이를 기준으로 상부 열과 하부 열으로 구분되며, 상기 커버 뒤의 공간으로 상기 팬트리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 열과 대응되는 높이에 형성되는 흡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덕트 구조물은 상기 흡기구와 높이차를 형성하며 상기 상부 열과 대응되는 높이에 배치된다.
상기 커버는 상기 덕트 구조물을 지지하도록 상기 관통홀을 향해 돌출된 복수의 걸림턱을 구비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저온 식품을 보관하도록 이루어지는 저온 식품 저장 공간은 팬트리로 구현된다. 증발기와의 열교환에 의해 형성된 냉기가 팬트리 팬에 의해 유동되며, 덕트 구조물의 냉기 토출구를 통해 상기 팬트리로 직접 공급되므로, 팬트리 내부의 온도는 팬트리가 설치되는 식품 저장실의 평균 온도보다 더 낮은 온도로 유지될 수 있다.
덕트 구조물의 냉기 토출구가 비스듬하게 형성됨에 따라 편심되게 설치된 덕트 구조물로부터 팬트리의 가운데로 냉기가 공급될 수 있다. 또한 덕트 구조물의 일부 영역에 폐쇄됨에 따라 편심되게 설치된 덕트 구조물로부터 팬트리의 가운데로 냉기가 공급될 수 있다.
덕트 구조물은 아래로 갈수록 팬트리 팬으로부터 멀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거나 굽어진 형상을 가지므로, 팬트리 팬의 전면에 냉기의 유동을 위한 충분한 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팬트리로 공급되어야 할 냉기가 오히려 식품 저장실의 팬의 흡입력에 의해 역흡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팬트리 팬에 의해 냉기가 유동되어 팬트리로 차가운 냉기가 직접 공급될 수 있다. 또한 덕트 구조물의 외측을 마주보는 드로워의 후벽도 덕트 구조물의 전면부에 대응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거나 굽어진 형상을 가지므로 덕트 구조물과 드로워의 구조적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덕트 단열재도 아래로 갈수록 팬트리 팬으로부터 멀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거나 굽어진 형상을 가지므로, 팬트리 팬의 전면에 냉기의 유동을 위한 충분한 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팬트리로 공급되어야 할 냉기가 오히려 식품 저장실의 팬의 흡입력에 의해 역흡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팬트리 팬에 의해 냉기가 유동되어 팬트리로 차가운 냉기가 직접 공급될 수 있다.
덕트 구조물, 덕트 단열재 및 커버 단열재 중 적어도 일부는 배수 유로 또는 배수 영역을 가짐에 따라 팬트리로 냉기를 공급하는 구성에 물이 고일 경우, 고인 물을 바로 배출하여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팬트리에 냉기를 직접 공급하기 위한 냉기 유로와 식품 저장실에 냉기를 공급하기 위한 식품 저장실 냉기 유로가 서로 구분되도록 이원화 된다. 일원화된 냉기 유로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냉기의 손실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냉기는 식품 저장실과 팬트리로 충분히 공급될 수 있다.
복수의 열로 이루어진 증발기를 상부 열과 하부 열을 구비하고, 덕트 구조물은 상부 열에 대응되도록 배치되며, 흡기구는 하부 열에 대응되도록 배치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팬트리로부터 증발기 측으로 유입된 공기는 증발기와 충분히 열교환하여 차가운 냉기가 될 수 있으며, 차가운 냉기가 다시 덕트 구조물을 통해 순환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냉장고의 사시도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냉장실의 내부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다.
도 3은 도 2에서 좌측 드로워를 인출하고 남은 냉장실의 내부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다.
도 4는 도 2의 수납 유닛을 모두 분리하고 남은 냉장장실의 제2커버 및 덕트 구조물을 도시한 정면도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냉장실의 제2커버 및 덕트 구조물의 내측을 도시한 개념도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제2커버와 덕트 구조물을 배면에서 바라본 것을 도시한 배면도다.
도 7은 도 1의 냉장실을 라인 B-B를 따라 자르고 일측에서 바라본 단면도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냉장실의 세부 구조를 보인 단면도다.
도 9는 본 발명의 덕트 구조물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다.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냉장고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냉장고(1000)의 사시도다.
냉장고(1000)의 외관은 냉장고 본체(1100)와 도어(1311, 1312, 1321, 1322)에 의해 형성된다.
냉장고 본체(1100)는 아웃 케이스(1110)와 이너 케이스(1120)를 포함한다.
아웃 케이스(1110)는 도어(1311, 1312, 1321, 1322)에 의해 형성되는 냉장고(1000)의 전면부를 제외한 냉장고(1000)의 나머지 외관을 형성한다. 도 1에 도시된 냉장고(1000)의 상면이나 측면은 모두 아웃 케이스(1110)에 해당한다.
이너 케이스(1120)는 냉장고 본체(1100)의 내측에 배치된다. 이너 케이스(1120)는 냉장고(1000) 내부의 식품 저장실(1200)을 형성하도록 이루어진다. 식품 저장실(1200)은 설정 온도에 따라 냉장실(1210)과 냉동실(1220)로 구분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냉장고 본체(1100)의 상부에 냉장실(1210)이 마련되고, 하부에 냉동실(1220)이 마련되는 바텀 프리저 타입(bottom freezer type)의 냉장고(1000)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반드시 바텀 프리저 타입의 냉장고(1000)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냉장실과 냉동실이 좌우로 배치되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 타입(side by side type)의 냉장고, 냉동실이 냉장실 위에 배치되는 탑 마운트 타입(top mount type)의 냉장고 등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너 케이스(1120)는 식품 저장실(1200)의 내측벽을 형성한다. 이너 케이스(1120)는 위치에 따라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는 냉장실(1210)의 측벽과 후벽이 도시되어 있다.
아웃 케이스(1110)와 이너 케이스(1120)의 사이에는 단열재(1130, 도 7 참조)가 충전된다. 단열재는 발포 공정에 의해 형성된다.
냉장실(1210)의 후벽에는 커버(1140, 1150 도 2 참조)가 결합된다. 커버(1140, 1150 도 2 참조)는 제1커버(1140)와 제2커버(1150, 도 2 참조)를 포함한다. 제2커버는 드로워(1520)와 팬트리(1530)에 의해 가려지기 때문에 도 1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후술할 도면들(예를 들어 도 2)에는 도시되어 있다. 냉장실(1210) 뒤의 공간은 후벽과 커버(1140, 1150 도 2 참조)에 의해 시각적으로 가려진다.
제1커버(1140)에 의해 시각적으로 가려지는 공간에는 냉장실(1210)로 냉기를 공급하기 위한 냉장실 냉기 유로(1147, 도 5 참조)가 형성된다. 제1커버(1140)는 식품 저장실(1200)을 향해 개방된 냉장실 냉기 토출구(1141, 1142)를 구비한다. 제1커버(1140)의 뒤에는 냉장실 팬(1160, 도 5 및 도 8 참조)이 설치되며, 상기 냉장실 팬에 의해 형성된 냉기는 제1커버(1140) 뒤의 냉장실 냉기 유로(1147)를 따라 흐르게 되고, 냉장실 냉기 토출구(1141, 1142)를 통해 냉장실(1210)로 공급된다.
냉장실 냉기 유로, 냉장실 팬, 냉장실 냉기 토출구의 구성은 냉동실에 냉기를 공급하기 위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 각각의 명칭은 냉동실 냉기 유로, 냉동실 팬, 냉동실 냉기 토출구로 명명될 수 있다. 또한 식품 저장실 냉기 유로라는 용어가 냉장실 냉기 유로와 냉동실 냉기 유로를 포함하는 용어로 사용될 수 있고, 식품 저장실 팬이라는 용어가 냉장실 팬과 냉동실 팬을 포함하는 용어로 사용될 수 있으며, 식품 저장실 냉기 토출구라는 용어가 냉장실 냉기 토출구와 냉동실 냉기 토출구를 포함하는 용어로 사용될 수 있다.
도어(1311, 1312, 1321, 1322)는 냉장고 본체(1100)에 연결되고, 냉장고(1000)의 외관 중 전면부의 외관을 형성한다. 도어(1311, 1312, 1321, 1322)는 냉장고 본체(1100)의 전면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이루어진다. 도어(1311, 1312, 1321, 1322)는 개폐 방식에 따라 회전형 도어 또는 서랍형 도어로 구분될 수 있다. 회전형 도어는 냉장고 본체(11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서랍형 도어는 냉장고 본체(1100)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도어(1311, 1312, 1321, 1322)는 설치 위치에 따라 구분될 수 있다. 냉장실(1210)을 개폐하는 도어는 냉장실 도어(1311, 1312)로 구분되고, 냉동실(1220)을 개폐하는 도어는 냉동실 도어(1321, 1322)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설치 위치가 좌측이냐 혹은 우측이냐에 따라 좌측 냉장실 도어(1311), 우측 냉장실 도어(1312), 좌측 냉동실 도어(1321) 또는 우측 냉동실 도어(1322)로 구분될 수 있다.
도어(1311, 1312, 1321, 1322)는 내측에 도어 라니어(1311a, 1312a, 1321a, 1322a)를 구비하며, 도어 라니어(1311a, 1312a, 1321a, 1322a)의 둘레에는 냉기의 누설을 막기 위한 가스켓(1311b, 1312b, 1321b, 1322b)이 설치된다. 도어 라니어(1311a, 1312a, 1321a, 1322a)는 후술하는 바스켓(1540)과 함께 식품의 저장 공간을 형성한다. 가스켓(1311b, 1312b, 1321b, 1322b)은 냉장고 본체(1100)의 전면 테두리와 밀착되어 식품 저장실(1200)을 밀폐시키도록 이루어진다.
도 1에서는 냉장고 본체(11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형 도어(1311, 1312, 1321, 1322)가 도시되어 있다. 냉장고(1000)는 회전형 도어(1311, 1312, 1321, 1322)의 회전을 구현하기 위한 힌지(1412, 1412, 1421, 1422, 1431, 1432)를 구비한다.
힌지(1412, 1412, 1421, 1422, 1431, 1432)는 설치 위치에 따라 상부 힌지(1411, 1412), 중간 힌지(1421, 1422) 또는 하부 힌지(1431, 1432)로 구분된다. 도 1을 기준으로 상부 힌지(1411, 1412)는 냉장고 본체(1100)의 상면에 설치된다. 중간 힌지(1421, 1422)는 냉장실 도어(1311, 1312)와 냉동실 도어(1321, 1322) 사이에 설치된다. 하부 힌지(1431, 1432)는 냉동실 도어(1321, 1322)의 아래에 설치된다.
상부 힌지(1411, 1412)와 중간 힌지(1421, 1422)는 각각 냉장실 도어(1311, 1312)의 상부와 하부에 연결되며, 냉장실 도어(1311, 1312)의 회전을 구현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중간 힌지(1421, 1422)와 하부 힌지(1431, 1432)는 각각 냉동실 도어(1321, 1322)의 상부와 하부에 연결되어 냉동실 도어(1321, 1322)의 회전을 구현하도록 이루어진다.
냉장고(1000)에는 식품 저장실(1200)의 효율적인 공간 활용을 위한 수납 유닛(1500)이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된다. 수납 유닛(1500)은 선반(1510), 드로워(또는 트레이, 1520), 팬트리(1530) 및 바스켓(1540)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선반(1510), 드로워(1520) 및 팬트리(1530)는 식품 저장실(1200)에 설치될 수 있고, 바스켓(1540)은 도어(1311, 1312, 1321, 1322)의 내측에 설치될 수 있다.
선반(1510)은 판 형태로 이루어진다. 선반(1510)은 상면에 식품을 얹어 놓을 수 있도록 식품 저장실(1200)에 수평으로 설치된다. 식품 저장실(1200)의 후벽이나 커버(1140)에는 선반 홀더(1146)가 설치되며, 선반(1510)은 상기 선반 홀더(1146)에 거치될 수 있다.
드로워(1520)와 팬트리(1530)는 각각 식품 저장실(1200)의 다른 공간과 분리되는 공간을 형성하여 식품을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드로워(1520)와 팬트리(1530)는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식품 저장실(1200)에 삽입되거나 식품 저장실(1200)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드로워(1520)는 식품 저장실(1200)의 좌우 폭보다 좁은 폭을 갖도록 형성되며, 두 개가 좌우에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반해 팬트리(1530)는 식품 저장실(1200)의 좌우 폭에 대응되는 폭을 갖도록 형성되며, 드로워(1520)보다 낮은 높이를 갖는다는 점에서 다소 차이가 있다.
이러한 차이에도 불구하고 드로워(1520)와 팬트리(1530)는 다른 공간과 분리되는 공간을 형성한다는 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갖기 때문에 본질적으로 드로워(1520)와 팬트리(1530)가 서로 명확하게 구분되는 구성이라 할 수는 없다. 이에 따라 냉장고(1000)에 따라서는 드로워(1520)와 팬트리(1530)의 명칭이 서로 바뀔 수도 있다. 또한, 둘 중 어느 하나가 제1드로워(또는 제1팬트리)라고 명명되고 다른 하나가 제2드로워(또는 제2팬트리)라고 명명될 수도 있다. 드로워(1520) 또는 팬트리(1530)는 트레이라고 명명되기도 한다.
본 발명에서는 수납 유닛(1500) 중 냉장실(1210) 또는 냉동실(1220)의 바닥에 배치되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팬트리(1530)로 지칭하고, 팬트리(1530)를 제외한 나머지 수납 유닛(1500) 중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드로워(1520)라고 지칭한다.
드로워(1520)와 팬트리(1530)를 어떠한 용도로 사용할지는 냉장고(1000) 사용자의 의사에 따라 결정될 것이나, 사용자의 의사란 드로워(1520)와 팬트리(1530)의 내부 온도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만일 드로워(1520)와 팬트리(1530)의 내부 온도가 서로 동일하다면 드로워(1520)와 팬트리(1530)를 기능적으로 서로 구분하지 않아도 된다. 그러나 드로워(1520)와 팬트리(1530)의 내부 온도가 서로 다르다면, 드로워(1520)와 팬트리(1530)에 보관하는 식품의 종류가 달라질 수 있으며, 드로워(1520)와 팬트리(1530)가 기능적으로 구분될 수 있다.
냉장고(1000) 사용자는 냉동실(1220)보다는 냉장실(1210)을 더 자주 이용하게 된다. 이에 따라 냉장고(1000) 사용자는 냉동실(1220)에 보관해야 할 저온 식품을 냉장실(1210)에 보관하기도 한다. 그런데 냉장실(1210)의 온도가 냉장실(1210)의 전체 영역에 걸쳐 균일하게 유지된다면 저온 식품은 쉽게 부패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저온 식품을 냉장실(1210)에 보관하더라도 쉽게 되지 않도록 팬트리(1530)의 내부 온도를 냉장실(1210)의 평균 온도보다 낮게 형성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드로워(1520)를 포함하는 냉장실(1210)의 평균 온도가 약 3℃ 내외로 유지된다면, 팬트리(1530)의 내부 온도는 이보다 낮은 약 -1℃ 내외로 유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드로워(1520)는 야채 등의 신선 식품을 보관하는 용도로 사용되고, 팬트리(1530)는 육류 등의 저온 식품을 보관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본래 일반적인 냉장실(1210)의 온도에서 쉽게 부패될 수 있는 저온 식품도 팬트리(1530)에 보관되면, 냉장실(1210)의 다른 영역보다 낮은 팬트리(1530)의 내부 온도로 인해 부패가 더욱 억제될 수 있다.
냉장실(1210)과 냉동실(1220)은 단열 격벽(1230)에 의해 공간적으로 명확하게 서로 구분되는 반면, 팬트리(1530)는 냉장실(1210)(또는 냉동실, 1220)의 내부에 설치되기 때문에 냉장실(1210)의 다른 공간과 공간적으로 명확하게 구분된다고 보기 어렵다. 이를테면 냉장실(1210)의 냉기는 자연 유동에 의해 냉동실(1220)로 흘러가지 않는 반면, 팬트리(1530)가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인출되었을 때 팬트리(1530)의 냉기는 자연 유동에 의해 냉장실(1210)의 다른 공간으로 흘러갈 수 있다. 따라서 냉장실(1210) 내에서 팬트리(1530)의 내부 온도를 냉장실(1210)의 나머지 공간보다 낮은 온도로 형성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추가 구성을 필요로 한다. 팬트리(1530)의 내부 온도를 냉장실(1210)의 나머지 공간보다 낮은 온도로 유지할 수 있는 구성에 대하여는 도 2 이하의 도면들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바스켓(1540)은 도어(1311, 1312, 1321, 1322)로부터 식품의 낙하를 방지하는 가림막을 형성한다. 도어(1311, 1312, 1321, 1322)의 내측에는 도어 라니어(1311a, 1312a, 1321a, 1322a)가 배치되고, 바스켓(1540)은 도어 라니어(1311a, 1312a, 1321a, 1322a)에 결합된다. 도어 라니어(1311a, 1312a, 1321a, 1322a)는 식품의 저장을 위한 바닥면과 내측벽을 형성하고, 바스켓(1540)은 외측벽을 형성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냉장실(1210, 도 1 참조)의 내부(A부분)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다. 도 3은 도 2에서 좌측 드로워(1521)를 인출하고 남은 냉장실(1210)의 내부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다.
1. 커버(1140, 1150)
커버(1140, 1150)는 제1커버(1140)와 제2커버(1150)를 포함한다. 앞서 도 1에서는 제1커버(1140)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제2커버(1150)는 제1커버(1140)의 아래에 배치된다. 제2커버(1150)는 냉장실의 후벽에 결합된다. 제2커버(1150)의 뒤에는 증발기(1800)가 설치되며, 제2커버(1150)는 증발기(1800)를 가리도록 형성된다. 제2커버(1150)는 증발기(1800)가 설치되는 공간과 냉장실을 공간적으로 구분한다.
제2커버(1150)는 제1부분(1151a)과 제2부분(1151b)을 구비한다.
제1부분(1151a)은 냉장실의 후벽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1부분(1151a)은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래로 갈수록 후벽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1부분(1151a)은 부분적으로 제1커버(1140)의 하단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커버(1140)와 결합될 수 있다.
제2부분(1151b)은 제1부분(1151a)의 하단에서 상하 방향으로 냉장실의 바닥까지 연장된다. 제2부분(1151b)은 드로워(1520) 및 팬트리(1530)와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제1부분(1151a)과 제2부분(1151b)에 의해 냉장실의 후벽과 제2커버(1150) 사이에는 증발기(1800)의 설치 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
2. 수납 유닛
(1) 팬트리(1530)
팬트리(1530)는 냉장실(또는 냉동실)의 바닥에 배치된다. 팬트리(1530)는 냉장실의 좌우 폭에 대응되는 폭을 갖도록 형성된다.
팬트리(1530)는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냉장실로 삽입되거나 냉장실로부터 인출되도록 이루어진다. 도 2를 참조하면, 팬트리(1530)의 슬라이드 이동을 위해 팬트리(1530)의 양 측벽(1531)에는 슬라이딩부(1533)와 롤러(1534)가 형성된다.
슬라이딩부(1533)는 팬트리(1530)의 양 측벽(1531)으로부터 냉장실의 측벽을 향해 돌출되며, 팬트리(1530)의 슬라이드 이동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팬트리(1530)의 슬라이드 이동 방향이란 팬트리(1530)가 냉장실로 삽입되거나 팬트리(1530)가 냉장실에서 인출되는 방향을 의미한다.
슬라이딩부(1533)는 사출 성형에 의해 팬트리(1530)의 측벽(1531) 및 후벽(1532)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사출 성형 후 발생할 우려가 있는 슬라이딩부(1533)의 변형 방지를 위해 슬라이딩부(1533)는 변형 방지부(1533a)를 구비할 수 있다. 변형 방지부(1533a)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으며,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변형 방지부(1533a)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슬라이딩부(1533)의 상단과 하단에 연결된다.
롤러(1534)는 팬트리(1530)의 측벽(1531)에서 가장 뒷부분에 설치된다. 팬트리(1530)의 좌우 측벽(1531) 중 가장 뒷 부분에는 돌출부(1531')가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1531')는 후벽(1532)으로부터 돌출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롤러(1534)는 돌출부(1531')에 설치될 수 있다.
롤러(1534)는 슬라이딩부(1533)와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롤러(1534)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냉장고에 따라 롤러(1534) 대신 슬라이딩 돌기(미도시)가 형성될 수도 있다. 롤러(1534) 대신 슬라이딩 돌기가 형성되는 경우에는 슬라이딩 돌기가 팬트리(1530)의 양 측벽(1531)으로부터 냉장실의 측벽을 향해 돌출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냉장실의 양 측벽에는 팬트리(1530)의 슬라이드 이동 경로를 설정하도록 이루어지는 슬라이딩 레일(1570)이 설치된다. 도 3에는 슬라이딩 레일(1570)의 배면이 도시되어 있다. 슬라이딩 레일(1570)은 레일부(1571)와 변형 방지부(1572)를 구비한다.
레일부(1571)는 팬트리(1530)의 롤러(1534)와 슬라이딩부(1533)를 수용하도록 형성된다. 레일부(1571)는 팬트리(1530)의 슬라이드 이동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변형 방지부(1572)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으며,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변형 방지부(1572)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슬라이딩 레일의 상단과 하단에 연결된다. 슬라이딩 레일(1570)의 변형 방지부(1572)는 팬트리(1530)의 변형 방지부(1533a)와 마찬가지로 사출 성형 후 슬라이딩 레일(1570)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도 3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슬라이딩 레일(1570)은 레일부(1571)의 입구에 롤러(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롤러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팬트리(1530)의 슬라이딩부(1533)와 롤러(1534)는 레일부(1571)에 삽입된다. 레일부(1571) 내에서 롤러(1534)는 회전되고, 슬라이딩부(1533)는 레일부(1571)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된다. 이에 따라 팬트리(1530)의 슬라이드 이동이 구현될 수 있다.
슬라이딩부(1533)와 슬라이딩 레일(1570)의 배치 공간 확보를 위해 팬트리(1530)의 측벽(1531)은 냉장실의 측벽으로부터 이격되고, 후술할 흡기구(1152a 및 1152b, 도 4 내지 도 8 참조)의 배치 공간 확보를 위해 팬트리(1530)의 후벽(1532)은 제2커버(1150)로부터 이격된다. 팬트리(1530)가 냉장실과 제2커버(1150)로부터 이격된 틈을 통해 팬트리(1530) 내부의 냉기가 팬트리(1530)의 외부로 빠져나갈 우려가 있다.
냉기가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팬트리(1530)의 측벽(1531)은 냉장실의 측벽을 향해 절곡 및 돌출되고, 팬트리(1530)의 후벽(1532)은 제2커버(1150)를 향해 절곡 및 돌출된다. 팬트리(1530)의 측벽(1531)과 후벽(1532)이 각각 절곡 및 돌출됨에 따라 상기 틈이 가려지게 되고, 냉기가 빠져나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팬트리(1530)의 후벽(1532)은 제2커버(1150)를 마주보도록 형성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후벽(1532)의 일부 영역은 덕트 구조물(1600)에 구비되는 냉기 토출구 배치 영역(1532a)을 형성하도록 다른 영역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덕트 구조물(1600)의 냉기 토출구(1630)는 베이스부(1610)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후벽(1532)에 형성되는 냉기 토출구 배치 영역(1532a)에 배치된다.
(2) 드로워(1520)
드로워(1520)는 팬트리(1530)의 상측에 배치된다. 드로워(1520)는 좌측 드로워(1521)와 우측 드로워(1522)를 포함하며, 상기 좌측 드로워(1521)와 우측 드로워(1522)는 좌우에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좌측 드로워(1521)와 우측 드로워(1522)는 냉장실의 좌우 폭보다 좁은 폭을 갖도록 형성된다.
드로워(1520)는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냉장실로 삽입되거나 냉장실로부터 인출되도록 이루어진다. 도 2를 참조하면, 좌측 드로워(1521)도 팬트리(1530)와 마찬가지로 슬라이드 이동을 위해 슬라이딩부(1521a)와 롤러(1521d)를 구비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좌측 드로워(1521)의 슬라이드 이동 구조는 우측 드로워(1522)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슬라이딩부(1521a)는 좌측 드로워(1521)의 양 측벽(1521b)으로부터 돌출되며, 좌측 드로워(1521)의 슬라이드 이동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좌측 드로워(1520)의 슬라이드 이동 방향이란 좌측 드로워(1521)가 냉장실로 삽입되거나 좌측 드로워(1521)가 냉장실에서 인출되는 방향을 의미한다.
슬라이딩부(1521a)는 사출 성형에 의해 좌측 드로워(1521)의 측벽(1521b) 및 후벽(1521c)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사출 성형 후 발생할 우려가 있는 슬라이딩부(1521a)의 변형 방지를 위해 슬라이딩부(1521a)는 변형 방지부(1521a')를 구비할 수 있다. 변형 방지부(1521a')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으며,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변형 방지부(1521a')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변형 방지부(1521a') 둘레의 상단과 하단에 연결된다.
롤러(1521d)는 드로워(1520)의 측벽(1521b) 중 가장 뒷 부분에 설치된다. 드로워(1520)의 좌우 측벽(1521b) 중 가장 뒷 부분에는 돌출부(1521b')가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1521b')는 후벽(1521c)의 경사진 부분으로부터 돌출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도 있다. 롤러(1521d)는 돌출부(1521b')에 설치될 수 있다. 롤러(1521d)는 슬라이딩부(1521a)와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롤러(1521d)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냉장고에 따라 롤러(1521d) 대신 슬라이딩 돌기(미도시)가 형성될 수도 있다. 롤러(1521d) 대신 슬라이딩 돌기가 형성되는 경우에는 슬라이딩 돌기가 드로워(1520)의 양 측벽(1521b)으로부터 돌출된다.
냉장실의 양 측벽과 그 사이에는 드로워(1520)의 슬라이드 이동 경로를 설정하도록 이루어지는 슬라이딩 레일(1560)이 설치된다. 도 2에는 드로워(1520)의 슬라이드 이동을 위한 슬라이딩 레일이 가려져 있으나, 도 3에는 좌측 드로워(1521)와 우측 드로워(1522)의 사이에 설치되는 슬라이딩 레일(1560)이 도시되어 있다. 냉장실의 양 측벽에 각각 설치되는 슬라이딩 레일(미도시)도 실질적으로 좌측 드로워(1521)와 우측 드로워(1522) 사이의 슬라이딩 레일(1560)과 유사한 구조를 갖는다.
좌측 드로워(1521)와 우측 드로워(1522) 사이의 슬라이딩 레일(1560)은 제2커버(1150)에 설치되며, 제2커버(1150)로부터 냉장실의 전방을 향해 돌출된다. 좌측 드로워(1521)와 우측 드로워(1522) 사이의 슬라이딩 레일(1560)은 드로워(1520)와 팬트리(1530) 사이의 격벽(155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슬라이딩 레일(1560)은 레일부(1561), 롤러(1562) 및 변형 방지부(1563)를 구비한다.
레일부(1561)는 드로워(1520)의 롤러(1521d)와 슬라이딩부(1521a)를 수용하도록 형성된다. 레일부(1561)는 드로워(1520)의의 슬라이드 이동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롤러(1562)는 레일부(1561)의 입구에 설치되고,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이루어진다. 드로워(1520)의 슬라이딩부(1521a)는 슬라이딩 레일(1560)의 롤러(1562)에 거치되어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변형 방지부(1563)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으며,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변형 방지부(1563)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변형 방지부(1563) 둘레의 상단과 하단에 연결된다. 슬라이딩 레일(1560)의 변형 방지부(1563)는 드로워(1520)의 변형 방지부(1521a')와 마찬가지로 사출 성형 후 슬라이딩 레일(1560)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드로워(1520)의 롤러(1521d)와 슬라이딩부(1521a)는 슬라이딩 레일(1560)의 레일부(1561)에 삽입된다. 레일부(1561) 내에서 롤러(1521d)는 회전되고, 슬라이딩부(1521a)는 레일부(1561)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된다. 이에 따라 드로워(1520)의 슬라이드 이동이 구현될 수 있다.
드로워(1520)의 뒤에는 후술할 덕트 구조물(1600)이 설치된다. 덕트 구조물(1600)는 전면부(1620)를 구비하며, 전면부(1620)의 적어도 일부 영역은 경사지게 형성되거나 굽은 형상을 갖는다. 드로워(1520)의 후벽(1521c)은 덕트 구조물(1600)의 전면부(1620)에 대응되도록 부분적으로 혹은 전체적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거나 굽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2에는 드로워(1520)의 후벽(1521c)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드로워(1520)의 후벽(1521c)이 경사지게 형성되거나 굽은 형상을 갖는 것은 덕트 구조물(1600)과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3) 격벽(1550)
격벽(1550)은 드로워(1520)와 팬트리(1530)의 사이에 설치된다. 격벽(1550)은 팬트리(1530)를 위에서 덮도록 판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격벽(1550)의 좌우는 냉장실의 양 측벽에 의해 지지되고, 격벽(1550)의 뒷부분은 제2커버(115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격벽(1550)의 뒷부분에는 덕트 구조물(1600)의 배치 영역 형성을 위한 리세스부(1551)가 구비될 수 있다. 리세스부(1551)는 제2커버(1150)에서 돌출되는 덕트 구조물(1600)에 대응되도록 리세스 되어 형성될 수 있다.
팬트리(1530)가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냉장실의 내부로 삽입되면 팬트리(1530)의 전면부는 격벽(1550)과 밀착된다. 팬트리(1530)의 전면부란 팬트리(1530)의 손잡이(1520e)가 형성되는 부분을 가리킨다. 격벽(1550)이 팬트리(1530)의 전면부와 밀착됨에 따라 팬트리(1530) 내부의 냉기가 냉장실의 다른 공간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격벽(1550), 팬트리(1530)의 전면부, 냉장실의 바닥과 양 측벽, 및 제2커버(1150)에 의해 정의되는 공간은 팬트리(1530)의 내부 공간으로 지칭될 수 있으며, 팬트리(1530)의 내부 공간은 냉장실의 다른 공간과 구분될 수 있다. 팬트리(1530)의 내부 공간이 냉장실의 다른 공간과 구분됨에 따라 팬트리(1530)의 내부 온도는 독립적으로 냉장실의 평균 온도보다 낮은 온도로 유지될 수 있다.
3. 덕트 구조물(1600)
덕트 구조물(1600)은 제2커버(1150)의 전면에 결합된다. 후술할 도 5를 참조하면 제2커버(1150)에는 관통홀(1155)이 형성된다. 이 관통홀(1155)은 증발기(1800)를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된다. 덕트 구조물(1600)은 제2커버(1150)의 전면에 결합되어 상기 관통홀(1155)을 덮도록 이루어진다.
도 3에 확대된 덕트 구조물(1600)의 외관을 참조하면, 덕트 구조물(1600)은 베이스부(1610), 전면부(1620), 냉기 토출구(1630)를 구비한다. 덕트 구조물(1600)은 추가적으로 온도 센서 수용부(1640), 냉기 출입구(1641), 전선 수용부(1650), 전선 수용홈(1660) 및 결합부(1671, 1672, 1673)를 구비한다.
베이스부(1610)는 덕트 구조물(1600)의 테두리를 형성한다. 전면부(1620), 냉기 토출구(1630) 등 덕트 구조물(1600)의 다른 구성들은 베이스부(1610)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다.
베이스부(1610)는 제2커버(1150)에 결합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베이스부(1610)에는 결합부(1671, 1672, 1673)가 형성된다. 결합부(1671, 1672, 1673)는 덕트 구조물(1600)이 제2커버(1150)에 결합되기 위한 구성들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결합부(1671, 1672, 1673)는 결합 돌기(1671, 1672), 체결수단 삽입부(1673)를 포함한다.
결합 돌기(1671, 1672)는 베이스부(1610)의 일측 또는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덕트 구조물(1600)을 참조하면, 좌측의 두 결합 돌기(1671)는 베이스부(1610)로부터 덕트 구조물(160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우측의 결합 돌기(1672)는 베이스부(1610)가 부분적으로 절개되어 형성된다. 다만 좌측의 결합 돌기(1671)와 우측의 결합 돌기(1672)의 형태와 배치는 서로 바뀔 수 있다.
제2커버(1150)에는 결합 돌기 수용부(1153)가 형성되며, 결합 돌기 수용부(1153)는 덕트 구조물(1600)의 결합 돌기(1671, 1672)를 수용하도록 이루어진다. 결합 돌기 수용부(1153)에 결합 돌기(1671, 1672)가 삽입되면 제2커버(1150)에 덕트 구조물(1600)이 가고정된다.
덕트 구조물(1600)의 본고정은 체결수단(미도시)에 의해 이루어진다. 체결수단 삽입부(1673)는 베이스부(1610)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며, 체결수단을 수용하도록 이루어진다. 체결수단 삽입부(1673)에 체결수단이 삽입되어 제2커버(1150)에 체결되면, 덕트 구조물(1600)과 제2커버(1150)의 본고정이 이루어진다.
덕트 구조물(1600)은 베이스부(1610)로부터 돌출되는 전면부(1620)를 구비한다. 덕트 구조물(1600)의 전면부(1620)는 후술할 팬트리 팬(1900, 도 5 참조)의 전면을 마주보도록 형성된다. 팬트리 팬은 덕트 구조물(1600)의 내측에 설치된다. 전면부(1620)의 내측은 팬트리 팬을 마주보게 되고, 전면부(1620)의 외측은 드로워(1520) 또는 격벽(1550)을 마주보게 된다. 도 3에 도시된 전면부(1620)는 외측에 해당한다.
전면부(1620)의 적어도 일부 영역은 아래로 갈수록 팬트리 팬으로부터 멀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거나 굽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전면부(1620)의 아래에 냉기 토출구(1630)가 형성되기 때문에 전면부(1620)의 적어도 일부 영역은 냉기 토출구(1630)에 가까워질수록 팬트리 팬으로부터 멀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거나 굽은 형상을 갖는다고 설명할 수도 있다.
전면부(1620)가 경사지게 형성되거나 굽은 형상을 갖는 것은 팬트리 팬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팬트리 팬과의 사이의 공간에 냉기의 유동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냉기의 유동 공간을 통해 냉기가 덕트 구조물(1600)의 냉기 토출구(1630)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미리 도 5를 참조하면 제2커버(1150)의 뒤에는 냉장실 팬(1160)이 배치되며, 냉장실 팬(1160)은 원심팬으로 이루어진다. 원심팬은 날개의 안쪽에서 원심력에 의해 원주 방향으로 바람을 일으키도록 형성된다. 이에 반해 팬트리 팬은 축류팬으로 이루어지며, 축류팬은 축방향으로 바람을 일으키도록 형성된다. 원심팬은 축류팬에 비해 강합 흡입력을 바탕으로 강한 바람을 일으키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팬트리 팬과 덕트 구조물(1600) 사이에 충분한 냉기의 유동 공간이 형성되지 못하면, 냉기 토출구(1630)를 통해 냉기가 토출되는 것이 아니라 냉장실 팬(1160)의 작동에 의한 냉기의 흡입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덕트 구조물(1600)의 전면부(1620)가 아래로 갈수록 팬트리 팬(1900)트으로부터 멀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거나 굽은 형상을 가짐에 따라 팬트리 팬과의 사이에 충분한 냉기의 유동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덕트 구조물(1600)의 전면부(1620)가 아래로 갈수록 경사지게 형성되거나 굽은 형상을 가짐에 따라, 팬트리 팬에 의해 유동되는 냉기는 전면부(1620)의 아래에 형성되는 냉기 토출구(1630)로 자연스럽게 토출될 수 있으며, 전면부(1620)의 구조에 의해 냉기의 역 흡입이 방지될 수 있다.
전면부(1620)의 경사 각도나 굽은 곡률은 일정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을 참조하면 전면부(1620)에는 경사 각도가 변하는 지점이 존재하여 경사 각도가 변하는 지점의 아래에서는 더 급한 경사 각도를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전면부(1620)가 굽은 형상을 갖는 경우에도 변곡점이 존재할 수 있다.
전면부(1620)의 경사 또는 굽은 형상에 대응되도록 드로워(1520)의 후벽(1521c)도 경사지게 형성되거나 굽은 형상를 갖는다는 것은 앞서 설명한 바 있다.
냉기 토출구(1630)는 팬트리(1530)를 향해 돌출된다. 냉기 토출구(1630)는 팬트리(1530)와 드로워(1520) 사이의 높이에 위치한다. 팬트리(1530)의 후벽(1532)에는 냉기 토출구 배치 영역(1532a)이 형성되고, 냉기 토출구(1630)는 상기 냉기 토출구 배치 영역(1532a)에 배치된다.
냉기 토출구(1630)의 둘레(1631, 1632)는 전면부(1620) 또는 베이스부(1610)로부터 돌출된다. 냉기 토출구(1630)가 비스듬한 방향을 향해 개구되도록, 좌측 둘레(1631)와 우측 둘레(1632) 중 어느 하나는 다른 하나보다 더욱 돌출된다. 이에 따라 냉기 토출구(1630)는 팬트리(1530)의 중앙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덕트 구조물(1600)은 증발기(1800, 도 5 참조)에서 발생되는 차가운 냉기를 팬트리(1530)로 직접 공급하기 위해 증발기(1800)를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되는데, 증발기는 제2커버(1150) 뒤에서 일측으로 편심되어 배치된다. 제2커버(1150)의 뒤에는 증발기뿐만 아니라 인쇄회로기판 등 냉장고의 구동을 위한 다양한 부품들이 설치되기 때문에 증발기가 가운데에 배치되기는 어려우며, 특히 증발기와 냉장실 냉기 유로(1147) 간의 배치 간섭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증발기(1800)는 일측으로 편심되어 배치되어야 한다.
증발기의 위치와 대응되도록 덕트 구조물(1600)의 위치도 냉장실의 일측으로 편심되게 배치된다. 특히 덕트 구조물(1600)은 드로워(1520)의 슬라이드 이동을 위한 슬라이딩 레일(1560)과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냉장실의 일측으로 편심되게 배치되어야 한다.
덕트 구조물(1600)이 편심되게 배치됨에 따라 덕트 구조물(1600)의 냉기 토출구(1630)에서 토출되는 냉기는 팬트리(1530)의 내부에 골고루 공급되지 못하고, 한쪽에만 집중적으로 공급될 우려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덕트 구조물(1600)의 냉기 토출구(1630)는 팬트리(1530)의 중앙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다. 경사진 냉기 토출구(1630)의 형상으로 인해 냉기는 팬트리(1530)의 중앙을 향해 공급될 수 있으며, 팬트리(1530)의 내부에 냉기가 골고루 공급될 수 있다.
온도 센서 수용부(1640)는 냉기 토출구(1630)의 일측(도 3에서는 우측)에 형성된다. 온도 센서 수용부(1640)는 베이스부(1610)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며, 그 내측에 온도 센서(미도시)를 수용하도록 이루어진다. 온도 센서 수용부(1640)에는 냉기 출입구(1641)가 형성되어 팬트리(1530) 내부의 냉기가 온도 센서 수용부(1640)로 흘러들어 올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냉기 토출구(1630)가 팬트리 팬(1900)에 의해 강제적으로 냉기를 토출하기 위한 구성임에 반해, 냉기 출입구(1641)는 팬트리(1530) 내부의 냉기가 자연 유동에 의해 온도 센서와 접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설정 온도보다 팬트리(1530) 내부의 온도가 높아지면, 증발기와 팬트리 팬이 구동되어 팬트리(1530) 내부의 공간으로 냉기가 공급되고, 이에 따라 팬트리(1530) 내부의 온도는 다시 설정 온도로 낮아질 수 있다. 증발기와 팬트리 팬의 구동 여부는 온도 센서에서 측정된 팬트리(1530) 내부의 온도에 의해 결정된다.
전선 수용부(1650)와 전선 수용홈(1660)은 팬트리 팬(1900)의 구동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는 전선의 배치 영역을 형성한다. 전선 수용부(1650)는 베이스부(1610)로부터 돌출되며, 전면부(1620)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전선 수용홈(1660)은 전선이 베이스부(1610)를 지나 덕트 구조물(1600)의 외부로 연장되는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덕트 구조물(1600)이 제2커버(1150)에 밀착되더라도 전선 수용부(1650)와 전선 수용홈(1660)에 전선이 배치되면, 전선의 끊어짐이 방지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커버(1140, 1150), 드로워(1520), 팬트리(1530), 격벽(1550) 및 덕트 구조물(1600)의 구성은 냉장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냉동실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4는 도 2의 수납 유닛을 모두 분리하고 남은 냉장실의 제2커버(1150) 및 덕트 구조물(1600)을 도시한 정면도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냉장실의 제2커버(1150) 및 덕트 구조물(1600)의 내측을 도시한 개념도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커버(1140)는 복수의 냉장실 냉기 토출구(1141, 1142, 1143, 1144)와 선반 홀더 수용부(1145)를 구비한다. 제2커버(1150)는 냉장실의 후벽에 고정되기 위한 체결수단 삽입부(1154a)를 구비한다. 체결수단 삽입부(1154a)는 삽입되는 체결수단(미도시)을 수용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체결수단은 예를 들어 나사를 포함한다. 제2커버(1150)의 아래에는 흡기구(1152a, 1152b)가 형성되며, 덕트 구조물(1600)은 흡기구(1152a, 1152b)와 높이차를 형성하며 제2커버(1150)의 전면에 결합된다. 흡기구(1152a, 1152b)는 제2커버(1150) 뒤의 공간으로 팬트리(1530)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도록 이루어진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커버(1140)의 뒤에는 냉장실 냉기 유로(1147)가 형성되며, 제2커버(1150)의 뒤에는 냉장실 팬(1160), 증발기(1800)가 설치된다. 제2커버(1150)는 증발기(1800)를 가리도록 이루어진다. 제2커버(1150)는 증발기(1800)를 마주보는 위치에 관통홀(1155)을 구비한다.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덕트 구조물(1600)은 제2커버(1150)의 전면에 결합되어 관통홀(1155)을 덮도록 이루어진다. 팬트리 팬(1900)은 덕트 구조물(1600)의 내측에 설치되며, 증발기(1800)를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된다.
냉장실 냉기 토출구(1141, 1142, 1143, 1144)는 냉장실을 향해 개구된다. 도 4와 도 5에서는 냉장실 냉기 토출구(1141, 1142, 1143, 1144)가 제1커버(1140)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냉장실의 후벽에 형성되는 구성도 가능하다. 냉장실 냉기 토출구(1141, 1142, 1143, 1144)는 냉장실 냉기 유로(1147)와 통하도록 이루어지며, 냉장실 냉기 유로(1147)를 통해 유동하는 냉기는 냉장실 냉기 토출구(1141, 1142, 1143, 1144)를 통해 냉장실로 토출될 수 있다.
선반 홀더 수용부(1145)는 선반 홀더(1146, 도 1 참조)를 수용하도록 형성된다. 선반 홀더 수용부(1145)는 세로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선반 홀더는 선반 홀더 수용부(1145)에 설치되며, 복수의 선반(1510, 도 1 참조)은 서로 높이차를 형성하며 선반 홀더에 거치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냉장실 냉기 유로(1147)는 냉장실 팬(1160)의 둘레를 감싸도록 이루어진다. 냉장실 팬(1160)의 둘레란 냉장실 팬(1160)의 원주 방향을 의미한다. 냉장실 냉기 유로(1147)는 냉장실 팬(1160)의 둘레에서 연장되어 냉장실 냉기 토출구(1141, 1142, 1143, 1144)에 연결된다. 냉장실 냉기 유로(1147)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갈래(1147a, 1147b)로 형성될 수 있다.
냉장실 팬(1160)은 냉장실의 후벽 또는 제2커버(1150)의 뒤에 설치된다. 냉장실 팬(1160)은 증발기(1800)와의 열교환에 의해 형성된 냉기를 냉장실 냉기 토출구(1141, 1142, 1143, 1144)로 공급하도록 원주 방향으로 바람을 일으킨다. 냉장실 팬(1160)의 원주 방향은 냉장실 냉기 유로(1147)에 의해 감싸여 있으므로, 냉장실 팬(1160)에 의해 유동되는 냉기는 냉장실 냉기 유로(1147)를 따라 흐르게 된다.
냉장실 팬(1160)은 원주 방향으로 바람을 일으키는 원심팬으로 이루어진다. 원심팬은 회전하는 축 방향을 따라 냉기를 흡입하여 원주 방향으로 배출하도록 이루어지는 종류의 팬을 가리킨다. 도 5에서 냉장실 팬(1160)의 축 방향은 냉장실 팬(1160)을 정면으로 바라보는 방향에 해당한다.
냉장실의 식품들과 열교환하여 따뜻해진 공기는 다시 증발기(1800)와 열교환하여 차가운 냉기가 된다. 차가워진 냉기는 원심팬의 축 방향으로 흡입되고, 원주 방향으로 배출되고 순차적으로 냉장실 냉기 유로(1147)와 냉장실 냉기 토출구(1141, 1142, 1143, 1144)를 통해 다시 냉장실로 공급된다.
팬트리 팬(1900)은 냉장실 냉기 유로(1147)와 구분되는 냉기 유로를 통해 팬트리(1530)로 냉기를 공급하도록 냉장실 냉기 유로(1147)의 외부에 배치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냉기 유로는 이원화되어 있다. 이원화된 냉기 유로 중 하나는 냉장실 팬(1160)으로부터 냉기를 공급받는 냉장실 냉기 유로(1147)이며, 다른 하나는 증발기(1800)에서 팬트리 팬(1900)을 통해 직접 팬트리(1530)로 공급되는 냉기 유로다.
본 발명과 달리 팬트리(1530)로 냉기를 공급하는 냉기 유로가 냉장실 냉기 유로(1147)와 일원화 되어, 냉기가 냉장실 팬(1160)에 의해 팬트리(1530)로 공급되는 구성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냉장실 냉기 유로(1147)에 추가로 하나의 갈래가 더 형성되어 팬트리(1530)를 향해 개구되는 구성을 생각해 볼 수 있다. 냉장실로 냉기를 공급하는 성능은 냉장실 팬(1160)과 냉장실 냉기 유로(1147)의 조합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추가적으로 하나의 갈래가 더 형성되는 구조는 냉기 유량의 손실을 초래하게 된다.
냉장실 팬(1160)과 달리 팬트리 팬(1900)은 축방향으로 바람을 일으키는 축류팬으로 이루어진다. 축류팬은 회전체의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의 날개를 구비하며, 축을 따라 뒤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앞으로 공기를 배출하는 종류의 팬이다. 냉장실 냉기 토출구(1141, 1142, 1143, 1144)가 냉장실 팬(1160)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에 냉장실 팬(1160)은 원주 방향으로 바람을 일으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달리, 팬트리 팬(1900)은 증발기(1800)를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덕트 구조물(1600)의 냉기 토출구(1630)는 팬트리 팬(1900)과 가깝게 배치되어 있으므로, 팬트리 팬(1900)은 축방향으로 바람을 일으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증발기(1800)는 냉매 배관의 적층에 의해 형성된 복수의 열(列)을 구비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증발기(1800)는 예를 들어 5 열로 형성될 수 있다. 각 열은 아래에서부터 적층된 순서대로 순차적으로 제1열(1810), 제2열(1820), 제3열(1830), 제4열(1840) 및 제5열(1850)로 구분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열은 높이를 기준으로 상부 열과 하부 열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열(1820)과 제3열(1830)의 경계를 기준으로 제1열(1810)과 제2열(1820)은 하부 열고 구분되고, 제3열(1830) 내지 제5열(1850)은 상부 열로 구분될 수 있다.
제2커버(1150)에 형성되는 흡기구(1152a, 1152b)는 하부 열과 대응되는 높이에 형성된다. 도 5를 참조하면 흡기구(1152a, 1152b)는 제1열(1810)에 대응되는 높이에 형성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반해 제2커버(1150)의 관통홀(1155), 팬트리 팬(1900) 및 덕트 구조물(1600)은 흡기구(1152a, 1152b)와 높이차를 형성하며 상부 열과 대응되는 높이에 형성된다. 도 5를 참조하면 팬트리 팬(1900)은 제3열(1830) 내지 제5열(1850)에 대응되는 높이에 형성되는 것을 알 수 있다.
관통홀(1155)과 덕트 구조물(1600)이 흡기구(1152a, 1152b)로부터 이격되어 있음에 따라 흡기구(1152a, 1152b)를 통해 증발기(1800) 측으로 유입된 공기는 증발기(1800)와 충분한 열교환 시간을 가질 수 있으며 충분히 저온의 냉기가 될 수 있다. 만일 본 발명과 달리 관통홀(1155)과 덕트 구조물(1600)이 흡기구(1152a, 1152b)와 이격되지 않고 가깝게 형성된다면 흡기구(1152a, 1152b)로 유입된 공기가 증발기(1800)와 충분히 열교환하지 못한 채로 다시 팬트리(1530)로 유입될 우려가 있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제2커버(1150)와 덕트 구조물(1600)을 배면에서 바라본 것을 도시한 배면도다. 도 6은 증발기(1800, 도 8 참조)의 위치에서 제2커버(1150)의 배면을 바라본 것을 도시한 것이다.
제2커버(1150)의 배면에는 보스부(1154b)가 형성된다. 보스부(1154b)는 도 4에 도시된 체결수단 삽입부(1154a)의 반대쪽에 형성된다. 보스부(1154b)를 체결수단 삽입부(1154a)에 삽입되는 체결수단(미도시)을 감싸도록 이루어진다.
냉장고(1000)는 제2커버(1150)의 배면에 설치되는 커버 단열재(1170)를 포함한다. 커버 단열재(1170)는 관통홀(1155)에 대응되는 개구부(1171)를 구비하여, 관통홀(1155)을 제외한 제2커버(1150)의 배면을 덮도록 형성된다. 개구부(1171)를 통해 덕트 구조물(1600)의 베이스부(1610), 팬트리 팬(1900), 및 덕트 단열재(1700)가 노출된다.
커버 단열재(1170)의 두 부분(1712, 1713)은 개구부(1171)의 아래에서 서로 이격되어 그 사이에 배수 유로(1714)를 형성한다. 덕트 구조물(1600) 내부에 응축된 물은 커버 단열재(1170)의 배수 유로(1714)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제2커버(1150)는 덕트 구조물(1600)을 지지하도록 관통홀(1155)을 향해 돌출된 복수의 걸림턱(1156)을 구비할 수 있다. 걸림턱(1156)은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며, 도 6에는 관통홀(1155)의 상부에 2개의 걸림턱(1156)이 형성되고, 하부에 2개의 걸림턱(1156)이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다만, 걸림턱(1156)은 팬트리 팬(1900)에 의해 발생되는 바람을 가로막지 않도록 팬트리 팬(1900)의 원주보다 바깥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커버(1150)의 하부에는 흡기구(1152a, 1152b)가 형성된다. 흡기구(1152a, 1152b)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으며, 증발기(1800)를 향하는 흡기구(1152a, 1152b)의 출구에는 필터(1157a, 1157b)가 설치될 수 있다. 필터(1157a, 1157b)는 이물질이 흡기구(1152a, 1152b)를 통해 증발기쪽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냄새를 제거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덕트 구조물(1600)은 결합 돌기(1671, 1672)와 체결수단 삽입부(1673)를 구비한다. 이에 따라 덕트 구조물(1600)은 제2커버(1150)의 전면에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제2커버(1150)에는 관통홀(1155)이 형성되므로, 덕트 구조물(1600)이 관통홀(1155)을 통해 증발기(1800) 쪽으로 빠져버릴 수 있다. 걸림턱(1156)은 덕트 구조물(1600)의 베이스부(1610)를 지지하도록 이루어지며, 걸림턱(1156)에 의해 덕트 구조물(1600)이 제2커버(1150)으로부터 임의적으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덕트 단열재(1700)는 팬트리 팬(1900)과 덕트 구조물(1600)의 사이에 배치된다. 덕트 단열재(1700)는 팬트리 팬(1900)의 테두리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덕트 단열재(1700)의 테두리는 덕트 구조물(1600)에 의해 감싸여진다. 덕트 단열재(1700)는 팬트리 팬(1900)을 감싸므로, 팬트리 팬(1900)을 고정할 수 있다.
다만, 덕트 단열재(1700)는 선택적인 구성으로, 덕트 단열재(1700) 없이 팬트리 팬(1900)이 덕트 구조물(1600)의 내측에 직접 결합되는 구성도 가능하다.
도 6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덕트 단열재(1700)는 팬트리 팬(1900)에 의해 발생되는 냉기의 유동을 막지 않도록 덕트 구조물(1600)의 냉기 토출구(1630)에 대응되는 구멍(1730, 도 8 참조)을 구비한다.
덕트 단열재(1700)는 덕트 구조물(1600)의 뒤를 대부분 막도록 형성되나, 전선의 배치를 위해 전선 수용부(1650)를 막지는 않는다. 또한, 덕트 단열재(1700)의 두 부분(1711, 1712)은 팬트리 팬(1900)의 하단과 덕트 구조물(1600)의 바닥면 사이에서 서로 이격되어 그 사이에 배수 유로(1713)를 형성한다.
덕트 구조물(1600)의 바닥면은 물이 모이도록 부분적으로 다른 영역보다 낮게 형성되는 배수 영역(1680)을 구비한다. 배수 영역(1680)은 모인 물이 배수되도록 관통홀(1155)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다. 덕트 단열재(1700)의 배수 유로(1713), 덕트 구조물(1600)의 배수 영역(1680) 및 커버 단열재(1170)의 배수 유로(1174)는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하나의 배수 유로를 형성하게 된다.
도 7은 도 1의 냉장실(1210)을 라인 B-B를 따라 자르고 일측에서 바라본 단면도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냉장실(C부분)의 세부 구조를 보인 단면도다.
아웃 케이스(1110)와 이너 케이스(1120)의 사이에 단열재(1130)가 충전된다. 도어(1311)는 냉장고 본체(1100)의 전면 개구부를 열거나 닫도록 이루어진다. 도어(1311)에 도어 라이너(1311a)와 가스켓(1311b)이 형성되는 구성, 도어(1311)에 바스켓(1540)이 결합되는 구성 및 냉장실(1210)에 선반(1510)이 설치되는 구성은 도 1에서 설명한 바 있다. 또한 냉장실(1210)의 후벽에 제1커버(1140)와 제2커버(1150)가 설치되는 구성은 앞서 도 2에서 설명하였다.
팬트리(1530)는 냉장실(1210)의 바닥에 배치되며, 드로워(1520)는 팬트리(1530)의 상측에 설치된다. 팬트리(1530)와 드로워(1520) 사이에는 격벽(1550)이 설치되며, 격벽(1550)은 드로워(1520)와 팬트리(1530)의 경계를 형성한다. 팬트리(1530)가 닫혔을 때 격벽(1550)은 팬트리(1530)의 전면부와 밀착된다. 팬트리(1530)의 전면부란 팬트리(1530)의 손잡이(1535)가 형성되는 부분을 가리킨다. 드로워(1520)의 손잡이(1520e)와 팬트리(1530)의 손잡이(1535)는 도어를 향하는 방향에 설치된다.
드로워(1520)와 팬트리(1530)의 뒤에는 제2커버(1150)가 설치된다. 제2커버(1150)의 하부에는 흡기구(1152a, 1152b)가 형성된다. 흡기구(1152a, 1152b)의 둘레는 팬트리(1530)의 하부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덕트 구조물(1600)은 흡기구(1152a, 1152b)와 높이차를 형성하며, 흡기구(1152a, 1152b)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된다.
덕트 단열재(1700)는 팬트리 팬(1900)의 전면을 마주보는 전면부(1620)를 구비한다. 전면부(1620)의 적어도 일부 영역은 하단으로 갈수록 팬트리 팬(1900)으로부터 멀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거나 굽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전면부(1620)의 적어도 일부 영역은 아래로 갈수록 팬트리 팬(1900)으로부터 멀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거나 굽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전면부(1620)의 아래에는 냉기 토출구(1630)에 대응되는 구멍(1730)이 형성되기 때문에 전면부(1620)의 적어도 일부 영역은 구멍(1730)에 가까워질수록 팬트리 팬(1900)으로부터 멀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거나 굽은 형상을 갖는다고 설명할 수도 있다.
전면부(1620)의 경사 각도나 굽은 곡률은 일정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을 참조하면 전면부(1620)에는 경사 각도가 변하는 지점이 존재하여 경사 각도가 변하는 지점의 아래에서는 더 급한 경사 각도를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전면부(1620)가 굽은 형상을 갖는 경우에도 변곡점이 존재할 수 있다.
앞서 덕트 구조물(1600)이 경사지게 형성되거나 굽은 형상을 가짐을 설명한 바 있다. 덕트 단열재(1700)가 경사지게 형성되거나 굽은 형상을 갖는 것도 덕트 구조물(1600)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이유에서다. 덕트 단열재(1700)는 선택적인 구성이므로, 덕트 단열재(1700)가 없는 냉장고에서는 덕트 구조물(1600)의 전면부(1620)가 경사지게 형성되거나 굽은 형상을 가져야 한다. 그러나 덕트 단열재(1700)가 존재하는 냉장고에서는 덕트 단열재(1700)가 경사지게 형성되거나 굽은 형상을 가지면 족하고, 반드시 덕트 구조물(1600)까지 경사지게 형성되거나 굽은 형상을 가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드로워(1520)의 후벽(1521b')은 덕트 구조물(1600)의 전면부(1620)에 대응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거나 굽은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덕트 구조물(1600)로부터 이격된다. 마찬가지로 팬트리(1530)의 후벽(1531)도 흡기구(1152a, 1152b)로부터 이격된다.
증발기(1800)는 냉매 배관(1801)의 적층에 의해 형성된 복수의 열(列)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각각의 냉매 배관에는 열교환 면적 확장을 위한 핀(fin)(1802)이 결합된다. 흡기구(1152a, 1152b)는 하부 열(1810)에 대응되도록 배치되고, 덕트 구조물(1600)과 팬트리 팬(1900)은 상부 열(1830, 1840, 1850)에 대응되도록 배치된다. 증발기(1800)는 여러 냉매 배관들(1803, 1804, 1805)과 연결된다.
덕트 구조물(1600)은 팬트리(1530)와 격벽(1550) 사이의 공간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증발기(1800)에서 차가워진 냉기는 냉기 토출구(1630)를 통해 팬트리(1530)로 직접 공급될 수 있으며, 팬트리(1530)의 내부 온도는 냉장실(1210)의 평균 온도보다 낮은 온도로 유지될 수 있다.
냉장실 팬(1160)은 증발기(1800)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냉장실 팬(1160)에 의해 냉기가 냉장실(1210)로 공급된다. 냉장실 냉기 유로(1147, 도 5 참조)는 팬트리(1530)로 냉기를 공급하는 냉기 유로와 이원화되어 있다. 팬트리(1530)로 냉기를 공급하는 냉기 유로는 덕트 구조물(1600)에 의해 형성되는 유로를 가리킨다.
도 9는 본 발명의 덕트 구조물(2600)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다.
덕트 구조물(2600)이 폐쇄부(2633)를 구비한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9에 도시된 덕트 구조물(2600)의 다른 구성은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덕트 구조물(1600)과 동일하다. 덕트 구조물(2600)은 베이스부(2610), 전면부(2620), 냉기 토출구(2630), 온도 센서 수용부(2640), 냉기 출입구(2641), 전선 수용부(2650), 전선 수용홈(2660), 결합 돌기(2671, 2672), 체결수단 삽입부(2673) 및 배수 영역(미도시)을 구비한다. 이들 구성에 대한 설명은 도 3 및 도 6의 설명으로 갈음한다.
폐쇄부(2633)는 냉기 토출구(2630)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가리도록 형성된다. 폐쇄부(2633)에 의해 폐쇄되는 냉기 토출구(2630)의 일 영역은 냉기 토출구(2630)의 좌측 둘레(2631)와 우측 둘레(2632) 중 다른 하나보다 더욱 돌출된 쪽의 영역에 해당한다.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된 냉기 토출구(2630)의 주위에는 좌측 둘레(2631)와 우측 둘레(2632)가 형성되며, 좌측 둘레(2631)가 우측 둘레(2632)보다 더욱 돌출된다. 이에 따라 냉기 토출구(2630)는 비스듬한 방향을 향해 개구된다.
그리고 좌측 둘레(2631)와 우측 둘레(2632) 중 다른 하나보다 더욱 돌출된 쪽의 냉기 토출구(2630)가 폐쇄부(2633)에 의해 부분적으로 막힐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를 참조하면 폐쇄부(2633)는 냉기 토출구(2630)에서 좌측 둘레(2631)쪽의 영역을 폐쇄하도록 이루어진다.
폐쇄부(2633)가 형성되는 이유는 팬트리(2530)의 중심으로부터 일측으로 편심되게 배치되는 덕트 구조물(2600)로부터 냉기가 팬트리(2530)의 중앙을 향해 토출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폐쇄부(2633)에 의해 냉기 토출구(2630)의 좌측 영역이 폐쇄되므로, 냉기는 냉기 토출구(2630)의 중앙이나 우측 영역을 통해 토출될 것이며, 자연스럽게 팬트리(2530)의 중앙을 향해 토출될 것임을 예상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냉장실(1210, 도 1 참조)을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냉동실(1220, 도 1 참조)에도 동일하게 적용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이 냉동실에 적용되는 경우 냉장실 냉기 유로, 냉장실 팬, 냉장실 냉기 토출구의 명칭은 냉동실 냉기 유로, 냉동실 팬, 냉동실 냉기 토출구로 명명될 수 있다. 또한 식품 저장실 냉기 유로라는 용어가 냉장실 냉기 유로와 냉동실 냉기 유로를 포함하는 용어로 사용될 수 있고, 식품 저장실 팬이라는 용어가 냉장실 팬과 냉동실 팬을 포함하는 용어로 사용될 수 있으며, 식품 저장실 냉기 토출구라는 용어가 냉장실 냉기 토출구와 냉동실 냉기 토출구를 포함하는 용어로 사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냉장고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00 : 냉장고
1100 : 냉장고 본체
1110 : 아웃 케이스
1120 : 이너 케이스
1130 : 단열재
1140 : 제1커버
1141, 1142, 1143, 1144 : 냉장실 냉기 토출구
1145 : 선반 홀더 수용부
1146 : 선반 홀더
1147 : 냉장실 냉기 유로
1150 : 제2커버
1151a : 경사부
1151b : 수직부
1152a, 1152b : 흡기구
1153 : 결합 돌기 수용부
1154a, : 체결수단 삽입부
1154b : 보스부
1155 : 관통홀
1160 : 냉장실 팬
1200 : 식품 저장실
1210 : 냉장실
1220 : 냉동실
1311, 1312 : 냉장실 도어 (1311 : 좌측 냉장실 도어, 1312 : 우측 냉장실 도어)
1311a, 1312a : 냉장실 도어의 도어 라이너
1311b, 1312b : 냉장실 도어의 가스켓
1321, 1322 : 냉동실 도어 (1321 : 좌측 냉동실 도어, 1322 : 우측 냉동실 도어)
1321a, 1322a : 냉동실 도어의 도어 라이너
1321b, 1322b : 냉동실 도어의 가스켓
1411, 1412 : 상부 힌지 (1411 : 좌측 상부 힌지, 1412 : 우측 상부 힌지)
1421, 1422 : 중간 힌지 (1421 : 좌측 중간 힌지, 1422 : 우측 중간 힌지)
1431, 1432 : 하부 힌지 (1431 : 좌측 하부 힌지, 1432 : 우측 하부 힌지)
1510 : 선반
1520 : 드로워
1521 : 좌측 드로워
1522 : 우측 드로워
1521a : 슬라이딩부
1521a’ : 변형 방지부
1521b : 롤러
1521c : 후벽
1530 : 팬트리
1531 측벽
1532 : 후벽
1532a : 냉기 토출구의 배치 영역
1533 : 슬라이딩부
1533a : 변형 방지부
1540 : 바스켓
1550 : 격벽
1560 : 슬라이딩 레일
1561 : 레일부
1562 : 롤러
1563 : 변형 방지부
1570 : 슬라이딩 레일
1571 : 레일부
1572 : 변형 방지부
1600 : 덕트 구조물
1610 : 베이스부
1620 : 전면부
1630 : 냉기 토출구
1640 : 온도 센서 수용부
1641 : 냉기 출입구
1650 : 전선 수용부
1660 : 전선 수용홈
1671, 1672, 1673 : 결합부 (1671, 1672 : 결합 돌기, 1673 : 체결수단 삽입부)

Claims (15)

  1. 식품 저장실에 배치되는 팬트리;
    적어도 일부가 상기 식품 저장실의 뒤에 설치되는 증발기를 가리도록 형성되며, 상기 증발기를 마주보는 위치에 관통홀을 구비하는 커버;
    상기 커버의 전면에 결합되어 상기 관통홀을 덮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팬트리를 향해 돌출된 냉기 토출구를 구비하는 덕트 구조물;
    상기 덕트 구조물의 내측에 결합되며, 상기 증발기와의 열교환에 의해 형성된 냉기를 상기 덕트 구조물의 냉기 토출구를 통해 상기 팬트리로 공급하도록 이루어지는 팬트리 팬; 및
    상기 커버의 배면에 설치되는 커버 단열재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 단열재는 상기 관통홀에 대응되는 개구부를 구비하며, 상기 커버 단열재의 두 부분은 상기 개구부의 아래에서 서로 이격되어 그 사이에 배수 유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 토출구가 비스듬한 방향을 향해 개구되도록, 상기 냉기 토출구의 좌측 둘레와 우측 둘레 중 어느 하나는 다른 하나보다 더욱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둘레와 우측 둘레 중 다른 하나보다 더욱 돌출된 쪽의 냉기 토출구가 부분적으로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 구조물은 상기 팬트리 팬의 전면을 마주보도록 형성되는 전면부를 구비하고,
    상기 덕트 구조물의 냉기 토출구는 상기 전면부의 아래에 형성되며,
    상기 전면부의 적어도 일부 영역은 아래로 갈수록 상기 팬트리 팬으로부터 멀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거나 굽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냉장고는 상기 팬트리의 상측에 배치되는 드로워를 포함하고,
    상기 드로워의 후벽은 상기 덕트 구조물의 전면부에 대응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거나 굽은 형상을 가지며,
    상기 덕트 구조물의 냉기 토출구는 상기 팬트리와 상기 드로워 사이의 높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팬트리는 상기 커버를 마주보도록 형성되는 후벽을 구비하고,
    상기 후벽의 일부 영역은 상기 냉기 토출구의 배치 영역을 형성하도록 다른 영역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식품 저장실에 배치되는 팬트리;
    적어도 일부가 상기 식품 저장실의 뒤에 설치되는 증발기를 가리도록 형성되며, 상기 증발기를 마주보는 위치에 관통홀을 구비하는 커버;
    상기 커버의 전면에 결합되어 상기 관통홀을 덮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팬트리를 향해 돌출된 냉기 토출구를 구비하는 덕트 구조물;
    상기 덕트 구조물의 내측에 결합되며, 상기 증발기와의 열교환에 의해 형성된 냉기를 상기 덕트 구조물의 냉기 토출구를 통해 상기 팬트리로 공급하도록 이루어지는 팬트리 팬; 및
    상기 팬트리 팬과 상기 덕트 구조물의 사이에 배치되는 덕트 단열재를 포함하고,
    상기 덕트 단열재는 상기 팬트리 팬의 테두리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상기 덕트 구조물의 냉기 토출구에 대응되는 구멍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 단열재는 상기 팬트리 팬의 전면을 마주보는 전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전면부의 적어도 일부 영역은 하단으로 갈수록 상기 팬트리 팬으로부터 멀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거나 굽은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 단열재의 두 부분은 상기 팬트리 팬의 하단과 상기 덕트 구조물의 바닥면 사이에서 서로 이격되어 그 사이에 배수 유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0. 삭제
  11. 식품 저장실에 배치되는 팬트리;
    적어도 일부가 상기 식품 저장실의 뒤에 설치되는 증발기를 가리도록 형성되며, 상기 증발기를 마주보는 위치에 관통홀을 구비하는 커버;
    상기 커버의 전면에 결합되어 상기 관통홀을 덮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팬트리를 향해 돌출된 냉기 토출구를 구비하는 덕트 구조물; 및
    상기 덕트 구조물의 내측에 결합되며, 상기 증발기와의 열교환에 의해 형성된 냉기를 상기 덕트 구조물의 냉기 토출구를 통해 상기 팬트리로 공급하도록 이루어지는 팬트리 팬을 포함하고,
    상기 덕트 구조물의 바닥면은 물이 모이도록 부분적으로 다른 영역보다 낮게 형성되는 배수 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배수 영역은 모인 물이 배수되도록 상기 관통홀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팬트리 팬은 축방향으로 바람을 일으키는 축류팬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3. 식품 저장실에 배치되는 팬트리;
    적어도 일부가 상기 식품 저장실의 뒤에 설치되는 증발기를 가리도록 형성되며, 상기 증발기를 마주보는 위치에 관통홀을 구비하는 커버;
    상기 커버의 전면에 결합되어 상기 관통홀을 덮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팬트리를 향해 돌출된 냉기 토출구를 구비하는 덕트 구조물;
    상기 덕트 구조물의 내측에 결합되며, 상기 증발기와의 열교환에 의해 형성된 냉기를 상기 덕트 구조물의 냉기 토출구를 통해 상기 팬트리로 공급하도록 이루어지는 팬트리 팬;
    상기 식품 저장실의 후벽 또는 상기 커버에 형성되는 식품 저장실 냉기 토출구;
    상기 식품 저장실의 후벽 또는 상기 커버의 뒤에 설치되며, 상기 증발기와의 열교환에 의해 형성된 냉기를 상기 식품 저장실 냉기 토출구로 공급하도록 원주 방향으로 바람을 일으키는 식품 저장실 팬; 및
    상기 식품 저장실 팬의 둘레를 감싸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식품 저장실 팬의 둘레에서 연장되어 상기 식품 저장실 냉기 토출구에 연결되는 식품 저장실 냉기 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팬트리 팬은 상기 식품 저장실 냉기 유로와 구분되는 냉기 유로를 통해 상기 팬트리로 냉기를 공급하도록 상기 식품 저장실 냉기 유로의 외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4. 식품 저장실에 배치되는 팬트리;
    적어도 일부가 상기 식품 저장실의 뒤에 설치되는 증발기를 가리도록 형성되며, 상기 증발기를 마주보는 위치에 관통홀을 구비하는 커버;
    상기 커버의 전면에 결합되어 상기 관통홀을 덮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팬트리를 향해 돌출된 냉기 토출구를 구비하는 덕트 구조물; 및
    상기 덕트 구조물의 내측에 결합되며, 상기 증발기와의 열교환에 의해 형성된 냉기를 상기 덕트 구조물의 냉기 토출구를 통해 상기 팬트리로 공급하도록 이루어지는 팬트리 팬을 포함하고,
    상기 증발기는 냉매 배관의 적층에 의해 형성된 복수의 열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열은 높이를 기준으로 상부 열과 하부 열으로 구분되며,
    상기 커버 뒤의 공간으로 상기 팬트리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 열과 대응되는 높이에 형성되는 흡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덕트 구조물은 상기 흡기구와 높이차를 형성하며 상기 상부 열과 대응되는 높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덕트 구조물을 지지하도록 상기 관통홀을 향해 돌출된 복수의 걸림턱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160004340A 2016-01-13 2016-01-13 냉장고 KR1023812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4340A KR102381242B1 (ko) 2016-01-13 2016-01-13 냉장고
EP17151208.0A EP3193109B1 (en) 2016-01-13 2017-01-12 Refrigerator
US15/405,539 US10203146B2 (en) 2016-01-13 2017-01-13 Refrig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4340A KR102381242B1 (ko) 2016-01-13 2016-01-13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4916A KR20170084916A (ko) 2017-07-21
KR102381242B1 true KR102381242B1 (ko) 2022-03-31

Family

ID=57794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4340A KR102381242B1 (ko) 2016-01-13 2016-01-13 냉장고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203146B2 (ko)
EP (1) EP3193109B1 (ko)
KR (1) KR10238124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6224608A1 (de) * 2016-12-09 2018-06-14 BSH Hausgeräte GmbH Haushaltskältegerät mit spezifischem Abdecksystem in einem Aufnahmeraum für Lebensmittel
KR102289289B1 (ko) 2017-03-10 2021-08-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CN109028706A (zh) * 2018-08-07 2018-12-18 澳柯玛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多温区的风道组件
CN108917269A (zh) * 2018-08-07 2018-11-30 澳柯玛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多温区冰箱的风道组件
US20220196320A1 (en) * 2019-03-22 2022-06-23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WO2020197212A1 (ko) * 2019-03-22 2020-10-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WO2020197211A1 (ko) * 2019-03-22 2020-10-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220007293A (ko) * 2020-07-10 2022-0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452977A2 (en) 1990-04-20 1991-10-23 Sanyo Electric Co., Ltd. Refrigerator
US20080156029A1 (en) 2006-12-28 2008-07-03 General Electric Company Freezer storage assembly for a refrigerator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3534Y1 (ko) * 1998-10-30 2002-06-24 전주범 냉장고의에어커텐장치
US6675603B1 (en) * 2000-06-12 2004-01-13 General Electric Company Sealed refrigerator pan assembly
JP2007071465A (ja) * 2005-09-08 2007-03-22 Hitachi Appliances Inc 冷蔵庫
JP2009513567A (ja) 2005-09-26 2009-04-02 ノバセア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ッド 活性ビタミンd化合物を用いた化学療法又は放射線療法に関連する胃腸及び膀胱の疾患の予防及び治療
KR101390448B1 (ko) * 2007-02-26 2014-04-29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PL2324306T3 (pl) * 2008-09-09 2017-05-31 Arçelik Anonim Sirketi Urządzenie chłodzące
CN103097839B (zh) * 2010-02-26 2015-06-17 Lg电子株式会社 冰箱
KR20120006699A (ko) * 2010-07-13 2012-01-19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101458469B1 (ko) * 2012-04-10 2014-11-10 삼성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452977A2 (en) 1990-04-20 1991-10-23 Sanyo Electric Co., Ltd. Refrigerator
US20080156029A1 (en) 2006-12-28 2008-07-03 General Electric Company Freezer storage assembly for a refriger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203146B2 (en) 2019-02-12
US20170198961A1 (en) 2017-07-13
EP3193109B1 (en) 2021-07-07
EP3193109A1 (en) 2017-07-19
KR20170084916A (ko) 2017-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81242B1 (ko) 냉장고
US11692766B2 (en) Refrigerator
KR100751119B1 (ko) 냉장고
RU2440541C2 (ru) Холодильный аппарат
US10648723B2 (en) Refrigerator
KR102418144B1 (ko) 냉장고
KR102492165B1 (ko) 냉장고
US8302424B2 (en) Refrigerator
JP2007071521A (ja) 冷蔵庫
KR101283190B1 (ko) 도어에 증발기가 설치된 냉장고
KR20100050350A (ko) 냉장고
KR100901033B1 (ko) 그릴팬 어셈블리
KR101052971B1 (ko) 냉장고
CN112066620A (zh) 冰箱
KR100651308B1 (ko) 냉장고
JP6865349B2 (ja) 冷蔵庫
JP2004293990A (ja) 冷蔵庫
JP3696140B2 (ja) 冷蔵庫
KR200217745Y1 (ko) 냉장고의 특선실선반
KR20100071358A (ko) 냉장고
KR20100028828A (ko) 냉장고
KR100288425B1 (ko) 냉장고의 냉기 토출구조
KR20110085109A (ko) 냉장고
KR19990035964U (ko) 냉장고의 특선실선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