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0933B1 - 축사내에 설치된 카메라 제어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축사내에 설치된 카메라 제어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0933B1
KR102380933B1 KR1020200134048A KR20200134048A KR102380933B1 KR 102380933 B1 KR102380933 B1 KR 102380933B1 KR 1020200134048 A KR1020200134048 A KR 1020200134048A KR 20200134048 A KR20200134048 A KR 20200134048A KR 102380933 B1 KR102380933 B1 KR 1023809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rkers
view
marker
control val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40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광명
안형준
Original Assignee
인트플로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트플로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인트플로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340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09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09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09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5/23296
    • H04N5/23299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사내에 설치된 카메라 제어 시스템은 데이터 송수신 모듈; 마커 인식을 활용한 CCTV 카메라 화각 설정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및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프로세서는 프로그램의 실행에 의해, 각 가축방에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CCTV 카메라가 탐색 영역 내에서 제1화각으로 촬영한 영상을 데이터 송수신 모듈을 통해 수신하고, 수신한 영상으로부터 마커를 식별하되, 각 가축방과 매칭된 고유식별정보를 공유하는 적어도 2개의 마커가 식별될 때까지 CCTV 카메라의 PTZ제어값을 도출하고, PTZ제어값에 기초하여, 고유식별정보에 해당하는 CCTV 카메라의 P(Pan), T(tilt), Z(zoom) 값을 각각 조절하여, 최적 화각 화면을 제공하고, 최적 화각 화면은 각 마커의 위치의 중심점이 화면의 가운데 오도록 제어된다.

Description

축사내에 설치된 카메라 제어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CAMERA INSTALLED IN PEN}
본 발명은 축사내에 설치된 카메라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 돼지 등과 같은 가축들은 축사에서 사육되고 있으며, 축산 농가에서는 가축들의 상태를 관찰하기 위하여 CCTV장치를 이용하여 모니터링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CCTV에서 촬영하고자 하는 화면을 담아내기 위해서는 CCTV의 동체를 물리적으로 조정하거나 수동으로 PTZ 제어를 수행해야 한다. 즉 CCTV의 촬영 화면을 육안으로 확인하며 화각을 수동으로 조정해야 한다는 번거로움이 있다.
따라서, CCTV설치 후 관리해야 하는 카메라의 수가 늘어날수록 각 카메라 별 최적 화각 설정을 위한 불편함도 증가한다. 이와 관련한 종래의 기술로는 화각 내 사용자의 시선을 추적하거나 사용자 몸에 부착된 적외선 마커를 추적하는 기술들이 있으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들은 의도된 특정 단일 객체를 쫓는 것이 최적 화각인 시나리오에 적합하며 CCTV와 같이 정적인 화면 내에서 최적의 화각을 설정하는 문제에는 적합하지 않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 10-1850534 호 (발명의 명칭: 적외선 카메라와 마커를 이용한 영상 촬영 시스템, 방법 및 어플리케이션)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CCTV 탐색 영역 내에 존재하는 한 개 이상의 이진마커의 위치를 식별하고, 이들이 모두 화각의 경계면에 존재하는 화각을 설정하기 위한 PTZ(Pan-Tilt-Zoom) 제어값을 계산하며, PTZ 제어값을 기초로 CCTV 내 PTZ 제어 모터를 최적 화각으로 제어하는 카메라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사내에 설치된 카메라 제어 시스템은 데이터 송수신 모듈; 마커 인식을 활용한 CCTV 카메라 화각 설정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및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프로세서는 프로그램의 실행에 의해, 각 가축방에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CCTV 카메라가 탐색 영역 내에서 제1화각으로 촬영한 영상을 데이터 송수신 모듈을 통해 수신하고, 수신한 영상으로부터 마커를 식별하되, 각 가축방과 매칭된 고유식별정보를 공유하는 적어도 2개의 마커가 식별될 때까지 CCTV 카메라의 PTZ제어값을 도출하고, PTZ제어값에 기초하여, 고유식별정보에 해당하는 CCTV 카메라의 P(Pan), T(tilt), Z(zoom) 값을 각각 조절하여, 최적 화각 화면을 제공하고, 최적 화각 화면은 각 마커의 위치의 중심점이 화면의 가운데 오도록 제어된다.
프로세서는 고유식별정보를 공유하는 적어도 2개의 마커가 식별되지 않는 경우, CCTV 카메라가 탐색 영역의 전체를 모두 초라영할 때까지 PTZ 제어값을 다시 설정한다.
프로세서는 고유식별정보를 공유하는 적어도 2개의 마커가 식별되는 경우, 도출된 PTZ 제어값 및 각 마커간 거리값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프로세서는 최적 화각 화면을 제공하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각 마커간 거리가 최대화되는 PTZ 제어값의 각 P(Pan), T(tilt), Z(zoom) 값을 색출하고, 해당 최적 화각 안의 각 마커가 외각 대칭 지점에 위치하도록 중심점을 이동하고, 각 마커가 최적 화각의 경계에 중첩할 때까지 Z값을 증가시킨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축사내에 설치된 카메라 제어 시스템을 이용한 카메라 제어 방법은 (a) 각 가축방에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CCTV 카메라가 탐색 영역 내에서 제1화각으로 촬영한 영상을 데이터 송수신 모듈을 통해 수신하는 단계, (b) 수신한 영상으로부터 마커를 식별하되, 각 가축방과 매칭된 고유식별정보를 공유하는 적어도 2개의 마커가 식별될 때까지 CCTV 카메라의 PTZ제어값을 도출하는 단계, 및 (c) 도출된 PTZ제어값에 기초하여, 고유식별정보에 해당하는 CCTV 카메라의 P(Pan), T(tilt), Z(zoom) 값을 각각 조절하여, 최적 화각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최적 화각 화면은 각 마커의 위치의 중심점이 화면의 가운데 오도록 제어된다.
(b) 단계는 고유식별정보를 공유하는 적어도 2개의 마커가 식별되지 않는 경우, CCTV 카메라가 탐색 영역의 전체를 모두 촬영할 때까지 PTZ 제어값을 다시 설정한다.
(b) 단계는 고유식별정보를 공유하는 적어도 2개의 마커가 식별되는 경우, 도출된 PTZ 제어값 및 각 마커간 거리값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c) 단계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각 마커간 거리가 최대화되는 PTZ 제어값의 각 P(Pan), T(tilt), Z(zoom) 값을 색출하고, 해당 최적 화각 안의 각 마커가 외각 대칭 지점에 위치하도록 중심점을 이동하고, 각 마커가 최적 화각의 경계에 중첩할 때까지 Z값을 증가시킨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스마트팜 분야에서 본 발명의 카메라 제어 시스템 도입 시 관심 영역 내에 이진마커를 부착하는 것만으로도 최적의 화각을 포착할 수 있으며, 원격관제 및 AI 분석의 효용성을 높일 수 있다.
더불어, 축산 스마트팜, 스마트 팩토리, 스마트 시티 등 PTZ CCTV를 활용한 지능형 영상관제 솔루션 전반에 접목되어, 시간과 물리적 노력 투입을 최소화 하면서 영상관제 및 분석의 효용성을 높일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사내에 설치된 카메라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CTV 카메라 및 마커가 배치된 복수의 가축방으로 구성된 축사의 평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사내에 설치된 카메라 제어 시스템에 따라 PTZ 제어값을 제어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으로부터 마커를 식별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유식별정보를 공유하는 2개의 마커의 식별한 경우 최적 화각의 PTZ제어값으로 설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사내에 설치된 카메라 제어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사내에 설치된 카메라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축사내에 설치된 카메라 제어 시스템(100)은 복수의 카메라(10), 데이터 송수신 모듈(120), 프로세서(130), 메모리(140) 및 데이터베이스(15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CTV 카메라 및 마커가 배치된 복수의 가축방으로 구성된 축사의 평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CCTV 카메라(10)는 축사 내에 구비된 복수의 가축방(1)을 모니터링 하도록 각 가축방(1)에 적어도 하나가 할당될 수 있다. 또한 CCTV 카메라(10)는 탐색 영역 내에서 소정의 화각으로 촬영한 영상을 데이터 송수신 모듈(120)에 송신할 수 있다. 이때 CCTV 카메라(10)는 할당된 가축방(1)과 매칭된 고유식별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각 가축방(1) 별로 적어도 2개 이상의 마커(D)가 부착될 수 있다. 이때 마커(D)는 가축방(1)과 매칭된 고유식별정보를 공유하며, CCTV 카메라(10)에 의해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식별될 수 있다.
데이터 송수신 모듈(120)은 CCTV 카메라(10)가 소정의 화각으로 촬영한 영상을 수신하여 프로세서(130)로 전송하고, 후술하는 PTZ제어값을 CCTV 카메라(10)로 송신할 수 있다.
데이터 송수신 모듈(120)은 다른 네트워크 장치와 유무선 연결을 통해 제어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와 같은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해 필요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장치일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메모리(14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되, 마커 인식을 활용한 CCTV 카메라 화각 설정 프로그램의 실행에 따라 다음과 같은 처리를 수행한다.
프로세서(130)는 각 가축방(1)에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CCTV 카메라(10)가 탐색 영역 내에서 제1화각으로 촬영한 영상을 데이터 송수신 모듈(120)을 통해 수신하고, 수신한 영상으로부터 마커(D)를 식별하되, 각 가축방(1)과 매칭된 고유식별정보를 공유하는 적어도 2개의 마커(D)가 식별될 때까지 CCTV 카메라(10)의 PTZ제어값을 도출하고, PTZ제어값에 기초하여, 고유식별정보에 해당하는 CCTV 카메라(10)의 P(Pan), T(tilt), Z(zoom) 값을 각각 조절하여, 최적 화각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최적 화각 화면은 각 마커(D)의 위치의 중심점이 화면의 가운데 오도록 제어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30)는 고유식별정보를 공유하는 적어도 2개의 마커(D)가 식별되지 않는 경우, CCTV 카메라(10)가 탐색 영역의 전체를 모두 초라영할 때까지 PTZ 제어값을 다시 설정할 수 있다.
이후, 프로세서(130)는 고유식별정보를 공유하는 적어도 2개의 마커(D)가 식별되는 경우, 도출된 PTZ 제어값 및 각 마커(D) 간 거리값을 데이터베이스(150)에 저장할 수 있다. PTZ제어값과 각 마커 간 거리값을 저장하기 위한 구체적인 과정은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이러한 프로세서(130)는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그램 내에 포함된 코드 또는 명령으로 표현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물리적으로 구조화된 회로를 갖는,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의 일 예로써, 마이 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프로세서 코어(processor core), 멀티프로세서(multiprocessor),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의 처리 장치를 망라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메모리(140)에는 마커 인식을 활용한 CCTV 카메라 화각 설정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이러한 메모리(140)에는 카메라 제어 시스템(100)의 구동을 위한 운영 체제나 마커 인식을 활용한 CCTV 카메라 화각 설정 프로그램의 실행 과정에서 발생되는 여러 종류가 데이터가 저장된다.
이때, 메모리(140)는 전원이 공급되지 않아도 저장된 정보를 계속 유지하는 비휘발성 저장장치 및 저장된 정보를 유지하기 위하여 전력이 필요한 휘발성 저장장치를 통칭하는 것이다.
또한, 메모리(140)는 프로세서(130)가 처리하는 데이터를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메모리(140)는 저장된 정보를 유지하기 위하여 전력이 필요한 휘발성 저장장치 외에 자기 저장 매체(magnetic storage media) 또는 플래시 저장 매체(flash storage media)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데이터베이스(150)는 프로세서(130)의 제어에 따라, 카메라 제어 시스템(100)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 또는 제공한다. 예시적으로, 데이터베이스(150)는 CCTV 카메라(10)로부터 수신된 영상으로부터 고유식별정보를 공유하는 적어도 2개의 마커(D)가 식별되는 경우, 해당 영상을 촬영한 CCTV 카메라(10)의 PTZ 제어값 및 해당 영상으로부터 식별된 각 마커(D)간 거리값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베이스(150)는 메모리(140)와는 별도의 구성 요소로서 포함되거나, 또는 메모리(140)의 일부 영역에 구축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사내에 설치된 카메라 제어 시스템에 따라 PTZ 제어값을 제어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30)는 CCTV 카메라(10)로부터 수신한 영상으로부터 CCTV 카메라(10)의 현재 화각 내 마커(D)를 인식하고(S10), 동일한 고유식별정보를 공유하는 적어도 2개의 마커(D)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20).
일 예로, S20단계에서 동일한 고유식별정보를 공유하는 2개의 마커(D)가 식별되지 않은 경우, 단계별로 CCTV 카메라(10)의 탐색 영역 내에서 PTZ 제어값이 다시 설정될 수 있다(S202). 여기서, PTZ 제어값은 p=p+1, t=t+1, z=z+1의 식에 의해, S202단계가 반복될 때마다 단계별로 재설정될 수 있다. 이후, 재설정된 PTZ 제어값에 기초하여, CCTV 카메라(10) 내 PTZ 제어 모터가 n회차 화각으로 제어될 수 있다(S203). 이때 전영역의 탐색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 n회차 화각 내 마커(D)를 인식할 수 있도록 S10단계로 돌아갈 수 있다(S204). 한편, S202 내지 S203단계를 반복하여 전 영역의 탐색이 완료된 경우, 재설정된 PTZ 제어값을 데이터베이스(150)에 저장할 수 있다.
다른 예로, S20단계에서 동일한 고유식별정보를 공유하는 2개의 마커(D)가 식별되는 경우, 해당 영상을 촬영한PTZ 제어값 및 마커(D) 간 거리값을 데이터베이스(150)에 저장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탐색 과정 중 2개 이상의 마커(D)가 식별되는 경우, 해당 PTZ 제어값을 데이터베이스(150)에 저장할 수 있다. 이때 데이터베이스(150)는 영상으로부터 식별된 마커(D)의 총 개수가 2개 이상이고, 이 중에서 2개의 마커(D)의 고유식별정보가 같은 경우에만 PTZ제어값을 저장할 수 있다.
즉, CCTV 카메라(10)에서 수신된 영상의 현재 화각 내 마커(D)의 존재 유무를 인식한 이후, 마커(D)가 없는 것으로 식별되면 PTZ 제어 단계(S202)를 수행하여 인근의 다른 화각을 탐색할 수 있다. 이때, 마커(D) 존재 유무를 인식하는 것은 프로세서(130)가 마커(D)에 저장된 식별 정보를 확인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한 해상도를 가진 경우에 동작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마커(D)는 이진 QR코드와 같은 이진마커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데이터베이스(150)에 저장된 PTZ 제어값에 기초하여, 할당영역을 판별(예를 들어, 각 가축방에 할당된 CCTV 카메라로부터 수신한 영상이 해당 가축방과 매칭된 고유식별정보를 공유하는 2개 마커의 포함 여부 확인)하고(S30), 할당영역의 존재 여부를 확인(예를 들어, 수신한 영상의 마커간 거리 d가 최대화되는 p, t, z값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되는지 여부 확인)할 수 있다(S40). 이어서, S40단계에서, 할당영역이 존재하는 경우, CCTV 카메라(10)가 최적 화각으로 촬영하도록 PTZ 제어값을 설정하고(S401), 할당영역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CCTV 카메라(10)가 기본 설정 화각으로 촬영하도록 PTZ 제어값을 설정할 수 있다(S402).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으로부터 마커를 식별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CCTV 카메라(10)의 탐색 화각(1a) 내에서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2개의 마커가 인식되었으나, 각 마커별 방 번호가 다른(D2, D3) 경우, 해당 탐색 화각(1a)에 대한 PTZ제어값이 데이터베이스(150)에 저장되지 않는다.
한편,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CCTV 카메라(10)의 다른 탐색 화각(1b) 내에서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3개의 마커가 인식되었고, 2개의 마커별 방 번호가 같고(D2), 1개의 마커 방 번호가 다른(D3) 경우, 해당 탐색 화각(1b)에 대한 PTZ제어값이 데이터베이스(150)에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베이스(150)의 요소값(C) 갱신 공식은 수식1과 같다.
<수식1>
Figure 112020109467339-pat00001
여기서 m은 화각 내에 존재하며 서로 동일한 식별값을 지니는 마커의 개수를 의미하고, d, p, t, z 는 각각 2개의 마커간의 거리, 카메라 내의 Pan, Tilt, Zoom 제어값을 의미한다. 또한 i 는 [d, p, t, z]의 인덱스를 의미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유식별번호를 공유하는 2개의 마커를 식별한 경우 최적 화각의 PTZ제어값으로 설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30)는 CCTV 카메라(10)의 구동 가능한 모든 PTZ 제어값에 대한 탐색이 완료된 후 데이터베이스(150)에 요소값(C)이 있는 경우, 2 개의 마커(D2)들이 모두 경계(101)에 들어오는 최적 화각을 지니도록 PTZ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는 최적 화각을 설정하기 위하여, 데이터베이스(150)로부터 각 마커(D) 간 거리가 최대화되는 PTZ 제어값의 각 P, T, Z 값을 수식2에 의해, 색출할 수 있다.
<수식2>
Figure 112020109467339-pat00002
이어서, 해당 최적 화각 안의 각 마커(D)가 외각 대칭 지점에 위치하도록 중심점을 수식3에 의해, 이동할 수 있다.
<수식3>
Figure 112020109467339-pat00003
여기서 Map(x, y) 함수는 화각 내 디지털 좌표값을 입력받아 해당 지점이 화각의 중심에 오도록 하는 Pan, Tilt 제어값을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각 마커(D)가 최적 화각의 경계에 중첩할 때까지 Zoom값을 증가시킬 수 있다. 즉, 2개의 마커 중 하나가 화면에서 사라지기 전 단계까지 while m = 2, z ← z+1, z ← z-1와 같이 줌을 진행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사내에 설치된 카메라 제어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축사내에 설치된 카메라 제어 시스템을 이용한 카메라 제어 방법은 각 가축방(1)에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CCTV 카메라(10)가 탐색 영역 내에서 제1화각으로 촬영한 영상을 데이터 송수신 모듈(120)을 통해 수신하는 단계(S110), 수신한 영상으로부터 마커를 식별하되, 각 가축방과 매칭된 고유식별정보를 공유하는 적어도 2개의 마커가 식별될 때까지 CCTV 카메라의 PTZ제어값을 도출하는 단계(S120), 및 도출된 PTZ제어값에 기초하여, 고유식별정보에 해당하는 CCTV 카메라(10)의 P(Pan), T(tilt), Z(zoom) 값을 각각 조절하여, 최적 화각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S130)를 포함하며, 최적 화각 화면은 각 마커의 위치의 중심점이 화면의 가운데 오도록 제어될 수 있다.
S120 단계는 고유식별정보를 공유하는 적어도 2개의 마커가 식별되지 않는 경우, CCTV 카메라(10)가 탐색 영역의 전체를 모두 촬영할 때까지 PTZ 제어값을 다시 설정할 수 있다.
S120 단계는 고유식별정보를 공유하는 적어도 2개의 마커가 식별되는 경우, 도출된 PTZ 제어값 및 각 마커간 거리값을 데이터베이스(150)에 저장할 수 있다.
S130 단계는 데이터베이스(150)로부터 각 마커(D) 간 거리가 최대화되는 PTZ 제어값의 각 P(Pan), T(tilt), Z(zoom) 값을 색출하고, 해당 최적 화각 안의 각 마커(D)가 외각 대칭 지점에 위치하도록 중심점을 이동하고, 각 마커(D)가 최적 화각의 경계에 중첩할 때까지 Z값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법 및 시스템은 특정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그것들의 구성 요소 또는 동작의 일부 또는 전부는 범용 하드웨어 아키텍쳐를 갖는 컴퓨터 시스템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카메라 제어 시스템
10: CCTV 카메라
120: 데이터 송수신 모듈
130: 프로세서
140: 메모리
150: 데이터베이스

Claims (8)

  1. 축사내에 설치된 카메라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데이터 송수신 모듈;
    마커 인식을 활용한 CCTV 카메라 화각 설정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의 실행에 의해, 각 가축방에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CCTV 카메라가 탐색 영역 내에서 제1화각으로 촬영한 영상을 상기 데이터 송수신 모듈을 통해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영상으로부터 마커를 식별하되, 상기 각 가축방과 매칭된 고유식별정보를 공유하는 적어도 2개의 마커가 식별될 때까지 상기 CCTV 카메라의 PTZ제어값을 도출하고,
    상기 PTZ제어값에 기초하여, 상기 고유식별정보에 해당하는 상기 CCTV 카메라의 P(Pan), T(tilt), Z(zoom) 값을 각각 조절하여, 최적 화각 화면을 제공하고,
    상기 최적 화각 화면은 각 마커의 위치의 중심점이 화면의 가운데 오도록 제어된 것이고,
    상기 마커는 상기 축사내의 가축방 별로 적어도 2개씩 서로 이격되어 부착된 것이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고유식별정보를 공유하는 적어도 2개의 마커가 식별되는 경우,
    상기 도출된 PTZ 제어값 및 각 마커간 거리값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최적 화각 화면을 제공하되,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각 마커간 거리가 최대화되는 상기 PTZ 제어값의 각 P(Pan), T(tilt), Z(zoom) 값을 색출하고,
    해당 최적 화각 안의 상기 각 마커가 외각 대칭 지점에 위치하도록 중심점을 이동하고,
    상기 각 마커가 최적 화각의 경계에 중첩할 때까지 Z값을 증가시키는 것인, 축사내에 설치된 카메라 제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고유식별정보를 공유하는 적어도 2개의 마커가 식별되지 않는 경우,
    상기 CCTV 카메라가 상기 탐색 영역의 전체를 모두 촬영할 때까지 상기 PTZ 제어값을 다시 설정하는 것인, 축사내에 설치된 카메라 제어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축사내에 설치된 카메라 제어 시스템을 이용한 카메라 제어 방법에 있어서,
    (a) 각 가축방에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CCTV 카메라가 탐색 영역 내에서 제1화각으로 촬영한 영상을 데이터 송수신 모듈을 통해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수신한 영상으로부터 마커를 식별하되, 상기 각 가축방과 매칭된 고유식별정보를 공유하는 적어도 2개의 마커가 식별될 때까지 상기 CCTV 카메라의 PTZ제어값을 도출하는 단계, 및
    (c) 상기 도출된 PTZ제어값에 기초하여, 상기 고유식별정보에 해당하는 상기 CCTV 카메라의 P(Pan), T(tilt), Z(zoom) 값을 각각 조절하여, 최적 화각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최적 화각 화면은 각 마커의 위치의 중심점이 화면의 가운데 오도록 제어된 것이고,
    상기 마커는 상기 축사내의 가축방 별로 적어도 2개씩 서로 이격되어 부착된 것이고,
    상기 (b) 단계는
    상기 고유식별정보를 공유하는 적어도 2개의 마커가 식별되는 경우,
    상기 도출된 PTZ 제어값 및 각 마커간 거리값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c) 단계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각 마커간 거리가 최대화되는 상기 PTZ 제어값의 각 P(Pan), T(tilt), Z(zoom) 값을 색출하고,
    해당 최적 화각 안의 상기 각 마커가 외각 대칭 지점에 위치하도록 중심점을 이동하고,
    상기 각 마커가 최적 화각의 경계에 중첩할 때까지 Z값을 증가시키는 것인, 카메라 제어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고유식별정보를 공유하는 적어도 2개의 마커가 식별되지 않는 경우,
    상기 CCTV 카메라가 상기 탐색 영역의 전체를 모두 촬영할 때까지 상기 PTZ 제어값을 다시 설정하는 것인, 카메라 제어 방법.
  7. 삭제
  8. 삭제
KR1020200134048A 2020-10-16 2020-10-16 축사내에 설치된 카메라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23809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4048A KR102380933B1 (ko) 2020-10-16 2020-10-16 축사내에 설치된 카메라 제어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4048A KR102380933B1 (ko) 2020-10-16 2020-10-16 축사내에 설치된 카메라 제어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0933B1 true KR102380933B1 (ko) 2022-04-01

Family

ID=81183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4048A KR102380933B1 (ko) 2020-10-16 2020-10-16 축사내에 설치된 카메라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093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6253A (ko) * 2008-04-04 2009-10-08 대덕대학산학협력단 팬-틸트가능한 위치인식장치
KR20170064300A (ko) * 2015-12-01 2017-06-09 주식회사 아이디스 카메라 팬틸트줌 제어 장치
KR101850534B1 (ko) 2016-01-18 2018-04-19 전도헌 적외선 카메라와 마커를 이용한 영상 촬영 시스템, 방법 및 어플리케이션
KR101873257B1 (ko) * 2016-12-27 2018-07-04 주식회사 인텔리빅스 카메라 제어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6253A (ko) * 2008-04-04 2009-10-08 대덕대학산학협력단 팬-틸트가능한 위치인식장치
KR20170064300A (ko) * 2015-12-01 2017-06-09 주식회사 아이디스 카메라 팬틸트줌 제어 장치
KR101850534B1 (ko) 2016-01-18 2018-04-19 전도헌 적외선 카메라와 마커를 이용한 영상 촬영 시스템, 방법 및 어플리케이션
KR101873257B1 (ko) * 2016-12-27 2018-07-04 주식회사 인텔리빅스 카메라 제어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98955B2 (en) Commercial drone detection
US9477891B2 (en) Surveillance system and method based on accumulated feature of object
US9262668B2 (en) Distant face recognition system
US8447847B2 (en) Control of sensor networks
US10740887B2 (en)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ed video image focus change detection and classification
CN107770486B (zh) 事件搜索设备和系统
US20200296324A1 (en) Video management system and video management method
US10127424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image processing system
US11563888B2 (en) Image obtaining and processing apparatus including beacon sensor
US1085572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rectly accessing video data streams and data between devices in a video surveillance system
JP2017097702A (ja) 監視システムとその監視制御装置
KR20220048200A (ko) 울타리 감지 시스템
CN112183487A (zh) 基于5g的牲畜健康监测系统和方法
KR102380933B1 (ko) 축사내에 설치된 카메라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1857164B1 (ko) 영상획득장치 및 영상처리장치
CN109960965A (zh) 基于无人机识别动物行为的方法、装置和系统
JP7300958B2 (ja) 撮像装置、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11866468B (zh) 对象跟踪分配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装置
CN114118271A (zh) 图像确定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装置
WO2018158822A1 (ja) 異常検知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3785299B (zh) 用于发现对象的图像获取设备
CN113297889A (zh) 对象信息处理方法及装置
KR102110498B1 (ko) 반도체 공정에서의 지능형 영상 추적 시스템
JP7188934B2 (ja) 画像処理装置
CN113993374A (zh) 动物信息管理系统和动物信息管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