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0761B1 - Simultaneous removal device for ultra fine dust and volatile organic compounds - Google Patents

Simultaneous removal device for ultra fine dust and volatile organic compound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0761B1
KR102380761B1 KR1020200067709A KR20200067709A KR102380761B1 KR 102380761 B1 KR102380761 B1 KR 102380761B1 KR 1020200067709 A KR1020200067709 A KR 1020200067709A KR 20200067709 A KR20200067709 A KR 20200067709A KR 102380761 B1 KR102380761 B1 KR 1023807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luted air
volatile organic
organic compounds
dust
ultrafine du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770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151290A (en
Inventor
박덕신
김민정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2000677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0761B1/en
Publication of KR202101512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129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07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076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40Electrode constructions
    • B03C3/41Ionising-electr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32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using electrostatic forces to remove particles, e.g. electret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36Controlling flow of gases or vapour
    • B03C3/361Controlling flow of gases or vapour by static mechanical means, e.g. deflector
    • B03C3/363Controlling flow of gases or vapour by static mechanical means, e.g. deflector located before the filter

Abstract

본 발명은 오염공기에 포함된 초미세먼지와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동시에 제거하는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초미세먼지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 동시 제거장치는, 초미세먼지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을 포함한 오염공기가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방향의 직각방향으로 설치되어 오염공기가 직각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유도하며, 초미세먼지에 음극의 하전을 주어 초미세먼지가 전하를 가지게 하는 전기집진기(10); 전기집진기(10)를 통과하는 오염공기에 포함된 초미세먼지에 양극의 이온을 결합시켜 초미세먼지를 조대화시키는 하나 이상의 이오나이저(20); 이오나이저(20)를 통과하는 오염공기에 포함된 조대화된 초미세먼지를 여과하는 미디움필터(30); 미디움필터(30)를 통과하는 오염공기에 포함된 유해 미생물을 여과하는 메쉬필터(40); 메쉬필터(40)를 통과하는 오염공기에 포함된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제거하기 위한 혼합물질(55)이 표면에 코팅되는 코팅 유리(50); 및 오염공기가 메쉬필터(40)를 통과할 때, 코팅 유리(50)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오염공기에 포함된 산소 및 수분을 래디칼로 변화시키며, 래디칼의 산화 반응에 의해 휘발성 유기화합물이 제거되도록 하는 자외선조사기(60);를 포함함으로써, 오염공기에 포함된 초미세먼지와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동시에 제거함에 따라, 미세먼지의 저감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n apparatus for simultaneously removing ultrafine dust and volatile organic compounds contained in polluted air. The device for simultaneously removing ultrafine dust and volatile organic compound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in which polluted air containing ultrafine dust and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is introduced from the outside to induce the polluted air to move in the right angle direction and an electric dust collector (10) for giving a negative charge to the ultrafine dust so that the ultrafine dust has an electric charge; one or more ionizers 20 for coarsening the ultrafine dust by coupling positive ions to the ultrafine dust contained in the polluted air passing through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10; a medium filter 30 for filtering the coarsened ultrafine dust contained in the polluted air passing through the ionizer 20; a mesh filter 40 for filtering harmful microorganisms contained in the polluted air passing through the medium filter 30; Coated glass 50 on which a mixture 55 for removing volatile organic compounds contained in polluted air passing through the mesh filter 40 is coated on the surface; And when the polluted air passes through the mesh filter 40, the coating glass 50 is irradiated with ultraviolet rays to change oxygen and moisture contained in the polluted air into radicals, and to remove the volatile organic compounds by the oxidation reaction of the radicals. By including the ultraviolet irradiator 60; to simultaneously remove ultrafine dust and volatile organic compounds contained in polluted air, the efficiency of reducing fine dust can be improved.

Description

초미세먼지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 동시 제거장치{Simultaneous removal device for ultra fine dust and volatile organic compounds}Simultaneous removal device for ultra fine dust and volatile organic compounds

본 발명은 초미세먼지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 동시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오염공기에 포함된 초미세먼지와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동시에 제거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simultaneously removing ultrafine dust and volatile organic compounds, and more particularly, to a device for simultaneously removing ultrafine dust and volatile organic compounds contained in polluted air.

먼지는 대기 중에 떠다니거나 흩날려 내려오는 입자상 물질로 석탄, 석유 등의 화석연료를 연소할 때나 공장, 자동차 등의 배출가스에서 많이 발생된다.Dust is a particulate matter that floats or is blown down in the atmosphere, and it is generated a lot when burning fossil fuels such as coal and petroleum, or from exhaust gases from factories and automobiles.

먼지는 입자의 크기에 따라 50 ㎛ 이하인 총먼지(TSP)와 입자의 크기가 매우 작은 미세먼지(particulate matter, PM)로 구분된다.Dust is divided into total dust (TSP), which is less than 50 µm, and particulate matter (PM), which has a very small particle size, depending on the particle size.

미세먼지는 지름이 10 ㎛보다 작은 미세먼지 PM10과 지름이 2.5 ㎛보다 작은 미세먼지 PM2.5로 나누어지며, 눈에 보이지 않을 만큼 매우 작기 때문에 대기 중에 머물러 있다 호흡기를 거쳐 폐 등에 침투하거나 혈관을 따라 체내로 이동함으로써 건강에 나쁜 영향을 미칠 수 있다.Fine dust is divided into fine dust PM10 with a diameter of less than 10 μm and fine dust PM2.5 with a diameter smaller than 2.5 μm. Moving into the body can adversely affect health.

특히, 세계보건기구(WHO)는 미세먼지에 대한 대기질 가이드라인을 1987년부터 제시했으며, 2013년에는 국제 암연구기관(IARC)에서 미세먼지를 사람에게 발암이 확인된 1군 발암물질로 지정하였다.In particular,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has presented air quality guidelines for fine dust since 1987, and in 2013, the 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 (IARC) designated fine dust as a group 1 carcinogen confirmed to be carcinogenic to humans. did

이러한 미세먼지는 발생하는 지역, 계절, 기상조건 등에 따라 성분이 달라질 수 있다.The composition of such fine dust may vary depending on the region, season, and weather conditions in which it is generated.

일반적으로는, 대기오염물질이 공기 중에서 반응하여 형성된 황산염, 질산염 등의 덩어리와 화석연료를 연소하면 발생되는 탄소류 및 그을음이나 연기가 엉겨 생기는 검은 물질, 지표면 흙먼지 등에서 생기는 광물 등으로 구성된다.In general, it is composed of lumps such as sulfate and nitrate formed by the reaction of air pollutants in the air, carbons generated when fossil fuels are burned, black substances formed by agglomeration of soot or smoke, minerals generated from ground dust, etc.

이러한 성분으로 구성된 미세먼지는 화석연료가 연소되는 과정에서 배출되는 황산물이 대기 중의 수증기, 암모니아와 결합하거나 자동차 배기가스에서 나오는 질소산화물이 대기 중의 수증기, 오존, 암모니아 등과 결합하는 화학반응을 통해 발생된다.Fine dust composed of these components is generated through a chemical reaction in which sulfuric acid emitted during the combustion of fossil fuels combines with water vapor and ammonia in the atmosphere, or nitrogen oxides from automobile exhaust combine with water vapor, ozone, and ammonia in the atmosphere. do.

우리나라의 미세먼지 농도는 주요 선진국과 비교해보면 여전히 높은 수준으로 미국, 프랑스, 파리보다 각각 1.5 배, 2.1배, 2.3배 높음이 확인되었다.Compared to major advanced countries, Korea's fine dust concentration is still high, 1.5 times, 2.1 times, and 2.3 times higher than those of the United States, France, and Paris, respectively.

이는, 우리나라의 인도밀도가 높고, 도시화, 산업화가 고도로 진행되어 있어 단위 면적당 미세먼지 배출량이 많고, 지리적 위치와 기상여건 등까지 유리하지 않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India's density of India is high, 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are advanced, so there is a lot of fine dust emission per unit area, and geographical location and weather conditions are not advantageous.

또한, 우리나라 주변에 자주 형성되는 대륙성 고기압으로 인한 대기정체로 인해 미세먼지가 자주 발생되는 것이다.In addition, fine dust is frequently generated due to atmospheric stagnation caused by continental high pressure that is frequently formed around Korea.

최근에는 미세먼지를 저감시키기 위해 다양한 방식과 형태의 미세먼지 저감장치가 개발되고 있으며,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73322호(이하, 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28076호(이하, 문헌 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01517호(이하, 문헌 3) 및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40728호(이하, 문헌 4)가 있다.Recently, various methods and types of fine dust reduction devices have been developed to reduce fine dust, and as prior art, Korean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18-0073322 (hereinafter referred to as Document 1),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 There are -1628076 (hereinafter, Document 2),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801517 (hereinafter, Document 3), and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640728 (hereinafter, Document 4).

문헌 1은 미세먼지 저감 장치 및 그 방법으로 10 ㎛ 이하 미세먼지들의 상호충돌 또는 주변 환경에 따라 하전된 전기적 특성과 반대되는 특정 전하를 띠는 액적을 전기수력학 노즐을 통해 특정 공간 내에 분사함으로써 미세먼지를 제거하는 발명이다.Document 1 discloses a fine dust reduction device and method by spraying droplets having a specific charge opposite to the electrical properties charged according to the mutual collision of fine particles of 10 μm or less or the surrounding environment through an electrohydrodynamic nozzle into a specific space. It is an invention that removes dust.

문헌 2는 미세먼지 제거장치로 유입된 오염공기가 분사되는 분무입자에 묻어 떨어지면서 세척 정화를 통해 공기 속의 미세먼지를 제거하여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는 발명이다.Document 2 is an invention that creates a comfortable indoor environment by removing fine dust in the air through washing and purification while being smeared on the spray particles in which polluted air introduced into the fine dust removal device is sprayed.

문헌 3은 미세먼지 포집기로 차량의 상면에 설치하거나, 집 내부에 설치하여 공기 중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제거한 후 외부로 깨끗한 공기를 배출하는 발명이다.Document 3 is an invention for installing a fine dust collector on the top of a vehicle or installing it inside a house to remove fine dust contained in the air and then discharging clean air to the outside.

문헌 4는 습식 공기청정기용 정화장치로 유입되는 실내 공기와 세척수 사이의 접촉면적 극대화를 통해 공기 중의 유해물질을 효과적으로 흡착하는 발명이다.Document 4 is an invention that effectively adsorbs harmful substances in the air by maximizing the contact area between indoor air and washing water flowing into a purification device for a wet air purifier.

그러나 상기 문헌 1 내지 4는 오염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의 저감(또는 제거)을 수행하고 있으나, 오염공기에 포함된 휘발성 유기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을 제거하기 위한 구성 또는 과정이 생략됨에 따라,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제거가 불가능하여 미세먼지의 저감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documents 1 to 4 perform reduction (or removal) of fine dust contained in polluted air, but the configuration or process for removing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contained in polluted air is omitted. Accordingly, there was a problem in that it was impossible to remove the volatile organic compounds, and thus the reduction efficiency of fine dust was lowered.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73322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8-007332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28076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628076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01517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801517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40728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0640728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오염공기에 포함된 초미세먼지와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동시에 제거하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for simultaneously removing ultrafine dust and volatile organic compounds contained in polluted air.

특히, 본 발명은 외부의 오염공기가 직각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유도한 후 초미세먼지를 조대화시켜 초미세먼지를 제거하고, 자외선조사기의 자외선을 조사를 통해 수산기를 생성하여 오염공기의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제거하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induces external polluted air to move in a right angle direction, coarsens ultrafine dust to remove ultrafine dust, and generates hydroxyl groups by irradiating ultraviolet rays from a UV irradiator to produce volatile organic compounds in polluted air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evice for removing the

다만,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are clearly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description below. can be understood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초미세먼지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 동시 제거장치는, 초미세먼지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을 포함한 오염공기가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방향의 직각방향으로 설치되어 오염공기가 직각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유도하며, 초미세먼지에 음극의 하전을 주어 초미세먼지가 전하를 가지게 하는 전기집진기(10); 전기집진기(10)를 통과하는 오염공기에 포함된 초미세먼지에 양극의 이온을 결합시켜 초미세먼지를 조대화시키는 하나 이상의 이오나이저(20); 이오나이저(20)를 통과하는 오염공기에 포함된 조대화된 초미세먼지를 여과하는 미디움필터(30); 미디움필터(30)를 통과하는 오염공기에 포함된 유해 미생물을 여과하는 메쉬필터(40); 메쉬필터(40)를 통과하는 오염공기에 포함된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제거하기 위한 혼합물질(55)이 표면에 코팅되는 코팅 유리(50); 및 오염공기가 메쉬필터(40)를 통과할 때, 코팅 유리(50)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오염공기에 포함된 산소 및 수분을 래디칼로 변화시키며, 래디칼의 산화 반응에 의해 휘발성 유기화합물이 제거되도록 하는 자외선조사기(60);를 포함한다.As a technical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device for simultaneously removing ultrafine dust and volatile organic compound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in which polluted air including ultrafine dust and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is introduced from the outside. an electric precipitator (10) installed as an electric dust collector to induce the movement of polluted air in a right angle direction, and to give the ultrafine dust a negative charge; one or more ionizers 20 for coarsening the ultrafine dust by coupling positive ions to the ultrafine dust contained in the polluted air passing through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10; a medium filter 30 for filtering the coarsened ultrafine dust contained in the polluted air passing through the ionizer 20; a mesh filter 40 for filtering harmful microorganisms contained in the polluted air passing through the medium filter 30; Coated glass 50 on which a mixture 55 for removing volatile organic compounds contained in polluted air passing through the mesh filter 40 is coated on the surface; And when the polluted air passes through the mesh filter 40, the coating glass 50 is irradiated with ultraviolet rays to change oxygen and moisture contained in the polluted air into radicals, and to remove the volatile organic compounds by the oxidation reaction of the radicals. and a UV irradiator (60).

또한, 전기집진기(10)는, 직각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복수의 활성탄소섬유로 이루어지며, 복수의 활성탄소섬유로 유입되는 외부의 오염공기를 직각방향으로 이동시켜 이오나이저(20)로 유도하는 ACF 다발(11); 및 ACF 다발(11)을 따라 이동하는 초미세먼지가 전하를 가지도록, ACF 다발(11)에 음극의 전압을 인가하는 전원(12);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10 is made of a plurality of activated carbon fibers extending in a right angle direction, and the external polluted air flowing into the plurality of activated carbon fibers is moved in a right angle direction to be guided to the ionizer 20 . ACF bundle (11); and a power source 12 for applying a negative voltage to the ACF bundle 11 so that the ultrafine dust moving along the ACF bundle 11 has an electric charge.

그리고 복수의 활성탄소섬유는, 외부의 오염공기가 유입 및 이오나이저(20)로 이동되도록, 인접한 활성탄소섬유와 동일한 간격 또는 서로 다른 간격으로 이격되어 외부의 오염공기의 이동경로를 형성한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activated carbon fibers are spaced apart at the same or different intervals from adjacent activated carbon fibers to form a movement path of external polluted air so that external polluted air is introduced and moved to the ionizer 20 .

또한, 이오나이저(20)는, 전기집진기(10)를 통과하는 오염공기의 이동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양극의 이온을 발생시키는 방전침(21);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ionizer 20 includes a discharge needle 21 for generating positive ions in a direction transverse to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polluted air passing through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10 .

그리고 혼합물질(55)은, 이산화 타이타늄, 구리, 알루미늄을 적어도 포함한다.And the mixture (55) contains at least titanium dioxide, copper, aluminum.

또한, 자외선조사기(60)는, 혼합물질(55)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이산화 타이타늄을 활성화시키며, 이산화 타이타늄의 활성화를 통해 OH- 래디칼이 생성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ultraviolet irradiator 60 irradiates ultraviolet rays to the mixture 55 to activate titanium dioxide, and to generate OH- radicals through the activation of titanium dioxide.

본 발명에 따른 초미세먼지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 동시 제거장치는, 전기집진기(10), 상기 미디움필터(30) 및 상기 메쉬필터(40)에 의해 외부의 오염공기에 포함된 초미세먼지의 저감과 동시에 소음의 저감이 가능하다.The device for simultaneously removing ultrafine dust and volatile organic compound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duces ultrafine dust contained in external polluted air by the electric dust collector 10, the medium filter 30 and the mesh filter 40, and At the same time, it is possible to reduce noise.

본 발명에 따른 초미세먼지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 동시 제거장치는, NRC 0.7 이상 및 PM2.5 이하의 초미세먼지를 30 % 이상 저감 가능하다.The device for simultaneously removing ultrafine dust and volatile organic compound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ultrafine dust of NRC 0.7 or more and PM2.5 or less by 30% or more.

본 발명에 따르면, 오염공기에 포함된 초미세먼지와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동시에 제거함에 따라, 미세먼지의 저감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ultrafine dust and volatile organic compounds contained in polluted air are simultaneously removed, the efficiency of reducing fine dust can be improved.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의 오염공기에 포함된 초미세먼지의 저감과 동시에 소음의 저감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noise while reducing the ultrafine dust contained in the external polluted air.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NRC(Noise Reduction Coefficient, 흡음률) 0.7 이상, PM2.5 이하의 초미세먼지를 30 % 이상 저감할 수 있다.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NRC (Noise Reduction Coefficient, sound absorption coefficient) of 0.7 or more and PM2.5 or less can be reduced by 30% or more.

다만,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effects obtainable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able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초미세먼지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 동시 제거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오나이저, 미디움필터 및 메쉬필터의 배치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a 내지 4d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코팅 유리 및 자외선조사기에 의한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제거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기의 일부를 확대한 일부확대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apparatus for simultaneously removing ultrafine dust and volatile organic compound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lectric dust collect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arrangement of the ionizer, the medium filter, and the mesh filt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A to 4D are diagrams illustrating a process of removing a volatile organic compound by a coated glass and a UV irradiat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lectric dust collecto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a part of an electric dust collecto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easily implement them. However, since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erely an embodiment for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by the embodiment described in the text. That is, since the embodiment may have various changes and may have various form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equivalents capable of realizing the technical idea. In addition, since the object or effect prese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mean that a specific embodiment should include all of them or only such effects, it should not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hereby.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The meaning of the terms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as follows.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for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and the scope of righ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For example, a first component may be termed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a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termed a first component.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between.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mentioned that a certain element is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other element does not exist in the middle. Meanwhile, other expressions descri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lements, that is, "between" and "between" or "neighboring to" and "directly adjacent to", etc., should be interpreted similarly.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singular expression is to be understood to include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and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not intended to refer to the specified feature, number, step, action, component, part or any of them. It is intended to indicate that a combination exists,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All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Terms defined in the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of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cannot be interpreted as having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초미세먼지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 동시 제거장치(1)(이하에서는, "동시 제거장치(1)"라 한다.)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ultrafine dust and volatile organic compound simultaneous removal device 1 (hereinafter, referred to as “simultaneous removal device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et me explain.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초미세먼지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 동시 제거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오나이저, 미디움필터 및 메쉬필터의 배치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며, 도 4a 내지 4d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코팅 유리 및 자외선조사기에 의한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제거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apparatus for simultaneously removing ultrafine dust and volatile organic compound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lectric dust collect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arrangement of the ionizer, the medium filter and the mesh filt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4a to 4d are coated glas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olatility by the ultraviolet irradiator It is a diagram showing the removal process of organic compounds.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동시 제거장치(1)는 초미세먼지와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을 동시에 제거하기 위해 전기집진기(10), 이오나이저(20), 미디움필터(30), 메쉬필터(40), 코팅유리(50) 및 자외선조사기(6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1 , the simultaneous removal device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lectric dust collector 10, an ionizer 20, and a medium to simultaneously remove ultrafine dust and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filter 30 , a mesh filter 40 , a coated glass 50 , and an ultraviolet irradiator 60 .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동시 제거장치(1)는 실내 또는 실외에 적용 가능하도록, 상기 구성요소들의 길이 및 폭이 조절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imultaneous removal device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indoors or outdoors, the length and width of the components can be adjusted.

도 2를 참조하면, 전기집진기(10)는 초미세먼지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포함한 오염공기가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방향의 직각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유도하는 ACF 다발(11)이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2 ,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10 is configured with an ACF bundle 11 that guides polluted air containing ultrafine dust and volatile organic compounds to mov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in which it flows from the outside.

여기서, 오염공기는 송풍팬(미도시)에 의해 ACF 다발(11)을 향해 이동하게 되며, ACF 다발(11)은 직각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복수의 활성탄소섬유(Activative carbon fiber, ACF)로 이루어지며, 복수의 활성탄소섬유(11-1, 11-2, 11-3, 11-4, 11-5)로 유입되는 외부의 오염공기를 직각방향으로 이동시켜 이오나이저(20)로 유도한다.Here, the contaminated air is moved toward the ACF bundle 11 by a blowing fan (not shown), and the ACF bundle 11 is made of a plurality of active carbon fibers (ACF) extending in a right angle direction. and the external polluted air flowing into the plurality of activated carbon fibers (11-1, 11-2, 11-3, 11-4, 11-5) is moved in a right angle direction and guided to the ionizer (20).

이때, ACF 다발(11)은 흡착제로 사용되는 활성탄소섬유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오염공기에 포함된 초미세먼지를 흡착하여 여과하는 것이 가능하다.At this time, since the ACF bundle 11 is made of activated carbon fiber used as an adsorbent, it is possible to filter by adsorbing ultrafine dust contained in polluted air.

복수의 활성탄소섬유(11-1, 11-2, 11-3, 11-4, 11-5)는 외부의 오염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면서, 외부의 오염공기를 이오나이저(20)로 이동되도록 하기 위해 인접한 활성탄소섬유와 동일한 간격 또는 서로 다른 간격으로 이격되어 외부의 오염공기의 이동경로를 형성한다.A plurality of activated carbon fibers (11-1, 11-2, 11-3, 11-4, 11-5) to allow external polluted air to flow in and to move external polluted air to the ionizer 20 For this purpose, it is spaced at the same or different intervals from the adjacent activated carbon fibers to form a movement path of external polluted air.

구체적인 일례로, 제1 활성탄소섬유(11-1)는 이와 인접한 제2 활성탄소섬유(11-2)와 동일한 간격 또는 서로 다른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고, 제2 활성탄소섬유(11-2)는 이와 인접한 제3 활성탄소섬유(11-3)와 동일한 간격 또는 서로 다른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As a specific example, the first activated carbon fiber 11-1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adjacent second activated carbon fiber 11-2 at the same interval or at different intervals, and the second activated carbon fiber 11-2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third activated carbon fibers 11-3 adjacent thereto at the same interval or at different intervals.

그리고 복수의 활성탄소섬유(11-1, 11-2, 11-3, 11-4, 11-5)는 수평형 활성탄소섬유(11-1a, 11-2a, 11-3a, 11-4a, 11-5a, 이하에서는 "11-a")와 이와 연결 또는 일체형으로 구현되는 수직형 활성탄소섬유(11-1b, 11-2b, 11-3b, 11-4b, 11-5b, 이하에서는 "11-b")로 이루어진다.And the plurality of activated carbon fibers (11-1, 11-2, 11-3, 11-4, 11-5) are horizontal activated carbon fibers (11-1a, 11-2a, 11-3a, 11-4a, 11-5a, hereinafter “11-a”) and vertical activated carbon fibers 11-1b, 11-2b, 11-3b, 11-4b, 11-5b, hereinafter “11 -b").

수평형 활성탄소섬유(11-a)는 가상의 수평선(예: 지면) 상에 동일하게 수평하게 배치되며, 모두 동일한 길이로 이루어질 수 있고, 수직형 활성탄소섬유(11-b)는 수평형 활성탄소섬유(11-a)의 일측으로부터 모두 동일한 길이로 수직 배치될 수 있다.The horizontal activated carbon fibers (11-a) are equally horizontally arranged on a virtual horizontal line (eg, the ground), and they may all have the same length, and the vertical activated carbon fibers (11-b) are horizontal activated carbon fibers (11-b) All of the carbon fibers (11-a) may be vertically disposed with the same length from one side.

더 나아가, 수직형 활성탄소섬유(11-b)는 도면에 미도시되었으나, 수평형 활성탄소섬유(11-a)와 연결된 일측으로부터 오염공기가 배출되는 타측으로 갈수록 폭이 증가될 수 있다.Furthermor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vertical activated carbon fibers 11-b may have a greater width from one side connected to the horizontal activated carbon fibers 11-a toward the other side through which the polluted air is discharged.

이에 따라, 서로 인접한 활성탄소섬유 간의 이격 공간에 해당되는 오염공기의 이동경로 중 수직형 활성탄소섬유(11-b)의 일측으로부터 타측에 해당되는 구간에서는 구간 폭이 축소될 수 있고, 상기 구간의 폭 축소에 의해 ACF 다발(11)을 따라 이동하게 되는 오염공기는 이동속도가 점차 증가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section width can be reduced in the section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of the vertical activated carbon fiber (11-b) in the movement path of the contaminated air corresponding to the spaced space between the adjacent activated carbon fibers, the section width of the section The movement speed of the polluted air moving along the ACF bundle 11 by reducing the width may be gradually increased.

한편, 복수의 활성탄소섬유(11-1, 11-2, 11-3, 11-4, 11-5)는 오염공기의 이동경로를 형성하기 위해 둘 이상으로 구비된다면 그 갯수를 한정하지 아니하고, ACF 다발(11)은 복수의 활성탄소섬유의 갯수에 따라 규격이 달라지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if the plurality of activated carbon fibers (11-1, 11-2, 11-3, 11-4, 11-5) is provided in two or more to form a movement path of the polluted air, the number is not limited, It is preferable that the ACF bundle 11 has a different standard according to the number of a plurality of activated carbon fibers.

전기집진기(10)는 ACF 다발(11)으로 오염공기의 이동을 유도할 뿐만 아니라, 초미세먼지에 음극의 하전을 주어 초미세먼지가 전하를 가지게 하기 위해 전원(12)이 구성된다.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10 not only induces movement of the polluted air to the ACF bundle 11, but also provides a negative charge to the ultrafine dust so that the ultrafine dust has an electric charge, and the power supply 12 is configured.

여기서, 전원(12)은 ACF 다발(11)을 따라 이동하는 초미세먼지가 전하를 가지도록 ACF 다발(11)에 음극의 전압을 인가하며, ACF 다발(11)에 음극의 전압이 인가되는 것은 ACF 다발(11)이 전기 전도성이 뛰어난 활성탄소섬유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가능하다.Here, the power source 12 applies a negative voltage to the ACF bundle 11 so that ultrafine dust moving along the ACF bundle 11 has an electric charge, and the negative voltage is applied to the ACF bundle 11 This is possible because the ACF bundle 11 is made of activated carbon fibers with excellent electrical conductivity.

도 3을 참조하면, 이오나이저(20)는 전기집진기(10)를 통과하는 오염공기에 포함된 초미세먼지에 양극의 이온을 결합시켜 초미세먼지를 조대화시킨다.Referring to FIG. 3 , the ionizer 20 coarsens the ultrafine dust by coupling the ions of the positive electrode to the ultrafine dust included in the polluted air passing through the electric dust collector 10 .

또한, 이오나이저(20)는 전기집진기(10)를 통과하는 오염공기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초미세먼지를 조대화시키기 위해, 전기집진기(10)를 통과하는 오염공기의 이동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양극의 이온을 발생시키게 배치되며, 초미세먼지의 조대화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해 한 쌍의 이오나이저(20-1, 20-2)로 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ionizer 20 crosses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polluted air passing through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10 in order to coarsen the ultrafine dust without interfering with the movement of the polluted air passing through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10 . It is arranged to generate ions of the anode in the direction, and may be implemented as a pair of ionizers 20-1 and 20-2 in order to maximize the coarsening efficiency of ultrafine dust.

또한, 이오나이저(20)는 양극의 이온을 발생시키기 위한 구성요소인 방전침(21)이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ionizer 20 may be provided with a discharge needle 21, which is a component for generating positive ions, on one side.

방전침(21)은 이오나이저(20)의 배치 방향에 따라, 전기집진기(10)를 통과하는 오염공기의 이동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양극의 이온을 발생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discharge needle 21 generate positive ions in a direction transverse to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polluted air passing through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10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ionizer 20 .

더 나아가, 방전침(21)은 양극의 이온 발생 뿐만 아니라, 음극의 이온도 발생시키기 위해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즉, 하나의 방전침(21)은 양극의 이온, 다른 하나의 방전침(21)은 음극의 이온을 발생시킬 수 있다.Furthermore, a plurality of discharge needles 21 may be provided to generate ions of the anode as well as ions of the cathode. That is, one discharge needle 21 may generate positive ions, and the other discharge needle 21 may generate negative ions.

이와 같이, 방전침(21)이 양극 및 음극의 이온을 발생시키도록 구현되는 것은 만약, 전원(12)이 ACF 다발(11)에 양극의 전압을 인가하여 초미세먼지가 양극의 하전에 의한 전하를 가지게 되는 경우, 상기 초미세먼지에 음극의 이온을 결합시켜 초미세먼지를 조대화시키기 위함이다.As described above, if the discharge needle 21 is implemented to generate positive and negative ions, if the power supply 12 applies a positive voltage to the ACF bundle 11 , the ultrafine dust is charged by the positive electrode charge. In the case of having a , it is to coarsen the ultrafine dust by binding the ions of the negative electrode to the ultrafine dust.

한편, 이오나이저(20)에 의해 조대화된 초미세먼지는 입자의 크기가 1.0~3.0 ㎛일 수 있다.Meanwhile, the ultrafine dust coarsened by the ionizer 20 may have a particle size of 1.0 to 3.0 μm.

미디움필터(30)는 이오나이저(20)를 통과하는 오염공기에 포함된 조대화된 초미세먼지를 여과한다.The medium filter 30 filters the coarsened ultrafine dust contained in the polluted air passing through the ionizer 20 .

이러한 미디움필터(30)는 이오나이저(20)에서 조대화된 1.0~3.0 ㎛의 초미세먼지의 여과가 가능한 필터로 가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edium filter 30 is preferably processed into a filter capable of filtering ultra-fine dust of 1.0 to 3.0 μm coarsened by the ionizer 20 .

메쉬필터(40)는 미디움필터(30)를 통과하는 오염공기에 포함된 유해 미생물을 여과한다.The mesh filter 40 filters harmful microorganisms contained in the polluted air passing through the medium filter 30 .

여기서, 유해 미생물은 집먼지, 진드기, 바이러스, 곰팡이 등과 같이 인체에 해로운 유해물질일 수 있다.Here, the harmful microorganisms may be harmful substances harmful to the human body, such as house dust, mites, viruses, mold, and the like.

이에 따라, 메쉬필터(40)는 유해 미생물의 여과가 가능한 필터로 가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ly, the mesh filter 40 is preferably processed into a filter capable of filtering harmful microorganisms.

또한, 메쉬필터(40)는 항균 부직포 필터 형태로 가공되어 유해 미생물에 대한 항균력을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mesh filter 40 may be processed in the form of an antibacterial non-woven fabric filter to have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harmful microorganisms.

이와 같이, 메쉬필터(40)가 항균력을 가지는 것은 항균 부직포 필터의 표면에 미세 입자크기로 분산된 항균물질이 표면에서의 유해 미생물의 생장을 억제하여 2차 오염을 방지하기 때문이다.As such, the mesh filter 40 has antibacterial activity because the antibacterial material dispersed in a fine particle size on the surface of the antibacterial nonwoven filter inhibits the growth of harmful microorganisms on the surface to prevent secondary contamination.

도 4a 내지 4d를 참조하면, 코팅 유리(50)는 메쉬필터(40)를 통과하는 오염공기에 포함된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제거하기 위한 혼합물질(55)이 표면에 코팅된다.Referring to FIGS. 4A to 4D , the coated glass 50 is coated with a mixture 55 for removing the volatile organic compounds contained in the polluted air passing through the mesh filter 40 on the surface.

여기서, 메쉬필터(40)를 통과하는 오염공기에는 휘발성 유기화합물과 더불어 산소 및 수분이 포함될 수 있으며, 혼합물질(55)은 이산화 타이타늄(TiO2), 구리(Cu) 및 알루미늄(Al)을 적어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polluted air passing through the mesh filter 40 may contain oxygen and moisture as well as volatile organic compounds, and the mixture 55 includes titanium dioxide (TiO 2 ), copper (Cu) and aluminum (Al) at least. may include

혼합물질(55)은 자외선조사기(60)로부터 조사되는 자외선(UV)에 의해 이산화 타이타늄이 활성화되어 전자와 정공을 생성하며, 전자 또는 정공을 이용하여 오염공기의 산소 및 수분을 래디칼(또는 수산기)로 변화시키고, 래디칼의 산화 반응에 의해 휘발성 유기화합물이 오염공기로부터 제거되도록 한다.In the mixture 55, titanium dioxide is activated by ultraviolet rays (UV) irradiated from the ultraviolet irradiator 60 to generate electrons and holes, and oxygen and moisture in the polluted air are converted into radicals (or hydroxyl groups) using electrons or holes. and volatile organic compounds are removed from the polluted air by radical oxidation.

자외선조사기(60)는 메쉬필터(40)를 통과하는 오염공기에 포함된 휘발성 유기화합물, 산소 및 수분을 제거하며, 그 과정은 도 4a 내지 4d에 도시된 바와 같다.The UV irradiator 60 removes volatile organic compounds, oxygen, and moisture contained in the polluted air passing through the mesh filter 40 , and the process is as shown in FIGS. 4A to 4D .

도 4a를 참조하면, 메쉬필터(40)를 통과하는 오염공기는 전단의 미디움필터(30)에 의해 초미세먼지가 제거된 상태이면서 휘발성 유기화합물(A), 산소(B) 및 수분(C)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4A , the polluted air passing through the mesh filter 40 is in a state in which ultrafine dust has been removed by the medium filter 30 of the previous stage, and the volatile organic compounds (A), oxygen (B) and moisture (C) includes

도 4b를 참조하면, 자외선조사기(60)는 오염공기가 메쉬필터(40)를 통과할 때, 코팅 유리(50)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혼합물질(55)이 전자와 정공을 생성하도록 유도한다.Referring to FIG. 4B , when the polluted air passes through the mesh filter 40 , the UV irradiator 60 irradiates the coated glass 50 with UV light to induce the mixture 55 to generate electrons and holes.

여기서, 자외선조사기(60)의 자외선 조사 시기는 오염공기가 메쉬필터(40)를 통과할 때인 것이 바람직하나, 오염공기의 빠른 이동속도에 따라 휘발성 유기화합물 과정이 생략될 수 있기 때문에, 오염공기가 전기집진기(10)에 유입될 때부터 자외선을 조사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Here, the UV irradiation time of the UV irradiator 60 is preferably when the polluted air passes through the mesh filter 40, but the volatile organic compound process can be omitted depending on the fast movement speed of the polluted air, It is more preferable to irradiate the ultraviolet rays from the time they flow into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10 .

도 4c를 참조하면, 오염공기에 포함된 산소 및 수분은 전자 또는 정공에 의해 래디칼(D)로 변화된다.Referring to FIG. 4C , oxygen and moisture contained in polluted air are converted into radicals (D) by electrons or holes.

여기서, 래디칼(D)은 혼합물질(55)의 이산화 타이타늄이 자외선에 의해 활성화됨에 따라 생성되는 OH- 래디칼을 의미한다.Here, the radical (D) refers to an OH- radical generated as the titanium dioxide of the mixture 55 is activated by ultraviolet rays.

도 4d를 참조하면, 오염공기에 포함된 휘발성 유기화합물은 래디칼(D)의 산화 반응에 의해 분해되어 오염공기로부터 제거된다.Referring to FIG. 4D , the volatile organic compounds contained in the polluted air are decomposed by the oxidation reaction of radicals (D) and removed from the polluted air.

이에 따라, 코팅 유리(50) 및 자외선조사기(60)의 휘발성 유기화합물 제거 과정을 통과하는 공기는 초미세먼지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이 모두 제거된 청정공기일 수 있다.Accordingly, the air passing through the volatile organic compound removal process of the coated glass 50 and the UV irradiator 60 may be clean air from which ultrafine dust and volatile organic compounds are all removed.

상기의 구성요소들을 기반으로 본 발명의 동시 제거장치(1)는 오염공기에 포함된 초미세먼지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동시 제거가 가능하다.Based on the above components, the simultaneous removal device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simultaneously removing ultrafine dust and volatile organic compounds contained in polluted air.

또한, 본 발명의 동시 제거장치(1)는 외부의 오염공기에 포함된 초미세먼지 저감과 동시에 소음을 저감시키기 위해 전기집진기(10), 미디움필터(30) 및 메쉬필터(40)의 소재 및 구조가 기설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imultaneous removal device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material of the electric dust collector (10), the medium filter (30) and the mesh filter (40) in order to reduce the ultrafine dust contained in the external polluted air and at the same time reduce the noise and The structure may be preset.

그리고 본 발명의 동시 제거장치(1)는 NRC 0.7 이상 및 PM2.5 이하의 초미세먼지를 30 % 이상 저감하는 규격의 장치로 제조될 수 있다.And the simultaneous removal device (1)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nufactured as a device having a standard that reduces ultrafine dust of NRC 0.7 or more and PM2.5 or less by 30% or more.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상기 제1 실시예와 중복되지 않는 부분을 중심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초미세먼지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 동시 제거장치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Hereinafter, an apparatus for simultaneously removing ultrafine dust and volatile organic compound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ocusing on parts that do not overlap with the first embodiment.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기의 일부를 확대한 일부확대도이다.5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lectric dust collecto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a part of the electric dust collecto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전기집진기(10)는 상기 제1 실시예와 비교하여 ACF 다발(11)의 배치 방식이 다를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 the arrangement method of the ACF bundle 11 in the electric dust collector 10 may be different from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구체적인 일례로, 제1 활성탄소섬유(11-1), 제2 활성탄소섬유(11-2), 제3 활성탄소섬유(11-3), 제4 활성탄소섬유(11-4) 및 제5 활성탄소섬유(11-5) 순으로 배치되는 위치가 높아질 수 있다.As a specific example, the first activated carbon fiber (11-1), the second activated carbon fiber (11-2), the third activated carbon fiber (11-3), the fourth activated carbon fiber (11-4) and the fifth Activated carbon fibers (11-5) may be arranged in a higher position in order.

구체적인 일례로, 제1 수평형 활성탄소섬유(11-1a)는 가상의 수평선 상에 배치되어 가장 낮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며, 나머지 제2 수평형 활성탄소섬유(11-2a), 제3 수평형 활성탄소섬유(11-3a), 제4 수평형 활성탄소섬유(11-4a) 및 제5 수평형 활성탄소섬유(11-5a) 순으로 제1 수평형 활성탄소섬유(11-1a)와의 높이 차가 커져 제5 수평형 활성탄소섬유(11-5a)가 가장 높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As a specific example, the first horizontal activated carbon fibers 11-1a may be disposed on a virtual horizontal line and disposed at the lowest position, and the remaining second horizontal activated carbon fibers 11-2a, the third number Balanced activated carbon fibers (11-3a), fourth horizontal activated carbon fibers (11-4a) and fifth horizontal activated carbon fibers (11-5a) in the order of the first horizontal activated carbon fibers (11-1a) As the height difference increases, the fifth horizontal activated carbon fibers 11-5a may be disposed at the highest position.

한편, 수직형 활성탄소섬유(11-b)는 상기 제1 실시예와 달리 서로 다른 길이로 이루어지되, 그 길이는 수평형 활성탄소섬유(11-a)와 연결 또는 일체형으로 구현되는 일측과 대향된 타측의 높이가 서로 동일해지는 길이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vertical activated carbon fiber (11-b) is made of different lengths, unlike the first embodiment, the length is opposite to one side implemented in connection or integral with the horizontal activated carbon fiber (11-a) The height of the other side may be the same length as each other.

구체적인 일례로, 수평형 활성탄소섬유(11-a) 중 가장 낮은 위치에 배치되는 제1 수평형 활성탄소섬유(11-1a)와 연결 또는 일체형으로 구현되는 제1 수직형 활성탄소섬유(11-1b)는 다른 수직형 활성탄소섬유(11-b)보다 길이가 길게 이루어지되, 가장 높은 위치에 배치되는 제5 수평형 활성탄소섬유(11-5a)와 연결 또는 일체형으로 구현되는 제5 수직형 활성탄소섬유(11-5b)는 다른 수직형 활성탄소섬유(11-b)보다 길이가 짧게 이루어짐으로써, 수직형 활성탄소섬유(11-b)의 타측은 모두 동일한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As a specific example, the first vertical activated carbon fiber (11-) implemented in connection with or integrally with the first horizontal activated carbon fiber (11-1a) disposed at the lowest position among the horizontal activated carbon fibers (11-a) (11-a) 1b) is made longer than the other vertical activated carbon fibers (11-b), the fifth vertical type activated carbon fiber (11-5a) and the fifth vertical type that is arranged in the highest position or integrally implemented The activated carbon fibers 11-5b are made shorter than other vertical activated carbon fibers 11-b, so that the other side of the vertical activated carbon fibers 11-b may be all arranged at the same height.

도 6을 참조하면, 전기집진기(10)는 수평형 활성탄소섬유(11-a)의 일측과 수직형 활성탄소섬유(11-b)의 일측이 연결되는 경우, 활성탄소섬유의 연결 구조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부재(13)가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 the electric dust collector 10 reinforces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activated carbon fiber when one side of the horizontal activated carbon fiber 11-a and one side of the vertical activated carbon fiber 11-b are connected. A reinforcing member 13 for doing so may be configured.

보강부재(13)는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연결 구조를 보강하기 위한 플렉시블한 재질(예: 실리콘, 고무 등)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It may be preferable that the reinforcing member 13 is made of a flexible material (eg, silicone, rubber, etc.) for reinforcing the connection structure from external impact.

또한, 보강부재(13)는 활성탄소섬유의 연결 구조를 구현하기 위해 일측부에 수평형 활성탄소섬유(11-a)의 일측이 인입가능한 제1 인입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으며, 타측부에 수직형 활성탄소섬유(11-1b)의 일측이 인입가능한 제2 인입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inforcing member 13 may be formed with a first inlet groove (not shown) through which one side of the horizontal activated carbon fiber 11-a can be drawn into one side to implement a connection structure of the activated carbon fiber, A second inlet groove (not shown) through which one side of the vertical activated carbon fiber 11-1b can be drawn may be formed on the other side.

그리고 보강부재(13)는 활성탄소섬유의 연결 구조를 보강할 뿐만 아니라, 오염공기의 이동속도가 수평형 활성탄소섬유(11-a)의 구간보다 수직형 활성탄소섬유(11-b)에서 증가되도록, 일부가 절곡형성될 수 있다.And the reinforcing member 13 not only reinforces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activated carbon fiber, but also increases the movement speed of the polluted air in the vertical activated carbon fiber 11-b than in the section of the horizontal activated carbon fiber 11-a. As much as possible, a part may be bent.

구체적인 일례로, 제2 보강부재(13-2)의 일측은 수직형 활성탄소섬유(11-2b)의 하부를 감싸면서 제1 폭(13a)의 두께를 가지게 절곡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보강부재(13-2)의 타측은 제2 수직형 활성탄소섬유(11-2b)의 측부를 감싸면서 제2 수직형 활성탄소섬유(11-2b)의 타측을 향할수록 두께가 증가하여 제2 폭(13b)의 두께를 가지게 절곡형성될 수 있다. As a specific example, one side of the second reinforcing member 13-2 may be bent to have a thickness of the first width 13a while surrounding the lower portion of the vertical activated carbon fiber 11-2b. In addition,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reinforcing member 13-2 has a thickness toward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vertical activated carbon fiber 11-2b while surrounding the side of the second vertical activated carbon fiber 11-2b. It may be bent to have a thickness of the second width 13b by increasing it.

즉, 보강부재(13)는 일측의 두께가 동일하나, 타측의 두께가 수직형 활성탄소섬유(11-b)의 타측으로 갈수록 증가할 수 있다.That is, the thickness of one side of the reinforcing member 13 is the same, but the thickness of the other side may increase toward the other side of the vertical activated carbon fiber 11-b.

그리고 제1 폭(13a)보다 제2 폭(13b)의 폭이 더 크기 때문에, 제2 보강부재(13-2)와 제1 수평형 활성탄소섬유(11-1a) 간의 폭인 제1 구간 폭(11a)보다 제2 보강부재(13-2)와 제1 수직형 활성탄소섬유(11-1b) 간의 폭인 제2 구간 폭(11b)이 축소될 수 있다.And since the width of the second width 13b is larger than the first width 13a, the first section width ( 11a), the second section width 11b, which is the width between the second reinforcing member 13-2 and the first vertical activated carbon fiber 11-1b, may be reduced.

이에 따라, 제1, 2 수평형 활성탄소섬유(11-1a, 11-2a)의 구간보다 제1, 2 수직형 활성탄소섬유(11-1b, 11-2b)의 구간에서 오염공기의 이동속도가 증가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movement speed of the polluted air in the section of the first and second vertical activated carbon fibers (11-1b, 11-2b) than in the section of the first and second horizontal activated carbon fibers (11-1a, 11-2a) can be increased.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본 발명의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상술한 실시예들에 기재된 각 구성을 서로 조합하는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as described above is provided to enable any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make and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use each configuration described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in a way in combination with each other.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embodiments shown herein but is to be accorded the widest scope consistent with the principles and novel features disclosed herein.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restrictive in all respects but as exemplary.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a reasonable interpretation of the appended claims, and all modification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embodiments shown herein but is to be accorded the widest scope consistent with the principles and novel features disclosed herein. In addition, claims that are not explicitly cited in the claims can be combined to form an embodiment or included as a new claim by amendment after filing.

1: 초미세먼지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 동시 제거장치,
10: 전기집진기,
11: ACF 다발,
12: 전원,
13: 보강부재,
20: 이오나이저,
21: 방전침,
30: 미디움필터,
40: 메쉬필터,
50: 코팅 유리,
55: 혼합물질,
60: 자외선조사기.
1: Simultaneous removal of ultrafine dust and volatile organic compounds;
10: electrostatic precipitator,
11: ACF bundle,
12: power,
13: reinforcing member;
20: ionizer,
21: discharge needle,
30: medium filter,
40: mesh filter,
50: coated glass;
55: mixture,
60: UV irradiator.

Claims (8)

초미세먼지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을 포함한 오염공기가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방향의 직각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오염공기가 상기 직각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유도하며, 상기 초미세먼지에 음극의 하전을 주어 상기 초미세먼지가 전하를 가지게 하는 전기집진기(10);
상기 전기집진기(10)를 통과하는 오염공기에 포함된 초미세먼지에 양극의 이온을 결합시켜 상기 초미세먼지를 조대화시키는 하나 이상의 이오나이저(20);
상기 이오나이저(20)를 통과하는 오염공기에 포함된 조대화된 초미세먼지를 여과하는 미디움필터(30);
상기 미디움필터(30)를 통과하는 오염공기에 포함된 유해 미생물을 여과하는 메쉬필터(40);
상기 메쉬필터(40)를 통과하는 오염공기에 포함된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제거하기 위한 혼합물질(55)이 표면에 코팅되는 코팅 유리(50); 및
상기 오염공기가 상기 메쉬필터(40)를 통과할 때, 상기 코팅 유리(50)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오염공기에 포함된 산소 및 수분을 래디칼로 변화시키며, 상기 래디칼의 산화 반응에 의해 상기 휘발성 유기화합물이 제거되도록 하는 자외선조사기(60);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집진기(10)는,
상기 직각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복수의 활성탄소섬유로 이루어지며, 상기 복수의 활성탄소섬유로 유입되는 외부의 오염공기를 상기 직각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이오나이저(20)로 유도하는 ACF 다발(11); 및
상기 ACF 다발(11)을 따라 이동하는 초미세먼지가 전하를 가지도록, 상기 ACF 다발(11)에 음극의 전압을 인가하는 전원(1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미세먼지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 동시 제거장치.
The polluted air containing ultrafine dust and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is install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inflow direction from the outside to induce the polluted air to move in the perpendicular direction, and a negative charge is given to the ultrafine dust to an electric dust collector 10 for making ultrafine dust have an electric charge;
one or more ionizers 20 for coarsening the ultrafine dust by coupling positive ions to the ultrafine dust contained in the polluted air passing through the electric dust collector 10;
a medium filter 30 for filtering coarse ultrafine dust contained in the polluted air passing through the ionizer 20;
a mesh filter 40 for filtering harmful microorganisms contained in the polluted air passing through the medium filter 30;
a coated glass 50 on which a mixture 55 for removing volatile organic compounds contained in polluted air passing through the mesh filter 40 is coated on the surface; and
When the polluted air passes through the mesh filter 40, ultraviolet rays are irradiated to the coating glass 50 to change oxygen and moisture contained in the polluted air into radicals, and the oxidation reaction of the radicals causes the volatile Including; UV irradiator 60 to remove the organic compound;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10,
An ACF bundle 11 made of a plurality of activated carbon fibers extending in the perpendicular direction, and leading to the ionizer 20 by moving external polluted air flowing into the plurality of activated carbon fibers in the perpendicular direction. ; and
Ultrafine dust and volatile organic matter comprising a; Simultaneous compound removal devic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활성탄소섬유는,
상기 외부의 오염공기가 유입 및 상기 이오나이저(20)로 이동되도록, 인접한 활성탄소섬유와 동일한 간격 또는 서로 다른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외부의 오염공기의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미세먼지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 동시 제거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plurality of activated carbon fibers,
Ultra-fine dus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spaced at the same or different intervals from adjacent activated carbon fibers so that the external polluted air is introduced and moved to the ionizer 20 to form a movement path of the external polluted air and a device for simultaneous removal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오나이저(20)는,
상기 전기집진기(10)를 통과하는 오염공기의 이동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양극의 이온을 발생시키는 방전침(2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미세먼지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 동시 제거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ionizer 20,
and a discharge needle (21) for generating positive ions in a direction transverse to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polluted air passing through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질(55)은,
이산화 타이타늄, 구리, 알루미늄을 적어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미세먼지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 동시 제거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mixture (55) is,
Simultaneous removal of ultrafine dust and volatile organic compounds comprising at least titanium dioxide, copper, and aluminum.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조사기(60)는,
상기 혼합물질(55)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이산화 타이타늄을 활성화시키며, 상기 이산화 타이타늄의 활성화를 통해 OH- 래디칼이 생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미세먼지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 동시 제거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ultraviolet irradiator 60,
Simultaneous removal of ultrafine dust and volatile organic compounds, characterized in that the mixture (55) is irradiated with ultraviolet rays to activate the titanium dioxide, and to generate OH- radicals through the activation of the titanium dioxid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집진기(10), 상기 미디움필터(30) 및 상기 메쉬필터(40)에 의해 상기 외부의 오염공기에 포함된 초미세먼지의 저감과 동시에 소음의 저감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미세먼지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 동시 제거장치.
The method of claim 1,
Ultra-fine dust, characterized in that by the electric dust collector (10), the medium filter (30) and the mesh filter (40),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ultra-fine dust contained in the external polluted air and at the same time reduce the noise; Simultaneous removal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제 1 항에 있어서,
NRC(흡음률) 0.7 이상 및 PM2.5 이하의 상기 초미세먼지를 30 % 이상 저감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미세먼지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 동시 제거장치.
The method of claim 1,
Simultaneous removal of ultra-fine dust and volatile organic compounds,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reduce the ultra-fine dust of NRC (sound absorption coefficient) 0.7 or more and PM2.5 or less by 30% or more.
KR1020200067709A 2020-06-04 2020-06-04 Simultaneous removal device for ultra fine dust and volatile organic compounds KR10238076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7709A KR102380761B1 (en) 2020-06-04 2020-06-04 Simultaneous removal device for ultra fine dust and volatile organic compound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7709A KR102380761B1 (en) 2020-06-04 2020-06-04 Simultaneous removal device for ultra fine dust and volatile organic compound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1290A KR20210151290A (en) 2021-12-14
KR102380761B1 true KR102380761B1 (en) 2022-04-01

Family

ID=78935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7709A KR102380761B1 (en) 2020-06-04 2020-06-04 Simultaneous removal device for ultra fine dust and volatile organic compound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0761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7471Y1 (en) * 2005-07-23 2005-10-04 현대기술산업(주) Air Handling Unit with Electric Precipitation Filter and UVC lamp
KR100859840B1 (en) * 2007-05-14 2008-09-23 한국기계연구원 Air clean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8988A (en) * 2001-12-13 2003-06-25 주식회사 크린원 Air cleaner
KR100640728B1 (en) 2004-11-17 2006-11-01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Scrubbing apparatus for liquid generator
KR101628076B1 (en) 2014-09-24 2016-06-08 박성종 a dust clearing device
KR102051017B1 (en) 2016-12-22 2019-12-03 전자부품연구원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fine dust
KR101801517B1 (en) 2017-06-23 2017-11-27 박정길 Fine dust collecto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7471Y1 (en) * 2005-07-23 2005-10-04 현대기술산업(주) Air Handling Unit with Electric Precipitation Filter and UVC lamp
KR100859840B1 (en) * 2007-05-14 2008-09-23 한국기계연구원 Air clean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1290A (en) 2021-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8329B1 (en) Combined sterilization air purifier
US9040008B2 (en) Method for removal of particles and VOC from an airstream
CN201389210Y (en) Air purifying device
WO2017128694A1 (en) High-speed ionic wind self-inhalement type low-temperature plasma air purification device
CN104043320B (en) A kind of photocatalysis plasma body is in conjunction with the method for ultrasonic Treatment room air pollution
KR101967993B1 (en) Air purifying drone
CN106949561A (en) A kind of integrated combined air air purifying apparatus
CN105698293B (en) A kind of Multifunctional air clarifying device
JP2009519819A (en) Air purification device
CN106861340B (en) Multifunctional air purifying device
CN104128059B (en) Percussion flow gas purge system
CN105772221B (en) A kind of Multifunctional air clarifying device
KR102380761B1 (en) Simultaneous removal device for ultra fine dust and volatile organic compounds
KR20040085249A (en) Air pollutant destruction apparatus having plasma filter with three dimensional cell structure and its cleaning method
CN1276224C (en) Multifunctional air purifier with high adsorbability
JP3000056B2 (en) Air purifier
CN112283849A (en) Plasma purifier
CN206890693U (en) A kind of integrated combined air air purifying apparatus
US20230249195A1 (en) Air purification unit and method for coating an electrode of an air purification unit
CN106975351A (en) A kind of air cleaning unit based on electrostatic precipitator technology and photocatalysis technology
CN203954985U (en) Percussion flow gas purge system
CN206018961U (en) A kind of multifunctional air purifying module
CN218235209U (en) Electric field device and VOCs gas treatment device
CN112082190A (en) Range hood capable of efficiently purifying oil smoke and oil smoke purification method
KR20210059501A (en) Air steriliz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